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8502A -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8502A
KR20190008502A KR1020170090015A KR20170090015A KR20190008502A KR 20190008502 A KR20190008502 A KR 20190008502A KR 1020170090015 A KR1020170090015 A KR 1020170090015A KR 20170090015 A KR20170090015 A KR 20170090015A KR 20190008502 A KR20190008502 A KR 20190008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ard
media
card
sound sour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권순도
송효민
Original Assignee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이로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이로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00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8502A/ko
Publication of KR20190008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8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3Identity c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7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power transfer
    • H04B5/79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 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NFC 태그에 저장된 특정 인터넷 주소의 음악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는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오프라인 형태의 MP3 플레이어 및 외장 스피커 장치와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에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음원에 적합한 이미지가 미디어카드 전·후면에 인쇄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에서 사용하던 음원 데이터는 재판매할 수 없지만, 실물로 소유하는 미디어카드는 과거에 레코드와 카세트테이프처럼 사용한 후에 재판매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오프라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접촉시키는 직관적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어,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The media card having an NFC tag and a memory for storing a sound source, and a device for reproducing data of the media card}
레코드, 카세트테이프, CD 및 DVD라는 매체를 통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던 시대는, 해당 매체를 통해 ‘소장가치’와 ‘감상’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가치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왔다. 하지만, 이후 IT 기술의 발달을 통해 디지털 음원을 이용하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감상’이라는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더해 ‘편의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는 것에는 성공을 했지만, 정작 음악 콘텐츠 이용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는 ‘소장가치’를 잃어버렸다. 그 결과, 음악 자체의 가치가 현저히 소실되었고 이에 따라 음악 산업 전반에 걸쳐 온라인 음원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을 주도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미래에는 새로운 음악 매체를 통하여 ‘소장가치’와 ‘감상’ 그리고 ‘편의성’과 ‘커뮤너티(community)’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MP3를 거쳐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대부분의 디바이스(컴퓨터, CD 플레이어), 특히 자동차 카 오디오에서도 CD 및 DVD 플레이어 기능이 삭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오프라인 시장에서 전통적인 매체였던 CD와 DVD가 사라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음악의 보편화와 함께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이 도입되면서, CD와 DVD와 같은 기존의 미디어 시장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일례로, 특허등록 10 ­ 1683551호로 등록된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NFC 태그를 스마트폰 하단의 NFC 리더기에 대면, 지정된 음원 관리 서버에 자동 연결하여, 지정된 음악을 다운로드 하도록 구성하였다. NFC 태그 전면에는 구입한 음원에 대한 이미지를 인쇄하여 소장감도 느끼도록 구성하여 ‘키노 앨범 및 카드’형태로 발매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 받을 수 있도록 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음원을 탑재하지 않아 스마트폰과 같이 NFC 리더기가 설치된 온라인 디바이스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매체에 음원을 탑재하여‘소장 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고,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 출원 제 10 - 2017 - 0049402호로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를 개량하여 사라져 가는 CD와 DVD를 대체하는 새로운 미디어를 만들어내도록 구성하였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오프라인 음반 시장은, 2000년대 들어 MP3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음원 시장에 의해 크게 잠식되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음반을 파일로 소장하는 방식의 MP3 플레이어 등에 적응하지 못한 세대(특히 노년층)들은 음반 시장을 이탈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전체 음악 시장의 크기가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MP3 파일의 불법 복제, 불법 전송 등으로 인해 온라인 음원 시장 또한 그 성장의 한계에 직면하게 되었고, 음원 공급 업체들은 MP3 파일에 대한 대안으로 불법 복제 및 불법 전송이 근본적으로 어려운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를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는 통신 환경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이 크게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해당 미디어 콘텐츠를 사용자가 실행할 때마다 데이터 요금이 부과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MP3 파일 등에서와 같은 다운로드 방식의 음원 시장이 스트리밍 서비스 중심의 음원 시장으로 재편되는 과정에서 또한 많은 음원 소비자들의 시장 이탈이 있었다.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도 음악에 대한 소비 욕구는 여전히 가지고 있으나, 현재의 스마트폰 중심의 음원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감성적인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은 아직도 음반은 오프라인 매장에서 구입해야 한다는 감성을 가지고 있거나, 한번 구매한 음원은 영원히 소장하고 싶어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같은 시장 이탈자들을 현재의 음원 시장으로 재유입시킬 수 있는 새로운 미디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한국의 국민은행에서는 2008년에 신용카드에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한 ‘&d 카드’를 보급하고, 박형 신용카드 메모리에 음원을 저장하고 함께 제공되는 ‘&d 플레이어’로 음악을 감상하도록 하였다. ‘&d 카드’는 CD와 DVD보다는 ‘편의성’을 제공하였지만, 신용카드 중심의 보편화 이미지만 전달하면서 ‘소장가치’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단순히 새로운 신용카드로 인식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국민은행에서는 이를 발전시켜 특허등록 10 ­ 0939789호에 의해 신용카드, 표준규격 사이즈의 플라스틱 카드 내에 적어도 2 이상의 반도체 칩을 구비하고, 적어도 2 이상의 반도체 칩 중 하나는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 형태의 각종 음원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플래시 메모리와, MP3 또는 기타 압축된 음원 데이터를 출력시킬 수 있는 구동회로를 포함하며, 구동회로는 MP3 또는 기타 압축된 음원 데이터를 재생시키는 복호화하고 재생하는 디코더와, 복호화 및 재생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으로 전환하는 D/A 컨버터와, 메모리, 디코더, 및 D/A 컨버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메모리에는 외부단말기와 인터페이스 할 수 있도록 포맷정보를 저장하는 포맷저장부와, 제 1 칩(금융 IC)에 의해서 카드 매입 승인 거래시 가치가 충전되는 가치충전부와, 가치충전부로부터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 등의 데이터 이용료가 삭제되는 조건으로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되는 음악 저장부를 포함하는 음악재생 칩을 발표하였다.
