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4895A -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 Google Patents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4895A
KR20210084895A KR1020190177396A KR20190177396A KR20210084895A KR 20210084895 A KR20210084895 A KR 20210084895A KR 1020190177396 A KR1020190177396 A KR 1020190177396A KR 20190177396 A KR20190177396 A KR 20190177396A KR 20210084895 A KR20210084895 A KR 20210084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
digital
album
yearbook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디
Priority to KR1020190177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4895A/ko
Publication of KR2021008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4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22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 H04N21/2223Secondary servers, e.g. proxy server, cable television Head-end being a public access point, e.g. for downloading to or uploading from cl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미래 졸업앨범 카드 및 플랫폼은 탑재된 개인별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형태의 매체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과 근거리무선통신(NFC)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메모리 칩의 데이터 영역으로는 ①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이미지 데이터 영역, ② 해당 사진의 색인 데이터 영역(사진 제목,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를 포함), ③ 해당 사진을 설명하는 다양한 음성 녹음 데이터 영역, ④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 서비스처럼 해당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 영역, ⑤ 해당 사진공유서비스의 댓글을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매체)의 메모리 칩에 담긴 사진 데이터와 함께. 대표 사진 이미지 및 담긴 사진들의 이미지를 전·후면에 인쇄하여 제공하는 감성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플랫폼(매체)의 NFC 영역에 인터넷 상에 보관된 해당 졸업앨범 사진의 URL 데이터를 추가여 스마트폰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메모리 칩에 사진을 설명하는 음성녹음 데이터(일례로 본인소개 음성 메시지 및 친구에게 남기는 음성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다.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플랫폼(매체)의 메모리 칩에 졸업앨범 사진공유서비스의 댓글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기록 및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스마트폰의 졸업앨범 제작 앱(App)으로 작은 단위(반 및 과, 모임 외) 별로 디지털 졸업앨범을 함께 제작하여 평생 보관할 수 있는 실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Digital graduation album card-based digital album production method, photo sharing service and management server used for it, digital graduation album that replaces paper graduation album}
레코드, 카세트테이프, CD 및 DVD라는 매체를 통해 음악 콘텐츠를 이용하던 시대 및 카메라 필름과 인화된 사진으로 추억을 간직하던 시대, 해당 매체를 통해 ‘소장 가치’와 ‘감상’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가치를 수십 년동안 인류에게 전달해 왔다. 하지만, 이후 IT 기술의 발달을 통해 디바이스(컴퓨터, 스마트폰, USB메모리)를 이용하는 시대가 되어감에 따라 ‘감상’이라는 가치를 전달하는 것에 더해 ‘편의성’이라는 새로운 가치를 추가하는 것에는 성공을 했지만, 정작 사진 이용의 핵심 가치라 할 수 있는 ‘소장가치’를 잃어버렸다. 이후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진공유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실물 사진 자체의 활용도가 현저히 소실되었고 이에 따라 사진 산업 전반에 걸쳐서도 음악 산업처럼 온라인 사진공유 서비스 제공자가 이익을 주도하는 불합리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미래에는 새로운 사진 매체를 통하여 ‘소장가치’와 ‘감상’ 그리고 ‘편의성’과 ‘커뮤너티(community)’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MP3를 거쳐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함께 대부분의 디바이스, 특히 자동차 카 오디오에서도 CD 및 DVD 플레이어 기능이 삭제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음악 시장에서 전통적인 매체였던 CD와 DVD가 사라지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을 통한 온라인 음악의 보편화와 함께 보다 편리하게 음악을 선택할 수 있는 여러 솔루션이 도입되면서 CD와 DVD와 같은 기존의 미디어 시장을 더욱 위축시키고 있다. 일례로, 특허등록 10 ­ 1683551호로 등록된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는 NFC 태그를 스마트폰 하단의 NFC 리더기에 대면, 지정된 음원 관리 서버에 자동 연결하여, 지정된 음악을 다운로드 하도록 구성하였다. NFC 태그 전면에는 구입한 음원에 대한 이미지를 인쇄하여 소장감도 느끼도록 구성하여, 일명 ‘키노 앨범 및 카드’ 형태로 발매되기 시작하였다. 