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1983A -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1983A
KR20070111983A KR20070044554A KR20070044554A KR20070111983A KR 20070111983 A KR20070111983 A KR 20070111983A KR 20070044554 A KR20070044554 A KR 20070044554A KR 20070044554 A KR20070044554 A KR 20070044554A KR 20070111983 A KR20070111983 A KR 2007011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device
movable body
closed position
open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4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9344B1 (ko
Inventor
아키노리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7011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004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 F16B5/0008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 F16B5/002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substantially in their own plane, perpendicular to the abutting edge both sheets, plates or panels having a groove, e.g. with strip-typ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종래의 안전장치에 비해서 오작동의 발생률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안전성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본체(G)에 대해서 가동체(L)를 탄지수단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걸어 붙이고 또한 폐쇄방향으로 누른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1)과 함께 사용되며, 래치수단(1)의 걸림상태가 관성력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2)에 있어서, 가동체(L)측의 맞닿음부(7)와 대응하여 본체(G)측에 형성되는 지지부(22)와, 지지부(22)에 대해서 탄성체(30)를 통해서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응동체(25)와, 응동체(25)에 형성되되 가동체(L)의 폐쇄위치에서 맞닿음부(7)와 대향하고,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체(L)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면 맞닿음부(7)가 삽입되는 구멍부(29a)를 구비하며, 관성력이 가해지면, 구멍부(29a)의 위치가 응동체(25)의 반복요동에 의해서 변위되어 맞닿음부(7)가 상기 응동체(25)의 구멍부(29a) 이외의 개소에 맞닿게 됨으로써, 가동체(L)가 폐쇄위치에서 해제위치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SAFETY DEVICE AND OPENING/CLOS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안전장치를 구비한 개폐기구를 덮개의 폐쇄상태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개폐장치를 덮개의 개방상태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의 (a)는 상기 안전장치의 원리도, (b)는 종래 안전장치의 원리도
도 4는 상기 안전장치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상기 안전장치를 맞닿음부재와 함께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6은 상기 안전장치를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의 개략 사시도
도 7은 상기 안전장치를 맞닿음부재와 함께 단면으로 나타내는 개략 외관도
도 8은 상기 안전장치를 맞닿음부재와 함께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특허문헌 2의 안전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래치장치(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 2 - 안전장치
3 - 래치부재 5 - 축부재
6 - 스트라이커{피(被)걸림ㆍ해제부재} 7 - 맞닿음부재(맞닿음부)
20 - 베이스 21 - 판부
22 - 지지부 23 - 암부
24 - 지지기둥 25 - 응동체(應動體)
26 - 중심측 원통부 27 - 연결부
28 - 림부 29 - 작동부
29a - 구멍부
30 - 스프링부재(탄성체에 상당한다) 31,32 - 단부
33 - 코일부 G…본체
4a - 부착틀부 4b - 부착대
L - 덮개(가동체)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2912433호
특허문헌 2 : 일본국 공개실용신안 평5-75003호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서 가동체를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걸어 붙일 때에 사용되는 래치수단 중, 특히 푸시ㆍ푸시식(이것은 '푸시 로크ㆍ푸시 오픈식'이라 칭하는 것도 있다, 이하 같음) 래치수단과 함께 사용되며, 이 래치수단에 의한 걸림상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에 관한 것이다.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은, 본체에 대해서 가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한 누름 조작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걸어 붙이고(로크하고) 또한 폐쇄방향으로 누른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로크)상태를 해제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은 상기 걸림 및 해제를 모두 가동체의 누름 조작에 의해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하지만, 걸림상태에서 가동체가 충돌사고나 급정차 등에 의해서 폐쇄방향으로 관성력을 받게 되면 해제조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오작동에 의해서 걸림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는 특허문헌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수단의 구성 자체에 안전기능을 부설한 내부설치 타입과, 특허문헌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래치수단의 구성부재에 독립되게 부설한 전용 타입으로 크게 구분된다.
