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789A -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789A
KR20070110789A KR1020070046364A KR20070046364A KR20070110789A KR 20070110789 A KR20070110789 A KR 20070110789A KR 1020070046364 A KR1020070046364 A KR 1020070046364A KR 20070046364 A KR20070046364 A KR 20070046364A KR 20070110789 A KR20070110789 A KR 20070110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rm
cam
knob
rotational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469B1 (ko
Inventor
게이조 스기우라
세이지 이소무라
요이치 야마모토
히토시 스가
가즈미 스게사와
Original Assignee
고지마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프레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8Interior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57Operators with knobs or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44Hand cr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는, 단일의 노브와, 축방향과 축심을 가지는 샤프트와, 고정부재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과, 아암과, 캠을 가지는 것이다.
샤프트는 샤프트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샤프트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다. 샤프트는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를 가진다. 샤프트는 샤프트 회전방향으로 제 1 회전위치, 제 2 회전위치, 제 3 회전위치를 가진다. 제 1, 제 3 회전위치는 180°어긋나 있다.
아암은, 제 1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개방측 아암과 제 3 회전위치에 대응하는 폐쇄측 아암을 가진다.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적어도 한쪽은, 캠과 닿아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돌기를 가지고 있다.
아암에는 서포트부재가 설치되어도 좋다. 서포트부재는,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는, 샤프트가 제 2 회전위치에서 제 3 회전위치로 회동할 때에,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개방측 서포트부재 또는 폐쇄측 서포트부재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OF A CONTAINER APPARATUS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의 투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방측 아암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캠을 연장시켜 캠과 폐쇄측 아암에 설치한 캠 구동돌기를 걸어맞춤 가능하게 한 경우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캠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로서, (a)는 노브를 누르고 있지 않을 때, (b)는 노브를 눌렀을 때, (c)는 다시 노브를 눌렀을 때, (d)는 제 3 캠면이 제 4 캠면의 볼록부를 타고 넘었을 때, (e)는 노브의 가압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의 순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의, 제 3 캠면과 제 4 캠면의, (a)는 노브를 누르고 있지 않을 때, (b) 노브를 눌렀을 때, (c)는 다시 노브를 눌렀을 때, (d)는 제 3 캠면이 제 4 캠면의 볼록부를 타고 넘었을 때, (e)는 노브의 가압조작을 해제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장치 11 : 노브
11a : 노브 본체 11b : 노브 서포트
11e : 제 1 캠면 12 : 샤프트
12a : 샤프트 본체 12b : 리브
12c :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 12d : 제 2 캠면
12e : 제 3 캠면 13 : 가이드
13a : 삽입구멍 13b : 제 4 캠면
13c : 오목부 13d : 볼록부
13e : 중간부 13f : 제 1 연결면
13g : 제 2 연결면 13h : 제 3 연결면
14 : 샤프트 가세 스프링 15 : 서포트부재
15a : 개방측 서포트부재 15b : 폐쇄측 서포트부재
15c, 15d : 릴리프 부 16 : 케이스
17 : 커버 18 : 아암
18a : 개방측 아암 18b : 폐쇄측 아암
18e, 18g : 스프링 누름부 18h : 캠 구동돌기
19 : 캠 20 : 캠 가세 스프링
21 : 드럼 30 : 차량용 수납장치
31 : 내장장치 본체 31a : 수용부
32 : 도어 40 : 고정부재
A : 샤프트의 회동방향
본 발명은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를 개폐 동작시키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2-362237호 공보는,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에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개방 노브와, 도어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도어를 폐쇄하기 위한 폐쇄 노브가 각각 1개 설치된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보 개시의 개폐장치에는 다음의 문제점이 있다.
개방 노브와 폐쇄 노브가 각각 1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노브가 차실내에서 보여 겉보기가 나쁘다.
개방 노브와 폐쇄 노브가 각각 1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더듬만으로는 어느 쪽의 노브인지 알기 어렵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2-362237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은, 종래장치에서 개방 노브와 폐쇄 노브 가 각각 1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1개의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는, 노브와 축방향과 축심을 가지는 샤프트와, 고정부재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과, 아암과, 캠을 가진다.
노브는, 샤프트의 축방향 한쪽 끝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노브는, 제 1 캠면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샤프트의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된다. 샤프트는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축방향과 수직한 반경방향을 가지고, 샤프트는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는 노브의 제 1 캠면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2 캠면과, 제 3 캠면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재는, 샤프트의 제 3 캠면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4 캠면을 구비하고 있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은, 샤프트의 축방향 다른쪽 끝부에 배치되고, 샤프트를 노브가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노브가 샤프트를 눌렀을 때에 노브의 제 1 캠면이 샤프트의 제 2 캠면과 슬라이딩하여 노브가 샤프트를 제 1 회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킨다. 샤프트에의 노브의 누름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샤프트 가세 스프링에 의하여 샤프트의 제 3 캠면이 고정부재의 제 4 캠면에 가압되어 샤프트 가세 스프링이 샤프트를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다시 회전시킨다. 제 3 회전위치는, 계속되는 회전의 제 1 회전위치이다.
아암은 샤프트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회전 축심을 가지고 있고 고정부재에 상기 아암 회전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은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개방측 아암과,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의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폐쇄측 아암을 포함한다. 샤프트가 상기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가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개방측 아암이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한다. 샤프트가 상기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가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폐쇄측 아암이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이 샤프트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과 함께 회동하여 캠과 닿아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돌기를 가지고 있다.
캠은 아암 회전축심에 평행한 캠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다. 캠은 고정부재에 캠 회전 축심주위로 정회전, 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의 정회전, 역회전이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와 대응하도록 캠은 상기 도어와 연동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2) 본 발명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는, 단일의 노브와, 축방향과 축심을 가지는 샤프트와, 고정부재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과, 아암과, 캠을 가진다.
