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027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027B1
KR100893027B1 KR1020070106064A KR20070106064A KR100893027B1 KR 100893027 B1 KR100893027 B1 KR 100893027B1 KR 1020070106064 A KR1020070106064 A KR 1020070106064A KR 20070106064 A KR20070106064 A KR 20070106064A KR 100893027 B1 KR100893027 B1 KR 100893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liquid crystal
guide plate
light
cryst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027B1/ko
Priority to US12/679,145 priority patent/US8462295B2/en
Priority to PCT/KR2008/006254 priority patent/WO2009054677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28Light guide, e.g. tap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액정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광판, 액정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도광판에 마주보는 제 2 도광판,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향하여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가이드부재 및 광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듀얼, 액정, 표시장치, 광가이드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실시예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는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등 여러 가지의 평판표시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특히, LCD가 널리 쓰이고 있으며, 전면과 후면 모두에 영상이 표시되는 듀얼 LCD도 사용되고 있다.
실시예는 높은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가지고, 보다 슬림하며, 전력 소비가 적은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광판, 상기 액정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도광판에 마주보는 제 2 도광판, 상기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향하여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광원에서 발생한 광이 1 차적으로 광가이드부재에 의해서 확산되고, 2 차적으로 도광판들에 의해서 확산되기 때문에, 높은 휘도 균일성을 가진다.
또한, 광원은 광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배치되므로, 액정패널,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의 두께를 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은 크기가 커짐에 따라서, 출사하는 광의 양이 커진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높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의 두께는 광원의 크기에 상관없이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여,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에 광을 출사할 수 있으므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 은 광가이드부재의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패널(100), 제 1 도광판(200), 제 2 도광판(300), 광가이드부재(400) 및 광원(500)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인 픽셀별로 각각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100)은 TFT기판(110), 컬러필터기판(120) 및 액정층(130)을 포함한다.
상기 TFT기판(11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 기판으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받아 각 픽셀별로 전계를 형성한다. 상기 TFT기판(110)은 예를 들어, 게이트 배선들, 상기 게이트 배선들에 교차되어 배치되는 데이터 배선들, 박막트랜지스터들 및 화소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배선을 통하여,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서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를 상기 화소전극에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신호가 인가된 화소 전극 및 공통의 전압이 인가되는 공통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화소전극들은 각 픽셀별당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컬러필터기판(120)은 상기 TFT기판(110)에 대향되어 배치된다. 상기 컬러필터기판(120)은 예를 들어, 다수 개의 컬러필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컬러필터들은 예를 들어, 적색 컬러필터들, 녹색 컬러필터들 및 청색 컬러필터들이다.
상기 컬러필터들은 예를 들어, 각 픽셀 당 하나씩 배치될 수 있으며, 각 픽셀별로 통과하는 백색광을 필터링하여, 각각의 색을 가진 영상을 구현한다.
상기 액정층(130)은 상기 TFT기판(110)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12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액정층(130)은 액정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층(130)은 각 픽셀 별로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한다.
상기 액정층(130)에 포함된 액정은 상기 공통전극 및 상기 화소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서 각 픽셀별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된 액정에 의해서, 상기 액정층(130)을 통과하는 광의 세기가 조절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은 상기 액정패널(100) 상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컬러필터기판(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은 예를 들어,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액정패널(100)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은 상기 광원(500)에서 발생한 광을 입사받아, 확산시켜, 상기 액정패널(100)을 향해 출사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폴리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PMMA),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acrylonitrile styrene;AS), 폴리스티렌(polystyrene;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PC),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PES), 폴리아미드(polyamide;PA), 폴리에스테르이미드(polyesterimide;PEI) 및 폴리메틸펜텐(polymethylpentene;PMP)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 2 도광판(300)은 상기 액정패널(100) 하부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TFT기판(110)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2 도광판(300)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도광판(200)과 마주본다.
