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249B1 -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249B1
KR101463249B1 KR1020080041529A KR20080041529A KR101463249B1 KR 101463249 B1 KR101463249 B1 KR 101463249B1 KR 1020080041529 A KR1020080041529 A KR 1020080041529A KR 20080041529 A KR20080041529 A KR 20080041529A KR 101463249 B1 KR101463249 B1 KR 10146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elevator
load sensor
direction chang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7953A (ko
Inventor
다닐 피셔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97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7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76Load weighing or car passenger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06Car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실 (3), 승강실 (3) 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7), 및 하중 센서 (17) 를 포함하는 승강기 설비 (1), 승강기 설비 (1) 를 위한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및 하중 센서 (17) 를 승강기 설비 (1) 에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은 승강실 (3) 에 배치되고 공통 축 (11) 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 센서 (17) 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공통 축 (11) 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 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LIFT INSTALLATION WITH A CAGE, A DEFLECTING ROLLER FOR A LIFT INSTALLATION, AND A METHOD OF ARRANGING A LOAD SENSOR IN A LIFT CAGE}
본 발명은, 독립항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실, 승강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및 하중 센서를 포함하는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 방향전환 롤러 유닛, 및 하중 센서를 승강기 설비에 배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기 설비는 통로에 설치된다. 승강기 설비는 실질적으로 지지 수단에 의해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승강실로 구성된다. 승강실은 구동장치에 의해 승강실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지지 수단은 다중 슬링잉 (multiple slinging) 을 구비한 방향전환 롤러에 의해 승강실에 연결된다. 지지 수단에 작용하는 하중지탱력은 슬링잉 계수에 대응하여 다중 슬링잉에 의해 감소된다. 승강실은 각각의 요건에 따라 빈상태 (0 %) 와 만원상태 (100 %) 사이에서 변할 수 있는 가용 하중을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승강실 프레임에 장착되는 승강실 및 방향전환 롤러 장치를 구비하는 상기와 같은 승강기 서스펜션이 DE 20 221 212 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평향 롤러 장치는 공통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를 포함한다.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를 구비하는 상기와 같은 다른 승강기 설비가 EP 1 446 348 에 공지되어 있으며,여기서 방향전환 롤러는 승강실 가이드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승강기 설비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승강실의 과하중을 검출하거나 유효 가용 하중을 측정하여 구동장치에 필요한 구동 토크를 미리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하중 측정 시스템을 포함한다. 과하중은 가용 하중이 승강실의 설계 가용 하중의 100 % 를 초과할 때 나타난다. 많은 경우에, 상기와 같은 하중 측정 시스템은 승강실 바닥에 배치되는데, 예컨대 승강실 바닥의 변형 또는 스프링 처짐이 측정되거나, 또는 응력 측정 요소가 승강실의 하중지탱 구조물에 장착되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의 공지된 상태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병렬로 배치된 평향 롤러를 구비하는 승강기 설비를 위한 하중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 시스템은 간단하게 그리고 비용면에서 바람직하게 승강기 설비에 통합될 수 있으며, 승강실의 가용 하중을 충분히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게다가, 경제적인 측정 요소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독립항에 규정된 본 발명은 하중 측정 시스템을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승강기 설비에 통합하는 목적을 충족시키며, 경제적인 측정 요소가 얼마나 정확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는 종속항에서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중 센서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서 공통 축에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공통 축에 작용하는 힘이 오직 하나의 하중 센서에 의해 간단하면서도 경제적인 방식으로 검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통 축에 작용하는 힘은 승강실 가용 하중의 변화를 매우 만족스럽게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하중 센서는 간단한 방식으로 승강기 설비에 통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하중 센서가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며, 하중 센서는 공통 축의 굽힘 변형을 측정한다. 중심 배치는 매우 정확한 측정을 가능하게 하며, 양쪽의 방향전환 롤러에 하중이 다르게 분포되어도 측정 결과에는 실질적인 영향이 없다. 이는 비대칭적인 하중 분포의 경우에도 단지 하나의 하중 센서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통 축의 굽힘 변형은 간단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는데, 이는 공통 축이 쉽게 결정될 수 있는 하중 상태, 즉 두 지지물에서 지지되는 굽힘 보 (beam) 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통 축은 중심 영역에서 절삭제거되어 있고, 이때 공통 축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향되는 직사각형 단면이 남으며, 이 단면은 지지 수단이 방향전환 롤러를 감음으로써 발생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이 적절한 굽힘 변형을 발생시키도록 배향된다.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굽힘 변형은 하중 센서의 측정 범위에 만족스럽게 부합되는 변형이고, 명백하게 공통 축의 허용 응력과 같은 재료 특성이 고려된다.
