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6487A - 헤드셋 - Google Patents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6487A
KR20080016487A KR1020070082507A KR20070082507A KR20080016487A KR 20080016487 A KR20080016487 A KR 20080016487A KR 1020070082507 A KR1020070082507 A KR 1020070082507A KR 20070082507 A KR20070082507 A KR 20070082507A KR 20080016487 A KR20080016487 A KR 20080016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set
ear clip
shape
mike
cas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찌히또 이꾸마
야스히사 가네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4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머리에 착용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헤드셋은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며 그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귀 클립을 포함한다. 귀 클립은 귓바퀴의 기부의 형상 차이에 따라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코어와, 코어를 덮는 보호 재료를 포함한다.
헤드셋, 귀 클립, 귓바퀴, 헤드 밴드, 마이크, 이어폰, 헤드폰

Description

헤드셋 {HEADSET}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본원에서 참조되어 통합된 2006년 8월 18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6-223047호와 관련된 보호 대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컴퓨터 장치 및 휴대 장치의 확산과 함께, 사용을 위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되는 헤드셋도 최근에 다양한 방식으로 실제로 사용된다. 그 중에서 공지된 구체적인 예는 마이크가 헤드폰에 부착된 소위 헤드폰 타입 헤드셋(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88967호 참조), 및 마이크가 스테레오 타입 이어폰의 코드 분지 커버 내에 제공된 소위 이어폰 타입(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4-64537호 참조)을 포함한다.
또한, 헤드셋이 사용을 위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되므로, 이는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요구할 수 있다. 몇몇 헤드셋은 예를 들어, 시청각(AV) 프리젠테이션을 위한 음향 수집 기능(마이크)만을 필요로 하고, 음향 수신 기능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한 헤드셋은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갖는 것은 물론, 착용되었을 때 눈에 띄지 않으며 (신뢰할 수 있게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음향 수집을 가능케 하도록) 신체 움직임에 응답한다.
그러나, 과거의 헤드폰 타입 헤드셋은 크기 및 중량이 쉽게 감소되지 않고, 또한 착용되었을 때 눈에 띄지 않게 되기가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과거의 이어폰 타입 헤드셋은 헤드폰 타입 헤드셋과 비교하여 크기 및 중량이 쉽게 감소된다. 그러나, 이는 음향 수신 기능이 필요할 때에도 이어폰을 필요로 하고, 그러므로 이어폰 타입 헤드셋은 음향 수집 기능만을 필요로 하는 헤드셋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양호하지 않다. 또한, 마이크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신체 움직임에 대한 응답이 반드시 적절하지는 않다.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처리할 수 있고, 눈에 띄지 않게 착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에도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헤드셋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머리에 착용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며 그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귀 클립을 포함한다. 귀 클립은 귓바퀴의 기부의 형상 차이에 따라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코어와, 코어를 덮는 보호 재료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셋에서, 귀 클립은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며 그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는 형상"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 및 개인차 등을 고려한 평균 형상에 따른 형상을 말한다.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에 착용하는 것을 고려한 형상, 및 구체적으로 귀 클립의 양 단부들이 서로로부터 이격된, 즉 폐쇄되지 않은 형상을 말한다. 그러한 형상에서, 귀 클립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에 착용되거나 후크 결합된다. 따라서, 귀 클립을 구비한 헤드셋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에 귀 클립을 후크 결합함으로써 신체의 머리에 착용된다.
또한, 귀 클립은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코어와, 코어를 덮는 보호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귀 클립이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된 후에, 코어는 귓바퀴의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소성 변형되어, 변형 후의 상태를 유지한다. 코어가 보호 재료에 의해 덮이므로, 이는 코어가 소성 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 로드로 만들어지더라도, 신체와 접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헤드셋에 따르면, 헤드셋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되어야 할 때, 귀 클립은 귓바퀴의 기부에 후크 결합되어야 한다. 또한, 귀 클립은 신체의 귀에 대응한다. 헤드셋은 헤드폰 타입을 위한 헤드 밴드 또는 이어폰 타입을 위한 이어폰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헤드셋은 과거의 것과 비교하여 매우 단순한 구성으로 착용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처리하는 것을 매우 쉽게 만든다. 귀 클립을 귓바퀴의 기부에 후크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누구라도 헤드셋을 쉽게 착용할 수 있고, 귀 클립은 헤드셋이 착용된 후에 귓바퀴에 의해 숨겨지고, 이는 귀 클립을 눈에 띄지 않게 한다.
