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328A -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328A
KR20080010328A KR1020070074505A KR20070074505A KR20080010328A KR 20080010328 A KR20080010328 A KR 20080010328A KR 1020070074505 A KR1020070074505 A KR 1020070074505A KR 20070074505 A KR20070074505 A KR 20070074505A KR 20080010328 A KR20080010328 A KR 2008001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transmission medium
optical transmission
connec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131B1 (ko
Inventor
쿄우이치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8001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28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 G02B6/423Passive alignment, i.e. without a detection of the degree of coupling or the position of the elements using guiding surfaces for the align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19Mechanical fixtures for holding or positioning the elements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couplings; Alignment methods for the elements, e.g. measuring or observing methods especially used therefor
    • G02B6/4236Fixing or mounting methods of the aligned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0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 G02B6/4214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the coupling comprising intermediate optical elements, e.g. lenses, holograms the intermediate optical element having redirecting reflective means, e.g. mirrors, prisms for deflecting the radiation from horizontal to down- or upward direction toward a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49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comprising arrays of active devices and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부품 점수가 적어 기판상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아, 위치 맞춤이 용이하고 접속 시간도 짧으며, 접속 및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광학 접속 부품 및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는 광학 접속 부품에 있어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갖고,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전송 매체의 위치를 맞추어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의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고,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춰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광 전송 매체가 유지되는 유지부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의 위치 맞춤부와, 누름 수단과 누름 벽을 구비하고, 누름 수단은 광 전송 매체를 누름 벽에 밀어붙임으로써 광 전송 매체를 위치 맞춤부에 위치 맞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광 전송 매체, 광 기능 부품, 광학 접속 부품, 유지부, 접속 부재, 위치 맞 춤부

Description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An optical connection component and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기판상에서 광 기능 부품을 접속하는데 광 전송 매체를 갖는 광학 접속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광학 접속 구조에는, 페룰(ferrule)에 광 전송 매체인 광파이버를 장착하여 기판을 따라 광 기능 부품에 맞댄다고 하는 기판과 평행 방향으로 접속하는 것과, 기판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개구된 접속점을 갖는 광 기능 부품에 광파이버의 선단을 비스듬히 절단하여 접촉시킨다고 하는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접속하는 것이 있다.
기판과 평행 방향으로 접속하는 광학 접속 구조에서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이나 페룰을 구비한 광 커넥터 등이 사용되며, 위치 맞춤을 하여 맞댐으로써 안정적으로 접속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 이나 페룰이 기판상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접속하는 광학 접속 구조에서는, 광 전송 매체의 가공이 어렵고, 나아가서는 유효한 위치 맞춤 방법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안 정적으로 접속을 실시하는 것이 어려우며, 예를 들면 광 기능 부품과 광파이버와의 접촉시에 광 기능 부품을 파손시킬 우려가 있었다.
렌즈 등의 반사층을 사용하여 비접촉으로 광학 접속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부품 점수가 많아지게 되어 반사층과 광 기능 부품, 광 전송 매체와의 위치 맞춤으로 접속에 걸리는 시간도 길어지게 되어 고비용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평 9-026515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판상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고, 위치 맞춤이 용이하며, 부품점수도 적고, 접속시간도 짧게 할 수 있어,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었던 것이다.
(1)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수직으로 접속하는 광학 접속 부품으로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가지며,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상기 광 전송 매체가 위치 맞춤되어 유지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며,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춰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2)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하는 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3)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4)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는 광학 접속 부품으로서, 상기 광 전송 매체가 유지되는 유지부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와, 누름 수단과 누름 벽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수단은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누름 벽에 밀어붙임으로써,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위치 맞춤부에 위치 맞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5) 접속의 방향은, 상기 광 전송 매체의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6) 상기 누름 수단은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누름 벽에 밀어붙임으로써,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정형(整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7) 상기 누름 수단은 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또는 (6)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8) 토대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7)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9)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
(10) 상기 (1)~(9)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의 광학 접속 부품을 사용하여,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1) 기판상에 배치된 광 전송 매체를 광 기능 부품 및/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접속한 광학 접속 구조로서,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적어도 일단에 절곡부를 갖으며, 상기 절곡부와 상기 광 기능 부품 및/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2)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적어도 일단에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의 광학 접속 구조.
(13) 상기 절곡부는, 광 전송 매체가 180°로 꺾어 구부러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의 광학 접속 구조.
(14) 상기 절곡부는, 광 전송 매체가 90°로 꺾어 구부러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의 광학 접속 구조.
(15)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양단에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의 광학 접속 구조.
(16) 상기 광 기능 부품은,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광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에 기재의 광학 접속 구조.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상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고, 위치 맞춤이 용이하고, 부품 점수도 적으며, 접속 시간도 짧게 할 수 있어,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에 의하면, 광 전송 매체의 선단을 꺾어 구부림으로써 기판과 수직 방향의 접속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콤팩트하게 접 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렌즈 등을 사용한 진행 방향의 제어를 할 필요가 없어져서, 각각의 렌즈와 개개의 광 기능 부품, 광 전송 매체와의 위치 맞춤 등의 공정이 필요 없게 되었다.
나아가서는, 광파이버 단면의 광 기능 부품에 대한 각도를 접촉한 후에 조절할 수 있어, 반사 감쇠(減衰)량을 크게 하여 복귀 광에 의한 광학적인 노이즈 발생이나, 광 기능 부품의 파손 등의 불편을 경감할 수 있었다.
또, 기판 표면 근방에서 광 전송 매체의 위치 맞춤을 실시하기 때문에, 종래의 광학 접속 구조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으며, 부품 점수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를 경감하고 기판상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각 구성 부분의 축척에 대해 도면에 표기하는 것이 용이해지도록 구성 부분마다 축척을 변경하여 기재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본 실시 형태에서 말하는 광학 접속 부품이란,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조합한 것이나, 도 12에서 예시하는 광학 접속 부품(300)이며, 또, 광학 접속 구조란, 예를 들면 도 1이나 도 12에 있어서, 광 전송 매체(1)와 광 기능 부품(16)을 상기 광학 접속 부품을 사용하여 접속시킨 것 등이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하고 있는 광파이버는 광 전송 매체의 일례로서 설명하고 있다.