도 9는 후자의 안전기능이 부설된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수단이 걸림상태에 있고, 외부에서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때의 안전장치를 나타내고, (b)는 외부에서 관성력이 가해진 때의 안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수납장치는, 도 9에 있어서의 좌측이 개구된 본체(하우징)(H)와, 가동체(수납상자)(B)와, 가동체(B)를 항시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탄지수단과, 가동체(B)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푸시ㆍ푸시식 래치(로크)수단을 구비하며, 이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에 의해서 가동체(B)를 탄지수단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본체(H) 내의 폐쇄위치에 걸어 붙임과 아울러, 가동체(B)를 본체(H) 내로 더 압입하면, 가동체(B)가 본체(H)의 개구부에서 자동적으로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안전장치는 관성 응동체 등의 부속부품의 부착장소나 스페이스에 제약되거나 래치수단(장치)으로서 대형화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체(H)측에 스프링(2)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탄지되는 회전체(1)와 대기위치와 작동위치로 가변되는 관성 응동체(4)를 설치하고, 가동체(B)측에 그 자신의 폐쇄상태의 해제시에 회전체(1)를 스프링(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돌기(9)를 형성하고, 관성력이 작용한 때에만 관성 응동체(4)를 작동위치로 이동시켜서 회전체(1)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환언하면, 도 9의 안전장치에서는, 관성력이 가해진 때에 관성 응동체(4)가 관성에 의해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스프링(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돌출되도록 하여, 가동체(B)가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관성에 의해서 화살표 Z방향으로 떼밀림에 의해서 회전체(1)를 스프링(2)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더라도 이 회전체(1)가 관성에 의해서 돌출된 관성 응동체(4)에 맞닿아서 회전 불가능하게 하고, 이것에 의해서 가동체(B)가 회전체(1)에 규제되는 돌기(9)를 통해서 래치수단의 해제조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저지된다. 이상과 같은 구조는 특허문헌 1 등의 내부설치 타입에서도 같으며, 도 3(b)의 원리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성에 의해서 회전하는 응동체(45){도 9의 관성 응동체(4)에 대응시켜도 좋다}를 간극(48) 내에 위치시켜서 가동체측의 대응부에 걸어 붙여진 래치부재(46){도 9의 회전체(1)에 대응시켜도 좋다}의 걸림해제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전장치에서는 관성 응동체(4)가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코일스프링(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돌출된 후 도 9(a)의 통상위치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 관성 응동체(4)가 돌출위치에 머무는 시간은 극히 단시간이다. 그러므로, 가동체(B)가 관성에 의해서 화살표 Z방향으로 떼밀리는 타이밍에 따라서는, 이 가동체(B)가 관성 응동체(4)에 규제되어 있지 않은 회전체(1)에 돌기(9)를 통해서 맞닿아서 래치수단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러한 오작동은, 예를 들면 강한 관성력과 약한 관성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경우 등에 발생하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안전장치에 비해서 오작동의 발생률을 확실하게 억제하여, 이것에 의해서 안전성과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본체에 대해서 도어 등의 가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걸어 붙이고 또한 폐쇄방향으로 누른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과 함께 사용되며, 상기 래치수단의 걸림상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측의 맞닿음부와 대응하여 상기 본체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탄성체를 통해서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응동체와, 상기 응동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체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맞닿음부와 대향하고,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맞닿음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며, 관성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멍부의 위치가 상기 응동체의 반복요동에 의해서 변위되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응동체의 구멍부 이외의 개소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체가 폐쇄위치에서 해제위치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반복요동'이란, 관성력이 가해진 때에 응동체가 지지부에 대해서 진자(振子)와 같이 반복해서 요동한다는 의미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응동체와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에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구성이다(청구항 2).
(2) 상기 응동체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탄성체를 통해서 상하방향과 상하 축선의 주위인 수평방향으로 각각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구성이다(청구항 3 및 청구항 4).
(3) 상기 탄성체가 단일의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청구항 5).
또, 청구항 6 및 청구항 7의 발명은, 가동체의 개폐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대해서 도어 등의 가동체를 개방위치에서 탄성력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전환함과 아울러, 폐쇄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전환 하는 개폐기구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설명에서는 개폐기구, 래치장치, 안전장치, 작동의 순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개폐기구)
본 실시형태의 개폐기구는, 본체(G)에 대해서 덮개(L)를 본체(G)측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도 2에 나타낸 개방위치와 본체(G)측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도 1에 나타낸 폐쇄위치로 회동하여 전환하는 구성이며, 덮개(L)를 항시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탄지수단과, 덮개(L)의 개폐동작을 제어하는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인 래치장치(1)와, 래치장치(1)의 걸림상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장치(2)는, 덮개(L)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치될 경우, 덮개의 폐쇄방향으로 관성력(가속도)이 가해지면, 반복요동함에 의해서 오작동의 발생확률을 작게 할 수 있는 것이고, 또 상측방향(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부터 관성력이 가해지면, 덮개(L)가 래치장치(1)의 걸림해제방향과 같은 폐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상측방향으로부터의 관성력에도 유효하게 작동하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개발된 것이다.