더욱이, 코어의 소성 변형의 사용은 귀 클립의 형상이 착용자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우수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고, 착용자들 사이의 개인차를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는 높은 다능성이 보장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바꾸어 말하면, 코어의 소성 변형은 헤드셋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도록 사용된다.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에도, 음향 장치는 착용자 신체의 귀 또는 입의 위치에 대해 주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그러므로 헤드셋은 그러한 움직임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은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처리할 수 있고, 눈에 띄지 않게 착용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에도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이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외관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2는 실시예의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실시예의 헤드셋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4a, 도4b, 및 도4c는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5는 신체에 착용된 실시예의 헤드셋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은 오디오 장치들 중 하나인 마이크가 사용을 위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헤드셋은 케이스 본체(1), 마이크 캡슐(2), 마이크 아암(3), 귀 클립(4), 및 헤드 밴드(5)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는 수지 재료로 성형되고, 전자 부품이 장착된 인쇄 배선 기판(6: PWB)을 내부에 포함한다. 케이블(7)이 인쇄 배선 기판(6)으로부터 케이스 본체(1) 외부로 연장되어, 증폭기 등과 같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 장비에 연결된다. 또한, 외부 장비로의 연결은 케이블(7)을 거쳐 배선되지 않을 수 있으며, 무선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무선 통신을 위한 송신기가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된다.
마이크 캡슐(2)은 수지 재료로 성형되고,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8)를 내부에 포함한다. 마이크(8)는 용도, 목적 등에 따라 사용을 위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지향성 또는 전향성 특징(비지향성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마이크 아암(3)은 케이스 본체(1)로부터 연장되는 파이프형 탄성 부재이고, 그의 말단 단부에서 마이크 캡슐(2)을 구비한다. 또한, 마이크 아암(3)은 코드(3a) 및 금속 와이어 로드(3b)를 내부에 포함한다. 코드(3a)는 인쇄 배선 기판(6)을 마이크(8)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사용된다. 와이어 로드(3b)는 마이크 아암(3)을 헤드셋 착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켜서, 변형으로부터 생성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적응된다.
귀 클립(4)은 헤드셋을 신체의 머리에 착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한 목 적으로, 귀 클립(4)은 신체의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선형 부재가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된 부착 부분(4a)이 도면에서 하나의 위치에 존재하지만, 부착 부분의 개수는 제한적이지 않고, 하나 또는 셋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신체의 "귓바퀴"는 신체의 측두부 영역에 위치되며 외이도로부터 외부에 부착된 피부 및 연골로 구성된 부채꼴 구조물을 말한다. "귓바퀴의 기부"는 신체의 귓바퀴와 머리 사이의 경계 부분을 말한다.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는 형상"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따른 형상을 말한다. 신체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은 개인마다 변한다. 사람 형상의 실제 측정으로부터 생성된 실험적 규칙에 기초하여 개인차를 고려한 평균 형상이 가능하게는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는 형상"으로서 결정된다.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 가능한 형상"은 신체의 귓바퀴 기부에 착용하는 것을 고려한 형상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귀 클립(4)을 구성하는 선형 부재의 양 단부 부분(4b, 4c)들이 서로로부터 이격된 형상, 즉 폐쇄되지 않은 형상을 말한다. 귀 클립(4)을 구성하는 선형 부재는 제1 곡선 섹션(4d) 및 제2 곡선 섹션(4e)으로 분할된다. 제1 곡선 섹션(4d)은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된 부착 부분(4a)으로부터 선형 부재의 일 단부(4b)로 연장되고, 제2 곡선 섹션(4e)은 부착 부분(4a)으로부터 선형 부재의 타 단부(4c)로 연장된다. 따라서, 선형 부재는 제1 곡선 섹션(4d)의 단부(4b)가 제2 곡선 섹션(4c)의 단부(4c)로부터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양 단 부(4b, 4c)들 사이의 거리는 가능하게는 전술한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는 형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실제 측정으로부터 생성된 실험적 규칙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도3을 참조하면, 귀 클립(4)은 코어(4f)와, 보호 재료(4g)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귀 클립(4)을 구성하는 선형 부재가 적어도 코어(4f)와 보호 재료(4g)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코어(4f)는 귓바퀴의 기부의 형상 차이에 의존하여 소성 변형된다. "소성 변형 가능한"은 코어가 헤드셋 착용자의 손에 의해 항복점을 초과하고 허용 응력 미만인 힘을 그에 인가함으로써 변형될 수 있고, 변형으로부터 생성된 형상이 힘의 해제 후에도 유지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한 코어 재료(4f)는 가능하게는 스테인리스강 재료, 강철 재료 등으로 만들어진 금속 와이어 로드를 사용할 수 있다.
