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853A -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853A
KR20080015853A KR1020077029099A KR20077029099A KR20080015853A KR 20080015853 A KR20080015853 A KR 20080015853A KR 1020077029099 A KR1020077029099 A KR 1020077029099A KR 20077029099 A KR20077029099 A KR 20077029099A KR 20080015853 A KR20080015853 A KR 20080015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ternal
mode
external
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9271B1 (ko
Inventor
에드저 후이테마
게라르두스 피. 칼만
로기에르 코르티에
자압 브루인잉크
올아프 기엘켄스
안토니우스 지. 에치. 베르훌스트
머레이 에프. 길리스
미첼 씨. 제이. 엠. 비쎈버그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8001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9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9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G02B30/3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involving active parallax b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4Arrangements combining different electro-active layers, e.g. electrochromic, liquid crystal or electroluminescent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되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뷰 모드와 제 2 단일 뷰 모드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은 발광형 디스플레이의 상단 상에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를 배열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개의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즉, 멀티 또는 듀얼 뷰 모드인 제 1 모드, 및 단일 뷰 모드인 제 2 모드. 이 단일 뷰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부 디스플레이는 투명 상태로 설정되고, 내부 디스플레이는 온(on)되어, 이 내부 디스플레이는 원하는 물체를 디스플레이한다. 멀티 뷰 모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는 3D-장벽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는 투명 상태로 설정되고, 반면에 다른 화소는 불투명 상태로 설정된다. 관찰자는 각각의 눈으로 서로 다른 화상을 보게 되며, 따라서 내부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물체의 멀티 뷰 화상을 경험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3D, 전기영동, 뷰, 멀티, LCD

Description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COMBINED SINGLE/MULTIPLE VIEW-DISPLAY}
본 발명은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뷰 모드, 및 제 2 단일 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것이다.
현재, 이동 전화기를 위한 디스플레이에서의 2가지 경향이 보여질 수 있다. 첫 번째 경향은 초 절전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고, 두 번째 경향은 단일 뷰 모드와 멀티 뷰 모드를 결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부가 가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멀티 뷰 모드"라는 용어는 3D 모드뿐만 아니라 듀얼 뷰 모드를 포함한다.
초 저전력 "종이-유사" 디스플레이를 향한 경향은 이잉크 디스플레이와 같은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 의해 종종 실현된다.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근본적인 원리는 디스플레이 내에 캡슐화된 전기영동형 매체의 외관이 전기 구동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는 점이다. 더 상세하게는, 반사형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상단 투명층, 하단 투명층, 이 상단 투명층과 하단 투명층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마이크로캡 슐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은 다른 전하 극성 및 컬러를 가지고 마이크로캡슐에 의해 둘러싸인 유체와 같은 전기영동형 매체내에서 분산되는 대전 착색 입자로 채워진다. 예를 들면, 그레이-스케일 디스플레이의 경우, 반대 극성의 흑색 및 백색 입자가 사용된다. 더욱이, 각 마이크로캡슐은 이 마이크로캡슐과 관련된 상단 및 하단 전극을 가지게 되어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그 마이크로캡슐내의 입자을 변위시킨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안쪽(interior)에 대면하는, 하단 전극에 양(상단 전극에 대하여) 전기장을 인가하는 경우, (양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는 디스플레이 바깥(exterior)의 방향에 있는 투명 상단 전극쪽을 향해 마이크로캡슐의 상단으로 이동하며, 여기서 이들 입자는 디스플레이 관찰자에게 시청가능해진다. 이는 디스플레이의 표면이 흑색 입자가 위치되는 로케이션에서 다크로 나타난다. 그 결과, (음으로 대전된) 백색 입자는 디스플레이 안쪽 방향에 있는 픽셀 전극쪽을 향해 마이크로캡슐의 하단으로 이동하여, 여기서 이들 입자는 디스플레이 관찰자에게 시청가능하지 않다. 인가된 전기장을 반대로 함으로써, 백색 입자는 캡슐의 상단으로 이동하며, 이제 이는 디스플레이가 그 위치에서 백색으로 보인다. 전기장이 제거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획득된 현재 상태에서 남아 있으며, 따라서 쌍-안정 특징을 보인다. 흑색과 백색 입자를 가지는 이러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특히 전자북으로 유용하다.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긴 응답 시간을 가지며, 이는 화상 시퀀스 또는 영화를 디스플레이하기에 디스플레이를 적합하지 못하게 한다.
세 번째 경향에 따르면, 3D-디스플레이 또는 듀얼 뷰 디스플레이가 제공된 다. 3D-디스플레이는 물체에 대한 다수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획득되며, 이 화상은 다른 각도로부터 관찰자에게 취해진다. 듀얼 뷰 디스플레이는 다른 각도의 다른 이미지를 보여준다. 3D-디스플레이의 경우, 관찰자의 각각의 눈은 예를 들면 편광 또는 착색된 유리에 의해 다른 화상에 노출되므로, 물체는 3D상태로 보이게 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방식은 장벽 구조 디스플레이에 의해서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어떠한 추가 도움(위에서 처럼 유리등)을 요구하지 않는 것처럼, 자동-입체경(auto-stereoscopic)으로 언급된다. 이들 구조는 때때로 3D 셔터 또는 3D-장벽으로 언급된다. 이 장벽은 정적 또는 동적일 수 있다. 만일 장벽 구조가 동적이라면, 디스플레이는 2D(디스플레이의 풀 해상도를 사용) 또는 3D로 동작할 수 있으며, 만일 정적 장벽 구조가 2D로 스위칭된다면, 동일한 해상도가 사용되어야만 한다. 이는 다음에서 더 설명될 것이다.
정적 장벽은 정확하게 위치된 장벽을 구비하는 플레이트를 LCD(Liquid Crystal Display) 정면에 놓음으로써, 단순히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는 픽셀의 절반이 관찰자의 오른쪽 눈에 의해 보이도록 하는 것을 허용하고 픽셀의 절반은 왼쪽 눈에 의해 보이도록 한다. 만일 듀얼 뷰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고 싶다면, 3D-디스플레이를 위한 장벽보다 다른 위치의 장벽을 로케이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점은 2개의 잘-분리된 뷰잉 콘(viewing cone)을 달성하기 위해, LCD로부터 단지 0.1mm 거리에서 장벽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장벽과 LCD 사이의 거리가 유리 두께에 의해 결정되므로, 0.1mm의 유리두께가 요구된다(일반적으로, LCD에 대하여, 유리 두께는 0.7mm이다).
