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787A - 고주파 처치구 - Google Patents

고주파 처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787A
KR20070110787A KR1020070046311A KR20070046311A KR20070110787A KR 20070110787 A KR20070110787 A KR 20070110787A KR 1020070046311 A KR1020070046311 A KR 1020070046311A KR 20070046311 A KR20070046311 A KR 20070046311A KR 20070110787 A KR20070110787 A KR 200701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treatment instrument
flexible sheath
wire
frequenc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오구라
Original Assignee
후지논 사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논 사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논 사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02Probes for open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82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3Automatic limiting or abutting means, e.g. for safety
    • A61B2090/033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 A61B2090/034Abutting means, stops, e.g. abutting on tissue or skin abutting on parts of the device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2Irrig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가요성 시스 내에서의 조작력의 전달이 양호하고, 또한 앵글부의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성을 높게 하는 것이다.
가요성 시스(2) 내에 삽입 관통되는 처치구 본체(10)의 도전체 코드(11)는 기단부측이 도전선(11a)으로 이루어지고, 이 도전선(11a)의 선단부에는 중공 와이어(11b)가 연결되어 있고, 이 중공 와이어(11b)의 선단부에 고주파 나이프(13)가 연결된다. 도전체 코드(11)를 구성하는 도전선(11a)은 소정의 선 직경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또한 중공 와이어(11b)는 탄성이 있고, 가는 금속 와이어를 다조로 하여 띠 부재(F)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띠 부재(F)를 밀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되어 구부림 방향에 가요성을 갖고 있고, 도전선(11a)의 선단부가 중공 와이어(11b)에 삽입되어 납땜 등의 수단에 보다 확실하게 고착되어 있다.
고주파 처치구, 가요성 시스, 도전체 코드, 금속 와이어, 중공 와이어

Description

고주파 처치구{HIGH-FREQUENCY TREATMENT TOOL}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성도.
도2는 도1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3은 고주파 처치구의 선단부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4는 고주파 처치구의 가요성 시스의 부위의 정면도.
도5는 도전체 코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고주파 처치구를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로부터 도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외관도.
도7은 고주파 나이프를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도출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주파 처치구
2 : 가요성 시스
3 : 접속 파이프
4 : 핸들 부재
10 : 처치구 본체
11 : 도전체 코드
11a : 도전선
11b : 중공 와이어
13 : 고주파 나이프
14 : 막대형 전극
20 : 가이드 통
21 : 관통 구멍
22 : 불러 들이기 부재
30 : 내시경
32 : 삽입부
32a : 연성부
32b : 앵글부
32c : 선단부 경질부
33 : 처치구 도입부
34 :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소63-97154호 공보
본 발명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 관통되어 병변 조직의 절제, 절개, 지혈, 응고 등의 처치를 행하기 위한 고주파 처치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시경 검사에 의해 체강 내벽에 병변 조직이 존재하는 것이 발견되면, 고주파 처치구를 이용하여 이 병변 점막의 부위를 절제하는 처치가 행해지지만, 안전성 확보를 위해, 처치는 내시경에 의한 제어를 기초로 행해진다. 내시경은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을 구비하고 있고, 고주파 처치구는 이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켜 처치해야 할 부위로 유도된다. 점막 등의 체내 조직의 절개나, 그 밖의 처치를 행하기 위한 고주파 처치구는 고주파 처치 부재로서, 예를 들어 막대형부를 갖는 전극 부재로 이루어지는 고주파 나이프가 이용된다.
고주파 나이프에는 고주파 전원에 접속되는 도전 와이어가 접속되어 있고, 전기 절연성을 갖는 가요성 시스의 내부에 장착된다. 가요성 시스의 기단부에는 조작용 핸들 부재가 연결되어 설치되고, 가요성 시스 내에 삽입 관통시킨 도전 와이어의 기단부가 핸들 부재에 설치한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를 수동 조작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고주파 처치 부재로서의 고주파 나이프를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출몰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 내에는 고주파 나이프의 가장 돌출된 위치를 규제하고, 또한 조작 중에 이 고주파 나이프가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시키기 위해,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통이 삽입ㆍ고정된다.
