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976U -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976U
KR20080000976U KR2020060029156U KR20060029156U KR20080000976U KR 20080000976 U KR20080000976 U KR 20080000976U KR 2020060029156 U KR2020060029156 U KR 2020060029156U KR 20060029156 U KR20060029156 U KR 20060029156U KR 20080000976 U KR20080000976 U KR 2008000097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m
read
memory card
playback device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91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20200600291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976U/ko
Publication of KR20080000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97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3Read-only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컨텐츠가 삭제되지 않도록 재생 전용 기능과 복제방지 기능, 그리고 가격 면에서 기존 매체와 경쟁이 가능하도록 최적화시켜 구성한 신용카드 크기의 읽기전용 메모리카드(가칭 “슬림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제공하고자 하는 여러 형태의 컨텐츠를 슬림디스크에 기록하여 판매하고, 사용자는 이를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구입하고, 이를 본 고안의 재생 장치(재생 전용 장치를 포함함)에 끼우면, 슬림디스크의 접촉단자를 통해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압축된 오디오 및 동영상을 역으로 복원하여 들려주고 부가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며, 외부에서 슬림디스크를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임.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기존의 MP3 플레이어 등과는 달리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를 착/탈시키므로,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있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카드 비장착 시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절감하고, 카드 삽입 시에는 자동으로 처음 위치 혹은 이전 재생 위치부터 자동으로 시작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끼운 카드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창을 설치하고, LED와 같은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듣고 있는 음반의 인쇄면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며, 혹은 부가적으로 읽기전용 슬림디스크의 특정영역은 재생장치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하 여 해당 슬림디스크에 사용횟수, 북마크 위치, 최종 재생 위치, 사용한 재생장치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여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고안은 제어수단을 통하여 슬림디스크와 연결하는 슬림디스크 커넥터를 가지고 슬림디스크의 착/탈을 감지하는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이 슬라이딩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슬림디스크의 착/탈과 연동하여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를 제어하여 전원을 차단, 공급하거나 제어수단을 통해 전원을 절감하기 위한 슬림모드와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되,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면서 별도로 재생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재생되게 하며, 제어수단이나 슬림디스크에 최종재생위치가 저장되어 있다면 그 지점부터 재생시키도록 구현됨.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본 고안은 기존의 MP3 플레이어와는 달리 컴퓨터나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고 원하는 컨텐츠가 담긴 슬림디스크를 끼우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MP3를 컴퓨터와 연결하고 원하는 노래를 검색하고, 컨텐츠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다운로드 받고, 저장되어 있는 내용 중에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는 과정들을 어려워하는 대부분의 계층에 적합한 MP3 재생장치 등에 이용됨.
읽기전용 메모리카드, 슬림디스크,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 투명창

