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540A - 경첩 및 도어 - Google Patents

경첩 및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540A
KR20070119540A KR1020070057939A KR20070057939A KR20070119540A KR 20070119540 A KR20070119540 A KR 20070119540A KR 1020070057939 A KR1020070057939 A KR 1020070057939A KR 20070057939 A KR20070057939 A KR 20070057939A KR 20070119540 A KR20070119540 A KR 20070119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spring
rolling
rol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5490B1 (ko
Inventor
쇼지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스기타 에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타 에이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타 에이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9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1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only one position, e.g.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2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fol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 Hinges (AREA)

Abstract

(과제) 패널체로부터 튀어나오는 일이 없고, 범용성이 있으며, 또한 장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열려 있는 문이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이 경첩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전동체 (22, 22) 와, 그 각 전동체 (22, 22) 가 굴러서 이동함으로써 왕복 운동하는 가동 바퀴 (21) 와, 상기 한 쌍의 전동부 (22a, 22a) 를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체 (24)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체에는 수납부 (24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24d) 는 전동체 (22) 및 가동 바퀴 (21) 의 대향하는 부분에, 전동체 (22) 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고리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된다. 이 수납부 (24d) 내에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상기 가동 바퀴 (21) 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 (25) 이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 (25) 은 예를 들어 나선형 스프링 (25) 으로, 일단이 상기 전동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체 (24) 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체 (24) 에 형성된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있다.

Description

경첩 및 도어{HINGE AND DOO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평면도 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6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2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0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1 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2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34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5 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6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37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단면 정면도이다.
도 39 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40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41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관련된 경첩의 평면도이다.
도 42 는 종래의 도어를 포함하는 정면도이다.
도 43 은 종래의 경첩을 포함하는 도어의 일부 단면 평면도이다.
도 44 는 종래의 도어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경첩
21 : 가동 바퀴
21a : 측면
21b : 상대면
21m : 돌출편
22 : 전동체
22c : 팽출부
22a : 전동부
22m : 돌출편
22f : 플랜지부
23 : 끼워맞춤부
24 : 연결체
24a : 연결판
24b : 핀
24d : 수납부
25 : 스프링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허 제2728642호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폴딩 도어와 같이 2 장의 문을 연결하기 위한 경첩 및 이 경첩에 의해서 패널체를 연결한 도어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열려진 문이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한 경첩 및 이 경첩에 의해서 패널체를 연결한 도어에 관한 것이다.
2 장의 문을 연결하기 위한 경첩이 여러 가지 제공되어 있는데, 문의 개폐시에 있어서, 문을 닫았을 때의 구획성을 우수하게 한 경첩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이 경첩은, 도 42 내지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장의 문 (100, 100) 이 서로 맞대어지는 측단면에 장착되어 있다. 각 문 (100) 은, 직사각판 형상의 가운데가 채워져 있는 패널체 (101) 와, 이 패널체 (101) 의 일단 (벽) 측에 고정된 프레임 (102) 을 갖고, 타단 (내) 측에 지주체 (支柱體 : 111) 가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문 (100) 에 장착되는 경첩 (110) 은, 상기 지주체 (111) 와, 도 4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지주체 (111) 각각의 상단 및 하단에 고착된 평기어 (112) 와, 맞대어지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평기어 (112, 112) 끼리를 서로 맞물리게 하는 연결판 (113) 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지주체 (111) 가 패널체 (101) 와 접합되는 장착면에는, 도 4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돌기열 (111a, 111a) 이 연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패널체 (101) 가 지주체 (111) 와 접합되는 장착면에는 2 개의 홈 (101a, 101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2 개의 돌기열 (111a, 111a) 과 2 개의 홈 (101a, 101a) 이 서로 끼워맞춰지고, 또 지주체 (111) 로부터 패널체 (101) 에 비스 (103: bis) 가 끼워짐으로써, 양자 (111, 101) 가 고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패널체 (101) 가 나무로 만들어져 습기 등에 의해서 수축되어도, 각 평기어 (112) 가 비틀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경첩 (110) 은, 문을 열었을 때에, 2 장의 패널체 (101) 가 완전히 중첩되도록 하기 위해서, 평기어 (112) 의 외경이 패널체 (101) 의 판두께보다 커, 톱니가 튀어 나와 있다. 그러나, 평기어 (112) 의 톱니가 패널체 (101) 로부터 튀어 나옴으로써, 티끌이나 먼지 등이 한 쌍의 평기어 (112, 112) 사이에 들어가, 문 (100, 100) 을 원활하게 개폐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평기어 (112) 는 내구성이 우수하다고는 하지만, 폴딩 도어와 같이 중량이 있는 문 (100, 100) 이 장기간 개폐되면, 피로하여 파괴되는 경우도 있다.
또,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경첩 (110) 은, 지주체 (111) 를 구성 요건으로 하고 있다. 지주체 (111) 는, 패널체 (101) 의 높이나 폭과 일치하도록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따라서, 이 경첩 (110) 은 범용성이 없어, 비용 절감을 도모하기가 어렵다.
나아가, 지주체 (111) 와 패널체 (101) 에는, 2 개의 돌기열 (111a, 111a) 과 2 개의 홈 (101a, 101a)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111a, 101a) 을 형성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양자 (111a, 101a) 를 끼워 맞춰야 하는 등 용이하게 장착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리고,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경첩 (110) 은, 문 (100, 100) 이 열리면, 열린 문 상태가 유지된다. 그러나, 장소에 따라서는 열린 문 (100, 100) 이 자동적으로 닫히게끔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일반적인 도어 클로저에 구비된 자동 닫힘 기능을 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경첩에 구비시키는 일은, 구성이 전혀 상이하기 때문에 곤란하다. 따라서, 특허 문헌 1 에 개시된 경첩 (110) 은, 개량하여 자동적으로 문이 닫힐 수 있게 하기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패널체로부터 튀어나오는 일이 없고, 범용성이 있으며, 또한 장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열려진 문이 자동적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한 경첩 및 이 경첩에 의해서 패널체를 연결한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은, 선단에 전동부가 형성되고, 그 전동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전동체와, 그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 사이에 끼여서, 그 전동부가 굴러서 이동함으로써 왕복 운동하는 가동 바퀴와, 상기 한 쌍의 전동체를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그 수납부 내에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상기 가동 바퀴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첩에 의하면, 한 쌍의 전동체는, 스프링을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된 연결체에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된 상태에서, 전동부가 가동 바퀴의 각 측면 위를 굴러 이동한다. 예를 들어, 일방의 전동체가 일방의 문에 고정되고, 타방의 전동체가 타방의 문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첩에 있어서, 양쪽 문의 일방의 같은 면끼리 대치하고 중첩되어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일단측에서 사이에 끼우고, 양쪽 문이 일직선으로 나란히 정렬하여 문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중간에서 사이에 끼우고, 양쪽 문의 타방의 같은 면끼리가 대치하고 중첩되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타단측에서 사이에 끼운다. 바꾸어 말하면, 가동 바퀴가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전동체가 요동하여, 문이 개폐된다.