스마트폰의 급격한 보편화와 함께 2000년대 초반부터 인기를 누리던 MP3 플레이어와 PMP도 경쟁력을 상실하여 사라지는 단계로 급변하고 있다. 언제나 가까이 있는 스마트폰에서 음악의 ‘소장 가치’를 제공하려는 시도로 2015년 NFC 매체, NFC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한국 기업(주식회사 키노)에서 특허를 등록하고 일명‘키노 앨범'으로 출시하였다. ‘키노앨범’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 (a) 관리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NFC 매체가 제공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카드 및 음원 재생 장치 및 콘텐츠 파일 관리 및 활용 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CD와 DVD를 대체하는 오프라인 신 매체로는 ‘키노 앨범 및 키노 카드’가 알려져 있어, 새로운 미디어 매체로 위상을 확립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NFC 매체를 사용하는 ‘키노 앨범’의 ‘키노 카드’는 음원이 저장되어있지 않은 NFC 태그로, 사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주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로 태그 정보를 읽어 스마트폰의 무선(WiFi) 및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다운로드 서버와 연결하여 승인된 음원을 스트리밍 혹은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다. ‘키노 카드’의 전·후면에는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음원을 상징하는 이미지가 인쇄되어, 부분적으로 소장 가치를 부여하고 있지만, NFC 태그 형태의 ‘키노 카드’에는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아 ‘소장 가치’가 반감되는 점을 해결하여야 한다.
NFC 리더기와 함께, 음원 다운로드 서버와 통신을 위해 이동통신망을 사용하는 단말장치로는 현재 스마트폰이 유력 및 유일하다. 아이폰 7 모델부터 NFC 리더기를 장착하였지만, 애플사의 폐쇄적 정책에 의하여 ‘애플 페이’ 외에는 NFC 리더기(iOS 11부터 부분 허용 발표)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현재 ‘키노 카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계용 스마트폰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과거의 MP3 및 PMP를 대체하고 있는 만큼 스마트폰을 통하여 음악을 감상하도록 함은 새로운 매체에서도 가능해야 한다. 그러나 음원을 이동통신망으로 스트리밍 및 다운로드 받는 데이터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는 중요하다. 이와 함께 이동통신망이 없는 MP3 플레이어, 블루투쓰 스피커, 도킹 스피커, 카 오디오 등과 같이 다양한 오프라인 형태의 주변 장치에서도 새로운 매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CD와 DVD가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가는 현 단계에서 새로운 매체는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와는 달리,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등으로 메모리 정보를 읽어야 저장된 음원을 알 수 있고, 원하는 음악을 선택하는데 번거롭다는 문제점 등을 미래의 새로운 미디어에서는 해결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경우도 스마트폰 가입자의 30% 정도만 음악 서비스(한국의 멜론, 지니 음악 서비스 외)에 가입하였고, 70%는 어려운 음악 다운로드 방법 및 CD의 사라짐 등의 이유로 음악에서 소외되고 있는 만큼 과거의 카세트테이프 및 CD처럼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선택할 수 있는 실물 기반의 매체가 필요하다.
CD와 DVD를 대체하는 새로운 매체로 ‘키노카드’가 등장하였지만, NFC 태그 형태의 ‘키노카드’는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키노카드’를 대면 인증절차를 거쳐 해당 음원을 다운로드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① 스마트폰만을 통한 음악 감상, ② 다운로드시 이동통신망 비용 발생, ③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단순 NFC 태크로 소장가치 저하, ④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 및 외장 스피커 장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에도 '키노 카드'는 현재까지는 가장 진보된 차세대 매체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일 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8mm 이하)에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일례로 신용카드 금융IC 패드와 유사)와 메모리 수단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유선(접촉식)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메모리 방식으로는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NAND 및 OTP, EEPROM이 적합하며, 4 ~ 10핀으로도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SPI(Serial programming Interface) 혹은 micro SD(secure Digotal) 혹은 USB 통신방식이 적합하다. 상기 유선 미디어카드는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에 접촉시켜,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에 메모리를 외부 입출력을 위해 안테나와 RF칩과 연결하여 근거리통신수단(NFC 및 BT)을 구성하는 무선(비접촉식)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NFC 리더기(무선충전방식 포함)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전자기 유도)받고, 근거리통신수단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일례로 근거리무선통신(NFC 및 BT)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매체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근거리무선통신 리더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유도받아 작동시키므로 매체에는 배터리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상기 무선 미디어카드는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는 연결할 수 없다.
삼 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에 메모리를 외부 입출력을 위해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와 함께, 메모리를 안테나 및 RF칩과 연결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을 함께 구성하는 유·무선형 미디어카드를 제안할 수 있다. NFC 리더기(무선충전방식)를 통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받아,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근거 리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통해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을 재생할 수 있다. NFC 리더기에서 공급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받아 작동시키므로 매체에는 배터리를 내장할 필요가 없다. 무선 미디어카드와는 달리 상기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와 접촉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는 데이터 통신보다는 NFC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로 인터넷 연결하도록 구성함을 타당하다.
궁극적으로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 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NFC 태그에 저장된 특정 인터넷 주소의 음악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는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오프라인 형태의 MP3 플레이어 및 외장 스피커 장치와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에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음원에 적합한 이미지가 미디어카드 전·후면에 인쇄되어 있어,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하는 효과가 있다. 온라인에서 사용하던 음원 데이터는 재판매할 수 없지만, 실물로 소유하는 미디어카드는 과거에 레코드와 카세트테이프처럼 사용한 후에 재판매할 수 있다.
