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828A -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828A
KR20110117828A KR1020100037277A KR20100037277A KR20110117828A KR 20110117828 A KR20110117828 A KR 20110117828A KR 1020100037277 A KR1020100037277 A KR 1020100037277A KR 20100037277 A KR20100037277 A KR 20100037277A KR 20110117828 A KR20110117828 A KR 20110117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user interface
interface screen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정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7828A/ko
Priority to EP11161266.9A priority patent/EP2381315A3/en
Priority to US13/064,692 priority patent/US8638461B2/en
Priority to CN2011101005403A priority patent/CN102238302A/zh
Publication of KR2011011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03G15/502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relating to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menu, e.g. pop-up menus, help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75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 G03G15/5087Remote control machines, e.g. by a host for receiving image dat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025Machine control, e.g. regulating different parts of the machine
    • G03G2215/00109Remote control of apparatus, e.g. by a ho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와 연결되는 웹서버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예 중 일부는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OF IMAGE FORMING APPARATUS}
아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스캐너 및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과 같이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합기란 복사, 인쇄, 스캔, 팩스 송/수신, 또는 파일송신들과 같이 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하나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자체적으로 내장웹서버(Embedded Web Server: EWS)를 가지거나, 또는 내장된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여 웹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의 내장 웹브라우저는 웹서버의 사진, 애니메이션, 사운드, 동영상에 접근할 수 있으며, HTML(또는 XHTML), CSS(Cascading Style Sheet),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플래시(Flash),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구성된 웹페이지(Web Page)를 검색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복사, 인쇄, 스캔, 팩스송신, 또는 파일송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각각에 대응되는 고유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 표시부에는 복사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스캔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팩스송신에 대응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롬(ROM), 또는 램(RAM)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일부는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와 연결되는 웹서버로부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외부 기기와 연결 가능한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Web server)에 요청하고, 상기 요청결과에 따라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크기, 해상도,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또는, 장치식별자(Devic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 (Request Header)를 이용하여 상기 웹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웹서버주소(Address),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 에이전트(User-Agent)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웹기반언어로 생성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웹서버는 상기 웹브라우저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외부 웹서버,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장웹서버(Embedded Web Ser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또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에 요청되게 제어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웹서버는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웹서버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와 연결 가능한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에 포함된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송되게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되는 제2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동적(Dynamic)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웹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동적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로 생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웹서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은
표시부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 상기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면정보 및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복사, 인쇄, 스캔, 팩스, 또는 파일송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표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크기, 해상도,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또는 장치식별자(Devic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Request Header)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헤더는 상기 웹서버의 주소(Address)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 에이전트(User-Ag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또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요청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대응되게 상기 웹서버에 기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동적(Dynamic)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인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웹기반언어로 생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된 옵션정보가 반영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가능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일측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와 연결되는 웹서버로부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제공받는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웹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를 대응되는 정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에 대응되는 동적으로 생성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요청헤더에 대응되는 정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요청헤더에 대응되는 동적으로 생성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수신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웹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선(Wired) 또는 무선 네트워크(Wireless Network)(171)에 접속되어 있고, USB(Universal Serial Bus)(172)와도 접속 가능하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네트워크 (171)와 USB(172)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웹서버(10), 적어도 하나의 서버(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컴퓨터(30)와 연결 가능하며,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복합기(40),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50)와도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디지털 복합기(40), 프린터(50)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원고를 스캔하여 생성되는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71), USB(172) 및 전화라인(Tel line) (189)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71), USB(172), 또는 전화라인(189)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저장할 수도 있다.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경우, 생성된 화상데이터는 파일포맷에 따라 저장된 후,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파일포맷은 TIFF, JPEG, 또는 PDF 등과 같이 다양한 포맷들을 포함하며, 그 파일포맷은 화상형성장치(100)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71)와 USB(172)를 통해 외부에서 수신된 화상데이터는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14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화상데이터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여러 기능들에 따라 인쇄데이터, 팩스데이터, 스캔데이터, 복사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부(210), 조작부(120), 표시부(130),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제1 제어부(150), 이미지처리부(160),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 및 화상형성부(200), 파일송신부(182), 이메일송신부(184), 팩스부(18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출력부(180)를 포함한다.
 조작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또한, 표시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기능들, 예를 들면, 복사, 스캔, 팩스, 또는 파일송신과, 화상형성장치(100)의 상태(Status) 및 조작부(120)으로부터 제공된 사용자 입력 등을 표시한다.
