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068A -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068A
KR20080015068A KR1020077023527A KR20077023527A KR20080015068A KR 20080015068 A KR20080015068 A KR 20080015068A KR 1020077023527 A KR1020077023527 A KR 1020077023527A KR 20077023527 A KR20077023527 A KR 20077023527A KR 20080015068 A KR20080015068 A KR 20080015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molding
dental
molding compound
mold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츠 베쾨러
에른스트 플라이쉬만
Original Assignee
프란츠 베쾨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츠 베쾨러 filed Critical 프란츠 베쾨러
Publication of KR20080015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0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치과 보철물용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소망한 치과 성형 부품의 형상 모델(7)이 예를 들어 왁스로 제조된다. 모델은 내열성 성형 화합물(9)에 내장된다. 그 후, 성형 화합물(9)이 경화되고 왁스 모델(7)은 소망한 치과 성형 부품의 반대꼴에 대응하는 주형 공동부(11)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된다. 가공 온도로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는 성형 화합물(9) 내에 형성된 주형 공동부(11)로 압력에 의해 도입되며, 소망한 치과 성형 부품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성형 화합물(9)이 고화된 직후에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성형 화합물(9)은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되는 시점에서 150℃ 이상의 온도를 갖는다.

Description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PRODUCING DENTAL MOLDED PARTS}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치과 성형물(dental moldings)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법(injection molding method) 또는 주입법(injection method)에 의하여 치과 보철물(dental prostheses)을 제조하는 방법은 치과의료공학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독일 공개 특허 공보 제1779542호에 개시되어 있다. 완성된 치과 보철물의 구조물 내부에서의 와류(swirl)를 방지함으로써 큐벳(cuvette)의 주형 공동부(mold cavity)의 균일한 충전을 달성하고 최종 치과 보철물의 성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내에 배치된 열가소성 수지를 액화시키며 상기 수지를 고온에서 매우 신속하게(수분의 일초) 대략 섭씨 50도로 가열된 큐벳의 주형 공동부로 주입하는 것이 상기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매우 신속한 주입은 주형 공동부가 더욱 잘 충전되도록 하나, 복잡한 형상과 긴 유동 경로를 갖는 주형 공동부에서 불충분하게 충전되는 지점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제조된 치과 보철물 부품의 강도와 치수 정밀도가 매우 조악하므로, 이러한 기법으로는 장기간 지속되는 고품질 치과 보철물이 제조될 수 없음이 판명되었다.
또 다른 방법은 유럽 특허 공보 EP 0 917 860 B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는 잔존 치아(remaining tooth) 상에 고정 가능하며 하나 이상의 대체 치아(replacement tooth)가 결속되는 치과 모형으로서의 틀(framework)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사용된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aromatic thermoplastic)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polyetheretherketone)이다. 비록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이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수지이지만,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과 보형물의 강도는 매우 실망스럽다. 더군다나, 기존의 방법은 열가소성 수지에 강화 섬유를 사용하여 가공할 수 없다.
아울러, 세라믹 조성을 주형 공동부 내로 가압하기 위한 플런저(plunger)가 도입되는 가압착 공간(prepressing space)의 부형부(負形部)(negative)에 대응하는 돌출부(projection)를 갖는 기부 부재를 구비한 머플(muffle) 내의 성형 화합물(molding compound)을 이용하여 압착 가능한 세라믹으로부터 치과 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이 치과의료공학에 공지되어 있다(독일 공개 특허 공보 DE 101 36 584 A1호). 세라믹은 균열 파괴(crack fracture)를 보이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방법은 개별 치아관과 제한된 영역(작은 하중을 갖는 전치 영역)을 위한 최대 3본 가공의치(three-unit bridge)의 제조만을 허용한다. 또한, 가공의치 고정 코핑(bridge anchor coping)과 치아관 코핑(crown coping)은, 압착 가능한 세라믹의 균열 파괴 감수성과 관련된 발생하는 저작력(masticatory force)으로 인해 1.5 mm 이상의 최소 벽 두께를 달성해야 한다. 이는, 예를 들어 치아관의 경우에 잔존 자연치(natural tooth)가 소정의 준비 높이로 아래로 침하되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며, 일부 경우에는 치신경(dental nerve)의 외상성 상해(traumatism)와 민감화(sensitization)를 야기한다. 치아밑동(tooth stump) 영역에서 치아 성형물의 벽 두께를 두껍게 하면 할수록, 치과의사는 더욱더 자연치를 연마하고 치아물질을 제거해야 하므로 전술한 단점들이 발생한다. 치과학에서는 치아밑동의 최소 침입 준비를 허용하는 고강도의 비금속 치과 보철물에 대한 바람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예비소결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머플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머플의 머플 기부의 도면;
도 5는 압착 장치를 구비한 경화된 성형 화합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된 성형 화합물을 관통하는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얇은 틀 형상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치과 보철물의 등방성 성질(isotropic property)을 통해 고강도와 치수 정밀도를 갖는 치과 보철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특징 지워진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한 예비소결체 및 바람직한 치과 성형물에 더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장치가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성형 화합물은 열가소성 수지가 주형 공동부 내로 도입되는 경우에 적어도 주형 공동부의 영역에서 적어도 15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0℃, 특히 250℃ 이상의 온도를 갖는다. 성형 화합물의 이러한 강력한 가열은 내부응력, 수축 및 뒤틀림의 감소뿐만 아니라 기계적 성질의 개선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치과 성형물의 향상된 기계적 성질과 함께 보다 나은 치수 안정성 및 치수 정밀도를 초래한다. 특히, 기계적 성질은 모든 방향으로 안정화되며, 그로 인해 모든 방향에서 동일한 기계적 성질을 갖는 등방성 성질이 치과 성형물에서 발생한다. 이는 저작 하중(masticatory load)에 대한 주기적인 힘의 발생으로 인해 구강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치아의 고유 이동도(intrinsic mobility)가 치과 성형물에 매우 강한 비틀림 하중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의 방법은 가공 온도로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가 차가운 또는 약간 따뜻한 성형 화합물의 조형 공동부로 도입되는 경우에 유동 방향과 관련하여 압착 가공에 의해 지향된 열가소성 수지 분자의 동결이 발생하는 것을 연구 결과가 보여준다.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가 성형 화합물 내부의 보다 차가운 벽(탕구, 주형 공동부)과 직접 접촉함으로써, 치과 성형물의 표면 영역의 고화가 발생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내부에는 가공 온도의 영역이 압력에 의하여 주형 공동부 내부로 추가적으로 가압되며, 이로 인해 다양한 온도 영역과 다양한 형태학적 구조 또는 층이 치과 성형물의 단면 내에서 전개된다. 따라서, 기계적 성질은 매우 강하게 약화되며, 그 결과 비등방성 성질을 갖는 치과 성형물과 낮은 비틀림 하중 용량으로 이어진다. 아울러, 이는 한편으로 기계적 성질을 상당히 약화시키며 다른 한편으로 치과 성형물의 뒤틀림을 유발하여 치수 정밀도 및 치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매우 강력한 내부응력을 유발한다.
