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3738A - 영상 형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형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3738A
KR20080013738A KR1020070077699A KR20070077699A KR20080013738A KR 20080013738 A KR20080013738 A KR 20080013738A KR 1020070077699 A KR1020070077699 A KR 1020070077699A KR 20070077699 A KR20070077699 A KR 20070077699A KR 20080013738 A KR20080013738 A KR 2008001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ontroller
mfp
screen data
operation pan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1757B1 (ko
Inventor
유지 리끼마
노보루 오기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1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1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the display also being used for user input, e.g. touch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62Input arrangements for operating instructions or parameters, e.g. updating internal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41Point to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4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by the conn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영상 형성 장치(1)는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5)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4)와, MFP와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복수의 통신 유닛(6a,6b,6c)과,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12)을 포함한다. MFP 보디는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한다.
영상 형성 장치, 다기능 주변기기, 외부 컨트롤러, 통신 유닛, 조작 패널

Description

영상 형성 장치, 방법 및 시스템{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MAGE FORMING}
본 발명은 다기능 주변기기를 사용하여 영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정된 해상도 및 시트 크기를 갖도록 영상을 스캐닝 및 판독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팩시밀리를 통한 영상 수신 기능, 이메일을 통한 영상 수신 기능 및 네트워크를 통한 영상 수신 기능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기능이 있는 다기능 주변기기(MFP: Multi Function Peripheral)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정보 처리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외부 장치와 정보를 교환하고, MFP의 기능 향상 및 MFP를 효과적으로 조작하는 역할을 하는 외부 컨트롤러가 MFP에 연결될 수 있다. MFP의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외부 컨트롤러의 기능도 다각화되고, 정교해지고 있다.
종래의 기법으로서, MFP를 사용하여 프린터의 조작 패널 변경 및 PC로부터의 원격 조작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는 영상 처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상 처리 시스템은 컨트롤러가 탑재된 조작 패널, HTML이 있는 HTTP 데몬, 프록시, WWW 브라우저 기능이 있는 프린터와, 조작 패널과 통신할 수 있는 퍼스널 컴퓨터와, LAN를 포함한다(JP-A-2002-86847).
종래의 영상 형성 장치에서는 조작 패널이 외부 컨트롤러에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작 패널은 형태의 구현, 비용 등의 한계로 인하여 약 2라인의 문자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조작 버튼만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외부 컨트롤러에 대한 구성 세팅(네트워크 세팅, 프린터 기능 세팅 등)을 실행하는 경우, 데이터 입력 시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반복적으로 조작해야 한다. 이는 조작을 복잡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영상 형성 장치는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MFP와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을 포함한다. MFP 보디는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영상 형성 방법은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MFP와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용 영상 형성 방법이다. MFP 보디는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에 따른 영상 형성 시스템은 통신선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하나 이상의 영상 형성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형성 시스템이다. 각 영상 형성 장치는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각각에 연결되고,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MFP와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을 포함한다. MFP 보디는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작 패널에 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고, 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명백해지고, 또는 본 발명의 원리로부터 알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장점은 이하에서 특별하게 지적하는 수단 및 결합으로 구현 및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컨트롤러의 조작 패널은 불필요하게 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MFP 보디의 조작 패널의 큰 터치 패널과 수많은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입력의 운용도, 검사 등이 향상된다. 하나의 조작 패널로 MFP 보디와 외부 컨트롤러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영상 형성 시스템은 사용자 편의성이 있는 시스템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일부분을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술한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형성 시스템의 시스템도이다.
이 영상 형성 시스템은 영상 형성 장치(1)와, 클라이언트 PC(2)와, 영상 형성 장치(1)와 클라이언트 PC(2)를 연결하는 통신선(3)을 포함한다.
영상 형성 장치(1)는 스캐닝 또는 통신으로 획득한 영상을 인쇄하고, 그 획득한 영상을 외부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PC(2)는 사용자가 생성한 영상 또는 문서와 같은 데이터를 사전설정된 인쇄 포맷으로 변환하고, 그 데이터를 영상 형성 장치(1)에 송신하거나, 스캔한 영상과 획득한 영상을 영상 형성 장치(1)로부터 획득한다. 클라이언트 PC(2)는 영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다.
통신선(3)은 예를 들어 이더넷 시스템의 근거리 통신망(LAN)이다. 이 영상 형성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의 영상 형성 장치(1)와 복수의 클라이언트 PC(2)를 통신선(3)에 연결할 수 있다.
