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909Y1 - 머리핀의 착탈구조 - Google Patents

머리핀의 착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909Y1
KR200209909Y1 KR2020000020100U KR20000020100U KR200209909Y1 KR 200209909 Y1 KR200209909 Y1 KR 200209909Y1 KR 2020000020100 U KR2020000020100 U KR 2020000020100U KR 20000020100 U KR20000020100 U KR 20000020100U KR 200209909 Y1 KR200209909 Y1 KR 200209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pin
magnetic body
plate
pin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1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석
Original Assignee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석 filed Critical 이동석
Priority to KR20200000201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909Y1/ko

Links

Landscapes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핀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머리핀(2)의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그 일단이 힌지된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와; 상기 제 1 보강플레이트(12)의 선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자성체(18)와; 상기 자성체(18)에 대응한 제 2 보강플레이트(22)의 선단에 구비되어 그 일단부가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된 부착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한 머리핀(2)의 착용시, 자성체(18)의 자기력에 의해 머리핀(2)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빈번한 머리핀(2)의 착용으로 인해 머리핀(2)에 잦은 휨이 발생하여도 상기한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에 의해서 이의 강도가 보강되어 머리핀(2)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머리핀의 착탈구조{Wearing And Removing Structure Of Hair Pin}
본 고안은 머리핀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자성체로 형성하여 주므로써 이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머리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머리핀의 착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이 주로 사용하는 머리핀은 장신구의 일종으로서, 머리카락을 묶어 올릴 때와 같은 경우, 머리카락을 원하는 형태로 고정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머리핀은 대개 상,하 두 개의 핀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바, 이 양 핀플레이트의 일단은 상호 회전가능하게 힌지되어 있고, 그 타단에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탄력편과, 이 탄력편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편 등과 같은 착탈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머리핀의 착탈구조는 머리핀의 특성상 머리핀을 착용할 시에는 머리핀에 구비된 착탈부가 사용자의 시야를 벗어나기 때문에 이의 착용시, 머리핀의 착탈부를 이루는 탄력편과 삽입편을 서로 일치시켜 체결하기가 매우 어렵고, 그로 인해 착용시에 많은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자성체로 형성하여 주므로써 이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서 머리핀을 간편하게 체결할 수 있도록 됨과 아울러 머리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된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리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h: 머리카락 2: 머리핀
10,20: 제 1,2 핀플레이트 12,22: 제 1,2 보강플레이트
14,24: 힌지부 16: 비드부
18: 자성체 26: 장착부
28: 결합공 30: 부착판
32: 결합부 34: 힌지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핀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머리핀의 외형을 이루는 제 1,2 핀플레이트와; 상기 제 1,2 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그 일단이 힌지된 제 1,2 보강플레이트와; 상기 제 1 보강플레이트의 선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자성체와; 상기 자성체에 대응한 제 2 보강플레이트의 선단에 구비되어 그 일단부가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된 부착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한 머리핀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분리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2)의 착탈구조는 자기력에 의해서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머리핀(2)의 최외관에는 이의 외형을 이루는 판상의 제 1,2 핀플레이트(10,20)가 구비된다.
상기한 제 1,2 핀플레이트(10,20)는 머리핀(2)의 외형을 이루는 부품으로서, 그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비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한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내측면에는 서로 대향되게 구비된 판상의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가 본딩 내지는 리벳팅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기한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는 상기한 제 1,2 핀플레이트(10,20)가 통상적으로 아크릴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이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강이나 스틸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스테인레스 강이나 스틸재로 이루어진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에는 이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금도금과 같은 특수도료부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구비된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의 일단에는 각각의 힌지부(14,24)가 이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이 힌지부(14,24)는 힌지핀(34)을 매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한 제 1 보강플레이트(12)의 타단 즉, 선단에는 그 중앙부가 개구된 원형의 비드부(16)가 돌출.형성되고, 이 비드부(16)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체(18)가 억지적으로 압입된 후, 이 자성체(18)와 비드부(16)의 접합부에 본딩이 도포되어 자성체(18)를 비드부(16)에 고정시키게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 1 보강플레이트(12)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체(18)에 대응한 제 2 보강플레이트(22)의 선단에는 이 제 2 보강플레이트(22)에 수직하게 이루어진 장착부(26)가 형성되고, 이 장착부(26)의 일측에는 결합공(28)이 형성된다.
상기한 장착부(26)의 결합공(28)에는 자성체(18)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체(18)에 부착.고정되도록 된 판상의 부착판(30)이 그 일측의 양단에 형성된 결합부(32)를 매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부착판(30)의 결합부(32)가 삽입된 장착부(26)의 결합공(28)은 그 형상이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의 힌지부(14,24)측으로 위치한 후단 상부가 상방향으로 기울어진 사다리꼴 형상으로서,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머리핀(2)이 머리카락(h)에 착용되었을 시, 머리핀(2)의 휨에 따라 장착부(26)의 결합공(28)내에서 부착판(30)의 후단부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면서 자성체(18)에 면부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는, 상기한 머리핀(2)의 착용시, 이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머리핀(2)의 일측 즉, 제 1,2 핀플레이트(10,20)나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의 일측에는 머리핀(2)의 착용시, 이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머리핀(2)의 착용시는 머리핀(2)의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선단을 잡고, 이 제 1,2 핀플레이트(10,20)를 벌려 회전시키면, 부착되어 있던 자성체(18)와 부착판(30)이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의 힌지부(14,24)를 축으로 회전되어 분리된다.
이후, 사용자가 머리핀(2)을 착용하고자 하는 머리카락(h)을 상기한 머리핀(2)의 제 1,2 핀플레이트(10,20) 사이에 위치시킨 후, 상기한 제 1,2 핀플레이트(10,20)를 전술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한 제 1 보강플레이트(12)에 구비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체(18)의 자기력에 의해서 이에 대응하게 구비된 제 2 보강플레이트(22)의 부착판(30)이 자성체(18)측으로 끌려 안내되면서 그 후단부가 첨부도면 도 3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되어 기울어지면서 제 1 보강플레이트(12)의 자성체(18)에 면부착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기력에 의해서 체결되는 머리핀(2)은 사용자가 머리핀(2)을 보지 않고서도 자성체(18)의 자기력에 의해서 부착판(30)이 자성체(18)측으로 안내되어 부착되므로써 머리핀(2)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서와 같이, 머리핀(2)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한 아크릴재질로 이루어진 제 1,2 핀플레이트(10,20)에 잦은 휨이 발생하여도 상기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내측면에 구비된 스테인레스 강이나 스틸재로 이루어진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에 의해서 이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머리핀의 착탈구조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성체로 형성되므로써 이의 착용시 자성체의 자기력에 의해 머리핀을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고, 빈번한 착용으로 인한 머리핀에 잦은 휨이 발생하여도 보강플레이트에 의해서 이의 강도가 보강되어 머리핀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머리핀의 착탈구조에 있어서,
    상기 머리핀(2)의 외형을 이루는 제 1,2 핀플레이트(10,20)와;
    상기 제 1,2 핀플레이트(10,20)의 내측면에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어 그 일단이 힌지된 제 1,2 보강플레이트(12,22)와;
    상기 제 1 보강플레이트(12)의 선단에 고정되어 구비된 자성체(18)와;
    상기 자성체(18)에 대응한 제 2 보강플레이트(22)의 선단에 구비되어 그 일단부가 상하로 유동가능하도록 된 부착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의 착탈구조.
KR2020000020100U 2000-07-13 2000-07-13 머리핀의 착탈구조 KR200209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00U KR200209909Y1 (ko) 2000-07-13 2000-07-13 머리핀의 착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100U KR200209909Y1 (ko) 2000-07-13 2000-07-13 머리핀의 착탈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909Y1 true KR200209909Y1 (ko) 2001-01-15

