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678U -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678U
KR20080004678U KR2020070006034U KR20070006034U KR20080004678U KR 20080004678 U KR20080004678 U KR 20080004678U KR 2020070006034 U KR2020070006034 U KR 2020070006034U KR 20070006034 U KR20070006034 U KR 20070006034U KR 20080004678 U KR20080004678 U KR 200800046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outlet
switch
box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오
Original Assignee
박성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오 filed Critical 박성오
Priority to KR2020070006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678U/ko
Publication of KR200800046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67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5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separate from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개방단부를 갖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된 콘센트박스, 상기 콘센트박스의 개방단부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어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몸체, 상기 단자몸체에 장착수단으로 장착되어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관통되도록 플러그홀이 천공된 콘센트커버, 상기 콘센트박스의 개방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단자몸체의 테두리에 성형된 후크홈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박스에는 후크결합되는 단자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콘센트박스와 단자몸체 및 콘센트커버를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노출, 콘센트, 스위치, 후크, 주름관.

Description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STRUCTURE OF OUTLET}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콘센트박스 20 : 단자몸체
30 : 콘센트커버 40, 400 : 주름관
50, 500 : 결합구 100 : 스위치박스
200 : 접점몸체 300 : 스위치커버
EW : 전선
본 고안은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콘센트 및 스위치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노출형 콘센트는 옥내배선에 연결되도록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러한 노출형 콘센트는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콘센트박스와, 상기 콘센트박스에 결합되어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속단자를 갖는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접속단자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관통공이 천공되어 단자몸체에 결합되는 콘센트커버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박스의 내면으로는 록킹홈이 구비되어 탭홀이 형성된 미들플레이트가 록킹되고, 단자몸체에는 탭홀로 나사결합되는 고정볼트가 관통되도록 통공이 형성되어 콘센트박스에 나사결합되며, 커버에는 수후크가 구비되어 암후크가 구비된 단자몸체에 후크결합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박스에는 접속단자에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되도록 전선홀이 천공되어 전선을 내장하는 전선관이 전선홀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결합수단은 전선홀에 고정되어 외주면으로 수나사가 형성된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의 수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구비된 연결구를 갖는 전선관으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콘센트는, 콘센트박스의 록킹홈으로 미들플레이트를 억지끼움에 의해 록킹하고 전선이 연결된 단자몸체를 콘센트박스에 결합하기 위 해 매번 고정볼트로 나사결합 해야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종래의 콘센트는 전선관에 내장된 전선을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고정구와 연결구를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함에 따라 전선관을 콘센트박스에 연결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콘센트 및 스위치를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개방단부를 갖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된 콘센트박스, 상기 콘센트박스의 개방단부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어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몸체, 상기 단자몸체에 장착수단으로 장착되어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관통되도록 플러그홀이 천공된 콘센트커버, 상기 콘센트박스의 개방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단자몸체의 테두리에 성형된 후크홈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박스에는 후크결합되는 단자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되도록 콘센트박 스에 천공된 전선홀의 내경 양측으로 후크아이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아이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결합후크가 구비된 결합구의 내경으로는, 전선을 내장한 주름관의 주름홈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은 단자몸체에 천공된 후크홀에 탄력적으로 후크장착되도록 콘센트커버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벽면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개방단부를 갖도록 수용공간이 구비된 스위치박스, 상기 스위치박스의 개방단부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어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며 접점을 전환시키도록 버튼이 구비된 접점몸체, 상기 접점몸체에 장착수단으로 장착되어 버튼이 노출되도록 플러그홀이 천공된 스위치커버, 상기 스우치박스의 개방단부에 일체로 성형된 탄성후크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접점몸체의 테두리에 성형된 후크홈을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박스에는 후크결합되는 접점몸체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이 관통되도록 스위치박스에 천공된 전선홀의 내경 양측으로 후크아이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아이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결합후크가 구비된 결합구의 내경으로는, 전선을 내장한 주름관의 주름홈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접점몸체에 천공된 후크홀에 탄력적으로 후크 장착되도록 스위치커버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벽면(1)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콘센트박스(10)와, 상기 콘센트박스(10)에 결합수단(M1)으로 결합되는 단자몸체(20)와, 상기 단자몸체(20)에 장착되는 콘센트커버(30)로 구성된다.