선택적으로는, 공통 축은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외측 축 구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부는 지지 수단이 방향전환 롤러를 감음으로써 발생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이 적절한 굽힘 변형을 발생시키도록 성형되고 배향된다. 상기 해결책에 의해, 예컨대 간단한 방식으로 다른 배치 또는 다른 방향전환 롤러 간격을 실현할 수 있는데, 이는 단지 연결부만을 변경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 센서를 위한 이상적이 측정 전제조건이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양태에서, 공통 축은 그 두 개의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굽힘 탄성적으로 승강실에 체결되고, 단부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에 대해 공통 축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 보조물을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 에 의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해지며, 부정확한 장착이 방지된다.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및 공통 축은 필요한 경우 승강실에의 체결을 위한 지지 구조물과 함께 공장에서 미리 조립되어 방향전환 롤러 유닛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드는 승강기 설비에 대한 장착 시간이 감소되고, 부정확한 조합이 방지되는데, 이는 완전한 방향전환 롤러 유닛이 작업장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명백하게, 방향전환 롤러 유닛은 공장에서 승강실의 구조물에 미리 부착되거나 설치될 수도 있다.
승강기 설비는 예컨대 90°로 각각 감기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방향전환 롤러 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하중 센서를 포함한다. 이는 비용 면에서 바람직하다.
하중 센서는 하중 측정 컴퓨터를 포함하거나 하중 측정 컴퓨터에 연결되며, 이 하중 측정 컴퓨터는 하중 센서의 하중 특성을 사용하여 유효 가용 하중을 결정함으로, 승강기 설비의 제어기에서 통합이 바람직하게 실행된다. 하중 측정 컴퓨터에 각각의 하중 센서의 정확한 특성이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개의 하중 센서가 간단한 방식으로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승강실의 빈 중량이 검사 크기로 사용됨으로, 하중 측정 컴퓨터는 하중 센서의 검사를 쉽게 실행할 수도 있다.
실질적인 실시예에서, 하중 측정 컴퓨터는 승강실로의 출입이 가능한 기간 동안, 즉 승강실 문이 열려 있을 때, 유효 가용 하중을 간헐적으로 검출하며, 승강기 제어기가 출발 토크의 결정을 위해 각각의 마지막 측정 신호를 승강기 구동장치 에 전달한다. 이는 정확한 출발 토크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여, 출발시의 요동이 대부분 회피된다. 게다가, 과하중이 검출되면, 승강기 제어기는 출발 명령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책에 있어서, 승강실에 출입할 수 있는 때, 즉 승강실이 0.4 m 통로를 열었을 때로부터, 승강실에 더 이상 출입할 수 없는 때, 즉 승강실 문이 실질적으로 닫히는 때까지 유효 가용 하중이 지속적으로 예컨대 500 ㎳ 마다 측정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구동장치는 그 순간에 제공해야 하는 구동 모멘트에 대한 이용 가능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갖게 되며, 한편 과하중이 제때에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과하중에 도달하기 이전에 경고 부저를 작동시키거나, 필요한 경우에는 승강실 문을 닫을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하중 센서는 예컨대 EP 1 044 356 에 기재된 것과 같은 디지털 센서이다. 상기와 같은 센서는 간단한 방식으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다. 대응하게 구현되는 실시예에서, 디지털 센서는 하중의 결과로서 진동수를 변화시키는데, 이는 예컨대 공통 축의 외측 인장 섬유 (fibre) 의 연신에 의해 초래된다. 상기 진동수는 예컨대 250 ㎳ 의 고정식으로 정해진 측정 시간에 걸쳐 각각의 경우에 컴퓨터에 의해 계산된다. 따라서, 디지털 센서의 진동수는 하중에 대한 또는 승강실에 주어지는 가용 하중에 대한 측정치이다. 예컨대, 빈 승강실 및 알려진 실험 가용 하중을 이용하여 디지털 센서의 진동수가 결정되므로, 디지털 센서의 특성은 승강기 설비의 초기화 동안 알게된다. 그 이후, 관련되는 가용 하중이 모든 다른 진동수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도면과 함께 수개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승강기 설비의 제 1 의 가능한 전체적인 배치가 도 1a 및 도 1g 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승강기 설비 (1) 는 통로 (2) 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기 설비 (1) 는 실질적으로 지지 수단에 의해 구동장치 (8) 및 평형추 (6) 에 연결되는 승강실 (3) 로 구성된다. 