특히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semi-crystalline thermoplastics)에 있어서, 이러한 급속 고화(fast solidification)는 열가소성 수지의 결정화를 강력하게 방해하므로, 오직 감소한 정도의 결정화만이 달성된다. 이어서, 감소한 정도의 결정화는 밀도를 감소시켜 치과 성형물의 기계적 성질도 약화시킨다. 또한, 이는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의 상당한 크기 차이와 구립(spherulite)의 불균일한 분포를 유발한다. 이러한 감소한 정도의 결정화와, 구립에서의 불균일성과 크기 차이는 강력한 내부응력 및 수축을 야기하며, 그 결과 기계적 성질과 치수 정밀도(뒤틀림)가 손상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방법은 치과 성형물의 제조를 완성한 이후에 때때로 몇 주 또는 몇 달간 지속되는 후결정화 과정이 발생함을 확인한다. 특히, 폴리아세탈(POM)과 같이 섭씨 100도 이하의 유리전이온도(Tg), 그 중에서도 섭씨 50도 이하의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는 강력한 후결정화(after-crystallization)를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상기 후결정화와 동시에, 이후에 치수 정밀도에 악영향을 미치는 후수축(after-shrinkage) 및 추가적인 내부응력이 발생한다. 이는 또 다른 수지로 코팅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덧붙여진(광 경화 재질의 esthetic veneer) 이에 따라 제조된 치과 성형물이 접합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으며 특히 치수 변화 및 뒤틀림으로 인한 피복층(veneer layer)의 갑작스런 분리를 보여줄 수 있는 이유이다.
이러한 단점은 무정형(amorphous) 열가소성 수지와, 특히 반결정(semi-crystalline) 열가소성 수지 모두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치과 성형물의 제조는 가공 온도와 성형 화합물의 온도 사이의 차이에 상관없이 전술한 단점 모두를 상당히 줄여주며, 성형 화합물 온도가 가공 온도, 특히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와 조화를 이룬다면 상기 단점이 완전하게 방지된다. 이는 동일한 크기로 구립의 동일하고 균일한 분포 및 배치로 이어지며, 그 결과 밀도가 증가되고 내부응력, 수축 및 뒤틀림이 방지된다. 또한, 이는 후결정화를 방지하는데, 왜냐하면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 및 냉각과 동시에 이상적으로 이미 결정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형 공동부의 영역에서의 성형 화합물의 본 발명에 따른 가열은 열가소성 수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동결 및 고화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분자 배향(molecular orientation)을 방지한다.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에 있어서, 전술한 단점뿐만 아니라 강화 섬유의 배향이 방지되며, 그 결과 치과 성형물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경우에 등방성 기계적 성질과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 치과 성형물의 본 발명에 따른 제조는 형태학적 구조의 균일한 배치로 이어지므로, 치과 성형물이 매우 우수한 기계적 성질, 특히 치과 성형물에서 주기적으로 지탱되는 하중에서 주로 필요한 매우 높은 파괴강도를 갖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치과 성형물의 밀도를 증가시키며 그로 인해 치과 성형물의 경도를 증가시킨다. 인성 또한 개선되고 수축이 방지되므로, 치과 성형물의 개선된 높은 치수 안정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형 공동부의 영역에서의 성형 화합물의 고온은 치과 성형물의 모든 영역에서 균일한 온도 분포를 달성하며, 그 결과 치과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의 감소와 뒤틀림으로 이르게 할 수 있는 치과 성형물 내의 내부 냉각 및 향배 응력을 방지한다.
외부 표면상의 분자의 배향(orientation)은 성형 화합물의 온도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도입 속도 및 이와 관련된 전단력에 의존한다. 이와 같은 연유로 인하여,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는 주형 공동부에 서서히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내부 분자 응력 및 내부 냉각 응력을 방지한다.
주형 공동부를 성형 화합물의 외부측과 연결하는 결합 부재가 성형 화합물 내에 존재하거나 가압착 공간이 존재한다면, 이러한 영역 역시도 최적의 기능을 위해 주형 공동부와 대략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명확하다.