영상 형성 장치(1)는 외부 컨트롤러(4)와, 조작 패널(12)이 있는 MFP 보디(5)와, 외부 컨트롤러(4)와 MFP 보디(5)를 연결하는 통신선(6)을 포함한다.
외부 컨트롤러(4)는 LAN을 통해 클라이언트 PC(2)에 연결되고, 후술하는 통신선(6)을 통해 MFP 보디에 연결된다. 외부 컨트롤러(4)는 프린터 기능과 스캐너 기능을 실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컨트롤러(4)는 클라이언트 PC(2)로부터 전송된 인쇄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MFP 보디(5)가 처리할 수 있는 포맷의 인쇄 데이터로 변경하고, 그 인쇄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외부 컨트롤러(4)는 MFP가 스캔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영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 PC(2)에 전송한다.
MFP 보디(5)는 웹 브라우저 기능이 있다. 외부 컨트롤러(4)는 웹 서버 기능이 있다. 그러므로 MFP 보디(5)와 외부 컨트롤러(4)는 이러한 웹 기능을 통해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다.
MFP 보디(5)와 외부 컨트롤러(4)는 LAN 인터페이스(6a),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 및 비디오 신호 인터페이스(6c)를 통해 연결된다.
LAN 인터페이스(6a)는 인쇄 작업의 등록 정보, 스캔한 영상 데이터 등을 이더넷 시스템에 따라 전송한다.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는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한다. 비디오 신호 인터페이스(6c)는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도 2는 MFP 보디(5)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MFP 보디(5)는 스캐너(11), 조작 패널(12), 팩시밀리 제어 유닛(13), 프린터(14), 영상 처리 유닛(15), 내부 저장 디바이스(16), 외부 인터페이스(17), 시스템 버스(18) 및 제어 유닛(20)을 포함한다.
스캐너(11)는 원본의 영상 정보를 영상 데이터로서 읽어들인다. 조작 패널(12)은 사용자가 입력한 다양한 기능의 세팅 및 실행을 위한 명령을 읽어들이고, 필수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 및 통지한다. 팩시밀리 제어 유닛(13)은 MFP 보디(5)와 외부 장치(도시하지 않음) 간의 팩시밀리 통신을 공중전화망 PSTN을 통해 실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프린터(14)는 영상을 시트에 출력한다. 영상 처리 유닛(15)은 스캐너(11)가 읽어들인 영상 데이터를 평활화(smoothing)와 같은 높은 영상 품질 처리한다. 내부 저장 디바이스(16)는 MFP 보디(5)의 내부에 배치된 HDD와 같은 저장 매체이다. 이러한 내부 저장 디바이스에는 영상 파일, 다양한 종류의 세팅 정보, 부문 관리 정보 등이 저장된다. 외부 인터페이스(17)는 다양한 종류의 세팅 정보, 제어 정보 및 영상 데이터를 외부 컨트롤러(4)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 유닛(20)은 시스템 버스(18)를 통해 연결된 각 하드웨어 유닛을 제어한다.
도 3은 MFP 보디(5)에 마련된 조작 패널(12)의 외형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통해 MFP 보디(5)에 대한 세팅 및 검사를 실행한다.
종래의 영상 형성 장치에서는 도 4에 도시한 조작 패널이 외부 컨트롤러(4)에 마련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작 패널은 형태의 구현, 비용 등의 한계로 인하여 약 2라인의 문자열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조작 버튼만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외부 컨트롤러에 대한 구성 세팅(네트워크 세팅, 프린터 기능 세팅 등)을 실행하는 경우, 데이터 입력 시 사용자는 조작 패널을 반복적으로 조작해야 한다. 이는 조작을 복잡하게 한다.
이 실시예에서, MFP 보디(5)에 마련된 조작 패널(12)은 외부 컨트롤러(4)의 종래 조작 패널의 기능을 MFP 보디(5)를 조작하기 위한 기능에 부가하고, 그 기능을 결집함으로써 얻은 조작 패널이다.
조작 패널(12)의 패널 표면 구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널(12a)과 조작 입력 유닛(12b)이 조작 패널(12)에 마련된다.
