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4148A -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4148A
KR20070104148A KR1020060036382A KR20060036382A KR20070104148A KR 20070104148 A KR20070104148 A KR 20070104148A KR 1020060036382 A KR1020060036382 A KR 1020060036382A KR 20060036382 A KR20060036382 A KR 20060036382A KR 20070104148 A KR20070104148 A KR 2007010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guide
chain
slats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5440B1 (ko
Inventor
이재연
Original Assignee
(주)서진글라스셔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진글라스셔터 filed Critical (주)서진글라스셔터
Priority to KR102006003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40B1/ko
Publication of KR2007010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4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 E06B9/067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the closing elements in the stored position stor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6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 E06B9/0607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 E06B9/0615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collapsible or foldable, e.g. of the bellows or lazy-tongs type comprising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closing elements movable to a storage position characterised by the closing elements
    • E06B9/0638Slats or pane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은, 상기 슬랫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하부의 대칭되는 위치에 고정 돌설된 슬랫 하부 걸림돌기 및,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의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와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면을 구비한, 상기 두 개의 고정판 중 적어도 한 고정판의 일면상에 고정 장착된 슬랫 하부 가이드바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어, 체인 및 슬랫의 이탈로 인한 오작동, 고장 발생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셔터, 적립식 셔터, 체인, 글래스 셔터, 셔터 케이스

Description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SHUTTER SYSTEM USING MULTY LAYER-CHARGING OF SLA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셔터 도어부 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셔터 시스템의 단위 슬랫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체인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체인이 도 2의 슬랫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체인과 슬랫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양측 고정판과 체인, 슬랫들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좌, 우측 고정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슬랫, 체인이 고정판 상의 구성요소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슬랫들이 셔터 케 이스 내에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종래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 주요 부호의 설명>
10: 슬랫 11: 슬랫 상부 연결공
13: 슬랫 하부 걸림돌기 14: 확장판
17: 안착홈 20: 체인
21: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 22: 가이드홈 걸림돌기
30: 좌측 고정판 30': 우측 고정판
40: 스프라켓 50: 슬랫 상부 가이드바
51: 가이드홈 55: 걸림판
60: 동력원 65: 동력 전달 수단
66: 동력전달회전축 70: 슬랫 하부 가이드바
71: 하부 가이드면 75: 하부 걸림판
80: 슬랫가이드레일 81: 휴지부
90: 스프라켓 커버 91: 스프라켓 커버 상부벽
100: 수직 체인 가이드 110: 차단기 스위치
120: 체인 가이드 봉 130: 좌측 가이드홈틀
130': 우측 가이드홈틀
본 발명은 셔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정 위쪽 공간에 별도의 보관 공간 및 장비를 구비함으로써, 일정 공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 혹은 출입구를 차단하기 위해 드리워져 있던 셔터 도어부를 구성하는 셔터 슬랫들이 셔터 도어부의 개방시에는 상기 보관 공간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셔터 시스템에 있어서, 셔터 슬랫들의 수납 시 상기 슬랫들이 각각 분리되어 적층되는 형태로 상기 보관 공간 내에 보관되도록 구성된,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셔터라고 칭하는 문을 이루는 셔터 시스템은, 통상적인 문이 수시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인데 비해, 비교적 장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개방된 상태 및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구성되어, 개방된 상태인 동안은 차단 기능을 위한 셔터 시스템의 도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구성된 출입 차단/개폐 시스템을 일컫는다.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셔터 시스템은 벽면이나 천정 내측 공간에 상기 도어부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며, 상기 공간 내부에 상기 도어부를 수납하는 작용을 위한 각종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수납을 위한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기 셔터 도어부의 경우 상하의 폭이 좁고 좌우 폭이 긴 판재 형태의 다수의 슬랫들이 연결된 형 태로 구성되거나, 좌우로 긴 금속 봉들을 수직의 사슬이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셔터 시스템은, 셔터 도어부를 이루는 셔터 슬랫들과, 상기 셔터 슬랫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셔터 도어부의 좌우 양측 벽에 설치되는 가이드홈틀과, 셔터 도어부의 상측 천정 위쪽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셔터 슬랫들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셔터 슬랫들을 견인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기계적 구조물이 구비된 셔터 케이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셔터 슬랫들의 경우 경첩이나 사슬 연결 구조를 응용해 각각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구성되어, 셔터 케이스 내에 구비되는, 상기 슬랫들이 연결된 회전축대의 회전에 따라 감아 올려지는 형태로 셔터 도어의 개방 메카니즘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셔터 도어의 개방시에는 셔터 도어를 이루는 상기 셔터 슬랫들의 연결 구조물이 두루마리와 같이 말린 상태로 상기 셔터 케이스 내부에 수납되므로,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셔터 도어부가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하면서도, 그 수납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셔터 도어부를 이루는 셔터 슬랫들의 경우 회전축대에 감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기 위하여 몇몇 구조적 한계를 가지게 된다.