즉, 오프라인 매장에서 자신이 원하는 음반을 직접 구입하던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자신이 구입한 음반을 스마트폰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음원을 탑재하지 않아 스마트폰과 같이 NFC 리더기가 설치된 온라인 디바이스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바람직한 수단으로 매체에 음원을 탑재하여‘소장 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면서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출원 제10 - 2018 - 0034278호로 "저장된 콘텐츠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고 가로 및 세로 방향의 커멕터와 상호 접촉하는 패드를 갖는 접촉형 메모리카드 및 매체"를 실시하였다. 상기 메모리카드 및 매체를 음원 분야가 아닌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분야로 확대하는 개념 및 방법으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 - 2019 - 0162737호로 "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및 NFC 수단을 탑재하고 탑재된 사진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및 매체"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를 확대하여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졸업생 사진 정보 기반의 사진공유 플랫폼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에 관한 것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음반 시장은, 2000년대 들어 MP3 파일 등의 미디어 파일과 함께 등장한 온라인 음악 서비스(다운로드, 스트리밍, 유튜브)의 보편화로 축소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스마트폰에서 음악의 ‘소장 가치’를 제공하려는 시도로 2015년 NFC 매체, NFC 매체를 이용한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기반으로 한국 기업(주식회사 키노)에서 특허를 등록하고 일명‘키노 앨범'으로 출시하였다. ‘키노앨범’은 사용자가 음악을 소비함에 있어, (a) 관리 서버가,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에 NFC 매체가 제공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스마트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파일 전송 요청에 대한 인증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고유 코드에 대응되는 미디어 콘텐츠 파일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C 매체를 이용한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전성기를 구가하던 필름/사진 시장도 디지털 카메라의 보편화로 감소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확대와 함께 인스타그램(Instagram)과 같은 사진 공유 서비스의 등장으로 사진을 인화할 필요성이 더욱 축소되고 있다. 이에 반하여 최근 사진들을 책 형태로 제작하여 판매하는 '포토북' 시장은 확대되고 있다. 음원은 창작자가 제한되지만, 사진은 제작자가 무한하다는 큰 차이가 있어 '포토북' 등으로 변화하면서 소품 형태의 새로운 시장을 만들어가고 있다. 인스타그램과 같은 사진 공유 서비스도 해당 URL(Uinform Resource Locator)을 통해 사진은 다른 형태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온라인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디지털 요소와 함께 오프라인의 감성적인 요소를 결합한 새로운 사진의 개념 정립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사진을 인화하는 단계에는 사진 이미지만 사용하였지만, 디지털 카메라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사진 데이터에 촬영 일자 및 촬영 장소 데이터를 추가하고 있으며,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사진공유서비스에 게시된 사진에는 이용자들이 댓글을 달 수 있는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다. 2000년 초반에 종이 졸업앨범의 디지털화가 시도되었지만, 단순히 졸업앨범을 인터넷에서 확인하는 수준으로 시도되었고, 이또한 개인 사진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는데 있어서 개인 정보 보호와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중단되었다. 시대가 스마트폰 중심으로 급격하게 개편되면서 현행 종이식 졸업앨범의 디지털화는 필연적이며, 학교 전체 앨범이 아닌 단위(학교 > 반 혹은과 > 모임 혹은 친한 친구) 별로 다양하게 개성있게 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하여 스마트폰 앱으로 소속된 단위별로 개성있는 졸업 앨범을 스스로 함께 제작하게 될 전망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졸업앨범을 보유함에 있어, 현행 종이에 인쇄된 책자 형태를 넘어서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도 이용 가능한 새로운 졸업앨범 및 사진공유 플랫폼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하는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이하 동영상 포함) 플랫폼은 첫째, 개인별 사진 이미지를 디지털 매체에 인쇄할 수 있는 실물 형태여야 하고, 둘째, 개인 사진 데이터에는 동영상도 기록 가능해야 하며, 셋째, 선택적으로 인터넷 상에서 동창생 기반 사진공유 서비스 플랫폼으로 발전해야 하며, 넷째, 온라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저장된 졸업앨범 URL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어야 하며, 다섯째, 졸업앨범 사진공유서비스는 댓글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체계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미래의 사진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여 기록하면서, 오프라인 및 온라인에서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졸업앨범 매체 및 플랫폼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으로는 졸업앨범 사진들을 저해상도로 보고 추가로 사진을 업로드하는 사진공유서비스로 활용하면서, 고해상도 포토 데이터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에 평생 보관하도록 구성해야 한다.