(실시 형태 1)
우선, 도 1~도 3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1은 광파이버 등의 광 전송 매체, 5는 기판, 8은 절곡부, 16은 면 발광 레이저 등의 광 기능 부품, 17은 토대, 100은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 101은 볼록부, 102는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하는 유지부, 103은 언덕부, 200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 201은 오목부, 202는 돌출부, 203은 판부, 206은 가압부, C는 노치부, H는 광 기능 부품과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이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본 발명에서 특정하는 광학 접속 부품을 구성한다.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 전송 매체(1)와 광 기능 부품(16)을,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로 이루어진 광학 접속 부품을 사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광 전송 매체(1)는 단심(單心)의 광파이버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파이버를 복수개 테이프화한 테이프 심선 등이여도 된다. 그 때, 빛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해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선단을 비스듬하게 커트하고, 그 커트 각에 의한 반사 편향에 의해 광축을 변경해도 되나,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광파이버의 일단을 꺾어 구부려져 절곡부(8)를 가진 광 전송 매체(1)를 사용하는 것이 제작상 간결하여 바람직하다.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90도로 꺾어 구부리고 절곡부(8)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한다. 그 후, 절단면을 연마하고, 절곡부(8)를 갖는 광 전송 매체(1)를 작성하였다. 절곡부(8)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공간 절약의 점에서 생각하면 2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광 전송 매체(1)는 코너에 반사성을 갖게 하기 위해 절곡부(8)를 평탄하게 연마해도 되고, 나아가서는, 절곡부(8)를 평탄하게 연마하여 금속 등의 반사재를 설치해도 된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는 볼록부(101)와 유지부(102)와 언덕부(103)를 갖고 있으며, 유지부(102)와 언덕부(103)와의 단차를 이용하여, 유지부(102)에 광 전송 매체(1)를 위치 맞춤하여 유지할 수 있다. 단순히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에 광 전송 매체(1)를 얹어도 되나, 점착테이프나 접착제로 고정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돌출부(202)와 판부(203)와, 가압부(206)를 갖고 있으며, 돌출부(202)의 일부가 잘라내져 오목부(201)로 되고 있다. 오목부(201)는 볼록부(101)와 끼워 맞출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판부(203)의 중앙에는 위치 맞춤부(H)로서의 구멍이 만들어져 있으며, 위치 맞춤부(H)를 광 기능 부품(16)에 맞춤으로써 용이하게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와 광 기능 부품(16)의 위치 맞춤이 가능하다. 가압부(206)의 일부는 잘라내져 노치부(C)로 되 어 있으며, 광 전송 매체(1)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206) 대신에 노치부(C)를 설치한 판 등을 사용해도 된다.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접착제 등에 의해 토대(17)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기능 부품(16)은 기판(5)에 장착함으로써 기판(5)과 수직 방향으로 광축을 갖는다.
토대(17)는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얹기 위한 받침대로서, 광 기능 부품(16)의 주위에 구축되어 있다. 광 기능 부품(16) 및 토대(17)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볼록부(101)와 오목부(201)를 끼워 맞춰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101)와 오목부(201)는 도면에 나타내어진 형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도 6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실시 형태 I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의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광 기능 부품을 위치 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일체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일체화전의 도면, (b)는 일체화시키고 있는 도면, (c) 일체화후의 도면이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의 유지부(102)에 얹음으로써 광 전송 매체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에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기능 부품(16)상에 위치 맞춤부(H)가 오도록 하여 토대(17)에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얹음으로써,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와 광 기능 부품(16)과의 위치 맞춤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우선,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광 기능 부품(16)과 위치 맞춤된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에 접근시킨다.
다음으로,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01)를 오목부(201)에 끼워 넣어 간다.
그리고,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01)를 접속 부재(200)의 오목부(201)에 끼워 맞춘다. 이때, 가압부(206)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가압하고 있으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는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에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착탈이 자유로우며, 지금까지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함으로써 광학 접속 구조를 해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2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형태 2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Ⅱ-Ⅱ선 단면도, (c)는 사시도, 도 8은 실시 형태 2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00a는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 102a는 유지부이다.
실시 형태 2는,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a)로 바꾼 것, 및 광 전송 매체(1)를 180° 구부려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02a)를 중공(中空)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a)를 다리(橋) 모양으로 함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걸쳐 돌아들어가게 할 수 있다. 유지부(102a)의 형상은, 광 전송 매체(1)를 걸쳐 돌아들어가면, 수직 방향으로부터 진입해온 빛이 광 전송 매체(1) 내를 빠져나오도록(도 8의 L과 같이 진행하도록) 계산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의 일단을 180°의 각도로 꺾어 구부려 유지부(102a)에 걸쳐 돌아들어가도록 함으로써,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a)는 광 전송 매체(1)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3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실시 형태 3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Ⅲ-Ⅲ선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 3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유지전의 도면, (b)는 유지하고 있는 도면, (c) 유지되어 있는 도면이다.
100b는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 106은 베어링부, 107은 편심 캠, 108은 회전축이다.
실시 형태 3은,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는 베어링부(106), 편심 캠(107), 회전축(108)을 갖는다.
편심 캠(107)은 회전축(108)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자유로우며, 편심 캠 구조를 구성한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우선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에 근접시킨다.
다음으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편심 캠(107)을 돌리면서 삽입해간다.
그리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부(102)에 얹는다. 이 때, 편심 캠(107)은 광 전송 매체(1)를 유지부(102)에 누르고 있어, 광 전송 매체(1)는 빠지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광 전송 매체(1)와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는 착탈이 자유로우며, 지금까지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함으로써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다음으로, 도 11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4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형태 4의 광학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1′는 다른 광 전송 매체, 100′는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 101′는 볼록부, 103′는 언덕부, 200′는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 202′는 돌출부, 203′는 판부, 206′는 가압부이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 및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는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광학 접속 부품을 구성한다.
실시 형태 4는, 실시 형태 1의 광 기능 부품(16) 및 토대(17)를, 다른 광 전송 매체(1′)와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는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
즉, 실시 형태 4는, 2개의 광학 접속 부품[(100+200) 및 (100′+200′)]을 판부(203, 203′)를 통하여 겹치고, 광 전송 매체(1)와 다른 광 전송 매체(1′)를 접속한 수직 방향의 광학 접속 구조이다.
미리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에 다른 광 전송 매체(1′)를 유지시켜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와 일체화시켜 두고,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가 위에 오도록 기판(5)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상에 위치 맞춤시켜 배치하고,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일체화시킴으로써 광 전송 매체 같은 종류를 수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우선, 도 12~도 13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Ⅳ-Ⅳ선 단면도이다.
1은 광파이버 등의 광 전송 매체, 5는 기판, 8은 절곡부, 16은 면 발광 레이저 등의 광 기능 부품, 17a, 17b는 토대, 300은 광학 접속 부품, 301은 어깨부, 302는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하는 유지부, 303은 언덕부, 350은 회전축(351)에 의해 편심 캠으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언덕부(303)에 설치되어 있는 덮개, 351은 회전축, H는 광 기능 부품과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 W는 누름 벽이다.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 전송 매체(1)와 광 기능 부품(16)을 광학 접속 부품(300)을 사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광 전송 매체(1)는 단심의 광파이버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파이버를 복수개 테이프화한 테이프 심선 등이여도 된다. 그 때, 빛의 진행 방향을 굴곡시키기 위해 통상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절곡부를 갖지 않고 직선 상태인 채로 선단을 비스듬하게 커트하고, 그 커트 각에 의한 반사 편향에 의해 광축을 변경해도 되나,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광파이버의 일단을 꺾어 구부러져 절곡부(8)를 가진 광 전송 매체(1)를 사용하는 것이 제작상 간결하여 바람직하다.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90°로 꺾어 구부리고, 절곡부(8)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한다. 그 후, 절단면을 연마하고, 절곡부(8)를 갖는 광 전송 매체(1)를 작성하였다. 절곡부(8)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공간 절약의 점에서 생각하면 2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광 전송 매체(1)는, 코너에 반사성을 갖게 하기 위해 절곡부(8)의 모서리를 평탄하게 연마해도 되며, 나아가서는, 절곡부(8)를 평탄하게 연마하여 금속 등의 반사재를 설치해도 된다.
광학 접속 부품(300)은 어깨부(301)와 유지부(302)와 언덕부(303)와 덮개(350)를 갖고 있다. 어깨부(301)는 コ자 형상으로 유지부(302)를 둘러싸고 있으며, 어깨부(301)와 유지부(302)와의 단차를 이용하여 유지부(302)에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할 수 있다. 유지부(302)의 안쪽은 어깨부(301)의 일부인 누름 벽(W)에 막혀 있으며, 누름 벽(W)의 발밑에는 위치 맞춤부(H)로서 유지부(302)를 바로 아래로 가로지르는 관통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위치 맞춤부(H)로부터 광 기능 부품(16)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광학 접속 부품(300)과 광 기능 부품(16)의 위치 맞춤이 가능하다.
