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754Y1 -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754Y1
KR200371754Y1 KR20-2004-0026795U KR20040026795U KR200371754Y1 KR 200371754 Y1 KR200371754 Y1 KR 200371754Y1 KR 20040026795 U KR20040026795 U KR 20040026795U KR 200371754 Y1 KR200371754 Y1 KR 200371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er
record
rom
memory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7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록
Original Assignee
최성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록 filed Critical 최성록
Priority to KR20-2004-00267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7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7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Abstract

본 고안은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인 MP3 플레이어의 통신용 USB 포트에 연결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발매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ROM; 및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음반을 대체하여 MP3 음악 파일로 이루어진 음반을 제작 판매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으로 음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식 사운드 인코딩 기술의 발달로 무단 복제 가능한 것을 홀로그램, 워터마크 또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 등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이용하여 제작하여 무형으로 무단 유통되고 있는 음악을 유형화하여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영구히 보관할 수 있고, 각종 미디어 음반을 대체할 차세대 미디어 음반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 음반 {Cartridge Plug-In Memory Type MP3 Player Record}
본 고안은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인 MP3 플레이어의 통신용 USB 포트에 연결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도록 발매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관한 것이다.
MP3(MPEG-1 Audio Layer-3)는 오디오 데이터(Audio Data)의 압축 기술로서 영상 압축 기술인 엠펙(MPEG;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의 파일 포맷(File Format)에서 사운드 부분만을 추출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통 CD(Compact Disk)에 있는 음악 파일의 크기는 30 내지 50 메가바이트(MB; Mega-Byte) 정도이지만, MP3 기술을 이용하면 음질을 기존의 CD와 거의 같은 수준으로 유지하면서도 데이터 용량을 CD에 있는 음악 파일 크기의 약 12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다. 이렇게 줄인 음악 파일의 크기는 불과 한 곡에 2 내지 5 메가바이트에 불과해 여러 가지 CD 상에서 좋아하는 곡들을 MP3 음악 파일로 추출하여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인 MP3 플레이어(Player)로 음악을 즐길 수 있게 되었고,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고품질 음악을 타인과 쉽게 주고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이제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도 MP3로 만들어진 파일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고, 네티즌(Netizen)들에게도 인기있는 아이템(Item)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십만 곡의 음악 파일을 제공하고 있는 MP3 관련 홈페이지(Homepage)가 요즘 전세계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데, 약 1시간 분량의 음악 CD 전체를 MP3 음악 파일로 추출하면 네트워크를 통해서 수 분 내에 다운로드(Download)할 수 있기 때문에, MP3 음악 파일이 음반의 배포 및 판매 방법에 있어 일대 변혁을 가져올 것으로 예견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MP3 음악 파일이 인터넷 상의 자료실에 등록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네티즌들이 MP3 음악 파일을 자신의 컴퓨터로 다운로드 받고, 다른 네티즌들과 MP3 음악 파일을 서로 교환하기 시작하면서 사회적 문제화가 되기 시작하였다. 더욱이 인터넷 상의 자료실에 최신 발매된 곡들의 MP3 음악 파일까지 등록됨에 따라 그 문제는 더욱 심화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일부 네티즌들과 저작권 전문가들 사이에서 MP3 음악 파일의 유통이 저작권을 침해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되어 MP3 음악 파일의 저작권 문제가 공론화되었다.
현행법상 발매된 음반으로부터 MP3 음악 파일을 추출하는 행위가 저작권을 침해하는지의 여부는 이 MP3 음악 파일을 어떻게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다. 자신이가지고 있는 음반으로부터 원하는 곡만을 선별하여 MP3 음악 파일로 추출하여 자신의 컴퓨터 또는 MP3 플레이어에 저장하여 이를 감상하는 것은 저작권법 제27조에 의해 "공표된 저작물을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아니하고 개인적으로 이용하거나 가정 및 이에 준하는 한정된 범위 안에서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이용자는 이를 복제할 수 있다."에 해당되어 사적 이용을 위한 복제로서 허용된다. 저작권법은 저작권자의 복제권을 일정한 범위에서 제한하는 규정들을 두고 있는데, 이른바 공정 이용(Fair Use)에 해당하는 규정들로 이들 규정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저작권의 침해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자신의 음반이나 친구의 음반을 빌려 원하는 곡을 MP3 음악 파일로 추출하여 자신의 컴퓨터 또는 MP3 플레이어에 복제하여 저장하고 감상하는 것도 저작권 침해로 보지 않는다.