3D-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다른 기술은 관찰자에 대면하는 디스플레이의 측면상에 여분의 컬러 필터 플레이트를 삽입하여, 특정 컬러의 픽셀이 일부 각도로부터 보여지고 반면에, 다른 컬러의 픽셀은 동일한 각도로부터 시청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 1 각도로부터 디스플레이를 관찰하는 제 1 관찰자는 픽셀의 제 1 그룹을 보지만, 그러나 다른 픽셀을 보지못하는 것이다. 그 반대가 제 2 각도로부터 디스플레이를 관찰하는 제 2 관찰자에 대하여 사실이며, 제 2 관찰자는 픽셀의 제 2 그룹을 볼 수 있지만, 그러나 다른 픽셀(가령 제 1 픽셀 그룹)을 볼 수는 없다. 다른 픽셀 그룹 상에 다른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듀얼 뷰 디스플레이가 형성된다. 불투명한 장벽의 경우처럼, 컬러 필터는 스위치 오프될 수 없다. 이는 자동차 응용을 위하여, 디스플레이는 항시, 비록 운전자만 존재한다고 할지라도(또는 승객(passenger)과 운전자 모두 동일한 콘텐츠를 보고있음) 해상도를 감소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불투명한 장벽(opaque barrier)과 달리, 픽셀의 반을 스위치 오프시키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인식된 해상도는 그러므로 실제 해상도의 1/2이다(2개 뷰에 대한 분배로 인해). 추가 플레이트의 컬러 필터가 단지 하나의 원색만을 투과하고 다른 파장은 누설하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는 것을 주목하는 것은 중요하다. 실제로, 이는 쉽게 달성가능하지 않으며, 표준 컬러 필터 물질은 확실히 이를 달성하지 못한다.
오늘날 시장에 존재하는 동적 장벽(dynamic barrier)은 복합 2D/3D 디스플레이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복합 2D/3D-LCD는 관찰자에 대면하고 하단 컬러 LC 디스플레이 상에 배열된 톱 LC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 디스플레이는 서로 배향된 상단 및 하단 편광자를 더 포함한다. 상단 LCD를 스위치 오프함으로써, 2D 모드가 달성되며, 이에 의해, 상단 LCD는 하단 LCD를 시청가능하게 만드는 투명한 모드에 진입한다. 하단 컬러 LCD는 임의 LCD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풀 해상도를 사용하여, 이제 "보통" 방식으로 사용된다. 3D 모드는 상단 LCD와 하단 컬러 LCD를 동시에 동작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상단 LCD는 패럴랙스 장벽(parallax barrier)으로서 사용되며, 이 LCD는 라인 사이의 투명 공간을 가지는 흑색 라인의 격자(또는 그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된다. 3D 모드에서, 장벽이 있어야 하는 LC 물질의 위치는 이들 영역을 통과하는 광의 편광이 회전하도록 어드레싱된다. 이러한 투과된 광의 편광이 이제 편광자에 수직이므로, 투과된 광은 차단된다. 관찰자의 정확한 위치에 의존하여, 특정한 픽셀은 따라서 장벽에 의해 차단된다. 정확한 지오메트리(geometry)를 선택함으로써, 관찰자가 자신의 오른쪽 눈으로 일부 픽셀을 보고 왼쪽 눈으로 일부 픽셀을 볼 수 있도록 배열된다(일부 픽셀이 한쪽 눈으로 보이고 일부 픽셀이 다른 한쪽 눈에 의해 보임으로서 더 낮은 해상도가 달성된다). 이는 결국 3D 이미지의 인식이 된다. 상단 LCD에서 격자를 조절함으로써, 물체의 다른 각도가 비-이동 관찰자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만일 관찰자가 이동하고 격자가 불변이면, 관찰자는 다른 각도로부터 물체를 볼 것이다.
미국 특허 제2004/0150767호는 2D 이미지와 3D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공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D 모드가 요청되는 경우 2D 이미지를 생성하고 3D 모드가 요청되는 경우 패럴랙스를 가지는 뷰포인트 이미 지를 생성한다. 더욱이,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정면에 배열되는 스위칭 패널을 포함하며, 이 패널은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평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부터 분리되고, 이 패널은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어떤 유형의 이미지가 발생되는 지에 따라 제어되어, 2차원 이미지 및 3차원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알려진 복합 2D/3D-디스플레이의 문제점은 다음처럼 요약된다.
-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고전력 소모를 겪게 되는데, 이는 이동 전화기 또는 PDA와 같은 핸드헬드 디바이스를 위한 디스플레이에 대해 만족스럽지 못한 특성이며,
- 이들 디스플레이는 관찰자의 로케이션이 잘 고정된 응용에 제한되는데, 이는 3D-장벽을 관통한 투과는 각도에 의존적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러한 2D/3D-기술은 제한된 뷰잉 각도를 겪는다. 관찰자는 스크린의 노멀상태(the normal of the screen)에 대하여 매우 큰 각도로 장벽을 통해볼 수 있다. 듀얼 뷰 모드의 경우, 이는 결국 2개의 다른 이미지의 혼합이 되며, 반면에 스테레오 3D 모드의 경우, 이는 결국 관찰자가 더 약한 3D 효과를 인식하는 사실이 된다.
- 복합 2D/3D 디스플레이는 대 픽셀을 갖는 매우 단순한 톱 LCD(수동 매트릭스)를 포함하며, 이 LCD는 양호한 뷰잉 각도를 위해 쉽게 최적화되지 않는다. 이는 양호한 3D가 관찰되는 위치가 공간에서 매우 제한됨을 의미한다.
- 제 1 및 제 2 LCD 사이의 거리는 항시 제 1 LCD의 상단 플레이트의 유리 두께와 제 2 LCD의 하단 플레이트의 두께의 합이 된다. 이러한 거리는 보통 다소 커 서, 즉 1.4mm가 되며, 이는 결국 뷰사이의 큰 중첩이 된다.
- 제 2 LCD의 편광자 및 여분의 유리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32인치 패널이 지금 표준인 텔레비젼 응용을 고려할때, 패널 코스트의 한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언급된 문제점을 완화시키는 복합 단일 뷰/멀티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 1에 기술된 디바이스에 의해 충족된다.
