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4302U - 금형 자동 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자동 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4302U
KR20080004302U KR2020070005130U KR20070005130U KR20080004302U KR 20080004302 U KR20080004302 U KR 20080004302U KR 2020070005130 U KR2020070005130 U KR 2020070005130U KR 20070005130 U KR20070005130 U KR 20070005130U KR 20080004302 U KR20080004302 U KR 200800043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orizontal frame
frame part
folding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5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서
Original Assignee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5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4302U/ko
Publication of KR200800043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43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6Handling of moulds or mould parts, e.g. mould exchan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5/178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C2045/1792Machine part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e.g. electric servo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장치에 사용되는 금형의 교체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금형 자동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금형 자동 교환 장치는, 길이방향의 일측부상에 금형 받침부를 갖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상에 수평으로 고정된 종프레임부와; 상기 종프레임부상에 전후로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수단을 갖는 횡프레임부와; 상기 횡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상으로 다단의 형태로 길이 조절되며, 끝단에는 금형 걸이 고정부를 갖는 텔레스코픽형 접이부와; 상기 횡프레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이부를 수직상으로 이동시켜주도록 형성된 권취부를 구비한다.
금형 자동 교환 장치, 사출장치, 접이부, 횡프레임부, 종프레임부.

Description

금형 자동 교환 장치{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THE MOLD}
도 1 은 종래의 금형 교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장치의 작동상태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 설명-
20: 지지대 22: 금형 받침부
30: 종프레임부 40a,40b: 횡프레임부
60: 권취부 61: 로프
70: 텔레스코픽형 접이부 72: 금형 걸이 고정부
본 고안은 금형 자동 교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장치에 사용되는 금형의 교체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금형 자동 교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사출장치에 금형장치를 장착하거나, 사출장치로 부터 금형장치를 교체하는 경우, 중량체인 금형을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이동시켜 장착하기에는 많은 불편이 있어, 공장내 천정등에 설치되어 있는 호이스트장치(2)를 이용해 금형(1)을 사출장치로 이동시켜 교체시켜왔다.
상기와 같이 사출장치에 금형을 장착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해야할 때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1)을 공장의 천정측에 고정된 H프레임(10) 상에서 이동시켜주도록 로울러(12)를 갖는 이송부(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4)는 호이스트장치(2)로 하여금 금형(1) 등의 위치를 옮기거나 기타 운반물 등을 이송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출장치로 부터 금형을 교체하는 경우 이송부(4)를 이용해 호이스트장치를 작업 위치로 이송시킨 후, 훅(8)을 갖는 체인(6)을 적정 높이로 조절시킨 후에, 훅(8)에 분리시킬 금형(1)이 떨어지지 않게 고정체인 등을 이용해 걸어 고정시킨 후, 교체되는 금형을 다른 위치로 옮겨 놓은 후, 다시 장착할 새로운 금형(1)을 훅(8)에 걸어 사출장치로 이송시켜 장착 작업을 한다.
이때, 중량체인 금형을 이송시켜주는 호이스트장치(2)의 체인(6)은 이송시에 관성력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흔들림이 많이 발생 되기 때문에 이송시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금형을 사출장치에 장착할 시에 체인(6)의 흔들림으로 인해 고정위치를 정확히 맞추기가 매우 어려운 실상이다.
또한, 교체코자 하는 금형을 사출장치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 이를 장착하도록 조립하기가 매우 어렵고,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금형(1)을 호이스트장치(2)에 의해 이송중 지면 수직으로 늘어진 체인(6)의 무게 중심이 훅(8)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송부(4)의 속도를 약간만 올려도 흔들림이 많이 발생하여 이송시 안전에 많은 신경을 써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출장치에 사용되는 금형의 교체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는 금형 자동 교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 장치는, 길이방향의 일측부에 금형 받침부를 갖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상에 수평으로 고정된 종프레임부와; 상기 종프레임부상에 전후로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수단을 갖는 횡프레임부와; 상기 횡프레임부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상으로 다단의 형태로 길이 조절되며, 끝단에는 금형 걸이 고정부를 갖는 텔레스코픽형 접이부와; 상기 횡프레임부의 일단부에 형성된 접이부를 수직상으로 이동시켜주도록 형성된 권취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는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 장치의 작동상태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장치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100)에 장착되어 있는 금형틀(B)을 분리하기 위해 한쌍의 지지대(20)의 종프레임부(30)에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횡프레임부(40a),(40b)를 이동시킨다.
