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7353A -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7353A
KR20070107353A KR1020060039722A KR20060039722A KR20070107353A KR 20070107353 A KR20070107353 A KR 20070107353A KR 1020060039722 A KR1020060039722 A KR 1020060039722A KR 20060039722 A KR20060039722 A KR 20060039722A KR 20070107353 A KR20070107353 A KR 20070107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edited
progressive bar
recordings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9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828B1 (ko
Inventor
설성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9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828B1/ko
Priority to EP07746306A priority patent/EP2022257A1/en
Priority to US12/299,076 priority patent/US20090132947A1/en
Priority to PCT/KR2007/002150 priority patent/WO2007126296A1/en
Priority to CN2007800157896A priority patent/CN101433078B/zh
Publication of KR2007010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녹화물을 하나의 녹화물로 편집시, 보다 편리한 UI를 제공하기 위한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많은 녹화물들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동시에 효율적으로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녹화물,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Description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The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recorded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5b 는 도 5a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a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6b 는 도 6a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7a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7b 는 도 7a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8a 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
도 8b 는 도 8a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1:영상기기 202:OOB 튜너부
203:튜너부 204:복조부
205:ADC부 206:마이컴
207:역다중화부 208:디코더부
209:스피커 210:OSD 제어부
211:디스플레이부 212:CPU
213:RAM 214:ROM
215:EEPROM 216:저장부
217:편집부 218:제어부
219:사용자 입력부
본 발명은 영상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DTV PVR(Personal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등의 영상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여러가지 많은 기능들을 구비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기기는 방송을 통해 전송되는 A/V 데이터나, 외부기기로부터 전송되는 A/V 데이터를 단순히 출력시키는 기능 외에, 상기 A/V 데이터들을 저장시킬 수 있는 기능도 가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에 내장 또는 외장된 메모리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짐에 따라, 상기 영상기기에 저장시킬 수 있는 데이터의 양도 매우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상기 영상기기에 저장되어 있는 수많은 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 맞춤형 데이터로 편집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화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영상기기에 기저장되어 있는 녹화물을 사용자가 원하는 스타일로 편집하고자 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데이터 스트림만이 프로그레시브 바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하나의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편집하고자 하는 구간을 선택한다.
그리고, 단순히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에 대한 별도의 저장 내지는 일괄 영상 필터를 사용하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 째, 종래에는 한번에 하나의 녹화물에 한해서만 편집할 수 밖에 없고, 설령 가능하다 하여도 복수개의 녹화물을 동시에 편집하는 것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둘 째, 종래에는 편집 대상이 되는 기녹화물의 갯수가 매우 한정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셋 째, 종래에는, 임의의 녹화물의 특정 부분만을 잘라내어 저장할 수 있는 기능만 존재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편집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녹화물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그리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편집할 수 있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집 대상이 되는 기녹화물을, 사용자가 보다 많이 선택할 수 있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편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리모컨의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만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 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부와,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킬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와 함께,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하여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녹화물을 하나의 녹화물로 편집시, 보다 편리한 UI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다양한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편집 기능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내 구성요소들이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상기기(201)는 OOB 튜너부(202), 튜너부(203), 복조부(204), ADC부(205), 마이컴(206), 역다중화부(207), 디코더부(208), 스피커(209), OSD 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11), CPU(212), RAM(213), ROM(214), EEPROM(215), 저장부(216), 편집부(217), 제어부(218), 그리고 사용자 입력부(219)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 영상기기(201)는 DTV(Digital TeleVision), PVR(Personal Video Recorder), DVR(Digital Video Recorder)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영상기기(201)는 방송국 또는 외부 입력 장치(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등)로부터 영화 등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녹화시키고, 녹화된 데이터(녹화물)를 편집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OOB(Out-Of-Band) 튜너부(202)는, 케이블 방송국 등으로부터 데이터 방송을 전송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튜너부(203)는, 방송국 등으로부터 일반 A/V 방송을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튜너부(203)를 강학상, 상기 OOB 튜너부(202)와 대비하여, 인밴드(In-Band) 튜너부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상기 복조부(204)는, 상기 OOB 튜너부(202) 또는 상기 튜너부(203)를 통해 전송되고, 변조된 상태의 방송 신호를 복조(demodulating)시킨다.
상기 ADC부(205)는, 상기 마이컴(206)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조부(204)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가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converting)시킨다.