고주파 나이프에 도전 와이어를 연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다. 이 공지의 고주파 처치구는 도전성을 갖는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를 플라즈마 가공함으로써 고주파 나이프를 형성하고, 또한 이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와 고주파 나이프의 이행부에 가이드 통에 의해 고주파 나이프의 돌출량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작용에 의해 조작 와이어의 선단부를 원하는 형상이 되도록 가공할 수 있고, 또한 냉각함으로써 소정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경질화시킬 수 있다.
고주파 처치구의 조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내시경은 본체 조작부에 환자의 체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삽입부는 본체 조작부로의 연결측으로부터 대부분의 길이는 삽입 경로를 따라서 자유자재로 구부러지는 연성부이며, 이 연성부에는 앵글부가, 또한 앵글부에는 선단부 경질부가 연결되어 설치된다. 선단부 경질부에는 조명부와 관찰부로 이루어지는 내시경 관찰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앵글부는 이 선단부 경질부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내시경에 설치되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은 본체 조작부에 설치한 겸자 마개를 장착한 처치구 도입부로부터 삽입부의 전체 길이에 미치는 통로이며, 그 선단부는 선단부 경질부에 있어서, 내시경 관찰 수단의 장착부의 근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고주파 처치구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 관통시킬 때에는, 그 고주파 나이프는 가요성 시스의 내부에 수용시켜 둔다. 고주파 처치구를 이용한 처치를 행하는 것에 있어서는, 처치구 도입부로부터 삽입한 고주파 처치구의 가요성 시스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의 선단부로부터 도출시키고, 그 후, 가요성 시스의 선 단부로부터 고주파 나이프를 돌출시킨다. 이 조작은 가요성 시스의 기단부에 설치한 핸들 부재에 있어서의 슬라이더를 밀고 당기기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고주파 나이프를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이 고주파 나이프에 통전함으로써 절개 등의 처치가 행해지지만, 이 고주파 나이프는 가요성 시스의 내면으로부터 가이드 통 내로 이행한 후, 선단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가요성 시스 내에 삽입 관통시킨 조작 와이어는 핸들 부재의 슬라이더를 조작하였을 때에 확실하게 선단부에 있어서의 고주파 나이프의 위치까지 조작력을 작용시킬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조작 와이어는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게 하여, 슬라이더의 조작에 확실하게 추종시키도록 한다. 한편, 내시경의 삽입부에 있어서, 좁은 장소에서의 앵글 조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앵글부에 있어서의 만곡 시의 곡률 반경은 매우 작게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주파 처치구의 가요성 시스 내에 삽입 관통되는 조작 와이어의 강성을 높게 하면,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이 매우 커져 이 앵글 조작이 곤란해진다.