상기 콘센트박스(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전면부에 개방단부(12)를 갖도록 수용공간(11)이 구비되며, 이 개방단부(12)의 상부 및 하부에는 탄성후크(13)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콘센트박스(10)의 일측에는 전선(EW)이 관통되도록 전선홀(14)이 천공된다. 이러한 콘센트박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0)에 노출되도록 고정볼트(17)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술하는 단자몸체(2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16)가 일체로 성형된다. 아울러,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에는 분리홈(17)이 형성되어 결합된 단자몸체(2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후크(13)는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는 단자몸체(20)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콘센트박스(1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이어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자몸체(20)는 플러그의 접속핀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콘센트박스(10)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자몸체(20)의 후면에는 접속단자부(21)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안착되도록 플러그시트(22)가 구비된다. 그리고 단자몸체(20)의 상부 및 하부 양측 테두리에는 후크홈(23)이 일체로 성형되어 콘센트박스(10)의 탄성후크(13)와 후크결합되며, 이에 따라 콘센트박스(10)에 결합된 단자몸체(20)는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단자몸체(20)의 후면은 콘센트박스(10)의 서포트리브(16)에 지지되어 수용공간(11) 측으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단자몸체(20)와 콘센트박스(1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M1)은 탄성후크(13) 및 후크홈(23)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즉,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 내측면으로 단자몸체(20)의 테두리가 끼움결합될 때, 탄성후크(13)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후크홈(23)에 후크결합되어 단자몸체(20)의 이탈이 방지되며, 이같이 후크결합된 단자몸체(20)는 서포트리브(16)에 의해 지지되어 수용공간(11) 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콘센트박스(10)와 단자몸체(20)는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단자몸체(20)를 콘센트박스(10)에서 분리할 경우, 분리홈(17)으로 십자형 드라이버를 넣고 단자몸체(20)를 일정한 힘을 주어 당기면, 탄성후크(13)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단자몸체(20)의 후크홈(23)에서 이탈됨에 따라, 단자몸체(20)는 콘센트박스(10)에서 분리된다.
상기 콘센트커버(30)는 단자몸체(20)에 장착수단(M2)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콘센트커버(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몸체(20)의 플러그시트(22) 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플러그홀(32)이 천공되어 플러그가 관통된다. 그리고 장착수단(M2)은 단자몸체(20)에 천공된 후크홀(24)과, 이 후크홀(24)에 탄력적으로 후크장착되도록 콘센트커버(30)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34)로 구현된다. 즉, 콘센트커버(30)를 단자몸체(20)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후크(34)를 후크홀(24)로 삽입하면, 장착후크(34)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후크홀(24)로 삽입되어 단자몸체(20)에 콘센트커버(3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콘센트커버(30)의 내측 단부(31)는 도 2에서와 같이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에 접촉되어 단자몸체(20)를 차폐한다.
이와는 다르게, 콘센트커버(30)를 단자몸체(20)에서 분해할 경우, 콘센트커버(30)의 일측에 형성된 분해홈(33)으로 십자형의 드라이버를 넣고 콘센트커버(30)를 일정한 힘을 주어 당기면, 장착후크(34)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단자몸체(20)의 후크홀(24)에서 이탈됨에 따라, 콘센트커버(30)가 단자몸체(20)에서 분리된다.
한편, 콘센트박스(10)의 전선홀(14)에는 전선(EW)이 관통되어 단자몸체(20)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선홀(14)의 내경 양측으로는 후크아이(15)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홀(14)에는 전선(EW)을 내장한 주름관(40)의 단부에 연결된 결합구(5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구(5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경으로는 주름관(40)의 주름홈(42)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52)이 일체로 성형되고, 외측단부의 양측에는 결합후크(54)가 일체로 성형되어 후크아이(15)에 후크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결합구(50)를 좀 더 살펴보면, 결합구(50)의 내경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성형된 후크편(52)은 주름관(40)의 단부로 끼워지면서 탄성변형되어 주름홈(42)에 후크결합되는 주름관(40)에 견고히 연결되며, 이같이 주름관(40)에 연결된 결합구(50)는 전선홀(14)로 끼워지면서 결합후크(54)가 탄성변형되어 후크아이(15)에 후크결합됨에 따라 콘센트박스(10)에 견고히 결합된다. 여기서, 주름관(40)은 결합구(5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후크결합되는 반면에, 주름관(40)을 당기면 후크편(52)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콘센트박스(10)와 단자몸체(20) 및 콘센트커버(30)를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간편히 결합함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또한, 전선이 내장된 주름관도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간편히 결합하므로 콘센트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은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상술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벽면(1)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는 스위치박스(100)와, 상기 스위치박스(100)에 결합수단(M3)으로 결합되어 접점을 전환시키도록 버튼(250)이 구비된 접점몸체(200)와, 상기 접점몸체(200)에 장착되는 스위치커버(300)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박스(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로 형성되 어, 전면부에 개방단부(120)를 갖도록 수용공간(110)이 구비되며, 이 개방단부(12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탄성후크(130)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스위치박스(100)의 일측에는 전선(EW)이 관통되도록 전선홀(140)이 천공된다. 이러한 스위치박스(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1)에 노출되도록 고정볼트(170)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는 후술하는 접점몸체(2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160)가 일체로 성형된다. 아울러,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부(120)에는 분리홈(170)이 형성되어 결합된 접점몸체(200)를 용이하게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후크(130)는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부(120)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는 접점몸체(200)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스위치박스(100)의 내측면에 수평으로 연이어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점몸체(200)는 전류가 전도되는 접점을 전환시키도록 버튼이 구비되어 스위치박스(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접점몸체(200)의 후면에는 접점부(210)가 구비되고 전면에는 버튼(250)이 구비된다. 그리고 접점몸체(200)의 상부 및 하부 양측 테두리에는 후크홈(230)이 일체로 성형되어 스위치박스(100)의 탄성후크(130)와 후크결합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박스(100)에 결합된 접점몸체(200)는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접점몸체(200)의 후면은 스위치박스(100)의 서포트리브(160)에 지지되어 수용공간(110) 측으로 밀리지 않는다.