그러나, 이렇게 추출한 MP3 음악 파일을 인터넷에 올리거나, 판매하는 등 타인에게 복제, 배포 또는 전송하는 것은 저작권법 제97조의 5에 의해 "저작재산권 그 밖의 이 법에 의하여 보호되는 재산권 권리를 복제, 공연, 방송, 전시, 전송, 배포, 2차적 저작물 작성의 방법으로 침해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하거나 이를 병과할 수 있다."에 해당되어 권리의 침해죄로서 저작권을 침해한 것으로 보므로 저작권 침해의 책임을 져야하는 결론에 이른다.
상기와 같이 추출한 MP3 음악 파일을 인터넷에 업로드(Upload)하거나 판매하는 등 타인에게 복제, 배포 또는 전송하는 행위가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저작권법에는 저촉된다. 하지만 상기의 행위가 공정 이용의 법리를 적용 받을 수는 없는가 하는 의문이 생길 수가 있다. 저작권법은 제1조에서 "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의 향상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는 저작권법의 목적을 규정하고 있어 저작권법 상으로 열거된 공정 이용 규정 이외에도 공정 이용 법리가 적용될 여지를 남기고 있다.
미국 저작권법의 경우 구체적인 예시 규정 대신에 명시적으로 공정 이용에 관한 일반 규정을 두고 그 기준으로 4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용의 목적과 성격(영리적 목적인지의 여부), 저작물의 성질(상업적 저작물성인지의 여부), 이용량과 상당성(저작물의 일부이냐 중요부분 내지 전부이냐), 잠재적 시장과 가치에 미치는 영향(당해 저작물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 등이다. 이러한 기준에 비추어 볼 때 영리적 목적으로 MP3 음악 파일을 인터넷에 업로드하거나, 판매하는 등 타인에게 복제, 배포 또는 전송하는 행위는 당연히 저작권 침해이며, 비영리적 목적으로 상기와 같은 행위를 한다고 하더라도 MP3 음악 파일은 상업용으로 판매되는 음반에서 곡을 추출하는 것이라는 점, 한 트랙(Track)의 일부가 아니라 완전한 하나의 곡을 추출한다는 점, 동일한 내용의 MP3 음악 파일이 인터넷 상을 통하여 배포됨으로써 음반의 판매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에 공정 이용으로 보기에 어려운 점이 많다.
그러한 이유로 네트워크 업체들은 저작권 시비에 휘말리는 것을 막기 위해 인터넷 상에 무단으로 올라온 MP3 음악 파일들을 삭제하고, 한국음악저작권협회와 라이센스(Licence) 계약을 맺은 업체들로 하여금 한 곡당 일정한 저작권료를 지불하는 방법으로 MP3 음악 파일을 네티즌들에게 서비스할 수 있도록 하는 「국내PC(Personal Computer) 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한 음악 저작물의 이용에 관한 기준」을 새로 제정, MP3 음악 파일 제공 서비스가 공식적으로 이뤄지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인터넷은 무료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MP3 음악 파일의 유료화에 따른 거부감과 곡당 300원 내지 1,000원이라는 비용상의 문제, 그리고 일부 음반 제작사들이 음반 판매량의 감소를 우려해 상업용 MP3 음악 파일을 만드는 것을 꺼려 서비스 제공되는 곡의 수가 제한되는 등 MP3 음악 파일 유료 서비스 업체들은 당초 기대치를 밑도는 저조한 이용률로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MP3 음악 파일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는 아날로그 데이터(Analog Data)와 달리 무한 복제가 가능하면서도 반복 복제에 따른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 등의 저작권이 쉽게 침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복제 방지 시스템(System)으로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Algorithm),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또는 3자 인증 시스템(System)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과 데이터 방식 사운드 인코딩(Sound Encoding) 기술의 발달로 A/D(Analog to Digital) 변환, D/A(Digital to Analog) 변환 또는 출력 데이터 캡춰(Capture) 등의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음반의 무단 복제 뿐만 아니라 무한 복제까지 가능하게 되어 앞으로도 많은 저작권 침해가 예상되고 있고, 음반 시장 전체를 장기적인 불황 상태로 접어들게 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음반 시장도 소형 MP3 플레이어의 범용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청취 환경의 변화, 즉 CD를 재생할 수 있는 기기인 CD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로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면서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종래의 CD 플레이어용 음반 매체를 대용할만한 MP3 플레이어용 음반 매체의 부재(不在)로 이어져 소비자들로 하여금 저작권 침해를 감수해 가면서 인터넷 상에서 음악을 내려 받도록 강제한 측면이 있다.