노브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됨과 함께샤프트의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재에 지지된다. 샤프트는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를 가지고 있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은, 샤프트를 노브가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세하고 있다.
노브가 샤프트를 눌렀을 때에 노브가 샤프트를 제 1 회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킨다. 샤프트에의 노브의 누름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샤프트 가세 스프링이 샤프트를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다시 회전시킨다. 제 3 회전위치는 계속되는 회전의 제 1 회전위치이다.
아암은 샤프트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고 고정부재에 상기 아암 회전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 은,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개방측 아암과,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폐쇄측 아암을 포함한다. 샤프트가 상기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가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에 개방측 아암이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한다. 샤프트가 상기 다른쪽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가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여졌을 때에 폐쇄측 아암이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이 샤프트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과 함께 회동하여 캠과 닿아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돌기를 가지고 있다.
캠은 아암 회전축심에 평행한 캠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다. 캠은 고정부재에 캠 회전 축심주위로 양 회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의 양 회전방향의 회동이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와 대응하도록 캠은 상기 도어와 연동한다.
(3) 상기 (1)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는, 서포트부재를 더 가지고 있다.
서포트부재는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를 포함한다.
개방측 서포트부재는 아암의 개방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폐쇄측 서포트부재는 아암의 폐쇄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샤프트가 노브에 의하여 눌려 제 1 회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동할 때에,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 중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의 샤프트 축방향에 위치하는 서포트부재는,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눌린다.
(4) 상기 (3)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서포트부재는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의 한쪽을 누른 후, 샤프트가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회동할 때에,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의 다른쪽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가지고 있다.
(5) 상기 (4)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고정부재의 제 4 캠면은, 샤프트 축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샤프트 축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와, 샤프트의 회전방향에서 오목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와, 오목부와 중간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면과, 중간부와 볼록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면과, 볼록부와 오목부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면을 가지고 있다.
제 1 연결면은, 오목부로부터 중간부로,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또한 노브가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제 2 연결면은, 중간부로부터 볼록부로, 노브가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다. 제 3 연결면은 볼록부로부터 오목부로,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또한 노브가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는,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의 사이에 제 4 회전위치를 가진다.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제 4 캠면의 오목부에 위치할 때, 샤프트는 제 1 회전위치에 있다.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제 4 캠면의 제 3 연결면상의 도중위치에 위치할 때, 샤프트는 제 2 회전위치에 있다.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제 4 캠면의 중간부에 위치할 때, 샤프트는 제 4 회전위치에 있다.
(6) 상기 (1) 또는 (2)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는,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180°회전한 위치에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이하, 단지 개폐장치라고도 한다)를, 도 1∼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장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단,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장치에 의하여 도어가 개폐되는 장치의 적용대상은, 차량용 수납장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차량용 컵 홀더장치, 차량용 재떨이장치 등이어도 좋다. 또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장치로 개폐되는 것은, 도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힘의 입력으로 반복작동을 하는 기구이어도 좋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 및 도시예에서는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장치가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개폐장치(10)가 설치되는 차량용 수납장치(30)를 설명한다.
차량용 수납장치(30)는, 차량의 조수석 전방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위에 배치되는 어퍼 박스장치이다. 단, 차량용 수납장치(30)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부위에 배치되는 글로브 박스장치이어도 좋고, 인스트루먼트 패널부위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부위 이외의 부위에 배치되는 차량용 물건 수납장치, 차량용 컵 홀더장치 등이어도 좋다.
차량용 수납장치(30)는, 내장장치 본체(31)와, 도어(32)를 가진다.
내장장치 본체(31)는, 차실측(윗쪽)으로 개방되는 수용부(31a)를 가진다. 내장장치 본체(3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인스트루먼트 패널과 별체로 형성되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어(32)는, 내장장치 본체(31)에 회동 및/또는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어(32)는 1매 구성이어도 2매 구성이어도 좋다. 도시예에서는 도어(32)가 1매 구성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어(32)는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하여 수용부(31a)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와 수용부(31a)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로 가동한다. 도어(32)는 좌우의 도어 아암(32a, 32f)을 구비하고 있다.
한쪽의 도어 아암(32a)는, 내장장치 본체(31)의 설치부(31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쪽의 도어 아암(32a)은, 핀(32b)과 칼라(32c)를 사용하여 내장장치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쪽의 도어 아암(32a)의 내장장치 본 체(31)에 대한 회동속도는 댐퍼(32d)로 억제되어 있다. 한쪽의 도어 아암(32a)의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한 회동속도가 댐퍼(32d)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2)의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한 개폐속도가 댐퍼(32d)로 억제된다. 댐퍼(32d)는, 한쪽의 도어 아암(32a)에 설치되어 있고, 댐퍼(32d)의 댐퍼 기어(32h)는, 내장장치 본체(31)에 설치되는 기어(32d)와 맞물려 있다. 한쪽의 도어 아암(32)은 뒤에서 설명하는 드럼(21)의 기어(21b)와 맞물리는 기어(32e)를 가진다.
다른쪽의 도어 아암(32f)은, 비스(32g)를 사용하여 내장장치 본체(3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른쪽의 도어 아암(32f)의 회동축심은, 한쪽의 도어 아암(32a)의 회동축심과 일치하고 있다.
다음에 개폐장치(10)를 설명한다.
