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676B1 -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676B1
KR102248676B1 KR1020190151791A KR20190151791A KR102248676B1 KR 102248676 B1 KR102248676 B1 KR 102248676B1 KR 1020190151791 A KR1020190151791 A KR 1020190151791A KR 20190151791 A KR20190151791 A KR 20190151791A KR 102248676 B1 KR102248676 B1 KR 102248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terary
subject
file
lit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경모
Original Assignee
안경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경모 filed Critical 안경모
Priority to KR102019015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스마트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문학콘텐츠 기술로서, 여행자가 현재 머물고 있는 특정 관광명소에 대한 상세정보, 예컨대, 해당 특정명소가 소재하는 지역 및 명칭정보, 명소의 상세 해설정보, 그리고, 그 명소와 관련된 문학정보를 모바일(스마트폰) 증강현실과 접목된 형태로 실시간 전달하고, 그와 같이 전달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정보와 합성 편집하여 여행기록이 포함된 자신만의 독창적 디지털 문학집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와, 상기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로부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여행자 스마트단말로 구성되고;
시스템구성을 이용하여 사전이용 신청단계와,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와, 여행지정보 안내단계와, 여행지 촬영준비단계와, 피사체 정보추출단계와,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와,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와, 문학집 장착단계와, 문학집 배포이용단계를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Creative Literature Book Generation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치정보 시스템(GPS)과, 지리정보 시스템(GIS)과, 관광정보시스템과, 문학정보시스템과, 스마트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개념의 문학콘텐츠 기술로서, 여행자가 현재 머물고 있는 특정 관광명소에 대한 상세정보, 예컨대, 해당 특정명소가 소재하는 지역 및 명칭정보, 명소의 상세 해설정보, 그리고, 그 명소와 관련된 문학정보를 모바일(스마트폰) 증강현실과 접목된 형태로 실시간 제공하고, 그와 같이 제공된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정보와 합성 편집하여 여행기록이 포함된 자신만의 독창적 디지털 문학집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손안의 컴퓨터라 불리는 스마트폰의 개발과 확산은, 단순히 새로운 휴대 단말기의 개발이라는 정도의 의미를 넘어, 초기의 풀 브라우징 서비스에서 벗어나, 위치기반 서비스나 소셜네트워킹 서비스에 기반한 최적화된 형태로서, 어디서든 자유롭게 데이터 통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격적인 모바일 라이프 시대가 열렸다는 것을 의미하며, 통신서비스와 단말기, 콘텐츠에 이르는 모바일 산업 생태계가 새롭게 전환되는 전기를 맞았다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있어, 스마트폰을 이용한 증강현실(AR : Augmented Reality) 서비스, 예컨대, 현실세계의 환경위에 가상의 대상을 접목시켜 현실 효과를 증대되게 한 다양한 모바일 서비스는, 보다 편리하고, 진보된 형태로서, 생활 도우미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와 같이, 급변하는 기술변화에 발맞추어, 스캔서치(Scan Search), 레이어(Layer), 세카이 카메라(Sekai Camera) 등, 스마트폰을 활용해 시각적 목표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수의 증강현실 프로그램 또한, 다양한 서비스 형태로 등장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고 싶은 장소를 검색하거나, 혹은, 현재 머물고 있는 지역의 건물이나, 도로를 카메라 기능으로 비추게 되면, 스마트폰은 자동 GPS 및 지자기 센서 등에 의해 길안내 및 그에 따른 교통관련 정보는 물론, 모니터를 통해 건물 내지 도로 등의 상세정보(도로명, 지하철명, 건물명, 건물에 입주해 있는 업소정보 등)를 제공하고, 또한, 보고 싶은 영화의 포스터를 카메라 기능을 이용해 촬영하게 되면, 그 영화의 감독, 주연배우, 스토리, 상영관 등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통해 이루어지는 증강현실이란, 현실세계에 가상정보를 실시간 결합하여 보여주는 기술로서, 이는, 모든 환경이 3차원 이미지로 제작되는 기존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영상 위에 가상의 정보가 중첩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템, 예컨대, 혼합현실(MR:Mixed Reality)로 해석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의 증강현실이라 함은,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으로서, 비록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그 주역은 온전한 현실환경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따라서, 증강현실을 위한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단순히 추가 제공하는 역할의 범위를 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 증강현실의 또 다른 서비스 형태로서, 스마트폰 사용자가 머물고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그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지역(거리)을 설정하고, 그 지역 내에 머물고 있는, 또 다른 스마트폰 사용자의 정보를 취득하여, 원하는 상대에게, 채팅신청, 각종 정보 메시지 및 이미지 전달, 친구찾기 등을 행할 수 있도록 한 소셜 네트워크(SNS: Social Network Service)기반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서비스는, 웹을 통해 친구, 