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493A -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493A
KR20080004493A KR1020077023251A KR20077023251A KR20080004493A KR 20080004493 A KR20080004493 A KR 20080004493A KR 1020077023251 A KR1020077023251 A KR 1020077023251A KR 20077023251 A KR20077023251 A KR 20077023251A KR 20080004493 A KR20080004493 A KR 2008000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transmitting
emitting points
optical element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치오 초
켄지 호시노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30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 G02B7/32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using parallactic triangle with a base line using active means, e.g. light e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1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in combination with active ranging signals, e.g. using light or sound signals emitted toward obj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cu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고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조사를 행할 수 있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에 탑재되기 적합한 투광 모듈이 제공된다. 이 장치는 3개의 영역으로 렌즈를 분할하여 도 11의 부분(b)에 도시된 투광 패턴으로 피사체에 3개의 광점으로부터의 광을 투광한다. 3개의 광점으로부터의 광은 영역 분할된 각 투광부의 사용으로 3개의 빔으로 각각 형성되고, 3개의 빔 세트의 단일 광빔은 서로 오버랩되도록 투광된다.
투광 소자, 촬영 장치, 투광 모듈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IMAGE-TAKING APPARATUS AND PROJECTION MODULE}
본 발명은 촬상 소자를 제공하고 촬상 소자상에 피사체상을 형성해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영 장치 및 광빔을 투광하도록 구성된 투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의 결상 상태를 기초로 초점을 조절하는 오토 포커싱부를 구비한 촬영 장치는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검출해서 초점을 피크가 얻어지는 위치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사계의 저휘도로 인해 피사체와 피사계 사이의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없으면 합초 성능이 감소되고 최악의 경우에 합초 불능 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합초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보조광을 피사체에 투광함으로써 피사체를 조사해서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킴으로써 합초 성능을 개선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다. 저소비 전력의 발광다이오드 등이 그러한 투광용의 광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광 다이오드가 오토 포커싱부의 광원으로서 사용되면 광량은 저소비 전력으로 인해 결핍되어 전체적으로 조사가 어두워지고 피사체 콘트라스트가 얻어질 수 없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기 위해 집광 렌즈 등을 사용하고 피사체를 향해서 빔 형상으로 보조광을 투광해서 둘레부에 관해서만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얻음으로써 합초 성능을 향상시키려고 하는 시도가 있다.
여기서, 빔 형상으로 보조광을 투광하고 투광부에서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얻도록 구성된 오토 포커싱부의 결점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LED와 집광 렌즈를 포함하는 보조광 투광부를 제공하는 촬영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보조광 투광부에 내장된 LED(210)와 LED(210)로부터 출사된 광을 빔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된 이 경우 집광 렌즈(211)인 투광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광 투광창의 위치와 촬영 광학계의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 위치로부터 방출된 보조광의 광축과 촬상 광축 사이의 차이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보조광 투광부와 촬영 광학계 사이의 시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광 투광창(21)이 촬영 광학계에 내장된 렌즈 배럴(22) 좌측의 사선 상부에 위치되고 보조광이 피사체를 향하여 창(21)으로부터 발광되는 가정으로 후속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러나, 촬영 장치 내부에 위치된 보조광 투광부로부터 피사체에 보조광을 출사하는 보조광 투광부와 보조광 투광창(21) 사이의 배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여기서, 보조광 투광부는 좌측의 사선 상부에 위치되게 가정된다.
도 2에 도시된 집광 렌즈(211)는 보조광 투광창(21)에 끼워 넣어져 광원인 LED(210)가 집광 렌즈(211)의 초점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LED(210)의 보조광이 보조광 투광창(21)으로부터 출사되면 집광 렌즈(211)에 의해 빔 형상(평행광) 으로 형성된 초점 보조광이 피사체에 투광된다.
화각내의 중앙이 보통 렌즈 배럴을 피사체에 트레인되는 위치에 포커스를 맞춘다는 가정하에, 투광부에서 출사된 보조광은 예를 들면, 촬영 장치로부터 3m 떨어져 위치된 피사체를 보았을 때의 화각의 중앙(P)에 보조광이 투광되도록 일반적으로 조정된다.
이 때문에,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가 촬영 장치에 가까운 근거리에 위치했을 때 보조광의 광축은 얼굴 근방을 지나가고, 피사체가 원거리에 위치했을 때 보조광의 광축은 어깨 근방을 지나간다. 즉, 피사체가 조정점(P) 근방에 위치했을 때를 제외하고 촬영 광학계에 의해 피사체 시야각은 보조광 투광부에 의해 피사체의 시야각으로부터 벗어나서 시차가 발생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측으로부터 촬영 장치를 보면 근거리의 경우에 있어서 보조광의 광축은 얼굴의 상부 우측에 위치되고 촬상 광축은 얼굴의 중심 근방에 위치된다. 한편, 원거리의 경우에 있어서 보조광의 광축은 어깨 근방의 하부 우측에 위치되고 촬상 광축은 얼굴의 중앙 근방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촬영 광축과 투광 광축과의 사이에 시차가 발생하면 합초 기능은 피사체가 조정점인 소정의 위치(P) 근방에 위치될 때를 제외한 포커싱 영역 내에 합초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충분한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얻는 것의 실패의 결과로서 저하될 수 있다. 제조 오차로 인해 촬영 광축과 투광 광축 사이에 변위가 발생한 경우에 유사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여 조사 범위를 시차 발생 범위로 확장하는 공지 기술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공지된 기술은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한 만큼 촬영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공지된 기술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영역 분할을 위해 고안된 렌즈를 사용하여 투영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은 조사 범위를 확장했지만 전체로서 조사가 아주 밝게 되지 않고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어두워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1) 일본 특허 출원 제3241868호
(특허 문헌2) 일본 특허 출원 제6(1994)-313839호
전술한 상황의 관점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고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밝기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조사를 행할 수 있는 촬영 장치를 제공하고, 촬영 장치에 탑재되기 적합한 투광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촬영 장치는 촬영 광학계에 의해 촬상 소자상에 피사체를 결상해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이고, 이는 피사계 휘도 분포를 이용한 측정을 행해서 촬영 광학계를 합초 상태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싱을 행하는 오토 포커싱부을 포함한다. 여기서, 오토 포커싱부는 오토 포커싱을 행할 때 피사체를 향하여 보조 광빔을 투광하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며, 보조광 투광부는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광원과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빔 형상으로 투광하고, 다른 광축을 가져서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복수의 광빔으로서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 광학 소자를 포함한다.