개폐장치(1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11)와, 샤프트(12)와, 고정부재(40)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14)과, 서포트부재(15)를 가진다. 고정부재(40)는 가이드(13)와, 케이스(16)와, 커버(17)를 구비한다. 개폐장치(10)는 다시 아암(18)과, 캠(19)과, 캠 가세 스프링(20)과, 드럼(21)을 가진다. 단, 케이스(16)와 커버(17)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잡한 외형형상을 가지나, 도 1에서는 간략화하여 직사각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노브(11)는, 사용자가 도어(32)를 개폐시킬 때에 조작하는(누르는) 부재이다. 노브(11)는 1개만 설치된다. 노브(11)는 케이스(16)의 장착부(16a)에 샤프트(12)의 축방향(상하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노브(11)는, 노브 본체(11a)와, 노브 서포트(11b)를 구비한다.
노브 서포트(11b)는, 노브 본체(1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노브 본체(11a)와 별체로 형성되어 노브 본체(11a)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도시예에서는 노브 서포트(11b)가 노브 본체(11a)와 별체로 형성되어 노브 본체(11a)에 고정하여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노브 서포트(11b)가 노브 본체(11a)와 별체로 형성되는 경우, 노브 서포트(11b)는, 노브 서포트(11b)에 설치되는 포올(pawl)(11c)을 노브 본체(11a)에 설치되는 포올 받이구멍(11d)에 끼워 넣음으로써 노브 본체(11a)에 고정된다.
노브 서포트(11b)의 하면에는 제 1 캠면(11e)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캠면(11e)은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4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12)는 고정부재(4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샤프트(12)는 제 1, 제 2, 제 3, 제 4 회전위치(R1, R2, R3, R4)를 가진다. 샤프트(12)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12a)와, 리브(12b)와,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를 구비한다.
샤프트 본체(12a)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샤프트 본체(12a)는 대략 원주형상이다. 샤프트 본체(12a)의 상면에는 제 1 캠면(11e)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2 캠면(12d)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캠면(12d)은 둘레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 4개의 요철면으로 이루어진다.
리브(12b)는 샤프트 본체(12a)의 측면에 2개 설치되어 있다. 리브(12b)는 샤프트 본체(12a)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브(12b)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브(12b)는 샤프트 본체(1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샤프트 본체(12a)와 별체로 형성되어 샤프트 본체(12a)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리브(12b)의 상면에는 제 3 캠면(12e)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캠면(12e)은 제 1 캠면(11e), 제 2 캠면(12d), 제 3 캠면(12e), 뒤에서 설명하는 제 4 캠면(13b)에 의하여 규제되는 샤프트(12)의 회전방향(A)으로, 또한 윗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는, 샤프트 본체(12a)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는, 샤프트 본체(12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샤프트 본체(12a)와 별체로 형성되어 샤프트 본체(12a)에 고정하여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는, 샤프트 본체(12a)로부터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하면은 평면이다.
고정부재(40)는,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하여 고정으로 되어 있는 부재이다.
가이드(13)는, 케이스(16)에 도시 생략한 비스 등으로 고정된다. 가이드(13)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가 삽입되는 삽입구멍(13a)을 가진다. 삽입구멍(13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삽입구멍(13a)을 구성하는 벽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4 캠면(13b)이 형성되어 있다.
제 4 캠면(13b)은, 샤프트(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 4 캠면(13b)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3c)와, 볼록부(13d) 와, A 방향에서 오목부(13c)와 볼록부(13d)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13e)와, 오목부(13c)와 중간부(13e)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면(13f)과, 중간부(13e)와 볼록부(13d)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면(13g)과, 볼록부(13d)와 오목부(13c)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면(13h)을 구비한다.
오목부(13c)와 볼록부(13d)와 중간부(13e)와 제 1∼제 3 연결면(13f, 13g, 13h)은, 오목부(13c)와 볼록부(13d)와 중간부(13e)와 제 1∼제 3 연결면(13f, 13g, 13h)을 1세트로 하고, 샤프트(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상에 2세트 설치되어 있다.
제 1 연결면(13f)은, 오목부(13c)에서 A 방향 또한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제 2 연결면(13g)은, 상하방향으로만 연장되는 샤프트의 축심에 평행한 면이다. 제 3 연결면(13h)은 볼록부(13d)에서 A 방향 또한 윗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다.
제 3 캠면(12e)의 상단이 오목부(13c)에 위치할 때, 샤프트(12)는 제 1 회전위치(R1)(또는 제 3 회전위치 R3)에 있다. 제 3 캠면(12e)의 상단이 제 3 연결면(13h)상의 도중위치에 위치할 때, 샤프트(12)는 제 2 회전위치(R2)에 있다. 제 3 캠면(12e)의 상단이 중간부(13e)에 위치할 때, 샤프트(12)는 제 4 회전위치(R4)에 있다. 제 1 회전위치(R1)와 제 3 회전위치(R3)는, A 방향으로 180°회전한 위치에 있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상단은, 샤프트(12)에 닿아 있고,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하단은, 케이스(16)에 설치되는 스프링 케이스(16b)에 닿아 있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은, 샤프트(12)를 케이스(16)에 대하여 윗쪽으로 가세한다.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이 샤프트(12)를 윗쪽으로 가세하기 때문에 샤프트(12)의 제 2 캠면(12d)이 노브(11)의 제 1 캠면(11e)에 가압되고, 샤프트(12)의 제 3 캠면(12e)이 가이드(13)의 제 4 캠면(13b)에 가압된다.
서포트부재(15)는, 노브(11)를 아래쪽으로 가압 조작하였을 때,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린다. 서포트부재(15)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를 구비한다.