덮개(350)는 회전축(35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로운 언덕부(303)에 설치되어 있으며, 열린 상태에서는 광 전송 매체(1)를 위치 맞춤부(H)에 삽입할 수 있으며, 닫힌 상태에서는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할 수 있다.
덮개(350)와 회전축(351)과 언덕부(303)는 광 전송 매체(1)를 누름 벽(W)에 밀어붙임으로써, 상기 광 전송 매체(1)를 위치 맞춤부에 위치 맞춤시키는 누름 수단을 구성한다. 또한, 자세한 것은 도 14를 이용하여 후술한다.
덮개(350)와 회전축(351)과 언덕부(303)는 편심 캠 구조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350)를 개폐함으로써, 광학 접속 부품(300)은 광 전송 매체(1)를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할 수 있다.
광 기능 부품(16)이 기판(5)에 장착함으로써 기판(5)과 수직 방향으로 광축을 갖는다.
토대(17a, 17b)는 광학 접속 부품(300)을 얹기 위한 받침대로서, 광 기능 부품(16)의 주위에 구축되어 있다. 광 기능 부품(16) 및 토대(17a, 17b)는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한 광학 접속 부품(300)을 토대(17a, 17b)상에 설치함으로써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광학 접속 부품(300)은 토대(17a, 17b)상에 얹어놓는 것만으로 되나, 접착제 등에 의해 토대(17a, 17b)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4~도 15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에 광 전송 매체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유지전의 도면, (b)는 광 전송 매체를 삽입한 상태의 도면, (c)는 덮개를 닫고 있는 상태의 도면, (d)는 유지한 상태의 도면, 도 15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을 토대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T는 광 전송 매체(1)의 휨부이다.
우선,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덮개(350)를 연 상태의 광학 접속 부품(300)에 접근시킨다.
다음으로,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부(302)를 따라서 삽입하고, 선단을 위치 맞춤부(H)까지 이르게 한다.
그리고,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50)를 회전축(35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간다. 이 때, 덮개(350)의 끝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부(302)에 눌러, 회전에 따라 광 전송 매체(1)를 끌리도록 하여 근소하게 누름 벽(W)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에 의해 광 전송 매체(1)의 절곡부(8)가 누름 벽(W)에 밀어붙여져, 광 전송 매체(1)의 선단이 위치 맞춤부(H)에 깊이 들어감으로써, 광 전송 매체(1)가 위치 맞춤부(H)에 위치 맞춤된다.
또, 이 때 광 전송 매체(1)가 홈의 형상에 맞추어 정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부(8)가 대략 직각으로 되어, 광 전송 매체(1)의 선단이 바로 아래 방향을 향하도록 광 전송 매체(1)를 정형해도 된다.
또한, 도 1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50)의 끝이 광 전송 매체(1)를 누름으로써, 광 전송 매체(1)의 탄성에 의해 휨부(T)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러나, 도 1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350)를 더욱 회전시켜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휨부(T)를 정돈하면서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광 전송 매체(1)를 선단이 광 기능 부품(16) 방향을 향하며, 또한, 휨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광 전송 매체(1)는 선단이 위치 맞춤부(H)에 깊이 들어가 있어, 위쪽은 덮개(350)로 막혀 있으므로 빠지게 되는 일이 없다.
또한, 광 전송 매체(1)와 광학 접속 부품(300)은 덮개(350)의 개폐에 의해 착탈이 자유로우며, 지금까지의 순서를 반대로 실시함으로써 유지를 해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한 광학 접속 부품(300)을 기판(5)에 설치된 토대(17a, 17b)상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함으로써, 광 전송 매체(1)와 광 기능 부품(16)이 위치 맞춤되어,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접속의 방향은, 광 전송 매체(1)의 직선 부분의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이다. 즉, 기판(5)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접속된다.
또한, 공정의 순서를 바꿔 넣고, 광학 접속 부품(300)을 먼저 토대(17a, 17b)상에 설치하고, 다음으로 광 전송 매체(1)를 광학 접속 부품(300)에 유지시킬 수도 있다.
즉, 우선, 광학 접속 부품(300)의 위치 맞춤부(H)로부터 광 기능 부품(16)이 보이도록 위치 맞춤하고, 광학 접속 부품(300)을 토대(17a, 17b)에 접착제 등으로 고정한다.
다음으로, 광 전송 매체(1)를 광학 접속 부품(300)의 유지부(302)를 따라서 삽입하고, 선단을 위치 맞춤부(H)까지 이르게 한다.
그 후, 덮개(350)를 회전하여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유지부(302)에 누름으로써, 절곡부(8)를 누름 벽(W)에 밀어붙일 수 있어, 광 전송 매체(1)의 선단이 위치 맞춤부(H)에 깊이 들어감으로써, 광 전송 매체(1)가 위치 맞춤부(H)에 위치 맞춤된다. 또, 광 전송 매체(1)를 홈의 형상에 맞추어 정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 의해,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가 형성된다.
(실시 형태 6)
다음으로, 도 16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6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실시 형태 6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300a는 광학 접속 부품, 317a, 317b는 토대각이다. 또한,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5와 동일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 형태 6은,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300)을 광학 접속 부품(300 a)으로 바꾸고, 토대(17a, 17b)를 배제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5와 같다.
즉,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학 접속 부품(300)에 토대각(317a, 317b)을 설치함으로써, 미리 기판(5)상에 토대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실시 형태 6에 의하면, 광학 접속 부품(300)과 토대를 일체화함으로써, 광학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부품 점수가 적어도 되므로 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다.
(실시 형태 7)
다음으로, 도 17~도 19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평면도, (b)는 Ⅴ-Ⅴ선 단면도, 도 19는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에 광 전송 매체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300b는 광학 접속 부품, 302b는 유지부, L은 빛이다.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300)을 광학 접속 부품(300b)으로 바꾸고, 광 전송 매체(1)를 180° 구부려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302b)를 중공으로 지지하도록 하고, 광학 접속 부품(300b)을 다리 형상으로 해 둠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걸쳐 돌아들어가게 할 수 있다. 유지부(302b)의 형상은, 광 전송 매체(1)를 걸쳐 돌아들어가게 하면, 수직 방향으로부터 진입해온 빛이 광 전송 매체(1) 내를 빠져나오도록(도 19의 빛 L과 같이 진행하도록) 계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1)의 일단을 180°의 각 도로 꺾어 구부려 유지부(302b)에 걸쳐 돌아들어가게 함으로써, 광학 접속 부품(300b)은 광 전송 매체(1)를 보다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8)
다음으로, 도 20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8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실시 형태 8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는 광 전송 매체, 8′는 절곡부, 300′는 광학 접속 부품, 301′는 어깨부, 302′는 유지부, 303′는 언덕부, 350′는 덮개, 351′는 회전축이다.
실시 형태 8은, 실시 형태 5의 광 기능 부품(16) 및 토대(17a, 17b)를 다른 광 전송 매체(1′)와 광학 접속 부품(300)′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5와 같다.
즉, 실시 형태 8은, 2개의 광학 접속 부품(300 및 300′)을 유지부(302, 302′)를 통하여 겹치게 하고, 광 전송 매체(1)와 다른 광 전송 매체(1′)를 접속한 수직 방향의 광학 접속 구조이다.
