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2811A -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2811A
KR20070112811A KR1020077021668A KR20077021668A KR20070112811A KR 20070112811 A KR20070112811 A KR 20070112811A KR 1020077021668 A KR1020077021668 A KR 1020077021668A KR 20077021668 A KR20077021668 A KR 20077021668A KR 20070112811 A KR20070112811 A KR 2007011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oleucine
composition
body weight
methionine
cyste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리 메이저
닐 에덴스
마티 베르가나
카티 쉬어러
데이비드 울프
조셉 왈톤
Original Assignee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filed Critical 아보트 러보러터리즈
Publication of KR2007011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8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lpha-amino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61K31/405Indole-alkanecarboxylic acids; Derivatives thereof, e.g. tryptophan, indometha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2Imidazole-alkanecarboxylic acids, e.g. 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abetes (AREA)
  • Endocri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특정한 양 또는 중량비로 포함하거나 특정한 양과 중량비로 포함하는,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당해 조성물은 특히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포도당내성 장애, 당뇨병, 저칼로리 음료, 아미노산 블렌드

Description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조성물{Amino acid composition for improving glucose tolerance}
본 발명은 정선된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겪는 개체에서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불충분한 생성 또는 인슐린에 대한 감소된 감응성으로 인한 탄수화물 대사 장애이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포도당을 사용하는 신체 세포의 정상적인 능력이 억제되고, 따라서 혈당 수치가 높아진다. 혈중에 포도당이 축적될수록, 과도한 수치의 당이 소변으로 배출된다. 상응하는 당뇨병 증상은 증가된 소변 양 및 빈도, 갈증, 체중 감소 및 약화를 포함한다.
당뇨병에는 2가지 종류가 있다. 1형 당뇨병은 인슐린 투여가 필요한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이다. 1형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이 췌장에서 분비되지 않아 주사 또는 흡입에 의해 공급되어야만 한다. 2형 당뇨병은 식이요법 제한, 경구 항고혈당증 제제 및/또는 인슐린 투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2형 당뇨병은 인슐린의 느린 췌장 분비 및 표적 조직 상에서 인슐린의 작용에 대한 감소된 감응성으로 인 한 것일 수 있다.
당뇨병으로 인한 합병증은 심혈관계와 종종 연관되고, 이는 당뇨병 관련 사망의 주요 원인이 된다. 기타 심각한 합병증은 당뇨망막증, 신장질병, 말초신경병 및/또는 잦은 감염을 포함한다.
신체에서 인슐린을 생성시킬 수 있는 당뇨병 환자의 치료는 규칙적인 인슐린 주사 또는 흡입 투여와 연관된다. 돼지, 양 및 소의 췌장 추출물로부터 유도된 인슐린을 당해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지만, 현재 다수의 환자는 재조합 DNA 기술을 통해 제조된 합성 인간 인슐린을 사용한다.
당뇨병 환자가 당뇨병을 치료하는 하나의 방법은 정상 체중에 도달하고 정상 체중을 유지하도록 설계된 제한된 식단을 선택함으로써 칼로리와 탄수화물 섭취를 조절하거나 제한하는 것이다. 이론적으로 효과적이지만, 칼로리와 탄수화물 섭취를 제한하는 것은 종종 어렵고, 따라서 환자 선호도면에서 불량하다.
또한 약제는 허용되는 표적 범위 내에서 혈당 수치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한 당뇨병 환자에게 사용된다. 이러한 약제는 대개 전형적으로 췌장에 의한 인슐린 방출을 자극하고/거나, 신체의 인슐린 사용 능력을 개선시키고/거나, 간에서의 포도당 생성을 감소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는 각각 제한된 부작용을 갖을 수 있고, 비-당뇨병 개체에게 적절한 것이 없으며, 다양한 약제는 종종 지속 사용 후 다수의 개체에서 효과를 잃기 때문에 제한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조성물 및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겪고 있는 개체를 치료하는데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정된 양 및/또는 중량비의 특정한 아미노산 배합물의 투여가 탄수화물 부하에 대한 매우 둔한 혈당 반응을 야기함을 발견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은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이소류신 약 1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각각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이소류신 약 1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포함하는,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A)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 니톨, 글리세롤, 이소말트 및 락티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수화물 약 2% 내지 약 98% 및
(B) 예를 들면,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아미노산 블렌드와 같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약 2% 내지 약 98%를 포함하는 저칼로리 음료 또는 기타 액체를 포함한다. 당해 음료 또는 액체는 향미가 개선되고,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유효량을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대조군(포도당) 용액 또는 아미노산 시험 용액(포도당 함유)의 경구 투여 후, 패티 쥬커(Fatty Zucker) 랫트(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모델)에서의 시간에 따른 혈당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대조군(포도당) 용액, 이소류신 용액(포도당 함유) 또는 아미노산 시험 용액(포도당 함유)의 경구 투여 후, 패티 쥬커 랫트(2형 당뇨병을 가진 모델)에서의 시간에 따른 혈당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 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 따른 대조군(포도당) 용액 또는 아미노산 시험 용액(포도당 함유)의 경구 투여 후, 패티 쥬커 랫트(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모델)에서의 시간에 따른 혈당 농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상응하는 방법은 측쇄 아미노산 및 황 함유 아미노산의 정선된 블렌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당해 및 기타 필수적이거나 임의적인 요소 또는 제한점을 하기에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본원에 기재된 발명의 필수적인 요소 및 제한점 뿐만 아니라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추가 또는 임의 성분, 구성분 또는 제한 또는 그 외 영양학적 또는 약제학적 적용에서 유용한 것들을 포함하거나, 이로써 구성되거나, 이로써 필수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모든 %, 부 및 비율은 달리 기재되지 않는 경우 총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열거된 성분에 대한 이러한 모든 중량은 활성값을 기준으로 하고, 따라서 달리 기재되지 않는 경우,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물질에 포함될 수 있는 용매 또는 부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경우,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수 범위는 용어 "약"이 선행되어 표현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둘 다 당해 용어가 선행되는 것을 의도하고, 그렇게 이해된다.
