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202B1 -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202B1
KR101902202B1 KR1020170127742A KR20170127742A KR101902202B1 KR 101902202 B1 KR101902202 B1 KR 101902202B1 KR 1020170127742 A KR1020170127742 A KR 1020170127742A KR 20170127742 A KR20170127742 A KR 20170127742A KR 101902202 B1 KR101902202 B1 KR 10190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frame
wall
br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태균
Original Assignee
유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태균 filed Critical 유태균
Priority to KR1020170127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grooves running along the whole length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aling elements between cove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벽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외부벽돌벽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벽돌과 수평프레임사이에 개재되도록 가스켓을 설치하여 열교현상이 차단되도록 하고 신축조인트로서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내력벽에 밀착되어 앵커를 통해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력벽의 폭과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들 중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에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판과, 상기 수평지지판의 전면에서 상, 하방향으로 직교되게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력벽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진 수평프레임에 체결됨으로서 수평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브래킷;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 내측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마감벽돌; 상기 상부걸림턱과 벽체마감벽돌의 끼움홈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해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Dry brick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치가 간편하여 빠른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열교현상을 차단하고 신축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에 벽돌을 장식하기 위해서는 내력벽에 단열재를 시공하고 이 단열재의 외측에 치장을 위한 다수의 조적벽돌을 조적하여 외장처리를 하는 방법이 주로 시행되어 있다. 이때 조적벽돌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모르타르를 통해 접합되면서 고정되는 이러한 형태의 시공을 통상적으로 습식시공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시공 방법은 모르타르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온도변화 및 바람 등의 환경적 원인에 의해 수축 및 팽창작용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면서 부분적인 균열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건조되기 전에 외력이 작용하면 조적된 벽돌이 무너지거나 비뚤어져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벽돌의 위치가 비뚤어지지 않도록 반듯하게 조적하는 작업이 고도의 숙련을 요구하는 것으로 초보자에게는 쉬운 작업이 아니었으며, 모르타르를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과정이 장시간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습식시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앵커 또는 브래킷 및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다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돌을 고정하는 건식시공 방법이 시공되고 있다.
종래의 건식시공 방법은 너무 많은 볼트 너트의 조임을 통해 벽돌들을 연결함으로써 시공이 번거로워 시공기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금속재질의 앵커, 브래킷, 볼트, 너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벽돌을 고정 및 지지하게 됨으로써 열교현상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42244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벽돌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해주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외부벽돌벽의 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벽돌과 수평프레임사이에 개재되도록 가스켓을 설치하여 열교현상이 차단되도록 하고 신축조인트로서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내력벽에 밀착되어 앵커를 통해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력벽의 폭과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들 중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에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판과, 상기 수평지지판의 전면에서 상, 하방향으로 직교되게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력벽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진 수평프레임에 체결됨으로서 수평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브래킷;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 내측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마감벽돌; 상기 상부걸림턱과 벽체마감벽돌의 끼움홈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해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상기 벽체마감벽돌은, 벽돌몸체; 벽돌몸체의 하부면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하부연장부; 상기 벽돌몸체의 하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걸림턱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끼움홈; 상기 벽돌몸체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걸림턱의 내측에 걸려지게 되는 상부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홈의 입구부에는 상기 하부걸림턱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켓은,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의 전면을 커버해주는 제1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연장된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배면으로 커버해주는 제2수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력벽에 개구부가 더 형성될 경우 상기 개구부의 상부면에 상부마감부를 더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마감부는, 개구부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앵커를 통해 고정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부플랜지와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중심을 수직하게 연결하는 웨브로 이루어진 H바; 상기 H바들 중 이웃하는 H바의 하부플랜지에 양단이 끼워질 수 있도록 양측면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개구마감벽돌;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내력벽에 설계된 위치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브래킷을 앵커를 통해 설치하는 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지지브래킷들 중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래킷들에 