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356A -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356A
KR20070115356A KR1020060049642A KR20060049642A KR20070115356A KR 20070115356 A KR20070115356 A KR 20070115356A KR 1020060049642 A KR1020060049642 A KR 1020060049642A KR 20060049642 A KR20060049642 A KR 20060049642A KR 20070115356 A KR20070115356 A KR 20070115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ssella
antiviral agent
virus
cells
lact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0784B1 (ko
Inventor
이종화
안종석
이정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오보바이오 주식회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오보바이오 주식회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오보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784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002Fungal antigens, e.g. Trichophyton, Aspergillus, Cand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12Viral antigens
    • A61K39/145Orthomyxoviridae, e.g. influenza vir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 유산균 중 우점종인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이러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조류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사료,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과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 바이러스, 억제

Description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Natural anti-virus using Weissella sp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 유산균 중 우점종인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이러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조류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사료,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과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매년 독감을 유행시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경 1/10,000mm 정도의 엔벨롭(envelope)이 있는 RNA 바이러스이다. 그 항원성의 차이로부터 A, B, C의 3개형으로 분류되지만 유행적인 확산을 보이는 것은 A, B형이다. 이들 바이러스의 입자 표면에는 적혈구 응집소(Hermagglutinin, HA)와 뉴라미데이즈(Neuramidase, NA)라는 2종류의 당단백이 스파이크 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는 8개로 분절된 유 전자 RNA가 존재한다.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적혈구 응집소와 뉴라미데이지는 동일한 아형 내에서 변이를 번번이 일으키고, 매년 새로운 항원변이주가 출현한다.
기침에 의한 비말에 의해 방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의 코나 입에 침입해 바이러스 표층의 스파이크상 당단백질 적혈구 응집소에 의해 사람의 호흡기의 점막 상피세포에 흡착되고 세포에 침입 후 증식을 개시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수일동안 돌연한 발열, 두통, 관절의 통증, 전신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이와 전후하여 기침이나 목의 통증, 콧물, 코막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소위 감기와는 다르며, 감염력이 강해서 단기간에 폭발적인 유행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적혈구 응집소 단백질 구조는 매년마다 변이를 되풀이하며 과거의 감염에 의해 생겨난 항체가 그다지 유행하지 않은 것도 감염을 확산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최근에 문제가 되는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Avian Inflenza Virus)는 닭, 칠면조, 오리 및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를 감염시켜 조류 인플루엔자(Pathogenic Avian Influenza)를 나타내게 한다. 조류인플루엔자는 전파가 빠르고 주로 닭과 칠면조 등 가금류에 많은 해를 입히는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가장 큰 피해와 위협을 주는 바이러스성 질환이며 그 파급효과는 양계산업에만 한정되지 않고 전 인류의 재앙으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그 실태로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고병 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현재 추세로 간다면 이들 국가에서 인플루엔자가 근절되기는커녕 새로운 변이형에 의하여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미 방역통제가 불가능하고 중국에서는 오리나 야생조류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다수 분리되고 있기 때문에 질병을 제압하는 속도보다 확산되는 속도가 더 빨라서 예방접종 외에는 대안이 없어 지역적으로 백신접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베트남과 태국에서도 계속적인 인체감염과 사망 사례가 보도되고 있고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조류인플루엔자는 병원성에 따라 고병원성, 저병원성 및 비병원성 3종류로 구분된다. 이 가운데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는 국제동물보건기구인 국제수역사무국에서 리스트 A등급으로 분류 가장 위험한 가축전염병의 일종으로 취급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가축전염병예방법상 법정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분류하고 있다.