본 발명의 단수의 특성 또는 제한에 대한 모든 언급은, 언급되는 맥락에서 달리 기재되거나 명확하게 대조적으로 암시되지 않는 경우, 상응하는 복수의 특성 또는 제한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방법 또는 공정 단계의 모든 조합은, 언급된 조합이 형성되는 맥락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거나 명백하게 대조적으로 암시되지 않는 경우, 임의의 순서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또한 본원에 기재된 임의 성분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용어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은 선택된 조성물이, 임의 성분을 0중량% 포함하여, 임의 성분을 기능적인 양 이하로 함유함을 의미한다.
제품 형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제품 형태 또는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제품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제품 형태가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고체, 액체 또는 분말 제형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형은 선택된 제품 형태로부터 필수적이고 기타 선택된 성분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경구 전달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체 영양학적 제품 형태의 비제한적인 예는 바, 스틱, 쿠키, 빵, 케익 또는 기타 제빵 제품, 냉동된 액체, 캔디, 아침식사 시리얼, 분말 또는 과립 고체 또는 기타 미립자, 스낵 칩 또는 바이트, 냉동 또는 레토르트 식품 등을 포함하는, 간식 및 식사 대체 제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액체 제품 형태의 비제한적인 예는 간식 및 식사 대체 제품, 온음료, 냉음료, 탄산 또는 무탄산 음료, 주스 또는 기타 산성화된 음료, 우유 또는 대두 음료, 쉐이크, 커피, 차, 장관식이 조성물 등을 포함한다. 이들 액체 조성물은 가장 전형적으로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서 제형화되지만, 또한 용액, 액체 젤 등과 같은 임의의 기타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경구 제품 형태의 기타 비제한적인 예는 반고체 또는 반액체 조성물(예: 푸딩, 젤) 뿐만 아니라 보다 통상적인 형태, 예를 들면, 캡슐제, 정제, 캐플릿, 필 등을 포함한다. 표적화된 사용자에게 정의된 아미노산 블렌드의 유효량을 제공하기 위한 조성물의 양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별적인 투여형, 예를 들면, 단수의 정제 또는 복수의 정제에 함유될 수 있다.
로젠지, 정제(예: 저작성 정제, 제피정 등), 페이스트 또는 젤과 같은 제품 형태에 있어서, 부형제 또는 기타 성분, 예를 들면, 탄수화물, 산성화제, 향미제 및 착색제와 배합물로서, 아미노산 블렌드는 제품 형태의 약 15 내지 22중량% 및 약 15 내지 25중량%를 포함하여 가장 전형적으로는 약 5 내지 50중량%의 범위의 농도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들 제품 형태 중의 탄수화물은 바람직하게는 농도가 탄수화물의 약 5 내지 100중량%의 범위일 수 있는 비환원당을 함유한다. 당해 양태에서 산성화제의 비제한적인 예는 타액분비를 개선시키고 아미노산의 쓴맛 또는 육즙맛을 차폐하는 시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또는 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아미노산 블렌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측쇄 아미노산 및 황-함유 아미노산의 정선된 블렌드를 포함하고, 전자는 발린(VAL), 류신(LEU) 및 이소류신(ILE)을 포함하고, 후자는 시스테인(CYS) 및 메티오닌(ME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따라서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의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고, 이의 정량 또는 양은 포도당내성 장애 및 당뇨병 중 하나 이상에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하기에 충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조성물은 이소류신 약 1.0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함유한다. 체중은 조성물이 투여되는 대상체 또는 대상 환자의 체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이소류신 약 120 내지 약 180mg/체중kg, 류신 약 0.25 내지 약 7.5mg/체중kg, 발린 약 0.25 내지 약 7.5mg/체중kg, 시스테인 약 0.25 내지 약 7.5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2 내지 약 5mg/체중kg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이소류신 약 130 내지 약 170mg/체중kg, 류신 약 0.5 내지 약 5mg/체중kg, 발린 약 0.5 내지 약 5mg/체중kg, 시스테인 약 0.5 내지 약 5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3 내지 약 3mg/체중kg을 함유한다.
정선된 블렌드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양은 또한 측쇄 대 황-함유 아미노산의 중량비가 약 50:1 이상, 약 100:1 이상 및 500:1 내지 10:1을 포함하여 약 10:1 이상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정선된 블렌드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의 양은 또한 기타 하나 이상의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치료하는 효능에 궁극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정의된 아미노산의 중량비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조성물은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 중 하나 이상(예를 들면,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및 전부)의 중량비는 약 100:1 이상 및 약 50:1 내지 약 500:1을 포함하여 약 50:1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개별적인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에스테르 또는 아실화된 유도체, 무기 또는 유기 염기로 염화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임의의 공지된 또는 기타 통상적인 아미노산 공급원으로부터 유도되거나 제공될 수 있다. 에스테르화된 형태는 종종 직쇄 또는 측쇄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반면, 염화된 형태는 종종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아세테이트, 글루타메이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미노산 블렌드에 사용되는 개별적인 아미노산은 임의의 단백질 또는 기타 폴리펩타이드 구조에 결합되지 않은 화학적으로 분리된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덜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아미노산은 또한 정의된 블렌드 중의 아미노산의 필요량 및/또는 중량비를 제공하는 합성 폴리펩타이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이 추가로 천연 또는 손상되지 않은 단백질, 또는 심지어 이의 폴리펩타이드 단편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단백질 또는 단편 중의 아미노산은 본원에서 정의된 아미노산 블렌드에서 양 및/또는 중량비를 포함하여, 필요한 아미노산 선택의 결정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제형에 사용되기 위한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전형적으로 L 배열임에도 불구하고, 정의된 블렌드 중의 아미노산은 L 또는 R 배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스프루스 3050(3050 Spruce Street, St. Louis, Missouri, U.S.A.)에 사업장이 있는 시그마-알드리히 코포레이션(Sigma-Aldrich Corporation)을 포함하는 다양한 물질 공급자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액체 형태, 가장 전형적으로 경구 액체 또는 음료인 경우, 또는 분말 양태가 재구성되어 경구 액체 조성물을 형성한 후의 경우, 액체 조성물의 pH는 대상체에 적절한 투여, 예를 들면,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하나의 액체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2.7 내지 약 7.0, 약 3.0 내지 약 5.5 및 약 3.0 내지 약 5.0을 포함하는 약 2.5 내지 약 8.0의 pH를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보충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아스파르트산(ASP), 트레오닌(THR), 세린(SER), 글루탐산(GLU), 프롤린(PRO), 글리신(GLY), 알라닌(ALA), 티로신(TYR), 히스티딘(HIS), 리신(LYS), 아르기닌(ARG), 메티오닌(MET), 트립토판(TRY), 페닐알라닌(PHE)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포도당내성 장애 및 당뇨병의 치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는 하나 이상(예를 들면, 2개 이상 또는 5개 이상)의 보충 아미노산의 충분한 양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서, 조성물은 아스파르트산 및 글루탐산 중 하나 이상 약 0.01 내지 약 30mg/체중kg(약 1 내지 약 30mg/kg 및 약 5 내지 약 20mg/kg 포함); 트레오닌, 세린, 프롤린, 히스티딘 및 리신 중 하나 이상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약 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약 0.5 내지 약 5mg/체중kg 포함); 및 글리신, 알라닌, 티로신, 아르기닌 및 트립토판 중 하나 이상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약 0.1 내지 약 20mg/체중kg 및 약 1 내지 약 10mg/체중kg 포함)을 함유한다.