여기서, 본체(G)는 그 세부를 생략하거나 모식화하고 있으나, 자동차의 인스 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글러브 박스나 콘솔 박스 등을 상정하고 있다. 본체(G) 내에는 양 측벽의 편측에 부착틀부(4a)나 부착대(4b) 등이 설치되고, 부착틀부(4a)에 대해서 래치장치(1)가 전방에서 삽입상태로 장착되고, 부착대(4b)에 대해서 안전장치(2)가 안착상태로 장착 유지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덮개(L)는 본체(G)측의 개구부에 대응한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며, 내벽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좌우 부착편부(L1)를 가지며, 각 부착편부(L1)가 본체(G) 내의 양 측벽에 대해서 축부재(5) 등을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일방의 부착편부(L1)에는 피(被)걸림ㆍ해제부재인 스트라이커(6)와 맞닿음부재(7)가 직접 혹은 축부재(5)를 이용하여 동일 축선상에 장착된다. 스트라이커(6)는 래치장치(1)에 걸림ㆍ해제 가능하게 걸어 붙여지는 것이다. 맞닿음부재(7)는 안전장치(2)에 작용하는 것이다.
(래치장치)
래치장치(1)는 전방측이 개구된 케이스(10)와; 상기한 스트라이커(6)와 맞닿는 접촉부(11) 및 캠 홈(12)을 가지며, 케이스(10) 내에 배치되어 스프링부재(1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압압 이동되는 슬라이드체(13)와; 선단측 돌조(15a) 및 기단측 돌기(15b)를 가지며, 슬라이드체(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걸어맞춤체(15)와; 캠 홈(12)을 따라서 트레이스하는 핀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 중에서 슬라이드체(13) 및 걸어맞춤체(15)는 스트라이커(6)에 직접 작용하는 래치부재(3)가 된다.
걸어맞춤체(15)는 슬라이드체(13)의 대응부에 대해서 상하 중간보다 하측에 형성된 축부(15c)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슬라이드체(13)의 위치이동{이 이동은 슬라이드체(13)측의 돌기(13a)와 이 돌기(13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는 케이스(10)측의 긴 홈(10a)에 의해서 규제된다}에 의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체(13) 내에 수납된 걸림해제위치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측 돌조(15a)가 슬라이드체(13) 내에서 돌출되어 스트라이커(6)를 걸어 붙이는 걸림위치로 전환된다.
걸림해제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13)가 스프링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서 케이스(10)의 입구측으로 이동하고, 걸어맞춤체(15)는 그 기단측 돌기(15b)가 케이스(10) 내에 형성된 리브(17)를 타고 올라감에 의해서 축부(15c)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유지한다. 걸림위치에서는 슬라이드체(13)가 스트라이커(6)의 압입력에 의해서 스프링부재(14)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이 이동 후의 위치에서 캠 홈(12)과 핀부재(16)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유지되고, 걸어맞춤체(15)는 그 기단측 돌기(15b)가 리브(17)를 타고 내려감에 의해서 축부(15c)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선단측 돌조(15a)가 슬라이드체(13) 내에서 돌출되게 된다.
이상의 걸림상태는, 덮개(L)가 충돌사고나 급정차 등에 의해서 폐쇄방향(도 1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관성력을 받게 되면,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조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오작동에 의해서 걸림상태가 해제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2)는 이러한 오작동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또, 대상이 되는 래치수단으로서는, 덮개 등의 가동체를 탄 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걸어 붙이고 또한 폐쇄방향으로 누른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시ㆍ푸시식이라면, 상기한 래치장치(1) 이외의 것이어도 하등 지장이 없다.