최근, 1개의 패키지에 복수의 발광점을 각각 내장한 소형 광원이 적절한 가격에 시판되고 있다. 그러한 소형의 광원을 상기 광원에 적용하고 투광 광학 소자로서 예를 들면 렌즈 등을 배치하여 보조광 투광부를 대략 대형화시키지 않고 저비용으로 보조광 투광부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의 광빔을 포함하는 확대된 보조광을 피사체를 향햐여 투광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빔을 오버랩하여 중앙부와 둘레부를 소정 광량으로 광량을 유지하고 조사 범위를 확장하며 보조광을 투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범위는 복수의 광빔을 형성함으로써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다. 이때, 광은 1개의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영역 분할된 렌즈를 사용하여 피사체에 투광하는 종래의 방법 대신에 복수의 광원 각각으로 복수의 빔을 형성하여 투광된다. 따라서, 조사 범위가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될 때도 어느 정도의 거리까지는 밝기를 유지하고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확실하게 얻기 위한 충분한 조사를 행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고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밝기를 유지하며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조사를 행할 수 있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가 실현 가능하다.
여기서, 투광 광학 소자는 복수의 투광부로 영역 분할된 단일 광학 소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 광학 소자가 복수의 투광부로 영역 분할된 렌즈와 같은 단일 광학 소자일 때 소형 광원과 소형 렌즈를 조합하여 종래의 타입보다 작은 보조광 투광부가 구성된다. 예를 들면, 프리즘은 단일 광학 소자로 생각될 수 있다.
한편, 각 복수의 투광부는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된 광원측의 제 1 면과 피사체측의 제 2 면의 쌍방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광부 각각의 제 1 면과 제 2 면 쌍방의 굴절면은 광축을 공통으로 공유할 수 있다. 대안으로, 복수의 투광부 각각에 관해서 광원측의 제 1 면과 피사체측의 제 2 면 중 제 2 면만이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될 수 있다.
어느 경우라도, 각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각 투광부의 제 1 면과 제 2 면의 굴절면 또는 제 2 면의 굴절면을 통과해서 피사체에 굴절면 수와 동일한 수로 투광된다. 이때, 복수의 광원과 각 투광부를 적절하게 배치하여 각 굴절면에 의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광선은 점 주위에 스프레드된 보조광으로 피사체에 개별적으로 투광된다.
즉,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형상으로 광빔을 보조광으로서 피사체에 투광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투광부 각각이 광원측의 제 1 면과 피사체측의 제 2 면의 제 2 면만이 영역 분할되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 광학 소자가 대략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굴절면 사이의 분할선을 공유할 때 투광 광학 소자를 제조하기 위해 필요한 성형 다이를 제조하기 용이하므로 투광 광학 소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발광점은 소정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 1개씩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발광점이 소정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 1개씩 배치될 때 발광점의 수와 동일한 광빔은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 배치된 발광점으로부터 각 굴절면에 의거하여 피사체에 투광된다. 여기서, 촬상 광학축이 예를 들면, 광빔의 중심에 위치될 때 촬영 광축 주위에 스프레드를 갖는 보조광, 즉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보조광이 투과된다.
한편, 전술의 소형 패키지는 소정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 1개씩 LED를 수용하는 소형 패키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저비용의 소형 패키지를 사용하여 투광 광학 소자의 제조 비용의 절감과 함께 보조광 투광부 전체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투광 광학 소자는 복수의 투광부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하나가 서로 거의 오버랩되도록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투광부 각각에 의해 복수의 광빔 중 1개가 서로 대략 오버랩될 수 있도록 복수의 광빔이 투과될 때 광빔 중앙부의 휘도가 증가해서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중심으로 점(P) 주위의 스프레드를 갖는 빔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투광 광학 소자는 투광부의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를 투광부의 다른 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한다. 대안으로, 투광 광학 소자는 투광부 중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를 투광부의 다른 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의 2개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시키도록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한다.
한편, 광원은 3개의 발광점을 포함할 수 있고, 투광 광학계는 3개의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광원은 4개의 발광점을 포함할 수 있고, 투광 광학계는 2개의 투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투광부는 이들 복수의 투광부의 광축 사이의 간격이 복수의 발광점 사이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으로,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은 복수의 투광부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한쪽이 다른 쪽에 대략 오버랩되도록 투광된다.