둘째, NFC 태그를 이용한 방식은 NFC 태그에 음원 데이터가 없으므로 인증코드를 스마트폰에 전달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 서버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는 음원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오프라인 단말장치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소장가치가 높다. 통신 비용이 발생하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음원을 다운로드할 필요가 없다.
셋째, 본 발명의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물론,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와 외장 스피커에 접촉하여 유·무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어 활용 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스마트폰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온라인 음원 서비스 사용 및 결제, 회원 가입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오프라인 단말기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접촉시키는 직관적 방법을 통해 손쉽게 음원 미디어 파일을 이용할 수 있어, 음반 시장 등 미디어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선택적으로 미디어카드에 포함된 NFC 태그로 연동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 내용으로 음원을 출력하고, 자신만의 음원을 생성할 수 있는 활용도 높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신용카드에 금융 IC와 RF 칩 및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함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제2도는 국민은행에서 2008년에 출시한 신용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고용량 메모리를 설치한 ‘&d카드’와 ‘&d카드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제3도는 ‘키노 카드’와 같이 NFC태그를 활용하여 스마트폰에서 NFC태그의 인증코드로 음원 서버와 연결하여 음원 데이터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제4도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전달받고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한 미디어카드의 각각의 구성도 이다.
제5도는 NFC태그 방식의 ‘키노 카드’와 본 발명의 무선 미디어카드의 음원 데이터의 흐름 비교도 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와 유·무선 미디어카드의 내부 구조도 이다.
제7도는 외부 스피커의 도킹 부에 스마트폰 단자를 끼우는 방식과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 및 무선 미디어카드를 외부 스피커에서 사용하는 방식의 비교도 이다.
제8도는 자동차 카오디오 및 가정용 블루투스 스피커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리모컨 및 데크 형태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개념도 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도 및 블록도 이다.
제10도는 전면에는 신분증을 후면에는 미디어 카드를 끼우는 신분증 케이스를 겸한 음원 재생 장치의 이미지도 이다.
제11도는 고용량 및 저용량 미디어카드를 구분하여 읽기 위해 6핀 커넥터를 2개 구분하여 설치한 음원 재생 장치의 인쇄회로기판 부품 배치도 이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과거의 전용 단말기로 인기를 누리던 MP3 플레이어, PMP, 네비게이션 심지어는 디지털 카메라까지 점차 사라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프로세서 성능과 노트북 컴퓨터에 근접하고 있어, 장래에 사무 자동화 부문까지 통합할 전망이다. 그러므로 새로운 미디어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직관적으로 사용하도록 만드는 것이 유력하며, 그러한 관점에서 NFC 태그를 이용한 새로운 음악 카드인 '키노 카드'가 2015년에 탄생하게 되었다. 스마트폰과 새로운 미디어카드를 무선으로 연결하기 위해, 스마트폰에 탑재된 무선통신방식인 NFC 통신과 블루투쓰(BT) 통신이 검토될 수 있다. NFC(Near Field Communication)는 13.56Mhz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10cm 내외의 짧은 통신거리 내에서 실시(타입 4 최대 전송속도 424 kbps)한다. NFC 통신은 동작 방식에 따라 자체 전원 공급하는 능동통신 모드와 자체 전원공급(배터리)이 없는 수동통신 모드로 구분한다. NFC 동작 모드로는 카드/태그 비접촉시 에뮬레이션 모드, 수동 NFC 태그의 리더로 동작하는 RW모드, 장치간 상호 데이터를 교환하는 P2P 모드가 있다. 스마트폰 무선충전장치처럼 NFC 태그에는 배터리 없이 NFC 리더기의 RF 필드로부터 전력을 전자기 유도하여 사용한다. 가장 보편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는 2.4GHz 대역에서 최대 전송속도 24Mbps로, 10m 전송 가능하며, 소비 전력도 1mW로 NFC의 15mA에 비해 작다. 가정에서 음악을 듣기 위해 블루투스로 스마트폰과 연결하는 외장 스피커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단자,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저장된 음원을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스마트폰과는 근거리 무선통신망(NFC)을 통해 에너지를 공급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데이터를 무선(NFC 혹은 BT)으로 전송하여 음악을 재생하거나 NFC 태그에 저장된 주소로 인터넷 자동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선 미디어카드 기능은 4 ~ 10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MP3 플레이어 및 스피커에 접촉하여 유선 미디어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음원 데이터를 직접 디코딩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도는 신용카드에 금융 IC와 RF 칩 및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 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하는 예시도 이다. 신용카드는 크기 85 x 54mm로 두께 0.8mm로 내부에 금융 IC 및 교통카드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NFC 태그 (RFID)가 탑재되어 있어 금융 IC와는 ISO7616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제2도는 국민은행에서 2008년에 출시한 신용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고용량 메모리를 설치한 ‘&d 카드’와 ‘&d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이미지도 이다. 신용카드에 최초로 고용량 메모리를 탑재하여 음원을 저장하도록 하였지만, 음원 특유의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신용카드 인쇄 이미지를 개인화하지 못하여 미디어 카드로 사용되지 못했다. 제3도는 스마트폰에서 NFC태그를 이용하여 NFC 태그의 인증 코드로 음원 서버와 이동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음원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흐름(flow)을 나타낸다. 최초로 NFC 태그를 본격적으로 음악 앨범으로 사용하는 시도로 높이 평가받고 있지만, NFC 태그 자체에 음원이 저장되어 있지 않고 인증 코드만 제공하는 관계로 소장 가치를 제한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접촉시켜 이동통신망으로 음원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 점과, 스마트폰을 통해서만 음악을 감상하는 등 용도가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제4도는 플라스틱 카드에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0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RF 칩과 안테나 등을 포함한 구성도이다.