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902A -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 Google Patents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902A
KR20080016902A KR1020077030981A KR20077030981A KR20080016902A KR 20080016902 A KR20080016902 A KR 20080016902A KR 1020077030981 A KR1020077030981 A KR 1020077030981A KR 20077030981 A KR20077030981 A KR 20077030981A KR 20080016902 A KR20080016902 A KR 2008001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handle
reservoir
fluid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제이 다이어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1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저장조가 손잡이의 중심에서 또는 그 위에서 손잡이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유체 분배식 자루걸레를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저장조는 손잡이의 상단부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손잡이의 장축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액체 분배, 자루걸레, 손잡이, 저장조, 홀더, 분배기

Description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LIQUID DISPENSING FLOOR MOP}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05년 6월 14일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0/690,290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 내용은 자루걸레 또는 유사한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 내용은 손잡이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유체 저장조(fluid reservoir)가 배치된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에 관한 것이다.
액체(예를 들어, 물, 세척 용액, 바닥용 왁스, 살균제 등)를 바닥 표면에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러한 유형의 자루걸레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자루걸레 머리부, 자루걸레 머리부가 바닥 표면을 따라 수동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손잡이, 및 액체를 저장하는 저장조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저장조는 자루걸레 머리부 근처에 위치된 노즐 또는 분배 튜브에 연결되어, 액체가 자루걸레 머리부 상으로 또는 자루걸레 머리부에 가까운 위치의 바닥 표면 상으로 분배되게 하여 바닥 표면 상으로의 액체의 인가를 용이하게 한다. 저장조로부터의 액체의 유동은 전형적으로 밸브에 의해 제어되는데, 밸브는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폐쇄되어 있어 밸브를 통한 액체의 유동을 막지만,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 저장조로부터의 액체가 밸브를 통해 유동하게 한다. 밸브는 일반적으로 액체 사용 효율에 최적인 시간 및 장소에서의 액체의 분배를 허용하기 위하여 자루걸레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된다. 그러한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 조립체의 하나의 이점은 자루걸레 작업자가 별도의 단계에서 액체를 표면에 인가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 이는 자루걸레 작업의 일부로서 수행될 수 있어서, 자루걸레질 과정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많은 종래의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 조립체에서, 저장조는 손잡이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전형적으로는 손잡이의 하부에, 자루걸레 머리부 바로 위에 배치된다. 이는 저장조의 편리한 위치 결정에 이익이 되지만, 자루걸레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켜, 통상적인 사용 동안에 자루걸레를 이리저리 움직이거나 밀 때 저장조와 액체의 무게를 극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더 어렵고 힘들게 된다. 몇몇 자루걸레 조립체는 자루걸레질 과정 동안에 저장조가 손잡이와 함께 앞뒤로 움직일 필요가 없도록 자루걸레 손잡이로부터 저장조를 분리함으로써 이들 문제를 피해가려고 시도하였지만, 그러한 시스템은 저장조와 분배 튜브 사이의 연결이 자루걸레의 사용과 간섭될 수 있기 때문에 다루기에 성가시고 불편할 수 있다. 따라서, 개선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 내용은 유체 저장조가 손잡이의 상단부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손잡이의 일부로서 손으로 파지하고 조작할 수 있는 액체 분배식 청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 청소 시스템, 및 청소 방법은 종래의 자루걸레형 청소 시스템의 단점들 중 많은 단점을 피한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액체 저장조가 실질적으로 손잡이의 중앙 또는 그 위에서 손잡이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가 제공된다. 소정 실시예들에서, 저장조는 손잡이의 상단부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손잡이의 장축과 동축으로 정렬된다.
다른 태양에서, 본 개시 내용은 액체 저장조가 변형 및/또는 압착 가능하고, 손잡이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저장조가 자루걸레의 사용 동안에 손잡이의 일부로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를 제공한다. 본 청소 장치, 세척 유체 병, 및 이 병들을 운반하기 위한 홀스터(holster)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게다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신규한 청소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2a는 도 1의 저장조 홀더의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저장조 홀더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도 2b에 도시된 저장조 홀더 내에서 유체 저장조를 보유하기 위해 사용되는 로킹 탭(locking tab)의 도면.
도 4는 도 1의 예시적인 유체 유출구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개략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병 및 샤프트(shaft) 구성의 네 가 지의 예시적인 대안 실시예의 측면도.
도 7a는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3 대안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내부에 병을 갖는 도 7a의 저장조 홀더의 사시도.
도 7c는 도 7b의 저장조 홀더의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저장조 홀더의 제4 실시예의 분해도.
도 9는 도 1의 병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0a는 도 1의 저장조 홀더의 제5 실시예의 분해도.
도 10b는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0a의 저장조 홀더의 사시도.
도 10c는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0a의 저장조 홀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
도 13은 본 개시 내용에 따른 병 홀스터의 사시도.
도 14a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삽통식 샤프트(telescoping shaft)의 사시도.
도 14b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삽통식 샤프트의 단면도.