동료 등 지인(知人)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킴은 물론, 새로운 인맥 형성을 통해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인간관계)를 구축되도록 함을 주요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예컨대, 단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수단에 불과한 것일 뿐, 상업적 이윤창출 위한 새로운 수익모델로서의 방안은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아울러, 사용자가 요구하는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 내지 활용 방안 또한 마련하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스마트기술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별개의 오프라인 분야, 예컨대, 시, 소설, 희곡, 수필, 평론 등과 같이 사상이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한 예술로서의 창작문학분야를 살펴보면, 이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제공을 통해 사고력을 확장되게하고, 공감하기 힘든 현상들을 간접 경험케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그와 같은, 다양한 사람들의 견해를 통해 가치관을 넓히게 하는 등 사회, 문화, 교육, 예술 전반에 걸쳐 융합된 지식을 제공하며, 사람들로 하여금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행한다.
이러한, 문학작품은 통상 지은이 혹은 창작자가 목적하는 바에 대한 사상이나, 감정, 지식 따위 등을 글이나 그림, 사진 등으로 표현하여 종이에 인쇄처리하고, 이를 일정한 분량으로 묶어놓은 책자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이루어진 일반적 도서형태의 문학작품은, 단순한 인쇄물에 불과한 것으로, 이는 단지, 그 인쇄된 글이나 그림, 사진 등을 시각적 형태로 읽고 판단하게 하는 정도에 한정된 것일 뿐, 그외, 또 다른 흥미 유발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이용상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있어서는, 정보통신 및 반도체 기술의 눈부신 발전, 즉, 스마트폰의 급속한 이용량 증가에 따라 그에 부합하는 첨단기술, 예컨대, 특허공개 제2012-0076485호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등과 같은 다수의 전자책 관련 기술들이 널리 보급, 상용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전자책이라 함은, 문자, 그림, 사진 등의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전자 기록매체에 수록하고, 이와 같이, 수록된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그 내용들을 보고들을 수 있도록 한 전자 매체를 의미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선출원 개발기술로서의 전자책 관련 기술들은, 종이에 활자 형태로 인쇄처리되는 글이나 그림, 사진 등의 이미지를 단순히, 전자적인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를,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의 모니터를 통해 전자화된 형태로 디스플레이되게 하고, 여기에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그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내용을 단지 음성정보로 출력 제공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일 뿐, 그외 제공되는 기능에 있어서는, 상기 종이 책자 형태로 출판되는 일반적인 도서와 비교하여 볼 때, 단지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 방식이라는 출력 상의 차이로서, 유저들 기대심리를 충족시키에는 극히 한정적일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책은 정형화된 특정 창작자의 독점적 저작물에 한정된 것뿐 사용자 선택에 따른 수록내용의 임의적 수정이나 일부 문맥의 추출, 그리고, 편집 등의 작업은 전혀 불가함은 물론, 단순 전자책 이라는 용도이외에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와 병합 혹은 연동되며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서비스로 응용되거나 확장될수 없는 극히 제한된 활용성의 문제점이 그 대표적인 일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온라인 서비스에서 기대할 수 없는 디지털 여행기록 및 창작문학집 생성에 관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문학과, 여행, 그리고 스마트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개념의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로서,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 방문한 여행지역의 관광명소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실시간 촬영하고, 촬영된 관광명소의 이미지 또는 동영상 파일에 해당 관광명소와 관련된 문학작품, 예컨대, 시 나 소설, 혹은 수필 등을 통해 관광명소를 은유 내지 감성적으로 표현한 문학작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텍스트 정보로 발췌하여 합성 편집하며, 아울러, 그 관광명소의 이름과 지역, 관광명소에 대한 설명, 그리고, 방문날짜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편집 입력하여 각 여행지별 방문기록파일을 형성하고, 재차, 이와 같이 형성된 각 여행지별 방문기록파일을 디지털 앨범형태로 엮어 독창적인 자신만의 창작문학집을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충족시키고, 여행기록물 관리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감성을 자극하는 문학적 표현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수 있도록 한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장착문학집을 생성함에 있어, 관광명소에 대한 이미지(동영상)를 여행자 스스로 창안한 구도와 기법에 맞추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동영상) 파일로 합성 편집되는 문학작품, 예컨대, 시 나 소설, 혹은 수필 등의 글 또한, 여행자 자신의 성향 내지 감성에 따라 직접 창작 집필하여 입력하게하며, 이후, 그와 같이, 창작이미지(동영상)와 창작글로 이루어진 디지털 창작문학집을 카카오톡이나 메신저, 트위터 등의 SNS를 통해 