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 방식과 구성 방식에 따라 ① 유선 미디어카드, ② 무선 미디어카드, ③ 유·무선 미디어카드, ④ 오디오 미디어카드로 구성된다. 제5도는 NFC 태그 형태인 ‘키노 카드’와 본 발명의 무선 미디어 카드의 음원 데이터의 흐름 비교도 이다. NFC 태그 형태인 ‘키노 카드’는 자체에 음원이 없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음원 서버에 접속하여 미디어파일을 내려받아야 한다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유·무선 미디어카드는 자체에 음원 데이터(DRM 복제방지 기능 추가)가 있기 때문에 외부 디바이스(스마트폰 포함)에 접촉(유선) 및 비접촉식(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음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유·무선 미디어카드의 구조도 이다. 유선 방식은 박형 패드와 커넥터를 통해 접촉식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읽어들여 재생하는 형식이며, 무선 방식은 근거리 무선통신(NFC 혹은 블루투스 통신)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혹은 주로 NFC 태그로 접속할 인터넷 서비스 주소를 스마트폰과 같은 온라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다양한 음악 서비스(미디어카드 쇼핑몰, 팬클럽, 동호회)에 자동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유·무선 미디어카드를 사용하면 유선 형태로는 오프라인 디바이스를 통해 음악(동영상 포함)을 쉽게 재생하며, 무선 형태로는 주로 스마트폰을 통해 관련된 음악 인터넷 서비스를 자동으로 접근할 수 있는, 최초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미디어카드로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카드 및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및 미디어카드로 연결하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카드는, 박형 케이스(8)에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4 ~ 10핀 박형 패드(12)의 핀 수는 미디어카드의 통신 방식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표준 SPI 통신 방식을 적용할 경우 최소 6핀, 표준 Micro SD 방식을 적용할 경우 데이터 비트 수에 따라 최소 5핀 이상, 표준 USB 통신 방식을 적용할 경우 최소 4핀이 필요하다. 상기 유·무선 미디어카드를 사용하는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장치에서는, 음원 재생 수단은 미디어 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는 수단;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미디어카드로 연결하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는 NFC 태그로 접속할 인터넷 서비스 주소를 스마트폰과 같은 온라인 디바이스에 전송하여 다양한 음악 서비스(미디어카드 쇼핑몰, 팬클럽, 동호회)에 자동 연결한다. 즉 미디어카드를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일례로 스마트폰) 근처에 대면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 리더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받는 수단; 미디어카드 RF 칩(10)의 제어 하에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를 근거리 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단;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는 미디어카드의 RF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 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로 인터넷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와 음원 재생장치 및 미디어카드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와 연계한 인터넷 서비스가 제공된다. 적용하는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저용량(128MB ~ 1GB) 메모리 수단, 혹은, 마이크로 SD 방식의 고용량(4GB 이상) 메모리 수단을 각각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음원 재생 장치는,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저용량(128MB ~ 1GB) 메모리 수단을 읽어들이는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 ~ 10핀 커넥터와 혹은, 마이크로 SD 방식의 고용량(4GB 이상) 메모리 수단을 읽어들이는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 ~ 10핀 커넥터 두 가지를 분리 혹은 통합하여 설치한다. 위의 분리 의미는 6핀 커넥터를 2개 분리하여 설치, 각각 SPI 통신방식의 미디어카드와 Micro SD 카드의 박형 패드와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SPI 통신방식의 미디어카드와 Micro SD 카드의 박형 패드의 위치는 다르게 제작된다.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경우 미디어카드를 엷은 홈에 끼우는 것보다 특정 위치에 설치된 자석에 붙이는 형태로 사용함이 안전운행에 도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자석이 설치된 음원 재생 장치 혹은 고정 장치(크래들 등)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에 붙는 물질(일례로 박형 철판)을 박형 케이스(8)에 포함하여 제작하고, 음원 재생 장치의 자석 부분에 붙어있는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와 4 ~ 10핀 커넥터를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신용카드 크기의 플라스틱 카드 무게는 5g 내외이다. 메모리 수단의 크기는 10 x 8mm 두께 0.7mm 내외이므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카드 형태가 아니라 특수한 3D 모형 형태 혹은 연예인 캐릭터를 상징화한 3D 피겨(figure)에 탑재할 수 있다. 즉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의 케이스를 피겨(figure) 형태로 제작하고, 메모리 수단(11)을 4 ~ 10핀 박형 패드(1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고, 해당 음원 재생 장치는, 피겨 형태의 미디어 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4 ~ 10핀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를 통해 소장 가치와 시각적인 만족을 제공할 수 있는 피겨 형태의 유·무선 겸용 미디어카드 및 해당 음원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겨 음원 재생 장치는, 피겨 형태의 미디어 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4 ~ 10핀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면서, 재생 시간에 따라 피겨를 회전시키는 수단; 및 사용자가 피겨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시킨 만큼에 해당하는 위치의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좋아하는 가수들의 피겨 미디어카드가 음악을 재생하면서 회전하거나, 과거 전축의 볼룸 스위치처럼 손으로 회전시켜 재생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면 흥미를 유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상기 음원 재생 장치는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 콘텐츠도 포함한다.