또는, 일방의 전동체가 문에 고정되고, 타방의 전동체가 벽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경첩에 있어서, 문이 벽의 일방의 면과 대치하고 중첩되어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일단측에서 사이에 끼우고, 문이 벽과 동일한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하여 문이 닫혀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중간에서 사이에 끼우고, 문이 문의 타방의 면과 대치하고 중첩되어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를 타단측에서 사이에 끼우고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벽에 고정된 전동체 위를 가동 바퀴가 공전하고, 이 가동 바퀴 위를 문에 고정된 전동체가 360° 공전한다.
이느 경우에서나, 가동 바퀴가 외력이 가해져서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됨으로써,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 내의 스프링이 변형된다. 이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가동 바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스프링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복원력에 의해서 중립 위치로 복귀된다. 가동 바퀴가 중립 위치로 복귀할 때에,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 위를 구름 이동하기 때문에, 전동체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간다. 전동체에 문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힘이 가해져 열리게 된 문은,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다. 또, 이 경첩은 문 뿐만 아니라, 소품 수납함이나 가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전동체 및 가동 바퀴와 대향하는 부분에, 전동체의 각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고리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수용부 내에 수납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일단이 상기 전동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첩에 의하면, 스프링이 나선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연결체에 구비된 수납부 내에 수납되며, 그리고, 일단이 전동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연결체에 고정되어 양단이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일직선으로 나란히 정렬된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져서, 가동 바퀴가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되었을 때에, 나선형 스프링이 죄여지거나, 또는 느슨해진다. 그리고,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나선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가동 바퀴에는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가해지고,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 위를 굴러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전동체는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자동적으로 일직선으로 나란히 정렬된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가동 바퀴의 상대면과 대향하는 대략 중앙부에, 가동 바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가동 바퀴는, 상기 수납부 내 에 돌출된 돌출편을 이동 방향의 중간에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수용부 내에 한 쌍씩 수납되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이어도 된다.
이 경첩에 의하면, 스프링이 한 쌍씩의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고, 가동 바퀴에 구비된 돌출편을 사이에 끼운 채 연결체에 형성된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일직선 상에서 나란히 정렬된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져, 가동 바퀴가 이동함으로써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되었을 때에, 돌출편이 일방의 압축 스프링을 압축하거나, 또는, 돌출편이 일방의 인장 스프링을 잡아당긴다. 그리고,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에는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가해져,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 위를 굴러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전동체는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자동적으로 일직선으로 나란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전동체와 대향하는 양 단부에, 전동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각 전동체는, 상기 수납부 내에 돌출된 돌출편을 요동 방향의 중간에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수용부 내에 한 쌍씩 수납되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이어도 된다.
이 경첩에 의하면, 스프링이 한 쌍씩의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에 의해서 구성되고, 각 전동체에 구비된 돌출편을 사이에 끼운 채 연결체에 형성된 수용부 내에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일직선 상에서 나란히 정렬된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져, 전동체가 구름 이동하여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되었을 때에, 돌출편이 일방의 압축 스프링을 압축하거나, 또는 돌출편이 일방의 인장 스프링을 잡아당긴다. 그리고, 전동체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에는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가해져, 전동체의 전동부가 가동 바퀴 위를 굴러 이동함으로써, 한 쌍의 전동체는 가동 바퀴를 사이에 끼우고 자동적으로 일직선으로 나란한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바퀴의 양 측면에는 래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전동체의 전동부에는 그 래크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첩에 의하면, 가동 바퀴에 형성된 래크와 전동체의 전동부에 형성된 피니언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전동체는 가동 바퀴 위를 미끄러지는 일 없이 구름 이동하고, 또한, 가동 바퀴는 전동체 사이를 미끄러지는 일 없이 왕복 운동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양 단부가 상기 가동 바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중간부가 그 가동 바퀴의 상대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판과, 상기 전동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연결판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첩에 의하면, 가동 바퀴가 한 쌍의 연결체의 연결판 사이에 끼이고, 이 한 쌍의 연결판은, 중간부가 가동 바퀴의 상대면과 맞닿고, 양 단부는 가동 바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 연결판의 양 단부는, 전동체를 지지하는 핀에 의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전동체는, 안정된 상태로 가동 바퀴의 측면 상을 구 름 이동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바퀴와 연결체의 연결판과의 각 접합면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첩에 의하면, 가동 바퀴와 연결체의 연결판의 각 접합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가 서로 끼워짐으로써, 가동 바퀴가 이 끼워맞춤부로 안내되면서 연결체 사이를 상대적으로 이동할 뿐 아니라, 일방의 전동체로부터 가동 바퀴에 가해지는 하중이 일단 끼워맞춤부에 가해져, 끼워맞춤부가 완충재가 되어서, 타방의 전동체에는 작은 하중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전동체의 외주면에 피니언이 형성되어 있어도 피니온에는 큰 충격력이 가해지지 않아,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상기 끼워맞춤부는, 1 개 또는 복수 개의 돌기열과 홈에 의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전동부가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와, 그 지지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첩에 의하면, 전동체는 지지부의 선단에 전동부가 형성된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지지부가 충돌하는 일 없이, 한 쌍의 전동체는 구름 이동할 때에 지지부가 대치한다. 또, 플랜지부는, 문의 단면 등에 고정된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도어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의해서 2 장의 패널체가 연결되어 있는 도어로서, 상기 각 패널체의 대향측 단면에 상기 경첩의 각 전동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도어에 의하면, 2 장의 패널체의 대향측 단면이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구비된 각 전동체에 고정됨으로써, 2 장의 패널체는, 폴딩 도어와 같은 도어, 또는 일방의 패널체가 벽, 타방의 패널체가 회전하는 문과 같은 양쪽 여닫이식 도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상기와 또 다른 도어는,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의해서 2 장의 패널체가 연결되어 있는 도어로서, 상기 각 패널체의 대향측 단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 전동체에 고정되고, 상기 각 패널체의 간격을 막는 차폐체가 상기 경첩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도어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에 관련된 도어와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도어가 폴딩 도어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패널체의 일방의 면끼리가 중첩되어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가 가동 바퀴의 일단측에 위치하고 있고, 각 패널체가 경첩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나란히 정렬하여 문이 닫혀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가 가동 바퀴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 패널체의 타방의 면끼리가 중첩되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문이 열려 있을 때에는, 한 쌍의 전동체가 가동 바퀴의 타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패널체가 개폐됨으로써, 가동 바퀴가 한 쌍의 전동체 사이를 이동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에 의하면, 가동 바퀴의 양 측면 위를 구름 이동하는 전동부가 선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전동체가 연결체에 의해서 연결되고, 그리고, 중 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가동 바퀴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전동체 및/또는 가동 바퀴와 연결체 사이에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일직선 상에서 나란히 정렬된 상태의 한 쌍의 전동체는,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이 변형되고, 가동 바퀴를 통하여 요동하여, 중첩되도록 대치한 상태가 되고,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서 일직선 상에서 나란히 정렬된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전동체가 문 등에 고정되면, 열려 있는 도어 등을 자동적으로 닫히게 할 수 있어, 도어 등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도어,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폴딩 도어와 같은 2 장의 문 (11, 12) 을 연결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2 장의 문 (11, 12) 은, 연직 자세로 세워져 설치된 2 개의 수직 프레임 (1, 1) 과, 이 수직 프레임 (1, 1) 의 상단부에 수평 자세로 가설 (架設) 된 상부 프레임 (2) 으로 둘러싸인 프레임 내를 개폐한다. 상부 프레임 (2) 의 하면에는, 서스펜션 레일 (3) 이 고정되어 있다.
