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594Y1 - 조립선반 - Google Patents

조립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594Y1
KR200332594Y1 KR20-2003-0025848U KR20030025848U KR200332594Y1 KR 200332594 Y1 KR200332594 Y1 KR 200332594Y1 KR 20030025848 U KR20030025848 U KR 20030025848U KR 200332594 Y1 KR200332594 Y1 KR 2003325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ection
plate
assembl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매직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매직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매직캔
Priority to KR20-2003-0025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5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5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5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수직 지지되는 수직부재와 판체 테두리를 고정한 수평간으로 판체를 다단 조립가능하게 한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이 조립선반은, 대략 ㄷ형의 단면을 이루는 그 내측으로 판체 삽입공간(14)을 형성하고,외측면(15) 양끝부분에 걸림탄편(12)을 각각 형성한 적어도 4개의 수평간(10); 상기 판체 삽입공간(14)에 네 테두리가 삽지되는 판체(30); 및 상기 판체(30)의 네 테두리에 삽지된 각 수평간(10)의 걸림탄편(12)이 탄삽지지되는 걸림공(21)을 형성하도록 걸림돌조(22)를 다양한 높이로 수개 돌설한 수직간(20)을 포함하며, 상기 수직간(20)의 상,하단에 끼워져 날카로움과 바닥 접촉을 방지하는 커버부재(4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직간(20)이 ㄱ자형의 단면을 이룬다.

Description

조립선반{Movable type shelf assembly}
본 고안은 조립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 지지되는 수직부재로서 목판재를 여러단 수평설치할 수 있는 새로운 조립구조를 갖는 조립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판상의 선반형 판체와 이를 받치기 위한 기둥부재로 이루어진 이동식 선반과, 판상부재를 벽면에 고정된 받침부재사이에 설치한 벽면고정식선반과, 판상부재를 소정의 줄이나 지지대로 천정에 현수설치하는 선반등 다양한 방식의 선반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알려진 조립 선반중 몇개를 인용하여 살펴본다.
먼저 등록실용신안제20-0240176호의 경우 선반형 판체와, 기둥부재와, 체결구로 이루어진 철골구조의 조립선반이다.
이와같은 선반의 경우 조립성에서는 아주 편리하지만 모든 부품이 금속제의 철골로 이루어지므로 옥외에서 사용되는 물품들의 정리용 선반으로는 적당하지만 실내 물품의 정리용으로 적당하지 않으며, 조립시마다 일일이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동원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제20-0181569호로 알려진 조립 선반의 경우 요입부가 형성된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한 걸이구와, 걸이홈이 형성된 끼임구와, 선반으로 이루어진 조립 선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한 금속 철골구조물에 비하여 목재 판재등을 이용한 점에서 실내용 조립선반으로 적당하나, 선반을 받치기 위한 지지대의 구성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이에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걸이구,끼임구의 구조들도 복잡하게 이루어져 실내에서 설치하기 위한 조립식의 선반으로는 지나치게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같은 수직지지부재로서 금속판체를 여러단 적층한 경우에는 판체의 강도가 약화되어 휘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립선반으로 적당한 강도가 보강되고, 조립구조가 간단한 조립선반이 필요로 되어 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체결부재 없이 간단히 조립가능한 조립선반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수평강도가 보강된 판체를 이용한 조립선반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조립선반의 조립후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조립선반의 수직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수평간, 11:상연부, 12:걸림탄편, 13:하연부, 14: 삽입공간,
15:외측면, 16:경사면, 20:수직간, 21:걸림공, 22:걸림돌조,
30:판체, 40:커버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조립 선반은,
대략 ㄷ형의 단면을 이루는 그 내측으로 판체 삽입공간을 형성하고,외측면 양끝부분에 걸림탄편을 각각 형성한 적어도 4개의 수평간과; 상기 판체 삽입공간에 네 테두리가 삽지되는 판체; 및 상기 판체의 네 테두리에 삽지된 각 수평간의 걸림탄편이 탄삽지지되는 걸림공을 형성하도록 걸림돌조를 다양한 높이로 수개 돌설한 수직간을 포함하여서 된다.
상기한 본 고안 조립선반의 상기 수평간은 걸림탄편을 형성한 외측면과, 이 외측면의 상부에서 턱을 이루어 내려앉게 형성된 상연부와, 외측면의 하단에서 직각 절곡된 하연부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그 단부끼리 맞추어져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수직간은 -자형 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ㄱ자형의 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한다.
상기한 본 고안 조립선반의 상기 수직간은 상,하단에 끼워져 날카로움과 바닥 접촉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조립선반의 조립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조립 선반은 수평간(10)과, 수직간(20)과, 판체(30)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조립선반의 수직간의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요부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조립선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평간(10)은 대략 ㄷ형의 단면을 이루되 걸림탄편(12)을 형성한 외측면(15)과, 이 외측면(15)의 상부에서 턱을 이루어 내려앉게 형성된 상연부(11)와, 외측면(15)의 하단에서 직각 절곡된 하연부(13)로 이루어지고, 그 내측으로 판체 삽입공간(14)을 형성하며, 외측면(15) 양끝부분에 걸림탄편(12)을 각각 형성한다.특히, 수평간(10)각각은 그 단부끼리 맞추어져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면(16)을 형성한다.
한편, 수직간(20)은 길이가 길고 폭이 좁은 판체로 실시가능하며, 본 고안에서는 상기 판체(10)의 모서리에 적당한 ㄱ자형의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수직간(20)에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소정크기로 압박,절취하여 걸림공(21)을 형성하도록 걸림돌조(22)를 여러곳에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수직간(20)의 상,하단에는 조립시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바닥과의 접촉시 손상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30)를 더 구비한다.
이 수직간(20)은 -자형 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되거나, ㄱ자형의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첨부 도면중 도 1에 적용된 것은 ㄱ자형 단면이고, 도 6에 도시된 것은 -자형 단면으로 길게 형성된 다른 실시예이다.
또한, 상기한 수평간(10)의 걸림탄편(12)에는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리브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고안의 조립은 먼저, 제작된 사각형의 판체(30) 네 연부에 네개의 수평간(10) 삽입공간(14)을 삽입하므로서 사각의 틀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틀에는 수평간(10)의 외측면(15)상에 돌출된 걸림탄편(12)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의 조립판체(30)들을 여러개 만들어 상기한 수직간(20)의 하단부터 적층조립하므로서 다단의 선반이 이루어진다.
즉, 수직간(20)은 금속판체를 가공하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상기한 펀칭금형등을 통하여 압타와 동시에 일부는 상하관통되도록 절취시켜 그 절취부가 걸림공(21)을 이루고 돌출부분이 걸림돌조(22)가 된다.
필요한 위치에 적당한 갯수로 걸림돌조(22)를 형성한 수직간 재료용 판체를 필요한 형태의 단면으로 절곡하므로서 완성된다.
이러한 수직간(20)을 상기한 수평간(10)과 판체(30)가 결합된 틀의 외측 코너에 각각 위치시킨 뒤 네곳의 걸림탄편(12)이 네곳의 걸림공(21)에 삽지되므로서 4개 수직간(20)의 사이에 수평면을 갖는 판체(10)가 조립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판체(10)를 층을 달리하여 필요한 층으로 다층형성하므로서 다층 선반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조립선반들이 갖는 단점을 개선하여 별도 체결부재 없이 다층으로 판체를 조립할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그동안 판체의 강도가 약화되었던 점이 수평간과의 결합구조로서 보강되어 견고한 조립선반을 제공하게 되었다.