표시부(130)는 디스플레이만을 위한 라인엘시디(Line LCD)와 조작과 디스플레이, 두 가지 모두를 위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30)의 라인엘시디 또는 터치스크린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따라 적합하게(appropriately) 다양한 화면 크기 및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는 표시부(130)의 화면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해상도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그 장치 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델명에 관한 정보,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식별자(Device ID)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화면은 웹서버(10)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며, 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웹서버(10)로부터 수신된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화상형성장치(100) 외부의 웹서버(10), 디지털 복합기(40)의 내장웹서버(42)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장웹서버(174)에서 수신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10)로부터 수신함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에는 웹서버(10)로부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된다. 또한,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수신을 위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다만, 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화면 정보 및 장치 정보는 구현의 편의에 따라 제1 제어부(150)의 롬(152) 또는 램(153)에 저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롬(152) 및 램(153)은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화면정보 및 장치정보뿐만 아니라 스캔부(210)를 통해 생성된 스캔된 원고의 화상데이터,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팩스데이터도 저장할 수 있다.
 스캔부(210)에서 스캔된 원고에 대응되는 화상데이터는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이미지처리부(160)에서 이미지 처리되어 기록매체에 출력, 외부서버로 파일송신, 이메일전송, 또는, 팩스송신 될 수 있다.
 팩스부(186)는 원고를 스캔하여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압축하고, 압축된 화상데이터를 전화라인(189)를 통해 수신측 팩스기기 또는 팩스기능을 가지는 복합기로 송신한다.
 송신되는 화상데이터는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에 저장될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수신된 압축된 화상데이터는 제1 제어부(150)에 의해 압축 해제(decompressed)되어, 화상형성부(200)에 의해 기록매체로 출력되거나, 또는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저장된 화상데이터는 사용자의 조작부(120) 조작에 따라 출력부(180)에서 출력될 수 있다. 즉, 화상데이터는 기록매체에 출력되거나, 파일송신기능에 따라 외부서버로 송신되거나, 이메일전송기능에 따라 전송되거나, 및 '팩스재송신' 기능에 따라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웹서버(10)와 적어도 하나의 서버(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컴퓨터(30)와 연결가능하며, 서버(20) 또는 퍼스널 컴퓨터(30)로부터 수신되는 인쇄데이터를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화상형성부(200)에서 출력하거나 또는 제1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51)와,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ead Only Memory)(152)과, 입력데이터 기억이나 작업관련 기억영역인 램(Random Access Memory)(153)을 포함할 수 있고, CPU(151), 롬(152) 및 램(153)은 버스(BUS)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조작부(120), 표시부(130),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스캔부(210), 이미지처리부(160),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 및 출력부(180)를 제어한다.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조작부(12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 내부로 기록매체를 급지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 제어부(150)는 이송, 광학계의 구동에 관련된 모터를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제1 제어부(1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캔부(210), 조작부(120), 표시부(130), 및 화상형성부(200)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제어부(150)가 개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의 A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와 표시부(130)의 B제어부(도시되지 아니함)와 같이 2개의 제어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웹서버(10)에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한 요청은 A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부(130)에 표시하는 것은 B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0)과 표시부(130)이 B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단지 예이며, 이러한 실시예들이 구현 방식 및 구현 목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스캔부(21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이미지처리부(Image Processor)(160)로 입력되며, 이미지처리부(160)는 조작부(12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입력에 대응하는 설정된 옵션에 따라 입력된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171)와 USB(172)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웹서버(10), 적어도 하나의 서버(20), 또는 적어도 하나의 퍼스널 컴퓨터(30)와 연결 가능하다. 또한,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복합기(40), 적어도 하나의 프린터(50)와도 접속 가능하다. 여기서, 디지털 복합기(40)는 내장웹서버(Embedded Web Server: EWS)(42)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내장웹서버(42)에 접속가능하며, 내장웹서버(42)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될 수도 있으며, 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도 내장웹서버(174)를 가질 수 있으며, 내장웹서버(174)로부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웹브라우저를 갖는 디지털 복합기(40) 또는 프린터(5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장웹서버(174)에 접속하여 디지털 복합기(40) 또는 프린터(50)에서 표시부(도시되지 아니함)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80)는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Recording medium)에 인쇄하는 화상형성부(200), 화상데이터를 외부서버로 전송하는 파일송신부(182), 화상데이터를 파일로 첨부하여 외부로 이메일 전송하는 이메일전송부(184), 또는 화상데이터를 수신측 팩스기기로 전송하는 팩스 송신하는 팩스부(18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출력부(180)의 파일송신부(182)와 이메일전송부(184) 각각은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화상데이터를 해당 기능에 따라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170)를 거쳐 서버(20), 퍼스널 컴퓨터(30), 디지털 복합기(40), 또는 프린터(50)로 전송한다.
 웹서버(10)는 제2 통신인터페이스(12),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 및 제2 제어부(16)를 포함한다.
