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1021U - 레이스웨이 행거 - Google Patents
레이스웨이 행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01021U KR20080001021U KR2020060029298U KR20060029298U KR20080001021U KR 20080001021 U KR20080001021 U KR 20080001021U KR 2020060029298 U KR2020060029298 U KR 2020060029298U KR 20060029298 U KR20060029298 U KR 20060029298U KR 20080001021 U KR20080001021 U KR 2008000102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eway
- hanger
- connector
- present
- independ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0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pipes with a rectangular cross-s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F16L3/01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using articulated- or supple-guiding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설치하는 레이스웨이 행거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재(50)를 통해 행거로드(105)에 결합되는 연결구(30)에 레이스웨이(101)를 지지하는 독립 본체(20)를 분리 가능케 체결 구성하되,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의 양단부 각각에는 한 쌍의 체결공(40a)(40b)과 걸림편(60a)(60b)을 끼움 걸림 구조로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제조 및 시공을 신속하고 간단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시공 후 결합이 견고하고 사용이 안전하도록 한 것이다.
레이스웨이 행거, 레이스웨이, 행거, 케이블, 배관
Description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으로 레이스웨이를 고정하는 과정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과정을 완료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으로 레이스웨이를 고정한 상태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독립 본체가 전후 유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A)--레이스웨이 행거 (20)(20A)--독립 본체
(30)(30A)--연결구 (40a)(40b)--체결공
(50)(50A)--고정부재 (52a)--너트리벳
(52b)--통공 (60a)(60b)--걸림편
(66)--내향돌기 (68)--엠보싱
(101)(101A)--레이스웨이 (105)--행거로드
본 고안은 주로 천정에 연결되어 레이스웨이(Raceway)를 지지하는 레이스웨이 행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정이나 벽면에는 전력용 케이블, 통신용 케이블, 상하수도 배관, 도시가스 배관, 냉난방용 배관 등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케이블과 배관들을 안전한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호 연결 설비한 레이스웨이(Raceway)들의 내부로 상기 케이블들과 배관들을 내재 설치하고, 다수 개의 행거(Hanger)로서 레이스웨이를 천정 또는 벽면과 연결되고 나사부를 갖는 행거로드(Hanger Road)에 결합 고정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레이스웨이 행거(이하, “행거”로 약칭함)는 사각, 오각, 육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형성하고 측면부 여닫이가 가능하도록 여닫이문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결합시켜 구성하며, 행거의 상부에는 통공을 뚫거나 통공이 구성된 연결구를 더 결합하여 구성한다. 행거를 시공할 때에는 행거의 통공으로 행거로드가 삽입되게 하고 통공의 상부와 저부로 너트를 끼워 체결한 후에, 행거에 레이스웨이가 걸리게 여닫이문으로 측면 삽입하고 여닫이문을 닫음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거는 각 구성부의 사출 성형 후에 여닫이문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켜야 완성되므로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생산성이 낮으며, 구조가 복잡한 만큼 사용법도 번거롭고 어렵게 되어 시공이 오래 걸리고, 한 번의 시공에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경제성도 낮은 단점이 있었다. 또, 일 측면부로만 여닫게 구성되므로 각 계절의 기온변화에 따라 레이스웨이가 팽창 또는 축소하더라고 탄력적인 조임 조절이 되지 않고 레이스웨이가 꽉 조이게 되어 수평유지가 잘 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를 간단히 하여 제조공정의 완전자동화가 가능케 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레이스웨이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 쉬워서 적은 인력으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레이스웨이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결이 견고하되 레이스웨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해주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레이스웨이 행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고정부재(50)를 통해 행거로드(105)에 결합되는 연결구(30)에 레이스웨이(101)를 지지하는 독립 본체(20)를 분리 가능케 체결 구성하되,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의 양단부 각각에는 한 쌍의 체결공(40a)(40b)과 걸림편(60a)(60b)을 끼움 걸림 구조로 고정되게 구성함으로써 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구(30)의 걸림편(60a)(60b)과 독립본체(20)의 체결공(40a)(40b)이 상하 및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하고,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의 각 모서리부가 탄성강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행거(2)는 저면부 및 양 측면부을 형성하는 독립 본체(20)와 상부면을 형성하는 연결구(30)로 구성하고,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를 체결하면 도 1에서처럼 각(角)형의 링(Ring)의 형태가 되게 구성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거(2)의 독립 본체(20)는 저면부과 측면부 사이각이 90°~ 100° 범위에서 절곡 판스프링과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탄성강성을 갖도록 하고, 행거(2)의 연결구(30) 상부에는 고정부재(50)를 결합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50)는 연결구(30)의 상부 중앙에 통공(50b)을 형성하여 너트리벳(52a)을 삽입하고 통공(50b)의 하부에서 너트리벳(52a)의 단부를 바깥으로 뒤집어 플랜지 형상으로 접합 고정시키는 것이다. 탄성강성(Elasticity Stiffness)이란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었다가 다시 원상복귀하려는 성질을 말하며, 너트리벳은 일종의 체결구로서 너트형의 머리부를 갖는 관 리벳(tubular rivet)을 지칭하는 것이다.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의 체결을 위하여, 독립 본체(20)의 양측 단부에는 “┳”형상의 내향 걸림편(60a)(60b)을 형성하고, 연결구(30)의 양측 단부에는 “┳”형상의 하향 체결공(40a)(40b)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60a)(60b)에 끼워진 후 걸림 고정되게 구성한다.