승강실 (3) 은 구동장치 (8) 에 의해 승강실 이동 경로 (4) 를 따라 이동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승강실 (3) 및 평형추 (6) 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지지 수단 (7) 은 다중 슬링잉을 구비한 방향전환 롤러 (9) 에 의해 승강실 (3) 및 평형추 (6) 에 연결된다. 두 개의 지지 수단 (7) 이 승강실 이동 경로 (4) 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를 포함하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에 의해 승강실 (3) 아래를 지나 안내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승강실 (3) 의 방향전환 롤러 (9) 는 각각 주위가 90°로 감겨있다. 다중 슬링잉에 의해, 지지 수단 (7) 에 작용하는 하중지탱력은 슬링잉 계수에 대응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 의 슬링 계수에 대응하여 감소된다. 도시된 승강실 (3) 은 탑승 영역에 배치되고, 즉 승강실 문 (5) 이 열리고, 이에 대응하여 승강실 (3) 로의 출입이 자유로워진다.
승강실 (3) 의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중 하나에는 디지털 하중 센서 (17) 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디지털 하중 센서의 신호는 탑승 과정 동안 하중 측정 컴 퓨터 (19) 에 지속적으로 보내진다.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필요한 평가를 수행하여, 계산된 신호 또는 계산된 유효 가용 하중을 승강기 제어기 (20) 에 전달한다. 승강기 제어기 (20) 는 측정된 유효 가용 하중을 대응하는 출발 토크를 제공할 수 있는 구동장치 (8) 에 전달하거나, 또는 승강기 제어기 (20) 는 과하중이 검출될 경우에는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하중 측정 컴퓨터 (19) 로부터 승강기 제어기 (20) 로의 신호의 송신은 현수 케이블, 버스 시스템 또는 무선 등과 같은 공지된 전달 경로에 의해 실행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하중 측정 컴퓨터 (19) 및 승강기 제어기 (20) 는 별개의 유닛이다. 이들 하위조립체는 명백하게 원하는대로 조합될 수 있으므로, 하중 측정 컴퓨터 (19) 가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에 통합될 수 있거나, 또는 하중 측정 컴퓨터 (19) 가 승강기 제어기 (20) 에 통합되고 승강기 조립체 (20) 는 다시 승강실 (3) 또는 엔진 룸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하중 측정 컴퓨터 (19) 가 구동장치 (8) 에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2 의 감음 계수 (looping factor) 로 실행되는 승강기 설비의 다른 전체적인 배치가 도 2a 및 도 2g 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는 대조적으로, 방향전환 롤러 (10) 는 승강실 (3) 위에 배치되어 있다. 승강실 (3) 의 방향전환 롤러 (9) 는 지지 수단 (7) 에 의해 주위가 180°로 감겨있는데, 즉 지지 수단 (7) 은 위로부터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으로 이어지고 180°로 방향전환되어 다시 상방으로 이어진다. 하중 센서 (17) 는 승강실측에서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에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도 1a 및 도 1g 의 실시예를 참조한다. 도 1 과는 대조적으로, 도 2 에서는 승강실 도어 (5) 가 닫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가용 하중의 변화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비활성화되어 있다. 명백하게, 필요할 경우, 예컨대 이동시에 가속 과정 또는 교란과 관련되는 판정이 있게 되는 경우,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영구적 활성화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 에 따른 승강기 설비 (1) 에 사용할 수 있는 가능한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이 도 3 에 도시되어 있다.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은 공통 축 (11) 을 포함하며,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가 이 축 (11) 의 외측 단부 (15)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공통 축 (11) 은 예컨대 지지물 (18) 에 의해 승강실 (3) 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축 (11) 은 적어도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물 (18) 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물 (18) 은 성형된 강판으로 형성되며, 지지물 (18) 은 공통 축 (11) 을 위해 거의 굽힘이 없게 또는 굽힘 탄성적으로 축 (11) 을 유지시키는 지지점 또는 지지부를 형성한다. 게다가, 이러한 체결은 방향전환 롤러 (9) 의 자유로운 회전성이 보장되도록 이루어진다.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는 도 1g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사이의 영역에 승강실 가이드 (4) 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을 갖는다. 