상술한 도면이 본 개시 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보여주지만, 논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가 또한 고려된다. 모든 경우에, 본 개시 내용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나타낸다. 무수한 다른 변형과 실시예가 본 개시 내용의 원리의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 의해 고안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개시 내용의 일 태양에 따른 예시적인 자루걸레 조립체(100)를 도시한다. 자루걸레 손잡이(140)는 그 하단부에서 유체 분배 조립체(15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자루걸레 손잡이(140)는 또한 그 상단부에서 저장조 조립체(110)의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자루걸레 머리부(190)는 결합 조인트(170)에 의해서 유체 분배 조립체에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조(130)는 병이고 자루걸레 손잡이(140)는 중공 튜브를 포함한다. 사용시, 물, 세척 용액, 바닥 왁스 등과 같은 유체는 저장조 조립체(110)로부터 바닥으로 전달되는데, 중공 손잡이(140)를 경유해서 유체 분배 조립체(150) 내로 들어가 유체 분배 분출구(155)를 빠져 나와 자루걸레 머리부(190) 부근의 바닥 상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나서, 유체는 전형적인 자루걸레질 방식으로 바닥 또는 임의의 다른 표면 상에서 넓게 펴질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에서, 저장조 조립체(110)는 전형적으로 자루걸레 손잡이(140)의 중앙의 위에 배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100)의 저장조 조립체(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조 조립체(110)의 장축이 손잡이(140)의 장축과 동축이 되는 상태로 손잡이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예를 들어, 저장조는 자루걸레 손잡이의 연장부로서 역할할 수 있으며, 또한 손잡이를 상당히 느슨하게 하거나 손의 위치를 변경함이 없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압착되거나 달리 조작될 수 있어, 저장조로부터 청소할 표면 상으로 유체를 분배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자루걸레 손잡이"라는 용어는 그의 통상 적으로 이해되는 정의, 즉 자루걸레 머리부에 인접한 제1 근접단부 또는 하단부 및 하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말단부 또는 상단부를 구비하는 긴 부재라는 정의를 갖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는 약 10:1 또는 그 이상의 종횡비(aspect ratio), 즉 길이 대 폭의 비를 가질 수 있다. 많은 핸드헬드(hand-held) 도구에 대해서, 전형적인 손잡이의 단면 폭 치수는 약 18 ㎜(약 0.75 인치) 내지 약 38 ㎜(약 1.5 인치)의 범위이다. 유사하게, 손잡이의 길이는 도구의 의도된 이용에 따라 약 50.8 ㎝(20 인치) 내지 152.4 ㎝(60 인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자루걸레 손잡이는 고정된 길이를 가질 수 있거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삽통식의 조절 가능한 길이의 손잡이의 실시예가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자루걸레 머리부"(190)는 도 1에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판형 매체 홀더로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조일 수 있다. 자루걸레 머리부는 소위 평탄형 자루걸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직조 또는 부직천 또는 종이 매체와 같은 청소 매체(미도시), 소위 스트링 또는 스트립 자루걸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천의 땋거나 꼬거나 직조된 직물 스트링 또는 스트립, 고무 걸레, 및 바닥 또는 다른 표면을 청소하거나 닦는 데 유용한 다양한 브러시형 재료를 부착하도록 된, 자루걸레 조립체의 일부분이거나 유사한 청소 도구이다. 자루걸레 머리부(190)는 자루걸레 머리부를 자루걸레 손잡이에 대하여 고정된 배향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 결합을 제공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자루걸레 머리부가 자루걸레 손잡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지만 손잡이에 대해 하나 초과의 배향을 취하도록 하는 회전 결합을 제공할 수 있는 결합 조인트(170)에 의해 자루걸레 손잡이(140)의 하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부", "저부", "아래" 및 "하방"과 같은 용어는 자루걸레 머리부 또는 바닥에 더 가깝거나 이를 향하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상부", "상방", "위" 및 "최상부"와 같은 용어는 자루걸레 머리부로부터 더 멀거나 멀리 떨어지는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본 개시 내용의 설명은 설명의 편의와 이해 가능성을 위해 자루걸레에 관하여 이루어졌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범주가 바닥용 자루걸레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바닥, 벽, 싱크대, 화장실, 창문 등에서 사용되도록의 도된 청소 도구를 포함하는, 표면을 청소하거나 유체를 표면에 펴바르거나 달리 인가하는 데 유용한 다른 도구에 적용된다는 것을 충분히 고려한다. 다시 말하면, 자루걸레라는 용어는 임의의 표면을 청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손잡이에 고정된 청소 재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도구를 언급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다.
전형적인 사용 모드에서, 자루걸레는 양손용(two-handed) 청소 도구이다. 작업자, 즉 자루걸레를 사용하는 사람은 한 손으로 손잡이를 그 상단부를 향해 파지하고 다른 손으로 손잡이를 그 중심을 더 향하여 파지한 상태로 자루걸레를 잡는다. 한 손으로, 작업자는 작업자 앞에서 자루걸레 머리부가 대략 원호 형상으로 선회하거나 8자형 패턴을 그리도록 하는 방식으로 손잡이에 대해 압력을 가한다. 손잡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된 손은 자루걸레를 더 많이 조작하여 자루걸레 머리부가 바닥 상에서 여기저기로 이동하게 하는 반면에, 손잡이의 상단에 가깝게 배 치된 손은 자루걸레 손잡이를 안정시키고 자루걸레 손잡이의 상단부가 사용 중에 피봇하게 되는 비고정 피봇점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출원인은 손잡이의 피봇점에 또는 그 부근에 부착된 저장조가 자루걸레의 관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지 않으며, 따라서 사용 중에 자루걸레의 운동에 상당한 방해를 주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자루걸레 손잡이에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되고 손잡이의 상단부에 배치된 저장조 조립체는 손잡이 자체에 대한 연장부로서 역할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손잡이의 상단부에 있는 손으로 자루걸레의 운동을 안정화시킴과 동시에 저장조를 조작하여 이로부터의 유체 분배를 편리하게 수행하게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저장조 조립체(11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저장조 홀더(200)는 저장조(250)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를 명시하지 않으면서 도 2에서의 구성요소를 참조할 때, 이는 두 실시예에 모두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조(250)는 캡(260)과 뚜껑(265)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병을 포함하며, 뚜껑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가진다. 편의상, 뚜껑(265)은 예를 들어 사용 중에 캡(260)의 분실 또는 잘못된 배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힌지에 의해 캡(260)에 부착될 수 있다. 뚜껑(265)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손으로 압착하는 결과로서 변형 가능한 저장조가 압축될지라도 저장조(250)가 뒤집어진 위치에 있어도 실질적인 유체 누설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저장조(250)가 홀더(200) 내의 캡 구멍(240)에 의해서 저장조 홀더(2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에 뚜껑(265)은 편리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몇 몇 실시예에서, 병은 작업자가 병 내에 있는 액체의 양을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투시 재료로 구성된다.