개방측 서포트부재(15a)는 케이스(16)에 설치되는 개방측 서포트 가이드홈 (16c)에 가이드되고, 케이스(1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만 가동하게 되어 있다.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상단부의 일부에는 릴리프부(15c)가 형성되어 있다. 릴리프부(15c)는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상단부의 일부를 노치함으로써(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릴리프부(15c)는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할 때에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것 이상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폐쇄측 서포트부재(15b)는 케이스(16)에 설치되는 폐쇄측 서포트 가이드홈(16d)에 가이드되고, 케이스(1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만 가동하게 되어 있다.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상단부의 일부에는, 릴리프부(15d)가 형성되어 있다. 릴 리프부(15d)는,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상단부의 일부를 노치함으로써(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릴리프부(15d)는,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할 때에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측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그것 이상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케이스(16)는, 내장장치 본체(31)에 도시 생략한 비스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된다.
커버(17)는, 케이스(16)에 도시 생략한 비스 등으로 고정하여 설치된다. 케이스(16)와 케이스(16)에 설치된 커버(17)는, 하나의 박스형상체를 형성한다.
아암(18)은,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을 구비한다.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은, 아암 지지 샤프트(18c)에 지지되고, 아암 지지 샤프트(18c)의 축심주위로 서로 회동 가능하다. 아암 지지 샤프트(18c),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상단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케이스(16)에 설치되는 아암 지지 샤프트설치부(16f)와, 커버(17)에 설치되는 아암 지지 샤프트설치부(17b)에 설치된다. 아암(18)은 케이스(16)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개방측 아암(18a)은 돌기부(18d)와, 스프링 누름부(18e)를 구비한다.
돌기부(18d)는 개방측 아암(18a)의 상단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고, 아암지지 샤프트(18c)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기부(18d)는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에 설치되는 아암 연결용 구멍(15e)에 삽입되고, 개방측 아암(18a)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와 연결된다.
스프링 누름부(18e)는, 개방측 아암(18a)의 하단부이다. 폐쇄위치에 있는 도어(32)를 개방하기 위하여 노브(11)를 조작하였을 때, 개방측 아암(18a)의 스프링 누름부(18e)가 캠 가세 스프링(20)의 끝부(20c)를 눌러 끝부(20c)를 스프링용홈(19 f) 내에서 움직인다.
폐쇄측 아암(18b)은, 돌기부(18f)와, 스프링 누름부(18g)를 가진다.
돌기부(18f)는 폐쇄측 아암(18b)의 상단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아암지지 샤프트(18c)와 평행하게 연장된다. 돌기부(18f)는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에 설치되는 아암 연결용 구멍(15f)에 삽입되고, 폐쇄측 아암(18b)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와 연결된다.
스프링 누름부(18g)는 폐쇄측 아암(18b)의 하단부이다. 개방위치에 있는 도어(32)를 폐쇄하기 위하여 노브(11)를 조작하였을 때, 폐쇄측 아암(18b)의 스프링 누름부(18g)가 캠 가세 스프링(20)의 끝부(20c)를 누른다.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적어도 한쪽에는 캠(19)과 맞닿음(걸어맞춤, 슬라이딩 접촉을 포함한다) 가능한 캠 구동돌기(18h)가 설치되어 있다. 캠 구동돌기(18)는, 개방측 아암(18a)에만 설치되어도 좋고, 또는 폐쇄측 아암(18)에 또는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양쪽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캠(19)과는 걸어맞추지 않으나, 폐쇄측 아암(18b)에도 캠 구동돌기(18h)와 동일형상의 돌기(18j)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을 동일한 금형으로 성형할 수 있어, 각각 다른 금형을 요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되기 때문이다.
캠 구동돌기(18h)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측 아암(18a)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다. 캠 구동돌기(18h)는 개방측 아암(18a)의 표리 양면에서 개방측 아암(18a)의 회동축심과 평행 또는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캠 구동돌기(18h)에는 캠 구동돌기(18h)가 캠(19)과 걸어맞추었을 때에 캠 구동돌기(18h)가 파손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리브(18i)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캠(19)은 고정부재(4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다. 캠(19)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40)와 내장장치 본체(31)과 설치되는 캠용 샤프트(19a)를 구비한다. 캠용 샤프트(19a)는 커버(17)에 설치되는 캠용 샤프트설치부(17c)와, 내장장치 본체(31)에 설치되는 캠용 샤프트설치부(31b)에 칼라(19b, 19c)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캠용 샤프트(19a)는, 케이스(16)에 설치되는 캠용 샤프트 구멍(16g)을 삽입하고 있다. 캠(19)은 회동 중심부(19d)와, 판부(19e)와, 스프링용 홈(19f)을 구비한다.
회동 중심부(19d)는 통형상이다. 회동 중심부(19d)에 캠용 샤프트(19a)가 삽입된다. 회동 중심부(19d)에는 드럼(21)이 캠(19)에 대하여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19g)가 설치되어 있다.
판부(19e)는, 간극을 두고 배치되는 2매의 판(19i, 19j)으로 구성된다. 2매의 판(19i, 19j)은 일부로 연결된다. 2매의 판(19i, 19j) 사이에는 아암(18)의 스프링 누름부(18e, 18g)가 출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 구동돌기(18h)는 2매의 판(19i, 19j)에 닿아 2매의 판(19i, 19j) 사이로 들어 갈 수 없게 되어 있다.
판부(19e)의 일부(19h)는, 폐쇄측 아암(18b)에 캠 구동돌기(18h)와 동일형상의 돌기(18j)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구동돌기(18h)가 캠(19)에 맞닿아 있을 때에 돌기(18j)가 캠(19)에 맞닿아 노브(11)의 조작 하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트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용 홈(19f)은, 판부(19e)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용 홈(19f)은, 회동 중심부(19d)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프링용 홈(19f)은, 판부(19e)의 회동 중심부(19d)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방향 바깥쪽 끝부 또는 그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용 홈(19f)에는 캠 가세 스프링(20)의 한쪽 끝부(20c)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걸린다.