Description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Player for read only memory car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외형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바 2 : 액정표시수단
3 : 조작키 4 : 표시램프
5 : 가이드판 6 : 투명창
7 : 삽입홈 8 : 이어폰잭
9 : 커넥터 10 : 슬림디스크
11 : 접촉단자 12 :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
13 : LED 램프 14 : 인쇄회로기판
15 : 배터리 16 : 제어수단
17 : 슬림디스크 커넥터 18 : 상태표시 LED
19 : 디코딩수단 20 : 오디오 수단
21 : 이어폰 혹은 스피커 22 : 화면표시수단
23 : 외부연결수단 24 : FM송신기/리모콘/충전기
25 :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 26 : 전원장치
27 : 키 조작수단
일반적으로 플래시메모리의 경우 생산 공정 기술의 발전과 수요 확대로 인한 대량 생산에 따라 가격이 급격히 인하되고 있고, 다양한 압축 기술이 개발되어 디지털 동영상과 음원들의 화질과 음질이 CD와 DVD 수준에 이르는 등 컨텐츠의 디지탈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를 저장하는 미디어 매체로 사용되는 것은, 물리적으로 저장 시간 등이 한정되어 있으며 재생 플레이어 등이 널리 보급되어 있는 MP3 플레이어에 비해 불편한 카세트테이프나 CD 및 DVD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컨텐츠의 디지털화에는 맞지 않는 아날로그적 요소가 강하므로, 최근 널리 보급된 MP3에는 내장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혹은 SD 및 MMC 카드와 같은 표준 메모리카드 등을 사용하고 있다. 표준 메모리카드는 사용자가 읽고/ 쓰고/ 삭제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지만, 이로 인해 음반 등 저작권이 심하게 훼손당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컨텐츠 미디어 매체로는 저렴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이면서, 다양한 압축 포맷으로 만들어지 는 컨텐츠 데이터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기록하여 판매된 후에는 소거되지 않아야 하며, 재생플레이어로 쉽게 읽을 수 있어야 하고, 음성 및 화상과 문자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SD카드나 메모리스틱 등 다양한 규격의 메모리카드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컨텐츠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면 재생전용 기능 및 복제방지 기능, 복잡한 구조에 따른 가격 열세 등으로 카세트테이프나, CD 등을 대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컨텐츠가 삭제되지 않도록 재생 전용 기능과 복제방지 기능, 그리고 가격 면에서 기존 매체와 경쟁이 가능하도록 최적화시켜 구성한 신용카드 크기의 읽기전용 메모리카드(가칭 “슬림디스크”)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공하고자 하는 여러 형태의 컨텐츠를 슬림디스크에 기록하여 판매하고, 사용자는 이를 오프라인 매장 등에서 구입하고, 이를 본 고안의 재생 장치(재생 전용 장치를 포함함)에 끼우면, 슬림디스크의 접촉단자를 통해 기록된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압축된 오디오 및 동영상을 역으로 복원하여 들려주고 부가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하며, 외부에서 슬림디스크를 쉽게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한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크맨 이후 오디오 분야에 있어서 최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MP3 플레이어는 다양한 음성 압축 방식 중 MP3 방식을 이용한 것으로 저장장치인 플래시메모리와 하드디스크의 고용량화 및 저가격화에 맞추어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면서 워크맨을 급격히 대체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컬러 액정을 채택하여 동영상 재생용으로도 사용하는 등 응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들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MP3 및 동영상 파일을 쉽게 구하여 자유롭게 설치하여 들을 수 있 다는 이점과 수명이 카세트와 달리 영구적이라는 점, CD와 달리 내부 메모리를 자유롭게 관리하여 자기만의 음악 및 비디오 저장 창고를 만들 수 있다는 또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에는 메모리 용량이 128M 정도였지만 현재는 하드디스크를 내장하여 100G 이상의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 동영상을 압축하는 데는 다양한 포맷들이 소개되고 있고, 어떠한 동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하는가는 시장의 기술적, 경제적, 비용적 트랜드와 소비자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동영상 포맷들과의 호환성에 의해 복잡하게 결정되는데, 현재와 같이 읽기/쓰기가 되는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는 MP3 방식이 독보적인데 반하여 동영상 부분은 여러 표준이 용도 및 분야에 맞추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MP3와 