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885U -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885U
KR20080000885U KR2020060028827U KR20060028827U KR20080000885U KR 20080000885 U KR20080000885 U KR 20080000885U KR 2020060028827 U KR2020060028827 U KR 2020060028827U KR 20060028827 U KR20060028827 U KR 20060028827U KR 20080000885 U KR20080000885 U KR 200800008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ase
connector
mobile phon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Original Assignee
김동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주 filed Critical 김동주
Priority to KR2020060028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885U/ko
Publication of KR200800008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8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를 구성하고, 이 연결구의 삽입핀부와 클립각도판을 핸드폰 케이스의 끼움공과 관통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공지된 클립을 상기 연결구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핸드폰 케이스를 클립과 연결하기에 그 두께의 폭이 협소하여도 무방하며, 그에 따라 매끈한 슬림형의 핸드폰 케이스로서 사용되기 유용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연결구를 통해 클립과 케이스의 결합이 가능하고 그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연결구의 두께 폭이 적어 깔끔한 형태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스의 표면에 안착홈면을 가공하여 그 안착홈면의 내부에 표면부재를 접착하는 방식으로 표면치장을 하기에, 부착이 견고하고 미관상에도 깔끔하다.
Figure P2020060028827
핸드폰 클립, 연결구, 케이스, 안착홈면, 표면부재

Description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The structure to connection clip of hand phone}
도 1은 종래 등록된 핸드폰 케이스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등록된 핸드폰 클립과 케이스의 결합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구 일체형 핸드폰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연결구를 통해 케이스와 클립이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구를 통해 결합된 케이스와 클립을 결합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핸드폰 케이스가 그 표면에 안착홈면을 구성한 상태로 표면부재가 접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연결구가 통형케이스에 장착되어 클립과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연결관 11; 돌기부
12; 클립각도판 20; 연결구
30; 클립 50; 케이스
51; 통형케이스 52; 개별케이스
60; 관통공 61; 끼움공
70; 연결구 71; 프레임판
72; 삽입핀부 73; 연결관
74; 돌기부 75; 클립각도판
80; 표면부재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를 구성하고, 이 연결구의 삽입핀부와 클립각도판을 핸드폰 케이스의 끼움공과 관통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공지된 클립을 상기 연결구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핸드폰 케이스를 클립과 연결하기에 그 두께의 폭이 협소하여도 무방하며, 그에 따라 매끈한 슬림형의 핸드폰 케이스로서 사용되기 유용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즘의 핸드폰은 다양한 장신구를 동반하여 판매되고 있다. 그중 핸드폰의 내구성을 증진시키고 미적인 감각도 북돋게 하기 위해서 많이 사용하는 것이 핸드폰 케이스이다. 이 케이스의 경우 허리에 찰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밸트 와 연결되는 클립을 구성하고 있고, 이 케이스와 클립을 서로 회전가능한 상태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핸드폰 케이스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점을 도시된 도 1과 2에 도시한 종래의 등록고안 제20-378949호를 통해 살펴본다.
