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045A - 음악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음악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045A
KR20070000045A KR1020050055446A KR20050055446A KR20070000045A KR 20070000045 A KR20070000045 A KR 20070000045A KR 1020050055446 A KR1020050055446 A KR 1020050055446A KR 20050055446 A KR20050055446 A KR 20050055446A KR 20070000045 A KR20070000045 A KR 20070000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rd
sound source
music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6015A (ko
Inventor
최두희
Original Assignee
최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희 filed Critical 최두희
Priority to KR102005005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0045A/ko
Publication of KR2006013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6015A/ko
Publication of KR20070000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04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2Cas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11B33/122Arrangements for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s, e.g. connectors, cables, swi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CD형 음악 앨범을 대신하는것으로 초박형 카드 형상을 가지며, MP3 또는 기타 여러 방식의 디지털 음악 파일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 즉, 음원 메모리와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악 재생 장치 {Music player}
기존의 음악 앨범 또는 음원의 형태가 LP, 테이프, CD와 MP3 등이다. 그래서, 음악을 듣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각 음원에 맞는 별도의 플레이어, 즉, 음악 재생 장치가 있어야 음악을 들을 수 있었다. 또, MP3의 경우에도 PC를 통해 음악 파일을 일일이 다운받아 MP3 플레이어에 전송 저장하여야 가능했다. 음원의 구입과 플레이어의 구입을 따로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음악을 듣고자 하는 사람에게 저가격으로 초박형 카드 형상으로 음원 메모리와 플레이어를 동시에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성을 보면,
도1과 같이
가격이 아주 싼 1회성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의 제조와 동시에 음원(MP3 또는 기타 여러 디지털 압축 방식의 음원) 데이터를 기록하게되며, 이러한 ROM은 전원의 OFF에도 음원 기록의 손실이 없는 음원의 메모리가 되며,
이런 ROM(Read only memory)(001)과,
MP3 또는 기타 여러가지 방식의 디지털 음원을 복호화하고 재생하는 디코더(002)와,
사용자가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게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악으로 전환하는 기능의 D/A컨버터(004),
이와같은,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003)를
각각 박막형의 회로 모듈(005)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ASIC등의 반도체 제조 방법으로 통합칩으로 제작을 한다.
이상의 회로 모듈 또는 통합칩을 박막형 메인 PCB(005)나 FPCB에 장치하고,
여기에,
AAA타입의 원통형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 공급(006)부와
이어폰의 플러그잭(007)을 꽂을 수 있는 잭 삽입구(008)와
외부 오디오 기기에 음원 데이터를 전달 할 수 있는 외부 데이터 출력 단자(009)와
ON/OFF, 볼륨조절, 선곡 기능용 키 스위치(010)를 장치 한다.
그러면,
기록된 음원 데이터부터 사용자가 음원의 재생을 하여 음악을 듣기 까지의 경로를 보면 도2와 같다.
즉,
최초, ROM 제작 때,
MP3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파일 형태의 음원 데이터를 기록되어있고,
ROM의 음원 데이터는 디코더로 전달되어 복호화 한다.
복호화된 음원은 D/A컨버터에서 아날로그 음악으로 출력된다.
이를 사용자는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감상하게 된다.
또는, 외부 데이터 출력 단자를 통해 다른 오디오 기기에 음악 데이터를 전달 한다.
이상의 기능부들은,
본 발명에 따라,
한 가지 형상의 예로 얇은 카드 형태로 제작이 되며,
도1에서 보는것과 같이 가운데 부분(005)엔 상기에 기술한 ROM(001)과 디코더(002), 제어부, D/A컨버터(004) 등의 메모리와 플레이어 기능을 갖는 박막형 회로부(005)가 배치되며, 그 회로부 전면(011)과 배면(012)에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 형상의 재료로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카드 형상의 장치에는,
이어폰(013)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는 잭 삽입구가 도3의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장치된다.