화소가 적어도 1개의 불투명 상태, 즉 반사 및/또는 흡수 상태, 또는 하나의 투명 상태에서 동작가능한 전기영동형 장벽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개선된 멀티 뷰 디스플레이가 달성된다는 통찰이 있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르면,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멀티 뷰 모드(또는 듀얼 모드) 및 제 2 단일 뷰 모드에서 동작되도록 배열된다. 외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모드에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제어 가능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이되,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화소의 양단에 걸친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된다.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와 하나의 투명 상태로 동작가능하다.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다른 화소가 불투명 상태에 있으면서, 내부 디스플레이를 온-상태로 배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투명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상기 온-상태로 배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상기 투명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은 LCD 또는 유기 LED(OLED)와 같은 발광 디스플레이의 상단상에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를 배열하는 것이다.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외부 디스플레이로 언급되며, 이 외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관찰자와 면하게 되고, 외부 디스플레이 상에 샌드위치된 발광형 디스플레이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언급되는데, 즉 이 내부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안쪽을 향한 외부 디스플레이의 측면상에 배열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개 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제 1 모드는 멀티 또는 듀얼 뷰 모드이고, 제 2 모드는 단일 뷰 모드가 된다. 단일 뷰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외부 디스플레이는 투명 상태로 설정되고, 내부 디스플레이는 온(ON)되어(온-상태), 원하는 물체를 디스플레이한다. 멀티 뷰 모드에서, 외부 디스플레이는 3D-장벽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중 일부는 투명한 상태로 설정되고, 반면에 다른 소자는 불투명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는 내부 디스플레이의 일부 픽셀이 관찰자의 좌측눈에 의해 보여지며, 일부는 관찰자의 우측눈에 의해 보여지고, 내부 디스플레이의 일부 픽셀은 불투명 상태로 설정된 외부 디스플레이의 픽셀에 의해 차단된다.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는 가령 흑색(또는 사실상 임의 컬러)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에서 동작가능하다.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다른 모드는 디스플레이의 화소 양단에 걸친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되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전기영동 매체에서 배열된 입자가 이동되도록 야기한다. 흑색 상태가 성취된다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대전 흑색 입자를 갖는 것이 충분하다. 전위차는 각 화소와 연관된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투명한 상태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 중 어느 하나는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달성된다.
관찰자는 각각의 눈으로 다른 화상을 보게 되며, 따라서 내부 디스플레이상에 디스플레이된 물체의 3D-화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 3D-모드는 대안적으로 듀얼 뷰 모드가 될 수 있으며, 이 듀얼 뷰 모드는 외부 디스플레이를 장벽으로서 동작시키면서, 내부 디스플레이의 다른 픽셀 그룹상에 다른 물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달성된다. 장벽으로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사용은 실질적으로 LCD-장벽과 비교해서 시야각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2D로 물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유리한 제 3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제어되도록 더 배열된다.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모드(B)에서 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또한 위에 기술된 2D로 물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드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오프시키고(가능하게는 스탠바이 모드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따라, 이들 2개의 특별한 컬러의 입자가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포함되는 경우, 예를 들면 백색 및 흑색인 불투명 상태로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설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그레이스케일 또는 중간 광학 상태는 일반적으로 특정된 시간 기간 동안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공되며, 이는 흑색 및 백색 입자가 전기영동 매체에서 앞뒤로 이동되어, 관찰자는 디스플레이가 다른 중간 광학 상태, 즉 다른 레벨의 그레이를 채택한 것으로 보이게 되는 경험을 하는 효과를 갖는다. 흑색 및 백색 입자의 사용은 화소 및 개선된 이미지 품질 사이의 높은 콘트라스트을 제공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또 다른 컬러가 되도록 일부 입자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컬러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가 제공되어야 하는 경우, 다른 컬러의 입자는 다른 화소로 배열된다. 예를 들면, 컬러 필터 기능성을 생성하기 위해, 입자의 3개 그룹이 있을 수 있으며, 각 그룹은 다른 컬러(예를 들면 적색, 녹색 및 청색)를 갖는다. 화소가 추가로 투명 상태로 동작가능하게 되므로, 컬러 필터를 온 또는 오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전극은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투명 상태가 획득되도록 대전 입자를 끌어당기도록 배열된다. 전극은 이런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화소의 주위에 배열되므로, 전극은 각 대전 입자를 끌어당기게 되며, 여기서 실질적으로 무입자 영역은 투명 상태로 설정되어야하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위해 생성된다. 이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즉 외부 디스플레이가 관찰자에게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복합 단일 뷰/멀티 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디스플레이는 발광형 디스플레이이고, 이 발광형 디스플레이는 주변 조명에 독립적인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디스플레이는 내부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도록 배열된다. 이는, 고품질 멀티 뷰 모드가 시청될 수 있는 지점("스위트 스포트(sweet spot)")이 디스플레이 바로 정면의 정적 스위트 스포트를 가지기 보다 오히려 관찰자에 가깝게 위치되도록 장벽을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이점과 추가 특징은 첨부된 청구항과 다음 설명을 연구하는 경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이 다음에 기술된 것 이외의 실시예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될 수 있음을 깨달을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이루어진 참조 번호를 가지고 더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도면은 비제한적인 예를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듀얼 뷰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 실시예에서 추가 전극이 가변적인 그레이 필터 제어를 허용하기 위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단면도와 평면도의 핑거 전극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핑거 전극은 특정 픽셀의 감소된 밝기를 회피하기 위해 설계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뷰 디스플레이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원리도.