미리 광학 접속 부품(300′)에 다른 광 전송 매체(1′)를 유지해 두고, 유지부(302′)가 위에 오도록 기판(5)상에 배치한다.
그리고, 광학 접속 부품(300)에 광 전송 매체(1)를 유지시켜 광학 접속 부품(300′)상에 위치 맞춤시켜 배치함으로써 광 전송 매체끼리를 수직으로 접속할 수 있다.
(실시 형태 9)
다음으로, 도 21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9의 광학 접속 부품과 그것을 사용한 광학 접속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실시 형태 9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은 광 전송 매체, 8은 절곡부, 300은 광학 접속 부품, 301은 어깨부, 302는 유지부, 303은 언덕부, 318은 바닥판, 350은 덮개, 351은 회전축, S는 수납부이다.
실시 형태 9는, 실시 형태 5의 광 접속 부품(300)을 토대각(317a, 317b) 및 바닥판(318)을 갖는 광학 접속 부품(300c)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5와 같다.
토대각 아래에 바닥판(318)을 구비함으로써 수납부(S)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부에 광 기능 부품(16)을 수납한다. 이에 의해 미리 광 기능 부품(16)과 일체화한 광학 접속 부품(300c)을 얻을 수 있다.
(실시 형태 10)
도 22~도 25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7은 접속되는 다른 광 전송 매체인 멀티모드 광파이버의 4심의 테이프 심선, 2는 테이프 심선(1)의 끝에 장착한 MT 커넥터, 3a는 프린트 기판(5)상에 배치된 광 전송 매체, 4는 프린트 기판(5)에 설치된 MT 커넥터용의 가이드 핀, 5는 프린트 기판, 6은 접속되는 다른 광 전송 매체인 플라스틱 광파이버로서, 예를 들면 0.5 ㎜φ의 것이다. 8은 광 전송 매체(3a)의 양단이 180°의 각도로 꺾어 구부러져 이루 어진 절곡부, 10은 멘딩 테이프이다.
광 전송 매체(3a)는 광파이버 심선으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이 180°의 각도로 꺾어 구부러져 있으며, 절곡부(8)를 갖고 있다.
MT 커넥터(2)는, 그 선단이 절곡부(8)에 접촉한 상태로 가이드 핀(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플라스틱 광파이버(6)는, 그 선단이 절곡부(8)에 접촉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테이프 심선(7)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가 광 전송 매체(3a)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4 및 도 25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광파이버 심선의 테이프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광 전송 매체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 (b)는 꺾어 구부린 광파이버 심선인 광 전송 매체이다.
3은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 401w~401z는 광파이버 심선, 404는 피복 재료 도포 시작 위치, 405는 피복 재료 도포 종료 위치, 407은 점착테이프, 4 08은 디스펜서, 409는 1축 제어 로봇, 410은 광파이버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기판, 411은 볼나사축, 412는 가동 유니트, 413은 유연한 파이프, 414는 구동 모터, 415는 베어링, N은 노즐이다.
우선, 도 24(a)에 나타내는 테이프화 장치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 4개를 테이프화함으로써,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을 얻는다.
테이프화 장치는, 1축 제어 로봇(409)과 피복 재료를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디스펜서(408) 등의 재료 공급 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1축 제어 로봇(409)은 광파이버 심선을 재치하기 위한 기판(410)을 가지고 있으며, 또, 긴 쪽 방향을 따라 볼나사축(411)이 배치되고, 단부에는 구동 모터(414)가 설치되며, 타단부는 베어링(415)에 의해 지지되고, 이 볼나사에는 가동 유니트(412)가 나사 맞춤하며, 그 가동 유니트(412)는 노즐(N)을 스테이지 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한 것이다. 가동 유니트(412)에 있어서, 노즐(N)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노즐(N)에는 유연한 파이프(413)가 연결되어 있으며, 디스펜서(408)로부터 피복 재료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노즐(N)로서는, 스테인리스강제의 디스펜서 니들이 바람직하다.
우선, 1축 제어 로봇(409)의 가동 유니트(412)가 이동하는 라인을 따라 기판(410)상에,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을 병렬로 정렬시키고, 각 광파이버 심선에 일정한 장력이 가해지도록, 양단의 피복을 하지 않은 부분을 점착테이프(407)로 고정시켜 고정한다.
또한, 점착테이프(407)로 고정시켜 고정하는 대신에, 점착 시트를 깔고 그 위에 광파이버 심선을 붙여도 된다.
피복 재료로서 열경화성의 실리콘 고무 수지를 사용하고, 피복 재료를 노즐에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로서 디스펜서(408)를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1축 제어 로봇(409)의 가동 유니트(412)를 제어하고, 정렬시킨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의 피복 재료 도포 시작 위치(404)에 노즐(N)을 이동시킨다(도 24(a)).
1축 제어 로봇(409)의 가동 유니트(412)를 조절하여 노즐 N의 중심이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의 중앙이 되도록 하고, 광파이버 심선과 노즐(N)의 선단의 간격을 설정한다.
다음으로, 1축 제어 로봇(409)의 가동 유니트(412)의 이동 속도 및 디스펜서(408)의 토출압(吐出壓)을 설정한다. 노즐(N)의 이동 개시와 함께 피복 재료(403)의 토출을 개시하고, 노즐(N)을 광파이버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피복 재료를 광파이버 심선(401w~401z)상에 도포한다(도 24(b)).
피복 재료 도포 종료 위치(405)까지 노즐(N)이 이동한 시점에서 피복 재료의 토출을 정지한다(도 24(c)).
그 후, 실온에서 1 시간 정치함으로써 피복 재료의 경화를 실시하여,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을 얻을 수 있다(테이프화의 더욱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특개 2004-045937, 특개 2004-163634를 참조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재료를 도포, 경화시키기 위해서 다른 장치나 방법을 사용해도 되나, 도 24에 나타내는 테이프화 장치를 사용하면, 일정 압력으로 피복 재료를 토출시키면서 노즐(N)을 이동시킴으로써, 피복하는데 필요한 재료만을 토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율이 양호하며, 피복 재료의 코스트를 삭감할 수도 있어 적합하다.
그리고,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의 양단을 180도 접고, 도 25(b)에 나 타내는 바와 같이 광 전송 매체(3a)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미리 구멍을 2개 뚫고, 가이드 핀(4)을 삽입하여 고정한 프린트 기판(5)상에 광 전송 매체(3a)를 배치하였다.
이 때, 가이드 핀(4)의 중간에, 절곡부(8)의 선단을 위치 맞춤시키고, 접어 겹쳐진 광파이버 심선이 위쪽이 되도록 하여, 광 전송 매체(3a)를 멘딩 테이프(10) 등으로 프린트 기판(5)상에 고정한다.
그 후, MT 커넥터(2)와, 프린트 기판(5)상의 가이드 핀(4)을 위치 맞춤시키고, MT 커넥터(2)로 광 전송 매체(3a)를 누르도록 하여 도 22 및 도 23과 같이 광학 접속시켰다.
또, 광 전송 매체(3a)의 타단에는, 플라스틱 광파이버(6)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광학 접속시켰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파이버를 테이프화하여 꺾어 구부리는 것만으로 간단히, 이른바 수직 변환 행로인 광 전송 매체(3a)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1)
다음으로, 도 26 및 도 27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3b는 광 전송 매체, 9a는 절곡부이다.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 전송 매체(3a)를 광 전송 매체(3b)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0과 같은 구성이다.
광 전송 매체(3b)는, 그 양단이 90°의 각도로 꺾어 구부려져 절단되어 있으며, 절곡부(9a)를 갖고 있다.
