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769Y1 - 조립식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식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769Y1
KR200163769Y1 KR2019990013617U KR19990013617U KR200163769Y1 KR 200163769 Y1 KR200163769 Y1 KR 200163769Y1 KR 2019990013617 U KR2019990013617 U KR 2019990013617U KR 19990013617 U KR19990013617 U KR 19990013617U KR 200163769 Y1 KR200163769 Y1 KR 2001637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hole
horizontal member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3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양우
Original Assignee
신양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양우 filed Critical 신양우
Priority to KR2019990013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7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7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7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83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with four vertical uprigh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분리가능케 결합된 다수의 수평부재와,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상에 안착되는 선반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선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19)와,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21)을 구비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부재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템(stem)부(19a)와, 상기 스템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9b)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제1관통부(21a)와, 상기 제1관통부에 끼워진 머리부가 구속되면서 상기 스템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1관통부에서 연장형성된 장공(21b)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식 선반의 조립분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선반{sectional shelf}
본 고안은 조립식 선반에 관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조립식 선반은 앵글 단면형으로 된 다수의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3)가 볼트와 너트로 된 체결수단(5)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3)는 동일한 평면상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재(3)상에는 평판 또는 그물망으로 된 선반(7)이 안착되어 이루어 진다.
상기 수직부재(1)의 플랜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원형의 구멍(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부재(3)의 플랜지의 양단에는 상기 구멍(9)에 정렬되어 상기 볼트가 끼워지도록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선반은, 수직부재(1)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9)과 수평부재(3)에 형성된 원형의 구멍에 상기 볼트를 끼워 프레임을 만든 다음, 상기 수평부재(3)위에 상기 선반(7)을 안착시켜 완성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조립식 선반에 의하면, 수직부재(1)와 수평부재(3)를 조립/분해할 시에 별도의 볼트로 상기 수직/수평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 너트로 죄야 하므로, 공구가 필요하는 등 조립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분해했을 경우에 분해된 볼트를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평부재와 수직부의 모서리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선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조립식 선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3은 도2에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 단면도,
도4는 도2의 수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의 수평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선반에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의 결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직부재 13 : 수평부재
19 : 걸림돌기 19a : 스템부
19b : 머리부 21 : 구멍
21a : 제1관통부 21b : 장공
본 고안에 의한 조립식 선반은 다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분리가능케 결합된 다수의 수평부재와,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상에 안착되는 선반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선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부재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템(stem)부와, 상기 스템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끼워진 머리부가 구속되면서 상기 스템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1관통부에서 연장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가장자리 단부는 라운딩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 단면형으로 된 수직부재(11)사이에는 다수의 수평부재(13)가 동일한 평면상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있다. 즉, 형강으로 된 다수의 수직부재(11)를 수직으로 세우는 한편, 인접하는 수직부재(11)의 동일한 레벨에 수평부재(13)를 결합하여 사각의 테를 이루게 한다.
상기 테를 이룬 수평부재의 상면에는 선반(15)이 안착된다. 상기 선반(15) 대신에 철사등으로 엮어진 그물망(17)이 안착될 수도 있고, 상기 선반(15)위에 상기 그물망(17)이 안착되는 구조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부재(13)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걸림돌기(1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상기 수평부재(13)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템(stem)부(19a)와, 상기 스템부(19a)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19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수평부재의 플랜지의 폭방향으로 두 개가 소정간격(D1)으로 정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9)는 상기 스템부(19a)가 수평부재의 플랜지에 나사고정되거나 용접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스템부(19a)의 길이는 수직부재(11)의 플랜지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돌기(19')는 수평부재의 양단 가장자리에 하나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부재(11)의 플랜지에는 상기 걸림돌기(19)가 끼워지는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1)은 상기 수평부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19)의 형성간격(D1)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1)은 상기 머리부(19b)가 삽입되는 제1관통부(21a)와, 상기 제1관통부(21a)에 끼워진 머리부(19b)가 구속되면서 상기 스템부(19a)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1관통부(21a)에서 수직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장공(2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3)의 가장자리 단부(11a)(13a)는 라운딩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조립식 선반에서 수직부재(11)와 수평부재(13)의 조립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즉 수직부재(11)의 플랜지의 내측면에서 수평부재(13)의 양단 걸림돌기(19)를 구멍(21)의 제1관통부(21a)에 끼워 수평부재(13)를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돌기(19)의 스템부(19a)가 구멍(21)의 장공(21b)으로 미끄러져 장공의 단부에 걸린다. 이때, 걸림돌기(19)의 머리부(19b) 직경은 상기 장공(21b)의 폭보다 크므로, 걸림돌기(19)가 구속된다.
수평부재(13)를 분리할 경우에는, 수평부재(13)를 상측으로 약간 들어 걸림돌기(19)의 머리부(19b)가 제1관통부(21a)에 오도록 하여 앞으로 당기면, 수평부재(13)가 수직부재(11)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별도의 볼트 및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줄고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고, 조립식 선반의 조립/분해가 용이하다.
그리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가장자리 단부가 라운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없다.
도6은 수직부재(31)의 플랜지부(31a)(31a')가 요입부(31b)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평행하게 동일한 평면상으로 된 구조이다. 상기 플랜지(31a)(31a')에는 상기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별도의 볼트 너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줄고 별도의 공구가 불필요하고, 조립식 선반의 조립/분해가 용이하다.
그리고,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가장자리 단부가 라운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없다.

