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362A -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 Google Patents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362A
KR19990073362A KR1019990027046A KR19990027046A KR19990073362A KR 19990073362 A KR19990073362 A KR 19990073362A KR 1019990027046 A KR1019990027046 A KR 1019990027046A KR 19990027046 A KR19990027046 A KR 19990027046A KR 19990073362 A KR19990073362 A KR 19990073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ase
audio data
signal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7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이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열 filed Critical 이두열
Publication of KR19990073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36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49Cassettes for special appli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009Improvement or modification of read or write signals
    • G11B20/10037A/D conversion, D/A conversion, sampling, slicing and digital quantisation or adjusting parameters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0527Audio or video recording; Data buffering arrangements
    • G11B2020/10537Audio or video recording
    • G11B2020/10546Audio or video recording specifically adapted for audio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그 케이스는 감기릴 또는 되감기 릴의 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는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의 감지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디코딩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부; 상기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는 헤드부; 및 상기 각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내장하며, 그 외형이 카세트 테입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스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그 외부에 재생 및 정지키,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 홀드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에 부착된 이어폰짹으로 이어폰을 삽입하도록 하기 위한 제1홀을 구비하며, 그 내부에는 상기 키입력부로 입력된 키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키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장치 본체의 파손이나 고장의 염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A case suitable for apparatus of cassette tape type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udio data or signal}
본 발명은 휴대용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기능키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MPEG Layer 3), AAC(Advanced Audio Cording), MSAudio(MicrosoftAudio)등과 같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는 전용 기록 및 재생장치(예; MP3 플레이어)에서 기록 또는 재생하게 된다.
MP3 파일의 재생방법을 예로들면, 통상 MP3 플레이어의 이어폰짹에 이어폰을 꽂고, 재생 버튼을 누르면 MP3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그런데, 차량 등에서 이어폰 없이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을 통해 MP3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MP3 플레이어의 이어폰짹에 인터페이스용 테입을 연결한 후 차량 등의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삽입해야 한다. 삽입된 인터페이스용 테입은 MP3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음악을 자화시켜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에 인가하게 되며, 상기 플레이어는 인가된 자기신호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바꾸어 그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이와같이 MP3 등의 음악을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듣고자 하는 경우, 위와 같은 별도의 인터페이스용 테입이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그 내부구성이 도 1과 같고, 그 외형이 도 2a,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카세트 테입형 MP3 플레이어 및 음성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특허출원 제98-60010호; 본출원의 선출원)
한편, 도 2a와 같은 장치도 카세트 플레이어에 삽입하여 사용하기에는 매우 편리하나, 각종의 키들이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먼지 등이 들어갈 수 있으므로 고장 및 파손의 염려가 있어 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가 요망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기능키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내장한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외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장치의 아래 면에 위치한 각종 기능키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의 외형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5는 상기 케이스를 정면, 상하좌우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은 본체를 정면, 상하좌우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7은 Key 회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기릴 또는 되감기 릴의 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그 속도 및 방향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하는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코딩하거나,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부; 상기 D/A 변환부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는 헤드부; 및 상기 각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내장하며, 그 외형이 카세트 테입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서 입력된 키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그 외부에 재생 및 정지키,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 홀드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에 부착된 이어폰짹으로 이어폰을 삽입하도록 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키입력부로 입력된 키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키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재생 헤드부(31)는 재생시에 사용되며, D/A 변환부(41)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이 변환된 자기신호는 본 장치를 삽입한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로 인가되어 그 오디오의 스피커를 통해 들리게 된다. 한편, 녹음 헤드부(32)는 녹음시에 사용되며, 본 장치를 삽입한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에서 인가된 자기신호를 전기적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A/D 변환부(39)로 인가한다.
재생 감지 센서(33) 및 녹음 감지 센서(35)는 각각 재생 및 녹음 버튼의 누름에 의해 소정의 감지출력을 발생하여 제어부(40)로 인가한다. 여기서 재생 및 녹음 버튼은 본 장치에 부착된 PLAY키(64) 또는 REC키(66)가 아니고, 본 장치를 삽입한 카 오디오 카세트 등의 재생 및 녹음 버튼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생 및 녹음 감지 센서(33, 35)는 본 장치를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 삽입했을 때 재생 및 녹음 버튼이 각각 눌러지는 부분인 재생 및 녹음 데크(미도시)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FF 속도센서(34)는 감기릴(54)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한다. REW 속도센서(38)는 되감기릴(56)의 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한다.