매년 전체 인구의 5% 내외가 졸업(유치원 -> 초교 -> 중교 -> 고교 -> 대학 -> 대학원)하고 있지만, 현재는 전체 졸업생을 포함하는 종이식 졸업앨범으로만 제공되고 있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종이식 졸업앨범이 아닌 디지털 메모리로 대체함은 추후 필연적이라 할 수 있다. 졸업앨범에 사용되는 단독 개인사진의 메모리 용량은 150KB/인으로. 400명의 학생을 기록하는데 60MB의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다. 졸업앨범에 있는 기념 사진은 5M 픽셀의 경우 메모리용량은 1.2MB/장으로 50장을 기록하는데 60MB가 필요하다. 평생 보관하는 개념이 강한 졸업앨범은 분류 및 선택된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들을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을 통해 실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할 필요가 있다. CD와 DVD도 음악 시장에서 사라져가는 현 단계에서, 새로운 사진 플랫폼을 수용하는 매체는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와는 달리, 저장된 사진 이미지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을 기본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현재 대용량의 USB/SD/MMC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경우, 컴퓨터 등으로 메모리 정보를 읽어야 저장된 사진을 알 수 있고, 원하는 사진을 선택하는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사진 공유 서비스를 통하여 졸업앨범 사진을 공개할 수 있지만, 졸업앨범에 포함된 모든 사진(개인정보 포함)이 일반 대중들에게 공개된다는 문제가 있다.
미래의 디지털 졸업앨범(사진 및 동영상 포함) 플랫폼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졸업앨범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칩(chip)과 온라인을 연동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NFC) 칩을 내장한 신용카드 형태의 매체를 제안하고자 한다. 즉, 탑재된 본인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형태의 매체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과 근거리무선통신(NFC)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메모리 칩의 데이터 영역으로는 ① 졸업앨범 사진(동영상 포함) 이미지 데이터 영역, ② 해당 사진의 데이터 영역(사진 제목,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 음성 녹음을 포함), ③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 서비스처럼 해당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 영역, ④ 해당 사진공유 서비스에 남긴 댓글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일 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일례로 신용카드, 크기 85 x 54 x 0.8mm 이하)에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6핀 내외의 박형 패드(일례로 신용카드 금융IC 패드와 유사)와 메모리 칩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접촉식 사진 매체카드를 제안한다. 메모리 방식으로는 전원이 없더라도 데이터가 유지되는 NAND 및 OTP, EEPROM이 적합하며, 4 ~ 16핀으로 전원 공급 및 데이터 입출력이 가능한 SPI(Serial programming Interface) 혹은 micro SD(secure Digotal) 혹은 USB 통신방식이 적합하다. 상기 사진 매체카드는 4 ~ 16핀 내외의 접촉식 커넥터가 설치된 어댑터(혹은 젠더)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저장되어 있는 사진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단계로 플라스틱 카드의 메모리 칩에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 사진을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등록하고, 상기 URL을 플라스틱 카드의 근거리통신수단(NFC)에 기록하는 형태로 구성한다. 해당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가 인쇄된 플라스틱 카드를 NFC 리더기를 내장한 스마트폰에 접촉하면 해당 URL로 자동 연결되어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스마트폰 화면으로 보도록 구성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박형 플라스틱 케이스에 사진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입출력을 위한 4 ~ 16핀 내외의 박형 패드, 무선으로 에너지를 받고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NFC 칩과 안테나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매체에 저장된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상징화시켜 ‘소장 가치’를 느끼도록 플라스틱 전·후면에 인쇄를 통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적인 감성과 디지털 기술이 제공하는 편리함, 즐거움, 휴대가 용이하도록 경박단소함, 다양한 단말장치에서 사용과 같은 보편성도 기본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플랫폼(메체)를 통해, 대표 사진 이미지와 함께 담긴 사진들의 이미지를 전·후면에 인쇄할 수 있다. 사진 데이터와 함께 사진 제목,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볼 수 있도록 졸업앨범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다. 컴퓨터와 USB 젠더를 사용하여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을 사진공유서비스와 연동시켜 추가 업로드된 사진 및 댓글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업그레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래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플랫폼은 탑재된 개인별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형태의 매체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과 근거리무선통신(NFC)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메모리 칩의 데이터 영역으로는 ① 사진 이미지 데이터 영역, ② 해당 사진의 색인 데이터 영역(사진 제목,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를 포함), ③ 해당 사진을 설명하는 다양한 음성 녹음 데이터 영역, ④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 서비스처럼 해당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 영역, ⑤ 해당 사진공유서비스의 댓글을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매체)의 메모리 칩에 담긴 사진 데이터와 함께 대표 사진 이미지 및 담긴 사진들의 이미지를 전·후면에 인쇄하여 제공하는 감성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NFC 영역에 인터넷 상에 보관된 해당 졸업앨범 사진의 URL 데이터를 추가여 스마트폰에서 졸업앨범 사진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에 사진을 설명하는 음성녹음 데이터(일례로 본인소개 및 친구들에게 남기는 음성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디바이스(일례로 스마트폰, 컴퓨터 및 디지털 액자)에 내장된 스피커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
넷째, 새로운 디지털 졸업앨범 플랫폼의 메모리 칩에 졸업앨범 사진공유서비스의 사진 및 댓글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기록 및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스마트폰의 졸업앨범 제작 앱(App)으로 작은 단위(반 및 과, 모임 외) 별로 디지털 졸업앨범을 함께 제작하여 평생 보관할 수 있는 실물로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도는 신용카드에 금융 IC와 RF 칩 및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함을 나타내는 개략도 이다.