한편, 복수의 투광부는 이들 복수의 투광부의 광축 사이의 간격이 복수의 발광점 사이의 간격의 대략 1/2이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방법으로, 투광 광학 소자는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해서 투광부의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가 투광부의 다른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대안으로, 투광 광학 소자는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을 투광해서 투광부의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가 투광부의 다른 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2개의 중심에 위치시킨다.
또한, 2개의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복수의 광빔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광빔에 직교하여 스프레드된 평면상의 전체 복수의 광 스폿에 의한 패턴에 관해서, 평면 내의 촬영 광학계를 투광 광학 소자와 링크하는 방향과 동일한 제 1 방향의 치수가 평면 내의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치수와 비교될 때 투광 광학 소자가 제 1 방향이 제 2 방향보다 길게 연장된 형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법으로,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촬상 광축과 보조광 발광축을 연결하는 선이 제 1 방향인 것을 가정하여, 제 1 방향의 치수가 평면의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으로의 치수와 비교될 때 제 1 방향의 치수가 제 2 방향보다 길게 연장되도록 형상을 만족시키기 위함 방향으로의 빔이 형성되어 피사체에 투광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광축의 변위, 즉 시차를 흡수하도록 구성된 빔은 형성되어 투광된다.
또한, 본 발명의 촬영 장치에 탑재될 본 발명의 투광 모듈은 광빔을 투광도록 구성된 투광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광원과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빔 형상으로 투광하는 투광 광학 소자로서, 다른 광축을 가져서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복수의 광빔으로서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 광학 소자를 구비한다.
도 1은 LED와 집광 렌즈를 갖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보조광 투광부 내에 배치되는 LED(210)와 LED(210)로부터 발광된 광을 빔 형상으로 형성하는 투광 부재, 여기서 집광 렌즈(211)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조광 투광창의 위치와 촬영 광학계의 위치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위치로부터 출사될 보조광의 광축과 촬영 광축 사이의 차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피사체가 근거리측에 위치할 때와 원거리측에 위치할 때 변위(시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촬영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디지털 카메라(100) 내부에 배치된 신호 처리부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8은 메인 CPU(110)에 의해 실행될 촬상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보조광 투광부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비용 절감을 성취하기 위한 렌즈와 3개의 발광점에 위치된 LED(160a 내지 160c)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1개의 발광점(160a)으로부터 출사된 광에 의해 얻어질 투광 패턴과 도 10에 도시된 3개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본 발명에 의해 투광 광학 소자에 대응하는 3개의 분할 영역을 갖는 렌즈에 의해 어떻게 피사체에 투광되는지를 나타내는 투광 패턴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0과 같이, 광점의 배치와 렌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 면이다.
도 13은 보조광이 도 12에 도시된 광점과 렌즈 사이의 위치 관계에 의해 피사체에 투광될 때 투광 패턴을 도시한다.
도 14는 투광 패턴이 도 12(b)에 도시된 분할선을 30도로 트위스트함으로써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했을 때의 예다.
도 15는 도 14의 배치에서 투광을 행했을 경우의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광원으로 4개의 LED를 제공할 때 광점 사이의 배치 간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LED 사이의 배치 간격과 렌즈 광축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광점과 렌즈의 배치 간격이 σ3 ≒ σ4일 때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광점과 렌즈 사이의 배치 간격이 σ3 = 2σ4일 때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보조광이 도 19에 도시된 투광 패턴의 사용에 의해 투광될 때의 조사 범위를 설명하는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투광 광학 소자로서의 렌즈 배치와 도 2에서 설명된 촬영 광학계와 보조광 투광부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촬영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디지털 카메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100)는 촬영 광학계에 의해 촬상 소자에 피사체를 결상하여 화상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가며, 피사계 휘도 분포를 이용한 측정을 행해서 촬영 광학계를 합초 상태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싱(이하, AF라 침함)을 행하는 AF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AF부가 AF를 행할 때 피사체에 보조 광빔을 투광하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한다. AF부의 구성에 관해서 후술될 것이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디지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17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100)의 카메라 본체 중앙에 배치된다. AF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포커싱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광학계는 렌즈 배럴(170)에 내장되어 피사체의 화상이 촬영 광학계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100) 내부에 배치된 CCD 고체 촬상 소자(이하, CCD라 칭함)로 가이드된다. 한편, 뷰파인더(105)와 AF 보조광 발광창(160)은 렌즈 배럴(170) 상부에 제공된다. 또한, 섬광 발광창(180)은 AF 보조광 발광창(160)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이 디지털 카메라(1)에서 스루 화상 또는 촬영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신호는 후술될 디지털 카메라(1) 내부의 CCD에 의해 생성된다. 또한, AF 또는 AE(auto exposure)은 CCD로 얻어진 화상 신호에 포함된 피사계 휘도 분포의 이용으로 AF부 또는 AE부에 의해 행해져서 포커싱 위치나 피사체 휘도가 검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반 푸시와 전 푸시의 2개의 동작 양상을 갖는 셔터 릴리즈 버튼(102)을 제공한다. 반 푸시시에, 피사계의 측광은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에 포함된 AE부에 의해 행해지고, 조리개의 직경은 그 결과에 따라 피사계 휘도에 맞도록 조정된다. 한편, 피사계 휘도 분포를 이용한 측정[이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CCD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는 휘도 신호와 칼라 신호로 분리되고 휘도 분포는 휘도 신호로부터 추출된다]은 AF부에 의해 행해지고, 포커싱 렌즈는 포커싱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조리개와 포커싱 위치가 이 방법으로 조정된 후 노광 시작 신호는 전 푸시 타이밍에 따라 후술될 CCD에 전 푸시시에 공급되어 촬상이 개시된다.
