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895A - 표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895A
KR20070100895A KR1020077018883A KR20077018883A KR20070100895A KR 20070100895 A KR20070100895 A KR 20070100895A KR 1020077018883 A KR1020077018883 A KR 1020077018883A KR 20077018883 A KR20077018883 A KR 20077018883A KR 20070100895 A KR20070100895 A KR 20070100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rface treatment
support assembly
support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다이슨
스테픈 벤자민 코우트니
피터 데이비드 가맥
윌리엄 로버트 제임스 화이트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0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54Stands or the like for temporary interruption of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진공 청소기(1) 형태의 표면 처리 장치는 메인 바디(2), 표면 처리 헤드(10) 및 지지 어셈블리(1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supporting position)와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바디에 대향하는 위치인 준비된 위치(stored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동성 및 사용중에 청소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이동 범위가 향상된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사용자-누름 페달에 의해 그 지지 위치를 벗어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편리한 청소기가 된다.
메인 바디, 표면 처리 헤드, 지지 어셈블리

Description

표면 처리 장치 {SURFACE TREATING APPLIANCE}
본 발명은 진공 청소기와 같은 표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청소기 및 바닥 광택기와 같은 표면 처리 장치는 잘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진공 청소기는 일부의 국가에서 캐니스터(canister) 청소기 또는 배럴(barrel) 청소기라 하는, '직립'형 또는 '실린더'형 중 어느 하나이다. 통상적인 직립 진공 청소기는 더러운 공기를 청소기 내부로 끌어들이는 모터 및 팬, 및 상기 팬에 의해 끌어들여진 더러운 공기흐름으로부터 먼지, 티끌, 그외 부스러기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의 일부 형태와 같은, 진공 청소기의 주요 구성요소를 내장하는 메인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바디 역시 정화된 공기흐름 속에서 미세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들을 내장한다.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 단부에는 클리너 헤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메인 바디의 하부의 양측에는 지지 바퀴가 상기 메인 바디에 고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사용 시, 사용자는 진공 청소기의 메인 바디를 기울여 진공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고정되어 있는 핸들을 끌고 당긴다. 진공 청소기는 지지 바퀴 위의 마루 표면을 따라 굴러간다.
클리너 헤드의 하측 상에는 더러운 공기 입구(dirty-air inlet)가 위치한다. 상기 더러운 공기 입구를 통해 모터 구동팬에 의해 먼지 분리 장치로 더러운 공기 가 끌려들어온다. 공기 내에 동반된 먼지 및 티끌을 분리 장치의 공기흐름으로부터 분리하면, 제2 공기 흐름 덕트에 의해 깨끗한 공기 출구로 공기가 처리되고, 하나 이상의 필터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된다.
종래의 직립 진공 청소기는 청소기가 사용되는 구역 주위를 기동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직립 진공 청소기는 쉽게 끌고 당길 수는 있지만 청소기를 새로운 방향으로 돌리는 것은 더 어렵다. 본 출원인의 특허 출원 GB2391459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바퀴를 넓게 구르는 지지체(wide rolling support)로 대체함으로써 직립 진공 청소기를 보다 기동하기 쉽게 하도록 제안한 바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청소 기구는 수직 위치에서 있을 때의 지지체를 더 필요로 하고, 이것은 사용 중에 귀찮고 다루기 힘들 수 있다.
본 발명은 표면 처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메인 바디, 표면 처리 헤드,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supporting position)와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바디에 대향하는 위치인 준비된 위치(stored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지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청소기의 메인 바디에 대해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지지 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동성 및 사용중에 청소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이동 범위가 향상된다.
양호하게, 사용자가 누르면 청소기를 수직 위치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페달이 제공된다.
이롭게도, 사용자가 메인 바디를 기울일 때 지지 어셈블리를 준비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구(actuating mechanism)이 제공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직립 청소를 위해 청소기를 기울일 때 지지 어셈블리는 자동으로 오므려들게 된다. 구동 기구는 또한 사용자가 상기 메인 바디를 수직 위치로 복귀시킬 때 상기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 되돌아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는 상기 표면 처리 헤드로부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 위에 위치한 호스(hose)로부터 유체(fluid)가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된 전환 기구과 관련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기울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기구으로 하여금 상기 표면 처리 헤드로부터 유체가 흐르게 하도록 배치되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를 상기 지지 위치와 상기 준비된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탄성 수단도 제공된다.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준비된 위치로 이동할 때 위로 이동하는 데, 이 이동은 반대-운동(counter-movement)에 의해, 즉 사용자가 페달을 아래로 밀어서 행해진다.