문 (11, 12) 은, 개폐하기 쉽도록 폭의 비가 1 : 2 로 되어 있다. 단, 사용 상황에 따라서 문 (11, 12) 의 폭의 비는 1 : 1 이어도 된다. 어느 경우에서든 간에, 각 문 (11, 1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장의 판형상 패널체 (10) 에 의해서 구성되어, 대향측 단면 (10a) 이 홈통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하 양 단부의 2 지점 (상단부만 도시함) 에 경첩 (20) 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첩 (20) 은, 필요에 따라서 중간부에도 장착된다. 또한, 경첩 (20) 은, 도시한 바와 같은 상하 양단 가장자리가 아니라, 상하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중간 부근에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경첩 (20) 의 주위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력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커버 (도시 생략) 에 의해서 덮여있다.
그리고, 문 (11, 12) 이 서로 만나는 대향측 단면 (10a, 10a) 의 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이 간격이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다. 이 차폐체 (40) 는, 문 (11, 12) 사이로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향측 단면 (10a) 에 끼워지는 한 쌍의 원통체 또는 원기둥체 (41, 41) 를 접합하여, 평면으로 볼 때 8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원통체 또는 원기둥체 (41, 41) 는, 용접이나 사출 성형 등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어도 되고,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맞닿아 있기만 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어느 경우에서나, 원기둥체 (41, 41) 가 접합된 부분은, 잘록하게 조여든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원기둥체 (41, 41) 의 단면에는, 경첩 (20) 에 연결되는 축 (42, 42) 이 각 문 (11, 12) 의 회전 중심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원고리 형상으로 돌출된 끼워맞춤부 (43, 43) 가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좁은 문 (이하, 「작은 문」이라고 한다 : 11) 의 기단측은, 베어링 (4, 4) 에 의해서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에 요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폭이 넓은 문 (이하, 「큰 문」이라고 한다 : 12) 은, 상기 서스펜션 레일 (3) 에 매달린다. 그 때문에, 큰 문 (12) 의 상단면의 대략 중심에 행거 롤러 (14) 가 장착되어 있다. 행거 롤러 (14) 에는, 큰 문 (12) 의 상단면에 고정된 축 (14a) 과, 이 축 (14a) 의 상단에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된 롤러 (14b) 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큰 문 (12) 에는 핸들 (15) 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핸들 (15) 이 밀어지거나 또는 당겨지면, 행거 롤러 (14) 의 축 (14a) 이 회전축이 되어, 도 2 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문 (12) 이 평면으로 볼 때 기울어지면서 작은 문 (11) 을 밀듯이 이동하고, 작은 문 (11) 을 밀음으로써, 작은 문 (11) 이 큰 문 (12) 과 동일한 측으로 평면으로 볼 때 기울어진다. 완전히 문이 열리면,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측에서 큰 문 (12) 과 작은 문 (11) 이 중첩된 상태가 된다.
양 문 (11, 12) 이 이와 같이 개폐되도록 하기 위해서, 양 문 (11, 12) 에 장착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경첩 (20) 은, 도 4 내지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바퀴 (21), 전동체 (22), 그리고 연결체 (24) 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바퀴 (21) 는, 양 측면 (21a, 21a) 및 양 상대면 (21b, 21b) (도면에서 상면과 하면) 이 평행한 직육면체 형상 또는 입방체 형상, 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양 측면 (21a, 21a) 이 팔 (八) 자 형상이고, 양 상대면 (21b, 21b) 이 평행한 사다리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양 측면 (21a, 21a) 에는 래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체 (22) 는, 상기 가동 바퀴 (21) 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전동체 (22) 는, 플랜지부 (22f) 와 지지부 (22g) 를 T 자형으로 일체 성형한 것으로서, 지지부 (22g) 의 선단에, 상기 가동 바퀴 (21) 의 각 측면 (21a) 위를 회전하면서 양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원통 형상의 전동부 (22a)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 (22f) 의 지지부 (22g) 를 뚫고 나와 있지 않은 측의 면에는, 홈통 형상으로 된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에 접합되는 대략 반원형의 팽출부 (22c, 22c) 가 상하로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 팽출부 (22c) 에는 패널체 (10) 를 고정시키기 위한 소구멍 (22e, 22e, …) 이 형성되어, 나사 (30) 에 의해 전동체 (22) 가 문 (11, 12) 에 고정된다.
그리고, 각 전동부 (22a) 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동 바퀴 (21) 의 측면에 형성된 래크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되고, 각 전동부 (22a) 의 회전 중심에는 연통 (連通) 구멍 (22h)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바퀴 (21) 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에는, 전동부 (22a) 는 베벨 기어와 같이 원추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체 (24) 는, 상기 전동부 (22a) 를 구름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으로서, 중간부가 가동 바퀴 (21) 의 양 상대면 (21b, 21b) 에 맞닿고, 양 단부가 가동 바퀴 (21) 의 양 측면 (21a, 21a) 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8 자 형상 연결판 (24a, 24a) 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판 (24a, 24a) 의 중간부는 차폐체 (40) 의 단면 형상과 마찬가지로 잘록하게 조여들어 있어, 중립 위치의 가동 바퀴 (21) 의 양단이 노출되어 있다. 연결판 (24a, 24a) 의 양 단부는, 전동체 (22) 팽출부 (22c) 의 주연이 약간 튀어 나오도록 플랜지부 (22f) 와 중첩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판 (24a) 의 양 단부에는, 전동체 (22) 의 연통 구멍 (22h) 과 연이어 통하는 연통 구멍 (24h)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양 연통 구멍 (22h, 24h) 에는 상기 차폐체 (40) 에 돌출 형성된 축 (42, 42) 이 삽입되어, 양 연결판 (24a, 24a) 과 전동체 (22) 가 연결된다.
또한, 차폐체 (40) 와 접합되는 측의 연결판 (24a) 에는,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43) 에 끼워지는 원고리 형상의 끼워맞춤부 (24b, 24b)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연결판 (24a) 에 형성된 끼워맞춤부 (24b, 24b) 가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43) 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서도, 연결판 (24a) 과 차폐체 (40) 가 연결된다.