수직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수직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수직프레임에 직교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수평지지판과 상기 수평지지판의 전면에서 수평지지판과 직교되는 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내력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개를 설치하는 수평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걸려지도록 가스켓을 설치하는 가스켓 설치단계; 상기 가스켓이 설치된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의 배면에 벽체마감벽돌의 상부연장부를 먼저 끼워 넣으면서 하부연장부를 가스켓이 설치된 수평프레임 방향으로 밀어 넣고 벽체마감벽돌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가스켓이 개재된 상태로 상부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벽체마감벽돌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의 수평지지판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에 끼워진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브래킷을 통해 수평프레임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하중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외부벽돌벽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마감벽돌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벽체마감벽돌과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개재되도록 가스켓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열교현상을 차단해주고 신축조인트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며 결로를 방지하고 단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마감벽돌에 라운드부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벽체마감벽돌을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구부의 상부에 상부마감부를 더 설치하게 됨으로써 창호, 필로티 등과 같은 구조의 설치를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의 상부면 또한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벽체마감벽돌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스켓을 나타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상부마감부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상부마감부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벽체마감벽돌을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가스켓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내력벽(10)에 앵커(30)를 통해 고정되고, 내력벽(10)의 폭과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지브래킷(100)과, 상기 지지브래킷(100)들 중 높이 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지브래킷(100)들에 결합되어 내력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수직프레임(200)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내력벽(10)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300)과,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수평프레임(300)을 받쳐주는 한 쌍의 받침브래킷(400)과, 상기 수평프레임(300)에 하단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하단부가 끼워진 수평프레임(300)의 상부에 이웃하는 다른 수평프레임(300)에 걸려지도록 설치되어 내력벽(10)의 외면을 감해주는 다수의 벽체마감벽돌(500)과, 상기 벽체마감벽돌(500)의 하부와 수평프레임(30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함과 동시에 신축조인트 작용을 하게 되는 가스켓(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브래킷(100)은 내력벽(10)에 밀착되어 앵커를 통해 내력벽(10)에 고정되는 고정판(110)과 상기 고정판(110)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판(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10)에는 앵커(30) 설치를 위한 볼트홀(130)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홀(130)은 고정판(11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브래킷(100)을 내력벽(1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현장 여건에 따라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120)에도 상기 수직프레임(200)과의 볼트(40) 및 너트(41) 체결을 위한 볼트홀(130)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홀(130)은 수직프레임(200)에 전, 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판의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지지브래킷(100)의 지지판(120)에 결합되어 내력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직판(210)과, 상기 수직판(210)의 후방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2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판(210)에는 수직판(210)의 전, 후방향으로 상기 지지판(120)에 형성된 볼트홀(130)과 대응되도록 장공형태의 볼트홀(230)이 형성되어 수직프레임(200)을 지지브래킷(100)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장공형태의 볼트홀(230)을 통해 내력벽(10)의 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현장조건에 맞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210)에는 상기 받침브래킷(400)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볼트홀(230)이 수직판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홀(230) 또한 수직판(210)의 전, 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받침브래킷(4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300)은, 상기 수직판(210)에 직교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311)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판(310)과, 상기 수평지지판(310)의 전면에서 수평지지판(310)과 직교되는 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벽체마감벽돌(500)이 걸려지게 되는 상부걸림턱(320) 및 하부걸림턱(3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300)은 도면에서와 같이 단면이 T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프레임(200)에 끼워진 상태에서 받침브래킷(400)을 통해 받쳐진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지지판(310)이 절개홈(311)을 통해 수직프레임(200)의 수직판(210)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수직판(210)에 설치되는 받침브래킷(400)을 통해 받쳐진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처지지 않고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받침브래킷(400)은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양측면에 볼트(40) 및 너트(41)를 통해 결합되는 결합판(410)과, 상기 결합판(410)의 일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수평지지판(310)의 하부에 밀착되고 볼트(40) 및 너트(41)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수평프레임(300)을 받쳐주게 되는 받침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410)과 받침판(420)에는 볼트(40) 및 너트(41)의 설치를 위한 볼트홀(430)이 형성되되, 상기 볼트홀(430) 또한 받침브래킷(400)의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전, 후 방향 