본 발명은 넓은, 볼 형태의 롤링 지지 어셈블리를 갖는 직립 진공 청소기에 특히 적절하지만, 많은 종래의 직립 청소기나 그외 가정용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표면 처리 장치"란 넓은 의미를 갖는 용어로서 어떤 방식으로 표면을 청소하거나 처리하기 위해 표면 위를 이동하는 헤드를 갖는 폭넓은 의미의 기계를 말한다. 특히, 연마기/광택기, 압력 세척기, 바닥 표시기 및 샴푸기와 같이, 표면에 물질을 뿌리는 기계뿐만 아니라, 진공 청소기(건식, 습식, 및 습식/건식)와 같이, 표면으로부터 물질을 빨아들이도록 표면을 흡입하는 기계를 망라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표면 처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면 처리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사용자가 청소하는 모드로 진입하는 도 1 및 도 2의 표면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도 1 내지도 3의 표면 처리 장치의 지지 어셈블리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다른 위치에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표면 처리 장치가 수직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동작 중에, 부분적으로 구획하여 도시된, 표면 처리 장치의 일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면 처리 장치는 진공 청소기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되어 있다. 진공 청소기(1)는 메인 바디(main body)(2), 사용자 동작 가능 핸들(user-operable hanle)(3) 및 마루 표면을 따라 청소기를 굴러가게 하는 대형 롤러(4)를 포함한다. 상기 대형 롤러(4)는 흡입 공 기흐름을 발생하기 위한 모터 및 팬(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내장한다. 상기 메인 바디(2)는 상기 팬 및 모터에 의해 기계 안으로 빨아들이는 더러운 공기흐름으로부터 먼지, 티끌 및 그외 부스러기를 분리하는 분리 장치(5)를 내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리 장치(5)는 공기흐름으로부터 먼지 및 티끌을 회전시키는 사이클로닉이다. 상기 사이클로닉 분리 장치(5)는 서로 직렬로 배열된 2단의 사이클론 분리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단은 원통형 벽의 챔버(cylindrically-walled chamber)(6)이고, 제2 단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테이퍼식의, 실질적으로 원추대 형상의 챔버(frusto-conically shaped chambers) 세트(7)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흐름은 덕트(8)에 의해 제1 사이클로닉 챔버(6)의 상부쪽으로 접하게(tangentially) 향하도록 되어 있다. 큰 부스러기 및 작은 조각은 제1 사이클로닉 챔버(6)로 옮겨져서 집진된다. 이때 공기 흐름이 덮개(9)를 통과하여 소형의 원추대 형상의 챔버 세트(7)로 향한다. 미세 먼지는 이러한 챔버들에 의해 분리되고 분리된 먼지는 공통 집진 영역에 집진된다. 제2 분리기 세트(7)는 직립형이 될 수 있는데, 즉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상부에 그리고 쓰레기 출구(dirt outlet)를 하부에 설치하거나, 반대로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하부에 그리고 쓰레기 출구를 상부에 설치한다. 먼지 분리 장치(5)의 특성은 본 발명에 관한 것이 아니다.
메인 바디(2) 역시 정화된 공기흐름 속에서 미세 입자를 걸러내기 위한 필터들(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음)을 내장한다. 이들 필터는 상기 먼지 분리 장치에 의해 공기흐름에서 이미 제거되지 않은 어떠한 미세 먼지 입자라도 제거한다. 프리-모터 필터(pre-motor filter)라 하는 제1 필터를 상기 모터 및 팬 앞에 설치한다. 포스트-모터 필터(post-motor filter)라 하는 제2 필터를 상기 모터 및 팬 뒤에 설치한다. 흡입 팬을 구동하는 모터에 카본 브러시(carbon brushes)가 있는 경우, 포스트-모터 필터 역시 상기 카본 브러시에 의해 방출된 카본 입자를 걸러내는 기능을 한다. 그런 다음 깨끗한 공기가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 메인 바디(2)의 하부 단부에 클리너 헤드(10)가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 중에 마루 표면을 처리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리너 헤드는 브러시 바(11) 형태의 교반기를 지지하는 챔버를 가진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의 하부의 마루 대향 측에는 공기 입구 슬롯(12)이 있고 상기 브러시 바(11)는 상기 챔버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브리서 바 위의 솔이 상기 공기 입구 슬롯을 통해 돌출하여 클리너 헤드가 지나가는 마루 표면을 휘저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 바(11)는 상기 클리너 헤드 위에 위치한 전용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기어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전용 터를 브러시 바(11)에 연결한다.