요컨대, 고주파 나이프에 대한 압입력의 전달 효율을 고려하면, 조작 와이어는 강성을 높이는 쪽이 좋고,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에 있어서의 앵글부의 만곡 조작의 조작성으로부터는, 구부림 방향에 높은 강성을 갖는 조작 와이어는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 내에 가이드 부재를 장착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이 가이드 부재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해, 고주파 나이프와 조작 와이어의 연결부에는 어느 정도의 구부림 방향에 가요성을 갖게 하는 것이 바람 직하고, 또한 앵글부를 큰 각도에서 만곡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처치구에 의해 처치를 행하고, 그 후, 앵글부의 만곡을 해제하였을 때에 조작 와이어는 구부림 성질 등이 생기지 않고, 똑바른 상태로 확실하게 복원하도록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가요성 시스 내에서의 조작력의 전달이 양호하고, 또한 앵글부를 만곡 조작하였을 때에, 이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높은 조작성을 갖는 고주파 처치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 관통 가능한 가요성 시스와, 이 가요성 시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전체 코드의 선단부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고주파 처치 부재를 설치한 처치구 본체와, 상기 가요성 시스의 기단부에 연결한 핸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핸들 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주파 처치 부재를 상기 가요성 시스로부터 출몰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통을 삽입ㆍ고정한 고주파 처치구이며, 상기 도전체 코드는, 상기 고주파 처치 부재에 연결되어 금속 선재를 밀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통형으로 한 중공 와이어와, 이 중공 와이어의 기단부에 삽입하여 고착시킨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시스를 상기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시켰을 때에 적어도 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앵글부의 기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 중공 와이어에 고착한 상기 도전선의 기단부를 상기 핸들 부재에 밀고 당기기 조작 가능하 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고주파 처치 부재는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환부의 소작(燒灼) 등의 처치를 행하는 것이며, 처치구 본체로서는, 고주파 나이프, 생검겸자나 고주파 스네어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중공 와이어는 금속 선재를 밀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되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착 코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밀착 코일은 1개의 금속 선재를 권취한 것이라도 좋지만, 복수개의 금속 선재를 배열하여 띠형으로 한 것을 권취한, 소위 다조 권취의 것, 예를 들어 5 내지 10개 정도의 금속 선재를 띠형으로 배치하여 나선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1에 고주파 처치구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도2에 그 주요부 확대 단면을 도시한다.
우선, 도1 및 도2에 있어서, 부호 1은 고주파 처치구이며, 이 고주파 처치구(1)는 가로로 긴 가요성 시스(2)를 갖고, 이 가요성 시스(2)의 기단부에는 접속 파이프(3)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접속 파이프(3)의 타단부에는 핸들 부재(4)가 연결되어 있다. 핸들 부재(4)는 접속 파이프(3)에 연결한 본체 축(4a)과, 이 본체 축(4a)에 끼워 맞추어지고, 본체 축(4a)의 축선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 슬라이더(4b)로 구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b)에는 처치구 본체(10)를 구성하는 도전체 코드(11)의 기단부가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도전체 코드(11)의 기단부는 슬라이더(4b)로의 연결부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고, 접점부(12)가 설치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점부(12)는 도시하지 않은 고주파 전원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다. 그리고, 도전체 코드(11)의 선단부에는 고주파 나이프(13)가 설치되어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에는 가이드 통(20)이 삽입ㆍ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통(20)은 전기 절연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부재,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재로 구성된다. 가이드 통(20)의 외면에는 나선형의 돌조(20a)가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이 가이드 통(20)은 가요성 시스(2)에 나사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통(20)의 기단부측의 위치에는 고주파 나이프(13)를 관통 구멍(21)보다 기단부측의 위치로부터 관통 구멍(21) 내로 불러 들이기 위한 불러 들이기 부재(22)가 장착되어 있다. 이 불러 들이기 부재(22)는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되는 링형의 부재이고, 그 기단부면은 외주측으로부터 내주측을 향함에 따라서 선단부측을 향해 경사지는 테이퍼면(22a)으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고주파 나이프(13)가 관통 구멍(21) 내로 불러 들여진다. 즉, 고주파 나이프(13)는, 평소에 있어서는 가이드 통(20)보다 기단부측으로 인입되어 있고, 이 상태로부터 테이퍼면(22a)을 따라서 관통 구멍(21)의 방향을 향해 가이드되고, 막대형 전극(14)의 선단부가 이 관통 구멍(21) 내로 유도되게 된다.
