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0888A -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 Google Patents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0888A
KR20070100888A KR1020077015347A KR20077015347A KR20070100888A KR 20070100888 A KR20070100888 A KR 20070100888A KR 1020077015347 A KR1020077015347 A KR 1020077015347A KR 20077015347 A KR20077015347 A KR 20077015347A KR 20070100888 A KR20070100888 A KR 20070100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general formula
added
compound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쥰이치 요코타니
요이치 타니구치
에이지 하라
히토시 아키츠
유키에 타다
Original Assignee
토야마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야마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토야마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00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088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8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82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8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4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or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48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or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amin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46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or carboxyl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0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33/4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07C233/46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 C07C233/5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with the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 bound to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y an acyclic carbon atom having the carbo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57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3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81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hydrocarbon radical substituted by carb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04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35/16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5/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07C235/0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35/32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5/3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oxygen atom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7/0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 C07C237/28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237/40Carboxylic acid amides, the carbon skeleton of the acid part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amino groups having the carbo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the carboxamide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1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C07C311/13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the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2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44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48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7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23/58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with amino groups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6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63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32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27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36Oxygen or sulfur atoms
    • C07D207/402,5-Pyrrolidine-diones
    • C07D207/4162,5-Pyrrolidine-dio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other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08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3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32Oxygen atoms
    • C07D209/34Oxygen atoms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1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or by two oxygen or sulfur atoms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 C07D211/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doub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or by two oxygen or sulfur atoms singly bound to the same carbon atom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6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11/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5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55Acid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13/81Amides; Imides
    • C07D213/82Amides; Imides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 C07D2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soquinoline or hydrogenated isoquinoline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carbon and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nitrogen-containing ring; Alkylene-bis-isoquinolines with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07D235/06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9/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9/2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 C07D24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41/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4-diazine or hydrogenated 1,4-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s
    • C07D241/40Benzopyrazines
    • C07D241/42Benzopyrazi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49/18Benzotri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5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5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four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57/04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 C07D26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oxazole or hydrogenated 1,2-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1/1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77/62Benzothiazoles
    • C07D277/68Benzoth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8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rings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75/00 - C07D283/00
    • C07D285/01Five-membered rings
    • C07D285/02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 C07D285/14Thiadiazoles; Hydrogenated thia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95/1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carbon atoms with three bonds to hetero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5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07/81Radicals substituted by nitrogen atoms not forming part of a nitro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82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07/8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307/85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50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62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9/10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 C07D319/14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9/161,4-Dioxanes; Hydrogenated 1,4-dioxan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9/18Ethylenedioxybenzenes, not 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2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33/3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6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333/70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 C07D4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7/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0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three-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That Contain Two Or More Ring Oxygen Atom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Thiazole And Isothizaole Compound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Atoms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Ring Compounds With Rings Of Six Or More Members (AREA)

Abstract

일반식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5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를; R2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또는 복소환식기 등을; R3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또는 단환의 복소환식기 등을; X1은, 카르보닐기 등을; X2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기 또는 결합수(結合手) 등을; X3은,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 등을; X4는, 일반식, -X5-X6-또는 -X6-X5-「식 중, X5는,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 등을; X6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기 또는 결합수 등을 의미한다.」로 표시되는 기(基)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은, MMP-13 산생 저해작용을 갖기 때문에, 관절 류마티스, 변형성 관절증 및 암 등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안트라닐산 유도체

Description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NOVEL ANTHRANILIC ACID DERIVATIVE OR SALT THEREOF}
본 발명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etalloprotease)13(MMP-13) 산생 저해작용을 갖는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에 관한 것이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는, 세포 외 매트릭스의 성분을 기질로 하는 아연 의존성의 프로테아제로 이루어지는 패밀리이며, 분비 후에 프로펩티드가 제거되어 활성화된다. 인간에 있어서도, 20종 이상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가 동정(同定)되어 있으며, 그 도메인구조와 기질의 특이성때문에, 콜라게나제(collagenase)(MMP-1, 8, 13), 젤라티나제(gelatinase)(MMP-2, 9), 스트로멜라이신(stromelysin)(MMP-3, 10), 매트릴라이신(matrilysin)(MMP-7, 26), 막형태의 MMP(MMP-14, 15, 16, 17, 24, 25) 및 그 밖의 것으로 분류되어 있다. 상기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의 과잉발현이 여러가지 암세포에 있어서 관찰되고, 그 증식과 전이에 관여한다고 여겨지고 있다. 현재까지,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를 저해하는 항암제의 개발이 실시되고 있다(비특허문헌1).
관절 류머티스나 변형성 관절증의 치료제로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저해약의 개발이 실시되고 있다. 관절연골은, 연골에 특이적인 II형 콜라겐의 그물 눈 구조 중에, 연골형의 프로테오글리칸, 즉 아그레칸(aggrecan)이나 히알루론산 등이 함유되도록 하여 성립되어 있다. 이들의 세포 외 매트릭스의 유지에,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가 관여하고 있다.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와 그 내인성 인히비터인 TIMP(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의 불균형이 발생하여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가 과잉이 되면, 연골 및 뼈의 파괴가 진행된다. 특히, 콜라겐섬유가 손상을 받으면, 관절 류마티스나 변형성 관절증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진행성의 관절파괴를 초래한다. 과잉의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를 저해하는 것에 의해, 관절 류마티스나 변형성 관절증에 있어서의 장기적인 관절파괴의 진행의 억제를 기대할 수가 있다(비특허문헌2).
변형성 관절증에서는, 인터류킨-1((IL-1) 및 종양괴사인자(TNF) α의 산생도 항진하고, 세포 외 매트릭스가 파괴된다. II형 콜라겐이나 피브로넥틴(fibronectin)의 분해물에 의해, 이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의 산생은 더욱 항진하고, 관절 내의 매트릭스 분해가 진행한다. 상기 매트릭스의 장해가 어느 한계치를 넘으면, 연골세포의 형질이 병적으로 변화하고, 관절파괴가 계속 진행된다. 상기 II형 콜라겐의 분해에 있어서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MMP-13이다(비특허문헌3).
비특허문헌1: Current Oncology Reports, 제6권, 제96~102쪽, 2004년
비특허문헌2: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제60권, 제62~67쪽, 2001년
비특허문헌3: Biochemical Society Symposia, 제70권, 제115~123쪽, 2003년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특히 MMP-13의 산생을 저해하는 약제가 간절히 요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검토를 진행한 결과, 일반식[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1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실 보호기를; R2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또는 복소환식기를; R3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2환식의 복소환식기를; X1은, 카르보닐기 또는 술포닐기를; X2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結合手)를; 단, X1이 술포닐기, 또, X4가 결합수인 경우, X2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를; X3은,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결합수를; X4는, 일반식, -X5-X6-또는 -X6-X5-(단, 각 일반식의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 「식 중, X5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이미노기, 술피닐기, 술포닐기 또는 결합수를; X6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를 의미한다.」로 표시되는 기(基)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이, MMP-13의 산생 저해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은, MMP-13의 산생저해작용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관절 류마티스, 변형성 관절증 및 암 등 MMP-13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할로겐원자란,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및 요오드원자를; 알킬기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헥실, 헵틸 및 옥틸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1 - 12알킬기를; 저급 알킬기란, 예를 들면,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sec-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펜틸 및 이소펜틸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1 - 6알킬기를; 알케닐기란, 예를 들면, 비닐, 알릴, 프로페닐, 이소프로페닐, 부테닐, 이소부테닐, 펜테닐, 헥세닐, 헵테닐 및 옥테닐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 - 12알케닐기를; 알키닐기란, 예를 들면, 에티닐, 2-프로피닐 및 2-부티닐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12알키닐기를; 시클로알킬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 등의 C3 - 8시클로알킬기를; 시클로알케닐기란, 예를 들면, 시클로 프로페닐,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및 시클로헥세닐 등의 C3 - 8시클로알케닐기를; 알킬렌기란, 예를 들면, 메틸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및 헥실렌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1 - 6알킬렌기를; 알케닐렌기란, 예를 들면, 비닐렌, 프로페닐렌, 1-부테닐렌 및 2-부테닐렌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 - 6알케닐렌기를; 알키닐렌기란, 예를 들면, 에티닐렌, 프로피닐렌, 1-부티닐렌 및 2-부티닐렌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 - 6알키닐렌기를; 아릴기란, 예를 들면, 페닐 및 나프틸 등의 기를; 아랄킬기란, 예를 들면, 벤질, 디페닐메틸, 트리틸, 페네틸 및 나프틸메틸 등의 아르 C1 - 6알킬기를; 알콕시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펜틸옥시 및 이소펜틸옥시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1 - 6알킬옥시기를; 아릴옥시기란, 예를 들면, 페녹시 및 나프톡시 등의 기를; 알콕시알킬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 및 1-에톡시에틸 등의 C1 - 6알킬옥시 C1 - 6알킬기를; 아랄킬옥시알킬기란, 예를 들면, 벤질옥시메틸 및 페네틸옥시메틸 등의 아르 C1 - 6알킬옥시 C1 - 6알킬기를;
아실기란, 예를 들면, 포르밀기, 아세틸, 프로피오닐 및 이소발레릴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 - 12알카노일기, 벤질카르보닐 등의 아르 C1 - 6알킬카르보닐기, 벤조일 및 나프토일 등의 고리식 탄화수소 카르보닐기, 니코티노일, 테노일, 피롤리디노카르보닐 및 푸로일 등의 복소환식 카르보닐기, 숙시닐기, 글루타릴 기, 말레오일기, 프탈로일기 및 아미노산(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세린, 트레오닌, 시스테인, 메티오닌,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스파라긴, 글루타민, 아르기닌, 리신, 히스티딘, 하이드록시리신, 페닐알라닐, 티로신, 트립토판, 프롤린 및 하이드록시프롤린 등을 들 수가 있다.)으로부터 유도되는 N말단이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α-아미노알카노일기를; 알킬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1,1-디메틸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및 tert-펜틸옥시카르보닐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1 - 12알킬옥시카르보닐기를;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벤질옥시카르보닐 및 페네틸옥시카르보닐기 등의 아르C1 - 6알킬옥시카르보닐기를; 아릴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페닐옥시카르보닐 등의 기를;
아실옥시기란,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 및 프로피오닐옥시 등의 직쇄형상 또는 분지사슬형상의 C2 - 6알카노일옥시기 및 벤조일옥시 등의 아로일옥시기를; 아실알킬기란, 예를 들면, 아세틸메틸, 벤조일메틸, p-니트로벤조일메틸, p-브로모벤조일메틸, p-메톡시벤조일메틸 및 1-벤조일에틸 등의 기를; 아실옥시알킬기란, 예를 들면, 아세톡시메틸, 프로피오닐옥시메틸 및 피발로일옥시메틸 등의 기를; 알킬티오알킬기란, 예를 들면, 메틸티오메틸, 에틸티오메틸 및 프로필티오메틸 등의 C1 - 6알킬티오 C1 - 6알킬기를; 아릴티오기란, 예를 들면, 페닐티오 등의 기를; 알칸술포닐기 란, 예를 들면, 메탄술포닐, 에탄술포닐 및 프로판술포닐 등의 C1 - 6알칸술포닐기를; 아릴술포닐기란,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 톨루엔술포닐 및 나프탈렌술포닐 등의 기를; 알칸술포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메탄술포닐옥시 및 에탄술포닐옥시 등의 C1 - 6알칸술포닐옥시기를; 아릴술포닐옥시기란,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옥시 및 톨루엔술포닐옥시 등의 기를; 아릴티오알킬기란, 예를 들면, 페닐술페닐메틸 및 2-(p-니트로페닐술페닐)에틸 등의 기를; 아릴술포닐알킬기란, 예를 들면, p-톨루엔술포닐에틸 등의 기를; 알칸술폰아미드기란, 예를 들면, 메탄술폰아미드 및 에탄술폰아미드 등의 C1 - 6알칸술폰아미드기를 의미한다.
함(含) 산소복소환식기란, 예를 들면, 2-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및 2-테트라하이드로푸라닐 등의 기를; 함 유황복소환식기란,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라닐 등의 기를; 복소환옥시카르보닐기란, 예를 들면, 2-푸르푸릴옥시카르보닐, 8-퀴놀릴옥시카르보닐 등의 기를; 함 질소복소환식 알킬기란, 예를 들면, 프탈이미도메틸 및 숙신이미도메틸 등의 기를; 치환실릴기란, 예를 들면, 트리메틸실릴, 트리에틸실릴 및 트리부틸실릴 등의 기를; 알킬실릴알킬기란, 예를 들면, 2-(트리메틸실릴)에틸 등의 기를 의미한다.
단환의 복소환식기란, 예를 들면, 피롤릴, 피롤리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딜, 피페라지닐,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피리다지닐,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테트라졸릴,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피라졸리닐 및 피라졸리디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異項原子)로서 질소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질소복소환식기; 푸릴 및 피리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산소복소환식기; 티에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유황복소환식기; 옥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이소옥사졸릴 및 모르폴리닐기 등의 상기 환을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 및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질소·산소복소환식기;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티아디아졸릴 및 티오모르폴리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 및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질소·유황복소환식기 및 티옥사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 및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질소·유황복소환식기 등을 의미한다.
이(2)환식의 복소환식기란, 인돌릴, 인돌리닐, 2-옥소인돌리닐, 이소인돌릴, 인돌리지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트리아졸릴, 인다졸릴, 퀴놀릴,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리닐,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퀴놀리지닐, 이소퀴놀릴,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디하이드로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퀴누클리디닐 및 2,3-디하이드로벤조피롤릴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1~3개의 질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복소환식기; 벤조푸라닐, 이소벤조푸라닐, 크로메닐, 크로마닐, 이소크로마닐, 벤조-1,3-디옥솔릴, 벤조-1,4-디옥사닐 및 2,3-디하이드로벤조푸라닐기 등의 상기 환을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복소환식기; 벤조티에닐 및 2,3-디하이드로벤조티에닐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유황복소환식기; 벤조모르폴리닐 및 벤조모르폴로닐기 등의 10 이상의 원자로 상기 고리를 형성하고,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 및 산소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산소복소환식기 및 벤조티아졸릴 및 벤조티아디아졸릴기 등의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 및 유황원자를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유황복소환식기를 의미한다.
복소환식기란, 예를 들면, 단환의 복소환식기; 이환식의 복소환식기; 및 티안트레닐, 크산테닐, 페녹사티이닐, 카르바졸릴, β-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페리미디닐, 페난트롤리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및 페녹사지닐 등의 삼(3)환식의 복소환식기를 의미한다.
고리형상의 아미노기란, 예를 들면, 포화의 고리형상 아미노 및 불포화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중 어떤 것이라도 좋고, 또 상기 고리 내에 다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질소원자, 산소원자, 유황원자 등의 이종원자(異種原子) 및 카르보닐 탄소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으며, 또한 단환이라도 좋고, 2~3환성이라도 좋으며, 더 구체적으로는, 아지리딘-1-일, 아제티딘-1-일, 피롤리딘-1-일, 피롤린-1-일, 피롤-1-일, 디하이드로피리딘-1-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1-일, 피페리딘-1-일, 디하이드로아제핀-1-일 및 페르하이드로아제핀-1-일 등의 질소원자 1개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3~7원(員)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이미다졸-1-일, 이미다졸리딘-1-일, 이미다졸린-1-일, 피라졸리딘-1-일, 피페라진-1-일, 1,4-디하이드로피라진-1-일, 1,2-디하이드로피리미딘-1-일, 페르하이드로피라진-1-일 및 호모피페라진-1-일 등 의 질소원자 2개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3~7원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1,2,4-트리아졸-1-일, 1,2,3-트리아졸-1-일, 1,2-디하이드로-1,2,4-트리아진-1-일 및 페르하이드로-S-트리아진-1-일 등의 질소원자 3개 이상을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3~7원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옥사졸리딘-3-일, 이소옥사졸리딘-2-일, 모르폴린-4-일, 티아졸리딘-3-일, 이소티아졸리딘-2-일, 티오모르폴린-4-일, 호모티오모르폴린-4-일 및 1,2,4-티아지아졸린-2-일 등의 질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및 유황원자로부터 선택되는 헤테로원자 1~4개를 갖는 포화 또는 불포화의 단환식 3~7원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이소인돌린-2-일, 인돌린-1-일, 1H-인다졸-1-일, 1H-인돌-1-일, 1H-벤즈이미다졸-1-일, 푸린-7-일, 테트라하이드로퀴놀린-1-일 및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2-일 등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2~3환성의 고리형상 아미노기; 및 5-아자스피로[2.4]헵탄-5-일, 2,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8-일, 3-아자비시클로[3.1.0]헥산-3-일, 2-옥사-5,8-디아자비시클로[4.3.0]노난-8-일, 2,8-디아자스피로[4.4]노난-2-일 및 7-아자비시클로[2.2.1]헵탄-7-일 등의 스피로식 또는 가교식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5~12원의 고리형상 아미노기를 의미한다.
아미노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아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494~615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실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아랄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랄킬옥시알킬기, 아릴티오기, 알칸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미노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이미노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494~615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실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아랄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릴티오기, 알칸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하이드록실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하이드록실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17~245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실기, 알킬옥시카르보닐기,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복소환 옥시카르보닐기, 알킬기, 알케닐기, 아랄킬기, 함 산소복소환식기, 함 유황복소환식기, 알콕시알킬기, 아랄킬옥시알킬기, 알칸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카르복실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369~453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아실알킬기, 아릴티오알킬기, 아릴술포닐알킬기, 함 산소복소환식기, 알킬실릴알킬기, 아실옥시알킬기, 함 질소복소환식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알킬기, 아랄 킬옥시알킬기, 알킬티오알킬기, 알케닐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페놀성 하이드록실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페놀성 하이드록실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246~287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실기, 알킬기, 알케닐기, 아랄킬기, 함 산소복소환식기, 함 유황복소환식기, 알콕시알킬기, 알칸술포닐기, 아릴술포닐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티올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티올기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454~493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실기, 알킬기, 알케닐기, 아랄킬기, 알콕시알킬기 및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아세틸렌 보호기로서는, 통상적인 아세틸렌의 보호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는 모든 기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654~659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기를 들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치환된 실릴기 등을 들 수가 있다.
탈리기(脫離基)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원자, 알칸술포닐옥시기, 아릴술포닐옥시기 및 아실옥시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1]의 화합물의 염으로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아미노기 등의 염기성기 또는 페놀성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의 산성기에 있어서의 염을 들 수가 있다.
염기성 기에 있어서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브롬화 수소 및 황산 등의 광산(鑛酸)과의 염; 주석산, 포름산, 아세트산, 구연산, 트리클로로 아세트산 및 트리플루오로 아세트산 등의 유기 카복실산(carboxylic acid)과의 염 및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메시틸렌술폰산 및 나프탈렌술폰산 등의 술폰산과의 염 등을 들 수가 있다.
산성 기에 있어서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나트륨 및 칼륨 등의 알칼리금속과의 염; 칼슘 및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류금속과의 염; 암모늄염 및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모르폴린, 디에틸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프로카인, 디벤질아민, N-벤질-β-페네틸아민 및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의 함 질소유기염기와의 염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염 중에서 일반식[1]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염으로서는,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R2의 페닐, 시클로알킬 및 복소환식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술포기, 포스포릴기, 알칸술포닐기, 알칸술폰아미드기, 아세트아미드기, 카르바모일기,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복실, 아미노 및 하이드록실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릴, 고리형상의 아미노, 아랄킬 및 복소환식 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어도 좋다.
R3의 페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단환의 복소환식 및 이환식의 복소환식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실기, 아실옥시기, 술포기, 포스포릴기, 아미노기, 알칸술포닐기, 알칸술폰아미드기, 아세트아미드기, 디메틸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복실 및 하이드록실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고리형상의 아미노, 아랄킬 및 복소환식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어도 좋다.
X2 및 X6의 알킬렌, 알케닐렌 및 알키닐렌기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실기, 술포기, 포스포릴기, 알칸술포닐기, 알칸술폰아미드기, 아세트아미드기, 카르바모일기,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복실기, 아미노 및 하이드록실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릴, 고리형상의 아미노, 아랄킬 및 복소환식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기로 치환되어도 좋다.