지인에게 이모티콘 형태로 선물하거나, 혹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등재하여 그 디지털 창작문학집에 관심을 보이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유료 판매함으로서 새로운 의미의 재테크, 예컨대,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SNS를 통해 확산 배포된 디지털 창작문학집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과 반응을 기반으로 사진작가 또는 문학작가로 데뷔할 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정보 시스템(GPS), 지리정보 시스템(GIS), 관광정보시스템, 문학정보시스템, 스마트폰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연동된 새로운 개념의 문학콘텐츠 기술로서, 여행자가 머물고 있는 특정 관광명소에 대한 상세정보, 예컨대, 해당 관광명소의 이름과 지역, 관광명소의 상세 해설정보, 그리고, 그 명소와 관련된 문학정보를 증강현실과 접목된 형태로 실시간 제공하고, 그와 같이 제공된 정보의 선택적 추출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정보와 합성 편집하여 여행기록이 포함된 자신만의 독창적 디지털 문학집을 생성하게 함으로서, 여행과 문학, 그리고 스마트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개념의 증강현실, 예컨대, 온라인을 통한 복합적 정보의 획득과 공유, 그리고, 효율적인 정보관리공간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한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자동정보처리부, 프로그램 관리부, 관광정보 관리부, 문학정보 관리부, 지리정보 관리부, 증강현실 콘텐츠관리부로 구축된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
그리고, 상기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로부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위치정보(GPS)기반의 디지털 창작문학집을 편집 생성하는 여행자 스마트단말로 이루어지게 하여 달성한다.
또한, 상기 일련의 시스템구성을 이용하여 사전이용 신청단계와,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와, 여행지정보 안내단계와, 여행지 촬영준비단계와, 피사체 정보추출단계와,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와,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와, 문학집 장착단계와, 문학집 배포이용단계를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방문 여행지의 관광명소를 이미지(동영상) 정보로 촬영하고, 촬영된 관광명소의 이미지(동영상) 파일에 해당 관광명소와 관련된 문학작품의 글을 텍스트 정보로 합성 편집하며, 아울러, 그 관광명소의 이름과 지역, 관광명소에 대한 설명, 그리고, 방문날짜 등의 정보를 선택적으로 더 편집 입력하여 각 여행지별 방문기록파일을 형성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각 여행지별 방문기록파일을 디지털 앨범형태로 묶어 독창적인 자신만의 창작문학집을 생성되게 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이용 만족도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여행기록물 관리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감성을 자극하는 문학적 표현을 통해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관광명소에 대한 이미지(동영상)를 여행자 스스로 창안한 구도와 기법에 맞추어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동영상) 파일로 합성 편집되는 문학작품, 예컨대, 촬영된 관광명소와 연관된 글 또한, 여행자 자신이 직접 창작 입력하게하며, 그와 같이, 창작이미지(동영상)와 창작글로 이루어진 디지털 창작문학집을 카카오톡이나 메신저, 트위터 등의 SNS를 통해 지인에게 이모티콘 형태로 선물하거나, 혹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등재하여 그 등재된 디지털 창문학집에 관심을 보이는 유저를 대상으로 유료 판매를 행할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새로운 의미의 재테크로서 경제적 수익창출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더 나아가 SNS를 통해 확산 배포된 디지털 창작문학집에 대한 유저들의 관심과 반응을 기반으로 사진작가 또는 문학작가 등과 같은, 전문 창작자로 데뷔할 수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은, 위치정보 시스템(GPS), 지리정보 시스템(GIS), 관광정보시스템, 문학정보시스템, 스마트폰 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집합 연동된 새로운 개념의 문학콘텐츠 기술을 이용하여 여행자가 현재 머물고 관광명소의 이름과 지역, 관광명소에 대한 해설, 그리고, 그 관광명소와 관련된 문학정보를 증강현실과 접목된 형태로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제공하고, 그와 같이 제공된 정보의 선택적 추출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이미지 또는 영상정보와 합성 편집하여 여행기록이 포함된 자신만의 독창적 디지털 문학집을 생성되게 한 것으로, 이는, 여행과 문학, 그리고 스마트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로서, 온라인을 통해 그들 여행과 문학에 대한 복합적 정보를 획득 공유하고, 그러한, 획득정보를 자신만의 고유한 창작물로 편집 생성하여 효율적인 관리 또한 이루어질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을 먼저 살펴보면, 이는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 그리고,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스템구성에 있어 먼저, 상기 첫 번째,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필수 운영주체 구성인바, 이와 같은,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는, 일반적인 컴퓨터CPU에 해당하는 자동정보처리부(11)와, 후술하는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생성관리하는 프로그램 관리부(12)와, 지역별,도시별,계절별,테마별로 구분된 관광지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관광정보 관리부(13)와, 상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문학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문학정보 관리부(14)와, 