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2529A -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 Google Patents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2529A
KR20070102529A KR1020077017772A KR20077017772A KR20070102529A KR 20070102529 A KR20070102529 A KR 20070102529A KR 1020077017772 A KR1020077017772 A KR 1020077017772A KR 20077017772 A KR20077017772 A KR 20077017772A KR 20070102529 A KR20070102529 A KR 20070102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rotrusion
cement
block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리 로버트 베넷
Original Assignee
베넥스 테크놀로지스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5900005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5900005A0/en
Application filed by 베넥스 테크놀로지스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베넥스 테크놀로지스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70102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5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04B2002/02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of conical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외부면보다 가벼운 밀도의 내부코어(20)와, 상단의 돌출부(4)(73), 및 다른 블록과의 맞물리는 배치를 위하여 하단에 형합되도록 형성된 홈(cavity)(5)(76)이 개시된다. 또한, 시멘트 바인더를 가진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같은 발포 플라스틱(expanded plastic)을 포함하는 내부의 가벼운 밀도를 가진 물질이 개시된다. 블록(1)의 상면(2)은 다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면(3)은 다수의 홈(5)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2)의 돌출부(4)가 인접한 블록의 일관되게 정렬되고 배치된 홈에 삽입되어 맞물리도록 상면(2)의 돌출부(4)와 하면(3)의 홈(5)이 배치된다.
블록

Description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A composite masonry building block}
본 발명은 빌딩 블록과, 빌딩을 시공하는 방법과, 빌딩 블록 및 빌딩 블록의 조립체(an assembly of building block)를 만드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적식(組積式) 벽을 만들기 위하여 적층될 수 있는 빌딩 블록이 시공되는, 일반적으로 조적식 공사(masonry) 또는 조적식 블록(masonry block)이라 불리는 기술 분야에 속한다.
구워진 진흙 벽돌이 많은 세기 동안 알려져 왔지만, 최근에는 건물의 벽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시멘트 블록들이 제조되고 있다.
현존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모르타르 베드(mortar bed)와 모르타르 수직 연결(vertical mortar join)을 이용하여 벽에 사용되고 있다.
현존하는 콘크리트 블록은 매우 공극이 많다(very porous)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몰드로부터 매우 신속하게 제거될 수 있는 방법으로 블록의 형태가 몰드 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블록이 매우 건조한 콘크리트 배합(concrete mix)을 사용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유용한 특징이다.
이런 방법으로 제조되는 블록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 아래가 개방된 홈을 통상적으로 가진다.
물론, 이것은 솔리드 블록(solid block)에 비하여 작은 무게이면서 더 큰 치수의 블록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런 블록들을 모르타르 베드(mortar beds)에 쌓는 것과, 각 블록의 위치를 수직, 수평 및, 횡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에는 상당한 기술이 요구된다.
게다가, 경제적인 이유로 콘크리트 블록의 단위 치수가 상대적으로 무겁다. 그리고, 이것은 블록을 제 위치로 들어올려야 할 뿐만 아니라, 적어도 블록의 한쪽 끝에 모르타르를 바르고 제 위치로 들어올리고 이것을 조절해야 하는 숙련된 벽돌공에게 문제를 제기한다.
이것은 벽돌공이 블록을 정렬하는 데 있어서 숙련될 뿐만 아니라 이 추가적인 조절을 성취하기 위해 육체적으로 강할 것을 요구한다.
블록에 공극이 많다는 성질과 추가적인 공정, 예를 들어 벽면이 건물의 목적을 위한 충분한 보호벽(protective wall)을 제공하도록 하는 공정 때문에 추가적인 어려움이 생긴다.
통상적인 벽돌은 정말로 오랫동안 존재해 왔고, 모르타르 베이스(mortar base)를 약간 개재시키고 벽돌을 적층하여 시공되는 벽돌벽의 오랜 전통을 확립하여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벽(a wall) 뿐만 아니라 조적식 벽에 사용될 수 있는 블록과, 적어도 최종 제품에 있어서 비용절감을 촉진하는 건물 시공법, 예를 들어 블록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어도 건물 기준을 충족시키면서 비용 절감을 할 수 있는 건물 시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형태에서는, 바인더를 가지는 발포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는 코어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a wet cast cement-based material)인 외면 물질을 구비하고, 코어물질은 외면 물질보다 작은 밀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은 증량제(extender)와 바인더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은 모래와 같은 증량제(extender)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와 같은 시멘트와 같은 바인더의 혼합물이다.
이런 배열의 장점은 그러한 블록이 습식 타설 시멘트 물질의 성질에 의하여 낮거나 무시할만한 공극의 외면을 가질 수 있고, 높은 정밀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은 또한 조적식(組積式) 제품의 범주에서 잠재적으로 강하여서 블록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하여 모르타르 베드(mortar bed)를 사용하는 대신에 접착제(adhesive)가 사용될 수 있다.
코어 또는 블록의 몸체(body)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에 의하여 덮혀지기 때문에 보호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되어 질 수 있는 물질의 타입은 물리적인 사이즈가 큰 블록임에도 불구하고 비례적으로 큰 무게가 나가지 않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능력을 고려하였을 때 바람직한 무게는 예를 들어 전형적으로 대략 14kg까지이기 때문에 몸체(body)에서 물질의 밀도를 줄임으로써 전체 무게는 같지만 휠씬 더 큰 블록을 가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바람직하게, 가벼운 밀도의 물질은 바인더를 가진 발포 플라스틱 물질(expanded plastics material with a binder)이다.
바람직하게, 바인더는 외면 물질(the outer surface material)과의 양립을 기대할 수 있는 습식 타설 시멘트 베이스드 물질(wet cast cement-based material)이다.
바람직하게, 제안된 코어는 부피상으로 주요 부분은 발포 폴리스티렌 폼과, 단지 한면 또는 뒷면과 앞면 또는 완전히 둘러싸는 물질로서 외부의 습식 타설 시멘트 베이스드 물질 및 발포 폴리스티렌 폼과 양립할 수 있는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바인더로 구비된다.
만약, 이러한 블록을 적층할 때에 끝단에 상당한 두께의 모르타르를 가진 모르타르 베드에 매번마다 상당히 정렬할 필요가 없다면 이러한 블록을 적층하는데 필요한 기술은 훨씬 작아진다. 정확한 치수를 가지고 잠재적으로 보호된 블록을 가진다는 것은 적층 작업이 빌딩 산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adhesive)를 이용하여 적절한 표면을 코팅하는 것과, 모르타르 베드에 비하여 훨씬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 접착제층(adhesive layer)을 사용하여 단순하게 적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착제 물질(a glue or adhesive material)은 그것 자체로는 부피를 많이 차지할 필요가 없고 실제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도 않기 때문에 접착면 사이에 현저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접착을 위한 비싼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특징들을 가지는 블록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블록을 수평으로 정렬하기 위해서 기초 높이(base level)와 접착제를 상대적으로 일정한 두께로 유지하는 것에 약간 의존되기는 하지만 블록을 수직으로 정렬하고 수평으로 정렬하는 데에는 여전히 적당한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블록 외형에 관해서는 블록 외형의 특징을 정밀하게 특정하지 않고 본 발명에 관한 특징들을 설명하였다.