상기에서 나타내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콕시, 아릴, 고리형상의 아미노, 아랄킬 및 복소환식기의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실기, 술포기, 포스포릴기, 고리형상의 아미노기, 알칸술포닐기, 알칸술폰아미드기, 아세트아미드기, 아랄킬기, 카르바모일기,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아릴기, 복소환식기 및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복실, 아미노 및 하이드록실기 등을 들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R1이, 수소원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2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C5 - 7시클로알킬 또는 복소환식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하이드록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키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고리형상의 아미노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랄킬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식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또는 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니트로기, 하이드록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케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고리형상의 아미노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단환의 복소환식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또는 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고리형상의 아미노기 및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만을 포함하는 단환의 함 질소복소환식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산소복소환식, 상기 고 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유황복소환식 또는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질소원자 및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유황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R3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C5 - 7시클로알킬, C5 - 7시클로알케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실기, 하이드록실기, 알칸술포닐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콕시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릴옥시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식 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및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고,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할로겐원자에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기 및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1~3개의 질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질소복소환식,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산소복소환식 또는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이환식의 함 유황복소환식기인 화합물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X1이, 카르보닐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X2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 및 페닐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결합수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X3가,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결합수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X2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인 경우, X3가, 산소원자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X4가, 일반식 -X6-X5-(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이미노기, 술피닐기, 술포닐기 또는 결합수를; X6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를 의미한다.」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X4가, 일반식 -X6p-X5p-(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p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이미노기 또는 결합수를; X6p는, 치환되 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를 의미한다.」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일반식 -X6p-X5q-(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q는, 상기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결합수를; X6p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인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일반식 -X6q-X5r-(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r는, 결합수를; X6q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를 의미한다.」인 화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X4가, 일반식 -X6r-X5p-(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6r은, 결합수를; X5p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일반식 -X6r-X5s-(단, 일반식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s는,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를; X6r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중, 대표적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표1~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가 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2
R3 R3
페닐 4-(tert-부틸)페닐 티아졸-2-일 티오펜-2-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5-일 1H-벤즈이미다졸-1-일 1H-인돌-1-일 1H-인돌-5-일 1H-인돌-4-일 4-(메탄술포닐)페닐 벤조티오펜-2-일 벤조티오펜-5-일 3-니트로페닐 4-니트로페닐 4-아세틸페닐 2-플루오로페닐 3-플루오로페닐 4-플루오로페닐 2,3-디플루오로페닐 2,6-디플루오로페닐 3,4-디플루오로페닐 2,5-디플루오로페닐 3,5-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메톡시페닐 3-메톡시페닐 4-메톡시페닐 5-클로로-2-메톡시페닐 3-클로로-4-메톡시페닐 2-이소프로폭시페닐 4-이소프로폭시페닐 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4-페닐피페리딘-1-일 4-벤질피페리딘-1-일 2-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4-클로로페닐 3,5-디클로로페닐 3,4-디클로로페닐 2,3-디클로로페닐 2,4-디클로로페닐 2,5-디클로로페닐 3-클로로-2-플루오로페닐 5-클로로-2-플루오로페닐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 3-시아노페닐 4-시아노페닐 2-메틸페닐 3-메틸페닐 4-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2,6-디메틸페닐 3,4-디메틸페닐 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 3-플루오로-4-메틸페닐 4-플루오로-2-메틸페닐 3-클로로-2-메틸페닐 3-클로로-4-메틸페닐 5-클로로-2-메틸페닐 2-페녹시페닐 4-페녹시페닐 4-벤조일페닐 인돌린-1-일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벤조[1,3]디옥솔-5-일 4-(1H-피롤-1-일)페닐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2-일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3
R3 X4 R3 X4
페닐 CH2 페닐 CH=CH 페닐 C≡C 페닐 O 페닐 S 페닐 NH 페닐 (CH2)2 페닐 (CH2)3 페닐 (CH2)4 페닐 CH2O 페닐 (CH2)2O 페닐 (CH2)3O 페닐 CH2S 페닐 SCH2 시클로헥실 CH=CH 시클로헥실 CH2CH=CH 시클로헥실 O 2-플루오로페닐 O 3-플루오로페닐 O 4-플루오로페닐 O 2,3-디플루오로페닐 O 2,4-디플루오로페닐 O 2,5-디플루오로페닐 O 2,6-디플루오로페닐 O 3,4-디플루오로페닐 O 3,5-디플루오로페닐 O 2-클로로페닐 O 3-클로로페닐 O 4-클로로페닐 O 2,3-디클로로페닐 O 2,4-디클로로페닐 O 2,5-디클로로페닐 O 2,6-디클로로페닐 O 3,4-디클로로페닐 O 3,5-디클로로페닐 O 3-니트로페닐 O 4-니트로페닐 O 2-메틸페닐 O 3-메틸페닐 O 4-메틸페닐 O 2,3-디메틸페닐 O 2,6-디메틸페닐 O 3,4-디메틸페닐 O 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O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O 3-플루오로-4-메틸페닐 O 4-플루오로-2-메틸페닐 O 3-클로로-4-플루오로페닐 O 5-클로로-2-메틸페닐 O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O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O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O 벤조푸란-5-일 O 벤조티오펜-5-일 O 시클로헥실 (CH2)2 시클로헥실 (CH2)3 2-메틸페닐 CH=CH 4-플루오로페닐 CH=CH 3-플루오로-4-메틸페닐 CH=CH 3-니트로페닐 CH=CH 4-아세틸페닐 CH=CH 3-메톡시페닐 CH=CH 4-메톡시페닐 CH=CH 3-클로로페닐 CH=CH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CH=CH 벤조푸란-5-일 CH=CH 벤조티오펜-5-일 CH=CH 벤조[1,3]디옥솔-5-일 CH=CH 2,1,3-벤조티아디아졸-4-일 CH=CH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H=CH 2,4-디플루오로페닐 CH=CH 3,5-디플루오로페닐 CH=CH 3,5-디클로로페닐 CH=CH 4-하이드록시페닐 CH=CH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CH=CH 4-니트로페닐 CH=CH 2-메틸페닐 (CH2)2 4-플루오로페닐 (CH2)2 3-플루오로-4-메틸페닐 (CH2)2 4-에틸페닐 (CH2)2 3-메톡시페닐 (CH2)2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H2)2 3-클로로페닐 (CH2)2 벤조푸란-5-일 (CH2)2 3,5-디플루오로페닐 (CH2)2 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 (CH2)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4
X1 X2-X3 R2 X1 X2-X3 R2
C=O 결합수 시클로헥실 C=O 결합수 2-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4-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6-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5-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클로로페닐 C=O 결합수 4-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6-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5-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메틸페닐 C=O 결합수 3-메틸페닐 C=O 결합수 4-메틸페닐 C=O 결합수 2,3-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4-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5-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니트로페닐 C=O 결합수 4-니트로페닐 C=O 결합수 2-하이드록시페닐 C=O 결합수 4-하이드록시페닐 C=O 결합수 3-비페닐 C=O 결합수 4-비페닐 C=O 결합수 티오펜-2-일 C=O 결합수 벤조푸란-2-일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5
C=O 결합수 벤조푸란-5-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2-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3-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5-일 C=O 결합수 벤조티아졸-2-일 C=O 결합수 벤조[1,3]디옥솔-5-일 C=O 결합수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C=O 결합수 6-모르폴리노피리딘-3-일 C=O 결합수 1-페닐-1H-피라졸-5-일 C=O 결합수 6-(피페리딘-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6-(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5-(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2-(1H-피롤-1-일)피리딘-4-일 C=O 결합수 3-페닐이속사졸-5-일 C=O 결합수 3-페닐-1H-피라졸-5-일 C=O 결합수 6-페닐피리미딘-4-일 C=O 결합수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CH=CH(E) 페닐 C=O CH=CH(E) 3,4-디메톡시페닐 C=O CH2 페닐 C=O CH2O 페닐 C=O CH2CH=CH(E) 페닐 C=O C(CH3)=CH(E) 페닐 C=O (CH2)2 페닐 C=O (CH2)3 페닐 SO2 결합수 페닐 SO2 CH=CH 페닐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6
X1 X2-X3 R2 X1 X2-X3 R2
C=O 결합수 시클로헥실 C=O 결합수 2-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4-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6-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5-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클로로페닐 C=O 결합수 4-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6-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5-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메톡시페닐 C=O 결합수 4-메톡시페닐 C=O 결합수 2-메톡시페닐 C=O 결합수 3-메톡시페닐 C=O 결합수 4-메톡시페닐 C=O 결합수 2,3-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4-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5-디메틸페닐 C=O 결합수 2-비페닐 C=O 결합수 3-비페닐 C=O 결합수 4-비페닐 C=O 결합수 4-모르폴리노페닐 C=O 결합수 3-니트로페닐 C=O 결합수 4-니트로페닐 C=O 결합수 2-하이드록시페닐 C=O 결합수 티오펜-2-일 C=O 결합수 벤조푸란-2-일 C=O 결합수 벤조푸란-5-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2-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3-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5-일 C=O 결합수 벤조티아졸-2-일 C=O 결합수 6-페닐피리미딘-4-일 C=O 결합수 2-페닐티아졸-4-일 C=O 결합수 벤조[1,3]디옥솔-5-일 C=O 결합수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C=O 결합수 1-메틸-1H-벤조트리아졸-5-일 C=O 결합수 6-모르폴리노피리딘-3-일 C=O 결합수 6-(피페리딘-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6-(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5-(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2-(1H-피롤-1-일)피리딘-4-일 C=O 결합수 5-(티오펜-2-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3-페닐이속사졸-5-일 C=O 결합수 3-페닐-1H-피라졸-5-일 C=O 결합수 3-(1H-피롤-1-일)페닐 C=O 결합수 4-(1H-피롤-1-일)페닐 C=O 결합수 3-(1H-피라졸-1-일)페닐 C=O 결합수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CH=CH(E) 페닐 C=O CH=CH(E) 3-클로로페닐 C=O CH=CH(E) 4-클로로페닐 C=O CH=CH(E) 3,4-디클로로페닐 C=O CH=CH(E) 3-메톡시페닐 C=O CH=CH(E) 티오펜-2-일 C=O CH=CH(E) 벤조[1,3]디옥솔-5-일 C=O CH=CH(E) 3,4-디메톡시페닐 C=O CH=CH(E) 3-니트로페닐 C=O CH=CH(E) 4-하이드록시페닐 C=O CH2CH=CH(E) 페닐 C=O C(CH3)=CH(E) 페닐 C=O (CH2)2 페닐 C=O (CH2)3 페닐 C=O CH2O 페닐 SO2 CH2 페닐 SO2 CH=CH 페닐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7
X1 X2-X3 R2 X1 X2-X3 R2
C=O 결합수 2-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4-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6-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4-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3,5-디플루오로페닐 C=O 결합수 2-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클로로페닐 C=O 결합수 4-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2,6-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4-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5-디클로로페닐 C=O 결합수 3-메톡시페닐 C=O 결합수 4-메톡시페닐 C=O 결합수 2-메틸페닐 C=O 결합수 3-메틸페닐 C=O 결합수 4-메틸페닐 C=O 결합수 2,3-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4-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5-디메틸페닐 C=O 결합수 3-니트로페닐 C=O 결합수 2-하이드록시페닐 C=O 결합수 4-하이드록시페닐 C=O 결합수 2-비페닐 C=O 결합수 3-비페닐 C=O 결합수 4-비페닐 C=O 결합수 벤조푸란-2-일 C=O 결합수 벤조푸란-5-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2-일 C=O 결합수 벤조티오펜-3-일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8
C=O 결합수 벤조티오펜-5-일 C=O 결합수 벤조티아졸-2-일 C=O 결합수 벤조[1,3]디옥솔-5-일 C=O 결합수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 C=O 결합수 4-모르폴리노페닐 C=O 결합수 6-(피페리딘-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6-(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5-(1H-피롤-1-일)피리딘-3-일 C=O 결합수 2-(1H-피롤-1-일)피리딘-4-일 C=O 결합수 3-페닐이속사졸-5-일 C=O 결합수 3-페닐-1H-피라졸-5-일 C=O 결합수 3-(1H-피롤-1-일)페닐 C=O 결합수 4-(1H-피롤-1-일)페닐 C=O 결합수 6-페닐피리미딘-4-일 C=O 결합수 2-(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결합수 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C=O CH=CH(E) 페닐 C=O CH=CH(E) 3-클로로페닐 C=O CH=CH(E) 4-클로로페닐 C=O CH=CH(E) 3,4-디클로로페닐 C=O CH=CH(E) 3-메톡시페닐 C=O CH=CH(E) 티오펜-2-일 C=O CH=CH(E) 벤조[1,3]디옥솔-5-일 C=O CH=CH(E) 3,4-디메톡시페닐 C=O CH=CH(E) 3-니트로페닐 C=O CH=CH(E) 4-하이드록시페닐 C=O CH2CH=CH(E) 페닐 C=O C(CH3)=CH(E) 페닐 C=O (CH2)2 페닐 SO2 CH=CH 페닐
Figure 112007048853379-PCT00009
R3-X4- -X2-X3-R2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3-클로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2,4-디플루오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2-일 벤조푸란-2-일 벤조[1,3]디옥솔-5-일 벤조[1,3]디옥솔-5-일 벤조[1,3]디옥솔-5-일 벤조[1,3]디옥솔-5-일 벤조[1,3]디옥솔-5-일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2-(3-메톡시페닐)비닐 4-플루오로페닐 4-니트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4-하이드록시페닐 2,3-디메틸페닐 벤조티아졸-2-일 5-(1H-피롤-1-일)피리딘-3-일 벤조[1,3]디옥솔-5-일 2-페닐비닐 4-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벤조티아졸-2-일 5-(1H-피롤-1-일)피리딘-3-일 2-페닐비닐 4-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벤조티아졸-2-일 5-(1H-피롤-1-일)피리딘-3-일 2-페닐비닐 4-플루오로페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벤조[1,3]디옥솔-5-일 2-페닐비닐 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 2,3-디메틸페닐 벤조티아졸-2-일 벤조[1,3]디옥솔-5-일 2-페닐비닐 4-플루오로페닐 4-니트로페닐 벤조티아졸-2-일 2,3-디메틸페닐 벤조[1,3]디옥솔-5-일 5-(1H-피롤-1-일)피리딘-3-일 2-페닐비닐
또,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에 있어서, 이성체(異性體)(예를 들면, 광학이성체, 기하(幾何)이성체 및 호변(互變)이성체 등)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은, 그들의 이성체를 포함하고, 또, 용매화물, 수화물 및 여러가지 형상의 결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자체공지의 방법을 조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되는바, 예를 들면, 다음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0
「식중, R1a는, 카르복실 보호기를; R3a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원자에 의해 결합하는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를; R4는, 수소원자 또는 저급 알킬기를; X7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기를; L1은, 탈리기를; R2, X1, X2 및 X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3a]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피리딘-3-보론산, 3-(메탄술폰아미드)페닐보론산, 티오펜-2-보론산, 벤조푸란-2-보론산 및 3-메톡시페닐보론산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3b]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푸란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일반식[3a] 및 [3b]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특개 2003-206290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준하여, 대응하는 할로겐체로부터 제조할 수가 있다.
일반식[1a]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팔라듐촉매의 존재하, 리간드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3a] 또는 [3b]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 에틸 및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및 인산3칼륨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2~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팔라듐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탄소 및 팔라듐블랙 등의 금속 팔라듐; 염화 팔라듐 등의 무기 팔라듐염; 아세트산 팔라듐 등의 유기 팔라듐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클로라이드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유기 팔라듐착체 및 폴리머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및 폴리머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등의 폴리머고정화 유기 팔라듐착체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팔라듐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리간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핀 및 트리-tert-부틸포스핀 등의 트리알킬포스핀류;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핀류;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톨릴포스핀 등의 트리아릴포스핀류;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및 트리부틸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파이트류; 트리시클로헥실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파이트류;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파이트류; 1,3-비스(2,4,6-트리메틸페닐)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등의 이미다졸륨염; 아세틸아세톤 및 옥타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 등의 디케톤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아민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및 2-(디-tert-부틸포스피노)비페닐 등을 들 수가 있고,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리간드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3a] 또는 [3b]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2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기체(예를 들면, 질소,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40~170℃에서, 1분간~96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1
「식중, R3b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원자에 의해 결합하는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를; R5는, 저급 알킬기를; R1a, R2, X1, X2, X3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4]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2-(트리부틸주석)티아졸 및 2-(트리부틸주석)푸란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b]의 화합물은, 산화은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팔라듐촉매의 존재하,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4]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팔라듐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클로라이드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유기 팔라듐착체 및 폴리머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및 폴리머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등의 폴리머고정화 유기 팔라듐착체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팔라듐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산화은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4]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2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예를 들면, 질소,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40~170℃에서, 1분간~96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2
「식중, R3c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탄소원자에 의해 결합하는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를; X2a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키닐기 또는 결합수를; X6a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를; X6b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기를; R1a, R2, R3a, X1, X2, X3, X5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5]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스티렌, 알릴벤젠, 4-페닐-1-부텐, 비닐시클로헥산 및 알릴시클로헥산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일반식[5]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실험화학강좌, 제4판, 제19권, 제298~361쪽, 1992년, 마루젠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3-1)
X6a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케닐렌기인 경우, 일반식[1c]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상관이동(相關移動)촉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리간드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팔라듐촉매의 존재하,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5]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그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화 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및 인산3칼륨 등의 무기염기 및 아세트산 나트륨, 아세트산 칼륨, 나트륨=tert-부톡시드,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및 N,N-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2~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상관이동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하이드로겐설페이트 및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 N-라우릴피리디늄클로라이드, N-라우릴-4-피콜리늄클로라이드, N-라우릴피콜리늄클로라이드 및 N-벤질피콜리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관이동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0.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리간드로서는, 트리메틸포스핀 및 트리-tert-부틸포스핀 등의 트리알킬포스핀류;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핀류; 트리페닐포스핀 및 트리톨릴포스핀 등의 트리아릴포스핀류;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에틸포스파이트 및 트리부틸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알킬포스파이트류; 트리시클로헥실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시클로알킬포스파이트류;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등의 트리아릴포스파이트류; 1,3-비스(2,4,6-트리메틸페닐)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등의 이미다졸륨염; 아세틸아세톤 및 옥타플루오로아세틸아세톤 등의 디케톤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트리이소프로필아민 등의 아민류;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및 2-(디-tert-부틸포스피노)비페닐 등을 들 수가 있고,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리간드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팔라듐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탄소 및 팔라듐 블랙 등의 금속팔라듐; 염화팔라듐 등의 무기 팔라듐염; 아세트산 팔라듐 등의 유기 팔라듐염;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클로라이드, (E)-디(μ-아세테이트)비스(o-(디-o-톨릴포스피노)벤질)디팔라듐(II)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유기 팔라듐착체 및 폴리머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및 폴리머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등의 폴리머고정화 유기 팔라듐착체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팔라듐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5]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2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예를 들면, 질소,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40~17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3-2)
X6a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키닐렌기인 경우, 일반식[1c]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구리촉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팔라듐촉매의 존재하,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5]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및 인산3칼륨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2~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구리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브롬화구리 및 요오드화구리 등을 들 수가 있다. 구리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0.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팔라듐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탄소 및 팔라듐 블랙 등의 금속팔라듐; 염화팔라듐 등의 무기 팔라듐염; 아세트산 팔라듐 등의 유기 팔라듐염;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클로라이드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등의 유기 팔라듐착체 및 폴리머에 담지된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및 폴리머에 담지된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등의 폴리머고정화 유기 팔라듐착체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팔라듐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01~0.1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5]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2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예를 들면, 질소,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10~17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3-3)
일반식[1d]의 화합물은, 일반식[1c]의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환원반응으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촉매를 사용하는 촉매수소 첨가반응을 들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트산 등의 카복실산류 및 피리딘 등의 헤테로 방향족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금속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팔라듐-탄소 및 팔라듐 블랙 등의 금속팔라듐; 산화팔라듐 및 수산화팔라듐 등의 팔라듐염; 레이니니켈 등의 니켈금속 및 산화백금 등의 백금염 등을 들 수가 있다. 금속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1c]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1~5배량(W/W), 바람직하게는, 0.01~1배량(W/W)이면 좋다.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 포름산; 포름산나트륨, 포름산암모늄 및 포름산트리에틸암모늄 등의 포름산염; 시클로헥센 및 시클로헥사디엔 등을 들 수가 있다. 환원제의 사용량은, 일반식[1c]의 화합물에 대하여 2~100배 몰, 바람직하게는, 2~1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0~200℃, 바람직하게는, 0~10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3
「식중, X5a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보호되어 있어도 좋은 이미노기를; R1a, R2, R3a, X1, X2, X3, X6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6]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아닐린, 벤질아민, 페놀, 티오페놀 및 벤질메르캅탄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일반식[6]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대응하는 할로겐화합물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4-1)
일반식[1e]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1)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6]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4-2)
X5a가, 산소원자인 경우, 일반식[1e]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구리촉매의 존재하에서,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6]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소화나트륨 및 나트륨 등을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구리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구리분말 및 요오드화 구리 등을 들 수가 있다. 구리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001~1배 몰, 바람직하게는, 0.01~1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6]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40~200℃에서, 30분간~72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4
「식중, L2는, 탈리기를; R1a, R2, R3b, X1, X2, X3 및 X6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8a]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2-요오드톨루엔, 3-요오드아니솔, 3-요오드니트로벤젠 및 6-요오드-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f]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1) 또는 (3-2)에 준하여, 일반식[7]의 화합물을 일반식[8a]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5
「식중, R1a, R2, R3, X1, X2, X3 및 X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6-1)
X1이 카르보닐기인 경우, 일반식[1g]의 화합물은, 일반식[9]의 화합물을 아미드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산(酸)할로겐화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산무수물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술포란 등의 술폰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할로겐화물로서는, 예를 들면, 벤조일클로라이드, 벤조일브로마이드, 2,4-디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2-나프토일클로라이드, 디페닐아세틸클로라이드, 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카르보닐클로라이드, 시클로헥산카르보닐클로라이드, 시클로펜틸카르보닐클로라이드, (E)-3-페닐아크릴로일클로라이드, 페녹시아세틸클로라이드, 2-푸로일클로라이드, 1-벤조푸란-2-카르보닐클로라이드, 2-테노일클로라이드, 니코티노일클로라이드 및 피콜리노일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산할로겐화물은, 일반식[3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6
「식중, R2, X2 및 X3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티오닐클로라이드 또는 옥살릴클로라이드 등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산할로겐화물의 사용량은, 일반식[9]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무수물로서는, 예를 들면, 무수안식향산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산무수물은, 대응하는 카복실산으로부터, 예를 들면, 신실험화학강좌, 제14권, 제1120~1133쪽, 1977년, 마루젠에 기재된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산무수물의 사용량은, 일반식[9]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세슘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9]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78~100℃, 바람직하게는, 0~80℃에서, 10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6-2)
X1이 술포닐기인 경우, 일반식[1g]의 화합물은, 일반식[9]의 화합물을 술폰아미드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할로겐화 술포닐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술포란 등의 술폰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할로겐화 술포닐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술포닐클로라이드 및 α-톨루엔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가 있다. 또, 할로겐화 술포닐은, 대응하는 술폰산으로부터, 예를 들면, 신실험화학강좌, 제14권, 제1784~1792쪽, 1978년, 마루젠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할로겐화 술포닐의 사용량은, 일반식[9]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세슘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9]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78~100℃, 바람직하게는, 0~80℃에서, 10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7
「식중, X6c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킬렌기 또는 결합수를; L3는, 탈리기를; R1a, R2, R3a, X1, X2, X3, X5a 및 X6b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단, X6c가, 결합수인 경우, R3a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일반식[11a]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벤질브로마이드 및 (2-브로모에틸)벤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1b]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3-페닐-1-프로판올 및 시클로헥사놀 등이 알려져 있다.
