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6766A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6766A
KR20070106766A KR1020077020668A KR20077020668A KR20070106766A KR 20070106766 A KR20070106766 A KR 20070106766A KR 1020077020668 A KR1020077020668 A KR 1020077020668A KR 20077020668 A KR20077020668 A KR 20077020668A KR 20070106766 A KR20070106766 A KR 2007010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elevator
rotation
car
m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0434B1 (ko
Inventor
요시히코 고이즈미
다케시 후지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제1 및 제2 도어를 가지는 엘리베이터 도어와, 제1 및 제2 회전축을 각각 가지는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와, 제1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 전달 기구와,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 전달 기구와,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와,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회전축의 회전이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르도록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1개의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의 각각의 이동 속도를 동기시킬 수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 제1 회전축, 제2 회전축, 제1 동력 전달 기구, 제2 동력 전달 기구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DOOR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는, 소형화를 위해 한 쌍의 풀리 중 한쪽 풀리의 내측에 아우터 로터형(outer rotor type)의 전동기를 배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한 쌍의 풀리간에는 벨트가 감겨져있다. 벨트에는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문이 연결되어 있다. 한쪽 풀리가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 벨트가 주회(周回) 이동되어, 다른 한쪽의 풀리도 회전된다. 이에 의해, 문이 변위되어 출입구가 개폐된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2001-22605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1개의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문이 변위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전동기 자체가 대형화되게 된다.
또, 2개의 전동기의 구동력에 의해 각 풀리의 각각을 독립하여 회전시켰다고 하더라도, 예를 들면 출입구 폭이 큰 경우에는, 각 풀리간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벨트의 장력도 커지게 되어 버린다. 이에 의해, 벨트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각 풀리의 회전축이나 베어링 등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전동기의 대폭적인 소형화도 도모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벨트의 치수가 너무 길어지면, 표준 사이즈의 벨트를 적용할 수 없게 되므로, 전용 사이즈의 벨트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도 증대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소형화 및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코스트의 증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가지며, 제1 도어 및 제2 도어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닫고, 제1 도어와 제2 도어와의 맞닿음이 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여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1 구동장치 본체와, 제1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축을 갖는 제1 도어 구동 장치, 제1 도어 및 제2 도어 중, 제1 도어만이 연결되어 제1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 전달 기구, 제2 구동 장치 본체와, 제2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제2 도어 구동 장치, 제1 도어 및 제2 도어 중, 제2 도어만이 연결되어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 전달 기구,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 및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회전축의 회전이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르도록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엘리베이터 출입구)(1)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상부에 설치된 행거 케이스(2)가 고정되어 있다.
행거 케이스(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행거 레일(지지 레일)(3)이 고정되어 있다. 행거 레일(3)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엘리베이터 도어(4)가 매달아져 있다.
엘리베이터 도어(4)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를 가지고 있다.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는 제1 도어(5)와 제2 도어(6)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닫히고, 제1 도어(5)와 제2 도어(6)와의 맞닿음이 떨어짐으로써 열리게 되어 있다.
제1 도어(5)는, 제2 도어(6)와 맞닿음 가능한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와,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보다 문 열림측(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여는 측)에 위치하는 제1 도어 문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2 도어(6)는, 제1 도어(5)와 맞닿음 가능한 제2 도어 문 닫힘 위치와, 제2 도어 문 닫힘 위치보다 문 열림측(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여는 측)에 위치하는 제2 도어 문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는 제1 도어(5)가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에 있고, 또한 제2 도어(6)가 제2 도어 문 닫힘 위치에 있을 때 전부 닫히고, 제1 도어(5)가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에 있고, 또한 제2 도어(6)가 제2 도어 문 열림 위치에 있을 때 전부 열린다.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는 도어 패널(7)과, 도어 패널(7)의 상부에 설치되어 행거 레일(3)을 따라 이동 가능 한 롤러 행거(8)를 갖는 패널 문으로 되어 있다.