제2도는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의 종류 및 핀 배치도를 나타낸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칩(chip)과 온라인을 연동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NFC) 칩을 내장한 신용카드 형태의 포토카드 구성도 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칩에 기록된 사진중 전면에는 대표 사진을 인쇄하고 후면에는 저장된 사진 축소 이미지를 인쇄한 이미지 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으로 사진 추가 업로드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한 동창생기반 사진공유 서비스의 예시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에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진 메모리맵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카드 및 플랫폼으로 졸업앨범을 영구히 소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칩(chip)과 온라인을 연동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이하 NFC) 칩을 내장한 신용카드 형태의 매체를 제안한다. 즉, 탑재된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형태의 매체에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칩과 근거리무선통신(NFC) 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메모리 칩의 데이터 영역으로는 ①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 데이터 영역, ② 해당 졸업앨범 사진의 색인 데이터 영역(사진 제목,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를 포함), ③ 해당 졸업앨범 사진을 설명하는 음성 녹음 데이터 영역, ④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 서비스처럼 해당 졸업앨범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 영역, ⑤ 해당 졸업앨범 사진공유서비스 댓글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바람직한 수단으로는 매체에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를 탑재 및 인쇄하여‘소장 가치'에 보다 중점을 두면서, 스마트폰은 물론 다양한 오프라인 단말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하여야 한다. 메모리 카드 및 매체를 음원 분야가 아닌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분야로 확대하는 개념 및 방법으로,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10 - 2019 - 0162737호로 "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 및 NFC 수단을 탑재하고 탑재된 사진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및 매체"를 실시하였다. 본 발명은 이를 확대하여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졸업생 사진 정보 기반의 사진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에 대한 것이다. 이와 함께 컴퓨터와 USB 젠더를 사용하여,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을 사진공유 서비스와 연동시켜 추가 업로드된 사진 및 댓글 데이터들로 선택적으로 업그레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제1도는 신용카드에 금융 IC와 RF 칩 및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를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 접촉식 IC 카드, 비접촉식 RF 메모리카드, 콤비카드, 하이브리드 카드로 구분하는 예시도 이다. 신용카드는 크기 85 x 54mm로 두께 0.8mm로 내부에 금융 IC 및 교통카드 등으로 활용하기 위한 NFC 태그 (RFID)가 탑재되어 있어 금융 IC와는 ISO7616 프로토콜로 통신한다. 제2도는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 카드의 종류 및 핀 배치도를 나타낸다. 메모리 카드 규격은 표준화가 되어 있고, SD 메모리카드를 거쳐 마이크로 SD 메모리 카드로 발전하였다. 현재 메모리 카드에 담긴 데이터는 디바이스와 연결하여 사용 가능하다. 마이크로 SD카드를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USB 젠더를 사용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오프라인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칩(chip)과 온라인을 연동시키는 근거리무선통신(NFC) 칩을 내장한 신용카드 형태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구성도 이다. 종이 졸업앨범를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박형 케이스(3) 내부에는 스마트폰(NFC)에 터치하면 사용자 졸업앨범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 사진공유 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s)에 온라인으로 연결하기 위한 해당 URL이 기록된 NFC 근거리무선통신수단(4)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디바이스(5)와 연결하여 졸업앨범 사진들을 오프라인 상태의 디바이스(5)에서도 볼 수 있도록 접촉패드(1)와 연결된 메모리 수단(2)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 졸업 앨범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졸업앨범 기반의 동창생 대상 사진공유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동창생 기반 사진공유 서비스에 졸업생들의 졸업 사진 파일들을 업로드하고, 인터넷으로 해당 위치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NFC 부에 기록하고, 해당 졸업앨범의 본인 사진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3) 외부에 프린팅하도록 구성한다. 