(7-1)
일반식[1h]의 화합물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일반식[10]의 화합물을 일반식[11a]의 화합물과 대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술포란 등의 술폰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일반식[11a]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10]의 화합물에 대하여, 1~2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및 피리딘 등의 유기 아민류; 수소화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소화물 및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금속 탄산염 등을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10]의 화합물에 대하여 1~2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0~200℃, 바람직하게는, 25~150℃에서 10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7-2)
X5a가 산소원자 또는 유황원자인 경우, 일반식[1h]의 화합물은, 아조디카르보닐화합물 및 포스핀류의 존재하에서, 일반식[10]의 화합물 및 일반식[11b]의 화합물을 미츠노부 반응(Mitsunobu reaction)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및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트산메틸 및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및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및 클로로포름 및 염화메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아조디카르보닐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디에틸=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및 아조디카르보닐디피페리딘 등을 들 수가 있다. 아조디카르보닐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10]의 화합물에 대하여, 1~5배 몰, 바람직하게는, 1~3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포스핀류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등의 트리아릴포스핀류 및 트리부틸포스핀 등의 트리알킬포스핀류를 들 수가 있다. 포스핀류의 사용량은, 일반식[10]의 화합물에 대하여, 1~5배 몰, 바람직하게는, 1~3배 몰이면 좋다.
일반식[11b]의 화합물의 사용량은, 일반식[10]의 화합물에 대하여, 1~5배 몰, 바람직하게는, 1~3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20~120℃, 바람직하게는, 0~50℃에서, 30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8
「식중, X2b는, 결합수를; X3a는,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를; X5b는, 산소원자, 술포닐기 또는 결합수를; R2, R3a 및 X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i]의 화합물은, 산 또는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염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에서, 일반식[12]의 화합물을 산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 피리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산 및 황산 등의 광산 및 아세트산 등의 유기산을 들 수가 있다. 산의 사용량은, 일반식[12]의 화합물에 대하여 1~100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및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염기 및 피리딘 등의 유기염기를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12]의 화합물에 대하여 1~100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마그네슘, 황산암모늄 및 염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가 있다. 염의 사용량은, 일반식[1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크롬(VI) 및 2크롬산나트륨 등의 크롬산염 및 과망간산칼륨, 과망간산바륨, 과망간산칼슘 및 과망간산마그네슘 등의 과망간산염을 들 수가 있다. 산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식[12]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40~130℃에서, 30분간~48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19
「R3d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상기 고리를 형성하는 질소원자에 의해 결합하는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이환식의 복소환식 기를; R1a, R2, X1, X2, X3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3]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피롤리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롤, 인돌린, 이소인돌린, 벤즈이미다졸 및 인돌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j]의 화합물은, 제조방법1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13]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0
「식중, R3e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시클로알케닐기를; R3f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시클로알킬기를; R1a, R2, X1, X2, X2a, X3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4]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시클로펜텐 및 시클로헥센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일반식[14]의 화합물은, 예를 들면, 실험화학강좌, 제4판, 제19권, 제53~298쪽, 1992년, 마루젠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가 있다.
(10-1)
일반식[1k]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1)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14]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10-2)
일반식[11]의 화합물은, 일반식[1k]의 화합물을 제조방법(3-3)에 준하여, 환원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1
「식중, L2a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를; R1a, R2, R3b, X1, X2, X3 및 X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8b]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2-요오드톨루엔, 3-요오드아니솔, 3-요오드니트로벤젠 및 6-요오드-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b]의 화합물은, 제조방법1에 준하여, 일반식[15]의 화합물을 일반식[8b]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2
「식중, R2, R3, X1, X2, X3, X6 및 X6c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n]의 화합물은, 일반식[1m]의 화합물을 제조방법(3-3)에 준하여,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3
「식중, R2, R3, X1, X2, X3, X6a 및 X6b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p]의 화합물은, 일반식[1o]의 화합물을 제조방법(3-3)에 준하여,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1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4
「식중, R1a, R2, R3, X1, X2, X3 및 X4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q]의 화합물은, 일반식[1g]의 화합물을 탈보호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탈보호반응으로서는, 예를 들면, 산 또는 염기를 사용하는 가수분해반응, 염을 사용한 탈알킬화반응 및 금속촉매수소첨가반응을 포함하는 환원적 탈알킬화반응 등을 들 수가 있다.
산을 사용하는 가수분해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포름산, 염산, 황산, 브롬화수소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화알루미늄 및 요오드화트리메틸실란 등을 들 수가 있다. 산의 사용량은, 일반식[1g]의 화합물에 대하여 1~100,00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00배 몰이면 좋다.
염기를 사용하는 가수분해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리튬 등의 무기염기;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및 칼륨tert-부톡시드 등의 유기염기; 탄산칼륨 및 탄산나트륨 등의 탄산염 및 불화테트라부틸암모늄 등을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1g]의 화합물에 대하여 1~100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0배 몰이면 좋다.
염을 사용한 탈알킬화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화리튬 및 염화나트륨 등을 들 수가 있다. 염의 사용량은, 일반식[1g]의 화합물에 대하여, 1~10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금속촉매 수소첨가반응을 포함하는 환원적 탈알킬화 반응은, 제조방법(3-3)에 준하여 실시하면 좋다.
이들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헥산 및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니트로메탄 및 피리딘 등을 들 수가 있고,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78~100℃, 바람직하게는, 0~80℃에서, 10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1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5
「식중, X5c는, 술피닐기 또는 술포닐기를; R1, R2, R3, X1, X2, X3 및 X6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s]의 화합물은, 일반식[1r]의 화합물을 산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및 피리딘 등을 들 수가 있고,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과초산, 과안식향산 및 m-클로로과안식향산 등의 과산류; tert-부틸페록사이드 등의 페록사이드류 및 메타 과요오드산나트륨 등을 들 수가 있다. 산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식[1r]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0~150℃, 바람직하게는, 10~100℃에서, 30분간~48시간 실시하면 좋다.
[제조방법1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6
「식중, R1, R2, R3a, X1, X2, X3, X5c 및 X6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u]의 화합물은, 일반식[1t]의 화합물을 제조방법15에 준하여, 산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일반식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1k], [1l], [1m], [1n], [1o], [1p], [1q], [1r], [1s], [1t] 및 [1u]의 화합물 또는 그들의 염은, 예를 들면, 축합, 부가, 산화, 환원, 전위, 치환, 할로겐화, 탈수 또는 가수분해 등의 자체 공지의 반응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또는 그들의 반응을 적당히 조합하는 것에 의해, 다른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으로 유도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화합물에 있어서, 이성체(예를 들면, 광학이성체, 기하이성체 및 호변이성체 등)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이성체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 용매화물, 수화물 및 여러가지 형상의 결정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 화합물의 제조원료인 일반식[2], [7], [9], [10], [12], [15] 및 [38]의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조방법A]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7
「식중, R1a, R2, X1, X2, X3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6]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4-클로로-2-니트로안식향산 및 4-브로모-2-니트로안식향산 등이 알려져 있다.
(A-1)
일반식[17]의 화합물은, 일반식[16]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은,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369~453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실시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관이동촉매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염기의 존재하에서, 알킬화제를 사용하는 방법 및 일반식[16]의 화합물의 산할로겐화물을 경유하는 방법 등을 들 수가 있다.
알킬화제를 사용하는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탄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상관이동촉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벤질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의 4급 암모늄염을 들 수가 있다. 상관이동촉매의 사용량은, 일반식[16]의 화합물에 대하여 0.01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0.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세슘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N-메틸모르폴린 등의 유기염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16]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알킬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요오드화메틸, 요오드화에틸, 황산디메틸, 2-브로모-2-메틸프로판, 벤질클로라이드 및 벤질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가 있다. 알킬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식[16]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0~17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산할로겐화물을 경유하는 방법에 있어서, 일반식[16]의 화합물을, 예를 들면, 티오닐클로라이드 또는 옥살릴클로라이드 등과 반응시켜서, 산할로겐화물로 한 후, 염기의 존재하 또는 부존재하, 메탄올, 에탄올, 벤질알코올 등의 알코올류와 반응시키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및 디메틸술폭시드 등의 술폭시드류 등을 들 수가 있으며,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염기로서는, 예를 들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및 탄산세슘 등의 무기염기 및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및 N-메틸모르폴린 등의 유기염기 등을 들 수가 있다. 염기의 사용량은, 일반식[16]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5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은, 통상적으로, 0~17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A-2)
일반식[18]의 화합물은, 일반식[17]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이 반응은, Richard C. Larock 등,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제2판, 제823~827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또는 그에 준한 방법으로 실시하면 좋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촉매를 사용하는 접촉수소첨가반응 및 철 또는 아연 등의 금속을 사용하는 환원반응 등을 들 수가 있다.
일반식[17]의 화합물을 접촉수소첨가반응시키는 경우, 제조방법(3-3)에 준하여 실시하면 좋다.
일반식[17]의 화합물을 금속을 사용하는 환원을 실시하는 경우,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반응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판올 및 2-메틸-2-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 염화메틸렌, 클로로포름 및 디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벤젠, 톨루엔 및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아니솔,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및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아세토니트릴 등의 니트릴류; 아세톤 및 2-부타논 등의 케톤류 및 아세트산에틸 및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등을 들 수가 있고, 이들은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이 반응에 사용되는 금속으로서는, 예를 들면, 철, 아연, 주석 및 염화주석(II) 등을 들 수가 있다. 금속의 사용량은, 일반식[17]의 화합물에 대하여, 1~50배 몰, 바람직하게는, 1~10배 몰이면 좋다.
이 반응에 있어서 소망에 따라 사용되는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및 아세트산 등을 들 수가 있다. 산의 사용량은, 일반식[17]의 화합물에 대하여 0.001~100배량(W/V), 바람직하게는, 0.01~20배량(W/V)이면 좋다.
이 반응은, 0~200℃, 바람직하게는, 0~100℃에서 1분간~24시간 실시하면 좋다.
(A-3)
일반식[2]의 화합물은, 제조방법6에 준하여, 일반식[18]의 화합물을 아미드화 또는 술폰아미드화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B]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8
「식중, R1a, R2, X1, X2b, X3a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19]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5-요오드-2-메틸아닐린 등이 알려져 있다.
(B-1)
일반식[20]의 화합물은, 제조방법6에 준하여, 일반식[19]의 화합물을 아미드화 또는 술폰아미드화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B-2)
일반식[21]의 화합물은, 제조방법8에 준하여, 일반식[20]의 화합물을 산화제와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B-3)
일반식[2a]의 화합물은, 제조방법(A-1)에 준하여, 일반식[21]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C]
Figure 112007048853379-PCT00029
「식중, R1a, R2, R4, R5, X1, X2, X3, X6a, X7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7]의 화합물은, 제조방법2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22a]의 화합물과 커플링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제조방법1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22b1] 또는 일반식[22b2]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D]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0
「식중, R6은, 아세틸렌보호기를; R1a, R2, X1, X2, X3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7a]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2)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22c]의 화합물과 반응시킨 후, 탈보호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탈보호는,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654~659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E]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1
「식중, R1a, R3 및 X5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23]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2-니트로-4-페녹시안식향산[WO03/033480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E-1)
일반식[24]의 화합물은, 제조방법(A-1)에 준하여, 일반식[23]의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E-2)
일반식[9a]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3) 또는 (A-2)에 준하여, 일반식[24]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F]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2
「식중, R1a, R3a, R4, X7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1)
일반식[25]의 화합물은, 제조방법1에 준하여, 일반식[17]의 화합물을 일반식[3a] 또는 일반식[3b]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F-2)
일반식[9b]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3) 또는 (A-2)에 준하여, 일반식[25]의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G]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3
「식중, R1a, R3b, R5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G-1)
일반식[26]의 화합물은, 제조방법2에 준하여, 일반식[17]의 화합물을 일반식[4]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G-2)
일반식[9c]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3) 또는 (A-2)에 준하여, 일반식[26]의 화합물을 환원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H]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4
「식중, X6d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알케닐렌기를; R1a, R3a, R3c, X6b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H-1)
일반식[28]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1)에 준하여, 일반식[17]의 화합물을 일반식[27]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H-2)
일반식[9d]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3)에 준하여, 일반식[28]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I]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5
「식중, L4는, 탈리기를; R1a, R3a, R3c, X5a 및 X6b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29]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메틸=4-(브로모메틸)-2-니트로벤조에이트 등이 알려져 있다. 또, 메틸=4-(브로모메틸)-2-니트로벤조에이트는,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제29권, 제589-591쪽, 1986년에 기재되어 있는 4-(브로모메틸)-2-니트로안식향산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에스테르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I-1)
일반식[31]의 화합물은, 제조방법(7-1)에 준하여, 일반식[29]의 화합물을 일반식[30]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I-2)
일반식[9e]의 화합물은, 제조방법(3-3) 또는 (A-2)에 준하여, 일반식[31]의 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J]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6
「식중, R7은, 페놀성 하이드록실보호기 또는 티올보호기를; R1a, R2, X1, X2, X3 및 X5a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32]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메틸=2-아미노-4-메톡시벤조에이트[Journal of the Chemical Society, Perkin Transactions 1), 제21권, 제3261~3274쪽, 1997년] 등이 알려져 있다.
(J-1)
일반식[33]의 화합물은, 제조방법6에 준하여, 일반식[32]의 화합물을 아미드화 또는 술폰아미드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J-2)
일반식[10]의 화합물은, 일반식[33]의 화합물을 탈보호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페놀성 하이드록실보호기의 탈보호는,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249~287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 에 기재된 방법; 티올보호기의 탈보호는, 예를 들면, W.그린(W.Greene) 등,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3판, 제454~493쪽, 1999년,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K]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7
「식중, R2, R3, X1, X2b, X3a 및 X5b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34]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1-메틸-2-니트로-4-페녹시벤젠[국제공개WΟ02/078693호]등이 알려져 있다.
(K-1)
일반식[35]의 화합물은, 일반식[34]의 화합물을 제조방법(3-3) 또는 (A-2)에 준하여 환원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K-2)
일반식[12]의 화합물은, 일반식[35]의 화합물을 제조방법6에 준하여 아미드화 또는 술폰아미드화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L]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8
「식중, R1a, R2, X1, X2, X3, X7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36]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비스(피나콜라토(pinacolato))디보론, 비스(네오펜틸글리라토(neopentylglylato))디보론 및 비스(헥실렌글리콜레이트)디보론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15]의 화합물은, 제조방법1에 준하여, 일반식[2]의 화합물을 일반식[36]의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제조방법M]
Figure 112007048853379-PCT00039
「식중, R1b는, 카르복실보호기를; R2, X2 및 X3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37]의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메틸=2-(1H-피롤-2-일)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국제공개 WΟ9426709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식[38]의 화합물은, 제조방법14에 준하여, 일반식[37]의 화합물을 탈보호하는 것에 의해 제조할 수가 있다.
상기한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화합물은, 염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반식[1]의 화합물의 염과 동일한 염을 들 수가 있다.
상기한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이성체(예를 들면, 광학이성체, 기하이성체 및 호변이성체 등)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이성체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용매화물, 수화물 및 여러가지 형상의 결정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용매화물, 수화물 및 여러가지 형상의 결정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상기한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보호할 수 있는 치환기, 예를 들면, 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은, 미리 이들 기를 통상적인 보호기로 보호해 두고, 반응 후, 자체공지의 방법으로 이들 보호기를 탈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의약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제제화에 사용되는 부형제, 담체 및 희석제 등의 제제보조제를 적당히 혼합하여도 좋다. 이들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정제, 캡슐제, 산제(散劑), 시럽제, 과립제, 환제, 현탁제, 유제, 액제, 분말제제, 좌제(坐劑), 점안제, 점비제, 점이제, 첩부제, 연고제 또는 주사제 등의 형태로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가 있다. 또, 투여방법, 투여량 및 투여횟수는,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증상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할 수가 있다. 통상적으로, 성인에 대해서는, 경구 또는 비경구(예를 들면, 주사, 점적 및 직장부위로의 투여 등) 투여에 의해, 1일, 0.01~1000mg/kg을 1회~수회로 분할하여 투여하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대표적 화합물의 유용성을 이하의 시험예로 설명한다.
시험예1 . MMP -13 산생 저해시험
인간 연골 유래의 세포주 SW1353세포 6.8×103개를 10% 우태아혈청 함유 둘베코(Dulbecco)개변 이글배지 100μL에 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3일간 배양하였다. 배지를 0.2% 락트알부민 수해물 함유 둘베코개변 이글배지로 교환하여 6시간 배양한 후, 시험화합물을 첨가하고, 그 1시간 후에 IL-1β를 최종 농도 10ng/mL이 되도록 첨가하였다. 자극 16시간 후에 상청을 회수하고, ELISA키트(Amersham)를 사용하여 배양상청 중의 MMP-13의 산생량을 구하였다. 시험화합물의 부존재하에서 얻어지는 산생량을 100%로 하여, 시험화합물의 존재하에서 얻어지는 산생량으로부터 저해율을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7에 나타낸다.
실시예번호 30μmol/L에 있어서의 저해율(%) 실시예번호 30μmol/L에 있어서의 저해율(%)
4 80 7 91 8 95 11 92 15 88 19 94 22 81 24 92 25 86 33 97 80 92 83 93 85 60 88 80 89 94 91 95 96 96 97 97 99 71 105 64 130 96 134 99 138 95 141 95 146 97 150 96 157 98 163 98 176 98 189 96 196 97 212 95 217 68 222 98 230 95 234 99 240 94 243 96 251 83 255 91 261 94 262 93 264 94 276 86 282 75 301 80 316 96 318 95 325 91 330 68 349 95 358 99 382 98 399 79 411 81 415 97 423 98 425 99 426 98 431 98 433 98 442 99 450 98 467 90 495 99 499 99 503 99 505 82 509 77 512 99 514 91 525 87 539 97 541 97 543 85 551 96 560 85 564 97 570 98
시험예2 . 마우스 II 형 콜라겐 관절염
8주령의 수컷 DBA/1J 마우스(Charles River Laboratories Japan Inc.)를 사용하였다. 0.01mol/L의 아세트산 수용액에 용해시킨 4mg/mL 소 II형 콜라겐(콜라겐기술연수회) 및 결핵사균 1mg/mL을 포함하는 프로인드 완전 애쥬번트(Freund's complete adjuvant)(Chondorex)를 등량 첨가하여 에멀전을 제조하고, 0.1mL을 미근부에 피내주사하였다. 21일 후에 동일한 처치를 실시하고, 관절염을 유발하였다. 시험화합물을 0.5% 메틸셀룰로스 수용액에 현탁하고, 30mg/kg을 21일 후~35일 후까지 1일 1회 경구투여하였다. 또한, 대조군에는, 0.5% 메틸셀룰로스 수용액을 동일하게 투여하였다. 관절염의 강도는, 변화없음을 0점, 1, 2개 손가락 관절의 종창 또는 수근부, 족근부 관절만의 가벼운 종창을 1점, 수근부, 족근부 관절의 명확한 종창 또는 3개 손가락 이상의 관절의 종창이 인정되는 것을 2점, 앞다리 또는 뒷다리 전체에 걸쳐서 명백한 종창으로 인정되는 것을 3점으로 하고, 사지의 합계의 만점을 12점으로 하는 관절염 스코어로 하여 평가하였다. 뼈 파괴의 정도는 36일 후에 사지의 X선 사진을 촬영하고, 제2~5 지절간 관절, 제1~5 중수지 및 중족지절관절, 수근부, 족근부, 발뒤꿈치뼈에 대하여, 관절 및 관절근방의 골다공증 상(像)의 유무에 따라 0 또는 0.5점, 뼈미관 상에 대하여, 변화없음을 0점, 부분적인 골파괴상을 1점, 완전한 골파괴상을 2점으로 평가하고, 사지에서 최고 105점의 골파괴 스코어로 하였다. 억제율은, 이하의 식으로 구하였다.