더욱이, MP3 플레이어 기능을 탑재한 휴대폰의 생산에 따라 이러한 청취 환경의 변화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며, 이에 따른 음반사들과 휴대폰을 비롯한 MP3 플레이어 생산자들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음반을 대체하여 MP3 음악 파일로 이루어진 음반을 제작하여 판매함으로써 기존 음반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음반을 제공하고, CD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로 변화되어 가는 소비자들의 청취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며, 데이터 방식 사운드 인코딩 기술의 발달로 무단 복제 가능한 것을 홀로그램(Hologram), 워터마크(Watermark) 또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 등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이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저작권을 보호하고, 영구히 보관할 수 있으며, 무형으로 무단 유통되고 있는 음악을 유형화하여 음반의 저작권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각종 미디어 음반을 대체할 차세대 미디어 음반으로서 활용 가능한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ROM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MP3 플레이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110 : ROM
120 : USB 커넥터 200 : 워터마크 인식부
210 : 홀로그램 인식부 220 : 불법 복제 방지 장치
230 :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 400 : MP3 플레이어용 음반
500 : 본체 510 : 플래쉬 메모리
520 : 메모리 슬롯 530 : 하드락
540 : 하드락 슬롯 550 : MP3 플레이어
560 :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ROM(110); 및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USB 커넥터(120)를 포함하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일측에 중공 형성된 메모리 슬롯(520)과, 일측에 중공 형성된 하드락 슬롯(540)과,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USB 커넥터(120)를 구비하는 본체(500); 상기 본체(500)의 상기 메모리 슬롯(52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플래쉬 메모리(510); 및 상기 본체(500)의 상기 하드락 슬롯(54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의 락 기능을 체크하는 하드락(530)을 포함하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블럭 구성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은 제어부(100), ROM(Read Only Memory: 110), USB 커넥터(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120)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하여 MP3 음악 파일이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MP3 플레이어는, MP3 형식으로 되어 있는 음악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MP3 음악 파일만을 재생할 수 있는 기기 이외에 MP3 휴대폰 등과 같이 MP3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을 구비한 모든 기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MP3 플레이어는 CD 수준의 음질을 가지고 있고, 인터넷 등 통신이 발달하면서 확산되기 시작했으며,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해 음악을 저장하기 때문에 기존의 워크맨이나 CD 플레이어보다 크기가 작다.
ROM(110)은 본체에 내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며,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메모리(Memory)이다. ROM(110)은 주로 시스템(System)이 필요한 내용을 제조 단계에서 기억시킨 후 사용자는 오직 기억된 내용을 읽기만 하는 장치로 영구적 또는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이 중단되어도 기억된 내용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비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라고도 한다.
ROM(110)은 내부에 데이터를 써넣는 방법과 횟수에 따라서 Mask ROM(마스크 롬)과 PROM(피롬: Programmable ROM)으로 나누어진다. Mask ROM은 제작자가 생산할 때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서, 기억 데이터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가지는 얇은 막인 마스크를 변화시켜 제작하여, 제조 단계에서 한번 기록시킨 내용을 사용자가 지우거나 임의로 변경시킬 수 없고, 오직 읽기만 할 수 있는 ROM이다. PROM은 사용자가 ROM 프로그램 장치인 ROM 라이터(Writer)를 이용하여 내부에 데이터를 써넣을 수 있도록 만든 ROM이다.
PROM은 다시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으로 나누어진다. OTPROM은 아무 내용이 들어있지 않은 빈 상태로 제조되어 공급되고, 사용자가 ROM 라이터를 이용하여 내용을 써넣을 수 있는 ROM을 말한다. 그러나, 한번 들어간 내용은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없어 1회에 한해서 새로운 내용으로 변경할 수 있는 ROM이다. 그 이유는 PROM 모듈(Module)의 각 비트(Bit)는 퓨즈(Fuse)이기 때문이다. 한번 쓴 메모리를 다시 쓰면 퓨즈가 끊어져 모듈의 데이터를 모두 날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EPROM은 필요할 때마다 기억된 내용을 지우고 다른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ROM이다. 내용을 바꾸기 위해서 ROM 라이터를 사용하며, ROM에 새로운 내용을 쓸 때는 레이저(Laser)를 사용한다.