저장조(250)는 바람직하게는 저장조의 압착에 의한 것과 같이 외부 압력이 저장조의 외부 표면에 가해질 때 유체가 통과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압력이 없을 때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출구 오리피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260)은 출구 오리피스와 밸브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밸브는 분기 밸브(bifurcating valve), 즉 "압착"하는 동안 유체를 분배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유체 유동을 방지하는 밸브로서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분기 밸브를 포함하는 병 캡은 미국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리퀴드 몰딩 시스템즈, 인크.(Liquid Molding System, Inc.)로부터 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저장조 용량은 약 250 ㎖ 내지 1000 ㎖이다. 이러한 크기의 병은 작업자에 의해 미리 채워져 운반되어, 일단 현재 사용되는 저장조가 비워지면 자루걸레를 위한 유체를 손쉽게 보충할 수 있게 한다.
저장조는 병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저장조는 유체를 보유하도록 된 임의의 변형 가능한 또는 압착 가능한 용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저장조는, 박스 내부 백 용기(bag-in-a-box container)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저장조 홀더가 저장조를 수용하도록 되어 유체를 저장조로부터 분배하도록 되어 있는 백(bag) 또는 파우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조는 하나 초과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복수의 챔버들의 내용물이 분배 전에 또는 분배 중에 반응하거나, 조합하거나, 혼합되게 할 수 있다. 바닥 또는 다른 표면을 유지하는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자루걸레 조립체; 하나 이상의 저장조; 추가적인 저장조를 위한 운반부; 및 하나 이상의 저장조를 운반하도록 되어 있고 작업자의 신체 상에 착용되도록 된 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병을 운반하기 위한 홀스터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저장조 홀더(200)는 홀더(200) 내에서의 저장조(250)의 적절한 위치 설정을 허용하도록 하나 이상의 저장조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하부 저장조 지지체(210a)는 홀더(200a) 내에서 협소 부분 또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데, 협소 부분 또는 다른 구조는 홀더(200a) 내에서 저장조(250a)와 맞물려 이에 의해 저장조의 요구되는 위치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하부 저장조 지지체(210a)는 또한 저장조(250a) 상의 하나 이상의 구조물과 홀더(200a) 상의 하나 이상의 구조물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저장조(250a)와 맞물릴 수 있다. 상부 저장조 지지체(220a)는 단독으로 또는 하부 지지체(210a)와 협력하여 작용하여 홀더(200a) 내에서 저장조(250a)와 맞물려 이에 의해 저장조의 요구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시, 상부 저장조 지지체(220a)는 작업자의 손의 손바닥 안에 놓여 있을 수 있는 반면에 작업자의 손가락은 병을 가로질러 놓인다. 도 2a에 도시된 상부 저장조 지지체(220a)는, 저장조 홀더(200a)가 허브-스포크(hub-and-spoke) 유형의 배열인 2개의 동심원을 갖는 범퍼(225a)를 포함하며, O-링(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도록 될 수 있는 저장조 지지체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저장조 지지체(220)는 예를 들어 내부 O-링의 일부분이 저장조(250a)와 마찰 접촉하도록 슬롯 형성된 채널(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고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O-링은 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스(boss)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는 구멍(707)을 통해 연장하여 병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저장조 홀더(200)는, 자루걸레 손잡이가 벽, 기둥, 지주, 또는 다른 일반적인 수직 표면(이하, "벽"이라 함)에 대항하여 직립 위치로 배치될 때, 저장조 홀더의 자신의 형상에 의해서, 추가적인 부속품(fitting) 또는 성형물(moldings)에 의해서, 또는 부착된 외부 장치에 의해서 고정되어 놓이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조 홀더는 예를 들어 그 상단부 또는 이에 인접하여 평평한 에지 또는 사각형 단면과 같은 평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적합한 돌출부 또는 "발"(foot)이 저장조 홀더 상에 형성되어 안정한 안착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범퍼(225a)는 자루걸레 손잡이의 상단부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손잡이가 직립 방식으로 위치될 때 자루걸레가 벽에 대항하여 고정되어 놓이도록 할 수 있다. 범퍼의 일례는 두꺼운 O-링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O-링은 고무 또는 다른 물질로 된 단일 원형 필라멘트를 포함하고, O-링은 내경과 외경을 가지며, 필라멘트는 O-링의 외측 반경과 내측 반경 사이의 차이로 정의된 두께를 갖는다. 저장조 조립체가 상단부에서 손잡이와 동축으로 정렬되어 배치된 때, 예를 들어, 범퍼(225a)는 슬롯 형성된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a의 예에서, 바람직한 O-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조(250a)와의 마찰 접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내경을 가짐과 동시에, 자루걸레 조립체가 벽에 대항하여 직립 방식으로 배치된 때 벽과의 마찰 접촉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외경 을 갖는다. O-링 필라멘트는 전형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지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목적에 적합한 O-링은 유리하게는 예를 들어 사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른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O-링은 또한 동축으로 배치되고 스포크 또는 반경에 의해 서로 부착된 하나 이상의 O-링을 포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최내측 O-링은 저장조와의 마찰 접촉을 제공하고, 최외측 O-링은 자루걸레 조립체가 벽에 대항하여 직립 방식으로 배치된 때 벽과의 마찰 접촉을 제공한다. 