보호 재료(4g)는 코어(4f)를 덮도록 성형된다. 그러나, 코어(4f)가 소성 변형 가능하므로, 보호 재료(4g)는 코어(4f)의 변형을 따도록 탄성이다. 그러한 보호 재료(4g)는 가능하게는 케이스 본체(1)와 동일한 수지 재료를 사용한다. 케이스 본체(1)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지는 않고,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탄성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코어(4f)와 보호 재료(4g)를 포함하기 때문에, 귀 클립(4), 특히 제1 및 제2 곡선 섹션(4d, 4e)은 각각 형상 가소성 또는 변형성과 같은 소위 유연성을 나타낸다 (도3의 부호 A 참조). 헤드셋이 착용될 때 상부에 위치되는 제1 곡선 섹션(4d)의 단부(4c)가 그의 선단에서 물방울형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양호하다.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헤드 밴드(5)는 신체의 후두부 영역에 착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신체의 후두부 영역에 착용 가능한 형상"은 신체의 후두부 영역에 착용하는 것을 고려한 형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후두부 영역보다 약간 더 좁게 형성된 말굽 형상이 신체의 후두부 영역을 유지하기 위해 가능하다.
헤드 밴드(5)의 케이스 본체(1)에 대한 부착 및 그로부터의 탈착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나사 등과 같은 체결구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헤드 밴드(5)를 케이스 본체(1)에 부착하고 그로부터 탈착하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도4a, 도4b, 및 도4c에 도시된 구성이 가능하게는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헤드 밴드(5)는 그의 일 단부 부분에서, 적어도 칼럼형 분리 방지 부분(5a), 칼럼형 보유 부분(5b), 및 칼럼형 본체측 부분(5c)을 그의 가장 먼 단부로부터 이러한 순서로 위치되게 구비하여 형성된다. 보유 부분(5b)은 분리 방지 부분(5a)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본체측 부분(5c)은 보유 부분(5b)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케이스 본체(1)는 적어도 둥근 구멍(1a) 및 보유 구멍(1b)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둥근 구멍(1a)은 분리 방지 부분(5a) 및 보유 부분(5b)의 전체 축방향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된다. 보유 구멍(1b)은 둥근 구멍(1a)의 바닥에 형성되고, 둥근 구멍(1a)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바닥이 있는 원통형 조인트(9)가 케이스 본체(1)의 둥근 구멍(1a) 및 보유 구멍(1b) 내로 삽입된다. 바닥이 있는 원통형 조인트(9)는 높은 탄성 계수(높은 탄성 변형도)를 갖는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로 만들어지고, 그의 외측 원주부 상에서 둥근 구멍(1a) 및 보유 구 멍(1b)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을 구비하고, 그의 내측 원주부 상에서 분리 방지 부분(5a) 및 보유 부분(5b)에 대응하는 각각의 부분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그러한 구성에서, 헤드 밴드(5)가 그의 단부측으로부터 조인트(9)의 내측 원주방향 측면 내로 삽입되면, 헤드 밴드(5)의 단부 부분은 조인트(9)의 탄성 변형을 사용하면서, 조인트(9)를 통해 케이스 본체(1)와 맞물린다. 따라서, 헤드 밴드(5)가 내측 원주방향 부분으로부터 당겨지면, 헤드 밴드(5)의 단부 부분은 조인트(9)의 탄성 변형을 사용하면서 케이스 본체(1)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헤드 밴드(5)는 이 때 조인트(9)가 보유 구멍(1b)과의 맞물림 때문에, 둥근 구멍(1a) 및 보유 구멍(1b) 내부에, 즉 케이스 본체(1)의 측면 상에 남도록, 분리된다.