메모리 칩(10)에는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졸업생 별로 해당 사진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3) 외부에 프린팅하여 메모리 칩에 저장된 사진의 이미지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졸업앨범 사진공유 서비스에 온라인으로 연결하기 위해 NFC 대신 해당 URL로 연결하는 QR코드(12)를 사용하는 QR코드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칩(10)에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의 사진 데이터 파일들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으로 보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졸업앨범 사진을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도록 메모리 칩(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파일들을 졸업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 공유 서비스(일례로 인스타그램)에 저장하는 단계; 인터넷으로 해당 위치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NFC 부(11)에 기록하는 단계, NFC 단말기(일례로 스마트폰)를 통해 해당 졸업앨범 사진에 바로 접근하도록 구성한다.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이용하면 번거로운 ID와 패스워드 입력 과정, 검색과정없이 본인의 졸업앨범 사진공유 서비스에 바로 접속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디지털 졸업앨범 카디는 메모리 칩(2)과 연결된 접촉패드(1)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클록(Clock), ④ 커맨드(CMD), ⑤ 1~4개의 데이터(DAT0, DAT1, DAT2, DAT3) 패드로 구성된다.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다음 과정으로 진행된다.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사진 메모리 맵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전면과 후면에 인쇄할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메모리 칩에 상기 사진 메모리 맵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전면과 후면에 확보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사진 메모리 맵을 지정된 졸업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는 단계; 해당 졸업생의 사진을 인터넷에 저장한 URL을 확보하는 단계; 해당 졸업생의 사진 인터넷 저장위치 URL을 메모리 칩 혹은 NFC 칩 혹은 QR코드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의 선택한 순서(제작 순서를 바꿀 수 있음)에 따라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제작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업그레이드가 안되는 종이식 졸업앨범과는 달리 컴퓨터와 USB 젠더를 사용하여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을 사진공유서비스와 연동시켜 추가 업로드된 사진 및 댓글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업그레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는 학교 차원에서 만드는 졸업앨범과 달리 작은 단위(반 혹은 과, 모임, 친구)별로 우정을 오래 간직하는 의미에서 스마트폰 앱을 사용하여 스스로 제작할 수 있다. 즉,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하는 앱을 사용하는 과정으로, 학교별, 뱐(class)별, 졸업생 별로 사진 폴더를 형성해 두는 단계; 졸업생이 자신의 사진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자신의 디지털 졸업앨범에 게시할 사진, 혹은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에 인쇄할 이미지, 혹은 친구에게 남기는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 전체 학교 혹은 반(class) 혹은 소모임 혹은 친한 친구 단위별로 상기 단계를 반복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하여 졸업생들이 인터넷 상에서 협력하여 졸업앨범을 스스로 만드는 졸업앨범 제작 앱, 및 동창생 대상 사진공유 서비스, 및 단위별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공할 수 있다. 혹은, 전체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도 종이식 졸업앨범 사진이 아닌 졸업생들이 스마트폰으로 본인 사진과 친구와 함께 찍은 사진을 스스로 입력하도록 하여, 사진 공개에 따른 개인정보 보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앱으로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졸업생이 자신의 사진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자신의 사진 폴더에 게시할 사진 혹은 친구에게 남기는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스스로 업로드하여 학교 졸업앨범과는 다르게 스스로 앨범을 제작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통해 동창생 대상 사진공유 서비스 및 단위(학교, 반, 모임, 친우) 별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메모리칩에 기록된 사진중 전면에는 대표 사진을 인쇄하고 후면에는 저장된 사진 축소 이미지를 인쇄한 이미지 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메모리 칩에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사진 메모리 맵(map)이다. 미래 졸업앨범 사진 플랫폼은 ①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이미지 데이터 영역, ② 해당 졸업앨범 사진의 색인 데이터 영역(사진 이름, 촬영 일자, 촬영 위치 데이터를 포함), ③ 해당 졸업앨범 사진을 설명하는 음성 녹음 데이터(일례로 본인소개 및 친구에게 남기는 말) 영역, ④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 서비스처럼 해당 졸업앨범 사진이 인터넷 상에 보관된 URL 데이터 영역, ⑤ 해당 사진공유 서비스 댓글을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즉, 메모리 칩(10)에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 맵(21)은 졸업앨범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 저장 영역(22)과 사진 및 동영상 정보(일례로 일자, 이름, 위치, 색인) 저장 영역(23)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사진 및 동영상 음성 메시지 저장 영역(24) 혹은, 사진 및 동영상 인터넷 저장위치 URL 영역(25); 혹은, 사진 및 동영상 인터넷 저장위치 URL 댓글 저장 영역(2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으로 사진 추가 업로드 및 댓글 입력이 가능한 동창생기반 사진공유 서비스의 예시도이다. 