본 고안 행거(2)의 독립 본체(20) 및 연결구(30)의 측면부으로 이어지는 모서리부에는 여러 개의 엠보싱(68)을 형성함으로써,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모서리부가 탄성강성을 갖도록 하여 레이스웨이(101)의 설치와 해체 및 행거(2)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독립 본체(20)의 양 내측부 하부에는 수평방향의 내향돌기(66)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스웨이(101)의 끼움 제거 시에 독립 본체(20) 내벽에 착 달라붙지 않게 되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101)에 커버를 씌울 때 커버(103) 두께만큼의 공간을 확보하여 주어 시공이 용이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고안의 행거(2)의 시공 중의 상태와 시공을 완료한 상태를 각 도시한 것이다.
건축물의 천정으로 연결된 행거로드(105)의 나사부에 행거(2) 연결구(30)의 고정부재(50)를 체결함으로써 연결구(30)와 행거로드(105)가 결합시킨 후에, 행거(2) 독립 본체(20)의 내부에 레이스웨이(101)를 끼우고 독립 본체(20)을 위로 들어올려서 도 3에서처럼 독립 본체(20) 양측의 걸림편(60a)(60b)을 상기 연결구(30) 양측의 걸림편(60a)(60b)에 차례로 하나씩 걸리게 하여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형상으로 하향 뚫은 체결공(40a)(40b)의 상부로 역시 “┳”형상의 걸림편(60a)(60b)을 원터치 방식처럼 밀어서 삽입하는 순간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101)의 중량에 의해 독립 본체(20)가 아래로 내려앉으면서 상기 체결공(40a)(40b)의 하단에 걸림편(60a)(60b)의 하단이 걸림으로써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행거(2)의 양측 체결 시공은, 종래의 일측 체결 시공이 여닫이문을 열어 측면부으로 레이스웨이(101)을 끼우고 레이스웨이(101)가 빠져나오지 않게 작업자가 직접 잡고서 여닫이 문을 일일이 위로 닫아주어야 하는 것에 비하여, 시공이 신속 용이하게 될 뿐 아니라 시공 인력도 훨씬 적게 필요로 하게 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본 고안 행거(2)로 레이스웨이(101)를 고정하면,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레이스웨이(101)는 행거(2) 독립 본체(20)의 지지를 받게 되고 연결구(30)에 의해 천정에 연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행거(2)는 도 5에서처럼 레이스웨이(101)가 한 측만 체결되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양측에서 균형있게 체결됨으로써 레이스웨이(101)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좌우로 심하게 조이지 않게 된다. 또 도 6에서처럼 걸림편(60a)(60b)이 체결공(40a)(40b)에 헐겁게 끼움 걸림 고정되어, 체결공(40a)(40b) 내의 상하 여유 간격에 의해 걸림편(60a)(60b)이 전후로도 움직일 수가 있는 것이다.
이는 본 고안의 행거(2)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레이스웨이(101)가 필요 시에 전후 및 좌우로 어느 정도는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계절의 기온 변화에 따라 금속재로 형성되는 레이스웨이(101)가 팽창 또는 축소될 때에도 행거(2)의 걸림편(60a)(60b)이 체결공(40a)(40b)의 내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더욱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원형의 레이스웨이(101A)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독립 본체(20A)의 상단 일부를 개구시켜 곡(曲)형의 링 형태로 형성한 본 고안의 행거(2A)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고안 행거(2)가 각형의 링 형태인 것과는 다른 실시 예이며, 이 외에도 각종 레이스웨이(101)에도 본 고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형의 독립 본체(20A) 상단의 개구부가 탄력적으로 확개되고 축소되도록 독립 본체(20A)를 둘러싸는 띠형의 엠보싱(68)을 형성하고, 양 단부에는 “┳”형상의 걸림편(60a)(60b)을 내측으로 돌출시켜 구성하며, 이에 대응되는 연결편(30A)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 연결바(30)와 동일하게 형성한다.
도 9에서와 같이 곡형의 링 형태 행거(2A)를 시공할 때에는, 독립 본체(20A)에 레이스웨이(101A)를 측면부 삽입 후에 독립 본체(20A)의 양 걸림편(60a)(60b)과 연결구(30A)의 체결공(40a)(40b)을 걸어서 체결하여야 하므로, 도 3에 도시한 사각링형의 행거(2)에는 레이스웨이(101)을 전면 삽입해야 하는 것과는 다소 다르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공정도 간단 신속 용이하게 되고 제조공정의 완전자동화가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되며, 적은 인력으로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체결이 견고하며 안전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 건축물에 설치하는 레이스웨이 행거(2)에 있어서,고정부재(50)를 통해 행거로드(105)에 결합되는 연결구(30)에 레이스웨이(101)를 지지하는 독립 본체(20)를 분리 가능케 체결 구성하되, 독립 본체(20)와 연결구(30)의 양단부 각각에는 한 쌍의 체결공(40a)(40b)과 걸림편(60a)(60b)을 끼움 걸림 구조로 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행거.
