KR102539473B1 -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9473B1
KR102539473B1 KR1020210175561A KR20210175561A KR102539473B1 KR 102539473 B1 KR102539473 B1 KR 102539473B1 KR 1020210175561 A KR1020210175561 A KR 1020210175561A KR 20210175561 A KR20210175561 A KR 20210175561A KR 102539473 B1 KR102539473 B1 KR 102539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video
music
card
contact pad
alb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희
Original Assignee
(주)두드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드론 filed Critical (주)두드론
Priority to KR1020210175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9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9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9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모니터(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칩(chip), 배터리,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 플레이어 및 TV모니터와 연결할 필요없이 바로 내장된 모니터로 바로 뮤직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다. 특정 가수(회사)의 전용 동영상 플레이어 역할을 하도록 해당 가수의 뮤직비디오를 담는 착탈식 메모리카드인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를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동영상이 담긴 뮤직비디오 앨범카카드는 입출력 접촉패드 어레이 위치 및 접촉패드 맵을 특정 가수(회사) 별로 다르게 패턴(접점패드 어레이 위치 + 접점패드 맵)을 구성함으로써 불법 복제를 방지하면서 특정 가수(회사)에 특화된 전용 앨범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동일 가수(회사)의 다른 뮤직비디오는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들은 바꿔 끼워 감상하도록 구성한다. 즉, 개방형 플레이어가 아닌 폐쇄형 플레이어 이므로 특정 가수(회사)마다 특화되어 소장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뮤직비디오 앨범을 모니터, 배터리, 스피커, 동영상이 담긴 착탈식 메모리카드를 내장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장치와 연결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대비 넓은 화면(7 ~ 10인치)으로 뮤직비디오를 바로 감상할 수 있어 뮤직비디오에 적합한 새로운 매체로 확산될 전망이다.

Description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Music video album and music video player having hardware-based anti-piracy function}
본 발명은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 비디오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와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와 뮤직비디오 파일의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접점 패드 패턴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음반 시장은 오디오를 데이타가 저장된 CD 시장과 오디오와 비디오 데이타를 포함하는 뮤직 비디오 데이타가 저장된 DVD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오디오 재생장치(전축 등) 및 비디오 재생장치(DVD 플레이어 등)가 가정의 필수품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CD 및 DVD는 대부분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스마트폰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되면서, 점차 효용 가치를 잃어가고 있다. 이에, 스마트폰을 통해 뮤직 비디오(유튜브)를 쉽게 보는 단계를 넘어서는, 사용자에게 고전적인 감동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뮤직 비디오 매체(media) 및 뮤직 비디오 상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동영상(비디오) 카타로그는 두꺼운 종이로 된 홍보물에 추가로 모니터를 탑재하여 텍스트가 아닌 영상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제품이다. 비디오 카타로그는 종이 카타로그와 영상의 장점을 하나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공급 가격도 10 USD 초반부터 가능하며, 모니터의 크기도 4인치에서 10인치 제품까지 판매되고 있다.