MT 커넥터(2)는, 그 선단이 절곡부(9a)에 접촉한 상태로 가이드 핀(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플라스틱 광파이버(6)는, 그 선단이 절곡부(9a)에 접촉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는, 테이프 심선(7)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가 광 전송 매체(3b)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광파이버 심선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 (b)는 꺾어 구부린 광 전송 매체, (c)는 꺾어 구부린 끝을 절단된 광 전송 매체, (d) 및 (e)은 별개 형태의 광 전송 매체이다.
3′는 양단을 90도 꺾어 구부린 광파이버 심선, 3b′, 3b″는 별개 형태의 광 전송 매체, 9a′는 원호부를 평탄하게 연마한 절곡부, 9a″는 원호부를 평탄하게 연마하여 반사재를 설치한 절곡부이다.
우선, 실시 형태 10과 같게 플라스틱 광파이버 4개를 테이프화하여,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광파이버 심선(3)의 양단을 90도로 꺾어 구부리고(도 27(b)), 절곡부(9a)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하였다(도 27(c)). 그 후, 절단면을 연마 하여, 실시 형태 2의 광 전송 매체(3b)를 작성하였다. 절곡부(9a)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공간 절약의 점에서 생각하면 2 ㎜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광 전송 매체(3b)는, 도 2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부를 평탄하게 연마하여, 절곡부(9a)를 갖는 광 전송 매체(3b′)로 해도 되며, 나아가서는, 도 2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부를 평탄하게 연마하여 금속 등의 반사재를 설치하고, 절곡부(9a″)를 갖는 광 전송 매체(3b″)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미리 구멍을 2개 뚫고, 가이드 핀(4)을 삽입하여 고정한 프린트 기판(5)상에 광 전송 매체(3b)를 배치하였다.
이 때, 가이드 핀(4)의 중간에, 절곡부(9a)의 선단을 위치 맞춤하고, 선단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광 전송 매체(3b)를 멘딩 테이프(10) 등으로 프린트 기판(5)상에 고정한다.
그 후, MT 커넥터(2)와 프린트 기판(5)상의 가이드 핀(4)을 위치 맞춤하고, MT 커넥터(2)로 광 전송 매체(3b)를 누르도록 하여, 도 26과 같이 광학 접속시켰다.
또, 광 전송 매체(3b)의 타단에는, 플라스틱 광파이버(6)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여 광학 접속시켰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라스틱 광파이버를 테이프화하여 꺾어 구부리고 꺾어 구부린 끝을 절단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이른바 수직 변환 행로인 광 전송 매체(3b)를 얻을 수 있으며, 이것을 이용한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할 수 있다. 꺾어 구부린 끝을 절단된 광 전송 매체(3b)를 사용함으로써 높이 방향의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었다.
(실시 형태 12)
다음으로, 도 28을 이용하여 실시 형태 1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8은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3c는 광 전송 매체, 9b는 절곡부(9a)와는 다른 방향으로 구부려진 절곡부, 16은 접속되는 광 기능 부품인 면 발광 레이저, 17은 폴리페놀설파이드 수지로 제작한 토대, 18은 폴리이미드 필름, 19는 토대(17) 및 폴리이미드 필름(18)으로 이루어진 보호 부품이다.
광 전송 매체인 광파이버 심선(3c)은, 그 양단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려져 절단되어 있고, 절곡부(9a, 9b)를 갖고 있다.
면 발광 레이저(16)는 프린트 기판(5)에 장착함으로써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광축을 갖는다.
면 발광 레이저(16)의 주위에는 토대(17)가 구축되어, 토대(17)를 다리 놓듯이 폴리이미드 필름(1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폴리이미드 필름(18)은 면 발광 레이저(16)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고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필름(18)에는 레이저가 통과하는 구멍을 설치해도 된다.
절곡부(9b)는 폴리이미드 필름(18)을 통하여, 또는 통하지 않고, 면 발광 레이저(16)로부터의 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위치 맞춤되어 있다. 절곡부(9b), 폴리이미드 필름(18), 면 발광 레이저(16)는 접촉하고 있어도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된 다.
광 전송 매체(3c)는 토대(17)의 높이에 맞춰 프린트 기판(5)상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스틱 광파이버(6)는, 그 선단이 절곡부(9a)에 접촉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는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면 발광 레이저(16)와 플라스틱 광파이버(6)가 광 전송 매체(3c)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은 광 전송 매체(3c), 면 발광 레이저(16), 토대(17), 폴리이미드 필름(18)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의 제조 방법과 같다.
광 전송 매체(3c)는, 그 양단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구부리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2의 광 전송 매체(3b)와 같게 제작된다.
면 발광 레이저(16), 토대(17), 폴리이미드 필름(18)은 기존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토대(17)와 폴리이미드 필름(18)이 일체로 된 보호 부품(19)을 사용해도 된다.
(실시 형태 13)
다음으로, 도 29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1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9는 실시 형태 13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20은 절곡부(9b)의 형상에 맞춘 곡면을 갖는 위치 맞춤 부품이다.
실시 형태 13의 광학 접속 구조는, 위치 맞춤 부품(20)을 구비한 것을 제외 하고,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와 동일하다.
보호 부품(19)에 위치 맞춤 부품(20)을 장착한 바, 도 29와 같이, 광 전송 매체(3c)의 위치 맞춤이 위치 맞춤 부품(20)에 부딪히게 되는 것만으로, 접속 작업이 용이하게 되었다.
이하에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재료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광 전송 매체에는 플라스틱 파이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것은 간단히 가공할 수 있는 광파이버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열 가공 등, 다른 가공 방법으로 가공할 수 있으면 그 재료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그 굴절률 분포가 스텝 분포나 크레디트 분포 등, 사용 목적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 한 번에 접속되는 광 전송 매체의 수량에 제한은 없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광파이버 심선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또, 광파이버 대신에, 고분자의 플렉시블 광 도파로(導波路)를 사용해도 같은 광학 접속 구조(광 전송 매체)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 아크릴, 에폭시, 폴리올레핀 등의 고분자계 재료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대 및 토대각에 사용되는 각 재료,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 광학 접속 부품(300, 300a, 300b), 위치 맞춤 부품(20)에 사용되는 각 재료는 접속에 사용되는 광 전송 매체의 재료나, 요구되는 위치 맞춤 정밀도에 의해 적절히 선택되나, 특히 열적 치수 변화가 작은 플라스틱, 세라믹, 금속 등으로 제작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플라스틱 재료로 서는, 유리 혼입 에폭시 재료, PPS(폴리페닐설파이드),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결정성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토대 및 토대각,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 광학 접속 부품(300, 300a, 300b)을 황동, 인청동, 스테인리스, 니켈 등의 금속으로 제작한 경우, 유지 부재와 프린트 기판, 또는, 금속제의 위치 고정 부재 또는 유지 고정 부재와 땜납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광파이버 등의 광 전송 매체를 기판상 내지는 기판으로부터 꺼낼 때에 전자 소자의 실장(實裝)과 동(同)공정에서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의 판부(203)를 금속으로서 다른 부분 플라스틱으로 하거나, 광학 접속 부품(300a)의 토대각(317a, 317b)을 금속으로서 다른 부분을 플라스틱으로 한다고 하는 것처럼, 재료를 나누어 사용해도 된다.
