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374A -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 Google Patents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374A
KR20190112374A KR1020180034278A KR20180034278A KR20190112374A KR 20190112374 A KR20190112374 A KR 20190112374A KR 1020180034278 A KR1020180034278 A KR 1020180034278A KR 20180034278 A KR20180034278 A KR 20180034278A KR 20190112374 A KR20190112374 A KR 2019011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ory
cob
card
memory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로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2374A/ko
Publication of KR2019011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17Card-like record carriers

Abstract

현재의 스마트폰 중심의 음원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를 차지하는 스마트폰 중심 음원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유아 교육 시장, 글을 읽을 수 없어 온라인에 접근하기 어려운 유아들도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미디어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는,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메모리 COB(chip on board) 장착 홈을 형성하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개방형 접촉패드 형태의 외부 입출력 수단을 가진 접촉형 메모리 COB; 접촉형 메모리 COB를 메모리 COB 장착 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NFC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면적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로 구성하였다. 이상과 같이, 세로 및 가로 접점 패드를 가진 접촉형 메모리 카드는 세로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끼우도록 디자인된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오프라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끼우는 직관적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어,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 A contact type memory card including a surface for printing an embedded content image and having pads in mutual contact with the connectors in the later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
레코드, 카세트테이프, CD 및 DVD라는 매체를 통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던 시대는, 해당 매체를 통해 ‘소장가치’와 ‘감상’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왔다. 하지만, 이후 IT 기술의 발달을 통해 디지털 음원을 이용하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감상’이라는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더해 ‘편의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는 것에는 성공을 했지만, 정작 음악 콘텐츠 이용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는 ‘소장가치’를 잃어버렸다. 그 결과, 음악 자체의 가치가 현저히 소실되었고 이에 따라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온라인 음원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을 주도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미래에는 새로운 음악 매체(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소장가치’와 ‘감상’ 그리고 ‘편의성’과 ‘커뮤너티(community)’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MP3를 거쳐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대부분의 디바이스(컴퓨터, CD 플레이어), 특히 자동차 카 오디오에서도 CD 및 DVD 플레이어 기능이 삭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프라인 시장에서 전통적인 매체였던 CD와 DVD가 사라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음악의 보편화와 함께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이 도입되면서, CD와 DVD와 같은 기존의 미디어 시장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일례로, 특허등록 10 ­ 1683551호로 등록된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NFC 태그를 스마트폰 하단의 NFC 리더기에 대면, 지정된 음원 관리 서버에 자동 연결하여, 지정된 음악을 다운로드 하도록 구성하였다. NFC 태그 전면에는 구입한 음원에 대한 이미지를 인쇄하여 소장감도 느끼도록 구성하여, 일명 ‘키노 앨범 및 카드’ 형태로 발매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 받을 수 있도록 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카드에는 음원을 탑재하지 않아 스마트폰과 같이 NFC 리더기가 설치된 온라인 디바이스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체에 음원을 탑재하여‘소장 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고,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 - 2017 - 0049402호 및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로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었던 점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에 대한 것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0년대 들어 MP3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음원 시장에 의해 크게 잠식되고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음반을 파일로 소장하는 방식의 MP3 플레이어 등에 적응하지 못한 세대(특히 노년층)들은 음반 시장을 이탈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 음악 시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MP3 파일의 불법 복제, 불법 전송 등으로 인해 온라인 음원 시장 또한 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음원 공급 업체들은 MP3 파일에 대한 대안으로 불법 복제 및 불법 전송이 근본적으로 어려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통신 환경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할 때마다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콘텐츠 다운로드 방식의 음원 시장이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의 음원 시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많은 음원 소비자들의 시장 이탈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도 음악 소비 욕구는 여전히 가지고 있으나, 현재의 스마트폰 중심의 음원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아직도 음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해야 한다는 감성을 가지고 있거나, 한번 구매한 음원은 영원히 소장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있으며,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유아 교육 시장, 글을 읽을 수 없어 온라인에 접근하기 어려운 유아들도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미디어가 필요하다.