잭 삽입구(008)에는 스테레오를 지원하는 3부분의 접점(033)이 있고, 이 접점은 메인 회로와 연결되어 재생된 음악의 아날로그 신호를 이어폰 플러그(007)로 전달 한다. 플러그의 고정을 위한 고무 재질의 탄력재(031)(032)가 그림과 같이 전면(011)과 후면(012) 외피 카드재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평상시(B)에는 본체의 표면과 일치되는 두께를 갖게 되므로 매끈한 외관을 갖게되고, 이어폰 플러그를 삽입(A)하면 그림과 같은 형상으로 플러그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오디오 기기에 연결 사용할 경우, 데이터를 전달하는 외부 데이터 출력 단자(009)를 구성한다. 이 단자를 통해 외부 오디오 기기에 CD나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처럼 음원을 전달 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한 별도의 연결 부품이나 새로운 장치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는 내장형으로 고성능의 전용 배터리를 장치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통상 AAA형의 원통형 전지(041)를 주로 쓰게 되며, 이 전지를 삽입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는 도4의 그림의 예와 같이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 된다.
그림 C 는 카드의 측면부에서부터 전지가 삽입되어 홀더(042)를 끼움으로서 장착이 되는 타입이고, 이 타입의 경우 고무 재질의 탄력재를 카드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붙여, 그 사이에 전지를 넣으므로서 전지를 고정할 수 도 있다.
그림 D 는 카드의 전면부나 후면부에서 전지가 삽입되어 장착이 되는 타입이다. 이 타입의 경우, 후면에 그물 또는 밴드 형태의 고무재질의 탄력재(043)가 있어 전지를 단단히 고정을 할 수 있게 한다. 전면부로부터 원통형 AAA 전지를 밀어넣으면 삽입구(044)의 폭이 전지(041)의 몸통의 굵기보다 약간 좁으므로 플라스틱 카드 재질의 유연성으로인해 전지를 삽입한 후에는 다시 입구로 잘 빠져나오기 어려우며, 카드의 배면 고무재질의 탄력재(043)가 전지를 고정 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1의 그림과 같이 키스위치(010)는 카드의 전면에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통상적으로 전원의 ON/OFF 키스위치와 선곡용 키스위치, 볼륨 키 스위치 정도로 최소의 키스위치를 배치한다. 그러나, 필요에 의해 더 많은 키스위치를 배치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드식 형상이므로 전면(011)이나 후면(012)에 음악 앨범 쟈 R처럼 해당 음악에 대한 내용으로 각종 인쇄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음원이 담긴 CD나 테이프 또는 MP3파일과 그 해당 플레이어를 각각 준비해야하는 기존의 음악을 듣기 위한 방법과 달리 음악의 음원 데이터와 플레이어를 일체형으로 하므로 편리하며, 가격도 상대적으로 아주 싸며, 기존의 CD같이 부피나 면적을 많이 차지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음원 데이터 압축 기술을 활용하거나 대용량의 ROM을 넣어 제작하는 방법으로 많은 곡을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기도 수월하다.
도1 : 카드형 장치 구성도
도2 : 음악 데이터 재생 경로도
도3 : 이어폰 플러그잭 삽입구 구조도
도4 : 전지 장착구 구조도

Claims (4)

  1. MP3 또는 기타 음악의 디지털 압축 파일 형태의 각종 음원 데이터를 기록한 저가격의 1회성 메모리 반도체인 ROM(Read only memory)과 MP3 또는 기타 압축된 음원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재생하는 디코더와, 사용자가 이어폰으로 들을 수 있게끔 복호화하고 재생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으로 전환하는 기능의 D/A컨버터와 이런 각 기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각각 얇으며 소형인 형상의 회로 모듈 형태로 구성하거나 또는, ASIC등의 반도체 제조 방법으로 통합 칩 형태로 제작하여 박막형 메인 PCB나 FPCB에 장치하고,
    이 메인 PCB나 FPCB에 AAA형의 원통형 류의 전지를 장착할 수 있는 전원 공급부를 구성하여 연결하고, 이어폰 플러그 잭을 꽂을 수 있는 잭 삽입구를 구성하여 연결하고, 외부 음향 기기에 음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단자를 구성하여 연결하고, 전원 ON/OFF, 선곡, 볼륨 등의 제어를 위한 키 스위치를 카드 표면에 구성하여 연결하여,
    신용카드 정도의 크기의 박막형 카드 형상으로 하며,
    전면과 배면에 내부 회로 보호 및 음악 앨범 쟈 R처럼 내장된 음악에 대한 정보나 디자인이 인쇄가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의 카드 마감재를 부착한,
    음원 메모리와 재생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장치와 구성.