또한, 조류 인플루엔자는 바이러스의 입자 표면에 있는 적혈구 응집소(Hermagglutinin, HA)와 뉴라미데이즈(Neuramidase, NA)라는 2종류의 당단백에 따라 분류되고 있고 현재 총 135종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의 원인체는 A형 바이러스이며, 적혈구 응집소 혈청형과 뉴라미데이즈 혈청형이 있다. 최근 유럽 및 아시아에서 발병하여 커다란 피해를 입히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는 고병원성인 H5N1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이다. 상기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닭이 감염되면 호흡곤란이 발생하면서 80% 이상이 폐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대부분의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에 직접 감염되지 않는 것에 반해 H5N1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에게도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현재 양계 농가에서 조류 인플루엔자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방안은 크게 3가지가 있다. 1차 저지선은 차단방역(Biosecurity)이고, 2차 저지선은 백신(vaccination)이며, 3차 저지선은 계군 자체의 면역 시스템(immune system)이다. 상기 차단방역은 조류 인플루엔자의 세계적 확장이 보여 주듯이 실질적으로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H5N1형 등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에 의한 폐사율이 보여 주듯이 계군 자체의 면역 시스템은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해 무력함이 확인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의 2차 저지선인 백신 즉,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치료제나 면역시스템을 획기적으로 올려주는 복합적 기능의 치료개선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한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와 같이, 표적세포의 표층에 존재하는 당쇄로 된 리셉터에 결합하여 엔도좀으로 둘러싸여지고, 바이러스막과 엔도좀막의 융합에 의해 세포내로 침입한 후에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와 복제, 그리고 숙주세포막에서의 출아에 의해 자손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해서 증식하는 방식으로 감염된다. 이러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피세포에의 흡착 저해, 세포에의 침입 저해, 유전자의 전사 및 복제 억제, 단백질 합성 저해 및 세포에서의 방출 억제 등이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려 대상들 각각은 항바이러스제의 주된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혈청형이 너무나 다양하고 각각의 혈청형은 교차면역이 되지 않거나 교차면역에 의한 활성이 약하여 서로 다른 혈청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없고 변이가 잘 되어 효과적인 예방백신을 개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까지는 아만타딘, 리만타딘, 자나미빌 등이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되었지만 과민증, 정신신경 증상, 소화기계 증상, 자율신경계 증상 등의 부작용이 보고 되어 있어 그 응용에 관해서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의 접종에 의해 감염을 억제하는 것은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의 형이 맞지 않으면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어 백신에 의한 예방에는 한계가 있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예방책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감염 억제 효과가 높고 또한 안정성에 문제가 없으며 일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음료, 사료,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등의 여러 제품으로 응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유산균으로서 바이셀라 속 균주의 균체, 및 균체 파쇄액, 및 상기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이의 농축액, 및 이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바이러스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이셀라 속 균주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 바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바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바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바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 10400BP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항바이러스 효과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상기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KCTC10400BP는 특허 0454591 호에 기재된 균주로서, 2002년 12월 10일자로 상기 균주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 은행에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040BP).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는 통상의 바이러스의 감염을 억제 및 치료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음료, 식품 및 기능성 식품; 사료; 및 의약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김치 유산균 중 우점종인 바이셀라속 균주,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배양액 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균체, 균체파쇄액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바이러스제에 있어서, 상기 바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이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바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바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바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바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바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 10400BP)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무,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인 것 또는 이 절인 것을 고추,마늘,파,생강,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인 김치의 발효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 바람직하게는 바이셀라속 균주의 균체 자체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및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을 수행하며, 항바이러스 스펙트럼이 광범위한 다기능성 천연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의 유산균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특허 등은 유산균의 세포가 제외된 배양액, 즉 박테리오신의 효능을 강조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세포가 제외된 배양액의 효과보다 균체 자체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가 크며, 특히 세포파쇄액을 이용해도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균상태가 아닌 사균체 상태로도 항바이러스 효능이 있음을 보여 주는 것으로 향후 여러 제형의 제품으로 개발하는데 유용하고 박테리오신을 이용한 것보다 생산비용이나 생산 수율을 증가시키는데도 산업적인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천연 항바이러스제가 포함된 음료, 사료,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고 주류, 청량음료, 물, 시럽, 차, 커피, 과실음료 등이 이에 해당되며 유산균 음료를 포함한다. 유산균 음료란 유산균을 배양하여 유산발효시킨 것에 살균수를 가해서 희석하고 당분, 향료 등을 가한 음료를 의미한다. 상기 음료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생균활성제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료란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 고기, 알, 털가죽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을 말한다. 사료는 영양가, 주성분, 유통, 수분함량 배합상태 및 가공형태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료는 조사료, 농후사료, 보충사료, 단백질사료, 녹말사료, 지방질사료, 섬유질사료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그 예로는 과일, 야채, 과일이나 야채의 건조제품이나 절단제품, 과일쥬스, 야채쥬스, 이들의 혼합쥬스 이거나 칩류, 면류, 축산 가공식품, 수산가공식품, 유가공식품, 발효식품, 두류식품, 곡류식품, 미생물발효식품, 제과제빵, 양념류, 육가공류, 산성음료수, 감초류, 허브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천연 항바이러스제는 식품류, 음료, 건강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의 제조시 원료 물질에 첨가되거나 조리된 식품에 적절히 혼합하는 방법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와 함께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천연 항바이러스제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90 중량 %로 가할 수 있으며, 음료의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능성 식품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의약품이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의약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균 활성제의 약학적 투여 형태와 관련하여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가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균활성제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생균활성제는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투여의 모든 방식이 예상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에도 역시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보조 생약제, 비타민, 미네랄, 식이섬유 및 기타 의약용, 식품용 보조제(예컨대, 부형제, 증강제, 코팅제 등)등이 함유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변경되거나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항 바이러스제의 제조
1-1: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배양
김치 유산균을 배양하기 위하여 김치유산균 중에서 바이셀라 코리엔시 스(Weissella Koreensis KCTC 10400BP)를 이용하였다.