상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맵 정보를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지리정보 관리부(15)와, 상기 지리정보와 매칭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설계,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콘텐츠관리부(16)를 구축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 두 번째,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은, 전술한,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에 의해 제공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일종의 서비스 전용프로그램 구성인바, 이와 같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은 신상정보입력과 본인인증, 예컨대,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주민번호 등의 입력과 더불어, 아이디 및 비밀번호,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명인증 등을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을 서비스 이용회원으로 가입하게 하는 이용신청 등록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여부(온/오프)를 제어하는 어플실행 단속모드(221)와, 후술하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의 모니터를 통해 여행자가 현재 머물고 있는 지역의 실시간 맵(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하는 위치안내모드(222)와, 디스플레이되는 맵 화면상에 주변 관광명소 명(이름)을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하는 관광명소 식별모드(223)와,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되는 관광명소의 상세 이용정보를 멀티미디어정보, 예컨대, 이미지정보, 동영상정보, 음성정보, 텍스트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 또는, 두개 이상의 정보를 병합된 형태로 더 출력 제공하는 관광명소 이용정보 안내모드(224)로 이루어진 서비스 프로그램 실행선택부(22)를 형성하며;
재차, 후술하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에 기본 설치된 카메라를 증강현실 카메라로 변환시키는 카메라 설정모드(231)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타이틀을 표시하는 피사체 기초정보 표시모드(232)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와, 피사체 기초정보 표시모드(232) 및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텍스트파일로 편집하여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와, 증강현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파일에 상기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에 임시저장된 피사체의 텍스트정보를 합성 편집하여 하나의 갤러리파일을 생성 저장하는 촬영정보 저장모드(235)로 이루어진 여행기록앨범 생성부(23)를 형성하고,
여기에, 더하여,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타이틀과 연관된 문학작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학작품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선택하는 문학자료 검색모드(241)와, 선택된 문학자료를 텍스트파일로 편집하는 문학자료 편집모드(242)와, 편집된 문학자료를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와,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된 문학자료를 상기 갤러리파일에 합성시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생성하는 문학자료 매칭모드(244)로 이루어진 창작문학집 생성부(24)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있어, 세 번째,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본 발명에 따른 문학창작 서비스를 제공받기 희망하는 불특정 다수의 스마트단말 모두들 잠재적 대상으로 하는 것인바, 이와 같은, 여행자 스마트단말(3)을 본 발명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로부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다운받아 설치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시스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그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별화된 형태의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일련의 방법적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의 순서도로서, 이를 참고로하여 일련의 방법적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이는, 사전이용 신청단계(S1)와,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S2)와,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S3)와, 여행지정보 안내단계(S4)와, 여행지 촬영준비단계(S5)와, 피사체 정보추출단계(S6)와,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와,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S8)와, 문학집 장착단계(S9)와, 문학집 배포이용단계(S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사전이용 신청단계(S1)는,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로 하여금, 프로그램 관리부(12)를 통해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온라인 배포하게 하여 여행자 스마트단말(3)의 선택에 따라 다운받아 설치하게하고, 설치된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이용신청 등록부를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을 서비스 이용회원으로 가입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S2)는,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로 