삭제
비디오 카타로그는 제품 케이스 소재가 종이로 제작되어 주문자 사양에 따라 특정한 디자인 및 세밀한 인쇄도 가능하며, 모니터, 배터리, 동영상 칩(chip) 및 메모리, 기능키, 스피커, USB 커넥터를 포함하여도 매우 가볍고 얇게 제작되고 있다. 메모리의 동영상 데이터를 읽어 모니터에 재생하는 동영상 칩(Chip)도 적용되어 동영상 재생 시 전력소모를 최적화 하여 4시간 이상 재생이 가능하다. 내부 플레쉬 메모리(NAND) 용량은 128MB 부터 8GB 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내부 플레쉬 메모리에는 USB 포트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저렴한 가격과 함께 많은 장점이 있어 종이 카달로그 대비 비싼 가격이지만 동영상이 필요한 제품의 카달로그 및 매뉴얼 등과 같이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제품 형태도 책자형, 탁상 칼렌더형, 박스 형으로 판매되고 있다. 홍보가 목적인 카달로그의 경우 복제하여 사용함을 오히려 장려하지만, 불법 복제를 막아야 하는 뮤직 비디오 앨범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다운로드하는 기존 동영상 카달로그 데이터 다운로드 방식을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삭제
본 발명은 작은 스마트폰 화면을 넘어서는 7인치 이상 크기의 모니터(주로 LCD, OLED)를 탑재하여 원하는 가수의 뮤직 비디오를 별도의 재생장치(스마트폰 포함)와 연결하지 않고 바로 직접 감상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 앨범을 제공하고자 한다. 모니터를 탑재한 뮤직 비디오 앨범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새로운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비디오 카타로그의 기능을 넘어서, 모니터(LCD, OLED)를 탑재하여 비디오를 자체 재생하는 기능을 갖고 동시에 뮤직 비디오 앨범의 복제를 방지할 수 있는 뮤직 비디오 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니터가 탑재된 뮤직비디오 앨범은 특정 가수 및 소속 회사 캐릭터 및 이미지가 종이 케이스에 인쇄되므로, 다른 가수 및 회사의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를 사용하는 것을 원치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뮤직비디오 앨범의 모니터에는 해당 가수(혹은 회사)의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들만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모든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를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레이어가 아닌 특정 가수(혹은 회사)의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만 재생되는 페쇄형 플레이어 형태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은 스마트폰 화면을 넘어서는 7인치 이상 크기의 모니터(주로 LCD, OLED)를 탑재하여 원하는 가수의 뮤직 비디오를 별도의 재생장치(스마트폰 포함)와 연결하지 않고 바로 직접 감상할 수 있는 뮤직비디오 앨범을 제공하는 것이다. 홍보가 목적인 제품 동영상 카달로그와 달리 동영상 카달로그를 뮤직 비디오 앨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삭제
첫째, 모니터가 탑재된 뮤직 비디오 앨범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불법 복제를 막을 최소한의 수단이 포함되어야 한다. 상품을 홍보하는 동영상 카달로그는 중국에서 보편화되어 있어 많은 회사들이 생산하므로, 현재처럼 내부 메모리에 동영상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으로는 불법 복제를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모니터가 설치된 뮤직비디오 앨범을 발매하는 가수(이하, 소속 회사 포함)는 다른 가수의 뮤직비디오가 자신의 뮤직비디오 앨범에서 재생되는 것을 원치 않을 수 있다. 즉, 특정 가수의 캐릭터가 인쇄된 뮤직비디오 앨범 모니터에서는 특정 가수의 뮤직비디오들만 재생(play)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또한, 처음 구매할 때는 모니터 비용을 포함한 뮤직비디오 앨범 값을 지불하지만, 동일 가수의 다른 뮤직 비디오 앨범을 추가로 구입할 때는 모니터 가격을 지불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모니터를 누구나 만들 수 있는 다소 두꺼운 종이 케이스로 제작하므로, 특정 가수의 이미지가 인쇄되는 종이케이스를 불법 복제로부터 보호할 수단이 필요하다.
삭제
삭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메모리를 구비한 신용카드 크기의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를 제안한다. 표준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크기 11mm x 14mm)의 입출력 기능(8핀)을 신용카드 크기(크기 54mm x 85mm) 형태의 메모리 카드로 확대한다. 접점(8핀)을 메모리 카드(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 끝단에 배치하는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 대신 넓은 신용카드 면적 내에서 특정 위치에 접점패드 어레이(8 ~ 12핀)을 배치한다. 특정 위치 별로 접점패드 어레이(array)의 패드 맵도 달리할 수 있으므로 12핀을 사용할 경우 최대 4,096 가지의 접점 패드 어레이 패턴 배치가 가능하다. 접점패드 어레이는 신용카드 크기 면적 내에서 지정된 위치와 함께 특정 접점패드 맵을 하나의 가수(이하, 소속회사 포함)에게 배정한다. 해당 가수 고객은 모니터 탑재형 뮤직비디오 플레이어를 추가로 구입하지 않더라고 신용카드 크기 면적의 메모리 카드(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만 구입하여 바꿔 끼우면 해당 가수의 다른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해결한다.