한국의 국민은행에서는 2008년에 신용카드에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한 ‘&d 카드’를 보급하고, 박형 신용카드 메모리에 음원을 저장하고 함께 제공되는 ‘&d 플레이어’로 음악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d 카드’는 CD와 DVD보다는 ‘편의성’을 제공하였지만, 탑재한 메모리 칩의 데이터 버스를 전부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20핀 이상 입출력 패드 필요)과 신용카드 중심의 보편화 이미지만 전달하면서 ‘소장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단순히 새로운 신용카드로 인식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편화와 함께 2000년대 초반부터 인기를 누리던 MP3 플레이어와 PMP도 경쟁력을 상실하여 사라지는 단계로 급변하고 있다. 이와 함께,스마트폰에서 음악의 ‘소장 가치’를 제공하려는 시도로 2015년 NFC 매체, NFC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한국 기업(주식회사 키노)에서 특허를 등록하고 일명‘키노 앨범'으로 출시하였다. ‘키노앨범’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 (a) 관리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NFC 매체가 제공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제조 기술이 발달하여, 최근에는 6 Tera Bit도 단일 칩(3D NAND)에서 구현되고 있어,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작은 크기(세로 15x 가로 11x 폭 1mm)의 마이크로 SD 카드는 512G Byte 제품도 보편화 되고 있어, 현재 표준화된 메모리카드는 용량이 매우 크면서 크기가 너무 작아 매체로 활용할 수 없다. 이를 대신하여, 소장가치는 부족하지만 자동차 및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USB 메모리에 오래된 음원을 수백~1천 곡 내외를 담아 판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면적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신뢰성 높은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NFC 매체를 사용하는 ‘키노 앨범’의 ‘키노 카드’는 음원이 저장되어있지 않은 NFC 태그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로 태그 정보를 읽어 스마트폰의 무선(WiFi)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다운로드 서버와 연결하여 승인된 음원을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다. ‘키노 카드’의 전·후면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음원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부분적으로 소장 가치를 부여하고 있지만, NFC 태그 형태의 ‘키노 카드’에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아‘소장 가치’가 반감되는 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음원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서버와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단말장치로는 현재 스마트폰 및 AI 스피커가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과거의 MP3 및 PMP를 대체하고 있는 만큼 스마트폰을 통하여 음악을 감상하도록 함은 새로운 매체에서도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음원을 이동통신망으로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받는 데이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망이 없는 MP3 플레이어, 블루투쓰 스피커, 도킹 스피커, 카 오디오 등과 같이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디자인에 따라 카드 삽입 방향 선텍)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가능하다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CD와 DVD가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가는 현 단계에서 새로운 매체는 대용량의 USB/ SD/ MMC 메모리카드와는 달리,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대용량의 USB/ SD/ MMC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등으로 메모리 정보를 읽어야 저장된 음원 리스트를 알 수 있고,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는데 번거롭다는 문제점 등을 미래의 새로운 미디어에서는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경우도 스마트폰 가입자의 20% 정도만 음악 서비스(한국의 멜론, 지니 음악 서비스 외)에 가입하였고, 80%는 어려운 음악 다운로드 방법 및 월정액 부담, CD의 사라짐 등의 이유로 음악에서 소외되고 있는 만큼 과거의 카세트테이프 및 CD처럼 저렴하고,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바로 선택할 수 있는 실물 기반의 매체가 필요하다.