컴퓨터를 포함한 동영상 재생장치의 보급으로 인하여 가장 크게 타격을 받은 분야는 음반 업계와 오프라인 음반 매장으로 알려져 있는데,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디지털 음원은 계속 복제를 해도 음질이 동일하다는 점 때문에 복제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저작권 보호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음반업계는 이에 대응하여 DRM 등 불법 복제 방지 기술을 적용하여 온라인 싱글 음반 및 벨소리 다운로드 시장에 진출하는 등 사업 분야를 다각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내부에 MP3 디코더와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 최신 발표곡을 메모리에 기록하고 재생전용으로 MP3를 제작하여 2만원 미만의 공급하는 일명 “디지탈디스크”라는 제품이 출시되었다. 즉, CD를 구입하면 CD플레이어에 끼워서 들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재생전용 MP3의 경우는 이어폰만 연결하면 즉석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고, 케이스에 가수 사진 등을 인쇄하여 온라인상에서 유 통되는 MP3 파일과는 달리 소장하는 즐거움을 나름대로 느끼게 했다. 그러나 제품크기가 다소 크고 두꺼운 성냥갑처럼 생겼고 이로 인해 CD 등과는 달리 여러 개 가지고 다니는 데 무리가 있으며, 재생전용 MP3에 모든 MP3 관련 부품들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원가를 낮추는데 한계가 있다. 즉, 10개의 가수 음반을 가진다고 할 때, 10개의 재생전용 MP3 플레이어를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비합리적이고 경제적으로 맞지 않는 모순에 빠지게 되며 동영상 재생 기능은 제공치 않는다. 현재 음반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오프라인 매체는 10곡~20곡을 모아 하나의 작품집으로 하여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것보다는, 온라인상에서 구매하여 다운로드받는 싱글 음반처럼 1~3곡 정도로만 분할(일례로 곡당 2000원 내외)해서 판매하는 것과 동영상이 나오는 뮤직비디오 판매도 선호한다. 물론 CD/DVD 및 디지털디스크에 한곡만 넣어서 제작할 수 있지만 이는 가격 및 크기가 만만치 않고 CD나 DVD는 엄밀히 이야기하면 디지털 음원이지만 레코드와 유사하고 표면이 외부 충격에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모두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메모리카드 형태가 그 대안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신용카드와 유사한 형태의 크기와 두께의 기록 매체로 만들 수 있고 컨텐츠에 따라 다양한 카드 디자인 인쇄를 통해, 소장 가치와 소유에 따른 만족감 그리고 휴대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도 있다. 특히, 뮤직비디오와 같은 동영상 음원의 경우 동영상 압축 방식에 의해 용량이 달라지지만 60분 정도는 QVGA 화면의 경우 128MB 내외로 제공(교육용으로 사용가능 분량)이 되므로, 10분 내외의 싱글 뮤직비디오 음반의 경우 30MB 이내로 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읽기 전용 컨텐츠 기록 매체 및 이 기록 매체와 특화하여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전용 오디오/동영상 장치가 만들어진다면, 기록매체와 재생전용장치의 가격적으로 저렴한 이점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싱글 음반 등)를 통해 음원 및 컨텐츠를 판매하는 음반 산업 및 재생 플레이어의 부족으로 침체된 뮤직비디오 시장의 활성화는 물론, 종교단체 및 교육기관 등에서 좋은 컨텐츠를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에 넣어서 재생전용장치를 함께 제공하는 형태나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등 응용 분야가 확대될 수 있다. 특히, CD의 경우 최대 재생시간이 74분, 카세트테이프의 경우 60분~120분 정도이지만 MP3 방식의 경우(32kbps로 녹화시 12M/시간 필요, 음악은 최대 128kbps 사용) 1G바이트의 경우 80시간 정도 재생이 되므로, 웬만한 교육용 어학테이프(80시간이면 보통 카세트테이프 80개 필요)는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는 1장이면 충분하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존의 MP3 플레이어 등과는 달리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를 착/탈시키므로,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있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카드 비장착 시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절감하고, 카드 삽입 시에는 자동으로 처음 위치 혹은 이전 재생 위치부터 자동으로 시작하는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고, 또한 부가적으로 액정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끼운 카드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창을 설치하고, LED와 같은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듣고 있는 음반의 인쇄면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며, 