(안전장치)
안전장치(2)는 베이스(20)와 응동체(25)와 탄성체인 스프링부재(3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20) 및 응동체(25)는 수지 성형품으로 되어 있으나, 수지 이외의 것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직사각형상의 판부(21)와, 이 판부(21)의 상면 중앙부에 돌출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2)와, 보호용 암부(23)와, 스프링용 지지기둥(24)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판부(21)는 상기한 본체(G)측 부착대(4b)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 내에 장착된다. 지지부(22)는 외측 원통부(22a)와 이것보다 높이가 높은 내측 원통부(22b)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 원통부(22a,22b)의 사이가 바닥부를 가지는 원형홈(22c)으로 되어 있다. 내측 원통부(22b) 내에는 그 상측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하 중간부가 폐색되어 있다. 암부(23)는 상기 판부(21)의 상면에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암부(23)의 수직편(23a)은 외측 원통부(22a)에 대해서 수평편(23b)에 대응한 간격을 유지함과 아울러 내측 원통부(22b)와 거의 같은 높이로 되어 있으며, 또한 그 선단(23c)이 내측 원통부(22b) 측으로 훅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지지기둥(24)은 외측 원통부(22a)와 약간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수평편(23b) 위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응동체(25)는 중심측 원통부(26)와, 이 중심측 원통부(26)의 상측 주위에 오목형상 연결부(27)를 개재하여 일체화되어 있는 환형상 림부(28)와, 이 림부(28)의 상단면(28a)에 돌출형성된 작동부(29)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중심측 원통부(26)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2)측의 원형홈(22c)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연결부(27)는 중심측 원통부(26)측의 내측 단차부(27a)와 이 내측 단차부(27a)의 외주에서 일단(一段) 높게 되어 있는 외측 단차부(27b)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측 단차부(27a)에는 내측 원통부(22b)에 연이어 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림부(28)는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상단면(28a)이 하단면(28b)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단면(28a)에는 그 외주측에 원호편 형상으로 세워지게 형성되어 있는 작동부(29)와, 내주측에 상기 작동부(29)에 근접하게 오목부(28e)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부(29)에는 구멍부(29a)가 지름방향으로 관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부(29a)는 덮개(L)의 폐쇄위치에서 맞닿음부재(7)와 대향하며,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통상상태에서 덮개(L)가 폐쇄방향으로 눌려져서 해제위치로 전환되면, 맞닿음부재(7)의 선단(7a)이 내부로 삽입되는 구멍이다. 또한, 이 구멍부(29a)는 오목형상이어도 된다. 또, 오목부(28e)에는 추(錘)(35)가 접착이나 용착 등에 의해서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하단면(28b)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홈(28d,28d)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홈(28)과 홈(28d) 사이에 일부를 잘라낸 절결부(28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30)는 토션 스프링이며, 양 단부(31,32)의 사이가 코일부(33)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부(33)는 베이스(20)측의 외측 원통부(22a)에 여유있게 감겨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단부(31,32)는 그 선단이 상측을 향해서 각각 절곡되어 있다.
상기한 안전장치(2)의 조립작업에서는, 베이스(20)측의 지지부(22)에 대해서 스프링부재(30)가 조립된 후, 응동체(25)가 반복요동 가능하게 조립된다. 즉, 스프링부재(30)를 그 코일부(33)가 지지부(22)측의 외측 원통부(22a)에 감겨지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양 단부(31,32)를 외측 원통부(22a)와 지지기둥(24)과의 사이에 서로 엇갈리는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응동체(25)를 그 중심측 원통부(26)가 지지부(22)의 원형홈(22c)에 삽입되도록 배치하고, 이때 스프링부재(30)의 각 단부(31,32)를 이것들에 대응하는 림부(28)측의 하단면(28b)에 형성된 홈(28d,28d)에 각각 끼워 맞춘 후, 나사(36)를 와셔(37)를 개재한 상태로 상기한 내측 단차부(27a)의 관통구멍을 통해서 내측 원통부(22b)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작동)