상기 제 2 도광판(300)은 상기 광원(500)에서 발생한 광을 입사받아, 확산시켜, 상기 액정패널(100)을 향해 출사한다. 상기 제 2 도광판(3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상기 제 1 도광판(200)으로 사용되는 물질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액정패널(100),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상에 배치된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는 상기 광원(500)에서 발생한 광을 입사받아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을 향해 출사한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상기 제 1 도광판(20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와 동일하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는 제 1 출사면(410) 및 제 2 출사면(42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출사면(410)은 상기 제 1 도광판(200)을 향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1 출사면(410)은 상기 제 1 도광판(200)의 측면과 마주본다. 예를 들어, 상 기 제 1 출사면(410) 및 상기 제 1 도광판(200)의 측면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광판(200)의 측면은 상기 제 1 출사면(410)의 형상에 대하여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출사면(420)은 상기 제 2 도광판(300)을 향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출사면(420)은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측면과 마주본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출사면(42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은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은 상기 제 2 출사면(420)의 형상에 대하여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출사면(410) 및 상기 제 2 출사면(420) 사이에는 홈(430)이 형성된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는 상기 홈(430)이 형성된 면에 마주보는 면(440)을 가진다. 상기 마주보는 면(440)은 예를 들어, 상기 홈(430)에 대응하여 돌기 될 수 있다. 즉, 상기 홈(430)이 형성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한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의 단면은 예를 들어, 반-도너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마주보는 면은 평평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 및 상기 제 1 도광판(2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부재(4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가이드부재(400),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 판(30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재(400)가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또는 상기 제 2 도광판(300)과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으로부터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으로 입사되는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가이드부재(400)가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또는 상기 제 2 도광판(30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액정표시장치의 휘도가 향상된다.
상기 광원(500)은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500)은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의 끝단에 배치되며, 두 개가 양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출사면(410) 및 상기 제 2 출사면(420)과 교차하는 측면 상에 배치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광원(500)은 상기 제 1 출사면(410) 및 상기 제 2 출사면(420)에 마주보는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500)은 예를 들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 냉음극선관램프 또는 외부전극형광램프이며,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광원(500)에서 발생한 광은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에 입사되어, 상기 광가이드부재(400) 내에서 전반사 등에 의해서 확산되고,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을 향하여 출사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을 향하여 출사된 광은 상기 제 1 도광판(200) 내에서 전반사등을 통하여 확산되고, 상기 액정패널(100)을 향하여 하방으로 출사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으로부터 상기 액정패널(100)로 출사된 광은 상기 액정패 널(100)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액정패널(100)은 상기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각 픽셀별로 조절하여 상기 액정패널(100)의 하부면에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광판(300)을 향하여 출사된 광은 상기 제 2 도광판(300) 내에서 전반사등을 통하여 확산되고, 상기 액정패널(100)을 향하여 상방으로 출사된다. 상기 제 2 도광판(300)으로부터 상기 액정패널(100)로 출사된 광은 상기 액정패널(100)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액정패널(100)은 상기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각 픽셀별로 조절하여 상기 액정패널(100)의 상부면에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부면 및 하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은 광가이드부재(400)에서 1 차적으로 확산되고,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에서 2 차적으로 확산되기 때문에,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즉, 상기 광가이드부재(400)가 포함되지 않고,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에 광원(500)에 배치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더 높은 휘도 균일성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광가이드부재(400)의 측면에 광원(500)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광원(500)의 두께는 상기 액정패널(100),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두께를 합한 값과 같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높은 출력을 가지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높은 휘도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광판의 두께는 상기 광원(5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조절될 수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슬림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하나의 광원을 사용하여, 제 1 도광판(200) 및 제 2 도광판(300)에 광을 출사할 수 있어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에 형성되는 홈의 단면은 예를 들어, U자 형상이거나, V자 형상일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의 홈 내측에는 서브 홈이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홈은 예를 들어, 다수 개가 형성된다.
상기 서브 홈의 단면은 예를 들어, U자 형상이거나, V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서브 홈에 의해서, 상기 광원(500)에서 출사되는 광은 상기 서브 홈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더 잘 확산된다.
도 7 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의 제 1 출사면 및 제 2 출사면에 마주보는 면은 볼록하다. 예를 들어, 상기 광가이드부재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센터의 폭(W1)은 양 끝의 폭(W2)보다 크다.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입사되는 광을 보다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도 8 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의 상기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출사면은 볼록하다.
이때, 상기 제 1 출사면에 마주보는 제 1 도광판(200)의 측면은 상기 제 1 출사면에 대응하여 오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출사면에 마주보는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은 상기 제 2 출사면에 대응하여 오목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입사되는 광을 보다 균일하게 확산시킬 수 있다.
도 9 를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는 제 1 출사면 및 제 2 출사면에 마주보는 오목한 면을 포함한다.