한편, AF부에 의해 포커싱 위치를 검출하자마자 본 실시예의 디지털 카메라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광 투광창(160)으로부터 피사체에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시차를 포함하는 보조광을 투광함으로써 촬영 광축에 포커싱 영역 내의 합초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이 보조광 투광부의 구성 및 보조광의 빔 형상도 후술될 것이다.
이 방법으로, 피사체가 도 2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조정 점(P)의 전후(근거리 또는 원거리)에 위치할 때도 반드시 촬영 광축 주변 위치를 포커싱 영역으로 설정할 때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얻어서 정확한 AF를 행할 수 있다.
이제,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 구성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디지털 카메라(100)의 내부에 배치된 신호 처리부의 구성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모든 처리가 메인 CPU(110)에 의해 제어되며, 동작 신호는 전원 스위치(101a)나 촬상 모드 다이얼(101e) 등으로부터 메인 CPU(110)의 입력부에 각각 공급된다. 메인 CPU(110)는 EEPROM(110a)을 포함하고, 디지털 카메라(100)를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이 EEPROM(110a) 내에 씌여진다. 이 구성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 스위치(101a)가 온될 때 디지털 카메라(100) 전체의 동작은 EEPROM 내의 프로그램의 순서에 따라 CPU(110)에 의해 제어된다.
우선, 화상 신호의 흐름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전원 스위치(101a)가 온될 때 전원 스위치(101a)의 온 상태는 메인 CPU(110)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 전원은 전원(130)으로부터 메인 CPU(110),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 등을 포함하는 각 블록으로 공급된다. 모드 레버(101e)가 전원(130)으로부터 각 블록에 전기 전원을 공급할 때 촬상측으로 스위치되면 우선 CCD(110)에 결상된 피사체는 메인 CPU와 광도 및 거리측정 CPU의 제어하에 소정 간격으로 신아웃(thin out)되고 화상 신호로 출력되고, 출력된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피사체는 화상 디스플레이 LCD의 LCD 패널(15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타이밍 신호가 광도 측정 및 범위 CPU의 제어하에 클럭 발생기(1121)[이하, CG라 칭함]로부터 이 CCD(112)로 공급되고, 화상 신호가 타이밍 신호에 의해 소정 간격으로 신아웃되어 출력된다. 이 CG(1121)는 메인 CPU(110)와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타이밍 신호를 출력하고 CCD(112) 이외에 타이밍 신호는 후속 단계의 A/D부(113) 및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및 γ처리부(114)에도 공급된다. 그러므로, 처리가 CCD(112), A/D부(113) 및 화이트 밸런스 및 γ처리부(114)의 흐름에서 타이 밍 신호와 동기시켜 바른 순서로 스무스하게 행해진다.
디지털 신호로 변환이 각 CPU(110 및 120)의 지시에 따라 CG(1121)로부터 출력된 타이밍 신호와 동기시켜 A/D부(113)에 의해 행해지고 화이트 밸런스 조정 또는 γ보정이 화이트 밸런스 및 γ처리부(114)에 의해 소정 피치로 행해질 때 화상 신호의 흐름을 적절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버퍼 메모리(115)가 후속 단계에 제공되고 화상 신호를 소정 간격으로 YC 처리부(116)로 전송하는 타이밍이 버퍼 메모리(115)에 의해 조정된다. 화상 신호는 오래된 기록 시간의 순서로 버퍼 메모리(115)로부터 YC 처리부(116)로 전송된다. YC 처리부(116)로 전송된 화상 신호는 YC 처리부(116)에 의해 RGB 신호로부터 YC 신호로 변환되어 변환된 YC 신호는 버스(121)룰 통해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에 공급된다. YC 신호를 RGB 신호로 변환하는 YC → RGB 변환부(151)가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의 전 단계에 제공된다. YC 신호는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의 γ특성에 맞는 RGB 신호로 다시 변환되어, 변환된 RGB 신호는 드라이버(152)를 통해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에 공급된다. 피사체의 화상 디스플레이는 공급된 RGB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의 LCD 패널(150)상에 행해진다. CCD(112), A/D부(113) 및 WB/γ보정부(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CG(1121)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 신호와 동기시켜 동작되고, CCD(112)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는 소정 피치로 처리된다. 따라서, 촬상 렌즈가 향하는 방향으로 위치된 피사체는 화상 디스플레이 LCD(15)의 디스플레이 패널(150)상에 피사체로 계속 디스플레이된다. 셔터 릴리즈 버튼(102)이 계속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를 시각적으로 체크하며 정확한 순간에 푸시될 때 CCD(112)에 결상된 화상 신 호 전부는 셔터 릴리즈 버튼(102)을 프레스하는 타이밍을 기점으로 하여 소정의 시간을 경과한 후 RGB 신호로 출력된다. 이 RGB 신호는 YC 처리부(116)에 의해 YC 신호로 변환되어 YC 신호는 압축 및 신장부(117)에 의해 더 압축된 후 압축된 화상 신호는 메모리 카드(119)에 기록된다. 이 압축 및 신장부(117)에서 정지 화상은 JPEG 표준에 준거한 압축 방법에 따라 압축되며, 화상 신호는 메모리 카드(119)에 기록된다. 압축 정보나 촬영 정보 등이 헤더부에 씌여진다. 디지털 카메라(100)의 모드 레버(101e)가 재생측으로 스위치될 때 그 파일의 헤더는 메모리 카드(119)로부터 우선 판독된다. 그리고, 화상 신호가 헤더 내의 압축 정보에 의거하여 파일 내의 압축 화상 신호를 신장함으로써 복원된 후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피사체는 LCD 패널(150)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메인 CPU(110) 이외에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0)는 초점 조정 및 노출 조정을 행하도록 구성된 이산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를 제공하고, 촬영 광학계의 포커싱 렌즈(1110)의 위치 제어 및 조리개(1112)의 스위칭 제어가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에 의해 행해진다.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가 포커싱 렌즈(1110)의 위치 제어 및 조리개(1112)의 스위칭 제어를 행하도록 할 때 메인 CPU(110)는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가 포커싱 렌즈(1110)를 구동하도록 하고 구동 중에 휘도 신호를 YC 처리부(116)와 분리함으로써 휘도의 분포를 탐색할 때 충분한 피사체 콘트라스트를 얻을 수 있도록 3개의 LED(160a 내지 160c)가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가 보조광 발광부(16)에 포함된 LED 발광 제어부(16a)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발광하도록 한 다.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 포커싱 렌즈(1110), YC 처리부(116), 메인 CPU(110) 및 보조광 발광부(16)는 본 발명에 의한 AF부를 연결적으로 구성한다. 또한,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 조리개(1112), YC 처리부(116) 및 메인 CPU(110)는 AE부를 집합적으로 구성한다.