각 행거 롤러(8)는, 도어 패널(7)의 상부에 고정된 행거 판(9)과, 행거 판(9)에 설치되어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의 이동에 수반하여 행거 레일(3)상에서 전동(轉動)되는 복수의 롤러(10)를 가지고 있다.
행거 케이스(2)에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제1 도어 구동 장치(1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도어 구동 장치(11)는 행거 케이스(2)의 한쪽 단부에 설치되고, 제2 도어 구동 장치(12)는 행거 케이스(2)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도어 구동 장치(11)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1 구동 장치 본체(13)와, 제1 구동 장치 본체(13)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축(14)을 가지고 있다. 제2 도어 구동 장치(12)는 모터를 포함하는 제2 구동 장치 본체(15)와, 제2 구동 장치 본체(15)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축(16)을 가지고 있다.
또, 행거 케이스(2)에는, 제1 회전축(14)의 회전을 받아 제1 도어(5)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 전달 기구(17)와, 제2 회전축(16)의 회전을 받아 제2 도어(6)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 전달 기구(18)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동력 전달 기구(17)와 제2 동력 전달 기구(18)는,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에 대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동력 전달 기구(17)는 제1 회전축(14)에 고정된 제1 구동 풀리(19)와, 제1 구동 풀리(19) 보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1 종동 풀리(20)와, 제1 구동 풀리(19) 및 제1 종동 풀리(20)간에 감겨진 무단상(無端狀)의 제1 전동 조체(傳動 條體)(a transmission strip body)(21)를 가지고 있다.
제1 전동 조체(21)는 제1 구동 풀리(19)의 회전에 의해 주회(周回) 이동된다. 제1 종동 풀리(20)는 제1 전동 조체(21)의 주회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1 도어(5)는 제1 전동 조체(21)의 주회 이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전동 조체(21)에 연결 부재(2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도어(5)는, 제1 구동 풀리(19)의 회전에 따라 제1 도어 문 열림 위치와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된다.
제2 동력 전달 기구(18)는 제2 회전축(16)에 고정된 제2 구동 풀리(22)와, 제2 구동 풀리(22) 보다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 내측에 설치된 제2 종동 풀리(23)와, 제2 구동 풀리(22) 및 제2 종동 풀리(23) 사이에 감겨진 무단상의 제2 전동 조체(24)를 가지고 있다.
제2 전동 조체(24)는 제2 구동 풀리(22)의 회전에 의해 주회 이동된다. 제2 종동 풀리(23)는 제2 전동 조체(24)의 주회 이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2 도어(6)는, 제2 전동 조체(24)의 주회 이동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전동 조체(24)에 연결 부재(26)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도어(6)는 제2 구동 풀리(22)의 회전에 따라 제2 도어 문 열림 위치와 제2 도어 문 닫힘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된다. 또한,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톱니부착 벨트)나 와이어 등을 들 수 있다.
즉,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 중, 제1 도어(5) 만이 제1 동력 전달 기구(17)에 연결되고, 제2 도어(6)만이 제2 동력 전달 기구(18)에 연결되어 있다. 또,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에 대한 제1 동력 전달 기구(17)의 치수는, 제1 도어 문 닫힘 위치와 제1 도어 문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1 도어(5)를 이동시키기 위한 최저한의 치수로 되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에 대한 제2 동력 전달 기구(18)의 치수는, 제2 도어 문 닫힘 위치와 제2 도어 문 열림 위치와의 사이에서 제2 도어(6)를 이동시키기 위한 최저한의 치수로 되어 있다.
제1 도어 구동 장치(11)에는,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른 신호(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encoder)(위치 검출기)(27)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28)가 탑재되어 있다. 도어 제어 장치(28)는 승강로 내에 설치된 운전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개폐 지령의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를 구동하여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를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도어 제어 장치(28)는, 운전 제어 장치로부터의 개폐 지령에 기초하여 제1 도어 구동 장치(11)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회전축(14)의 회전이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제어된다. 또, 도어 제어 장치(28)는 인코더(27)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회전축(16)의 회전이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르도록, 제2 도어 구동 장치(12)를 제어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기(同期)하여 이동된다.