현재 표준화된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메모리스틱, SD, mini SD, 마이크로 SD 외)는 메모리 카드의 끝단에 접점 패드를 일렬로 형성하여 한 방향으로만 끼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는 소형화를 통해 접점 패드 간격이 1mm 내외로 정밀하게 제작되므로 스마트폰 등의 보조 메모리처럼 고정적인 사용 용도에 적합하며, 메모리카드를 자주 착탈해야 하는 음반 용도로는 크기 및 구조상 적합하지 않다. 음반으로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카드는 자주 착탈하는 만큼,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끼우기 쉽도록 메모리카드 삽입구를 카드 폭보다 0.5mm 내외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자주 착탈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및 메모리카드의 마모 등으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소장성 및 편리성을 위해 대면적(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9mm)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할 경우, 카드 끝단에 1mm 내외의 접점 패드로는 안전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 메모리 COB(Chip on Board) 내부의 메모리 웨이퍼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의 금융 IC 칩과 같이 접점 패드를 중앙 부근에 설치하고, 안정적인 접점 연결을 위해 2.5mm 내외의 피치를 갖는 개방형 접점 패드 방식의 메모리 카드가 필요하다.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디자인에 따라 카드 삽입 방향 선텍)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면적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가 필요하다. 즉 접촉형 메모리카드의 홈에 고정되는 1개의 접촉형 메모리 COB에 가로 및 세로 방향에 대해서 각각 점점 패드를 형성하여, 세로 방향의 커넥터는 세로 방향의 접점 패드로, 가로 방향의 커넥터는 가로 방향의 접점 패드와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해결한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수단으로는 데이터카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보다는 메모리카드 플라스틱 내부에 설치된 NFC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로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URL로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대면적의 접촉형 메모리카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현재의 스마트폰 중심의 음원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대다수를 차지하는 스마트폰 중심 음원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특히 유아 교육 시장, 글을 읽을 수 없어 온라인에 접근하기 어려운 유아들도 쉽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새로운 미디어가 필요하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는,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메모리 COB 장착 홈을 형성하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개방형 접촉패드 형태의 외부 입출력 수단을 가진 접촉형 메모리 COB; 접촉형 메모리 COB를 메모리 COB 장착 홈에 끼워 고정시키는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NFC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특히,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면적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카드에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음원에 적합한 이미지가 카드 전·후면에 인쇄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에서 사용하던 음원 데이터는 재판매할 수 없지만, 실물로 소유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는 과거에 레코드와 카세트테이프처럼 사용한 후에 재판매할 수 있다.
둘째, NFC 태그를 이용한 방식은 NFC 태그에 음원 데이터가 없으므로 인증코드를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카드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오프라인 단말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소장가치가 높다. 통신 비용이 발생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셋째, 세로 및 가로 접점 패드를 가진 접촉형 메모리 카드는 세로방향 혹은 가로방향으로 끼우도록 디자인된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오프라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직관적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어,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선택적으로 접촉형 메모리카드에 포함된 NFC 태그로 연동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활용도 높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SD 메모리 카드의 발전(SD -> 미니 SD -> 마이크로 SD)에 따른 에 따른 크기 비교표이다.
제2도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핀 배치도 및 접점 패드의 위치, 대응하는 케이싱된 커넥터의 이미지도 이다.
제3도는 2008년에 출시된 신용카드에 금융 IC 칩과 함께 12개의 점점 패드를 갖는 메모리(128MB) 칩을 설치한 ‘&d카드’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제4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의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받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한 미디어카드의 구성도 이다.
제5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도 및 블록도 이다.
제6도는 저장 콘텐츠 이미지 인쇄 면을 갖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구조도 이다.
제7도는 접촉형 메모리 COB의 세로방향 접촉 패드를 나타낸 구조도 이다.
제8도는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나타낸 구조도 이다.
제9도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함께 배치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구성도 이다.
제10도는 세로방향 접촉 패드만을 배치한 세로 방향 전용 메모리 COB와 가로방향 접촉 패드만을 배치한 가로 방향 전용 메모리 COB의 구성도 이다.
제11도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함께 배치한 3x3 접촉형 메모리 COB의 구성도 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하는 세로형 플레이어와 가로형 플레이어의 예시도 이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 카드에 바둑판 배열로 저장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여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예시도 이다.
