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092B1 - 청소용구 - Google Patents

청소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092B1
KR100917092B1 KR1020090040438A KR20090040438A KR100917092B1 KR 100917092 B1 KR100917092 B1 KR 100917092B1 KR 1020090040438 A KR1020090040438 A KR 1020090040438A KR 20090040438 A KR20090040438 A KR 20090040438A KR 100917092 B1 KR100917092 B1 KR 100917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eaning
liquid supply
ba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일병
Original Assignee
채일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일병 filed Critical 채일병
Priority to KR1020090040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8Plat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는 속이 빈 통 형상인 복수 개의 단위막대가 텔레스코픽하게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에 결합된 청소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복수 개의 단위막대 중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청소부가 설치된 단위막대 및 상기 노즐부가 설치된 단위막대와 다른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액체공급부와, 상기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공급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액체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청소, 액체, 세척액, 분사, 노즐, 신축.

Description

청소용구 {APPARATUS FOR CLEANING}
본 발명은 청소용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과정에서 액체를 분사할 수 있는 청소용구에 관한 것이다.
마루바닥과 같은 바닥면을 청소할 때 물에 적신 걸레를 이용하여 닦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걸레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걸레에 밀대를 결합한 밀걸레 또한 널리 사용된다. 물에 적신 걸레는 먼지 등 이물질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청소효과가 높다. 그런데 걸레로 바닥면을 닦으면 걸레에 함유된 수분이 점차 바닥면으로 옮겨 묻으므로 걸레는 점차로 함수율이 떨어지며, 종국에는 먼지 등 이물질을 부착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걸레를 새로 빨거나 수분을 보충해주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오염이 심한 바닥면을 청소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세척액을 걸레나 바닥면에 뿌린 후에 걸레질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걸레에 수분을 보충하거나 세척액을 뿌려주기 위해서는 걸레 이외에 분무기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소지하여야 하는데, 사용자가 걸레와 분무기를 함 께 휴대하는 것이 번거롭기도 할 뿐더러 걸레와 분무기를 번갈아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상 불편도 있다.
한편 유리창을 청소하는 경우에도 물이나 세척액을 유리창에 뿌리는 과정이 종종 수반되며, 물이나 세척액을 뿌린 유리창을 닦아내기 위한 스펀지나 스퀴지(squeegee)가 필요하므로, 역시 사용자는 분무기와 스펀지를 함께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이나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는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나 세척액을 분사할 수 있으면서도 밀대의 길이조절이 가능하여 사용편의성이 향상된 청소용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는, 적어도 하나는 속이 빈 통 형상인 복수 개의 단위막대가 텔레스코픽하게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에 결합된 청소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복수 개의 단위막대 중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청소부가 설치된 단위막대 및 상기 노즐부가 설치된 단위막대와 다른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액체공급부와, 상기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공급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액체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손잡이부는 신축가능하면서도 그 일측에 설치된 액체공급부로부터 반대편에 설치된 노즐부까지 액체 공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관은, 나선형으로 꼬인 플라스틱 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부는, 관절파이프를 포함함으로써 임의로 굽힐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청소부는,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동블럭을 포함하거나,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지지판 측으로 압박하는 가동클립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동블럭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체공급부는, 휴대용 수동 분무기를 포함함으로써, 제조과정을 단순하게 하고, 액체공급부가 고장나더라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레 등에 물이나 세척액을 분사하는 기능이 통합되어 있 으므로, 여러 개의 도구를 휴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청소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부의 길이가 조절되면서도, 사용자의 손에 가까운 위치에 액체공급부가 위치하고, 반대편 말단에 걸레 등이 위치하더라도 물 또는 세척액의 공급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용 수동 분무기를 액체공급부로 전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과정이 단순하고 고장시 교체, 수리가 용이하며, 사용자가 분무기를 직접 작동시켜 적량의 액체를 필요한 곳에만 분사할 수 있으므로 물이나 세척액의 낭비를 막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청소부가 손잡이부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청소부를 교체함으로써 바닥면, 유리창, 천정이나 벽면 청소 등에 맞도록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스퀴지 등을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손잡이부 하나만으로 다양한 종류의 청소작업에 변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노즐부는 자유롭게 자세를 바꿀 수 있으므로 청소 이외에도 화초에 물주기와 같은 부가적인 용도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일실시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에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손잡이부(1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한편 아래에서 설명할 청소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단위막대(101,102)로 이루어진다. 각 단위막대(101,102)는 속이 빈 통 형상의 막대로서, 어느 하나가 이웃한 다른 하나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됨으로써, 단위막대(101,102) 전체가 이루는 길이가 신축되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한 구조로 결합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제1 단위막대(101) 및 제2 단위막대(102)가 모두 속이 빈 원통 형상이며, 제1 단위막대(101)의 외경이 보다 작아서 제2 단위막대(102)의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삽입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물론 제1 단위막대(101) 및 제2 단위막대(102)는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단면 모양을 가질 수 있고, 단위막대의 갯수 또한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단위막대가 어떤 단면 모양을 가지며, 몇 개가 구비되더라도, 복수의 단위막대는 서로 내삽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된 단위막대 전체의 길이가 신축될 수 있어야 한다. 고정노브(103)는 제1 단위막대(101)와 제2 단위막대(102)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막아 손잡이부(100)의 길이가 변화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한 단위막대에 나사결합되어, 나사가 조여짐에 따라 다른 한 단위막대의 외주면을 압박함으로써 양자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고리(104)는 제2 단위막대(102)의 제1 단위막대(101) 반대편 끝단에 결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를 보관할 때 걸어 두기 위한 것이다.