억제율(%)=100-(시험화합물 투여군의 스코어/대조군의 스코어)×100
실시예25에서 나타내는 화합물은, 관절염 및 골파괴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참고예 및 실시예를 들어서 설명하는바,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리액에 있어서의 혼합비율은, 용량비이다. 특별히 기재가 없는 경우,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의 담체는, 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B.W.실리카겔, BW-127ZH; 역상(逆相)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에 있어서의 담체는, 가부시키가이샤 YMC, ODS-AM12S05-2520WT이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각 약호는, 이하의 의미를 나타낸다.
Ac:아세틸, Boc:tert-부톡시카르보닐, tBu:tert-부틸, Bz:벤조일, Et:에틸, Me:메틸
DMSO-d6:중(重)디메틸술폭시드
참고예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0
4-브로모-2-니트로안식향산 4.0g의 아세톤 40mL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3.4g 및 황산디메틸 2.3mL을 첨가하여, 50℃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1.0mol/L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4.1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3.97(3H,s),7.85(1H,d,J=8.3Hz),8.07(1H,dd,J=8.3,2.0Hz),8.47(1H,d,J=2.0Hz).
참고예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1
4-브로모-2-니트로안식향산 5.0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0mL용액에, 실온에서 탄산나트륨 41g,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4.6g 및 2-브로모-2-메틸프로판 69mL을 첨가하고, 55℃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브로모-2-메틸프로판 12mL을 첨가하고, 55℃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3.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5(9H,s), 7.63(1H,d,J=8.3Hz), 7.77(1H,dd,J=8.3,1.9Hz), 7.95(1H,d,J=1.9Hz).
참고예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2
메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4.0g의 메탄올 20mL 및 아세트산 20mL의 혼합액에, 철분 2.6g을 첨가하고,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아미노-4-브로모벤조에이트 2.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89(3H,s), 4.20(2H,s), 7.26(1H,dd,J=8.3,2.1Hz), 7.43(1H,d,J=2.1Hz), 7.47(1H,d,J=8.3Hz).
참고예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3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5.5g의 메탄올 28mL 및 아세트산 28mL의 혼합액에, 철분 3.0g을 첨가하고,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담황색 기름상의 tert-부틸=2-아민-4-브로모벤조에이트 4.3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2(9H,s), 6.65(1H,dd,J=8.5,2.0Hz), 6.78(2H,s), 6.98(1H,d,J=2.0Hz), 7.55(1H,d,J=8.5Hz).
참고예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4
메틸=2-아미노-4-브로모벤조에이트 1.0g 및 트리에틸아민 0.73mL의 염화메틸렌 10mL용액에, 빙냉하에서, 벤조일클로라이드 0.55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mol/L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9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8(3H,s), 7.54-7.58(2H,m), 7.61-7.66(1H,m), 7.77(1H,dd,J=8.4,2.2Hz), 7.90(1H,d,J=8.4Hz), 8.00-8.02(2H,m), 8.14(1H,d,J=2.2Hz), 10.18(1H,s).
참고예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5
tert-부틸=2-아미노-4-브로모벤조에이트 4.2g 및 트리에틸아민 2.6mL의 염화메틸렌 42mL의 용액에, 빙냉하에서, 벤조일클로라이드 1.9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잔류물에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4.4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5(9H,s), 7.45(1H,dd,J=8.5,2.1Hz), 7.60-7.69(3H,m), 7.89(1H,d,J=8.5Hz), 7.95-7.97(2H,m), 8.78(1H,d,J=2.1Hz), 11.68(1H,s).
참고예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6
메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5.2g의 톨루엔 42mL, 에탄올 16mL 및 물 7.8mL의 혼합액에, 디하이드록시페닐보란 2.9g, 탄산수소나트륨 4.2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g을 차례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g을 반응혼합물에 첨가하여, 질소분위기 하에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mol/L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담황색 기름상의 메틸=2-니트로-4-페닐벤조에이트 4.8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4(3H,s), 7.44-7.53(3H,m), 7.60-7.63(2H,m), 7.85-7.86(2H,m), 8.07(1H,d,J=1.4Hz).
참고예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7
메틸=2-니트로-4-페닐벤조에이트 4.8g의 메탄올 24mL 및 아세트산 24mL의 혼합액에, 철분 3.1g을 첨가하여,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1.8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89(3H,s), 5.79(2H,s), 6.87-6.91(2H,m), 7.35-7.45(3H,m), 7.57-7.61(2H,m), 7.92(1H,d,J=8.0Hz).
참고예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8
5-요오드-2-메틸아닐린 3.5g 및 트리에틸아민 2.5mL의 염화메틸렌 70mL용액에, 실온에서 벤조일클로라이드 2.1mL을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담황색 고체의 N-(5-요오드-2-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2.29(3H,s), 6.96(1H,d,J=8.0Hz), 7.44(1H,dd,J=1.6,8.0Hz), 7.49-7.63(4H,m), 7.86-7.88(2H,m), 8.39(1H,d,J=1.6Hz).
참고예1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49
N-(5-요오드-2-메틸페닐)벤즈아미드 4.2g의 tert-부틸알코올 40mL 및 물 80m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과망간산칼륨 2.4g 및 무수황산마그네슘 1.8g을 첨가하여, 4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2.0g 및 무수황산마그네슘 1.5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2.0g 및 무수황산마그네슘 1.5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제거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1.0mol/L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담황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요오드안식향산 3.3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58-7.69(4H,m), 7.79(1H,d,J=8.3Hz), 7.94-7.96(2H,m), 9.17(1H,d,J=1.7Hz), 12.17(1H,s).
참고예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0
2-(벤즈아미도)-4-요오드안식향산 1.5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mL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0.62g 및 황산디메틸 0.43mL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1.3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9(3H,s), 7.59-7.69(4H,m), 7.75(1H,d,J=8.3Hz), 7.95-7.98(2H,m), 9.04(1H,d,J=1.5Hz), 11.61(1H,s).
참고예1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1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6.0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48mL의 용액에, 스티렌 2.7mL, 아세트산나트륨 2.5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3.2g 및 아세트산팔라듐(II) 0.22g을 순차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90℃에서 3시간 가열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스티렌 0.45mL 및 아세트산팔라듐(II) 0.22g을 첨가하고, 110℃에서 3시간 가열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 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니트로-4-((E)-2-페닐비닐)벤조에이트 3.8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1(9H,s), 7.32-7.45(4H,m), 7.59(1H,d,J=16.6Hz), 7.66(2H,d,J=7.4Hz), 7.84(1H,d,J=8.1Hz), 7.98(1H,dd,J=8.1,1.5Hz), 8.23(1H,d,J=1.5Hz).
참고예1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2
tert-부틸=2-니트로-4-((E)-2-페닐비닐)벤조에이트 3.7g의 메탄올 56mL 및 아세트산에틸 56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0.74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3.4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8(9H,s), 2.79-2.91(4H,m), 5.63(2H,s), 6.44-6.49(2H,m), 7.17-7.21(3H,m), 7.26-7.30(2H,m), 7.72(1H,d,J=8.4Hz).
참고예1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3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0.50g, 트리(o-톨릴)포스핀 50mg, 알릴벤젠 0.44mL 및 트리에틸아민 0.46mL의 톨루엔 5mL 용액에, 아세트산팔라듐(II) 19mg를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팔라듐(II) 20mg을 첨가하고, 7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3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니트로-4-(3-페닐-1-프로페닐)벤조에이트 0.31g을 얻었다.
tert-부틸=2-니트로-4-(3-페닐-1-프로페닐)벤조에이트 0.31g의 아세트산에틸 3mL의 용액에, 실온에서 5% 팔라듐-탄소 62mg를 첨가하고, 수소분위기하,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황색 기름상의 tert-부틸=2-아미노-4-(3-페닐프로필)벤조에이트 0.31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7(9H,s), 1.88-1.97(2H,m), 2.55(2H,t,J=7.6Hz), 2.63(2H,t,J=7.6Hz), 5.64(2H,s), 6.44-6.48(2H,m), 7.16-7.21(3H,m), 7.26-7.30(2H,m), 7.72(1H,d,J=8.0Hz).
참고예1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4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0.50g, 트리(o-톨릴)포스핀 50mg, 4-페닐-1-부텐 0.50mL 및 트리에틸아민 0.46mL의 톨루엔 5mL용액에, 아세트산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4시간 30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팔라듐(II) 20mg를 첨가하고, 5시간 30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3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니트로-4-(4-페닐-1-부테닐)벤조에이트 0.35g을 얻었다.
2-니트로-4-(4-페닐-1-부테닐)벤조에이트 0.35g의 아세트산에틸 4mL 용액에, 5% 팔라듐-탄소 70mg를 첨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분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황색 기름상의 tert-부틸=2-아미노-4-(4-페닐부틸)벤조에이트 0.4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7(9H,s), 1.61-1.67(4H,m), 2.50-2.54(2H,m), 2.60-2.63(2H,m), 5.63(2H,s), 6.42-6.47(2H,m), 7.15-7.19(3H,m), 7.25-7.29(2H,m), 7.70(1H,d,J=8.0Hz).
참고예1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5
tert-부틸=2-(벤조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3.5g 및 트리부틸비닐주석 5.0g의 톨루엔 35mL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0.54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1.4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63(9H,s), 5.42(1H,d,J=11.0Hz), 5.95(1H,d,J=17.7Hz), 6.77(1H,dd,J=17.7,11.0Hz), 7.15(1H,dd,J=8.2,1.7Hz), 7.50-7.60(3H,m), 7.97(1H,d,J=8.2Hz), 8.05-8.10(2H,m), 9.01(1H,d,J=1.7Hz), 12.23(1H,s).
참고예1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6
3-아미노-4-메틸벤조페논 0.51g의 염화메틸렌 5mL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67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34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의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의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N-(5-벤조일-2-메틸페닐)벤즈아미드 0.71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2.43(3H,s), 7.37(1H,d,J=7.8Hz), 7.47-7.52(4H,m), 7.56-7.63(3H,m), 7.74(1H,s), 7.82-7.86(2H,m), 7.87-7.91(2H,m), 8.29(1H,s).
참고예1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7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3.2g, 요오드화구리(I) 92mg,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0.34g 및 트리에틸아민 2.7mL의 톨루엔 30mL 현탁액에, 실온에서(트리메틸실릴)아세틸렌 2.7mL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70~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담황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2-(트리메틸실릴)에티닐)벤조에이트 3.5g을 얻었다.
메틸=2-(벤즈아미도)-4-(2-(트리메틸실릴)에티닐)벤조에이트 3.5g의 메탄올 17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7mL용액에, 탄산칼륨 0.68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mol/L염산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에티닐벤조에이트 1.6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25(1H,s),3.97(3H,s), 7.22(1H,dd,J=8.3,1.5Hz), 7.51-7.58(3H,m), 8.02-8.06(3H,m), 9.12(1H,d,J=1.5Hz), 12.02(1H,s).
참고예1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8
1-메틸-2-니트로-4-페녹시벤젠 5.7g의 메탄올 57mL 및 아세트산 17mL용액에, 철분 4.2g을 첨가하고, 5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 60mL에 용해시키고, 빙냉하에서 염산 2.1mL을 첨가하였다.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채의 2-메틸-5-페녹시아닐린염산염 4.7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27(3H,s), 6.82(1H,dd,J=8.3,2.4Hz), 6.96(1H,d,J=2.4Hz), 7.03(2H,d,J=7.5Hz), 7.17(1H,t,J=7.5Hz), 7.26(1H,d,J=8.3Hz), 7.39-7.43(2H,m).
참고예2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59
2-메틸-5-페녹시아닐린염산염 0.50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mL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91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27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mol/L염산,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N-(2-메틸-5-페녹시페닐)벤즈아미드 0.42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2.31(3H,s), 6.78(1H,dd,J=8.3,2.4Hz), 7.03(2H,d,J=7.8Hz), 7.08(1H,t,J=7.5Hz), 7.17(1H,d,J=8.3Hz), 7.30-7.34(2H,m), 7.47-7.51(2H,m), 7.54-7.58(1H,m), 7.67(1H,s), 7.78(1H,s), 7.86(2H,d,J=7.1Hz).
참고예2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0
2-니트로-4-페녹시안식향산 0.93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4mL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9.9g, 벤질트리에틸암모늄클로라이드 0.82g 및 2-브로모-2-메틸프로판 21mL을 첨가하고, 55℃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니트로-4-페녹시벤조에이트 0.86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48(9H,s), 7.18-7.23(2H,m), 7.26-7.32(2H,m), 7.47-7.53(2H,m), 7.54(1H,d,J=2.4Hz), 7.85(1H,d,J=8.5Hz).
참고예2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1
tert-부틸=2-니트로-4-페녹시벤조에이트 0.82g의 메탄올 8mL 및 아세트산에틸 8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0.17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무색 기름상의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0.63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7(9H,s), 6.16(1H,d,J=2.3Hz), 6.27(1H,dd,J=9.0,2.3Hz), 7.04-7.06(2H,m), 7.14-7.18(1H,m), 7.34-7.38(2H,m), 7.78(1H,d,J=9.0Hz).
참고예2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2
메틸=2-아미노-4-메톡시벤조에이트 1.9g의 염화메틸렌 19mL 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3.1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1.3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클로로포름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메톡시벤조에이트 2.6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2(3H,s), 3.93(3H,s), 6.65(1H,dd,J=9.0,2.7Hz), 7.51-7.59(3H,m), 8.00(1H,d,H=9.0Hz), 8.05-8.07(2H,m), 8.63(1H,d,J=2.7Hz).
참고예2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3
메틸=2-(벤즈아미도)-4-메톡시벤조에이트 0.67g의 톨루엔 7mL용액에, 실온에서 염화알루미늄 0.94g을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23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3(3H,s), 6.68(1H,dd,J=8.9,2.5Hz), 7.54-7.62(3H,m), 8.02-8.05(3H,m), 8.84(1H,d,J=2.5Hz), 9.30-9.40(1H,broad), 12.46(1H,s).
참고예2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4
페놀 0.18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mL 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0.50g 및 메틸=4-(브로모메틸)-2-니트로벤조에이트 0.50g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의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촉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6:1]로 정제하여, 무색 기름상의 메틸=2-니트로-4-(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0.53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3(3H,s), 5.17(2H,s), 6.95-7.03(3H,m), 7.30-7.34(2H,m), 7.72-7.79(2H,m), 7.95-8.00(1H,m).
참고예2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5
메틸=4-(브로모메틸)-2-니트로벤조에이트 1.00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mL 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1.01g 및 티오페놀 0.39mL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담황색 기름상의 메틸=2-니트로-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 0.7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86(3H,s), 4.27(2H,s), 6.60-6.74(5H,m), 7.15-7.19(2H,m), 7.82(1H,d,J=8.3Hz).
참고예2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6
메틸=2-니트로-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 0.70g의 메탄올 7mL 및 아세트산 2.1mL 혼합액에, 철분 0.39g을 첨가하고,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디에틸에테르 10mL에 용해시키고, 빙냉하에서 1.9mol/L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1.2mL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아미노-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 염산염 0.39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76(3H,s), 4.13(2H,s), 4.30-4.70(2H,broad), 6.55(1H,dd,J=8.2,1.7Hz), 6.79(1H,d,1.7Hz), 7.15-7.19(1H,m), 7.26-7.33(4H,m), 7.62(1H,d,J=8.2Hz).
참고예2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7
참고예2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4-클로로-2-니트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55(9H,s), 7.59-7.62(1H,m), 7.70-7.73(1H,m), 7.79(1H,d,J=2.0Hz).
참고예2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8
참고예2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2(9H,s), 7.45(1H,dd,J=8.5,1.7Hz), 7.51-7.60(3H,m), 7.68(1H,d,J=8.5Hz), 8.02-8.07(2H,m), 9.38(1H,d,J=1.7Hz), 12.13-12.20(1H,broad).
참고예3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69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2.0g의 톨루엔 20mL용액에, 에탄올 6.0mL, 물 3.0mL, 3-클로로페닐보론산 1.2g, 탄산나트륨 1.7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0.23g을 차례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4-(3-클로로페닐)-2-니트로벤조에이트 0.7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2(9H,s), 7.53-7.59(2H,m), 7.77-7.82(1H,m), 7.89-7.95(2H,m), 8.15(1H,dd,J=8.1,1.6Hz), 8.34(1H,d,J=1.6Hz).
참고예3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0
참고예30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2-니트로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1(9H,s), 1.52(9H,s), 7.36(2H,d,J=8.8Hz), 7.87(2H,d,J=8.8Hz), 7.91(1H,d,J=8.1Hz), 8.11(1H,dd,J=8.1,1.8Hz), 8.29(1H,d,J=1.8Hz).
참고예3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1
tert-부틸=4-클로로-2-니트로벤조에이트 1.5g의 톨루엔 15mL 용액에, 2,4-디플루오로페닐보론산 1.1g, 탄산세슘 2.8g, 아세트산팔라듐 27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5mg을 차례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8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니트로벤조에이트 0.95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2(9H,s), 7.26-7.31(1H,m), 7.44-7.51(1H,m), 7.72-7.79(1H,m), 7.93(1H,d,J=7.9Hz), 7.98(1H,d,J=7.9Hz), 8.17(1H,s).
참고예3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2
참고예32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니트로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1(9H,s), 6.11(2H,s), 7.06(1H,d,J=8.1Hz), 7.34(1H,dd,J=8.1,1.9Hz), 7.45(1H,d,J=1.9Hz), 7.85(1H,d,J=8.1Hz), 8.04(1H,dd,J=8.1,1.9Hz), 8.20(1H,d,J=1.9Hz).
참고예3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3
참고예30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4-(벤조푸란-2-일)-2-니트로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3(9H,s), 7.30-7.36(1H,m), 7.40-7.45(1H,m), 7.68-7.76(1H,m), 7.75(1H,d,J=7.3Hz), 7.82(1H,d,J=0.7Hz), 7.96(1H,d,J=8.1Hz), 8.29(1H,dd,J=8.1,1.6Hz), 8.49(1H,d,J=1.6Hz).
참고예3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4
tert-부틸=4-(3-클로로페닐)-2-니트로벤조에이트 1.1g의 메탄올 11mL 및 아세트산에틸 11mL의 혼합액에, 10% 팔라듐-탄소 0.33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 11mL, 메탄올 11mL 및 10% 팔라듐-탄소 0.33g을 차례로 첨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3-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 0.7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5(9H,s), 6.63-6.69(2H,broad), 6.83(1H,dd,J=8.5,1.9Hz), 7.06(1H,d,J=1.9Hz), 7.46(1H,dt,J=7.8,1.6Hz), 7.50(1H,t,J=7.8Hz), 7.57(1H,dt,J=7.8,1.6Hz), 7.63(1H,t,J=1.6Hz), 7.73(1H,d,J=8.5Hz).
참고예3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5
참고예35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아미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1(9H,s), 1.55(9H,s), 6.66-6.70(2H,broad), 6.80(1H,dd,J=8.5,1.8Hz), 7.02(1H,d,J=1.8Hz), 7.27-7.32(2H,m), 7.61-7.65(2H,m), 7.73(1H,d,J=8.5Hz).
참고예3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6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니트로벤조에이트 0.90g의 메탄올 9.0mL 및 아세트산에틸 9.0mL의 혼합액에, 10% 팔라듐-탄소 0.27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의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2,4-디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0.8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5(9H,s), 6.65(1H,d,J=8.3Hz), 6.66-6.73(2H,broad), 6.91(1H,s), 7.17-7.22(1H,m), 7.33-7.39(1H,m), 7.50-7.56(1H,m), 7.72(1H,d,J=8.3Hz).
참고예3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7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니트로벤조에이트 1.4g의 메탄올 14mL 및 아세트산에틸 14mL의 혼합액에, 10% 팔라듐-탄소 0.42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담적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벤조[1,3]디옥솔-5-일)벤조에이트 0.52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4(9H,s), 6.07(2H,s), 6.57-6.65(2H,broad), 6.75(1H,d,J=8.5Hz), 6.96(1H,s), 7.00(1H,d,J=8.6Hz), 7.10(1H,d,J=8.6Hz), 7.15(1H,s), 7.68(1H,d,J=8.5Hz).