CD와 DVD를 대체하는 새로운 매체로 ‘키노카드’가 등장하였지만, NFC 태그 형태의 ‘키노카드’는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키노카드’를 대면 인증절차를 거쳐 해당 음원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① 스마트폰만을 통한 음악 감상, ② 다운로드시 이동통신망 비용 발생, ③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순 NFC 태그로 소장가치 저하, ④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 및 외장 스피커 장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키노 카드'는 현재까지는 가장 진보된 차세대 매체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체에 음원을 탑재하여‘소장 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고,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 - 2017 - 0049402호 및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로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를 출원하였다. 즉, 플라스틱 카드(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9mm)에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일례로 신용카드 금융 IC 패드와 유사)와 메모리 수단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접촉식 유선 미디어카드를 제안하였다. 메모리 방식으로는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NAND 및 OTP, EEPROM이 적합하며, 4 ~ 10핀으로도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SPI(Serial programming Interface) 혹은 micro SD(secure Digotal) 혹은 USB 통신 방식을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메모리 카드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문제점이 제기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에 대한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도는 SD 메모리 카드의 발전(SD -> 미니 SD -> 마이크로 SD)에 따른 에 따른 크기 비교표이다. 메모리카드는 지속적으로 대용량화 및 소형화되고 있다. 제2도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핀 배치도 및 접점 패드의 위치, 대응하는 케이싱된 커넥터의 이미지도 이다. 메모리 카드 크기가 작은 만큼 전체 면적에 반도체가 내장되어 있어, 주로 끝단에 접점 패드를 형성한다. 커넥터도 접점 연결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메모리카드를 끼웠을 때 철제 프레임으로 간격을 좁히도록 설계된다. 제3도는 2008년에 출시된 신용카드에 금융 IC 칩과 함께 12개의 점점 패드를 갖는 메모리(128MB) 칩을 설치한 ‘&d카드’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신용카드에 최초로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하여 음원을 저장하도록 하였지만, 음원 특유의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신용카드 인쇄 이미지를 개인화하지 못하여 미디어 카드로 사용되지 못했다. 제4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의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받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한 미디어카드의 구성도이다.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 방식과 구성 방식에 따라 ① 유선 미디어카드, ② 무선 미디어카드, ③ 유·무선 미디어카드, ④ 오디오 미디어카드로 구분하였다. 제5도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10 - 2017 - 0090015호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도 및 블록도 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 인쇄 면을 갖고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가칭 'cardi')의 구조도 이다. 현재 표준화된 대부분의 메모리 카드(메모리스틱, SD, mini SD, 마이크로 SD 외)는 메모리 카드의 끝단에 접점 패드를 일렬로 형성하여 한 방향으로만 끼워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카드는 소형화를 통해 접점 패드 간격이 1mm 내외로 정밀하게 제작되므로 스마트폰 등의 보조메모리처럼 고정적인 사용 용도에 적합하며, 음반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메모리카드를 자주 착탈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음반으로 사용하는 경우 메모리카드는 자주 착탈하는 만큼, 메모리카드 커넥터에 끼우기가 용이해야 하기 때문에 메모리카드 삽입구를 카드 폭보다 0.5mm 내외 크게 제작하여야 한다. 또한, 자주 착탈하는 경우에는 커넥터 및 메모리카드의 마모 등으로 높은 신뢰성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소장성 및 편리성을 위해 대면적(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9mm)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할 경우, 카드 끝단에 1mm 내외의 접점 패드로는 안전적인 연결을 보장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고 메모리 COB(Chip on Board) 내부의 메모리 웨이퍼를 보호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의 금융 IC 칩과 같이 접점 패드를 중앙 부근에 설치하고, 안정적인 접점 연결을 위해 2.5mm 내외의 피치를 갖는 개방형 접점 패드 방식의 메모리 카드가 필요하다. 