영상 형성 장치(1)의 상태, 조작 절차,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명령 등이 터치 패널(12a)에 표시된다. 표시 콘텐츠를 스위칭함으로써 정보 웹 브라우저 스크린이 터치 패널(12a)에 표시된다.
영상 형성 장치(1)를 조작하기 위한 다양한 조작 버튼이 조작 입력 유닛(12b)에 마련된다.
기능을 선택 및 세팅하기 위한 스크린을 실시하기 위한 키인 기능 확장 버튼(12c), 파일링 박스 버튼(12d), 스캔 버튼(12e), 카피 버튼(12f), 팩스 버튼(12g) 등이 배열된다. 이 외에, 세팅 값을 입력하고, 정보를 검사하기 위한 번호 키(12h) 등이 또한 배열된다.
이러한 조작 버튼 중 메인 버튼의 기능을 설명한다.
확장 버튼(12c)은 일반 스크린과 브라우저 스크린을 스위칭하는 데 사용한다. 파일링 박스 버튼(12d)은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 사용한다. 스캔 버튼(12c)은 스캔 기능을 이용하는 데 사용한다. 카피 버튼(12f)은 카피 기능을 이용하는 데 사용한다. 팩스 버튼(12g)은 팩스 기능을 이용하는 데 사용한다. 텐 키(12h)는 번호를 입력하는 데 사용한다.
도 5는 외부 컨트롤러(4)에 대한 구성 세팅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조작 패널(12)에 표시하기 위한 조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MFP 보디(5)는 웹 브라우저 기능이 있고, 외부 컨트롤러(4)는 웹 서버 기능이 있다.
(A) 사용자가 조작 패널(12)로부터 브라우저 스크린의 표시를 요청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 (B) MFP 보디(5)의 요청 발행 유닛(31)은 LAN 인터페이스(6a)를 통해 외부 컨트롤러(4)에 표시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C) 외부 컨트롤러(4)에서는 스크린 데이터 생성 유닛(32)이 그 요청에 따라 장치 세팅 스크린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편집한다. 도 5에 장치 세팅 스크린 영상을 도시한다. 영상 데이터 생성 유닛(32)은 웹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MFP 보디(5)에 장치 세팅 스크린 데이터를 전송한다.
(D) MFP 보디(5)에서는 스크린 생성 유닛(33)이 전송된 장치 세팅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웹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해 조작 패널(12)의 터치 패널(12a)에 장치 세팅 스크린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종래에는 외부 컨트롤러(4)의 기능이었던 장치 세팅을 표시 패널(12)로부터 실행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컨트롤러(4)로부터 발행된 경고, 에러 등을 표시 패널(12)에 표시할 수 있다.
MFP 보디(5)와 외부 컨트롤러(4) 간의 정보 교환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은 외부 컨트롤러에 대한 세팅 실행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외부 컨트롤러(4)의 조작은 도 6의 좌측에 도시하고, MFP 보디(5)의 조작은 도 6의 우측에 도시한다. 통신선(6)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콘텐츠는 도 6의 중앙에 기술한다. 중앙의 표시에서, LAN 인터페이스(6a)를 통해 흐르는 신호는 직선으로 도시하고,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를 통해 흐르는 신호는 점선으로 도시한다.
단계 S01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12)의 조작 입력 유닛(12b)에 있는 확장 버튼(12c)을 누를 때, 단계 202에서 웹 브라우저가 시작된다. 웹 브라우저가 시작되는 경우, 단계 303에서 조작 패널(12)의 스크린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스크린의 이러한 스위칭과 병행하여, 단계 S04에서 세팅 스크린의 표시를 위한 요청이 외부 컨트롤러(4)의 웹 서버에 발행된다.
웹 서버가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 S05에서 웹 서버는 조작 패널(12)에 표시되는 세팅 스크린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06에서 웹 서버는 생성된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웹 브라우저가 스크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07에서 웹 브라우저는 스크린 데이터에 따라 조작 패널(12)에 세팅 스크린을 표시한다. 단계 S08에서 사용자는 표시되는 세팅 스크린에 따라 항목 A의 값을 입력한다. 단계 S09에서 사용자는 항목 B의 값을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입력되는 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 S10에서 사용자는 표시 패널(12)에 표시되는 세팅 버튼을 누른다. 세팅 버튼을 누른 경우, 단계 S11에서 웹 브라우저는 입력된 세팅 값을 웹 서버에 통지한다.