그리고,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과 연결체 (24) 의 연결판 (24a) 의 각 접합면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끼워맞춤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부 (23) 는, 예를 들어, 가동 바퀴 (21) 의 각 상대면 (21b) 에 형성된 돌기열 (23a) 와, 이 돌기열 (23a) 이 끼워지도록 연결판 (24a) 에 형성된 홈 (23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반대로, 가동 바퀴 (21) 의 각 상대면 (21b) 에 홈 (23b) 이 형성되고, 연결체 (24) 의 연결판 (24a) 에 돌기열 (23a) 이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어느 경우에서든 간에, 돌기열 (23a) 과 홈 (23b) 은, 가동 바퀴 (21) 의 양 상대면 (21b, 21b) 의 중심축 또는 편심하여 가동 바퀴 (21) 의 이동 방향으로 1 개 또는 복수 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 바퀴 (21) 및 전동체 (22) 와 연결판 (24a) 사이에는, 열린 문 (11, 12) 을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기 위한 스프링 (25) 이 구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결체 (24) 에는, 스프링 (25) 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 (24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수납부 (24d) 는, 도 4 내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판 (24a) 의 내면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 (24e) 와 외주벽 (24s) 에 의해서 고리 형상으로 한 쌍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24e) 는, 연통 구멍 (24h) 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 (24d) 는, 전동체 (22) 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수납부 (24d) 에 수납되는 스프링 (25) 은 토션 스프링이 사용된다. 토션 스프링의 각 단부는,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와 연결판 (24a) 의 각 단부에 형성된 소구멍 (22k, 24k) 내에 삽입되어, 움직임이 규제되어 있다. 또, 소구멍 (22k, 24k) 은, 상하로 연속된 경우가 도시되어 있는데, 스프링 (25) 의 양 단부에 연속하도록 연속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경첩 (20) 은 이와 같이 구성되어, 2 개의 전동체 (22, 22) 는 가동 바퀴 (21) 를 지지점으로 해서,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된 상태에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된 상태를 경유하여, 대치된 상태로 방향이 바뀌어진다. 이러한 경첩 (20) 은, 도어를 구성하고 있는 작은 문 (11) 과 큰 문 (12) 을 연결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으로, 문 (11, 12) 을 개폐하는 도어의 사용 양태에 관해서 도 7 내지 도 1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문 (11, 12) 의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향측 단면 (10a) 에, 경첩 (20) 의 전동체 (22) 에 형성된 팽출부 (22c) 가 나사 (30) 에 의 해서 고정되고, 그리고 차폐체 (40) 의 단면에 돌출 형성된 축 (42, 42) 이 경첩 (20) 의 양 연결판 (24a, 24a) 의 연통 구멍 (24h, 24h) 과 양 전동부 (22a, 22a) 의 연통 구멍 (22h, 22h) 에 삽입 통과되며, 또한,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와 경첩 (20) 의 연결체 (24) 의 일방의 연결판 (24a) 에 형성된 끼워맞춤부 (24b) 가 연결됨으로써, 차폐체 (40) 가 경첩 (20) 에 연결되어 양 문 (11, 12) 사이를 막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경첩 (20) 에 의해서 연결된 양 문 (11, 12) 이 도 1 및 도 2 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닫혀 있을 때에는, 도 7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1 열로 나란히 정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전동체 (22, 22) 에 형성된 전동부 (22a, 22a) 는, 가동 바퀴 (21) 의 각 측면 (21a, 21a) 의 중립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와 연결판 (24a) 의 각 단부에 형성된 소구멍 (22k, 24k)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나란히 정렬되고, 양 소구멍 (22k, 24k) 내에 양 단부가 삽입된 스프링 (25) 에는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고 있다. 또,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 막혀 있기 때문에, 양 문 (11, 12) 의 외측에서부터 내측이 들여다 보이지 않으며, 또한, 냄새 등이 누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문을 열기 위해서 큰 문 (12) 에 장착된 핸들 (15) 을 밀면, 도 2 의 1 점 쇄선,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문 (12) 이 행거 롤러 (14) 의 축 (14a) 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큰 문 (12) 이 고정된 일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일방의 측면 (21a) 위를 중립 위치로부터 일단측으로 굴러 가, 가동 바퀴 (21) 가 이동한다.
가동 바퀴 (21) 가 이동함으로써,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타방의 측면 (21a) 위를 중립 위치로부터 일단측으로 구름 이동한다. 그러면, 이 타방의 전동체 (22) 가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 작은 문 (11) 이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에 장착된 베어링 (4, 4) 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운다.
이 때, 양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의 각 단부 가장자리가 차폐체 (40) 의 잘록하게 조여들어 있는 중간 부분 및 연결체 (24) 의 조여들어 있는 중간 부분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문이 열려 있는 도중에는 양 문 (11, 12) 사이는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기 때문에,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일이 없다.
또한, 전동체 (22) 가 연결체 (24) 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가 되기 때문에,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와 연결판 (24a) 의 각 단부에 형성된 소구멍 (22k, 24k)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속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양 소구멍 (22k, 24k) 내에 양 단부가 삽입된 스프링은 비틀린 상태가 된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전동체 (22, 22) 에 고정된 큰 문 (12) 과 작은 문 (11) 은, 도 2 의 1 점 쇄선,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굴곡하여,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측으로 가까이 간다. 또다시, 핸들 (15) 을 밀면, 도 2 의 2 점 쇄선, 도 11 및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문 (12) 과 작은 문 (11) 이 중첩되어, 완전히 문이 열린다. 이 때, 양 소구멍 (22k, 24k) 은 최대한 격리되어, 스프링 (25) 은 최대한으로 비틀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핸들 (15) 이 밀어져 있던 상태로부터 개방되면, 바꾸어 말하여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 (25) 의 양 단부가 삽입되어 있는 양 소구멍 (22k, 24k) 에는 연속된 상태로 되돌아가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큰 문 (12) 이 고정된 일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일방의 측면 (21a) 위를 일단측에서부터 중립 위치로 굴러 이동하고, 동시에 작은 문 (11) 이 고정된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타방의 측면 (21a) 위를 일단측에서부터 중립 위치로 굴러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1 열로 나란히 정렬됨으로써, 양 문 (11, 12) 은 자동적으로 닫힌다.
이 일련의 동작에 있어서, 가동 바퀴 (21) 의 측면 (21a) 에 형성된 래크와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니언이 맞물려 있기 때문에, 이 전동부 (22a) 는 가동 바퀴 (21) 위를 미끄러지는 일없이 굴러 이동하여, 양 문 (11, 12) 이 원활하게 개폐된다.
또한, 일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로부터 가동 바퀴 (21) 에 가해지는 하중은, 끼워맞춤부 (23) 가 완충재가 됨으로써, 하중이 작아진 후에 타방의 전동체 (22) 로 가해진다. 즉,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21b) 에 형성된 돌기열 (23a, 23a) 이 연결체 (24) 의 연결판 (24a, 24a) 에 형성된 홈 (24c, 24c) 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일방의 전동체 (22) 로부터의 하중이 연결체 (24) 에도 가해져, 이 하중이 작아진 후에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에 가해진다. 따라서, 도어가 장기간 개폐되더라도, 래크나 피니온이 파손되는 일이 없다.
또한, 이 도어는, 핸들 (15) 을 당김으로써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도 문을 열 수 있다. 즉, 핸들 (15) 을 당기면, 도 3 의 1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큰 문 (12) 이 행거 롤러 (14) 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 큰 문 (12) 이 고정된 일방의 전동체 (22) 의 일방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일방의 측면 (21a) 위를 중립 위치로부터 타단측으로 굴러 가, 가동 바퀴 (21) 가 이동한다.