삭제
첫째, 본 발명의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는 모니터가 내장됨 뮤직비디오 플레이어와 착탈식으로 끼우는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로 구성한다. 뮤직비디오 앨범의 불법 복제를 막을 일단계 하드웨어적 수단으로 특정 가수 별로 접점패드 어레이의 접점패드 맵(map)을 지정하여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과 같은 소프트웨어 방식 대신 하드웨어 방식으로 메모리카드의 불법 복제를 막도록 한다. 접점패드 어레이(8 ~ 12핀)의 맵(map) 배치만 달리하여 구성하여도 12핀을 사용할 경우 최소 4,096 가지 패턴으로 다르게 제작 가능하다. 이를 복제 하려면 모니터 탑재형 뮤직비디오 플레이어와 뮤직비디오 콘텐츠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 메모리카드 콘텐츠 라이터기(writer)와 같은 하드웨어를 모두 복제해야 한다.
둘째, 위와 같은 모니터가 탑제된 뮤직비디오 앨범 및 재생 장치는 특정 가수의 발매 요구, 즉 다른 가수의 뮤직비디오가 자신의 뮤직비디오 앨범에서 재생되지 않도록하는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 뮤직비디오 앨범의 불법 복제를 막을 하드웨어적 수단으로 특정 가수 별로 접점패드 어레이를 위치와 접점패드 맵을 다르게 한 패턴으로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를 제작한다. 신용카드 면적 내에서 특정 위치를 450개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면 하드웨어적으로 450 x 4,096 = 1,843,200가지 패턴을 제공할 수 있디. 뮤직비디오 앨범을 발매한 가수가 고유 패턴을 지정받으면 해당 가수의 다른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도 재생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정 회사가 고유 패턴을 지정받으면 해당 회사에서 만든 모든 비디오앨범카드를 모두 재생할 수 있다. 즉, 특정 가수나 회사가 고유 패턴을 지정받으면 모니터를 탑재한 뮤직비디오 플레이어를 제외하고 추가로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만 구입하면 된다. CD/DVD 플레이어가 모든 CD/DVD를 재생시키는 개방형인데 반하여, 본 발명은 특정 가수 음반만 재생하는 페쇄형 플레이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모니터를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종이 케이스로 만드므로, 특정 가수의 이미지가 인쇄되는 종이케이스를 보호하도록 별도로 종이 케이스에 추가로 인쇄(일례로 UV 프린터)하거나 시트지를 부착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진품임을 보증하기 위해 홀로그램도 부착할 수 있다. 추가로 인쇄하므로 주문자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어 희소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는, 뮤직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와, 상기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로부터 저장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재생하기 위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는 메모리에 저장된 뮤직비디오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뮤직비디오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와, 비디오 파일 재생수단과, 오디오 파일 재생수단과, 배터리와,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은,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은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의 제작자 별로 사전에 정해진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은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의 창작자 별로 사전에 정해진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은,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이 삽입된 경우 상기 뮤직비디오 플레이어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의 메모리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동영상 폴더와,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오디오 폴더를 구비하고,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비디오 파일 재생 수단은 상기 동영상 폴더의 파일들을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수단은 오디오 폴더의 파일들을 스피커로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과거의 DVD는 별도의 개방형 플레이어와 TV 모니터와 연결하여 동영상을 감상하였는데, 현재는 스마트폰에 밀려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뮤직 비디오 앨범은 모니터(스크린) 및 동영상 재생 칩(chip), 배터리,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 플레이어 및 모니터와 연결할 필요없이 내장된 모니터로 뮤직비디오를 바로 감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니터가 내장됨 뮤직비디오 앨범과 착탈식으로 끼우는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로 구성된다. 