바람직하게, 블록은 곡면을 포함할 수 있는 전체적으로 적절한 형태를 가지지만, 선호되는 예는 외면(outer face)과 내면(inner face), 두 끝면들(two end faces), 및 상면과 바닥면(top and bottom face)을 제공하는 두 개의 마주보는 면들(two opposite faces)이 있는 직사각형 부분이다.
만약, 일반적으로 이러한 각각의 면들이 적어도 나머지 면들에 대하여 모두 직각으로 배치된다면, 직사각형 블록이 된다.
상기 특징들을 가지는 블록을 이용하여 벽을 만드는데 요구되는 기술에 있어서는 만약 블록을 쌓는 작업자에게 요구되는 기술이 매우 크게 감소된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의 면들 중 하나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가 더 구비되고, 블록의 두 번째 마주보는 면 속에는 마주보는 면에 형합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형합되는 형태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홈들(cavities)이 더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면(upper face)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개의 돌출부가 있고, 이런 돌출부는 상기 첫번째 블록에 직각으로 배치되거나 블록 전체 길이에 비례하여 적층되는 블록의 홈에 형합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이것이 성취될 수 있도록 각 돌출부의 간격과 블록의 폭 및 길이 사이에는 상응하는 관계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형합은 또한 블록 밑면의 적절한 홈 형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각 돌출부는 대개 평평한 형태의 면 위로 돌출되고, 밑면의 홈이 돌출부와 수직을 이루거나 각 블록과 정렬되도록 배치되거나 밑면의 홈과 형합하는 단면을 가진다.
어떤 경우에는, 이것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정사각 단면 또는 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다른 단면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면은 원형(circular)이고, 따라서 선호되는 돌출부는 원뿔대 형태(a frusto-conical shape)이거나 구의 부분(part of a sphere)이다.
바람직하게, 원뿔 형태가 실질적인 이유에서 선택되는데, 블록이 다른 블록 위에 놓여질 때 상부 블록의 가장자리가 하부 블록의 상단에 가장 먼저 놓여질 수 있고, 돌출부의 부분을 파손시키거나 가장자리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홈에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부 블록이 회동하면서 놓여질 수 있다.
이 형합방법(acceptable manner)은 각 돌출부가 수직 측면을 가지고 있다면 상부 블록은 돌출부 또는 홈의 측면을 파괴하거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평행하게 하강되어야하고, 이것은 육체적으로 더 힘들고 많은 경우에는 불필요한 방법이다.
따라서, 돌출부의 측면과, 홈의 형합하는 형태(the matching shape of the cavity)는 경사면(the inclined sides)을 포함한다.
실제적으로, 습식 타설 시멘트로 이루어진 외면을 가짐으로써 공극이 낮거나 거의 없고, 매우 강하며, 추가적인 안정을 위한 양생 과정과 시공시에 정밀도가 유지될 수 있는 정밀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록이 접착제층(a bed of adhesive)에 놓여질 때 약간의 조정이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돌출부와 홈 사이에는 작은 간격이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런 오차(tolerance)는 실제적인 고려이고, 이 명세서에서 정밀도와 관련된 어떠한 논의도 그러한 상황의 실제적인 오차를 포함한다.
총중량 14kg인 블록의 경우에 측면에서 측면까지 또는 길이 방향으로 1mm 또는 2mm 조정의 허용 오차는 받아들여질 수 있고 벽의 수직 정렬에서 더 이상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좋은 정밀한 술책을 제공한다.
블록을 설명하는 동안에, 우리는 블록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블록의 외면 재료를 제공하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내부에 수용되는 몰드가 양생 공정 중에 그대로 두어진 채로 블록이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러한 몰드는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마주보는 면들이 형성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정렬될 수 있다.
또 다른 배열에서, 블록은 한쪽 측면이 가장 낮게 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다음으로 몰드는 습식 시멘트로 먼저 코팅되고, 다음으로 미리 형성된 코어 또는 다른 상태로 더 가벼운 밀도의 물질이 블록의 코어 영역이 형성되도록 위치되고, 다음으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울퉁불퉁하거나 매끈한 코어 위에 코팅된다.
더 가벼운 물질의 미리 형성된 코어를 몰드 내에 위치시키고, 다음으로 코어 둘레를 포함한 몰드를 채울 수 있도록 유체 상태의 습식 타설 콘크리트를 주입하고, 다음으로 습식 타설 콘크리트가 경화되도록 한다.
또 다른 선호되는 경우에서는, 먼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몰드의 바닥을 가로질러 층으로서(as a layer) 몰드의 내부에 삽입되고, 다음으로 모래 결합제를 가진 발포 플라스틱과 시멘트의 혼합물이 몰드 내에 주입된 후 경화된다.
또 다른 선호되는 경우에서는, 먼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몰드의 바닥을 가로질러 층으로서(as a layer) 몰드 내부에 삽입되고, 다음으로 모래 결합제를 가진 발포 플라스틱과 시멘트의 혼합물이 몰드 내에 주입되고, 다음으로 추가적인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상기 혼합물의 상단에 주입되어 결과적인 물질들(resulting material)이 경화된다.
개개의 혼합 비율은 수많은 다른 요인들에 의존하기 때문에 양(quantities)과 플라스터사이저(plastersizer)와 같은 상품의 소스(source)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약간의 실험이 필요하지만 바람직한 혼합비율은 대략 다음과 같다. 더 가벼운 폴리스티렌 비드(polystyrene beads)가 적당하게 배분될 수 있는 습식 혼합물을 얻는 것이 목표이다.
시멘트 4.8kg
고운 해변 모래(Fine beach sand) 5.6kg
3mm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3mm polystyrene expanded beads)(@20kg=1m3) 7.2 리터(litres)
플라스터사이저(Plastersizer) 120ml
슈퍼-플라스터사이저(Super-plastersizer) 12ml
촉진제(Accelerant) 40ml
물 1.12 리터(lts)
설명된 배합의 장점 중의 하나는, 몰드의 마무리 면과 타설된 물질과의 밀접한 합동(association)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무리면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과 적절한 강도를 가지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을 가짐으로써 블록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적어도 발명의 넓은 의미에서 타설 공정 중에 외면에 타일을 포함하는 것과 같은 유리한 다른 물질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인 형태에서는, 두 측면이 서로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두 끝면이 서로 평행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면과 하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서로 평행한 평평한 표면을 가지고, 블록의 각 측면 사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고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돌출부가 있다는 점과, 각각의 돌출부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고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고 하면에 형성되고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삽입홈(receiving cavities)이 있다는 점에서 더 특징적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블록은 습식 타설 콘크리트가 폴리스티렌 폼 입자(polystyrene foam particles)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돌출부가 블록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칭적(orthogonally symmetrical)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코어가 블록의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작은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타설 콘크리트는 경량 콘크리트(lightweight concrete)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습식 타설 콘크리트는 입자로 형성된 플라스틱(particulate foamed plastics)이 합쳐진 콘크리트이다.