가동 바퀴 (21) 가 이동함으로써,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타방의 면 위를 중립 위치로부터 타단측으로 구름 이동한다. 그러면, 이 타방의 전동부 (22a) 가 형성된 타방의 전동체 (22) 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 작은 문 (11) 이 일방의 수직 프레임 (1) 에 장착된 베어링 (4, 4) 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기운다.
핸들 (15) 을 좀더 당기면, 한 쌍의 전동체 (22, 22) 에 고정된 큰 문 (12) 과 작은 문 (11) 은, 도 3 의 2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된 상태가 되고 문이 열린다. 이 때,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와 연결판 (24a) 의 각 단부에 형성된 소구멍 (22k, 24k) 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연속하지 않는 상 태가 된다. 따라서, 양 소구멍 (22k, 24k) 내에 양 단부가 삽입된 스프링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비틀린 상태가 된다. 이 반대 방향으로의 도어 오픈시에 있어서도,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는 상태가 계속되어,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일이 없다.
그리고, 핸들 (15) 이 당겨진 상태로부터 개방되면, 바꾸어 말해서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 양 소구멍 (22k, 24k) 에는 상하로 연속된 상태로 되고자 하는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큰 문 (12) 이 고정된 일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일방의 측면 (21a) 위를 타단측에서부터 중립 위치로 굴러 가고, 동시에, 작은 문 (11) 이 고정된 타방의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가동 바퀴 (21) 의 타방의 측면 (21a) 위를 타단측에서부터 중립 위치로 굴러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1 열로 나란히 정렬됨으로써, 양 문 (11, 12) 은 자동적으로 닫힌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서의 도어는, 양 방향으로 문이 열리고, 자동적으로 문을 닫을 수 있다. 또한, 열려 있는 큰 문 (12) 과 작은 문 (11) 은 완전히 중첩된 상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도어가 예를 들어 병원의 화장실에 채용되면, 휠체어 사용자가 화장실 내에서 쓰러지더라도 구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3 및 도 14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하측의 연결체 (24) 의 수납부 (24d) 를 제 1 실시형태보다 깊게 하여, 이 수납부 (24d) 내에 수납되는 스프링 (25) 을 제 1 실시형태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스프링 (25) 은 길어짐으로써 문 (11, 12) 의 개폐시에 변형이 작아져, 쉽게 피로하지 않게 되므로, 거듭되는 사용에도 견딜 수 있게 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경첩 (20) 에 고정된 문 (11, 12) 도, 힘이 가해짐으로써 문이 열리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프링 (25) 이 비틀리고,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됨으로써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측 연결체 (24) 의 수납부 (24d) 도 제 1 실시형태보다 길게 하고, 양 연결체 (24, 24) 의 수납부 (24d, 24d) 에 수납되는 스프링 (25, 25) 도 제 1 실시형태보다 긴 것으로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5 및 도 1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프링 (25) 을 제 1 실시형태보다 길게 한 것으로, 스프링 (25) 의 수납부 (24d) 를 연결체 (24) 의 연결판 (24a) 과 차폐체 (40) 사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차폐체 (40) 는, 원통체 (41)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구석진 곳에 단판 (端板: 44) 이 구비되고, 원기둥체 (41) 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을 때에는 단부에 구석진 오목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판 (44) 에는, 스프링 (25) 의 일단부를 삽입하기 위한 소구멍 (44k) 이 형성되어 있다. 단, 원통체 (41) 의 단부 가장자리로부터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의 안쪽 단부를 절곡 (折曲) 함으로써 스프링 (25) 의 일단부가 걸려 고정되도록 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서든, 차폐체 (40) 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스프링 (25) 의 일단부가 소구멍 (44k) 내에 삽입됨으로써 차폐체 (40) 에 구속된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 (25) 의 타단부는,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에 형성된 소구멍 (22k)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이 스프링 (25) 의 타단부는 일단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25) 의 타단부가 전동체 (22) 의 요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차폐체 (40) 와 대향하는 연결체 (24) 의 연결판 (24a) 에는 반원형의 관통 구멍 (24n)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문 (11, 12) 은, 힘이 가해짐으로써 문이 열리고, 전동체 (22) 가 굴러서 이동함으로써 스프링 (25) 이 비틀린다. 이 때, 스프링 (25) 의 타단부는, 연결체 (24) 에 형성된 관통 구멍 (24n) 안에서 이동한다. 그리고,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다. 이 때에도, 스프링 (25) 의 타단부는 당연히, 연결체 (24) 에 형성된 관통 구멍 (24n) 안을 이동한다. 이러한 스프링 (25) 은, 제 1 실시형태보다 길어져 변형이 작아지기 때문에, 쉽게 피로하지 않아 수명을 길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17 내지 도 2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상기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달리,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지 않은 도어에 사용되는 것으로, 양 연결체 (24, 24) 가 트랙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각 연결체 (24) 가 가동 바퀴 (21) 및 전동체 (22) 와 접합되는 안쪽에는,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프링 (25) 을 수납하는 수납부 (24d) 가 돌출부 (24e) 와 둘레벽 (24s) 사이에 형성되고, 스프링 (25) 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소구멍 (24k)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첩 (20) 은,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와 연결시키기 위한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지 않고, 양 연결체 (24, 24) 와 전동체 (22) 는 핀 (24b) 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가 나사 (30) 에 의해서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 고정된다.
이 전동체 (22) 가 고정되는 부분의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홈통 형상이면 플랜지부 (22f) 에는 반원형의 팽출부가 형성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평탄하면, 플랜지부 (22f) 에는 팽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는 반원통 형상의 커버 (10b, 10b) 가 장착되어, 각 문 (11, 12)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라도, 열린 문 (11, 12) 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즉, 양 문 (11, 12) 은, 도 19 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닫힌 상태로부터 큰 문 (12) 이 밀림으로써,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기울어지고,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중첩되어 완전히 열린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큰 문 (12) 이 당겨지는 것에 의해서도, 양 문 (11, 12) 은 기울어지고 완전히 열리게 된다.
어느 경우에서나, 문을 엶으로써 소구멍 (24k, 24k) 이 연속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스프링 (25) 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틀린 상태가 된다. 따라서, 큰 문 (12) 이 밀리지 않게 되거나, 또는 당겨지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문이 닫힌다.
또,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체 (24) 의 수납부를 상기보다 깊게 하여, 상기보다 긴 스프링 (25) 을 수납함으로써, 스프링 (25)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22 내지 도 2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지는 도어에 사용되는데,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이다. 이 스프링 (25) 은, 연결체 (24) 에 형성된 수납부 (24d) 내에 한 쌍씩, 즉 2 개가 직렬로 배치되어 수납되어 있다.