즉, 도어부의 개방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슬랫들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슬랫들은,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폭이 상당히 좁은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며, 보관시 겹쳐진 면 방향으로 받게 되는 높은 압력 으로 인해 일정 강도 이상을 가지는 금속 소재 이외의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셔터 시스템의 경우, 물품 판매점, 금융기관 등 각종 서비스 제공처 등에서 영업시간 외의 시간 동안 출입구 등을 폐쇄하기 위해 일반적인 형태의 출입문 외측에 겹문 형태로 배치되거나, 통로를 차단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필요에 따라서는 영업시간이 지나 특정 공간을 폐쇄하더라도, 내부(예를 들면 쇼 윈도우 내측 공간 등)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업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셔터 도어부를 관통하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슬랫들을 판재 형태가 아닌 봉 형태로 구성하고, 상호 일정 간격을 둔 상태에서 사슬 형태 연결 수단 등을 이용해 상기 봉들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상기 봉들 사이로 폐쇄된 공간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구성된 셔터 시스템이 알려져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셔터 시스템의 경우, 상기 봉들의 사이로 물건의 관통이 가능하여 보안상의 문제를 일으킬 소지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쇠창살과 같은 형태가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미감을 일으킬 우려 또한 있었다.
따라서, 폐쇄되는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미관상 이점 역시 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빛의 관통이 가능한 유리 등을 포함하여 셔터 도어부를 구성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슬랫들이 상 호 연결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기는 종래의 구조로는, 상술한 한계로 인해 유리 소재를 포함한 셔터 도어부를 구성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구조의 셔터 시스템으로서, 최근 들어 슬랫들을 상호 연결된 상태가 아닌 분리된 상태에서 복층 적립하여 보관하는 방식의 셔터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다.
상기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의 예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 11의 도면상 위쪽에 도시된 슬랫(10)의 사시도에서와 같이, 당해 시스템의 슬랫(10)들은 종래의 슬랫에 비해 상, 하의 폭이 비교적 넓은 창틀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창틀 형태의 내측면에 유리 판재(15) 등이 개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랫(10)들은 각각 상, 하부가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지 않고 상호 분리, 접속이 가능한 독립된 구조를 이루는 대신, 그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가 형태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입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슬랫(10)들은 각각의 상부와 하부의 가장자리가 상호 겹쳐진 상태로 쌓여 벽 형태의 차단 도어를 이루게 되는데, 이와 같이 드리워진 셔터 도어부를 이루는 각 슬랫(10)들을 천정 위쪽 공간에 설치된 셔터 케이스 내, 외부로 견인, 방출하기 위한 매개 수단으로서 체인(20)이 이용된다.
체인(2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일 측면에 형성된 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슬랫(10)들의 좌,우 양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수단과 연결되는데, 체인의 일 측면에 일정 간격의 수용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에 슬랫(10)들의 좌,우 측면 상부에 돌설된 연결샤프트(211)가 삽입됨으로써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상기 수용홀의 맞은편 측면에는 돌설된 돌기 형태의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슬랫(10)들은, 상술한 체인(20)을 매개로 하여 셔터 케이스를 이루는 좌,우측 고정판의 사이로 견인되어 수납되는데, 이러한 고정판의 구조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일정 간격으로 상기 슬랫(10)들의 양 측면 상부와 연결된 두 개의 체인(20)은 좌, 우측 고정판의 마주보는 대칭 위치에 각각 장착된 스프라켓(40)에 맞물리는데, 도 12는 이 중 좌측 고정판(30)의 구조를 도시하며, 도시되지 않은 우측 고정판의 경우 상기 좌측 고정판(30)과 좌우 대칭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의 좌측 고정판(30) 등의 구조를 나타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드리워진 체인의 일정 지점에는 일정 간격으로 슬랫(10)들의 측면 가장자리 상부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 방향의 체인(20)은 일 지점에서 맞물린 스프라켓(40)에 의해 대략 수평 방향으로 그 진행 방향이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동력원(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동력원(60)에 동력전달수단(65)을 통해 연결된 스프라켓(40)이 회전을 시작하면, 상기 스프라켓(40)을 중심으로 체 인(20)의 수직-수평 진행 방향 전환이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상기 체인에 연결된 슬랫(10)들 역시 상승-수평 이동(도어부의 개방 시) 혹은 수평-하강 이동이 일어나게 된다.
즉, 셔터 도어부 개방시를 예를 들어 슬랫(10)들의 이동 메커니즘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도 12에 도시된 도어부의 폐쇄 상태에서 스프라켓(40)이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하면, 상, 하부 가장자리가 겹쳐져 놓여있던 슬랫(10)들은 수직 방향의 체인(10)의 이동에 따라 상승을 시작한다.
상승되던 슬랫(10)들 중 가장 상부에 위치한 슬랫(10)이 스프라켓(40)의 위치까지 도달하면, 상기 스프라켓(40)에 의해 상기 슬랫(10)은 체인(20)을 따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한다.