본 발명은 제1 블록이 제2 블록 위에 놓여지고, 제1 블록의 위로 향한 돌출부를 제2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하는 시공에도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돌출부는 피라미드 형태(pyramidal shape)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빌딩 블록은, 중량상으로 주요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시멘트와, 블록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에 비하여 가벼운 물질로 된 코어를 구비한다.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빌딩 블록은, 중량상으로 주요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시멘트와, 블록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에 비하여 가벼운 물질인 발포 플라스틱과 결합제(binder)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블록은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한정하는 서로 마주보는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제1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하고 제1 물질과는 다른 제2 물질을 포함하고, 세 쌍 중에서 한 쌍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동일한 형태와 규격(size)을 가지는 추가적인 블록의 정렬이 가능하도록 하고 추가적인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동일한 한 쌍의 면 중 나머지 하나의 면에 형성된다.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이 상기 제1 물질보다 밀도가 크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 물질은 시멘트, 모래, 물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 물질은 시멘트, 모래, 물, 및 폴리스티렌의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돌출부는 몸체에 가까울수록 넓어지는, 돌출된 원추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블록은 합성물이고, 제1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와,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이 있고, 두 블록을 결합하고 정렬하기 위하여 요홈부에는 돌기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블록은 평면 형태 또는 기본적으로 평면 형태이며 서로 마주보는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평면 형태 또는 기본적으로 평면 형태인 각 면은 다른 면과 수직을 이루어서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형성하고, 블록은 제1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와, 제1 물질과는 다른 밀도를 가지고 제1 물질을 둘러싸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부면을 형성하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외부 부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형태에 있어서, 블록은 평면 형태 또는 기본적으로 평면 형태인 서로 마주보는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평면 형태 또는 기본적으로 평면 형태인 각 면은 다른 면과 수직을 이루어서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형성하고, 블록은 제1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 및 제1 물질을 둘러싸며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하고 제1 물질과는 다른 밀도를 가지는 제2 물질을 포함하고, 세 쌍 중에서 한 쌍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동일한 형태와 규격(size)을 가지는 추가적인 블록의 정렬에 영향을 주고 추가적인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동일한 상기 한 쌍의 면 중 나머지 하나의 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돌출부의 중심축과 중심축은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데, 상기 중심축과 중심축이 이격된 거리는 블록의 폭과 동일하다.
또한, 블록의 끝에 있는 각 돌출부는 블록의 끝면(end face)으로부터 그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블록 폭의 1/2만큼 되도록 떨어져 있다.
이것은 밑에 있는 블록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블록이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두 블록의 조립체는 각각 여기에서 설명된 특징들을 가지고, 두 블록의 조립체에서 제1 블록의 치수와 형태는 제1 블록이 놓여지는 제2 블록의 치수와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블록과 제2 블록은 앞면과 뒷면이 각각 공통된 면을 가질 수 있도록 정렬되고, 제1 블록의 바닥면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두 면들 사이에 연장된 얇은 접착층에 의하여 접착되고 정렬되어서 제2 블록 위에 놓여진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실시예들이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위에서 내려다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블록을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블록에서 외면과 내부 코어를 보여주기 위하여 일부분이 절개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상면(top face) 돌출부의 배열과 하면(lower face)의 홈을 보여준다.
도 4는 적층되어 맞물리고(interloking), 결합면의 접착제(adhesive)에 의하여 결합된 두 블록의 단면을 보여준다. 두 블록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블록과 동일하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밑바닥의 일부분이 절개된 제1 실시예의 블록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 7은 제1 실시예의 블록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밑부분에서 왼쪽 코너가 일 부분 절개된 것과, 점선으로 나타난 홈을 보여준다.
도 8은 지지 기초(supporting foundation)의 상면에 위치한 모르타르 베드(mortar bed) 위에 위치한 하부 블록과 적절하게 맞물리도록 위치한 다수의 블록을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한 쪽 코너를 먼저 위치시킨 후에 홈 또는 돌출부의 손상되기 쉬운 모서리(edge)가 파손되지 않도록 지지점을 중심으로 블록을 회동시키면서 안착시키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9의 작업의 결과를 보여준다.
도 11은 제1 층의 블록이 모르타르 베드 위에 위치한 것과, 제2 층의 블록이 제1 층 위에 두 개의 블록을 가로질러 적층되되 첫번째 블록이 코너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각을 이루도록 적층된 것을 보여준다.
도 12는 홈이나 돌출부를 파손시키지 않고 한 세트(set)의 하부블록 위에 블록을 적층하는 방법을 추가로 보여준다.
도 13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몰드를 보여준다.
도 14는 도 13의 부분 확대도인데, 도 13에 비하여 블록의 습식 타설 외면(a wet cast outer surface)을 만들기 위한 시멘트 코팅이 되어 있다.
도 15는 도 13과 도 14의 몰드를 보여주는데, 몰드의 양쪽 면이 회동되어 합쳐지고, 우선 몰드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에 의하여 코팅된 후, 가벼운 시멘트로 채워진다. 그리고,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에 의하여 코팅되고 몰드에 코팅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의 상단에 끼워지는 몰드의 상단이 도시되었다.
도 16은 미리 형성된 코어가 위치하는 다이(die)와, 미리 형성된 코어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는 간격재(space)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따라서, 미리 형성된 코어와 몰드 사이에는 습식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될 수 있고 적절하게 진동될 수 있는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7은 미리 형성된 코어가 커팅되어 만들어질 수 있는 더 큰 블록을 보여준다.
도 18은 블록이 주조될 수 있는 다른 다이(die)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상기 다이의 하면에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의 제1 코팅이 위치되고, 상기 물질의 나머지를 이것 위에 타설하여 뒷면(a back surface)이 부유하게 되도록 다이를 채운다.