USB를 지원하는 장치로는 컴퓨터, 카오디오, 스마트폰, TV 등으로 확대되고 있어, USB 메모리를 꼽고 파일을 선택하면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의 다른 형태로, 미디어 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는 수단;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파일을 읽어들이는 수단; USB를 지원하는 장치(컴퓨터, 카오디오, 스마트폰 포함)에서 미디어카드를 재생하도록 USB 메모리 저장장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USB 변환 장치도 필요하다. 혹은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에서 직접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박형 케이스(8)에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USB 메모리 저장장치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함께 시각 장애인이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콘텐츠 타이틀을 점자로 표시 및 돌출시켜 제작한다면 시각 장애인도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마케팅 전략에 의해서 시장지배적 수요자에게는 폐쇄적인, 즉 해당 미디어카드는 해당 음원 재생 장치에서만 사용하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다. 즉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입출력 수단을, 주문자(일례로 대규모 기획사)의 규격에 따라 미디어카드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 장치는, 상기 미디어 카드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박형 패드(12)와 접촉하도록 접촉식 커넥터를 설치하여,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주문자에 따라 박형 패드와 커넥터 위치를 달리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음원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방식 메모리(NOR 혹은 NAND) 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11)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신용카드 6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함께, 메모리 수단(11)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미디어카드를 음원 재생 장치에서 탈착 후, 다시 끼워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음원 재생 장치에는 미디어 카드를 끼우는 4 ~ 10핀 커넥터(26)가 설치된 데크(25),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26)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고 스피커(27)로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과거에 CD를 10장 넣어서 사용하던 자동차 CD 플레이어처럼,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25), 4 ~ 10핀 커넥터(26)를 복수 개 설치하여, 미디어카드를 복수 개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디어카드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NFC 혹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미디어카드는 스마트폰 무선충전장치처럼 NFC 태그는 배터리 없이 NFC 리더기의 RF 필드로부터 전력을 전자기 유도하여 사용한다. 블루투스 통신은 2.4GHz 대역에서 최대 전송속도 24Mbps로, 10m 전송 가능하며, 소비전력도 1mW로 NFC의 15mA에 비해 작지만, 구동 전력을 위해서는 NFC태그처럼 RF 필드로부터 전력을 받도록 전자기 유도부를 별도로 구성한다. 즉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은 메모리 수단(11)을 읽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장치는, 미디어카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무선리더기(29), 무선리더기(29)에 미디어카드(28)를 올려놓으면, 무선리더기(29)를 통해 미디어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원 재생 수단으로 재생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음원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메모리 수단에 저장하는 미디어 파일의 형태에 따라 오디오뿐만 아니라 비디오 영역도 포함한다. 즉 동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한 미디어 카드,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수단은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동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동영상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제7도는 외부 스피커에 스마트폰의 단자를 끼우는 방식과 본 발명의 유선 미디어카드(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접촉식으로 연결함을 의미) 및 무선 미디어카드(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에서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연결함을 의미)를 외부 스피커에 사용하는 방식의 비교도 이다. 스마트폰을 외장 스피커 크래들(cradle)에 끼워 음악 감상할 경우 스마트폰 사용이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한 음악 감상을 위해서는 유선 미디어카드를 데크(deck)에 끼우거나, 무선 미디어카드를 리더기 근처에 놓는 것으로 원하는 음악을 감성적으로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4 ~ 10핀 커넥터(26)가 설치된 데크(25), 플레이어에서 유선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26)로 접촉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스피커(27)로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25), 4 ~ 10핀 커넥터(26)를 복수 개 설치하여, 미디어카드를 복수 개 끼워두고,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미디어카드가 데크에 복수 개 끼워져 있을 경우, 감상을 원하는 미디어카드를 누르면 홀드되어(Push & Hold) 해당 미디어 파일을 읽어 재생한다. 혹은 미디어카드 선택 스위치 및 선택 표시 LED로 구성할 수 있다. 혹은, 무선 미디어카드(28)를 읽어들이는 무선리더기(29), 무선리더기(29)에 무선 미디어카드(28)를 올려놓으면, 플레이어에서 무선리더기(29)를 통해 무선 미디어카드(28)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파일과 파일관리 테이블을 읽어들여, 스피커(30)로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8도는 자동차 카오디오와 가정용 블루투스(BT) 스피커에 본 발명의 미디어카드를 리모컨 및 데크 형태로 사용하는 개념도 이다. 자동차에서는 오디오 단자 혹은 USB 단자, 혹은 블루투스 방식으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나 USB 메모리에 있는 MP3(대표적인 음원 인코딩 형식, MP2, OGG, WMA, WAV 등) 파일을 감상하도록 되어 있다. 미디어카드 플레이어를 유선 혹은 블루투스로 카오디오와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가정에서는 스마트폰과 블루투스로 무선 연결하여 음악을 감상하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또한, 미디어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미디어카드 데크 혹은 리모컨으로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미디어 카드를 끼워 사용하는 미디어카드 데크 및 체인저의 개념 및 블록도 이다. 복수 개의 미디어카드를 사용하는 디자인은 명함 보관함, 명함 스탠드, 명함 홀더, 액자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액자 형태의 플레이어에는 수십 개의 미디어카드를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하고, 해당 미디어카드를 눌러 선택하면 재생장치와 (특정 아이돌/idol 미디어카드 수집 액자형 플레이어)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음악을 재생하는 플레이어에 있어,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 4 ~ 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제어수단(150)은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재생하고자 하는 미디어 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선택한 4 ~ 10핀 커넥터를 통해 읽어들이는 미디어 파일을 음원 디코딩(170)을 통해 스피커 및 이어폰(200)으로 출력하는 수단; 선택적으로, 음원을 선택하거나 재생 상태를 조작하는 조작 스위치(180), 선택한 미디어카드를 표시하는 선택카드 표시수단, 미디어파일을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통신(16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박형 미디어카드용 다단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카오디오용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 미디어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와 직접 연결하는 수단; 혹은, SPI 및 마이크로 SD 인터페이스 규격를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읽도록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로 구성한다.