따라서, 접점몸체(200)와 스위치박스(100)를 결합하는 결합수단(M3)은 탄성후크(130) 및 후크홈(230)으로 구현되는 것이다. 즉,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 부(120) 내측면으로 접점몸체(200)의 테두리가 끼움결합될 때, 탄성후크(13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후크홈(230)에 후크결합되어 접점몸체(200)의 이탈이 방지되며, 이같이 후크결합된 접점몸체(200)는 서포트리브(160)에 의해 지지되어 수용공간(110) 측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스위치박스(100)와 접점몸체(200)는 견고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는 다르게, 접점몸체(200)를 스위치박스(100)에서 분리할 경우, 분리홈(170)으로 십자형 드라이버를 넣고 접점몸체(200)를 일정한 힘을 주어 당기면, 탄성후크(130)이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점몸체(200)의 후크홈(230)에서 이탈됨에 따라, 접점몸체(200)는 스위치박스(1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스위치커버(300)는 접점몸체(200)에 장착수단(M4)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커버(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점몸체(200)의 버튼이 노출되도록 버튼홀(320)이 천공된다. 그리고 장착수단(M4)은 접점몸체(200)에 천공된 후크홀(240)과, 이 후크홀(240)에 탄력적으로 후크장착되도록 스위치커버(300)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340)로 구현된다. 즉, 스위치커버(300)를 접점몸체(200)에 장착하기 위해 장착후크(340)를 후크홀(240)로 삽입하면, 장착후크(34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후크홀(240)로 삽입되어 접점몸체(200)에 스위치커버(300)가 장착되는 것이다. 이때, 스위치커버(300)의 내측 단부(310)는 도 2에서와 같이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부(120)에 접촉되어 접점몸체(200)를 차폐한다.
이와는 다르게, 스위치커버(300)를 접점몸체(200)에서 분해할 경우, 스위치커버(300)의 일측에 형성된 분해홈(330)으로 십자형의 드라이버를 넣고 스위치커 버(300)를 일정한 힘을 주어 당기면, 장착후크(340)가 탄력적으로 변형되면서 접점몸체(200)의 후크홀(240)에서 이탈됨에 따라, 스위치커버(300)가 접점몸체(200)에서 분리된다.
한편, 스위치박스(100)의 전선홀(140)에는 전선(EW)이 관통되어 접점몸체(200)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선홀(140)의 내경 양측으로는 후크아이(15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홀(140)에는 전선(EW)을 내장한 주름관(400)의 단부에 연결된 결합구(500)가 결합되는데, 이러한 결합구(50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경으로는 주름관(400)의 주름홈(420)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520)이 일체로 성형되고, 외측단부의 양측에는 결합후크(540)가 일체로 성형되어 후크아이(150)에 후크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결합구(500)를 좀 더 살펴보면, 결합구(500)의 내경을 따라 적절한 간격으로 성형된 후크편(520)은 주름관(400)의 단부로 끼워지면서 탄성변형되어 주름홈(420)에 후크결합되는 주름관(400)에 견고히 연결되며, 이같이 주름관(400)에 연결된 결합구(500)는 전선홀(140)로 끼워지면서 결합후크(540)가 탄성변형되어 후크아이(150)에 후크결합됨에 따라 스위치박스(100)에 견고히 결합된다. 여기서, 주름관(400)은 결합구(500)의 내경으로 끼워지면서 후크결합되는 반면에, 주름관(400)을 당기면 후크편(520)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스위치박스(100)와 접점몸체(200) 및 스위치커버(300)를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간편히 결합함에 따 라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또한, 전선이 내장된 주름관(400)도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간편히 결합하므로 스위치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는 콘센트박스와 단자몸체 및 콘센트커버를 한 번의 후크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는 스위치박스와 접점몸체 및 스위치커버를 한 벙의 후크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벽면(1)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개방단부(12)를 갖도록 수용공간(11)이 구비된 콘센트박스(10), 상기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어 수용공간(11)으로 수용되도록 접속단자가 구비된 단자몸체(20), 상기 단자몸체(20)에 장착수단(M2)으로 장착되어 접속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가 관통되도록 플러그홀(32)이 천공된 콘센트커버(30), 상기 콘센트박스(10)의 개방단부(12)에 일체로 성형된 탄성후크(13)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단자몸체(20)의 테두리에 성형된 후크홈(23)을 포함하는 결합수단(M1)을 포함하되,
    상기 콘센트박스(10)에는 후크결합되는 단자몸체(2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16)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EW)이 관통되도록 콘센트박스(10)에 천공된 전선홀(14)의 내경 양측으로 후크아이(15)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아이(15)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결합후크(54)가 구비된 결합구(50)의 내경으로는, 전선(EW)을 내장한 주름관(40)의 주름홈(42)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5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M2)은,
    상기 단자몸체(20)에 천공된 후크홀(24)에 탄력적으로 후크장착되도록 콘센트커버(30)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콘센트의 결합구조.