도 19는 도 18의 조립체에 구비되는 부품들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21, 22는 상단의 돌출부와 하단의 홈이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위치되며, 돌출부와 홈이 각각 반구(半球) 형상의 복합 블록인 제2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조적식 벽 또는 이런 일반적인 형태의 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상당히 변화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금까지는 모르타르 베드를 사용하는 것이 통상적이었는데, 모르타르 베드 는 한편으로는 일단 모르타르 베드에 놓여진 각각의 블록의 정렬과 조절과 상당한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였지만, 이와 동시에 모르타르 베드를 정위치시키는 데에 숙련됨과 기술을 요구하고 모르타르 베드를 벽돌공에게 계속 공급하고, 벽돌 또는 블록이 수직, 수평으로 조정되고, 일반적으로 평평한 면 또는 적어도 요망되는 패턴으로 변화하는 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외면이 이웃하는 면과 정렬하는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한 방법은 수년 동안 건축 산업에 내재된 수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상기 어려움들 중에 하나는 모르타르 베드가 경화되기 위해서는 정해진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하부의 베드가 아직 완전히 양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시공할 수 있는 벽의 높이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다.
나아가, 벽의 구조적인 강도는 적층되는 각 부재의 무게와, 모르타르 베드와 벽돌 또는 블록 사이에 생길 수 있는 물리적으로 약한 결합에 의존한다.
숙련된 벽돌공이 매우 힘들고 도전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대가로 더 높은 보수를 요구하거나 숙련된 벽돌공의 공급이 부족하였기 때문에 수년동안 어려움이 계속 증가되어 왔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은 평평한 상면(2)으로부터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4)와 하면(3)에 인입된 다수의 홈(5)을 포함하는 상면(2)과 하면(3)을 갖는다.
상면(2)에 대한 돌출부(4)의 배열과, 하면(3)에 대한 홈(5)의 배열은 돌출 부(4)가 일정하게 배열되고 위치된 홈(5)의 내부에 놓여져서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각 돌출부(4)는 공통된 형태와 치수(dimension)를 갖고, 제1 실시예에서는 아래가 더 넓고 상단(6)이 하부 지름(lower diameter)(7)과 동일한 중심(co-annular)을 갖고 측면(8)이 수평 또는 수직면과 대략 45°를 이루는 원뿔대 형태(a frusto-conical shape)를 가진다.
인접한 원뿔대 돌출부(4)의 축 사이의 거리(9)는 측면(11)(12) 사이의 폭(10)과 동일하다.
나아가, 각 돌출부(4)의 축은 측면(11)(12)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되고, 블록(1)의 양끝에서의 상기 축은 양끝면으로부터 블록(1)의 폭(10)의 1/2만큼 이격된다.
홈(5)은 돌출부(4)의 형상과 일반적으로 형합하는 원뿔대 형태를 가지고, 돌출부(4) 중의 하나가 홈(5) 중의 하나에 삽입되며, 홈(5)과 돌출부(4) 사이에 전형적으로 아마도 예를 들어 1mm 또는 2mm 정도의 작은 간격이 존재하고, 따라서 하부 블록과 동일한 특성을 가지는 상부 블록을 하부블록에 맞물리도록 한다.
홈(5)은 돌출부(4)와 관련하여 설명된 관계들을 반영한다. 이러한 범위에서, 홈(5)은 홈(5)을 수직으로 통과하는 중심축을 갖고, 이들 축의 각각은 이웃하는 축과 블록(1)의 폭(10)만큼 이격된다.
나아가, 끝에 위치한 홈, 예를 들어, 홈(14)은 건축산업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오차 내에서 끝면(15)으로부터 블록(1)의 폭(10)의 1/2 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하는 축을 가진다.
나아가, 홈(5)의 측벽은 중심축과 45°를 이루고, 각 홈(5)의 상단은 하면(3)과 만나는 하단의 원형 영역 직경의 1/2 직경을 가지는 원형 영역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블록은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이고, 평행하게 배열된 서로 마주보는 면과 다른 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는 면을 가진다.
이러한 시공법이 유용하기 위해서는, 맞물리는 블록의 배열은 맞물리는 면의 정밀도에 의존하게 되기 때문에, 대략 1cm 또는 2cm의 두께를 가지는 모르타르 베드 대신에, 접촉하는 면 사이의 거리가 매우 작아서 전형적으로 1mm 또는 2mm인 경우에 접착제(adhesive or glue)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기대된다.
습식 타설된 외면 마무리를 가짐으로써 상기 시공법은 오차를 작게 하고 맞물리는 조립 시스템을 이용하여 더 정밀한 벽을 쉽게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장점 중의 하나는 각 블록은 제 위치에 매우 빨리 위치될 수 있다는 것이고, 접착제가 아직 양생되지 않은 때라도 블록 위에 추가로 무게를 가하는 것 자체가 블록 면 사이의 접착제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면 사이의 충분한 접착제를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많은 블록이 매우 빨리 적층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으로 낮은 가격 요구가 만족된다면 합리적으로 실행가능한 물리적인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고, 일반적인 조건에서 벽돌공에게 적합한 최대 중량은 14kg인 것으로 여겨진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폭과 상당한 길이를 가지는 블록의 타입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보다 밀도가 낮은 물질을 공급하는 데에 있어서 상당히 유리하다. 탄산가스가 든 시멘트(aerated cement)가 알려져 있지만, 탄산가스가 든 시멘트는 밀도를 크게 낮추는 것이 아직은 매우 어렵거나, 적어도 탄산가스가 든 상태를 유지하고 탄산가스를 합리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아직은 매우 어렵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1)은, 이 경우에는, 습식 타설이 가능한 시멘트(wet castable cement)와 혼합된 스티렌 폼(styrene foam)으로 제조된다.
유용한 것으로 판명된 혼합물은 아래와 같다.
시멘트(포틀란드 시멘트) 4.8kg
고운 시드니 해변 모래(Fine Sydney beach sand) 5.6kg
3mm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3mm polystyrene expanded beads)(@20kg=1m3) 7.2 리터(itres)
플라스터사이저(Plastersizer) 120ml
슈퍼-플라스터사이저(Super-plastersizer) 12ml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 있는 데구사 컨스트럭션 케미컬(Degussa construction chemicals)에서 생산된 글레니움 51(Glenium 51)이 슈퍼-플라스터사이저의 한 예이다.
촉진제(Accelerant)((칼슘 클로라이드)(calcium chloride)) 40ml
물 1.12 리터(lts)(전형적인 예에서 물은 2 또는 그 이상의 리터까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들 특히, 혼합물에 충분한 유동성(mobility)이 생길 때까지 증가 될 수 있는 물의 양과, 다른 성분들의 선택과 그 양 특히, 다양한 공급자로부터 공급되어 상품의 형태로 이용가능한 플라스터사이저는 약간의 실험이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가벼운 밀도의 코어가 형성되도록 폴리스티렌을 혼합물에 포함시킬 수 있고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물에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서 경화될 수 있는 습식 혼합물(wet mixture)을 얻는 것이 목표이다.