이제, 촬상 모두가 모드 레버(101e)에 의해 지정되며 전원 스위치(101a)가 온된 후 릴리즈 버튼(102)이 반 푸시로부터 전 푸시로 동작될 때 메인 CPU(110)에 의해 행해질 촬상 처리에 관한 설명이 이루어진다.
도 8은 메인 CPU(110)에 의해 실행될 촬상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S801)에서 릴리즈 버튼(102)이 반쯤 프레스될 때 AE 처리, 즉 TTL 광도 측정은 YC 처리부에 의해 얻어진 Y신호에 의거하여 행해지고, 그 결과가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로 전송되어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이 조리개(112)의 직경을 변경시키게 한다. 릴리즈 버튼(102)이 QKSwmA 프레스될 때와 같이, AF 처리, 즉 TTL 범위 측정이 다음 단계(S802)에서 행해진다. 그러므로,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은 LED 발광 제어부가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의 제어 하에 3개의 LED의 발광을 행하게 우선 지시된다. 여기서, LED가 발광하게 하고 포커싱 렌즈(1110)를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지시하여 YC 처리부는 광도 및 거리 측정 CPU가 포커싱 렌즈(1110)를 구동시키면서 CCD(112)에 의해 얻어진 화상 신호에 의거하여 휘도를 검출하게 한 후 피사체 콘트라스트가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산출된다. 그 후, 산출된 피사체 콘트라스트가 가장 높이 도달하는 위치가 포커싱 위치로 규정되고, 포커싱 위치는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에 통지해서 포커싱 렌즈(1110)를 포커싱 위치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릴리즈 버튼(102)이 전 푸시될 때 CG(1121)로부터 CCD(112)로 노광 시작 신호를 공급시켜서 노광을 개시하도록 다음 단계(S803)의 광도 및 거리 측정 CPU(120)에 지시된다. 노광 종료시에, 노광 종료 신호는 CG(1121)로부터 CCD(112)로 공급되어 화상 신호가 다음 단계(S804)에서 CCD(112)로부터 A/D부(113)로 출력된다. 단계(S805)에서 A/D부(113)는 아날로그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화상 신호를 화이트 밸런스 및 γ처리부에 공급시키도록 한다. 단계(S806)에서 화이트 밸런스 및 γ처리부(114)는 화상 처리를 행하게 해서 화상 처리를 거친 후의 화상 처리가 버퍼(115)로 출력된다. 버퍼(115)로 출력된 화상 신호는 적절한 타이밍에 YC 처리부(116)로 전송되고 YC 처리부(116)는 화상처리를 행하게 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의 처리가 진행된다. 압축 및 신장부(117)가 단계(S807)에서 화상 압축을 행하게 한 후 I/F(118)는 이 경우에 메모리 카드(119)인 기록 매체에 기록을 행하게 하고 이 흐름의 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서, 단계(S802)에서 AF 처리가 설명될 때 AF 보조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디지털 카메라(100)에 포함된 보조광 투광부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투광 모듈은 보조광 투광부(16)에 구비된다.
도 9는 보조광 투광부(16)의 광원과 투광 광학 소자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a) 및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광 투광부(16)는 본 발명에 의한 복수의 광원으로서의 3개의 LED(160a 내지 160c)와 본 발명에 의한 투광 광학 소자 로서의 렌즈(162a)를 포함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투광 광학 소자는 3개의 투광부(1601 내지 1603)로 영역 분할된 렌즈(162a)로 형성된다.