  2. 상기 청구항 1에 있어, 도3의 그림과 같이, 사용자 이어폰의 플러그잭를 꽂는 잭 삽입구에다가 장치의 전면과 후면 카드 마감재에 고무재질의 탄성재를 붙여 플러그를 꽂으면 탄성재의 탄력으로 플러그를 고정하고, 플러그를 빼면 탄성재가 카드재의 면과 두께가 일치하여 매끈한 외관을 갖는 플러그잭 삽입구 형상을 가진,
    음원 메모리와 재생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장치.
  3. 상기 청구항 1에 있어, 도4의 C 그림과 같이, AAA타입의 원통형 전지의 삽입구를 가지며, 그 삽입구에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 접촉 단자를 가지며, 카드의 측면으로부터 전지를 삽입하고 홀더를 체결하여 전지를 장착하면 전력을 장치에 제공하게 되며, 또한 필요에 의해 전지의 움직임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전면과 후면 카드 마감재에 고무 재질의 탄성재를 붙임으로서, 평상시에는 카드의 외면과 일치하는 두께의 매끈한 외관을 가지고, 전지가 삽입된 후, 전지를 탄성재가 감싸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형상의 전지 장착부를 갖는,
    음원 메모리와 재생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장치.
  4. 상기 청구항 1에 있어, 도4의 그림 D 와 같이, AAA타입의 원통형 전지 삽입구를 가지며, 그 삽입구 양 끝엔 그림과 같이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는 +,- 접촉 단자를 가지며, 전지가 삽입되면 전력을 장치에 제공하게 되며, 카드의 정면으로 전지를 삽입할 때, 삽입구의 폭이 전지의 굵기 보다 조금 작게 뚫려 있어 카드 재질이 갖고 있는 플라스틱 카드 재질의 탄성으로 전지를 밀어 넣고 나면 다시 쉽게 빠져 나오지 않는 구조를 가지며, 카드의 배면에는 전지의 움직임을 막기 위해 고무 재질의 탄성재를 밴드나 그물 형상으로 붙임으로서, 평상시에는 카드의 외면과 일치하는 두께의 매끈한 외관을 가지고, 전지가 삽입된 후, 전지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형상의 전지 장착부를 갖는,
    음원 메모리와 재생 플레이어를 일체화한 장치.
KR1020050055446A 2005-06-27 2005-06-27 음악 재생 장치 KR200700000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46A KR20070000045A (ko) 2005-06-27 2005-06-27 음악 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5446A KR20070000045A (ko) 2005-06-27 2005-06-27 음악 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6015A KR20060136015A (ko) 2007-01-02
KR20070000045A true KR20070000045A (ko) 2007-01-02

Family

ID=37868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446A KR20070000045A (ko) 2005-06-27 2005-06-27 음악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00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734A3 (en) * 2010-03-19 2011-12-29 Parte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US8481840B2 (en) 2010-03-19 2013-07-09 Parte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US9141140B2 (en) 2011-10-19 2015-09-22 Playbutton,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5734A3 (en) * 2010-03-19 2011-12-29 Parte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US8481840B2 (en) 2010-03-19 2013-07-09 Parte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US9141140B2 (en) 2011-10-19 2015-09-22 Playbutton, Llc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1756A1 (en) Wireless digital music player
US20070223719A1 (en) Headphone for playing audio files
US6342664B2 (en)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2002027049A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付き携帯電話機
US20060209641A1 (en) Portable media player control panel relocator
KR20070000045A (ko) 음악 재생 장치
KR20060136015A (ko) 음악 재생 장치
JP2002078056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
US20110226115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KR200397204Y1 (ko) 음악 재생 장치
KR100320326B1 (ko) 휴대폰 배터리 일체형 엠피3 플레이어
WO2004015712A1 (fr) Baladeur mp3 presentant un disque dur remplacable
KR20010028354A (ko) 카 오디오용 엠피3 플레이어
US20080026720A1 (en) Radio assembly with built-in MP3 player
US20030023330A1 (en) Memory expansion for form-factor constrained portable audio device
US20040255760A1 (en) Portable music player for use with removable memory device
US8539125B1 (en) Combined USB flash drive cap audio device
US20060217827A1 (en) Sound player with a separable memory
KR20060122358A (ko) 메모리카드 장착홈을 갖는 무선헤드셋
US20110230988A1 (en) Button shaped portable media player with indicia
WO2007126406A1 (en) Headphone for playing audio files
KR19990073362A (ko)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US20060088810A1 (en) Karaoke audio-visual recorder/player
KR200403842Y1 (ko) 전자음반
KR200166894Y1 (ko) 디스크 카트리지용 디스크정보 안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