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482A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482A
KR20070107482A KR1020060040037A KR20060040037A KR20070107482A KR 20070107482 A KR20070107482 A KR 20070107482A KR 1020060040037 A KR1020060040037 A KR 1020060040037A KR 20060040037 A KR20060040037 A KR 20060040037A KR 20070107482 A KR20070107482 A KR 20070107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fixing part
guide plate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5254B1 (ko
Inventor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0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5254B1/ko
Priority to US11/739,764 priority patent/US7505668B2/en
Publication of KR20070107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5Diffusing sheet or layer; Prismatic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5Means for removing heat created by the light source from the package

Abstract

본 발명은 휘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장치는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며 입광면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접촉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의 중첩되는 영역의 상기 광원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 액정 표시 장치의 도광판과 광원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을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고정 돌기와 고정 홈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고정 홈에 입사되는 광의 산란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원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광원 기판과 대응되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8 : 수납 부재 102 : 액정 패널
104 : 칼라필터 기판 106 : 박막트랜지스터 기판
114 : 몰드 프레임 116 : 발광 다이오드
118 : 광원 기판 120 : 광발생부
124 : 도광판 126 : 고정 홈
128 : 고정 돌기 130 : 확산시트
132 : 프리즘 시트 134 : 보호시트
136 : 광학시트 154 : 반사시트
본 발명은 백라이트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휘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두 기판 사이에 주입된 이방성 유전율을 갖는 액정 물질에 전계를 인가하고, 이 전계의 세기를 조절하여 기판에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 표시 패널은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비발광소자이므로 액정 표시 장치는 그 액정 표시 패널에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다.
백라이트 유닛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는 다른 냉음극관 형광 램프 등에 비해 수명이 길고 점등 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이 적고 내충격성에 강하며 소형화 및 박막화에 적합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들(1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발광 다이오드(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광원 기판 상에 실장된다. 발광 다이오드들(16)이 실장된 광원 기판(18)은 그 발광 다이오드(16)로부터 입사된 광을 액정 표시 패널 쪽으로 진행시키는 도광판에 양면 테이프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 경우, 광을 생성하는 발광 다이오드(16)의 발열에 의해 양면 테이프의 접착성이 틀어지게 되므로 도광판과 광원 기판(18) 간의 접착력이 저하되므로 도광판과 발광 다이오드(16) 간의 이격영역이 발생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진동/충격들이 가해지는 경우 그 진동/충격에 의해 도광판과 발광 다이오드(16) 간에 이격영역이 발생된다. 이러한 이격 영역을 통해 출사된 광은 액정 표시 패널에 직접 입사되므로 다른 영역에 비해 밝게 보이는 휘도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광판과 광원 기판(16)의 부착공정시 작업자 간의 조립 편차로 인해 도광판과 광원 기판의 이격거리도 달라지게 되므로 균일한 휘도 특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발광 다이오드(16)의 출사면과 중첩되는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량(H)은 발광 다이오드(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량(L)보다 많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6)의 출사면과 중첩되는 도광판의 입사면쪽으로 상대적으로 밝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휘도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며 입광면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접촉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의 중첩되는 영역의 상기 광원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며 입광면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접 촉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의 중첩되는 영역의 상기 광원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는 삼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 외에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액정 표시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모듈은 액정 패널(102)과, 액정 패널(102)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 패널(102)이 내부에 적층된 몰드 프레임(114)과, 액정 패널(102)의 가장자리를 감쌈과 아울러 몰드 프레임(114)을 감싸는 상부 수납 부재(100)와, 백라이트 유닛과 그 인접한 영역을 수납하는 하부 수납 부재(108)를 구비한다.
액정 패널(102)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6) 및 칼러 필터 기판(104)을 구비한다.
칼러 필터 기판(104)에는 빛샘 방지를 위한 블랙 매트릭스와, 칼러 구현을 위한 칼러 필터, 화소전극과 수직전계를 이루는 공통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상부 배향막을 포함하는 칼라 필터 어레이가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106)에는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와,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하부 배향막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 터 어레이가 하부 기판 상에 형성된다.
몰드 프레임(114)은 몰드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된다. 몰드 프레임(114)의 그 내부 최저층에 백라이트 유닛이 장착됨과 아울러 광학 시트들(136) 위에 위치하게끔 액정 패널(102)이 장착된다.
상부 수납 부재(100)는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부 수납 부재(100)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패널(102)의 가장자리와 몰드 프레임(114)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 수납 부재(100)는 외부에서 가해진 충격에 의해 액정 패널(102) 및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함과 아울러 상부 수납 부재(100)와 하부 수납 부재(108) 사이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의 이탈을 방지한다.
하부 수납 부재(108)는 발광 다이오드(116)를 감싸는 광원 기판(118)을 지지함과 아울러 광원 기판(118) 및 반사시트(154)의 열을 방열시킨다.
백라이트 유닛은 광발생부(120)와, 광발생부(120)로부터의 광이 공급되는 도광판(124)과, 도광판(124) 상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 시트(136)와, 도광판(124)의 하부에 설치된 반사시트(154)를 구비한다.