동창생 기반 사진공유 서비스는 동창들의 새로 사진 및 댓글을 업로드하면서 발전하도록 구성한다. 앞의 스마트폰 앱을 이용하여 졸업생 스스로 본인 사진을 업로드하는 방식과 학교에서 제작한 졸업앨범 사진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다. 후자 방식에서는 학교 혹은 반(대학의 경우 학과) 별로 개인별로 졸업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 종이 졸업앨범처럼 학교 전체에 대하여 구성하는 단계; 개인별로 사진을 업로드할 수 있는 폴더를 구성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개인별 사진 폴더에 동창생들이 댓글을 남길 수 있도록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반(대학의 경우 학과) 별로 개인별 졸업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본인 인증을 미확보한 사진들은 비정상 이미지(일례로 흐릇한 사진 이미지)로 바뀌는 단계(14); 개인별 사진 본인의 인증을 확보하는 단계(15); 본인 인증을 확보한 사진은 정상 이미지로 바뀌는 단계(13)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본인의 사진 공개 허용 인증 혹은 회원 가입 승인을 확보하는 단계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본인 사진이 인쇄된 NFC 기능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태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졸업생은 상급 학교로 진학하게 되는데, 본인이 졸업한 학교에는 사진을 한번에 업로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졸업생 본인의 폴더에 사진을 업로드하는 단계(18); 사진을 업로드할 본인의 졸업앨범 리스트(일례로 초교앨범, 중교앨범, 고교앨범, 대학앨범)를 설정하는 단계; 본인의 해당 사진 폴더들에 사진을 함께 업로드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이와 함께 친한 친구들을 설정하여 친한 친구가 사진을 업로드할 때 알리을 주고 받을 필요가 있다. 즉, 친밀한 친구들을 사진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단계(17); 설정된 친밀한 친구들이 사진을 업로는 하는 경우 알림을 받는 단계; 본인이 사진을 업로드하는 경우 설정된 친밀한 친구들에게 알림이 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은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에 있어서는 졸업생들은 진학이라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관련 비지니스 모델을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중고 학습자료(참고서, 교과서, 필기노트, 족보 외) 판매, 선택적으로, 새 학습자료(참고서 외) 판매, 선택적으로, 인터넷 동영상 강의 및 지역 맞춤형 학원 강좌 판매, 선택적으로, 문구류 상품 판매, 선택적으로, 어학 연수 판매를 입점시켜 학습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함께 본인이 관심있는 학교별 오프라인 모임을 가입하는 단계; 모임 행사 일정을 알림받는 단계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사진 공유 서비스는 관광 분야로 확산시킬 수 있다. 관광지에서 지역을 방문했다는 것을 기념하는 관광엽서를 구입하는 것처럼,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를 호텔 및 안내소에서 제작할 수 있다. 즉, 관광객으로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기록할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인쇄할 사진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 메모리 칩에 상기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관광객이 선택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사진 데이터를 관광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는 단계; 해당 사진을 인터넷에 저장한 URL을 확보하는 단계; 해당 사진(동영상 포함)의 인터넷 저장위치 URL을 메모리 칩 혹은 NFC 칩 혹은 QR코드에 기록하는 단계로 구성한다. 이를 통해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 제작 방법 및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미래의 디지털 졸업앨범 플랫폼은 종이나 책자 형태를 벗어나, 경박단소한 플라스틱 케이스 전·후면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고, 메모리 칩을 설치하여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여 보관하도록 구성한다. 졸업앨범 사진 데이터에는 이미지 데이터 뿐만 아니라 음성 데이터와 URL 정보도 포함한다. 디지털 졸업앨범 커드 실물을 제작할 때 해당 사진 데이터는 인터넷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해당 URL은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에 설치된 NFC 칩에 기록하거나 해당 URL을 나타내는 QR코드를 케이스에 인쇄한다. 그러므로 사진 데이터를 인터넷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고 이를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① NFC형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② QR코드형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③ 메모리 칩 포함 NFC형/QR코드형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로 각각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도 포함할 수 있다.

