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872A - 파이프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872A
KR20180040872A KR1020160132715A KR20160132715A KR20180040872A KR 20180040872 A KR20180040872 A KR 20180040872A KR 1020160132715 A KR1020160132715 A KR 1020160132715A KR 20160132715 A KR20160132715 A KR 20160132715A KR 20180040872 A KR20180040872 A KR 2018004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pipe
coupling
tightening
upp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8752B1 (ko
Inventor
조경희
Original Assignee
조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희 filed Critical 조경희
Priority to KR102016013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7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상,하수 및 우수파이프와 냉난방용 배관 등 다수의 배관파이프를 건축물의 천정 및 벽면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부클램프(2)와, 상기 상부클림프(2)와 힌지(8)로 결합되며 내측에 파이프고정홈(11)을 갖는 클램프본체(1)와 힌지결합부의 타측에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에 각각 조임홈(13)(23)과 조임돌부(12)(22)로 형성되는 조임부(91) 및 조임부에 대응하는 결합돌부(32)와 결합홈((33)을 가진 조임구(3)를 조임부(91)와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개폐량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조임결합부를 구성하며 클램프본체(1)의 하면에 결합하여 클램프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블록(5)으로 구성하여 클램프본체(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블럭연설용 결합홈(17) 블럭연설용 결합돌부(18)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클램프본체를 결합하여 연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블록(5)은 다수를 중첩하여 결합할 수 있고 클램프본체(1)의 하면 및 측면으로 결합이 가능하므로 조임구의 위치에 따라 상부클램프 및 클램프본체 내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조임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파이프의 간격을 균일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블럭과 조합하여 파이프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구성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고정구{Pipe clamp}
본 발명은 파이프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상,하수 및 우수파이프와 냉난방용 배관 등 다수의 배관파이프를 건축물의 천정 및 벽면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탈착이 편리하고 높낮이의 조절이 편리하며 특히 연설되는 파이프를 균일한 높이 및 간격으로 파이프를 연설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도시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이 많은 배관 파이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관 파이프는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며 설치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에 설치되는 배관 파이프는 파이프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고층 및 대형의 건축물이 건축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건물에는 길이가 길고 하중을 갖는 배관 파이프가 장치되므로 파이프의 쳐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다수의 파이프 고정구를 이용하여 일정간격을 띄워서 고정하며, 천정 및 벽면 등에 설치되는 파이프라인은 건축물의 미관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는 배관파이프는 파이프 고정구에 의하여 배관 파이프가 벽면 또는 천정에 지지됨으로써 배관 파이프는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파이프 고정구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 제0156707호에서와 같이 벽면에 고정되는 부착판의 중앙부로 부터 관통되어 연장된 결합구멍이 형성된 거리조절관의 상단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진 부착구와, 내벽면을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그 사이에서 파이프를 고정하는 1쌍의 반원형홀더와 일측 반원형홀더에 연장 돌출된 거리 조절봉으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지지부로 구성되어, 상기 거리 조절봉 이 부착구의 거리 조절관 내로 투입되어 건축물의 골조표면과 파이프 사이의 간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신축조절되어 조절나사에 의하여 나사구멍에서 조여주는 거리조절수단을 통하여 파이프를 일직선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서 배관되는 파이프의 설치위치가 골조표면으로부터 일정치 않더라도 자유자재로 그 거리를 조절하여 배관용 파이프를 고정할 수 있어 파이프 고정설치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파이프를 일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하여서는 거리조절관내로 투입되는 거리조절봉의 신축량을 조절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파이프의 수평 및 수직설치를 위하여서는 작업자의 숙련된 기술이 필요로 하고 상기 파이프는 주로 천정 벽면에 주로 설치되므로 작업환경이 불량한 상태에서 파이프를 고정하는 한쌍의 반원형홀더 및 거리조절관과 거리조절봉고정을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파이프의 고정작업을 위한 작업량 많아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20-0431640호 에서와 같이 양단에 가요성을 가진 제1날개부 및 제2날개부가 각각 형성되며, 건축물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대 일단부에 제1체결용 돌출부가 외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타단부에 제1파이프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용 돌출부 및 상기 제1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제1날개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날개부가 휘어짐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반원통 형태의 제1지지대와 일단부에 제2체결용 돌출부가 내부를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타단부에 