상기 역다중화부(207)는, 상기 ADC부(205)를 통해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비디오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과, 오디오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비디오 트랜스포트 스트림(Video TS)은, 예를 들어 MPEG-2 방식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트랜스포트 스트림(Audio TS)은, 예를 들어 AC-3 방식으로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디코더부(208)는, 상기 역다중화부(207)를 통해 분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스피커(209)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디코더부(208)는, 상기 역다중화부(207)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OSD 제어부(210)를 거쳐,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CPU(Central Processing Unit)(212)는, 상기 RAM(213), 상기 ROM(214), 상기 EEPROM(21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RAM(213)은, Random Access Memory의 약칭이다. 기록과 해독의 두 회로 가 있어서 정보의 기록, 해독이 가능하고 영상기기, 컴퓨터나 주변 단말기기의 기억장치에 널리 쓰인다.
상기 ROM(Read Only Memory)(214)은, 기억 장치의 한 가지로 그 내용을 읽을 수는 있어도 바꿀 수는 없는 메모리를 의미한다.
상기 ROM(214)은, 읽고 쓰기가 모두 가능한 램(RAM 또는 RWM)에 비교되기도 한다. 이는 영상기기나 컴퓨터의 전원이 끊어져도 그 내용이 변함없이 유지되므로 보통 영상기기나 컴퓨터에 기본적인 운영 체계 기능이나 언어의 해석 장치(interpreter)를 내장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상기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215)은, 전원 없이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기억하는 비휘발성 기억 장치이다.
상기 EEPROM(215)은,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읽기 전용 기억 장치(EPROM)의 변형으로 일단 기록된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소거하여 재기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과 관련하여, 주요한 기술적 특징이 있는 구성요소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 상기 제어부(218), 상기 저장부(216), 상기 편집부(217),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1) 등이다.
특히,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구현되는 2가지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도 2 보조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 등을 통해,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입력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제어하여, 도 3과 같은 화면이 출력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는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상기 영상기기(201)에 부착되어 있는 로컬키 버튼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면이, 종래와 구별되는 일특징은, 복수개의 기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각 기녹화물별 미리 보기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는 것이다.
상기 미리 보기 화면은, 예를 들어 편집 구간의 시작 부분의 스틸 영상(still image)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상하좌우'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만으로도, 복수개의 기녹화물들로부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기녹화물들은, 상기 저장부(216)에 기저장되어 있는 A/V 데이터이며, 방송 신호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된 신호일 수도 있다.
상기 기녹화물들과,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간 선택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상하' 화살표 키버튼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녹화물 내에서, 편집 구간의 설정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좌 우'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녹화물에서, 편집 구간을 설정한 후,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하' 화살표 키버튼을 두 번 누르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로 복사, 이동된다.
다만,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는, 도 3에 도시된 여러개의 프로그레시브 바들 중, 가장 하단에 위치한 프로그레시스 바를 의미한다.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에서는, 상기 기녹화물들의 각 편집 구간들을 재생길이 만큼, 그리고 순서대로 스태킹(stacking) 한다.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스 바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좌우'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을 이용하여, 편집 구간들을 서로 중첩시킬 수 있다.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에서, 편집 구간이 중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제어하여,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기능 또는 오버랩(Overlap)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 화면이 출력되도록 한다.
다만, 상기 메뉴 화면은, 예를 들어 팝업(Pop-Up) 형식으로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저장부(216)에 기저장되어 있 고, 상기 영상기기(201)의 사용자가 미리 만들어둔 OSD가 입혀진 영상물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제어하여,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우측에, 미리 보기 화면이 출력되도록 하여, 녹화물 편집이 보다 간편해 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구체적인 편집의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부(218)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편집부(217)가 상기 저장부(2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삽입시키는 형식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8)의 제어 기능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으로, '상하좌우'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할 때, 이는 더욱 자명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도 2 보조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편집 화면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 등을 통해,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입력 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제어부(218)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1)를 제어하여, 도 4와 같은 화면이 출력되도록 기능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는 예를 들어, 리모컨 또는 상기 영상기기(201)에 부착되어 있는 로컬키 버튼 등이 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이,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화면과 구별되는 일특징은, 보다 간단한 키버튼 조작으로, 복수개의 기녹화물을 하나의 녹화물로 편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상' 화살표 키버튼이 눌러진 경우, 현재 편집 중인 녹화물 대신에, 다른 기녹화물의 '최근 편집 구간 시작 지점'의 미리 보기 화면으로, 롤 오버(Roll Over)되어, 교체된다(도 4의 좌측 상단 미리 보기 화면 참조). 다만, 상기 다른 기녹화물은, 이전에 편집 중이었던 기녹화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좌' 화살표 키버튼이 눌러진 경우, 현재 편집 중인 녹화물의 이전 프레임(frame)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확인' 키버튼을 누르면, 편집 구간의 시작점이 메모리 된다(도 4의 우측 상단 미리 보기 화면 참조).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우' 화살표 키버튼이 눌러진 경우, 현재 편집 중인 녹화물의 이후 프레임(frame)으로 이동하며, 이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확인' 키버튼을 누르면, 편집 구간의 종료점이 메모리 된다(도 4의 우측 하단 미리 보기 화면 참조).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의 '하' 화살표 키버튼이 눌러진 경우, 현재 편집 중인 녹화물 대신에, 다른 기녹화물의 '최근 편집 구간 시작 지점'의 미리 보기 화 면으로, 롤 오버(Roll Over)되어. 교체된다(도 4의 좌측 하단 미리 보기 화면 참조). 다만, 상기 다른 기녹화물은, 이후에 편집하고자 선택했었던 기녹화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편집 구간의 구성이 모두 완료한 경우, 각 기녹화물의 편집 구간들은,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스 바로 자동 스태킹(stacking) 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구체적인 편집의 프로세스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편집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하고, 삽입시키는 형식으로 이루어 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18)의 제어 기능은, 상기 사용자 입력부(219)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키버튼으로, '상하좌우'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할 때, 이는 더욱 자명하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5b는 도 5a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기녹화물의 편집 구간을, 새로 생성하고자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기기의 전원을 온(on)시킨 후,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메뉴를 선택한다(S501).
