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96B1 -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96B1
KR101253196B1 KR1020110004881A KR20110004881A KR101253196B1 KR 101253196 B1 KR101253196 B1 KR 101253196B1 KR 1020110004881 A KR1020110004881 A KR 1020110004881A KR 20110004881 A KR20110004881 A KR 20110004881A KR 101253196 B1 KR101253196 B1 KR 101253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upport unit
support
cleaned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3642A (ko
Inventor
서진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96B1/ko
Priority to US13/241,560 priority patent/US8720003B2/en
Publication of KR2012008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 노즐,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본체의 이동시 상기 지지 유닛의 회동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피청소면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UPRIGHT TYPE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본체의 하중의 분산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경감시켜 청소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흡입 모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한 다음 상기 본체 내부에서 먼지 및 이물 등을 필터링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능의 진공 청소기는 크게 흡입구인 흡입 노즐이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업라이트(up-right) 방식과 흡입 노즐이 본체와 연결관을 통해 연통되는 캐니스터(canister)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두 종류의 진공 청소기 중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모터 등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흡입 모터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의 먼지 및 이물 등을 상기 본체의 내부로 흡입하는 흡입 노즐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사용자가 파지함으로써 상기 흡입 노즐의 이동 방향을 조작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흡입 모터가 구동되면 흡입력이 발생되고, 이러한 흡입력에 의하여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흡입 노즐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로 흡입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본체에 장착된 집진통의 내부에서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된다.
또한, 상기 먼지 및 이물 등과 함께 상기 흡입 노즐로 흡입된 공기는 공기 배출부를 통하여 상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 흡입 모터 등이 장착되는 본체,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는 흡입노즐을 포함한다.
이러한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청소기를 이용하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체를 상기 흡입 노즐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여 회동시켜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본체에 마련된 손잡이를 파지하고, 상기 흡입 노즐에 안착된 상기 본체가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피청소면을 따라 청소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업라이트 방식의 진공 청소기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일정한 각도로 회동된 본체를 한 손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이동시켜야 하므로 쉽게 피로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청소를 수행하더라도 쉽게 피로해지지 않도록,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을 상기 본체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하중을 분산시켰다.
그러나, 사용자의 청소 수행시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진공 청소기가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피청소면과 상기 지지 유닛 사이에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에 고정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 노즐;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 유닛;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와 상기 지지 유닛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고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지지 유닛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상기 지지 유닛의 본체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청소기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본체를 기울여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에, 그 본체의 하중이 손잡이로 집중되지 않고 지지유닛과 손잡이로 분산되어 사용자의 육체적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경우에, 상기 청소기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유닛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그 이동 편의성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지지유닛의 위치가 탄성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유닛이 외부 물체와의 접촉하여도 이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되, 그 위치 고정이라는 특징은 훼손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이 본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이 본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이 포집되는 집진통(110)이 장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가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100)의 하측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에 산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하는 흡입 노즐(200)과,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기 위하여 파지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 마련되는 손잡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0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흡입 노즐(200)과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고, 사용자는 청소 수행시 상기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집진통(1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 및 이물 등을 싸이클론 원리에 의하여 필터링하는 먼지 분리 부재가 구비된다.
즉, 상기 흡입 노즐(20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및 이물 등은 상기 먼지 분리 부재에 의하여 필터링 되어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포집된다. 그리고, 상기 먼지 및 이물 등이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상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집진통(110)은 상기 본체(10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기 집진통(110)의 내부에 포집된 먼지 및 이물 등을 버리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집진통(110)을 상기 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집진통(110)은 원통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사각 기둥 등 다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집진통(110)의 형상에 의하여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입 노즐(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마련되어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즉, 상기 흡입 노즐(200)의 하면에는 상기 흡입 노즐(200)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슬릿(slit) 형상의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는데, 상기 흡입구에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흡입 모터(미도시)가 발생시키는 흡입력이 전달됨으로써 피청소면에 산재한 먼지 및 이물 등을 상기 본체(100) 내부로 흡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 하단부의 양측에는 한 쌍의 바퀴(13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피청소면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노즐(200)은 피청소면에 대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하는데, 상기 바퀴(130)는 상기 흡입 노즐(200)이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회전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측에는 손잡이(120)가 마련된다. 따라서, 청소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상기 본체(100)가 피청소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1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20)의 상측에는 조작 패널(122)이 마련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조작 패널(122)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작동 상태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청소면에 상태에 따라 흡입 노즐(200)의 흡입 강도, 청소 시간 등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는 상기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유닛(300)이 마련된다.