EPROM은 그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내용을 어떻게 지우는지에 따라서 UVEPROM(Ultra Violate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EEPROM(ElectricallyErasable Programmable ROM)으로 구분한다. UVEPROM은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형태의 ROM이다. 칩(Chip) 중앙부에 동그란 유리창이 놓여 있고 그 창 안을 들여다보면 은색 사각형 모양의 반도체 다이(Die)를 볼 수 있는데, 여기를 통해서 일정시간 자외선을 쏘여주면 내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지워지고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ROM에 기록된 내용을 지우기 위해서는 내부에 자외선을 방사하는 램프(Lamp)를 가지고 있는 ROM 이레이저(Eraser)를 사용하며, 내용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ROM 라이터를 사용한다. OTPROM의 단점인 단 한번의 기록성을 보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ROM으로, 평상시에는 동그란 창에 빛을 투과하지 않는 레이블(Label)을 붙여둔다. 이것은 태양 빛에 포함된 자외선으로부터 ROM의 내용을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EEPROM은 UVEPROM이 자외선을 쏘여서 내용을 지우는 반면, 전기적으로만 지울 수 있는 PROM으로 칩의 한 핀(Pin)에 전기적 신호를 가해줌으로써 내부 데이터가 지워지게 되어 있는 ROM이다. 따라서, UVEPROM에 있는 동그란 유리창이 없으며, 데이터를 새로 추가하고 지우기 위한 ROM 라이터와 ROM 이레이저가 필요하지 않다. EEPROM은 하나의 장비를 사용해서 쓰고 지우기가 가능하며, 내용을 지움에 있어서도 속도가 빠르다. 또한, 시스템 회로로부터 별도로 꺼낼 필요가 없으며 부분적인 삭제 기능도 지니고 있다. 그러나, UVEPROM에 비해 EEPROM이 훨씬 편리한 점이 많지만, 가격이 월등히 비싸며, 쓰기 및 지우기 속도가 느리다. 또한, EEPROM은 전기를 노출시킴으로서 한번에 1 바이트만 지울 수 있기 때문에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비교하면 매우 비효율적이다.
플래쉬 메모리는 EEPROM의 한 종류로 일반적인 EEPROM과는 달리 블록(Block) 단위로 재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으며, 바이오스(BIOS; Basic Input Output System)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플래시 바이오스라고도 한다. 플래쉬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ROM의 중간적인 위치를 가진다. 평상시에는 ROM의 역할을 하지만 필요에 따라 내부 데이터에 다른 것으로 써넣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엑세스(Excess) 속도가 매우 빠르며, 반도체 메모리이기 때문에 충격에 매우 강하다. 또한, 기계적인 운동 부분이 없어 전력 소모도 매우 적다. 그러나, 가격이 고가인 것이 단점이다.
USB 커넥터(120)는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 송신할 수 있도록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에 결합되는 부재(部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비휘발성 메모리인 ROM(110)에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다.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은 제어부(100)에 의해 독출된다. 독출된 MP3 음악 파일은, 제어부(100)에 의해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로 전송된다. 전송된 MP3 음악 파일은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 의해서 재생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MP3 음악 파일과 같은 디지털 데이터는 무한 복제가 가능하면서도 반복 복제에 따른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등의 저작권이 쉽게 침해된다. 또한, 데이터 방식 사운드 인코딩 기술의 발달로 암호화된 데이터로부터 원래의 데이터를 쉽게 얻어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구비하도록 한 블럭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ROM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은 제어부(100), ROM(110), USB 커넥터(120) 외에, 워터마크 인식부(200), 홀로그램 인식부(210),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 및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 등과 같은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제어부(100)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하여 MP3 음악 파일이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워터마크 인식부(200), 홀로그램 인식부(210),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 등과 같은 불법 복제 방지 수단에 연결하여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워터마크 인식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기본 메모리, 기본 주변 기기 등을 구비한 통상의 마이컴(Micom ; Microcomput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 ROM(110)으로부터 디지털 워터마킹(Digital Watermarking) 기법에 의해 삽입된 워터마크(Watermark)를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워터마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를 통하여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디지털 컨텐츠(Digital Contents)에 워터마크라고 하는 사용자의 ID(Identification)나 자신만의 정보를 삽입시킴으로써 불법적인 복제를 막고, 지적재산권 및 저작권을 보호하며,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워터마킹이란 용어는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그림을 인쇄하는 데서 유래하였다. 지폐의 제작 과정에서 위조 지폐 여부를 가리기 위해 젖어있는 상태에서 특정 정보를 삽입하고, 말린 후 인쇄를 하여 불빛에 비춰 보았을 때 그림이 보이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 중세기에는 군사적인 목적의 통신문이나 비밀 편지에 특수 잉크 또는 약품 등을 사용하여, 받는 쪽에서 특별한 처리를 해야만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미술 작품이나 책의 저자 또는 저작권을 갖고 있는 사람이 자신의 것이라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특별한 방식으로만 볼 수 있도록 실제 작품에 표시해 두는 기술로도 사용하였다. 이때 삽입되는 저작권, 소유 정보나, 원본 여부를 확인할수 있도록 숨겨놓은 데이터, 사용 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의 ID 등의 식별 정보를 워터마크라 한다.