주형 공동부의 벽의 본 발명에 따른 고온은 열가소성 수지의 분자의 배향을 유동 방향으로 제시하며, 그 결과 치과 성형물의 높은 비틀림 강도를 보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치과 성형물은 씹는 동안에 자연치의 완충 장치(샤피 섬유(Sharpey's fiber))에 의해 유발되어 다양한 방향으로 발생하는 강한 비틀림력을 견뎌낸다. 치과 성형물의 등방성 성질로 인한 높은 비틀림 강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임의의 치과 보철물, 즉 치아관, 가공의치, 보형물 지대치 등과 같은 고정된 치과 보철물뿐만 아니라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에 대해 혜택을 준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구개 판(palatal plate) 또는 구개 바(palatal bar), 특히 잔존치에 부착하기 위한 구(clasp)와 같이 모델 성형 기법에 의해 현재 금속으로 제조되는 모든 금속 성형물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거의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상악 또는 하악(upper or lower jaw)을 위한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을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기부 판과 같은 완전한 의치용 강화 부재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은 치아관, 가공의치 및 보형물 지대치에 더하여 얇은 형상과 고강도를 갖는 부착 기법용 부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치아관, 가공의치 및 보형물 지대치와 같은 장기간 지속 영구 고정 치과 보철물을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치과 성형물의 용도이다. 지금까지의 열가소성 수지는 주기적 하중 하에서 치과 성형물의 파괴를 유발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전술한 조악한 강도 수치로 인하여 이러한 적용 분야에서의 용도의 오직 일시적인 가능성만을 가져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성형 화합물은 가공 온도로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가 성형 화합물 내의 주형 공동부 내로 주형 공동부의 영역에서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보다 낮은 100℃ 이하의 온도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특히, 성형 화합물은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되는 때에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보다 낮은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온도를 주형 공동부의 영역에서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가 압력 하에서 성형 화합물 내의 주형 공동부로 도입되는 온도이다.
무정형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 가공 온도는 유리전이온도(Tg) 이상이고 반결정(semi-crystalline)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 가공 온도는 용융 온도 이상이다.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에 있어서, 성형 화합물은 충전되지 않은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점에 대응하는 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바람직하게 가열된다.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의 경우에, 가공 온도는 일반적으로 300℃, 특히 330℃ 이상이다.
가공 온도는 열가소성 수지가 강화 섬유 등에 의하여 강화되는 경우에 증가한다. 따라서, 강화되지 않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s)의 가공 온도는 에테르기에 대한 케토기 비율에 따라서 약 섭씨 330도 내지 섭씨 400도이며, 강화되거나 충전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가공 온도는 약 섭씨 360도 내지 섭씨 450도이다.
본 발명의 치과 성형물은 특히 인레이(inlay), 온레이(onlay), 치아관, 가공의치, 치근 핀(root pin), 합정 지대치(post abutment), 수 부품 및/또는 암 부품을 구비한 부착 부품, 또는 보형물 지대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 성형물은 또 다른 수지로 피복처리되는 틀 부품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치과 성형물은 이에 적용되는 인공 치아를 구비할 수도 있다. 아울러, 치과 성형물은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의 부품, 주하중 지지 부품 또늘 결속 구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치과 성형물은 심미적 이유로 인하여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 공지된 광경화 수지(light curing plastics)로 일반적으로 피복되며, 상기 수지는 적합하게 채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어 치아관과 같은 치과 성형물이 고강성을 상실하지 않고서 특히 얇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강하게 가열된 성형 화합물로 인하여, 열가소성 수지는 치과 성형물의 기계적 성질을 약화시키거나 뒤틀림을 유발할 수 있는 치과 성형물 내에서 발생하는 무정형 불균일성 또는 내부응력 없이 매우 얇은 공동부 내로 가압될 수 있다.
이는 강화 섬유 및 유사한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최소 침입성(invasiveness)을 갖는 치과 보철물을 구현할 수 있다.
강화 섬유 이외에, 열가소성 수지는 예를 들어 중공미소유리구(hollow glass microsphere)와 같은 휘스커(whisker) 또는 기능성 필러(functional filler)로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강화 섬유를 구비한 얇은 벽 성형물을 제조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이는, 예를 들어 치아관 코핑 내의 테이퍼진 단부가 극도로 얇게 형성되도록 한다. 하지만, 이는 구개 판,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 내의 체결 구, 또는 얇은 벽 부분을 구비한 다른 치과 성형물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치과 성형물의 형상 모델은 일반적인 제조 방법(쾌속 프로토타이핑(rapid prototyping))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은 형상 모델이 컴퓨터-내부 데이터 모델을 기초로 하여 치과 보철물 또는 치아 모델의 임의의 정교한 제작 없이 제조되도록 한다. 과거에는 치과의사가 치아의 구강 상황을 검색하여 형상 모델이 상기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잔여물질 없는 제거 가능한 재료로부터 제조되며, 이는 광조형법(STL 또는 SLA: stereolithography), 선택적 레이저 소결법(SLS: selective laser sintering), 레이저 발생법(laser generation), 용착적층 모델링(FDM: fused deposition modeling), 시트 적층법(LOM: laminated object modeling), 3차원 프린팅기법(3D printing), 윤곽 크래프팅기법(CC: contour crafting) 및 멀티젯 모델링(multi jet modeling)과 같은 일반적인 기법에 의하여 컴퓨터 상에서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성형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 특히 주요 사슬 내에 아릴기를 구비한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주요 사슬 내에 아릴기를 구비한 적합한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는 특히 고온 열가소성 수지이며, 그 예로는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s), 폴리아릴렌 설파이드(polyarylene sulfides), 폴리술폰(polysulfones), 액정폴리머(liquid crystal polymers) 특히 액정폴리에스테르(liquid crystal polyesters), 폴리이미드(polyimides),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s), 폴리아미드이미드(polyamidimides) 또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polyaryletherketones) 뿐만 아니라, 전술한 폴리머들 중 적어도 2개의 공중합체(copolymers) 또는 전술한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 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blend)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 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케톤(PEEKK) 또는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PEKEKK) 또는 에테르와 케톤 복합체의 유사한 결합물, 이에 더하여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중 적어도 2개의 공중합체 또는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 중 적어도 2개의 혼합물 등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대략 1:1의 에테르기 케토기 비율을 갖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케톤(PEEKK)), 또는 에테르기에 비해 많은 케토기가 존재하는 폴리아릴에테르케톤(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이러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은 한층 높은 유리전이온도(Tg)와 이로 인한 높은 강도를 갖지만, 보다 높아진 유리전이온도(Tg)로 인해 가공 온도가 높아지고 가공 윈도우가 작아진다. 이 경우에도, 기존의 단점이 방지됨과 동시에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고강도 치과 성형물 역시도 방지(원문 그대로(sic))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방향족 사슬 구조(이른바, 경직 막대 폴리머(rigid rod polymers))로 인해 특히 견고하며 압출 가공을 위한 자체강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이 일반적인 사출성형장치에서 쉽사리 가공될 수 없거나 전혀 가공될 없는 치과 성형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은 우수한 교번 하중 저항, 크리프 강도, 성형 안정성 및 온도 저항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방법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에 우수한 가공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높은 가공 온도에서도 열산화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가공 장치를 손상시키는 가스가 발생할 수 없다. 상기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또 다른 장점은 구강 영역에서 특히 중요한 폴리아릴에테르케톤의 낮은 수분 흡수 능력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러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필러는 열가소성 수지에 부가된 임의의 첨가물로서 이해된다. 특히, 이는 색소 첨가물 또는 강화 섬유와 같은 필러이거나, 또는 가공성 또는 기계적 성질 혹은 열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는 임의의 기능성 필러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는 총합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의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화 섬유의 함량은 적어도 25 중량%, 특히 적어도 30 중량% 일 수 있다. 하지만, 예를 들어 강화 섬유의 함량이 70 중량%, 특히 90 중량% 이상일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상당히 높은 함량 또한 가능하다.