하중 센서 (17) 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중심에 배치된다는 것은, 방향전환 롤러 (9) 및 지지물 (18) 에 대한 체결은 이 중심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임을 의미한다. 공통 축 (11) 은 도 3b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심 영역에서 단면이 감소되어 있거나 절삭제거되어 있다. 공통 축 (11)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 향되는 직사각형 단면 (14) 이 남는다. 이 단면 (14) 은, 지지 수단 (7) 이 방향전환 롤러 (9) 주위를 감음으로써 발생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또는 지지 수단 힘 (22) 이 비례하는 굽힘 변형을 발생시키도록 배향된다. 도 1 에 따라 선택된 배치에 있어서, 지지 수단 (7) 은 승강실 아래를 지나 이어진다. 그 결과, 도 3b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은 90°로 감긴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은 지지 수단 힘 (22) 에 대해 45°로 향해있고, 직사각형 단면 (14) 은 이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의 방향에 따라 배향되어, 최적의 굽힘 변형이 발생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직사각형 단면 (14) 또는 절취부 (cut-out) 는 하중 센서 (17) 가 기대 하중 또는 가용 하중 범위에서 대략 0.2 ㎜ 의 길이 변화를 받도록 선택된다. 이와 관련하여 하중 범위는 빈 승강실 (3) 과 완전히 탑승된 승강실 (3) 사이의 차로부터 결정된다. 도 3b 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공통 축 (11) 의 일 단부 (15) 에는 지지물 (18) 및 부가적으로는 승강실 (3) 에 대한 공통 축 (11) 의 확실한 배향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 보조물 (16) 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목적 때문에 공통 축 (11) 의 단부 (15) 에는 조립체의 위치를 정하는 기계적으로 확실한 연결 형상물 (16) 이 제공된다. 도 3c 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중 센서 (17) 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를 사시도로 도시한다. 하중 센서 (17) 는 일반적으로 케이블에 의해 하중 측정 컴퓨터 (19) 에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승강실 (19) 에 배치된다. 많은 경우에,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하중 센서 (17) 에 직접 배치되거나 하중 센서 (17) 와 직접 일체가 될 수 있다.
도 4 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공통 축 (11) 은 방향전환 롤러 (9) 를 위한 장착부를 형성하며 동시에 지지물 (18) 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두 개의 외측 축 구역 (12) 으로 나뉜다. 두 개의 외측 축 구역 (12) 은 완전한 공통 축 (11) 을 형성하도록 연결부 (13) 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 (13) 는 하중 센서 (17) 를 포함하며, 또한 하중 센서 (17) 를 위한 최적의 로딩 (loading) 또는 굽힘 상태가 발생하도록 성형된다. 명백하게는, 연결부 (13) 및 지지물 (18) 에의 축 구역 (12) 의 연결 위치는 이러한 형태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중 방향에 대응하는 공통 축 (11) 의 배향이 필연적으로 일어나도록 정해지기도 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예이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이격된 방향전환 롤러 (9) 대신에 수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예컨대 네 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서로 간격을 두고 쌍으로 배치될 것이다.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의 중심에 하중 센서 (17) 의 대칭적인 배치는, 도 5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두 지지 수단 (7) 에 대한 지지 수단 힘의 비대칭적인 분포가 하중 센서 (17) 의 측정 편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이점을 준다. 두 개의 지지 수단 (7.1, 7.2) 사이에 정상적으로 하중이 분포되는 경우, 공통 축 (11) 에서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1, 9.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을 갖는 굽힘 모멘트 선도 (MN) 이 발생한다.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1, 9.2) 사이의 중심에 배치되는 하중 센서 (17) 는 굽힘 응력 (MNM) 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굽힘 변형값을 검출한다.