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브래킷(400)은 단면의 형태가 'ㄱ'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300)의 하부에서 수평프레임(300)을 받쳐주게 됨으로써 수평프레임(300)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벽체마감벽돌(500)은, 벽돌몸체(510)와, 상기 벽돌몸체의 하부면 일측에서 하부방향을 돌출 형성되어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 및 하부걸림턱(321) 외면을 덮어 줌으로써 상부걸림턱(320)과 하부걸림턱(3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하부연장부(530)와, 상기 벽돌몸체(510)의 하부면에서 상부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하부걸림턱(321)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벽돌몸체(510)가 수평프레임(300)에 걸려지게 되는 끼움홈(540)과, 상기 벽돌몸체(510)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걸림턱(321)의 내측에 걸려지게 됨으로서 벽돌몸체(510)가 수평프레임(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연장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벽체마감벽돌(500)은 상기 상부연장부(520)를 상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300)의 하부걸림턱(321) 내측으로 삽입한 후 하부를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하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에 밀어 넣으면 끼움홈(540)에 상기 상부걸림턱(320)이 끼워짐으로써 수평프레임(30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벽체마감벽돌(500)은 도 6 의 (b)에서와 같이 수평프레임(300)에 설치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끼움홈(540)의 입구부에 라운드부(56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즉 벽체마감벽돌(500)의 하부를 수평프레임(300)을 향해 밀어 넣는 과정에서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끼움홈(540)에 상부걸림턱(320)이 끼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벽체마감벽돌(500)은 폭방향으로 중공(55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600)은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 및 하부걸림턱(321)의 전면을 덮어주도록 형성되는 제1수직부(610)와, 상기 제1수직부(610)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끼움홈(540)으로 삽입되는 상부걸림턱(320)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수평부(620)와, 상기 수평부(620)의 연장된 끝단에서 하부방향을 향해 상기 제1수직부(610)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320)의 배면을 커버해주는 제2수직부(63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켓(600)은 우레탄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수평프레임(300)으로 전달되는 열의 이동을 최소화시켜 열교현상을 줄여주게 됨으로써 결로 발생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상기 가스켓(600)은 도 7 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수직부(610)의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벽체마감벽돌(500)의 벽돌몸체(510)와 하부연장부(530)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열교현상을 보다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수평연장부(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켓(600)은 합성수지 부재로 구성됨으로써 신축조인트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온도변화에 따른 외부벽돌벽 구조체의 신축에 대응하여 외부벽돌벽 구조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내력벽(10)에 창호, 필로티 등과 같은 구조의 설치를 위해 개구부(20)를 형성하게 되는 상기 개구부(20)를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20)의 상부면에 상부마감부(700)를 더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개구부(20)는 내력벽(1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건축물의 내부로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에서 개구부(20)를 형성할 수가 있는데 이때 개구부(20)의 상부면은 천장면 형태로 노출되며 노출된 부분에 상기 상부마감부(700)를 더 설치하여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마감부(700)는, 개구부(2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H바(710)와, 상기 H바(710)들 중 이웃하는 H바(710)들에 양측면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개구마감벽돌(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H바(710)는 개구부(20)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앵커(30)를 통해 개구 상부면에 고정되는 상부플랜지(711)와, 상기 상부플랜지(711)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플랜지(7110)와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하부플랜지(712)와, 상기 상부플랜지(711)와 하부플랜지(712)의 중심을 수직하게 연결해주는 웨브(7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플랜지(711)는 하부플랜지(712)의 폭 보다 넓게 형성하여 개구부(20)의 상부면에 앵커(30)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플랜지는 상부플랜지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기 때문에 개구마감벽돌(72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줄여주면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마감벽돌(720)은 양측면에 형성되는 끼움홈(721)을 통해 상기 H바(710)들의 하부플랜지(712)에 끼워지도록 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마감부(700)는 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상부를 빠르고 간편한 시공을 통해 마감하게 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뛰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의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내력벽(10)에 설계된 위치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브래킷(100)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지지브래킷(100)의 지지판(120)에 수직프레임(200)의 수직판(210)을 볼트(40) 및 너트(4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내력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지브래킷(100)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지브래킷(100)에 연결되도록 설치하여 내력벽(10)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이후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수직판(210) 양측면에 받침브래킷(400)을 볼트(40) 및 너트(41)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여기서 받침브래킷(400)은 결합판(410)이 볼트(40) 및 너트(41)를 통해 수평프레임(300)의 수직판(210)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수직판(210)에 수평프레임(300)의 절개홈(311)이 끼워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받침브래킷(400)의 받침판(420)에 놓여지도록 거치한 후 받침판(420)과 수평프레임(300)의 수평지지판(310)을 볼트(40) 및 너트(41)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300)은 수직프레임(2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를 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에 걸려지도록 가스켓(600)을 설치한다.