자루걸레 조립체가 벽에 대항하여 직립 방식으로 배치된 때 안정한 안착 수단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전술한 두꺼운 O-링 또는 동심 O-링 조립체는 또한 범퍼로서 작용하여 자루걸레 손잡이가 바닥으로 넘어질 때 저장조 홀더 조립체에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손잡이에 대한 저장조의 배치에 따라, 범퍼는 손잡이 자체의 상단부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직접 부착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저장조 홀더(200b)는 전방으로 가압되어 병을 제 위치에서 보유할 수 있고 후방으로 잡아당겨져 병을 저장조 홀더(200b)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는 로킹 탭(230b)일 수 있다. 로킹 탭의 상세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저장조 홀더(200)는 홀더(200)를 자루걸레 손잡이에 부착하기 위한 어댑터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홀더(200)는 그 하단부(270)에서 튜브형 중공 자루걸레 손잡이(140)(예를 들어, 도 1, 도 7a 및 도 7b 참조)와 맞물리도록 그리고 저장조(250)와 중공 손잡이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 어댑터(280)는 O-링(281)을 수용하 도록 된 하나 이상의 채널 또는 홈(28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중공 손잡이(140)의 내부와 어댑터(280) 사이에서 견고한 누출이 없는 맞물림을 허용한다. 손잡이 어댑터(280)는 중공 손잡이의 상부 부분에 있는 슬롯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 홈 또는 채널(28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손잡이 어댑터(280)를 스냅 링(281), 나사 또는 다른 부착 수단(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c 참조)에 의해 손잡이에 고정시키게 한다.
손잡이(14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비중공, 즉 보다 통상적인 중실(solid) 손잡이일 수 있다. 손잡이가 중실이라면, 저장조 홀더는 나사, 클램프, 스트랩 또는 다른 부착 수단에 의해서 손잡이의 상단에 부착되거나 달리 고정될 수 있다. 몇몇 대안적인 부착 수단이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조 홀더는 저장조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방출하도록 저장조 자체가 작업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방식으로 손잡이 상에 배치된다. 저장조 홀더(200)는 예를 들어 기계가공 또는 성형,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공정에 의해 일편(one piec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장조 홀더(200)는 도면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거나 손잡이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제조의 용이성을 위해, 저장조 홀더(200)는 바람직하게는 함께 끼워맞춰져서 전체를 이룰 수 있는 2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것이다. 홀더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세그먼트들은 종래의 용접 또는 용제 용접과 같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또는 적합한 접착제에 의해서 서로 접합될 수 있다. 대 안적으로, 세그먼트들은 이들이 함께 나사결합되거나 마찰 끼워맞춤에 의해 연결될 수 있게 적절한 정합 표면들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 세그먼트들은 또한 대응하는 슬롯, 채널 또는 홈을 포함하여 세그먼트들이 나사, 리벳, 스냅 링 등에 의해 전체로 조립되게 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한번 참조하면, 자루걸레 손잡이(140)는 나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같은 상대적으로 강성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손잡이는 이를 관통하는 보어(bore) 또는 내부 통로를 가질 수 있는데, 보어 또는 통로는 손잡이의 장축과 동축이고, 이에 의해 손잡이의 그 부분 내에 채널을 생성하여 유체를 저장조로부터 손잡이의 하단부를 향해 전달하게 한다.
손잡이는 단일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는 삽통, 마찰 끼워맞춤, 나사결합 등에 의한 것과 같이 서로 맞물리는 둘 이상의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상에서 자루걸레 머리부(190)를 작업자가 조작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본 개시 내용에서의 자루걸레 손잡이(140)는 저장조 조립체(110)와 유체 연통하여, 유체 저장조(130)에 의해 분배된 유체를 저장조로부터 바닥으로 전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손잡이가 유체 도관으로서 역할하지만,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손잡이는 유체를 저장조(110)로부터 자루걸레 머리부(190)로 전달하는 튜브를 단지 내장할 수 있다. 중공 손잡이에서, 손잡이(140)와 저장조 조립체(110) 사이의 유체 연통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손잡이 어댑터(280)에 의해 구축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내부를 통해서 전달이 있을 수 있다. 중실 손잡이에서, 손잡이와 저장조 조립체 사이의 유체 연통이 예를 들어 저장조 조립체 상의 배관 커넥터 에 의해서 구축된 상태에서 손잡이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손잡이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분 하방으로 연장되는 배관, 채널 또는 다른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참조한다.
자루걸레 손잡이에 의해 유체 저장조로부터 이렇게 전달된 유체는 자루걸레 머리부에 가까운 표면 상으로 분배된다. 전달 수단이 배관, 채널(들) 등을 포함한다면, 배관, 채널(들) 등의 하단부는 자루걸레 머리부에 인접한 바닥 상으로 또는 자루걸레 머리부 자체로 액체의 유동을 허용하도록 편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달 수단이 중공 손잡이 또는 내부를 관통하는 보어를 가진 손잡이를 포함한다면, 손잡이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 내용의 몇몇 실시예에서, 특정 전달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유체가 저장조로부터 표면 상으로 대기를 통해 직접 분배되는 것도 고려된다.