이때, 슬랫(10)이 이동하게 되는 수평 방향(도면상 오른쪽)에는, 상기 스프라켓(40)에 인접하여 슬랫 상부 가이드바(50)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는 위쪽으로 오목한 가이드 홈(51)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스프라켓(40) 구간을 벗어난 슬랫(10)은,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가이드 홈(51)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슬랫(10)의 측면에 연결된 체인의 맞은편 면에 돌설된 가이드홈 걸림돌기(22)(도 11에 도시됨)에 의해 가능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51)은 상기 스프라켓(40)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중력의 작용으로 상기 슬랫(10)이 가이드홈(51)을 따라 자연스럽게 반대쪽 단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이드홈(51)의 하향 경사진 단부 에 걸림판(5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슬랫(10)이 가이드홈(51)의 길이 방향으로 슬랫 상부 가이드바(5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슬랫(10)의 이동 메커니즘은 수직 방향의 체인(20) 하부에 연결되어 있던 슬랫(10)들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적용되며, 따라서, 가장 하부에 위치한 슬랫(10)이 스프라켓(40)을 지나 가이드홈(51)을 따라 이동, 수납됨으로써 셔터 도어부의 개방 단계가 마무리된다. 상술한 수납 과정의 예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셔터 도어부의 폐쇄 단계는 상기 과정을 역으로 수행함으로써 일어나며, 최종적으로 각 슬랫(10)들의 상, 하부 가장자리가 맞물려 쌓임으로써 종료된다.
즉, 종래의 셔터 시스템과는 달리,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의 경우, 각 슬랫(10)들이 연결되어 두루마리처럼 감겨지는 구조가 아니라, 수납시 각각의 슬랫(10)들이 상호 분리되어 적층, 수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슬랫(10)의 상,하폭을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각 슬랫(10)들이 면 방향으로 받는 압력도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금속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떨어지는 유리 판재(15) 등을 슬랫(10)의 구성요소로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종래의 셔터 시스템과는 달리 폐쇄되는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미관상 이점 역시 가질 수 있는 셔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은, 체인을 매개로 각 슬랫들을 이동시키는 구조상의 특성으로 인해, 각종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단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도 12 등에 도시된 스프라켓(40)을 통과한 체인(20)의 이 동 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완전 전환되지 않고 계속 상부 방향으로 유지됨으로써, 체인(20)의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가이드홈(51)에 안착되지 못하고 이탈됨으로써 고장이 발생한다거나,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상기 슬랫(1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연결 샤프트(211)가 부러짐으로써 슬랫(10)이 체인(20)으로부터 이탈되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이 밖에도, 각 슬랫(10)들이 기본적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셔터 도어부의 폐쇄 상태에서 유격 현상 등으로 인해 길이 방향으로 쌓여 있는 슬랫(10)들의 접속 상태가 다소 불안한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폐쇄되는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미관상 이점 역시 높일 수 있는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구조로 구성되면서도, 스프라켓 부근에서 발생하는 체인 및 슬랫의 이탈로 인한 오작동, 고장 발생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체인과 슬랫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고장의 위험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장 부위의 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의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각각의 슬랫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의 슬랫 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셔터 도어부의 개방 또는 폐쇄시 각 구성 부분의 작동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은, 셔터 시스템의 셔터 도어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폭은 좁은 반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사이의 폭은 넓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 가장자리는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셔터 도어부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것의 하부 가장자리만은 바닥면에 놓이는 접지부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슬랫들과, 상기 슬랫들을 연결하여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랫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상부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대략 상기 슬랫들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폭이상의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수단들과, 상기 연결수단들이 형성된 일측면의 맞은편인 타측면에 돌설된 가이드홈 걸림돌기들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인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에서 면과 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슬랫들의 좌, 우측 폭보다 다소 긴 간격을 두고 떨어져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판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고정판의 마주보는 대칭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원주상에 상기 체인에 맞물리는 톱니가 구비되 어,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을,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호 전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프라켓과, 상기 체인의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가 수용되어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직선형 홈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측에서 상기 스프라켓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가 홈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일직선상의 가이드홈을 구비한, 상기 두 개의 고정판의 마주보는 면의 대칭 위치에 각각 고정 장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랫 상부 가이드바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동력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랫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하부의 대칭되는 위치에 고정 돌설된 슬랫 하부 걸림돌기 및,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의 상기 가이드홈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와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가이드홈으로부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면을 구비한, 상기 두 개의 고정판 중 적어도 한 고정판의 일면상에 고정 장착된 슬랫 하부 가이드바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는, 상기 하부 가이드면에 대략 수직한 면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하부 가이드면의 내리막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 걸림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는, 상기 슬랫의 좌,우 측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고정판 