도전체 코드(11)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은 도전선(11a)으로 이루어지고, 이 도전선(11a)의 선단부에는 중공 와이어(11b)가 연결되어 있고, 이 중공 와이어(11b)의 선단부에 고주파 나이프(13)가 연결되어 있다. 도전체 코드(11)를 구성하는 도전선(11a)은 소정의 선 직경을 갖는 와이어로 이루어지고, 또한 중 공 와이어(11b)는 중공의 가요통으로 구성된다. 이 중공 와이어(11b)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가는 금속 와이어를 다조로 하여 띠 부재(F)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띠 부재(F)를 밀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되어 구부림 방향으로 가요성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도전선(11a)의 선단부가 중공 와이어(11b)에 삽입되어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그 사이가 전기적으로 도통하도록 하여 확실하게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 와이어(11b)의 선단부에 고주파 나이프(13)가 연결되어 있고, 이에 의해 고주파 나이프(13)는 도전체 코드(1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전체 코드(11)를 구성하는 도전선(11a) 및 중공 와이어(11b)의 외면에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수지재, 예를 들어 불소 수지로 코팅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전체 코드(11)에 통전하였을 때에, 고주파 나이프(13)에 전류 밀도를 집중시킬 수 있고, 또한 도전체 코드(11)의 가요성 시스(2)의 내면에 대한 미끄럼 이동성이 양호해진다.
중공 와이어(11b)의 선단부에 연결한 고주파 나이프(13)는 도전체 코드(11)로부터의 전원 공급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막대형 전극(14)을 갖는 것이다. 막대형 전극(14)은 그 선단부가 구면 형상으로 된 로드형의 것이다. 그리고, 막대형 전극(14)의 기단부측의 위치에는 서로 90°의 각도 위치에 4개의 블레이드부(15)가 외측을 향해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블레이드부(15)의 선단부면(15a)은 이 블레이드부(15)를 가이드 통(20)의 관통 구멍(21)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블레이드부(15)의 외면(15b)은 관통 구멍(21)의 곡률과 거의 일치하는 원호형이 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고 있다. 따라서,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이드 통(20)의 관통 구멍(21) 내에 삽입하면, 4군데 설치한 블레이드부(15)의 외면(15b)(도3)이 관통 구멍(21)의 내면과 실질적으로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고주파 나이프(13)는 가이드 통(20)의 축선에 대해 센터링되고, 또한 이 막대형 전극(14)의 선단부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도 쉽게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블레이드부(15)의 기단부측의 부위는 커다란 단차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차벽이 스토퍼면(15c)이 된다. 이 스토퍼면(15c)은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이드 통(20)의 관통 구멍(21)에 삽입하였을 때에 이 스토퍼면(15c)이 가이드 통(20)의 기단부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는 진입 가능하며, 그 이상은 돌출시킬 수 없다.
고주파 나이프(13)가 가장 돌출된 위치가 되었을 때에, 도3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고주파 나이프(13)의 축의 부분의 외경과 외주와 가이드 통(20)의 관통 구멍(21)의 구멍 직경과의 직경 차를 기초로 하여, 전술한 4군데의 블레이드부(15)에 있어서의 서로 인접하는 블레이드부(15)와 블레이드부(15) 사이의 각 부위에 4군데의 대략 부채형의 연통로(23)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주파 처치구(1)의 기단부측의 부위에 설치한 접속 파이프(3)는 접속구(3a)를 갖는 것이고, 이 접속구(3a)에는 히알론산액이나 생리 식염수 등의 액체를 공급하는 시린지나, 흡인 배관 등이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구(3a)에 액체를 충전한 시린지를 접속해 두고, 이 시린지를 조작함으로써, 연통로(23)를 거쳐서 막대형 전극(14)의 주위로부터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흡인 배관을 접속시키면, 연통로(23)로부터의 흡인이 가능해진다. 