상기 횡프레임부(40a),(40b)는 하부측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50)를 작동시키면 전후진이 자동으로 가능하므로 그 이동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횡프레임부(40a),(40b)를, 모터(50)를 이용해 사출기(100)에 장착되어 있는 금형틀(B)의 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횡프레임부(40a),(40b)의 일단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픽(Telescopic)형 접이부(70)를 하강시킨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횡프레임부(40a),(40b)의 이동을 모터(50)에 의해 행하고 있지만 실린더를 이용해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이동수단으로의 변경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끝단에는 금형 걸이 고정부(72)가 형성되어 있어 그 끝단에 금형틀(B)이 떨어지지 않게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금형 걸이 고정부(72)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법으로, 사출기(100)에서 분리되는 금형틀(B)의 상부측에 걸어 고정시키거나 볼트, 너트 등을 이용해 체결시킴으로써, 분리되지 않고 이송되도록 구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횡프레임부(40a),(40b)의 일단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 접이부(71a)내에 제 2 단 접이부(71b)가 끼워 지며, 제 2 단 접이부(71b)내에 제 3 단 접이부(71c)가 끼워지는 구성으로서, 다단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길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는 내측에 로프(61)가 설치되어진 후, 로프(61)의 끝단이 제 3 단 접이부(71c)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로프(61)를 당기게 되면 제 3 단 접이부(71c)가 자동으로 끌려 올려지도록 작동된다.
상기 로프(61)는 횡프레임부(40a),(40b)상에 형성된 권취부(60)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진다.
따라서, 상기 횡프레임부(40a),(40b)상에 형성된 권취부(60)를 작동시키면 로프(61)는 감겨지면서 그 끝단에 연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제 3 단 접이부(71c)를 끌어올리게 작동된다.
상기 금형 걸이 고정부(72)가 형성된 제 3 단 접이부(71c)를 로프(61)가 끌어당기면 제 3 단 접이부(71c)가 접히면서 제 2 단 접이부(71b)를 끌어올리게 되며, 그 후, 제 1 단 접이부(71a)내측으로 도 2 의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과 같이 인입되면서 상승된 후 정지된다.
상기 로프(61)를 당기거나 푸는 권취부(60)는 서버 모터 등을 이용해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서버 모터 등에 의해 권취부(60)를 정회전시켜 로프(61)를 당기거나, 반대로 당김부(60)를 역회전되도록 작동시키거나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끝단에 형성된 금형 걸이 고정부(72)에 사출기(100)에서 분리된 금형틀(B)을 걸어 들어올린 후, 횡프레임부(40b)를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에 형성되어 있는 금형 받침부(22)상에 올려놓는다.
이어서 새롭게 장착될 금형틀(A)을 다른 횡프레임부(40a)상의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끝단에 형성된 금형 걸이 고정부(72)를 이용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금형 걸이 고정부(72)에 새로운 금형틀(A)을 사출기(100)의 장착위치에 맞는 일정 높이로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를 이용해 상기에서 설명했던 바와 동일하게 높낮이 조절을 한후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새롭게 장착될 금형틀(A)을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를 이용해 장착시키고자 하는 사출기(100)로 이동시에 상기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는 1단 접이부(71a), 2단 접이부(71b) 및 3단 접이부(71c)에 의해 수직으로 흔들림 없이 슬라이딩 되면서 접혀진다. 즉, 본 고안의 일 특징은 각단의 접이부 내측에 슬라이딩 되면서 맞닿는 부위가 서로 면접촉하면서 서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흔들림이 없이 수직상태로 고정되는 구조에 있다.
횡프레임부(40a) 및 횡프레임(40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는 수직의 프레임형태로 그 끝단에 금형틀(A)을 고정시키고 있기 때문에 금형틀(A)의 운반시, 금형틀(A)이 출렁거리거나 흔들거림이 없이 이동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이동되는 금형틀(A)의 무게중심이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끝단에 위 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측으로 이동시 발생되는 관성력에 의해 흔들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는 수직의 프레임형태의 기둥형태로 축 고정되므로 흔들림 없이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본 고안의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 및 횡프레임부는 서로 직각으로 고정된 형태를 갖고 있어 수평으로 전후진 이동해도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의 축이 흔들림 없이 이동된다.
또한, 본 고안의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를 갖는 횡프레임부를 사출기(100)가 폭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된 작업장 등에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쌍의 지지대(20)를 일정간격 위치되게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지지대(20)상에 수평으로 종프레임부(30)를 길게 설치하여 사출기(100)들이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각각으로 설치된 작업공정을 이동하면서 각각의 사출기에 장착된 금형틀들을 쉽게 분리 교체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금형 자동 교환장치에 의해 사출장치에 사용되는 금형의 교체를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속도를 높일 수 있어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금형틀의 이동시나 사출장치에의 장착시에 금형틀이 흔들리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이동되므로 주변의 다른 기기들과의 충돌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도 있다.