상기 응동체(25)는 그 중심측 원통부(26)가 지지부(22)의 원형홈(22c)에 끼워 맞춰지고 또한 스프링부재(30)에 의해서 받쳐진 탄성유지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 Y방향으로 반복요동 가능함과 아울러 화살표 Z방향으로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반복요동'이란, 응동체(25)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에 대해서 진자(振子)와 같이 반복해서 요동한다는 의미이다. 또한, 응동체(25)는 도 4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측방향으로는 고정측인 베이스(20)에 나사(36)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는 와셔(37)에 의해서 규제되고, 하측방향(도 6의 화살표 Y방향)으로는 림부(28)측의 하단면(28b)이 암부(23)의 수평편(23b)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그리고, 응동체(25)는 도 1이나 도 3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통상상태에서 최상측에 위치하고, 또한 구멍부(29a)가 상기한 덮개(L)측의 맞닿음부재(7)의 선단(7a)과 대향하고 있다. 관성력이 가해지면, 응동체(25)는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그 관성력의 방향으로 요동한 후 반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고, 다시 스프링부재(3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그 관성력의 방향으로 요동한 후 반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응동체(25)의 반복요동은 맞닿음부재(7)에 대한 구멍부(29c)의 위치를 반복해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상의 안전장치(2)에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장치(1)에 의해서 폐쇄위치에 걸려 있는 덮개(L)가 충돌사고 등에 의해서 폐쇄방향(도 1에 나타낸 화살표방향)으로 관성력을 받아서 도 1에 파선으로 나타낸 해제조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움직였을 때, 맞닿음부재(7)의 선단(7a)이 안전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응동체(25)의 구멍부(29c) 이외의 개소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도 3(a)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개소는 반복요동하는 작동부(29)에 대해서 맞닿음부(7)의 선단(7a)이 맞닿는 개소를 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덮개(L)가 폐쇄위치에서 관성력에 의해서 더 폐쇄방 향으로 움직이려고 할 때, 응동체(25)가 반복요동하여 맞닿음부재(7)에 대한 구멍부(29c)의 위치를 반복해서 변경하고, 이것에 의해서 맞닿음부재(7)의 선단(7a)을 응동체(25)의 구멍부(29c) 이외의 개소에 맞닿게 하여 규제한다. 따라서, 관성에 의한 덮개(L)의 폐쇄방향으로의 이동{즉, 래치장치(1)의 걸림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저지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래치장치(1)의 오작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하등 제약되는 것이 아니며, 청구항 1에서 특정하는 요건을 구비하고 있으면, 필요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대상인 개폐기구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본체(G)에 대해서 가동체로서의 덮개(L)를 개폐함과 아울러, 덮개(L)를 개방방향으로 탄지하는 탄지수단과 래치장치(1) 및 안전장치(2)를 사용하고 있으면 되며, 여러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9의 수납장치에 적용하는 경우라면, 본체(하우징)(H)와 가동체(수납상자)(B)와의 사이에 탄지수단을 개재함과 아울러, 본체(H) 내부에 래치장치(1) 및 안전장치(2)를 부설하고, 가동체(수납상자)(B)의 대응부에 스트라이커(6) 및 맞닿음부재(7)를 부설한다.
이상과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관성력이 가해지면, 응동체가 반복요동하여 구멍부의 위치를 변위시킴에 의해서 가동체측에 형성되어 있는 맞닿음부가 응동체의 구멍부 이외의 개소에 맞닿게 됨으로써 가동체가 폐쇄위치에서 해제위치 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서 래치수단의 걸림상태가 부주의하게 해제되는 오작동의 발생확률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이 구조에서는 응동체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진자와 같이 반복요동되도록 하여 가동체측의 맞닿음부가 응동체측의 구멍부 내에 삽입되는 확률을 대폭으로 억제함으로써, 즉 관성력이 가해진 때로부터 반복요동하는 소정시간 동안 가동체측의 맞닿음부가 응동체측의 구멍부 내에 삽입되는 통상상태를 형성하기 어렵게 하여 관성력에 기인하는 오작동의 발생확률을 대폭으로 억제함으로써, 이것에 의해서 적용장치 측의 안전성이나 품질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안전장치가 유닛화되어 있기 때문에, 취급성이 우수하여 상품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3 및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응동체가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요동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의 방향에 영향을 받기 어렵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가동체측의 맞닿음부가 응동체측의 구멍부 내로 삽입되는 확률, 즉 오작동의 발생을 더 확실하게 줄일 수 있다. 또,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탄성체로서 실시형태와 같은 단일의 스프링부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의 간이화가 도모된다. 또한, 청구항 6 및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안전장치의 이점을 구비한 개폐기구를 제공함으로써, 개폐기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7)

  1. 본체에 대해서 도어 등의 가동체를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폐쇄위치에서 걸어 붙이고 또한 폐쇄방향으로 누른 해제위치에서 상기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개방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푸시ㆍ푸시식 래치수단과 함께 사용되며, 상기 래치수단의 걸림상태가 외부에서 가해지는 관성력에 의해서 부주의하게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체측의 맞닿음부와 대응하여 상기 본체측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탄성체를 통해서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응동체와, 상기 응동체에 형성되며 상기 가동체의 폐쇄위치에서 상기 맞닿음부와 대향하고, 관성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가 해제위치로 전환되면 상기 맞닿음부가 내부로 삽입되는 구멍부를 구비하며,
