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977U -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 Google Patents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977U
KR20080005977U KR2020070009041U KR20070009041U KR20080005977U KR 20080005977 U KR20080005977 U KR 20080005977U KR 2020070009041 U KR2020070009041 U KR 2020070009041U KR 20070009041 U KR20070009041 U KR 20070009041U KR 20080005977 U KR20080005977 U KR 200800059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protrusion
plate
inclined surface
pu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90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영
Original Assignee
이봉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영 filed Critical 이봉영
Priority to KR20200700090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5977U/ko
Publication of KR200800059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97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 B21D5/0227Length adjustment of the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81Workpiece suppo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다양한 절곡폭을 갖는 판재를 절곡 성형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가 개시된다. 본 판재절곡용 가변다이는 중앙영역에 설치공간을 갖으며 양단에 제 1,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제 1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과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제 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에 의해 다양한 절곡폭을 갖는 판재를 손쉽게 절고 성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판재, 절곡, 가변다이, 이동블록, 조임부재

Description

판재절곡용 가변다이{VARIABLE PEDESTAL FOR FOLD METALLIC PLATE}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다른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부재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및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에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가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20 : 이동블록
30 : 간격조절부재 40 : 조임부재
50 : 가이드부재 60 :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
본 고안은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절 곡폭을 갖는 판재를 절곡 성형할 수 있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벤딩(bending)은 가공재에 소성역에 달할 수 있는 힘을 가하여 굽혀 목적하는 형상으로 가공하는 방법이다. 벤딩가공은 열간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냉간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나, 박판은 냉간가공, 후판은 열간가공한다. 벤딩에는 프레스 브레이크(press brake)를 사용하여 펀치와 다이로 벤딩하는 가공법, 곡절기(folding machine) 또는 일반 프레스를 사용하는 경우 및 로울러를 사용하는 경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프레스 브레이크는 긴 판재를 굽히는데 쓰이는 굽힘 전용기계로서 기계의 크기는 전체의 넓이와 굽힐 수 있는 판의 두께나 톤수로 나타낸다. 프레스와 같이 램의 구동방식에 따라 크랭크식, 편심식, 유압식 등이 널리 사용되며, 건축용, 금속제품, 전기기기, 조명기기, 통신기기, 차량, 선박 그밖에 여러 가지 제관용 용기 제작에 이르기 까지 활용 범위가 넓다. 프레스 브레이크는 마찰 클러치가 많이 쓰이며, 행정(stroke)의 길이는 행정 조정용 보조 전동기에 의해 조정된다. 프레스 브레이크의 장점은 작업면이 길므로 여러 가지 소재의 동시 가공이 가능하다. 강력한 압력이 작용하므로 굽힘 정도가 좋다. 상하 성형 금형을 바꾸어 끼우면 여러 가지 응용 가공이 가능하다. 유압식의 경우 행정 조정이 가능하고 대량 생산용으로 적당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판재의 절곡되는 폭을 달리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다이를 제작하여 그때마다 교환하여 사용하였다.
이는 다양한 다이의 제작에 따른 비용의 상승과 작업시간의 손실이라는 문제 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다이의 교체 없이 판재의 절곡되는 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중앙영역에 설치공간을 갖으며 양단에 제 1,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제 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를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두께는 10 ~ 7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중심에 판재 를 절곡하기 위한 펀치의 중심을 위치하도록 상기 펀치의 중심을 교정하기 위한 중심교정플레이트가 본체의 양측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는 다양한 절곡폭을 갖는 판재의 가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재 절곡용 가변다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결합상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재절곡용 가변다이는 본체(10)와 본체(10)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20)과 간격조절부재(30)와 이동블록(20)을 고정하기 위한 조임부재(40)로 구성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는 소정의 길이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그 중앙영역에는 설치공간을 갖으며 양단에는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된 제 1,2 돌출부(12,14)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돌출부(12)의 상부 일측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1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2a)은 성형하려는 판재의 절곡각에 따라 다양한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45°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 2 돌출부(14)의 중앙영역에는 관통공(14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조임부재(40)가 삽입된다.
이동블록(20)은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대응되는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본체(10)의 설치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의 반대 면 중앙영역에는 암나사(24)가 형성된다.
간격조절부재(30)는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돌출부(14)와 이동블록(20)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조임부재(4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측으로 개구된 회피홈(32)이 형성된다. 그리고 간격조절부재(30)는 10~70m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간격조절부재(30)의 두께에 의해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다양한 절곡폭(W)을 갖는 판재의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조임부재(40)는 이동블록(20)을 조여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 끝단 영역에는 수나사(44)가 형성된다, 타측 끝단에는 조임부재(4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부재(40)는 제 2 돌출부(14)의 관통공(14a)에 삽입되고 간격조절부재(30)의 회피홈(32)을 통하여 이동블록(20)의 암나사(24)에 체결되어 결합된다.
한편, 이동블록(20)의 양측에는 이동블록(20)이 평행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재(50)가 구비된다. 가이드부재(50)는 이동블록(20)의 양측에 접촉되어 본체(1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본체(10)의 양측에는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가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는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 의 경사면(22a) 사이의 중심에 펀치(P)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펀치안착홈(62)이 형성된다. 간격조절부재(30)의 두께에 따라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가 각각 구비된다.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는 판재를 절곡 성형하기 전에 본체(10)에 부착하여 펀치(P)의 중심을 이동시켜 펀치안착홈(62)과 펀치(P)의 끝단이 일치되도록 교정한 후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를 제거하여 판재를 절곡 성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후술하는 간격조절부재(30)의 두께는 10mm이며 절곡하는 판재의 절곡폭(W)은 80mm인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조임부재(40)를 회전시켜게 되면, 이동블록(20)의 암나사(24)에 나사결합된 조임부재(40)의 수나사(44)가 회전하며 이동블록(20)을 제 1 돌출부(12) 측으로 이동시켜 이동블록(20)과 제 2 돌출부(14) 사이가 벌어진다. 이때, 이동블록(20)의 양측에 설치된 가이드부재(50)에 의해 이동블록(20)은 평행하게 이동된다. 이어서 이동블록(20)과 제 2 돌출부(14) 사이에 10mm 두께의 간격조절부재(30)를 끼워넣는다. 간격조절부재(30)가 이동블록(20)과 제 2 돌출부(14)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임부재(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임부재(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동블록(20)이 제 2 돌출부(14) 측을 이동하게 된다. 이동블록(20)이 계속해서 이동하여 간격조절부재(30)와 접하며 가압하여 이동블록(20)과 간격조절부재(30)와 제 2 돌출부(14)가 조임부재(4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절곡폭(W) 즉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 사이의 거리는 80mm가 된다. 이어서 성형하려는 판재를 제 1 돌출부(12)와 이동블록(20)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펀치(P)를 하부방향으로 작동시키게 되면 펀치(P)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하여 판재를 가압하며 이동하여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에 판재가 접촉되어 절곡된다. 따라서 80mm의 절곡폭(W)을 갖는 판재가 성형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폭(W)이 20mm인 판재를 성형하려면, 이동블록(20)과 제 2 돌출부(14) 사이에 70mm 두께의 간격조절부재(30)를 이용하여 판재를 절곡하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부재(30)의 두께에 따라 제 1 돌출부(12)의 경사면(12a)과 이동블록(20)의 경사면(22a) 사이의 중심이 변하게 되므로, 간격조절부재(30)의 두께에 따라 구비된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를 본체(10)의 양측에 부착하여 c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의 상부에 형성된 펀치안착홈(62)에 펀치(P)의 중심을 일치하도록 펀치(P)를 이동하여 펀치(P)의 끝단을 펀치안착홈(62)에 안착시켜 중심을 교정한 후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60)를 제거한 후 판재를 절곡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부재(30)에 의해 다양한 절곡폭을 갖는 판재의 성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판재절곡용 가변다이는 다양한 두께를 갖는 간격조절부재에 의해 다양한 절곡폭을 갖는 판재의 성형이 가능하며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각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중앙영역에 설치공간을 갖으며 양단에 제 1,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의 상부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본체;
    상기 제 1 돌출부의 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상기 제 2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에 구비되는 간격조절부재; 및
    상기 제 2 돌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록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두께는 10 ~ 7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재는 상기 조임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부영역에 회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의 양측에는 상기 이동블록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이동블록 사이의 중심에 판재를 절곡하기 위한 펀치의 중심을 위치하도록 상기 펀치의 중심을 교정하기 위한 펀치중심교정플레이트가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KR2020070009041U 2007-06-01 2007-06-01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KR2008000597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1U KR20080005977U (ko) 2007-06-01 2007-06-01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9041U KR20080005977U (ko) 2007-06-01 2007-06-01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977U true KR20080005977U (ko) 2008-12-04