대형 롤러(4)에 의해 청소기는 마루 표면을 따라 쉽게 기동할 수 있다. 그렇지만, 메인 바디(2)가 수직으로 있을 때나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대형 롤러(4)는 청소기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한다. 이 목적을 위해, 지지 어셈블리(13)를 설치한다.
도 1, 도 2, 도 4a를 참조하면, 지지 어셈블리(13)는 두 개의 레그(15, 16)와, 상기 두 개의 레그 사이에 연장하는 보강 지주(17)를 갖는 스탠드(14)를 포함한다. 마루 표면에 가장 가까운 상기 레그(15, 16)의 종단부(15a, 16a)는 마루 표 면 근처의 공통 수평 차축(18)에서 끝난다. 상기 수평 차축의 각각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바퀴(19, 20)가 장착되어, 사용자가 이방에서 저방으로 청소기를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해준다. 바퀴(19, 20)는 스탠드(14)의 레그(15, 16)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광폭의 휠-베이스(wheel-base)가 더욱 안정하게 된다. 청소기의 메인 바디(2)의 뒤에는 각각,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스탠드의 상부에 대해 지탱하도록, 레그(15, 16)의 다른 종단부(15b, 16b)가 배치되어 있다. 청소기(1)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스탠드(14)는 청소기(1)의 대부분의 하중을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사실, 상기 메인 바디(2)는 수직에 대해 약 3°의 각도로, 뒤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지지 어셈블리(13)는 또한 스탠드(14)의 공통 수평 차축(18)과 대형 롤러(4)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위치한 구동 기구(22) 사이에 연장하는, 기울어진 아암(inclined arm)(21)을 포함한다. 상기 기울어진 아암(21)은 상기 구동 기구(22)에 피봇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 스탠드(14)의 공통 수평 차축(18)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 기구(22)의 주요 구성요소는 스프링(23) 형태의 탄성 수단, 슬라이딩 가능한 액추에이터 부재(24) 및 전환 밸브 아암(25)이다. 이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한다.
사용자 동작 가능 핸들(3)은 메인 바디(2)의 뒷부분으로부터 위로 연장한다. 청소기(1)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되어 있을 때, 사용자 동작 가능 핸들을 실린더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 동작 가능 핸 들(3)을 해제하여 호스 및 청소대 어셈블리(hose and wand assembly)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메인 바디(2) 위의 전환 밸브(changeover valve)(26)에 의해 상기 먼지 분리 장치(8)가 상기 청소대 및 호스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마루 청소를 위한 이러한 실린더 모드에서 청소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적당한 조작으로 청소기로부터 해제할 수 있는 청소대의 단부를 통해 공기를 청소기로 빨아들인다. 청소기 헤드(10)의 공기 입구 슬롯(12)은 자동으로 닫힌다.
청소기(1)를 종래의 직립 모드에서 사용할 때, 사용자는 메인 바디(2)를 기울인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지지 어셈블리(13)를 도 1,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지 위치로부터 해제하여야 한다. 이 목적을 위해, 스탠드(14)를 위한 공통 수평 차축(18)에 인접하여, 지지 어셈블리(13) 위에 풋 페달(foot pedal)(27)이 설치된다. 지지 어셈블리(13)가 지지 위치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발로 탄성 수단을 밟아 풋 페달을 누른다. 이러한 동작으로 스탠드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통 수평 차축(18)을 중심으로 외측으로 피봇되어 메인 바디(2)로부터 멀어진다. 레그의 상단부(15b, 16b)는 메인 바디(2) 상의 노치(21, 22)와의 결합이 풀어지게 된다. 스탠드(14)가 해제되면, 메인 바디(2)는 스탠드의 아암을 더 이상 지탱하지 못하게 되지만 대신 사용자가 핸들(3)을 잡고 있으므로 지지받게 된다. 청소기(1)는 이제 기울어져서 직립 모드에서 마루 표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청소기(1)이 메인 바디(2)를 기울이기 위해 핸들(3)을 사용하면, 구동 기구(22)은 지지 어셈블리(13)가 청소기(1)의 메인 바디(2)에 실질적으로 대 향하는 위치인 준비된 위치로 지지 어셈블리(13)를 이동시킨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2)가 기울어질수록 액추에이터 부재(24)는 메인 바디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하면 전환 밸브 아암(25) 위의 돌출부(28)에 대항해서 지탱하게 되고 메인 바디는 반대 방향으로 피봇하게 된다. 메인 바디(2)를 수직으로 약 40°로 기울이면, 밸브 아암(25)은 전환 밸브(26)를 가동시켜 직립 모드에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전환 밸브를 확실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스프링 형태의 탄성 수단을 설치한다.