또한, 도어 제어 장치(28)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어 제어 장치(28)의 기능은 도어 제어 장치(28)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른 신호는 인코더(27)로부터 도어 제어 장치(28)에 전송된다. 운전 제어 장치로부터의 개폐 지령이 도어 제어 장치(28)에 입력되면,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가 도어 제어 장치(28)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제2 회전축(16)의 회전은, 인코더(27)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제어된다. 이에 의해, 제2 회전축(16)은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다.
제1 회전축(14)이 회전되면, 제1 전동 조체(21)가 주회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도어(5)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 제2 회전축(16)이 회전되면 제2 전동 조체(24)가 주회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제2 도어(6)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회전축(16)이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므로,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는 동기하여 이동되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가 개폐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제1 동력 전달 기구(17)가 제1 회전축(14)의 회전을 받아 제1 도어(5)를 이동시키고, 제2 동력 전달 기구(18)가 제2 회전축(16)의 회전을 받아 제2 도어(6)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1 동력 전달 기구(17)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8)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할 수 있어, 제1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7, 18)의 각각의 치수를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치수에 대해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7, 18)의 각각에 있어서,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가 제1 및 제2 도어(5, 6)와 함께 이동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치수가 너무 큰 경우라도,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를 표준품으로 할 수 있어 제조 코스트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의 장력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및 제2 전동 조체(21, 24)의 장기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동 조체(21, 24)의 장력을 받는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16)이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도록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제어되므로,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의 이동을 동기시킬 수 있다. 또, 제2 회전축(16)의 회전을 측정하는 인코더를 제2 도어 구동 장치(12)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제조 코스트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이 단일 패널 문으로 되어 있으나,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이 복수의 패널 문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 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은, 고속 문(패널 문)(31)과, 고속 문(31)의 이동에 따라 고속 문(31)에 대해 변위되는 저속 문(패널 문)(32)을 가지고 있다. 각 고속 문(31) 및 각 저속 문(32)의 각각은 도어 패널(7) 및 롤러 행거(8)를 가지고 있다.
제1 도어(5)의 상부에는, 고속 문(31)에 대해 저속 문(32)을 변위시키는 제1 변위용 기구(3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도어(6)의 상부에는, 고속 문(31)에 대해 저속 문(32)을 변위시키는 제2 변위용 기구(3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및 제2 변위용 기구(33, 34)의 각각은, 저속 문(32)에 고정된 수평 바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변위용 풀리(35, 36)와, 각 변위용 풀리(35, 36)간에 감겨진 무단상의 변위용 조체(37)를 가지고 있다.
변위용 조체(37)에는 고속 문(31) 및 저속 문(32)이 접속되어 있다. 변위용 조체(37)는 고속 문(31)이 이동됨으로써 주위 이동된다. 저속 문(32)은 변위용 조체(37)가 주위 이동됨으로써, 고속 문(31)에 대해 고속 문(3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된다. 즉, 고속 문(31) 및 저속 문(32)은, 변위용 조체(37)의 주위 이동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변위용 조체(37)에 각각 접속되고 있다. 다른 구성은 상기의 예와 같다.
이와 같이,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이 복수의 패널 문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도, 제1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7, 18)의 각각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의 형태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3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동력 전달 기구(17)와 제2 동력 전달 기구(18)와의 사이에는 제1 도어(5)의 이동 속도와, 제2 도어(6)의 이동 속도를 동기시키기 위한 연동(連動) 기구(41)가 설치되어 있다.
연동 기구(41)는 제1 종동 풀리(20)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1 연동 풀리(42)와, 제2 종동 풀리(23)와 일체로 회전되는 제2 연동 풀리(43)와, 제1 및 제2 연동 풀리(42, 43)간에 감겨진 무단상의 연동용 조체(44)를 가지고 있다.