또,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광 전송 매체와 면 발광 레이저 등의 광 기능 부품과의 사이에는, 굴절률 정합재(整合材)를 삽입할 수 있다. 굴절률 정합재는, 본 발명의 광학 접속 구조가 사용되는 환경 조건이나 제조 공정 등에 맞추어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한, 굴절률 정합재는 액상이여도 고체 상태여도 되며, 예를 들면 오일 형상, 그리스 형상, 젤 형상, 필름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예]
실시예 1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1~도 6).
우선,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미츠비시레이온사제 상품명: 에스카 외경 250 ㎛φ) 4개를 테이프화하여 광 전송 매체(1)로 하였다.
광 전송 매체(1)의 제작에는, 특원 2006-203140의 제조 지그(jig)를 사용하였다.
노즐로서, 니들(내경 1 ㎜: 무사시엔지니어링사제)을 사용하였다.
기판상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에이트 필름에 두께 25 ㎛의 점착층을 만들어 이루어진 점착 시트(총 뚜께 50 ㎛)를 설치하였다.
피복 재료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오사카유기화학공업사제 상품명: 비스코탁PM-654)를 사용하여,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로서 디스펜서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2.1 m의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을 기판상에 설치한 PET 점착 시트상에 평행하게 정렬시켜 붙였다.
다음으로, 정렬한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의 한쪽 끝 상부에 니들 구멍을 접근시키고, 니들 구멍의 중심이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의 중앙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 때, 니들의 높이를 기판으로부터 1 ㎜로 설정하였다.
디스펜서로 재료를 도출(塗出)하는 동시에 니들을 광파이버축 방향으로 2m이동시킴으로써 재료를 광파이버 심선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였다.
도포한 재료를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 자외선 처리(조사 강도 20 ㎽/㎠, 10초)하여 경화시켜, 테이프화한 광 전송 매체를 얻었다.
그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90도 꺾어 구부리고, 절곡부(8)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하고 절단면을 연마하여, 광 전송 매체(1)를 제작하였다.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성형하였다.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는 돌출부(202)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을 성형하고, 판부(203) 및 가압부(206)를 금속으로 일체 성형하였다. 가압부(206)는 금속을 둥글게 함으로써 그 탄성을 이용하는 구조로 하였다.
광 기능 부품(16)으로서 면 발광 레이저(후지제록스사제 파장 850 ㎚, 4 심), 토대(17)로서 폴리페놀설파이드 수지로 제작한 토대를 사용하였다.
우선, 광 전송 매체(1)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의 유지부(102)에 얹어 점착테이프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위치 맞춤부(H)와 광 기능 부품(16)을 위치 맞춤하여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토대상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그리고,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200)를 일체화하여 실시예 1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파이버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1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2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7 및 도 8).
실시예 2의 광학 접속 구조는,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볼록부를 갖 는 접속 부재(100a)로 바꾸고, 광 전송 매체(1)를 180° 구부려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다.
즉, 상기와 같게 제작한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180도 접어, 도 8과 같이 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구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1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으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3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9 및 도 10).
실시예 3의 광학 접속 구조는,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를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100b)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다.
베어링부(106), 편심 캠(107), 회전축(108)에는 금속을 사용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2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4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4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11).
광 전송 매체(1′)의 끝으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4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5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12~도 15).
우선,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미츠비시레이온사제 상품명: 에스카 외경 250 ㎛φ) 4개를 테이프화하여 광 전송 매체(1)로 하였다.
광 전송 매체(1)의 제작에는, 특개 2004-163634의 제조 지그를 사용하였다.
노즐로서, 니들(내경 1 ㎜: 무사시엔지니어링사제)를 사용하였다.
기판상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에 두께 25 ㎛의 점착층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점착 시트(총 두께 50 ㎛)를 설치하였다.
피복 재료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오사카유기화학공업사제 상품명: 비스코탁PM-654 )를 사용하고,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로서 디스펜서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2.1 m의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을 기판상에 설치한 PET 점착 시트상에 평행하게 정렬시켜 붙였다.
다음으로, 정렬한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의 한쪽 끝 상부에 니들 구멍을 근접시키고, 니들 구멍의 중심이 4개의 광파이버 심선의 중앙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 때, 니들의 높이를 기판으로부터 1 ㎜로 설정하였다.
디스펜서로 재료를 도출하는 동시에 니들을 광파이버 축방향으로 2m 이동시킴으로써 재료를 광파이버 심선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였다.
도포한 재료를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 자외선 처리(조사 강도 20 ㎽/㎠, 10 초)하여 경화시켜, 테이프화한 광 전송 매체를 얻었다.
그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90° 꺾어 구부리고 절곡부(8)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하고 절단면을 연마하여, 광 전송 매체(1)를 제작하였다.
광학 접속 부품(300)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로 성형하였다.
광 기능 부품(16)으로서 면 발광 레이저(후지제록스사제 파장 850 ㎚, 4 심), 토대(17a, 17b)로서 폴리페놀설파이드 수지로 제작한 토대를 사용하였다.
우선, 위치 맞춤부(H)로부터 광 기능 부품(16)이 보이도록, 광학 접속 부품(300)을 위치 맞춤하여 토대(17a, 17b)상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광 전송 매체(1)를 광학 접속 부품(300)의 유지부(302)를 따라 얹고, 절곡부(8)를 누름 벽(W)에 누른 상태에서 덮개(350)를 닫음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선단이 광 기능 부품(16) 방향을 향하고, 또한, 휨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5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8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6으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6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16).
실시예 6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학 접속 부품(300)을 토대각(117a, 117b)을 갖는 광학 접속 부품(300a)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은 구성이다.
토대각(317a, 317b)으로서는 실장용 황동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장용 황동 플레이트는 돌기를 갖는 판 모양의 부재로서, 광학 접속 부품(300)에 구멍을 뚫고 돌기를 삽입하여 열경화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광학 접속 부품(300)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위치 맞춤부(H)로부터 광 기능 부품(16)이 보이도록, 광학 접속 부품(300)을 위치 맞춤하여 기판(5)상에 땜납을 사용하여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광 전송 매체(1)를 광학 접속 부품(300)의 유지부(302)를 따라 얹고, 절곡부(8)를 누름 벽(W)에 누른 상태로 덮개(350)를 닫음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선단이 광 기능 부품(16) 방향을 향하고, 또한, 휨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2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9 dB 정도로서, 단거리 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7]
실시예 7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17~도 19).
실시 형태 7은,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300)을 광학 접속 부품(300b)으로 바꾸고, 광 전송 매체(1)를 180°구부려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다.
즉, 상기와 같게 제작한 광 전송 매체의 일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180° 접어 겹치고, 도 19와 같이 하여 광학 접속 구조를 구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1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8]
실시예 8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8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0).
광 전송 매체(1′)의 끝으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5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9]
실시예 9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9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1).
실시예 9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학 접속 부품(300)을 토대각(317a, 317b) 및 바닥판(318)을 갖는 광학 접속 부품(300c)으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5와 같은 구성이다.
바닥판(318)으로서 실장용 황동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장용 황동 플레이트는 돌기를 갖는 판 모양의 부재로서, 토대각(317a, 317b)에 구멍을 뚫고, 돌기를 삽입하여 열경화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광학 접속 부품(300c)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기판(5)상의 원하는 장소에 광학 접속 부품(300c)을 땜납을 이용하여 고정하였다.
다음으로, 광 전송 매체(1)를 광학 접속 부품(300c)의 유지부(302)를 따라 얹고, 절곡부(8)를 누름 벽(W)에 밀어붙인 상태로 덮개(350)를 닫음으로써, 광 전송 매체(1)를 선단이 광 기능 부품(16) 방향을 향하고, 또한 휨이 없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었다.