이러한 코어 물질은 직접 몰드에 타설되거나, 블록을 완전히 둘러싸는 외면에 이어서 미리 형성되거나, 또 다른 경우에는 조밀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에 단지 한 면만 접하게 될 수 있다. '시멘트'라는 용어는 포트란드 시멘트 또는 포트란드 시멘트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시멘트'라는 용어는, 상황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생시멘트(raw cement)가 모래 또는 유사 증량제(like extender)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블록(1)은 6개의 돌출부와 6개의 형합하는 홈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양한 기준 치수를 가지는 블록도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벽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경우에 한쪽 면이 한쪽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다른 면이 다른 쪽 벽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블록도 가능하다.
이러한 코너 블록은 또 다른 대안이다.
그러나, 제1 실시예와 같이, 일반적인 치수가 다음과 같은 주요 블록이 있다. 즉, 폭, 높이, 길이, 베이스(base)로부터 꼭대기(peak)까지 돌출부의 높이, 각 돌출부의 측면 각도, 각 경우에 있어서 홈과 돌출부의 직경의 차이, 외부의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로 완전히 싸여져 있는 블록의 전체 무게.
도 4는 두 개의 블록이 어떻게 적층되고, 발포 폴리스티렌 폼 코어와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을 갖는 각 블록이 어떻게 접하는지 보여주는 전형적인 단면도이다.
특히, 도 8은 적절하게 배치된 돌출부가 없는 기초에 블록을 배치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경우에는 블록은 모르타르 베드 위에 배치될 수 있고, 이것은 블록을 정밀하고 쌓고 정렬하기 위하여 약간의 기술을 필요로 한다.
일단 블록이 기초 위에 배치되고 나면 블록 위에 나머지 블록들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고, 신속하며, 훨씬 작은 기술로 위치시킬 수 있다.
돌출부와 홈 사이에 여전히 존재하는 작은 허용 오차는 목적에 적절한 접착제에 의하여 채워진 경우에 작업자에 의한 약간의 조절을 허용한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고려되는 어려움은 적층하고자 하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블록이 있고 홈과 돌출부의 각각의 측면이 매우 작은 허용 오차를 갖고 평행하다면 상부블록을 하부블록의 상측에 아주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난 후에 하강시켜 상대적으로 정밀한 정렬을 확립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어색하고, 블록의 가장자리를 파손할 위험성을 심각하게 하며, 일단 파손된 단단한 물질이 면 사이에 존재하여 정밀한 맞춤을 방해하는 결과적인 문제를 만들 수 있다.
돌출부와 홈이 경사진 측면을 가짐으로써 작업자는 블록의 한쪽 끝이 먼저 닿도록 하강시킨 후,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을 단순히 회동시켜 하강시키는 편리한 방법에 접근한다.
이러한 방법은 블록이 우발적으로 파손되어 면 사이에서 블록의 적층을 방해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킨다.
도 11은 기초 위에 제1 층이 위치될 수 있는 방법을 추가로 보여준다. 상기 경우에서는 모르타르 베이스가 홈을 채운다.
또한, 이 경우에는 완전한 블록(31)이 하부 블록(32)에 겹치도록 하는 끝 블록(30)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전형적인 바람직한 배열이 아니고, 끝 블록(30)은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은 더 전형적인 적층 배열을 위한, 빈공간을 매우는 적절한 길이의 블록이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이(40)는 두 부분(41)(42)로 만들어지고, 두 부분(41)(42)은 중심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어 도 15에 나타난 형태를 이룬다. 분리되는 다이는 포틀란드 시멘트와 모래의 혼합물로 제조되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의 코팅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혼합물은 각각의 표면에 자유롭게 코팅된다.
이 단계에 앞서서, 몰드에 이형제(release agent)가 도포된다.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의 얇은 층(43)이 다이 전체에 걸쳐서 코팅되고, 이 경우에는, 비록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돌출부(4)와 대응되는 형태(44)에도 얇은 층(43)이 코팅된다.
일단 완전히 코팅되면, 두 부분(40)(41)이 합쳐지고, 폴리스티렌 폼과 포틀란드 시멘트와 모래와 플라스터사이저(plastersizers)와 앞서 설명된 촉진 제(accelerant)가 함께 혼합되고 한꺼번에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설된다.
폴리스티렌 폼을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 약간의 주의가 필요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잘 알려진 바인더 플라스터사이저 에이전트(binder plastersizer agents)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된다.
일단 채워지면,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46)로 코팅된 캡(45)을 몰드의 상단(47)에 설치한 후,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양생되도록 방치하여 둔다.
비록, 상기 몰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제품을 제공하지만, 지금부터 설명하는 하나 또는 두 가지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에 첫 번째는 폴리스티렌 폼이 진동을 받으면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로부터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진동은 공기를 제거하고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을 다지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증량제(extender) 혼합물을 포함한 포틀랜드 시멘트에 의하여 결합된 개개의 작은 공 또는 조각난 입자인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프리캐스트 폴리스티렌 물질을 미리 형성한 후 적절하게 절단하여 코어를 미리 형성하는 접근법이 이러한 어려움을 줄이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미리 형성된 코어(50)가 적절한 스페이서(51)(52)(53)(54)에 의하여 외벽으로부터 떨어지도록 위치한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도 13,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난 바와 같은 몰드가 사용된다.
도 17은 코어를 형성하는 배치 방법(batch method)과 이것으로부터 코어를 절단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8과 도 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는 클램프(61)에 의하여 제위치에 적절하게 위치하는 몰드(60)를 포함한다. 몰드(60)는 클램핑 홀드-다운 볼트(62)와 홀드-다운 프레임(63)을 포함한다.
개방된 상단을 가지는 몰드의 측면은 홈을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66)와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한 적절한 형태(67)를 가지는, 서로 마주보는 측면(64)(65)을 포함한다.
제일 먼저, 대략 1-2cm 깊이의 코팅이 바닥(68) 전체에 걸쳐 되도록 하고, 그 이후에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과 폴리스티렌의 미리 양생된 물질을 타설한다.
이 경우에 폴리스티렌 물질은 블록 외부의 얇은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이 경우에 블록의 뒷면은 몰드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거친 마무리 면을 가질 수 있다. 만약 필요하면, 블록의 뒷면은 매끄러운 면이 되도록 연마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블록 자체는 몰드의 평평한 면에 그대로 위치하고 몰드의 측면으로부터 풀려질 수 있는 개개의 부품들을 제거함으로써 몰드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도 20, 21 및 22는 상단의 돌출부(73)와 하단의 홈(76)을 구비하고, 돌출부(73)와 홈(76)이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위치되며 돌출부(73)와 홈(76)은 각 각 반구(半球) 형태를 가지는 복합 블록(7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블록(70)은 측면(72)의 상단을 따라 챔버 에지(chamber edge)(71)를 가지는 직사각 형태의 블록을 보여준다.