광학시트들(136)은 도광판(124)에서 출사되는 광을 액정 패널(102)에 입사시킨다. 이러한 광학시트들(136)은 도광판(124)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액정 패널(102)에 입사시키므로 광의 효율이 향상된다. 이를 위해, 광학시트들(136)은 확산시트(130), 프리즘 시트(132) 및 보호 시트(134)를 구비한다.
확산 시트(130)는 도광판(124)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액정 패널(102)의 정면 으로 향하게 하고, 넓은 범위에서 균일한 분포를 가지도록 광을 확산시켜 액정 패널(102)에 조사되게 한다. 이러한 확산 시트(130)로는 양면에 소정의 광 확산용 부재가 코팅된 투명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 시트(132)는 확산시트(130)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진행각도를 액정 패널(102)에 수직하도록 변환한다. 이는 액정패널(102)로 입사되는 광이 액정패널(102)과 수직을 이룰 때 광효율이 커지기 때문이다. 보호시트(134)는 프리즘 시트의 표면을 보호함과 아울러 프리즘 시트를 경유한 광을 확산시킨다.
반사 시트(154)는 높은 광반사율을 갖는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도광판(124)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24) 쪽으로 재반사시켜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광발생부(120)는 발광 다이오드(116)와, 발광 다이오드(116)가 실장된 광원 기판(118)을 구비한다.
발광 다이오드(116)는 도광판(124)에 부착되는 광원 기판(116) 상에 실장되어 광을 생성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16)에서 생성된 광은 도광판(124)의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하는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124)에 입사된다.
광원 기판(118)은 연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 FPC) 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으로 형성된다. 이 광원 기판(118)에는 적어도 두 개의 발광 다이오드(116)가 실장되며, 그 광원 기판(118)은 발광 다이오드들(120)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함과 아울러 발광 다이오드들(116)에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이러한 광원 기판(118) 상에는 도광판(124)의 고정 홈(126)과 결합되는 고정 돌기(128)가 형성된다. 고정 돌기(128)는 광원 기판(118)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 때, 고정 돌기(128)는 광원 기판(118)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 돌기(1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 또는 반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 돌기(12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되게 형성되거나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돌기(128)가 고정 홈(126)에 삽입됨으로써 도광판(124)의 입사면과 발광 다이오드들(116)의 출사면이 접촉하게 된다.
도광판(124)은 입사면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116)로부터 입사되는 선 광원을 면 광원으로 변환하여 액정 패널(102) 쪽으로 안내한다. 이 때, 도광판(124)의 배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 시트(154)에 의해서 반사되어 출사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또한, 도광판(12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기판(118)의 고정 돌기(128)와 결합되는 고정 홈(126)을 구비한다. 고정 홈(126)은 광원 기판(118)과 접촉하는 영역에서 도광판(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126)은 도광판(124)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즉, 고정 홈(12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 원 또는 반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126)에 고정 돌기(128)가 삽입됨으로써 도광판(124)은 자신의 입사면과 발광다이오드들(116)의 출사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도광판(124)에 입사되는 광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고정 홈(126)에 의해 노출된 도광판(124)의 경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반사되어 산란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124)으로 입사되는 광은 고정 홈(126)에 의해 노출된 경사면에서 난반사되어 산란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124)의 입사부와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중첩되는 도광판(124)의 입사부의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광원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원 기판과 접촉되는 도광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액정 표시 장치와 대비하여 고정 돌기 및 고정 홈이 도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 돌기(128)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의 광원 기판(118) 상에 다수개 이격되어 도트 형태로 형성된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의 광원 기판(118) 상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돌기(128)는 광원 기판(118)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위해, 고정 돌기(128)는 다각형 형태,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형태,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돌기(128)가 고정 홈(126)에 삽입됨으로써 도광판(124)의 입사면과 발광 다이오드들(116)의 출사면이 접촉하게 된다.