  4. 벽면(1) 또는 바닥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개방단부(120)를 갖도록 수용공간(110)이 구비된 스위치박스(100), 상기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부(120) 내측면으로 끼움결합되어 수용공간(110)으로 수용되며 접점을 전환시키도록 버튼(250)이 구비된 접점몸체(200), 상기 접점몸체(200)에 장착수단(M4)으로 장착되어 버튼(250)이 노출되도록 버튼홀(320)이 천공된 스위치커버(300), 상기 스위치박스(100)의 개방단부(120)에 일체로 성형된 탄성후크(130)가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접점몸체(200)의 테두리에 성형된 후크홈(230)을 포함하는 결합수단(M3)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박스(100)에는 후크결합되는 접점몸체(200)의 후면을 지지하도록 서포트리브(160)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몸체(200)의 접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EW)이 관통되도록 스위치박스(100)에 천공된 전선홀(140)의 내경 양측으로 후크아이(150)를 형성하고,
    상기 후크아이(150)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결합후크(540)가 구비된 결합구(500)의 내경으로는, 전선(EW)을 내장한 주름관(400)의 주름홈(420)에 탄력적으로 후크결합되도록 복수개의 후크편(5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M4)은,
    상기 접점몸체(200)에 천공된 후크홀(240)에 탄력적으로 후크장착되도록 스위치커버(100)에 일체로 성형된 장착후크(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20070006034U 2007-04-12 2007-04-12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KR200800046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34U KR20080004678U (ko) 2007-04-12 2007-04-12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034U KR20080004678U (ko) 2007-04-12 2007-04-12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678U true KR20080004678U (ko) 2008-10-16

Family

ID=4150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034U KR20080004678U (ko) 2007-04-12 2007-04-12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6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03A (zh) * 2022-09-19 2022-12-09 武汉合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桩防拉拽保护机构以及充电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59003A (zh) * 2022-09-19 2022-12-09 武汉合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桩防拉拽保护机构以及充电桩
CN115459003B (zh) * 2022-09-19 2024-05-10 武汉合智数字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桩防拉拽保护机构以及充电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JP2012228079A (ja) 電線挿通部の結束バンド組付構造
EP2202853B1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CN113328268B (zh) 连接组件、线缆插头以及线缆组件
KR20080004678U (ko) 노출형 콘센트 및 스위치의 결합구조
CN218940121U (zh) 接线胶壳组件
CN113328269B (zh) 连接组件、线缆插头以及线缆组件
CN108988017B (zh) 一种连接器
JP5958859B2 (ja) コンセント
KR20100013632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210006648U (zh) 电开关底座及具有其的按动开关
WO2022218070A1 (zh) 连接组件、线缆插头以及线缆组件
CN201048186Y (zh) 插拔式电源连接器
KR101811357B1 (ko) 전원 플러그의 전기접속용 단자 어셈블리
KR100900306B1 (ko) 리프 멀티 커넥터의 결합장치
CN212366676U (zh) 一种压线结构及电器设备
KR200387831Y1 (ko) 콘센트
KR20100013016U (ko) 전선의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한 전기플러그
CN215951214U (zh) 一种快速安装卡座及具有其的灯具组件
CN214046381U (zh) 电器盒及具有其的空调器
JP5650913B2 (ja) 抜止形差込プラグ
KR20100002921A (ko) 커넥터하우징
KR200800865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55646B1 (ko) 리어 홀더 일체형 터미널 커넥터
CN109950718B (zh) 连接线组件和料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