청소부(200)는 손잡이부(100)에 의해 지지되며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스퀴지 등을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판(210)과, 지지판(210)에 걸레(240) 등을 선택적으로 착탈 시킬 수 있게 해주는 가동클립(230)을 포함한다. 가동클립(230)은 일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탄성지지되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걸레(240)의 끝단을 지지판(210) 측으로 압박함으로써 걸레(240)가 지지판(210)에 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외력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걸레(240)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청소부(200)는 손잡이부(100)에 대해 고정되어 있거나, 손잡이부(100)와 일체로 제조될 수도 있으나, 손잡이부(10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손잡이부(100)의 각도와 무관하게 청소부(200)의 저면측이 청소 대상인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청소 효과가 증대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청소부(200)는 지지판(210)에 힌지결합된 회동블럭(220)을 더 포함하며, 회동블럭(220)은 다시 수용홈을 구비하여 이 수용홈에 손잡이부(100)의 제1 단위막대(101)이 끼워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서, 제1 단위막대(101)가 청소부(200)의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면, 손잡이부(100)는 그 길이방향에 따른 축을 중심으로 청소부(200)에 대해 회전이 가능해지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증대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수용관(221)에 의해 수용홈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수용홈은 회동블럭(220)에 직접 형성된 오목한 홈의 형태로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용홈이 구비된 청소부(200)는 손잡이부(10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므로, 도 1 내지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걸레(240)를 고정할 수 있는 형태의 청소부(200) 이외에 솔, 스펀지 또는 스퀴지를 구비한 다른 형태의 청소부를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는 회동블럭(220)이 1축 힌지에 의해 지지판(210)에 결합된 것으로 예시하고는 있으나, 2축 회동이 가능한 2축 힌지로 결합될 수도 있다. 지지판(210)과 회동블럭(220)이 2축 힌지로 결합된 경우에는 자유도가 높아지므로, 청소부(200)가 청소 대상인 바닥면에 보다 더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노즐부(300)는 청소부(200)에 배치된 걸레(240) 등이나 청소 대상인 바닥면을 향해 액체, 즉 물이나 세척액을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단위막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그 개방단은 청소부(200)를 향하도록 되어 있다. 노즐부(300)가 설치되는 단위막대는 반드시 손잡이부(100)의 말단에 위치한 단위막대일 필요는 없으므로, 앞서 청소부(200)가 설치된 단위막대와 동일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노즐부(300)가 설치되는 단위막대와 청소부(200)가 설치되는 단위막대가 반드시 달라야 할 이유도 없으며, 도 1 내지 도 4에서도 양자 모두 제1 단위막대(101)에 설치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다. 한편 노즐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의 형태일 수 있는데, 특히 가요성을 가져서 그 개방단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노즐부(300)는 금속제 주름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절 파이프(articulated pipe)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관절 파이프는 서로 접속되는 두 관체 사이에서, 하나의 관체에는 소켓(socket)에 상응하는 형상이, 다른 하나의 관체에는 볼(ball)에 상응하는 형상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볼이 소켓이 삽입됨으로써 외부에 대해 기밀을 유지한 채로 두 관체 사이에 유체가 유출됨이 없이 유동할 수 있는 구조체를 가리키며, 이와 같은 소켓 및 볼이 형성하는 관절이 연속적으로 구현된 예도 알려져 있 다. 