제1 연동 풀리(42)는 제1 종동 풀리(20)에 대해 동축에 설치되고, 제2 연동 풀리(43)는 제2 종동 풀리(23)에 대해 동축에 설치되어 있다. 연동용 조체(44)는, 제1 및 제2 연동 풀리(42, 43)의 각각의 회전에 의해 주회 이동된다. 연동용 조체(44)로서는, 예를 들면 타이밍 벨트(톱니부착 벨트)나 와이어 등이 사용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는, 제1 동력 전달 기구(17)와 제2 동력 전달 기구(18)와의 사이에 연동 기구(4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7, 18)를 기계적으로 연동시킬 수 있어, 제1 도어(5)의 이동 속도와 제2 도어(6)의 이동 속도를 더욱 확실하게 동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제1 도어 구동 장치(1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2)가 엘리베이터 칸 출입구(1)의 정면 폭 방향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나, 제1 도어 구동 장치(11) 및 제1 구동 풀리(19)의 위치와 제1 종동 풀리(20)의 위치와의 교체를 행해도 되며, 제2 도어 구동 장치(12) 및 제2 구동 풀리(22)의 위치와 제2 종동 풀리(23)의 위치와의 교체를 행해도 된다. 제1 도어 구동 장치(11)의 위치의 교체를 행한 경우에는, 제1 연동 풀리(42)가 제1 구동 풀리(19)와 동축에 설치된다. 또, 제2 도어 구동 장치(12)의 위치의 교체를 행한 경우에는, 제2 연동 풀리(43)가 제2 구동 풀리(22)와 같은 축에 설치된다.
실시의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 회전축(14)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27)는, 제1 도어 구동 장치(11)에 제1 위치 검출기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 제2 도어 구동 장치(12)에는, 제2 회전축(16)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인코더(51)가 제2 위치 검출기로서 설치되어 있다.
각 인코더(27, 51)의 각각으로 부터의 정보는 도어 제어 장치(28)에 입력된다. 도어 제어 장치(28)는 인코더(27)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도어 구동 장치(11)를 제어하는 제1 도어 제어부(52)와, 인코더(5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도어 구동 장치(12)를 제어하는 제2 도어 제어부(53)를 가지고 있다. 즉, 도어 제어 장치(28)는, 제1 도어 구동 장치(11)와 제2 도어 구동 장치(12)를 각각 독립하여 제어하는 제1 도어 제어부(52) 및 제2 도어 제어부(53)를 가지고 있다.
엘리베이터 칸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을 측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로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의 총 중량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으로서 측정하는 저울 장치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에 의해 발생하는 열원(熱源)의 면적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으로서 측정하는 화상 처리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화상 처리 장치가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로 된 경우, 화상 처리 장치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상태가 빈 상태(승객이 전혀 승차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온도 분포가 미리 화상 인식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 내에 승객이 승차하면, 미리 화상 인식된 온도 분포에 대해 승객의 열원의 부분만이 크게 변화한다. 이것으로부터, 화상 처리 장치는 현재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온도 분포의 측정을 행하고, 측정에 의해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온도 분포와, 미리 화상 인식된 온도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승객에 의해 발생하는 열원의 면적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승강장에는, 승강장의 승객량을 측정하기 위한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55)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55)로서는, 승강장 바닥의 소정의 영역 내(예를 들면, 승강장 출입구의 앞에 위치하는 영역 내)에 깔려져서, 승객이 탔을 때에 감지하는 압력에 따른 양을 승강장의 승객량으로서 측정하는 압력 감지 매트나 상기의 화상 처치 장치와 마찬가지로, 승강장에 있어서의 소정의 범위 내(예를 들면, 승강장 출입구의 앞에 위치하는 공간의 범위 내)에서의 열원의 면적을 승강장의 승객량으로서 측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도어 제어 장치(28)에는,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로부터 얻어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과 비교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와,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55)로부터 얻어진 승강장의 승객량과 비교하기 위한 승강장 기준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또, 도어 제어 장치(28)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이하이고, 또한 승강장의 승객량이 승강장 기준치 이하일 때,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키도록 제1 및 제2 도어 구동장치(11, 12)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보다 클 때 및 승강장의 승객량이 승강장 기준치보다 클 때의 적어도 어느 쪽일 때에,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을 이동시키도록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도어 제어 장치(28)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및 승강장의 승객량의 각각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있어서의 제1 및 제2 도어(5, 6)의 각각의 이동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운전이 기동되면(엘리베이터 칸의 이동이 개시됨)(S1),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에 의해 측정되어(S2),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의 정보가 도어 제어 장치(28)에 전송된다. 또,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행선지층에 있어서의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55)에 의해 측정되어(S3), 승강장의 승객량 α2의 정보가 도어 제어 장치(28)에 전송된다.