특정 가수(이하, 소속회사 포함)의 전용 동영상 플레이어 역할을 하며, 내부 메모리 대신 해당 가수의 뮤직비디오를 담는 착탈식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로 구성하였다. 신용카드와 유사한 크기의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는 입출력 접점패드 어레이 위치 및 접점패드 맵(pad map)을 가수 별로 패턴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해당 가수에 특화된 앨범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삭제
첫째, 뮤직비디오 앨범을 모니터, 배터리, 스피커, 동영상이 담긴 착탈식 메모리카드를 내장한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재생장치 및 TV모니터와 연결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대비 넓은 화면으로 뮤직비디오를 바로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동영상이 담긴 뮤직비디오앨범 카드는 입출력 접점 패드 어레이 위치 및 접점 패드 맵을 특정 가수 별로 다르게 패턴을 구성함으로써 특정 가수에 특화된 뮤직비디오앨범으로 사용하며, 동일 가수가 발표한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들은 바꿔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개방형 플레이어가 아닌 폐쇄형 플레이어 이므로 특정 가수마다 특화되어 소장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모니터를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종이 케이스에 내장하므로, 특정 가수의 이미지가 인쇄되는 종이케이스를 보호하도록 별도로 종이 케이스에 인쇄(일례로 UV 프린터)하거나 시트지를 부착하는 방식이 적용되어, 주문자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어 희소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동영상 카달로그의 사진 이미지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가 내장됨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와 착탈식으로 끼우는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로 구성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입출력 접점 패드 어레이의 위치를 다르게 구성한 복제 방지 기능에 대한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의 접점 패드 어레이의 패턴(map)을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의 설명도
삭제
뮤직비디오 앨범을 모니터, 배터리, 스피커, 동영상이 담긴 착탈식 메모리카드를 모두 내장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면, 사용자는 다른 재상장치 및 TV 모니터와 연결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대비 넓은 화면으로 뮤직비디오를 바로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인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방식대신 하드웨어 적인 불법 복제방지 기술이 포함된 신용카드 크기와 유사한 메모리카드 형태를 제안한다. 일례로 표준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크기 11mm x 14mm)의 입출력 기능(8핀, Vcc, Vss, CMD, CLK, DAT0, DAT1, DAT2, DAT3)을 적용하며 이를 신용카드 크기(54mm x 85mm) 형태의 메모리카드로 확대한다. 접점 패드(8핀)를 메모리카드 끝단에 배치하는 마이크로 SD 메모리카드 대신 넓은 신용카드 면적 내에서 특정 위치에 접점패드 어레이(8 ~ 12핀)를 배치한다. 특정 위치 별로 접점패드 맵(8핀 ~ 12핀)의 배치도 달리할 수 있는데, 12핀을 사용할 경우 최대 4,096 가지 패턴이 가능하다. 접점패드 어레이응 특정 위치 별로 특정 접점패드 맵으로 패턴을 지정하여 하나의 가수(이하, 회사 포함)에게 배정한다. 해당 가수 고객은 모니터가 탑재된 뮤직비디오 앨범을 추가 구입하지 않더라고 신용카드 크기 면적의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만 구입하여 바꿔 끼우면 다른 뮤직비디오를 재생하도록 구성하고자 한다(일례로 뮤직비디오 앨범 가격 20 USD 내외, 뮤직비디오 앨범카드 5 USD 내외, 저작권료 불포함).
