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8413B1 -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413B1
KR101898413B1 KR1020180043740A KR20180043740A KR101898413B1 KR 101898413 B1 KR101898413 B1 KR 101898413B1 KR 1020180043740 A KR1020180043740 A KR 1020180043740A KR 20180043740 A KR20180043740 A KR 20180043740A KR 101898413 B1 KR101898413 B1 KR 101898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manufacturing
implant
titanium bas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훈
김구
Original Assignee
고경훈
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경훈, 김구 filed Critical 고경훈
Priority to KR102018004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0Methods or devices for soldering, casting, moulding or melting
    • A61C13/206Injection 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K6/0235
    • A61K6/0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 또는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Abutment for Implant using peek&pektt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기계적 유지를 얻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파절 및 파손을 방지하고 메탈색이 투과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implant)는 구강 내에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분에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쳐를 치조골에 체결하여 뼈와 유착되게 한 후 어버트먼트를 결합하고 인공 치아(보철물)를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는, 치근에 해당하는 픽스츄어(fixture), 보철물과 픽스쳐를 결합하는 어버트먼트(abutment), 어버트먼트 위에 올라가는 보철물(crown)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어버트먼트는 픽스쳐와 동일한 재질인 티탄에 의해서 만들어 진다.
티탄은 생체와의 융합이 잘 이루어지고 부작용이 없으며, 강도가 강하고 변형이 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임플란트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임플란트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기도 하고 맞춤 어버트먼트라 해서 기공소에서 제작해서 치과에 공급하기도 한다.
일반 임플란트 회사에서 판매하는 기성 어버트먼트는 사이즈와 모양이 이미 만들어져 나와서 한계가 있어, 최근에는 맞춤형 어버트먼트를 많이 제작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티탄은 짙은 회색(gray color)을 띄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 잇몸이 내려가거나 혹은 얇아지면 검은색이 투과되거나 잇몸의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미관상 좋지 않게 된다. 또한 위에 올라갈 보철물의 색에 영향을 미쳐 색이 중요한 앞니를 하는 경우 색을 맞추는데 굉장한 테크닉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0882호(발명의 명칭: 브레이징 접합에 의한 메탈 강화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와 같이 티탄베이스에 지르코니아를 끼워서 붙힌 지르코니아 어버트먼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티탄베이스와 지르코니아가 분리가 되며, 지르코니아의 특유의 성질인 저온열화에 의해 금이 가고 파절이 쉽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티탄이나 지르코니아는 위에 올라가는 강한 보철물에 부여되는 교합압을 흡수하거나 뼈에 가는 스트레스를 줄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목적은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기계적 유지를 얻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며 파절 및 파손을 방지하고 메탈색이 투과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은,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는, 하부금형에 상기 티탄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티탄베이스에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부금형에 인상재를 주입하고 상기 양형모형을 본떠서 음형모형을 얻는 단계;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음형모형에 겔화된 팩톤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한 후 가압 및 냉각시켜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팩톤을 350 내지 400℃의 온도로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양형모형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은,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는, 상기 티탄베이스에 왁스를 이용하여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왁스로 형상이 형성된 티탄베이스를 매몰재로 매몰시키는 단계; 상기 왁스를 녹이기 위해 상기 매몰된 티탄베이스를 가열하여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주형에 겔화된 팩톤을 주입하고 가압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팩톤을 350 내지 400℃의 온도로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형상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는,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은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기계적 유지를 얻고 탄력과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어, 파절 및 파손을 방지하고 보철물에 가해지는 교합압을 흡수하여 뼈에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매탈색이 투과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 유약으로 팩톤의 색을 조절함으로써 탈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2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 사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 사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은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것으로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팩톤(PEKK)은 치과용 레진 고분자 물질 peek를 포함하는 이름 이후 팩톤으로 통일된 것으로, 고성능 고분자 화합물인 PAEK 패밀리 중 높은 물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팩톤(PEKK)은 일반적으로 레진으로 만들어진 틀니 안쪽의 뼈대를 만들 때 사용하는 소재이며, 레진이나 침수성이 없고 높은 내열성, 내마모성, 내염기성, 탄력 및 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팩톤은 일정한 온도를 가해주면 말랑해지고 식으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는 특징이 있는 재료이다.
이에 따라, 팩톤을 이용하여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할 경우 기계적 유지를 얻을 수 있고,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다.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S100)는 사출 성형방식을 통해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티탄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S110),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S120), 음형모형을 얻는 단계(S130),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S140),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S150) 및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티탄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S110)는 하부금형에 티탄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로, 양형모형을 본뜰 때 흔들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의 (a))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S120)는 S110 단계에서 하부금형에 고정시킨 티탄베이스에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로, 티탄베이스 상단에 양형모형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도 2의 (b))
이때, 양형모형은 팩톤으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형태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다.
음형모형을 얻는 단계(S130)는 상부금형에 인상재를 주입하고 양형모형을 본떠서 음형모형을 얻는 단계이다.