Claims (6)

  1. 조립 선반에 있어서,
    대략 ㄷ형의 단면을 이루는 그 내측으로 판체 삽입공간(14)을 형성하고,외측면(15) 양끝부분에 걸림탄편(12)을 각각 형성한 적어도 4개의 수평간(10);
    상기 판체 삽입공간(14)에 네 테두리가 삽지되는 판체(30); 및
    상기 판체(30)의 네 테두리에 삽지된 각 수평간(10)의 걸림탄편(12)이 탄삽지지되는 걸림공(21)을 형성하도록 걸림돌조(22)를 다양한 높이로 수개 돌설한 수직간(20)을 포함하는 조립선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간(10)은 걸림탄편(12)을 형성한 외측면(15)과, 이 외측면(15)의 상부에서 턱을 이루어 내려앉게 형성된 상연부(11)와, 외측면(15)의 하단에서 직각 절곡된 하연부(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간(10)들은 그 단부끼리 맞추어져 직각을 이루도록 경사면(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간(20)이 -자형 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간(20)이 ㄱ자형의 단면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간(20)의 상,하단에 끼워져 날카로움과 바닥 접촉을 방지하는 커버부재(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선반.
KR20-2003-0025848U 2003-08-11 2003-08-11 조립선반 KR2003325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48U KR200332594Y1 (ko) 2003-08-11 2003-08-11 조립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848U KR200332594Y1 (ko) 2003-08-11 2003-08-11 조립선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594Y1 true KR200332594Y1 (ko) 2003-11-07

Family

ID=4934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848U KR200332594Y1 (ko) 2003-08-11 2003-08-11 조립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5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93A (ko) 2021-02-23 2022-08-30 한선영 조립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0193A (ko) 2021-02-23 2022-08-30 한선영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692B2 (en) Modular shelving system
CA1285248C (en) Sheet metal shelving
US4390103A (en) Shelving system
US8132385B2 (en) Benchtop panels
US3237779A (en) Supporting frame
US5348170A (en) Free-standing shelving system
KR102075150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앵글 조립체
US3160281A (en) Partition structure
KR20160105974A (ko) 조립식 블록 구조 및 로크 해제구
KR200332594Y1 (ko) 조립선반
US3465898A (en) Connections for tiered storage rack units
WO2006132499A1 (en) Structure of knocked down furniture
US3042144A (en) Support-forming bracket
JP2007117232A (ja) 組立式収納家具
US20030037712A1 (en) Vertical support panel for use with a wire shelf
KR200329193Y1 (ko) 조립선반
KR102317578B1 (ko)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용 렁 및 이를 포함한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JP3673780B2 (ja) ラック用連結部材
JP7084597B2 (ja) 組立式ラック
KR200163769Y1 (ko) 조립식선반
KR100575597B1 (ko) 조립식 선반틀
JP2005007023A (ja) 収納ユニット
JP2006014791A (ja) 組立棚における棚板取付構造
KR200329188Y1 (ko) 수납공간 가변형 수납선반
US3580618A (en) Combination cleat and clip means for assembling collapsibl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