일부 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소량의 페닐알라닌을 함유하거나 페닐알라닌을 함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성물은 페닐알라닌을 약 10mg/체중kg 미만 또는 약 5중량% 미만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약 5mg/체중kg 미만의 페닐알라닌을 함유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조성물은 0 또는 약 1mg/체중kg 미만의 페닐알라닌을 함유한다.
다량영양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원에 정의된 아미노산 블렌드 이외에 지방 공급원, 탄수화물 공급원 및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하여 하나 이상의 기타 다량영양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타 필수 또는 추가 성분과 배합물로서 임의의 다량영양소는 제공 또는 투여 1회 당, 바람직하게는 단일의 분리되지 않은 제공 또는 투여 1회 당 약 25kcal 내지 약 900kcal, 약 75kcal 내지 약 700kcal, 약 100kcal 내지 약 500kcal, 약 150kcal 내지 약 400kcal 및 약 200kcal 내지 약 300kcal을 포함하여, 제공 또는 투여 1회 당 약 1000kcal 이하의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수의 다양한 단백질, 지질 및 탄수화물의 공급원 및 형태가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제품에 사용될 수 있고, 단, 경구 투여에 선택된 영양소는 안전하고 효과적이고, 필수 및 기타 추가된 성분과 혼화성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탄수화물은 단일, 착물, 또는 변형태 또는 이의 배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는 가수분해 또는 개질된 전분 또는 옥수수전분, 말토덱스트린, 포도당 중합체, 슈크로스, 옥수수 시럽, 고형 옥수수 시럽, 쌀-유도된 탄수화물, 포도당, 과당, 락토오스, 고과당 옥수수 시럽, 소화되지 않는 올리고당(예: 프럭토올리고사카라이드), 가용성 또는 불용성 섬유, 꿀, 당 알코올(예: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 기재된 아미노산 블렌드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 중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단백질은 가수분해되거나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되거나 가수분해되지 않은 단백질 또는 단백질 공급원을 포함하고, 공지된 것 또는 기타 적합한 공급원, 예를 들면, 우유(예: 카세인, 유장), 동물(예: 육류, 생선), 곡류(예: 쌀, 옥수수), 채소(예: 콩) 또는 이의 배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지방은 코코넛유, 분획화된 코코넛유, 콩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홍화유, 고 올레산 홍화유, MCT 유(중쇄 트리글리세라이드), 해바라기유, 고 올레산 해바라기유, 팜유, 팜 커넬 유, 팜 올레인, 캐놀라유, 마린유, 면화씨유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의 농도 또는 양은 특정한 제품 형태(예: 고체, 액체, 분말) 및 다양한 기타 제형 및 목적하는 식이요법 요구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당해 다량영양소는 가장 전형적으로 하기 표에 기재된 임의의 칼로리 범위(양태 A 내지 D) 내에서 제형화된다.
영양소 영양상의 양태*
A B C D
탄수화물 총 칼로리 중 % 0-98 2-96 10-75 30-50
지방 총 칼로리 중 % 0-98 2-96 20-85 35-55
단백질 총 칼로리 중 % 0-98 2-96 5-70 15-35
* 각 수 값 앞에 용어 "약"이 선행된다.
기타 임의 성분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제품의 물리적, 화학적, 미적 또는 공정 특성을 개질하거나 표적화된 인구에서 사용하는 경우 약제학적 또는 추가의 영양학적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기타 임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임의 성분은 공지되거나, 의학 식품 또는 기타 영양학적 제품 또는 약제학적 투여형에 적합할 수 있고, 단, 이러한 임의 성분은 경구 투여에 안전하고, 선택된 제품 형태에서 필수 및 기타 성분과 혼화성이어야 한다.
이러한 임의 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는 보존제, 항산화제, 유화제, 완충제, 약제학적 활성제, 본원에 기재된 추가의 영양소, 착색제, 향미제, 증점제, 안정화제, 유화제, 윤활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감미제,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당 알코올, 예를 들면,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이소말트 및 락티톨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인공 또는 고효능 감미제, 예를 들면, 아세설팜 K, 아스파탐, 슈크랄로스, 사카린, 스테비아 및 타가토스를 포함한다. 이들 감미제는, 특히 당 알코올 및 인공 감미제와의 배합물로서 목적하는 향미 프로파일을 갖는 본 발명의 액체 음료를 제형화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이들 감미제 배합물은 특히 아미노산을 액체 음료에 첨가하는 것과 때때로 관련된 바람직하지 않은 향미를 가리는데 효과적이다. 음료 중의 임의의 당 알코올의 농도는 음료의 0.1 내지 약 10중량% 및 약 1 내지 약 6중량%을 포함하여 약 0.01중량%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임의의 인공 감미제 농도는 음료의 약 0.05 내지 약 5중량% 및 약 0.1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하여 약 0.01중량%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로 임의의 다양한 기타 비타민 또는 관련 영양소를 포함할 수 있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비타민 K, 티아민,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비타민 B12, 카로티노이드(예: 베타-카로틴, 제아크산틴, 루테인, 리코펜), 니아신, 폴산, 판토텐산, 비오틴, 비타민 C, 콜린, 이노시톨, 이의 염 및 유도체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추가로 임의의 다양한 기타 추가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비제한적인 예는 칼슘, 인, 마그네슘, 철, 아연, 망간, 구리, 나트륨, 칼륨, 몰리브덴, 크로늄, 클로라이드 및 이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형화되어 본원에 기재된 아미노산 블렌드와 관련된 목적하지 않은 향미를 가리거나 최소화시키는 저칼로리 음료 또는 기타 액체를 포함한다.