하여금, 지역별, 도시별, 계절별, 테마별 구분으로 관광지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 편집하여 관광정보 관리부(13)에 빅데이터로 저장하게하고, 상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문학정보, 예컨대, 여행 또는 여행명소와 관련된 다양한 작가들의 시와 수필, 그리고, 소설 등의 문학자료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하여 문학정보 관리부(14)에 빅데이터로 저장하게하며, 재차,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맵 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하여 지리정보관리부(15)에 빅데이터로 저장하게하고, 여기에 더하어, 지리정보와 매칭되는 증강현실 정보, 예컨대, 여행명소에 대한 타이틀및 상세설명 등을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로 나타내는 방식의 증강현실 프로그램을 설계 및 편집하여 증강현실 콘텐츠관리부(16)에 빅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S3)는,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로 하여금, GPS위성신호에 의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의 위치를 파악하게하고, 파악된 위치정보에 의해 여행중일 것임을 자동으로 예측 분석, 예컨대, 서비스 이용회원으로 가입된 여행자 스마트단말(3) 주소지정보가 서울이고, 평상시 서울지역에 머물고 있음이라 감지되던 그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어느날 강원도 지역으로 이동하였음으로 감지될 경우,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는 그 강원도 지역으로 이동된 여행자 스마트단말의 실시간 상황을 예측 정보로 활용, 어플실행 단속모드(221)를 통해 실시간 메세지를 전송, 예컨대, 강원도 지역으로 이동한 사용자 스마트단말(3)에게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실행할 것이냐 말것이냐의 유무 뭍고 선택하게 하는 방식의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행지정보 안내단계(S4)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 유를 선택하면, 그 선택에 맞추어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는,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위치안내모드(222)를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 모니터에 그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위치하고 있는 관광 지역의 맵(지도) 화면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제공하고, 관광명소 식별모드(223)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맵 화면 상에 관광명소 명(이름), 예컨대, 설악산 울산바위, 창녕 우포늪 등과 같은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제공하며, 재차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상기 중첩 표시되는 관광명소 명(이름)을 선택 터치하면,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1)는 여행정보 안내모드(224)에 의해 상기 터치 선택한 관광명소의 상세 이용안내, 예컨대, 입장요금, 입장시간, 관람안내, 교통안내 등을 멀티미디어정보로 더 노출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행지 촬영준비단계(S5)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으로 마련된 카메라 설정모드(231)를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기본 설치된 일반카메라 기능을 증강현실 카메라 기능으로 변환하게 하고, 이후, 촬영하고자 하는 여행지의 피사체를 상기 변환된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지도록 하여, 그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증강현실 기반의 멀티미디어정보로 식별 판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사체 정보추출단계(S6)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를 통해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상세 해설정보, 예컨대, 그 피사체가 강릉 경포대일 경우, 그 경포대의 역사와 유래, 기타 전설 등 관한 해설과, 그 피사체가 위치하는 지역명, 그리고, 피사체에 대한 촬영날짜를 텍스트 정보로 더 추출하고, 추출된 피사체의 상세 텍스트 해설정보를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에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여행지의 피사체를 촬영하게하고,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에 증강정보 보관모드(234)로 임시 저장된 피사체에 대한 텍스트정보를 삽입 병합시켜 하나의 갤러리파일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S8)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검색모드(241)에 의해 촬영대상 피사체와 연관된 시, 수필, 소설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검색하게하고, 검색된 문학작품을 문학자료 편집모드(242)를 통해 불러오기 하여 문학작품의 전체문구와 문학작품의 일부 문구 중 어느 하나의 문구, 예컨대, 문학작품이 비교적 짧은 문장으로 이루어진 시에 해당하는 경우 그 시의 전체문구, 또는, 수필이나 소설처럼 그 문장이 방대한 경우, 그중 일부 문장 정도만을 택일 추출하여 텍스트파일로 편집하며,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을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에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문학집 창작단계(S9)는,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매칭모드(243)를 통해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된 문학작품을 상기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를 통해 형성된 갤러리파일에 매칭 합성시키게 하여, 여행지 촬영이미지와 그 촬영이미지와 연관된 문학자료가 접목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형성토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문학집 