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카오디오 USB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혹은, 카오디오용 미디어 재생장치에 있어,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 4 ~ 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및 제어 수단(150); 및,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재생할 미디어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미디어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와 직접 연결하는 수단; 혹은, SPI 및 마이크로 SD 인터페이스 규격를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읽도록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로 구성한다.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다단 USB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제10도는 전면에는 신분증을 후면에는 미디어 카드를 끼우는 신분증 케이스를 겸한 음원 재생 장치의 이미지 도이다. 제11도는 고용량 및 저용량 미디어카드를 구분하여 읽기 위해 6핀 커넥터를 2개 구분하여 설치한 인쇄회로기판 부품 배치도이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손에 들고 다니는 다른 단말장치의 효용이 크게 낮아지고 있다.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지갑도 스마트폰의 신 결제수단(삼성 페이 외)으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사무실 NFC 출입 통제 장치 및 시설물 NFC 이용 장치(교통시설 포함)들이 보편화 되면서, 신분증 케이스를 목에 걸고 다니는 문화도 정착되고 있다. 신분증 케이스는 수백원짜리 투명 플라스틱 제품부터 수만원에 이르는 가죽 제품과 같이 점차 액세서리 상품으로 변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미디어카드의 효용을 높이기 위해 신분증 케이스 형태의 음원 재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목에 걸어 사용하는 신분증 케이스에 있어, 전면에는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혹은 교통카드 포함)을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후면에는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후면 바닥 면에, 상기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4 ~ 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상기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음원 재생 수단; 신분증 케이스 상단에 목에 거는 줄을 연결하는 수단에서,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이어폰을 설치하고, 이어폰 잭을 신분증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 경우,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포함된 카드가 2장 실질적으로 겹쳐 있어, 리더기에서 인식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포함된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혹은 교통카드 포함)을 끼우는 수단; 후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포함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수단; 전면 혹은 후면 바닥 면에, 근거리 무선태그 간의 전파 간섭을 없도록 전파 차폐 수단(일례로 전도성 박막 테이프)을 설치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이어폰 커넥터를 신분증 케이스 상단에 설치하며, 이어폰 잭(Jack)의 하네스 부분 일부를 돌출시켜, 신분증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끼우도록 하는 수단, 이어폰 잭의 하네스 케이블 돌출된 부분을 신분증 케이스 홈에서 분리하지 않는 한, 이어폰 잭이 신분증 케이스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목걸이 이어폰으로 신분증 케이스를 목에 거는 줄을 대신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후면에는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전면에도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전면 및 후면 바닥 면에, 상기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4 ~ 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재생하고자 하는 전면 혹은 후면의 미디어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전면 혹은 휴면의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음원 재생 수단으로 구성한다. 듀얼 데크 음원 재생 장치가 제공된다.

1 : 케이스 2 : 박형 패드
3 : 메모리 수단 4 : 케이스
5 : 안테나 6 : 메모리 수단
7 : 무선(RF) 칩 8 : 케이스
9 : 안테나 10 : 무선(RF) 칩
11 : 메모리 수단 12 : 박형 패드
13 : 케이스 14 : 박형 패드
15 : 음원 칩 16 : 메모리 수단
17 : 미디어카드 케이스 18 : 박형 패드
19 : 메모리 수단 20 : 이미지 인쇄면
21 : 박형 패드 22 : 메모리 및 RF 칩
23 : 미디어카드 케이스 24 : 무선 안테나
25 : 미디어카드 데크 26 : 4 ~ 10핀 커넥터
27 : 스피커 28 : 무선 미디어카드
29 : 무선 리더기 30 : 스피커
100 : 커넥터 #1 110 : 커넥터 #2
120 : 커넥터 #3 130 : 커넥터 #N
140 : 읽는 커넥터 선택수단 150 : 제어수단
160 : 블루투쓰 170 : 음원 디코딩
180 : 조작 스위치 190 : 선택카드 표시수단
200 : 스피커 및 이어폰 210 : 전력공급수단
300 : SPI 통신 방식 미디어카드 접촉 커넥터
400 : Micro SD 통신 방식 미디어카드 접촉 커넥터

Claims (24)

  1.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카드 및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및 미디어카드로 연결하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카드는,
    박형 케이스(8)에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장치는,
    음원 재생 수단은 미디어 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는 수단;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미디어카드로 연결하는 인터넷 정보 서비스는,
    미디어카드를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일례로 스마트폰) 근처에 대면 외부 단말장치의 근거리 무선통신 리더기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공급 받는 수단;
    미디어카드 RF 칩(10)의 제어 하에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를 근거리 무선통신 리더기가 설치된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수단;
    외부 온라인 단말장치는 미디어카드의 RF 태그에 기록된 데이터(일례로 자동 접속하는 인터넷 주소 데이터, 미디어카드 쇼핑몰과 커뮤너티)로 인터넷 연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와 음원 재생장치 및 미디어카드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와 연계한 인터넷 서비스
  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저용량(128MB ~ 1GB) 메모리 수단,
    혹은, 마이크로 SD 방식의 고용량(4GB 이상) 메모리 수단을 각각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통신 인터페이스 방식의 저용량(128MB ~ 1GB) 메모리 수단을 읽어들이는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 ~ 10핀 커넥터와
    혹은, 마이크로 SD 방식의 고용량(4GB 이상) 메모리 수단을 읽어들이는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6~ 10핀 커넥터 두 가지를
    분리 혹은 통합하여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음원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자석이 설치된 음원 재생 장치 혹은 고정 장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에 붙는 물질 (일례로 박형 철판)을 박형 케이스(8)에 포함하여 제작하고,