출발점에서 지지 수단 (7.1, 7.2) 중 하나가 완전히 고장날 때 나타나게 되는 도 5 에 도시된 두 개의 지지 수단 (7.1, 7.2) 사이에서의 다른 하중 분포의 경우, 지지 수단 (7.2) 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굽힘 모멘트 선도 (M1) 가 나타나고, 지지 수단 (7.1) 이 고장나는 경우에는 굽힘 모멘트 선도 (M2) 가 나타난다. 굽힘 모멘트 선도 (MN, M1, M2) 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의 중간에 배치되는 하중 센서 (17) 에 의해 검출되는 굽힘 변형값 (M1M, M2M) 은 굽힘 변형값 (MNM) 과 비교할 때 변하지 않는다. 굽힘 변형값에서 최대 측정 편차 (dM) 가 발생한다.
도 6 은 승강기 설비의 일련의 작동에서의 측정 과정을 도시한다. 승강실 (3) 은 100% 의 작동 속도 (VK) 로 정지 지점에 가까워지다 감속하여 정지하게 된다. 정지 상태에 도달하기 직전에, 승강실은 승강실 문 (5) 을 열기 시작한다. 승강실 문 (5) 은 열리기 시작하고 개방 거리 (SKT) 에 대응하여 승강실 (3) 로의 출입이 자유로워진다. 예컨대 30 % 의 최소 통로, 또는 예컨대 0.4 m 의 최소 통로가 생기자마자, 하중 측정 또는 하중 측정 컴퓨터 (19) 가 켜져 유효 가용 하중에 대응하는 신호 (LK) 를 시간 간격 (tM) 으로 승강기 제어기 (20) 에 전달한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승강기 제어기는 80% 가용 하중을 인식할 수 있고, 경고 부저 또는 정보 표시기인 "승강실 만원" (비도시) 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탑승을 멈출 수 있으며, 승강실 문의 폐쇄를 개시할 수 있다. 그 다음, 더 이상 출입할 수 없을 정도까지 (도시된 예에서는 60 %) 승강실 문이 닫히자마자,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하중 측정 신호의 평가를 멈추고, 승강기 제어기 (20) 는 승강기 구동장치의 출발 토크의 결정을 위해 마지막 측정값 (LKE) 을 사용한다. 승강실 문 (5) 의 개방 거리가 0 % (닫힘) 가 되자마자, 이에 대응하여 승강실 (3) 의 출발 이동이 시작된다.
그때, 승강기 제어 신호가 하중 측정 신호 (LA) 에 기초하여 과하중 (
Figure 112008031926935-pat00001
) 을 검출하면, 가용 하중의 감소 요구가 발하여지고, 과하중이 존재하는 한 승강실 문의 폐쇄 과정이 방지된다. 명백하게, 제어기는 특별한 작동 중에는 다른 기준이 정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화재 경보와 같은 비상 작동의 경우에는, 더 높은 과하중 한계가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는 원하는 구성 및 배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승강기 제어기는 하중 측정 컴퓨터의 신호를 더 평가할 수 있는데, 예컨대 경고 신호의 시기는 탑승 속도에 따라 정하여 진다. 게다가, 하중 센서를 구비하는 대응하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은 예컨대 통로 또는 구동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a 는 방향전환 롤러가 승강실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1g 는 도 1a 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는 방향전환 롤러가 승강실 위에 배치되어 있는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 2g 는 도 2a 에 대응하는 승강기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제 1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기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3a 는 도 3 에 따른 하중 센서를 구비하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b 는 도 3 에 따른 위치결정 보조물을 구비하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c 는 도 3 에 따른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다른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기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의 모멘트 선도를 도시한다.