최근 컴퓨터와 네트워크의 발달과 함께 디지털 그림이나 음악, 비디오 등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나 유통으로 인한 지적재산권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복제와 유통은 저작자의 창작 의욕을 상실시키며,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게 되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소유권자의 동의가 없는 불법적 복제를 방지하고 소유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저작권 보호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디지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기술로 암호화 기법이나 방화벽을 이용한 접근 제어 기술이 많이 발전해 왔지만, 한번 암호가 풀린 디지털 컨텐츠는 불법적으로 복사되고 배포될 수 있다. 또 접근이 허가된 사용자에 의해서도 디지털 컨텐츠는 악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최근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 컨텐츠 시장과 전자상거래 등에서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과 소유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디지털 컨텐츠 자체에 소유권 정보를 삽입하여 불법적인 복제나 배포를 막고, 효율적으로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기술인 디지털 워터마킹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디지털 워터마킹 기법은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하여 고전적인 워터마킹의 개념을 그대로 디지털 데이터에 적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단순히 워터마크를 삽입시키는 방법에서 벗어나, 많은 기술적 방법을 이용한 강력한 워터마킹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암호화 기법과 워터마킹 기술들을 적절히 접목시켜더욱 견고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도 개발되고 있다.
홀로그램 인식부(2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본 메모리, 기본 주변 기기 등을 구비한 통상의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ROM(110)에 부착되어 있는, 홀로그래피(Holography)에 의해 실현된 홀로그램(Hologram)으로부터 얻어진 일련 번호가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제어부(100)를 통하여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홀로그래피는 기술적인 면에서 사진과 비슷하지만 영상이 3차원이고,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인다는 데서 큰 차이가 있다. 홀로그래피는 1947년 데니스 가보르(Dennis Gabor)에 의해 고안됐다. 그러나 홀로그래피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간섭성이 있는 빛이 있어야 하는데 당시에는 이러한 광원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용화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1960년대 간섭성을 가진 레이저(Laser)가 발견된 지 2년 후부터 홀로그래피를 실용화하는 방법들이 제안되고 본격적인 연구들이 진행됐지만, 이때 역시 몇가지 기술적인 어려움과 가격 부담으로 인해 실용화되지는 못했다. 게다가, 1970년대에서 1980년대 말까지 반도체 등의 발전으로 홀로그래피에 대한 관심은 줄어들었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어서자 멀티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많은 정보를 기억하고 빠른 데이터 시스템의 전달이 요구됨에 따라 홀로그래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홀로그래피의 원리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선을 2개로 나눠 하나의 빛은 직접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빛은 우리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빛을 기준광(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빛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인 위상차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이때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며, 이때의 간섭 무늬가 스크린에 저장된다. 이러한 간섭 무늬가 저장된 필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저장된 영상을 다시 재현하려면 기록할 때 사용된 광선을 다시 스크린 건판에 쏘아야 한다. 재생 시에 사용하는 광선은 기록 시와 같은 진동수를 가진 파동만이 3차원으로 재현되고, 파장과 위상이 다른 파들은 아무런 효과가 없이 저장된 홀로그램을 통과해 버리기 때문에 기록 시에 사용된 기준광과 반드시 정확히 일치해야 한다. 이러한 홀로그램이 기존의 사진과 다른 점은 저장 시와 재생 시에 같은 광선을 이용해야 한다는 것과 3차원 영상이 재현된다는 것이다.