 제2 통신인터페이스(12)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171), 또는, USB(172)로 연결된다.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는 웹브라우저로 연결되는 표시부(130)의 화면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 (100)의 장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요청헤더를 이용하여 웹서버(10)에 접속가능하고, 유저에이전트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필요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Request Header)는 웹서버주소(Address), 또는 표시부(130)의 화면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에이전트(User-Ag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정보, 모델명에 관한 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식별자(Device ID)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는 표시부(130)의 화면크기를 나타내는 정보, 해상도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요청헤더를 분석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요청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서 검색하여 선택한다. 선택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통신인터페이스를 거쳐 전송된다. 이 때,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제어부(16)내 롬(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램(도시되지 아니함)에서 검색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 제2 제어부(16)내 롬 또는 램을 제2 저장부로 정의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2 제어부(16)는 분석된 요청헤더를 이용하여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 저장되어 있는 정적(Static)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룩업테이블(Look-up Table, 도시하지 아니함)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용되는 룩업테이블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와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에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룩업테이블의 가로축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로, 세로축은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6)는 요청헤더를 분석하여 표시부(130)의 화면정보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동적(Dynamic)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저장부에 저장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없는 경우, 제 2 저장부에 저장된 소스 코드(Source code)를 실행하여 생성되거나, 또는 저장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확대, 축소하는 스케일링(Scaling)에 의해 생성된다.
 제2 제어부(16)는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Serverside Scripting)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는 웹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 중 서버 사이드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로서, 예를 들면 PHP(Hypertext Preprocessor), ASP(Active Server Pages), JSP(Java Server Pages)등이 잘 알려진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의 예들이며, 여기서 기술되는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는 이러한 예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6)은 저장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스케일링을 통해서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 CLX-9000모델의 7인치, 4인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6인치 CLX-9000모델에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 요청되는 경우, 제2 제어부(16)는 저장된 7인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축소하거나 또는 4인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확대해야 한다. 축소 또는 확대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동적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화상형성장치(100)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송신되기 전/후에 제2 저장부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저장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는 파일명이 할당 되며, 할당된 파일명을 이용하여 동일한 화상형성장치에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요청되는 경우에 재사용될 수 있다.
 즉, 제2 제어부(16)은 화상형성장치의 요청헤더를 분석하여 기저장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하거나 또는 새로운 동적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고,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는 정적 또는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한다.
 정적(Static)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웹서버(10)에 기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고, 동적(Dynamic)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새롭게 생성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스캔부(210)와 화상형성부(200)를 포함한다.
 스캔부(210)는 자동원고급지부(Auto Document Feeder: ADF)(212)를 포함하는 커버(211)와 스캔부본체(215)로 구성된다. 자동원고급지부(212)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원고를 한 페이지씩 자동으로 급지한다.
 자동원고급지부(212)는 원고의 앞면, 뒷면을 급지할 수 있는 양면 자동원고급지부(Duplex Auto Document Feeder: DADF)로 변경 가능하다.
 원고급지대(213)에 적재된 원고는 급지경로(214)에 따라 한 페이지씩 자동 급지되고, 스캔 후 배출된다.
 커버(211)는 스캔부본체(2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수동급지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원고가 적재되는 원고판(Scan glass, 216)이 있는 스캔부본체(215)의 상면을 개폐한다.
 스캔부본체(215)는 원고를 스캔하기 위한 광원(216), 광원(216)에 반사된 반사광을 이미지센서(222)로 반사하는 복수의 미러(217,218)와 반사광을 이미지센서(222)에 결상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결상렌즈(221)를 포함한다.
 또한, 광원(216), 복수의 미러(217, 218)는 이동광학계(도시되지 아니함)에 수용가능하며, 이동광학계는 구동모터, 풀리 등을 이용하여 원고에 대하여 고정상태 또는 왕복이송을 수행하면서 원고를 스캔한다.
 이미지센서유닛(220)은 결상렌즈(221), 이미지센서(222)와 이미지센서 (222)를 구동하는 이미지센서드라이버(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하며, 반사광에 대한 이미지센서(222)의 화상신호출력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1 제어부(150)로 입력된다. 화상신호출력은 8비트, 16비트, 24비트, 32비트, 또는 64비트 중 적어도 하나로 변환되며, 화상형성장치(100)에 따라 화상신호출력의 비트 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미지센서(222)의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이미지센서(222)는 원고를 스캔가능한 다른 형태의 이미지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출력부(180)에 포함되는 화상형성부(200)는 인쇄방식에 따라 레이저빔프린터(Laser Beam Printer: LBP), 잉크젯프린터(Inkjet Printer)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빔프린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화상형성부(200)는 급지유닛(230), 광주사유닛(240), 감광체(250C, 250M, 250Y, 250K)를 포함하는 현상유닛(260), 전사유닛(270), 정착유닛(280), 및 배지유닛(290)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성 유닛들은 레이저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BP)의 모노크롬(Monochrome) 인쇄, 컬러(Color) 인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또한 컬러 인쇄에서도 현상방식(멀티패스(Multi-path), 싱글패스(Single-path)), 전사방식(직접전사, 간접전사)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감광체에서 기록매체로 전사를 하는 경우를 직접전사라 하고, 복수의 감광체에서 1차전사를 하고 중간전사벨트에서 기록매체로 2차 전사를 하는 경우를 간접전사라 한다.