바꾸어 말하면, 헤드 밴드(5)는 헤드 밴드(5)의 단부 부분의 형상, 케이스 본체(1)의 구멍 형상, 및 조인트(9)의 형상 및 탄성을 사용하는 기능에 의해, 공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서,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헤드 밴드(5)는 그러한 구성으로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된다. 헤드 밴드(5)의 단부 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의 구멍들이 둥글게 형성되므로, 헤드 밴드(5)는 케이스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셋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을 위해 신체에 착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헤드셋(5)을 착용할 때, 착용자는 귀 클립을 귓바퀴의 기부에 후크 결합하면서, 귀 클립(4)의 제1 곡선 섹션(4d)의 단부(4b)와 제2 곡선 섹션(4e)의 단부(4c) 사이의 부분 내로 그의 귓바퀴를 삽입한다. 따라서, 귀 클립(4)은 착용자의 귓바퀴 기부에 착용된다. 이 때, 귀 클립(4)의 형상이 착용자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지 않으면, 착용자는 귀 클립(4)의 형상이 착용자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게 되도록 착용감을 조정하기 위해 귀 클립(4)의 제1 및 제2 곡선 섹션(4d, 4e)을 손으로 변형시킨다. 헤드 밴드(5)가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되면, 헤드 밴드(5)는 귓바퀴의 기부에 귀 클립(4)을 착용함과 함께 착용자의 후두부 영역을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셋은 사용을 위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며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귀 클립(4)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착용자는 귀 클립(4)을 그의 귓바퀴 기부에 후크 결합함으로써 헤드셋을 그의 머리에 착용할 수 있다. 간단하게, 헤드셋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될 때, 귀 클립(4)을 귓바퀴 기부에 후크 결합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하나의 귀 클립(4)은 한쪽 귀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과거의 헤드폰 타입 헤드셋과 달리 양쪽 귀에 위에서 연장되는 헤드 밴드를 가질 필요가 없다. 과거의 이어폰 타입 헤드셋과 달리 외이도 내로 이어폰을 삽입하는 것이 필요없다. 또한, 귓바퀴를 헤드폰 또는 이어폰 및 그의 악세서리로 파지할 필요가 없다.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관련 기술의 구성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간단한 구성으로 신체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처리하는 것을 더 쉽게 한다. 귀 클립(4)이 귓바퀴의 기부에 후크 결합될 필요가 있으므로, 누구라도 이를 쉽게 착용할 수 있다. 귀 클립(4)이 헤드셋이 착용된 후에 귓바퀴에 의해 숨겨지므로, 이 는 또한 눈에 띄지 않게 된다. 케이스 본체(1)가 부착 부분(4a)을 거쳐 귀 클립(4)에 직접 부착되므로, 이는 헤드셋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될 때 귓바퀴의 후방에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헤드셋의 구성 요소는 귓바퀴 외부에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귀 클립(4)은 물론 헤드셋 자체를 눈에 띄지 않게 착용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귀 클립(4)이 소성 변형 가능한 코어(4f)와, 코어(4f)를 덮는 보호 재료(4g)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귀 클립(4)이 귓바퀴의 기부에 착용된 후에, 코어(4f)가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소성 변형되면, 변형 후의 귀 클립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간단하게, 코어(4f)의 소성 변형의 사용은 귀 클립(4)의 형상이 착용자의 귓바퀴 기부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착용자가 우수한 착용감을 갖는 것을 가능케 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들 사이의 개인차를 유연하게 처리하는 높은 다능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코어(4f)의 소성 변형의 사용은 헤드셋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에도, 마이크(8)는 착용자 신체의 귀 또는 입의 위치에 대해 주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그러한 움직임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더욱이, 코어(4f)가 보호 재료에 의해 덮이므로, 이는 코어(4f)가 소성 변형 가능한 금속 와이어 로드로 만들어지더라도, 신체와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이는 착용자에 대한 우수한 착용감을 실현할 수 있고, 안전, 부식 방지 등의 관점에서 양호하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헤드셋은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쉽고 눈에 띄지 않게 착용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우수한 착용감이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에도 얻어질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셋은 귀 클립(4)에 추가하여 탈착 가능한 헤드 밴드(5)를 구비한다. 