제2파이프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체결용 돌출부 및 상기 제2파이프 지지부 사이에 상기 제2날개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날개부가 휘어짐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는 반원통 형태의 제2지지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체결용 돌출부와 상기 제2체결용 돌출부는 서로 체결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지지대와 상기 제2지지대 사이에 삽입되는 파이프가 상기 제1지지대의 제1파이프 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대의 제2파이프 지지부를 밀어서 상기 제1날개부 및 상기 제2날개부가 휘어지도록 하는 원터치형 파이프 클램프를 구성하여 파이프를 파이프 클램프 내에 삽입하는 동작만으로써 파이프 클램프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 클램프에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외경지름이 소폭 크거나 작게 공차범위 내에서 변화하는 파이프를 밀착하여 고정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파이프가 크게되면 파이프의 체결이 어렵게 되고 파이프가 작게되면 체결된 파이프가 클램프내에서 유격을 갖게 되어 흔들리게 되므로 작은진동이나 충격에도 파이프를 연결한 이음부 등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20-0156707 등록실용신안20-04316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파이프제조시에 발생하는 파이프외경의 치수편차에 대응하여 파이프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이프를 균일한 간격과 높이 또는 다양하게 배치하여 연설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설치된 파이프라인의 미감이 우수하도록 하는 연결설치가 편리한 파이프 고정구를 제안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반원형의 파이프수용홈(21)을 갖는 상부클램프(2)와, 상면이 반원형의 파이프받침홈(11)으로 형성되며 하측에 결합홈(15)(16)(17)과 결합돌부(18)가 형성되는 클램프본체(1),의 일측을 힌지(8)로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파이프고정부(6)와: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2)의 힌지(8) 타측에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에 경사상의 조임홈(22)(12)과 조임돌부(23)(13)가 상,하대칭형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고 내측홈(31)의 상,하면 및 입구의 상,하면을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에 경사상의 조임홈(22)(12)과 조임돌부(23)(13)에 대응하는 경사상의 조임홈(33)과 조임돌부(32)를 형성하는 조임구(3)로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조임홈(22)(12)및 조임돌부(23)(13)와 결합하는 조임결합부(9),로 형성하며
클램프본체(1)는 파이프받침홈(11)으로 부터 클램프본체(1)를 수직 관통하는 볼트공(14)과 바닥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결합홈(15)(16) 및 일측 주벽에 형성되는 결합홈(17)과 타측 주벽에 결합돌부(18)를 형성하여 클램프본체(1)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부(18)와 결합홈(17)을 이웃하는 클램프본체의 결합돌부와 결합홈에 결합하여 다수의 클램프본체를 연설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상면에 한쌍의 결합돌부(52)를 형성하고 하면에 한쌍의 결합홈(53)을 형성하며 좌,우 양측 주벽에 각각 결합홈(3)과 결합돌부(52)를 가진 받침블록(5)의 상면에 결합돌부(52)를 클램프본체(1)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홈(15)(16)과 결합하여 클램프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발명은 상부클램프 및 클램프본체와 결합하는 조임구의 조임홈 및 조임돌부가 경사상으로 결합하므로서 조임구의 위치에 따라 상부클램프 및 클램프본체 내에 고정되는 파이프의 조임량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를 견고히 고정할 뿐 만 아니라, 파이프의 제조시에 치수공차에 의한 외경치수편차를 가진 파이프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크램프본체와 이웃하는 클램프본체 및 받침블럭과 클램프본체를 연설하여 결합할 수 있으므로 파이프의 간격을 균일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블럭과 조합하여 파이프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 우수한 파이프라인을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클램프 및 클램프본체를 나타낸 일부단면사시도
도 3은 상부클램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실시예 및 조임결합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도4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파이프 고정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2에 본발명 파이프 고정구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상부클램프(2)와, 상기 상부클림프(2)와 힌지(8)로 결합되며 내측에 파이프고정홈(11)을 갖는 클램프본체(1)와 힌지결합부의 타측에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에 각각 조임홈(13)(23)과 조임돌부(12)(22)로 형성되는 조임부(91) 및 조임부에 대응하는 결합돌부(32)와 결합홈((33)을 가진 조임구(3)를 조임부(91)와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개폐량을 조절하며 고정하는 조임결합부를 구성하며 클램프본체(1)의 하면에 결합하여 클램프본체(1)의 높이를 조절하는 받침블록(5)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상부클램프(2)는 내측에 반원형의 파이프수용홈(21)을 형성하며 반원형의 파이프받침홈(11)을 갖는 클램프본체(1)와 일측을 힌지(8)로 결합하여 파이프수용홈(21)과 파이프받침홈(11)이 원형을 이루며 파이프(4)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며 힌지(8)에 의해 회동하므로 파이프(4)의 투입이 원할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본체(1)는 상면에 반원형의 파이프받침홈(11)을 형성하고 받침홈의 가운데의 바닥면에 클램프본체(1)를 수직관통하는 볼트공(14)을 형성하며 하면에 한쌍의 블럭결합용 결합홈(15)(16)을 형성하며 일측 측면에 본체연설용 결합홈(17)과 타측의 측면에 본체연설용 결합돌부(18)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힌지결합부 타측에 돌출하는 조임부(91)를 형성하며 조임부(91)는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경사면으로 조임홈(23)(13) 및 조임돌부(22)(12)를 형성하며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가 각각 대칭되게 형성하고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조임홈(23)(13) 및 조임돌부(22)(12)에 대응하는 조임홈(33)과 조임돌부(32)를 가진 조임구(3)를 결합하여 조임결합부(9)를 구성한다.