 급지유닛(230)은 기록매체가 적재되는 카세트(Cassette, 231)와 카세트(231)에 적재된 기록매체를 픽업하는 픽업롤러(Pick-up Roller, 232)와 픽업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롤러(Feed roller, 23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급지유닛(230)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복수의 급지유닛(230)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급지유닛(230)에 적재된 기록매체가 급지된다.
 광주사유닛(Laser Scan Unit)(240)은 화상신호에 대응되는 광(Beam)을 복수의 감광체(250C, 250M, 250Y, 250K)에 조사하여 복수의 감광체(250C, 250M, 250Y, 250K) 표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광주사유닛(240)은 도 2에 도시되지 아니한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와, 적어도 하나의 폴리곤 미러(Polygon Mirror)와, 적어도 하나의 미러(Mirror)와, 또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Lens)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주사유닛(240)은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러(Mirror)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현상유닛(Developing Unit, 260C 내지 260K)은 복수의 감광체들(250C 내지 250K)에 서로 다른 컬러(Cyan, Magenta, Yellow, Block)의 현상제를 공급하여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한다. 복수의 감광체들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샤이안(Cyan) 현상유닛(260C)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나머지 컬러의 현상유닛(260M, 260Y, 260K)에 대해서도 상술한 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색 현상유닛(260C 내지 260K)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원리는 5색 이상의 현상유닛에 대해서 확장될 수 있다.
 현상유닛(260C)은 감광체(250)에 균일하게 전하를 대전시키는 대전기(도시되지 아니함), 현상제를 현상롤러(도시되지 아니함)에 공급하는 현상제공급롤러(도시되지 아니함), 현상제공급롤러에서 공급된 현상제를 광주사유닛(240)에 의해 생성된 감광체(250) 상의 정전잠상에 공급하여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롤러(도시되지 아니함), 감광체(250)에 형성된 가시상을 전사벨트(271)에 전사한 후 감광체(250)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크리너(도시되지 아니함)와 현상제크리너에 의해 제거된 현상제가 수거되는 폐토너통(도시되지 아니함), 및 감광체(250)에 잔류하는 전위를 제거하는 제전기(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전사유닛(270)은 전사벨트(271)와 복수의 감광체(250C 내지 250K)에 형성된 가시상을 전사벨트(271)에 전사시키는 제1 전사롤러(272C 내지 272K)와 복수의 현상제가 중첩된 화상을 급지되는 기록매체 상에 전사시키는 제2 전사롤러(273)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간접전사방식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상술한 원리는 기록매체가 복수의 감광체(250)와 제1 전사롤러(272C, 272M, 272Y, 272K) 사이로 급지되면서 중첩된 화상이 전사되는 직접전사방식에도 확장이 가능하다.
  정착유닛(280)은 적어도 하나의 히트롤러(281)와 적어도 하나의 압력롤러(282)로 구성되며, 기록매체에 전사된 화상을 히트롤러(281)의 열과 압력롤러(282)의 압력으로 기록매체에 정착시킨다.
 배지유닛(290)은 적어도 하나의 롤러(291)로 구성되며, 가시상이 형성된 기록매체를 배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양면 인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배지유닛(290)에서 배지되지 않고 재급지하는 듀플렉스(Duplex) 경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고 부팅이 완료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기능의 수행이 완료되는 경우,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 중 표시부(130)에 표시된 초기화면아이콘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초기화면(HomeScreen: 131)이며, 도 3의 표시부(13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도시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사, 인쇄, 스캔, 팩스송신, 파일송신 등의 기능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고, 표시부(130)를 통해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기능아이콘의 수행에 필요한 옵션 등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다.
 조작부(120)는 복사 매수, 숫자 입력 등에 사용되는 숫자키패드(Numeric keypad)(121), 정지버튼(Stop button)(122)과 필요한 옵션이 적용된 기능을 실행시키는 스타트버튼(Start Button)(123)과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기능버튼(Function Button)을 포함한다.
 표시부(130)의 초기화면(131)에는 복사(132), 스캔(133), 팩스송신(134), 파일송신(135), 스캔-투-USB메모리(136), XOA(Extensible Open Architecture) (137)등의 기능아이콘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조작부(12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기능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초기 화면(131)은 선택된 기능아이콘과 선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능아이콘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초기 화면(131)은 선택된 기능아이콘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된다.