혹은 부가적으로 읽기전용 슬림디스크의 특정영역은 재생장치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슬 림디스크에 사용횟수, 북마크 위치, 최종 재생 위치, 사용한 재생장치 번호 등과 같은 정보를 기록하여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장치는,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로 기존의 MP3 플레이어와는 달리 컨텐츠가 기록된 슬림디스크를 착/탈시키므로,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기구부분, 혹은 자동으로 재생시키거나 재생을 중단하는 기능 등이 제공되고, 슬림디스크를 삽입 후 슬림디스크의 배드 영역으로 구성되는 물리적 패턴을 검색하여, 적용된 DRM의 암호키 값을 계산하여 읽어들이는 컨텐츠 데이터를 다시 디코딩하는 과정이 들어가고, 제품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해 부품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과 배터리를 이어서 배치하고 그 전면에는 조작을 위한 키패드를 설치하고 반대면에 슬림디스크를 착/탈시키는 구조로 제공된다. 슬림디스크를 케이스 안에 끼울 경우 슬림디스크의 인쇄된 면이 보이지 않아 어느 디스크를 끼웠는지 알기 어려우므로, 뒷면 카바의 일정부분을 투명하게 하여 끼운 디스크의 인쇄면이 보이도록 구성해야 하고, 필요시 야간에 보 이도록 LED램프나, 슬림디스크 가이드판을 거울처럼 제공한다. 슬림디스크의 컨텐츠 기록영역은 읽기전용으로 구성하고 특정영역은 재생장치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슬림디스크에 사용횟수, 북마크 위치, 최종 재생 위치, 사용한 재생장치 번호 등과 정보를 기록해 두고, 화면표시수단에 이러한 정보를 표시해 주면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기존의 CD나 카세트 혹은 OTP 메모리들과 같이 한 방향 매체에서는 물리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기능들이다. 최종 재생 위치는 사용자가 갑자기 슬림디스크를 뺄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기록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신용카드(황금분할 사이즈 86mm/53.5mm=1.607)와 유사한 형태의 컨텐츠를 담아두는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를 끼우면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장치에 관한 획기적인 기능과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기존의 MP3 플레이어 등과는 달리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를 착/탈시키므로, 이를 감지하는 수단이 있어 전원 공급을 제어하여 카드 비장착시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절감하고, 카드 삽입 시에는 자동으로 처음 위치 혹은 이전 재생 위치부터 자동으로 시작하는 기능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가 없는 경우에는 끼운 카드가 보일 수 있도록 투명창을 설치하고, LED와 같은 램프를 설치하여 야간에도 듣고 있는 음반의 인쇄면을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혹은, 읽기전용 슬림디스크의 특정영역은 재생장치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슬림디스크에 사용횟수, 북마크 위치, 최종 재생 위치, 사용한 재생장치 번호 등과 정보를 기록해 두면 매우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기존의 CD나 카세트 혹은 OTP 메모리들과 같이 한 방향 매체 에서는 물리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기능들이다. 최종 재생 위치는 사용자가 갑자기 슬림디스크를 뺄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기록해 두어야 한다. 이와 같은 용도의 슬림디스크는 현재 다양한 메모리 방식(DRAM, 플래시, SRAM, OTP 등)들 중에서도 전원이 없어져도 기록된 내용이 유지되어야 하므로 플래시 메모리가 가장 보편적이다. 이러한 플래시 메모리에도 여러 가지 방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판매되는 반도체 패키지(package)의 경우 NAND 플래시 타입의 경우는 48핀이 표준이며, NOR 플래시는 48~88핀의 패키지로 되어 있다. 이를 일반적인 메모리카드 인터페이스 방식인 SD나 MMC, CF, 메모리스틱 타입으로 변경 시에는 별도로 플래시카드 컨트롤러 등의 부품이 추가되어 단가가 올라간다. 2006년 11월 현재 NAND플래시의 경우 128M 바이트(고품질 MP3는 15곡, 뮤직비디오 20분 수록 가능)의 경우 TSOP 등의 패키지를 하여 판매되는 가격이 2.7$ 정도이고, 이를 웨이퍼 상태로 공급받을 경우 가격은 더욱 내려가는데, 4M 바이트(32M 비트) 정도의 용량은 싱글 음반 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가격 수준으로도 제공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용도를 재생 전용(즉 읽기 전용)으로만 할 경우 별도의 플래시카드 컨트롤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NAND 플래시메모리의 경우 최소 14핀(I/O 8핀, CLE, ALE, RE, WE, Power, GND)으로 가능하지만, NAND 플래시메모리의 용량의 16G bit.이상이 나오는 등 고집적화 되면서 웨이퍼인 다이를 두 개 적층하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다이를 선택하는 핀도 별도로 필요해지고 있다.