근거리 무선통신(NFC) 수단으로는 데이터카드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보다는 메모리카드 플라스틱 내부에 설치된 NFC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로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URL로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는,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에 메모리 COB 장착 홈(2)을 형성하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개방형 접촉패드 형태의 외부 입출력 수단을 가진 접촉형 메모리 COB(1); 접촉형 메모리 COB(1)를 메모리 COB 장착 홈(2)에 끼워 고정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NFC 칩과 안테나(9)를 포함하여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구성한다. 이 경우, 접촉형 메모리 COB(9)는 기판(6) 위에 메모리 웨이퍼를 연결하여 패키징(7)하여 구성하는 수단;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의 메모리 COB 장착 홈에 접촉형 메모리 COB(9)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세로방향 접촉패드(8) 및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가로방향 접촉패드(8)를 함께 구성한다.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별도 카드리더기를 장착한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연결패드 1(12)과 전원 연결패드 2(11)를 회로로 연결한다. 즉, 별도 카드리더기를 장착한 디바이스는 전원 연결패드 1(12)에 배터리 전원선을 연결하고, 전원 연결패드 2(11)를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형식으로 구성한다. 접촉형 메모리 COB(9)에서는 전원 연결패드 1(12)과 전원 연결패드 2(11)가 연결되어 있어, 디바이스에 상기 메모리 카드를 끼우면 접촉형 메모리 COB(9)의 전원 연결패드 2(11)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제7도는 접촉형 메모리 COB의 세로방향 접촉 패드를 나타낸 구조도 이다. 제8도는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나타낸 구조도 이다. 제9도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함께 배치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구성도이다.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디자인에 따라 카드 삽입 방향 선택)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면적으로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가 필요하다. 즉 접촉형 메모리카드의 홈에 고정되는 1개의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 및 세로 방향에 대해서 각각 점점 패드를 형성하여, 세로 방향의 커넥터는 세로 방향의 접점 패드로, 가로 방향의 커넥터는 가로 방향의 접점 패드와 연결하도록 구성하여 해결한다.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는 경우,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 및 가로방향 전용 패드(16)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한다. 혹은,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는 경우,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 및 세로방향 전용 패드(15)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한다. 이 경우,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패드를 설정할 수 있다.
혹은, 접촉형 메모리 COB를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 전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0도는 세로방향 접촉 패드만을 배치한 세로 방향 전용 메모리 COB와 가로방향 접촉 패드만을 배치한 가로 방향 전용 메모리 COB의 구성도이다. 즉, 세로방향 접촉 패드(20)만으로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를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의 세로방향 접촉 패드(20)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를 구성한다. 혹은, 가로방향 접촉 패드(19)만으로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를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의 가로방향 접촉 패드(19)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를 구성한다.
