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21535A - 암형 단자 피팅 - Google Patents

암형 단자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21535A
KR20070121535A KR1020070059969A KR20070059969A KR20070121535A KR 20070121535 A KR20070121535 A KR 20070121535A KR 1020070059969 A KR1020070059969 A KR 1020070059969A KR 20070059969 A KR20070059969 A KR 20070059969A KR 20070121535 A KR20070121535 A KR 20070121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emale terminal
terminal fitting
male tab
tubul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1477B1 (ko
Inventor
도모요시 후카야
츠토무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암형 단자 피팅(10)은 전단에 형성된 탭 삽입 구멍(12A)을 통하여 수형 탭(8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12)와, 이 관형부(12)의 내측에 배치되고, 관형부(12)에 마련된 수납 패드(17)와의 사이에 수형 탭(80)을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는 판형 접촉편(30)을 포함한다. 판형 접촉편(30)은, 수납 패드(17)에 보다 근접하게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만곡된 곡선의 볼록면의 접촉 위치에서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중간부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본체(31)와, 접촉 본체(31)의 양측에서 수형 탭(80)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양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80)이 그것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요동 방지부(32)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암형 단자 피팅{A FEMALE TERMINAL FITTING}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암형 단자 피팅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암형 단자 피팅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암형 단자 피팅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수형 탭과 접속된 암형 단자 피팅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수형 탭과 접속된 암형 단자 피팅의 주요부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7은 접촉편의 평면도이고,
도 8은 접촉편의 정면도이고,
도 9는 접촉편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단자 피팅
11 : 베이스 플레이트
12 : 관형부
12A : 탭 삽입 구멍
17 : 수납 패드
19 : 대향 플레이트
23 : 결합 구멍(결합 수납부)
30 : 접촉편
31 : 접촉 본체
32 : 요동 방지부
35 : 요동 방지체
36 : 결합편(결합부)
37 : 지지부
80 : 수형 탭
본 발명은 암형 단자 피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형 단자 피팅은 전후 방향으로 협소하고 긴 형상을 가지며, 전방부에 상대 수형 탭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와, 후방부에 와이어의 단부와 접속되는 배럴부(barrel portion)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2741호에 개시된 암형 단자 피팅에 있어서는, 관형부와 별체인 판 스프링 형태의 접촉편이 관형부에 삽입된다.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U 형상으로 만곡된 접촉 본체를 포함하고, 이 접촉 본체의 볼록면의 상부에 수형 탭과의 접촉부를 구비한다. 관형부 내로 삽입된 수형 탭은, 관형부에 마련된 수납 패드와 접촉편의 접촉부의 사이에 탄성적으로 개재된 상태로 암형 단자 피팅과 전기 접속된다. 접촉편은 접촉 본체의 폭방향 양측 단부 에지에 일체로 접속된 유지부와, 유지부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결합편을 더 포함한다. 결합편은 관형부의 양 측벽을 관통하는 결합 구멍에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편이 관형부 내에 유지된다.
수형 탭과 접촉부는 단지 점 접촉 또는 선 접촉 상태로만 유지되어 있으므로, 암형 단자 피팅과 접속된 와이어가 요동하게 되면, 와이어의 요동 운동에 후속하여 관형부가 요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관형부 내에 삽입된 수형 탭이 그것의 중심축의 둘레에서 요동치고, 궁극적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관형부 내에서 롤링 운동을 하게 된다. 그 결과,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상황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로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단에 형성된 탭 삽입 구멍을 통하여 수형 탭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납 패드와의 사이에 수형 탭을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는 접촉편을 포함하는 암형 단자 피팅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편은
상기 수납 패드에 더 근접하게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만곡된 곡선의 볼록면의 접촉 위치에서 수형 탭의 폭방향 중간부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본체와,
상기 접촉 본체의 측면(들)에서 수형 탭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형 탭의 폭방향 단부(들)와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이 그것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를 구비한다.