캠 가세 스프링(2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이다. 캠 가세 스프링(20)은, 캠(19)의 회전방향을 바꾸는 턴 오버 스프링으로서 사용된다. 캠 가세 스프링(20)은, 감음부(20a)와, 한쪽 끝부(20b)와, 다른쪽 끝부(20c)를 가진다.
한쪽 끝부(20b)는, 커버(17)에 회동 가능하게 걸린다. 다른쪽 끝부(20c)는 캠(19)의 스프링용 홈(19f)에 걸린다. 다른쪽 끝부(20c)는 스프링용 홈(19f) 내를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캠 가세 스프링(20)이 캠(19)의 회전을 턴오버하는 위치(점)는, 다른쪽 끝부(20c)가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한쪽 끝부에서 다른쪽 끝부로 움직이는 도중에 있다.
드럼(21)은 캠(19)에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다. 드럼(21)은 캠(19)의 회동 중심부(19d)가 들어 가는 구멍(21a)과, 도어 아암(32a)의 기어(32e)와 맞물리는 기어(21b)를 구비한다.
구멍(21a)에는 캠(19)의 돌기(19g)가 들어가는 돌기 받이부(21c)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 받이부(21c)에 돌기(19g)가 들어갔을 때, 드럼(21)은 캠(19)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할 수 없다.
기어(21b)는 드럼(21)의 바깥 둘레면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노브(11)를 눌러 도어(32)를 개방하는 작동을 설명한다.
(i) 노브(11)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을 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브(11)의 제 1 캠면(11e)과 샤프트(12)의 제 2 캠면(12d)이, 제 2 캠면(12d)의 볼록부가 제 1 캠면(11e)의 볼록부로부터 약간 어긋난 샤프트의 제 1 회전위치에서 맞닿아 있다. 이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의 제 3 캠면(12e)은 가이드(13)의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 위치하고 있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릴리프부(15c)의 윗쪽에 위치한다.
(ii) 노브(11)를 눌렀을 때
노브(11)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가 노브(11)에 의하여 눌러져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또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슬라이딩하여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제 1 연결면(13f)상을 슬라이딩하여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서 중간부(13e)로 이동한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릴리프부(15c) 이외의 부위의 윗쪽으로 이동한다.
(iii) 다시 노브(11)를 눌렀을 때
다시 노브(11)를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다시 A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리브(12b)가 제 4 캠면(13b)의 제 2 연결면(13g)에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12)는 A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6(c),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는 회동하지 않고 제 4 캠면(13b)의 제 2 연결면(13g)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개방측 서포트부재(15a)가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 의하여 눌러진다.
개방측 서포트부재(15a)가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 의하여 눌러지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와 개방측 아암(18a)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측 아암(18a)이 회동한다. 개방측 아암(18a)이 회동하면 개방측 아암(18a)의 캠 구동돌기(18h)가 캠(19)의 상면에 맞닿아 캠(19)을 회동시킨다. 캠 구동돌기(18h)가 캠(19)을 회동시키는 것과 거의 동시에, 개방측 아암(18a)의 스프링 누름부(18e)가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한쪽 끝부에 위치하는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를 누르고,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 를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한쪽 끝부에서 연장방향 다른쪽 끝을 향하여 움직인다.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가 스프링용 홈(19 f)의 연장방향 한쪽 끝부에서 다른쪽 끝측으로 움직이는 도중에, 캠 가세 스프링(20)은 턴 오버하여 자기의 힘으로 스프링용 홈(19f)의 다른쪽 끝부까지 스프링용홈(19f) 내를 이동하여 캠(19)을 회동시키려고 한다. 또 캠 가세 스프링(20)이 턴 오버하여 자기의 힘으로 스프링용 홈(19f)의 다른쪽 끝부까지 스프링용 홈(19f) 내를 이동할 때,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가 폐쇄측 아암(18b)의 스프링 누름부(18g)를 누른다. 폐쇄측 아암(18b)이 캠 가세 스프링(20)에 의하여 눌러지면 폐쇄측 아암(18b)과 폐쇄측 서포트부재(15b)가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폐쇄측 서포트부재(15b)가 윗쪽으로 이동한다.
드럼(21)은 캠(19)에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21)도 캠(19)과 함께 회동한다. 드럼(21)이 회동하면 드럼(21)의 기어(21b)가 도어 아암(32a)의 기어(32e)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어(32)가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하여 개방 동작한다.
(iv) 노브(11)를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볼록부(13d)를 타고 넘을 때까지 눌렀을 때
노브(11)를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볼록부(13d)를 타고 넘을 때까지 누르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의 어긋남이 없어질 때까지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6(d)의 위 치에 도달한다. 이때 제 3 캠면(12e)은,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연결면(13h)에 위치한다.
(v) 노브(11)의 가압조작을 해제하였을 때
노브(1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노브(11)에서 떼면,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가세력에 의하여 샤프트(12)가 윗쪽으로 이동한다. 노브(11)는 샤프트(12)에 의하여 밀려 윗쪽으로 이동한다. 또 노브(1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노브(11)에서 떼면,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 도달할 때까지 제 3 연결면(13h)를 슬라이딩하여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는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릴리프부(15d)를 통하여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측면에 맞닿는 일은 없다.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오목부(13c)에 도달하였을 때,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제 2 캠면(12d)의 볼록부가 제 1 캠면(11e)의 볼록부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다.
노브(11)는 도어(32)를 개방하는 가압 조작전과 동일한 상하방향 위치에 있다.
샤프트(12)는 도어(32)를 개방하는 조작전의 상태에서 180도 회동한 위치에 있다.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폐쇄측 서포트부 재(15b)의 릴리프부(15d)의 윗쪽에 위치한다.