도 4는 예시적인 유체 유출구 어댑터(400)를 도시한다. 유출구 어댑터(400)의 상단부(410)는 손잡이(도 1 참조)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손잡이의 하부 부분과의 유체 연통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유출구 어댑터의 본 실시예에서, 유체는 어댑터의 내부에 있고 니플(nipple, 420)과 연통하는 보어를 통해 전달된다. 니플(420)은 바닥 상으로 직접 유체를 분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배 튜브(425)가 니플(420)과 바닥 표면 사이에서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에서, 분배 튜브(425)는 유출구 어댑터(400) 내의 공동(cavity) 또는 구멍(430) 내에 배치되고 니플(420)의 외부에 부착되어, 이에 의해 어댑터의 내부와 자루걸레 조립체의 외부 사이에서 유체 연통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니플 또는 분배 튜브는 바닥 표면 또는 자루걸레 머리부 상으로 액체 또는 폼(foam)의 하나 이상의 스트림, 또는 유체 분무를 제공하도록 될 수 있다.
도 4의 유출구 어댑터(400)는 결합 어댑터(450)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결합 어댑터는 결합 조인트(170)에 의해서 도 1의 유체 분배 조립체(150)를 자루걸레 머리부(190)에 부착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조인트(170)는 절곡된 금속편(171)을 포함하는데, 절곡된 금속편은 너트(174)와 함께 절곡된 금속편(171)을 결합 어댑터(45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볼트(173)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키홀(keyhole) 부분(172)을 포함한다. 하단부(175)는 매체 홀더 또는 자루걸레 머리부(190)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배열은 자루걸레 머리부가 손잡이에 대해 2개의 직교 축을 중심으로 피봇할 수 있게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결합 어댑터는 또한 손잡이의 종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저장조를 포함한 저장조 조립체는 작업자가 저장조의 적어도 일부분과 손잡이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자루걸레 손잡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형적인 사용 모드로 자루걸레를 조작하면서 손 작동에 의해 저장조로부터 유체를 분배할 수 있게 한다. 도 5a는, 저장조(510)가 자루걸레 손잡이(520)의 장축에 평행하게 상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저장조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과 유체 연통하며, 작업자가 저장조의 적어도 일부분과 손잡이를 동시에 파지할 수 있도록 저장조(510)가 손잡이(520) 상에 배치된 본 개시 내용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된 저장조 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자루걸레가 전형적인 사용 모드로 사용될 때 최상측의 손으로 저장조를 파지하여 작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5b는 저장조(550)가 저장조를 수용하도록 된 손잡이의 일부분(575)에서 손잡이(570)에 인접하게 배치된, 출원인에 의해 고려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 둘 다에서, 전술한 것과 개념이 대체로 유사하거나 제조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일반적으로 공지된, 저장조 조립체, 저장조 부착수단 및 유체 전달 수단의 상세 사항은 생략한다.
저장조 또는 저장조 조립체는 손잡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저장조는 외부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재충전될 수 있다. 출원인에 의해 고려된 하나의 사용 방법은 하나 이상의 저장조를 동일하거나 다른 세척 유체로 충전하는 단계와, 저장조를 자루걸레 손잡이 상의 저장조 홀더 내로 적재하는 단계와, 자루걸레 손잡이를 파지하고 자루걸레질 과정을 시작함과 동시에 저장조를 작동시켜 세척 유체의 일부를 방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분배식 자루걸레 조립체의 이점은 단지 현재의 저장조를 제거하고 새로운 것을 삽입함으로써 세척 유체의 즉각적인 교체가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범용의 세제를 수용한 제1 저장조를 이용하여 바닥 표면을 청소하고, 제1 저장조를 제거하고, 살균제 유체를 수용하는 제2 저장조를 삽입하여 제1 저장조를 비울 필요 없이 살균제를 가지고 바닥을 자루걸레질할 수 있다. 도 13은 다수의 병을 운반하는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허리 주위에 부착될 수 있는 홀스터(600)를 도시한다. 홀스터(600)는 스트랩(610)에 의해 연결된 2개의 팩(602, 604)을 포함한다. 각각의 팩 은 세척액 병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3개의 메쉬 파우치(606)를 포함한다. 스트랩(610)의 단부들은 작업자가 홀스터(600)를 빠르고 쉽게 부착하고 분리할 수 있게 하는 활주식 해제 버클(608)을 통해 연결된다. 많은 대안적인 홀스터 장치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병과 샤프트 구성의 4개의 예시적인 대안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장착 브래킷(579, 580)을 통해 샤프트(578) 근처에 부착된 저장조 홀더 및 병 장치(577)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는 병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샤프트(578)의 외부에 있는 튜브(581)를 통해 흐른다. 도 6b는 주 샤프트(591)와 축방향으로 정렬된 저장조 홀더 및 병 장치(590)를 도시한다. 샤프트(591)는 저장조 및 병 장치(590) 둘레에서 움직인다. 샤프트(592)의 상부 부분은 옆으로 피봇될 수 있어서, 샤프트의 축에서 벗어난 부분(594)에 있는 로킹 기구(593)를 로킹하거나 로킹 해제함으로써 병을 저장조 홀더에 적재하거나 이로부터 내려놓을 수 있게 한다. 도 6c는 저장조 홀더 및 병 장치(595)가 주 샤프트 부분(596)과 정렬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의 축을 벗어난 부분(597)은 저장조 홀더 및 병 장치(595)를 따라 배열되어, 작업자가 청소하는 동안까지 파지하기 위한 다른 영역을 제공한다. 도 6d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c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이는 단지 주 샤프트(596)와 정렬된 상부 부분(598)을 포함한다는 점에서만 다르다. 본 실시예는 또한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부 부분(598)의 저부와 저장조 홀더 및 병 장치(595)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있어서 상부 부분(598)을 움직이지 않고도 병을 적재하거나 내려놓 을 수 있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3 대안 실시예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조 홀더(700)는 본체부(701), 목부(neck, 702) 및 범퍼(703)를 포함한다. 