A/D 변환부(39)는 녹음 헤드부(32)에서 출력된 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40)로 출력한다. 또한 A/D 변환부(39)는 마이크(43)를 통해 입력된 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A 변환부(41)는 제어부(40)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 헤드부(31)로 인가한다. 그리고, 오디오신호를 스피커(37)로도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부(42)는 MP3 음악 파일을 비롯한 AAC, MSAudio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42)는 녹음기능이 있는 오디오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출력되어 A/D 변환부(39)에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부(40)에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메모리부(42)는 PC등으로부터 외부기기 I/F부(45)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40)의 제어하에 기록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장치를 내장한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외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장치의 아래 면에 위치한 각종 기능키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2b에서, 참조부호 44는 외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를, 46은 충전지 삽입구를, 48은 마이크짹을, 50은 이어폰짹을, 52는 녹음방지 스위치를, 54는 감기릴을, 56은 되감기릴을, 58은 HOLD키를, 60은 STOP키를, 62는 FF키를, 64는 PLAY키를, 66은 REC키를, 68은 REW키를, 70은 볼륨 조정키를 각각 나타낸다.
제어부(40)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장치로 동작시, 재생/FF 속도센서(34)나 REW 속도센서(38)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을 감지하여, 메모리부(42)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리드 및 디코딩하여 D/A 변환부(41)로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40)가 일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기록 하는 경우에는, 녹음 감지 센서(35)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에 근거하여 A/D 변환부(39)에서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메모리부(42)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제어부(40)는 재생 감지 센서(33)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에 근거하여 메모리부(42)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코딩한 후 D/A 변환부(41)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이하, 편의상 본체라 한다.)에 적합한 케이스의 외형도이다.
상기 케이스는 전면 또는 후면에 Key부(302), LCD부(304)를 구비하고, 측면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또는 Parallel 케이블 및 이어폰짹을 위한 홀(308, 310)을 구비하고, 상면(또는 하면)에는 상기 장치를 착탈하기 위한 오픈 스위치(306)를 구비한다.
홀들(308, 310)은 케이스에 본체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부착된 이어폰짹 및 USB 케이블 커넥터로 이어폰 및 USB 케이블을 꽂을 수 있도록 케이스에 뚫어놓은 구멍이다.
오픈 스위치(306)는 그것을 어느 일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케이스가 개방되어 상기 본체를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Key부(302)는 적어도, 재생 및 정지키,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 홀드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물론, 기타 다른 키도 포함할 수 있다.
LCD부(304)는 상기 본체에 의해 동작되는 여러 상황들, 즉 재생, 되감기 및 빨리감기 등의 상황을 표시해준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의 내부 구성도이다.
Key 회로부(404)는 상기 각종 키들의 입력을 케이스 접속부(402)를 통해 상기 본체로 전달한다. Key 회로부(404)의 동작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서, 본체와 접속되는 핀들(702-712)이 케이스 접속부(402)에 해당한다.
도 7에서, Key 회로부(404)에는 6핀들(702-712)을 할당하여 상기 본체로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하게 된다.
본체를 케이스에 삽입시, 케이스 접속부(402)에 위치한 제1내지 제6핀들(702-712)은 본체 접속부(602)에 위치한 제7 내지 제12핀들(714-724)의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본체를 케이스에 삽입한 상태에서 각 키의 입력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핀(702)은 제7핀(714)과 접속되므로, Play/Stop키를 누를 경우, 그 키입력이 제어부(40)의 I/O 포트(미도시)로 전달된다.
제2핀(704)는 본체 접속부(602)의 제8핀(716)과 접속되며, 상기 본체 접속부(602)와 상기 케이스 접속부(402)의 핀들이 제대로 접속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해 할당된 핀이다. 이는 제어부(40)의 I/O 포트와 연결된다.
제3핀(706)은 본체 접속부(602)의 제9핀(718)과 접속되며, MegaBass키를 누를 경우 그것을 표시하기 위해 점등되는 LED를 위한 것이다. 이는, 제어부(40)의 출력단자와 연결되며, MegaBass키가 입력되면 제어부(40)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
제4핀(708) 및 제6핀(712)은 각각 본체의 제10핀(720) 및 제12핀(724)과 접속되며, 본체의 그라운드 단자에 연결된다. 이는 그라운드를 위한 핀들이다.