이상에 의해, 실시예 9의 광학 접속 구조를 형성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광 전송 매체(1)의 끝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8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학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으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2 및 도 23).
우선, 플라스틱 광파이버 심선(미츠비시레이온사제 상품명: 에스카 외경 250 ㎜φ) 4 개를 테이프화하여 광파이버 심선(3)으로 하였다.
광파이버 심선(3)의 제작에는 도 24의 제조 지그를 사용하였다.
노즐(N)로서 니들(내경 1 ㎜: 무사시엔지니어링사제)을 사용하였다.
기판(410)상에, 점착층 25 ㎛의 PET 점착 시트(총 두께 50 ㎛)를 설치하였다.
피복 재료로서는, 자외선 경화 수지(오사카유기화학공업사제 상품명; 비스코탁PM-654)를 사용하고, 공급하기 위한 재료 공급 장치로서 디스펜서(408)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2.1 m의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을 기판(410)상에 설치한 PET 점착 시트상에 평행하게 정렬시켜 붙였다.
다음으로 정렬한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의 한쪽 끝 상부에 니들 구멍을 접근시켜, 니들 구멍의 중심이 4개의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의 중앙이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 때, 니들의 높이를 기판으로부터 1 ㎜로 설정하였다.
디스펜서(408)로 재료를 도출하는 동시에 니들을 광파이버 축방향으로 2 m이동시킴으로써 재료를 광파이버 심선(401w~401z)의 상부 표면에 도포하였다.
도포한 재료를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해 자외선 처리(조사 강도 20 ㎽/㎠, 10 초)하여 경화시켜,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을 얻었다.
그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의 양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180도 접어 겹쳐, 도 25(b)에 나타내는 광 전송 매체(3a)를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프린트 기판(5)에 폭 4.6 ㎜이며 0.69 ㎜φ의 구멍을 2개 뚫고 가이드 핀(4)을 구멍에 삽입하여, 프린트 기판(5)에 접착하여 고정하였다.
가이드 핀(4)의 중간에 절곡부(8)의 선단을 위치 맞춤하고, 접어 겹쳐진 부분이 위쪽이 되도록 하고, 광 전송 매체(3a)를 멘딩 테이프(10)로 프린트 기판(5)상에 고정하였다.
그 후, 테이프 심선(7)의 선단이 장착된 MT 커넥터(2)와, 프린트 기판(5)상의 가이드 핀(4)을 위치 맞춤하고, MT 커넥터(2)로 광 전송 매체(3a)를 누르도록 하여, 도 22 및 도 23과 같이 광학 접속시켰다.
또, 플라스틱 광파이버(6)에는 0.5 ㎜φ의 것을 사용하였다.
테이프 심선(7)으로부터 파장 6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에 붉은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2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1]
실시예 11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6).
실시예 11의 광학 접속 구조는, 광 전송 매체(3a)를 광 전송 매체(3b)로 바꾼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0과 같은 구성이다.
상기에서 사용한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3)의 양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90도 접어 구부리고, 절곡부(9a)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하고(도 27(b)) 절단면을 연마하여,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 매체(3b)를 제작하였다(도 27(C)).
테이프 심선(7)으로부터 파장 6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에 붉은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0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2)
실시예 12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8).
우선, 실시예 10에서 제작한 광 전송 매체(3)의 양단을 직선 부위가 130 ㎜가 되도록 크랭크 모양으로 꺾어 구부리고, 절곡부(9a,9b)로부터 약 0.2 ㎜의 곳에서 절단하고 절단면을 연마하여, 본 실시예의 광 전송 매체(3c)를 제작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16), 토대(17)에는, 면 발광 레이저(16)(후지제록스사제 파장 850 ㎚, 4심), 폴리페닐설파이드 수지로 제작한 토대(17)를 사용하였다.
면 발광 레이저(16)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11 dB 정도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 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실시예 13]
실시예 13으로서, 전술의 실시 형태 13의 광학 접속 구조를 제작하였다(도 29).
면 발광 레이저(16)로부터 파장 850 ㎚의 레이저광을 입사시킨 결과, 플라스틱 광파이버(6)에 산란광의 출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사와 출사의 광 파워를 비교한 삽입 손실은 9 dB로서, 단거리를 연결하는 광접속 구조로서 충분히 실용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상에서 큰 스페이스를 점유하지 않고, 위치 맞춤이 용이하고 접속시간도 짧게 할 수 있어, 접속 및 접속 해제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가 적어도 되므로 코스트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의 광학 접속 구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실시 형태 1의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4는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실시 형태 1의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광 기능 부품을 위치 맞춤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실시 형태 1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일체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a)는 일체화전의 도면, (b)는 일체화시키고 있는 도면, (c) 일체화후의 도면
도 7은 실시 형태 2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Ⅱ-Ⅱ선 단면도, (c)는 사시도
도 8은 실시 형태 2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실시 형태 3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Ⅲ-Ⅲ선 단면도
도 10은 실시 형태 3의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유지전의 도면, (b)는 유지하고 있는 도면, (c) 유지되어 있는 도면
도 11은 실시 형태 4의 광학 접속 구조의 측면도
도 12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3은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에 광 전송 매체를 유지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는 유지전의 도면, (b)는 광 전송 매체를 삽입한 상태의 도면, (c)는 덮개를 닫고 있는 상태의 도면, (d)는 유지한 상태의 도면
도 15는 실시 형태 5의 광학 접속 부품을 토대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
도 16은 실시 형태 6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7은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Ⅴ-Ⅴ선 단면도
도 19는 실시 형태 7의 광학 접속 부품에 광 전송 매체를 유지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실시 형태 8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1은 실시 형태 9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2는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4는 광파이버 심선의 테이프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5는 실시 형태 10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광파이버 심선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 (b)는 꺾어 구부린 광파이버 심선
도 26은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7은 실시 형태 11의 광학 접속 구조에 사용되는 광파이버 심선의 제작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는 테이프화한 광파이버 심선, (b)는 꺾어 구부린 광 전송 매체, (c)는 꺾어 구부린 끝을 절단된 광 전송 매체, (d) 및 (e)는 별개 형태의 광 전송 매체
도 28은 실시 형태 12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29는 실시 형태 13의 광학 접속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부호의 설명
1, 1′…광 전송 매체, 2…MT 커넥터, 3a, 3b, 3c…광 전송 매체, 3, 3′…광파이버 심선, 3b′,3b″…광 전송 매체, 4…가이드 핀, 5…프린트 기판, 6…플라스틱 광파이버, 7…테이프 심선, 8, 8′, 9a, 9b…절곡부, 9a′, 9a″…절곡부, 10…멘딩 테이프, 16…광 기능 부품, 17, 17a, 17b…토대, 18…폴리이미드 필름, 19…보호 부품, 20…위치 맞춤 부품, 100, 100a, 100b, 100′…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 101, 101′…볼록부, 102, 102a…유지부, 103, 103′…언덕부, 106…베어링부, 107…편심 캠, 108…회전축, 200, 200′…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 201…오목부, 202, 202′…돌출부, 203, 203′…판부, 206, 206′…가압부, 300, 300a, 300b, 300c, 300′…광학 접속 부품, 301, 301′…어깨부, 302, 302b, 302′…유지부, 303, 303′…언덕부, 317a, 317b…토대각, 350, 350′…덮개, 351, 351′…회전축, 401w~401z…광파이버 심선, 404…피복 재료 도포 시작 위치, 405…피복 재료 도포 종료 위치, 407…점착테이프, 408…디스펜서, 409…1축 제어 로봇, 410…기판, 411…볼나사, 412…가동 유니트, 413…파이프, 414…구동축, 415…베어링, C…노치부, H…위치 맞춤부, L…빛, S…수납부, T…휨부, W…누름 벽

Claims (16)

  1.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수직으로 접속하는 광학 접속 부품으로서,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갖고,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상기 광 전송 매체가 위치 맞춤되어 유지되는 유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와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가 볼록부와 오목부를 끼워 맞춰서 착탈이 자유로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광 전송 매체를 유지하는 캠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를 갖는 접속 부재는, 상기 볼록부를 갖는 접속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광학 접속 부품.