도 10 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는 오목한 제 1 출사면 및 오목한 제 2 출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출사면에 마주보는 오목한 면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 1 출사면에 마주보는 제 1 도광판(200)의 측면은 상기 제 1 출사면에 대응하여 볼록할 수 있고, 상기 제 2 출사면에 마주보는 제 2 도광판(300)의 측면은 상기 제 2 출사면에 대응하여 볼록할 수 있다.
도 11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를 참조하고, 광가이드부재 및 광원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11 을 참조하면, 광가이드부재(400)는 제 1 광가이드부재(410) 및 제 2 광가이드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광가이드부재(410) 및 상기 제 2 광가이드부재(420)는 액정패널(100), 제 1 도광판(200) 및 제 2 도광판(3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다.
또한, 광원은 상기 제 1 광가이드부재(410)의 측면 및 상기 제 2 광가이드부 재(4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은 상기 제 1 광가이드부재(410)의 측면 및 상기 제 2 광가이드부재(420)의 측면 상에 각각 하나씩 또는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의 마주보는 양측면을 향하여 광이 출사되기 때문에,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더 높은 휘도 및 휘도 균일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2 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완충부재(600)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완충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충부재(600)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접착력을 가지고 있다. 상기 완충부재(6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600)는 제 1 완충부재(610) 및 제 2 완충부재(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완충부재(610)는 제 1 도광판(200) 및 액정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1 완충부재(61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액정패널(100)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제 1 완충부재(61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도광판(200)에 밀착되고, 상기 액정패널(100)에 밀착된다.
상기 제 2 완충부재(620)는 제 2 도광판(30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제 2 완충부재(6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도광판(300) 및 상기 액정패널(100)에 접착된다. 또한, 상기 제 2 완충부재(62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2 도광판(300)에 밀착되고, 상기 액정패널(100)에 밀착된다.
상기 완충부재(600)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은 상기 액정패널(10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제 2 도광판(300)에 인가되는 물리적인 충격은 상기 완충부재(600)에 의해서 흡수된다.
상기 제 1 완충부재(610)는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액정패널(100) 밀착되고, 상기 제 2 완충부재(620)는 상기 제 2 도광판(300) 및 상기 액정패널(10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그리고, 상기 제 2 도광판(300) 및 상기 액정패널(100)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 보다 향상된 화질을 구현한다.
도 13 은 제 4 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참조하고, 액정패널 및 반사판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설명한다.
도 13 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반사판(700)을 포함하고, 액정패널(100)을 제 1 액정패널(101) 및 제 2 액정패널(102)을 포함한다.
상기 반사판(700)은 상기 제 1 액정패널(101) 및 상기 제 2 액정패널(10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반사판(700)은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을 통과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고,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을 통과하는 광을 하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은 상기 반사판(7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은 상기 반사판(700)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기 제 1 액정패널(101) 및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은 상기 반사판(7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본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은 상기 제 1 도광판(200) 및 상기 반사판(70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은 상기 제 2 도광판(300) 및 상기 반사판(70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은 제 1 TFT기판(111), 제 1 컬러필터기판(121) 및 제 1 액정층(13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TFT기판(111)은 상기 반사판(7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컬러필터기판(121)은 상기 제 1 TFT기판(111) 상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 1 액정층(131)은 상기 제 1 컬러필터기판(121) 및 상기 제 1 TFT기판(11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은 제 2 TFT기판(112), 제 2 컬러필터기판(122) 및 제 2 액정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TFT기판(112)은 상기 반사판(70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컬러필터 기판(122)은 상기 제 2 TFT기판(112)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 액정층(132)은 상기 제 2 컬러필터기판(122) 및 상기 제 2 TFT기판(1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광판(200)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을 향하여 출사되고,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을 통과하여, 반사판(700)에 의해서 다시 상방으로 반사된다. 이후, 상기 반사되는 광은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각 픽셀별로 조절하고, 상기 제 1 액정패널(101)의 상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제 2 도광판(300)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을 향하여 출사되고,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을 통과하여, 반사판(700)에 의해서 다시 하방으로 반사된다. 이후, 상기 반사되는 광은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을 통과한다.