이어서, 노브(11)를 눌러 도어(32)를 폐쇄하는 작동을 설명한다.
(i) 노브(11)이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을 때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제 2 캠면(12d)의 볼록부가 제 1 캠면(11e)의 볼록부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다. 이때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은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 맞닿아 있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릴리프부(15d)의 윗쪽에 위치한다.
(ii) 노브(11)를 눌렀을 때
노브(11)를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가 노브(11)에 의하여 눌려 아래쪽으로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다. 또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슬라이딩하여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제 1 연결면(13f)상을 슬라이딩하여,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서 중간부(13e)로 이동한다.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의 릴리프부(15d) 이외의 부위의 윗쪽으로 이동한다.
(iii) 다시 노브(11)를 눌렀을 때
다시 노브(11)를 누르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다시 A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리브(12b)가 제 4 캠면(13b)의 제 2 연결면(13g)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샤프트(12)는 A 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6(c),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프트(12)는 회동하지 않고 제 4 캠면(13b)의 제 2 연결면(13g)을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폐쇄측 서포트부재(15b)가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 의하여 눌러진다.
폐쇄측 서포트부재(15b)가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 의하여 눌러지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폐쇄측 서포트부재(15b)와 폐쇄측 아암(18b)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폐쇄측 아암(18b)이 회동한다. 폐쇄측 아암(18b)이 회동하기 때문에, 스프링 누름부(18g)가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다른쪽 끝부에 위치하는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를 누른다. 스프링 누름부(18g)가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를 누르기 때문에,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가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다른쪽 끝부에서 연장방향 한쪽 끝측으로 움직인다.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가 스프링용 홈(19f)의 연장방향 다른쪽 끝부에서 연장방향 한쪽 끝측으로 움직이는 도중에 캠 가세 스프링(20)은 턴 오버하여 자기의 힘으로 스프링용 홈(19f)의 한쪽 끝부까지 스프링용 홈(19f) 내를 이동하고, 그후 캠(19)을 회동시키려고 한다. 또 캠 가세 스프링(20)이 턴 오버하여 자기의 힘으로 스프링용 홈(19f)의 한쪽 끝부까지 스프링용 홈(19f) 내를 이동할 때, 캠 가세 스프링(20)의 다른쪽 끝부(20c)가 개방측 아 암(18a)의 스프링 누름부(18e)를 누른다. 개방측 아암(18a)이 캠 가세 스프링(20)에 의하여 눌러지면 개방측 아암(18a)과 개방측 서포트부재(15a)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측 서포트부재(15a)가 윗쪽으로 이동한다.
드럼(21)은 캠(19)에 상대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21)도 캠(19)과 함께 회동한다. 드럼(21)이 회동하면 드럼(21)의 기어(21b)가 도어 아암(32a)의 기어(32e)와 맞물려 있기 때문에 도어(32)가 내장장치 본체(31)에 대하여 폐쇄 동작한다.
(iv) 노브(11)를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볼록부(13d)를 타고 넘을 때까지 눌렀을 때, 노브(11)를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볼록부(13d)를 타고 넘을 때까지 누르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서 서로 맞닿아 있기 때문에,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의 어긋남이 없어질 때까지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6(d)의 위치에 도달한다. 이때 제 3 캠면(12e)은 도 7(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연결면(13h)에 위치한다.
(v) 노브(11)의 가압조작을 해제하였을 때
노브(1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노브(11)로부터 떼면, 샤프트 가세 스프링(14)의 가세력에 의하여 샤프트(12)가 윗쪽으로 이동한다. 노브(11)는 샤프트(12)에 의하여 밀려 윗쪽으로 이동한다. 또 노브(11)를 누르고 있던 손을 노브(11)에서 떼면 제 3 캠면(12e)이 제 4 캠면(13b)의 오목부(13c)에 도달할 때까지 제 3 연결면(13h)을 슬라이딩하고, 샤프트(12)가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A 방향으로 회동 한다.
이때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는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릴리프부(15c)를 통하여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측면에 맞닿는 일은 없다.
도 7(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캠면(12e)이 오목부(13c)에 도달하였을 때, 도 6(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캠면(11e)과 제 2 캠면(12d)이 제 2 캠면(12d)의 볼록부가 제 1 캠면(11e)의 볼록부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맞닿아 있다.
노브(11)는 도어(32)를 폐쇄하는 가압조작전과 동일한 상하방향 위치에 있다.
샤프트(12)는 도어(32)를 폐쇄하는 조작전의 상태에서 180도 회동한 위치에 있다.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의 대부분은 개방측 서포트부재(15a)의 릴리프부(15c)의 윗쪽에 위치한다.
다음에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단일 노브(11)로 샤프트(12)를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의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키고,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서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어느 한쪽을 눌러 회전시킬 수 있다.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어느 한쪽이 회전하면 캠(19)을 일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캠(19)과 연동하는 도어(32)를 개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종래 2개의 노브를 필요로 하고 있던 것을 단일 노브(11)로 도어(32)를 개폐할 수 있다.
개방측 서포트부재(15a)가 개방측 아암(18a)과 연결되고, 폐쇄측 서포트부재(15b)가 폐쇄측 아암(18b)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측 서포트부재가 개방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측 서포트부재가 폐쇄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포트부재를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서 누르고,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을 눌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폐쇄되어 있는 도어(32)를 개방할 때, 노브(11)를 조작하여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서 개방측 서포트부재(15a)를 눌러 개방측 아암(18a)을 움직일 수 있다. 또 개방되어 있는 도어(32)를 폐쇄할 때, 노브(11)를 조작하여 도어(32)가 폐쇄되어 있을 때의 샤프트위치로부터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180도 회동한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에서 폐쇄측 서포트부재(15b)를 눌러 폐쇄측 아암(18b)을 움직일 수 있다.