전환 밸브는 청소대의 말단부(distal end)에 있는 공기 입구를 자동으로 닫고 먼지 분리 장치를 클리너 헤드의 공기 입구에 연결시킨다. 클리너 헤드의 하측에는 더러운 공기 입구가 위치한다. 모터 구동 팬은 더러운 공기 입구를 통해 먼지 분리 장치로 더러운 공기를 빨아들인다.
메인 바디(2)를 더 기울이면, 액추에이터 부재(24)는 피봇하여 스프링(24)을 지지 어셈블리(13) 위에서 작동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지지 어셈블리의 아암(21)을 위로 올린다. 아암(21)이 위로 피봇할수록, 차축(18)을 들어올리게 되어 스탠드(14)는 마루에서 떨어지게 된다. 보강 지주(17)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스탠드(14) 위의 러그(29, 30)는 메인 바디(2)의 뒤에 위치하는 채널(31, 32)에서 움직이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탠드(14)는 메인 바디(2)에 대해 위로 슬라이딩한다. 도 3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서, 지지 어셈블리(13)는 실질적으로 청소기(1)의 메인 바디(2)에 대향해서 위치한다.
구동 기구(22)의 다른 기능은 청소 중에 클리너 헤드(10)를 해제하는 것이 다. 청소기(1)가 수직 위치에 있고 지지 어셈블리(13)가 지지 위치에 있으면, 클리너 헤드(10)는 메인 바디(2)에 대해 걸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청소기(1)를 전체적으로 지지 어셈블리(13)의 바퀴(19, 20)에 기울일 수 있으므로 청소기를 여기 저기 굴려 클리너 헤드(10)가 당당하게 막힘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구동 기구(22)이 이 위치에서 클리너 헤드(10)를 해제하면 청소기(1)의 메인 바디(2)가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클리너 헤드(10)는 처리될 마루와 접촉한 채 있게 된다. 이것이 구동 기구(22)에 의해 시작되는 일련의 기능 중 제1 단계이고, 전환 밸브(26)가 가동되기 전에 클리너 헤드(10)는 직립 모드에서의 청소 동안 적당한 위치에 있게 된다
메인 바디가 폭넓은 동작 위치를 통해 기동할 때, 예를 들어 좌우로 이동할 때나 메인 바디가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뒤틀릴 때, 클리너 헤드(10)가 마루 표면과 접촉한 채 클리너 헤드(10)는 진공 청소기(1)의 메인 바디(2)에 연결된다. 요크(33)는 메인 바디(2)와 클리너 헤드(10)를 연결한다. 요크(33)는 롤러(4)의 회전축의 각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요크(33)는 메인 바디(2)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요크(33)의 전방의 중심부에는 클리너 헤드(10)에 연결되어 있는 조인트(34)가 있다.
메인 바디(2)는 그 베이스에 있는 롤러(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롤러(4)에 의해 청소기를 표면을 따라 쉽게 끌고 당길 수 있다. 롤러(4)의 형상 및 메인 바디(2)와 롤러(4) 사이의 연결, 및 롤러와 클리너 헤드(10) 사이의 연결에 의해, 본 청소기를 종래의 진공 청소기보다 훨씬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4)의 전체적인 형상은 배럴(barrel)과 비슷하다. 세로축을 따르는 방향에서 외부 표면의 형상을 보면, 대체로 평평한 중앙 영역 및 쉘(shell)의 직경 또는 폭이 감소하는 각각의 영역에서의 활 모양의 영역(arcuate region)이 존재한다. 평평한 중앙 영역이 있으므로 기계는 자연스럽게 직선으로 진행하고 또한 후진하는 동안 거의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직선을 따라 기계를 조종하기 편리하다. 롤러(4)의 외부 표면에는 릿지(ridge)(35)가 있어 마루 표면을 붙잡는 것이 강화되어 있다. 요크(33) 및 조인트(34)를 회전축(pivotal) 작용을 하도록 배치하였으므로, 클리너 헤드(10)가 마루 표면에 접촉한 채, 메인 바디(2)와 롤러(4)는 코르크스크류(corkscrew) 방식으로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치에 의해 메인 바디(2)가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클리너 헤드(10)를 새로운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도 3b는 직선으로의 전방 이동이나 후방 이동의 위치를 도시하는 반면 도 5a 및 도 5b는 진공 청소기가 2가지의 다른 선회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청소기가 오른쪽으로 선회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메인 바디(2)는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마루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시작 시의 직선 진행 위치에 비해 오른쪽으로 대향하는 위치로 롤러(4)의 세로축을 상승시킨다. 메인 바디(2)와 클리너 헤드(10) 사이에서 요크(33)와 조인트(34)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리너 헤드(10)를 마루 표면과 접촉한 채 오른쪽으로 돌릴 수 있다. 메인 바디(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정도는, 클리너 헤드(10)가 그 전방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오른쪽으로 이동한 정도를 결정한다. 롤러 어셈블 리의 직경 부분이 작아지게 되어 있으므로 메인 바디가 한 쪽으로 굴러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 청소기의 터닝 서클(turning circle)이 좁아질 수 있다.