이후 상기 가스켓(600)이 설치된 수평프레임(300)의 상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300)의 하부걸림턱(321)의 배면에 벽체마감벽돌(500)의 상부연장부(520)를 먼저 끼워 넣으면서 하부연장부(530)를 가스켓(600)이 설치된 수평프레임(300) 방향으로 밀어 넣고 끼움홈(540)에 가스켓(600)이 개재된 상태로 상부걸림턱(320)을 끼워 넣음으로서 벽체마감벽돌(500)을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개구부(20)가 형성될 경우에는 개구부(20)의 상부면에 상부마감부(700)를 더 설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마감부(700)는 개구부(20)의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H바(710)를 설치하고, 상기 H바(710)의 하부플랜지(712)에 개구마감벽돌(720)의 양측면에 형성된 끼움홈(721)이 끼워지도록 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수평프레임(300)의 수평지지판(310)에 절개홈(311)을 형성하여 수직프레임(200)에 끼워지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받침브래킷(400)을 통해 수평프레임(300)을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하중지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외부벽돌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벽체마감벽돌(50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벽체마감벽돌(500)과 수평프레임(300)의 상부걸림턱(320)에 개재되도록 가스켓(600)을 설치하게 됨으로써 열교현상을 차단해주고 신축조인트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벽체마감벽돌(500)에 라운드부(560)를 형성하게 됨으로써 벽체마감벽돌(500)을 수평프레임(300)의 하부걸림턱(321)에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과정에서 간섭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구부(20)의 상부에 상부마감부(700)를 더 설치하게 됨으로써 창호, 필로티 등과 같은 구조의 설치를 위해 형성되는 개구부(20)의 상부면 또한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내력벽 (20) : 개구부
(30) : 앵커 (40) : 볼트
(41) : 너트 (100) : 지지브래킷
(110) : 고정판 (120) : 지지판
(130) : 볼트홀 (200) : 수직프레임
(210) : 수직판 (220) : 수평판
(230) : 볼트홀 (300) : 수평프레임
(310) : 수평지지판 (311) : 절개홈
(320) ; 상부걸림턱 (321) : 하부걸림턱
(330) : 볼트홀 (400) : 받침브래킷
(410) : 결합판 (420) : 받침판
(430) : 볼트홀 (500) : 벽체마감벽돌
(510) : 벽돌몸체 (520) : 상부연장부
(530) : 하부연장부 (540) : 끼움홈
(550) : 중공 (560) : 라운드부
(600) : 가스켓 (610) : 제1수직부
(620) : 수평부 (630) : 제2수직부
(640) : 하부수평연장부 (700) : 상부마감부
(710) : H바 (711) : 상부플랜지
(712) : 하부플랜지 (713) : 웨브
(720) : 개구마감벽돌 (721) : 끼움홈

Claims (7)

  1. 내력벽에 밀착되어 앵커를 통해 내력벽에 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고 내력벽의 폭과 높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지지브래킷;
    상기 지지브래킷들 중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래킷의 지지판에 결합되어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일측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판으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에 끼워질 수 있도록 후면에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지지판과, 상기 수평지지판의 전면에서 상, 하방향으로 직교되게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력벽의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수직판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에 끼워진 수평프레임에 체결됨으로서 수평프레임을 받쳐주는 받침브래킷;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단부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 내측에 걸려지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벽체마감벽돌;
    상기 상부걸림턱과 벽체마감벽돌의 끼움홈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어 열교현상을 차단해주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벽체마감벽돌은, 벽돌몸체와, 벽돌몸체의 하부면 일측에서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하부연장부와, 상기 벽돌몸체의 하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하부걸림턱에 끼워져 걸려지게 되는 끼움홈과, 상기 벽돌몸체의 상부면 타측에서 상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걸림턱의 내측에 걸려지게 되는 상부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스켓은,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의 전면을 커버해주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연장된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배면으로 커버해주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벽체마감벽돌의 벽돌몸체와 하부연장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홈의 입구부에는 상기 하부걸림턱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내력벽에 설계된 위치에 맞도록 다수의 지지브래킷을 앵커를 통해 설치하는 지지브래킷 설치단계;