웹 서버가 세팅 값을 수신한 경우, 단계 S12에서 웹 서버는 외부 컨트롤러(12)에 있는 항목 A의 값을 업데이트한다. 단계 S13에서 웹 서버는 항목 B의 값을 업데이트한다. 각 항목의 값이 업데이트되는 경우, 단계 S14에서 웹 서버는 업데이트된 값을 반영하는 스크린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15에서 웹 서버는 스크린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웹 브라우저가 스크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16에서 웹 브라우저는 스크린 데이터에 따라 조작 패널(12)에 업데이트된 세팅 스크린을 표시한다.
외부 컨트롤러(14)에 대한 세팅 조작이 종료되는 경우, 단계 S17에서 사용자는 확장 버튼(12c)을 누른다. 다음으로, 단계 S18에서 웹 브라우저가 종료된다. 단계 S19에서 조작 패널(12)의 표시는 일반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도 7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 업데이트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의 정보 교환은 LAN 인터페이스(6a)와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가 결합되는 형태로 실행된다.
사용자가 단계 S21에서 실행한 조작에 따라, 단계 S22에서 웹 브라우저 스크린이 조작 패널(12)에 표시된다.
단계 S23 및 S24에서 세팅 항목 A의 값과 세팅 항목 B의 값은 외부 컨트롤러(4)에 인가되는 클라이언트 PC(2)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단계 S25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웹 브라우저 스크린의 업데이트 통지를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를 통해 MFP 보디(5)에 송신한다.
단계 S26에서 MFP 보디(5)가 스크린 업데이트 요청을 인정하는 경우, 단계 S27에서 MFP 보디는 세팅 스크린의 표시를 위한 요청을 LAN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컨트롤러(4)에 발행한다.
외부 컨트롤러(4)가 이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 S28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업데이트된 세팅 값을 반영하는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29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생성된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단계 S30에서 MFP 보디(5)는 수신한 업데이트된 스크린 데이터를 표시한다. 그 후, 단계 S31 내지 S33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 패널(12)의 표시는 일반 스크린으로 복귀한다.
도 8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의 표시 업데이트 요청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는 외부 컨트롤러(4)와 MFP 보디(5) 간의 순서 예이고, 이 경우에서는 MFP 보디(5)가 웹 브라우저 스크린을 표시하지 않을 때 외부 컨트롤러(4)가 웹 브라우저 스크린의 콘텐츠를 업데이트한다.
이 경우의 정보 교환은 LAN 인터페이스(6a)와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가 결합되는 형태로 실행된다.
단계 S41에서 일반 스크린이 조작 패널(12)에 표시된다.
단계 S42 및 S43에서 세팅 항목 A의 값과 세팅 항목 B의 값은 외부 컨트롤러(4)에 인가되는 클라이언트 PC(2)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업데이트된다. 단계 S44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웹 브라우저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요청의 통지를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6b)를 통해 MFP 보디(5)에 송신한다.
단계 S45에서 MFP 보디(5)는 스크린 업데이트 요청을 인정한다. 현재, 조작 패널(12)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래서 단계 S46에서 웹 브라우저 스크린의 표시가 업데이트된다는 점을 사용자에게 통지하기 위하여, MFP 보디(5)는 조작 패널(12)의 확장 버튼(12c) 램프를 깜빡이게 한다.
사용자는 확장 버튼(12c) 램프의 깜빡거림을 인지한다. 단계 S47에서 사용자는 확장 버튼(12c)을 누른다. 다음으로, S48에서 웹 브라우저가 시작된다. 단계 S49에서 조작 패널(12)의 표시는 웹 브라우저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단계 S50 에서 세팅 스크린의 표시를 위한 요청이 외부 컨트롤러(4)에 발행된다.
단계 S51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업데이트된 세팅 값을 이용하는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52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생성된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단계 S53에서 MFP 보디(5)는 수신한 업데이트된 스크린 데이터를 표시한다. 단계 S54 내지 S56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조작 패널(12)의 표시는 일반 스크린으로 복귀한다.
도 9는 조작 패널의 각 버튼에 기능 할당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 S61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12)의 조작 입력 유닛(12b)에 있는 확장 버튼(12c)을 누른 경우, 단계 S62에서 웹 브라우저가 시작된다. 웹 브라우저가 시작되는 경우, 단계 S63에서 조작 패널(12)의 스크린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스크린의 이러한 스위칭과 병행하여, 단계 S64에서 외부 컨트롤러(4)의 세팅 스크린 표시를 위한 요청이 외부 컨트롤러(4)의 웹 서버에 발행된다.