도 6은 상단 전극상에 OPC를 갖는 픽셀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OPC층의 다른 배치를 갖는 픽셀 구조, 즉 전극(E1과 E2)이 OPC-층으로 코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1a 및 도 1b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도시되며, 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12)가 구비된 LCD(11)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 뷰 디스플레이를 생성하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먼저, 전극이 2개 섹션으로 분할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2)의 전극을 고려하자. 이들 전극 섹션은 E1(장벽 전극(barrier electrode)) 및 E2(저장 전 극(reservoir electrode))로 명칭될 것이다. 둘 다는 투명 전도층(예를 들면 ITO)로부터 제조된다. 이들 전극(E1/E2) 사이 영역의 관계는 10:1이 되도록 선택된다. 그러나, 이는 결코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입자가 전극 영역에서 충분히 작게 수집되어 픽셀이 투명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한, 다른 영역 관계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모든 입자는 흑색으로 착색되고, 일정한 극성, 예를 들면 양을 갖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2개의 가능한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되어야 하는 경우, 장벽(E1)과 저장(E2) 전극은 구동을 위한 2개 별도 그룹으로 그룹화된다. 접지에서 E1 전극을 유지하면서 E2 전극에 음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입자들은 그들의 극성으로 인해 E2 전극으로 끌어 당겨지게 된다. 이는 결국 도 1(a)에 도시된 상황이 되며, 여기서 장벽(E1)은 단지 듀얼 뷰를 위해 필요한 크기의 10분의 1이 되고, 이 상황은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12)는 투명한 것으로 보이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2D 디스플레이로서 기능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각 화소와 관련된 전극에 구동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어가능하도록 배열되고, 이는 대전 입자가 이동하도록 야기한다. 따라서, 불투명 상태 또는 투명 상태가 얻어진다. 외부 디스플레이에 사용된 전기영동형 물질의 쌍안정성으로 인해, 구동 신호의 인가이후 전압이 요구되지 않으며 입자는 전극 E2에 묶여 있는 채로 있게 된다. 더욱이, 입자는 상당한 양의 전하를 가지게 되어 낮은 구동 전압을 허용할 수 있다. 멀티 뷰/ 듀얼 뷰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해, 전압 극성은 반전되고 장벽 전극(E1)은 음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입자가 장벽 전극(E1) 상에 분포되게 한다. 이는 LCD(11)로부터 방출된 광을 차폐하고 스위칭 가능한 장 벽은 듀얼 뷰을 위하여 적소의 위치에 있게 된다. 장벽 전극의 적용범위(즉 디스플레이가 3D-모드에 있을 경우 입자에 의해 커버되는 전극의 영역)는 입자의 개수에 의존하고, 듀얼 모드/3D 모드의 경우, 장벽 전극(E1)을 통하여 낮은 누설 투과(leak transmission)를 얻기 위해 대 적용범위가 요구된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확장되어 장벽 전극과 추가 갭 전극은 스위칭 가능하고 변경가능한 그레이 필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갭 전극은 이미 존재하는 전극 E1 와 E2 사이의 공간으로 배열되고 E3로 표기된다. 음 전압을 짧은 기간동안 E3 및 E1에 인가함으로써, 입자의 단지 일부가 전극을 커버한다. 이러한 경우, 비-100% 적용범위를 가지고, 즉 전극은 입자로 완전히 커버되지는 않으며, 장벽은 그레이 필터로서 역할을 한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기술된다. 전극은 이러한 실시예에서 인터락킹 핑거 전극(interlocking finger electrode)(31)으로 배열된다. 도 3(a) 및 도 3(b)에서, 핑거 전극이 각기 단면도 및 평면도로 도시된다. E1과 E2 사이의 영역 관계는 여전히 10:1이 될 것이지만 그러나 저장 전극(reservoir electrode)은 많지만 더 작은 영역에 걸쳐 분포될 것이다. 이러한 핑거 전극은 더 빠른 스위칭 시간의 이점을 갖는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투과형 3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원리도가 도시된다. 3D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단(또는 외부)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41)와 하단(또는 내부) 컬러 LC 디스플레이(4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별히 설계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도 5에 도시된다. 전기영 동형 디스플레이는 전하 극성 및 컬러(예를 들면, 음으로 대전된 백색 입자 및 양으로 대전된 흑색 입자)에서 서로 다르고, 투명 유체에 배열된 2개 그룹의 전기영동형 입자(54, 55), 투명 상단 패널(51), 하단 패널(52), 복수의 마이크로캡슐(또는 마이크로 컵)(53)을 포함한다. 마이크로캡슐은 패널사이에 위치되고, 입자는 각 마이크로캡슐내에 배치된다. 상단(56)과 하단(57, 58, 59) 전극은 각 마이크로캡슐과 관련되고, 특히 예시화된 실시예에서, 하단 전극은 3개 섹션, 즉 2개 외부 섹션(57, 59)과 하나의 중간 섹션(58)로 분할되도록 배열되며, 각 섹션은 2개의 다른 섹션의 극성과 다른 극성을 가지기 위해 설정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하단 전극의 3개 섹션(57, 58, 59)의 극성을 제어함으로써, 입자는 이동되며, 여기서 마이크로캡슐, 및 그 결과 화소(53)는 불투명 상태(1, 3) 또는 투명 상태(2)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하단 전극의 각 섹션에 인가된 구동 신호는 구동 신호 전압과 이 구동 신호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 동안의 곱으로 정의되고,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내에 포함된 대전 입자를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져오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는다. 이는 도 5의 2개 극 광학 상태(1 및 3)사이에 있는 중간 광학 상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개 극성의 입자는 상단 전극(56)에 위치되며, 반 대 극성의 입자는 반대 하단 극성(57, 58, 59)에 위치된다. 구동 펄스의 필요 에너지는 광학 상태의 원하는 천이에 의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화소(53)는 3개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백색은 1에 의해 표기되고, 투명은 2에 의해 표기되고, 흑색은 3에 의해 표기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단 전극은 3개 섹션으로 분할된 다. 상태 2에서, 각 외부 섹션은 대응하는 극성의 입자를 끌어 들이고, 화소는 투명으로 보이는데, 이는 화소의 주요 부분, 즉 중간 전극에 의해 형성된 부분이 입자(51a)가 없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된 전극 구성은 한 화소당(하단 전극의 각 섹션에 대하여 하나) 3개의 TFT(Thin Film Transistor)을 구비하는 능동-매트릭스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화소당 TFT의 이러한 개수는 만일 컬러 LC 디스플레이라고 하면, 밑에 있는 LCD의 화소당 TFT 개수와 동일하다. TFT를 위한 별도 열 전극과 하나의 공통 행 전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TFT를 위한 3개 행 전극과 한 개의 열 전극을 갖는 구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극 구성은 전기영동형 픽셀내에 배열된 OPC(Organic PhotoConductor) 층을 사용한다. 이러한 층은 예를 들면 트리니트로플루오렌온(trinitrofluorenone) 도핑을 구비한 PVK(PolyVinyl Carbazole)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TFT를 제거하고 필요한 구동기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도 6에서, E1, E2, E3 및 E4 중 적어도 하나는 OPC 층으로 커버되고 전극은 서로 연결되어 단지 4개의 구동기만이 각 전기영동형 픽셀을 구동하기 위해 요구된다.