수형 탭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관형부 내에 삽입되는 때에, 수형 탭의 폭방향 중간부는 접촉 위치에서 접촉편의 접촉 본체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반면에, 수형 탭의 폭방향 단부(들)는 실질적으로 수형 탭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접촉편의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암형 단자 피팅과 접속된 와이어가 요동하는 경우라도,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와 수형 탭의 폭방향 단부의 접촉에 의해 수형 탭이 중심축의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관형부 내에서 수형 탭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고정 유지된다. 그 결과, 관형부 내에서 수형 탭의 요동 운동 또는 롤링 운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단에 형성된 탭 삽입 구멍을 통하여 수형 탭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 형부와,
이 관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관형부에 마련된 수납 패드와의 사이에 수형 탭을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는 판형 접촉편을 포함하는 암형 단자 피팅이 제공되고,
상기 판형 접촉편은,
수납 패드에 보다 근접하게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만곡된 곡선의 볼록면의 접촉 위치에서 수형 탭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중간부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본체와, 접촉 본체의 양측에서 수형 탭의 삽입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수형 탭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양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이 그것의 중심축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요동 방지부를 구비한다.
수형 탭이 적절한 깊이로 관형부 내에 삽입되는 때에, 수형 탭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중앙부는 접촉 위치에서 접촉편의 접촉 본체와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반면에, 수형 탭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단부들은 수형 탭의 삽입 방향을 따라 접촉편의 요동 방지부와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암형 단자 피팅과 접속된 와이어가 요동하는 경우라도, 요동 방지부와 수형 탭의 플레이트 표면의 폭방향 단부의 접촉에 의해 수형 탭이 중심축의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관형부 내에서 수형 탭의 상대 위치가 실질적으로 고정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관형부 내에서 수형 탭의 요동 운동 또는 롤링 운동을 억제할 수 있고, 이로써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동 방지부는 적어도 탭 삽입 구멍으로부터 접촉 위치 에 이르는 소정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요동 방지부가 적어도 탭 삽입 구멍으로부터 접촉 위치에 이르는 소정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접촉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길이 방향(수형 탭의 삽입 방향)으로 수형 탭의 요동 운동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편은 상기 요동 방지부의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를 더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이 지지부의 외부 또는 상부 단부가 관형부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접촉편이 관형부 내에서 느슨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와이어가 요동할 때에 접촉편 자체가 관형부 내에서 느슨하게 이동하면, 요동 방지부에 의해 수형 탭의 요동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유효하게 얻을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에 따르면, 수형 탭의 요동 운동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실질적으로 요동 방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서 있거나 돌출하는 지지부가 관형부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관형부 내에서 접촉편의 느슨한 요동 운동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접촉편은 관형부와 별체이다. 바람직하게는, 접촉편은, 접촉편의 폭방향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요동 방지부의 에지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와 관형부의 측벽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부의 양 측벽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 수납부의 결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부 내에 유지된다.
접촉편이 관형부와 별체이기 때문에, 접촉편의 두께를 관형부의 두께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게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큰 전류용의 두꺼운 와이어에 대처하기 위하여 관형부의 두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상황이라도, 접촉편을 얇게 함으로써 접촉편의 완만한 변형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와이어가 더 두꺼울 경우에는, 와이어의 진동력이 암형 단자 피팅에 대부분 전달되어, 수형 탭과의 접촉 신뢰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요동 방지부에 의해 수형 탭의 요동 운동 또는 롤링 운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접촉 위치는, 접촉 본체가 수형 탭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에 수형 탭과 요동 방지부의 접촉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접촉 본체가 수형 탭과 접촉 또는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에 접촉 본체의 접촉 위치를 수형 탭과 요동 방지부의 접촉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도록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수형 탭과 접촉 본체의 접촉 압력은, 요동 방지부가 일반적으로 수형 탭을 강하게 압박하지 않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형 탭의 삽입 저항을 특히 크지 않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촉편의 접촉 본체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가 형성되고, 이 가압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마련된 절결부(cut) 사이의 관형부의 하나 이상의 측부의 영역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들 영역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파형, 뾰족한 형상(pointed shape) 또는 둥근 형상(rounded shape)으로 변형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본체는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요동 방지부는 접촉 본체의 전단부의 대응 측방향 에지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하여 연장하는 현수부(hanging portion)를 구비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요동 방지부는 현수부의 바닥 단부에서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팽출하는 요동 방지체를 더 구비하여, 요동 방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형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라도, 이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을 추가의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수형 탭(80)에 접속될 수 있는 암형 단자 피팅(10)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로 도시 생략한 커넥터 하우징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3의 좌측을 전후 방향(FBD)과 관련하여 전방측으로 하고, 수직 방향과 관련해서는 도 2를 참고로 한다.