 초기화면(131)은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있는 초기화면(131)에 대응되는 구성정보를 이용하여 기능아이콘(132 내지 136)을 생성한다.
 그리고, 기능아이콘(132 내지 136) 중 적어도 하나가 웹서버(10)가 아닌 다른 웹서버(도시하지 아니함)가 지원하는 기능일 수 있다.
 즉, 제3자(3’rd party)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인 경우에도 기능아이콘 정보에 다른 웹서버(도시하지 아니함)의 주소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 아이콘에 대응되는 일부분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다른 웹서버(도시하지 아니함)로부터 수신한다.
 따라서, 조작부(120) 또는 표시부(130)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3자가 제공하는 기능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제1 제어부(150)는 다른 웹서버(도시하지 아니함)에 해당되는 일부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요청하고, 요청된 일부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수신된다. 이때 요청된 일부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과 나머지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하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으로 합성된다. 합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전환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선택된 기능의 수행에 필요한 옵션이 표시되고, 사용자는 조작부(120)를 통하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에러, 준비, 동작 등의 상태(Status)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소모품에 대한 잔량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120)와 표시부(130)를 분리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표시부(130)를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술한 조작부(120)와 동일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조작부(12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아니함)가 온(ON)되어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0).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원공급센서(도시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부팅(Boot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표시부(130)에 표시될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에 요청하기 위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롬(152), 또는 램(153)중 적어도 하나에서 검색한다(S430).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롬(152) 또는 램(153)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1 저장부로 정의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저장부로서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롬(152), 램(153)의 순서로 화면 정보 및 장치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관리자(Administrator)의 설정(Setting)에 따라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 롬(152), 램(153)을 검색하기 위한 우선순위(Priority)는 변경될 수 있다.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는 화면크기, 해상도, 또는 터치스크린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 예를 들면, 복사, 인쇄, 스캔, 팩스송신, 또는 파일 송신 중 적어도 하나, 모델명(Model Name), 또는, 장치식별자(Devic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들이 있다. 이런 다양한 옵션들을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옵션정보라고 한다. 선택 가능한 옵션이 많을수록 옵션정보도 증가되므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복잡해 질 수 있다.
 옵션정보는 최초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는 제조사의 초기설정일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업그레이드(Upgrade), 또는 신규기능이 새롭게 추가되는 경우에는 옵션정보가 변경된다. 이러한 경우, 변경된 옵션정보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저장되어야 하며, 변경된 옵션정보가 웹서버(10)에 제공되어야 한다.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초기설정의 옵션정보가 웹서버(10)에 제공되거나, 또는 초기설정에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옵션정보가 웹서버(10)에 제공된다.
 옵션정보는 유저에이전트에 포함되어 웹서버(10)에 제공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옵션정보의 변경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웹서버가 옵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형성장치(100)의 OS(Operating System)가 오픈플랫폼(Open Platform)을 지원하는 경우, 제조사가 아닌 제3자가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Application)또는 솔루션(Solution)이 추가로 설치되거나 또는, 추가되는 옵션(Option)중 하나인 양면인쇄유닛(Duplex Print Unit) 또는 펀칭유닛(Punching Unit)이 화상형성장치(100)에 추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업그레이드 또는 추가된 신규기능이 반영된 옵션정보가 웹서버(10)에 제공되고,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웹서버(10)로부터 화상형성장치(100)에 제공되어야 사용자 편의를 높일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검색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 내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웹서버(10), 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복합기(40)의 내장웹서버(42)에 요청 할 수 있다(S440). 여기서, 웹서버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장웹서버(174)를 포함하며, 웹서버(10)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디지털복합기(40)의 내장웹서버(42),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장웹서버(174)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HTTP 1.X 프로토콜(http://tools.ietf.org/html/rfc2616, 14.43)을 참고하면, 웹브라우저에서 웹서버(10)에 웹페이지를 호출하는 경우에 요청헤더(Request Header)를 이용한다.
 요청헤더에는 웹서버(10)에게 현재 브라우저의 버전 및 OS(Operating System)명 등 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웹서버에 제공하는 브라우저의 정보를 나타내는 유저에이전트(User-Agent)를 포함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 및 웹페이지는 모두 웹기반 언어로 생성될 수 있으므로, 위 또는 아래에서 기술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웹서버(10)로부터 수신할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대응되는 정보 즉,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유저에이전트에 추가하여 웹서버에 요청한다(S430).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는 유저에이전트에 한정되게 추가되는 것이 아니라 요청헤더 내에 포함되어, 웹서버(10)에 요청되면 충분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HTTP 프로토콜 호출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GET/homescreen HTTP/1.1"에서, "homescreen"은 요청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의미하며, "HTTP/1.1"은 HTTP 버전1.1을 의미한다. 다른 HTTP버전도 가능하며, 버전에 따라 요청헤더의 규약이 달라질 수 있다.