삭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삭제
도 1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동영상 카달로그의 사진 이미지도이다. 다. 동영상(비디오) 카달로그는 보다 두꺼운 종이 홍보물에 추가로 모니터를 탑재하여 텍스트가 아닌 영상으로 제품을 홍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종이 카달로그와 동영상의 장점을 하나로 사용할 수 있어 적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공급 가격도 10 USD 초반부터 가능하여, 모니터의 크기도 4인치에서 10인치 제품까지 판매되고 있는 단계다. 제품 케이스 소재가 종이로 제작되어 주문자 사양에 따라 특정한 디자인 및 세밀한 인쇄도 가능하며, 모니터, 배터리, 동영상 칩(chip) 및 메모리, 기능키, 스피커, USB 커넥터를 포함하여도 매우 가볍고 얇게 제작되고 있다. 내부 메모리의 동영상 데이터를 읽어 모니터에 재생하는 동영상 칩(Chip)도 적용되어 동영상 재생시 전력소모를 최적화 하여 4시간 이상 재생이 가능하다. 내부 메모리(NAND) 용량은 128MB 부터 8 GB 까지 선택할 수 있으며, 내부 메모리에는 USB 포트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되어 있다. 책자형, 탁상달력형, 보관함령, 앨범형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커버에 자석스위치를 설치하여 커버를 닫으면 모니터가 오프(Off)되고 커버를 열면 모니터가 온(on)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도 2는 본 발명의 모니터가 내장됨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와 착탈식으로 끼우는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로 구성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100)는 뮤직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와, 상기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로부터 저장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재생하기 위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로 구성된다. 종래의 동영상 카달로그는 내부 메모리에 USB 포트를 통해 동영상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도록 되어 있어 불법 복제에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드웨어 패턴 방식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이 적용된 착탈식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20)를 구성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는 특정한 뮤직 비디오의 이미지가 인쇄된 종이로 된 케이스(1)와, 케이스(10) 내에 설치된 화면 표시장치(디스플레이,2) 및 스피커(5), 조작 키(4), 배터리(8), 배터리 충전 단자(7), 동영상 재생 칩(비디오 파일 재생 수단, 3), 오디오 파일 재생 수단(9)을 포함한다.
또한,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는 메모리에 저장된 뮤직비디오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21)을 구비한다.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21)은 뮤직 비디오를 만든 가수(이하, 회사 포함) 별로 접점패드 어레이(10)가 카드에 배치되는 위치 및 패턴의 형태가 다르게 구성된다. 또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는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를 착탈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6)을 구비한다.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6)은, 접점 패드 커텍터(11)와 배터리 전원 연결 커넥터(12)를 구비한다. 접점 패드 커텍터(11)는 삽입되는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의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21)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의 입출력 접점 패드 어레이의 위치를 다르게 구성한 복제 방지 기능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21)의 카드(20)에 배치되는 위치(카드의 좌측 하단을 기준으로 한 x, y 좌표)를 가수별(또는 회사별)로 다르게 배치하여 복제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뮤직 비디오를 만든 가수 별로 접점패드 어레이(21) 위치를 다르게 구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동영상이 담긴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20)는 입출력 접점 패드 어레이(21) 위치를 가수 별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가수 별로 특화된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로 사용한다. 