1 : 접촉 패드 2 : 메모리 수단
3 : 인쇄 면 포함 케이스 4 : 근거리무선통신수단(NFC)
5 : 디바이스 6 : USB 젠더
7 : 인터넷 8 : 스마트폰(NFC)
9 : 후면 부 10 : 메모리 칩
11 : NFC 부 12 : QR코드
13 : 활성상태 사진 14 : 비활성상태 사진
15 : 본인인증 과정 16 : 알림친구상태 Off 상태
17 : 알림친구상태 On 표시 18 : 1단계 클릭
19 : 2단계 클릭 20 : 댓글
21 : 졸업앨범 사진 메모리 맵
22 : 사진 및 동영상 데이터 저장 영역
23 : 사진 및 동영상 정보 저장 영역
24 : 사진 및 동영상 음성 메시지 저장 영역
25 : 사진 및 동영상 인터넷 저장위치 URL
26 : 사진 및 동영상 인터넷 URL 댓글 저장 영역
27 : 리저브드 영역

Claims (18)

  1. 종이 졸업앨범를 대체하는데 있어서,
    박형 케이스(3) 내부에는
    첫째, 스마트폰(NFC)에 터치하면 사용자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이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 사진공유서비스(SNS : Social Network Services)에 온라인으로 연결위한 해당 URL이 기록된 NFC 근거리무선통신수단(4)을 포함하고;
    둘째, 선택적으로 디바이스(5)와 연결하여 졸업앨범 사진들을 오프라인 상태의 디바이스(5)에서도 볼 수 있도록 접촉패드(1)와 연결된 메모리 수단(2)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태에서 졸업 앨범사진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졸업앨범 기반의 동창생 대상 사진공유 서비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졸업앨범 사진공유 서비스에 졸업생들의 졸업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파일들을 업로드하고
    인터넷으로 해당 위치에 접근할 수 있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NFC 부에 기록하고
    해당 본인 사진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3) 외부에 프린팅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본인 사진 이미지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칩(10)에 졸업앨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데이터 파일들을 저장하고
    졸업생 별로 해당 사진 이미지를 박형 케이스(3) 외부에 프린팅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칩에 저장된 사진의 이미지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졸업앨범 사진공유 서비스에 온라인으로 연결하기 위해
    해당 URL로 연결하는 QR코드(12)를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칩(10)에 저장되어 있는 졸업앨범의 사진 데이터 파일들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으로 보호함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사진 DRM 데이터를 메모리 칩에 저장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6.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칩(10)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파일들을
    졸업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 공유 서비스(일례로 인스타그램)에 저장하는 단계;
    인터넷으로 해당 위치에 바로 접근할 수 있는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해당 디지털 졸업앨범카드의 NFC 부(11)에 기록하는 단계;
    NFC 단말기(일례로 스마트폰)를 통해 해당 졸업앨범 사진에 바로 접근함을 특징으로 하는 NFC 단말기로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7. 제 1 항에 있어서,
    메모리 칩(2)과 연결된 접촉패드(1)는 ① 전원(Vcc), ②그라운드(GND), ③ 클록(Clock), ④ 커맨드(CMD), ⑤ 1~4개의 데이터(DAT0, DAT1, DAT2, DAT3) 패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칩에 저장된 사진들의 이미지가 인쇄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8.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의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메모리 맵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전면과 후면에 인쇄할 사진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메모리 칩에 상기 사진 메모리 맵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전면과 후면에 확보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사진 메모리 맵을 지정된 졸업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는 단계;
    해당 졸업생의 사진(동영상 포함)을 인터넷에 저장한 URL을 확보하는 단계;
    해당 졸업생의 사진(동영상 포함) 인터넷 저장위치 URL을 메모리 칩 혹은 NFC 칩 혹은 QR코드에 기록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의 선택한 순서에 따라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졸업앨범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제작 방법 및 서비스
  9.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제작하는 앱에 있어서,
    학교별. 혹은 반별. 혹은 졸업생 별로 사진 폴더를 형성해 두는 단계;
    졸업생이 자신의 사진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자신의 디지털 졸업앨범에 게시할 사진, 혹은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에 인쇄할 이미지, 혹은 친구에게 남기는 메시지 및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제작을 요청하는 단계;
    졸업생이 상기 단계를 반복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생들이 인터넷 상에서 협력하여 졸업앨범을 스스로 만드는 졸업앨범 제작 앱, 및 동창생 대상 사진공유 서비스, 및 단위별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본인 인증을 진행하는 단계;
    졸업생이 자신의 사진 폴더를 선택하는 단계;
    반(class) 혹은 소모임 혹은 친한 친구 단위별로 디지털 졸업 앨범을 제작하기 위해 함께 제작할 친구들을 초대하는 단계;
    해당 사진 폴더들에 사진들을 업로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소속된 단위별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해당 학교 전체 디지털 졸업앨범 리스트에 등록하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학교, 반, 모임, 친우) 별로 제작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및 단위별 사진공유 서비스
  11. 동창생 기반 사진공유 서비스에 있어서,
    학교 별로, 혹은 반(대학의 경우 학과) 별로, 혹은 개인별로 졸업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
    학교 전체에 대하여 구성하는 단계;
    개인별로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을 업로드할 수 있는 폴더를 구성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개인별 사진 폴더에 사진(이하 동영상 포함) 혹은 메시지 혹은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도록 구성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만들어진 단위별(반, 모임, 친구별) 졸업앨범 리스트를 표시하는 단계;