도 9(a)는 광원측의 제 1면과 피사체측의 제 2면에 관해서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되어 각 투광부의 제 1면과 제 2면에 굴절면이 광축(AXISI 내지 AXISIII)을 공유하도록 구성된 렌즈를 도시한다. 도 9(b)는 광원측의 제 1면과 피사체측의 제 2면 중 제 2면만에 관해서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된 렌즈(162a')를 도시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구성 중 어느 것에 의해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광점으로부터 출사된 3개의 광선으로부터 3개의 렌즈를 각각 사용하여 전체로서 확장된 광으로서의 빔 형상으로 광을 형성한 후 확장된 광을 피사체에 투광하는 양상과 동일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단일 렌즈는 소형화를 고려하여 3개의 렌즈를 개별적으로 배치하는 것 대신에 3개의 분할 영역(1601 내지 1603)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는 본 실시예에 포함된 보조광 투광부를 제조하자마자 구성 부품의 제조 비용을 절감해서 실질적인 비용 절감을 성취하는 예를 설명한다.예를 들면, 상술한 렌즈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분할 영역을 갖는 단일 렌즈를 제공할 때 전체로서 보조광 투광부에 관해서 실질적인 비용 절감이 대략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굴절면 사이의 분할선을 제공하여 렌즈의 성형 다이를 제조하는 비용 및 렌즈 자체의 비용을 절감해서 성취된다.
도 10은 비용 절감을 성취하는 렌즈(162a)의 구성을 도시하며 소형 패키지 내의 3개의 LED(160a 내지 160c)의 구성 및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여기서 LED(160a 내지 160c)인 3개의 발광점이 소정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서 1개씩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0(b)는 투광광학 소자로서의 렌즈에 포함된 3개의 투광부(1601 내지 1603)의 다른 광축 사이의 간격이 3개의 발광점 사이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도 11은 굴절면(1601 또는 1602 또는 1603) 중 하나를 통과한 후 3개의 발광점(160a)으로부터 출사된 광으로부터 얻어질 투광 패턴 및 도 10에 도시된 3개의 발광점(160a, 160b 및 16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3개의 분할 영역[본 발명에 의한 투광부](1601, 1602 및 1603)을 갖는 렌즈(162a)를 통과한 후 어떻게 피사체에 투광되는지를 도시하는 투광 패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3개의 발광점(160a, 160b 및 160c)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빔으로 형성되어 렌즈의 굴절면, 즉 9(a) 및 도 9(b)에 도시된 렌즈의 한쪽이 적용에 관계 없이 단일 투광부에 의해 피사체에 투광된다.
도 10(b)에 도시된 렌즈(162a)가 3개에 영역으로 분할된 굴절면[투광부]( 1601, 1602 및 1603)에 다른 광축(AXISI 내지 AXISIII)을 포함하므로 렌즈(162a)는 3개의 렌즈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3개의 발광점(160a, 160b 및 160c)으로부터 출사된 각 광선은 투광을 위해 각 굴절면을 통과해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9개의 광점을 갖는 투광 패턴이 피사체에 형성되어 투광된다.
즉,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광원을 구성하는 광점(160a 내지 160c)과 투광 광학 소자를 구성하는 렌즈(162a)를 배치하여 3개의 발광점(160a 내지 160c)으로부터 출사된 3개의 광선은 3개의 광점(160a 내지 160c)으로부터 3개의 투광부(1601 내지 1603)를 통해 발광된 3개의 광선을 투광하여 얻어진 3개의 광빔 중 3개의 투광부에 관해서 단일 광빔[도 11(b)의 중앙에 광빔 1602c', 160lb' 및 1603a']이 서로 대략 오버랩되도록 투광된다.
이 방법으로, 중심부가 3개의 빔의 오버랩의 결과로서 1개의 LED에 의해 성취된 광량의 휘도의 3배의 휘도가 되고, 중심점의 둘레의 각 발광점이 종래의 휘도를 갖도록 휘도의 분포를 갖는 조사를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며 소정의 거리에 도달하라 때까지 어느 정도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조사를 행할 수 있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과 다른 3개의 광점(160a 내지 160c)의 또 다른 배치와 렌즈(162a)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광점과 렌즈를 배치하여 얻어지는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에서, 광점의 배치 간격(σ1)은 3개의 굴절면(투광부)에 포함된 각 광축의 간격(σ2)을 대략 배치하여 3개의 광점(160a, 160b, 160c)이 3개의 광축(AXISI 내지 AXISIII)에 배치된다. 반대로, 도 12는 3개의 투광부의 광축 사이의 간격(σ2)이 광점 사이의 간격(σ1)의 대략 1/2(도면 중 2σ2 ≒ σ1)이 되는 배치를 도시한다.
도 13에 도시된 있는 바와 같이, 투광 패턴은 도 12(b)에 도시된 배치에 의 해 얻어진다.
도 13에 도시된 투광 패턴은 3개의 발광점(160a 내지 160c)으로부터 출사된 3개의 광선이 1601과 같은 투광부 중 하나에 의해 투광된 3개의 광빔(1601a', 160lb' 및 1601c') 중 1개의 광빔(160lb')이 1602과 같은 투광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투광된 3개의 광빔(1602a' 내지 1602c') 중 2개의 광빔(1602b', 1602c')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투광된 투광의 양상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b)에 도시된 분할선을 30도로 트위스트함으로써 투광 패턴을 변경하려고 한 배치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배치에 투광했을 경우의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되는 투광 패턴은 3개의 발광점(160a 내지 160c)으로부터 출사된 3개의 광선을 투광부 중 하나(1603)에 의해 투광된 광빔 중 하나(1601c')가 1601과 같은 투광부 중 다른 하나에 의해 투광된 3개의 광빔(1601a' 내지 1601c')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투광된 투광 양상을 도시한다.