동일 가수의 다른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들은 바꿔 끼워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존 CD 및 DVD 플레이어는 표준 규격에 따라 제작된 CD 및 DVD는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개방형이지만, 본 발명의 모니터가 탑재된 뮤직비디오 앨범은 특정 가수의 캐릭터가 인쇄되어 있는 만큼 특정 가수의 전용 플레이어로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일단계로 신용크기 크기(54mm x 86mm)의 메모리카드에 접점패드 어레이(21)의 위치를 전후좌우 2.54mm 간격으로 다르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15 x 30 = 450 개의 다른 위치에 접점패드 어레이(2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에는 NFC(22)을 설치하여, 뮤직비디오 앨범카드를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대면 해당 뮤직비디오를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유튜브 포함)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의 접점 패드 어레이의 패턴(map)을 다르게 구성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접점패드 어레이(21)의 접점 패드 어레이 패턴(map)을 다르게 구성하여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는 접점 패드 어레이(8핀 ~ 12핀)의 접점 패드를 통하여 동영상 재생 칩(3)과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 때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점 패드 어레이(21)의 패턴(map)은 수록한 뮤직비디오 컨텐츠를 제작한 해당 가수 혹은 회사마다, 접점 패드들의 배치를 다르게 구성하여 고유의 패턴을 구성한다. 메모리카드 패드 규격을 마이크로 SD카드 방식을 적용할 경우 핀은 8개(Vcc, Vss, CMD, CLK, DAT0, DAT1, DAT2, DAT3)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SD카드 핀맵은 DAT2, DAT3, CMD, Vcc, CLK, Vss, DAT0, DAT1 순서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점 패드 어레이 패턴(21)은 8개의 접점 패드(도 5(a)에서 패드 a, b, c, d, e, f, g, h)를 사용할 경우 256 가지의 패턴이 가능하며, 12개의 접점 패드에 배치할 경우 4,096가지의 패턴이 가능하다. 이를 제 4도의 접점패드 어레이(21)의 배치 위치를 달리하는 경우의 수 450 가지와 조합하면 총 1,843,200 개의 고유한 패턴(접점패드 어레이 위치 + 접점 패드 맵)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세계 뮤직비디오를 발표하는 가수 및 회사마다 고유의 접점패드 어레이 패턴(21)을 할당할 수 있다. MP3에서 많이 사용했던 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USB로 내부 메모리에 다운로드할 때 적용할 수 있지만, 모니터가 탑재된 뮤직비디오 앨범을 본 발명과 같이 특정 가수만 사용토록 하는 페쇄형으로 사용하는 방식에서는 적용하기 어렵다. DRM이 적용된 음반(MP3)은 개방형 플레이어에 유용하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에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6)의 배터리 전원 연결 커넥터(12)를 오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6)에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가 삽입되면 배터리 전원 연결 커넥터(12)가 온(on) 되도록 구성하여, 배터리(8)의 전력이 동영상 재생 칩(3)에 공급되도록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몇몇 실시예에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의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6)은,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11)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21)이 삽입된 경우 상기 뮤직비디오 플레이어(10)에 배터리(8)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과거에는 전축 및 워크맨으로 불리우는 오디오 재생장치와 비디오 플레이어를 TV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비디오 재생장치가 널리 사용되었다. 오디오 재생장치에서는 CD라는 매체를 사용하였고, 비디오 재생장치에서는 DVD라는 매체를 사용하였다. 표준 포맷이 다른 이유 등으로 CD와 DVD는 통합되지 못하고, 컴퓨터에 달려있는 DVD 플레이어에서는 CD를 함께 사용하도록 발전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재생 장치와 비디오 재생 장치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카드형 음반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즉,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20)의 메모리에는, 동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동영상 폴더(일레로 '/video')와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는 오디오 폴더(일례로 '/audio')를 각각 구성한다. 이에 대응하여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10)의 비디오 재생 수단(장치)는 동영상 폴더의 파일들만 재생하도록 구성하고, 오디오 재생 수단(장치)는 오디오 폴더의 파일들만 재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디오 재생장치와 비디오 재생장치에서 함께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형 음반(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을 구현할 수 있다.