특별한 장점은 본 발명의 방법이 3 미크론 내지 15 미크론의 직경과 30 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체적% 이상의 섬유 함량의 체적을 갖는 강화 섬유로 충전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가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섬유 강화 치과 성형물의 제조에 있어서 또 다른 특별한 장점은 섬유 손상이 상당히 감소한다는 점이다. 섬유 화합물을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로 가열하는 동시에 특히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를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는 경우에, 섬유손상 및 섬유단축(fiber shortening)이 완전하게 방지되므로, 섬유는 사용된 예비소결체에서와 같이 치아 성형물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열가소성 수지를 강화 섬유로 충전하는 것은 강화 효과뿐만 아니라 수축이 감소하고 치수 안정성 및 치수 정밀도가 향상되며 수분 흡수가 추가로 줄어드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치과 성형물을 구강 영역에 정밀하게 고정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강화 섬유로는 합성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과 같이 기존의 모든 유기 및 무기 섬유 물질이 사용 가능하다. 3 미크론 내지 25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섬유, 특히 5 미크론 내지 13 미크론의 직경을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열가소성 수지 내부에 나노섬유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성형 화합물 내의 주형 공동부를 열가소성 수지로 충전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1초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초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6초 이상의 기간의 저속에서 효과적이다. 높은 성형 화합물 온도와 관련하여, 이러한 저속 충전은 유동 방향으로의 분자의 배향을 방지하거나, 강화 섬유가 존재하는 경우 전술한 단점을 갖는 강화 섬유의 배향을 방지한다. 또한, 이러한 저속 충전은 분자 사슬 파괴 및 그로 인한 기계적 성질의 악화로 이어질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용융물 내의 전단 하중을 방지한다. 또한, 전단력의 이러한 방지는 필러의 부정적인 손상, 특히 섬유 손상을 방지한다.
열산화 및 그로 인한 기계적 성질의 격하를 특히 보여주는 경향을 갖는 온도 민감성 열가소성 수지에 따르면, 진공 상태 또는 질소 혹은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가스의 대기 하에서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된 성형 화합물 내의 주형 공동부로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를 주형 공동부 내로 도입한 이후에 압력 하에서 성형 화합물 내의 열가소성 치과 성형물을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이를 위해, 다소간의 상당한 압력이 플런저에 의해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지에 의하여 열가소성 수지가 주형 공동부 내에 이미 도입되었다. 이는 어떠한 수축도 발생하지 않고서 높은 형상 정밀도를 달성한다.
성형 화합물 내의 열가소성 치과 성형물은, 예를 들어 냉각 장치, 팬 내에 배치되거나 또는 공기 혹은 불활성 가스로 정화됨으로서 강제적으로 냉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화합물 내의 열가소성 치과 성형물의 냉각은 20℃/min 이하, 특히 10℃/min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min 이하의 속도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경우에는 사전 건조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또한 입증되었다. 사전 건조는 치과 성형물 내에 기포, 조흔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잔류 습기를 제거한다. 사전 건조는 130℃ 이상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몇 시간 동안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경우에는 약 150℃에서 적어도 3시간이 바람직하다.
사전 건조된 열가소성 수지는 진공 포장 형태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치과 기공소에서 가공하기 전에 열가소성 수지를 사전 건조할 필요가 없도록 한다.
또한, 기성 예비소결체 또는 기성 입상체(prefabricated blank or pellet)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예비소결체는 제조될 치과 성형물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부피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다시 말해서, 치과 기공사(dental technician)는 예를 들어 치아관 코핑과 같이 소정의 치과 성형물을 위해 상기 치과 성형물과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예비소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주요 사슬에 폴리아릴에테르케톤과 아릴기를 갖는 여타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가 일정 경우에 있어서 상당히 고가의 수지임이 고려되어야 하므로, 이는 재료의 과도한 손실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서, 기성 예비소결체는 주형 공동부의 부피와, 주형 공동부를 성형 화합물의 외부측과 연결하기 위한 선택적 연결 채널의 부피와, 예를 들어 최대 25 체적%의 안전여유를 더한 부피에 상응하는 부피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예비소결체는 열가소성 수지가 균일하게 플라스틱 가공된 형태로 제공되고 공기를 전혀 포함하지 않으며, 필러와 강화 섬유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필러 및 강화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 매트릭스 내에 이미 균일하게 배치되는 장점을 갖는다. 아울러, 압축 예비소결체 또는 프리폼을 보다 작은 가압착 공간에 관리한다.