고정 홈(126)은 고정 돌기(128)와 대응되는 도광판(124)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126)은 도트 형태로 형성된 도 7a에 도시된 고정 돌기(128)가 삽입되도록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서 도트 형태로 형성된다. 또는 도 7b에 도시된 고정 돌기(128)가 삽입되도록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발광 다이오드들(116) 간의 이격 거리 이하의 길이를 가지는 홈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126)은 도광판(124)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든다. 구체적으로, 고정 홈(126)은 다각형 형태, 예를 들어 직각 삼각형 형태, 반원 형태 또는 반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 홈(126)에 고정 돌기(128)가 삽입됨으로써 도광판(124)은 자신의 입사면과 발광다이오드들(116)의 출사면이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도광판(124)에 입사되는 광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고정 홈(126)에 의해 노출된 도광판(124)의 경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은 난반사되어 산란된다. 즉,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124)으로 입사되는 광은 고정 홈(126)에 의해 노출된 경사면에서 난반사되어 산란 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124)의 입사부와 발광 다이오드(116)의 출사면과 중첩되는 도광판(124)의 입사부의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도광판의 고정 홈에 광원 기판의 고정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도광판의 입사면과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도광판과 광원 기판이 정렬된다. 이 경우, 도광판의 입사면과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도광판의 입사되는 광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도광판 및 광원 기판을 고정시키는 고정 홈과 고정 돌기에 의해 종래 접착부재인 양면 테이프등이 불필요하므로 조립 공정이 단순화됨과 아울러 접착 부재에 의한 비용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는 삼각형, 원형, 타원형태의 고정 홈에 입사되는 광이 산란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중첩되는 도광판의 입광부와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도광판의 입광부 간의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 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며 입광면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접촉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의 중첩되는 영역의 상기 광원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는 삼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
  8. 광을 생성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백라이트 유닛에서 생성된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구현하는 액정 표시 패널을 구비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들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이 실장되는 광원 기판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에서 생성된 광을 면광원으로 변환하며 입광면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접촉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과의 중첩되는 영역의 상기 광원 기판 상에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도광판 상에 형성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광판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홈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도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홈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출사면과 비중첩되는 영역에 라인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고정부는 삼각형, 반원형 또는 반타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060040037A 2006-05-03 2006-05-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75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37A KR101275254B1 (ko) 2006-05-03 2006-05-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US11/739,764 US7505668B2 (en) 2006-05-03 2007-04-25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0037A KR101275254B1 (ko) 2006-05-03 2006-05-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482A true KR20070107482A (ko) 2007-11-07
KR101275254B1 KR101275254B1 (ko) 2013-06-14

Family

ID=3866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0037A KR101275254B1 (ko) 2006-05-03 2006-05-03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505668B2 (ko)
KR (1) KR1012752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78A3 (en) * 2009-11-12 2011-10-13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20130111770A (ko) * 2012-04-02 2013-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US8625049B2 (en) 2010-02-21 2014-01-07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400607B1 (ko) * 2011-04-01 2014-05-27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비
USRE46781E1 (en) 2009-11-12 2018-04-1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3727B2 (ja) * 2006-11-13 2009-09-16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照明装置及び電子機器
CN101349778A (zh) * 2008-09-10 2009-01-21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块
KR101127581B1 (ko) * 2009-12-18 2012-03-2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 및 이를 채용한 디스플레이 모듈
JP2012033420A (ja) * 2010-08-02 2012-02-16 Hitachi Consumer Electronics Co Ltd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TWI499299B (zh) 2011-04-01 2015-09-01 Wistron Corp 平面顯示器
US8708546B2 (en) * 2012-02-15 2014-04-29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Backlight module
US9341346B1 (en) 2012-12-14 2016-05-1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Light emitting diode to light emitting panel interface gasket
JP6218611B2 (ja) * 2014-01-10 2017-10-25 三菱電機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6311569B2 (ja) * 2014-10-21 2018-04-18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CN115993739A (zh) * 2018-05-09 2023-04-21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模块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6081A (ja) * 2002-05-31 2004-01-08 Omron Corp 面光源装置及び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
JP2004184493A (ja) * 2002-11-29 2004-07-02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489423B2 (ja) * 2003-12-26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674827B1 (ko) * 2004-07-28 2007-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니트용 led 패키지
JP4482876B2 (ja) * 2004-09-06 2010-06-16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0501202B1 (ko) * 2004-11-02 2005-07-18 삼성전기주식회사 측면형 발광 다이오드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KR100609057B1 (ko) * 2004-11-17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US7293906B2 (en) * 2005-05-23 2007-11-13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Light source adapted for LCD back-lit displays
JP4729720B2 (ja) * 2005-12-21 2011-07-20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面状照明装置及びこの面状照明装置をバックライトとした液晶表示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78A3 (en) * 2009-11-12 2011-10-13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456592B2 (en) 2009-11-12 2013-06-04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6781E1 (en) 2009-11-12 2018-04-1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6795E1 (en) 2009-11-12 2018-04-17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8779E1 (en) 2009-11-12 2021-10-19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8625049B2 (en) 2010-02-21 2014-01-07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7135E1 (en) 2010-02-21 2018-11-2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7541E1 (en) 2010-02-21 2019-07-30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RE49403E1 (en) 2010-02-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1400607B1 (ko) * 2011-04-01 2014-05-27 위스트론 코포레이션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비
KR20130111770A (ko) * 2012-04-02 2013-10-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05668B2 (en) 2009-03-17
US20070258264A1 (en) 2007-11-08
KR101275254B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25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US7441938B2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US7936411B2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261449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장치
US20040001345A1 (en) Illuminating apparatus,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80144334A1 (en)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light source unit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KR2007012131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95812A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87226A (ko) 광원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0988936B1 (ko) 도광판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KR101483185B1 (ko) 표시 장치
KR2007006795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는 액정 표시 모듈
KR2005003072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60058596A (ko) 백라이트 유닛 어셈블리
KR200446933Y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05759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00210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13573A (ko) 프리즘 시트,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KR20100083944A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2673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089302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10033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8002669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80057389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70042634A (ko) 액정 표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