 "Host: www.myprinter.com"에서, "Host:" 이하는 요청하는 웹서버의 주소로서, 절대 URI(Absolute Uniform Resource Identifier) 또는 절대경로(Absolute Path)를 지정할 수 있다. 절대URI는 프로토콜명, 웹서버명, 또는 IP주소, 파일명 등이 기재될 수 있으며, 절대경로는 디렉토리명과 파일명으로 기재될 수도 있다.
 "User-Agent: CLX-9000 7Inch 1024X600 Touchscreen"에서, CLX-9000은 모델명, 7Inch는 표시부(130)의 화면크기(인치), 1024X600은 표시부(130)의 해상도, Touchscreen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임을 의미한다. 문자열(Text)이므로 예를 들어, 공백(Space)으로 모델명, 화면크기, 해상도, 터치스크린여부를 구별하였으나, 슬래시(/), 또는 콤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의 S45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웹서버(10)의 제2 제어부(16)에서 제2 통신인터페이스(12)을 거쳐 수신되는 요청헤더를 분석한다(S450). 요청헤더에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요청헤더를 참조하면, 모델명이 CLX-9000이고, 표시부(130)의 화면크기는 7인치(Inch), 해상도는 1024X600인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100)가 표시부(130)에 표시할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10)에게 요청함을 알 수 있다.
 제2 제어부(16)는 추출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의 룩업테이블(도시하지 아니함)을 이용하여 기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검색 할 수도 있다.
 룩업테이블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와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룩업테이블의 가로축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로, 세로축은 표시부(130)의 화면정보로 채워질 수 있다. 가로축과 세로축이 바뀌어도 무관하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제어부(16) 내의 롬(도시하지 아니함), 램(도시하지 아니함)으로부터 검색하여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16)는 추출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이용하여 선택할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정적(Static)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인지, 동적(Dynamic)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인지를 확인한다. 판단결과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추출정보가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면,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에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선택한다(S460).
 선택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통신인터페이스(12)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된다(S470)
 반대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면, 제2 제어부(16)의 제어에 따라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한다.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통신인터페이스(12)를 통해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된다(S470).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는 웹에서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 중 서버 사이드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언어로 예를 들면, PHP(Hypertext Preprocessor), ASP(Active Server Pages), JSP(Java Server Pages)등이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에서 요청된 요청헤더는 웹서버(10)에서 수신된다. 즉, 요청헤더의 웹서버주소에 대응되는 웹서버(10)가 요청헤더를 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웹서버(10)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디지털 복합기(40)의 내장웹서버(42)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내장웹서버(17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에 대응되는 정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XHTML(Extens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CSS(Cascading Style Sheet)로도 작성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서버사이트 스크립트언어로 생성될 수 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에 대응되는 동적으로 생성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 중 하나인 PHP언어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하였다.
 유저에이전트에 포함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공백(Space)로 문자열을 분리한다. 분리된 후 요청헤더의 분석에 따라 show7inch(), show4inch(), show4line()에 의해 동적으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된다.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화상형성장치(100)으로 전송된다(S470). 또한,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 저장 가능하다. 저장되는 경우에는, 요청헤더의 정보와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이용하여 파일명을 부여하여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되는 경우에는,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경우와 유사하게 룩업테이블을 이용 할 수 있다.
 이후에, 동일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동일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새롭게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고, 기저장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검색하여 화상형성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웹서버(10)로부터 전송되는 정적 또는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통신인터페이스(170)을 거쳐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0)에 저장된다.
 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 대하여 제1 제어부(150)에서 표시부(130)에 표시가능여부를 판단한다(S480). 표시가능여부의 판단은 웹서버에 전송된 요청헤더와 웹서버로부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비교하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00)의 요청헤더는 User-Agent: CLX-9000 7Inch 1024X600 Touchscreen이었는데, 웹서버(10)에서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CLX-9000 4인치 800X480 Touchscreen인 경우이다. 이런 경우에는 제1 제어부(150)의 표시가능여부를 판단이 필요하다.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7인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경우, 표시부(130)의 화면크기와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화면크기가 상이하여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는, 화상형성장치(100)가 지원하는 기능이 Scan/Print/Copy/fax인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Scan/Print/Copy만을 지원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판단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가 가능한 경우,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된다(S490) 화상형성장치(100)가 복수개의 제어부를 가지는 경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토록 제어한다.