본체부(701)는 병(704)을 수용하고 지지하도록 하는 크기 및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목부(702)는 샤프트(705)에 의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범퍼(703)는 본체부(701)의 외부 표면 상의 홈(708) 내에 안착되어 본체부(701)의 탭(706)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편의시킨다. 탭(706)은 병(704)의 하부 부분 상에 배치된 환형 견부(annular shoulder)와 맞물리는 리지(ridge)를 내부 표면 상에서 포함한다. 리지는 견부 상에서 스냅 결합하여서, 저장조 홀더(700) 내에 병(704)을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범퍼는 본체부(701) 내의 구멍(707)을 통해 돌출하며 병(704)의 외부 표면과 직접 맞물리는 보스를 포함한다.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도시된 범퍼(703)는 또한 장치가 바닥으로 넘어지는 것에 기인할 수 있는 손상으로부터 저장조 홀더(7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저장조 홀더(700)로부터 멀리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병(704)은 병(704)을 저장조 홀더(700)의 본체부(701) 내로 삽입하기 전에 개방되는 캡(710)을 구비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한다. 캡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경우, 병은 압착될 때 액체를 분배한다. 병(704)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크기로 된 중간 부분(711)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단부 부분(712)은 구조적 강성을 부가하기 위한 리브(rib)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부(702)는 도 2a에 도시된 목부와 유사하다. 목 부(702)는 샤프트(705) 상에서 본체부(701)를 지지하고, 병(704)으로부터 분배되는 유체를 샤프트(705) 내로 흐르게 한다. 방사상 거미줄 형상 특징부(793)는 병(704)의 하단부를 지지하지만 유체가 병(704)으로부터 목부(702) 내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목부(702)는 한 쌍의 O-링(709)을 수용하는 크기로 된 한 쌍의 이격된 홈을 포함한다. O-링(709)은 목부(702)와 샤프트(705)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 연결한다. O-링(709)은 목부(702)와 샤프트(705)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하고, 2개의 구성요소들 사이에서 딱 맞는 끼워맞춤을 제공하는데, 이는 목부(702)와 샤프트(705) 사이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덜컥거림과 유격을 제거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스냅 링(281)은 샤프트(705)를 목부(702)에 로킹한다. 스냅 링(281)은 샤프트(705) 상의 구멍(714)을 통해 끼워맞춤되는 돌출부(713)를 포함하고, 목부(702) 상의 반경방향 슬롯(286)을 통해 연장된다. 저장조 홀더(700)는 스냅 링(281)을 제거함으로써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목부(702) 및 샤프트(705)의 배열이 저장조 홀더(700)를 샤프트(705)에 연결하는 많은 방법들 중 단지 하나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1의 저장조 홀더의 제4 실시예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지만, 본체부(715)는 탭(706)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범퍼(703)를 수용하기 위한 홈(708) 및 구멍(707)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체부(715)의 내측 상부 에지(716)는 병(719)의 돌기(718)를 수용하 는 크기로 된 L자형 홈(717)을 포함한다. 병(719)은 돌기(718)를 홈(717)과 맞물리게 하고 병(719)을 시계방향으로 비트는 것에 의해 본체부(715) 내로 고정될 수 있다. 병(719)은 병(719)을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고 홀더의 본체부(715)로부터 멀리 잡아당김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목부(702)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의 목부(702)와 동일하다.
도 9는 도 1의 병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병(720)은 다른 형상을 가지며 손잡이 연장부(721)가 나타나 있다. 병(720)은 상단부에서 나삿니를 포함하는데(예를 들어, 도 10a 내지 도 10c 참조), 나삿니는 병(702)의 상단부까지 나삿니가 형성되고 상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연장부(721)와 정합하도록 구성된다. 손잡이 연장부(721)는 작업자가 병(720)으로부터 액체를 분배하고 싶지 않을 때 작업자가 청소 장치를 조작하기 위하여 잡게 되는 또 다른 위치를 제공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도 1의 저장조 홀더의 제5 실시예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조 홀더(750)의 본체부(751)는 병(753)을 적재하거나 이를 내려놓기 위해 개방되고 병(753)을 내부에 고정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는 도어(752)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어(752)는 리빙 힌지(living hinge, 754)를 따라 개방되고, 로킹 기구(755)를 통해 스냅 결합하여 폐쇄된다. 본체부(751)는 도어(752)가 폐쇄될 때 병(753)이 견고하게 보유되는 것을 보장하는 내부 구조적 부재(756)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병(753)의 하부 부분(757)만이 저장조 홀더(750)의 본체부(751) 내에 내장된다. 상부 부분(758)은 작업자가 병(753)을 압착하여 액체를 분배할 수 있도록 노출된 상태로 남는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6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실시예가 도어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저장조 홀더(760)는 플런저 지지 구조물 및 플런저(762)를 포함한다. 플런저는 저장조 홀더(760)의 구멍(763) 내에 수용되고 저장조 홀더(760)의 본체 내로 연장된다. 저장조 홀더(760) 내에 있는 병(765)은 반경방향 리브(764)를 갖도록 구성되며, 반경방향 리브는 병이 플런저(762)를 통해 하방으로 압축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762)를 내리누르면 액체가 병(765)으로부터 분배된다.