현재 플래시 메모리가 대부분의 기록매체를 대체하면서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용량의 증가와 함께 메모리 셀 사이 즈가 점차 작아지고 있고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bad block(혹은 bit) 등이 어느 기준 이상 발생하면 단품 불량으로 분류되고 있다. 표준 메모리카드 등에서는 중요한 데이터나 파일이 기록되므로 bad block은 치명적이어서 불량 부품을 사용할 수 없지만, 본 고안과 같이 읽기전용 오디오/동영상으로 메모리카드로 쓰는 경우 bad block이 나와도 아주 극히 짧은 시간동안 소리와 영상이 변형되는 것(WAV 포맷)에 불과하거나 bad 영역을 피하여 기록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차이를 거의 알아차릴 수 없다는 점에서 폐기되는 불량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어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이 가능하여 CD 등을 대체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전용 메모리카드가 신용카드처럼 만들어져 다양한 음반 및 동영상 컨텐츠의 특성에 맞추어 디자인되어 인쇄함으로써(온라인상에서 MP3 파일을 구입하여 다운로드하는 경우 소유자가 만질 수 있는 실체가 없음) 소장가치를 느낄 수 있고, 음반업체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싱글 음반 등을 메모리 용량을 줄여 저렴하게 제공할 수도 있으며, 종교 및 교육기관의 오디오 성경 및 불경 등을 CD와 달리 그 자리에서 들거나 볼 수 있도록 본 고안과 같이 재생전용으로 만들어지는 간단한 오디오/동영상 장치를 같이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혹은 사용자가 이미 재생장치를 가지고 있는 경우 재생장치는 빼고, 읽기전용 메모리카드만 제공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에 저장되는 컨텐츠는 MP3 원음이 아니라 여기에 불법복제를 방지하는 DRM 등의 기법을 이용하여 변형된 형태로 기록되는 것이 저작권 보호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슬림디스크 재생장치는 전면에 재생장치의 특성 및 조작 키 위치를 인쇄한 얇은 카바(1)와 하단에 케이스와 일체화된 조작하기 위한 키(3)를 가지고, 동작상태 및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램프(4), 그리고 외부에서 충전 및 부가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9)와 이어폰잭(8)을 가지며, 동영상 재생 및 조작 상태 및 여러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수단(2)도 제공된다. 뒷면에는 슬림디스크를 끼우기 위한 삽입 홈(7)이 설치되어 있고, 끼운 카드를 보기 위한 투명창(6)이 제공되며, 배터리와 인쇄회로기판 위에 설치하여 슬림디스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의 표면을 거울(5)처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바를 케이스에 부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는 조작키(3)의 조작부를 케이스에 성형하는데, 조작감을 위해 조작부에 스프링 효과를 주기 위해 중앙 누름판과 케이스를 얇은 가이드 살로 연결하며, 카바(1)를 부착할 때에도 조작키(3) 둘레는 접착처리를 하지 않으며, 조작키(3)의 깊이를 주변보다 깊게(예를 들면 0.1mm 깊게 하면 카바를 눌렀을 때 0.1mm 조작감을 추가 로 줄 수 있음)함으로써 조작감을 개선시킨다. 조작키(3)는 일반적으로 재생/중지, 볼륨 높임과 낮춤, 이전곡 및 다음곡으로 구성되지만 사용 용도와 디자인 특성에 의해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구조도이다.
슬림디스크(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들과 연결하기 위한 접촉단자(11)와 슬림디스크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2)이 인쇄회로기판(14) 위에 장착되어 있어 슬림디스크(10)를 끼우면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슬림모드에서 깨어나며, 카드를 빼는 경우 역으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림모드로 들어간다. 제품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슬림디스크를 인쇄회로기판 뒷면에 접촉단자를 통해 연결하고 인쇄회로면 반대면에는 키패드를 설치하고, 배터리(15)를 인쇄회로 면 윗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데, 이때 배터리 두께 공간은 인쇄회로기판(14) 두께와 접촉단자(11)의 높이로 결정되는데 0.8mm의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할 경우 2.5mm 정도 제공되어, 현재 배터리 기술로는 300mAh 정도의 용량을 제공할 수 있어 이어폰 사용조건에서는 10시간 내외 재생시간이 가능하다. 야간에 투명창을 통해 삽입한 슬림디스크의 정보를 알기 위해 LED램프(13)를 측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품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은 디자인의 큰 흐름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카바(1)와 조작 부 케이스 살 두께, 스위치 높이, 인쇄회로 기판 두께, 슬림디스크 접촉단자(11)의 마운트 높이, 슬림디스크(10) 두께, 뒤 케이스 사출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얇으며, 이런 구조에서 배터리 설치 위치는 슬림디스크(10)를 삽입하는 방향과 다른 면에 설치되는 외부 연결 커넥터들의 반대 면, 즉 슬림디스크(17) 삽입 방향에 위치 하며, 구체적으로 접촉단자(11)와 슬림디스크 삽입홈(7)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된다. 