예비소결체는 예를 들어 원통형, 프리즘형, 환형 또는 중공 원통형과 같이 소망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비소결체는 예를 들어 압출, 사출성형, 이송성형 또는 압축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기성 예비소결체는, 예를 들어 높이에 비해 넓은 폭을 갖는 환형 또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폭에 비해 긴 높이를 갖는 예비성형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착 플런저와 동일한 힘으로 형성되는 보다 큰 압력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플런저에 의해 작용된 면적이 힘과 비례하여 줄어들기 때문이다.
열가소성 수지를 수용하기 위한 가압착 공간을 구비하는 성형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주형 공동부 내로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를 용이하게 도입 가능하게 한다.
주형 공동부 내로의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은, 예를 들어 압출, 사출 등과 같이 임의의 소망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압착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압착 플런저 또는 다른 플런저형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완결될 수 있다. 가압착 공간은 예비성형체가 투입되고 플런저가 도입되는 공간이다. 예비성형체는 가압착 공간으로의 도입 이전에 가열될 수 있으며 이어서 가압착 공간에서 고온의 성형 화합물에 의해 추가로 가열될 수 있다. 가압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왁스, 수지 또는 유사한 용융 가능하고 연소 가능하며 잔여물을 남기지 않는 제거 가능한 재료로 제조된 셰이퍼(shaper)를 성형 화합물 내에 내장하며 상기 성형 화합물이 경화된 이후에 상기 셰이퍼를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가압착 공간을 위한 셰이퍼는 성형 화합물이 경화된 이후에 머플 기부에 연결되고 제거될 수 있다.
가압착 공간 및 머플 기부(muffle base)를 위한 셰이퍼는 동일한 재료로 제조된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예비소결체는 냉간 상태 또는 미리 가열된 상태로 가압착 공간에 도입될 수 있으나, 적어도 150℃, 특히 가공 온도 바로 아래의 온도로 바람직하게 가열된 후 성형 화합물에 의해 가공 온도로 가열된다.
이와 유사하게, 압착 플런저는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 전에 적어도 150℃ 및 바람직하게는 가공 온도 바로 아래의 온도로 바람직하게 가열된다.
가압착 공간이 플런저에 의해 밀봉되기 위하여, 플런저는 성형 화합물과 동일한 열팽창계수를 바람직하게 갖는다. 따라서, 플런저는 적어도 전면 영역에서 성형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성형 화합물과 독립적으로 예비소결체를 예를 들어 오븐 내부와 같은 시스(sheath) 내에서 미리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금속 세라믹 또는 성형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의 내경은 압착 플런저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시스는 하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어서, 하단부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형 공동부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통로를 구비한다. 성형 화합물이 가압착 공간을 구비한다면, 시스의 외경은 가압착 공간의 직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하지만, 임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시스는 성형 화합물을 고정하는 성형 화합물 외부에 부착될 수도 있다.
성형 화합물과 선택적으로 압착 플런저가 예를 들어 오븐 내에서 적어도 150℃의 본 발명의 온도로 미리 가열된다면, 성형 화합물의 추가적인 가열은 압착 공정에서 선택적으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예비소결체에 압력을 제공하고 그리고/또는 치과 성형물의 냉각(제거) 중에 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매우 간단한 구조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화합물의 주형 공동부로 가압하고 그리고/또는 후압력(post-pressure)을 유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안내 추(weight) 또는 스프링이 압착 플런저를 적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성형 화합물은 오븐 내의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이후, 미리 가열되지만 유동성을 갖지 않는 예비소결체가 가압착 공간으로 삽입되어 플런저에 의해 압력을 받는다. 성형 화합물의 단열 특성으로 인하여, 저장된 열이 열가소성 수지에 대해 방출되어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가공 온도로 되므로, 이후 정교한 구조물에 의한 열의 추가적 외부 공급 없이 열가소성 수지의 간단한 도입이 가능하게 되는 유동성이 달성된다.
사용되는 성형 화합물은, 예를 들어 치과의료공학에서 일반적인 석고뿐만 아니라 석고결합 매몰 화합물(gypsum-bound investment compound) 또는 인산염결합 매몰 화합물(phosphate-bound investment compound)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액상으로 형상 모델 주변에 배치되어 경화될 수 있으며, 상기 형상 모델을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성질뿐만 아니라(예를 들면 온도에 의한 제거 시 열적 안정성 또는 화학적 제거 시 화학적 안정성) 열가소성 수지를 주형 공동부 내로 도입하기 위해 필요한 압축 강도와 열적 안정성에 더하여 특히 열가소성 수지와 성형 화합물 사이의 팽창 수축 성질의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치수 안정성을 갖는 임의의 화합물을 성형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주로 공기 투과성 성형 화합물인 성형 화합물은 압착 가공을 위해 필요한 강도에 도달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를 넘어 가열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주형 공동부 내의 밀폐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약 섭씨 400도 내지 섭씨 450도의 최종 온도를 갖는 성형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상기 성형 화합물은 그 최종 경도를 이미 갖추고 있으며 보다 높이 가열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약 섭씨 600도 내지 섭씨 700도의 가열 온도를 갖는 인산염결합 매몰 화합물). 이는 시간을 절역하는데, 왜냐하면 냉각 과정을 기다릴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압착 중에 성형 화합물의 조악한 모델링 또는 예기치 않은 파괴로 이를 수 있는 성형 화합물에서 미세균일이 냉각 중에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고결합 성형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성형 화합물의 주형 공동부 내로의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이 매몰 화합물의 온도에 의해 주로 제어되도록 한다. 성형 화합물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열가소성 수지의 분자의 운동이 빨라지고 열가소성 수지가 더욱 많이 액화되므로, 저압에서의 저속 도입은 주형 공동부의 우수한 충전을 유도한다. 열가소성 수지의 분자와 제공된 임의의 섬유 모두가 손상 또는 배향으로부터 보호되며, 그 결과 매우 높은 강도의 최종 치과 성형물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성형 화합물은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 이전에 열적으로 조절되거나 균일화되며, 그로 인해 모든 영역에서 대략 동일한 온도가 제공된다. 이는, 예를 들어 다수의 치아관 또는 가공의치와 같은 다수의 물체를 가압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성형 화합물의 어떠한 강화제도 기본적으로 필요 없다.
