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391U -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1391U
KR20080001391U KR2020060030311U KR20060030311U KR20080001391U KR 20080001391 U KR20080001391 U KR 20080001391U KR 2020060030311 U KR2020060030311 U KR 2020060030311U KR 20060030311 U KR20060030311 U KR 20060030311U KR 20080001391 U KR20080001391 U KR 200800013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ssembly
drain pipe
assembled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0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41740Y1 (ko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30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1740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1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174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4Hangers in the form of bands or chains

Abstract

본 고안은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 외주면에 삽입되어 강하게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용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이 함께 끼워 조립되는 헹거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제작조립 공정을 줄이고 안전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배수관 행거 결합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하던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을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부품 없이도 조립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제조단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고 조립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서 조립됨에 따라 제품이 견고하고 파손이 적으며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배수관, 헹거, 브라켓, 레일형식, 조립

Description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Bracket for constructing drainpipe and hanger}
도 1은 종래의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단면도
* 주요 도면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고정 브라켓 110 : 제 1 조립부
111 : 이격거리 112 : 지지부
113 : 굽은 구조 114 : 공간
200 : 헹거 브라켓 210 : 제 2 조립부
211 : 걸림부
본 고안은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관 외주면에 삽입되어 강하게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용 브라켓과 가이드레일이 함께 끼워 조립되는 헹거 브라켓으로 구성되어 제작조립 공정을 줄이고 안전하고 신속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한 배수관 행거 결합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수관과 헹거 결합용 브라켓 분해 사시도로서, 상기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10)과, 헹거 브라켓(20)이 나사결합으로 조립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10)은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좌우가 개방되고 그 내주면은 배수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배수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또한, 고정 브라켓(10) 외주면 어느 한 면에 헹거 브라켓(20)과 나사결합되는 체결부(11)가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부(11)는 헹거 브라켓(20)과 나사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된 구조의 볼트부(12)가 구비된다.
상기 헹거 브라켓(20)은 상기 볼트부(12)와 조립되기 위한 제 1 구멍(21)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구멍(21)에 볼트부(12)가 삽입되어 너트(22)로 고정함으로써 나사결합되며 헹거 브라켓(20) 상부에는 또 다른 제 2 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구멍(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헹거(30)가 나사결합되고 상기 헹거(30)는 연결 브라켓(40)과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의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10)과, 헹거 브 라켓(20)를 나사결합함에 따라 제작조립 공정이 복잡함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문제점은 상기 고정 브라켓(10)과 헹거 브라켓(20)의 제 1 구멍(21), 제 2 구멍(22)이 형성되도록 제작해야 함으로 제작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볼트, 너트를 더 구비하여 제작조립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고정 브라켓의 상기 가이드레일과 헹거 브라켓을 끼워조립되도록 한 배수관과 헹거 결합용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 배수관과 행거 고정용 브라켓은 좌우가 개방된 원통의 어느 한 면이 절단되어 일정거리 이격되고 절단된 끝단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의 제 1 조립부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의 제 1 조립부가와 조립되는 제 2 조립부가 구비된 헹거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제 1 조립부는 헹거 브라켓의 제 2 조립부와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조립이 유도되는 형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조립부는 헹거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조립부의 일정거리 이격된 사이가 좁혀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헹거 결합용 브라켓 분해 사시도로써, 상기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100)과 헹거 브라켓(200)으로 구성되고 상기 헹거 브라켓(200)이 후방에서 고정 브라켓(100)과 레일형식으로 끼워삽입됨으로써 조립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배수관 외주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음으로써 끼워지고, 또한 배수관에 끼워짐을 쉽게 하기 위해서 어느 한 면이 절단되어 이격된 일정거리(111)가 형성되고 상기 절단된 좌우 부분에 제 1 조립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조립부(110)는 헹거 브라켓(200)과 조립되고, 상기 헹거 브라켓(200)이 양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지지부(112)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제 1 조립부(110)가 헹거 브라켓(200)과 조립됨에 있어서, 절단된 좌우 끝단에 헹거 브라켓(200)과 끼워져 맞물리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113)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굽은 구조는 헹거 브라켓(200)이 조립되도록 유도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굽은 구조(113)와 지지부(112)에 의하여 조립할 수 있는 공간(114)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114)에 헹거 브라켓(200)이 끼워져 조립된다.
한편, 상기 고정 브라켓(100)은 배수관과 조립됨에 있어서,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더욱 조립하기에 수월하다.
상기 헹거 브라켓(200)은 고정 브라켓(100)에 구비된 제 1 조립부(110)와 조립되는 제 2 조립부(210)가 구비되며 상기 제 2 조립부(210)는 제 1 조립부(1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113)와 맞물려 조립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조립부(110)의 굽은 구조(113) 조립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 제 2 조립부(210)는 제 1 조립부(110)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113)와 지지부(112)에 의해서 발생되는 공간(114)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특히, 제 2 조립부(210)는 고정 브라켓(100)의 어느 한 면이 절단되어 일정거리(111) 이격된 좌우 끝단부분에 형성된 굽은 구조(113)가 탄성의 재질 때문에 절단된 부분으로 좁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211)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의 조립 사시도로서, 도시되 바와 같이 조립됨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과 같이 나사결합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작업공정 보다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의 단면도로서, 상기 브라켓은 고정 브라켓(100)의 제 1 조립부(110)와, 헹거 브라켓(200)의 제 2 조립부(210)가 조립된 단면을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 1 조립부(110)는 고정 브라켓(100)의 어느 한 면이 절단되어 이격거리(111)를 갖는 끝단 양측에 위를 향하여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113)가 형성되고 상기 굽은 구조(113)와 헹거 브라켓(200)의 제 2 조립부(210)가 조립될 수 있도록 일정간격 떨어져 지지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굽은 구조(113)와, 지지부(112)는 고정 브라켓(1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굽은 구조(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을 이룰 뿐만 아니라 곡선 등 다양한 형태로 구조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굽은 구조(113)와, 지지부(112)에 의해서 공간(114)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공간(114)에 제 2 조립부(210)가 조립된다.
특히, 상기 제 2 조립부(210)는 고정 브라켓(100)의 어느 한 면이 절단된 끝단 양측 즉, 절단됨으로써 발생되는 이격거리(111) 사이에 걸림부(211)가 일체형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절단된 양측이 탄성력에 의해서 이격거리(111) 측으로 좁혀짐을 방지하여 상기 이격거리(111)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며, 본 고안은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부품을 이용하여 조립하던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을 볼트, 너트와 같은 별도의 부품 없이도 조립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제조단가를 대폭 낮출수 있는 효과가 있고 조립공정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화된 구조에 의해서 조립됨에 따라 제품이 견고하고 파손이 적으며 외관이 수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좌우가 개방된 원통의 어느 한 면이 절단되어 일정거리 이격되고 절단된 끝단에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의 제 1 조립부가 구비된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기 위한 굽은 구조의 제 1 조립부가와 조립되는 제 2 조립부가 구비된 헹거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의 제 1 조립부는 헹거 브라켓의 제 2 조립부와 가이드레일에 의해서 조립이 유도되는 형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립부는 헹거 브라켓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 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립부는 탄성력에 의하여 제 1 조립부의 일정거리 이격된 사이가 좁혀짐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관과 행거고정용 브라켓.
KR2020060030311U 2006-11-23 2006-11-23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KR200441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311U KR200441740Y1 (ko) 2006-11-23 2006-11-23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0311U KR200441740Y1 (ko) 2006-11-23 2006-11-23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391U true KR20080001391U (ko) 2008-05-28
KR200441740Y1 KR200441740Y1 (ko) 2008-09-04