도어 제어 장치(28)가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 및 승강장의 승객량 α2를 받은 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81) 이하인지 아닌지가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판정된다(S4).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β1)보다 큰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가 많다고 여겨져서,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정지되었을 때에는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의 양쪽이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S5).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 이하인 경우에는, 도어 제어 장치(2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가 적다고 여겨져,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미리 설정된 승강장 기준치 β2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6).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승강장 기준치 β2보다 큰 경우에는, 승강장의 이용자 수가 많다고 여겨져,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보다 큰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정지되었을 때에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의 양쪽이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S5).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승강장 기준치 β2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뿐만이 아니라 승강장의 이용자 수도 적다고 여겨져, 도어 제어 장치(28)의 제어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의 어느 한쪽만이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어느 한쪽만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 다(S7).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라도, 제1 동력 전달 기구(17)가 제1 회전축(14)의 회전을 받아 제1 도어(5)를 이동시켜, 제2 동력 전달 기구(18)가 제2 회전축(16)의 회전을 받아 제2 도어(6)를 이동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실시의 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동력 전달 기구(17, 18)의 소형화 및 장기 수명화, 제조 코스트의 증대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제어 장치(28)는 제1 도어 구동 장치(11)를 제어하는 제1 도어 제어부(52)와, 제2 도어 구동 장치(12)를 제어하는 제2 도어 제어부(53)를 가지며,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를 각각 독립하여 제어하게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이용 상황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피스 빌딩에서는, 조·석의 출근· 귀가시나 낮에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집중하나, 이용자가 집중하는 시간대는 한정되어 있으며, 그 시간대 이외의 한산한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적어지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의 설치 검토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폭을 결정할 때에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의 피크 시의 인원수에 기초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사양은 한산 시의 엘리베이터의 이용자 수에 대해서는 과잉의 사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승객의 승강량이 적고, 문 열림 동작시에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전부 열 필요가 없는 경우 등에는, 제1 및 제2 도어(5, 6) 중 어느 한쪽만을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소비량을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제어 장치(28)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과 비교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도어 제어 장치(28)는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5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이하일 때,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 상황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도어 제어 장치(28)에는 승강장의 승객량과 비교하기 위한 승강장 기준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도어 제어 장치(28)는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5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의 승객량이 승강장 기준치 이하일 때,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강장의 이용 상황에 따른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에너지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도어 제어 장치(28)가 제1 및 제2 도어(5, 6)의 이동의 제어만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1 및 제2 도어(5, 6) 중,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이동되는 도어를 알리는 알림 장치를 엘리베이터 칸 내 및 승강장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알림 장치는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제어된다. 알림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한 쌍의 세로 기둥의 각각 설치된 발광체(發光體), 문자나 도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나 음성을 발생하는 스피커 등을 들 수 있다.
알림 장치를 발광체로 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이동되 는 도어측에 배치된 발광체만이 발광한다. 또, 알림 장치를 표시 장치로 했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이동되는 도어를 특정하기 위한 동작 내용이 표시 장치에 의해 표시되고, 알림 장치를 스피커로 했을 경우에는, 그 동작 내용이 스피커에 의해 음성으로서 알려지게 된다.
즉, 도 7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다른 예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기동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 및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도어 제어 장치(28)에 전송될 때까지는 상기의 예와 같다.