액체의 공급 및 흡인은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이드 통(20)으 로부터 기단부측으로 배치한 상태에서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접속구(3a)에 히알론산액을 충전한 시린지를 접속함으로써, 예를 들어 병변 점막을 팽창 융기시키는 조작도 행할 수 있다. 즉,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로부터 돌출시키고, 점막의 일부를 절개하고, 계속해서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요성 시스(2) 내로 인입하는 동시에, 이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를 점막 표면에 압박한 상태에서 접속구(3a)에 접속한 시린지로부터 히알론산액을 압송하고, 점막 하층에 국주(local injection)함으로써 병변 점막부를 팽창 융기시킬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고주파 처치구(1)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30)을 거쳐서 피검자의 체강 내, 예를 들어 식도, 위, 십이지장, 대장 등의 내부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체강 내벽에 병변 점막이 존재할 때에 이 고주파 처치구(1)의 가요성 시스(2) 내에 삽입 관통시킨 처치구 본체(10)를 구성하는 고주파 나이프(13)를 돌출시키고, 이 고주파 나이프(13)에 의해 병변 점막부를 박리하여 제거하는 처치나, 지혈을 위해 출혈 부분을 소작하는 처치 등을 행하기 위해 이용된다. 그로 인해, 가요성 시스(2)의 기단부에 연결한 핸들 부재(4)의 본체 축(4a)을 따라서 슬라이더(4b)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로부터 출몰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고주파 처치구(1)가 삽입되는 내시경(30)은 본체 조작부(31)에 삽입부(32)를 연결하여 설치한 것이고, 삽입부(32)는 본체 조작부(31)로의 연결측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은 삽입 경로를 따라서 자유자재로 구부리는 연성부(32a)이고, 이 연성부(32a)에는 앵글부(32b) 및 선단부 경질부(32c)가 순차적으로 연속 설치되어 있 다. 선단부 경질부(32c)에는 조명부 및 관찰부로 이루어지는 내시경 관찰 수단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 조작부(31)의 삽입부(32)로의 연결부 근방에는 처치구 도입부(33)가 마련되어 있고, 이 처치구 도입부(33)에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의 기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의 선단부는 삽입부(32) 내에 있어서, 선단부 경질부(32c)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은 선단부 경질부(32c)의 선단부에 있어서, 내시경 관찰 수단의 장착부 근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 처치구(1)를 처치구 도입부(33)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로 삽입시키고, 선단부 경질부(32c)로부터 도출시킴으로써 원하는 처치가 행해진다.
여기서, 내시경(30)의 삽입부(32)에 있어서의 앵글부(32b)는 본체 조작부(31)에 장착한 앵글 손잡이(35)를 조작함으로써 만곡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내시경 관찰 수단을 마련한 선단부 경질부(32c)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에 삽입 관통시킨 고주파 처치구(1)를 포함한 다양한 처치구에 의한 처치를 원활하게 행하게 된다. 그리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글부(32b)는 180도 내지 그 이상의 각도에서 만곡시킬 수 있고, 게다가 좁은 공간 내에서 원활하게 만곡시키기 위해, 만곡 곡률의 반경은 매우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앵글부(32b)를 만곡시킨 상태에서도 고주파 처치구(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에 삽입 관통시켜 처치가 행해진다.