예를 위해, E4 전극은 OPC 층으로 커버된다. 도 6은 픽셀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전극 E2와 E1 사이에 제 1 극성의 전압을, 그리고 E2와 E3 사이에 다른 극성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도 5에서 상태 2로서 도시된 상태, 즉 투명 상태는 이러한 픽셀 구조로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전극 E1, E2 및 E3는 각 픽셀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없으며, 즉 모든 픽셀은 동시에 전극 E1, E2 및 E3에 서 입자를 모을 수 있음을 주목해야한다. 결과적으로,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될 수 없지만, 그러나 디스플레이는 단일 뷰와 멀티 뷰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위와는 대조적으로, 내부 디스플레이의 LCD 픽셀로 전기영동형 화소를 조명함으로써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상에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단순히 LCD상에 원하는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또는 이의 반전)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제 1 극성의 전압, 예를 들면 +15V가 E1, E2 및 E3에 인가되고, E4는 0V에 유지되며, 이는 흑색입자(양으로 대전됨)가 E4에 모이게 되는 효과를 가지며, 반면에 백색입자(음으로 대전됨)는 E1, E2 및 E3으로 이끌리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후, 밑에 있는 LCD 패널은 완전한 백색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동작된다. 밑에 있는 LCD 패널로부터 조명은 E4의 OPC 층에 대한 저항성을 대충, 104의 인자만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밑에 있는 LCD 패널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백색 이미지는 이제 제거되고, 대신에,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는 LCD 패널 상에 보여진다. 따라서, 조명되지 않은 OPC-코팅된 전극 E4 부분들(여기서 각 부분은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1개 픽셀에 대응한다)은 매우 높은 저항성의 모드로 설정되고, 반면에 조명되는 OPC-코팅된 전극 E4 부분들은 낮은 저항성의 모드로 설정된다. 따라서, 낮은 저항성 부분들은 +15V로 구동될 수 있으며, 반면에 E1, E2 및 E3는 0V에서 유지된다. 비-조명된 부분들은 자신들의 높은 저항성때문에, 0V에서 유지될 것이다. 우선하는 LCD 패널의 일부 픽셀은 디스플레이될 이미지 정보에 의해 한정 된 바와 같이, 흑색이 되고, 다른 픽셀은 백색이 될 것이다(즉 광이 존재함). 스위칭된 극성으로 인해, +15V가 전극 E4에서 음으로 대전된 백색 입자를 끌어당기므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조명된 픽셀은 백색 상태로 바뀌게 된다. 조명되지 않은 전극 E4 부분들에서, 저항성은 매우 높고, 이들 고-저항성 부분의 전압은 실질적으로 0V로 강하되며, 이에 의해 흑색 입자는 E4에서 남아있게 되고, 픽셀은 흑색인 채로 남아 있게 된다.
만일 초기 상태가 E2-E1 및 E2-E3 사이의 "세이킹 전압(shaking voltage)"을 인가함으로써 획득가능한 중간 광학 상태라면, 0V에서 E4를 유지하면서 -15V가 E1, E2 및 E3에 인가된다. 셰이킹 전압은 예를 들면, 하나의 전압 펄스 또는 다수의 전압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셰이킹 전압은 극 상태 중 하나에 존재하는 입자를 방출하기에 충분한, 그러나 입자가 극 위치 중 다른 하나에 도달하기에는 불충분한 에너지를 갖는다. LCD 픽셀 중 하나도 조명으로 구동되지 않으므로, OPC-코팅된 전극 E4의 저항성은 매우 높으며, -15V는 0V로 강하된다. 따라서, 입자는 이동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미지는 밑에 있는 LCD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백색 상태로 설정되어야 하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픽셀에 대하여, LCD는 백색 픽셀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구동될 것이고, 이에 의해 전기영동형 픽셀은 조명되고, 이들 백색 입자가 E1, E2 및 E3에 인가된 -15V에 의해 반발되므로, 백색 입자는 상단 표면으로 이동된다. 전극 E4의 대응 부분이 조명되지 않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의 픽셀에서, 설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제 전압은 반전되어 이미지의 네거티브 표시(representation)이 LCD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는 흑색 입자가 광에 노출된 (음의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된 사실 때문임) 전기영동형 픽셀에서 전극 E4로 (-15V에 의해 끌어당겨짐) 이끌리게 한다. 광이 이들 특별한 픽셀을 위한 네거티브 이미지에서 발생되지 않으므로, 백색 상태에서의 픽셀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다른 예시에서, 전극 E1과 E3는 OPC로 커버된다. 다시, 전극 상에 적절한 전압과 균일한 조명이 사용되어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를 리셋한다(reset). OPC 층을 구비하는 제 1 실시예에서 처럼, 밑에 있는 LCD 픽셀을 통하여 광전도체의 로컬 조명은 선택된 백색 또는 흑색 입자를 어드레싱할 것이다. 이들 입자가 선택된 이후, 이들 입자는 E4와 E2 사이의 적절한 전압을 통하여 시청 측면(viewing side)으로 전송될 수 있다.
중앙 전극 E2가 OPC로 코팅되어 광원의 로컬 조명을 경유하여 기록을 허용하는 픽셀을 만드는 것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컬러 LC 하단 디스플레이의 설계 및 기능은 당업자에 의해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다시 도 4를 참조해서, 위에 기술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41)와 방출형 컬러 LC 디스플레이(42)를 결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3개 모드로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다:
A) 제 1 단일 뷰, 그레이-스케일, 저전력 모드,
B) 제2 단일 뷰, 컬러 모드
C) 제3 멀티뷰, 컬러 모드
제 1 모드(A)에서, 하단 디스플레이(42)는 스위칭 오프되고, 이러한 기능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이 제 1 모드에서, 상단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41)에 의해 영향을 받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저전력 2D-디스플레이로서 동작한다. 이 모드에서, 도 5를 참조하여, 화소의 상태 1과 3이 활성화된다. 이는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내의 화소(53)의 3개 하단 전극(57, 58, 59)을 동일한 전압으로 스위칭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층이 물체의 2D-이미지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되므로, 각 화소는 여러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제 2 모드(B)에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투명 상태(2)로 스위칭되고 하단 LCD(42)는 보통으로 동작되고, 이 모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통 컬러 LCD로서 동작중이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면, 모든 화소는 상태 2로 스위칭된 제 2 모드에 있다. 이는 하단 전극의 외부 섹션 중 하나를 양의 극성으로, 다른 하나를 음의 극성으로, 그리고 중간 섹션을 중성의 극성(즉 접지)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 3 모드(C)에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41)의 화소(53)는 투명(2) 화소의 어레이를 제외하고, 흑색 상태(3)으로 스위칭되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가 격자(grid)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보이며, 격자에서 투명 어레이가 흑색 라인에 의해 분할된다. 이러한 패턴은 소위 3D-장벽을 구체화한다. 3D-장벽은 LCD에 의해 방출된 광이 다른 각도에서 보이는 것을 허용하며, 이에 의해 멀티 뷰 디스플레이를 생성한다. 장벽은 라인 사이의 투명 영역을 가지는 불투명(흑색) 라인의 격자로서 보일 있다. 화소를 도 5의 상태 2 또는 3으로 스위칭하기 위해 스탠다드 로우- 앳-어-타임 어드레싱(Standard row-at-a-time addressing)방식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들 상태는 이러한 모드에서 사용된다. 더욱이,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서 화소의 상태를 변경함으로써 멀티 뷰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투명 영역은 특정 화소가 특정 각도로부터 보여지는 지를 결정하고 등가적으로 불투명 라인은 특정한 화소가 특정 각도로부터 잘 보이지 않게 되는 지를 결정한다. 이는 디스플레이된 뷰의 개수가 비디오 콘텐츠 내에 존재하는 뷰의 개수에 의존하여 스위칭되는 것을 허용한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발명의 특정 예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을 지라도, 많은 다른 변경, 개조 등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기술된 실시예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제 1 멀티 뷰 모드, 제 2 단일 뷰 모드 및 제 3 저전력 단일 뷰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배열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15)

  1. 내부 디스플레이(42)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41)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멀티 뷰 디스플레이 모드(C) 및 제 2 단일 뷰 디스플레이 모드(B)에서 동작되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 가능한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이고,
    상기 제 1 및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3)와 하나의 투명 상태(2)에서 동작가능한 화소(53)의 양단에 걸친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되며,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모드는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의 다른 화소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에 있는 동안, 내부 디스플레이를 온-상태로 배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내의 화소의 적어도 하나를 투명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모드는 내부 디스플레이를 상기 온-상태로 배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상기 투명 상태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41)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 3 저전력, 단일 뷰 모드(A)에서 동작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더 배열되고,