이들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는, 예를 들면,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것과 같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을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약 2% 내지 약 98% 포함하는 양태를 포함하고, 또한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글리세롤, 이소말트 및 락티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수화물을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약 2% 내지 약 98% 포함하며; 여기서 영양액은 pH가 약 2.5 내지 약 8.0, 바람직하게는 약 2.5 내지 4.6이고, 칼로리 밀도가 약 16kcal/100㎖ 내지 약 32kcal/100㎖을 포함하여 약 8.1kcal/100㎖ 내지 약 40kcal/100㎖이다.
당해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에리트리톨은 당해 음료 또는 액체의 총 중량의 약 1 내지 약 5중량% 및 약 1.5 내지 약 3중량%를 포함하여 약 0.1 내지 약 10중량%의 범위일 수 있는 농도로 포함한다.
이들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감미제를 포함하고, 이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아세설팜 K, 아스파탐, 슈크랄로스, 사카린, 스테비아 및 타가토스이다.
당해 저칼로리 음료 또는 액체는 추가로 하나 이상의 기타 임의 성분 또는 본원에 기재된 기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공지된 방법 또는 선택된 제품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기타 효과적인 제조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수의 이러한 기술은 제품 형태, 예를 들면, 영양액 또는 영양 바에 대해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된 영양 제품에 대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공지된 방법 또는 다양한 약제학적 제품 형태를 제조하기 위한 기타 효과적인 제조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수의 이러한 기술은 임의의 주어진 약제학적 제품 형태, 예를 들면, 캡슐제, 정제, 액체 등에 대하여 공지되어 있고,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에 대한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염기성 액체 제형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된 아미노산을 물 또는 희석된 산 용액 중에 용해시킨 다음 상이한 아미노산 용액을 배합하여 본 발명의 액체 양태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염기성 고체 제형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된 아미노산의 상이한 분말 형태를 임의의 정제 형성 물질 또는 기타 부형제와 함께 혼합한 다음, 블렌드를 분말로 건조시키고, 이를 목적하는 고체 제품 형태, 예를 들면, 정제, 캡슐제, 캐플릿 등으로 공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선택된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여, 쥬스 또는 우유 또는 대두 베이스 액체를 포함하는 영양액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는 모든 제형 오일, 임의의 유화제, 섬유 및 지용성 비타민을 함유하는 오일 및 섬유 블렌드를 먼저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추가의 슬러리(전형적으로 탄수화물 및 2개의 단백질 슬러리)는 탄수화물 및 무기질을 함께 혼합하고 단백질을 물에 혼합함으로써 별도로 제조할 수 있다. 그 다음, 슬러리를 오일 블렌드와 함께 혼합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균일화시키고, 가열 공정하고, 임의의 수용성 비타민으로 표준화하고, 향미를 가하고, 마지막으로 액체를 살균하거나, 무균 충전하거나, 제품을 분말로 건조시킨다.
영양 바와 같은 기타 제품 형태는, 예를 들면, 바 제조 분야에 공지되고 통상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냉 추출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형적으로 모든 분말 성분을 함께 건조 혼합하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아미노산 블렌드 및 임의의 단백질, 비타민 예비혼합물, 특정한 탄수화물 등을 포함한다. 그 다음, 지용성 성분을 함께 혼합하고, 임의의 분말 예비혼합물과 혼합한다. 그 다음, 최종적으로 액체 성분을 조성물에 혼합하고, 조성물 또는 도우와 같은 플라스틱을 형성한다. 그 다음, 수득된 플라스틱 덩어리를 냉 형성 또는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가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 없이, 모양을 만들고, 여기서 플라스틱 덩어리는 목적하는 모양을 제공하는 금형을 통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에 의해 가압한다. 그 다음, 수득된 삼출물을 적절한 위치에서 잘라 목적하는 중량의 제품을 수득한다. 그 후, 경우에 따라, 고체 제품을 피복하여 선호도를 증가시키고, 분산을 위해 포장한다.
본 발명의 고체 영양학적 양태는 또한 제과 적용 또는 가열 추출을 통해 제조되어 고체 제품 형태, 예를 들면, 시리얼, 쿠키, 크래커 및 유사한 기타 제품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영양학적 제조 분야의 숙련가는 다수의 공지되거나 기타 사용할 수 있는 제조 공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목적하는 최종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물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기타 공지된 기술 또는 본원에 특정하게 기재되지 않은 적합한 기술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따라서 모두 설명을 위한 것이고, 제한하지 않으며, 모든 변화 및 상응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속한다. 하기 비제한적인 실시예는 추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사용 방법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갖고 있거나,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이 진행될 위험이 있는 개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당해 조성물은 또한 영양소 공급원으로서 임의의 개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특히 둔한 혈당 반응을 가진 개체에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은 사람 및 기타 동물, 예를 들면, 개, 고양이, 설치류, 소, 양, 돼지, 염소, 말 및 기타 굽이 있는 동물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개체에 관한 것이다. 2형 당뇨병의 위험이 있는 건강한 개체에 또한 조성물을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탄수화물 섭취(예를 들면, 식사, 음료 또는 간식) 전, 섭취 동안 또는 섭취 후에 투여되어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고, 혈당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아미노산 조성물의 투여는 아미노산 조성물의 투여가 대상체가 탄수화물을 소비하는 약 1시간 동안 수행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아미노산 조성물의 투여는 대상체가 탄수화물을 소비하는 약 30분 동안 수행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도당내성, 당뇨병, 비만 및/또는 포도당내성, 당뇨병 및 비만의 증상 및 부작용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조성물은 2형 당뇨병 및/또는 이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의 증상 및 부작용은 하나 이상의 고혈당 수치, 수면 습관, 예를 들면, 불면증, 일반적인 에너지 수치, 예를 들면, 무력증, 힘, 체중/식욕 부진 또는 식욕 향상, 역류, 생리불순, 위 신경장애, 신부전, 심장질환, 발작 및 시야의 저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국면에서, 탄수화물 섭취 후, 섭취 동안 또는 섭취 전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하지 않는 경우의 탄수화물 섭취와 비교하여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 혈당 수치는 혈액, 혈장 또는 혈청 모두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경우, 혈당 수치는 모든 혈액 분석을 언급한다. 아미노산 조성물의 투여는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의 하나에서 (탄수화물 섭취 후 아미노산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 혈당 수치와 비교하여) 탄수화물 섭취 후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탄수화물 섭취 전, 섭취 동안 또는 섭취 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은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의 하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탄수화물 섭취와 비교하여 약 5% 이상으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탄수화물 섭취 전, 섭취 동안 또는 섭취 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은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의 하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탄수화물 섭취와 비교하여 약 10% 이상으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탄수화물 섭취 전, 섭취 동안 또는 섭취 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은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의 하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 동일한 탄수화물 섭취와 비교하여 약 20% 이상으로 혈당 수치를 감소시킨다.