하지만, 예를 들어 성형 화합물을 둘러싸는 금속 봉포물(metal enclosure) 형태의 상기 강화제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주형 공동부로의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 중에 고압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 플런저에 적용되는 약 2 킬로그램 내지 5 킬로그램의 추는 균일한 도입을 이미 만족시킨다. 이는 바람직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예시적인 방식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은 아래와 같다.
도 1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예비소결체(blank)(1)는 그 직경에 비해 큰 높이를 갖는 원통 형태를 갖는다. 이와 달리, 도 2에 따르면, 예비소결체(1)는 디스크 형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따르면, 머플(muffle)(2)은 머플 기부(3), 머플 벽 또는 슬리브(4), 및 머플 덮개(5)를 포함한다.
머플 기부(3)는 예비소결체(1)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는 돌출부(6)를 중앙에 구비한다.
도 3에 따르면, 돌출부(6) 상에는 예를 들어 2개의 치아관 코핑과 같이 형성될 치과 성형물의 왁스 모델(7)이 배치된다. 왁스 모델(7)은 왁스 봉(8) 등에 의하여 돌출부(6)에 연결된다. 머플(2)은 내열성 경화 가능한 성형 화합물(9)로 충전된다.
성형 화합물(9)은 머플(2) 내에서 이후 경화된다. 이어서, 덮개(5), 머플 벽(4) 및 머플 기부(3)가 제거된다.
이어서, 왁스 봉(8)을 포함하는 왁스 모델(7)이 용융된다. 따라서, 제조될 치과 성형물의 부형부에 대응하는 주형 공동부(11), 돌출부(6)에 대응하는 가압착 공간(prepressing space)(12), 및 주형 공동부(11)를 가압착 공간(12)에 연결하는 공급 채널(13)이 성형 화합물(9) 내에서 형성된다(도 5 참조).
가압착 공간(12)은 예비소결체(1)로 충전되며 상기 예비소결체(1)는 열가소성 수지를 채널(13)을 통해 주형 공동부(11)로 가압하기 위해 플런저(14)에 의한 압력을 받는다.
압착 플런저(14)는 성형 화합물(9)과 동일한 성형 화합물을 적어도 그 전면에서 포함한다. 플런저(14)의 후방 영역은 예를 들어 세라믹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플런저(14)는 푸셔(18) 상에 배치된 추(weight)(17)가 가해지며, 강시 추는 안내 수단(19)에 의해 안내되고 플런저(14) 상의 정지면(20)에 의지한다.
열가소성 수지 예비소결체(1)는 가열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예를 들어 300℃의 가공 온도로 미리 가열된다. 이와 동시에, 성형 화합물(9)은 가열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예를 들어 330℃의 온도로 가열된다. 열가소성 수지(1)가 주형 공동부(11) 내로 가압된 이후에 성형 화합물(9)이 냉각되며, 열가소성 수지가 주형 공동부(11) 내에서 고화된 이후에 치과 성형물이 채널(11)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에 의하여 해제된다.
도 6에 따른 실시예는, 예비소결체를 수용하기 위한 가압착 공간(12) 대신에 연결 채널(13)을 통해 열가소성 수지 용융물을 주형 공동부(11)로 공급하기 위하여 예비소결체(1)로 형성된 열가소성 수지 용융물을 수용하는 공급 깔대기(15)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다르다. 공급 깔대기(15)는 그 내부에서 안내되는 압착 플런저(14)를 구비한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예비소결체(1)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된 시스(sheath)(22) 내에 배치된다. 예비소결체(1)를 구비한 시스(22)는 예를 들어 오븐 내에서 성형 화합물(9)과 독립적으로 사전 가열될 수 있다. 시스(22)는 성형 화합물(9) 내의 가압착 공간(12)의 외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다. 시스(22)의 내경은 플런저(14)의 외경에 대응한다. 시스(22)는 공급 채널(13)과 같은 높이의 통로(24)를 구비한 하단부(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31)

  1.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치과 성형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소망한 치과 성형물의 형상 모델(7)은 왁스, 수지 또는 유사한 가용성, 연소성 혹은 잔여 물질 없이 제거 가능한 재료로 제조되며,
    - 형상 모델(7)은 내열성 성형 화합물(9) 내에 내장되고, 모델(7)은 성형 화합물(9)의 외부와 직접 이어지거나 왁스, 수지 또는 유사한 가용성, 연소성 또는 잔여 물질 없이 제거 가능한 재료로 된 연결 부재(8)와 적어도 연결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며,
    - 성형 화합물(9)이 경화되고 모델(7) 및 선택적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8)는 소망한 치과 성형물의 부형부에 대응하는 주형 공동부(11)를 형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열의 작용에 의해 성형 화합물(9)로부터 제거되며,
    - 가공 온도로 가열된 열가소성 수지는 외부측과의 연결부를 통해 성형 화합물(9) 내의 형성된 주형 공동부(11) 내로 압력 하에서 도입되며, 및
    - 소망한 치과 성형물을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는 고화 이후에 해제되는 방법에 있어서,
    성형 화합물(9)은 열가소성 수지의 도입 시 주형 공동부(11)의 영역에서 적어도 150℃의 온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형 공동부(11)의 영역에서의 성형 화합물(9)의 온도는 100℃ 이상이고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되는 시점에서의 성형 화합물(9)의 온도는 적어도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 온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치과 성형물의 형상 모델(7)은 생산적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치과 성형물을 위해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반결정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치과 성형물을 위해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사용된 방향족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릴렌 설파이드, 폴리술폰, 액정폴리머,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혹은 폴리아릴에테르케톤, 또는 상기 폴리머 중 2개 이상의 공중합체(copolymer) 혹은 상기 폴리머 중 2개 이상의 혼합물(ble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된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은 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케톤(PEEKK), 폴리에테르케톤에테르케톤케톤(PEKEKK), 또는 상기 폴리머 중 2개 이상의 공중합체 혹은 상기 폴리머 중 2개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필러(fill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필러로서 강화 섬유 및/또는 색소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총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의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함량은 2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함량은 30 체적%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체적%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화합물(9) 내로 도입함에 따른 주형 공동부(11)의 충전은 1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3초 이상 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사출성형법, 이송성형법, 압축성형법, 주입법 또는 압출법에 의해 성형 화합물의 주형 공동부(11) 내로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치과 성형물의 냉각은 성형 화합물(9) 내에서 압력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치과 성형물은 20℃/min 이하, 특히 10℃/min 이하의 속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사전 건조된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사전 건조된 열가소성 수지는 진공 포장 형태로 가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성 예비소결체(1)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예비소결체(1)는 폭보다 긴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수용하기 위하여, 가압착 공간(12)이 성형 화합물(9) 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의 가열은 가압착 공간(12) 내에서 가공 온도까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0항 및 제22항에 있어서,
    예비소결체(1)는 가압착 공간(12)의 단면 및/또는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단면 및/또는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압착 공간(12)의 단면 및/또는 내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단면 및/또는 외경을 갖는 플런저(14)에 의하여, 압력이 열가소성 수지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플런저(14)는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되기 이전에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도입됨과 동시에 플런저(14)의 온도는 성형 화합물(9)의 온도에 대응하거나 그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장치는 플런저(14)에 압력을 적용하고 열가소성 수지를 성형 화합물(9)의 주형 공동부(11) 내부로 도입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선행하는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수지 예비소결체(1).