암형 단자 피팅(1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제의 전기 전도성 플레이트로 제조 된다. 큰 전류용의 도시 생략한 두꺼운 와이어에 대처하기 위하여, 비교적 두꺼운 플레이트 재료가 사용된다. 이러한 암형 단자 피팅(10)은,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 또는 그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 형상(박스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바람직한 실질적인 관형부(1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후방부를 포함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후방부의 측부(바람직하게는 양측의 좌측 및/또는 우측)으로부터 만곡된 적어도 하나의 배럴부(13)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 와이어 접속부를 구비한다. 와이어 접속부는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의 (좌측 및/또는 우측) 측부(들)로부터 와이어의 단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노출된 코어 섹션의 둘레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김으로써 와이어와 접속되게 크림핑, 벤딩 또는 폴딩되는 배럴부(13)에 의해 와이어에 접속된다.
암형 단자 피팅(10)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중간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의) 측방향 에지로부터 또는 그 근처에서 세워져 있는 하나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14)를 또한 구비하며, 이 보강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접속되는 전단부와 와이어 접속부[바람직하게는 배럴부(13)]에 접속되는 후단부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보강 플레이트(14)에 의해 관형부(12)와 배럴부(13) 사이의 영역에서 특정의 (예정되거나 예정 가능한) 강성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 보강 플레이트(14)의 상단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결하여, 특히 배럴부(13)에 의하여 와이어에 크림핑 접속되는 결과로 인하여 발 생하는 굽힘 응력이 관형부(12)를 향하여 전달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거나 줄이는 응력 흡수부(15)를 형성한다. 응력 흡수부(15)는, 관형부(12)를 향하는 측면에서 보강 플레이트(14)의 상단 또는 말단보다 약간 작거나 짧은 돌출 길이를 갖도록 배럴부(13)를 향하는 측면에서 보강 플레이트(14)의 상단 또는 말단을 절결하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측방향 양측(좌측 및 우측) 보강 플레이트(14)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recess)이다. 그러한 응력 흡수부(15)를 제공함으로써, 와이어와 크림핑 접속된 후에 관형부(12)의 변형을 방지하거나, 그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는 횡방향(TD)[또는 전후 방향(FBD)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넓고, 그 후방부는 전방부보다 협소하며, 그 중간부는 바람직하게는 전방부의 후단부로부터 후방부의 전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협소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THD)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를 관통하거나 오목하게 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잠금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수납 패드(17)가 잠금 구멍(16)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측면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에 또는 그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수납 패드(17)는 서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대략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하는 리브 또는 엠보싱의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부 외면을 엠보싱 가공함으로써 관형부(12) 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부(12)는 전술한 베이스 플레이트(11),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부의 양측 측방향 에지로부터 또는 그 근처에 세워져 있거나 돌출하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 우측) 측판(18),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도록 양측 측판(18)의 상단 또는 말단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대향판(19)으로 구성되어 있고, 벤딩 가공에 의해 일체로, 즉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관형부(12)의 전방면에는, 수형 탭(80)이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측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상을 갖는 탭 삽입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 측판(18)은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측방향 양측 에지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바람직하게는 측판의 내면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실질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및/또는 측판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4 분원 또는 둥근 섹션을 매개로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외면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양측 대향판(19)은 바람직하게는 대향 측판(18)의 상단에서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고, 대향판의 내면은 측판(18)의 내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및/또는 대향판의 외면은 실질적으로 4 분원 또는 둥근 섹션을 매개로 측판(18)의 외면에 접속되어 있다. 