    음원 재생 장치의 자석 부분에 붙어있는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와 4 ~ 10핀 커넥터를 접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에 붙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자석을 설치한 음원 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오디오, 비디오, 사진 파일 형식 포함)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의 케이스를 피겨(figure) 형태로 제작하고,
    메모리 수단(11)을 4 ~ 10핀 박형 패드(12)와 연결하여 외부 입출력 수단을 구성하고,
    해당 음원 재생 장치는,
    피겨 형태의 미디어 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4 ~ 10핀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겨 형태의 유·무선 겸용 미디어카드 및 해당 음원 재생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해당 음원 재생 장치는,
    피겨 형태의 미디어 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부분에 4 ~ 10핀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하면서,
    재생 시간에 따라 피겨를 회전시키는 수단; 및
    사용자가 피겨를 수작업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시킨 만큼에 해당하는 위치의 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겨 형태의 유·무선 겸용 미디어카드 및 해당 음원 재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의 다른 형태로,
    미디어 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는 수단;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파일을 읽어들이는 수단;
    USB를 지원하는 장치(컴퓨터, 카오디오, 스마트폰 포함)에서 미디어카드를 재생하도록 USB 메모리 저장장치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USB 변환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시각 장애인이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콘텐츠 타이틀을 점자로 표시 및 돌출시켜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용 점자를 형성한 유·무선 겸용 미디어카드
  9.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을
    주문자(대규모 기획사)의 규격에 따라 미디어카드의 특정 위치에 설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음원 재생 장치는,
    상기 미디어 카드의 특정 위치에 설치된 박형 패드(12)와 접촉하도록 접촉식 커넥터를 설치하여,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음원을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에 따라 박형 패드와 커넥터 위치를 달리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음원 재생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박형 케이스(8)에 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11)을 설치하고, 메모리 수단(11)에 지정된 미디어 파일을 기록(Write)해두는 수단;
    저장된 미디어 파일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8) 전면 혹은 후면에 인쇄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USB 메모리 저장장치 인터페이스로 변환하는 수단;
    메모리 수단(11)을 신용카드 IC 단자와 같은 형태의 4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선택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 방식의 유·무선 결합 미디어 카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으로 SPI 방식 메모리(NOR 혹은 NAND) 를 적용하여 메모리 수단(11)의 전원(Vcc) 및 그라운드(GND), 칩 실렉트(Chip Select), 시리얼 클록 인풋(Serial Clock Input), 데이터 비트를 신용카드 6 ~ 10핀 박형 패드(12)를 통해 연결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수단(11)의 특정 영역에 사용자가 음원을 최종 재생한 미디어 파일 위치를 기록하여,
    미디어카드를 음원 재생 장치에서 탈착 후,
    다시 끼워 사용할 때 해당 위치부터 시작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음원 재생 장치 및 음원 재생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카드를 끼우는 4 ~ 10핀 커넥터(26)가 설치된 데크(25)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26)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고 스피커(27)로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음원 재생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는(25)
    4 ~ 10핀 커넥터(26)를 복수 개 설치하여
    미디어카드를 복수 개 끼운 상태에서, 사용자가 미디어카드를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음원 재생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통신 수단으로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형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16. 제 1 항에 있어서,
    음원을 저장하는 미디어 카드는,
    근거리 무선통신(일례로 NFC)을 위한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유도하는 안테나(9)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무선통신용 태그 기능의 RF 칩(10)은 메모리 수단(11)을 읽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외부 입출력 수단;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장치는,
    미디어카드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무선리더기(29)
    무선리더기(29)에 미디어카드(28)를 올려놓으면
    무선리더기(29)를 통해 미디어카드(28)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 들여,
    음원 재생 수단으로 재생하여 스피커(30)로 출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 및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의 음원 재생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동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기록한 미디어 카드,
    오프라인 상태로 미디어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영상 재생 장치,
    동영상 재생 수단은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12)를 접촉식 커넥터로 접촉하여,
    미디어카드의 메모리 수단(11)에 기록된 동영상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동영상 재생 장치
  18. 목에 걸어 사용하는 신분증 케이스에 있어서,
    전면에는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혹은 교통카드 포함)을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후면에는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후면 바닥 면에, 상기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4 ~ 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상기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음원 재생 수단;
    신분증 케이스 상단에 목에 거는 줄을 연결하는 수단에서,
    목에 거는 줄을 따라 이어폰을 설치하여
    이어폰 잭을 신분증 케이스 내부의 이어폰 커넥터와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겸용 유·무선 미디어카드 음원 재생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전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포함된 신분증(사원증 혹은 학생증 혹은 교통카드 포함)을 끼우는 수단;
    후면에는 근거리 무선통신 태그가 포함된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수단;
    전면 혹은 후면 바닥 면에, 근거리 무선태그 간의 전파 간섭을 없도록 전파 차폐 수단(일례로 전도성 박막 테이프)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케이스 형태의 음원 재생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이어폰 커넥터를 신분증 케이스 상단에 설치하며
    이어폰 잭(Jack)의 하네스 부분 일부를 돌출시켜, 신분증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끼우도록 하는 수단;