    상기 제 3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2 모드(B)에서 보다 더 적은 전력을 소모하고, 상기 제 3 모드는 상기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41)에 있는 화소(43)의 양단에 걸쳐 전위차를 제어함으로써 달성되고,
    상기 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불투명 상태(1)에서 동작가능하며, 상기 제 3 디스플레이 모드는 내부 디스플레이(42)를 오프-상태로 배열하고, 외부 디스플레이의 화소를 불투명 상태(1, 3) 중 어느 하나로 배열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는 구동 신호를 각 화소(53)와 연관된 전극(56-59)에 인가함으로써 제어가능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전위차를 획득하되, 상기 전위차는 상기 전기영동형 디스플레이에 포함된 전기영동형 매체내에 배열된 대전 입자(54, 55)가 이동하도록 하여, 이에 의해, 상기 투명한 상태(2)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불투명 상태(3) 중 어느 하나가 획득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극성의 입자는 흑색(54)으로 배열되고, 제 2 극성의 입자는 백색(55)으로 배열되는데, 이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불투명 상태(1, 3)가 획득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입자는 추가 컬러의 입자가 배열되도록,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다른 컬러의 입자는 다른 화소에 배열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화소(53)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전극(57, 59)을 포함하게 되어, 인가된 구동 신호에 의해, 각 대전 입자(54, 55)를 끌어당기게 되며, 이에 의해 무입자 영역(51a)이 투명 상태(2)에서 설정될 화소에서 생성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57)인 제 1 전극은 제 1 극성의 입자(54)를 끌어당기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59)인 제 2 전극은 제 2 극성의 입자(55)를 끌어당기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전극(E1, E2)은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배열되고, 전극 중 하나의 영역은 다른 전극의 영역보다 실질적으로 작게 배열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적어도 3개의 전극을 포함하되, 제 3 전극(E3)은 제 1 전극(E1)과 제 2 전극(E2)에 근접하게 배열괴고, 상기 제 3 전극에 전압이 짧게 인가되므로, 단지 소량의 입자만이 이동하여, 이에 의해 스위칭가능한 그레이 필터가 달성되는,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E1 - E4)의 적어도 하나는 유기 광전도체층(64, 71, 72)으로 코팅되며, 상기 층의 저항은 상기 유기 광전도체층상에 내부 디스플레이(66) 조명을 가 변함으로써 가변가능한,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42)는 발산형 디스플레이인,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4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인,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42)는 OLED 디스플레이인, 내부 디스플레이로 적층된 외부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로서,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41)는 상기 내부 디스플레이(42)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도록 배열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077029099A 2005-06-14 2006-06-13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KR101329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5192.8 2005-06-14
EP05105192 2005-06-14
PCT/IB2006/051881 WO2006134554A2 (en) 2005-06-14 2006-06-13 Combined single/multiple view-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853A true KR20080015853A (ko) 2008-02-20
KR101329271B1 KR101329271B1 (ko) 2013-11-14

Family

ID=37532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099A KR101329271B1 (ko) 2005-06-14 2006-06-13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956820B2 (ko)
EP (1) EP1894422A2 (ko)
JP (1) JP5264482B2 (ko)
KR (1) KR101329271B1 (ko)
CN (1) CN100588268C (ko)
TW (1) TWI446004B (ko)
WO (1) WO200613455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3004A (ko) * 2009-08-20 2012-05-03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는 합체형 디스플레이
US8730561B2 (en) 2011-06-30 2014-05-2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59541B2 (en) * 2005-06-15 2014-02-25 Star-Reach Corp. High efficiency electronic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100657322B1 (ko) * 2005-07-02 2006-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로컬 3차원 비디오를 구현하기 위한 인코딩/디코딩 방법 및장치
US7545557B2 (en) * 2006-10-30 2009-06-09 Xerox Corporation Color display device
US20080204463A1 (en) * 2007-02-27 2008-08-28 Adam Cybart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chanism for a Title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204417A1 (en) * 2007-02-27 2008-08-28 Pierce Paul M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43126B2 (en) * 2007-03-14 2012-08-14 Chimei Innolux Corporation Increase of perceived resolution for a dual view display device
US8902152B2 (en) * 2007-04-30 2014-12-02 Motorola Mobility Llc Dual sided electrophoretic display
US20080291169A1 (en) * 2007-05-21 2008-11-27 Brenner David S Multimodal Adaptive User Interfa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80309589A1 (en) * 2007-06-13 2008-12-18 Morales Joseph M Segmented Electroluminescent Device for Morphing User Interface
US9122092B2 (en) * 2007-06-22 2015-09-0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Colored morphing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US8077154B2 (en) 2007-08-13 2011-12-13 Motorola Mobility, Inc. Electrically non-interfering printing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capacitive touch sensors
GB0716776D0 (en) * 2007-08-29 2007-10-10 Setred As Rendering improvement for 3D display
DE102007046414B4 (de) * 2007-09-25 2010-11-18 Visumotion Gmbh Verfahren und Anordnungen zur räumlichen Darstellung
US8624832B2 (en) 2007-11-02 2014-01-07 Seiko Epson Corporation Drive method for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an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KR100972097B1 (ko) * 2007-11-26 2010-07-22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전기영동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용 다기능 광학 필름
US8139195B2 (en) * 2007-12-19 2012-03-20 Motorola Mobility, Inc. Field effect mode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a quasi-random photospacer arrangement
US7864270B2 (en) * 2008-02-08 2011-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and LC shutter with diffusive reflective polarizer
US8059232B2 (en) * 2008-02-08 2011-11-15 Motorola Mobility, Inc. Electronic device and LC shutter for polarization-sensitive switching between transparent and diffusive states
KR20100004031A (ko) * 2008-07-02 2010-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2329326A1 (en) * 2008-09-25 2011-06-08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Division of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Dual-view touchscreen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8284118B2 (en) * 2009-04-03 2012-10-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ower saving mode in persistently active multi-layer display screen