즉, 상기 도시된 등록고안의 경우 클립상판과 클립하판이 코일스프링과 힌지를 통해 결합된 휴대폰 케이스용 클립과, 상기 클립이 클립하판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지는 고정부재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의 일측부에 고정되는 휴대폰 케이스용 클립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상하로 구성되며, 일측단에 꺽여진 제한턱(11)이 형성된 "ㄱ"자형의 슬라이더걸이부(12)가 있고, 상기 제한턱(11)의 타단인 슬라이더걸이부(12)의 도입부분에 탄성을 가지며 다소 돌출된 탄성스톱퍼(13)로 구성된 슬라이더체결구조(1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체결구조(10)의 "ㄱ"자형 슬라이더걸이부(12)에 끼워지는 슬라이더판(21)과 그 중심부에서 돌출된 융착원판(22)이 형성되며, 상기 융착원판(22)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홈(23)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20)가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하판(30)에 형성된 파형홈(31)을 가진 관통홀(32)로 삽입되며 그 표면에 삽입돌기(41)를 구성한 원통형의 융착판(42)과, 클립(100)의 제어된 회전을 수행하는 탄성클릭부(50)와, 상기 융착판(42)의 지름보다 넓은 지름을 가지고 일체된 테두리단턱부(43)로 형성된 고정부재(40)가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20)는 상기 슬라이더체결구조(10)의 "ㄱ"자형 슬라이더걸이부(12)에 끼워져 탄성스톱퍼(13)에 의해 빠지는 현상이 제한되고, 상기 융착원판(22)의 삽입홈(23)에 고정부재(40)의 융착판(42)에 형성된 삽입돌기(41)가 끼워진 상태로 고주파용접되어, 상기 클립이 필요시 슬라이더(20)가 슬라이더체결구조(10)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전술된 고안은 슬라이더체결구조(10)를 통해 휴대폰 케이스에 고정부재(40)를 용이하게 결합하며, 이 고정부재(40)에 클립(100)을 끼우는 간편한 방식으로 착탈을 수행하고자 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부재(40)를 클립(100)의 가이드판(115)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체결홈(110)에 끼워 넣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휴대폰케이스의 배면에 도시된 슬라이더걸이부(12)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걸이부(12)에 슬라이더(20)를 끼워 넣어야 하기에 그 두께가 상당하다. 더군다나 상기 슬라이더(20)의 상부로는 돌출된 테두리단턱부(43)가 형성되어 있기에 그 두께는 더욱 커진다.
사실상 요즘들에 인기가 높은 휴대폰인 슬림형의 경우, 모양을 가뿐하게 하기 위해 핸드폰 자체의 두께를 줄이고 있는 형편인데, 그 케이스의 두께가 너무나 크다면 핸드폰을 줄이는데 사용된 노력이 허사가 될 소지가 많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연결구를 구성하고, 이 연결구의 삽입핀부와 클립각도판을 핸드폰 케이스의 끼움공과 관통공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공지된 클립을 상기 연결구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핸드폰 케이스를 클립과 연결하기에 그 두께의 폭이 협소하여도 무방하며, 그에 따라 매끈한 슬림형의 핸드폰 케이스로서 사용되기 유용한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핸드폰 케이스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의 끼움공과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과; 판형의 프레임판의 상부로 상기 끼움공과 대응하여 상하로 돌출시킨 삽입핀부와, 상기 삽입핀부 중심에서 프레임판의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하되 외주면이 파형의 형태로 성형한 돌기부를 구성한 클립각도판을 가진 연결구가; 결합하되, 상기 연결구의 삽입핀부가 핸드폰 케이스의 끼움공에 끼워져 클립각도판이 상기 관통공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연결구의 클립각도판에 공지된 클립이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며 핸드폰을 장착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핸드폰 케이스는, 핸드폰이 통째로 안착될 수 있는 통형케이스나 또는 상부폴더와 하부폴더의 케이스가 나누어진 개별케이스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클립각도판의 전면에는, 원형의 스톱퍼홈부를 형성하는 핸드폰 클립 의 체결을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핸드폰 케이스의 표면에는, 표면 가공을 통한 안착홈면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면 내부로 표면부재를 접착시키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 관한 것이다. 따라서 그 구성과 작용을 주요한 실시예들을 통해 도시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즉, 본 고안은 도시된 도 3 내지 8에서처럼, 핸드폰 케이스(50)의 배면에 케이스(50)와 일체로 결합하는 연결관(10)이 있고, 상기 연결관(10)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하되, 외주면이 파형의 형태로 성형한 돌기부(11)를 구성한 클립각도판(1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관(10)과 클립각도판(12)이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연결구(20)가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연결구(20)에는 공지된 클립(30)이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며 핸드폰(H)을 장착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핸드폰 케이스(50)에 연결구(2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작되는 실시예를 말한다.