등의 고정 매개 수단을 경유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슬랫의 측면 가장자리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돌설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두 개의 고정판 중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가 고정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 일면 상에는, 상기 스프라켓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에 연결된 상기 슬랫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고정판 사이로 진입한 상기 슬랫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이드면의 오르막 방향의 단부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의 면에 돌설된 벽의 형태로 고정판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부 가이드면의 경사 오르막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랫가이드레일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슬랫가이드레일의 상기 하부 가이드면의 경사 오르막 방향의 단부와 연결되는 지점에는,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벽 형태의 휴지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는, 돌출된 단부가 회전 가능한 바퀴형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판 상의 상기 스프라켓의 원주 외측에는, 상기 스프라켓의 원주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벽을 구비한 스프라켓 커버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스프라켓 커버의 상기 벽 중 상기 스프라켓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벽은, 상기 체인의 이동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스프라켓의 원주를 벗어나는 지점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체인에 형성된 연결 수단들은, 상기 체인의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슬랫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상부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수단은, 상기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홀(hole) 형태의 슬랫 상부 연결공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부에 상기 가이드홈의 외측벽 가장자리에 걸리는 환형 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는, 상기 체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바퀴가 그 단부에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랫 상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랫 하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기 슬랫 상부의 측 단면 형태와 형태적으로 맞물려 지도록, 상기 슬랫 상부의 양 사면을 감싸는 형태의 두 개의 발 사이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이 형성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고정판 상에는, 상기 체인이 상기 스프라켓과 맞물린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간의 체인의 양 측면을 감싸는 직선상의 외측벽 형태로 고정 장착된 수직 체인 가이드가 더욱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는,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가 장착된 구간의 일부에서 상기 체인의 일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 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 상의 상기 개구 구간의 외측에는,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체인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차단기 스위치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에 다른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의 구성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 11 내지 도 13 등을 통해 전술한 종래의 셔터 시스템에서와 거의 동일한 기능과 구조를 가진 구성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셔터 도어부 및 상기 셔터 도어부의 좌,우 측면에 놓여 셔터 도어부를 이루는 슬랫(10)들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한편 바닥면에 대한 수직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틀(130,130') 만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그 상부 방향에 위치하는 구조는 생략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각 슬랫(10)들은, 좌,우로 긴 창틀과 같은 형태로 내측에 유리 판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슬랫(10)들은,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가 형태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상하)방향으로 상호 접속되는데, 이러한 상, 하부 가장자리의 보다 구체적인 형태는 도 2 등 후에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후술한다.
한편, 상기 슬랫(10)들로 이루어진 셔터 도어부의 좌,우 양 측면에는 가이드홈틀(130,130')이 위치되며, 홈이 형성된 면을 제외한 나머지 3면은 벽면이나 기둥의 내부에 파묻히도록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경우,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일정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면서도 차단된 내부 공간이 관찰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슬랫(10)들이, 종래의 셔터 시스템에 비해 상하 폭이나 구성 소재의 선택이 자유로워 상대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상당히 우수한 미감을 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셔터 도어부를 구성하는 단위 슬랫(10)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슬랫(10)의 상부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랫(10)들의 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슬랫(10)들에서 동일하나, 도 1에 도시된 셔터 도어부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슬랫(10)만은, 그 하부 가장자리가 바닥면에 접지되기 용이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를 통해 슬랫(10)의 좌, 우측 가장자리에 슬랫 상부 연결공(11), 슬랫 하부 걸림돌기(13)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설명한다.
도 3은 도 2 등에 도시된 슬랫(10)들의 측면 상부와 일 지점에서 연결되며, 연결된 슬랫(10)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매개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체인(20)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20)은, 기본적으로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모터사이클, 자전거 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체인과 거의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데, 일정 간격을 두고 양 측면에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 및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돌설되어 있는 점에서 종래의 체인과는 구조적 차이가 있다.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슬랫(10)들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는데, 보다 엄밀하게는, 상기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가 슬랫(10) 각각의 좌,우측면 상부에 형성된 슬랫 상부 연결공(11)에 삽입되어 연결되었을 때, 상기 체인(20)을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들어올렸을 경우 상하 방향으로 접속되어 있던 슬랫(10)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가 떨어질 수 있는 정도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야 하며, 이는 후술할 슬랫(10)의 수납 과정에서 각 슬랫(10)이 분리되어 이동될 수 있는 최소 길이의 의미를 가진다.