서포트부재(15)가 릴리프부(15c, 15d)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12)가 회동할 때에 샤프트(12)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12c)가 서포트부재(15)에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4 캠면(13b)이 중간부(13e)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노브(11)를 조작하여 샤프트(12)로 서포트부재(15)를 누를 때, 샤프트(12)를 소정량 샤프트(12)의 축심주위로 회동시키고 나서 서포트부재(15)을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서포트부재(15)에 릴리프부(15c, 15d)가 설치되어 있어도 샤프트(12)로 서포트부재(15)의 릴리프부(15c, 15d) 이외의 부위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개방측 아암(18a)에 캠 구동돌기(18h)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캠 가세 스 프링(20)을 턴 오버시킬 때까지 노브(11)를 누르지 않아도 캠 구동돌기(18h)가 캠(19)을 회동시키기 시작할 때까지 노브(11)를 누름으로써 도어(32)를 개방하기 시작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노브(11)를 눌러 즉시 도어(32)를 개방하기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캠 구동돌기(18h)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도어(32)를 개방할 때의 노브 조작감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개방측 아암(18a)에만 캠 구동돌기(18h)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어(32)를 개방할 때가 아닌 도어(32)를 폐쇄할 때의 노브 조작감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폐쇄측 아암(18b)에만 캠 구동돌기(18h)를 설치하고, 상기 캠 구동돌기(18h)를 캠(19)에 맞닿음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개방측 아암(18a)에만 캠 구동돌기(18h)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도어(32)를 개방할 때 뿐만 아니라 도어(32)를 폐쇄할 때의 노브 조작감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양쪽에 캠 구동돌기(18h)를 설치하여, 개방측 아암(18a)과 폐쇄측 아암(18b)의 양쪽의 캠 구동돌기(18h)를 캠(19)에 맞닿음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상기 (1)∼(6)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단일의 노브로 샤프트를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의 어느 한쪽으로 회전시키고,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서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어느 하나를 눌러 회전시킬 수 있다.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어느 하나가 회전하면, 캠을 일 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캠과 연동하는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종래 2 개의 노브를 필요로 하고 있던 것을 단일의 노브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3)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개방측 서포트부재가 개방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폐쇄측 서포트부재가 폐쇄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서포트부재를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서 누르고,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을 눌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4)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서포트부재가 릴리프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샤프트가 회동할 때에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서포트부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5)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제 4 캠면이 중간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노브를 눌러 샤프트가 서포트부재를 누를 때에, 샤프트를 오목부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소정량 샤프트의 축심주위로 회동시키고 나서 서포트부재를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서포트부재에 릴리프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노브를 눌렀을 때에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서 서포트부재의 릴리프 부 이외의 부위를 확실하게 누를 수 있다. 그 결과, 노브를 눌렀을 때에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릴리프부의 각에 접촉하여 슬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6)의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노브를 눌러 도어를 개방하고, 그 후 개방되어 있는 도어를 다시 노브를 눌러 폐쇄하면 샤프트는 360°회전하여 초기의 회전위치로 되돌아간다.

Claims (6)

  1. 단일의 노브와, 축방향과 축심을 가지는 샤프트와, 고정부재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과, 아암과, 캠을 가지고,
    상기 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 한쪽 끝부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며, 또한 제 1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는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과 수직한 반경방향을 가지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노브의 제 1 캠면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2 캠면과, 제 3 캠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제 3 캠면과 슬라이딩 접촉 가능한 제 4 캠면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샤프트 가세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 다른쪽 끝부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를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세하고 있으며,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눌렀을 때에 상기 노브의 제 1 캠면이 상기 샤프 트의 제 2 캠면과 슬라이딩하여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제 1 회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에의 상기 노브의 누름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샤프트 가세 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의 제 3 캠면이 상기 고정부재의 제 4 캠면에 가압되어 상기 샤프트 가세 스프링이 상기 샤프트를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더욱 회전시키고, 제 3 회전위치는 계속되는 회전의 제 1 회전위치이며,
    상기 아암은 상기 샤프트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아암 회전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은 상기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의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개방측 아암과, 상기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폐쇄측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개방측 아암이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폐쇄측 아암이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 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 상기 아암과 함께 회동하여 상기 캠과 닿아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캠은 상기 아암 회전축심에 평행한 캠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캠은 고정부재에 상기 캠 회전 축심주위에 정회전,역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캠의 정회전,역회전이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와 대응하도록 상기 캠은 상기 도어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2. 단일의 노브와, 축방향과 축심을 가지는 샤프트와, 고정부재와, 샤프트 가세 스프링과, 아암과, 캠을 가지고,
    상기 노브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의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는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샤프트 가세 스프링은, 상기 샤프트를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가세하고 있고,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눌렀을 때에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제 1 회 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에의 상기 노브의 누름력이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샤프트 가세 스프링이 상기 샤프트를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더욱 회전시키고, 제 3 회전위치는 계속되는 회전의 제 1 회전위치이며,