실질적인 양측 대향판(19)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형상 및/또는 사이즈를 갖고, 그 대향 에지 사이에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는 슬릿(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대향판(19)의 단부 에지는 사이에 위치한 슬릿(21)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형성된 절결부 사이의 대향판(19)의 영역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가압부(22)가 형성되어, 이들 영역을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향하여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파형, 뾰족한 형상, 또는 둥근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가압부(22)는 접촉편(30)의 접촉 본체(3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대향판(19)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방향(THD)으로 관통하거나 오목하게 되어 있거나 및/또는 대향판(19)으로부터 대향판(19)에 접속된 측판(18)까지 연장하는 (바람직한 결합 수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 구멍 또는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접촉편(30)의 (바람직한 결합부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결합편(36)이 관형부(12)의 결합 구멍(2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통하거나 및/또는 결합 구멍에 결합된다. 한 쌍의 결합 구멍(23)이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FBD)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면서 관형부(12)의 각 측판(18)에 형성되어 있는 것, 즉 바람직하게는 총 두 쌍의 결합 구멍(23)이 제공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관형부(12)와 별체인 접촉편(30)은 관형부(12) 내의 대향판(19)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수형 탭(8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탭 삽입 통로(50)가 접촉편(30)과 수납 패드(17)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편(30)은 바람직하게는 관형부(12)보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으며, 이 접촉편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7 내지 도 9에 도 시된 바와 같이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도시된 예에서는 상면)의 폭방향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대략 판 스프링의 형태인 띠형 접촉 본체(31)와, 접촉 본체(3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폭방향의 측방 에지에 접속되거나 접속될 수 있고,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도시된 예에서는 상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폭방향 단부(들)과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80)이 특히 그 중심축의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비탄성의 요동 방지부(32)를 포함한다.
접촉 본체(31)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만곡되어 있고(전후 방향(FBD)에 대해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의 방향,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도 3 참조), 연장 방향으로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가 수납 패드(17)에 가장 인접하고, 수형 탭(80)과의 접촉부(33)가 상기 중간부 또는 중앙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33)의 오목면 또는 말단부는 수형 탭(80)과 실질적으로 선 접촉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바람직한 접촉 위치로서 작용한다. 전술한 가압부(22)는, 접촉 본체(31)가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에 접촉 본체(31)의 플레이트 표면의 측방향 양단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및/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접촉편(30)이 관형부(1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때에, 수형 탭(8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기 전에는 수형 탭(80)의 두께보다 작은 간극[탭 삽입 통로(50)]이 접촉부(33)의 접촉 위치와 수납 패드(17)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 간극은 수형 탭(8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넓어진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요동 방지부(32)가 접촉 본체(3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폭방향 에지와 일체로, 즉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이 요동 방지부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실질적으로 날개(wing)의 형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요동 방지부(32)는 접촉 본체(31)의 전단부의 대응 측방향 에지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향하여 연장되는 현수부(34)와, 이 현수부(34)의 바닥 단부에서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림으로써 실질적으로 폭방향 또는 횡방향(TD)으로 팽출하는 요동 방지체(35)로 구성되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L형 단면을 갖는다. 현수부(34)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 전단 및 후단은 바람직하게는 접촉 본체(31)의 양측 전단 및 후단과 실질적으로 동일 위치에서 정렬되어 있다. 현수부(34)의 현수 길이는 바람직하게는 접촉 본체(31)의 곡선의 깊이보다 작게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요동 방지체(35)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현수부(34)와 전후 방향(FBD)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접촉편(30) 및/또는 암형 단자 피팅(10)의 중심축(CA)에 대하여 대략 횡방향으로 대칭이다. 좌측 및 우측 요동 방지체(35)의 돌출 에지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관형부(12)의 내부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작게 설정된다. 요동 방지체(35)의 하면은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과 실질적으로 면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으로서 작용한다. 접촉편(30)이 관형부(12) 내로 적어도 부 분적으로 장착되는 때에,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내면[구체적으로 수납 패드(17)]과 상기 접촉면 사이에는 수형 탭(8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약간 큰 간극이 형성된다. 접촉 본체(31)가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에, 요동 방지체(35)의 접촉면은 높이 방향으로 접촉 본체(31)의 접촉 위치보다 낮게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향해] 위치하고, 접촉 본체(31)의 대부분은 옆에서 보았을 때 접촉 위치로부터 돌출한다.