제11도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 접촉 패드를 함께 배치한 3x3 접촉형 메모리 COB의 구성도 이다. 오디오 데이터와 같이 데이터양이 작은 경우에는 마이크로 SD카드의 1비트 모드로 접촉형 메모리 COB 데이터를 읽어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 전원(Vcc), 그라운드(GND), 커맨드(CMD), 데이터(Data), 클록(CLK)의 5개의 접점 패드로 충분한 만큼, 4x4 접점 패드가 아니라 3x3 패드로도 가능하다. 즉,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메모리 COB 장착 홈에 3x3 패드 접촉형 메모리 COB(21)를 고정시켜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3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에 세로방향 접촉 패드(22) 및,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3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에 가로방향 접촉 패드(23)를 함께 구성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 혹은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하는 세로형 플레이어와 가로형 플레이어의 예시도 이다. 본 발명과 같이 탑재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이용하면 카드 삽입 방향에 대한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혹은, 한 방향(일례로 세로)은 3x 2로 다른 방향(일례로 가로)은 2x4로 사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접촉형 메모리 COB(9)는, 기판(6) 위에 메모리 웨이퍼를 연결하여 패키징(7)하여 구성하는 수단;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의 메모리 COB 장착 홈에 접촉형 메모리 COB(9)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오디오 데이터처럼 용량이 크지 않은 파일을 마이크로 SD카드 1비트 모드로 읽는 별도 3x2 패드 카드리더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세로방향 접촉 패드(8) 및. 비디오 데이터처럼 용량이 큰 파일(혹은 메모리 COB에 콘텐츠 write)을 마이크로 SD카드 4비트 모드로 읽는 별도 2x4 패드 카드리더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가로방향 접촉 패드(13)를 함께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은 바꾸어 세로 방향 커넥터는 4x2, 가로방향 커넥터는 2x3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접촉형 메모리카드는 신용카드 크기에, 0.9mm 내외의 두께를 갖는 플라스틱 케이스를 포함하므로 여러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일례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포함)을 저장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카드는, 별도 자석이 설치된 음원 재생 장치 혹은 고정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에 붙는 물질 (일례로 박형 철판)을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에 포함하여 제작하고, 별도 음원 재생 장치의 자석 부분에 붙어있는 커넥터와 접촉형 메모리 COB(1)가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음원을 저장하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는, 시각 장애인이 접촉형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 타이틀을 점자로 표시 및 돌출시켜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촉형 메모리 COB(9) 내부의 메모리 수단으로 SPI 방식 메모리(NOR 혹은 NAND)를 적용하여 접촉 패드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④ 데이터(DI, DO) 패드로 구성한다. 혹은, 접촉형 메모리 COB(9) 내부의 메모리 수단으로 마이크로 SD 방식을 적용하여 접촉 패드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클록(Clock), ④ 커맨드(CMD), ⑤ 1~4개의 데이(DAT0, DAT1, DAT2, DAT3) 패드로 구성한다. 사용자가 해당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다시 끼우는 경우, 접촉형 메모리 카드 내부의 메모리 수단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음원 재생 장치에서 탈착 후, 다시 끼워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 카드에 바둑판 배열로 저장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여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예시도 이다. 스마트폰 및 대용량 메모리카드 혹은 인터넷 클라우드 서버에 사진을 저장하면서, 소장 가치를 상실하고 있다. 개별적으로 보유한 사진들 중에 소장할 필요가 있는 사진 데이터들을 접촉형 메모리카드에 저장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접촉형 메모리 카드(400)에 사진 파일을 저장할 때, 저장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를 바둑판 모양으로 인쇄하는 사진이미지 바둑판 배열 인쇄 면(500)을 포함하도록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구성한다. 이 경우, 해당 접촉형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들을, 사진 인터넷 저장 및 공유 서비스(일례로 인스타그램)에 저장하는 수단; 해당 저장 위치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해당 접촉형 메모리카드의 NFC 칩과 안테나(600)에 기록하여, NFC 단말기(일례로 스마트폰)를 통해 해당 사진에 바로 접근하는 두 가지 통로를 제공한다.