부착되었을 때, 헤드 밴드(5)는 착용자 신체의 후두부 영역을 유지한다. 따라서, 헤드 밴드(5)의 사용은 착용자에 대한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격렬한 움직임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다. 헤드 밴드(5)가 착용자 신체의 후두부 영역을 유지하므로, 착용된 헤드 밴드는 가능한 한 많이 눈에 띄지 않게 될 수 있다. 또한, 헤드 밴드는 양호하게는 특히 착용자의 신체가 격렬하게 움직일 때 사용되지만, 이는 반드시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아니고, 헤드셋은 귀 클립(4)에 의해 신체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헤드 밴드(5)가 헤드 밴드(5)의 단부 부분의 형상, 케이스 본체(1) 내에 형성된 형상, 및 조인트(9)의 형상 및 탄성을 사용함으로써, 케이스 본체(1)에 부착되고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헤드 밴드의 부착 및 탈착은 공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쉽게 실현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착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소형화 및 중량 감소에 기여한다. 더욱이, 그러한 구성은 부착 및 탈착을 가능케 하고, 그러므로 헤드 밴드(5)는 케이스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밴드(5)를 회전시키는 것은 좌측 및 우측 귀 중 하나에 착용 된 귀 클립(4)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사용자(착용자)에 대한 편의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지금까지 구체적인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헤드셋의 음향 장비가 음향을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8)인 경우를 일례로 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마이크에 추가하여 제공되는 경우 또는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 경우에 대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이크를 구비하지 않지만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서 기능하는 헤드셋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귀 클립을 사용하여 신체의 머리에 착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마이크를 구비한 헤드셋에 적용되면, 마이크 자체가 경량이며 귀 클립이 큰 부착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소형화 및 중량 감소를 매우 쉽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에 대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변형, 조합, 하위 조합, 및 변경이 첨부된 청구범위 또는 그의 등가물의 범주 내에 있는 한 설계 요건 및 다른 인자에 의존하여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외관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2는 실시예의 헤드셋의 분해 사시도.
도3은 실시예의 헤드셋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4a, 도4b, 및 도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주요 부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5는 신체에 착용된 실시예의 헤드셋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본체
4 : 귀 클립
4f : 코어
4g : 보호 재료
5 : 헤드 밴드

Claims (7)

  1. 머리에 착용되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기 위한 헤드셋이며,
    귓바퀴의 기부에 일치하며 그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귀 클립을 포함하고,
    귀 클립은 귓바퀴의 기부의 형상 차이에 따라 소성 변형될 수 있는 코어와, 코어를 덮는 보호 재료를 포함하는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측두부 영역에 착용 가능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탈착 가능한 헤드 밴드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3. 제2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의 신호를 외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된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헤드셋.
  4. 제2항에 있어서, 헤드 밴드는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셋.
  5. 제3항에 있어서, 연결부는 유선 또는 무선인 헤드셋.
  6. 제3항에 있어서, 헤드 밴드는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는 헤드셋.
  7. 제3항에 있어서, 전자 장치는 마이크인 헤드셋.