접촉편(30)의 폭방향 단부에 위치한 요동 방지부(35)의 측방향 에지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총 두 쌍의 측방향 (좌측 및/또는 우측) 결합편(36)이 결합 구멍(2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위치에서 대략 측방향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결합편(36)은 내측으로부터 결합 구멍(2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접촉편(30)은 결합편(36)과 결합 구멍(23)의 결합에 의해 어떠한 느슨한 운동도 하지 않도록 관형부(12) 내에 유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편(30)이 관형부(12) 내로 장착된다.
길이 방향[전후 방향(FBD)]의 요동 방지체(35)(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각 요동 방지체의 양단부)는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대향판(19)을 향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이로써 접촉편(30)이 관형부(1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때에 대향판(19)의 내면과 접촉편의 상단부의 접촉에 의해 관형부 내에서 접촉편(30) 자체의 느슨한 이동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37)를 형성한다. 지지부(37)는 바람직하게는 정면도로 보아 실질적으로 사각형 형상이고, 바람직하게는 총 두 쌍의 전방 및 후방 지지부(37)가 각각의 요동 방지체(35)에 또는 그 상에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37)의 직립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현수부(34)의 현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요동 방지체(35)는 그러한 지지부(37)에 의해 실질적으로 적소에 고정 유지되어 있고, 전술한 접촉면은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암형 단자 피팅(10)의 조립 과정과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평탄한 도전성(바람직하게는 금속제) 부재의 내측에 접촉편(30)을 배치하여 관형부(12)로 되게 하고, 이 상태에서 금속편을 폭방향 또는 횡방향(TD)으로 구부러지게 하여, 실질적인 관형부(12)를 형성한다. 관형부(12)의 측판(18)이 직립 상태로 구부러짐에 따라, 접촉편(30)의 결합편(36)은 관형부(12)의 결합 구멍(2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편(30)은 관형부(12)와 결합되어 관형부 내에 유지되고, 접촉 본체(31)의 접촉부(33)는 수납 패드(17)에 더 근접하게 이동하며, 요동 방지체(35)는 수형 탭(8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지지부(37)의 선단은 관형부(12)의 내면[대향판(19)]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접속부[바람직하게는 배럴부(13)]가 와이어의 단부에 접속되고(바람직하게는 크림핑, 벤딩 또는 폴딩 접속되고), 이로써 암형 단자 피팅(10)이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결과적으로, 와이어와 접속된 암형 단자 피팅(10)은 도시 생략한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암형 단자 피팅(10)이 실질적으로 적절한 깊이로 삽입될 때에, 공동의 내벽에 형성된 수지제 잠금부는 관형부(12)의 잠금 구멍(16)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그 결과 암형 단자 피팅(10)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전술한 커넥터 하우징이 수형 단자 피팅을 수납하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접속되어 있으면, 수형 탭(80)은 탭 삽입 구멍(12A)을 통하여 삽입 방향(ID)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부(12) 내로 들어가고, 접촉편(30)의 접촉 본체(31)를 삽입 방향(ID)(측방향 또는 상부 방향)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가압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본체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형 탭(80)은 접촉 본체(31)의 접촉부(33)와 수납 패드(17)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관형부(12) 내에 지지되어 있고, 이로써 암형 단자 피팅(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형 탭(80)이 관형부(12) 내로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삽입되어 있을 때에, 수형 탭(80)의 상면은, 요동 방지체(35)의 접촉면과 매우 작은 간극을 형성하거나 그 접촉면과 약간 접촉한 상태로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체(35)의 접촉면에 근접하게 있다.