도 6 은 탑승 과정 동안의 하중 측정 과정의 시간 순서도를 도시한다.

Claims (12)

  1. 승강실 (3), 승강실 (3) 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7), 및 하중 센서 (17) 를 포함하는 승강기 설비로서, 지지 수단 (7) 은 적어도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에 의해 승강실 (3) 에 연결되고, 지지 수단 (7) 은 방향전환 롤러 (9) 를 부분적으로 감으며,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는 공통 축 (11)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중 센서 (17) 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공통 축 (11)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하중 센서 (17) 가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중심에 배치되고, 하중 센서 (17) 는 공통 축 (11) 의 굽힘 변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통 축 (11) 은 중심 영역에서 절삭제거되어 있고, 공통 축 (11) 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대칭으로 배향되는 직사각형 단면 (14) 이 남고, 상기 단면 (14) 은 지지 수단 (7) 으로 방향전환 롤러 (9) 를 감음으로써 발생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이 굽힘 변형을 일으키도록 배향되거나, 또는 공통 축 (11) 은 연결부 (13) 에 의해 함께 고정되게 연결되는 두 개의 외측 축 구역 (12) 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 (13) 는 지지 수단 (7) 으로 방향전환 롤러 (9) 를 감음으로써 발생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이 굽힘 변형을 발생시키도록 성형되고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공통 축 (11) 은 그 두 개의 단부 (15) 에서 굽힘 탄성적으로 승강실 (3) 에 체결되고, 단부 (15)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전환 롤러 합력 (23) 에 대해 공통 축 (11) 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결정 보조물 (16)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및 공통 축 (11) 은 조립되어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승강기 설비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을 포함하고,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중 적어도 하나는 하중 센서 (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중 센서 (17) 는 하중 측정 컴퓨터 (19) 를 포함하거나 하중 측정 컴퓨터 (19) 에 연결되며, 상기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하중 센서 (17) 의 하중 특성을 사용하여 유효 가용 하중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하중 측정 컴퓨터 (19) 는 승강실로의 출입이 가능한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유효 가용 하중 (LK) 을 결정하며, 승강기 제어기 (20) 가 출발 토크의 결정을 위해 하중 측정 컴퓨터 (19) 의 각각의 마지막 측정 신호 (LKE) 를 승강기 구동장치 (8) 에 전달하거나, 또는 승강기 제어기 (20) 는 과하중이 검출되는 경우 출발 명령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중 센서 (17) 는 디지털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10. 지지 수단 (7) 을 승강실과 연결하기 위한 방향전환 롤러 유닛으로서, 상기 방향전환 롤러 유닛 (10) 은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및 공통 축 (11) 을 포함하고,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는 공통 축 (11)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중 센서 (17) 가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공통 축 (11)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 롤러 유닛.
  11. 하중 센서 (17) 를 승강기 설비에 배치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승강기 설비 (1) 는 승강실 (3) 및 승강실 (3) 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수단 (7) 을 포함하고, 지지 수단 (7) 은 적어도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에 의해 승강실과 연결되며,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는 공통 축 (11) 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중 센서 (17) 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 (9) 사이에서 공통 축 (11)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센서 (17) 를 승강기 설비에 배치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유효 가용 하중은 승강실 (3) 로의 출입 기간 동안 간헐적으로 하중 측정 컴퓨터에 의해 결정되고, 각각의 마지막 유효 가용 하중은 출발 토크의 결정을 위해 승강기 제어기 (20) 에 의해 승강기 구동장치 (8) 에 전달되거나, 또는 과하중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출발 명령이 승강기 제어기 (20) 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센서 (17) 를 승강기 설비에 배치하는 방법.