그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핸드폰 케이스(50)의 배면에 일체로 결합된 연결구(20)를 공지된 클립(30)에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30)은 도 5에서처럼, 좌우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판(101) 사이에 가이드체결홈(102)을 형성하고 있는 데 바로 이 가이드체결홈(102)에 본 고안 연결구(20)의 클립각도판(12)을 끼워 넣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클립각도판(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형의 돌기부(11)가 클립(30)의 하단에서 돌출된 볼스톱퍼(110)와 면접하여 회전시 딸깍 딸깍 소리를 내며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볼스톱퍼(110)가 상기 파형의 돌기부(11)를 타고 넘으며 회전을 하기에 착용자가 클립(30)의 회전을 의도하지 않는다면 회전을 하지 않겠지만, 회전을 의도하여 큰 힘을 부여하게 되면 용이하게 회전을 하며 그 회전을 착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연결구(20)가 일체형으로 체결된 핸드폰 케이스(50)를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은 핸드폰(H)이 통째로 안착될 수 있는 통형케이스(51)나 또는 도 5와 같은 상부폴더(A)와 하부폴더(B)의 케이스가 나누어진 개별케이스(52)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도시된 도 8과 5의 경우 후술할 분리된 연결구가 적용된 핸드폰 케이스(50)이지만 이 실시예처럼 연결구(20)가 케이스(50)와 일체로 결합된 형태에서도 사용가능하다. 여기서 통형케이스(51)란 폴더형 핸드폰(H)이나 일자형 핸드폰(H)이 통째로 케이스(50)에 넣어 질 수 있는 형태의 것을 말하고, 개별케이스(52)의 경우 요즘 많이 생산되는 폴더형에서 상부폴더(A)는 상부폴더(A)대로 하부폴더(B)는 하부폴더(B)대로 별도의 케이스(52)를 가지고 있는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클립각도판(12)의 전면에는, 원형의 스톱퍼홈부(16)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의 클립(30)의 경우 연결구(20)가 끼워지게 되면 클립(30)의 가이드체결홈(102) 내부에서 체결돌기(103)가 돌출되어 연결구(20)를 가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103)가 돌출되어 연결구(2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20)의 클립각도판(12) 전면에 도시된 스톱퍼홈부(16)를 형성하여 이 홈부에 체결돌기(103)가 걸릴 수 있게 하였다. 결국 상기 체결돌기(103)가 스톱퍼홈부(16)에 걸리게 되면 상기 클립(30)의 가이드체결홈(102)에서 연결구(20)를 빼내기 어렵다. 즉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물론 의도한다면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는 작용으로 얼마든지 풀어낼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핸드폰 케이스(50)와는 분리된 연결구(20)를 통해 클립(30)과 케이스(50)를 결합시키는 실시예도 그 청구의 대상이다. 즉, 핸드폰 케이스(50)에 클립(30)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20)와 케이스(50) 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핸드폰 케이스(5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의 끼움공(61)과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60)이 있고, 판형의 프레임판(71)의 상부로 상기 끼움공(61)과 대응하여 상하로 돌출시킨 삽입핀부(72)와, 상기 삽입핀부(72) 중심에서 프레임판(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73)과, 상기 연결관(73)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하되 외주면이 파형의 형태로 성형한 돌기부(74)를 구성한 클립각도판(75)을 가진 연결구(70)가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구(70)의 삽입핀부(72)가 핸드폰 케이스(50)의 끼움공(61)에 끼워져 클립각도 판(75)이 상기 관통공(6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연결구(70)의 클립각도판(75)에 공지된 클립(30)이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며 핸드폰(H)을 장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도 3에서와 같이 별도의 연결구(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구(70)는 판형의 프레임판(71)이 있고, 그 상부로 삽입핀부(72)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어, 이 삽입핀부(72)가 핸드폰 케이스(50)의 끼움공(61)에 끼워지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핀부(72) 중심에서 프레임판(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7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결관(73)의 상부에는 외주면이 파형의 형태로 성형한 돌기부(74)를 구성한 클립각도판(75)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연결구(70)가 상기 핸드폰 케이스(50)에 끼워진다. 그리고 물론 전술한 실시예에서 나열한 것처럼, 공지된 클립(30)이 상기 클립각도판(75)에 끼어져 작동을 하게 되는데, 이 모든 작동의 방식은 전술된 내용과 동일하다. 단지 전술된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점은 핸드폰 케이스(50)와 상기 연결구(70)가 일체로 제작되느냐 아니면 분리되어 제작되느냐이다.