Claims (2)

  1. 다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수직부재에 분리가능케 결합된 다수의 수평부재와, 상기 다수의 수평부재상에 안착되는 선반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선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지도록 상기 수직부재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하되,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수평부재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스템(stem)부와, 상기 스템부의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멍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에 끼워진 머리부가 구속되면서 상기 스템부가 안내되도록 상기 제1관통부에서 연장형성된 장공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가장자리 단부는 라운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반.
KR2019990013617U 1999-07-12 1999-07-12 조립식선반 KR2001637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17U KR200163769Y1 (ko) 1999-07-12 1999-07-12 조립식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3617U KR200163769Y1 (ko) 1999-07-12 1999-07-12 조립식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769Y1 true KR200163769Y1 (ko) 2000-02-15

Family

ID=1958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3617U KR200163769Y1 (ko) 1999-07-12 1999-07-12 조립식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76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36U (ko) * 2015-07-08 2017-01-18 (주)상도가구 앵글선반프레임
KR101842395B1 (ko) * 2017-05-25 2018-03-27 변만식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20220002164U (ko) * 2021-03-02 2022-09-13 정기호 연결홈 커버를 구비한 무볼트조립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236U (ko) * 2015-07-08 2017-01-18 (주)상도가구 앵글선반프레임
KR200482530Y1 (ko) * 2015-07-08 2017-02-06 (주)상도가구 앵글선반프레임
KR101842395B1 (ko) * 2017-05-25 2018-03-27 변만식 무볼트 조립식 선반
KR20220002164U (ko) * 2021-03-02 2022-09-13 정기호 연결홈 커버를 구비한 무볼트조립랙
KR200496370Y1 (ko) * 2021-03-02 2023-01-11 정기호 연결홈 커버를 구비한 무볼트조립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200436231Y1 (ko) 보 거푸집용 간격유지구
EP1839534B1 (en) Furniture member
KR101734681B1 (ko) 테이블용 조립식 지지프레임
KR200163769Y1 (ko) 조립식선반
JPS6116821B2 (ko)
RU2192527C2 (ru) Панель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водоемов для плавательных бассейнов
ES2224486T3 (es) Elemento estructural para el soporte de cargas, particularmente viga para estanterias modulares.
KR102317578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US5441162A (en) Wire shelf corner support system
KR100686618B1 (ko) 케이블 트레이
EP3162957B1 (en) Safety device for preventing rail buckling and movement
KR200332594Y1 (ko) 조립선반
KR200385723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패널 고정구조물
KR100919672B1 (ko) 조립식 선반장치용 프레임부재
KR100575597B1 (ko) 조립식 선반틀
KR101726493B1 (ko) 케이블 트레이
JP4546890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KR200497797Y1 (ko) 너트브래킷이 구비된 케이블 트레이용 렁
JP2006014791A (ja) 組立棚における棚板取付構造
KR102577311B1 (ko) 케이블 트레이
JP7390766B1 (ja) 組立棚
KR200346228Y1 (ko) 가설 방음판
JP2004084762A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200320245Y1 (ko) 조립식 선반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