웹 서버가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 S65에서 웹 서버는 조작 패널(12)에 표시되는 세팅 스크린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66에서 웹 서버는 생성된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웹 브라우저가 스크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67에서 웹 브라우저는 스크린 데이터에 따라 조작 패널(12)에 세팅 스크린을 표시한다.
단계 S68에서 조작 패널(12)의 버튼에 기능을 할당하는 세팅은 외부 컨트롤 러(4)에 인가되는 클라이언트 PC(2)로부터의 조작에 따라 실행된다. 예를 들어, 인쇄 작업 리스트를 외부 컨트롤러에 표시하는 기능은 팩스 버튼(12g)에 할당된다. 이 외에, 스캔 리스트 출력 기능, 셋업 스크린 표시 기능 등이 조작 패널(12)의 버튼에 할당된다.
클라이언트 PC(2)로부터의 할당 세팅이 실행되는 경우, S69에서 조작 패널(12)의 기능 할당에 관한 정보인 키 맵 데이터가 생성된다. 생성된 키 맵 데이터는 단계 S70에서 MFP 보디(5)에 전송된다.
단계 S71에서 MFP 보디(5)는 수신한 키 맵 데이터에 따라 버튼에 기능을 할당한다. 이 예에서, 팩스 버튼(12g)을 누른다는 점을 외부 컨트롤러(4)에 통지하기 위한 할당이 실행된다. 기능 할당이 실행된 후, 단계 S72에서 사용자가 팩스 버튼(12g)을 누르는 경우, 단계 S73에서 팩스 버튼 누름의 통지가 전송된다.
외부 컨트롤러(4)가 팩스 버튼 누름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외부 컨트롤러(4)는 그 통지를 외부 컨트롤러에 있는 인쇄 작업 리스트의 표시를 위한 요청으로서 인정한다. 단계 S74에서 외부 컨트롤러는 인쇄 작업 리스트를 위한 표시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75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단계 S76에서 웹 브라우저는 수신한 인쇄 작업 리스트에 대한 표시 스크린을 표시한다. 사용자가 S77에서 확장 버튼(12c)을 누르는 경우, 단계 S78에서 웹 브라우저 스크린 표시가 종료된다. 단계 S79에서 조작 패널(12)의 표시는 일반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도 10은 영상 형성 장치의 표시 패널의 기능을 잠글 때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단계 S81에서 사용자가 조작 패널(12)의 조작 입력 유닛(12b)에 있는 확장 버튼(12c)을 누르는 경우, 단계 S82에서 웹 브라우저가 시작된다. 웹 브라우저가 시작되는 경우, 단계 S83에서 조작 패널(12)의 스크린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으로 전환된다. 스크린의 이러한 스위칭과 병행하여, 단계 S84에서 외부 컨트롤러(4)의 세팅 스크린 표시를 위한 요청이 외부 컨트롤러(4)의 웹 서버에 발행된다.
웹 서버가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경우, 단계 S85에서 웹 서버는 조작 패널(12)에 표시되는 세팅 스크린의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86에서 웹 서버는 생성된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웹 브라우저가 스크린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87에서 웹 브라우저는 스크린 데이터에 따라 조작 패널(12)에 세팅 스크린을 표시한다.
단계 S88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에러를 검출한다. 에러는 예를 들어 외부 컨트롤러(4)에 영상 생성 메모리가 부족한 경우 또는 신호 교환 절차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검출된다. 즉, 외부 컨트롤러(4)는 조작을 계속하는 것이 어려운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89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에러 통지 스크린을 생성한다. 단계 S90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에러 통지 스크린 데이터를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단계 S91에서 웹 브라우저는 에러 통지 스크린을 표시 패널에 표시한다.
단계 S92에서 표시된 에러 통지 스크린이 표시 패널(12)의 카피 버튼(12f)과 같은 기능 버튼을 누름으로써 삭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컨트롤러(4)는 다른 기능 버튼을 잠그기 위한 키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93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생성된 키 맵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MFP 보디(5)가 키 맵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94에서 MFP 보디(5)는 버튼의 기능 할당을 실행한다. 각 버튼은 이 기능 할당에 따라 무효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계 S95에서 카피 버튼(12f)을 누르더라도, 단계 S96에서 버튼 누름이 삭제된다. 그러므로 웹 브라우저의 스크린은 에러가 표시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단계 S97에서 외부 컨트롤러(4)의 에러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단계 S98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일반 세팅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99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생성된 세팅 스크린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전송된 스크린 데이터는 단계 S100에서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다.