    관성력이 가해지면, 상기 구멍부의 위치가 상기 응동체의 반복요동에 의해서 변위되어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응동체의 구멍부 이외의 개소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가동체가 폐쇄위치에서 해제위치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베이스와 상기 응동체와 상기 탄성체로 이루어 지며, 상기 본체에 상기 베이스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동체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탄성체를 통해서 상하방향과 상하축선의 주위인 수평방향으로 각각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동체가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탄성체를 통해서 상하방향과 상하축선의 주위인 수평방향으로 각각 반복요동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단일의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6. 본체에 대해서 도어 등의 가동체를 개방위치에서 탄성력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전환함과 아울러, 폐쇄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전환하는 개폐기구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구.
  7. 본체에 대해서 도어 등의 가동체를 개방위치에서 탄성력에 저항한 누름조작에 의해서 폐쇄위치로 전환함과 아울러, 폐쇄위치에서 탄성력에 의해서 개방방향으로 전환하는 개폐기구에 있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안전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구.
KR20070044554A 2006-05-18 2007-05-08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KR100819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9563A JP4656656B2 (ja) 2006-05-18 2006-05-18 安全装置及び開閉機構
JPJP-P-2006-00139563 2006-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983A true KR20070111983A (ko) 2007-11-22
KR100819344B1 KR100819344B1 (ko) 2008-04-04

Family

ID=3884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44554A KR100819344B1 (ko) 2006-05-18 2007-05-08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56656B2 (ko)
KR (1) KR1008193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600B1 (ko) * 2010-09-29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푸쉬-오픈 타입의 트레이 어셈블리
DE102011085510A1 (de) * 2011-10-31 2013-05-02 BROSE SCHLIEßSYSTEME GMBH & CO. KG Betätig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r Schließvorrichtung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672B2 (ja) * 1988-07-14 1995-11-08 リョービ株式会社 印刷機の画像位置調整装置
JPH0575003A (ja) * 1991-09-17 1993-03-26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の実装構造
JP2551406Y2 (ja) * 1992-03-06 1997-10-22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車両用開閉体のロック装置
JPH0714061U (ja) * 1993-08-17 1995-03-10 双葉金属工業株式会社 プッシュラッ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9344B1 (ko) 2008-04-04
JP2007308977A (ja) 2007-11-29
JP4656656B2 (ja)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613B1 (ko)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KR100674442B1 (ko) 사이드 록크 장치
JP6061092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4695522B2 (ja) リッドのロック装置
KR20050051689A (ko) 미닫이문의 문닫힘장치
US5263346A (en) Locking device for lid
WO2006025149A1 (ja) 引戸の戸閉装置
JP5165439B2 (ja) 車両のドアアウタハンドル構造
KR100836121B1 (ko) 차량 도어의 열림 방지 도어래치 어셈블리
KR100819344B1 (ko) 안전장치 및 개폐기구
US11299917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4718898B2 (ja) 可動体の動作機構、および、自動車用収納装置
JP2005232768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12246727A (ja) サイドロック装置
CN110409133B (zh) 用于盖体的锁闭装置、洗衣设备的上盖结构及洗衣设备
JPH08312225A (ja) 耐震ラッチ錠
JP4445900B2 (ja) 支持ユニット
JPH09189164A (ja) 錠止機構の保持装置
CN110409141B (zh) 用于盖体的锁闭装置、洗衣设备的上盖结构及洗衣设备
JP2018016967A (ja) 非常扉の開扉装置
JPH07224561A (ja) ドア用ロック装置
JP2023125894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23125889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752052B2 (ja) 開閉扉用ロック装置及び被係止具
JP2001137059A (ja) 抽斗の安全係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