암형 단자 피팅과 수형 단자 피팅이 전술한 방식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와이어가 그것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치는 경우에, 관형부(12)는 상응하게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의 요동 운동에 따라 관형부(12)가 변위되는 경우라도, 수형 탭(80)은 그 상면의 폭방향 양단부가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32)에 의해 가압되고, 그 하면 또는 내측 정향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폭방향 단부가 수납 패드(17)에 의해 가압되어, 그것의 중심축(CA) 둘레에서 요동 운동을 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관형부(12) 내에서 수형 탭(80)의 상대 위치가 크게 변경될 가능성이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형 탭(80)과 암형 단자 피팅(10)의 접속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접촉편(30)의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32)에 의해 관형부(12) 내에서 수형 탭(80)의 요동 운동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또한, 길이 방향[전후 방향(FBD)]을 따라 또는 그 둘레에서의 수형 탭(80)의 요동 운동이 또한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 요동 방지부(32)가 접촉 본체(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접촉 본체(31)의 (바람직하게는 양측) 측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수형 탭(80)의 요동 운동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요동 방지부(32)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전방 지지부(37) 및/또는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후방 지지부(37)에 의해 관형부(12) 내에서 상대적으로 변위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 접촉편(30)은 바람직하게는 관형부(12)와 별체이며, 접촉편(30)의 두께는 관형부(12)의 두께와 상관없이 소정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접촉 본체(3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얇게 함으로써 접촉 본체(31)의 완만한 탄성 변형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접촉 본체(31)가 자연스러운 상태로 있을 때, 즉 접촉 본체(31)가 수형 탭(8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있을 때에, 접촉 본체(31)의 접촉 위치가 요동 방지체(35)의 접촉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수형 탭(80)과 접촉 본체(31)의 접촉 압력은 요동 방지체(35)의 접촉면과 수형 탭(80)의 상면이 서로 강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수형 탭(80)의 삽입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암형 단자 피팅(10)은, 전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된 탭 삽입 구멍(12A)을 통하여 수형 탭(8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1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부(12)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관형부(12)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납 패드(17)와의 사이에 수형 탭(80)을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판형의) 접촉편(30)을 포함한다. 이 접촉편(30)은, 수납 패드(17)에 더 근접하도록 두께 방향(THD)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만곡된 곡선의 볼록면의 접촉 위치에서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부)에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본체(31)와, 접촉 본체(31)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측면에서 수형 탭(8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수형 탭(80)의 플레이트 표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폭방향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80)이 중앙축(CA)의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32)를 구비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과 도시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괄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 본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요동 방지부가 접촉 본체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요동 방지부는 적어도 접촉 본체의 접촉부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양측) 측면에 또는 적 어도 탭 삽입 구멍으로부터 접촉 위치에 이르는 영역에 형성될 수도 있다.