단계 S101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다른 기능 버튼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일반 기능 할당을 지정하기 위한 키 맵 데이터를 생성한다. 단계 S102에서 외부 컨트롤러(4)는 생성된 키 맵 데이터를 MFP 보디(5)에 전송한다.
MFP 보디(5)가 키 맵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단계 S103에서 MFP 보디(5)는 버튼에 기능을 할당한다. 버튼의 기능은 이 할당에 따라 유효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단계 S104에서 카피 버튼(12f)을 누르는 경우, 단계 S105에서 카피를 위한 실행 스크린이 조작 패널(12)에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컨트롤러(4)의 조작 패 널은 불필요하게 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MFP 보디(5)의 조작 패널(12)의 큰 터치 패널과 수많은 버튼을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작 입력의 운용도, 검사 등이 향상된다. 하나의 조작 패널로 MFP 보디(5)와 외부 컨트롤러(4)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영상 형성 시스템은 사용자 편의성이 있는 시스템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기능은 하드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거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각 기능을 기술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각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장점과 변형이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발생한다. 그러므로 더 넓은 양상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도시하고 기술한 특정 설명과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한 청구항들과 그 균등한 범위로 정의하는 일반적인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형성 시스템의 시스템도.
도 2는 MFP 보디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MFP 보디에 마련되는 조작 패널의 외형도.
도 4는 종래에 외부 컨트롤러에 마련된 조작 패널의 외형도.
도 5는 외부 컨트롤러에 대하여 구성 세팅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조작 패널에 표시하기 위한 조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외부 컨트롤러에서의 세팅 실행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 업데이트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8은 웹 브라우저 스크린상의 표시 업데이트 요청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9는 조작 패널의 각 버튼에 기능 할당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영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의 기능 잠금 시 정보 교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영상 형성 장치
2 : 클라이언트 PC
3 : 통신선
4 : 외부 컨트롤러
5 : MFP 보디
12 : 조작 패널

Claims (20)

  1. 영상 형성 장치로서,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상기 MFP와 상기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상기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영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는 웹 브라우저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웹 서버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웹 서버 기능으로 인해 전송된 상기 스크린 데이터를 상기 웹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영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에 필요에 따라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하게 요청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데이터 요청 발행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상기 MFP 보디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상기 MFP 보디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데이터 생성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정정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크린 업데이트가 실행된다는 점을 상기 MFP 보디에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크린 업데이트 통지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데이터 요청 발행 유닛이 상기 스크린 업데이트가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실행된다는 점을 나타내는 통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스크린 데이터 요청 발행 유닛은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가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될 때는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상기 외부 컨트롤러에 요청하고,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가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되지 않을 때는 상기 조작 패널에 관한 주의를 요구하 기 위한 출력을 실행하는 영상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조작 패널에 있는 조작 버튼의 기능 할당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를 상기 MFP 보디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맵 데이터 전송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가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버튼의 기능 할당을 변경하도록 구성되는 할당 변경 유닛을 더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는 임의의 조작 버튼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영상 형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와 상기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은 적어도 LAN 인터페이스,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 하는 영상 형성 장치.
  10.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상기 MFP와 상기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상기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을 포함하는 영상 형성 장치용 영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영상 형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는 웹 브라우저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웹 서버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MFP 보디에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웹 서버 기능으로 인해 전송된 상기 스크린 데이터는 상기 웹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형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에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필요에 따라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요청되고,
    상기 외부 컨트롤러에서, 상기 MFP 보디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가 생성되어 상기 MFP 보디에 전송되는 영상 형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에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정정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스크린 업데이트가 실행된다는 점이 상기 MFP 보디에 통지되는 영상 형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의 웹 스크린 데이터에 대한 요청 시, 상기 스크린 업데이트가 실행된다는 점을 나타내는 통지가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경우,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가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될 때는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요청되고, 상기 웹 스크린 데이터가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되지 않을 때는 주의를 요구하기 위한 출력이 상기 조작 패널에서 실행되는 영상 형성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트롤러에서,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조작 패널에 있는 조작 버튼의 기능 할당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가 상기 MFP 보디에 전송되는 영상 형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에서,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가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되는 경우에는 상기 조작 버튼의 기능 할당이 상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변경되는 영상 형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의 새로운 기능 할당 데이터는 임의의 조작 버튼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영상 형성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와 상기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통신 유닛은 적어도 LAN 인터페이스, 직렬 신호 인터페이스 및 비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영상 형성 방법.