주변에는 스마트폰의 마스터(master) 블루투스 통신과 연동하는 많은 슬레이브(slace) 블루투스 통신 기반의 디바이스(일례로 블루투스 스피커, 이어폰, 디스플레이 외)가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디바이스에서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읽는 마스터 블루투스 통신 장치(혹은, 비콘의 bloadcasting 장치)가 필요하다. 지원하는 즉, 메모리카드 통신장치의 마스터 블루투스 통신수단으로 외부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하는 수단;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 내는 수단; 읽어낸 데이터를 외부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에 전달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이, 세로 접점 패드 및 가로 접점 패드를 함께 가진 접촉형 메모리 카드는 세로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끼우도록 디자인된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오프라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끼우는 직관적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어,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1 : 접촉형 메모리 COB 2 : 메모리 COB 장착홈
3 : NFC 안테나 4 : 플라스틱 케이스
5 : 이미지 인쇄면 6 : 기판
7 : 패키징 8 : 세로방향 접촉패드
9 : 접촉형 메모리 COB 10 : 커넥터 접촉면
11 : 전원 연결 패드 2 12 : 전원 연결 패드 1
13 : 케이스 14 :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패드
15 : 세로방향 전용패드 16 : 가로방향 전용패드
17 :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
18 :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
19 : 가로방향 접촉패드 20 : 세로방향 접촉패드
21 : 3x3 패드 접촉형 매모리 COB
22 : 세로방향 접촉패드 23 : 가로방향 접촉패드
100 : 세로형 플레이어 200 : 접촉형 메모리카드
300 : 가로형 플레이어 400 : 접촉형 메모리카드
500 : 사진이미지 바둑판 배열 인쇄 600 : NFC 칩과 안테나

Claims (18)

  1.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메모리 카드는,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에 메모리 COB 장착 홈(2)을 형성하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개방형 접촉 패드 형태의 외부 입출력 수단을 가진 접촉형 메모리 COB(1);
    접촉형 메모리 COB(1)를 메모리 COB 장착 홈(2)에 끼워 고정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NFC 칩과 안테나(9)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COB(9)는
    기판(6) 위에 메모리 웨이퍼를 연결하여 패키징(7)하여 구성하는 수단;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의 메모리 COB 장착 홈에 접촉형 메모리 COB(9)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세로방향 접촉 패드(8) 및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가로방향 접촉 패드(13)를 함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3. 제 2 항에 있어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별도 카드리더기를 장착한 디바이스에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연결패드 1(12)과 전원 연결패드 2(11)를 회로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4. 제 2 항에 있어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는 수단;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 및 가로방향 전용 패드(16)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5. 제 2 항에 있어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는 수단;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 및 세로방향 전용 패드(15)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6. 제 2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된 접촉형 메모리 COB의 가로와 세로방향 공통 패드(14)에는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패드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7.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COB(9)는
    기판(6) 위에 메모리 웨이퍼를 연결하여 패키징(7)하여 구성하는 수단;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의 메모리 COB 장착 홈에 접촉형 메모리 COB(9)를 고정하여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오디오 데이터처럼 용량이 크지 않은 파일을 마이크로 SD카드 1비트 모드로 읽는 별도 3x2 패드 카드리더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세로방향 접촉 패드(8) 및
    비디오 데이터처럼 용량이 큰 파일을 마이크로 SD카드 4비트 모드로 읽는 별도 2x4 패드 카드리더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10)에 가로방향 접촉 패드(13)를 함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8. 제 1 항에 있어서,
    세로방향 접촉 패드(20)만으로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를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4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7)의 세로방향 접촉 패드(20)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세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
  9. 제 1 항에 있어서,
    가로방향 접촉 패드(19)만으로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는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를 접촉형 메모리 COB 홈에 고정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4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18)의 가로방향 접촉 패드(19)가 카드리더기의 커넥터와 접촉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가로방향 전용 접촉형 메모리 COB
  10. 제 1 항에 있어서,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메모리 COB 장착 홈에 3x3 패드 접촉형 메모리 COB(21)를 고정하느여 구성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3x2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세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에 세로방향 접촉패드(22) 및
    별도 카드리더기(일례로 2x3 패드 커넥터)에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가로 방향으로 끼우면 동작하도록 커넥터 접촉 면에 가로방향 접촉패드(23)를 함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3x3 패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3x3 패드 접촉형 메모리 COB