KR1020080041529A 2007-05-03 2008-05-02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KR101463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7107468 2007-05-03
EP07107468.6 2007-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7953A KR20080097953A (ko) 2008-11-06
KR101463249B1 true KR101463249B1 (ko) 2014-11-18

Family

ID=38509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529A KR101463249B1 (ko) 2007-05-03 2008-05-02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011480B2 (ko)
EP (1) EP1988047B1 (ko)
KR (1) KR101463249B1 (ko)
CN (1) CN101298307B (ko)
AT (1) ATE501082T1 (ko)
CA (1) CA2630338C (ko)
DE (1) DE502008002783D1 (ko)
ES (1) ES2362689T3 (ko)
MX (1) MX2008005723A (ko)
RU (1) RU2459759C2 (ko)
TW (1) TWI4057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0763B (fi) * 2006-06-05 2010-02-26 Kone Corp Menetelmä kuorman mittaamiseksi hississä ja hissi
CN102307803B (zh) * 2009-02-09 2016-01-20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在电梯设备中实施负载检测的设备以及用于实施此类检测的方法
WO2010121944A1 (de) * 2009-04-20 2010-10-28 Inventio Ag Betriebszustandsüberwachung von tragmitteln in einer aufzugsanlage
US8579545B2 (en) * 2010-03-02 2013-11-12 Fairfield Industri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an ocean bottom seismic sensor deployment vehicle
CH703134A2 (it) * 2010-05-14 2011-11-15 Kone Corp Sistema per la rilevazione del carico nella cabina di un ascensore.
WO2012031961A1 (de) * 2010-09-09 2012-03-15 Inventio Ag Lastmesseinrichtung für eine aufzugsanlage
CN104364540B (zh) 2012-06-12 2017-07-28 因温特奥股份公司 电梯设备及用于电梯设备的转向单元
FI124903B (fi) * 2013-11-01 2015-03-13 Kone Corp Hissi sekä menetelmä hissin ohjausjärjestelmän käyttämiseksi korin kuorman valvomisessa ja/tai kuormitustilanteen määrittämiseksi
CN103876681B (zh) * 2014-04-04 2016-09-21 上海普英特高层设备有限公司 一种圆管斜爬运行装置
RU2563926C1 (ru) * 2014-07-18 2015-09-27 Борис Аркадьевич Соловьев Грузовой подъемник
WO2016087706A1 (en) 2014-12-05 2016-06-09 Kone Corporation Elevator arrangement with multiple cars in the same shaft
US9676592B2 (en) 2015-06-24 2017-06-13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Traction elevator rope movement sensor system
DE102015116515B4 (de) 2015-09-29 2021-07-29 Olko-Maschinentechnik Gmbh Trommelförderanlage mit Seilüberwachungseinrichtung
DE102016217016A1 (de) * 2016-09-07 2018-03-08 Thyssenkrupp Ag Fahrkorb für eine Aufzugsanlage mit Linearmotorantrieb, Aufzugsanlage mit einem solchen Fahrkor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WO2019042753A1 (en) 2017-08-31 2019-03-07 Inventio Ag DETECTION OF PERSON IN AN ELEVATOR CABIN
CN110626907B (zh) * 2019-07-25 2023-07-25 山东奔速电梯股份有限公司 室内电梯的超载检测装置及使用该装置控制电梯的方法
CN114751275B (zh) * 2022-05-20 2023-07-21 广东日创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主动救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116A (en) 1981-12-16 1985-05-07 Safety Devices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load-moment, axle-load, or payload of a vehicle
US6305503B1 (en) 1998-04-28 2001-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Load detector for elevator cage
JP2005509579A (ja) 2001-11-23 2005-04-14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50091703A (ko) * 2002-11-25 2005-09-1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602461A1 (ru) * 1976-04-27 1978-04-15 Центральное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лифтам Пол кабины лифта
US4899852A (en) * 1988-11-03 1990-02-1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mounting assembly
US5180185A (en) * 1989-06-21 1993-01-19 Wabco Westinghouse Fahrzeugbremsen Gmbh Device for obtaining an axle-load signal of a mechanically spring-supported drive axle of a lifting axle structure
US4986391A (en) * 1989-11-30 1991-01-2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load weighing
US5343003A (en) * 1992-05-29 1994-08-30 Otis Elevator Company Recalibration of hitch load weighing using dynamic tare