돌출부(73)는 각각 반구(半球) 형태를 갖고 측면(72)(74)으로부터 동일하게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게다가, 유사한 블록의 끝단들이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된 경우에 제1 블록의 제1 끝단에 위치한 돌출부(75)와 제2 블록의 인접한 끝단에 위치한 돌출부 사이의 거리는 돌출부(73)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것은 블록들이 맞물리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홈(76)은 블록(70)의 상단에 형성된 돌출부의 사이즈 및 반구(半球) 형태와 상응하는 사이즈 및 형태를 가지고, 블록(70)의 하단에 형성되며, 각 측면(72)(74)과 동일한 거리로 떨어지도록 위치되고, 각각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떨어지도록 위치되는데 블록(70)의 끝면으로부터는 홈(76) 사이의 거리의 1/2만큼 떨어진다.
전술한 블록은 더 단단하고 강한 면을 제공하는 높은 밀도의 물질로 이루어진 외부면(77)과, 낮은 밀도의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를 포함하는 복합블록이다. 이것은 작업상 승강 한계에 의하여 규정되는 무게 제한이 있는 경우에 더 큰 크기의 블록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코어는 발포 플라스틱 물질 입자와, 포틀란드 시멘트와 같은 시멘트와 같은 바인더와, 모래의 혼합물에 의하여 제공되는 물질(extended material)이다.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슈퍼-플라스터사이저가 사용되면 발포 폴리스티렌과 같은 가벼운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쉬워진다.
이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된 블록은 전술한 바 있는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도 만들어질 수 있고, 유사한 형태와 사이즈와 모양의 블록이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제 위치에 견고하게 위치되고, 강한 외면을 가짐으로써 더 나은 면을 가진다.
한편, 이 적용에서는 발포 폴리스티렌을 하나의 물질이라고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의 가장 넓은 의미에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돌출부와 홈에 대하여 지금까지 설명되고 돌출부와 홈이 원형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더 넓은 의미에서는 이러한 원형으로부터 약간의 변형이 가능하고, 비록 덜 선호되기는 하지만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른 배열과 이것에 수직이 되는 추가적인 배열까지 홈이 돌출부에 적합하다면 정사각형의 돌출부와 홈도 가능하다.
비록, 가장 실제적이고 선호되는 실시예인 것으로 여겨지는 것이 여기에서 보여지고 설명되었지만, 여기에서 설명된 세세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균등한 기구와 장치를 포함하기 위하여 청구항의 전 범주와 조화되도록 본 발명의 범주 안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빌딩 블록은 습식 타설 시멘트 물질의 성질에 의하여 낮거나 무시할만한 공극의 외면을 가질 수 있고, 높은 정밀도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빌딩 블록을 적층하기 위하여 모르타르 베드(mortar bed)를 사용하는 대신에 접착제(adhesive)를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인 사이즈가 큰 블록임에도 불구 하고 비례적으로 큰 무게가 나가지 않으며, 블록을 적층할 때에 필요한 기술이 훨씬 작아진다.

Claims (39)

  1. 습식 타설 시멘트(wet cast cement)로 형성되는 외면 물질(outer facing material)과, 외부의 습식 타설 시멘트보다 작은 밀도를 가지는 물질 또는 물질들로 이루어진 코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은 증량제(extender)와 바인더(binder)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은 모래인 증량제(extender)와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인 바인더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 물질 또는 물질들은 바인더를 가지는 발포 플라스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5. 제4항에 있어서,
    모래 바인더(core binder)는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인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빌딩 블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는, 적어도 부피상으로 주요 부분은, 발포 폴리스티렌 폼 입자와, 외부의 습식 타설 물질 및 발포 폴리스티렌 폼과 양립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물질들로부터 선택된 바인더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은 외면(outer face)과 내면(inner face), 두 끝면들(two end faces), 및 상면과 바닥면(top and bottom face)을 제공하는 두 개의 마주보는 면(two opposite faces)이 있는, 외부 둘레가 직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8. 제6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블록이 될 수 있도록 이러한 각각의 면들이 나머지 면들에 대하여 모두 직각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의 면들 중 하나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돌출부와 형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형합되는 형태와 사이즈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상응하는 홈들(cavities)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과 동일한 사이즈와 형태를 가지는 추가적인 블록의 홈에 형합될 수 있도록 상면(upper face)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떨어진 복수개의 돌출부가 있고, 상기 추가적인 블록은 그 길이방향이 상기 블록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정열되거나 상기 블록의 일부분과 겹쳐지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는 평평한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홈이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거나 수직으로 정렬되는지 여부에 무관하게 하면의 홈과 형합될 수있는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가 상면과 연결되는 돌출부의 베이스 부분은 원형의 횡단면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돌출부의 횡단면은 돌출부와 상면이 연결되는 돌출부의 베이스 부분이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가 원뿔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출부의 측면과, 돌출부와 형합하는 홈은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대적인 위치 조절이 조금 가능하도록 돌출부와, 추가적인 블록의 형합하는 홈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17. 한쪽 측면을 가장 낮게 하고 습식 시멘트를 이용하여 적어도 몰드의 일부분을 코팅하고 난 후, 미리 형성된 코어 또는 외부면 물질의 경화 밀도보다 더 가벼운 경화밀도를 갖는 혼합물을 블록의 코어 영역 내에 위치시킨 후,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양생되거나 양생 중인 동안에 코어의 뒷면에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을 마지막으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몰드의 바닥을 가로질러 주입되고 난 후에 모래 바인더와 시멘트를 가진 발포 플라스틱 물질의 혼합물이 몰드에 주입된 후 경화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습식 타설 시멘트-베이스드 물질이 몰드의 상단에서 주입되고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더 가벼운 물질을 위한 배합 비율이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의 제조 방법.
    시멘트 4.8kg
    고운 모래(Fine sand) 5.6kg
    3mm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3mm polystyrene expanded beads)(@20kg=1m3) 7.2 리터(litres)
    슈퍼-플라스터사이저(Super-plastersizer) 120ml
    촉진제(Accelerant) 40ml
    물 1.12 리터(lts)
  21. 두 측면, 두 끝면(two ends), 상면과 하면(top and bottom)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부분을 가지고, 두 측면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두 끝면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며, 상면과 하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서로 평행하며,
    블록의 각 측면의 대략 중간 지점에 위치되고 평평한 상면 위로 돌출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와, 상대적인 위치와 사이즈와 형태에 있어서 각각의 돌출부에 상응하도록 각각 서로 떨어져 있고 돌출부가 삽입되기에 적합하고 각각의 돌출부와 상대적으로 상응하는 위치에 있고 평평한 하면에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홈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
  22. 제21항에 있어서,
    습식 타설 콘크리트가 폴리스티렌 폼 비드 또는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블록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칭적(orthogonally symmetric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
  24. 제21항 또는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타설 콘크리트는 블록의 나머지 부분보다 밀도가 작은 물질 또는 밀도가 작은 물질의 조합을 가지는 경량 콘크리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
  25. 제2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타설 콘크리트는 미립자로 형성된 플라스틱(particulate foamed plastics)이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식 빌딩 블록.