즉, S130 단계는 상부금형에 인상재를 주입한 뒤 S120 단계에서 양형모형이 고정된 하부금형에 상부금형을 결합시켜 양형모형을 본뜬 후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을 분리하여 도 2의 (c)와 같이 인상재로 형성된 음형모형을 얻을 수 있다.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S140)는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로, 팩톤을 350 내지 400℃의 온도로 15 내지 20분 동안 가열하여 겔화시킬 수 있다.
이때, 가열온도가 350℃ 미만일 경우 겔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400℃를 초과할 경우 팩톤이 타버릴 수 있다.
또한, 가열시간이 15분 미만일 경우 완전하게 겔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20분을 초과할 경우 뜨거운 도가니 내에서 계류되는 열에 의해 실제 받는 열이 400℃를 넘을 수 있어 팩톤이 타버릴 수 있다.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S150)는 S140 단계에서 겔화된 팩톤을 S130 단계에서 얻은 음형모형에 주입하고,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한 후 가압 및 냉각시켜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한 후 가압기를 통해 2 내지 4bar의 압력으로 가하고, 실온(20±5℃)에서 25 내지 30분 동안 자연 냉각시킬 수 있다.(도 2의 (d))
이와 같이 S150 단계에서 가압기를 통해 압력을 줌으로써 입자의 치밀함을 높여 견고하게 할 수 있고, 실온보다 낮은 온도에서 냉각시킬 경우 기포가 생길 수 있어 실온에서 천천히 자연 건조가 바람직하다.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S160)는 상부금형 및 하부금형에서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빼내 얻는 단계로, S150 단계 후에 하부금형에서 상부금형을 분리하여 제거하고, 하부금형에 고정되어 있는 어버트먼트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풀어서 빼내는 것으로 어버트먼트를 얻을 수 있다.(도 2의 (e) 및 (f))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S120) 후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S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S125)는 고온 유약을 이용하여 팩톤의 색을 조정하는 단계로, 양형모형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할 수 있다.
이는 양형모형을 본뜰 때 고온 유약이 음형모형에 묻혀지고 S150 단계에서 가압 및 냉각이 이루어질 때 고온유약이 팩톤에 흡수 또는 입혀져 나와 팩톤의 색이 조절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팩톤의 색을 조정함으로써, 팩톤에 색을 입히기 위한 조성물과 팩톤이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팩톤의 색을 조정하기 위하여 팩톤의 겉면에 다른 조성물을 덧붙이는 방법으로 팩톤에 색을 입혔으나, 이는 팩톤에서 탈락되는 위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의 제조 과정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은 압출 성형방식 제조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것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이용되는 성형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러한 압출 성형방식 제조단계(S200)는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S210), 매몰재로 매몰시키는 단계(S220),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S230),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S240),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S250) 및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S210)는 티탄베이스에 왁스로 형상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티탄베이스에 왁스를 이용하여 팩톤으로 형성시키고자 하는 형태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도 4의 (A))
매몰재로 매몰시키는 단계(S220)는 S210 단계에서 형상이 형성된 티탄베이스를 매몰시키는 단계로, 형상이 형성된 티탄베이스를 매몰재로 전체를 에워싸거나 일부를 둘러싸서 매몰시킬 수 있다. 이는 매몰재로 왁스로 형성된 형상을 본뜬 주형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하는 과정이다.(도 4의 (B) 및 (C))
여기서 매몰재는 내화재와 결합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석고 결합 매몰재, 인산염 결합 매몰재, 규산염 결합 매몰재, 납착용 매몰재 등이 있다.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S230)는 S220 단계에서 매몰된 티탄베이스에 형성된 형상을 제거하여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로, 매몰된 티탄베이스를 가열하여 왁스로 형성된 형상을 녹여 왁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주형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왁스가 제거되어 빈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주형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S230 단계를 통해 매몰재가 적절하게 팽창하면서 주형이 형성되고, 주형은 S240 단계에서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열온도는 사용되는 매몰재의 종류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S240)는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로, 제1 실시예의 S14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S250)는 S240 단계에서 겔화된 팩톤을 S230 단계에서 형성된 주형의 빈공간에 주입하고 가압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로, 겔화된 팩톤을 주입하고 프레스 장비를 통해 가압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어버트먼트를 제조할 수 있다.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S260)는 S250 단계 후에 주형을 제거하여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은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S210) 후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S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S215)는 제1 실시예의 S125 단계와 양형모형의 형상의 표면이 아닌 형상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형상의 표면에 도포된 고온 유약이 매몰재로 형성된 주형에 묻혀지고 S250 단계에서 가압되면서 고온유약이 팩톤에 흡수 또는 입혀져 팩톤의 색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은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기계적 유지를 얻고 탄력과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어, 파절 및 파손을 방지하고 보철물에 가해지는 교합압을 흡수하여 뼈에가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매탈색이 투과되지 않아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고온 유약으로 팩톤의 색을 조절함으로써 탈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 또는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는,
    하부금형에 상기 티탄베이스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티탄베이스에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