(2)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부에 의해 어떠한 느슨한 운동도 방지하도록 요동 방지부를 관형부 내에 유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요동 방지부는 결합편과 결합 구멍의 긴밀한 결합에 의해 관형부 내에 고정될 수도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편이 관형부와 별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편이 관형부와 일체로, 즉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접촉편은 상향 또는 내측으로 뾰족하고 관형부의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젖혀진 각진 부재일 수도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접촉 본체가 파형을 갖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 본체는 단지 하나의 내측으로 정향된 볼록부 또는 벤딩부를 갖는(즉, 단지 하나의 말단을 갖는) 벤딩 또는 만곡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형 탭과 암형 단자 피팅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암형 단자 피팅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일단에 형성된 탭 삽입 구멍(12A)을 통하여 수형 탭(8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1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관형부(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관형부(12)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수납 패드(17)와의 사이에 수형 탭(80)을 개재시키도록 되어 있는 접촉편(30)
    을 포함하는 암형 단자 피팅(10)으로서,
    상기 접촉편(30)은
    상기 수납 패드(17)에 더 근접하게 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와 같이 만곡된 곡선의 볼록면의 접촉 위치에서 수형 탭(80)의 폭방향 중간부와 탄성 접촉할 수 있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촉 본체(31)와,
    상기 접촉 본체(31)의 측면(들)에서 수형 탭(80)의 삽입 방향(ID)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수형 탭(80)의 폭방향 단부(들)와 접촉함으로써 수형 탭(80)이 그것의 중심축(CA) 둘레에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요동 방지부(32)를 구비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부(32)는 적어도 탭 삽입 구멍(12A)으로부터 접촉 위치에 이르는 소정의 영역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0)은 상기 요동 방지부(32)의 실질적으로 두께 방향(THD)으로 세워져 있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37)를 더 구비하며, 이 지지부는 이 지지부의 외부 또는 상부 단부가 관형부(12)의 내면과 접촉함으로써 접촉편(30)이 관형부(12) 내에서 느슨하게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0)은 상기 관형부(12)와 별체인 것인 암형 단자 피팅.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0)은, 접촉편(30)의 폭방향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 요동 방지부(32)의 에지에 또는 그 근처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36)와 관형부(12)의 측벽(들)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결합 수납부(23)의 결합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형부(12) 내에 유지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위치는, 상기 접촉 본체(31)가 수형 탭(80)과 접속되어 있지 않은 때에 수형 탭(80)과 요동 방지부(32)의 접촉면으로부터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30)의 접촉 본체(31)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향하여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22)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FBD)으로 마련된 절결부(cut) 사이의 관형부(12)의 하나 이상의 측부(19)의 영역에 힘을 인가함으로써 형성되어 이들 영역을 실질적으로 파형, 뾰족한 형상(pointed shape) 또는 둥근 형상(rounded shape)으로 변형시키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본체(31)는 전체적으로 파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부(32)는 접촉 본체(31)의 전단부의 대응 측방향 에지로부터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향하여 연장하는 현수부(34; hanging portion)를 구비하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방지부(32)는 상기 현수부(34)의 바닥 단부에서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로 구부러짐으로써 실질적으로 횡방향(TD)으로 팽출하는 요동 방지체(35)를 더 구비하여, 요동 방지부(32)는 실질적으로 L형 단면을 갖는 것인 암형 단자 피팅.