RU2124468C1 (ru) * 1996-04-09 1999-01-10 Николай Гаврилович Огнев Способ взвешивания полезного груза в подъемном сосуде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131764B2 (ja) * 1998-09-01 2008-08-13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6327913B1 (en) 1998-10-30 2001-12-11 Digi Sens Ag Force measuring cell with an oscillating string transducer
CZ298166B6 (cs) * 2000-05-01 2007-07-11 Inventio Ag Prostredek zachycující zatízení pro lanové výtahys integrovaným zarízením na merení záteze
WO2002002450A1 (en) * 2000-06-29 2002-01-1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machine integrated load weighing system
US6488128B1 (en) * 2000-12-12 2002-12-03 Otis Elevator Company Integrated shaft sensor for load measurement and torque control in elevators and escalators
FR2823734B1 (fr) * 2001-04-19 2007-04-20 Serge Arnoult Installation d'ascenseur pourvue de moyens d'entrainement et de moyens de suspension independants
CN1625519A (zh) * 2002-11-29 2005-06-08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系统
US7007561B1 (en) * 2002-12-31 2006-03-07 Holland L.P. Gauge restraint measurement system
CN2813553Y (zh) * 2005-04-15 2006-09-06 秦皇岛开发区前景光电技术有限公司 电梯轿厢顶轮称重装置
US7784589B2 (en) * 2006-07-10 2010-08-31 Inventio Ag Elevator lift cage load measur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116A (en) 1981-12-16 1985-05-07 Safety Devices (Engineering) Limited Apparatus for visually displaying the load-moment, axle-load, or payload of a vehicle
US6305503B1 (en) 1998-04-28 2001-10-23 Kabushiki Kaisha Toshiba Load detector for elevator cage
JP2005509579A (ja) 2001-11-23 2005-04-14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20050091703A (ko) * 2002-11-25 2005-09-15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시스템용 도르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8307B (zh) 2010-06-23
RU2459759C2 (ru) 2012-08-27
TWI405705B (zh) 2013-08-21
MX2008005723A (es) 2009-03-02
CA2630338A1 (en) 2008-11-03
TW200902424A (en) 2009-01-16
EP1988047B1 (de) 2011-03-09
ATE501082T1 (de) 2011-03-15
EP1988047A1 (de) 2008-11-05
US20080271954A1 (en) 2008-11-06
RU2008117485A (ru) 2009-11-10
CA2630338C (en) 2015-10-20
CN101298307A (zh) 2008-11-05
DE502008002783D1 (de) 2011-04-21
US8011480B2 (en) 2011-09-06
KR20080097953A (ko) 2008-11-06
ES2362689T3 (es) 201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249B1 (ko) 승강실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승강기 설비를 위한방향전환 롤러, 및 하중 센서를 승강실에 배치하는 방법
CA2181882C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he measurement of the load in a lift cage
FI118684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hissin jarrujen kunnon testaamiseksi
EP3653558B1 (en) Monitoring system
US11724910B2 (en) Monitoring of conveyance system vibratory signatures
EP3575256B1 (en) Elevator door sensor integrated with a long range communication gateway
JP2022554006A (ja) 一体型荷重測定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かご用のブレーキ装置、エレベ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ブレーキ装置の使用、および方法
CN102348628A (zh) 制动扭矩控制
EP3543193B1 (en) Suspension member sway detection and mitigation for elevator system
US202003468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levator
US107235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belt
EP3693313B1 (en) Hoisting rope monitoring device
US20240059523A1 (en) Suspension device and use thereof in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US20240067497A1 (en) Safety system for an elevator
EP2569240B1 (en) System for load detection in a cabin of an elevator
WO2017115100A1 (en) Elevator system runby monitoring and adjustment
WO2023198954A1 (en) A solution for obtaining movement data of a tensioner element of a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CN115916682A (zh) 一种张力构件张力监测装置、方法和升降机
JPH0927830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9990073713A (ko) 승강기의 카 균형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JPH04350076A (ja)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伸び量確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