도어 제어 장치(28)가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 및 승강장의 승객량 α2를 받은 후,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 이하인지 아닌지가 도어 제어 장치(28)에 의해 판정된다(S4).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보다 큰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가 많다고 여겨져,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정지되었을 때에,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알림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내 및 승강장에 알려지게 된다(S11).
이 후, 제1 및 제2 도어 구동 장치(11, 12)의 양쪽이 도어 제어 장치(28)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고,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S5).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 이하인 경우에는, 도어 제어 장치(28)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가 적다고 여겨 져, 승강장의 승객량 α1이 승강장 기준치 β2 이하인지 아닌지가 판정된다(S6).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승강장 기준치 β2보다 큰 경우에는, 승강장의 이용자 수가 많다고 여겨져,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이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β1보다 큰 경우와 마찬가지로,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정지되었을 때에 제1 및 제2 도어(5, 6)의 양쪽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S5).
승강장의 승객량 α2가 승강장 기준치 β2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이용자 수뿐만이 아니라 승강장의 이용자 수도 적다고 여겨져, 엘리베이터 칸이 행선지층에 정지되었을 때에 제1 및 제2 도어(5, 6) 중, 예를 들면 제1 도어(5)만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알림 장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내 및 승강장에 알려지게 된다(S12).
이 후, 예를 들면 제1 도어 구동 장치(11)만이 도어 제어 장치(28)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며, 예를 들면 제1 도어(5) 만이 문 열림 방향으로 이동된다(S7).
이와 같이 하면, 승객은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이동하는 도어를 미리 인식할 수 있으므로, 엘리베이터 칸에 대한 승객의 승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 및 승강장의 승객량 α2의 양쪽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 α1 및 승강장의 승객량 α2의 어느 것인가만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 실시의 형태 2 및 3에서는,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이 단일 패널 문으로 되어 있으나, 제1 도어(5) 및 제2 도어(6)의 각각이 복수의 패널 문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닫고,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와의 맞닿음이 떨어짐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여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1 구동 장치 본체와, 상기 제1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축을 가지는 제1 도어 구동 장치,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상기 제1 도어만이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상기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 전달 기구,
    제2 구동 장치 본체와, 상기 제2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제2 도어 구동 장치,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상기 제2 도어만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상기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 전달 기구,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르도록 상기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전달 기구와 상기 제2 동력 전달 기구와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도어의 이동 속도와, 상기 제2 도어의 이동 속도를 동기시키기 위한 연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3.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정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가지며,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가 서로 맞닿음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닫고, 상기 제1 도어와 상기 제2 도어와의 맞닿음이 떨어짐으로써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여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1 구동 장치 본체와, 상기 제1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1 회전축을 가지는 제1 도어 구동 장치,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상기 제1 도어만이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상기 제1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1 동력 전달 기구,
    제2 구동 장치 본체와, 상기 제2 구동 장치 본체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축을 가지는 제2 도어 구동 장치,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상기 제2 도어만이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을 받아 상기 제2 도어를 이동시키는 제2 동력 전달 기구,
    상기 제1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위치 검출기,
    상기 제2 회전축의 회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위치 검출기 및