  26. 블록에 관한 지금까지의 청구항 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의 특징을 가지는 제1 블록이 블록에 관한 지금까지의 청구항 중의 어느 하나의 블록의 특징을 가지는 제2 블록 위에 적층되고, 상기 제1 블록은 위로 향한 돌출부 또는 제2 블록의 하면에 형성된 상응하는 홈과 결합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방법.
  27. 적어도 무게상으로는 시멘트로 주요 이루어지고, 블록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보다 가벼운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28. 적어도 무게상으로는 시멘트로 주요 이루어지고, 블록의 나머지 부분의 물질보다 가벼운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코어를 갖고, 상기 코어는 발포 플라스틱과 바인더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적식 빌딩 블록.
  29. 일반적으로 직사각 형태를 한정하는 서로 마주보는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제1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 및 코어를 둘러싸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하고 제1 물질과는 다른 제2 물질을 포함하고, 마주보는 면들의 쌍 중에서 한 쌍의 면 중의 어느 하나의 면에는 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동일한 형태와 규격(size)을 가지는 추가적인 블록의 정렬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블록의 돌출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동일한 한 쌍의 면 중 나머지 하나의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적식 빌딩 블록.
  30. 제29항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제1 물질보다 밀도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조적식 빌딩 블록.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제2 물질이 적어도 시멘트, 모래, 물을 구비하는 혼합물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물질이 시멘트, 모래, 물, 및 폴리스티렌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만들 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3. 제29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본체에 가까워질수록 넓어지는 원뿔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4. 제29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블록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큰 밀도를 가지는 가장 바깥쪽층의 복합물질과, 적어도 제1 면의 돌출부와 적어도 제1 면과 마주보도록 위치한 제2 면의 홈을 포함하는 결합수단과, 상기 제1 블록과 상응하는 사이즈와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빌딩 블록을 결합하고 정렬할 수 있도록 돌출부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5. 평면 형태(a planar shape) 또는 평면에 가까운 형태(a planar base shape)를 가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평면 형태 또는 평면에 가까운 형태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열되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1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코어와 제1 물질과는 다른 밀도를 가지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외부부분을 가지고, 제1 물질을 둘러싸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6. 평면 형태(a planar shape) 또는 평면에 가까운 형태(a planar base shape)를 가지는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세 쌍의 면들을 가지고, 평면 형태 또는 평면에 가까운 형태는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열되어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1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코어와 제1 물질과는 다른 밀도를 가지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외부부분을 가지고, 제1 물질을 둘러싸는 제2 물질로 이루어진 적어도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을 제공하고,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한 세 쌍의 면들 중에서 한 쌍의 면 중의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면 중의 나머지 하나는 추가적인 블록을 정렬하고 적층할 수 있는 위치와 사이즈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가지고,상기 추가적인 블록은 제1 블록과 동일한 형태와 사이즈의 돌출부와 홈을 가지고 돌출부와 홈을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7. 제29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의 길이 방향을 따른 돌출부의 중심축과 중심축 사이의 거리가 블록의 측면과 측면 사이의 거리인 블록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돌출부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8. 제29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블록의 끝단에 있는 돌출부의 축과 블록의 끝면 사이의 거리는 블록의 측면과 측면 사이의 거리인 폭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딩 블록.
  39.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블록에 관한 앞선 청구항 중에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특징을 가지고, 제1 블록의 치수 및 형태가 제2 블록의 치수 및 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1 블록의 하면이 두 블록이 마주보는 두 면 사이에 적어도 실질적으로 펼쳐진 얇은 접착제층에 적층되어 접착되고 정렬되고, 제1 블록과 제2 블록이 공통된 평면을 정의하는 앞면과 뒷면을 가지도록 적층되고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블록의 조립체.
KR1020077017772A 2005-01-04 2006-01-04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KR200701025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5900005 2005-01-04
AU2005900005A AU2005900005A0 (en) 2005-01-04 Building improvem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529A true KR20070102529A (ko) 2007-10-18

Family

ID=3664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772A KR20070102529A (ko) 2005-01-04 2006-01-04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90193740A1 (ko)
EP (1) EP1838934A4 (ko)
JP (1) JP2008527208A (ko)
KR (1) KR20070102529A (ko)
CN (1) CN101146969A (ko)
AU (1) AU2006204581A1 (ko)
BR (1) BRPI0606518A2 (ko)
CA (1) CA2593775A1 (ko)
IL (1) IL184370A0 (ko)
NZ (1) NZ556678A (ko)
RU (1) RU2007129781A (ko)
WO (1) WO2006072130A1 (ko)
ZA (1) ZA2007061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43A (ko) * 2010-02-17 2013-01-03 더블유와이더블유 블럭 악티엔게젤샤프트 에너지 및 질량 효율적 빌딩 블록, 그 제조 및 적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711693A2 (pt) * 2006-05-10 2011-12-06 Benex Technologies Pty Ltd melhoras relacionadas com um bloco oco de alvenaria de concreto
US20140109495A1 (en) * 2008-03-06 2014-04-24 Stuart Charles Segall Relocatable habitat unit having radio frequency interactive walls
US8677698B2 (en) * 2008-03-06 2014-03-25 Stuart C. Segall Relocatable habitat unit
US9016002B2 (en) 2008-03-06 2015-04-28 Stuart Charles Segall Relocatable habitat unit having interchangeable panels
US9157249B2 (en) 2013-03-15 2015-10-13 Stuart Charles Segall Relocatable habitat unit
US8074419B1 (en) * 2008-07-07 2011-12-13 Humphress David L Unbonded non-masonry building block components
US20110047912A1 (en) * 2009-08-28 2011-03-03 Duane Armijo High performance building panel
US8176697B1 (en) * 2009-09-01 2012-05-15 Bolander Ii Larry J Building block