배포이용단계(S6)는, 문학집 창작단계(S9)를 통해 형성된 문학지 파일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소셜미디어 플램폼에 전송 업로드하여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과 공유하고, 지인들의 스마트폰에 이모티콘 형태의 파일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과정으로 이루지게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을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일련의 단계별 과정에 있어, 상기 문학집 장착단계(S9)를 통해 형성되는 문학지파일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져 촬영된 여행지의 피사체를 배경이미지로 하여, 상기 배경이미지에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이 중첩 표시되고, 상기 배경이미지 일측면에 촬영된 피사체의 타이틀과 상세설명, 촬영날짜, 그리고, 그 피사체가 위치하는 지역명이 텍스트 정보로 더 중첩 표시되어 형성되며;
여기서, 특히 상기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은, 여행지 피사체와 매칭되는 시나 수필, 또는 소설 중 어느 하나의 편집 작품으로 이루어지고,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여행지별 피사체 이미지로 형성된 개별 문학지파일을 다수개의 디지털 책자파일로 엮어, 여행정보가 기록된 한권의 디지털 문학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의 이실시예로서, 이와 같은 이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로서의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S8)를 행함에 있어,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문학집 생성부(24)로 마련된 문학자료 편집모드(242)를 통해 피사체와 연관된 시, 수필, 소설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새롭게 창작, 예컨대, 여행자 스마트단말(3) 스스로 직접 집필한 문학작품을 편집 입력하게하고, 그와 같이, 집필 입력된 문학작품을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에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 보관하게 하며;
아울러, 문학집 장착단계(S9)를 행함에 있어서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매칭모드(243)를 통해 상기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된 집필 문학작품, 예컨대,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직접 창작한 문학작품을, 일실시예에 있어,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를 통해 형성된 갤러리파일에 매칭 합성시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 : 문학창작 서비스 운영서버 2 : 장착가이드 어플리케이션
3 : 여행자 스마트단말 S1 : 사전이용 신청단계
S2 :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 S3 :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
S4 : 여행지정보 안내단계 S5 : 여행지 촬영준비단계
S5 : 피사체 정보추출단계 S6 :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
S8 :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 S9 : 문학집 장착단계
S10 : 문학집 배포이용단계(S10)로 이루어진다.

Claims (5)

  1. 자동정보처리부(11)와 프로그램 관리부(12)가 마련된 것을 포함하며, 여기에 지역별,도시별,계절별,테마별로 구분된 관광지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관광정보 관리부(13)와, 상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문학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문학정보 관리부(14)와, 상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맵 정보를 수집,분석,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지리정보 관리부(15)와, 상기 지리정보와 매칭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설계,편집,저장하여 빅데이터로 제공하는 증강현실 콘텐츠관리부(16)를 더 구축한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
    상기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로부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설치된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이용하여 위치정보(GPS)기반의 디지털 창작문학집을 편집 생성하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이루어진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은, 신상정보입력과 본인인증을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을 서비스 이용회원으로 가입하게 하는 이용신청 등록부(21)를 포함하며;
    상기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여부를 제어하는 어플실행 단속모드(221)와, 여행자 스마트단말(3)의 모니터를 통해 여행자가 현재 머물고 있는 지역의 실시간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하는 위치안내모드(222)와, 디스플레이되는 맵 화면상에 주변 관광명소 명을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하는 관광명소 식별모드(223)와,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되는 관광명소의 상세 이용정보를 멀티미디어정보로 더 출력 제공하는 관광명소 이용정보 안내모드(224)로 이루어진 서비스 프로그램 실행선택부(22);