또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도 상기 핸드폰 케이스(50)는, 핸드폰(H)이 통째로 안착될 수 있는 통형케이스(51)나 또는 상부폴더(A)와 하부폴더(B)의 케이스가 나누어진 개별케이스(52)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 8과 같은 통형케이스(51)가 적용될 수도 있고, 도시된 도 5와 같은 개별케이스(52)가 적용될 수도 있 다.
또한 상기 클립각도판(75)의 전면에는, 원형의 스톱퍼홈부(79)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도 전술된 제1실시예처럼, 도 6에 도시된 기존의 클립(30)의 경우 연결구(70)가 끼워지게 되면 클립(30)의 가이드체결홈(102) 내부에서 체결돌기(103)가 돌출되어 연결구(70)를 가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체결돌기(103)가 돌출되어 연결구(70)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연결구(70)의 클립각도판(75) 전면에 도시된 스톱퍼홈부(79)를 형성하여 이 홈부에 체결돌기(103)가 걸릴 수 있게 하였다. 결국 상기 체결돌기(103)가 스톱퍼홈부(79)에 걸리게 되면 상기 클립(30)의 가이드체결홈(102)에서 연결구(70)를 빼내기 어렵다. 즉 견고히 체결되는 것이다. 물론 의도한다면 스위치 버튼을 가압하는 작용으로 얼마든지 풀어낼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전술한 제1실시예 형태인 연결구(70)와 핸드폰 케이스(50)가 일체형인 경우에도 적용되며, 제2실시예 형태인 연결구(70)와 핸드폰 케이스(50)가 분리된 분리형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사항이 있는데, 이 사항은 도시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핸드폰 케이스(50)의 표면에는, 표면 가공을 통한 안착홈면(57)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면(57) 내부로 표면부재(80)를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착홈면(57)이 없는 종래 민자형의 케이스 표면에 표면부재를 부착하는 방식은 상기 표면부재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케이스의 표면과 표면부 재의 표면에 두께 차이가 나서 미관상 깔끔하지도 못하고, 손바닥에 걸리는 불편함마저 있었다. 따라서 이를 말끔히 해결하고자 본 고안에서는 그 케이스(55)의 표면에 상기 표면부재(80)의 두께에 해당하는 만큼 넓은 홈을 형성시켜 그 홈의 내부에 표면부재(80)를 부착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핸드폰 케이스(50)는 핸드폰(H)이 통째로 안착될 수 있는 통형케이스(51)나 또는 상부폴더(A)와 하부폴더(B)의 케이스가 나누어진 개별케이스(52) 모두를 칭하는 용어이다.
그리고 상기 표면부재(80)는, 가죽, 쎄무, 비로도, 부직포, 원단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이 핸드폰 케이스의 표면에 부착되어 미감을 자아낼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고안에서 특이한 실시예를 다시 한번 설명하자면, 핸드폰 케이스의 표면에 있어서, 표면 가공을 통한 안착홈면(57)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면(57) 내부로 표면부재(80)를 접착시키는 도 7과 같은 형태의 핸드폰 케이스는 본 고안의 요지이다.
그리고 상기 표면부재(80)는, 가죽, 쎄무, 비로도, 부직포, 원단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처럼, 본 고안은 아주 간단한 구조의 연결구를 통해 클립과 케이스의 결합이 가능하고 그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연결구의 두께 폭이 적어 깔끔한 형태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파형인 클립각도판의 외주면을 타고 볼스톱퍼가 형성되어 클립의 회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그 동작이 정확하고 사용자에게 회전의 상태를 쉽게 인지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고안은 케이스의 표면에 안착홈면을 가공하여 그 안착홈면의 내부에 표면부재를 접착하는 방식으로 표면치장을 하기에, 부착이 견고하고 미관상에도 깔끔하다.