 판단결과에 따라, 표시부(130)에 표시가 불가능한 경우,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되지 않고 종료되거나 또는 재시도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수신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모델명 CLX-9000, 7인치, 해상도 1024X600인 터치스크린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CLX-5000, 4인치, 해상도800X480인 터치스크린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CLX-1000, 4라인엘시디(Line LCD), 해상도160X60인 라인엘시디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4라인엘시디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인 경우, 터치스크린과는 다르게 아이콘(Icon), 또는 이미지(Image)없이 텍스트(Text) 위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아이콘 또는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S410에서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아니함)를 온하여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전원공급이 아닌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여부를 판단한다(S420).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 즉, 조작부(120)에서 입력되거나 또는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의 경우, 아이콘 또는 이미지 등이 선택되면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으로 판단된다.
 판단결과에 따라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인 경우에는, S430으로 진행한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이 아닌 경우에는 종료되거나 또는 재시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HTTP 프로토콜 호출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8에서, GET /XOA를 제외하고 도 5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와 동일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도 5의 경우에는 Homescreen이 웹서버(100)에 요청되었으나, 도 8에서는 사용자가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서 XOA(137)아이콘을 조작부(120)를 통한 입력, 또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클릭(C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선택하는 경우에 웹서버(10)에 요청되는 요청헤더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10)에 요청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부(130)에 모델명 CLX-9000, 7인치, 해상도 1024X600인 터치스크린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XOA(137)아이콘을 조작부(120)를 통한 입력, 또는 표시부(130)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클릭(Click)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선택하는 경우이다.
 도 13b는 도 13a에서 선택된 XOA(137)아이콘에 대응되게 웹서버(10)로부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가 도시되어있다.
 표시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서 사용자에 의해 요청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아이콘을 선택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작동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포함된 요청헤더(Request Header)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HTTP 프로토콜 호출의 일부분을 도시하였다.
 도 9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도 5와 동일하며, 즉, User-Agent: CLX-9000 7Inch 1024x600 Touchscreen Scan/Print/Copy/fax에서 기능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이하다. 도 5와 동일한 부분의 설명은 도 5를 참조한다.
 도 5의 경우에는 초기화면(131)이 웹서버(100)에 요청되었으나, 도 9에서는 도 5와 유사하게 유저에이전트에 Scan/Print/Copy/fax이 더 추가되었다. 즉, 화상형성장치(100)에 따라 도 5에서 도시된 요청헤더가 웹서버(10)에 요청되는 경우도 있고, 도 9에서 도시된 요청헤더가 웹서버(10)에 요청되는 경우도 있다. 이는 화상형성장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도 9에서는 도 5의 경우에 대비하여 추가된 Scan/Print/Copy/fax기능에 대응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웹서버(10)에 요청하며, 웹서버(10)는 요청된 정적 또는 동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화상형성장치에 전송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라 웹서버(10)로부터 HTML로 작성된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Source)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9에서 웹서버(10)에 요청되는 요청헤더에 대응되게 웹서버(10)에서 전송되는 정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소스를 도시한 것이다. 간략하게 예를 도시하였다.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HTML, XHTML, 또는, XML로도 작성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요청헤더 에 대응되는 동적으로 생성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PHP언어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하였다.
 유저에이전트에 포함된 표시부(130)의 화면정보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장치정보를 가져와 분석하고, 공백(Space)으로 문자열을 분리한다. 분리된 후 요청헤더의 분석에 따라 showScan(), showPrint(), showCopy(), showFax() 함수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생성된다. 상기 함수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화상형성장치(100)으로 전송된다(S470). 또한, 생성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14)에 저장 가능하다. 저장되는 경우에는, 요청헤더의 정보와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매핑(Mapping)하여 저장하고, 추후에 동일한 화상형성장치(100)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새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기저장된 동적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되는 경우에는, 정적인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경우와 유사하게 룩업테이블을 이용 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웹서버 12 :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14 : 제2 하드디스크드라이브 16 : 제2 제어부
    40 : 디지털 복합기 42 : 내장웹서버
    100 : 화상형성장치 120 : 조작부
    130 : 표시부 140 : 제1 하드디스크드라이브
    150 : 제1 제어부 160 : 이미지처리부
    170 :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174 : 내장웹서버
    180 : 출력부 200: 화상형성부
210 : 스캔부

Claims (19)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화면이 표시되는 표시부;
    웹서버(Web Server)와 연결 가능한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가 저장되는 제1 저장부; 및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게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크기, 해상도,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또는 장치식별자(Devic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Request Header)를 이용하여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상기 요청헤더는 상기 웹서버의 주소(Address),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 에이전트(User-Ag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웹기반언어로 생성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는 웹브라우저가 상기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접근 가능한 외부 웹서버, 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내장웹서버(Embedded Web Serv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또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에 요청하는 화상형성장치.
  8.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웹서버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웹브라우저와 연결 가능한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화면정보와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제2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되게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웹서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저장되는 제2 저장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게 동적(Dynamic)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는 웹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서버사이드스크립트 언어로 생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웹서버.