도 5b는 진공 청소기가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메인 바디(2)는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마루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시작 시의 직선 진행 위치에 비해 왼쪽으로 대향하는 위치로 롤러(4)의 세로축을 상승시킨다. 메인 바디(2)와 클리너 헤드(10) 사이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클리너 헤드(10)를 마루 표면과 계속 접촉한 채 왼쪽으로 돌릴 수 있다. 메인 바디(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정도는, 클리너 헤드(10)가 그 전방의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왼쪽으로 이동한 정도를 결정한다.
지지 어셈블리(13)는 청소기(1)가 움직이고 동안에 메인 바디(2)의 뒤에 적절하게 수축되어 있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가구나 그외 낮은 장애물 아래를 청소할 때에도 청소기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청소기(1)를 그 수직 위치로 복귀시키려 할 때는, 메인 바디(2)를 그 수직 위치쪽으로 다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해서 이동시키면 된다. 메인 바디(2)가 회전할 때에는, 메인 바디(2)와 클리너 헤드(10)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요크(33)의 영역(36)이 전환 밸브 아암(25)을 지탱하여 호스 및 청소대 어셈블리를 통해 마루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그 원래의 위치로 메인 바디를 이동시킨다. 도 7은 요크(33) 및 구동 기구(22)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지만, 다른 쪽으로부터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것에 이르기까지, 요크(33)로부터 돌출하는 림(37)을 볼 수 있다. 청소기(1)의 메인 바디(2)가 그 수직 위치로 복귀할 때, 요크(33) 위의 림(37)은 지지 어셈블리(13)의 아암(21)을 지 탱한다. 지지 어셈블리(13)의 아암(21)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메인 바디(2)로부터 멀어진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 부재(24)는 (도 4a 내지 도 4c 각각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시계반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스프링(23)이 지지 스탠드(14)에서 작동할 수 있는 위치로 오게 되어 그 바퀴(19, 20)가 마루 표면 위에 정렬된다. 이것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메인 바디(2)가 수직 위치로부터 3°의 그 원래 위치로 접근할 때 수행된다.
이 위치에서, 페달(27)과 관련된 탄성 수단은 스탠드(14)의 레그(15, 16)가 메인 바디(2) 상의 협동 노치(21, 22)와 결합하도록 되돌아 올 수 있게 해준다. 청소기가 그 수직 위치로 완전히 되돌아 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 줄 수 있도록, 딸깍 소리나 그외 다른 소리가 나도록 구성요소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핸들(3)를 해제하여 메인 바디(2)를 지지 어셈블리(13)에 의해 지지받을 수 있게 한다.
물론,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직립 청소를 위해 청소기를 기울일 때만 브러시 바 또는 다른 교반기가 구동되도록 구동 기구(22)이 브러시 바(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청소기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나, 청소기가 긴 시간 동안 고정되어 있을 때, 브러시 바는 구동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마루 표면 위가 과도하게 닳거나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구동 기구는 또한 메인 바디가 기울어질 때, 사용자가 선택적 구동을 할 필요 없이, 교반기가 자동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구동 기구는 청소기가 수직 위치로 복귀할 때 교반기의 구동을 자동으로 간섭하도 록 구성될 수도 있다.