Claims (3)

  1. 핸드폰 케이스에 클립을 결합할 때 사용되는 연결구와 케이스 간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핸드폰 케이스(50)의 배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상하의 끼움공(61)과 그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60)과;
    판형의 프레임판(71)의 상부로 상기 끼움공(61)과 대응하여 상하로 돌출시킨 삽입핀부(72)와, 상기 삽입핀부(72) 중심에서 프레임판(71)의 상부로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결관(73)과, 상기 연결관(73)의 상부에 일체로 성형하되 외주면이 파형의 형태로 성형한 돌기부(74)를 구성한 클립각도판(75)을 가진 연결구(70)가; 결합하되, 상기 연결구(70)의 삽입핀부(72)가 핸드폰 케이스(50)의 끼움공(61)에 끼워져 클립각도판(75)이 상기 관통공(60)의 외부로 돌출되고, 이 돌출된 연결구(70)의 클립각도판(75)에 공지된 클립(30)이 끼워져 각도를 조절하며 핸드폰(H)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폰 케이스(50)의 표면에는,
    표면 가공을 통한 안착홈면(57)을 형성하고, 그 안착홈면(57) 내부로 표면부재(80)를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 이스의 결합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부재(80)는,
    가죽, 쎄무, 비로도, 부직포, 원단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택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20060028827U 2006-11-01 2006-11-01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0800008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827U KR20080000885U (ko) 2006-11-01 2006-11-01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827U KR20080000885U (ko) 2006-11-01 2006-11-01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885U true KR20080000885U (ko) 2008-05-07

Family

ID=4132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827U KR20080000885U (ko) 2006-11-01 2006-11-01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8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9Y1 (ko) * 2012-03-02 2013-07-16 조상환 휴대폰용 손목지갑
CN104968234A (zh) * 2013-02-26 2015-10-07 株式会社乐博特思 具有能够扩张单元的移动通信设备的外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009Y1 (ko) * 2012-03-02 2013-07-16 조상환 휴대폰용 손목지갑
CN104968234A (zh) * 2013-02-26 2015-10-07 株式会社乐博特思 具有能够扩张单元的移动通信设备的外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53329A1 (en) Mobile phone flip leather case and smartphone
KR100455707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의 손잡이
TW200840458A (en) Electronic machine and frame
KR200396216Y1 (ko) 핸드폰 케이스용 거치대
JP2002062376A5 (ko)
KR100599548B1 (ko) 휴대폰용 케이스 착탈형 클립 조립방법 및 착탈형 클립체결구조
KR20080000885U (ko)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KR20160128132A (ko) 머리핀
JP3703449B2 (ja) バックル
JPS6115450A (ja) 人間工学的な電話の送受話器
JP4714772B2 (ja) 補聴用集音器
CN214016293U (zh) 一种u形孔胶介子啪钮
CN111449379A (zh) 一种便于更换表带的智能手表
KR101821486B1 (ko) 이어폰과 버튼이 구비된 넥타이핀
CN216534132U (zh) 一种腕带连接机构及穿戴设备
JP2000270906A (ja) 引き剥がしの方向性を有するスナップボタン
KR200378949Y1 (ko) 휴대폰용 케이스 착탈형 클립 체결구조
KR200209909Y1 (ko) 머리핀의 착탈구조
KR101508713B1 (ko) 클립식 단추커버
CN219459121U (zh) 一种用于移动终端的指环支架
CN213248447U (zh) 一种茶隔
CN218207386U (zh) 一种可拆卸式模块化服饰扣具
JP6432011B1 (ja) 装身具の長さ調整機能付き留め具
KR200425723Y1 (ko) 핸드스트랩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