제5핀(710)은 본체 접속부(602)의 제11핀(722)과 연결되며, 케이스의 키부(302)에 배치된 아날로그키들을 위해 할당된 핀이다. 아날로그키들은 볼륨증가키,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A0-A5)들과 Hold키이다. 이는 본체의 A/D 변환부(39)와 연결된다. 여기서, A/D 변환부(39)는 제어부(40)내에 포함될 수도 있는데, 이 때 제11핀(722)은 제어부(40)로 접속된다.
한편,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LCD 회로부(406)는 상기 제어부(40)에서 본체 접속부(602)를 통해 전달된 표시 데이터를 LCD부(304)에 표시하도록 한다. LCD부(304)가 케이스에 있는 경우는 상기 본체에는 LCD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상기 케이스를 정면, 상하좌우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5에서, 508은 정면 또는 배면도를, 502 및 506은 각각 좌우측면도를, 504 및 510은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5에서, 도 3 및 4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케이스의 정면 또는 배면에는 Key부(302)가 위치하는데, 여기에는 재생 및 정지키(526), 볼륨 증가 및 감소키(514, 516), 반복키(Rep; 518), FF키(520), REW키(522) 및 Mega Bass키(저음보강키; 524)가 각각 배열되어 있다. 재생 및 정지키(526)는 토글(toggle) 형식으로 되어 있어, 한 번 누르면 재생기능, 그 상태에서 한 번 더 누르면 정지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복키(518)는 일정 구간의 음악(오디오 신호)을 반복해서 듣고자 할 때 필요한 키이다.
도 6은 본체를 정면, 상하좌우측면에서 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6에서, 602는 본체 접속부를, 608은 정면 또는 배면도를, 606 및 610은 각각 좌우측면도를, 604 및 612는 평면도 및 저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체의 윗면에는 케이스측의 케이스 접속부(402)와 접속하기 위한 본체 접속부(602)가 있다. 물론, 이는 아랫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편의상 본체 접속부(602) 및 케이스 접속부(402)에서는 6개의 핀을 할당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할당되는 핀의 개수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본체 접속부(602)의 핀들이 케이스 접속부(402) 접속부의 핀들과 접속됨으로써 케이스와 본체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에 배열되는 키의 예를 몇가지만 예로 들었으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더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키의 배열도 얼마든지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내부구조는 외형이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모양과 크기를 갖으면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한 얼마든지 다른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청구범위로 한정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를 장착한 상태에서 여러 가지 기능키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구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케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 본체를 완전히 둘러싸기 때문에 사용자가 본체의 파손이나 고장의 염려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케이스에는 키들의 크기를 크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이동중에도 상기 장치에 기록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를 아무런 불편없이 들을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조작으로 상기 본체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본체를 차량용 카세트 플레이어에 삽입하여 사용하는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Claims (6)

  1. 감기릴 또는 되감기 릴의 속도 및 방향을 감지하여 그 속도 및 방향에 상응하는 감지출력을 발생하는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또는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속도 및 방향 감지센서부에서 발생된 감지출력에 근거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리드하여 디코딩하거나,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의 기록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D/A 변환부; 상기 D/A 변환부에서 변환된 오디오 신호를 자기신호로 변환하는 헤드부; 및 상기 각 블록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내장하며, 그 외형이 카세트 테입과 동일한 크기와 모양을 갖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의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에서 입력된 키입력 신호를 받아들이기 위한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그 외부에 재생 및 정지키,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 홀드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상기 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장치에 부착된 이어폰짹으로 이어폰을 삽입하도록 하기 위한 홀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키입력부로 입력된 키신호를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기 위한 키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회로부는
    상기 재생 및 정지키의 눌림을 상기 접속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의 입출력 포트로 인가하기 위한 재생/정지핀, 상기 장치의 그라운드로 연결되기 위한 제그라운드핀을 포함하고,
    적어도,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 홀드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을 상기 제어부의 A/D 변환부로 입력하기 위한 아날로그핀, 상기 키회로부가 상기 접속부에 제대로 접속되었는지를 체크하기 위한 케이스핀, 상기 저음보강키가 입력된 경우 이를 표시하기 위해 LED를 점등시키기 위한 LED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재생 및 정지키, 볼륨증가 및 감소키, 반복키, FF키, REW키, 저음보강(Mega Bass)키는 상기 케이스의 정면 또는 배면에 설치하고,
    상기 홀드키는 상기 케이스의 측면, 상면 또는 하면의 어느 한 곳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및 정지키는 다른 키들보다 물리적으로 크게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치를 삽입한 상태에서,
    측면, 상면 또는 하면에 PC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받기 위한 USB 케이블 또는 Parallell 케이블을 꽂을 수 있도록 하는 다른 홀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장치에서 수행되는 기록 또는 재생을 포함한 여러 동작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에 적합한 케이스.