    상부금형에 인상재를 주입하고 상기 양형모형을 본떠서 음형모형을 얻는 단계;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음형모형에 겔화된 팩톤을 주입하고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결합한 후 가압 및 냉각시켜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팩톤을 350 내지 400℃의 온도로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형모형을 고정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양형모형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5.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사출 성형방식 제조단계 또는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 성형방식 제조단계는,
    상기 티탄베이스에 왁스를 이용하여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왁스로 형상이 형성된 티탄베이스를 매몰재로 매몰시키는 단계;
    상기 왁스를 녹이기 위해 상기 매몰된 티탄베이스를 가열하여 주형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
    상기 주형에 겔화된 팩톤을 주입하고 가압하여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제조된 어버트먼트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팩톤을 겔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팩톤을 350 내지 400℃의 온도로 겔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형상의 표면에 고온 유약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5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보철물을 지지하고 픽스쳐에 체결되는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에 있어서,
    팩톤 및 티탄베이스를 이용하여 형성된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0180043740A 2018-04-16 2018-04-16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898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40A KR101898413B1 (ko) 2018-04-16 2018-04-16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40A KR101898413B1 (ko) 2018-04-16 2018-04-16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413B1 true KR101898413B1 (ko) 2018-09-12

Family

ID=63593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40A KR101898413B1 (ko) 2018-04-16 2018-04-16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4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210155581A (ko) 2020-06-16 2021-12-23 박동효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 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1421A1 (en) * 2008-12-12 2010-06-17 Plastic Dental Corporation Dental implant
JP5241462B2 (ja) * 2008-12-08 2013-07-17 ヘレウスクルツァージャパン株式会社 義歯の製造方法
KR20140030369A (ko) * 2012-08-27 2014-03-12 이재준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그를 이용한 인공치관의 제작방법
KR20150051878A (ko) * 2013-11-04 2015-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젝션몰딩에 의한 노인용 치아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노인용 치아 임플란트
KR20150109382A (ko) * 2013-01-18 2015-10-01 브레덴트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고정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1462B2 (ja) * 2008-12-08 2013-07-17 ヘレウスクルツァージャパン株式会社 義歯の製造方法
US20100151421A1 (en) * 2008-12-12 2010-06-17 Plastic Dental Corporation Dental implant
KR20140030369A (ko) * 2012-08-27 2014-03-12 이재준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그를 이용한 인공치관의 제작방법
KR20150109382A (ko) * 2013-01-18 2015-10-01 브레덴트 게엠베하 앤드 코. 카게 고정 요소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1878A (ko) * 2013-11-04 2015-05-1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젝션몰딩에 의한 노인용 치아 임플란트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노인용 치아 임플란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581A (ko) 2020-06-16 2021-12-23 박동효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 블록
KR102542783B1 (ko) * 2020-06-16 2023-06-12 박동효 하이브리드 어버트먼트 블록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916B2 (en) Milling block, method for producing partial or total prostheses, and complete milling block system
US9579172B2 (en) Method of making a facing for a dental restoration, facing for a dental restoration, and method of making a dental restoration
US20070287131A1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Denture
CN105228552B (zh) 牙科的部分假体
CA2604426A1 (en) Method for producing dental moldings
JP2016507291A (ja) アンカーエレメント及び製造方法
KR101898413B1 (ko) 팩톤을 이용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및 그 제조방법
WO2019153572A1 (zh) 牙科附着体的数字化一体化成型方法
KR101101564B1 (ko) 메쉬 형태의 유리섬유를 이용한 의치 제작방법
US7229286B2 (en) Composite veneered cast glass-ceramic dental construct
KR100934595B1 (ko) 치과용 보철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KR101445524B1 (ko) 임시 레진계 치관
NO822695L (no) Munnprotese og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derav
JPH10305044A (ja) 予備成形物使用の歯科用修復物の製造法
ES2229983T3 (es)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una protesis dental.
US4272241A (en) Method and elements for the fabrication of a prosthetic dental appliance
WO2014103872A1 (ja) 歯科用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30222365A1 (en) System for fabrication of indirect dental restorations incorporating optical enhancement
JP3218207B2 (ja) 全セラミック性歯構造体の作成方法
KR101752211B1 (ko)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유리 섬유 광중합레진 보강재 제조 방법 및 그 보강재
US20210015591A1 (en) Method of fabricating a denture
EP1094780B1 (en) Composite veneered cast glass-ceramic dental construct
KR101752210B1 (ko) 유리 섬유 광중합레진 보강재 제조 방법 및 그 보강재
KR20190103912A (ko) 스테인리스 스틸 와이어와 유리섬유를 이용한 보강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9055990B1 (en) Bayramov'S open framework den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