1L의 MRS broth(Difco)를 121℃에서 15분간 고압 멸균 후, 상기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 10400BP)를 접종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1-2:바이셀라 코리엔시스 균체 파쇄액 제조
상기 배양액 중 일부를 5,000 X g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버리고 균체를 취한다. 수확된 균체를 PBS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50 ml에 희석한 후, 초음파파쇄기로 균체를 파쇄하고 현미경으로 세포의 파괴를 관찰하였다.
1-3:Cell-free 배양액 제조
위에서 원심분리된 상등액을 10,000 Da membrane을 통과시켜 여과액을 취한 후 다시 1,000 Da membrane으로 농축한 후 다시 pore size 0.22 ㎛ 여과막으로 bacteria-free 상태를 얻었다.
실시예 2: 조류 독감 바이러스의 분리
경기도 광주 인근의 산란계 농장에서 약병원성 조류독감 의심 계군의 분변을 채취하였다. 채취된 분변은 즉시 실험실로 운반하여 멸균된 PBS buffer(pH 7.4)로 현탁한 후에 0.45 ㎛ 여과지로 여과한 후에 다시 0.22 ㎛ 여과지로 여과하여 세균 의 감염을 방지하였다. 이 여과액을 다시 멸균된 PBS 완충액으로 연속 희석한 후 단층 배양된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KCLB 10034) 세포에 감염을 시켰다.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면서 70~80% 정도의 세포병변효과(Cytophatic effect, CPE)가 관찰되면, 이를 수확하여 원심분리 (4℃, 10,000rpm, 15 min)하여 상층개과 세포침전물을 분리하였으며, 이 상층액을 -70℃에 보관하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확인은, 위에서 보관된 상층액에서 RNA를 Viral RNA kit (Qiagen Inc.)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에 Real-Time Reverse Transcripase PCR을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사용된 PCR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냈으며, SEQ ID NO: 1 내지 6에 나타냈다. 표 1 및 표 2의 서열번호 3 및 6에 기재된 서열중 5'말단과 3'말단에 연결된 FAM과 TAMRA는 형광을 나타내는 발색염료이다. 상기 PCR은 real time PCR 기계를 사용하여 Primer 2개로 PCR을 수행하면서 probe로 증폭된 PCR 산물을 직접 실시간으로 정량할 수 있는 방법이다.
[표 1]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PCR 프라이머
명칭 서열 (5'-3') SEQ ID NO
Primer M+25 AGA TGA GTC TTC TAA CCG AGG TGG 1
Primer M-124 TGC AAA AAC ATC TTC AAG TCT CTG 2
probe M+64 FAM-TCA GGC CCC CTC AAA GCC GA-TAMRA 3
[표 2]
Avian H5 바이러스의 PCR 프라이머
명칭 서열 (5'-3') SEQ ID NO
PrimerH5+1456 ACG TAT GAC TAT CCA CAA TAC TCA G 4
PrimerH5-1685 AGA CCA GCT ACC ATG ATT GC 5
probe H5+1637 FAM-TCA ACA GTG GCG AGT TCC CTA GCA-TAMRA 6
실시예 3: 바이셀라 코리엔시스의 항 조류독감 효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수성이 높은 Madin-Darby Canine Kidney (MDCK, KCLB 10034) 세포를 한국세포주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은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을 포함하는 최소영양배지 (Minimum Essential Medium; GIBCO BRL, USA)를 이용하여 5% CO2, 37℃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Figure 112006039066341-PAT00001
플레이트에 단층으로 80%이상 자란 MDCK 세포주에 PBS(pH 7.4)로 10-3 비율로 희석된 조류 독감 바이러스와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희석된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배양액,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균체 및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균체파쇄액을 혼합하여 감염시킨 후 3일간 배양하고 0.6% agarose로 고정화하고 neutral red로 플라크를 염색하여 형성된 플라크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제시하였다. 억제율은 다음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모든 실험은 triplicate로 실험하였고 평균을 계산하였다.