한편, 가이드홈 걸림돌기(22)의 경우, 도 11 내지 도 13을 통해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셔터 시스템에의 가이드홈 걸림돌기(22)와 같이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가이드홈(51)(도 7 내지 도 9 등에 도시됨)에 수용되어 가이드되는 부분으로서, 가이드홈(51) 내에 보다 안정적으로 걸쳐지며, 보다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에 상기 가이드홈(51)에 걸쳐지는 환형 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회전 가능한 바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체인(20)의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와 슬랫 상부 연결공(11)과의 보다 구체적인 연결 형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즉, 체인(20) 및 슬랫(10) 측면 가장자리에는 상호 연결되는 구조의 연결 수단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두 구성 부분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데, 도 11에 도시된 연결수단들의 형태와는 달리,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경우 상기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가 슬랫(10)으로부터 돌설된 구조가 아닌 체인(10)의 측면으로부터 돌설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가 체인(10)에 고정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시스템 내에서 상대적으로 유동성이 적은 슬랫(10)으로부터 돌설된 경우에 비해, 갑작스런 하중 변화 등에도 부러지는 형태의 고장이 발생될 위험성이 크게 감소하며, 만약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겹겹이 쌓여있고 상대적으로 덩치가 커 고장 부위를 적시하기 위한 해체작업이 어려운 슬랫(10)에 비해 샤프트(21) 교체 등의 수리 작업이 극단적으로 용이해진다.
전술한 구조의 체인(20)에 다수의 슬랫(10)들이 연결되어 있는 형태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의 도면상 좌측에 도시된 형태는, 체인(20)과 슬랫(10)이 연결된 상태의 측면 가장자리의 형태를 도시하며, 도면상 우측에 도시된 형태는, 상기 상태의 정면의 형태를 도시한다.
도시된 상태는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체인(20)과 슬랫(10)들의 연결상태와도 동일한데, 즉, 각 슬랫(10)들의 상, 하부 가장자리가 형태적으로 맞 물려 접속되어 있는 경우 상기 체인(20)은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아니라 다소 느슨하게 각각의 슬랫(10)들에 연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연결 상태의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후 슬랫(10)들의 용이한 분리를 위한 것이다.
한편, 체인(20)과 슬랫(10)들의 연결 상태에서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에서, 체인(20)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홈틀(130, 130')내에 포함되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며, 슬랫(10)들의 정면 부분만이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체인(20) 및 슬랫(10)의 구조는 천정 위쪽에 설치되는 셔터 케이스와 연결되며, 도 6은 상기 셔터 케이스를 구성하는 좌, 우측 고정판(30,30')과 체인(20) 및 이를 경유한 슬랫(10)들과의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셔터 케이스라는 용어는, 셔터 슬랫(10)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셔터 시스템의 작동을 위한 각종 구조물이 설치된 천정 위쪽의 특정 구조의 공간을 의미하는 용어로서,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케이스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과 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슬랫(10)들의 좌, 우측 폭보다 다소 긴 간격을 두고 떨어져 고정 설치되며, 마주보는 면 및 그 외측면에 각종 구성 부분들이 장착되는 좌, 우 두 개의 고정판(30,3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즉, 도 6에서 굵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벽 또는 천정의 경계를 나타내며, 따라서, 도면상 점선의 내측 부분은 평상시 외부에 드러나는 부분, 외측 부분은 벽 또는 천정 내부에 포함되어 외부에서는 관찰할 수 없는 부분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슬랫(10)들은 외 부로 드러나는 반면 상기 고정판(30,30')들은 천정 위쪽의 드러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된다.
도 7 내지 도 8은 상기 고정판(30,30')들 중 각각 좌측 고정판(30)과 우측 고정판(30')의 마주보는 면 상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통해 대부분의 구성 요소가 좌우 대칭된 상태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소 차이가 나는 부분으로서, 동력원(60) 및 동력 전달 수단(65)의 장착 유무를 들 수 있는데, 동력원(60)의 경우, 고정판(30,30')들 중 하나의 고정판에 장착될 수 있으며, 체인 및 기어 등으로 구성된 동력 전달 수단(65)을 경유해 스프라켓(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 전달 수단(65)은, 동력을 증폭시키기 위한 감속기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도면상 후면에 해당하는 고정판(30,30')의 외측면에 설치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동일한 정도로 좌,우 양측 고정판(30,30')에 장착된 스프라켓(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동력원(60)으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동력 전달 수단(65)의 일 구성 요소인 동력전달회전축(66)을 통해 맞은편 고정판 상의 동력 전달 수단(65)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좌측 고정판(30)의 일 면을 도시한 도 7을 통해 고정판(30,30')에 장착되는 각종 구성 부분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스프라켓(40) 및 체인(20)의 맞물림 형태 및 이동 방향의 전환 메커니즘,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구조 및 기능 등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1 내지 도 13 등을 통하여 전술한 바와 거의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한편, 도 7에는 체인(20)의 상부측 단부가 연결된 체인 가이드 봉(120)이 도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체인(20)의 단부는 상기 체인 가이드 봉(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스템의 작동시 체인(20)이 늘어져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오작동, 고장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시스템은,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가이드홈(51)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하부 가이드면(71)을 구비하며,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하부에 고정 장착되는 슬랫 하부 가이드바(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은, 그 용어에서 감지되는 바와 같이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의 하부면을 이루는 부분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가이드홈(51)과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다.