상기 지지 유닛(300)의 상단부는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된 별도의 고정 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되게 고정된다.
즉, 사용자가 청소시 상기 지지 유닛(300)을 사용하지 않거나 본 발명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를 보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300)의 하단부를 상기 고정 장치에 의하여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되게 고정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00)의 부피를 감소시켜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300)이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청소 수행시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 측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를 변화시켜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를 피청소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하중에 대한 부담 없이 용이하게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300)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지지 유닛(300)의 구조 및 기능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300)은 본체(100)의 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 각도로 회동된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여 상기 본체(100)의 하중 압력을 분산시키게 된다.
이러한 지지 유닛(300)은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310)와, 상기 회동부(3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320)와, 상기 지지부(32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바퀴(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동부(310)는 상기 지지 유닛(30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4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 부재(400)와 대면되는 상기 회동부(310)의 일측에는 회동축(312)이 마련되는데, 상기 회동부(310)가 상기 회동축(312)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회동축(312)은 상기 연결 부재(4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31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부(3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본체(100)에 밀착되어 고정되거나, 상기 회동축(31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상기 본체(100)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20)의 일단부에는 보조 바퀴(34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지지부(320)가 상기 본체(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바퀴(340)가 회전됨으로써 청소기의 이동 성능 및 조향 성능이 향상된다.
즉, 상기 지지부(320)의 일단부 양측에는 바퀴축(342)이 마련되는데,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보조 바퀴(340)가 상기 바퀴축(342)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바퀴축(342)은 상기 보조 바퀴(340)의 내부에 마련된 바퀴홈(344)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310)와 상기 연결 부재(400) 사이에는 탄성 부재(330)가 개재된다.
상기 탄성 부재(330)는 양단이 소정 길이만큼 외주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부재(330)는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3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 유닛(300)에는 고정 부재(50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 부재(500)는 상기 지지부(320)의 내부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지지 유닛(300)과 피청소면의 마찰로 인하여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 부재(500)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300)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500)는 그 일단에 마련되는 걸림부(510)와 그 타단에 마련되는 고정부(5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부(520)가 상기 지지부(320)의 내부에 마련되는 리브(3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500)는 지지 유닛(300)의 내부에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300)이 청소기의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10)는 상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연결 부재(400)의 외주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300)이 피청소면 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된 본체(100)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310)가 일방향(도 6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부(510)도 상기 연결 부재(4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400)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홈(410)에 수용된다.
즉, 상기 걸림홈(410)은 상기 걸림부(51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걸림부(510)가 상기 걸림홈(410)에 수용되어 구속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300)은 상기 본체(100)의 이동시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지지유닛(300)의 회동이 제한되고 그 배치상태가 유지되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를 기울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유닛(300)이 본체의 하중 일부를 받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의 기울어진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300)이 피청소면과 마찰하여 상기 본체(100)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마찰력을 받아도 그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그러한 마찰력이 상기 본체(100)의 지지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탄성 부재(330)도 그 탄성력으로 인하여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탄성력은 상기 본체(100)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지지 유닛(300)과 상기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고정 부재(500)를 별도로 마련하여 상기 지지 유닛(300)이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510)는 상기 걸림홈(410)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500)의 일단부를 절곡시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410)은 상기 걸림부(5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510)는 별도의 부재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 부재(500)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청소를 수행한 후 사용자가 상기 지지 유닛(300)을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시키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발 