    상기 아암은 상기 샤프트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어 상기 고정부재에 상기 아암 회전 축심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아암은 상기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개방측 아암과, 상기 샤프트가 제 1 회전위치와 제 3 회전위치와의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폐쇄측 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한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개방측 아암이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고, 상기 샤프트가 상기 다른쪽의 회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로 눌려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움직였을 때에 상기 폐쇄측 아암이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눌려 상기 고정부재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개방측 아암과 폐쇄측 아암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이 상기 샤프트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 상기 적어도 한쪽의 아암과 함께 회동하여 상기 캠과 닿아 캠을 구동하는 캠 구동돌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캠은 상기 아암 회전축심에 평행한 캠 회전축심을 가지고 있고, 상기 캠은 고정부재에 상기 캠 회전 축심주위로 양 회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캠의 양 회전방향의 회동이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와 대응하도록 상기 캠은 상기 도어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서포트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서포트부재는,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방측 서포트부재는 상기 아암의 개방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폐쇄측 서포트부재는 상기 아암의 폐쇄측 아암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가 상기 노브에 의하여 눌려 상기 제 1 회전위치로부터 제 2 회전위치로 회동할 때에, 상기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 중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의 샤프트 축방향에 위치하는 서포트부재는, 상기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에 의하여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부재는, 상기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상기 개방측 서포트부재와 폐쇄측 서포트부재의 한쪽을 누른 후,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제 2 회전위치로부터 제 3 회전위치로 회동할 때에,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 연장 설치부가 상기 개방측 서포트부재과 폐쇄측 서포트부재의 다른쪽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릴리프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제 4 캠면은, 샤프트 축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샤프트 축방향으로 볼록한 볼록부와,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에서 상기 오목부와 상기볼록부와의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부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중간부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면과, 상기 중간부와 상기 볼록부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면과, 볼록부와 오목부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연결면은,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중간부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 또한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결면은,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기 볼록부에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3 연결면은,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에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 또한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를 누르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제 1 회전위치와 제 2 회전위치와의 사이에 제 4 회전위치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상기 제 4 캠면의 오목부에 위치할 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1 회전위치에 있고,
    상기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상기 제 4 캠면의 제 3 연결면상의 도중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2 회전위치에 있고,
    상기 제 3 캠면의 노브측 선단이 상기 제 4 캠면의 중간부에 위치할 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 4 회전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위치와 상기 제 3 회전위치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180°회전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KR1020070046364A 2006-05-15 2007-05-14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KR100852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5487A JP4131740B2 (ja) 2006-05-15 2006-05-15 開閉装置
JPJP-P-2006-00135487 2006-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89A true KR20070110789A (ko) 2007-11-20
KR100852469B1 KR100852469B1 (ko) 2008-08-14

Family

ID=3860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64A KR100852469B1 (ko) 2006-05-15 2007-05-14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4625B2 (ko)
JP (1) JP4131740B2 (ko)
KR (1) KR100852469B1 (ko)
CN (1) CN100493960C (ko)
DE (1) DE102007022195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0851B2 (ja) * 2008-02-15 2012-09-0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のドアの開閉装置
JP4712079B2 (ja) * 2008-08-26 2011-06-2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装置
US9487151B2 (en) * 2014-11-24 2016-11-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love box owner's manual/electronic device storage
US9616817B2 (en) * 2015-05-05 2017-04-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ilicone storage assembly for a vehicle
DE102015107727B4 (de) * 2015-05-18 2022-09-08 Lisa Dräxlmaier GmbH Fahrzeug-Schließfach
KR20220039047A (ko) * 2020-09-21 2022-03-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글로브 박스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9061A (en) * 1970-10-16 1972-03-14 Gen Motors Corp Vehicle body door lock
JPH11135307A (ja) * 1997-10-27 1999-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付回転操作型電子部品
DE19830516C2 (de) * 1998-07-08 2003-06-26 Kiekert Ag Türgriffeinheit für einen Türaußengriff einer Kraftfahrzeugtür
KR100339925B1 (ko) * 1999-08-25 2002-06-10 김용면 휴대폰 덮개의 원터치 개폐용 힌지 조립체
JP4218225B2 (ja) 2001-06-01 2009-02-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US6722716B2 (en) * 2001-09-10 2004-04-20 Owen Ralph Baser Door handle assembly
US6619085B1 (en) * 2002-09-12 2003-09-16 Hui-Hua Hsieh Remote-controlled lock
US7055874B1 (en) * 2003-02-19 2006-06-06 Tri/Mark Corporation Door handle bracket and latch assembly
TWI262242B (en) * 2004-05-11 2006-09-21 Nifco Inc Cap opening/clos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31740B2 (ja) 2008-08-13
US20070261512A1 (en) 2007-11-15
CN101073998A (zh) 2007-11-21
KR100852469B1 (ko) 2008-08-14
JP2007302208A (ja) 2007-11-22
CN100493960C (zh) 2009-06-03
DE102007022195B4 (de) 2009-12-17
US7464625B2 (en) 2008-12-16
DE102007022195A1 (de)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469B1 (ko) 차량용 수납장치의 도어의 개폐장치
JP5227416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EP2343216B1 (en) Operation mechanism for movable body
KR100585929B1 (ko) 시프트 레버 장치
EP1195284B1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apparatus
US20020101091A1 (en) Panel driving device
JPH09207023A (ja) 電動工具の操作レバー
US5862708A (en) Shift lever device
US10234022B2 (en) Electronic transmission system
CN206892394U (zh) 光纤切断装置
KR20100109861A (ko) 가동체의 동작기구
JP4046052B2 (ja) ヘアカッターのコーム振動防止構造
US6237437B1 (en) Turn signal switch
EP3550397B1 (en) Operation device and vehicular shifting apparatus using operation device
JP4218225B2 (ja) 収納部蓋体の開閉装置
EP1528585A2 (en) Combined operating mechanism
JP4307327B2 (ja) 車両用物品収納装置
KR100808209B1 (ko) 휴대기기
US20070139877A1 (en) Slide mechanism for a portable device and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2008192417A (ja) ターンシグナルスイッチ装置
JP2006264513A (ja) 車両用収納部構造
US20020095245A1 (en) Electronic device
JP5020851B2 (ja) 車両用収納装置のドアの開閉装置
JP7143230B2 (ja) 車両用内装装置
JP2006327232A (ja) 車両用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