도 13의 경우에 유사한 조사 효과가 이 경우에 얻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며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확장된 조사를 행할 수 있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6은 광원으로서 4개의 LED(1600a 내지 1600d)를 제공할 때 광점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4개의 LED 사이의 배치 간격과 렌즈 광축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광점의 배치 간격(σ4)과 도 17에 도시된 2개의 광축(2개의 투광부) 사이의 간격(σ3)의 관계가 σ3 ≒ σ4로 설정될 때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광점의 배치 간격(σ4)과 도 17에 도시된 2개의 광축(2개의 투광부) 사이의 간격(σ3)의 관계가 σ3 ≒ 2σ4로 설정될 때 투광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투광 패턴은 도 10와 같이, σ3 ≒ σ4로 설정되어 얻어지고, 도 19에 도시된 투광 패턴은 도 12와 같이, σ3 ≤ 2σ4로 설정되어 얻어진다.
도 18에 도시된 투광 패턴은 4개의 발광점(1600a 내지 1600d)으로부터 출사된 4개의 광선이 4개의 광선을 투광하여 얻어진 4개의 광빔 중 각 2개의 투광부(1604 또는 1605)에 관해서 단일 광빔[도 18에 광빔(1605d 및 1604a)]이 대략 서로 오버랩되도록 투광된 투광 양상을 도시한다. 도 19에 도시된 투광 패턴은 4개의 발광점(1600a 내지 1600d)으로부터 출사된 4개의 광선이 투광부 중 하나(1605)에 의해 투광된 광빔 중 하나(1605a')가 투광부 중 다른 하나(1604)에 의해 투광된 4개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투광된 투광 양상을 도시한다.
도 20은 보조광이 도 19에 도시된 투광 패턴의 사용으로 투광될 때 조사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인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와 비교하여 분명한 바와 같이, 원거리 및 근거리에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의 조사가 행하여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2개의 투광부에 의해 투광된 2개의 광빔으로 형성되는 4개의 광빔에 직교해서 스프레드되는 평면(도 20에 도시된 2개의 정사각형)상에 복수의 광 스폿 전체를 포함하는 패턴(2개의 오버랩된 정사각형)은 도 5에서 설명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의 투광 패턴을 구성한다.
도 21은 투광 광학 소자로서의 렌즈(1602a)의 배치와 도 2에 설명된 촬영 광학계 및 보조광 투광부 사이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패턴의 평면에 촬영 광학계를 투광 광학 소자와 링크하는 방향(도 21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선)과 동일한 제 1 방향의 치수는 평면의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치수와 비교될 때 렌즈(1620a)는 제 1 방향의 치수가 제 2 방향보다 연장되도록 형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방법으로,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며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조사를 행할 수 있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투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소형이며 소정의 거리에 도달할 때까지 어느 정도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시차를 포함하는 범위까지 조사를 행할 수 있는 투광 모듈을 실현할 수 있고, 투광 모듈과 같은 기능을 갖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5)

  1. 촬영 광학계에 의해 촬상 소자상에 피사체상을 결상해서 화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촬영 장치에 있어서:
    피사계 휘도 분포를 이용한 측정을 행해서 상기 촬영 광학계를 합초 상태로 조정하는 오토 포커싱을 행하는 오토 포커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토 포커싱부는 오토 포커싱을 행할 때 피사체를 향해서 보조 광빔을 투광하는 보조광 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광 투광부는,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광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빔 형상으로 투광하고, 다른 광축을 가져서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복수의 광빔으로서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구비하는 투광 광학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로 영역 분할된 단일 광학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 각각은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된 상기 광원측의 제 1 면과 피사체측의 제 2 면의 쌍방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부 각각의 제 1 면과 제 2 면 쌍방의 굴절면은 광축을 공통으로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 각각에 관해서 상기 광원측의 제 1 면과 피사체측의 제 2 면 중 제 2 면만이 굴절면으로서 영역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대략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상기 굴절면 사이의 분할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점은 소정의 중심점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서 1개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에 의해 투광된 상기 복수의 광빔 중 하나가 서로 거의 오버랩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투광부의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를 투광부의 다른 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투광부의 한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1개를 투광부의 다른 쪽에 의해 투광된 복수의 광빔 중 2개의 광빔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투광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3개의 발광점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 광학계는 3개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4개의 발광점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 광학계는 2개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의 광축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복수의 발광점 사이의 간격과 대략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투광부는 상기 복수의 투광부의 광축 사이의 간격이 상기 복수의 발광점 사이의 간격의 대략 1/2의 간격이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투광부로부터 투광된 복수의 광빔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광빔에 직교하여 스프레드된 평면상의 전체 복수의 광 스폿에 의한 패턴에 관해서, 상기 평면 내의 상기 촬영 광학계를 상기 투광 광학 소자와 링크하는 방향과 동일한 제 1 방향의 치수가 상기 평면 내의 상기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의 치수와 비교될 때 상기 투광 광학 소자는 상기 제 1 방향이 상기 제 2 방향보다 연장된 형상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장치.
  15. 광빔을 투광하도록 구성된 투광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점을 갖는 광원; 및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피사체를 향해서 빔 형상으로 투광하는 투광 광학 소자로서, 다른 광축을 가져서 상기 복수의 발광점으로부터 출사된 복수의 광선을 복수의 광빔으로서 투광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투광 광학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 모듈.