Claims (4)

  1. 금형 자동 교환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의 일측부상에 금형 받침부(22)를 갖는 한쌍의 지지대(20)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20)상에 수평으로 고정된 종프레임부(30)와,
    상기 종프레임부(30)상에 전후로 두께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 이동수단을 갖는 횡프레임부(40a),(40b)와,
    상기 횡프레임부(40a),(40b)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수직상으로 다단의 형태로 길이 조절되며, 끝단에는 금형 걸이 고정부(72)를 갖는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와,
    상기 횡프레임부(40a),(40b)의 일단부에 형성된 텔레스코픽형 접이부(70)를 수직상으로 이동시켜주도록 형성된 권취부(60)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 교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60)는 서버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 교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스코형 접이부(70)는, 횡프레임부의 단부에 고정된 1 단 접이부(71a)내에 2 단 접이부(71b)가 슬라이딩되도록 끼워지며, 2 단 접이부(71b)내에 3 단 접이부(71c)가 끼워져 다단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길이 조절되도 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 교환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실린더 또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자동 교환장치.
KR2020070005130U 2007-03-28 2007-03-28 금형 자동 교환 장치 KR200800043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30U KR20080004302U (ko) 2007-03-28 2007-03-28 금형 자동 교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5130U KR20080004302U (ko) 2007-03-28 2007-03-28 금형 자동 교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4302U true KR20080004302U (ko) 2008-10-02

Family

ID=41326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5130U KR20080004302U (ko) 2007-03-28 2007-03-28 금형 자동 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43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18Y1 (ko) * 2011-04-22 2013-07-05 한일이화주식회사 융착기용 자동 몰드 교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818Y1 (ko) * 2011-04-22 2013-07-05 한일이화주식회사 융착기용 자동 몰드 교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5498B2 (ja) 物品保管設備及び物品保管設備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方法
CN111924477B (zh) 一种用于板材的自动码垛输送设备
KR100811764B1 (ko) 차량용 타이어 적재장치
JP4960823B2 (ja) 自動倉庫
KR101109616B1 (ko) 금형교환대차 시스템
KR101861925B1 (ko) 금형교환장치
JP2009113288A (ja) 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脱型方法及び自動脱型装置
KR20080004302U (ko) 금형 자동 교환 장치
JP2011212696A (ja) 溶接ライン
CN207810538U (zh) 一种输送装置
CN213923374U (zh) 拨叉卸卷装置
CN103072240B (zh) 抽芯绕线机
JP5863957B2 (ja) 部品実装機の部品供給ユニットの取付装置
CN209954954U (zh) 一种随动高效合模机
CN112356259B (zh) 一种高强高性能混凝土管桩自动化生产线
JP2013035657A (ja) 移動装置
JP2007076771A (ja) 昇降装置
CN210651969U (zh) 一种环氧玻璃钢管道的制造装备
CN109226369B (zh) 一种钢板卷制预弯辅助装置及钢板卷制预弯加工方法
CN113764157A (zh) 一种变压器分段顶推式安装就位平台及安装就位施工方法
KR20180021304A (ko) 슬리브 교환에 사용되는 지그 및 이를 사용하는 슬리브 교환 장치
JPS6118628A (ja) プレス間搬送装置
JP2018122981A (ja) 重量物運搬装置、及び重量物運搬方法
CN109605566B (zh) 一种随动高效合模机
CN219429276U (zh) 无纺布上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