참고예3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8
tert-부틸=4-(벤조푸란-2-일)-2-니트로벤조에이트 1.4g의 메탄올 7.0mL 및 아세트산 7.0mL 현탁액에, 철분 0.69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벤조푸란-2-일)벤조에이트 0.88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6(9H,s), 6.76-6.84(2H,broad), 7.07(1H,dd,J=8.5,1.6Hz), 7.26-7.39(3H,m), 7.43(1H,s), 7.64(1H,d,J=8.1Hz), 7.69(1H,d,J=8.1Hz), 7.75(1H,d,J=8.5Hz).
참고예4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79
tert-부틸=4-브로모-2-니트로벤조에이트 0.50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5mL용액에, 실온에서, 3-비닐아니솔 0.37mL, 트리에틸아민 0.47mL 및 아세트산팔라듐 0.11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의 110℃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담황색 고체의 tert-부틸=4-((E)-2-(3-메톡시페닐)비닐)-2-니트로벤조에이트 0.2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1(9H,s), 3.81(3H,s), 6.90-6.94(1H,m), 7.20-7.27(2H,m), 7.34(1H,t,J=7.9Hz), 7.43(1H,d,J=16.6Hz), 7.55(1H,d,J=16.6Hz), 7.84(1H,d,J=8.0Hz), 7.97(1H,d,J=7.8Hz), 8.21(1H,s).
참고예4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0
tert-부틸=4-((E)-2-(3-메톡시페닐)비닐)-2-니트로벤조에이트 1.5g의 메탄올 7.5mL 및 아세트산 7.5mL의 현탁액에, 철분 0.70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아미노-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0.44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1.54(9H,s),3.80(3H,s),6.57-6.65(2H,broad),6.80-6.92(3H,m),7.15-7.23(4H,m),7.29(1H,t,J=8.1Hz),7.64(1H,d,J=8.3Hz).
참고예4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1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4.0g의 디옥산 40mL용액에, 실온에서, 아세트산칼륨 3.1g, 비스(피나콜라토)디보론 5.9g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염화메틸렌컴플렉스 0.43g을 차례로 첨가하고,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조에이트 3.6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33(12H,s), 1.54(9H,s), 7.50(1H,dd,J=7.8,1.0Hz), 7.58-7.68(3H,m), 7.92(1H,d,J=7.8Hz), 7.96-8.00(2H,m), 8.72(1H,d,J=1.0Hz), 11.43(1H,s).
참고예4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2
메틸=2-(1H-피롤-2-일)피리딘-4-카르복실레이트 0.47g의 메탄올 4.0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mL 혼합액에,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mol/L 염산 5.0mL 및 아세트산에틸을 순차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1H-피롤-1-일)피리딘-4-카복실산 0.39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32(2H,t,J=2.3Hz), 7.64(1H,dd,J=5.1,1.3Hz), 7.76(2H,t,J=2.3Hz), 8.02(1H,t,J=0.9Hz), 8.60(1H,dd,J=5.1,0.9Hz), 13.70-13.95(1H,broad).
실시예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3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50g의 톨루엔 5mL용액에, 2-(트리부틸주석)티아졸 0.56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0.090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6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3: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티아졸-2-일)벤조에이트 0.25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93(3H,s), 7.61-7.70(3H,m), 7.82(1H,dd,J=8.5,1.8Hz), 7.95(1H,d,J=3.2Hz), 7.99-8.01(2H,m), 8.05(1H,d,J=3.2Hz), 8.13(1H,d,J=8.5Hz), 9.29(1H,d,J=1.8Hz), 11.73(1H,s).
실시예2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4
메틸=2-(벤즈아미도)-4-(티아졸-2-일)벤조에이트 0.25g의 에탄올 5mL 현탁액에, 실온에서 10%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35mL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티아졸-2-일)안식향산 0.23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61-7.70(3H,m), 7.80(1H,dd,J=8.3,1.7Hz), 7.94(1H,d,J=3.2Hz), 7.98-8.00(2H,m), 8.05(1H,d,J=3.2Hz), 8.17(1H,d,J=8.3Hz), 9.43(1H,d,J=1.7Hz), 12.28(1H,s).
실시예3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5
메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0.50g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염화메틸렌 10mL 용액에, 빙냉하, 벤조일클로라이드 0.28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0.52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9(3H,s), 7.37-7.60(7H,m), 7.73-7.75(2H,m), 8.07-8.10(2H,m), 8.15(1H,d,J=8.3Hz), 9.29(1H,d,J=1.7Hz), 12.13(1H,s).
실시예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6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0.50g의 메탄올 5mL 및 디옥산 2.5mL 현탁액에,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2mL을 첨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mol/L 염산을 첨가하여 pH3으로 조정하고, 물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0.36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45-7.69(7H,m), 7.73-7.75(2H,m), 7.98-8.00(2H,m), 8.15(1H,d,J=8.1Hz), 9.09(1H,d,J=2.0Hz), 12.29(1H,s), 13.70-14.00(1H,broad).
실시예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7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100mg의 톨루엔 2.0mL, 에탄올 0.5mL 및 물 0.2mL 혼합액에, 피리딘-3-보론산 55mg, 탄산수소나트륨 88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17mg를 첨가하고, 가열환류 하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17mg을 첨가하고, 가열환류 하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톨루엔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에탄올 3.0mL 및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5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3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피리딘-3-일)안식향산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2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45-7.49(2H,m), 7.56(1H,t,J=7.0Hz), 7.63-7.69(2H,m), 7.77(2H,d,J=7.1Hz), 7.97(1H,dd,J=8.1Hz,J=1.2Hz), 8.09(1H,s), 8.17(1H,d,J=7.6Hz), 8.65(1H,d,J=5.1Hz), 8.83(1H,s), 10.25(1H,s).
실시예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8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4-(아세트아미드)페닐보론산 56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를 첨가하고, 90℃에서 1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4-(아세트아미드)페닐보론산 19mg를 첨가하고, 9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탄산나트륨 11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을 첨가하고, 90℃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2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1.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mL 및 에탄올 2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4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4-(4-(아세트아미드)페닐)-2-(벤즈아미도)안식향산 5.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08(3H,s), 7.49-7.52(1H,m), 7.60-7.76(7H,m), 7.99(2H,d,J=7.6Hz), 8.11(1H,d,J=8.1Hz), 9.06(1H,d,J=1.7Hz), 10.14(1H,s).
실시예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89
실시예6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티오펜-2-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7.22(1H,t,J=4.5Hz),7.54-7.67(5H,m),7.71(1H,d,J=4.5Hz),7.99(2H,d,J=6.8Hz),8.08(1H,d,J=8.6Hz),9.11(1H,s).
실시예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0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벤조푸란-2-보론산 51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을 첨가하고, 90℃에서 2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2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1.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조푸란-2-일)안식향산 11mg를 얻었다.
1H-NMR(DMSO-d6)δ값:7.32(1H,td,J=7.3,0.7Hz),7.40(1H,td,J=7.7,1.1Hz),7.62-7.79(7H,m),8.01-8.03(2H,m),8.16(1H,d,J=8.6Hz),9.33(1H,s).
실시예9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1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용액에, 3-메톡시페닐보론산 36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을 첨가하고, 90℃에서 1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2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1.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메톡시페닐)안식향산 1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5(3H,s), 7.05(1H,dd,J=8.2,2.6Hz), 7.24(1H,s), 7.30(1H,d,J=8.1Hz), 7.47(1H,t,J=7.9Hz), 7.53(1H,dd,J=8.3,1.5Hz), 7.60-7.69(3H,m), 7.99(2H,d,J=7.1Hz), 8.13(1H,d,J=8.3Hz), 9.06(1H,s), 12.30(1H,s).
실시예10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2
실시예9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4-카르복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7-7.69(4H,m), 7.87(2H,d,J=8.0Hz), 7.99-8.01(2H,m), 8.10(2H,d,J=8.3Hz), 8.17(1H,d,J=8.6Hz), 9.13(1H,s).
실시예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3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3,4-메틸렌디옥시페닐보론산 52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을 첨가하고, 90℃에서 2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2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1.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조[1,3]디옥솔-5-일)안식향산 4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11(2H,s), 7.08(1H,d,J=8.1Hz), 7.24(1H,dd,J=8.2,1.8Hz), 7.30(1H,d,J=1.7Hz), 7.45-7.47(1H,m), 7.59-7.69(3H,m), 7.98-8.00(2H,m), 8.09(1H,d,J=8.1Hz), 9.01(1H,s).
실시예12 , 13
실시예11과 동일하게 하여, 표8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4
2-(벤즈아미도)-4-(1H-인돌-5-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56(1H,s), 7.43(1H,t,J=2.7Hz), 7.47-7.69(6H,m), 7.94(1H,s), 8.01(2H,d,J=7.1Hz), 8.12(1H,d,J=8.3Hz), 9.14(1H,d,J=1.5Hz), 11.26(1H,s).
2-(벤즈아미도)-4-(4-(메탄술포닐)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33(3H,s), 7.57-7.70(4H,m), 7.99-8.01(4H,m), 8.09(2H,d,J=8.6Hz), 8.19(1H,d,J=8.3Hz), 9.13(1H,d,J=1.7Hz), 12.28(1H,s).
실시예14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5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푸란 61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을 첨가하고, 9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3-(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푸란 41mg 및 탄산나트륨 22mg을 첨가하고, 9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5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푸란-3-일)안식향산 6.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97(1H,d,J=1.7Hz), 7.47(1H,dd,J=8.3,1.7Hz), 7.59-7.69(3H,m), 7.83(1H,t,J=1.6Hz), 7.98-8.00(2H,m), 8.06(1H,d,J=8.3Hz), 8.32(1H,s), 8.94(1H,d,J=1.7Hz), 12.29(1H,s).
실시예15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6
실시예14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4.31(4H,s), 7.02(1H,d,J=8.8Hz), 7.21-7.24(2H,m), 7.46(1H,dd,J=8.3,2.0Hz), 7.60-7.69(3H,m), 7.97-7.99(2H,m), 8.09(1H,d,J=8.5Hz), 9.02(1H,d,J=1.7Hz).
실시예16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7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4-(tert-부틸)페닐)보론산 56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를 첨가하고, 90℃에서 2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5.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5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tert-부틸)페닐)안식향산 9.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28(9H,s), 7.41-7.57(8H,m), 7.78-7.80(2H,m), 7.90(1H,dd,J=8.1,1.7Hz), 8.06(1H,d,J=1.7Hz), 9.93(1H,s), 13.09(1H,s).
실시예17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8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벤조티오펜-2-보론산 56mg, 탄산나트륨 5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0mg를 첨가하여, 9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벤조티오펜-2-보론산 37mg 및 탄산나트륨 22mg을 첨가하고, 9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조티오펜-2-일)안식향산 2.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41-7.46(2H,m), 7.61-7.70(4H,m), 7.94-8.06(5H,m), 8.15(1H,d,J=8.3Hz), 9.24(1H,s), 12.30-12.50(1H,broad).
실시예18
Figure 112007048853379-PCT00099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2.0mL, 에탄올 0.6mL 및 물 0.4mL의 혼합액에, 4-아세틸페닐보론산 51mg, 탄산수소나트륨 61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12mg을 첨가하고, 가압하에서 160℃,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0.5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을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5.0mL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4-(4-아세틸페닐)-2-(벤즈아미도)안식향산 5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64(3H,s), 7.59-7.70(4H,m), 7.89(2H,d,J=8.3Hz), 7.99-8.01(2H,m), 8.12(2H,d,J=8.3Hz), 8.17(1H,d,J=8.3Hz), 9.14(1H,d,J=1.7Hz), 12.28(1H,s), 13.80-14.10(1H,broad).
실시예1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0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8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2,4-디플루오로페닐보론산 56mg, 탄산나트륨 63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34mg을 첨가하고, 9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2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1.0mol/L수산화나트륨수용액 1.0mL 및 에탄올 4.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0.6mol/L 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2-(벤즈아미도)-4-(2,4-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2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28(1H,td,J=8.2Hz,J=2.2Hz), 7.39(1H,dt,J=8.4,1.6Hz), 7.42-7.48(1H,m), 7.59-7.70(4H,m), 7.96-7.99(2H,m), 8.15(1H,d,J=8.1Hz), 8.95(1H,d,J=1.4Hz), 12.24(1H,s).
실시예20 ~22
실시예19와 동일하게 하여, 표9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1
2-(벤즈아미도)-4-(4-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6-7.40(2H,m), 7.51(1H,dd,J=8.1,2.0Hz), 7.60-7.69(3H,m), 7.77-7.81(2H,m), 7.98-8.00(2H,m), 8.13(1H,d,J=8.3Hz), 9.06(1H,s).
2-(벤즈아미도)-4-(2-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0(3H,s), 7.09(1H,td,J=7.4,1.0Hz), 7.17(1H,d,J=7.8Hz), 7.32-7.37(2H,m), 7.41-7.45(1H,m), 7.59-7.68(3H,m), 7.96-7.98(2H,m), 8.08(1H,d,J=8.3Hz), 8.88(1H,t,J=1.6Hz).
2-(벤즈아미도)-4-(4-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3(3H,s), 7.09-7.12(2H,m), 7.49(1H,dd,J=8.3,1.7Hz), 7.59-7.72(5H,m), 7.98-8.00(2H,m), 8.10(1H,d,J=8.3Hz), 9.06(1H,s), 12.20-12.40(1H,broad).
실시예2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2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1.0g 및 트리(o-톨릴)포스핀 91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10mL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83mL, 아세트산팔라듐 34mg 및 스티렌 0.69mL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의 120℃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스티렌 0.35mL 및 아세트산팔라듐 5mg을 첨가하고, 12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E)-2-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8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7(3H,s), 7.16(1H,d,J=16.4Hz), 7.26-7.41(5H,m), 7.52-7.59(5H,m), 8.06-8.10(3H,m), 9.17(1H,d,J=1.4Hz), 12.12(1H,s).
실시예2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3
메틸=2-(벤즈아미도)-4-((E)-2-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8g의 메탄올 2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mL의 혼합액에,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37mL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에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페닐비닐)안식향산 6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31-7.44(5H,m), 7.49(1H,dd,J=8.4,1.3Hz), 7.60-7.67(3H,m), 7.71(2H,d,J=7.6Hz), 7.99(2H,d,J=7.1Hz), 8.06(1H,d,J=8.4Hz), 8.94(1H,d,J=1.3Hz), 12.27(1H,s), 13.65-13.85(1H,broad).
실시예2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4
2-(벤즈아미도)-4-((E)-2-페닐비닐)안식향산 0.10g의 메탄올 1mL 및 아세트산에틸 2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2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하,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6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91-2.99(4H,m), 7.07(1H,dd,J=8.1,1.4Hz), 7.17-7.20(1H,m), 7.26-7.31(4H,m), 7.58-7.67(3H,m), 7.95-7.98(3H,m), 8.67(1H,d,J=1.4Hz), 12.40-12.50(1H,broad).
실시예2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5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50mg의 톨루엔 1.0mL 용액에, 실온에서 비닐시클로헥산 0.037mL, 탄산세슘 87m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3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21mg을 첨가하고, 110℃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55-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시클로헥실비닐)안식향산 2.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16-1.36(5H,m), 1.64-1.81(5H,m), 2.16-2.24(1H,m), 6.42-6.44(2H,m), 7.24(1H,dd,J=8.3,1.7Hz), 7.58-7.67(3H,m), 7.95-7.99(3H,m), 8.76(1H,s), 12.20-12.40(1H,broad).
실시예2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6
실시예26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E)-3-시클로헥실-1-프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0.92-1.28(5H,m), 1.39-1.49(1H,m), 1.61-1.74(5H,m), 2.12-2.18(2H,m), 6.45-6.47(2H,m), 7.25(1H,dd,J=8.3,1.5Hz), 7.58-7.67(3H,m), 7.95-7.99(3H,m), 8.75(1H,d,J=1.5Hz), 12.20-12.35(1H,broad).
실시예2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7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0g의 톨루엔 2.0mL용액에, 실온에서 비닐시클로헥산 0.074mL, 탄산세슘 0.17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26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42mg을 첨가하고, 110℃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4mL, 물 0.6mL, 포름산나트륨 0.42g, 아세트산 0.44mL 및 3.9% 팔라듐-탄소(에틸렌디아민컴플렉스) 50mg을 첨가하고, 5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시클로헥실에틸)안식향산 4.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0.89-0.98(2H,m), 1.12-1.27(4H,m), 1.48-1.78(7H,m), 2.65-2.69(2H,m), 7.05(1H,dd,J=8.2,1.6Hz), 7.58-7.67(3H,m), 7.94-7.97(3H,m), 8.62(1H,d,J=1.6Hz), 12.20-12.35(1H,broad).
실시예2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8
실시예28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3-시클로헥실프로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0.80-0.91(2H,m), 1.09-1.24(6H,m), 1.59-1.70(7H,m), 2.62-2.65(2H,m), 7.05(1H,dd,J=8.2,1.6Hz), 7.55-7.65(3H,m), 7.94-7.98(3H,m), 8.62(1H,d,J=1.6Hz), 12.25(1H,s), 13.64(1H,s).
실시예3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09
tert-부틸=2-아미노-4-(3-페닐프로필)벤조에이트 0.31g의 염화메틸렌 3mL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28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12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벤조에이트 0.48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62(9H,s), 1.96-2.05(2H,m), 2.68(2H,t,J=7.7Hz), 2.72(2H,t,J=7.8Hz), 6.92(1H,dd,J=8.3,1.6Hz), 7.18-7.22(3H,m), 7.26-7.30(2H,m), 7.52-7.56(3H,m), 7.93(1H,d,J=8.3Hz), 8.05-8.07(2H,m), 8.81(1H,d,J=1.6Hz), 12.22(1H,s).
실시예3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0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벤조에이트 0.48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8mL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안식향산 0.2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89-1.97(2H,m), 2.65(2H,t,J=7.9Hz), 2.69(2H,t,J=8.3Hz), 7.07(1H,dd,J=8.2,1.6Hz), 7.17-7.25(3H,m), 7.28-7.32(2H,m), 7.58-7.65(3H,m), 7.95-7.99(3H,m), 8.64(1H,d,J=1.6Hz), 12.23(1H,s), 13.55-13.75(1H,broad).
실시예3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1
tert-부틸=2-아미노-4-(4-페닐부틸)벤조에이트 0.40g의 염화메틸렌 4mL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34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15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19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닐부틸)벤조에이트 0.5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5-1.73(4H,m), 1.62(9H,s), 2.64(2H,t,J=7.2Hz), 2.71(2H,t,J=7.2Hz), 6.90(1H,dd,J=8.3,1.4Hz), 7.15-7.20(3H,m), 7.25-7.28(2H,m), 7.51-7.56(3H,m), 7.92(1H,d,J=8.3Hz), 8.05-8.07(2H,m), 8.80(1H,d,J=1.4Hz), 12.22(1H,s).
실시예3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2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닐부틸)벤조에이트 0.50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4.9mL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페닐부틸)안식향산 0.16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5-1.70(4H,m), 2.60-2.74(4H,m), 7.04(1H,dd,J=8.2,1.3Hz), 7.14-7.21(3H,m), 7.25-7.28(2H,m), 7.58-7.65(3H,m), 7.94-7.98(3H,m), 8.62(1H,d,J=1.3Hz), 12.22(1H,s).
실시예3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3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50mg의 염화메틸렌 1.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82mL, 2-푸로일클로라이드 44mg 및 염화메틸렌 2.0mL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380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 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2-(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3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91-2.98(4H,m), 6.75(1H,dd,J=3.4,1.7Hz), 7.07(1H,dd,J=8.2,1.3Hz), 7.16-7.30(6H,m), 7.95(1H,d,J=8.3Hz), 8.00(1H,s), 8.61(1H,s), 12.19(1H,s), 13.50-13.70(1H,broad).
실시예35 ~54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하여, 표10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4
2-(2,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0-3.00(4H,m), 7.10(1H,dd,J=8.0,1.5Hz), 7.16-7.20(1H,m), 7.26-7.33(5H,m), 7.50(1H,ddd,J=11.4,9.2,2.4Hz), 7.94(1H,d,J=8.0Hz), 8.01(1H,td,J=8.8,6.7Hz), 8.63(1H,s), 11.96(1H,s), 13.54-13.64(1H,broad).
2-(신남아미드)-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89-2.98(4H,m), 6.88(1H,d,J=15.6Hz), 7.05(1H,dd,J=8.3,1.5Hz), 7.16-7.30(5H,m), 7.42-47(3H,m), 7.62(1H,d,J=15.6Hz), 7.73-7.75(2H,m), 7.91(1H,d,J=8.0Hz), 8.55(1H,s), 11.37(1H,s), 13.40-13.60(1H,broad).