누를 수 있는 페달을 설치하면 실린더형 청소로부터 직립 청소로 전환할 때 사용자가 청소기를 쉽게 다룰 수 있다. 그렇지만, 일부 사용자는 페달이 있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고, 메인 바디가 기울어질 때 클리너 헤드 자체를 밀어 내림으로써 이러한 변환이 유효하게 되는 청소기에 더 친근감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므로 클리너 헤드에 소정의 한계 내에서의 내리누르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 구동 기구는 그 걸리는 위치로부터 클리너 헤드를 해제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클리너 헤드는 직립형 청소를 위해 마루 표면으로 떨어져 내리게 된다. 메인 바디가 수직 위치로 복귀할 때, 구동 기구는 그 자체가 리셋되어, 사용자는 계속해서 페달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메인 바디를 기울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사용자가 클리너 헤드를 잘못된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클리너 헤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청소기를 잘못 사용하거나 구동 기구의 동작을 눈치채지 못하여 구성요소를 수동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구동 기구는 청소기가 수직 위치로 복귀할 때 완전하게 셀프-리셋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해 구동 기구에 의해 가동되는 일련의 동작은 청소기가 부정확하게 사용되면 작동되지 않는다.
기술한 실시예에서는 덕트가 공기흐름을 흐르게 하는 진공 청소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물이나 세제와 같은 다른 유체가 흐르는 진공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종래의 백타입 필터(bag-type filter), 침투성 박스 필터(porous box filter), 정전기 분리기(electrostatci separator) 또는 그외 다른 형태의 분리 장치와 같은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동등하게 공기흐름으로부터 먼지를 분리해 낼 수 있다. 진공 청소기가 아닌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바디는 기계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에 적절한 장비를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루 연마제에 있어서 메인 바디는 액체 왁스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내장할 수 있다.
브러시 바는, 공기흐름을 들어오게 하거나 소모함으로써 구동되는 터빈에 의한 것과 같은, 또는 흡입 팬을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모터와의 결합에 의한 것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모터와 브러시 바와의 결합은 기어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안의 실시예에서는 브러시 바를 전체적으로 생략하여, 기계가 흡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거나 또는 마루 표면에 대해 일부 다른 형태의 교반기에 의해 의존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유형의 표면 처리 기계에 있어서, 클리너 헤드는 연마 패드, 액체 또는 왁스 분배 노즐 등과 같이, 마루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크리너 헤드의 하부 표면에 소형 롤러를 장착하여 마루 표면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Claims (29)

  1. 메인 바디;
    표면 처리 헤드; 및
    상기 메인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 위치(supporting position)와 실질적으로 상기 메인 바디에 대향하는 위치인 준비된 위치(stored position)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지지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작동 페달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작동 페달을 누르면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부터 벗어나도록 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와 기울인 위치(reclined position) 사이를 움직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메인 바디를 기울일 때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준비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도록 배치된 구동 기구(actuating mechanism)를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메인 바디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수직 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헤드로부터 또는 상기 메인 바디 위에 위치한 호스(hose)로부터 유체(fluid)가 흐를 수 있도록 배치된 전환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기울인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전환 기구으로 하여금 상기 표면 처리 헤드로부터 유체가 흐르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또한 상기 전환 메커지즘으로 하여금 상기 메인 바디가 상기 수직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호스로부터 유체가 흐르게 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메인 바디가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롤러(roller)를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표면 상기 처리 장치의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있는, 표면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는 사용 중에 유체의 흐름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모터 및 팬 장치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상기 표면 처리 장치가 표면을 따라 굴러갈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바퀴(wheel)를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고정축을 가지는, 표면 처리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위치에서, 상기 메인 바디 상의 협동 노치(co-operating notch)에 스탠드(stand)가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준비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탄성 수단을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은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는 표면 처리 장치의 후부(rear portion)에 설치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준비된 위치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상기 메인 바디 상의 채널을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17. 제1항 내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헤드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메인 바디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헤드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를 벗어나 있을 때 표면을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헤드는, 사용자가 소정치 이상으로 아래로 향하는 힘을 상기 표면 처리 헤드에 가함으로써 상기 표면 처리 헤드가 마루 표면에 맞부딪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를 그 세로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표면 처리 헤드가 새로운 방향으로 향하도록, 상기 메인 바디와 상기 표면 처리 헤드 사이에 배치된 연결장치(linkage)를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장치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헤드는 구동 가능한 교반기(driveable agitator)를 가지는, 표면 처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능한 교반기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를 벗어날 때 구동 가능한, 표면 처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능한 교반기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를 벗어나 있을 때 자동으로 구동되는, 표면 처리 장치.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능한 교반기는 상기 지지 어셈블리가 상기 지지 위치에 있을 때 구동되지 않는, 표면 처리 장치.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가능한 교반기는 브러시 바인, 표면 처리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장치는 진공 청소기 형태로 되어 있는, 표면 처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닉 먼지 및 티끌 분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표면 처리 장치.