  11.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포함)을 저장하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카드는,
    별도 자석이 설치된 음원 재생 장치 혹은 고정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에 붙는 물질 (일례로 박형 철판)을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4)에 포함하여 제작하고,
    별도 음원 재생 장치의 자석 부분에 붙어있는 커넥터와 접촉형 메모리 COB(1)가 상호 접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자석에 붙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자석을 설치한 음원 재생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을 저장하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는,
    시각 장애인이 접촉형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 타이틀을 점자로 표시 및 돌출시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를 형성한 접촉형 메모리 카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COB(9) 내부의 메모리 수단으로 SPI 방식 메모리(NOR 혹은 NAND)를 적용하여 접촉 패드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④ 데이터(DI, DO) 패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14.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COB(9) 내부의 메모리 수단으로 마이크로 SD 방식을 적용하여 접촉 패드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클록(Clock), ④ 커맨드(CMD), ⑤ 1개 혹은 4개의 데이터(DAT0, DAT1, DAT2, DAT3) 패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및 접촉형 메모리 COB
  15.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카드 내부의 메모리 수단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접촉형 메모리 카드를 음원 재생 장치에서 탈착 후,
    다시 끼워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데이터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16.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카드(400)에 사진 파일을 저장할 때,
    저장되어 있는 사진 이미지를 바둑판 모양으로 인쇄하는 사진이미지 바둑판 배열 인쇄 면(50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접촉형 메모리 카드(40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들을
    사진 인터넷 저장 및 공유 서비스(일례로 인스타그램)에 저장하는 수단;
    해당 저장 위치에 바로 접근하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접촉형 메모리카드(400)의 NFC 칩과 안테나(600)에 기록하여
    NFC 단말기(일례로 스마트폰)를 통해 해당 사진에 바로 접근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된 사진의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
  18. 접촉형 메모리카드를 지원하는 장치에 있어서,
    별도 접촉형 메모리카드 통신 장치의 마스터 블루투스 통신수단으로 외부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와 페어링(pairing)하는 수단;
    접촉형 메모리카드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읽어 내는 수단;
    읽어낸 데이터를 외부 슬레이브 블루투스 장치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형 메모리 카드의 데이터를 블루투스 통신으로 외부에 전달하는 장치



KR1020180034278A 2018-03-26 2018-03-26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KR20190112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78A KR20190112374A (ko) 2018-03-26 2018-03-26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278A KR20190112374A (ko) 2018-03-26 2018-03-26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374A true KR20190112374A (ko) 2019-10-07

Family

ID=6842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278A KR20190112374A (ko) 2018-03-26 2018-03-26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23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73B1 (ko) * 2021-12-09 2023-06-15 (주)두드론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473B1 (ko) * 2021-12-09 2023-06-15 (주)두드론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0086B2 (ja) 携帯通信装置、情報伝達システム及び方法、携帯通信装置で利用可能な非接触icメディア
KR100320161B1 (ko) 전자출판물 시스템에 적합한 휴대용단말기
JP2000509541A (ja) 内蔵チップを備えたcd
KR20190008502A (ko)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JP2015041280A (ja) コンテンツ配信
JP7167234B2 (ja) 音源再生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音源再生方法
KR20190112374A (ko)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CN103455934A (zh) 信息处理设备、无线通信设备、信息处理系统及其方法
KR19990083972A (ko) 전자출판물 시스템
TW495704B (en) Storage medium having electronic circuit and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medium
JP2001014433A (ja) 非接触icメディア及びそれを応用したシステム
KR20210089859A (ko) 발표자료 종이 책자를 대체하는 디지털 발표자료 카드 기반의 인터넷 발표자료 공유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방법
KR102539473B1 (ko)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KR20120064206A (ko) 스마트 카드를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10072428A (ko)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을 탑재하고 탑재된 사진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및 매체
JP2002117248A (ja) 電子回路を有する記憶媒体及び該記憶媒体を用いた情報管理方法と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80116714A (ko)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KR100342400B1 (ko) 전자출판물 시스템 및, 전자출판물 판매 및 관리방법
JP2003091701A (ja) 非接触リーダライタおよび非接触icメディア
TWM648926U (zh) 賀卡裝置
KR20210084895A (ko)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KR100939789B1 (ko) 음악재생 칩 카드
WO1999063483A1 (en) Smart-card and memory module adapter
JP3090214U (ja) メモリカードのデータアクセス装置
KR200369642Y1 (ko) 데이터 저장 카드, 데이터 재생 장치 및 데이터저장/재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