2-(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1.17-1.47(5H,m), 1.63-1.76(3H,m), 1.87-1.95(2H,m), 2.25-2.35(1H,m), 2.86-2.92(4H,m), 7.00(1H,dd,J=8.0,1.7Hz), 7.16-7.29(5H,m), 7.88(1H,d,J=8.3Hz), 8.49(1H,s), 11.22(1H,s), 13.35-13.55(1H,broad).
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0-3.00(4H,m), 7.09(1H,dd,J=8.1,1.7Hz), 7.16-7.20(1H,m), 7.26-7.30(4H,m), 7.45(2H,t,J=8.9Hz), 7.96(1H,d,J=8.1Hz), 8.00-8.04(2H,m), 8.62(1H,d,J=1.7Hz), 12.16(1H,s).
4-페네틸-2-(티오펜-2-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0-2.98(4H,m), 7.07(1H,dd,J=8.2,1.6Hz), 7.16-7.30(6H,m), 7.74(1H,dd,J=3.7,1.0Hz), 7.93-7.96(2H,m), 8.52(1H,s), 12.20(1H,s).
2-(시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0.85-0.87(4H,m), 1.67-1.73(1H,m), 2.86-2.91(4H,m), 7.00(1H,dd,J=8.2,1.6Hz), 7.15-7.29(5H,m), 7.88(1H,d,J=8.2Hz), 8.41(1H,d,J=1.6Hz), 11.38(1H,s), 13.35-13.60(1H,broad).
4-페네틸-2-(2-페녹시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88-2.98(4H,m), 4.73(2H,s), 7.00-7.10(4H,m), 7.16-7.37(7H,m), 7.92(1H,d,J=8.0Hz), 8.63(1H,d,J=1.7Hz), 12.19(1H,s), 13.50-13.75(1H,broad).
4-페네틸-2-(피리딘-2-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2-2.99(4H,m), 7.08-7.10(1H,m), 7.16-7.20(1H,m), 7.26-7.31(4H,m), 7.67-7.70(1H,m), 7.96(1H,d,J=8.3Hz), 8.09(1H,td,J=7.7,1.5Hz), 8.20(1H,d,J=7.8Hz), 8.70-8.75(1H,m), 8.80(1H,d,J=1.5Hz), 13.07(1H,s), 13.44(1H,s).
4-페네틸-2-(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1H-NMR(DMSO-d6)δ값: 2.91-3.01(4H,m), 7.11(1H,dd,J=8.3,1.5Hz), 7.16-7.20(1H,m), 7.27-7.29(4H,m), 7.65(1H,dd,J=7.8,4.9Hz), 7.97(1H,d,J=8.3Hz), 8.30(1H,dt,J=8.1,1.9Hz), 8.60(1H,s), 8.82(1H,dd,J=4.9,1.2Hz), 9.13(1H,d,J=2.2Hz),12.20(1H,s), 13.60-13.80(1H,broad).
4-페네틸-2-(2,2-디페닐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86-2.93(4H,m), 5.28(1H,s), 7.02(1H,dd,J=8.0,1.7Hz), 7.15-7.40(15H,m), 7.84(1H,d,J=8.1Hz), 8.48(1H,s), 11.34(1H,s), 13.30-13.40(1H,broad).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1-2.98(4H,m), 6.16(2H,s), 7.06(1H,dd,J=8.1,1.7Hz), 7.12(1H,d,J=8.3Hz), 7.15-7.20(1H,m), 7.25-7.30(4H,m), 7.42(1H,d,J=2.0Hz), 7.53(1H,dd,J=8.2,1.8Hz), 7.95(1H,d,J=8.1Hz), 8.63(1H,s), 12.06(1H,s).
2-(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0-3.01(4H,m), 7.14-7.30(7H,m), 7.97(1H,d,8.1Hz), 8.53(1H,s), 8.86(1H,d,J=1.5Hz), 12.41(1H,s).
2-(벤조티오펜-3-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4-3.01(4H,m), 7.09(1H,dd,J=8.2,1.6Hz), 7.17-7.21(1H,m), 7.28-7.30(4H,m), 7.47-7.54(2H,m), 7.96(1H,d,J=8.1Hz), 8.11-8.13(1H,m), 8.49-8.52(2H,m), 8.62(1H,d,J=1.2Hz), 12.03(1H,s), 13.50-13.70(1H,broad).
2-(벤조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1-3.01(4H,m), 7.12(1H,dd,J=8.4,1.6Hz), 7.17-7.21(1H,m), 7.26-7.29(4H,m), 7.40(1H,t,J=7.6Hz), 7.54(1H,t,J=7.2Hz), 7.70(1H,d,J=8.5Hz), 7.73(1H,s), 7.85(1H,d,J=7.8Hz), 7.98(1H,d,J=8.0Hz), 8.66(1H,s), 12.54(1H,s).
2-(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0-2.98(4H,m), 4.31-4.34(4H,m), 7.05(2H,d,J=8.3Hz), 7.16-7.20(1H,m), 7.25-7.30(4H,m), 7.44-7.47(2H,m), 7.94(1H,d,J=8.3Hz), 8.65(1H,d,J=1.5Hz), 12.12(1H,s).
2-(벤조푸란-5-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3-3.00(4H,m), 7.08(1H,dd,J=8.1,1.7Hz), 7.15-7.21(2H,m), 7.28-7.31(4H,m), 7.81(1H,d,J=8.8Hz), 7.93(1H,dd,8.8,1.9Hz), 7.97(1H,d,8.3Hz), 8.16(1H,d,J=2.2Hz), 8.30(1H,d,J=1.7Hz), 8.69(1H,s), 12.27(1H,s).
2-(2-모르폴리노피리딘-5-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1-2.97(4H,m), 3.61-3.64(4H,m), 3.70-3.72(4H,m), 6.98(1H,d,J=9.0Hz), 7.04(1H,dd,J=8.3,1.5Hz), 7.16-7.20(1H,m), 7.25-7.30(4H,m), 7.94(1H,d,J=8.3Hz), 8.02(1H,dd,J=9.0,2.5Hz), 8.64(1H,d,J=1.5Hz), 8.72(1H,d,J=2.5Hz), 12.00-12.10(1H,broad).
2-(벤조티오펜-5-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3-3.01(4H,m), 7.07-7.10(1H,m), 7.17-7.22(1H,m), 7.28-7.31(4H,m), 7.64(1H,d,J=5.6Hz), 7.91-7.98(3H,m), 8.24(1H,d,J=8.3Hz), 8.50(1H,s), 8.70(1H,s), 12.35(1H,s).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1-3.05(4H,m), 7.15-7.31(6H,m), 7.62-7.71(2H,m), 8.00(1H,d,J=7.8Hz), 8.19(1H,d,J=7.8Hz), 8.29(1H,d,J=7.8Hz), 8.69(1H,s), 12.98(1H,s).
4-페네틸-2-(1-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84-2.94(4H,m), 7.05(1H,d,J=2.0Hz), 7.08(1H,dd,J=8.1,1.7Hz), 7.14-7.27(5H,m), 7.43-7.50(5H,m), 7.86(1H,d,J=2.2Hz), 7.94(1H,d,J=8.1Hz), 8.37(1H,s), 12.04(1H,s).
실시예5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5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50mg의 염화메틸렌 1.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82mL, 벤질술포닐클로라이드 39mg 및 염화메틸렌 2.0mL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380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 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질술폰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질술폰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5-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질술폰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5.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86-2.95(4H,m), 4.53(2H,s), 7.03(1H,dd,J=7.9,1.6Hz), 7.11-7.15(3H,m), 7.21-7.33(8H,m), 7.88(1H,d,J=8.0Hz).
실시예56 , 57
실시예55와 동일하게 하여, 표11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6
4-페네틸-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2.76-2.80(2H,m),2.90-2.94(2H,m),6.94(1H,dd,J=8.1,1.5Hz),7.09-7.19(5H,m),7.38-7.44(5H,m),7.72-7.77(3H,m),7.84(1H,d,J=8.1Hz),11.02(1H,s).
2-(벤젠술폰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78-2.82(2H,m), 2.87-2.91(2H,m), 6.92(1H,d,J=8.0Hz), 7.12-7.18(3H,m), 7.22-7.26(2H,m), 7.39(1H,s), 7.52-7.56(2H,m), 7.64(1H,t,7.4Hz), 7.74-7.78(3H,m).
실시예5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7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40mg의 톨루엔1.0mL용액에, 실온에서, 2-요오드톨루엔 0.031mL, 탄산세슘 81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2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5-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2-메틸페닐)비닐)안식향산 2.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45(3H,s), 7.21-7.25(4H,m), 7.52-7.69(5H,m), 7.76-7.78(1H,m), 7.98-8.00(2H,m), 8.06(1H,d,J=8.3Hz), 8.94(1H,s), 12.27(1H,s).
실시예59 ~66
실시예58과 동일하게 하여, 표12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8
2-(벤즈아미도)-4-((E)-2-(4-플루오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3-7.42(4H,m), 7.48(1H,dd,J=8.2,1.6Hz), 7.60-7.69(3H,m), 7.75-7.79(2H,m), 7.99(2H,d,J=6.8Hz), 8.06(1H,d,J=8.3Hz), 8.93(1H,s), 12.28(1H,s).
2-(벤즈아미도)-4-((E)-2-(3-플루오로-4-메틸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26(3H,s), 7.29-7.69(9H,m), 7.99(2H,d,J=7.1Hz), 8.06(1H,d,J=8.3Hz), 8.93(1H,s), 12.27(1H,s).
2-(벤즈아미도)-4-((E)-2-(3-니트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4-7.73(7H,m), 7.98-8.00(2H,m), 8.09(1H,d,J=8.3Hz), 8.15-8.20(2H,m), 8.56(1H,s), 8.98(1H,d,J=1.5Hz), 12.24(1H,s).
4-((E)-2-(4-아세틸페닐)비닐)-2-(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60(3H,s), 7.45-7.69(6H,m), 7.85(2H,d,J=8.3Hz), 7.98-8.00(4H,m), 8.08(1H,d,J=8.3Hz), 8.97(1H,d,J=1.4Hz), 12.27(1H,s).
2-(벤즈아미도)-4-((E)-2-(4-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0(3H,s), 6.98(1H,d,J=8.8Hz), 7.18-7.22(2H,m), 7.34(1H,d,J=16.3Hz), 7.44(1H,dd,J=8.3,1.7Hz), 7.57-7.69(5H,m), 7.98-8.05(3H,m), 8.91(1H,s), 12.29(1H,s).
2-(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2(3H,s), 6.89-6.91(1H,m), 7.26-7.38(5H,m), 7.48(1H,dd,J=8.4,1.6Hz), 7.59-7.69(3H,m), 7.98-8.00(2H,m), 8.06(1H,d,J=8.3Hz), 8.94(1H,d,J=1.7Hz), 12.20-12.50(1H,broad).
2-(벤즈아미도)-4-((E)-2-(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4.27(4H,s), 6.88(1H,d,J=8.3Hz), 7.16-7.28(4H,m), 7.42(1H,dd,J=8.2,1.3Hz), 7.59-7.68(3H,m), 7.98-8.04(3H,m), 8.89(1H,s).
2-(벤즈아미도)-4-((E)-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48(1H,d,J=16.6Hz), 7.53-7.69(5H,m), 7.76(2H,d,J=8.0Hz), 7.93(2H,d,J=8.0Hz), 7.98-8.00(2H,m), 8.08(1H,d,J=8.3Hz), 8.97(1H,d,J=1.5Hz).
실시예6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19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80mg의 톨루엔 2.0mL용액에, 실온에서, 3-요오드아니솔 0.060mL, 탄산세슘 0.16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24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3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2-(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을 얻었다.
얻어진 2-(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에, 메탄올 1.0mL, 아세트산에틸 2.0mL 및 5% 팔라듐-탄소 2.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3-메톡시페닐)에틸)안식향산 6.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87(4H,s), 3.73(3H,s), 6.74(1H,ddd,J=8.2,2.5,1.0Hz), 6.83-6.88(3H,m), 7.17-7.21(1H,m), 7.52-7.60(3H,m), 7.92(1H,d,J=7.8Hz), 8.02-8.05(2H,m), 8.61(1H,d,J=1.7Hz).
실시예68 ~70
실시예67과 동일하게 하여, 표13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0
2-(벤즈아미도)-4-(2-(3-플루오로-4-메틸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18(3H,s), 2.91(4H,s), 6.96-7.00(2H,m), 7.05(1H,d,J=11.0Hz), 7.17(1H,t,J=7.9Hz), 7.55-7.63(3H,m), 7.94(1H,d,J=8.0Hz), 8.00(2H,d,J=6.8Hz), 8.62(1H,s).
2-(벤즈아미도)-4-(2-(4-에틸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1.15(3H,t,J=7.6Hz), 2.56(2H,q,J=7.6Hz), 2.86-2.96(4H,m), 7.05(1H,d,J=8.3Hz), 7.12(2H,d,J=7.9Hz), 7.18(2H,d,J=8.0Hz), 7.57-7.66(3H,m), 7.95-7.99(3H,m), 8.67(1H,s), 12.65-12.95(1H,broad).
2-(벤즈아미도)-4-(2-(2-메틸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31(3H,s), 2.89(4H,s), 7.05-7.21(5H,m), 7.57-7.66(3H,m), 7.97-7.99(3H,m), 8.69(1H,d,J=1.5Hz), 12.55-12.85(1H,broad).
실시예7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1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100mg의 톨루엔 2.0mL용액에, 실온에서, 4-브로모벤조트리플루오라이드 0.087mL, 탄산세슘 0.20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30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포스핀팔라듐(II) 4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4mL, 물 0.6mL, 포름산나트륨 0.42g, 아세트산 0.44mL 및 3.9% 팔라듐-탄소(에틸렌디아민컴플렉스) 50mg을 첨가하고, 5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틸)안식향산 2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00-3.06(4H,m), 7.09(1H,dd,J=8.1,1.5Hz), 7.50(2H,d,J=8.1Hz), 7.58-7.67(5H,m), 7.95-7.98(3H,m), 8.66(1H,s), 12.24(1H,s).
실시예7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2
실시예71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2-(4-플루오로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1-2.98(4H,m), 7.06-7.12(3H,m), 7.28-7.31(2H,m), 7.58-7.67(3H,m), 7.96(3H,d,J=7.8Hz), 8.66(1H,d,J=1.2Hz), 12.21(1H,s).
실시예7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3
N-((5-벤조일-2-메틸)페닐)벤즈아미드 0.70g의 피리딘 7mL 및 물 7m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과망간산칼륨 0.35g을 첨가하고, 30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0.35g을 첨가하고, 30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0.35g을 첨가하고, 30분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6.0mol/L 염산으로 pH1.3으로 조정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조일안식향산 0.42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52-7.83(9H,m), 7.95-7.97(2H,m), 8.21(1H,d,J=8.3Hz), 9.05(1H,d,J=1.7Hz), 12.20(1H,s).
얻어진 2-(벤즈아미도)-4-벤조일안식향산 0.15g의 메탄올 1.5mL 및 아세트산에틸 2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3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10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질안식향산 0.11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4.03(2H,s), 7.07(1H,dd,J=8.1,1.4Hz), 7.20-7.34(5H,m), 7.57-7.66(3H,m), 7.93-7.95(2H,m), 7.98(1H,d,J=8.1Hz), 8.66(1H,d,J=1.4Hz), 12.36(1H,s).
실시예7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4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의 염화메틸렌 3.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6mL 및 3-브로모벤조일클로라이드 0.029mL을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 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3-브로모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3-브로모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3-브로모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3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79(1H,dd,J=8.9,2.5Hz), 7.15-7.22(2H,m), 7.26-7.32(1H,m), 7.46-7.53(2H,m), 7.56(1H,t,J=7.9Hz), 7.83-7.88(1H,m), 7.88-7.92(1H,m), 8.05-8.10(2H,m), 8.33(1H,d,J=2.5Hz), 12.44(1H,s), 13.70-13.90(1H,broad).
실시예7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5
메틸=2-(벤즈아미드)-4-에티닐벤조에이트 0.15g, 요오드화벤젠 0.090mL, 요오드화구리(I) 5mg,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클로라이드 20mg 및 트리에틸아민 0.15mL의 톨루엔 1.5mL현탁액을 질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에티닐)벤조에이트 0.13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8(3H,s), 7.27(1H,dd,J=8.2,1.6Hz), 7.37-7.39(3H,m), 7.52-7.58(5H,m), 8.05-8.08(3H,m), 9.16(1H,d,J=1.6Hz), 12.07(1H,s).
실시예7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6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에티닐)벤조에이트 0.13g 메탄올 1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mL의 혼합액에,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24mL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빙냉하에서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닐에티닐)안식향산 0.11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27(1H,dd,J=8.0,1.6Hz), 7.45-7.46(3H,m), 7.56-7.63(5H,m), 8.03(2H,d,J=6.8Hz), 8.09(1H,d,J=8.0Hz), 8.89(1H,d,J=1.6Hz), 14.30-14.50(1H,broad).
실시예7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7
N-((2-메틸-5-페녹시)페닐)벤즈아미드 1.7g 및 무수황산마그네슘 2.0g의 tert-부틸알코올 8mL 및 물 8mL의 현탁액에, 실온에서 과망간산칼륨 2.6g을 첨가하고, 5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과망간산칼륨 0.86g 및 무수황산마그네슘 0.66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0.3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6.71(1H,dd,J=9.0,2.5Hz), 7.13-7.15(2H,m), 7.21-7.25(1H,m), 7.41-7.58(5H,m), 7.98-8.00(2H,m), 8.12(1H,d,J=9.0Hz), 8.63(1H,d,J=2.5Hz), 11.94(1H,s).
실시예7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8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40mg 및 트리에틸아민 0.039mL의 염화메틸렌2.5mL 용액에, 실온에서 2-페녹시아세틸클로라이드 0.029mL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0.25g을 첨가하고, 다시 동일한 온도에서 하룻밤 교반한 후, 10% 구연산수용액 5mL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 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20:5:1]로 정제하고, tert-부틸=4-페녹시-2-(2-페녹시아세트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녹시-2-(2-페녹시아세트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페녹시-2-(2-페녹시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3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4.70(2H,s), 6.74(1H,dd,J=9.0,2.5Hz), 7.01(1H,t,J=7.4Hz), 7.08(2H,d,J=8.1Hz), 7.16(2H,d,J=7.8Hz), 7.27(1H,t,J=7.9Hz), 7.35(2H,t,J=7.9Hz), 7.47(2H,t,J=7.9Hz), 8.03(1H,d,J=9.0Hz), 8.37(1H,d,J=2.5Hz), 12.32(1H,s), 13.63(1H,s).
실시예79 ~97
실시예78과 동일하게 하여, 표14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29
4-페녹시-2-(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1(1H,dd,J=8.8,2.4Hz), 7.18(2H,d,J=7.8Hz), 7.29(1H,t,J=7.5Hz), 7.48-7.51(2H,m), 7.63(1H,dd,J=8.0,4.9Hz), 8.08(1H,d,J=8.8Hz), 8.25(1H,d,J=8.0Hz), 8.34(1H,d,J=2.4Hz), 8.81(1H,d,J=4.9Hz), 9.08(1H,d,J=1.5Hz), 12.52(1H,s).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5(2H,s), 6.76(1H,dd,J=8.8,2.4Hz), 7.10(1H,d,J=8.1Hz), 7.17(2H,d,J=7.8Hz), 7.28(1H,t,J=7.4Hz), 7.38(1H,d,J=1.7Hz), 7.47-7.50(3H,m), 8.06(1H,d,J=8.8Hz), 8.36(1H,d,J=2.4Hz), 12.33(1H,s), 13.55-13.80(1H,broad).
2-(이소옥사졸-5-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3(1H,dd,J=8.9,2.5Hz), 7.19(2H,d,J=7.8Hz), 7.22(1H,t,J=1.0), 7.28-7.31(1H,m), 7.47-7.51(2H,m), 8.08(1H,d,J=8.9Hz), 8.27(1H,d,J=2.5Hz), 8.86(1H,t,J=1.0), 12.63(1H,s).
4-페녹시-2-(2-페닐티아졸-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8(1H,dd,J=8.9,2.6Hz), 7.20(2H,d,J=7.8Hz), 7.29(1H,t,J=7.4Hz), 7.50(2H,t,J=7.9Hz), 7.56-7.57(3H,m), 8.09(1H,d,J=8.8Hz), 8.11-8.13(2H,m), 8.52-8.53(2H,m), 13.08(1H,s), 13.69(1H,s).
2-(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4.30-4.34(4H,m), 6.75(1H,dd,J=8.8,2.6Hz), 7.04(1H,d,J=8.3Hz), 7.17(2H,d,J=7.8Hz), 7.28(1H,t,J=7.4Hz), 7.39-7.43(2H,m), 7.48(2H,d,J=7.9Hz), 8.06(1H,d,J=8.8Hz), 8.38(1H,d,J=2.6Hz), 12.31(1H,s), 13.65(1H,s).