Family

ID=41326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9041U KR20080005977U (ko) 2007-06-01 2007-06-01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597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8474A (zh) * 2011-04-22 2011-09-28 昆山长鹰硬质合金有限公司 一种生产长板条模具
KR101879048B1 (ko) * 2016-10-18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공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8474A (zh) * 2011-04-22 2011-09-28 昆山长鹰硬质合金有限公司 一种生产长板条模具
KR101879048B1 (ko) * 2016-10-18 2018-07-16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1181123A (ja) 曲げ加工方法
US9669448B2 (en)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stamped parts
CN102078896A (zh) 拉伸成形装置和用于工件的拉伸成形方法以及拉伸成形部件
CN110695207A (zh) 一种冲孔与折弯一体的治具和加工设备
KR20080005977U (ko) 판재절곡용 가변다이
CN210817012U (zh) 一种冲孔与折弯一体的治具和加工设备
CN112705626B (zh) 一种汽车零件的加工模具及其加工工艺
KR100517370B1 (ko) 스프링백 방지를 위한 벤딩 금형 장치
US563218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orrugated sheet with plane-parallel outer edge surfaces
SU1719126A1 (ru) Штамп дл гибки и плющени краев листовых заготовок
CN110293162B (zh) 型材多弧度成型装置
KR20210017804A (ko) 프레스 장치
RU2746193C1 (ru) Штамп для обработки концевых участков балки П-образного сечения
CN217070355U (zh) 一种用于料片边缘冲孔加工的模具工装
KR102134042B1 (ko) 전기자동차 al 배터리 케이스 절곡 성형기
JP7080157B2 (ja) プレ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RU2246366C1 (ru) Штамп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листовых деталей с гофрами
CN219520094U (zh) 冲头及冲压模具
CN211247975U (zh) 一种铝型材折弯模具
KR101748965B1 (ko) 소재 절곡기의 상부금형본체 구조
CN209222934U (zh) 一种板材成型机
US71114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urvature in sheet metal
CN220782022U (zh) 方便微调的电视机支架精密冲压模具
CN210547083U (zh) 冲压工件熨薄装置
CN215544268U (zh) 一种带限位组件的折弯冲压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