수납부 (24d) 는, 도 22 및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에 대향하는 연결체 (24) 의 대략 중앙부에 한 쌍 형성된다. 이 수납부 (24d) 는, 돌출부 (24e) 가 폭 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이 돌출부 (24e) 와 둘레벽 (24s) 사이에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부 (24d) 는 각 연결체 (24) 의 각 한쪽 면에 2 군데씩 양 연결체 (24, 24) 에서 합계 4 군데에 형성되고, 스프링 (25) 은 합계 8 개가 구비된다. 또,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에는, 스프링 (25) 의 양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걺부 (도시 생략) 가 연결체 (24) 에 형성된다.
또한,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에는, 상기 수납부 (24d) 내로 들어가는 돌출편 (21m) 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 (21m) 은 상대면 (21b) 의 폭 방향 중심에 돌출 형성되고, 한 쌍의 스프링 (25)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이러한 돌출편 (21m) 은, 각 상대면 (21b) 에 2 군데씩 양 상대면 (21b, 21b) 에서 4 군데에 구비된다.
그리고, 연결체 (24) 는 8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연결체에는,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43) 를 끼워 맞추기 위한 원고리 형상의 끼워맞춤부 (24b, 24b)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체 (24) 와 전동체 (22) 의 연통 구멍 (24h, 22h) 에 차폐체 (40) 의 축 (42) 이 삽입됨으로써, 연결체 (24) 와 전동체 (22) 가 연결된다.
그리고, 경첩 (20) 의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에 형성된 팽출부 (22c) 가 각 문 (11, 12) 의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향측 단면 (10a, 10a) 에 나사 (30) 에 의해서 고정되어, 도어로서 사용된다.
이 도어는, 도 2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양 문 (11, 12) 및 양 전동체 (22) 가 가동 바퀴 (21) 를 사이에 끼운 채 일렬로 나란히 정렬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가동 바퀴 (21) 에 돌출 형성된 각 돌출편 (21m) 은 각 수납부 (24d) 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각 스프링 (25) 은 압축되지도 잡아당겨져 있지도 않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면,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기울어진다. 이 때, 각 돌출편 (21m) 이 수납부 (24d) 안에서 양 문 (11, 12) 이 벌어져 열리는 측 (도면에서 하측) 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인 경우, 하측 스프링 (25) 이 압축되고, 상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이면, 상측 스프링 (25) 이 잡아당겨지고, 하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큰 문 (12) 이 좀더 밀어져 문이 완전히 열리면,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중첩된다. 이 때, 각 돌출편 (21m) 은, 수납부 (24d) 안에서 도면에 있어서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인 경우, 하측이 최대한 압축되고,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 상측이 최대한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 (21m) 에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는 힘이 가해진다. 돌출편 (21m) 이 가동 바퀴 (21) 에 돌출 형성되고, 또한 가동 바퀴 (21) 의 측면 (21a) 과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돌출편 (21m) 이 되밀림으로써 전동체 (22) 가 구름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바퀴 (21) 가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면, 양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가동 바퀴 (21) 를 사이에 끼운 채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양 문 (11, 12) 은 완전히 닫힌다. 이렇게 해서, 열린 문 (11, 12) 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큰 문 (12) 이 당겨짐으로써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경우에는, 돌출편 (21m) 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25) 이 반대 방향 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당겨지지 않게 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열린 양 문 (11, 12) 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닫힌다.
어느 경우에서나, 문이 닫힌 상태로부터 문이 열리고, 닫히기까지의 일련의 상태에 있어서, 양 문 (11, 12) 사이에는 차폐체 (40) 에 의해 막혀져 있고, 차폐체 (40) 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양 문 (11, 12) 사이로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27 내지 도 3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제 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25) 을 구비하고, 제 4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지 않은 도어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경첩 (20) 은, 도 27 및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연결체 (24, 24) 가 트랙 형상이고, 편측 연결체 (24) 에는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를 연결하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지 않고, 양 연결체 (24, 24) 와 전동체 (22) 는 핀 (24b) 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양 연결체 (24, 24) 가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과 대향하는 대략 중앙부에는, 스프링 (25) 을 수납하는 수납부 (24d) 가 직선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24d) 는, 돌출부 (24e) 와 둘레벽 (24s)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바퀴 (21) 의 상대면 (21b) 에는, 상기 수납부 (24d) 내로 들어가는 돌출편 (21m) 이 폭 방향 의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가 나사 (30) 에 의해서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 고정된다. 이 전동체 (22) 가 고정되는 부분의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홈통 형상이면 플랜지부 (22f) 에는 반원형의 팽출부가 형성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평탄하면, 플랜지부 (22f) 는 평탄한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는 반원통 형상의 커버 (10b, 10b) 가 장착되어, 각 문 (11, 12)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라도, 도 2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각 돌출편 (21m) 이 수납부 (24d) 내의 중심에 위치하여, 스프링 (25) 은 압축되지도 잡아당겨져 있지도 않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면, 도 30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이 기울어지고, 나아가, 도 3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가 중첩되어 완전히 열린다.
이 때, 각 돌출편 (21m) 이 수용부 안에서 양 문 (11, 12) 이 벌어져 열리는 측 (도면에서 하측) 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인 경우, 하측 스프링 (25) 이 압축되고, 상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 상측 스프링 (25) 이 잡아당겨지고, 하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 (21m) 에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는 힘이 가해진다. 그리고, 양 전동체 (22, 22) 가 구름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양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되면, 양 문 (11, 12) 은 닫힌 상태가 된다.
또한, 큰 문 (12) 이 당겨짐으로써 문이 열리는 경우에는 돌출편 (21m) 이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25) 이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당겨지지 않게 되면, 열려 있는 양 문 (11, 12) 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전동체 (22) 가 굴러 가, 양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됨으로써, 양 문 (11, 12) 이 닫힌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32 내지 도 36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제 5 실시형태와 같이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지는 도어에 사용되고, 스프링 (25) 으로서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이 사용된다.
단, 수납부 (24d) 는,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와 달리, 전동체 (22) 와 겹치는 연결체 (24) 의 양 단부에 전동체 (22) 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24d) 는, 원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 (24e) 와 둘레벽 (24s) 에 의해 구획되고, 스프링 (25) 이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수납되어 있다. 이 수납부 (24d) 는 각 연결체 (24) 에 2 군데씩, 양 연결체 (24, 24) 에서 합계 4 군데에 형성되고, 스프링 (25) 은 합계 8 개가 구비된다. 또,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에는, 스프링 (25) 의 양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걺부 (도시 생략) 가 연결체 (24) 에 형성된다.
또한, 전동체 (22) 의 지지부 (22g) 에는, 상기 수납부 (24d) 내로 들어가는 돌출편 (22m) 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 (22m) 은, 전동체 (22) 가 전동부 (22a) 를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수납부 (24d) 내에서 요동한다. 또한, 각 돌출편 (22m) 은, 각 수납부 (24d) 내의 한 쌍의 스프링 (25, 25)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된다. 또,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에는, 스프링 (25) 의 양 단부가 걸리게 되는 걺부 (도시 생략) 가 연결체 (24) 에 형성된다.