고주파 나이프(13)에 연결한 도전체 코드(11)는 모두 도전성이 양호한 부재로 형성한 도전선(11a)과 중공 와이어(11b)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고, 그 연 결 위치는 처치구 본체(10)에 있어서의 선단부 근방 위치이다. 즉, 고주파 처치구(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에 삽입 관통시켰을 때에 중공 와이어(11b)는 삽입부(32)의 앵글부(32b)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중공 와이어(11b)에 연결한 도전선(11a)은 핸들 부재(4)까지 연장되어 있고, 이 핸들 부재(4)는 가요성 시스(2)의 처치구 도입부(33)로부터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여기서, 중공 와이어(11b)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 선재를 다조로 하여 밀하게 코일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구부림 방향의 가요성 및 탄성이 우수하고, 또한 가요성 시스(2) 내에서 똑바로 압입하면, 그 압입력이 효율적으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전선(11a)은 구부림 방향에 가요성을 갖지만, 중공 와이어(11b)보다 강성이 높고, 어느 정도의 뻣뻣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전선(11a)은 어느 정도 대직경화시킴으로써, 원하는 강성과 구부림 방향의 가요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도전선(11a)은, 가요성 시스(2) 내에서의 압입력의 전달 효율은 중공 와이어(11b)보다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지금, 내시경(30)의 삽입부(32)를 피검자의 체강 내에 삽입하고, 이 체강 내의 검사를 행하고 있는 동안에 처치해야 할 부위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이때, 고주파 처치구(1)를 처치구 도입부(33)로부터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로 삽입하고, 삽입부(32)의 선단부 경질부(32c)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돌출시켜 필요한 처치를 행한다. 이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에 고주파 처치구(1)를 삽입할 때에는, 처치구 본체(10)의 고주파 나이프(13)는 가요성 시스(2)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로부터는 돌출되지 않는다. 이 고주파 처치구(1)의 삽 입 시에 삽입부(32)에 있어서, 연성부(32a)가 구부러져 있거나, 앵글부(32b)가 만곡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처치구 본체(10)의 도전체 코드(11)는 그 전체가 구부림 방향에 가요성을 가지므로, 고주파 처치구(1)의 삽입부(32) 내로의 삽입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고주파 처치구(1)의 가요성 시스(2)가 삽입부(32)의 선단부 경질부(32c)로부터 도출되고, 이 가요성 시스(2)를 환부를 향해 방향 조정하기 위해, 앵글부(32b)를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것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에 삽입 관통시킨 가요성 시스(2)가 앵글부(32b)의 부위를 관통하고 있으므로, 이 가요성 시스(2) 및 그 내부에 삽입 관통시킨 도전체 코드(11)에 의해 앵글부(32b)의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이 증대된다. 그러나, 도전체 코드(11) 중, 앵글부(32b)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은 구부림 방향에 높은 가요성을 갖는 중공 와이어(11b)이기 때문에,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 내에 삽입 관통되어 있는 고주파 처치구(1)에 의해 앵글 손잡이(35)를 수동 조작으로 행해지는 앵글부(32b)의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이 그다지 크게는 증대되지 않아, 앵글 조작의 조작성이 각별히 저하되지는 않는다. 또한, 앵글부(32b)를 만곡시킨 상태에서 고주파 처치구(1)를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에 삽입하여, 선단부 경질부(32c)로부터 도출시키는 조작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고주파 처치구(1)의 선단부를 선단부 경질부(32c)로부터 도출시킨 후에,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로부터 고주파 나이프(13)를 돌출시킨다. 이 조작은 핸들 부재(4)의 슬라이더(4b)를 본체 축(4a)을 따라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처치 구 본체(10)를 구성하는 도전체 코드(11)는 슬라이더(4b)로의 연결부로부터 대부분의 길이, 즉 연성부(32a)의 내부에서는 도전선(11a)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도전선(11a)은 구부림 방향에 있어서의 가요성을 갖지만, 상당한 뻣뻣하게 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4b)의 조작에 의해 이 도전선(11a)을 가요성 시스(2) 내로 압입했을 때에 이 압입력이 선단부까지 확실하게 전달된다. 게다가, 삽입 경로를 따라서 구부러지지만, 그 구부림은 느슨한 연성부(32a)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연성부(32a)의 굴곡에 문제없이 추종하게 된다.