홀로그램은 물체광의 강도만을 저장하는 2차원 사진과 달리 그 빛의 방향까지 기록하기 때문에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이제까지는 3차원 영상을 보려면 입체 안경을 쓰거나 컴퓨터에 복잡한 장치를 설치해야만 가능했었다. 그러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지면서 누구나 편하게 어떠한 각도에서든지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다.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는 메모리 내장형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탑재하고, CPU 내에 내장된 펌웨어(Firmware)에 의해 동작되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이다.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는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에서 락(Lock) 기능을 체크(Check)하여, 락이 없으면 제어부(100)가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는 본체에 내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며, USB 포트 또는 병렬(Parallel) 포트를 구비한다.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00)를 통하여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것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제어부(100)가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 ROM(110)를 검색한다(S300). 그런 다음, ROM(110)에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한다(S310).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존재한다면, 제어부가 먼저 워터마크 인식부(2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워터마크 인식부(200)에 의해 ROM(110)에서 워터마크가 검출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런 후, 제어부가 홀로그램 인식부(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홀로그램 인식부(210)에 의해 ROM(110)에 부착된 홀로그램이 검출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나서, 이 둘의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한다(S320).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워터마크 인식부(200)에 의해 ROM(110)에서 워터마크가 검출된 것이라면, 제어부(100)에 의해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로 전송한다.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재생된다(S340).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홀로그램 인식부(210)에 의해 ROM(110)에 부착된 홀로그램이 검출된 것이라면, 홀로그램에서 얻어진 일련 번호가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한다(S330). 홀로그램 인식부(210)에 의해 ROM(110)에 부착된 홀로그램에서 얻어진 일련 번호가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라면, 제어부(100)에 의해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로 전송한다.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재생된다(S340).
홀로그램 인식부(210)에 의해 ROM(110)에 부착된 홀로그램에서 얻어진 일련 번호가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가 아니거나, ROM(110) 검색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가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를 통하여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를 삽입하라는 메시지(Message)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한다(S350). 그리고, 약간의 대기 시간(Waiting Time)를 둔 후, 불법 복제 방지 장치인식부(230)에 의해서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가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를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데이터로 출력한다(S360).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가 연결되었다면, 제어부(100)에 의해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USB 커넥터(12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로 전송한다. 외부의 MP3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용 음반이 재생된다(S340).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가 연결되지 않았다면, 상기의 두 동작(S350, S360)을 반복 수행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불법 복제 방지 수단으로 워터마크 인식부(200), 홀로그램 인식부(210),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 및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를 예를 두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실시에 있어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는 전술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도 있으나, 이들 중 하나 또는 둘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ROM(110) 또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230)은 본체에 내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를 참작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을 MP3 플레이어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400)은 본체(500), 플래쉬 메모리(510), 메모리 슬롯(520), 하드락(530), 하드락 슬롯(540), 및 USB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본체(500)는 일측에 플래쉬 메모리(51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 형성된 메모리 슬롯(520)을 형성하고, 다른 측에 하드락(5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중공 형성된 하드락 슬롯(540)를 형성하며, 또다른 측에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외부의 MP3 플레이어(550)에 송신할 수 있도록 외부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560)에 결합되는 USB 커넥터(120)를 형성한다.
플래쉬 메모리(510)는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 메모리 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500)에 내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고, 메모리 슬롯(520)의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하여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된다. 플래쉬 메모리(510)는 EEPROM의 한 분류로서, 기본적으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전원 없이도 한번 기록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장점이 있어 디지털 카메라나 MP3 플레이어 등에 많이 사용된다. 현재 많이 사용되는 소형의 휴대용 저장매체로는 컴팩트 플래쉬(CF; Compact Flash), 마이크로 드라이브(MD; Micro Drive), 시큐어 디지털 카드(SD; Secure Digital Card), 멀티미디어 카드(MMC; Multi Media Card), 스마트 미디어 카드(SMC; Smart Media Card), xD 픽처 카드(xD; xD-Picture Card), 및 메모리 스틱(MS; Memory Stick) 등이 있다. 한편, MP3 플레이어에서 사용되는 저장 장치로는 메모리 타입(Type) 외에 하드(HDD; Hard Disk Drive) 타입도 있다.메모리 타입은 휴대하기 편하고, 긴 재생 시간과 외부 충격에 강하다. 반면, 저장 공간이 부족한 것이 단점이다. 하드 타입은 저장 용량이 크고, 액정 화면이 커서 소설책 등을 볼 수 있는 텍스트 뷰(Text View) 기능이 제공된다. 반면,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외부 충격에 약하며, 소음이 있고, 재생 시간이 짧은 것이 단점이다.
메모리 슬롯(520)은 플래쉬 메모리(51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공되는 바,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해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 플래쉬 메모리(510)가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된다.
하드락(530)은 메모리 내장형 CPU를 탑재하고, CPU 내에 내장된 펌웨어에 의해 동작되는 일종의 초소형 컴퓨터로서, 하드락 슬롯(540)의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하여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된다. 하드락(530)는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에서 락(Lock) 기능을 체크(Check)하여, 락이 없으면 본체(500)에 형성된 제어부가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본체에 내장하거나 탈부착이 가능하며, USB 포트 또는 병렬(Parallel) 포트를 구비한다.