또한, 연결체 (24) 는 8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의 연결체에는,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43) 를 끼워 맞추기 위한 원고리 형상의 끼워맞춤부 (24b, 24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체 (24) 와 전동체 (22) 의 연통 구멍 (24h, 22h) 에 차폐체 (40) 의 축 (42) 이 삽입됨으로써, 연결체 (24) 와 전동체 (22) 가 연결된다.
그리고, 경첩 (20) 의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에 형성된 팽출부 (22c) 가 각 문 (11, 12) 의 홈통 형상으로 형성된 대향측 단면 (10a, 10a) 에 나사 (30) 에 의해서 고정되어, 도어로서 사용된다.
즉, 도어는, 도 34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문이 닫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양 문 (11, 12) 및 양 전동체 (22) 가 일렬로 나란히 정렬되어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전동체 (22) 에 돌출 형성된 각 돌출편 (22m) 은 각 수납부 (24d) 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어, 각 스프링 (25) 은 압축되지도 잡아당겨져 있지도 않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면, 도 3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기울어진다. 이 때, 전동체 (22) 도 기울어지기 때문에, 돌출편 (22m) 이 수납부 (24d) 안에서 양 문 (11, 12) 이 근접하는 측 (도면에서 상측) 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인 경우, 상측 스프링 (25) 이 압축되고, 하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이면, 하측 스프링 (25) 이 잡아당겨지고, 상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큰 문 (12) 이 좀더 밀어져 문이 완전히 열리면, 도 3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문 (11, 12) 이 중첩된다. 이 때, 각 돌출편 (22m) 은, 수납부 (24d) 안에서 도면에 있어서 최대한 하측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25) 이 최대한 압축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 (22m) 에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는 힘이 가해진다. 돌출편 (22m) 은 전동체 (22) 의 지지부 (22g) 에 돌출 형성되고, 또한 가동 바퀴 (21) 의 측면 (21a) 과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돌출편 (22m) 이 밀려서 되돌려짐으로써 전동체 (22) 가 구름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편 (22m) 이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면, 양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가동 바퀴 (21) 를 사이에 끼운 채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열려 있던 문 (11, 12) 은 자동적으로 닫힌다.
또한, 큰 문 (12) 이 당겨짐으로써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경우에는, 돌출편 (22m) 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25) 이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당겨지지 않게 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열린 양 문 (11, 12) 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닫힌다.
어느 경우에서나, 문이 닫힌 상태로부터 문이 열리고, 닫히기까지의 일련의 상태에 있어서, 양 문 (11, 12) 사이에는 차폐체 (40) 에 의해 막혀져 있고, 차폐체 (40) 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양 문 (11, 12) 사이로 손가락 등이 말려 들어가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 (20) 의 「제 8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 37 내지 도 41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경첩 (20) 은, 제 7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과 같은 스프링 (25) 을 구비하고, 제 4 및 제 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양 문 (11, 12) 사이가 차폐체 (40) 에 의해서 막혀 있지 않은 도어에 사용된다.
따라서, 이 경첩 (20) 은, 도 37 및 도 3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연결체 (24, 24) 가 트랙 형상이고, 편측 연결체 (24) 에는 차폐체 (40) 의 끼워맞춤부 (43) 를 연결하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지 않고, 양 연결체 (24, 24) 와 전동체 (22) 는 핀 (24b) 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수납부 (24d) 는, 전동체 (22) 와 겹치는 연결체 (24) 의 양 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24d) 는 돌출 형성된 돌출부 (24e) 와 둘레벽 (24s) 사이에 한 쌍 형성되고, 스프링 (25) 이 원호 형상으로 휘어져 수납된다.
그리고, 전동체 (22) 의 지지부 (22g) 에는, 상기 수납부 (24d) 내로 들어가는 돌출편 (22m) 이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편 (22m) 은, 전동체 (22) 가 전동부 (22a) 를 중심으로 요동함으로써, 수납부 (24d) 내에서 요동한다. 또한, 각 돌출편 (22m) 은, 각 수납부 (24d) 내의 한 쌍의 스프링 (25, 25) 사이에 끼워진다.
또한, 전동체 (22) 의 플랜지부 (22f) 가 나사 (30) 에 의해서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 고정된다. 이 전동체 (22) 가 고정되는 부분의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홈통 형상이면 플랜지부 (22f) 에는 반원형의 팽출부가 형성되지만, 도시한 바와 같이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이 평탄하면, 플랜지부 (22f) 는 평탄한 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각 문 (11, 12) 의 대향측 단면 (10a, 10a) 에는 반원통 형상의 커버 (10b, 10b) 가 장착되어, 각 문 (11, 12) 사이에 간극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도어라도, 도 3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는, 각 돌출편 (22m) 이 수납부 (24d) 내의 중심에 위치하여, 스프링 (25) 은 압축되지도 잡아당겨져 있지도 않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면, 도 40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이 기울어지고, 나아가, 도 41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양 문 (11, 12) 가 중첩되어 완전히 열린다.
이 때, 각 돌출편 (22m) 이 수용부 안에서 양 문 (11, 12) 이 근접하는 측 (도면에서 상측) 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스프링 (25) 이 압축 스프링인 경우, 상측 스프링 (25) 이 압축되고, 하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스프링 (25) 이 인장 스프링인 경우, 하측 스프링 (25) 이 잡아당겨지고, 상측 스프링 (25) 이 구속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밀리지 않게 되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돌출편 (22m) 에는 원래의 중립 위치로 되밀리는 힘이 가해진다. 돌출편 (22m) 은 전동체 (22) 의 지지부 (22g) 에 돌출 형성되고, 또한 가동 바퀴 (21) 의 측면 (21a) 과 전동체 (22) 의 전동부 (22a) 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돌출편 (22m) 이 밀려서 되돌려짐으로써 전동체 (22) 가 구름 이동한다. 그리고, 돌출편 (22m) 이 중립 위치로 되돌아가면, 양 전동체 (22, 22) 와 가동 바퀴 (21) 가 가동 바퀴 (21) 를 사이에 끼운 채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양 문 (11, 12) 이 자동적으로 닫힌다.
또한, 큰 문 (12) 이 당겨짐으로써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문이 열리는 경우에는, 돌출편 (22m) 은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 (25) 이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거나, 또는 잡아당겨진다. 그리고, 큰 문 (12) 이 당겨지지 않게 되면, 상기와 동일하게, 열린 양 문 (11, 12) 이 스프링 (25) 의 복원력에 의해서 닫힌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 특정 사항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첩 (20) 은, 가동 바퀴 (21) 의 양 측면 (21a) 과 전동부 (22a) 의 외주면을 고무나 조면 (粗面) 그 밖의 마찰계수가 큰 재질로 함으로써, 가동 바퀴 (21) 의 양면에 래크를 형성하지 않고, 전동부 (22a) 의 외주면에 래크를 형성하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연결체 (24) 는, 연결판 (24a, 24a) 과 핀 (24b, 24b) 의 조합이 아니 라, 양 단부가 회전 운동축을 관통하는 ⊃ 형상의 샤프트 등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그리고, 경첩 (20) 은, 폴딩 도어의 예에서 설명한 오각 형상의 전동체 (22) 와, T 자 형상 또는 L 자 형상의 전동체 (22) 를 조합한 것으로 해도 된다.