US8832574B2 (en) * 2009-06-30 2014-09-0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20100328223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US9201282B2 (en) * 2009-07-27 2015-12-01 Hj Forever Patents B.V.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CN101907796B (zh) * 2010-03-22 2012-02-22 福建华映显示科技有限公司 双视域液晶显示器的制造方法
TW201133437A (en) * 2010-03-23 2011-10-01 Wistron Corp Method of switching screen and electronic apparatus used to implement the method
US9087801B2 (en) * 2010-04-29 2015-07-21 Apple Inc. Power efficient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9899329B2 (en) 2010-11-23 2018-02-20 X-Celeprint Limited Interconnection structures and methods for transfer-printed integrated circuit elements with improved interconnection alignment tolerance
EP2461238B1 (en) 2010-12-02 2017-06-28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n input device
TWI516090B (zh) 2010-12-31 2016-01-01 瀚宇彩晶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EP2495602A1 (en) * 2011-03-01 2012-09-05 Thomson Licensing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654706B (zh) * 2011-05-13 2014-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3d显示用器件及其驱动方法、制作方法和显示面板
US8934259B2 (en) 2011-06-08 2015-01-13 Semprius, Inc. Substrates with transferable chiplets
US9363504B2 (en) * 2011-06-23 2016-06-07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3-dimensional image
KR101394059B1 (ko) * 2011-10-27 2014-05-27 네오뷰코오롱 주식회사 투명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TW201327507A (zh) * 2011-12-28 2013-07-01 Fitipower Integrated Tech Inc 顯示裝置
TWI543128B (zh) * 2012-03-19 2016-07-21 天鈺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130115901A (ko) * 2012-04-13 2013-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듀얼 모드 표시 장치
CN102819162B (zh) * 2012-07-20 2015-06-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单基板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6125274B2 (ja) * 2013-02-27 2017-05-10 株式会社東芝 電子回路および電子機器
CN105659310B (zh) 2013-08-13 2021-02-26 飞利斯有限公司 电子显示区域的优化
WO2015031426A1 (en) 2013-08-27 2015-03-05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display and detection of flex state
TWI655807B (zh) 2013-08-27 2019-04-01 飛利斯有限公司 具有可撓曲電子構件之可附接裝置
WO2015038684A1 (en) 2013-09-10 2015-03-19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article with signaling, split display and messaging features
US9967546B2 (en) 2013-10-29 2018-05-08 Vefx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images and videos to 3D for consumer, commercial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US20150116458A1 (en) 2013-10-30 2015-04-30 Barkatech Consul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hanced 3d-effects for real-time and offline appplications
WO2015100396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Support structures for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WO2015100224A1 (en) 2013-12-24 2015-07-02 Polyera Corporation Flexible electronic display with user interface based on sensed movements
CN106031308B (zh) 2013-12-24 2019-08-09 飞利斯有限公司 用于附接式二维挠性电子装置的支撑结构
KR20160103072A (ko) 2013-12-24 2016-08-31 폴리에라 코퍼레이션 가요성 전자 부품용 지지 구조체
TWI625579B (zh) * 2013-12-27 2018-06-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顯示模組
US10554962B2 (en) 2014-02-07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high transparency display for light field generation
US10375365B2 (en) 2014-02-07 2019-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system with enhanced color and contrast
US10170030B2 (en) 2014-02-07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ual-mode display
US10453371B2 (en) 2014-02-07 2019-10-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 display with color and contrast enhancement
US10565925B2 (en) 2014-02-07 2020-0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ull color display with intrinsic transparency
US20150227245A1 (en)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US9874799B2 (en) 2014-02-17 2018-01-23 Nlt Technologies, Ltd. Optical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device, and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illuminating device including optical device
TWI692272B (zh) 2014-05-28 2020-04-21 美商飛利斯有限公司 在多數表面上具有可撓性電子組件之裝置
US9991423B2 (en) 2014-06-18 2018-06-05 X-Celeprint Limited Micro assembled LED displays and lighting elements
US10158847B2 (en)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US10613585B2 (en) * 2014-06-19 2020-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group play system using 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performance methods thereof
KR20170047324A (ko) 2014-08-26 2017-05-04 엑스-셀레프린트 리미티드 마이크로 어셈블링된 하이브리드 디스플레이들 및 조명 엘리먼트들
US9799261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Self-compensating circuit for faulty display pixels
US9799719B2 (en) 2014-09-25 2017-10-24 X-Celeprint Limited Active-matrix touchscreen
US9818725B2 (en) 2015-06-01 2017-11-14 X-Celeprint Limited Inorganic-light-emitter display with integrated black matrix
US9991163B2 (en) 2014-09-25 2018-06-05 X-Celeprint Limited Small-aperture-ratio display with electrical component
CN104360475B (zh) 2014-11-21 2016-11-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器件及其制备方法和控制方法
WO2016138356A1 (en) 2015-02-26 2016-09-01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having a flexible electronic component
US20160351648A1 (en) * 2015-05-27 2016-12-01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Dual display technologies display
US9871345B2 (en) 2015-06-09 2018-01-16 X-Celeprint Limited Crystalline color-conversion device
US10133426B2 (en) 2015-06-18 2018-11-20 X-Celeprint Limited Display with micro-LED front light
US11061276B2 (en) 2015-06-18 2021-07-13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aser array display
US10255834B2 (en) 2015-07-23 2019-04-09 X-Celeprint Limited Parallel redundant chiplet system for controlling display pixels
US10380930B2 (en) 2015-08-24 2019-08-13 X-Celeprint Limited Heterogeneous light emitter display system
US10230048B2 (en) 2015-09-29 2019-03-12 X-Celeprint Limited OLEDs for micro transfer printing
US10066819B2 (en) 2015-12-09 2018-09-04 X-Celeprint Limited Micro-light-emitting diode backlight system
US9786646B2 (en) 2015-12-23 2017-10-10 X-Celeprint Limited Matrix addressed device repair
US10200013B2 (en) 2016-02-18 2019-02-05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acoustic wave filter device
US10361677B2 (en) 2016-02-18 2019-07-23 X-Celeprint Limited Transverse bulk acoustic wave filter
US10109753B2 (en) 2016-02-19 2018-10-23 X-Celeprint Limited Compound micro-transfer-printed optical filter device
WO2017144573A1 (en) 2016-02-25 2017-08-31 X-Celeprint Limited Efficiently micro-transfer printing micro-scale devices onto large-format substrates