또한 받침블록(5)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가운데에 수직 관통하는 볼트공(51)을 형성하며 상면에 클램프본체(1)의 결합홈(15)(16)에 대응하는 결합돌부(52)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결합홈(53)을 형성하며 일측 측면에 블럭연설용 결합홈(53) 과 타측면에 블럭연설용 결합돌부(52)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되는 본 발명의 사용 실시예가 도3 및 도4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3은 클램프본체의 받침홈에 파이프를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클램프를 회동하여 펼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파이프를 조임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본 발명은 도3에서와 같이 조임결합부(9)의 조임구(3)를 제거하고 상부클램프(2)를 회전하면 클램프본체(1)의 파이프받침홈(11)이 개방되므로 파이프(4)를 파이프받침홈(11)에 투입하고 상부클램프(2)를 닫아 조임부(91)에 조임구(3)를 결합하므로서 파이프(4)를 결합하게 되며 도4 및 도6에서와 같이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의 조임부(91)는 일측이 높고 타측이 낮게 경사면으로 조임홈(23)(13) 및 조임돌부(22)(12)가 형성되고 조임구(3)의 조임돌부(32)가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의 조임홈(23)(13)에, 조임돌부(22)(12)가 조임구(3)의 조임홈(33)에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의 조임부(91)를 고정하며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의 조임부(91)와 경사면으로 결합되는 조임구(3)는 경사면이 낮은 위치에서 높은 위치로 이동할수록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의 조임부(91)를 가압하게 되므로서 조임구(3)의 위치에 따라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 내에 고정되는 파이프(4)의 조임량을 미세하게 조절하여 파이프(3)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되는 본 발명은 클램프본체(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블럭연설용 결합홈(17) 블럭연설용 결합돌부(18)를 이용하여 이웃하는 클램프본체를 결합하여 연설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받침블록(5)은 다수를 중첩하여 결합할 수 있고 클램프본체(1)의 하면 및 측면으로 결합이 가능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파이프(5)를 계단식으로 배치하는 등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1 : 클램프본체 11 : 파이프 받침홈
12,22,32 : 조임돌부 13,23,33 : 조임홈
14 : 볼트공 15,16,17 : 결합홈
18 : 결합돌부 2 : 상부클램프
21 : 파이프수용홈 3 : 조임구
4 : 파이프 5 : 받침블럭
51 : 볼트공 52 : 결합돌부
53 : 결합홈 6 : 파이프고정부
7 : 파이프 수용홈 8 : 힌지
9 : 조임결합부 91 : 조임부

Claims (4)

  1. 내측에 반원형의 파이프수용홈(21)을 갖는 상부클램프(2)와, 내측에 파이프고정홈(11)을 형성하고 파이프받침홈의 가운데에 본체를 수직관통하는 볼트공을 가진 클램프본체(1)로 분할 구성하여 클램프본체(1)와 상부클램프(2)의 일측을 힌지(8)로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가 회동하여 개폐되게 하고 힌지(8)의 타측에 조임결합부(9)를 형성하여 클램프본체(1)와 상부클램프(2)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조임결합부는 상부클램프(2) 및 클램프본체(1)에 각각 조임홈(13)(23)과 조임돌부(12)(22)로 형성되는 조임부(91) 및 조임부에 대응하는 결합돌부(32)와 결합홈((33)을 가진 조임구(3)를 조임부(91)와 결합하여 상부클램프(2)와 클램프본체(1)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본체는 하면에 한쌍의 블럭결합용 결합홈(15)(16)을 형성하며 일측 측면에 본체연설용 결합홈(17)과 타측의 측면에 본체연설용 결합돌부(18)를 형성하여 다수의 파이프 고정구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클램프본체는 직사각형으로 구성하여 가운데에 수직 관통하는 볼트공(51)을 형성하며 상면에 클램프본체(1)의 결합홈(15)(16)에 대응하는 결합돌부(52)를 형성하고 바닥면에 결합홈(53)을 형성하며 일측 측면에 블럭연설용 결합홈(53)과 타측면에 블럭연설용 결합돌부(52)를 가진 받침블럭(5)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고정구.