    여행자 스마트단말(3)에 기본 설치된 카메라를 증강현실 카메라로 변환시키는 카메라 설정모드(231)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타이틀을 표시하는 피사체 기초정보 표시모드(232)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상세 정보를 표시하는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와, 피사체 기초정보 표시모드(232) 및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를 통해 표시된 정보를 텍스트파일로 편집하여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와, 증강현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의 이미지파일에 상기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에 임시저장된 피사체의 텍스트정보를 합성 편집하여 하나의 갤러리파일을 생성 저장하는 촬영정보 저장모드(235)로 이루어진 여행기록앨범 생성부(23);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타이틀과 연관된 문학작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학작품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선택하는 문학자료 검색모드(241)와, 선택된 문학자료를 텍스트파일로 편집하는 문학자료 편집모드(242)와, 편집된 문학자료를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와,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된 문학자료를 상기 갤러리파일에 합성시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생성하는 문학자료 매칭모드(244)로 이루어진 창작문학집 생성부(2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2. 삭제
  3.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에 마련된 프로그램 관리부(12)를 통해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을 온라인 배포하여 여행자 스마트단말(3)에 다운 설치하고, 설치된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이용신청 등록부를 통해 여행자 스마트단말을 서비스 이용회원으로 가입하게 하는 사전이용 신청단계(S1);
    상기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는, 지역별, 도시별, 계절별, 테마별 구분으로 관광지정보를 실시간 수집, 분석, 편집하여 관광정보 관리부(13)에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문학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하여 문학정보 관리부(14)에 빅데이터로 저장하며, 관광지정보와 매칭되는 맵정보를 실시간 수집,분석,편집하여 지리정보관리부(15)에 빅데이터로 저장하고, 지리정보와 매칭되는 증강현실 정보를 설계, 편집하여 증강현실 콘텐츠관리부(16)에 빅데이터로 저장하는 서비스제공정보 통합구축단계(S2);
    상기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는, GPS위성신호에 의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정보에 의해 여행중일 것임을 자동으로 예측 분석하여 어플실행 단속모드(221)에 의한 실시간 메세지 전송을 통해 사용자 스마트단말(3)에게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유무를 선택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선택단계(S3);
    상기 문학창작서비스 운영서버(1)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의 실행 유를 선택하면,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위치안내모드(222)에 의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 모니터에 그 여행자 스마트단말(3)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맵 화면을 디스플레이 정보로 표시하고, 관광명소 식별모드(223)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맵 화면 상에 관광명소 명을 텍스트정보로 중첩 표시하며, 상기 중첩 표시되는 관광명소 명을 선택 터치하면, 여행정보 안내모드(224)에 의해 상기 선택 터치한 관광명소의 상세 이용안내를 멀티미디어정보로 노출 제공하는 여행지정보 안내단계(S4);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으로 마련된 카메라 설정모드(231)에 의해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기본 설치된 일반카메라 기능을 증강현실 카메라 기능으로 변환하고, 촬영하고자 하는 여행지의 피사체를 상기 변환된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 피사체 기초정보 표시모드(232)를 통해 피사체에 대한 타이틀 정보를 식별하는 여행지 촬영준비단계(S5);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피사체 상세정보 표시모드(233)를 통해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피사체의 상세 해설정보와 그 피사체가 위치하는 지역명, 그리고, 피사체에 대한 촬영날짜를 텍스트 정보로 더 추출하고, 추출된 피사체의 상세 텍스트 해설정보를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증강정보 보관모드(234)에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피사체 정보추출단계(S6);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진 여행지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사체 이미지에 증강정보 보관모드(234)로 임시 저장된 피사체에 대한 텍스트정보를 삽입 병합시켜 하나의 갤러리파일을 형성하는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검색모드(241)에 의해 촬영대상 피사체와 연관된 시, 수필, 소설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학작품을 문학자료 편집모드(242)를 통해 불러오기 하여 문학작품의 전체문구와 문학작품의 일부 문구 중 어느 하나의 문구를 택일 추출하여 텍스트파일로 편집하며,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을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에 임시파일로 저장 보관하는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S8);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매칭모드(243)를 통해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된 문학작품을 상기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를 통해 형성된 갤러리파일에 매칭 합성시켜 여행지 촬영이미지와 그 촬영이미지와 연관된 문학자료가 접목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형성하는 문학집 장착단계(S9);