배터리와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부품들과 슬림디스크의 착/탈 시 생길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그 사이에 슬림디스크 가이드판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슬림디스크 재생장치는 제어수단(16)을 통하여 슬림디스크와 연결하는 슬림디스크 커넥터(17)를 가지고 슬림디스크의 착/탈을 감지하는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25)이 슬라이딩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슬림디스크의 착/탈과 연동하여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26)를 제어하여 전원을 차단, 공급하거나 제어수단(16)을 통해 전원을 절감하기 위한 슬림모드와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된다.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되면서 별도로 재생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재생되게 하며, 제어수단이나 슬림디스크에 최종재생위치가 저장되어 있다면 그 지점부터 재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볼룸조정, 이동, 재생과 정지, 메뉴 등의 각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 조작수단(27)이 있고, 배터리 상태 밑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 LED(18), FM송신기 및 리모콘과 충전기(29) 등과 같은 외부 확장 및 편의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수단(23)을 가지며,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디코딩 수단(19), 증폭 및 정형과 같이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디오수단(20)을 거쳐 이어폰이나 스피커(21)로 연결되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각종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수단(22)을 가진다. 제어수단(16)은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25)을 통해 슬림디스크가 감지되면, 커넥터(17)를 통해 슬림디스크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데, 일차적으로 배드영역의 정보를 검색하여 암호 화 키 값을 계산하고 이 키 값을 근거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암호화되기 전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여 디코딩수단(19)과 화면표시수단(22)을 통해 오디오와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한다. 물론 특정 영역에서 제품의 고유 정보를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슬림디스크에 기록가능단자(WP)가 나와 있으면, 특정영역에 최종재생위치, 재생횟수, 사용된 재생장치 일렬번호, 북마크 위치 등의 정보를 기록해 두어, 카드를 수시로 교체하더라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부가적으로 메모리카드에 기록가능단자(WP)가 나와 있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으면, 재생장치의 슬림디스크 커넥터(17)에도 기록가능단자를 설정하고, 제어수단(16)이 외부연결수단(23)을 통해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MP3 플레이어처럼 컴퓨터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MP3 재생장치를 사용할 때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이전곡 및 다음곡 선택 기능의 경우, 현재 MP3플레이어는 선택한 곡을 들어보고 판단하거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된 선택곡 정보를 보고 판단하는 불편함(대부분 리모콘으로 조작)이 있다. 이에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눌러 선택할 때, 제어수단(16)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의 음성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를 들려주거나,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눌러 선택할 때,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와 정보의 음성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 와 정보(예를 들면 “마태복음 5장”)를 들려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기록된 컨텐츠 정보를 부가적으로 들려줄 수 있어 사용자들이 선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길게 누르기를 선택할 때, 제어수단(16) 및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의 음성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를 연달아서 들려주어 사용자가 원하는 곡(장)을 이어폰 및 스피커(21)로 들으면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현재 음반 시장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오프라인 매체는 10곡~20곡을 모아 하나의 작품집으로 하여 비싼 가격에 판매하는 것보다는 온라인상에서 구매하여 다운로드받는 싱글 음반처럼 1~3곡 정도로만 분할(일례로 곡당 2000원 내외)해서 판매하는 것과 재생장치의 보급 부족 등으로 실패한 뮤직비디오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기능을 가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에 이용되는 읽기전용 슬림디스크는 신용카드와 유사한 형태의 크기와 두께의 기록 매체로 만들 수 있고, 컨텐츠에 따른 다양한 카드 디자인 인쇄를 통해 소장 가치와 소유에 따른 만족감, 그리고 휴대성과 경제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새로운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 및 상기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와 특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재생장치가 만들어진다면,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와 재생장치의 기술적인 여러 장점과 저렴한 