KR1020160132715A 2016-10-13 2016-10-13 파이프 고정구 KR10188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15A KR101888752B1 (ko) 2016-10-13 2016-10-13 파이프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715A KR101888752B1 (ko) 2016-10-13 2016-10-13 파이프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72A true KR20180040872A (ko) 2018-04-23
KR101888752B1 KR101888752B1 (ko) 2018-09-20

Family

ID=6208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715A KR101888752B1 (ko) 2016-10-13 2016-10-13 파이프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75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6599A (zh) * 2018-11-22 2019-02-01 可滤康水处理设备贸易(上海)有限公司 一种净水器使用的阀体和罐体固定装置
KR200490655Y1 (ko) * 2018-06-22 2019-12-11 주식회사 하이테크 창신 보일러용 배관간격 고정구
KR102086633B1 (ko) * 2019-12-23 2020-03-09 김영훈 굴삭기의 유압호스용 고정 장치
KR20200028181A (ko) * 2018-09-06 2020-03-16 김명구 캠샤프트 조립장치
CN111005432A (zh) * 2019-12-25 2020-04-14 惠州市新业建筑工程有限公司 污水管道安装结构
CN111088844A (zh) * 2019-12-30 2020-05-01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CN111896832A (zh) * 2020-08-04 2020-11-06 浙江华云清洁能源有限公司 一种交流充电桩老化测试装置
KR102211300B1 (ko) * 2020-01-29 2021-02-04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고압 튜브 홀더
KR102637560B1 (ko) * 2022-10-24 2024-02-19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시공 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655Y1 (ko) * 2018-06-22 2019-12-11 주식회사 하이테크 창신 보일러용 배관간격 고정구
KR20200028181A (ko) * 2018-09-06 2020-03-16 김명구 캠샤프트 조립장치
CN109296599A (zh) * 2018-11-22 2019-02-01 可滤康水处理设备贸易(上海)有限公司 一种净水器使用的阀体和罐体固定装置
KR102086633B1 (ko) * 2019-12-23 2020-03-09 김영훈 굴삭기의 유압호스용 고정 장치
CN111005432A (zh) * 2019-12-25 2020-04-14 惠州市新业建筑工程有限公司 污水管道安装结构
CN111005432B (zh) * 2019-12-25 2021-01-08 惠州市新业建筑工程有限公司 污水管道安装结构
CN111088844A (zh) * 2019-12-30 2020-05-01 广东景源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CN111088844B (zh) * 2019-12-30 2021-04-20 山东港基景华市政园林有限公司 一种市政雨水管道组装模块及施工方法
KR102211300B1 (ko) * 2020-01-29 2021-02-04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고압 튜브 홀더
CN111896832A (zh) * 2020-08-04 2020-11-06 浙江华云清洁能源有限公司 一种交流充电桩老化测试装置
CN111896832B (zh) * 2020-08-04 2023-04-28 浙江华云清洁能源有限公司 一种交流充电桩老化测试装置
KR102637560B1 (ko) * 2022-10-24 2024-02-19 (주)피엔에스엔지니어링 입상배관 고정장치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752B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8752B1 (ko) 파이프 고정구
US10988927B2 (en) Suspended ceiling hanger clip
US6073891A (en) Snap lock pipe mounting clamp
US20060243877A1 (en) Hanger bar centering mechanism
GB2520756A (en) Manifold
CN102076919B (zh) 由型材和连接件组成的用于形成承载结构的系统
KR101638239B1 (ko) 도시 공원과 생태하천에 적용되는 데크의 체결 구조
US20090314903A1 (en) Pipe clamps
JP4732772B2 (ja) パイプ継手の固定構造
KR20120082629A (ko) 파이프 행거
KR200396439Y1 (ko) 상수파이프 고정구
US9337636B2 (en) Modular fastening system
KR20190000492U (ko) 배관 고정 장치
KR200423900Y1 (ko) 아파트의 천장판 시공 장치
KR200410064Y1 (ko) 배관 고정구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JPH02236095A (ja) 室内配管用カバー
US20220090704A1 (en) Mid-stream bracket
KR100974828B1 (ko) 급배수관용 배관의 고정구
JP3058296U (ja) 短い距離でも取付け可能な配管支持バンド
KR950007029Y1 (ko) 파이프 고정용 죔쇠
TWM545807U (zh) 管線孔裝飾板結構
KR200374237Y1 (ko) 파이프 배관용 파지구조
JPH028157Y2 (ko)
JPH031367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