하기 실시예는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일부 기술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법의 특정한 양태를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으며, 이의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실시예 1 내지 3
실시예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영양액 양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조성물의 상응하는 사용 방법이 포함된다. 각 예시된 조성물의 성분은 하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경우, 모든 성분의 양은 제품 배치(batch) 1000kg 당 kg 단위로 열거된다.
저칼로리 음료*
성분 실시예 1(kg) 실시예 2(kg) 실시예 3(kg)
412.4 412.4 412.4
인산 80% 27.49 27.49 27.49
45% KOH 8.247 8.247 8.247
시트르산 0.2749 0.2749 0.2749
에리덱스(EridexTM)(에리트리톨) 23.37 23.37 23.37
말티톨 분말 12.37 12.37 12.37
아세설팜 K (10%) 용액 0.5910 0.5910 0.5910
슈크랄로스 액체 (25%) 용액 0.5910 0.5910 0.5910
아미노산 이소류신 16.62 8.31 33.24
시스틴 2 HCl 0.3111 0.156 0.622
메티오닌 0.05910 0.03 0.118
발린 0.1182 0.059 0.236
류신 0.1155 0.058 0.231
(계) (17.22) 8.614 34.447
향미제 블렌드 머랭 0.6873 0.6873 0.6873
내셔널 라임 0.5154 0.5154 0.5154
레몬 0.5154 0.5154 0.5154
(계) (1.718) (1.718) (1.718)
*총 칼로리: 72.432kcal/11oz(23kcal/100㎖)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적인 양태를 하기 배치 및 공정 지침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아미노산 블렌드를 각각 확인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분말로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한다. 아미노산 분말을 진탕하에 천천히 특정한 양의 물을 함유하는 주전자에 가한다. 일단 아미노산이 완전히 분산되면, 용액 pH를 80% 인산 용액을 사용하여 2.4로 감소시킨 다음, 45% KOH 용액을 사용하여 3.2로 증가시킨다.
pH 조절된 블렌드에 특정한 양의 예비혼합된 향미제 블렌드, 시트르산, 에리트리톨, 분말 말티톨, 10% 아세설판 칼륨 용액 및 액체 슈크랄로스를 가하고, 완전히 혼합시킨다. 그 다음, 수득된 혼합물을 104℃에서 최소 균일화 압력 및 UHT(ultra high temperature: 초고온) 하에 5초 간 가공한 다음, 88 내지 99℃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기에 고온 살균으로 채운다. 최종 생성물의 pH는 약 3.2이다.
각 실시예 음료는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약 10:1 이상이다.
각 실시예 음료는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은 탄수화물 함유 식사 또는 기타 탄수화물 공격 1시간 이내에 이러한 개체에 이소류신 1 내지 200mg/체중kg, 류신 0.001 내지 10mg/체중kg, 발린 0.001 내지 10mg/체중kg, 시스테인 0.001 내지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0.001 내지 10mg/체중kg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투여된다.
탄수화물 함유 식사 또는 기타 탄수화물 공격에 따른 이들 개체의 혈당 수치는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 하나 이상에서 음료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혈당 수치와 비교하여 5 내지 10% 이상 감소된다.
실시예 4 내지 6
실시예 4 내지 6은 본 발명의 가능한 정제 양태의 일부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정제의 상응하는 사용방법이 포함된다. 정제는 제형화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만든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Gm/100g 배치 Gm/2gm 정제 Gm/100g 배치 Gm/2gm 정제 Gm/100g 배치 Gm/2gm 정제
아미노산 블렌드* 25.0 0.5 25.0 0.5 25 0.5
분말 슈크랄로스 0.133 0.00266 0.133 0.00266 0.166 0.00332
아세설팜 K 0.023 0.00046 0.023 0.00046 0.029 0.00058
머랭 향 1.0 0.02 1 0.02 1 0.02
라임 향 0.75 0.015 0.75 0.015 0.75 0.015
레몬 향 0.75 0.015 0.75 0.015 0.75 0.015
과당 34.673 0.69346 65.876 1.31752 - -
분말 말티톨 12.135 0.2427 1.214 0.02428 18 0.36
에리트리톨 22.536 0.45072 2.254 0.04508 34 0.68
시트르산 3.0 0.06 3 0.06 3 0.06
트레할로스 - - - - 17.305 0.3461
100 2
* 실시예 1로부터의 아미노산 블렌드
각 실시예 정제는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약 10:1 이상이다.
각 실시예 정제는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각각은 탄수화물 함유 식사 또는 기타 탄수화물 공격 1시간 이내에 이러한 개체에 이소류신 1 내지 200mg/체중kg, 류신 0.001 내지 10mg/체중kg, 발린 0.001 내지 10mg/체중kg, 시스테인 0.001 내지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0.001 내지 10mg/체중kg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양으로 투여된다. 전형적인 투여는 일일 25개의 정제를 분리된 투여량으로 경구적으로 복용하는 것이다. 이들 정제는 통째로 삼키거나 씹을 수 있지만, 가장 전형적으로는 씹을 수 있다.
탄수화물 함유 식사 또는 기타 탄수화물 공격에 따른 이들 개체의 혈당 수치는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 하나 이상에서 음료를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혈당 수치와 비교하여 5 내지 10% 이상 감소된다.
실험
하기 실험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고,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랫트(패티 쥬커 랫트) 또는 2형 당뇨병 랫트(쥬커 당뇨병 패티 랫트)에의 조성물 투여 및 각 동물에서의 혈당 반응의 후속적인 평가를 포함한다.