  4.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는 광학 접속 부품으로서,
    상기 광 전송 매체가 유지되는 유지부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위치 맞춤하는 위치 맞춤부와, 누름 수단과 누름 벽을 구비하고,
    상기 누름 수단은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누름 벽에 밀어붙임으로써,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위치 맞춤부에 위치 맞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접속의 방향은, 상기 광 전송 매체의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은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상기 누름 벽에 밀어붙임으로써, 상기 광 전송 매체를 정형(整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7. 청구항 4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누름 수단은 캠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8. 청구항 4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토대각(土臺脚)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9.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부품.
  10. 청구항 1~6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학 접속 부품을 사용하여, 광 전송 매체와 광 기능 부품 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를 접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1. 기판상에 배치된 광 전송 매체를 광 기능 부품 및/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와 접속한 광학 접속 구조로서,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적어도 일단에 절곡부(切曲部)를 갖으며, 상기 절곡부와 상기 광 기능 부품 및/또는 다른 광 전송 매체가 접속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적어도 일단에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광 전송 매체가 180°로 꺾어 구부러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4.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광 전송 매체가 90°로 꺾어 구부러져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5.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상기 광 전송 매체는 양단에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광 기능 부품은 기판과 수직 방향으로 광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접속 구조.
KR1020070074505A 2006-07-26 2007-07-25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 KR1009041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03140 2006-07-26
JP2006203140 2006-07-26
JPJP-P-2006-00308613 2006-11-15
JP2006308613 2006-11-15
JPJP-P-2006-00316984 2006-11-24
JP2006316984 2006-11-24
JP2007167225 2007-06-26
JPJP-P-2007-00167225 2007-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328A true KR20080010328A (ko) 2008-01-30
KR100904131B1 KR100904131B1 (ko) 2009-06-24

Family

ID=38704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505A KR100904131B1 (ko) 2006-07-26 2007-07-25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025674A1 (ko)
EP (1) EP1882964B1 (ko)
JP (1) JP2009031380A (ko)
KR (1) KR100904131B1 (ko)
CN (1) CN101713848A (ko)
DE (1) DE602007011008D1 (ko)
TW (1) TW20082165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2927B2 (en) * 2008-05-30 2010-09-28 Corning Cable Systems Llc Bent optical fiber couplers and opto-electrical assemblies formed therefrom
JP2010237266A (ja) * 2009-03-30 2010-10-21 Hitachi Cable Ltd 光コネクタ
JP2010237267A (ja) * 2009-03-30 2010-10-21 Hitachi Cable Ltd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
CN101852898B (zh) 2009-03-30 2014-03-12 日立电线株式会社 光连接器及使用了光连接器的光纤模块
CA2819238A1 (en) 2010-11-30 2012-06-0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s and related cable assemblies
JP6278610B2 (ja) * 2012-09-28 2018-02-14 株式会社ヨコオ 光コネクタ用のプラグ、光コネクタ用のジャック、および光コネクタ
KR101443562B1 (ko) 2013-03-27 2014-11-03 옵티시스 주식회사 광 커넥터
CN204178014U (zh) * 2014-10-20 2015-02-2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光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5083A (en) * 1979-07-05 1981-02-13 Burr Brown Res Corp Thin film optical coupling to opto device mounted in planar
JPH11264920A (ja) * 1998-03-18 1999-09-28 Fujitsu Ltd 光伝送モジュール
JPH11344646A (ja) 1998-04-02 1999-12-14 Oki Electric Ind Co Ltd 光モジュ―ル、光ファイバ接続用プラグ、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光結合器
US6015239A (en) * 1998-04-20 2000-01-18 Cielo Communications, Inc. Passively aligned opto-electronic coupling assembly
US6116791A (en) * 1998-06-01 2000-09-12 Motorola, Inc. Optical coupler and method for coupling an optical fiber to an optoelectric device
WO2000008503A1 (fr) * 1998-08-04 2000-02-1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daptateur de connecteur de module optique, produit de module optique et produit de substrat de montage du module optique
DE19861162A1 (de) * 1998-11-06 2000-06-29 Harting Elektrooptische Bauteile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Leiterplatte sowie Leiterplatte
JP2003207694A (ja) * 2002-01-15 2003-07-25 Nec Corp 光モジュール
JP2004246279A (ja) * 2003-02-17 2004-09-02 Seiko Epson Corp 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光通信装置、光電気混載集積回路、回路基板、電子機器
WO2004097480A1 (ja) * 2003-04-30 2004-11-11 Fujikura Ltd. 光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コネクタホルダ、光コネクタ
US7255495B2 (en) * 2004-11-15 2007-08-14 Avago Technologies Fiber Ip (Singapore) Pte. Ltd. Axis translation installation mechanism for optoelectronic modules
JP4705432B2 (ja) * 2005-03-28 2011-06-22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730833B1 (ko) * 2005-05-31 2007-06-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플라스틱 광섬유용 기계식 광접속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2964B1 (en) 2010-12-08
EP1882964A2 (en) 2008-01-30
EP1882964A3 (en) 2008-04-02
DE602007011008D1 (de) 2011-01-20
TW200821652A (en) 2008-05-16
US20080025674A1 (en) 2008-01-31
JP2009031380A (ja) 2009-02-12
KR100904131B1 (ko) 2009-06-24
CN101713848A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131B1 (ko) 광학 접속 부품 및 광학 접속 구조
US8422836B2 (en) Printed circuit board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9316796B2 (en) Fiber pigtail with integrated lid
US20050018993A1 (en) Optical ferrule
CN103676032B (zh) 连接器及其制造方法和光学通信系统
US20060120673A1 (en) Optical connector assembly,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aligning such a coupling device and a waveguide structure
US7522807B2 (en) Optical connector assembly
US9857539B2 (en) Connector for waveguide and alignment method
JP2007178852A (ja) 光配線基板及びこ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
JP5296484B2 (ja) 光ファイバ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328532B2 (ja) 光コネクタ
JP6268918B2 (ja) 光ファイバ接続構造、光ファイバ接続方法、及び光モジュール
JP2009192834A (ja) 光ファイバおよび光学接続構造
JP2008152060A (ja) 光路変換型光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回路基板
US20070189696A1 (en) Optical board connector assembly
JP5284908B2 (ja) 光ファイバのガイド部材を装着する方法、それが用いられる装着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のガイド部材
JP4960297B2 (ja) 光学接続構造
JP2010066474A (ja) 光学接続構造
Palen Low cost optical interconnects
JP2010122292A (ja) 光フェル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55179A (ja) 光コネクタ
JP2015079061A (ja) 光モジュール、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及び光モジュールの組立方法
JP2008185766A (ja) 光学接続構造
US11256037B2 (en) Optical-path-bending connector and optical-path-bending connector assembly
JP2009210793A (ja) 光学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