노즐부(300)가 관절 파이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임의로 굽혀진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향이 강하며, 강도와 내구성이 보다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액체공급부(400)는 노즐부(300)를 통해 물 또는 세척액과 같은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100)를 이루는 복수의 단위막대 중 청소부(200)가 설치된 단위막대가 아닌 다른 단위막대에 설치된다. 또한 액체공급부(400)는 노즐부(300)가 설치된 단위막대와도 다른 단위막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00)과 청소부(200)가 모두 제1 단위막대(101)에 설치된 경우, 액체공급부(400)는 제2 단위막대(102)에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의 손과 최대한 가까운 거리에 액체공급부(400)가 위치되도록 하는 동시에, 손잡이부(100)의 신축작동 시에 노즐부(300)와의 공간적 간섭을 회피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액체공급부(400)는 휴대용 수동 분무기로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휴대용 수동 분무기란, 휴대가 가능한 크기이고, 일측에 액체수용탱크가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수동작동시키는 형태의 분무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가정에서 원예, 청소, 다림질 등의 용도로 흔하게 사용되는 것이거니와, 별도 구입이 매우 용이하므로, 액체공급부(400)가 고장난 경우에 손쉽게 조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수동 분무기의 액체수용탱크는 제2 단위막대(10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대, 이로써 액체수용탱크의 분리결합이 용이하게 된다.
액체공급관(500)은 액체공급부(400)로부터 가압공급되는 액체를 노즐부(300)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부(100)의 복수의 단위막대 중 속이 빈 단위막대 의 내부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제1 단위막대(101), 제2 단위막대(102)가 모두 속이 빈 형상이며, 액체공급관(500)은 제1 단위막대(101)와 제2 단위막대(102) 모두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액체공급관(500)은 각 단위막대가 신축작동하는 동안에도 액체공급부(400)와 노즐부(300) 사이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신축가능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액체공급관(500)은 신축재질의 관체일 수 있으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꼬여진 플라스틱 관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막대(101)와 제2 단위막대(102)가 최대한 신장된 상태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막대(101)가 제2 단위막대(102)의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최대한 단축된 상태에서도 각각 액체공급부(400)와 노즐부(300)가 액체공급관(50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액체공급부(400)로부터 노즐부(300)까지 액체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물 또는 세척액과 같은 액체가 액체공급부(400)로부터 압송되어 액체공급관(500)을 지나 노즐부(300)에 다다르면, 노즐부(300)의 개방단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고, 분사된 액체는 청소부(200) 또는 청소 대상인 바닥면에 뿌려진다. 이때 액체가 청소부(200)의 어느 부분에 뿌려지도록 할 것인지, 또는 청소부(200)와 바닥면 중 어느 것에 뿌려지도록 할 것인지는 노즐부(300)를 적절히 굽히는 것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손잡이부(100)는 3개의 단위막대(101,102,105)를 포함하고 있다. 즉, 제1 단위막대(101)와 제2 단위막대(102) 사이에 제3 단위막대(105)가 추가되어 있다. 이들 사이의 외경은 제1 단위막대(101)로부터 제3 단위막대(105)를 거쳐 제2 단위막대(102)로 갈수록 커지며, 제1 단위막대(101)는 제3 단위막대(105)의 내부로, 제3 단위막대(105)는 다시 제2 단위막대(102)의 내부로 각각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노브(103)는 제3 단위막대(105)를 제2 단위막대(102)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설치되며, 같은 방식으로 추가 고정노브(106)는 제1 단위막대(101)를 제3 단위막대(105)에 대해 고정시키도록 설치된다.
노즐부(300)는 제1 단위막대(101)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위막대(105)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는, 노즐부(300)와 청소부(200)는 서로 다른 단위막대에 각각 설치된 예가 된다. 한편, 노즐부(300)가 제3 단위막대(105)에 설치된 경우 제1 단위막대(101)는 속이 빈 통형상일 필요가 없으며 속이 찬 기둥 형상이라도 무방하다.