    상기 여행자 스마트단말(3)은, 문학집 창작단계(S9)를 통해 형성된 문학지 파일을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 소셜미디어 플랫폼에 전송 업로드하여 불특정 다수의 유저들과 공유하고, 지인들의 스마트폰에 이모티콘 형태의 파일로 전송하여 공유하는 문학집 배포이용단계(S6)를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학정보 추출편집단계(S8)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문학집 생성부(24)로 마련된 문학자료 편집모드(242)를 통해 피사체와 연관된 시, 수필, 소설 중 어느 하나의 문학작품을 직접 집필하여 편집 입력하고, 집필 입력된 문학작품을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정보 보관모드(243)에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 보관하며;
    문학집 장착단계(S9)는, 여행자 스마트단말(3)로 하여금, 창작가이드 어플리케이션(2)에 마련된 문학자료 매칭모드(243)를 통해 상기 임시 텍스트파일로 저장된 집필 문학작품을 여행기록파일 창작단계(S7)를 통해 형성된 갤러리파일에 매칭 합성시켜 하나의 문학지파일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학집 장착단계(S9)를 통해 형성되는 문학지파일은, 증강현실 카메라 앵글에 맞추어져 촬영된 여행지의 피사체를 배경이미지로 하여, 상기 배경이미지에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이 중첩 표시되고, 상기 배경이미지의 일측면에 촬영된 피사체의 타이틀과 상세설명, 촬영날짜, 그리고, 그 피사체가 위치하는 지역명이 텍스트 정보로 더 중첩 표시되며;
    상기 텍스트파일로 편집된 문학작품은, 촬영된 여행지의 피사체와 매칭되는 시와, 수필과, 소설 중 어느 하나의 편집 작품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다른 여행지별 피사체 이미지로 형성된 개별 문학지파일을 다수개의 디지털 책자파일로 엮어, 여행정보가 기록된 한권의 디지털 문학집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서비스 방법.













KR1020190151791A 2019-11-24 2019-11-24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248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91A KR102248676B1 (ko) 2019-11-24 2019-11-24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791A KR102248676B1 (ko) 2019-11-24 2019-11-24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676B1 true KR102248676B1 (ko) 2021-05-04

Family

ID=7591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791A KR102248676B1 (ko) 2019-11-24 2019-11-24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6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02A (ko) * 2014-02-07 2015-08-19 (주)제이앤씨마케팅커뮤니케이션 증강 현실을 이용한 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3902A (ko) * 2014-02-07 2015-08-19 (주)제이앤씨마케팅커뮤니케이션 증강 현실을 이용한 투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2022239A (ja) デジタル画像を公開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2388442B1 (ko) 증강현실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US20110231745A1 (en) Slideshow creator
Hoelzl et al. Google Street View: navigating the operative image
Appan et al. Communicating everyday experiences
Niebling et al. 4D augmented city models, photogrammetric creation and dissemination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KR101850501B1 (ko) 역사 컨텐츠 제공 시스템
JP20051966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248676B1 (ko) 여행기록 정보를 포함하는 창작문학집 생성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Hamilton OurPlace: The convergence of locative media and online participatory culture
US2023007518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ntent from creation to consumption
Lucero et al. Image space: capturing, sharing and contextualizing personal pictures in a simple and playful way
Lu et al. Location-based applications using analog maps for sustainable local tourism information services
JP20051966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TW201303699A (zh) 連結地圖軌跡與多媒體資訊的電腦可讀取式指令、圖形化使用者介面及系統
Prechtel et al. Cultural heritage in a spatial context–towards an integrative, interoperable, and participatory data and information management
Lin et al. The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oblique photography technology in online tourism design
KR102145436B1 (ko) 콘텐츠 연계 이미지 제공 프로그램, 이를 이용한 커뮤니티 제공 시스템
KR20200022995A (ko) 콘텐츠 제작 시스템
Bollini et al. I wish you were here. Designing a geostorytelling ecosystem for enhancing the small heritages’ experience
JP20051966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Prawitasari et al. Domination of Editorial Ideology on Instagram based on Hybrid Media System
JP200519661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NAGAKURA et al. Capturing with Community: An Online Collaboration Platform for Cultural Heritage Pract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