KR1020070082507A 2006-08-18 2007-08-17 헤드셋 KR200800164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23047 2006-08-18
JP2006223047A JP4289376B2 (ja) 2006-08-18 2006-08-18 ヘッドセッ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487A true KR20080016487A (ko) 2008-02-21

Family

ID=3909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507A KR20080016487A (ko) 2006-08-18 2007-08-17 헤드셋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94852B2 (ko)
JP (1) JP4289376B2 (ko)
KR (1) KR20080016487A (ko)
CN (1) CN1011280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74A (ko) * 2020-03-20 2021-09-29 김용진 귀 걸이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89376B2 (ja) * 2006-08-1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
US8019111B2 (en) * 2008-11-03 2011-09-13 Arian Soheili Interchangeable headphone earhook support
JP2011135480A (ja) * 2009-12-25 2011-07-07 Audio Technica Corp 接話型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DK2469890T3 (en) * 2010-12-23 2015-09-14 Gn Resound As A BTE hearing aid with an elongate fastener
CN102647649B (zh) * 2012-05-29 2014-07-23 全南三扬电子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CN103747377A (zh) * 2013-12-20 2014-04-23 吴江市俊成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
CN106233749B (zh) * 2015-01-28 2019-03-15 李承喆 可固定各种设备及饰物的耳部装置
JP2017135446A (ja) * 2016-01-25 2017-08-03 三光金型株式会社 送受話装置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786A (ja) 1984-01-13 1984-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耳かけ形イヤホン
CA1277762C (en) 1984-07-06 1990-12-11 Ray Kopsa Remote presentation station and method for use in interactive video computer system
DK159748C (da) * 1988-07-01 1991-04-29 Joergen Weber Jensen Hovedtelefon med mikrofon
JPH0368203A (ja) 1989-08-07 1991-03-25 Fujitsu Ltd 圧電振動子による電圧制御発振回路
US5117465A (en) * 1991-03-15 1992-05-26 Unex Corporation Earphone with adjustable headband with progressively shallow detents
US5457751A (en) * 1992-01-15 1995-10-10 Such; Ronald W. Ergonomic headset
US5469505A (en) * 1992-07-08 1995-11-21 Acs Wireless, Inc. Communications headset having a ball joint-mounted receiver assembly
US5369857A (en) * 1992-12-08 1994-12-06 Hello Direct Method of making a telephone headset
SG34229A1 (en) 1994-06-30 1996-12-06 Peavey Electronics Corp Ergonomic ear mounted headset
EP0872121A4 (en) 1996-01-04 2002-07-24 Interlink Electronics Inc TRANSMITTER AND TRANSCEIVER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MULTIPLE RECEIVERS
JPH09307983A (ja) 1996-05-10 1997-11-28 J M C Kk イヤホン型送受話器
US6754361B1 (en) * 1997-04-17 2004-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rgonomic headset assembly
US6041130A (en) * 1998-06-23 2000-03-21 Mci Communications Corporation Headset with multiple connections
US6418230B1 (en) 1998-11-20 2002-07-09 Gn Netcom/Unex Inc. Flexible earhook
US6252970B1 (en) * 1999-09-10 2001-06-26 Antonio Precise Products Manufactory Limited Headphone
US6622029B1 (en) * 2000-08-11 2003-09-16 Plantronics, Inc. One-hand adjustable headband headset
JP2002078057A (ja) * 2000-08-31 2002-03-15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US6496589B1 (en) * 2001-06-20 2002-12-17 Telex Communications, Inc. Headset with overmold
JP3532537B2 (ja) 2001-07-05 2004-05-31 株式会社テムコジャパン 骨伝導ヘッドセット
US7139404B2 (en) * 2001-08-10 2006-11-21 Hear-Wear Technologies, Llc BTE/CIC auditory device and modular connector system therefor
JP2003078984A (ja) 2001-08-31 2003-03-14 Pioneer Electronic Corp イヤホン
ATE296023T1 (de) * 2001-12-07 2005-06-15 Oticon A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örgeräts
JP3541833B2 (ja) 2001-12-18 2004-07-14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
DK174898B1 (da) * 2002-06-20 2004-02-09 Gn Netcom As Hovedsæt
JP2004064537A (ja) 2002-07-30 2004-02-26 Sony Corp ヘッドセット