    이어폰 잭의 하네스 케이블 돌출된 부분을 신분증 케이스 홈에서 분리하지 않는 한, 이어폰 잭이 신분증 케이스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목걸이 이어폰으로 신분증 케이스를 목에 거는 줄을 대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돌츨된 하네스를 갖는 목걸이 이어폰 및 신분증 케이스 형태 음원 재생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후면에는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전면에도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고 인쇄된 면이 보이도록 구성하는 수단;
    전면 및 후면 바닥 면에, 상기 미디어카드 박형 패드와 접촉하는 4 ~ 10핀 커넥터를 설치하는 수단;
    재생하고자 하는 전면 혹은 후면의 미디어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상기 전면 혹은 휴면의 미디어카드의 박형 패드를 접촉식 4 ~ 10핀 커넥터로 접촉시켜, 미디어카드에 저장된 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음원 재생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데크 음원 재생 장치
  22. 미디어(오디오 및 비디오)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 4 ~ 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제어수단(150) ;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미디어 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선택한 4 ~ 10핀 커넥터를 통해 읽어들이는 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음원 재생 수단(170);
    음원 재생 상태를 조정하는 조작 스위치(180),
    선택한 미디어카드를 표시하는 선택카드 표시수단,
    선택적으로, 미디어 데이터를 외부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블루투스 수단(16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카드용 다단 재생 장치
  23. 카오디오용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미디어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와 직접 연결하는 수단;
    혹은, SPI 및 마이크로 SD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읽도록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카오디오 USB 연결 장치
  24. 카오디오용 미디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카드를 끼우는 데크에 4 ~ 10핀 커넥터(100 ~ 130)를 복수 개 설치하는 수단; 및
    제어수단(150) ; 및
    읽는 커넥터 선택 수단(140)을 통해 재생할 미디어카드를 선택하는 수단;
    미디어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와 직접 연결하는 수단;
    혹은, SPI 및 마이크로 SD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미디어카드는
    카오디오 장치에서 미디어 데이터를 읽도록 USB 메모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변환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카오디오 장치의 USB 소켓(female)에 끼우는 USB 표준 단자(male)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결합 미디어카드의 다단 USB 변환 장치

KR1020170090015A 2017-07-15 2017-07-15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KR20190008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015A KR20190008502A (ko) 2017-07-15 2017-07-15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015A KR20190008502A (ko) 2017-07-15 2017-07-15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8502A true KR20190008502A (ko) 2019-01-24

Family

ID=6527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015A KR20190008502A (ko) 2017-07-15 2017-07-15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850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10B1 (ko) * 2019-04-02 2020-03-26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음원 콘텐츠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102262859B1 (ko) * 2019-12-04 2021-06-08 아르코 뮤직, 인크. 미디어 디스크 장치 및 이의 재생 시스템
KR102293162B1 (ko) * 2020-04-22 2021-08-25 정명기 음원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재생 방법
CN114330396A (zh) * 2021-12-31 2022-04-12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基于Android平台的外接密码键盘与身份证信息交互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10B1 (ko) * 2019-04-02 2020-03-26 에이케이시스 주식회사 음원 콘텐츠 제공 및 관리 시스템
KR102262859B1 (ko) * 2019-12-04 2021-06-08 아르코 뮤직, 인크. 미디어 디스크 장치 및 이의 재생 시스템
KR102293162B1 (ko) * 2020-04-22 2021-08-25 정명기 음원 재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재생 방법
EP3901795A1 (en) * 2020-04-22 2021-10-27 Myung Ki Chung Apparatus for playback sound source and method for playback sound source using the same
US11586412B2 (en) 2020-04-22 2023-02-21 Myung Ki CHUNG Apparatus for playback sound source and method for playback sound source using the same
CN114330396A (zh) * 2021-12-31 2022-04-12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基于Android平台的外接密码键盘与身份证信息交互方法
CN114330396B (zh) * 2021-12-31 2023-10-13 福建新大陆支付技术有限公司 基于Android平台的外接密码键盘与身份证信息交互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2178B1 (en) Data communication in an electronic device
KR100695853B1 (ko) 비접촉 ic 미디어 및 이를 적용한 시스템
KR20190008502A (ko) 음원을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nfc 태그를 내장한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CN102947838A (zh) 读卡器设备和使用方法
CN102077288A (zh) 具有翻转形状因子的便携式媒体播放器
CN202838710U (zh) 基于近场通信的电子读物系统
US11625458B2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original music from unauthorized reproduction and use
CN204425615U (zh) 一种网络音箱
JP7167234B2 (ja) 音源再生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音源再生方法
JP2004516587A (ja) 処理デバイスに着脱可能に接続されたデータキャリアと無接触で通信するための処理デバイス
KR20220086455A (ko) 콘텐츠 재생 방법
WO2012030228A1 (en) Magnetically attachable removable electronic device
KR102264309B1 (ko)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KR20180116714A (ko) 저장 메모리의 데이터를 접촉 및 비접촉식으로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한 박형 미디어 카드 및 미디어 카드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디바이스
JP2001014433A (ja) 非接触icメディア及びそれを応用したシステム
KR20190112374A (ko)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방향의 커넥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
CN201956070U (zh) 一种带有非接触ic读卡器的mp3播放器
JP4944043B2 (ja) オペレーティングデータおよび/または再生データと関連するデータを遠隔装置に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08158937A (ja) 電源タップおよび携帯電話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3091701A (ja) 非接触リーダライタおよび非接触icメディア
CN210629607U (zh) 一种基于树莓派的智能手机功能扩展设备
JP3154053U (ja) オンラインミュージックプレイヤーとチップカードリーダーの機能を結合した装置
KR100939789B1 (ko) 음악재생 칩 카드
TW517493B (en) Audio/video processing device
CN202275434U (zh) 支持单线通讯协定的近场通讯的记忆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