청소부(200)가 지지판(210) 및 이에 힌지결합된 회동블럭(220)을 통해 제1 단위막대(10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나, 가동클립(230, 도 1 참조)은 생략되어 있고, 걸레(240, 도 1 참조) 대신 솔(250)이 지지판(210)의 저면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청소부(200)의 지지판(210)에는 솔(250)을 대체하여 걸레(240, 도 1 참조)나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와 같은 다른 청소도구를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위막대(101,102,105)의 수가 늘어나면, 손잡이부(100)의 길이를 신축시키는 범위를 더욱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사용자의 신장보다 높은 곳을 청소 또는 세척해야하는 경우, 사다리나 의자 등의 지지대가 없어도 손잡이부(100)의 길이를 늘임으로써 용이하게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반대로 바닥면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손잡이부(100)의 길이를 적절히 줄임으로써 편안하게 선 자세로 청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일실시예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다른 사용상태에서의 종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용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Claims (7)

  1. 적어도 하나는 속이 빈 통 형상인 복수 개의 단위막대가 텔레스코픽하게 결합된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에 결합된 청소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복수 개의 단위막대 중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부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부와,
    상기 청소부가 설치된 단위막대 및 상기 노즐부가 설치된 단위막대와 다른 한 단위막대에 설치되고 상기 노즐부로 액체를 압송하기 위한 액체공급부와,
    상기 속이 빈 어느 한 단위막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액체공급부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며, 신축가능한 액체공급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부는,
    관절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관은,
    나선형으로 꼬인 플라스틱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부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동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저면에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판상의 지지판과,
    상기 걸레, 솔, 부직포, 스펀지 또는 스퀴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상기 지지판 측으로 압박하는 가동클립과,
    상기 지지판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말단에 위치한 어느 한 단위막대가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회동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부는,
    휴대용 수동 분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용구.
KR1020090040438A 2009-05-08 2009-05-08 청소용구 KR100917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8A KR100917092B1 (ko) 2009-05-08 2009-05-08 청소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438A KR100917092B1 (ko) 2009-05-08 2009-05-08 청소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092B1 true KR100917092B1 (ko) 2009-09-15

Family

ID=41355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438A KR100917092B1 (ko) 2009-05-08 2009-05-08 청소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0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3373A (zh) * 2015-08-07 2015-10-21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喷水拖把
KR20230000572A (ko) 2021-06-25 2023-01-03 최규호 바닥용 청소 도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46U (ko) * 1997-03-19 1998-11-05 최진호 자루걸레
KR100802464B1 (ko) * 2007-04-16 2008-02-13 주식회사 리빙휴 자루걸레
KR20080016902A (ko) * 2005-06-14 2008-02-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KR20080002104U (ko) * 2006-12-20 2008-06-25 김국진 다기능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0946U (ko) * 1997-03-19 1998-11-05 최진호 자루걸레
KR20080016902A (ko) * 2005-06-14 2008-02-2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액체 분배식 바닥용 자루걸레
KR20080002104U (ko) * 2006-12-20 2008-06-25 김국진 다기능 청소기
KR100802464B1 (ko) * 2007-04-16 2008-02-13 주식회사 리빙휴 자루걸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3373A (zh) * 2015-08-07 2015-10-21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喷水拖把
KR20230000572A (ko) 2021-06-25 2023-01-03 최규호 바닥용 청소 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333869U (zh) 喷雾拖把
US20070264075A1 (en) Shower enclosure and bathtub cleaning system
US20080202567A1 (en) Multi Function Cleaner
KR101720246B1 (ko) 청소도구용 탈착식 물분사장치
US7761949B1 (en) Bathtub brush with defined pivot
KR100917092B1 (ko) 청소용구
US20130125325A1 (en) Extendable Cleaning Device
US20150136174A1 (en) Combination cleaning tool with flexible head
US5398363A (en) Screen washing machine
KR200441248Y1 (ko) 다기능 청소기
EP1868745B1 (en) Flexible cleaning tool with replaceable non-woven pad and cleaning fluid reservoir
CN211058242U (zh) 一种易拆洗的自动上料墙体粉刷装置
US10081035B2 (en) Directional atomizer system for cleaning chandeliers
US20090032074A1 (en) Cleaning device
KR102322862B1 (ko) 양면형 청소 밀대
CN213377311U (zh) 一种高压清洗机用手提伸缩喷头
JP6501244B2 (ja) 伸縮式クリーナ
US9572477B2 (en) Handheld dishwashing device
US20190246867A1 (en) Double-Handle Apparatus
WO2005074781A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surface, in particular a floor
US11452415B2 (en) Ceiling fan cleaner
US5940924A (en) Removably mounted deck brush
CN213464925U (zh) 喷水拖把
CN206701886U (zh) 一种物理实验清洗装置
CN213826025U (zh) 一种生物安全柜清洁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