KR1020077023251A 2005-03-25 2006-02-28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 KR20080004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87668A JP2006267768A (ja) 2005-03-25 2005-03-25 撮影装置および投光モジュール
JPJP-P-2005-00087668 2005-03-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493A true KR20080004493A (ko) 2008-01-09

Family

ID=3622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251A KR20080004493A (ko) 2005-03-25 2006-02-28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90010632A1 (ko)
EP (1) EP1861996B1 (ko)
JP (1) JP2006267768A (ko)
KR (1) KR20080004493A (ko)
CN (1) CN101151887A (ko)
TW (1) TWI313781B (ko)
WO (1) WO20061038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49199A1 (en) * 2006-08-22 2008-02-28 Wan-Chu Wang Slide projector with multiple projection sections
JP5320856B2 (ja) * 2008-06-26 2013-10-23 株式会社ニコン 補助光投影装置
CN102318331B (zh) * 2010-03-31 2014-07-30 富士胶片株式会社 立体图像拾取装置
JP2014115497A (ja) * 2012-12-1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補助光投影装置、閃光装置、及びカメラ
US9247125B2 (en) 2012-12-11 2016-0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light projection apparatus, flash apparatus, and photograph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8180A (en) * 1987-05-23 1990-09-1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Focus detecting device and auxiliary illuminating device therefor
JPS6410226A (en) * 1987-07-03 1989-01-13 Konishiroku Photo Ind Range finder for camera
US4935665A (en) * 1987-12-24 1990-06-19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Light emitting diode lamp
JPH02205707A (ja) * 1989-02-03 1990-08-15 Hamamatsu Photonics Kk 距離検出装置
US5174649B1 (en) * 1991-07-17 1998-04-14 Precision Solar Controls Inc Led lamp including refractive lens element
JP3076122B2 (ja) * 1992-01-13 2000-08-1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カメラ
US5319496A (en) 1992-11-18 1994-06-07 Photonics Research Incorporated Optical beam delivery system
JPH06313839A (ja) 1993-04-30 1994-11-08 Asahi Optical Co Ltd 多点測距カメラ
JP3241868B2 (ja) * 1993-06-07 2001-12-25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用照明装置
US5850578A (en) * 1994-09-14 1998-12-15 Canon Kabushiki Kaisha Light-projecting system for automatic focus detection
JPH0886955A (ja) * 1994-09-19 1996-04-02 Canon Inc 測距手段を有したカメラ
JPH09304054A (ja) * 1996-05-16 1997-11-28 Olympus Optical Co Ltd 測距装置
US5877850A (en) * 1996-05-20 1999-03-02 Olympus Optical Company, Ltd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JP3655697B2 (ja) * 1996-05-20 2005-06-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測距装置
JP3652012B2 (ja) * 1996-05-31 2005-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自動焦点検出用の投光系
JP3441991B2 (ja) * 1998-12-09 2003-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JP2000298244A (ja) * 1999-04-15 2000-10-24 Canon Inc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影装置
US6822687B1 (en) * 1999-07-08 2004-11-23 Pentax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ing device and its laser emitting device
EP1184848B1 (en) * 2000-08-09 2005-05-11 Ricoh Company, Ltd. Optical pickup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holographic unit, and optical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JP2002123952A (ja) * 2000-08-09 2002-04-26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2072309A (ja) * 2000-09-01 2002-03-12 Canon Inc カメラ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2365523A (ja) * 2001-06-07 2002-12-18 Pentax Corp Afカメラ用補助投光装置
AU2002315456A1 (en) * 2001-06-22 2003-01-08 Canesta, Inc. Method and system to display a virtual input device
US20040223342A1 (en) * 2001-12-31 2004-11-11 Klipstein Donald L. LED inspection lamp, cluster LED, and LED with stabilizing agents
EP1622137A1 (en) * 2003-04-25 2006-02-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ffraction device and optic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WO2004107457A2 (en) 2003-05-30 2004-12-09 Brasscorp Limited Led inspection lamp, cluster led, and led with stabilizing agents
GB0407847D0 (en) * 2004-04-07 2004-05-12 Gekko Technology Ltd Ligh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1996B1 (en) 2013-07-24
JP2006267768A (ja) 2006-10-05
CN101151887A (zh) 2008-03-26
TWI313781B (en) 2009-08-21
EP1861996A1 (en) 2007-12-05
TW200643591A (en) 2006-12-16
WO2006103873A1 (en) 2006-10-05
US20090010632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3746B (zh) 光源装置以及投影装置
KR100917524B1 (ko) 위치 검출 장치
US6039255A (en) Data symbol reading apparatus
CN100557500C (zh) 提供不同类型摄像发光的摄影发光系统、成像装置和方法
JP5446861B2 (ja)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カメラ
US20040125205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high speed three-dimensional imaging
WO2019174435A1 (zh) 投射器及其检测方法和装置、图像获取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JP2007058163A (ja) 光源装置、光変調装置、表示装置、集光照明装置、及び投射型カラー表示装置
JP2006235254A (ja) 撮影装置
JP2004184777A (ja) 光源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
US7033056B2 (en) Multi-lamp arrangement for optical systems
JP5217464B2 (ja) 照明装置、プロジェクタ、およびカメラ
KR20080004493A (ko) 촬영 장치 및 투광 모듈
JP2007017503A (ja) 撮影装置
US7221864B2 (en) Lighting apparatus for photographing
JP2010085472A (ja) 画像投影・撮像装置
CA2482005A1 (en)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method
JP2006323282A (ja) 撮影装置
JP5439724B2 (ja) プロジェクタ
US9843733B2 (en) Imaging and lighting apparatus
JP2007049572A (ja) 撮影装置
JP4166261B2 (ja) 照明装置及び投写型映像表示装置
US7321725B2 (en) Light-amount control device for photographing
CN111837073A (zh) 图像显示设备
JP2008046231A (ja) 撮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