한편, 슬랫(10)의 좌,우측 가장자리 하부에는, 슬랫 하부 걸림돌기(13)가 돌설된다.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는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의 아래쪽으로 위치되는 부분으로서, 하부 가이드면(71)에 접촉될 경우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그 단부에 바퀴 작용을 하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 및 슬랫 하부 가이드바(70)는 좌,우 양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동일한 방향의 일측에만 하나씩 설치되는 것도 무방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을 통해 체인(20)에 연결된 슬랫(10)은, 스프라켓(4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그 이동 방향이 전환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체인(20)의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상부 방향으로부터 접근하여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가이드홈(51)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는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의 하부 가이드면(71) 아래쪽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가이드면(71)의 아래쪽으로 슬랫 하부 걸림돌기(13)가 들어감으로써, 스프라켓(40)을 통과한 슬랫(10)이 수평(엄밀히 말해 수평으로부터 하향 경사 방향)으로부터 벗어나 위쪽 방향으로 이탈되려고 할 경우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가 이러한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가이드면(71)과 가이드홈(51)과의 간격은, 슬랫(1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된 슬랫 상부 연결공(11)과 슬랫 하부 걸림돌기(13)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하면 되는데, 보다 엄밀하게는 가이드홈 걸림돌기(22)와 슬랫 하부 걸림돌기(13)의 사이에 가이드홈(51)과 하부 가이드면(71)이 각각 위치될 수 있도록 당해 간격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 역시 슬랫(10)의 측면 하부가 하부 가이드면(71)의 가이드 방향으로 슬랫 하부 가이드바(7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슬랫(10)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하부 가이드면(71)으로부터 연장된 측면에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에 대략 수직한 면을 가지는 하부 걸림판(7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10)의 이동 방향 전환시 원활한 이동을 안내할 뿐만 아니라, 슬랫(10)의 하부를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의 오르막 단부까지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슬랫(10)이 진입되는 고정 판(30,3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의 하부 가이드면(71)까지 연장되는, 고정판(30,30')의 면에 수직한 형태의 벽을 포함한 슬랫가이드레일(80)이 더욱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슬랫가이드레일(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면(71)의 경사 오르막 방향의 단부와 연결되는 지점에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형태의 휴지부(81)가 더욱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휴지부(81)는, 상기 슬랫(10)의 수평 이동으로의 전환시 위쪽으로 당겨지는 힘에 의해 슬랫 하부 걸림돌기(13)가 잠시 머물도록 함으로써, 가이드홈(51)의 위쪽으로 다소 이격되었던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도면상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이드홈(51) 내에 부드럽게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불규칙하고 급격한 이동 변환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고정판(30,30')사이로 도입되는 슬랫(10)들 역시 일정한 궤적에 의해 규칙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므로, 시스템의 원활하고 규칙적인 작동, 고장 위험성 감소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한편, 상기 슬랫가이드레일(80)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는 상기 슬랫가이드레일(80)이 장착된 방향으로 슬랫(10)의 측면 가장자리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돌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은,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 하부 걸림돌기(13)가 슬랫(10)의 측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확장판(14) 등의 고정 매개 수단을 경유하여 고정됨으로써 가능하다.
더욱이, 도 7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의 혼입 등으로 인한 고장 가능성을 줄이기 위하여, 스프라켓(40)의 원주 외측면에는 스프라켓(40)의 원주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벽을 구비한 스프라켓 커버(90)가 고정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상기 스프라켓 커버(40)의 상기 벽 중 상기 스프라켓(4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벽(91)은, 상기 체인(20)의 이동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스프라켓(40)의 원주를 벗어나는 지점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체인(20)의 수평 방향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술한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와도 다소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셔터 도어부의 개방시 각 슬랫(10)들이 좌,우측 고정판(30,30')의 사이에 형성된 셔터 케이스 내로 적층되는 상태가 도 10에 도시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0을 통해 슬랫(10)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 전환되는 지점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다소 기울어지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가 슬랫 하부 가이드바(70)의 하부 가이드면(71) 아래쪽에 위치함으로써 슬랫(10)의 위쪽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랫(10)들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는 상호 형태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라, 상기 슬랫(10) 상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슬랫(10) 하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기 슬랫(10) 상부의 측 단면 형태와 형태적으로 맞물려 지도록, 상기 슬랫(10) 상부의 양 사면을 감싸는 형태의 두 개의 발 사이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17)이 형성된 형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종래와는 달리 슬랫(10)의 상부 가장자리 양 측면을 안착홈(17)의 두 개의 발이 양쪽에서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셔터 도어부의 폐쇄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슬랫(10)들의 상,하 방향의 접속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0)의 수직 이동 구간에서도 상기 체인(20)의 수직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수직 체인 가이드(100)가 