US10150326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document with variable state
US10150325B2 (en) 2016-02-29 2018-12-11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10193025B2 (en) 2016-02-29 2019-01-29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ED pixel structure
US10153257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printed display
US10153256B2 (en) 2016-03-03 2018-12-11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able electronic component
CN105789256A (zh) * 2016-03-18 2016-07-2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 oled 双面显示基板、制作方法及显示器
US10199546B2 (en) 2016-04-05 2019-02-05 X-Celeprint Limited Color-filter device
US10008483B2 (en) 2016-04-05 2018-06-26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 printed LED and color filter structure
US10198890B2 (en) 2016-04-19 2019-02-05 X-Celeprint Limited Hybrid banknote with electronic indicia using near-field-communications
US9997102B2 (en) 2016-04-19 2018-06-12 X-Celeprint Limited Wirelessly powered display and system
US9997501B2 (en) 2016-06-01 2018-06-12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ed light-emitting diode device
US11137641B2 (en) 2016-06-10 2021-10-05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structure with polarized light emission
JP2018013697A (ja) * 2016-07-22 2018-01-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9980341B2 (en) 2016-09-22 2018-05-22 X-Celeprint Limited Multi-LED components
US10782002B2 (en) 2016-10-28 2020-09-22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LED optical components
US10347168B2 (en) 2016-11-10 2019-07-09 X-Celeprint Limited Spatially dithered high-resolution
US10395966B2 (en) 2016-11-15 2019-08-27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WO2018091459A1 (en) 2016-11-15 2018-05-24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600671B2 (en) 2016-11-15 2020-03-24 X-Celeprint Limited Micro-transfer-printable flip-chip structures and methods
US10438859B2 (en) 2016-12-19 2019-10-08 X-Celeprint Limited Transfer printed device repair
US10332868B2 (en) 2017-01-26 2019-06-25 X-Celeprint Limited Stacked pixel structures
US10468391B2 (en) 2017-02-08 2019-11-05 X-Celeprint Limited Inorganic light-emitting-diode displays with multi-ILED pixels
US10396137B2 (en) 2017-03-10 2019-08-27 X-Celeprint Limited Testing transfer-print micro-devices on wafer
US11024608B2 (en) 2017-03-28 2021-06-01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Structur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micro-devices and substrates
US10714001B2 (en) 2018-07-11 2020-07-14 X Display Company Technology Limited Micro-light-emitting-diode displays
CN109541813B (zh) * 2019-01-03 2022-05-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显示装置及其显示方法
US20220171249A1 (en) * 2019-08-21 2022-06-02 Sioptica Gmbh Optical element with variable transmission and screen comprising such an optical element
CN110571257B (zh) 2019-09-11 2023-08-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308825A (zh) 2020-04-02 2020-06-19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20230273480A1 (en) * 2020-07-28 2023-08-31 Lg Innotek Co., Ltd. Light path control membe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TWI764243B (zh) * 2020-08-20 2022-05-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電泳顯示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3832B2 (ja) * 1994-03-29 1999-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立体映像表示装置
GB2320156A (en) * 1996-12-07 1998-06-10 Sharp Kk Directional display and method of making a mask for a directional display
GB2317710A (en) * 1996-09-27 1998-04-01 Sharp Kk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GB2352573A (en) 1999-07-24 2001-01-31 Sharp Kk Parallax barrier for a autostereoscopic display
KR100575452B1 (ko) * 1999-09-28 2006-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반사투과형 액정 표시장치
US20030048522A1 (en) * 2001-09-13 2003-03-13 Rong-Chang Liang Three-dimensional electrophoretic displays
GB0119176D0 (en) *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JP4416380B2 (ja) 2002-06-14 2010-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490416B1 (ko) * 2002-11-23 200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의 선택적 디스플레이 가능한 디스플레이장치
JP4122943B2 (ja) 2002-11-25 2008-07-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光書込装置および光書込方法
AU2003300219A1 (en) * 2002-12-20 2004-07-14 X3D Technologies Gmbh Arrangement for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representation
JP4496713B2 (ja) * 2003-03-31 2010-07-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JP4776532B2 (ja) * 2003-05-02 2011-09-21 イー インク コーポレイション 電気泳動ディスプレ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3004A (ko) * 2009-08-20 2012-05-03 아마존 테크놀로지스, 인크.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포함하는 합체형 디스플레이
US8730561B2 (en) 2011-06-30 2014-05-20 Samsung Display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88268C (zh) 2010-02-03
KR101329271B1 (ko) 2013-11-14
TWI446004B (zh) 2014-07-21
JP5264482B2 (ja) 2013-08-14
US7956820B2 (en) 2011-06-07
US20080211734A1 (en) 2008-09-04
WO2006134554A2 (en) 2006-12-21
TW200706911A (en) 2007-02-16
CN101199209A (zh) 2008-06-11
JP2008547044A (ja) 2008-12-25
WO2006134554A3 (en) 2007-09-13
EP1894422A2 (en)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271B1 (ko) 복합 단일/멀티 뷰-디스플레이
JP4816245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
US8797634B2 (en) Multi-color electrophoretic displays
US8139050B2 (en) Addressing schemes for electronic displays
CN108227325B (zh) 液晶显示面板与显示装置
US6020941A (en) Stereographic liquid crystal display employing switchable liquid crystal materials of two polarities in separate channels
US20110122329A1 (en) Display
CN101444105A (zh) 自动立体显示设备
KR100580632B1 (ko) 2차원과 3차원 영상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디스플레이
CN102812510A (zh) 具有用于多图像显示功能的分离子像素的显示器
KR20150016608A (ko)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구동 방법
JP2013015613A (ja)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表示装置
JP2010511195A (ja) 電気泳動セルについての駆動方法及び電気泳動装置
GB2529975A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N102375272A (zh) 光屏障装置和显示单元
JP2009098480A (ja) 表示素子
US11520202B2 (en) Electro-optic displays, and methods for driving same
KR101252845B1 (ko)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9053392A (ja) 表示素子
JPWO2004046806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050110392A (ko) 전기영동 표시소자
US8629833B1 (en) Single particle electrophoretic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40141877A (ko) 3차원 표시 장치 및 3차원 표시 장치용 전환부
KR101057769B1 (ko) 화상변환용 렌즈 어레이와 이를 이용한 화상표시 장치 및방법
JP2007316347A (ja) 粒子移動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