  11. 표시부와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면정보 및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 받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에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복사, 스캔, 팩스, 또는 파일송신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 표시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크기, 해상도, 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정보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모델명, 또는 장치식별자(Device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웹브라우저의 요청헤더(Request Header)를 상기 웹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요청헤더는 상기 웹서버의 주소(Address) 또는 상기 화면정보와 상기 장치정보에 대응되는 유저 에이전트(User-Ag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화면정보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장치정보를 제1 통신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또는 상기 표시부의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전환이 필요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전송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표시부에 대응되게 상기 웹서버에 기저장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또는 동적(Dynamic)으로 생성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중 적어도 하나인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은 웹기반언어로 생성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대한 옵션정보를 상기 웹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상기 웹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옵션정보가 반영된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을 수신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가능여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의 표시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표시부에 경고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KR1020100037277A 2010-04-22 2010-04-2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KR20110117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77A KR20110117828A (ko) 2010-04-22 2010-04-2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EP11161266.9A EP2381315A3 (en) 2010-04-22 2011-04-06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of image forming apparatus
US13/064,692 US8638461B2 (en) 2010-04-22 2011-04-0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screen of image forming apparatus
CN2011101005403A CN102238302A (zh) 2010-04-22 2011-04-21 图像形成装置和提供图像形成装置的用户界面屏幕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77A KR20110117828A (ko) 2010-04-22 2010-04-2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694A Division KR20170093098A (ko) 2017-08-03 2017-08-03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828A true KR20110117828A (ko) 2011-10-28

Family

ID=4420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277A KR20110117828A (ko) 2010-04-22 2010-04-22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38461B2 (ko)
EP (1) EP2381315A3 (ko)
KR (1) KR20110117828A (ko)
CN (1) CN1022383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5129B2 (ja) 2010-03-23 2012-07-11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機器、その操作機器を備えた電子機器および画像処理装置、ならびにその操作機器における情報表示方法
JP5853655B2 (ja) * 2011-12-05 2016-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機能機及び画面提供サーバ
WO2013103733A1 (en) 2012-01-06 2013-07-11 Level 3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converting sales opportunities
EP2624249B1 (en) 2012-01-31 2017-03-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n upgr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D771078S1 (en) * 2013-01-04 2016-11-08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57053S1 (en) 2013-01-04 2016-05-24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71079S1 (en) 2013-01-04 2016-11-08 Level 3 Communication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5176476A (ja) * 2014-03-17 2015-10-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消耗品発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555032B2 (ja) 2015-09-10 2019-08-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仲介サーバ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
CN105488145B (zh) * 2015-11-26 2019-07-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网页内容的显示方法、装置及终端
USD822048S1 (en) * 2016-12-22 2018-07-03 Ricoh Company,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9913B2 (en) * 1998-04-30 2003-01-21 Openwave Systems Inc. Configurable man-machine interface
JP4124001B2 (ja) * 2003-03-24 2008-07-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664320B1 (ko) * 2004-09-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080043137A1 (en) * 2006-08-07 2008-02-21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Image Forming
EP2015183B1 (en) * 2007-06-08 2018-05-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apparatus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JP2009043131A (ja) 2007-08-10 2009-02-26 Fujifilm Corp 動画ファイル送信サーバ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8023137B2 (en) * 2008-02-05 2011-09-20 Kyocera Mita Corporation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user interface device, extended user interface compatibility confirming method, document scanning method and setting value managing method
JP5451348B2 (ja) * 2009-12-09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Webサーバ、印刷制御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04612B2 (en) * 2009-12-22 2013-08-06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system,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for the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maintenan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operation screens
JP2012118820A (ja) * 2010-12-01 2012-06-21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1315A2 (en) 2011-10-26
US20110261380A1 (en) 2011-10-27
EP2381315A3 (en) 2015-07-29
US8638461B2 (en) 2014-01-28
CN102238302A (zh)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782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US8705102B2 (en) Multi-function machin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988419B1 (ko) 화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화상 처리 시스템
US93959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irmware renew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1467646B1 (ko) 정보 처리 장치, 웹 서버,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582253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324339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2011010381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function display method thereof
JP4941463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印刷装置
US20060268334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nectable to network,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7174215A (ja) 外部コントローラ、リモート操作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2034277A (ja) 画像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0262178A1 (ja) ジョブ処理システム
US2011021636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thereof
JP2006044114A (ja) 画像形成装置、印刷モード設定方法、及びプリンタドライバ
KR20170093098A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유저인터페이스 화면 제공방법
JPWO2020262178A5 (ko)
JP482880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1243155A (ja) ネットワーク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542787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情報の表示方法
JP6614744B2 (ja) スキャンサービス端末、スキャンサービスシステム、スキャン情報提供方法、及びスキャン情報提供用プログラム
JP2013051583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6459925B2 (ja) 印刷装置
JP5972246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方法
JP2022102190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