[표 3]
플라크 수(개) 억제율(%)
대조군 (바이러스 콘트롤) 145 0.0
균체를 포함하지 않는 배양액 113 22.1
균체를 포함한 배양액 47 67.6
균체 파쇄액 24 83.5
균체 자체 38 73.8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포함되지 않은 대조군의 경 우 145개의 플라크가 형성된 반면에 바이셀라 코리엔시스가 포함된 배양액, 균체, 혹은 균체파쇄액이 있는 경우 조류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매우 강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의 균체 등은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 배양액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실험을 생략 하였으나, 김치는 오랜 기간 동안 인간에 섭취되면서 그 안전성이 입증된 것이므로 별도의 실험이 없어도 본 발명에 김치 유산균 배양액의 안정성은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 유산균 중 우점종인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의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배양액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균체, 균체파쇄액 및 이들의 혼합물은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는 경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110> OVOBIO INC. <120> Natural anti-virus using Weissella sp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130> DPP-2006-1378-KR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fluenza A virus M+25 <400> 1 agatgagtct tctaaccgag gtgg 24 <210> 2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fluenza A virus M-124 <400> 2 tgcaaaaaca tcttcaagtc tctg 24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nfluenza A virus M+64 <400> 3 tcaggccccc tcaaagccga 20 <210> 4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vian H5+1456 <400> 4 acgtatgact atccacaata ctcag 25 <210> 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vian H5-1685 <400> 5 agaccagcta ccatgattgc 20 <210> 6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vian H5+1637 <400> 6 tcaacagtgg cgagttccct agca 24

Claims (6)

  1. 김치유산균으로서 바이셀라 속 균주의 균체, 및 균체 파쇄액,
    상기 균체를 포함하는 배양액, 이의 농축액, 및 이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바이러스제.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바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바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바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바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가 바이셀라 코리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 10400BP인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4.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음료, 식품 및 기능성 식품.
  5.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사료.
  6. 제 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항바이러스제를 포함하는 의약품.
KR1020060049642A 2006-06-02 2006-06-02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86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42A KR100860784B1 (ko) 2006-06-02 2006-06-02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642A KR100860784B1 (ko) 2006-06-02 2006-06-02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356A true KR20070115356A (ko) 2007-12-06
KR100860784B1 KR100860784B1 (ko) 2008-09-29

Family

ID=39141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642A KR100860784B1 (ko) 2006-06-02 2006-06-02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CN113637615A (zh) * 2021-09-28 2021-11-12 上海信元宠物食品有限公司 一种融合魏斯氏菌、培养方法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4882B1 (ko) * 2009-06-17 2010-04-28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14573B1 (ko) 2011-05-13 2012-12-24 주식회사 리스나 바이셀라 코리엔시스를 이용하여 얻어진 발효대두박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91B1 (ko) * 2003-01-06 2004-11-0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셀라속 신균주 바이셀라 코리엔시스 균주 및 그를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CN101843640B (zh) * 2004-07-20 2013-05-08 高台有限公司 天然抗病毒物和包括其的组合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4029A (ko) * 2016-11-14 2018-05-2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웨이셀라 시바리아로부터 유래한 세포외 다당류를 포함하는 면역력 증강을 위한 조성물
CN113637615A (zh) * 2021-09-28 2021-11-12 上海信元宠物食品有限公司 一种融合魏斯氏菌、培养方法及其应用
CN113637615B (zh) * 2021-09-28 2022-03-08 上海信元宠物食品有限公司 一种融合魏斯氏菌、培养方法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784B1 (ko) 2008-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462B1 (ko)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2665740A (zh) 组合物和方法以及与其相关的用途
US8470378B2 (en) Anti-influenza viral composition containing bark or stem extract of Alnus japonica
KR101782532B1 (ko) 백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퓨라노쿠마린을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 돼지 인플루엔자 또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60784B1 (ko)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104652A (ko)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118230B1 (ko)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 조성물
JP2012106978A (ja)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の赤血球凝集素(Hemagglutinin)を抑制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その調製方法
KR20200084829A (ko) 나노화된 김치 유산균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조성물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1837691B1 (ko) 삼칠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1505941B1 (ko) 대파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용 조성물
JP2017160180A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用食品
KR101487302B1 (ko) 막걸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및 염증성 질환 예방, 개선용 조성물
KR102118512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sr 218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14360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094935A (ko)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US20100159039A1 (en) Antiviral agents containing a fermentation product of garlic by lactic acid bacteria
JP2015513911A (ja) 新たに分離したバチルス・リケニフォルミス及びそれを利用したプロバイオティクス
KR102570597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과를 갖는 천연 추출물 및 그 조성물
KR101310033B1 (ko) 여우오줌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JP2011088881A (ja) 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剤並びに当該物質を含有する飲食品若しくは医薬品
KR20140042011A (ko) 복분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오소믹소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US20210196777A1 (en) Mung bean hull extract with antiviral effect and extraction method thereof
KR101637472B1 (ko) 마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