도 12는 도 1의 저장조 홀더 및 병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저장조 홀더(790)는 창(window) 또는 캡 구멍(240)을 포함하지 않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병 캡(710)은 병(792)이 홀더(790) 내에 안착되기 전에 개방된다. 저장조 홀더(790)의 목부 및 범퍼는 전술한 목부 및 범퍼와 유사하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개시 내용에 따른 삽통식 샤프트의 사시도이다. 샤프트(705)는 상부 부분(800)과 하부 부분(801)을 포함한다. 하부 부분(801)은 상부 부분(800)으로부터 삽통식으로 연장한다. 상부 부분(800)과 하부 부분(801)이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도록 분리될 수 있고 상부 부분(800)과 하부 부분(801)을 고정된 위치에 로킹하도록 맞물릴 수 있는 로킹 기구(802)가 상부 부분 상에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샤프트(705)의 내부는 유체 도관으로서 작용한다. 다 시 말하면, 샤프트(705)는 액체가 샤프트(705)의 내부를 통해 직접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O-링은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사이의 연결부를 밀봉하도록 사용되어 유체가 샤프트(705)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샤프트(705)의 많은 대안적인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명세서, 실시예 및 데이터는 본 발명의 구성물의 제조 및 사용의 완전한 설명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많은 실시예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하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1)

  1.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로서,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비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하단부에 부착된 매체 홀더; 및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 상에 또는 이에 인접하여 배치된 저장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조는 유체를 수용하고 이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도록 된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의 무게중심은 상기 손잡이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있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유체가 병 밖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하는 출구 오리피스를 구비하는 압착 병을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리피스는 밸브를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오리피스는 분기 밸브를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저장조를 상기 손잡이에 해제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어댑터를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유체를 자루걸레 머리부로 분배하도록 구성된,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유체 분배 유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저장조로부터의 유체를 수용하고 유체를 상기 분배 유출구로 전달하도록 된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병은 사용자가 병 내에 수용된 유체의 수위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투시 재료로 이루어지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에 연결된 튜브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저장조로부터의 유체를 수용하고 유체를 상기 분배 유출구를 통해 바닥 상으로 분배하는 바닥용 자루걸레 조립체.
  11. 액체 분배식 청소 장치로서,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을 구비하고, 삽통식이며, 내부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 부분에 부착되고, 병을 상기 유체 도관과 유체 연통하게 배치하도록 구성된 병 홀더;
    상기 손잡이의 제2 단부 부분에 배치되고, 유체가 상기 유체 도관을 빠져나갈 수 있게 구성된 유체 분배기
    를 포함하는 액체 분배식 청소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 내로 연장되는 목부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O-링과 맞물리는 2개의 이격된 동심 홈을 포함하고, 상기 O-링은 목부 및 손잡이의 내부 표면과 접촉하는 청소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상기 병 홀더를 손잡이에 해제 가능하게 로킹하는 스냅 링과 맞물리는 리세스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이 상기 손잡이의 종축과 정렬되도록 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청소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이 병 홀더 내에 있는 동안에 작업자의 손에 의해 압착될 수 있도록 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청소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이 병 홀더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고 병이 병 홀더 내에 고정되도록 폐쇄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하는 청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 내에 있는 병의 일부분은 병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플런저를 작동시킴으로써 압착될 수 있는 청소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을 제1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비틀 때 병을 병 홀더 내에 고정시키고 병을 반대 방향으로 비틀 때 병을 병 홀더로부터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청소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 홀더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 O-링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O-링은 병 홀더 내의 병과 마찰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청소 장치.
  21. 청소 방법으로서,
    손잡이의 샤프트 주위에서 제1 손으로 그리고 상기 손잡이에 부착된 병 주위에서 제2 손으로 자루걸레를 잡는 단계;
    병을 압착하여 액체를 병으로부터 자루걸레의 상기 손잡이를 통해 바닥 표면 으로 요구되는 대로 분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청소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홀스터 내에서 복수의 병을 운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홀스터는 작업자의 허리 둘레에서 병을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 청소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병을 압착하는 단계는 상기 자루걸레가 청소할 표면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동안에 동시에 수행되는 청소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병을 상기 자루걸레의 샤프트에 연결된 병 홀더 내에 삽입하기 전에 병의 캡을 개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청소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청소 방법.
  26. 액체 분배식 청소 시스템으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유체 도관을 포함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된 매체 홀더;
    상기 유체 도관과 유체 연통하고, 상기 손잡이의 제1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분배기;
    상기 손잡이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고 손잡이의 제2 단부에 연결된 병 홀더;
    제1 단부 부분 및 제2 단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단부 부분이 병 홀더 내에 보유되는 압착 병을 포함하고,
    상기 병은 상기 유체 도관 및 분배기와 유체 연통하고, 병을 압착하면 유체가 병으로부터 유체 도관을 통해 분배기 외부로 유동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분배식 청소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중공 삽통식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
  28. 제26항에 있어서, 작업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하니스(harness)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니스는 병을 보유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파우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병 홀더는 병 홀더를 상기 손잡이에 부착하고 이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신속 연결 조립체를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병은 상기 병 홀더 내에 마찰식으로 끼워맞춤되는 시스템.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병을 가압하여 병을 변형시키고 이에 의해 병으 로부터 액체를 분배시키는 작동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077030981A 2005-06-14 2006-06-13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KR20080016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029005P 2005-06-14 2005-06-14