고정판(30,30')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수직 체인 가이드(100)의 기능은 슬랫(100)들이 끌어올려짐으로써 체인(20)이 팽팽한 상태가 되는 도어부의 개방시보다 슬랫(10)이 갑작스럽게 하강을 시작하는 시점에 더욱 발휘되는데, 이때 순간적으로 뒤틀릴 수 있는 체인(20)을 직선 상태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100)는, 구간의 일부에서 상기 체인(20)의 일 측면을 측 방향으로 노출시키는 개구 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30,30') 상의 상기 개구 구간의 외측에는 차단기 스위치(11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슬랫(10)들의 하강 이동시, 슬랫(10) 하부에 사람 등 장애물이 존재하여 슬랫(10)은 내려가지 못하는 반면 체인(20)은 하강을 계속하여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 개구 구간 밖으로 체인(20)이 밀려 나올 경우, 밀려나온 체인(20)이 상기 차단기 스위치(110)가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동력원의 작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셔터 도어부의 하부에 사람, 동물 및 기타 물건 등이 깔 림으로써, 상해나 파손이 발생될 수 있는 위험한 순간에도 셔터 도어부가 계속하여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명사고 위험성 등을 고려해 본 발명에 따른 셔터 시스템의 안전한 작동을 위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의한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폐쇄되는 내부 공간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도록 하며, 미관상 이점 역시 높일 수 있는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구조로 구성되면서도, 수평 구간에서의 체인 및 슬랫의 상향 이동으로 인한 오작동, 고장 발생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둘째,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를 체인의 측면에서 돌설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당해 부품의 부러짐 등으로 인한 체인과 슬랫의 연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고장의 위험성을 낮출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장 부위의 수리를 보다 용이 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셔터 도어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를 이루는 각각의 슬랫들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의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넷째, 셔터 도어부의 개방 또는 폐쇄시 각 구성 부분의 작동이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유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섯째, 사람들이 셔터 도어부의 밑에 위치하는 위험한 상황에서 하강 이동을 정지하게 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1)

  1. 셔터 시스템의 셔터 도어부를 이룰 수 있도록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폭은 좁은 반면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사이의 폭은 넓은 일정 두께의 직사각형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 가장자리는 상호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셔터 도어부의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것의 하부 가장자리만은 바닥면에 놓이는 접지부 형태로 형성된, 다수의 슬랫(10)들과,
    상기 슬랫(10)들을 연결하여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슬랫들(1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상부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수단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대략 상기 슬랫(10)들의 상부 가장자리와 하부 가장자리 사이의 폭 이상의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수단들과, 상기 연결수단들이 형성된 일측면의 맞은편인 타측면에 돌설된 가이드홈 걸림돌기(22)들을 구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체인(20)과,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의 위치에서 면과 면이 마주보도록 상기 슬랫(10)들의 좌, 우측 폭보다 다소 긴 간격을 두고 떨어져 고정 설치되는 두 개의 고정판(30,30')과,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두 개의 고정판(30,30')의 마주보는 대칭 위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원주상에 상기 체인(20)에 맞물리는 톱니가 구비되어, 상기 체인(20)의 이동 방향을, 바닥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과 대략 수평 방향으로 상호 전환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스프라켓(40)과,
    상기 체인(20)의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수용되어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방향으로 오목한 직선형 홈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는 상기 체인(20)의 이동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측에서 상기 스프라켓(40)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22)가 홈의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판(55)이 형성되며,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타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일직선상의 가이드홈(51)을 구비한, 상기 두 개의 고정판(30,30')의 마주보는 면의 대칭 위치에 각각 고정 장착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슬랫 상부 가이드바(50) 및,
    동력전달수단(65)을 통해 상기 스프라켓(4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동력원(60)을 포함하여 구성된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랫(10)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하부의 대칭되는 위치에 고정 돌설된 슬랫 하부 걸림돌기(13) 및;
    상기 슬랫 상부 가이드바(50)의 상기 가이드홈(51)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상기 슬랫(10)의 좌,우 측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수단과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와의 길이에 해당하는 간격을 두고 떨어져 상기 가이드홈(51)으로부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 하부 방향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면(71)을 구비한, 상기 두 개의 고정판(30,30') 중 적어도 한 고정판(30,30')의 일면상에 고정 장착된 슬랫 하부 가이드바(7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는,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에 대략 수직한 면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의 내리막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하부 걸림판(75)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는, 상기 슬랫(10)의 좌,우 측면 가장자리에 고정된 확장판(14) 등의 고정 매개 수단을 경유하여 고정됨으로써 상기 슬랫(10)의 측면 가장자리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돌설되도록 고정되며,