KR1020070059969A 2006-06-21 2007-06-19 암형 단자 피팅 KR100891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71504 2006-06-21
JP2006171504A JP4678341B2 (ja) 2006-06-21 2006-06-21 雌端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1535A true KR20070121535A (ko) 2007-12-27
KR100891477B1 KR100891477B1 (ko) 2009-04-02

Family

ID=3852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969A KR100891477B1 (ko) 2006-06-21 2007-06-19 암형 단자 피팅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1685B2 (ko)
EP (1) EP1890363B1 (ko)
JP (1) JP4678341B2 (ko)
KR (1) KR100891477B1 (ko)
CN (1) CN101093918B (ko)
DE (1) DE6020070078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8981B1 (fr) 2008-11-25 2018-08-24 Alcatel Lucent Dispositif de couplage et de fixation d'un element rayonnant d'antenne et procede d'assemblage d'une antenne
JP5343779B2 (ja) * 2009-09-15 2013-11-1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252231B2 (ja) * 2009-12-02 2013-07-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JP2012054107A (ja) * 2010-09-01 2012-03-1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付き端子金具
JP5751194B2 (ja) * 2011-09-08 2015-07-22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247902B1 (ja) * 2012-02-24 2013-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53908B2 (ja) * 2012-08-29 2016-02-09 日立金属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DE102014005536B4 (de) * 2014-04-16 2016-04-07 Lisa Dräxlmaier GmbH Kontaktlamelle zur Bildung einer Steckbuchse durch Koppeln mit einem Gehäuseelement sowie Steckbuchse, gebildet durch Koppeln der Kontaktlamelle mit einem Gehäuselement
US9472885B2 (en) 2014-12-08 2016-10-1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ow terminal insertion force
JP5930089B1 (ja) * 2015-02-24 2016-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導電端子
JP6607141B2 (ja) * 2016-05-12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CN107546516B (zh) * 2016-06-23 2021-01-26 矢崎(中国)投资有限公司 连接器端子和端子连接结构
JP6872152B2 (ja) * 2017-09-21 2021-05-19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JP7001961B2 (ja) * 2018-03-02 2022-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雌端子
US10181667B1 (en) * 2018-05-29 2019-01-1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ceptacle terminal for a junction box
JP7147654B2 (ja) * 2019-03-26 2022-10-05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0851B2 (ja) 1993-09-28 1998-03-25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3581396B2 (ja) * 1994-07-12 2004-10-27 菱星電装株式会社 接続端子
JPH10255889A (ja) * 1997-03-06 1998-09-25 Nissan Motor Co Ltd 電気コネクタの端子構造
JPH11111366A (ja) * 1997-09-30 1999-04-23 Amp Japan Ltd 電気コンタクト
JP2000173703A (ja) 1998-12-08 2000-06-23 Yazaki Corp 電気コンタクト
KR100501813B1 (ko) * 2003-06-16 2005-07-2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메모리카드 커넥터의 덮개셸 구조
JP3992024B2 (ja) * 2004-06-29 2007-10-17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2006134681A (ja) 2004-11-05 2006-05-25 Tyco Electronics Amp Kk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1685B2 (en) 2009-01-27
EP1890363B1 (en) 2010-07-21
CN101093918A (zh) 2007-12-26
US20080096442A1 (en) 2008-04-24
CN101093918B (zh) 2010-06-02
JP4678341B2 (ja) 2011-04-27
EP1890363A3 (en) 2008-12-17
JP2008004342A (ja) 2008-01-10
EP1890363A2 (en) 2008-02-20
DE602007007854D1 (de) 2010-09-02
KR100891477B1 (ko)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477B1 (ko) 암형 단자 피팅
US5624283A (en) Electric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JP4007279B2 (ja) 雌端子金具
JP4574692B2 (ja) 電気コネクタ
US20110294326A1 (en) Floating connector
US20060252294A1 (en) Electrical connector element
KR101269826B1 (ko) 소형 리셉터클 단자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JP2007165194A (ja) コネクタ
JP6706512B2 (ja) コネクタ
WO2014199833A1 (ja) 雌端子
KR20150035450A (ko) 접속 단자
KR101550924B1 (ko) 엘피퓨즈의 고정단자
JP2019160697A (ja) コネクタ
JP2014146459A (ja) 雌端子
US9022817B2 (en) Connector terminal including limiter extending along first and second spring terminals
WO2022270174A1 (ja) 端子
EP2575215B1 (en) Terminal fitting
KR100907541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4730266B2 (ja) 端子金具
WO2023276663A1 (ja) 端子
JP7396188B2 (ja) 雌端子金具
JP2003022859A (ja) ソケットコンタクト
JP7360310B2 (ja)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JP2016207251A (ja) 雌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