  29.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거나 예시하여, 실질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표면 처리 장치.
KR1020077018883A 2005-01-18 2006-01-13 표면 처리 장치 KR200701008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00992A GB2422094B8 (en) 2005-01-18 2005-01-18 Surface-treating appliance
GB0500992.3 2005-01-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895A true KR20070100895A (ko) 2007-10-12

Family

ID=3422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883A KR20070100895A (ko) 2005-01-18 2006-01-13 표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823251B2 (ko)
EP (1) EP1838195B1 (ko)
JP (1) JP2008526415A (ko)
KR (1) KR20070100895A (ko)
CN (1) CN101106931B (ko)
AU (1) AU2006207353B2 (ko)
CA (1) CA2594749A1 (ko)
GB (1) GB2422094B8 (ko)
MY (1) MY140736A (ko)
RU (1) RU2394467C2 (ko)
TW (1) TW200701929A (ko)
WO (1) WO20060773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2878B2 (en) 2011-01-18 2016-01-12 Lg Electronics Inc.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210057810A (ko) * 2018-09-19 2021-05-21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5804B2 (en) 2004-12-21 2010-10-05 Royal Appliance Mfg. Co. Steerable upright vacuum cleaner
GB0617184D0 (en) * 2006-09-01 2006-10-11 Dyson Technology Ltd Support assembly
GB0619181D0 (en) * 2006-09-29 2006-11-08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ing appliance
MX2009006351A (es) 2006-12-13 2009-10-12 Electrolux Ab Dispositivo de limpieza de pisos humedos/secos.
DE102007040955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58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60B4 (de) 2007-08-30 2012-08-16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61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49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54A1 (de) *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DE102007040959A1 (de)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GB2452549B (en) * 2007-09-08 2012-03-2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52548B (en) * 2007-09-08 2011-11-3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54922A (en) 2007-11-23 2009-05-27 Dyson Technology Ltd Removable head connection member for vacuum cleaner
GB2454921A (en) 2007-11-23 2009-05-27 Dyson Technology Limited Rotatable electrical connection for cleaner head
GB2474472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4B (en) 2009-10-15 2013-11-20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3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2B (en) 2009-10-15 2013-12-11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domed-shaped wheels
GB2474478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n upright cleaning appliance
GB2474475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9B (en)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8B (en) 2009-10-15 2013-11-27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5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66B (en) * 2009-10-15 2014-03-05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0B (en) *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0918027D0 (en) 2009-10-15 2009-12-02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ating appliance
GB2474463B (en) 2009-10-15 2013-11-1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GB2474471B (en) 2009-10-15 2013-10-23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8448295B2 (en) * 2010-03-12 2013-05-28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with rotating handle
US8656552B2 (en) * 2010-03-12 2014-02-25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Inc. Vacuum cleaner with movable wheel
GB2482026B (en) 2010-07-16 2015-06-17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ing appliance
KR101187077B1 (ko) * 2010-08-09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53196B1 (ko) * 2011-01-18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GB2489014B (en) * 2011-03-15 2013-07-17 Dyson Technology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8627545B2 (en) 2011-03-18 2014-01-14 Panasonic Corporation Of North America Vacuum cleaner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US10016107B2 (en) 2011-12-14 2018-07-10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a sideways pivoting handle
CN104271020B (zh) * 2012-03-19 2017-04-05 伊莱克斯公司 具有支撑件的直立式真空吸尘器
DE102012110182A1 (de) 2012-10-25 2014-04-30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US9962049B2 (en) 2014-06-06 2018-05-08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D762030S1 (en) 2014-06-12 2016-07-19 Sharkninja Operating Llc Surface cleaning head for a vacuum cleaner