    상기 두 개의 고정판(30,30') 중 상기 슬랫 하부 가이드바(70)가 고정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판(30,30') 일면 상에는, 상기 스프라켓(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20)에 연결된 상기 슬랫(10)이 이동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고정판(30,30') 사이로 진입한 상기 슬랫(10)의 하부를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의 오르막 방향의 단부까지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30,30')의 면에 돌설된 벽의 형태로 고정판(30,30')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의 경사 오르막 방향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슬랫가이드레일(80)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슬랫가이드레일의 상기 하부 가이드면(71)의 경사 오르막 방향의 단부와 연결되는 지점에는, 하부 방향으로 오목한 벽 형태의 휴지부(8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 하부 걸림돌기(13)는, 돌출된 단부가 회전 가능한 바퀴형의 베어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30') 상의 상기 스프라켓(40)의 원주 외측에는, 상기 스프라켓(40)의 원주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벽을 구비한 스프라켓 커버(90)가 고정 장착되며, 상기 스프라켓 커버의 상기 벽 중 상기 스프라켓(4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벽(91)은, 상기 체인(20)의 이동 방향이 수평방향으로 전환되는 방향을 향하여 상기 스프라켓(40)의 원주를 벗어나는 지점 이상으로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20)에 형성된 연결 수단들은, 상기 체인(20)의 일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막대 형태의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로 구성되고, 상기 슬랫(10)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상부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연결수단은, 상기 슬랫 상부 연결 샤프트(21)가 삽입, 수용될 수 있는 홀(hole) 형태의 슬랫 상부 연결공(1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22)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병진 이동될 수 있도록, 그 단부에 상기 가이드홈(51)의 외측벽 가장자리에 걸리는 환형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걸림돌기(22)는, 상기 체인(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바퀴가 그 단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랫 상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부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슬랫 하부의 측 단면의 형태는, 상기 슬랫 상부의 측 단면 형태와 형태적으로 맞물려 지도록, 상기 슬랫 상부의 양 사면을 감싸는 형태의 두 개의 발 사이의 내측면으로 이루어진 안착홈(17)이 형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30') 상에는, 상기 체인(20)이 상기 스프라켓(40)과 맞물린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상기 구간의 체인(20)의 양 측면을 감싸는 직선상의 외측벽 형태로 고정 장착된 수직 체인 가이드(100)가 더욱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100)는,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100)가 장착된 구간의 일부에서 상기 체인(20)의 일 측면을 노출시키는 개구 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30,30') 상의 상기 개구 구간의 외측에는, 상기 수직 체인 가이드(100)의 외측으로 밀려나온 체인(20)에 의해 눌려질 경우 상기 동력원(60)의 작동을 중지하는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차단기 스위치(11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KR1020060036382A 2006-04-21 2006-04-21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KR101155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82A KR101155440B1 (ko) 2006-04-21 2006-04-21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382A KR101155440B1 (ko) 2006-04-21 2006-04-21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4148A true KR20070104148A (ko) 2007-10-25
KR101155440B1 KR101155440B1 (ko) 2012-07-03

Family

ID=3881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382A KR101155440B1 (ko) 2006-04-21 2006-04-21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4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13B1 (ko) * 2009-03-30 2009-09-29 공간산업(주)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CN109113551A (zh) * 2018-10-31 2019-01-01 李健志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KR102372216B1 (ko) * 2021-04-22 2022-03-08 최원백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KR20220141446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태석이엔지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1604B2 (ja) * 1997-05-08 1999-01-27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パネルシャッタ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613B1 (ko) * 2009-03-30 2009-09-29 공간산업(주) 직립적층식 수납형 오버헤드 도어
CN109113551A (zh) * 2018-10-31 2019-01-01 李健志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CN109113551B (zh) * 2018-10-31 2023-11-21 李健志 翻转装置及包含其的无槽卷帘门
KR20220141446A (ko) * 2021-04-13 2022-10-20 주식회사 태석이엔지 스태킹 타입의 방화셔터
KR102372216B1 (ko) * 2021-04-22 2022-03-08 최원백 커버 결합형 대형 도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440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5440B1 (ko) 슬랫의 복층 적립 보관식 셔터 시스템
JP6152129B2 (ja) 開閉装置の機械式開閉体停止装置
JPH08177340A (ja) 建物用シャッタ装置
JP2017524847A (ja) 改良された断熱防火パネルシャッター
EA001858B1 (ru) Оградительная решетка
JP6381401B2 (ja) 可動柵
TWI715120B (zh) 用於減輕衝擊力的捲門
CN103781984A (zh) 窗户用防坠装置
KR20090112820A (ko) 방화셔터용 모바일 셔터기둥장치
JP4657023B2 (ja) ドア開閉装置
KR100670190B1 (ko)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다층건물의 비상계단 구조
JP2007170101A (ja) シャッタ装置
JP5179837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H0128232Y2 (ko)
JPS6122144Y2 (ko)
JPH0128234Y2 (ko)
JPH0570555U (ja) 横引、水平引防火用シャッター扉
JP2014012489A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ー
KR100931565B1 (ko) 폴드업 셔터용 셔터패널
JP2686919B2 (ja) パネルシャッターの安全装置
JPH0746710Y2 (ja) シャッター
JP3747172B2 (ja) プールの可動床用侵入防止壁
JP2823628B2 (ja) パネルシヤツタ装置
JP4182483B2 (ja)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持上げ防止装置
JPH02486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