기녹화물의 '좌우' 화살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편집 구간을 선택한다(S502).
편집 구간의 선택이 완료된 후, '하' 화살표 키버튼을 누른 경우, 상기 편집 구간은,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로, 스태킹(stacking) 된다(S503).
도 5a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녹화물 편집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6b는 도 6a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기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에서, 편집 구간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기기의 전원을 온(on)시킨 후,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메뉴를 선택한다(S601).
편집하고자 하는 기녹화물을, '상하' 화살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S602). 다만,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화면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해 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기녹화물에서, '좌우' 화살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편집하고 자 하는 구간의 시작점으로 이동한다(S603).
상기 편집하고자 하는 구간의 시작점에서, '확인' 키버튼 등을 누른다(S604).
다시, '좌우' 화살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편집하고자 하는 구간의 종료점으로 이동한다(S605).
상기 편집하고자 하는 구간의 종료점에서, '확인' 키버튼 등을 누른다(S606).
확정된 편집 구간 부분을, 하이라이트(highlight) 처리하여, 다른 부분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 시킨다(S607).
도 6a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녹화물 편집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6b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7b는 도 7a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녹화물에서, 편집 구간별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기기의 전원을 온(on)시킨 후,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메뉴를 선택한다(S701).
편집하고자 하는 기녹화물을, '상하' 화살표 키버튼 등을 이용하여, 선택한다(S702). 다만, 예를 들어, 도 3과 같은 화면이 이미 출력되어 있는 상태를 가정 해 볼 수 있다.
상기 선택된 기녹화물에서, '뒤로 감기' 키버튼(◀◀) 또는 '앞으로 감기' 키버튼(▶▶) 입력이 인가되면, 편집 구간의 블록간 이동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한다(S703).
즉, 하나 이상의 편집 구간의 블록으로 구성된 프로그레시브 바에서, 상기 '뒤로 감기' 키버튼(◀◀) 또는 '앞으로 감기' 키버튼(▶▶) 입력이 인가되면, 블록 단위로 이동한다(S704).
'확인' 키버튼 등의 입력으로 선택된 블록을, 하이라이트(highlight) 처리하여, 다른 블록과 구별되도록 디스플레이 시킨다(S705).
나아가, 상기 하이라이트 처리된 상태에서, '좌우' 화살표 키버튼 등을 눌러서, 상기 선택된 블록 자체를 이동시킬 수 있다(S706).
그리고, 'Exit' 키버튼 등을 누른 경우, 상기 편집 구간의 블록간 이동 모드를 해제 시킨다(S707).
도 7a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녹화물 편집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플로우 차트)이다.
도 8b는 도 8a의 제4실시예에 따른 편집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중첩되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선호도에 따라 달리 디스플레이 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기기의 전원을 온(on)시킨 후,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메뉴를 선택한다(S801).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 내에서, 중첩되는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2).
상기 판단 결과(S802), 중첩되는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킨다(S803).
도 8a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 녹화물 편집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8b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녹화물을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그리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기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미리 보기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킨 후, 서로 비교해 가면서,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구간만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편집 구간 선택 완료와 동시에, 상기 편집 구간이 자동으로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의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로 스태킹(stacking) 되어, 사용자가 매우 편리한 효과도 있다.