USD742089S1 (en) 2014-06-27 2015-10-27 Euro-Pro Operations LLC Caddy
USD764125S1 (en) 2014-06-30 2016-08-16 Sharkninja Operating Llc Duster
CN204180540U (zh) * 2014-10-27 2015-03-04 常州格力博有限公司 可倒立放置的割草机结构
US9357891B1 (en) * 2015-08-04 2016-06-07 Richard C. Chappel Cleaning apparatus holder
USD868406S1 (en) 2017-07-25 2019-11-26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tool
AU2018336913B2 (en) 2017-09-22 2021-02-25 Sharkninja Operating Llc Hand-held surface cleaning device
GB2589774B (en) 2018-07-02 2022-11-30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pod configured to couple to one or more accessories
USD873516S1 (en) 2018-07-30 2020-01-21 Sharkninja Operating Llc Wand vacuum
CN112911981A (zh) 2018-09-07 2021-06-04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用于表面处理设备的电池和抽吸电机组件以及具有该组件的表面处理设备
USD995020S1 (en) 2020-07-29 2023-08-08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docking station
USD995016S1 (en) 2020-07-29 2023-08-08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USD995019S1 (en) 2020-07-29 2023-08-08 Sharkninja Operating Llc Vacuum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2941A (en) * 1928-05-07 1932-06-14 Commerce Guardian Trust & Savi Adjustable roller support for airway cleaners
US1884865A (en) * 1928-06-07 1932-10-25 Commerce Guardian Trust & Savi Supporting standard for suction cleaners
GB755135A (en) * 1953-04-21 1956-08-15 Hoover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uction cleaners
US4156952A (en) * 1977-10-04 1979-06-05 Chemko Industries, Inc. Carpet soil extractor having a powered brush
US4472855A (en) * 1983-05-16 1984-09-25 Murphy Edward R Folding support for a carpet cleaning wand
US4858271A (en) * 1988-07-12 1989-08-22 Shop-Vac Corporation Wheel type vacuum cleaner
JPH02172427A (ja) * 1988-12-26 1990-07-04 Tok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
JPH02234733A (ja) * 1989-03-08 1990-09-17 Tokyo Electric Co Ltd アッ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JPH034825A (ja) * 1989-05-31 1991-01-10 Tokyo Electric Co Ltd アップライト形電気掃除機
JP4099861B2 (ja) * 1997-06-11 200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H11178756A (ja) * 1997-12-24 1999-07-0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H11216085A (ja) * 1998-02-03 1999-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JP2000116574A (ja) * 1998-10-19 2000-04-25 Sharp Corp 電気掃除機
US6173474B1 (en) * 1999-01-08 2001-01-16 Fantom Technologies Inc. Construction of a vacuum cleaner head
JP2001204653A (ja) * 2000-01-31 2001-07-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JP2001353104A (ja) * 2000-06-15 2001-1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プライト型電気掃除機
CN1225222C (zh) * 2000-01-31 2005-11-0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吸尘器
DE10016287A1 (de) * 2000-03-31 2001-10-04 Georg Hefter Maschb Rolltreppen- und Fahrsteig-Reinigungsgerät
GB2391459A (en) * 2002-08-09 2004-02-11 Dyson Ltd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with increased manoeuver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2878B2 (en) 2011-01-18 2016-01-12 Lg Electronics Inc. Upright type vacuum cleaner
KR20210057810A (ko) * 2018-09-19 2021-05-21 샤크닌자 오퍼레이팅 엘엘씨 하나 이상의 스태빌라이저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용 청소 헤드 및 이를 갖는 표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394467C2 (ru) 2010-07-20
RU2007131284A (ru) 2009-02-27
AU2006207353B2 (en) 2010-03-04
GB2422094A8 (en) 2008-06-05
WO2006077382A1 (en) 2006-07-27
TW200701929A (en) 2007-01-16
GB2422094B8 (en) 2008-06-05
JP2008526415A (ja) 2008-07-24
EP1838195B1 (en) 2013-03-20
EP1838195A1 (en) 2007-10-03
GB2422094B (en) 2008-05-14
US20080115313A1 (en) 2008-05-22
GB0500992D0 (en) 2005-02-23
CN101106931B (zh) 2010-09-08
CN101106931A (zh) 2008-01-16
AU2006207353A1 (en) 2006-07-27
CA2594749A1 (en) 2006-07-27
GB2422094A (en) 2006-07-19
US7823251B2 (en) 2010-11-02
MY140736A (en)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0895A (ko) 표면 처리 장치
US8522396B2 (en) Surface treating appliance
CA2424742C (en) Edge cleaning system for vacuum cleaner
JP4852769B2 (ja) 表面処理器具
KR100478650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JP2009061286A (ja) 表面処理器具
TW200410655A (en) Surface treating appliance
US20090313786A1 (en) Surface treating head assembly
KR10125338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20140144879A (ko) 진공 청소기
KR100883198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