도전체 코드(11)에 있어서의 도전선(11a)의 선단부에는 중공 와이어(11b)가 연결되고, 이 중공 와이어(11b)의 선단부에 고주파 나이프(1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공 와이어(11b)는 도전선(11a)보다 압입력의 전달 효율이 낮지만, 이 중공 와이어(11b)는 실질적으로 앵글부(32b)의 내부로 한정되어 있고, 도전체 코드(11) 중 길이는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로부터 도출시키는 조작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여기서, 중공 와이어(11b)의 구부림 방향으로의 가요성의 정도, 탄성력, 직진 방향에 있어서의 강성 등은 중공 와이어(11b)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와, 그것을 나선형으로 권취할 때의 조 개수에 의해 결정된다. 중공 와이어(11b)의 권취 시의 조 개수는, 구체적으로는 5조 내지 10조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고주파 나이프(13)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막대형 전극(14)의 선단부는 개략 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도전체 코드(11)의 기단부를 가요성 시스(2) 내로 압입하였을 때에 이 가요성 시스(2)의 내면을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한다. 단, 가요성 시스(2)의 선단부에는 불러 들이기 부재(22) 및 가이드 통(20)이 장착되어 있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요성 시스(2)의 내면과 불러 들이기 부재(22)의 단부 사이에 걸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중공 와이어(11b)는 탄성을 갖는 것이고, 또한 도전선(11a)에 의한 압입력의 전달 효율이 높기 때문에, 중공 와이어(11b)에 대해 강력한 압박력이 작용하고, 그 결과 중공 와이어(11b)가 활처럼 휘고, 어느 정도 휘면, 그 탄발력에 의해 불러 들이기 부재(22)의 외주 엣지 부분으로부터 중심부측으로 변위되게 된다. 따라서,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가이드 통(20)의 관통 구멍(21) 내로 이행한다.
고주파 나이프(13)는 그 막대형 전극(14)에 설치한 블레이드부(15)가 가이드 통(20)의 내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고, 이 막대형 전극(14)이 가이드 통(20)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된다. 그리고, 스토퍼면(15c)이 가이드 통(20)의 단부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주파 나이프(13)의 돌출량이 규제된다. 그리고, 앵글부(32b)를 적절하게 만곡 조작하면서 환부의 절개나 소작에 의한 지혈 등의 처치가 행해진다. 이 앵글부(32b)의 만곡 조작도 가벼운 부하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고주파 나이프(13)의 위치나 방향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전원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접점부(12)를 거쳐서 고주파 전류를 흐르게 하면, 도전체 코드(11)를 구성하는 도전선(11a) 및 중공 와이어(11b)를 거쳐서 고주파 나이프(13)의 막대형 전극(14)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 않은 대극판을 피검자의 신체에 접촉시키도록 한다. 환부의 소작 등의 처치가 종료되면, 고주파 나이프(13)를 가요성 시스(2)의 내부로 인입하고, 계속해서 고주파 처치구(1)의 전체를 내시경(30)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로부터 인출하도록 하여 취출된다.
앵글부(32b)가 급한 각도로 만곡된 상태에서 긴 시간에 걸쳐서 고주파 처치구(1)의 조작을 행하면, 도전체 코드(11)는 무리하게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앵글부(32b)의 구부림이 해제되거나, 또는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34)로부터 고주파 처치구(1)를 인출하였을 때에 도전체 코드(11)에 구부림 결점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도전체 코드(11) 중, 극단적으로 구부릴 수 있는 것은 중공 와이어(11b)의 부위이고, 앵글부(32b)보다 기단부측에 위치하는 도전선(11a)에는 그다지 강한 구부림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도전선(11a)에는 구부림 성질이 생길 우려는 없다. 또한, 중공 와이어(11b)는 탄성을 갖는 금속 선재를 밀하게 코일형으로 권취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구부림에 대한 복원성이 우수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앵글부(32b)를 극단적으로 만곡시키는 등의 과혹한 조건 하에서 사용되어도 구부림 성질 등이 생길 우려는 없다.