둘 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동시에 편집할 수 있는 기녹화물의 갯수가 종래보다 훨씬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셋 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편집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1)

  1.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단계;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는 단계는,
    리모컨의 "화살표" 키버튼과, "확인" 키버튼만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단계는,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6.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사용자 입력부;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부; 그리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한 편집 구간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삽입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를 하나의 화면에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는,
    DVR(Digital Video Recorder)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동시에 디스플레이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11. 데이터를 녹화시킬 수 있는 영상기기에 있어서,
    녹화물 편집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 및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progressive bar)와 함께, 각 프로그레시브 바의 스틸 영상(정지 영상)을 디스플레이 시키고,
    상기 적어도 2개 이상의 녹화물들, 각각에 대하여 선택된 편집 구간들을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에 디스플레이 시키고, 그리고
    상기 선택된 편집 구간들이, 상기 새로 생성하고자 하는 편집 녹화물에 대한 프로그레시브 바 상에서 중복되는 경우,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또는 오버랩(Overlap) 편집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KR1020060039722A 2006-05-02 2006-05-02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820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22A KR100820828B1 (ko) 2006-05-02 2006-05-02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EP07746306A EP2022257A1 (en) 2006-05-02 2007-05-02 The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recorded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2/299,076 US20090132947A1 (en) 2006-05-02 2007-05-02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recorded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07/002150 WO2007126296A1 (en) 2006-05-02 2007-05-02 The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editing recorded data and method for controllong the same
CN2007800157896A CN101433078B (zh) 2006-05-02 2007-05-02 具有对记录数据进行编辑的功能的显示设备和用于控制该显示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9722A KR100820828B1 (ko) 2006-05-02 2006-05-02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353A true KR20070107353A (ko) 2007-11-07
KR100820828B1 KR100820828B1 (ko) 2008-04-10

Family

ID=38655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9722A KR100820828B1 (ko) 2006-05-02 2006-05-02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132947A1 (ko)
EP (1) EP2022257A1 (ko)
KR (1) KR100820828B1 (ko)
CN (1) CN101433078B (ko)
WO (1) WO20071262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88B1 (ko) * 2009-04-27 2011-01-05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및 재생장치
WO2016060439A1 (ko) * 2014-10-16 2016-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6114462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위즈메타 동영상 파일의 블록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07645A1 (en) * 2011-06-30 2013-01-03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time filter control tool for data analysis applications
CN103440304B (zh) * 2013-08-22 2017-04-0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图片存储方法及存储装置
US9646646B2 (en) 2015-07-28 2017-05-0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Digital video recorder options for editing cont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9173A (en) * 1992-04-03 1999-12-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diting with video clip representations displayed along a time line
GB2300535B (en) * 1995-04-10 2000-03-01 Quantel Ltd Electronic video processing system
US5760767A (en) * 1995-10-26 1998-06-02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n and out points during video editing
US5966122A (en) * 1996-03-08 1999-10-12 Nikon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US6400378B1 (en) * 1997-09-26 2002-06-04 Sony Corporation Home movie maker
US8006192B1 (en) * 2000-10-04 2011-08-23 Apple Inc. Layered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0828228B1 (ko) * 2001-09-13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프로그램 기록장치 및 방법
KR20050077183A (ko) * 2004-01-27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레코딩 기기의 녹화물 편집 및 관리 가능한유저인터페이스 구조
US7290698B2 (en) * 2004-08-25 2007-11-06 Sony Corporation Progress bar with multiple por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588B1 (ko) * 2009-04-27 2011-01-05 쏠스펙트럼(주) 멀티영상 편집장치 및 재생장치
WO2016060439A1 (ko) * 2014-10-16 2016-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269099B2 (en) 2014-10-16 2019-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WO2016114462A1 (ko) * 2015-01-13 2016-07-21 주식회사 위즈메타 동영상 파일의 블록 조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32947A1 (en) 2009-05-21
KR100820828B1 (ko) 2008-04-10
WO2007126296A1 (en) 2007-11-08
CN101433078B (zh) 2011-03-30
EP2022257A1 (en) 2009-02-11
CN101433078A (zh) 200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84320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電子番組ガイド表示装置
KR100820828B1 (ko) 녹화물 편집 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6309867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5355626B2 (ja) 放送受信機および録画番組表示方法
JP2007243865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
JP2007053701A (ja) Ieee18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コントローラ機器
JP2004297649A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2003319312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06596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57697A (ja) 録画再生装置
JP200928934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8066863A (ja) 映像記録装置
JP4649366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7324762A (ja) 記録再生装置
JP2005110054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EP2704147A2 (en) Recording playback apparatus
JP2008210473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101397011B1 (ko) 영상기기의 녹화물 요약 재생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영상기기
JP2007306118A (ja) 予約取消方法、予約取消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6129055A (ja) 動画編集装置およびdvdドライブつき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2008108331A (ja) 情報編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111756A (ja) 録画再生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122893A (ja) 情報再生装置
JP2007317275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番組表残量表示方法
JP2005135505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