US60/690,290 2005-06-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02A true KR20080016902A (ko) 2008-02-22

Family

ID=37074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981A KR20080016902A (ko) 2005-06-14 2006-06-13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280546A1 (ko)
EP (1) EP1898769A1 (ko)
JP (1) JP2008543436A (ko)
KR (1) KR20080016902A (ko)
CN (1) CN101242774A (ko)
AU (1) AU2006259548A1 (ko)
BR (1) BRPI0613311A2 (ko)
CA (1) CA2612018A1 (ko)
MX (1) MX2007016041A (ko)
RU (1) RU2007147630A (ko)
WO (1) WO2006138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92B1 (ko) * 2009-05-08 2009-09-15 채일병 청소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563A (ko) * 2007-05-03 2010-02-16 존슨디버세이, 인크. 바닥 관리 도구 및 방법
USD590117S1 (en) 2007-05-03 2009-04-07 Johnsondiversey, Inc. Floor maintenance tool
USD602664S1 (en) 2007-05-03 2009-10-20 Johnsondiversey, Inc. Floor maintenance tool
JP5037410B2 (ja) * 2008-02-01 2012-09-26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CA2734155A1 (en) * 2008-07-14 2010-01-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making a cleaning solution from hydrogel cleaning concentrate and packaged cleaning concentrate
USD789637S1 (en) * 2014-04-15 2017-06-13 WISP Industries, Inc. Broom handle
WO2016033354A1 (en) 2014-08-27 2016-03-03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Spray mop having a pivoting liquid reservoir assembly
JP6501244B2 (ja) * 2014-10-07 2019-04-17 イマックス株式会社 伸縮式クリーナ
JP2016116803A (ja) * 2014-12-24 2016-06-30 イマックス株式会社 清掃具
US9795268B2 (en) 2015-01-13 2017-10-24 Cedar Creek Cleaning Products, LLC Handle apparatus and cleaning device comprising same
WO2016133634A1 (en) * 2015-02-19 2016-08-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quid dispensing clean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ES2899257T3 (es) * 2015-08-17 2022-03-10 Unger Marketing Int Llc Conjuntos de limpieza y acondicionamiento de superficies duras
US20190001480A1 (en) 2015-08-17 2019-01-03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Tool handles having stationary and rotational portions
US20170096626A1 (en) * 2015-10-02 2017-04-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pad, cleaning implement, and a method of improving shine of a hard surface using the cleaning pad or cleaning implement with a cleaning composition
US9980621B1 (en) 2016-01-10 2018-05-29 Worldwide Integrated Resources, Inc. Fluid dispenser having a liquid release bottle with suction bellows or a liquid squeeze bottle incorporated into a flat mop
USD794890S1 (en) * 2016-01-12 2017-08-15 Cedar Creek Cleaning Products, LLC Handle
USD864511S1 (en) 2016-08-16 2019-10-2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Pole grip
USD852444S1 (en) 2016-08-16 2019-06-25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Bottle
USD826503S1 (en) 2017-05-02 2018-08-21 WISP Industries, Inc. Dustpan
CN110740671A (zh) * 2017-06-16 2020-01-31 3M创新有限公司 清洁工具和容器系统
USD867705S1 (en) 2017-09-11 2019-11-19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Bottle
USD911844S1 (en) 2019-01-18 2021-03-02 Unger Marketing International, Llc Bottle for a cleaning device
US10925458B2 (en) * 2019-06-05 2021-02-23 Butler's Brand, Inc. Floor cleaning device
JP7488146B2 (ja) 2020-07-29 2024-05-21 大王製紙株式会社 掃除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614623A (fr) * 1926-04-16 1926-12-18 Anciens Etablissements Varene Injecteur d'encaustique pour les appareils de ménage
US3458265A (en) * 1967-03-06 1969-07-29 Michele Agrimi Implement for cleaning glass sheets,washable walls and the like,provided with storage tank and manually operable pumping device for ejecting a spray of detergent liquid
US3713744A (en) * 1971-03-02 1973-01-30 C Sims Combination cleaner, polisher and waxing device for walls and floors
KR890008121Y1 (en) * 1987-05-13 1989-11-20 Shin Byong Gwon Glass cleaners
DE3905760A1 (de) * 1988-08-16 1990-02-22 Henkel Kgaa Vorrichtung zur behandlung textiler bodenbelaege
US5240156A (en) * 1992-02-03 1993-08-31 Sicotte Louis T Modular component system
FR2735676B1 (fr) * 1995-06-20 1997-08-01 Net System Balai de nettoyage
US5735620A (en) * 1996-03-11 1998-04-07 Ford; Peggy D. Multi-purpose cleaning tool
DE20004867U1 (de) * 2000-03-16 2000-12-07 Mundt Sylvia Vorrichtung zur Bodenreinigung
ATE376384T1 (de) * 2002-04-26 2007-11-15 Leifheit Ag Feuchtreinigungsvorrichtung
DE20308477U1 (de) * 2003-05-30 2003-08-14 Avet Ag Rueti Reinigungsgerä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092B1 (ko) * 2009-05-08 2009-09-15 채일병 청소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80546A1 (en) 2006-12-14
WO2006138327A1 (en) 2006-12-28
JP2008543436A (ja) 2008-12-04
RU2007147630A (ru) 2009-07-20
BRPI0613311A2 (pt) 2010-12-28
MX2007016041A (es) 2008-03-10
CN101242774A (zh) 2008-08-13
CA2612018A1 (en) 2006-12-28
AU2006259548A1 (en) 2006-12-28
EP1898769A1 (en)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6902A (ko)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KR100758521B1 (ko) 유체 전달 장치
US8079770B2 (en) Cleaning tool with fluid delivery device
EP1633230B1 (en) Mop assembly and cart
US7854562B2 (en) Internal feed manual paint brush
US6467983B2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for cleaning implements
AU2006285437B2 (en) Surface cleaning device with liquid dispenser
US20130340798A1 (en) Integrated cleaning implements and dispensation devices
CA1260432A (en) Fountain applicator handle
AU2013207314B2 (en) A liquid applicator device
US7182538B2 (en) Paint dispensing and storage kit
US20180028039A1 (en) Liquid dispensing cleaning system and methods of use
US20030197027A1 (en) Mop handle assembly adapted to dispense liquid
CN111839384B (zh) 注入喷射式拖把
JP2005230595A (ja) 噴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