실험 1
아미노산 시험 제형 및 대조군을 제조한다. 대조군은 22.5% 포도당 용액이다. 아미노산 시험 제형의 중량을 측정하고, 분리 튜브에 다음 아미노산 각각을 용해시킨다. ASP(66.55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THR(7.21mg)을 물 1.0㎖에 용해시키고, SER(7.97mg)을 물 1.0㎖에 용해시키고, GLU(102.3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PRO(8.6mg)를 물 1.0㎖에 용해시키고, GLY(29.15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ALA(33.27mg)를 1.0㎖에 용해시키고, CYS(5.28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VAL(6.68mg)을 물 1.0㎖에 용해시키고, MET(3.36mg)를 물 1.0㎖에 용해시키고, ILE(7.34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LEU(6.58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TRY(33.55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PHE(20.8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HIS(6.9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LYS(11.8mg)를 물 1.0㎖에 용해시키고, ARG(34.38mg)를 물 1.0㎖에 용해시키고, TRP(9.46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킨다. 각 아미노산 첨가물을 각각 개별적인 투브에 넣고, 투명한 용액 형태가 될 때까지 튜브에서 혼합한다.
형성된 상이한 아미노산 용액 중에서, HCl에 용해된 것들을 50㎖들이 비커에서 배합하고, ILE 937.5mg을 비커에 가한 다음,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ILE이 용해되면, 모든 아미노산 용액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비커에 가하고, 45% 포도당 용액 25㎖를 가한다. 수득된 포도당 함유 블렌드를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한 다음,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pH를 7.0 +/- 1.0로 조절한다(pH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버퍼를 가할 수 있다). pH 조절된 혼합물을 50㎖들이 용적 플라스크에 옮기고, 증류수로 용적을 채운다. 혼합물을 교반기가 있는 비커에 옮기고, 주사기를 채우면서 계속 교반한다.
시험하기 적어도 1주 전에 패티 쥬커 랫트를 동물 기관에서 받는다. 각각을 실험 전 날 중량 측정한 다음, 체중에 따라 2 그룹 중 하나로 등록한다. 체중 300gm 이상의 랫트만 연구에 포함시킨다. 밤새 금식시킨 후, 각 랫트를 다시 중량 측정한 다음, 대조군 또는 아미노산 시험 용액 8㎖/체중kg을 투여한다(경구 위관영양법). 그 다음, 위관영양법 30, 60, 90 및 120분 후 각 동물의 꼬리의 끝으로부터 혈당 농도를 측정한다.
당해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도 1에 요약하였는데, 이는 위관영양법 60분 후 아미노산 시험 혼합물이 랫트에 투여되는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혈당 농도를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실험 2
대조군 제형(22.5% 포도당 용액) 및 실험 1에 기재된 아미노산 시험 제형을 제조한 다음, 당해 제2 실험에 하기 기재된 이소류신 혼합물과 함께 사용한다.
당해 제2 실험에서, 고 투여량 이소류신 혼합물을 L-이소류신(1338.7g)을 50㎖들이 비커에 가한 다음, 1N HCl 10㎖를 가하여 제조한다. 비커 내용물이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 다음, 진탕시키면서 이에 45% 포도당 용액 25㎖을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의 pH를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7.0(+/- 1.0)로 조절한다(pH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버퍼를 가할 수 있다). pH 조절된 혼합물을 50㎖들이 용적 플라스크에 옮기고, 증류수로 용적을 채운다. 혼합물을 교반기가 있는 비커에 옮기고, 주사기를 채우면서 계속 교반한다.
시험하기 적어도 1주 전에 2형 당뇨병 모델인 쥬커 당뇨병 패티 랫트를 동물 기관에서 받는다. 각각을 실험 전 날 중량 측정한 다음, 체중에 따라 2 그룹 중 하나로 등록한다. 밤새 금식시킨 후, 각 랫트를 다시 중량 측정한 다음, 포도당 대조군 또는 아미노산 시험 혼합물 또는 이소류신 용액 8㎖/체중kg을 투여한다(경구 위관영양법). 그 다음, 위관영양법 30, 60, 90 및 120분 후 각 동물의 꼬리의 끝으로부터 혈당 농도를 측정한다.
당해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도 2에 요약한다. 도시된 데이타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용량의 이소류신(이소류신 단독)은 대조군에 비해 혈당 농도에 뚜렷한 영향을 주지 못하지만, 위관영양법 60분 후 아미노산 시험 혼합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혈당 농도를 감소시킨다.
실험 3
혈당증을 개선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아미노산 용액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미노산 혼합물을 하기 방법으로 제조한다(각 아미노산의 중량을 측정하고 이를 각자 튜브에 넣는다). CYS(5.28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키고, VAL(6.68mg)을 물 1.0㎖에 용해시키고, MET(3.36mg)를 물 1.0㎖에 용해시키고, LEU(6.58mg)를 1N HCl 1.0㎖에 용해시킨다. 각 튜브를 투명한 용액이 수득될 때까지 혼합한다. 50㎖들이 비커에서, ILE(927.5mg)를 HCl 10㎖ 중에 용해시킨다. 산에 용해된 모든 아미노산 튜브를 50㎖들이 비커에 가하고(피펫을 사용하여 옮긴다), 교반한다. 모든 아미노산을 물에 용해시킨 다음, 비커에 가하고(피펫을 사용하여 옮긴다), 45% 포도당 용액 25㎖를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완전히 혼합될 때까지 교반한다. 수득된 혼합물의 pH를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약 7로 조절한다. pH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버퍼를 가할 수 있다. pH 조절된 혼합물을 50㎖들이 용적 플라스크에 옮기고, 증류수로 용적을 채운다. 혼합물을 교반기가 있는 비커에 옮기고, 주사기를 채우면서 계속 교반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하기 실험에서 22.5% 포도당의 대조군 용액과 비교한다.
시험하기 적어도 1주 전에 패티 쥬커 랫트를 동물 기관에서 받는다. 각각을 실험 전 날 중량 측정한 다음, 체중에 따라 2 그룹 중 하나로 등록한다. 체중 300gm 이상의 랫트만 연구에 포함시킨다. 밤새 금식시킨 후, 각 랫트를 다시 중량 측정한 다음, 대조군 또는 아미노산 시험 혼합물 8㎖/체중kg을 투여한다(경구 위관영양법). 그 다음, 위관영양법 30, 60, 90 및 120분 후 각 동물의 꼬리의 끝으로부터 혈당 농도를 측정한다.