뮤직 비디오 재생 장치를 모니터, 배터리, 스피커, 동영상을 저장한 착탈식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장치와 연결할 필요없이 스마트폰 대비 넓은 화면으로 뮤직비디오를 바로 감상할 수 있어 뮤직비디오에 적합한 새로운 매체로 확산될 수 있다. 접점패드 어레이 수단의 위치와 패드 맵을 달리하는 패턴 경우의 수가 총 1,843,200 가지 이상 제공되므로, 전세계 뮤직비디오를 발표하는 가수마다 유일한 패턴(접점패드 어레이 위치 + 접점패드 맵)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1 : 종이 케이스 2 : 화면표시장치(디스플레이)
3 : 동영상 재생 칩 4 : 조작 키
5 : 스피커 6: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
7 : 충전 단자 8 : 배터리
20 :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 21 : 접점패드 어레이

Claims (5)

  1. 뮤직 비디오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를 구비하는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와, 상기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로부터 저장된 뮤직 비디오 파일을 제공받아 재생하기 위한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하는 뮤직 비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는 메모리에 저장된 뮤직비디오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뮤직비디오 플레이어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와, 비디오 파일 재생수단과, 오디오 파일 재생수단과, 배터리와,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은,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은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의 제작자 별로 사전에 정해진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은 상기 뮤직 비디오 파일의 창작자 별로 사전에 정해진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비디오 앨범 카드 접속 수단은, 고유의 접점 패드 커넥터 패턴에 대응하는 고유의 접점 패드 어레이 카드 패턴이 삽입된 경우 상기 뮤직비디오 플레이어에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뮤직 비디오 앨범 카드의 메모리는, 동영상 파일이 저장된 동영상 폴더와,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 오디오 폴더를 구비하고,
    뮤직 비디오 플레이어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비디오 파일 재생 수단은 상기 동영상 폴더의 파일들을 디스플레이에 재생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오디오 파일 재생 수단은 오디오 폴더의 파일들을 스피커로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KR1020210175561A 2021-12-09 2021-12-09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KR102539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561A KR102539473B1 (ko) 2021-12-09 2021-12-09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561A KR102539473B1 (ko) 2021-12-09 2021-12-09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9473B1 true KR102539473B1 (ko) 2023-06-15

Family

ID=8676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561A KR102539473B1 (ko) 2021-12-09 2021-12-09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94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50U (ko) * 2007-02-07 2008-08-12 이영만 디지털 오디오비디오신호가 기록 되어 있는 메모리카드
KR20190112374A (ko) * 2018-03-26 2019-10-07 자이로캠주식회사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KR2021014185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비디오 스토리지 앨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3250U (ko) * 2007-02-07 2008-08-12 이영만 디지털 오디오비디오신호가 기록 되어 있는 메모리카드
KR20190112374A (ko) * 2018-03-26 2019-10-07 자이로캠주식회사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KR20210141855A (ko) * 2020-05-14 2021-11-23 주식회사 더블유아이 비디오 스토리지 앨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68B1 (ko) 저작권 대응 반도체 메모리 카드
JP4536070B2 (ja) 可視の物理的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20161B1 (ko) 전자출판물 시스템에 적합한 휴대용단말기
TW523717B (en) Digital business card
KR20080018070A (ko)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KR102539473B1 (ko)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KR200371754Y1 (ko)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US20080162772A1 (en) Portable memory device with auto-play audio
KR200388638Y1 (ko) 영유아용 멀티미디어 방송 및 학습 단말기
KR20190112374A (ko)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KR20080003250U (ko) 디지털 오디오비디오신호가 기록 되어 있는 메모리카드
TWM648926U (zh) 賀卡裝置
KR20080005829A (ko) 읽기 전용 메모리 카드
KR20230115435A (ko) Nft파일을 재생하는 nft파일 전용 앨범 장치 및 nft파일 저장 카드와 이를 이용한 nft파일 거래 방법
KR200391671Y1 (ko) 탁상용 멀티교육 단말기
KR20240012343A (ko) 컨텐츠 재생용 대체 앨범 생성 방법
KR200400400Y1 (ko) 휴대용 멀티 단말기
AU2006343229A1 (en) A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by encrypting and decrypting a memory card
RU241917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внешних портативных однотипных накопителей памяти к электрон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US20020118947A1 (en) Digital video and audio storing and playing device
JPH10269685A (ja) 再生判断機能を有するデジタルビデオディス クプレーヤーシステム
TWI330799B (en) Metho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copying and related hardware storage device (ii)
KR200369642Y1 (ko) 데이터 저장 카드,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데이터저장/재생 시스템
KR200426262Y1 (ko) 복제가 불가능한 전자음반
KR20180116714A (ko)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