- 제 1항에 있어서,걸림편(60a)(60b)과 체결공(40a)(40b)이 상하 및 전후로 유동할 수 있도록 헐겁게 끼움 걸림 고정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행거.
- 제 1항에 있어서,독립 본체(20)를 저면부와 양측면부를 갖는 각형 구조로 구성하되 저면부와 측면부 사이각이 90°~ 100° 되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스웨이 행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9298U KR20080001021U (ko) | 2006-11-08 | 2006-11-08 | 레이스웨이 행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9298U KR20080001021U (ko) | 2006-11-08 | 2006-11-08 | 레이스웨이 행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01021U true KR20080001021U (ko) | 2008-05-14 |
Family
ID=41324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9298U KR20080001021U (ko) | 2006-11-08 | 2006-11-08 | 레이스웨이 행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01021U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3736B1 (ko) * | 2011-03-14 | 2011-06-22 | 김성구 | 스프링 내장형 내진 안전행가 |
KR101217927B1 (ko) * | 2010-08-09 | 2013-01-02 | 이재열 | 투웨이 양면 행거 |
KR20160004310U (ko) | 2015-06-08 | 2016-12-16 | (주)주영산업 | 레이스 웨이 유닛 |
KR101712939B1 (ko) * | 2016-12-01 | 2017-03-09 |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 배선 관로 설치물용 고정 브라켓 |
KR20180067886A (ko) | 2016-12-13 | 2018-06-21 | 임근 | 레이스웨이용 행거 |
KR102065593B1 (ko) * | 2018-08-22 | 2020-01-13 | 김경철 | 등기구레일용 행거 |
KR102182853B1 (ko) * | 2020-05-11 | 2020-11-25 | 한국전력공사 | 안전대 지지장치 |
-
2006
- 2006-11-08 KR KR2020060029298U patent/KR2008000102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7927B1 (ko) * | 2010-08-09 | 2013-01-02 | 이재열 | 투웨이 양면 행거 |
KR101043736B1 (ko) * | 2011-03-14 | 2011-06-22 | 김성구 | 스프링 내장형 내진 안전행가 |
KR20160004310U (ko) | 2015-06-08 | 2016-12-16 | (주)주영산업 | 레이스 웨이 유닛 |
KR101712939B1 (ko) * | 2016-12-01 | 2017-03-09 |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 배선 관로 설치물용 고정 브라켓 |
KR20180067886A (ko) | 2016-12-13 | 2018-06-21 | 임근 | 레이스웨이용 행거 |
KR102065593B1 (ko) * | 2018-08-22 | 2020-01-13 | 김경철 | 등기구레일용 행거 |
KR102182853B1 (ko) * | 2020-05-11 | 2020-11-25 | 한국전력공사 | 안전대 지지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80001021U (ko) | 레이스웨이 행거 | |
US7195038B2 (en) | Conduit supports | |
KR102101825B1 (ko) |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 |
KR20180040872A (ko) | 파이프 고정구 | |
KR20150000983A (ko) | 건축물의 외벽 고정 시스템 | |
KR101758889B1 (ko) |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 |
GB2478772A (en) | Pipe clips | |
KR20200068421A (ko) | 시공이 용이한 차수벽의 프레임 구조 | |
KR101465504B1 (ko) |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 |
JP2008031696A (ja) | 庇 | |
KR101902202B1 (ko) |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100952314B1 (ko) | 파이프 및 패널의 조립이 용이한 클램프 조립체 | |
JP2018193854A (ja) | ユニットハウス用の壁面パネルおよび壁面構造、ならびに壁面パネル用の連結具 | |
KR101056354B1 (ko) | 건축 장식용 몰딩 구조체 | |
KR100623965B1 (ko) | 지붕 조립용 샌드위치 판넬 | |
JP3815377B2 (ja) | 機器落下防止金具 | |
KR200480427Y1 (ko) | 에어컨 배관용 행거 | |
JP5773482B2 (ja) | 開口部装置の枠周り部材の設置構造 | |
KR101125262B1 (ko) | 에어컨 배관 및 배선의 천장 거치용 행거 | |
KR200456938Y1 (ko) | 배관 고정장치 | |
KR100666012B1 (ko) | 공동주택 외벽에 설치되는 배수파이프 지지장치 | |
JP2002054227A (ja) | 下面被覆板の取付構造 | |
KR200447243Y1 (ko) | 파이프 행거 | |
KR101538269B1 (ko) | 간편착탈식 덕트지지행거 | |
KR200419372Y1 (ko) | 냉동고 경량철골 천장틀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