당해 실험으로부터의 데이타를 도 3에 요약하였는데, 이는 위관영양법 60분 후 아미노산 시험 혼합물(5개의 아미노산 배합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뚜렷하게 혈당 농도를 감소시킴을 나타낸다.

Claims (38)

  1. 이소류신 약 1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당뇨병 또는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개체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아스파르트산 약 0.01 내지 약 30mg/체중kg,
    트레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세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글루탐산 약 0.01 내지 약 30mg/체중kg,
    프롤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글리신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
    알라닌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
    티로신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
    히스티딘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리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아르기닌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 및
    트립토판 약 0.001 내지 약 20mg/체중kg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 중 하나 이상의 중량비가 약 100:1 이상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페닐알라닌을 약 10mg/체중kg 미만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무기질, 탄수화물 및 지방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탄수화물 약 10% 내지 약 75%, 지방 약 20% 내지 약 85% 및 단백질 약 5% 내지 약 70%를 포함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경구 정제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경구 액체인 조성물.
  9.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당뇨병 또는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개체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0:1 이상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측쇄 아미노산 대 황 함유 아미노산의 중량비가 약 50:1 이상인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페닐알라닌 약 5중량% 미만을 포함하는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비타민, 무기질, 탄수화물 및 지방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탄수화물 약 10% 내지 약 75%, 지방 약 20% 내지 약 85% 및 단백질 약 5% 내지 약 70%를 포함하는 조성물.
  15. 제9항에 있어서, 경구 정제인 조성물.
  16. 제9항에 있어서, 경구 액체인 조성물.
  17. 이소류신 약 10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포함하는, 당뇨병 또는 포도당내성 장애를 가진 개체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18. 제17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조성물.
  19. 제17항에 있어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 중 하나 이상의 중량비가 약 100:1 이상인 조성물.
  20. 제17항에 있어서, 페닐알라닌을 약 10mg/체중kg 미만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21. 제17항에 있어서, 비타민, 무기질, 탄수화물 및 지방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22. 제17항에 있어서,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탄수화물 약 10% 내지 약 75%, 지방 약 20% 내지 약 85% 및 단백질 약 5% 내지 약 70%를 포함하는 조성물.
  23. 제17항에 있어서, 경구 정제인 조성물.
  24. 제17항에 있어서, 경구 액체인 조성물.
  25. 이소류신 약 1.0 내지 약 200mg/체중kg, 류신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발린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시스테인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 및 메티오닌 약 0.001 내지 약 10mg/체중kg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개체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포도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을 가진 개체를 치료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적으로 투여되는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개체가 탄수화물을 섭취한 지 약 1시간 이내에 조성물이 투여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섭취 약 3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탄수화물 섭취 약 90분 후 및 탄수화물 섭취 약 120분 후 중 하나 이상에서 개체에 대한 조성물의 투여로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혈당 수치와 비교하여 약 5% 이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되는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탄수화물 섭취 약 60분 후 개체에 대한 조성물의 투여로 조성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의 혈당 수치와 비교하여 약 10% 이상으로 혈당 수치가 감소되는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조성물에서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방법.
  31. (A)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이소류신, 류신, 발린, 시스테인 및 메티오닌을 포함하고, 이소류신 대 류신, 이소류신 대 발린, 이소류신 대 시스테인 및 이소류신 대 메티오닌의 중량비가 독립적으로 약 10:1 이상인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약 2% 내지 약 98% 및
    (B)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말티톨, 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자일리톨, 만니톨, 글리세롤, 이소말트 및 락티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탄수화물 약 2% 내지 약 98%를 포함하고,
    pH가 약 2.5 내지 약 8.0이고, 칼로리 밀도가 약 8.1kcal/100㎖ 내지 약 40kcal/100㎖인 영양액.
  32. 제31항에 있어서, pH 범위가 약 2.5 내지 약 4.6인 영양액.
  33. 제31항에 있어서, 칼로리 밀도 범위가 약 16kcal/100㎖ 내지 약 32kcal/100㎖인 영양액.
  34. 제31항에 있어서, 지방, 무기질 및 비타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양액.
  35. 제34항에 있어서, 총 칼로리의 백분율로서, 탄수화물 약 10% 내지 약 75%, 지방 약 20% 내지 약 85% 및 아미노산 블렌드를 포함하는 단백질 공급원 약 5% 내지 약 70%를 포함하는 영양액.
  36. 제31항에 있어서, 아세설팜 K, 아스파탐, 슈크랄로스, 사카린, 스테비아 및 타가토스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영양액.
  37. 제31항에 있어서, 에리트리톨을 포함하는 영양액.
  38. 제37항에 있어서, 에리트리톨 약 1 내지 약 10중량%를 포함하는 영양액.