  30. 제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치과 성형물.
  31. 제30항에 있어서,
    치과 성형물은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 및/또는 고정된 치과 보철물, 또는 상기 제거 가능한 치과 보철물 및 고정된 치과 보철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성형물.
KR1020077023527A 2005-04-12 2006-04-12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0800150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6939A DE102005016939A1 (de) 2005-04-12 2005-04-1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ntalformteilen
DE102005016939.2 2005-04-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068A true KR20080015068A (ko) 2008-02-18

Family

ID=36658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527A KR20080015068A (ko) 2005-04-12 2006-04-12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90155736A1 (ko)
EP (1) EP1868525A1 (ko)
JP (1) JP2008535597A (ko)
KR (1) KR20080015068A (ko)
CN (1) CN101252893A (ko)
AU (1) AU2006233695A1 (ko)
BR (1) BRPI0607552A2 (ko)
CA (1) CA2604426A1 (ko)
DE (1) DE102005016939A1 (ko)
HR (1) HRP20070475A2 (ko)
NO (1) NO20075665L (ko)
RU (1) RU2007141653A (ko)
SG (1) SG163501A1 (ko)
UA (1) UA89669C2 (ko)
WO (1) WO200610864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5A2 (ko) * 2009-12-14 2011-06-23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KR101306267B1 (ko) * 2011-05-19 2013-09-09 허만호 치과 보철물 주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86441Y1 (ko) * 2017-08-31 2018-05-21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KR102247469B1 (ko) 2020-06-29 2021-04-30 이노범 3d 프린팅 및 원심 주조를 이용한 치과용 의료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치과용 의료물품
KR20240052239A (ko) 2022-10-14 2024-04-23 오광문 임플란트 크라운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13285A1 (de) 2007-03-16 2008-09-18 S&C Polymer Silicon- und Composite Spezialitäten GmbH Konditionierungsmittel und Verfahren zum Binden von härtbaren Mischungen an Formkörper aus gefüllten hochtemperaturbeständigen Kunststoffen
DE202007004265U1 (de) * 2007-03-20 2007-05-24 Wegold Edelmetalle Ag Vorrichtung zum Pressen eines dentalen Materials zur Herstellung eines Zahnersatzes oder Zahnteilersatzes
WO2011077175A1 (en) * 2009-12-23 2011-06-30 Haraszti Gyoergy Method to create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nd the dental prosthesis making thereof
EP2550929B1 (de) * 2011-07-25 2020-04-01 Ivoclar Vivadent AG Dentalofen mit Muffelgrößenerkennung
DE102013100529A1 (de) * 2013-01-18 2014-07-24 Bredent Gmbh & Co. Kg Verankerungs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P2772223B1 (de) * 2013-02-27 2017-10-11 Ivoclar Vivadent AG Dentalpressofen
EP3003207B1 (en) * 2013-06-04 2019-09-25 Frantz, Donald Dental applianc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GB201322565D0 (en) * 2013-12-19 2014-02-05 Juvora Ltd Polyaryletherketone dental block for cad/cam milling
EP3064169B1 (de) * 2015-03-04 2019-04-24 Ivoclar Vivaden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entalkeramik sowie dentalkeramik-erzeugungsvorrichtung
DE102016109007A1 (de) * 2016-05-17 2017-11-23 Yong-min Jo Retainer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K179398B1 (en) * 2016-10-31 2018-05-28 Vkr Holding As Method of providing a covering element and a covering element for covering a hinge part of a roof window
CN106738598A (zh) * 2017-01-17 2017-05-31 运怡(北京)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peek牙科盘的制备方法及peek牙科盘
JP6857634B2 (ja) * 2018-06-29 2021-04-14 株式会社ジーシー 歯科補綴物成型用器具、歯科補綴物の製造方法
EP3725262B1 (de) * 2019-04-18 2022-11-02 Ivoclar Vivadent AG Dentales ausbettverfahren sowie muffel
CN113246279B (zh) * 2021-05-27 2022-09-30 南京精益义齿有限公司 一种防气泡模牙生产加工机构
WO2024018016A1 (en) 2022-07-21 2024-01-2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Crystalline forms of 1,2,4-oxadiazole fungicides
WO2024033374A1 (en) 2022-08-11 2024-02-15 Syngenta Crop Protection Ag Novel arylcarboxamide or arylthioamide compounds
GB202214202D0 (en) 2022-09-28 2022-11-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Agricultural methods
GB202214203D0 (en) 2022-09-28 2022-11-09 Syngenta Crop Protection Ag Fungicidal compositions
WO2024100069A1 (en) 2022-11-08 2024-05-16 Syngenta Crop Protection Ag Microbiocidal pyrid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9542A1 (de) 1968-08-24 1972-02-24 Polyapress Gmbh & Co Vorrichtung zum Spritzen von in Kartuschen befindlichem Kunststoff sowie Kartuschen dafuer
US4585417A (en) * 1979-12-14 1986-04-29 Coors Porcelain Company Dental appliance and method of manufacture
FR2495052A1 (fr) * 1980-11-28 1982-06-04 Leis Gerard Dispositif pour l'injection en discontinu d'une matiere plastique dans un moule, et procede pour l'application de ce dispositif a la realisation d'une prothese dentaire
GB2159457B (en) * 1984-05-25 1988-06-22 Nigel James Knott Apparatus for injection or transfer moulding