등으로 소정의 힘 이상을 가하여 상기 지지 유닛(300)을 상기 본체(100)의 후면 측으로 밀면 상기 걸림부(510)가 상기 걸림홈(410)으로부터 수용이 해제되어 상기 연결 부재(400)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후면에 밀착되는 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510)는 상기 걸림홈(410)에 수용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걸림홈(410)으로부터 수용이 해제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므로, 상기 고정 부재(500)는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지지 유닛(300)이 본체(100)를 지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 수행시 사용자가 일방향(큰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본체(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 유닛(300)과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은 상기 본체(100)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작은 화살표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고정 부재(500)를 상기 지지 유닛(300)에 마련함으로써, 상기 지지 유닛(300)이 상기 본체(100)의 후면 측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흡입 노즐
300: 지지 유닛 400: 연결 부재
500: 고정 부재

Claims (9)

  1. 피청소면에 대한 배치 각도가 변화 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피청소면을 따라 이동하는 흡입 노즐;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지지 유닛;
    상기 본체에 마련되며, 그 일측에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 유닛이 회전되는 중심에 대해 원주를 이루는 외주면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연결 부재: 및
    상기 지지 유닛에 결합되며, 일단부가 상기 지지 유닛이 회동함에 따라 상기 걸림홈에 구속되어, 상기 지지 유닛의 본체 지지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다가 상기 걸림홈에 구속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지지 유닛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의 이동시 상기 지지 유닛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부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연결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피청소면에 대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삽입되는 리브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 부재의 일단부를 절곡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에 수용되는 위치 또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수용이 해제되는 위치로 변위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밀착되는 위치로부터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회동부와 상기 연결 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회동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바퀴를 더 포함하는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20110004881A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53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81A KR101253196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US13/241,560 US8720003B2 (en) 2011-01-18 2011-09-23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881A KR101253196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642A KR20120083642A (ko) 2012-07-26
KR101253196B1 true KR101253196B1 (ko) 2013-04-10

Family

ID=4648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881A KR101253196B1 (ko) 2011-01-18 2011-01-18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0003B2 (ko)
KR (1) KR101253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57891B1 (en) * 2015-08-04 2016-06-07 Richard C. Chappel Cleaning apparatus hold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56A (ja) * 1997-12-24 1999-07-0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0116574A (ja) * 1998-10-19 2000-04-25 Sharp Corp 電気掃除機
JP2009061285A (ja) * 2007-09-08 2009-03-26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器具
KR20120032091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6952A (en) * 1977-10-04 1979-06-05 Chemko Industries, Inc. Carpet soil extractor having a powered brush
US4472855A (en) * 1983-05-16 1984-09-25 Murphy Edward R Folding support for a carpet cleaning wand
GB8702909D0 (en) * 1987-02-10 1987-03-18 Goblin Ltd Carpet cleaning apparatus
DE10016287A1 (de) * 2000-03-31 2001-10-04 Georg Hefter Maschb Rolltreppen- und Fahrsteig-Reinigungsgerät
GB2422094B8 (en) * 2005-01-18 2008-06-05 Dyson Technology Ltd Surface-treating appliance
GB0619181D0 (en) * 2006-09-29 2006-11-08 Dyson Technology Ltd Surface treat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8756A (ja) * 1997-12-24 1999-07-06 Toshiba Tec Corp 電気掃除機
JP2000116574A (ja) * 1998-10-19 2000-04-25 Sharp Corp 電気掃除機
JP2009061285A (ja) * 2007-09-08 2009-03-26 Dyson Technology Ltd 表面処理器具
KR20120032091A (ko) * 2010-09-28 2012-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20003B2 (en) 2014-05-13
US20120180257A1 (en) 2012-07-19
KR20120083642A (ko) 2012-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3017B2 (ja) 表面クリーニング装置用ステアリングアッセンブリ
CN109008784B (zh) 真空吸尘器
US7681279B2 (en) Vacuum cleaner
US7950102B2 (en) Upright vacuum cleaner having steering unit
KR10118707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CN111031872B (zh) 真空清洁器
US20170325646A1 (en) Vacuum cleaner
US20170347850A1 (en) Vacuum cleaner
KR10120855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1866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253196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RU2647255C2 (ru) Пылесос
KR101227517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
KR10118707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14018256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20220122472A (ko) 청소기
KR101259125B1 (ko) 업라이트형 진공 청소기의 핸들
JP201420047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