    선택적으로, 개인별 사진 폴더에 사진(19) 혹은 댓글(20) 혹은 음성 메시지를 추가할 수 있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반(대학의 경우 학과) 별로 개인별 졸업 사진을 표시하는 단계에서
    본인 인증을 미확보한 사진들은 비정상 이미지(일례로 흐릇한 사진 이미지)로 표시하는 단계(14);
    개인별 사진 본인의 인증을 확보하는 단계(15);
    본인 인증을 확보한 사진은 정상 이미지로 바뀌는 단계(13)로 구성힘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본인의 사진 공개 허용 인증 혹은 회원 가입 승인을 확보하는 단계로
    스마트폰의 NFC 리더기에
    본인 사진이 인쇄된 NFC 기능의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를 태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졸업생 본인의 폴더에 사진을 업로드하는 단계;
    사진을 업로드할 본인의 졸업앨범 리스트(일례로 초교앨범, 중교앨범, 고교앨범, 대학앨범)를 설정하는 단계;
    본인의 해당 사진 폴더들에 사진을 함께 업로드하는 단계로 구성함음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친밀한 친구들을 사진 리스트에서 선택하는 단계(17);
    설정된 친밀한 친구들이 사진을 업로는 하는 경우 알림을 받는 단계;
    본인이 사진을 업로드하는 경우 설정된 친밀한 친구들에게 알림이 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중고 학습자료(참고서, 교과서, 필기노트, 족보 외) 판매
    선택적으로, 새 학습자료(참고서 외) 판매
    선택적으로, 인터넷 동영상 강의 및 지역 맞춤형 학원 강좌 판매
    선택적으로, 문구류 상품 판매
    선택적으로, 어학 연수 판매를 입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졸업 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본인이 관심있는 학교별 오프라인 모임을 가입하는 단계
    모임 행사 일정을 알림받는 단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모임 정보를 제공하는 졸업앨범 형식의 사진공유 서비스 및 방법
  18.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관광객으로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기록할 사진 데이터 및 상기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인쇄할 사진 이미지를 확보하는 단계;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 메모리 칩에 상기 사진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에 관광객이 선택한 사진 이미지를 인쇄하는 단계;
    상기 사진 데이터를 관광앨범 클라우드 및 사진공유서비스에 업로드하는 단계;
    해당 사진(동영상 포함)을 인터넷에 저장한 URL을 확보하는 단계;
    해당 사진(동영상 포함)의 인터넷 저장위치 URL을 메모리 칩 혹은 NFC 칩 혹은 QR코드에 기록하는 단계로 구성함음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사진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관광앨범 카드, 제작 방법 및 서비스

KR1020190177396A 2019-12-30 2019-12-30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KR20210084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6A KR20210084895A (ko) 2019-12-30 2019-12-30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396A KR20210084895A (ko) 2019-12-30 2019-12-30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4895A true KR20210084895A (ko) 2021-07-08

Family

ID=7689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396A KR20210084895A (ko) 2019-12-30 2019-12-30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48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58770B1 (en) Memorytag hybrid multidimensional bar text code
Prideaux et al. A comparison of photo-taking and online-sharing behaviors of mainland Chinese and Western theme park visitors based on generation membership
US20140114754A1 (en) Data accumulation system
Rallison What are Journals for?
CN101960826A (zh) 基于近程检测来扩充媒体的方法、系统、计算机程序和装置
CN103514246A (zh) 用于根据社交媒体内容制作相册的方法和系统
US201400255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delivering a personal legacy to a beneficiary
CN102708708A (zh) 具有书签功能的电子阅读器系统及其操作方法
Alvarez Leon et al. The value of crowdsourced street-level imagery: examining the shifting property regimes of OpenStreetCam and Mapillary
US9280680B2 (en) Photobook with augmented social capability
KR20210089859A (ko) 발표자료 종이 책자를 대체하는 디지털 발표자료 카드 기반의 인터넷 발표자료 공유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및 방법
KR20210084895A (ko)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기반의 단위별 디지털 앨범 제작 방법, 사진 공유 서비스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종이 졸업앨범을 대체하는 디지털 졸업앨범 카드
US77387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FID mapping to a digital camera and digital picture delivery system
US20220100366A1 (en) Freehand Memo Gift Authentication
Kember The Becoming-Photographer in Technoculture
Murphy Location-aware services and QR codes for libraries
JP2006350550A (ja) アルバムコンテンツ自動作成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90090785A1 (en) Electronic money card
KR20210072428A (ko) 사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 및 근거리무선통신 수단을 탑재하고 탑재된 사진이미지를 인쇄하는 면을 포함하는 포토카드 및 매체
KR20000054681A (ko) 인터넷을 통한 졸업앨범 동영상 제공시스템
JP7047234B2 (ja) 想い出チケット登録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2296A (ja) クレジットカードの利用情報出力プログラム、クレジットカードの利用情報出力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692845B1 (ko) 가상 도서관 운용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 기억매체
JP6153984B2 (ja) 宣伝情報提供システム、宣伝情報提供方法および宣伝情報提供プログラム
Cook Biography, well-being and personal media: A qualitative study of everyday digital photography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