US7428429B2 (en) 2002-08-14 2008-09-23 Sync1 Llc Hands-free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DE602004000147T2 (de) * 2003-02-14 2006-07-13 Gn Resound A/S Halteelement für Hörmuschel
GB0321617D0 (en) * 2003-09-10 2003-10-15 New Transducers Ltd Audio apparatus
WO2005051036A2 (en) * 2003-11-13 2005-06-02 Logitech Europe S.A.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JP2005191767A (ja) 2003-12-25 2005-07-14 Seiko Instruments Inc 携帯用電子機器
US7391863B2 (en) * 2004-06-23 2008-06-24 Vocollect, Inc. Method and system for an interchangeable headset module resistant to moisture infiltration
US7508932B1 (en) * 2004-11-10 2009-03-24 Richard Alan Bergh Cell phone holder headband
WO2006089250A2 (en) * 2005-02-16 2006-08-24 Logitech Europe S.A. Reversible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with pivoting earphone
US7436952B2 (en) * 2005-11-15 2008-10-14 Intricon Corporation Earset microphone
EP1969897B1 (en) * 2006-01-04 2012-02-22 Coby Electronics Corporatio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EP1811808B1 (en) * 2006-01-19 2017-03-22 Oticon A/S Ear canal device retention means
US20070195981A1 (en) * 2006-02-23 2007-08-23 Le Anthony D Behind-the-ear hearing aid with integrally-molded instrument case
DE102006016052A1 (de) * 2006-04-04 2007-10-18 Bruckhoff Apparatebau Gmbh Head-Set zur Anbringung eines Hörers
US20070258613A1 (en) * 2006-05-03 2007-11-08 Wright Kenneth A Wearable personal sound delivery apparatus
TWM303453U (en) * 2006-07-12 2006-12-21 Jdi Jing Deng Ind Co Ltd Positioning structure of an audio-transmitting device
JP4289376B2 (ja) * 2006-08-18 2009-07-0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セット
DE102007046052A1 (de) * 2007-09-26 2009-04-09 Siemens Medical Instruments Pte. Ltd. Schallschlauch für eine Hörvorrichtung
US20090203318A1 (en) * 2008-02-11 2009-08-13 Haan Ido De Headset
US20090285434A1 (en) * 2008-05-13 2009-11-19 Jason Martin Williams Earhook and earbud headset
US20100014699A1 (en) * 2008-06-18 2010-01-21 Anderson John F Reversible headset
US20100086165A1 (en) * 2008-10-07 2010-04-08 Dwayne Wilson Universal Earbud Adapter
US8320603B2 (en) * 2008-11-17 2012-11-27 BASS Robert Earphone ear loop
JP2011019124A (ja) * 2009-07-09 2011-01-27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74A (ko) * 2020-03-20 2021-09-29 김용진 귀 걸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94852B2 (en) 2012-01-10
JP2008048247A (ja) 2008-02-28
JP4289376B2 (ja) 2009-07-01
CN101128068A (zh) 2008-02-20
US20080044051A1 (en)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6487A (ko) 헤드셋
US6496589B1 (en) Headset with overmold
EP2028874B1 (en) Headphone device
US8320603B2 (en) Earphone ear loop
NL1005090C2 (nl) Oortelefoon met oorhanger.
US4529058A (en) Earphones
US4972468A (en) Transceiver for hanging on an ear
US20080075314A1 (en)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 headset with sound-box type earphone housings
US20150296285A1 (en) Audio System
AU2007236379C1 (en) Headset for fitting of an earpiece
JPH11331970A (ja) 骨導スピ−カ−とマイクロホンを備えたヘッドセット
CN103141116A (zh) 头盔用耳机及包括该耳机的头盔
US20160100237A1 (en) Integrated Personal Electronic Device
US9107004B2 (en)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hearing protection
WO2011006063A1 (en)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s headset with hearing protection
US20170289666A1 (en) Audio headset, in particular for the practice of sport
WO1993005623A1 (en) Headset
EP1969897B1 (en) Headphones with detachable headband
CN206506643U (zh) 一种伸缩式后挂耳机
EP1374631A1 (en) Headset
EP2225890B1 (en) Frame earhook
JP2011102445A (ja) 帽体用ヘッドセット
US20090111527A1 (en) Adhesive mounted communication device
KR200317070Y1 (ko) 골전도 통신이 가능한 안전모
KR20040080880A (ko) 골전도 통신이 가능한 안전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