하드락 슬롯(540)은 하드락(530)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제공되는 바,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해 하드락(530)이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된 플래쉬 메모리(510)는 메모리 슬롯(520)의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하여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500)의 일측에 형성된 USB 커넥터(120)가 외부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560)를 통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550)와 연결된다. 이때, 본체(500)에 형성된 제어부가 플래쉬 메모리(510)를 검색하고,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플래쉬 메모리(510)에서 워터마크가 검출되거나, 플래쉬 메모리(510)에 부착된 홀로그램에서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번호가 검출된다면, MP3 플레이어용 음반(400)이 불법 복제 방지 상태라는 메세지가 MP3 플레이어(55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다. 그런 다음, 본체(500)에 형성된 제어부가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550)로 전송한다. 그런 다음, MP3 플레이어(550)에서 MP3 플레이어용 음반(400)이 재생된다.
플래쉬 메모리(510)에 부착된 홀로그램에서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번호가 검출되지 않거나, 플래쉬 메모리(510) 검색시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이 존재하지 않았다면, 하드락을 삽입하라는 메세지가 MP3 플레이어(50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다. 그러면, 하드락(530)을 하드락 슬롯(540)의 외부로 드러나는 소정 크기의 삽입구를 통하여 중공 형성된 내부로 삽입한다. 하드락(530)이 삽입되면, MP3 플레이어용 음반(400)이 불법 복제 방지 상태라는 메세지가 MP3 플레이어(550)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된다. 그런 다음, 본체(500)에 형성된 제어부가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을 독출하여 외부의 MP3 플레이어(550)로 전송한다.그런 다음, MP3 플레이어(550)에서 MP3 플레이어용 음반(400)이 재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의 음반을 대체하여 MP3 음악 파일로 이루어진 음반을 제작하여 판매함으로써 기존 음반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음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음반 제작사들이 음반 판매량의 감소를 우려해 상업용 MP3 음악 파일 제작에 소극적인 경향을 MP3 음악 파일의 유료화 판매로써 서비스 제공되는 곡의 수를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MP3 음악 파일 유료 판매 보급으로 소비자들로 하여금 인터넷은 무료라는 생각에서 비롯된 MP3 음악 파일의 유료화에 따른 거부감을 해소하도록 유도하고, 음반 시장으로 하여금 CD 플레이어에서 MP3 플레이어로 변화되어 가는 소비자들의 청취 환경의 변화를 수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방식 사운드 인코딩 기술의 발달로 무단 복제 가능한 것을 홀로그램, 워터마크 또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 등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을이용하여 제작하여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영구히 보관할 수 있고, 쉽게 꼽고 뽑을 수 있으며, LP, 카세트 테이프, CD, MD 등 각종 미디어 음반을 대체할 차세대 미디어 음반으로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무형으로 무단 유통되고 있는 음악을 유형화하여 음반의 저작권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반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세계 1위의 시장 점유율을 갖는 국내의 MP3 플레이어와 휴대폰, 메모리 생산을 가속화시켜 내수 확대 및 수출 증대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다.

Claims (7)

  1. MP3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상기 MP3 플레이어용 음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상기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ROM(110); 및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USB 커넥터(120)
    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OM(110)은,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P3 음악 파일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불법 복제 방지 수단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복제 방지 수단은, 상기 ROM(110)에 삽입된 워터마크와, 상기 ROM(110)에서 워터마크가 검출되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워터마크 인식부(200)를포함하는 워터마크 불법 복제 방지 수단;
    상기 ROM(110)에 부착된 홀로그램과, 상기 홀로그램에서 얻어진 일련 번호가 정식으로 등록된 일련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홀로그램 인식부(210)를 포함하는 홀로그램 불법 복제 방지 수단; 및
    상기 ROM(1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에서 락 기능을 체크하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와, 상기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와 연결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불법 복제 방지 장치 인식부(230)를 포함하는 장치 불법 복제 방지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는,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법 복제 방지 장치(220)는, USB 포트, 병렬 포트 중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7. MP3 음악 파일을 저장하는 MP3 플레이어용 음반에 있어서,
    일측에 중공 형성된 메모리 슬롯(520)과, 일측에 중공 형성된 하드락 슬롯(540)과, 타측에 돌출 형성되어 외부의 MP3 플레이어의 USB 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USB 커넥터(120)를 구비하는 본체(500);
    상기 본체(500)의 상기 메모리 슬롯(52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MP3 음악 파일이 저장되는 플래쉬 메모리(510);
    상기 본체(500)의 상기 하드락 슬롯(540)에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플래쉬 메모리(510)에 저장된 MP3 음악 파일에서 락 기능을 체크하는 하드락(530)
    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MP3 플레이어용 음반.