Family

ID=41324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0311U KR200441740Y1 (ko) 2006-11-23 2006-11-23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17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29Y1 (ko) * 2009-06-30 2011-05-11 박용현 관체 지지밴드의 조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54Y1 (ko) 2009-06-12 2011-07-06 삼우기연 주식회사 교량배수관용 연결구
KR200461566Y1 (ko) * 2011-03-04 2012-07-27 (주)스템즈 건설 교량의 배수관 구조
KR101264529B1 (ko) 2011-09-08 2013-05-14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교량의 배수관 지지장치
KR102341574B1 (ko) * 2021-04-07 2021-12-20 심성섭 내진 및 방진 구조를 갖는 수배관로용 버팀 지지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529Y1 (ko) * 2009-06-30 2011-05-11 박용현 관체 지지밴드의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1740Y1 (ko) 200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1740Y1 (ko) 배수관과 행거 결합용 브라켓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20100010923U (ko) 너트 일체형 배수관
EP2774527B1 (en) A fixation element and a washer/dryer device
KR200381740Y1 (ko) 조립식 바닥판
JP5260406B2 (ja) 格子体
KR200460995Y1 (ko) 억지 끼워 맞춤 결합식 도어패널 손잡이
JP3162744U (ja) 組立式ラック
KR101143582B1 (ko) 칸막이 조립체
KR101102882B1 (ko) 철재 프레임 침대
KR101274603B1 (ko) 정수장용 도류벽
KR200424645Y1 (ko) 케이지와 레일의 결합구조
KR200163769Y1 (ko) 조립식선반
ITTO20110130U1 (it) Maniglia di un apparecchio elettrodomestico, in particolare un apparecchio di refrigerazione.
JP7015063B2 (ja) ハンドル
JP5658627B2 (ja) グレーチング
JP3205637U (ja) グレーチング
KR200365006Y1 (ko) 문살
KR1005927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체결구조
JP4293930B2 (ja) グレーチング
JP3197794U (ja) 壁取り付け棚
KR200331782Y1 (ko) 철재문틀 조립용 체결구
KR200380001Y1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KR20100007775U (ko) 파이프 체결구
KR200164471Y1 (ko) 벽판재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