US8646239B2 (en) * 2010-08-04 2014-02-11 John David Rulon Modular building block building system
US9022910B1 (en) * 2011-04-29 2015-05-05 Willis A. Yehl Balance training device and method
CN102628303B (zh) * 2012-05-10 2014-07-30 镇江奥力聚氨酯机械有限公司 加气混凝土夹芯聚氨酯泡沫塑料建筑砌块连续生产方法
US9290933B2 (en) * 2012-10-04 2016-03-22 Joe Balducci, JR. Interlocking masonry unit
US8863464B2 (en) 2012-10-04 2014-10-21 Joe Balducci, JR. Interlocking masonry unit
CN105696727A (zh) * 2014-12-20 2016-06-22 湖南科技大学 一种基于无砂浆砌块的抗震墙体
JP6931841B2 (ja) * 2016-09-27 2021-09-08 株式会社大林組 ブロック、耐震壁及び耐震壁の構築方法
CN107098720A (zh) * 2017-05-02 2017-08-29 泰安鲁珠保温建材有限公司 一种锯齿形轻质混凝土保温复合砌块、配方及其制作方法
RU2660847C1 (ru) * 2017-09-07 2018-07-10 Компания Домидо Лимитед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строительных блоков
AU2018333845B2 (en) * 2017-09-14 2022-12-08 Jenner Innovation Pty Ltd System for building a load bearing structure
US10501932B1 (en) * 2018-08-01 2019-12-10 John David Rulon Modular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system
WO2021035539A1 (zh) * 2019-08-27 2021-03-04 邹胜斌 模块化格构式拼装组合楼板
US11118342B1 (en) * 2019-09-20 2021-09-14 Ajn Investment & Development 2008 Ltd Wall panel system and method of use
US11408173B2 (en) * 2019-11-22 2022-08-09 Lazarian World Homes Foam as modular support
BE1028067B1 (nl) * 2020-08-07 2021-09-09 Ludo Debergh Conus modulaire bouwsteen voor het vervaardigen van scheidingswanden, toezichtputten, technische kanalen of een combinatie van beiden
US11459750B1 (en) 2021-04-27 2022-10-04 Nick Manesh Insulated concrete block assembly
CN113322736A (zh) * 2021-05-11 2021-08-31 利辛县汝集镇南阳墙体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煤矸石砖块
CN113958035A (zh) * 2021-11-29 2022-01-21 六安庆超建筑设计有限公司 一种便捷施工的建筑隔墙结构与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93399A5 (en) * 1975-07-07 1977-11-30 Spiga Giuseppe Plaster-lined porous concrete building panel - is rectangular and has complementary end formations for adjacent panel interlock
US4285733A (en) * 1979-03-06 1981-08-25 W. R. Grace & Co. Corrosion inhibiting concrete composition
US4232494A (en) * 1979-04-27 1980-11-11 Tamil D. Bauch Composite construction panel
US4292783A (en) * 1979-05-21 1981-10-06 Mulvihill Dan R Insulated buil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2075571B (en) * 1980-04-14 1983-12-21 Tileman And Co Ltd Method of constructing interlocking brickwork and bricks therefor
GB2113741A (en) * 1982-01-12 1983-08-10 Frederick Richard Edwar Wilson Building bricks and methods of building
US4774794A (en) * 1984-03-12 1988-10-04 Grieb Donald J Energy efficient building system
DE3525768A1 (de) * 1985-07-19 1987-01-22 Knut Von Loh Strukturiertes bauelement
EP0647745A1 (en) * 1993-10-11 1995-04-12 Jung-Fa Lin Brick structure
US5737896A (en) * 1996-09-05 1998-04-14 Rodgers; Michael S. Lightweight concrete for building construction components
US6851235B2 (en) * 1997-05-08 2005-02-08 Robert A. Baldwin Building block with a cement-based attachment layer
DE19741282A1 (de) * 1997-09-19 1999-04-08 Diha Schneider Gmbh Mauerwerksbaustein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5934037A (en) * 1997-12-22 1999-08-10 Bundra; Octavian Building block
RU2131501C1 (ru) * 1998-12-10 1999-06-10 Плужников Евгений Григорьевич Блок строительный стеновой
NO985838L (no) * 1998-12-11 2000-06-13 Norsk Hydro As Murstein tildannet av ildfast materiale
RU2206677C2 (ru) * 1999-01-21 2003-06-20 Шигео НАКАО Блок для стен жилых домов и других строений
WO2001020093A1 (en) * 1999-09-15 2001-03-22 Air Crete Block, Inc. Lightweight concrete block
JP2002030758A (ja) * 2000-07-14 2002-01-31 Taiheiyo Cement Corp 複合軽量ブロック
EP1330580B1 (en) * 2000-10-10 2010-11-24 James Hardie Technology Limited Composite building material
CN1327091C (zh) * 2004-01-18 2007-07-18 沈阳市泰达兴纸品机械有限公司 一种复合保温砖及其生产工艺
US7165374B2 (en) * 2004-02-13 2007-01-23 Viken Ohanesian Wall system and method
GB2414745C (en) * 2004-06-04 2013-05-01 Ian Robbie Christie Euroblock - flood prevention specif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243A (ko) * 2010-02-17 2013-01-03 더블유와이더블유 블럭 악티엔게젤샤프트 에너지 및 질량 효율적 빌딩 블록, 그 제조 및 적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8934A4 (en) 2010-05-12
ZA200706117B (en) 2008-09-25
JP2008527208A (ja) 2008-07-24
NZ556678A (en) 2009-08-28
CA2593775A1 (en) 2006-07-13
RU2007129781A (ru) 2009-02-20
US20090193740A1 (en) 2009-08-06
CN101146969A (zh) 2008-03-19
IL184370A0 (en) 2007-10-31
WO2006072130A1 (en) 2006-07-13
EP1838934A1 (en) 2007-10-03
AU2006204581A1 (en) 2006-07-13
BRPI0606518A2 (pt) 200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2529A (ko) 복합 조적식(組積式) 빌딩 블록
TW421688B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68482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am blocks and for building structures therewith
IL189909A (en) Modular elements, grid, supporting structure, structure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KR20020095198A (ko) 단열 벽 구조물
CN111827572A (zh) 一种基于bim的节能建筑墙板及其制作方法
WO2007147178A2 (en) A construction element
US20130291482A1 (en) Modular columns for construction purpos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11114301A2 (pt) Bloco para construção de paredes divisórias e respectivo processo de aplicação
JP262515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型枠組立体製造方法および型枠組立体
WO1992004513A1 (en) Building component
CN201495669U (zh) 圆台嵌入式建筑砌块
CN213204800U (zh) 一种砌块连接结构
CN217205329U (zh) 一种构造柱免植筋预制加工装置
CN215907177U (zh) 一种带有腔体的建筑砌块
CN216641256U (zh) 一种铺设双方向倾斜地面的垫块
CN218028423U (zh) 一种组合式蒸压加气混凝土砌块
CN217782697U (zh) 一种保温隔声板
CN101994363A (zh) 多孔夹芯胶砂保温砌块及其制造方法
JP2551787Y2 (ja) 土木・建築用構造部材
CN2780878Y (zh) 建筑拼接砖
JPS5924485Y2 (ja) 化粧コンクリ−トブロツクの輸送材を兼ねた製造用型枠
JPS61135704A (ja) 化粧コンクリ−トブロツクの製造方法
JP3342671B2 (ja) 門塀等の外構部材
CN2320689Y (zh) 一种拼接的砖块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