Family

ID=73086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100U KR200209909Y1 (ko) 2000-07-13 2000-07-13 머리핀의 착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9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977A (zh) * 2015-04-28 2016-06-08 郑大煜 发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977A (zh) * 2015-04-28 2016-06-08 郑大煜 发夹
KR20160128132A (ko) 2015-04-28 2016-11-07 정대욱 머리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170B1 (en) Magnetic coupling system for securing a temple to an eyeglass hinge
US6974226B2 (en) Magnetically attachable light assembly for glasses
US6405409B1 (en) Handle cover
CZ207696A3 (en) Attachment of nose support to a spectacles rim
KR200209909Y1 (ko) 머리핀의 착탈구조
US20060124149A1 (en) Hair clip
JP3132646U (ja) ヒンジ機能を用いた補助眼鏡付きの眼鏡組立体の磁石構造
KR100626468B1 (ko) 안경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28132A (ko) 머리핀
KR200230111Y1 (ko) 머리핀
US10455905B1 (en) Interchangeable accessory assembly and method of use
CN208064624U (zh) 一种腕带和可穿戴设备
KR20120068320A (ko) 인조손톱
KR200398397Y1 (ko) 브로치
KR200202760Y1 (ko) 머리핀용 클립 고정구
JP7378079B1 (ja) アクセサリの連結具セット
KR20080000885U (ko) 핸드폰 클립의 체결을 위한 연결구와 케이스의 결합구조
CN216019537U (zh) 一种天鹅款吊坠
JP3034558U (ja) 眼鏡部品
CN209198795U (zh) 一次性弯曲镜腿
KR20020087812A (ko) 머리핀
US20050094097A1 (en) Eyeglass assembly with an auxiliary eyeglass unit attached to a primary eyeglass unit by a magnetic connector
KR200208711Y1 (ko) 회동체가 형성된 클립
KR200261577Y1 (ko) 일반안경과 클립안경의 결합장치
JP3119353U (ja) 眼鏡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