  19. 영상 형성 시스템으로서,
    통신선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와,
    하나 이상의 영상 형성 장치
    를 포함하고,
    각 영상 형성 장치는,
    디지털 다기능 주변기기(MFP) 보디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MFP 보디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외부 컨트롤러와,
    상기 MFP와 상기 외부 컨트롤러를 신호 연결하는 복수의 통신 유닛과,
    상기 MFP 보디에 마련된 조작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구성을 세팅하기 위한 조작 콘텐츠를 상기 외부 컨트롤러로부터의 스크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영상 형성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MFP 보디는 웹 브라우저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외부 컨트롤러는 웹 서버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상기 MFP 보디는 상기 외부 컨트롤러의 웹 서버 기능으로 인해 전송된 상기 스크린 데이터를 상기 웹 브라우저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조작 패널에 표시하는 영상 형성 시스템.
KR1020070077699A 2006-08-07 2007-08-02 화상 형성 장치, 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형성 시스템 KR1009317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62,975 2006-08-07
US11/462,975 US20080043137A1 (en) 2006-08-07 2006-08-07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mage Form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738A true KR20080013738A (ko) 2008-02-13
KR100931757B1 KR100931757B1 (ko) 2009-12-14

Family

ID=39085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699A KR100931757B1 (ko) 2006-08-07 2007-08-02 화상 형성 장치, 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43137A1 (ko)
JP (1) JP2008037105A (ko)
KR (1) KR100931757B1 (ko)
CN (1) CN1011236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151B2 (ja) * 2008-04-07 2010-08-25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4849122B2 (ja) * 2008-12-16 2012-01-1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2011055075A (ja) * 2009-08-31 2011-03-17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1124957A (ja) * 2009-12-14 2011-06-2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10117828A (ko) * 2010-04-22 201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JP5669562B2 (ja) 2010-12-17 2015-02-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サーバ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50615B2 (en) * 2011-05-23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ement server,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of management of plural image forming apparatuses
US10116814B2 (en) * 2014-10-10 2018-10-30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JP2018191057A (ja) * 2017-04-28 2018-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122A (en) * 1995-12-21 1998-12-0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from a set of mutually exclusive options
JP2001230898A (ja) 2000-02-17 2001-08-24 Canon Inc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320505A (ja) 2000-05-12 2001-11-16 Murata Mach Ltd 通信端末装置
JP4158365B2 (ja) * 2001-08-27 2008-10-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
JP2004299388A (ja) * 2003-03-17 2004-10-28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外部アプリケーション動作方法
JP2005149061A (ja) * 2003-11-14 2005-06-09 Ricoh Co Ltd 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4879468B2 (ja) * 2004-07-23 2012-02-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データ取得システム、デジタル複合機及びシステム管理サーバ
JP4001138B2 (ja) * 2004-09-10 2007-10-31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通信装置、ネットワークパラメータ設定方法およびネットワークパラメータ設定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43137A1 (en) 2008-02-21
CN101123664B (zh) 2010-07-21
CN101123664A (zh) 2008-02-13
KR100931757B1 (ko) 2009-12-14
JP2008037105A (ja) 200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1757B1 (ko) 화상 형성 장치, 그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표시 방법 및 화상 형성 시스템
JP407069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スキャンデータ処理方法
JP5240170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RU251560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JP200208438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82208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8252537A (ja) スキャナと画像形成装置
JP200208280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0006092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11114598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9020822A (ja) ファイル送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ファイル版数管理システム
JP5332984B2 (ja) 画像処理装置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利用方法
JP4093251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2008028905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ystem,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4442433B2 (ja) 画像読み取りシステム
JP507833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5697362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条件設定実施方法
JP4489129B2 (ja) リモートusbデバイス使用システム
JP4313665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2333967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れを制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4907696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1243155A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200528704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2080589A (ja) 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のプログラム
JP2006190161A (ja) 文書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