이때,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각 픽셀별로 조절하고, 상기 제 2 액정패널(102)의 하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제 1 액정패널(101)의 상부면 및 제 2 액정패널(102)의 하부면 상에 영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상기 두 면에 각각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에서 I-I`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0 은 광가이드부재의 예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는 제 3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4 실시에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5)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광판;
    상기 액정패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도광판에 마주보는 제 2 도광판;
    상기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향하여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도광판을 향하는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향하는 제 2 출사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출사면 사이에 제 1 홈이 형성된 액정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은 V자 홈 또는 U자 홈인 액정표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내측면에 형성되는 제 2 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면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하거나 오목한 면은 상기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을 향하거나, 상기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광가이드부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광원 및 제 2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과 상기 제 2 도광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가이드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도광판 및 제 2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광가이드부재 및 제 2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 및 상기 액정패널 사이 및 상기 제 2 도광판 및 상기 액정패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2. 반사판;
    상기 반사판 위에 배치되는 제 1 액정패널;
    상기 반사판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액정패널;
    상기 제 1 액정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 1 도광판;
    상기 제 2 액정패널 아래에 배치되는 제 2 도광판;
    상기 제 1 도광판을 향하는 제 1 출사면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향하는 제 2 출사면을 포함하는 광가이드부재; 및
    상기 광가이드부재의 측면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볼록하거나 오목한 면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도광판 및 상기 제 2 도광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 1 광가이드부재 및 제 2 광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광판 및 상기 액정패널 사이와 상기 제 2 도광판 및 상기 액정패널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개재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70106064A 2007-10-22 2007-10-22 액정표시장치 KR100893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64A KR100893027B1 (ko) 2007-10-22 2007-10-22 액정표시장치
US12/679,145 US8462295B2 (en) 2007-10-22 2008-10-22 Display device
PCT/KR2008/006254 WO2009054677A2 (en) 2007-10-22 2008-10-2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64A KR100893027B1 (ko) 2007-10-22 2007-10-22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3027B1 true KR100893027B1 (ko) 2009-04-15

Family

ID=4058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64A KR100893027B1 (ko) 2007-10-22 2007-10-22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62295B2 (ko)
KR (1) KR100893027B1 (ko)
WO (1) WO20090546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424B2 (en) * 2014-01-10 2019-02-19 Corning Incorporated Visual display backlight un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4627A (ja) * 2003-06-30 2005-01-2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KR20070059526A (ko) * 2005-12-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표시 장치
JP2007220464A (ja) * 2006-02-16 2007-08-30 Nec Lcd Technologies Ltd バックライト及び該バックライト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30945B2 (en) 2001-08-22 2006-04-18 Nitto Denko Corporation Liquid-crystal display device
JP4814451B2 (ja) * 2001-08-22 2011-11-16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4199027A (ja) * 2002-10-24 2004-07-15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TWI241437B (en) * 2003-05-30 2005-10-11 Toppoly Optoelectronics Corp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100518408B1 (ko) 2003-08-22 2005-09-2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듀얼 프론트 라이트를 이용한 듀얼 액정표시장치
KR20050062269A (ko) * 2003-12-20 2005-06-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양면 반사형 액정표시장치
US7165865B2 (en) * 2004-12-03 2007-01-23 Arima Display Corporation Folding mobile phone and double-sid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JP4846369B2 (ja) 2006-01-24 2011-12-28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及び、液晶表示素子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24627A (ja) * 2003-06-30 2005-01-27 Casio Comput Co Ltd 表示装置
KR20070059526A (ko) * 2005-12-07 2007-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표시 장치
JP2007220464A (ja) * 2006-02-16 2007-08-30 Nec Lcd Technologies Ltd バックライト及び該バックライトを備える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2295B2 (en) 2013-06-11
WO2009054677A2 (en) 2009-04-30
US20100253878A1 (en) 2010-10-07
WO2009054677A3 (en)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301B1 (ko)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101541352B1 (ko) 액정표시장치
US8773614B2 (en) Two-wa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00097515A (ko) 액정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유닛
CN109725456B (zh) 背光单元及包括该背光单元的液晶显示装置
US9690034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1006474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506079B2 (ja) 光源パッケージを含むバックライトアッセンブリ
KR102090457B1 (ko) 액정표시장치
US8400581B2 (en) Back 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KR101822509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40047381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30070772A (ko) 액정표시장치
CN107884986B (zh) 具有量子点单元的显示装置
KR20070065079A (ko) Led 램프 유닛,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0893027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59206A (ko) 표시장치
KR101221391B1 (ko) 엘이디 백라이트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220075846A (ko) 표시 장치
KR20120075115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245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70013573A (ko) 프리즘 시트,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KR2011002427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90040621A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072874A (ko) 광학 플레이트,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및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