또한, 경첩 (20) 은, 상기한 바와 같이 2 장의 문 (11, 12) 을 연결할 뿐만 아니라, 1 장의 문과 벽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열린 문은 자동적으로 닫히게 된다. 또한 경첩 (20) 은, 문 이외에 소품 수납함이나 가구 등의 덮개, 칸막이 등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패널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경첩은, 폴딩 도어나 양쪽 여닫이식 도어와 같은 도어 뿐만 아니라, 2 장의 패널체가 마운틴 폴딩식으로 열리는 덮개, 구두 상자나 장롱 등의 문, 큰 방을 작은 방으로 나누기 위한 칸막이 등으로서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선단에 전동부가 형성되고, 그 전동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전동체와, 그 한 쌍의 전동체의 전동부 사이에 끼여서, 그 전동부가 굴러서 이동함으로써 왕복 운동하는 가동 바퀴와, 상기 한 쌍의 전동체를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연결체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체에 수납부가 형성되어, 그 수납부 내에 중립 위치로부터 변위된 상기 가동 바퀴를 중립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수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전동체 및 가동 바퀴와 대향하는 부분에, 전동체의 각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고리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수용부 내에 수납되는 나선형 스프링으로, 일단이 상기 전동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가동 바퀴의 상대면과 대향하는 대략 중앙부에, 가동 바퀴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직선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가동 바퀴는, 상기 수납부 내에 돌출된 돌출편을 이동 방향의 중간에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수용부 내에 한 쌍씩 수납되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에 형성된 수납부는, 상기 전동체와 대향하는 양 단부에, 전동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한 쌍 형성되고,
    상기 각 전동체는, 상기 수납부 내에 돌출된 돌출편을 요동 방향의 중간에 구비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돌출편을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수용부 내에 한 쌍씩 수납되는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바퀴의 양 측면에는 래크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각 전동체의 전동부에는 그 래크와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양 단부가 상기 가동 바퀴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중간부가 그 가동 바퀴의 상대면과 맞닿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판과, 상기 전동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연결판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핀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바퀴와 연결체의 연결판과의 각 접합면에는, 슬라이딩이 가능한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전동부가 선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와, 그 지지부의 기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
  9. 제 1 항에 기재된 경첩에 의해서 2 장의 패널체가 연결되어 있는 도어로서,
    상기 각 패널체의 대향측 단면에 상기 경첩의 각 전동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10. 제 1 항에 기재된 경첩에 의해서 2 장의 패널체가 연결되어 있는 도어로서,
    상기 각 패널체의 대향측 단면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 전동체에 고정되고, 상기 각 패널체의 간격을 막는 차폐체가 상기 경첩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KR1020070057939A 2006-06-14 2007-06-13 경첩 및 도어 KR101125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4834A JP4192188B2 (ja) 2006-06-14 2006-06-14 蝶番
JPJP-P-2006-00164834 2006-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540A true KR20070119540A (ko) 2007-12-20
KR101125490B1 KR101125490B1 (ko) 2012-03-21

Family

ID=3893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939A KR101125490B1 (ko) 2006-06-14 2007-06-13 경첩 및 도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92188B2 (ko)
KR (1) KR101125490B1 (ko)
CN (1) CN101089346B (ko)
TW (1) TWI377285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90B1 (ko) * 2018-07-17 2019-04-08 박태민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2015902B1 (ko) *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9643B2 (ja) * 2006-06-14 2011-09-07 杉田エース株式会社 ドア
KR101025866B1 (ko) * 2010-09-29 2011-03-30 주식회사 원플러스 2축 경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도어 회전방법
US20200063479A1 (en) * 2018-08-24 2020-02-27 Nickolas Klassen Adjustable Door Hinge
TWI690648B (zh) * 2019-03-05 2020-04-11 無界創新股份有限公司 收摺門之連動卡固方法
CN115839588A (zh) * 2021-09-18 2023-03-24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冰箱
JP2023066322A (ja) 2021-10-28 2023-05-15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体緩衝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折戸装置
JP2023172038A (ja) 2022-05-23 2023-12-06 株式会社ムラコシ精工 開閉装置および折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214963U1 (ko) * 1992-06-10 1992-12-24 Knuerr Mechanik Ag
EP0756662B1 (de) * 1994-04-20 2000-07-12 MUSSBACH METALL HACKELSBERGER GmbH & Co. Türscharnier mit integrierter feststellvorrichtung
US5784758A (en) 1997-04-04 1998-07-28 Youngdale Manufacturing Corp. Low profile self-latching knife hinge
DE19833924A1 (de) 1998-07-28 2000-02-03 Scharwaechter Ed Gmbh Mit einer integrierten Türbremse ausgestattetes Türscharnier
JP4038371B2 (ja) * 2001-12-14 2008-01-23 株式会社西製作所 パネル体の連結装置及び折戸装置
JP4487169B2 (ja) * 2003-07-30 2010-06-23 コマニー株式会社 折れ戸のヒンジ部構造
CN2702015Y (zh) * 2004-04-22 2005-05-25 吕跃龙 门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790B1 (ko) * 2018-07-17 2019-04-08 박태민 양방향 도어용 링크 조립체
KR102015902B1 (ko) * 2018-11-13 2019-08-28 주식회사 세이인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KR102112164B1 (ko) * 2019-05-03 2020-05-18 주식회사 세이인 보조문 자동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7285B (en) 2012-11-21
KR101125490B1 (ko) 2012-03-21
JP2007332633A (ja) 2007-12-27
CN101089346A (zh) 2007-12-19
TW200817573A (en) 2008-04-16
JP4192188B2 (ja) 2008-12-03
CN101089346B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490B1 (ko) 경첩 및 도어
JP4679329B2 (ja) 蝶番およびドア
CN101611279B (zh) 铰链
CN104797167B (zh) 折叠式桌子
KR101237167B1 (ko) 물품수납박스
KR200410168Y1 (ko) 욕실 수납장의 미닫이 도어 개폐구조
JPH0377918B2 (ko)
CN111795059A (zh) 铰链装置及具备其的折叠式显示装置
JP2007332637A (ja) ドア
JP3683245B2 (ja) 自動復帰ヒンジ及びドアシステム
JP4303646B2 (ja) 折れ戸用ヒンジ装置
JPWO2018151123A1 (ja) ガイ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収納装置
KR20048006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유닛 구조
DE202009016355U1 (de) Abdeckanordnung für offene Kühlgeräte
JP4941105B2 (ja) 可動間仕切り装置
KR102609598B1 (ko) 경첩장치
KR20230163293A (ko) 개폐 장치 및 접이문 장치
JP5780360B2 (ja) コンテナ及びコンテナ型情報処理装置
CN219318790U (zh) 对开门冷柜
JPH0635093Y2 (ja) 吊戸の下レールへの保持構造
JP2006207351A (ja) 折り戸のヒンジユニット
KR102400762B1 (ko) 조립식 보관함
KR10263441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219197028U (zh) 片形连杆铰链、冰箱
JP7250743B2 (ja) 箱型簡易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