가격적인 이점, 그리고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싱글 음반 등)를 통해 음원 및 컨텐츠를 판매하는 음반 산업의 활성화는 물론, 종교단체 및 교육기관 등에서 좋은 컨텐츠를 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읽기전용 슬림디스크에 넣어서 본 고안의 재생장치와 함께 제공하는 형태나 개별적으로 제공하는 등 응용 분야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MP3 플레이어와는 달리 컴퓨터나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고 원하는 컨텐츠가 담긴 슬림디스크를 끼우는 것만으로 사용할 수 있어, MP3를 컴퓨터와 연결하고 원하는 노래를 검색하고, 컨텐츠 비용을 계산하고, 이를 다운로드 받고, 저장되어 있는 내용 중에서 원하는 곡을 선택하는 과정들을 어려워하는 대부분의 계층에 적합한 MP3 재생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재생장치에 있어서,
    전면에 재생장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키(3)를 가지고,
    동작상태 및 배터리 레벨을 나타내기 위한 표시램프(4),
    외부에서 충전 및 부가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9)와 이어폰(8) 잭을 가지며,
    뒷면에는 읽기전용 메모리카드를 끼우기 위한 삽입 홈(7)이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삽임 홈(7)을 통해 끼운 상기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의 인쇄면를 보기 위한 투명창(6)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배터리와 인쇄회로기판 위에 설치하여 슬림디스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의 표면을 거울(5)처럼 제공하여 슬림디스크 표시창을 통해 거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카바(1)를 케이스에 부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는 조작키(3)의 조작부를 케이스에 성형하는데, 조작감을 위해 조작부에 스프링 효과를 주기 위해 중앙 누름판과 케이스를 얇은 가이드 살로 연결하며, 카바(1)를 부착할 때에도 조작키(3) 둘레는 접착처리를 하지 않으며, 조작키(3)의 깊이를 주변보다 깊게(예를 들면 0.1mm 깊게 하면 카바를 눌렀을 때 0.1mm 조작감을 추가로 줄 수 있음)함으로써 조작감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면에 재생장치의 특성 및 조작 키 위치를 인쇄한 얇은 카바(1)와 하단에 케이스와 일체화된 조작하기 위한 키(3)를 가지는데, 카바 상단에 디자인적 효과를 위해 가죽, 천 등과 같은 특수재질을 부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6. 재생장치에 있어서,
    슬림디스크(1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접점들과 연결하기 위한 접촉단 자(11)와,
    슬림디스크의 삽입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12)이 인쇄회로기판(14) 위에 장착되어 있어 슬림디스크(10)를 끼우면 자동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슬림모드에서 깨어나며, 카드를 빼는 경우 역으로 전원을 차단하거나 슬림모드로 들어감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재생장치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 슬림디스크를 인쇄회로기판 뒷면에 접촉단자를 통해 연결하고 인쇄회로면 반대면에는 키패드를 설치하고, 배터리(15)를 인쇄회로면 윗면에 평행하게 배치하는데, 이때 배터리 두께 공간은 인쇄회로기판(14) 두께와 접촉단자(11)의 높이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야간에 투명창을 통해 삽입한 슬림디스크의 정보를 알기 위해 LED 램프(13)를 측면에 설치할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재생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해, 카바(1)와 조작 부 케이스 살 두께, 스위치 높이, 인쇄회로 기판 두께, 슬림디스크 접촉단자(11)의 마운트 높이, 슬림디스크(10) 두께, 뒤 케이스 사출 두께로 구성하고, 배터리 설치 위치는 슬림디스크(10) 삽입 반대면에 설치되는 외부 연결 커넥터들의 반대면에 위치하며, 구체적으로 접촉단자(11)와 슬림디스크 삽입홈(7) 사이의 공간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0. 재생장치에 있어서,
    제어수단(16)을 통하여 슬림디스크와 연결하는 슬림디스크 커넥터(17)를 가지고 슬림디스크의 착/탈을 감지하는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25)이 슬라이딩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고, 슬림디스크의 착/탈과 연동하여 배터리 등으로 구성되는 전원장치(26)를 제어하여 전원을 차단, 공급하거나 제어수단(16)을 통해 전원을 절감하기 위한 슬림모드와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슬림디스크를 끼워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25)이 동작하면, 웨이크업 모 드로 전환되면서 별도로 재생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재생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16)이나 슬림디스크 내부의 메모리 특정영역에 최종재생위치가 저장되어 있다면 그 지점부터 재생시키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볼륨조정, 이동, 재생과 정지, 메뉴 등의 각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 조작수단(27)이 있고, 배터리 상태 밑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표시 LED(18), FM송신기 및 리모콘과 충전기(29) 등과 같은 외부 확장 및 편의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연결수단(23)을 가지며, 오디오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디코딩 수단(19), 증폭 및 정형과 같이 