KR1020077021668A 2005-03-21 2006-03-21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조성물 KR200701128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6364205P 2005-03-21 2005-03-21
US60/663,642 2005-03-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811A true KR20070112811A (ko) 2007-11-27

Family

ID=37024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1668A KR20070112811A (ko) 2005-03-21 2006-03-21 포도당내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아미노산 조성물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7879796B2 (ko)
EP (1) EP1863472B1 (ko)
JP (1) JP5290744B2 (ko)
KR (1) KR20070112811A (ko)
CN (1) CN101180048B (ko)
AU (1) AU2006226935B2 (ko)
BR (1) BRPI0614016A2 (ko)
CA (1) CA2601895C (ko)
ES (1) ES2402935T3 (ko)
WO (1) WO200610245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503A (ko) * 2011-07-22 2014-05-20 프레제니우스 카비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비만 집중 치료 환자의 비경구 영양 공급 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614016A2 (pt) 2005-03-21 2011-03-01 Abbott Lab composição de aminoácido para melhorar toleráncia à glicose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US20080226795A1 (en) * 2007-03-14 2008-09-18 Concentrate Manufacturing Company Of Ireland Non-nutritive sweetened beverages with glycerine
JP5448248B2 (ja) * 2007-03-26 2014-03-19 味の素株式会社 容器入りイソロイシン含有食品
CN102858192A (zh) * 2009-12-18 2013-01-02 斯托克里-丰康普公司 蛋白质恢复饮料
WO2012047800A1 (en) * 2010-10-06 2012-04-12 Abbott Laboratories Methods for increasing muscle glucose uptake and decreasing muscle recovery time using amino acid blend
JP6050341B2 (ja) 2011-06-23 2016-12-21 インノヴァフード アクチエボラグInnovaFood AB 改善された食品組成物
US9913872B2 (en) 2013-10-04 2018-03-13 Houn Simon Hsia Diabetic nutritional composition
US10973251B1 (en) * 2015-09-21 2021-04-13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Nutritional treatment for cancer
JP6887998B2 (ja) * 2015-10-05 2021-06-16 ワイルド フレーバーズ インク. 天然着色料およびその製造プロセス
EP3379946A1 (en) * 2015-11-27 2018-10-03 DoubleGood AB Food supplement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the metabolic syndrome
JOP20190146A1 (ar) 2016-12-19 2019-06-18 Axcella Health Inc تركيبات حمض أميني وطرق لمعالجة أمراض الكبد
EP3615936A4 (en) * 2017-04-25 2020-12-09 Almeda Labs LLC AMINO ACID FORMULATIONS FOR PANCREAM VITALITY
US11617731B2 (en) 2017-04-28 2023-04-04 Axcella Health, Inc. Amino acid composition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MA50155A (fr) * 2017-08-14 2020-07-29 Axcella Health Inc Acides aminés à chaîne ramifiée pour le traitement d'une lésion neuronale
SG11202001142VA (en) 2017-08-14 2020-03-30 Axcella Health Inc Amino aci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liver disease
MA52971A (fr) 2018-06-20 2021-04-28 Axcella Health Inc Compositions et procédés pour le traitement de l'infiltration de graisse dans le muscle
CN112689504A (zh) 2018-06-20 2021-04-20 胺细拉健康公司 含有苦味氨基酸的治疗和保健组合物
US20220296533A1 (en) * 2021-03-22 2022-09-22 Russ Ip Holding Group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intracellular glucose uptak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0529A (en) * 1975-02-03 1976-04-13 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Amino acid formulations for patients with liver disease and method of using same
JPS56110617A (en) * 1980-02-08 1981-09-01 Ajinomoto Co Inc Nutrient composition for young child
JPS60255722A (ja) 1984-05-30 1985-12-17 Otsuka Pharmaceut Factory Inc 糖尿病用アミノ酸輸液
JP2873493B2 (ja) 1990-08-09 1999-03-24 理化学研究所 血糖調節剤
US5132113A (en) 1990-10-26 1992-07-21 Maurizio Luca Nutritional composition containing essential amino acids
JP3137273B2 (ja) * 1992-06-16 2001-02-19 明治乳業株式会社 糖尿病に有効な組成物
JP2004527501A (ja) 2001-03-05 2004-09-09 ピー. アーネスト,スティーヴン 経腸処方
JP3906716B2 (ja) 2001-09-26 2007-04-18 味の素株式会社 耐糖能異常用薬剤
JP2003304848A (ja) * 2002-04-11 2003-10-28 Nippon Zoki Pharmaceut Co Ltd ドリンク剤
JP2006520335A (ja) * 2003-03-18 2006-09-07 ノバルティ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脂肪酸とアミノ酸を含有する組成物
BRPI0614016A2 (pt) 2005-03-21 2011-03-01 Abbott Lab composição de aminoácido para melhorar toleráncia à glicose
JP2009155336A (ja) 2009-03-31 2009-07-16 Tsujido Chemical Corp 治療剤
EP2528459B1 (en) 2010-01-29 2014-06-11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emulsions comprising calcium hmb
WO2012097064A1 (en) 2011-01-13 2012-07-19 Abbott Laboratories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lood glucos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0503A (ko) * 2011-07-22 2014-05-20 프레제니우스 카비 도이치란트 게엠베하 비만 집중 치료 환자의 비경구 영양 공급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90744B2 (ja) 2013-09-18
WO2006102451A2 (en) 2006-09-28
US8648040B2 (en) 2014-02-11
US20070225348A1 (en) 2007-09-27
ES2402935T3 (es) 2013-05-10
US8389471B2 (en) 2013-03-05
WO2006102451A3 (en) 2007-09-27
CA2601895A1 (en) 2006-09-28
US20130165394A1 (en) 2013-06-27
CN101180048B (zh) 2012-10-10
AU2006226935B2 (en) 2011-07-07
JP2008533208A (ja) 2008-08-21
CN101180048A (zh) 2008-05-14
CA2601895C (en) 2014-06-10
AU2006226935A1 (en) 2006-09-28
US7879796B2 (en) 2011-02-01
BRPI0614016A2 (pt) 2011-03-01
EP1863472B1 (en) 2013-02-20
US20110082097A1 (en) 2011-04-07
EP1863472A2 (en) 200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3472B1 (en) Amino acid composition for improving glucose tolerance
RU2356247C2 (ru) Комбинации и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ие жирные кислоты и аминокислоты, их применение для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замедления прогрессирова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диабета и связанных с диабетом заболеваний и состояний,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веса тела млекопитающего, набор
JP2006508057A (ja) 非グルコース性炭水化物またはペクチンおよび可溶性線維を含む栄養組成物
JP2006503105A (ja) ロイシンに富んだ栄養的組成物
WO2012047800A1 (en) Methods for increasing muscle glucose uptake and decreasing muscle recovery time using amino acid blend
EP2397039A1 (en) Compositions for delaying progression of diabetes using Salacia oblonga extract
TWI592153B (zh) 使用β-羥基-β-甲基丁酸鹽與精胺酸及麩醯胺酸促進糖尿病性潰瘍康復的方法
ES2328835T3 (es) Hidrolizado de proteinas con efecto antidiabetico.
CN1723033A (zh) 减少热量摄入的组合物
WO2015118699A1 (ja) 満腹感持続剤および満足感を維持する方法
JP6829186B2 (ja) 海産物ペプチドおよび魚類ヌクレオチド、その組成物および血糖を低下させるためのその使用
AU2003275847B2 (en) Sexual desire and performance enhancement with meal from plants containing protein-bound tryptophan
MX2007011610A (en) Amino acid composition for improving glucose tolerance
JP2021161070A (ja) Glp−1分泌促進剤
JP6061270B2 (ja) 米アルブミンを含有する血糖降下剤及び健康食品
JP2003321352A (ja) コエンザイムq10含有組成物
Challem Context and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