KR20-2004-0026795U 2004-09-17 2004-09-17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KR200371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795U KR200371754Y1 (ko) 2004-09-17 2004-09-17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795U KR200371754Y1 (ko) 2004-09-17 2004-09-17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754Y1 true KR200371754Y1 (ko) 2005-01-03

Family

ID=4935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795U KR200371754Y1 (ko) 2004-09-17 2004-09-17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754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44B1 (ko) 2005-07-28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811161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1153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1159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32820B1 (ko) 2006-04-06 2008-05-28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319A (ko)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다목적 카트리지장치를 구비한 슬림 씨디롬 드라이브
KR100337179B1 (ko) * 2000-03-10 2002-05-18 이중학 광디스크 복사 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365353B1 (ko) * 2000-04-11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사 방지 수단이 마련된 컴팩트 디스크 재생/기록기 및그 복사방법
KR200330224Y1 (ko) * 2003-07-15 2003-10-17 디게이트반도체(주) 음향이 발생하는 usb 저장 장치
KR200334242Y1 (ko) * 2003-07-03 2003-11-21 김상현 휴대형 mp3 오디오 카트리지 플레이어
KR200362446Y1 (ko) * 2004-05-14 2004-09-21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319A (ko) * 1997-12-12 1999-07-05 윤종용 다목적 카트리지장치를 구비한 슬림 씨디롬 드라이브
KR100337179B1 (ko) * 2000-03-10 2002-05-18 이중학 광디스크 복사 사용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0365353B1 (ko) * 2000-04-11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사 방지 수단이 마련된 컴팩트 디스크 재생/기록기 및그 복사방법
KR200334242Y1 (ko) * 2003-07-03 2003-11-21 김상현 휴대형 mp3 오디오 카트리지 플레이어
KR200330224Y1 (ko) * 2003-07-15 2003-10-17 디게이트반도체(주) 음향이 발생하는 usb 저장 장치
KR200362446Y1 (ko) * 2004-05-14 2004-09-21 원정호 메모리카드 저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844B1 (ko) 2005-07-28 2007-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811161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1153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11159B1 (ko) 2006-04-06 2008-03-12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0832820B1 (ko) 2006-04-06 2008-05-28 주식회사 골든오일 전자음반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72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on of recorded digital data
TWI429257B (zh) 存取許可內容之動態授權的方法,系統及物件
US6456725B1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of a media player/recorder device or an application program
US20050144136A1 (en) Content providing system and content reproducing apparatus
JP2006293667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媒体製造方法、コンテンツ取得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
EP2196911A1 (en) Construction and method for encrypting digital information memory card
US20060206910A1 (en) Extended CD
CN1988023A (zh) 防止侵权复制的装置和方法
TWI226776B (en) Secure super distribution of user data
KR200371754Y1 (ko) 카트리지 플러그 인 메모리 형식의 엠피3 플레이어용음반
US20070174204A1 (en) Purchasing and copy protecting method for a digital content
US7412601B2 (en) Illegal data use prevention system
CN110941803A (zh) 管理虚拟物体所有权的方法及相关互动平台
JP2000163882A (ja) ディジタル著作物記録媒体並びに当該記録媒体にアクセスする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削除装置
WO2005106672A2 (en) Hierarchical storage management of encrypted data files
AU2006343229B2 (en) A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 by encrypting and decrypting a memory card
JPWO2006016514A1 (ja) ディスク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ディスク
TWI820242B (zh) 數位資料記憶卡加密之構造及方法
KR102539473B1 (ko)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KR20050053985A (ko) 선불 카드형 데이터 기록 매체, 그 기록 장치, 컨텐츠제공 장치 및 상기 데이터 기록 매체의 인증 방법
KR20080107970A (ko) 플래시메모리를 구비한 스마트카드와 스마트카드의 리더기및 리더기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보호 방법
KR20230115435A (ko) Nft파일을 재생하는 nft파일 전용 앨범 장치 및 nft파일 저장 카드와 이를 이용한 nft파일 거래 방법
CN114556308A (zh) 数位资料记忆卡加密的构造及方法
JP2003059177A (ja) Rfid搭載コンピュータ記録媒体利用の情報保護管理プログラム
US20150186656A1 (en) Method for protecting digital contents by using memory card encryption and decry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