KR1019990027046A 1998-12-29 1999-07-06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KR19990073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0010 1998-12-29
KR19980060010 1998-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62A true KR19990073362A (ko) 1999-10-05

Family

ID=374908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47A KR100363706B1 (ko) 1998-12-29 1999-07-06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KR1019990027046A KR19990073362A (ko) 1998-12-29 1999-07-06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7047A KR100363706B1 (ko) 1998-12-29 1999-07-06 카세트 테입형 오디오 데이터 또는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637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KR20010002803A (ko) * 1999-06-17 2001-01-15 함상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810084B1 (ko) * 1999-10-26 2008-03-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353B1 (ko) * 1999-06-15 2006-07-1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카 오디오 시스템
KR100364201B1 (ko) * 2000-10-27 2002-12-16 주식회사 현원 카세트 테이프형 디지털 오디오 기기의 테이프 시뮬레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0423A (en) * 1995-06-14 1998-08-04 Audible, Inc. Interactive audio transmission receiving and playback system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2803A (ko) * 1999-06-17 2001-01-15 함상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810084B1 (ko) * 1999-10-26 2008-03-0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억 장치
US8041864B2 (en) 1999-10-26 2011-10-18 Sony Corporation Storage apparatus including a USB connector
US8086589B2 (en) 1999-10-26 2011-12-27 Sony Corporation Searching system, searching unit, searching method, displaying method for search results, terminal unit, inputting unit, and record medium
US9482561B2 (en) 1999-10-26 2016-11-01 Sony Corporation Searching system, searching unit, searching method, displaying method for search results, terminal unit, inputting unit, and record medium
US10133794B2 (en) 1999-10-26 2018-11-20 Sony Corporation Searching system, searching unit, searching method, displaying method for search results, terminal unit, inputting unit, and record medium
KR20000063635A (ko) * 2000-07-27 2000-11-06 장승관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363A (ko) 1999-10-05
KR100363706B1 (ko) 200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5376B2 (ja) オーディオおよびデータ通信用ジャック、再生装置
KR100719618B1 (ko) 데이터 재생장치
JP2002027049A (ja) オーディオプレーヤー付き携帯電話機
US6882492B1 (en) Cassette type audio data or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20020029091A1 (en) Digital audio player capable of playing digital audio data through existing cassette tape player
KR19990073362A (ko)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에적합한케이스
US4843498A (en) Dictating machine arranged like a telephone handset
JP2007011802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モリ用電子機器
JP3711099B2 (ja) 再生装置及び再生装置のアクセス方法
JP2000032581A (ja) ヘッドホン装置
KR20010091560A (ko) 오디오 데이터 재생기능을 갖는 충전기
KR100308246B1 (ko) 분리가능한 카세트 테입형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팩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시스템
JP3401638B2 (ja) オーディオ情報の記録再生装置
KR200341204Y1 (ko) 이어 마이크의 녹음장치
KR20000067308A (ko)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장착형 엠피3 플레이어 장치
JP2002222587A (ja) 音声再生装置
JP2002358098A (ja) データ再生装置
KR20060061659A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보호 방법
KR200324866Y1 (ko) 오디오 재생 장치
JP2002351496A (ja) データ再生装置
JP3365558B2 (ja) 記録再生装置
JP2007011088A (ja) 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並びにリムーバブルメモリ用電子機器
JP2001042897A (ja) 半導体記録再生装置とそのサポート機器
WO2008139629A1 (ja) 携帯型コンポーネントオーディオ
KR20010011025A (ko) 카세트 데크용 메모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