음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오디오수단(20)을 거쳐 이어폰이나 스피커(21)로 연결되며, 부가적으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및 각종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표시수단(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16)은 슬림디스크 삽입 감지수단(25)을 통해 슬림디스크가 감지되면, 커넥터(17)를 통해 슬림디스크의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데, 일차적으로 배드영역의 정보를 검색하여 암호화 키 값을 계산하고 이 키 값을 근거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암호화되기 전의 원래 데이터로 복원하여 디코딩수단(19)과 화면표시수단(22)을 통해 오디오와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에 기록가능단자(WP)가 나와 있으면, 특정영역에 최종재생위치, 재생횟수, 사용된 재생장치 일렬번호, 북마크 위치 등의 정보를 기록해 두어, 카드를 수시로 교체하더라도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읽어들여 표시 및 동작하는 기준으로 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6. 제 10 항에 있어서,
    메모리카드에 기록가능단자(WP)가 나와 있어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으면, 재생장치의 슬림디스크 커넥터(17)에도 기록가능단자를 설정하고, 제어수단(16)이 외부연결수단(23)을 통해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기존 MP3 플레이어처럼 컴퓨터를 통해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용 재생장치.
  17. 제 10 항에 있어서,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눌러 선택할 때, 제어수단(16)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의 음성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를 들려줌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눌러 선택할 때,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와 정보의 음성데이터를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와 정보(예를 들면 “마태복음 5장”)를 들려줌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키조작수단(27)을 통해 이전곡(오디오북의 경우 **장) 및 다음곡 키를 길게 누르기를 선택할 때, 제어수단(16) 및 읽기전용 메모리카드에 기록되어 있는 해당 곡(장)번호의 음성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불러들여, 디코딩수단(19)을 통해 음성으로 변환하고, 이어폰 및 스피커(21)를 통해 탐색하는 곡 및 장의 번호를 연달아서 들려주어 사용자가 원하는 곡(장)을 이어폰 및 스피커(21)로 들으면서 선택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KR2020060029156U 2006-11-06 2006-11-06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KR2008000097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56U KR20080000976U (ko) 2006-11-06 2006-11-06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9156U KR20080000976U (ko) 2006-11-06 2006-11-06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976U true KR20080000976U (ko) 2008-05-09

Family

ID=4132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9156U KR20080000976U (ko) 2006-11-06 2006-11-06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97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0242B2 (ja) 半導体メモリカード
JP2000339917A (ja) 楽音再生システム
PL374937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TWI249696B (en) Mobile audio player
CN112397094B (zh) 点读唱片系统
US20080004734A1 (en) Multimedia player device
KR20080018072A (ko)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4727780B2 (ja) 再生装置、記録装置
US20080198488A1 (en) Data duplicator
WO2001099110A1 (en) Device for encasing storage media containing separately addressable data
CN100362499C (zh) 电子装置
KR20080000976U (ko) 읽기전용 메모리 카드용 재생장치
JP3751163B2 (ja) データ再生装置,データ供給装置,及びデータ供給システム
KR20060136015A (ko) 음악 재생 장치
KR20070000045A (ko) 음악 재생 장치
KR19990022030U (ko) 엠피3플레이어를내장한차량용오디오시스템
KR200403842Y1 (ko) 전자음반
KR102539473B1 (ko) 하드웨어 기반 불법 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한 뮤직비디오 재생 장치
GB2397191A (en) A portable digital image and sound recording device providing an interface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KR20080003250U (ko) 디지털 오디오비디오신호가 기록 되어 있는 메모리카드
JP2004062850A (ja) ポータブル型データバックアップ装置
CN2752857Y (zh) 车载mp3播放机
KR200397204Y1 (ko) 음악 재생 장치
KR20080005828A (ko) 컨텐츠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200355102Y1 (ko) 시디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