2-(벤조티오펜-3-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7(1H,dd,J=8.8,2.7Hz), 7.20(2H,d,J=8.0Hz), 7.29(1H,t,J=7.4Hz), 7.45-7.52(4H,m), 8.08(1H,d,J=8.8Hz), 8.10-8.12(1H,m), 8.38(1H,d,J=2.7Hz), 8.41-8.43(1H,m), 8.51(1H,s), 12.25(1H,s), 13.64(1H,s).
2-(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1.14-1.42(5H,m), 1.61-1.74(3H,m), 1.86-1.88(2H,m), 2.23-2.30(1H,m), 6.69(1H,dd,J=8.8,2.6Hz), 7.12-7.14(2H,m), 7.26(1H,t,J=7.5Hz), 7.46(2H,t,J=7.5Hz), 8.00(1H,d,J=8.8Hz), 8.24(1H,d,J=2.6Hz), 11.43(1H,s), 13.47(1H,s).
4-페녹시-2-(티오펜-2-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6(1H,dd,J=8.8,2.6Hz), 7.17(2H,d,J=8.1Hz), 7.26-7.30(2H,m), 7.47-7.51(2H,m), 7.72(1H,d,J=3.6Hz), 7.94(1H,d,J=4.9Hz), 8.06(1H,d,J=8.8Hz), 8.26(1H,d,J=2.6Hz).
2-(벤질술폰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4.65(2H,s), 6.66(1H,dd,J=8.9,2.3Hz), 7.09(1H,d,J=2.3Hz), 7.18(4H,d,J=7.6Hz), 7.28-7.33(4H,m), 7.50(2H,m), 7.97(1H,d,J=8.8Hz), 10.87(1H,s).
2-(벤젠술폰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0(1H,dd,J=8.8,2.4Hz), 6.86(1H,d,J=2.4Hz), 7.05-7.07(2H,m), 7.34(1H,t,J=7.5Hz), 7.50-7.60(4H,m), 7.63-7.70(3H,m), 7.90(1H,d,J=8.9Hz).
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8(1H,dd,J=8.8,2.5Hz), 7.18(2H,d,J=7.6Hz), 7.28(1H,t,J=7.2Hz), 7.41-7.51(4H,m), 7.96-8.00(2H,m), 8.07(1H,d,J=8.8Hz), 8.37(1H,d,J=2.5Hz), 12.39(1H,s).
2-(2,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9(1H,dd,J=8.8,2.6Hz), 7.17-7.19(2H,m), 7.26-7.31(2H,m), 7.47-7.53(3H,m), 7.97(1H,td,J=8.8,6.6Hz), 8.06(1H,d,J=8.8Hz), 8.39(1H,d,J=2.6Hz), 12.16(1H,s).
2-(신남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4(1H,dd,J=8.8,2.4Hz), 6.85(1H,d,J=15.5Hz), 7.17(2H,d,J=7.6Hz), 7.28(1H,t,J=7.6Hz), 7.42-7.51(5H,m), 7.60(1H,d,J=15.5Hz), 7.72-7.74(2H,m), 8.03(1H,d,J=8.8Hz), 8.35(1H,d,J=2.4Hz), 11.57(1H,s).
2-(시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0.82-0.87(4H,m), 1.64-1.70(1H,m), 6.70(1H,dd,J=8.8,2.6Hz), 7.12(2H,d,J=8.3Hz), 7.25(1H,t,J=7.5Hz), 7.46(2H,t,J=7.9Hz), 8.00(1H,d,J=8.8Hz), 8.17(1H,d,J=2.6Hz), 11.63(1H,s).
2-(1-메틸-1H-피롤-2-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6(3H,s), 6.15(1H,dd,J=4.0,2.7Hz), 6.68(1H,dd,J=8.9,2.5Hz), 6.83(1H,dd,J=4.0,1.6Hz), 7.08(1H,s), 7.16(2H,d,J=7.6Hz), 7.26(1H,t,J=7.3Hz), 7.48(2H,t,J=7.9Hz), 8.03(1H,d,J=8.9Hz), 8.33(1H,d,J=2.5Hz), 12.10(1H,s).
2-(벤조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0(1H,dd,J=8.8,2.4Hz), 7.19(2H,d,J=7.6Hz), 7.29(1H,t,J=7.4Hz), 7.39(1H,t,J=7.5Hz), 7.48-7.56(3H,m), 7.67-7.71(2H,m), 7.83(1H,d,J=7.8Hz), 8.09(1H,d,J=8.8Hz), 8.39(1H,d,J=2.4Hz), 12.74(1H,s).
2-(1-메틸-1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4.37(3H,s), 6.81(1H,dd,J=8.8,2.4Hz), 7.19(2H,d,J=7.6Hz), 7.29(1H,t,J=7.7Hz), 7.50(2H,t,J=7.9Hz), 8.03-8.10(3H,m), 8.40(1H,d,J=2.4Hz), 8.59(1H,s).
2-(벤조푸란-5-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3-6.77(1H,m), 7.08-7.29(4H,m), 7.49(2H,t,J=7.9Hz), 7.78(1H,d,J=8.6Hz), 7.90(1H,d,J=7.9Hz), 8.08(1H,d,J=8.8Hz), 8.14(1H,d,J=2.2Hz), 8.27(1H,s), 8.43(1H,d,J=2.2Hz).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5(1H,dd,J=8.9,2.5Hz), 7.21(2H,d,J=7.6Hz), 7.30(1H,t,J=7.4Hz), 7.51(2H,t,J=7.9Hz), 7.61-7.70(2H,m), 8.10(1H,d,J=8.9Hz), 8.18(1H,d,J=7.6Hz), 8.28(1H,d,J=7.6Hz), 8.38(1H,d,J=2.5Hz), 13.15(1H,s), 13.71(1H,s).
실시예9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0
메틸=2-(벤즈아미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80m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mL 용액에, 실온에서 탄산칼륨 82mg 및 벤질브로마이드 0.047mL를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벤질옥시)벤조에이트 75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3(3H,s), 5.20(2H,s), 6.72(1H,dd,J=9.0,2.5Hz), 7.32-7.36(1H,m), 7.39-7.42(2H,m), 7.47-7.49(2H,m), 7.51-7.57(3H,m), 8.02(1H,d,J=9.0Hz), 8.05-8.08(2H,m), 8.76(1H,d,J=2.5Hz), 12.26(1H,s).
실시예9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1
메틸=2-(벤즈아미도)-4-(벤질옥시)벤조에이트 70mg의 메탄올 1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mL의 혼합액에,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11mL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6시간 30분간, 40℃에서 1시간 30분간, 5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증류 제거하고, 물 및 디에틸에테르를 첨가하였다. 수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질옥시)안식향산 3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5.22(2H,s), 6.86(1H,dd,J=8.9,2.7Hz), 7.34-7.38(1H,m), 7.40-7.44(2H,m), 7.49-7.51(2H,m), 7.58-7.68(3H,m), 7.95-7.97(2H,m), 8.02(1H,d,J=8.9Hz), 8.52(1H,d,J=2.7Hz), 12.45(1H,s), 13.30-13.70(1H,broad).
실시예10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2
메틸=2-(벤즈아미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13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2mL 용액에, 탄산칼륨 0.13g 및 (2-브로모에틸)벤젠 0.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2-브로모에틸)벤젠 0.10mL를 첨가하고, 50℃에서 4시간,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탄산칼륨 0.10g 및 (2-브로모에틸)벤젠 0.10mL를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고, 무색 기름상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네틸옥시)벤조에이트 0.19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14(2H,t,J=7.1Hz), 3.93(3H,s), 4.31(2H,t,J=7.1Hz), 6.64(1H,dd,J=9.0,2.5Hz), 7.23-7.35(5H,m), 7.50-7.56(3H,m), 7.99(1H,d,J=9.0Hz), 8.04-8.07(2H,m), 8.63(1H,d,J=2.5Hz), 12.24(1H,s).
실시예10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3
메틸=2-(벤즈아미도)-4-(페네틸옥시)벤조에이트 0.19g의 메탄올 2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mL의 혼합액에, 빙냉하,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30mL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1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네틸옥시)안식향산 8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09(2H,t,J=6.8Hz), 4.29(2H,t,J=6.8Hz), 6.78(1H,dd,J=8.9,2.5Hz), 7.22-7.26(1H,m), 7.31-7.38(4H,m), 7.58-7.68(3H,m), 7.94-7.96(2H,m), 8.00(1H,d,J=8.9Hz), 8.42(1H,d,J=2.5Hz), 12.44(1H,s).
실시예10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4
메틸=2-(벤즈아미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0.10g, 3-페닐-1-프로판올 0.060mL 및 트리페닐포스핀 0.15g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용액에, 실온에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톨루엔 0.28mL를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고,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폭시)벤조에이트 45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2.11-2.18(2H,m), 2.83(2H,t,J=7.7Hz), 3.94(3H,s), 4.12(2H,t,J=6.2Hz), 6.65(1H,dd,J=9.0,2.7Hz), 7.18-7.31(5H,m), 7.51-7.57(3H,m), 8.01(1H,d,J=9.0Hz), 8.05-8.07(2H,m), 8.62(1H,d,J=2.7Hz), 12.24(1H,s).
실시예10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5
메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폭시)벤조에이트 45mg의 메탄올 1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의 혼합액에, 빙냉하,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090mL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1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15mL를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폭시)안식향산 3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01-2.08(2H,m), 2.77(2H,t,J=7.7Hz), 3.99(2H,t,J=6.2Hz), 6.56(1H,dd,J=8.6,2.5Hz), 7.17-7.21(1H,m), 7.24-7.31(4H,m), 7.51-7.60(3H,m), 7.94(1H,d,J=8.6Hz), 8.03-8.05(2H,m), 8.34(1H,d,J=2.5Hz).
실시예10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6
메틸=2-(벤즈아미도)-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90mg, 시클로헥사놀 0.035mL 및 트리페닐포스핀 0.10g의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 용액에, 실온에서 40% 디이소프로필=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톨루엔 0.20mL를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시클로헥실옥시)벤조에이트 36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30-1.49(4H,m), 1.54-1.64(2H,m), 1.77-1.87(2H,m), 1.98-2.07(2H,m), 3.93(3H,s), 4.45-4.49(1H,m), 6.63(1H,dd,J=9.0,2.4Hz), 7.51-7.58(3H,m), 7.99(1H,d,J=9.0Hz), 8.05-8.07(2H,m), 8.61(1H,d,J=2.4Hz), 12.21(1H,s).
실시예10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7
메틸=2-(벤즈아미도)-4-(시클로헥실옥시)벤조에이트 35mg의 메탄올 1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mL의 혼합액에,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077mL를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하룻밤, 40℃에서 6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050mL를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시클로헥실옥시)안식향산 2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20-1.60(6H,m), 1.68-1.78(2H,m), 1.92-2.00(2H,m), 4.32-4.39(1H,m), 6.59(1H,dd,J=8.7,2.4Hz), 7.52-7.59(3H,m), 7.93(1H,d,J=8.7Hz), 8.01-8.03(2H,m), 8.33(1H,d,J=2.4Hz).
실시예10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8
메틸=2-니트로-4-(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0.53g의 메탄올 5.3mL 및 아세트산 1.6mL의 혼합액에, 철분말 0.31g을 첨가하고,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아세트산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염화메틸렌 5.3mL에 용해시키고,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51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26mL을 차례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0.31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7(3H,s), 5.17(2H,s), 6.95-7.00(3H,m), 7.25-7.31(3H,m), 7.54-7.58(3H,m), 8.05-8.07(2H,m), 8.10(1H,d,J=8.3Hz), 9.04(1H,d,J=1.2Hz), 12.10(1H,s).
실시예10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39
메틸=2-(벤즈아미도)-4-(페녹시메틸)벤조에이트 0.31g의 메탄올 3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mL의 혼합액에, 빙냉하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51mL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5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드)-4-(페녹시메틸)안식향산 0.27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5.16(2H,s), 6.95(1H,t,J=7.3Hz), 7.02-7.04(2H,m), 7.17(1H,dd,J=8.0,1.2Hz), 7.28-7.32(2H,m), 7.54-7.61(3H,m), 8.00-8.02(2H,m), 8.05(1H,d,J=8.0Hz), 8.82(1H,d,J=1.2Hz).
실시예10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0
메틸=2-아미노-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염산염 0.39g의 염화메틸렌 3.8mL의 현탁액에, 빙냉하에서 트리에틸아민 0.52mL 및 벤조일클로라이드 0.16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 0.29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5(3H,s), 4.17(2H,s), 7.08(1H,dd,J=8.3,1.6Hz), 7.16-7.20(1H,m), 7.24-7.27(2H,m), 7.32-7.34(2H,m), 7.51-7.57(3H,m), 7.99(1H,d,J=8.3Hz), 8.04-8.06(2H,m), 8.95(1H,d,J=1.6Hz), 12.04(1H,s).
실시예10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1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티오)메틸)벤조에이트 0.29g의 메탄올 3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mL의 혼합액에, 빙냉하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50mL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25mL를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으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닐티오)메틸)안식향산 0.28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4.24(2H,s), 6.99(1H,dd,J=7.9,1.8Hz), 7.15-7.19(1H,m), 7.27-7.31(2H,m), 7.34-7.37(2H,m), 7.52-7.59(3H,m), 7.93(1H,d,J=7.9Hz), 8.01-8.04(2H,m), 8.76(1H,d,J=1.8Hz).
실시예11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2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58g의 디옥산 6mL 용액에, 실온에서 아닐린 0.16mL,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0.12g,(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디클로라이드염화메틸렌컴플렉스 0.057g 및 나트륨=tert-부톡시드 0.17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4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 1mL를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여, 무색 유상의 메틸=4-(아닐리노)-2-(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0.43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6(3H,s), 6.79(1H,dd,J=9.0,2.4Hz), 7.04(1H,t,J=7.3Hz), 7.25(2H,d,J=7.6Hz), 7.35-7.39(2H,m), 7.59-7.68(3H,m), 7.89(1H,d,J=9.0Hz), 7.95-7.97(2H,m), 8.55(1H,d,J=2.4Hz), 9.03(1H,s), 12.09(1H,s).
실시예1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3
메틸=4-(아닐리노)-2-(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0.43g의 에탄올 4mL 현탁액에, 실온에서 10% 수산화나트륨수용액 1mL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아닐리노)-2-(벤즈아미도)안식향산 0.36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78(1H,dd,J=8.9,2.3Hz), 7.03(1H,t,J=7.3Hz), 7.25(1H,d,J=7.8Hz), 7.36(2H,t,J=7.7Hz), 7.57-7.67(3H,m), 7.90(1H,d,J=8.9Hz), 7.96(2H,d,J=7.1Hz), 8.57(1H,d,J=2.3Hz), 8.97(1H,s), 12.50(1H,s), 12.80-13.20(1H,broad).
실시예11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4
메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0.60g의 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6mL의 용액에, 티오페놀 0.16mL, 탄산칼륨 0.43g 및 요오드화구리(I) 0.030g을 첨가하고, 아르곤분위기 하에서, 1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티오)벤조에이트 0.3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8(3H,s), 6.95(1H,dd,J=8.4,1.8Hz), 7.50-7.67(8H,m), 7.91-7.96(3H,m), 8.51(1H,d,J=1.8Hz), 11.73(1H,s).
실시예11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5
메틸=2-(벤즈아미도)-4-(페닐티오)벤조에이트 0.30g의 에탄올 6mL 현탁액에, 실온에서 10%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4mL을 첨가하고,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페닐티오)안식향산 0.28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92(1H,dd,J=8.4,1.8Hz), 7.47-7.67(8H,m), 7.90-7.92(2H,m), 7.97(1H,d,J=8.4Hz), 8.63(1H,d,J=1.8Hz), 12.25(1H,s).
실시예11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6
메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0.20g,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36mg 및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O) 24mg의 톨루엔 2mL 현탁액에, 트리에틸아민 0.15mL 및 벤질메르캅탄 0.068mL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8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벤질티오)벤조에이트 0.16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3.94(3H,s), 4.31(2H,s), 6.95(1H,dd,J=8.5,2.0Hz), 7.24-7.27(1H,m), 7.30-7.34(2H,m), 7.44-7.46(2H,m), 7.51-7.57(3H,m), 7.92(1H,d,J=8.5Hz), 8.04-8.07(2H,m), 9.03(1H,d,J=2.0Hz), 12.12(1H,s).
실시예11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7
메틸=2-(벤즈아미도)-4-(벤질티오)벤조에이트 0.16g의 메탄올 1.5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mL의 혼합액에, 빙냉하에서 2.0mol/L 수산화나트륨수용액 0.43mL를 적하하고,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1.0mol/L 염산에서 pH4.0으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벤질티오)안식향산 0.14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4.37(2H,s), 7.15(1H,dd,J=8.5,2.0Hz), 7.24-7.28(1H,m), 7.31-7.35(2H,m), 7.48(2H,d,J=7.3Hz), 7.58-7.68(3H,m), 7.94-7.97(3H,m), 8.77(1H,d,J=2.0Hz), 12.30(1H,s).
실시예11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8
tert-부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0.50g, 3-페닐프로필아민 0.25mL 및 rac-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36mg의 톨루엔 5mL 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O) 53mg 및 나트륨=tert-부톡시드 0.17g을 첨가하고, 80℃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6:1]로 정제하고, 갈색 유상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아미노)벤조에이트 0.11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9(9H,s), 1.95-2.02(2H,m), 2.72-2.77(1H,m), 3.25-3.29(1H,m), 6.21(1H,dd,J=8.8,2.5Hz), 7.19-7.22(3H,m), 7.26-7.32(2H,m), 7.49-7.55(3H,m), 7.82(1H,d,J=8.8Hz), 8.05-8.07(2H,m), 8.24(1H,d,J=2.5Hz), 12.44-12.46(1H,broad).
실시예11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49
실시예116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벤즈아미도)-4-((2-페닐에틸)아미노)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0(9H,s), 2.93-2.98(2H,m), 3.50-3.55(2H,m), 4.23-4.28(1H,broad), 6.25(1H,dd,J=8.8,2.4Hz), 7.23-7.27(3H,m), 7.31-7.35(2H,m), 7.50-7.55(3H,m), 7.83(1H,d,J=8.8Hz), 8.05-8.07(2H,m), 8.27(1H,d,J=2.4Hz), 12.44-12.48(1H,broad).
실시예11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0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아미노)벤조에이트 0.11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 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pH6.3으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페닐프로필)아미노)안식향산 7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85-1.92(2H,m), 2.68-2.72(2H,m), 3.09-3.14(2H,m), 6.33(1H,dd,J=9.0,2.2Hz), 6.83-6.86(1H,m), 7.16-7.32(5H,m), 7.57-7.66(3H,m), 7.77(1H,d,J=9.0Hz), 7.94-7.96(2H,m), 8.08(1H,d,J=2.2Hz), 12.54-12.58(1H,broad), 12.65-12.74(1H,broad).
실시예11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1
실시예118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2-페닐에틸)아미노)안식향산
1H-NMR(DMSO-d6-D2O)δ값: 2.87-2.91(2H,m), 3.32-3.36(2H,m), 6.39(1H,dd,J=9.0,2.1Hz), 7.21-7.26(1H,m), 7.32-7.33(4H,m), 7.57-7.66(3H,m), 7.79(1H,d,J=9.0Hz), 7.94-7.96(2H,m), 8.11(1H,d,J=2.1Hz).
실시예12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2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0.12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4mL 용액에, 실온에서 4-요오드페놀 0.12g, 트리부틸아민 0.18mL 및 아세트산팔라듐 4.2mg을 차례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포화티오황산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4-하이드록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6(9H,s), 6.77-6.83(2H,m), 7.11(1H,d,J=15.9Hz), 7.27(1H,d,J=15.9Hz), 7.42(1H,d,J=8.4Hz), 7.50-7.55(2H,m), 7.59-7.69(3H,m), 7.94(1H,d,J=8.4Hz), 7.96-8.01(2H,m), 8.68-8.72(1H,m), 9.71(1H,s), 11.70(1H,s).
실시예121 , 122
실시예120과 동일하게 하여, 표15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3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2-하이드록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7(9H,s), 6.78-6.93(2H,m), 7.10-7.18(1H,m), 7.30(1H,d,J=16.3Hz), 7.41(1H,dd,J=8.4,1.6Hz), 7.58-7.70(5H,m), 7.96(1H,d,J=8.4Hz), 7.98-8.02(2H,m), 8.76(1H,d,J=1.6Hz), 9.94(1H,s), 11.71(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3,5-디클로로페닐)비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6(9H,s), 7.36(1H,d,J=16.4Hz), 7.49(1H,dd,J=8.3,1.2Hz), 7.53(1H,t,J=1.8Hz), 7.56-7.68(4H,m), 7.82(2H,d,J=1.7Hz), 7.97-8.02(3H,m), 8.74(1H,d,J=1.4Hz), 11.65(1H,s).