JPS6113951A (ja) * 1984-06-29 1986-01-22 株式会社 モルテン 義歯の製造方法
US4894012A (en) * 1987-11-16 1990-01-16 The University Of Connecticut Passive dental appliances of fiber-reinforced composites
CA2089266C (en) * 1990-08-27 2002-07-09 Philip S. Blatz Toughen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JPH07227400A (ja) * 1994-02-18 1995-08-29 High Dentaru Japan Kk 義歯床等の製造方法
DE19751999A1 (de) * 1997-11-24 1999-05-27 Helmut Purner Vorrichtung zum Zahnersatz
US6186790B1 (en) * 1998-04-13 2001-02-13 Jeneric/Pentron Incorporated Prefabricated components for dental appliances
US6533969B1 (en) * 1998-06-12 2003-03-18 Jeneric/Pentron, Inc. Method of making high-strength dental restorations
US20050023710A1 (en) * 1998-07-10 2005-02-03 Dmitri Brodkin Solid free-form fabrication methods for the production of dental restorations
JP2001137263A (ja) * 1999-11-10 2001-05-22 Gc Corp 歯科用補綴物の作製方法
US6641398B2 (en) * 2000-08-21 2003-11-04 Ivoclar Vivadent Ag Dental materials containing a tear-off material
US6497574B1 (en) * 2000-09-08 2002-12-24 Align Technology, Inc. Modified tooth positioning applianc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their manufacture
US6572796B1 (en) * 2000-10-27 2003-06-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predicting optimal injection molding cycle time
DE10136584A1 (de) * 2001-07-28 2003-02-13 Zubler Geraeteba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reßkeramik in der Zahntechnik; Keramikpreßofen, Muffel und Muffellehre hierfür
JP2004205003A (ja) * 2002-12-26 2004-07-22 Ntn Corp 樹脂製シールリ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602004010622T2 (de) * 2004-05-19 2008-12-11 Straumann Holding Ag Einstückiges Dentalimplant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74835A2 (ko) * 2009-12-14 2011-06-23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WO2011074835A3 (ko) * 2009-12-14 2011-10-27 Park Sang Kyu 커버타입 임플란트용 고정인서트 제조방법
KR101306267B1 (ko) * 2011-05-19 2013-09-09 허만호 치과 보철물 주조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486441Y1 (ko) * 2017-08-31 2018-05-21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WO2019045466A1 (ko) * 2017-08-31 2019-03-07 김영수 잉곳 성형용 플런저 프레싱장치
KR102247469B1 (ko) 2020-06-29 2021-04-30 이노범 3d 프린팅 및 원심 주조를 이용한 치과용 의료물품의 제조방법 및 그 치과용 의료물품
KR20240052239A (ko) 2022-10-14 2024-04-23 오광문 임플란트 크라운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55736A1 (en) 2009-06-18
AU2006233695A1 (en) 2006-10-19
SG163501A1 (en) 2010-08-30
EP1868525A1 (de) 2007-12-26
JP2008535597A (ja) 2008-09-04
BRPI0607552A2 (pt) 2009-09-15
RU2007141653A (ru) 2009-05-20
CA2604426A1 (en) 2006-10-19
NO20075665L (no) 2008-01-14
UA89669C2 (ru) 2010-02-25
DE102005016939A1 (de) 2006-10-19
WO2006108647A1 (de) 2006-10-19
CN101252893A (zh) 2008-08-27
HRP20070475A2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5068A (ko) 치과 성형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EP3472218B1 (en) Three dimensional fabricating material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layered dental products
CN108135678B (zh) 树脂块及其制造方法
US664864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ntal restorations
US8641938B2 (en) Den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KR101652562B1 (ko) 자동화된 의치 제조 방법
US20090220917A1 (en) Thermoplastic/Thermoset Dental Restorative Prosthetics
US20020134110A1 (en) Sinterable lithium disilicate glass ceramic
US20070287131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Denture
WO2006056980A2 (en) Method and accessory for preparing a dental crown or bridge
Abhay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impact and flexural strength of four commercially available flexible denture base materials: an in vitro study
CN103637851A (zh) 经由cad和快速制造由口腔状况的数字化数据制造假牙
US20200146791A1 (en) Dental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JP2017524448A (ja) 歯科補綴物の製造方法
KR101954992B1 (ko) 치과 보철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주형
JP3444829B2 (ja) セラミック歯科補綴材
Demiralp et al. Additive manufacturing (3D PRINTING) methods and applications in dentistry
EP0806932B1 (de) Zahnrestaurations- oder prothesenteil aus keramikmaterial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20030222365A1 (en) System for fabrication of indirect dental restorations incorporating optical enhancement
KR101898413B1 (ko)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Gutiérrez-Rubert et al. Analysis of the feeding system in the injection process of peek in fixed partial dentures
US20070243500A1 (en) Method and Device(s) for Production of Dental Prostheses
GB2522994A (en) Polyaryletherketone dental block for CAD/CAM milling
US20050082702A1 (en) Method for producing dentures or an artificial tooth
WO2022036384A1 (en) Dental restorativ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