이상과 같이, 가요성 시스의 내부에 설치한 도전체 코드를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에 삽입 관통시켰을 때에 이 내시경의 삽입부 중, 앵글부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구부림 방향으로 높은 가요성을 갖는 중공 와이어로 하였으므로, 앵글부를 만곡 조작하였을 때에 이 만곡 조작에 대한 저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앵글부만큼 크게 구부러지지 않는 연성부에 위치하는 부위에서는 도전선으로 구성하였으므로, 이 도전선에 강성을 갖게 함으로써, 가요성 시스 내에서의 처치 부재에 대한 압입 조작력의 전달이 양호해져, 전체적으로 고주파 처치구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 관통 가능한 가요성 시스와, 이 가요성 시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도전체 코드의 선단부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는 고주파 처치 부재를 설치한 처치구 본체와, 상기 가요성 시스의 기단부에 연결한 핸들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요성 시스의 선단부에는 상기 핸들 부재의 조작에 의해 상기 고주파 처치 부재를 상기 가요성 시스로부터 출몰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통을 삽입ㆍ고정한 고주파 처치구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 코드는, 상기 고주파 처치 부재에 연결되어, 금속 선재를 빽빽하게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통형으로 한 중공 와이어와, 이 중공 와이어의 기단부에 삽입하여 고착시킨 도전선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공 와이어는, 상기 가요성 시스를 상기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관통 채널 내에 삽입시켰을 때에 적어도 이 내시경 삽입부의 선단부로부터 앵글부의 기단부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으로 이루어지고, 이 중공 와이어에 고착한 상기 도전선의 기단부를 상기 핸들 부재에 밀고 당기기 조작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처치 부재는 고주파 나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와이어는 금속 선재를 복수조로 하여 띠 부재를 형성하고, 이 띠 부재를 통형에 권취한 것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처치구.
KR1020070046311A 2006-05-15 2007-05-14 고주파 처치구 KR200701107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35162A JP2007301285A (ja) 2006-05-15 2006-05-15 高周波処置具
JPJP-P-2006-00135162 2006-05-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87A true KR20070110787A (ko) 2007-11-20

Family

ID=3883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311A KR20070110787A (ko) 2006-05-15 2007-05-14 고주파 처치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7301285A (ko)
KR (1) KR20070110787A (ko)
CN (1) CN1010735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96B1 (ko) * 2008-02-28 2010-03-26 (주)트리플씨메디칼 고주파 의료용 소작기 및 고주파 치료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6200A (ja) * 2008-08-20 2010-03-04 Fujinon Corp 高周波処置具
JP6153688B1 (ja) * 2015-08-07 2017-06-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処置装置
GB2543509B (en) * 2015-10-19 2020-10-14 Creo Medical Ltd Electrosurgical instrument
KR102090363B1 (ko) * 2017-03-06 2020-03-1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연성 메커니즘
CN116807601B (zh) * 2023-06-25 2024-04-26 浙江舒友仪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手术吸烟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996B1 (ko) * 2008-02-28 2010-03-26 (주)트리플씨메디칼 고주파 의료용 소작기 및 고주파 치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301285A (ja) 2007-11-22
CN101073515A (zh) 2007-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71125B2 (ja) 高周波処置具
US8486010B2 (en) Bendable catheter
JP4035100B2 (ja) 医療用処置具及びこれを備えた医療用処置装置
US8771266B2 (en) Ablation therapeutic device, resectoscope and method of ablating living body tissue
EP2548527B1 (en) Endoscopic treatment device
JP2009112794A (ja) 高周波処置具
JP2003052713A (ja) 内視鏡用処置装置
KR20070110787A (ko) 고주파 처치구
US20100241118A1 (en) High frequency treatment instrument
JPH11192205A (ja) 内視鏡用ドレナージチューブ留置具
JP3171628B2 (ja) 内視鏡用高周波ナイフ
JP2006187446A (ja) 内視鏡用処置具
US20220022956A1 (en) Endoscope snare
JP2528223B2 (ja) 内視鏡用高周波切開具
JP5186346B2 (ja)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US7967819B2 (en) Soft bipolar forceps
US20070203489A1 (en) High-frequency current treatment tool
JP2007275625A (ja) 高周波処置具
JP2006325812A (ja) 高周波処置具
JP2009095451A (ja) 内視鏡用処置具
JP2008295905A (ja) 内視鏡用モノポーラ型高周波ナイフ
US20230270494A1 (en) Treatment apparatus for endoscopes and expandable frames
JP4271080B2 (ja) 内視鏡用処置装置
JP4634619B2 (ja) 内視鏡用高周波スネア
KR102190435B1 (ko) 의료용 천공소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