    상기 제1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1 도어 제어부와, 상기 제2 위치 검출기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제2 도어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도어 구동 장치와 상기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각각 독립하여 제어하는 도어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 내의 승객량을 측정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승객량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 제어 장치는, 상기 승객량이 미리 설정된 엘리베이터 칸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도어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도어 구동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승강장에서의 승객량을 측정하기 위한 승강장 승객량 검출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도어 제어 장치는, 상기 승객량이 미리 설정된 승강장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어느 한쪽만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1 도어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도어 구동 장치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도어 제어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 중,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의 개폐시에 이동되는 도어를 엘리베이터 칸 내 및 승강장에 알리는 알림 장치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및 상기 제2 도어의 각각은, 고속 문과, 상기 고속 문의 이동에 따라 상기 고속 문에 대해 변위되는 저속 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20077020668A 2005-10-20 2005-10-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0960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9303 WO2007046149A1 (ja) 2005-10-20 2005-10-20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6766A true KR20070106766A (ko) 2007-11-05
KR100960434B1 KR100960434B1 (ko) 2010-05-28

Family

ID=3796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0668A KR100960434B1 (ko) 2005-10-20 2005-10-20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939126A4 (ko)
JP (1) JP5042628B2 (ko)
KR (1) KR100960434B1 (ko)
CN (1) CN101146734B (ko)
WO (1) WO20070461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49A2 (ko) * 2011-07-19 2013-01-24 세화정공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35595B2 (ja) * 2014-04-07 2018-05-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
CN104444735B (zh) * 2014-10-13 2017-01-18 上海富士电梯有限公司 双路调控型电梯开门系统
EP3406559A1 (en) 2017-05-24 2018-11-28 Otis Elevator Company People conveyor
CN110467097A (zh) * 2019-08-17 2019-11-19 成都红旗油脂有限公司 一种电梯轿厢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282A (en) * 1979-09-04 1981-04-14 Mitsubishi Electric Corp Central double sliding door unit for elevator
JPS6052998B2 (ja) * 1980-01-21 1985-11-2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タ中央両引き戸装置
JPS5767490A (en) * 1980-10-16 1982-04-24 Mitsubishi Electric Corp Controller for opening of door of elevator
JPS5820277U (ja) * 1981-07-29 1983-02-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タのドアの制御装置
JPS5820277A (ja) * 1981-07-29 1983-02-05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揺動選別機
JPS61142774A (ja) * 1984-12-15 1986-06-3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Mosトランジスタ
JPS61142774U (ko) * 1985-02-25 1986-09-03
EP0841285A1 (en) * 1996-11-07 1998-05-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oor system
JP2003026381A (ja) * 2001-07-12 2003-01-29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の出入り口装置
US6943508B2 (en) * 2002-09-23 2005-09-13 Otis Elevator Company Tubular linear synchronous motor control for elevator doo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2249A2 (ko) * 2011-07-19 2013-01-24 세화정공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WO2013012249A3 (ko) * 2011-07-19 2013-03-21 세화정공 주식회사 엘리베이터 출입구 폭 이내 구간에 설치되는 카도어 자동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46149A1 (ja) 2007-04-26
EP1939126A1 (en) 2008-07-02
CN101146734A (zh) 2008-03-19
EP1939126A4 (en) 2012-09-26
CN101146734B (zh) 2011-08-10
KR100960434B1 (ko) 2010-05-28
JPWO2007046149A1 (ja) 2009-04-23
JP5042628B2 (ja)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434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US11932514B2 (en) Elevator component inspection systems
KR101463249B1 (ko)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US10611601B2 (en) Secondary car operating panel for elevator cars
US11708240B2 (en) Automatic method of detecting visually impaired, pregnant, or disabled elevator passenger(s)
CN111170101B (zh) 监视系统
WO2007138688A1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EP3626668A1 (en) Monitoring of conveyance system vibratory signatures
US20180105397A1 (en) Elevator doorway display systems for elevator cars
JP5178125B2 (ja) エレベータドアの開閉制御装置
CN110775790A (zh) 在多门电梯中用于乘客出梯的电梯门控制
KR100186378B1 (ko) 엘리베이터의 동기위치 보정장치
JP2008063018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CN102153009A (zh) 开门行驶时的电梯卡合部件避免碰撞系统及方法
WO2011048665A1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7297101B2 (ja) エレベーター及び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
CN105800433B (zh) 电梯的门装置
JP7396099B2 (ja) 測定装置
CN113277405A (zh) 电梯的门控制装置
JP6949225B2 (ja) ドア装置
JP2009155095A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乗降構造体
JP6429742B2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装置
JP7150916B2 (ja) 乗客コンベアおよび制御方法
US20220106153A1 (en) Elevator systems
JP2003128363A (ja) 連絡橋用エレベーターの主索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