    상기 지지브래킷들 중 내력벽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브래킷들에 수직프레임의 일측이 결합되도록 설치하는 수직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수직프레임에 직교된 상태로 끼워지도록 절개홈이 형성된 수평지지판과 상기 수평지지판의 전면에서 수평지지판과 직교되는 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수평프레임을 상기 수직프레임에 설치하되, 상기 수평프레임은 내력벽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개를 설치하는 수평프레임 설치단계;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에 걸려지도록 가스켓을 설치하는 가스켓 설치단계;
    상기 가스켓이 설치된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한 다른 수평프레임의 하부걸림턱의 배면에 벽체마감벽돌의 상부연장부를 먼저 끼워 넣으면서 하부연장부를 가스켓이 설치된 수평프레임 방향으로 밀어 넣고 벽체마감벽돌의 하부에 형성된 끼움홈에 가스켓이 개재된 상태로 상부걸림턱이 끼워지도록 설치하는 벽체마감벽돌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가스켓 설치단계는, 수평프레임의 상부걸림턱 및 하부걸림턱의 전면을 커버해주는 제1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연장된 끝단에서 하부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부걸림턱의 배면으로 커버해주는 제2수직부와, 상기 제1수직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벽체마감벽돌의 벽돌몸체와 하부연장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설치되는 하부수평연장부로 이루어진 가스켓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의 시공방법.



KR1020170127742A 2017-09-29 2017-09-29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90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2A KR101902202B1 (ko) 2017-09-29 2017-09-29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42A KR101902202B1 (ko) 2017-09-29 2017-09-29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202B1 true KR101902202B1 (ko) 2018-09-28

Family

ID=6372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42A KR101902202B1 (ko) 2017-09-29 2017-09-29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2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30B1 (ko) * 2019-12-31 2020-08-07 청화요업(주)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WO2023062195A1 (en) 2021-10-15 2023-04-20 Kettlitz B.V. Brick slip wall cladding system
NL2029428B1 (en) * 2021-10-15 2023-05-16 Kettlitz B V Brick slip wall cladd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13B2 (ja) * 1998-12-28 2001-06-2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16069801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壁パネル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13B2 (ja) * 1998-12-28 2001-06-25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装置
JP2016069801A (ja) * 2014-09-26 2016-05-09 株式会社竹中工務店 壁パネル取付け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30B1 (ko) * 2019-12-31 2020-08-07 청화요업(주) 내진용 벽돌 조적 시스템
WO2023062195A1 (en) 2021-10-15 2023-04-20 Kettlitz B.V. Brick slip wall cladding system
NL2029428B1 (en) * 2021-10-15 2023-05-16 Kettlitz B V Brick slip wall cladd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2202B1 (ko) 건식 외부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4070835A (en) Device intended for the hooking of panels on a wall in order to constitute a covering on this wall
KR20150112476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101500313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599748B1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102342704B1 (ko) 건축용 외장패널 행거 및 외장패널 구조체
KR20060066705A (ko) 건축 외장재용 고정구
KR101960398B1 (ko) 건식 쌓기형 외부벽돌벽 및 그 시공방법
KR200441333Y1 (ko) 경량철골식 천장 구조물
KR20190017320A (ko) 건식 벽돌벽 구조체
KR200469661Y1 (ko) 패널 고정장치 및 이를 갖춘 패널 조립체
RU9912739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US20230295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choring curtainwalls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101832213B1 (ko) 천정 티바용 고정클립
KR20190035184A (ko) 마감재 건식 시공을 위한 시스템
KR101623939B1 (ko) 단열성능을 향상시킨 커튼월 창
JP5486200B2 (ja) 浴室用吊り架台
RU202888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элементов каркаса навесного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фасада
KR102283702B1 (ko) 커튼월 유니트
KR101941847B1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RU73890U1 (ru) Опорный узел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фасад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198947Y1 (ko) 천정판
KR200419372Y1 (ko) 냉동고 경량철골 천장틀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