실시예12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0.15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mL 용액에, 실온에서 1-브로모-4-니트로벤젠 0.14g, 트리부틸아민 0.22mL 및 아세트산팔라듐 5.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1시간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포화티오황산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4-니트로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5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7(9H,s), 7.50-7.68(6H,m), 7.96-8.02(5H,m), 8.24-8.28(2H,m), 8.77(1H,d,J=1.5Hz), 11.64(1H,s).
실시예12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5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0.15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mL 용액에, 실온에서 1-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0.10mL, 트리부틸아민 0.22mL 및 아세트산팔라듐 5.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실온에서 1-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젠 0.07mL, 트리부틸아민 0.11mL 및 아세트산팔라듐 5.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 수용액, 포화티오황산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톨루엔: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6(9H,s), 7.38-7.43(4H,m), 7.51(1H,dd,J=8.4,1.5Hz), 7.59-7.70(3H,m), 7.81-7.86(2H,m), 7.95-8.02(3H,m), 8.74(1H,d,J=1.5Hz), 11.66(1H,s).
실시예12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6
실시예124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3,5-디플루오로페닐)비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6(9H,s), 7.18(1H,tt,J=9.3,2.3Hz), 7.37(1H,d,J=16.4Hz), 7.44-7.54(4H,m), 7.60-7.70(3H,m), 7.97-8.01(3H,m), 8.74(1H,d,J=1.4Hz), 11.65(1H,s).
실시예12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7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0.46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0mL 용액에, 실온에서 6-브로모-2-옥소인돌린 0.20g, N,N-디시클로헥실메틸아민 0.40mL 및 trans-디(μ-아세테이트)비스-o-(디-o-톨릴포스피노)벤질디팔라듐(II) 1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여, 녹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2-옥소인돌린-6-일)비닐)벤조에이트 0.15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6(9H,s), 3.50(2H,s), 7.11(1H,s), 7.21-7.39(4H,m), 7.50(1H,dd,J=8.3,1.5Hz), 7.59-7.70(3H,m), 7.95(1H,d,J=8.3Hz), 7.97-8.02(2H,m), 8.69-8.74(1H,m), 10.50(1H,s), 11.65(1H,s).
실시예12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8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5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도 2.0mL 용액에, 실온에서 3-클로로스티렌 0.076mL, 트리부틸아민 0.19mL,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9mg 및 아세트산팔라듐 4.5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4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실온에서 3-클로로스티렌 0.025mL,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9mg 및 아세트산 팔라듐 4.5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10℃에서 1시간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포화티오황산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3-클로로페닐)비닐)벤조에이트 86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56(9H,s), 7.13-7.34(5H,m), 7.40-7.45(1H,m), 7.52-7.59(4H,m), 8.01(1H,d,J=8.3Hz), 8.06-8.11(2H,m), 9.16(1H,d,J=1.7Hz), 12.27(1H,s).
실시예12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59
tert-부틸=2-(벤즈아미도)-4-((E)-2-(2-하이드록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0.17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mL 현탁액을,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황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2-하이드록시페닐)비닐)안식향산 0.12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79-6.94(2H,m), 7.10-7.19(1H,m), 7.31(1H,d,J=16.6Hz), 7.40(1H,dd,J=8.4,1.6Hz), 7.55-7.70(5H,m), 7.97-8.02(2H,m), 8.05(1H,d,J=8.4Hz), 8.95(1H,d,J=1.6Hz), 9.94(1H,s), 12.26(1H,s).
실시예129 ~135
실시예128과 동일하게 하여, 표16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0
2-(벤즈아미도)-4-((E)-2-(4-니트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0-7.70(6H,m), 7.96-8.03(4H,m), 8.09(1H,d,J=8.3Hz), 8.26(2H,d,J=8.8Hz), 8.99(1H,d,J=1.4Hz), 12.23(1H,s).
2-(벤즈아미도)-4-((E)-2-(3,5-디플루오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13-7.22(1H,m), 7.38(1H,d,J=16.1Hz), 7.45-7.70(7H,m), 7.96-8.02(2H,m), 8.08(1H,d,J=8.3Hz), 8.95(1H,s).
2-(벤즈아미도)-4-((E)-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7-7.44(4H,m), 7.47-7.53(1H,m), 7.58-7.70(3H,m), 7.84(2H,d,J=8.6Hz), 7.96-8.02(2H,m), 8.07(1H,d,J=8.1Hz), 8.95(1H,d,J=1.4Hz).
2-(벤즈아미도)-4-((E)-2-(4-하이드록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0(2H,d,J=8.5Hz), 7.12(1H,d,J=16.3Hz), 7.29(1H,d,J=16.3Hz), 7.42(1H,dd,J=8.5,1.6Hz), 7.53(2H,d,J=8.5Hz), 7.58-7.70(3H,m), 7.96-8.01(2H,m), 8.03(1H,d,J=8.5Hz), 8.89(1H,d,J=1.6Hz), 9.72(1H,s), 12.25(1H,s), 13.54-13.80(1H,broad).
2-(벤즈아미도)-4-((E)-2-(2-옥소인돌린-6-일)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50(2H,s), 7.12(1H,s), 7.21-7.40(4H,m), 7.49(1H,dd,J=8.3,1.4Hz), 7.58-7.69(3H,m), 7.96-8.02(2H,m), 8.05(1H,d,J=8.3Hz), 8.91(1H,d,J=1.4Hz), 10.50(1H,s).
2-(벤즈아미도)-4-((E)-2-(3-클로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2-7.51(5H,m), 7.56-7.69(4H,m), 7.81(1H,s), 7.94-8.00(2H,m), 8.05(1H,d,J=8.0Hz), 8.93(1H,d,J=1.2Hz), 12.23(1H,s).
2-(벤즈아미도)-4-((E)-2-(3,5-디클로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7(1H,d,J=16.6Hz), 7.49(1H,dd,J=8.4,1.3Hz), 7.53(1H,t,J=1.9Hz), 7.58-7.68(4H,m), 7.83(2H,d,J=1.9Hz), 7.97-8.01(2H,m), 8.08(1H,d,J=8.4Hz), 8.95(1H,d,J=1.3Hz), 12.23(1H,s).
실시예13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1
2-(벤즈아미도)-4-((E)-2-(2-하이드록시페닐)비닐)안식향산 60mg의 메탄올 1.5mL 및 아세트산에틸 1.5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12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5% 팔라듐-탄소 6.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5% 팔라듐-탄소 6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40분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2-하이드록시페닐)에틸)안식향산 4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81-2.94(4H,m), 6.68-6.72(1H,m), 6.79-6.82(1H,m), 6.98-7.12(3H,m), 7.57-7.68(3H,m), 7.95-8.01(3H,m), 8.68(1H,s), 9.37(1H,s).
실시예137 ~139
실시예136과 동일하게 하여, 표17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2
2-(벤즈아미도)-4-(2-(3,5-디플루오로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5-3.00(4H,m), 6.99-7.10(4H,m), 7.56-7.68(3H,m), 7.94-8.00(3H,m), 8.65(1H,d,J=1.2Hz).
2-(벤즈아미도)-4-(2-(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96(4H,s), 6.98-7.05(1H,m), 7.24-7.30(2H,m), 7.37-7.42(2H,m), 7.55-7.66(3H,m), 7.93-8.00(3H,m), 8.64(1H,d,J=1.5Hz).
2-(벤즈아미도)-4-(2-(4-하이드록시페닐)에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78-2.85(2H,m), 2.87-2.95(2H,m), 6.64-6.69(2H,m), 7.02-7.08(3H,m), 7.57-7.68(3H,m), 7.93-7.99(3H,m), 8.66(1H,d,J=1.5Hz), 9.15(1H,s), 12.23(1H,s).
실시예14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3
2-벤즈아미도-4-((E)-2-(3-클로로페닐)비닐)안식향산 30mg의 메탄올 2.7mL 및 아세트산에틸 2.7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9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고,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3-클로로페닐)에틸)안식향산 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91-3.03(4H,m), 7.09(1H,dd,J=8.2,1.5Hz), 7.22-7.35(3H,m), 7.37-7.40(1H,m), 7.57-7.69(3H,m), 7.94-8.02(3H,m), 8.67(1H,d,J=1.5Hz), 12.22(1H,s).
실시예14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40mg의 톨루엔 1.0mL용액에, 실온에서, 2,4-디플루오로요오드벤젠 0.030mL, 탄산세슘 81m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2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갈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2,4-디플루오로페닐)비닐)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15-7.21(1H,m), 7.31-7.46(3H,m), 7.50(1H,dd,J=8.3,1.7Hz), 7.58-7.71(3H,m), 7.94-8.02(3H,m), 8.07(1H,d,J=8.3Hz), 8.96(1H,s), 12.24(1H,s), 13.70-13.90(1H,broad).
실시예14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5
실시예141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E)-2-(벤조[1,3]디옥솔-5-일)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07(2H,s), 6.95(1H,d,J=8.1Hz), 7.14(1H,dd,J=8.3,1.5Hz), 7.23(1H,d,J=16.4Hz), 7.32(1H,d,J=16.4Hz), 7.41(1H,d,J=1.7Hz), 7.44(1H,dd,J=8.3,1.7Hz), 7.58-7.70(3H,m), 7.95-8.01(2H,m), 8.04(1H,d,J=8.3Hz), 8.90(1H,d,J=1.5Hz), 12.25(1H,s), 13.71(1H,s).
실시예14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6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50mg의 톨루엔 1.0mL용액에, 실온에서, 5-브로모벤조티오펜 66mg, 탄산세슘 0.10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벤조티오펜-5-일)비닐)안식향산 2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41-7.70(7H,m), 7.77(1H,dd,J=8.5,1.2Hz), 7.81(1H,d,J=5.6Hz), 7.97-8.10(4H,m), 8.18(1H,d,J=1.0Hz), 8.97(1H,d,J=1.7Hz), 12.26(1H,s), 13.60-13.91(1H,broad).
실시예14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7
실시예143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E)-2-(퀴녹살린-6-일)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8-7.72(6H,m), 7.98-8.03(2H,m), 8.08-8.13(2H,m), 8.31-8.38(2H,m), 8.91-9.02(3H,m), 12.24(1H,s), 13.70-13.90(1H,broad).
실시예14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8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40mg의 톨루엔 1.0mL 용액에, 실온에서, 3-요오드페놀 54mg, 탄산세슘 81m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2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19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40-9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3-하이드록시페닐)비닐)안식향산 2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70-6.80(1H,m), 7.03-7.07(1H,m), 7.11-7.15(1H,m), 7.18-7.33(3H,m), 7.48(1H,dd,J=8.4,1.5Hz), 7.58-7.70(3H,m), 7.96-8.02(2H,m), 8.05(1H,d,J=8.4Hz), 8.91(1H,s), 9.50(1H,s), 12.20-12.35(1H,broad), 13.65-13.85(1H,broad).
실시예14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69
실시예145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E)-2-(2,1,3-벤조티아디아졸-4-일)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6-7.72(4H,m), 7.80(1H,dd,J=8.8,7.1Hz), 7.87(1H,d,J=16.4Hz), 7.98-8.14(5H,m), 8.21(1H,d,J=16.4Hz), 9.06(1H,s), 12.25-12.45(1H,broad).
실시예14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0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50mg의 톨루엔 1.0mL 용액에, 실온에서, 3-브로모피리딘 0.030mL, 탄산세슘 0.10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40-9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정제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pH6.0으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E)-2-(피리딘-3-일)비닐)안식향산 2.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39-7.70(7H,m), 7.97-8.03(2H,m), 8.08(1H,d,J=8.3Hz), 8.17(1H,dt,J=7.9,1.9Hz), 8.51(1H,dd,J=4.6,1.5Hz), 8.86(1H,d,J=1.9Hz), 8.96(1H,d,J=1.5Hz), 12.25-12.50(1H,broad).
실시예14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1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50mg의 톨루엔 1.0mL 용액에, 실온에서, 5-벤조푸란 61mg, 탄산세슘 0.10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15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24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2-(벤즈아미도)-4-((E)-2-(벤조푸란-5-일)비닐)안식향산 2.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97-7.02(1H,m), 7.35(1H,d,J=16.3Hz), 7.46-7.53(2H,m), 7.59-7.74(5H,m), 7.97-8.08(5H,m), 8.95(1H,s), 12.29-12.47(1H,broad).
실시예14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2
tert-부틸=2-(벤즈아미도)-4-비닐벤조에이트 0.10g의 톨루엔 2.0mL 용액에, 실온에서, 5-브로모벤조푸란 0.12g, 탄산세슘 0.20g,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30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48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48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4mL, 물 0.6mL, 아세트산 0.44mL, 포름산나트륨 0.42g 및 3.9% 팔라듐-탄소(에틸렌디아민컴플렉스) 50mg을 첨가하고, 50℃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벤조푸란-5-일)에틸)안식향산 8.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02(4H,s), 6.89(1H,dd,J=2.2,1.0Hz), 7.09(1H,dd,J=8.3,1.7Hz), 7.22(1H,dd,J=8.3,1.6Hz), 7.49(1H,d,J=8.3Hz), 7.53(1H,d,J=1.7Hz), 7.57-7.69(3H,m), 7.92-8.00(4H,m), 8.69(1H,d,J=1.6Hz), 12.25(1H,s), 13.54-13.79(1H,broad).
실시예15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3
tert-부틸=2-아미노-4-(2,4-디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 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5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6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1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12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2,4-디플루오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4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27(1H,td,J=8.5,2.5Hz), 7.36-7.50(4H,m), 7.63-7.70(1H,m), 8.00-8.08(2H,m), 8.14(1H,d,J=8.3Hz), 8.89(1H,s), 12.24(1H,s).
실시예151 ~155
실시예150과 동일하게 하여, 표18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4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2,4-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7(2H,s), 7.13(1H,d,J=8.0Hz), 7.26(1H,td,J=8.5,2.5Hz), 7.36(1H,d,J=8.3Hz), 7.40-7.48(2H,m), 7.52-7.57(1H,m), 7.62-7.69(1H,m), 8.13(1H,d,J=8.3Hz), 8.91(1H,s), 12.10(1H,s).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2,4-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4-7.32(1H,m), 7.42-7.50(2H,m), 7.61-7.73(3H,m), 8.16-8.23(2H,m), 8.27-8.32(1H,m), 8.96-8.98(1H,m), 13.03(1H,s).
4-(2,4-디플루오로페닐)-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3-7.31(1H,m), 7.38-7.49(2H,m), 7.64-7.71(1H,m), 8.00(2H,d,J=8.3Hz), 8.13-8.18(3H,m), 8.88-8.89(1H,m), 12.32(1H,s).
4-(2,4-디플루오로페닐)-2-(4-니트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2-7.32(1H,m), 7.40-7.49(2H,m), 7.64-7.73(1H,m), 8.13-8.23(3H,m), 8.42-8.47(2H,m), 8.84-8.85(1H,m), 12.33(1H,s).
2-신남아미도-4-(2,4-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2(1H,d,J=15.9Hz), 7.26(1H,td,J=8.4,2.3Hz), 7.36(1H,dt,J=8.2,1.7Hz), 7.39-7.49(4H,m), 7.60-7.70(2H,m), 7.71-7.79(2H,m), 8.10(1H,d,J=8.3Hz), 8.84(1H,s), 11.40(1H,s).
실시예15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5
tert-부틸=2-아미노-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6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6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1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12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4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82(3H,s), 6.90(1H,dd,J=7.9,2.3Hz), 7.24-7.43(4H,m), 7.43-7.52(3H,m), 8.02-8.08(3H,m), 8.89(1H,s), 12.22(1H,s).
실시예157 ~161
실시예156과 동일하게 하여, 표19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6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2(3H,s), 6.17(2H,s), 6.88-6.91(1H,m), 7.13(1H,d,J=8.1Hz), 7.23-7.43(5H,m), 7.44-7.49(2H,m), 7.56(1H,dd,J=8.3,1.8Hz), 8.04(1H,d,J=8.3Hz), 8.90(1H,s), 12.10(1H,s), 13.60-13.85(1H,broad).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3(3H,s), 6.88-6.94(1H,m), 7.25-7.46(5H,m), 7.54(1H,d,J=7.9Hz), 7.61-7.73(2H,m), 8.09(1H,d,J=7.9Hz), 8.20(1H,d,J=7.8Hz), 8.30(1H,d,J=7.8Hz), 8.96(1H,s).
4-((E)-2-(3-메톡시페닐)비닐)-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2(3H,s), 6.88-6.92(1H,m), 7.24-7.44(5H,m), 7.39(2H,d,J=4.9Hz), 7.52(1H,dd,J=8.3,1.4Hz), 8.01(2H,d,J=8.2Hz), 8.07(1H,d,J=8.3Hz), 8.18(2H,d,J=8.2Hz), 8.88(1H,d,J=1.4Hz), 12.30(1H,s).
4-((E)-2-(3-메톡시페닐)비닐)-2-(4-니트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2(3H,s), 6.90(1H,dd,J=7.7,1.8Hz), 7.20-7.46(5H,m), 7.54(1H,dd,J=8.3,1.6Hz), 8.07(1H,d,J=8.3Hz), 8.17-8.24(2H,m), 8.46(2H,d,J=8.8Hz), 8.85(1H,d,J=1.6Hz), 12.32(1H,s).
2-신남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2(3H,s), 6.86-6.96(2H,m), 7.22-7.40(5H,m), 7.42-7.50(4H,m), 7.65(1H,d,J=15.6Hz), 7.72-7.79(2H,m), 8.01(1H,d,J=8.3Hz), 8.82(1H,s), 11.38(1H,s).
실시예16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7
tert-부틸=2-아미노-4-(3-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 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5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6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1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12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3-클로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3-클로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즈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3-클로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5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46(2H,t,J=8.8Hz), 7.51-7.62(3H,m), 7.68-7.74(1H,m), 7.76(1H,s), 8.05(2H,dd,J=8.8,5.4Hz), 8.14(1H,d,J=8.3Hz), 9.01(1H,d,J=1.7Hz), 12.20(1H,s).
실시예163 ~167
실시예162와 동일하게 하여, 표20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8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3-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7(2H,s), 7.14(1H,d,J=8.3Hz), 7.45(1H,d,J=1.7Hz), 7.51-7.60(4H,m), 7.70(1H,d,J=7.6Hz), 7.76(1H,s), 8.13(1H,d,J=8.3Hz), 9.02(1H,d,J=1.7Hz), 12.13(1H,s).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3-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2-7.80(7H,m), 8.15-8.23(2H,m), 8.30(1H,d,J=8.0Hz), 9.07(1H,d,J=1.7Hz), 13.03(1H,s).
4-(3-클로로페닐)-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2-7.62(3H,m), 7.71(1H,dt,J=7.5,1.6Hz), 7.77(1H,t,J=1.6Hz), 8.01(2H,d,J=8.2Hz), 8.15(1H,d,J=8.3Hz), 8.18(2H,d,J=8.2Hz), 8.99(1H,d,J=2.0Hz), 12.30(1H,s).
4-(3-클로로페닐)-2-(4-니트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1-7.66(3H,m), 7.71(1H,d,J=7.6Hz), 7.78(1H,s), 8.15(1H,d,J=8.3Hz), 8.21(2H,d,J=8.8Hz), 8.45(2H,d,J=8.8Hz), 8.96(1H,d,J=1.5Hz), 12.32-12.42(1H,broad).
4-(3-클로로페닐)-2-신남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4(1H,d,J=15.6Hz), 7.40-7.49(3H,m), 7.50-7.60(3H,m), 7.62-7.79(5H,m), 8.10(1H,d,J=8.3Hz), 8.96(1H,d,J=1.7Hz), 11.40(1H,s).
실시예16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79
tert-부틸=2-아미노-4-(벤조푸란-2-일)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 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벤조푸란-2-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벤조푸란-2-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벤조푸란-2-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5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28-7.35(1H,m), 7.38-7.42(1H,m), 7.44-7.52(2H,m), 7.63(1H,s), 7.70-7.81(3H,m), 8.04-8.11(2H,m), 8.16(1H,d,J=8.3Hz), 9.26-9.27(1H,m), 12.26(1H,s).
실시예169 -172
실시예168과 동일하게 하여, 표21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0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벤조푸란-2-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8(2H,s), 7.15(1H,d,J=8.0Hz), 7.28-7.35(1H,m), 7.37-7.44(1H,m), 7.47(1H,d,J=1.7Hz), 7.58(1H,dd,J=8.2,1.7Hz), 7.62(1H,s), 7.70-7.79(3H,m), 8.15(1H,d,J=8.2Hz), 9.28(1H,d,J=1.7Hz), 12.18(1H,s).
4-(벤조푸란-2-일)-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9-7.35(1H,m), 7.39-7.43(1H,m), 7.63(1H,d,J=0.9Hz), 7.70-7.76(2H,m), 7.80(1H,dd,J=8.4,1.7Hz), 8.01(2H,d,J=8.2Hz), 8.15(1H,d,J=8.4Hz), 8.19(2H,d,J=8.2Hz), 9.24-9.26(1H,m), 12.37(1H,s).
4-(벤조푸란-2-일)-2-(4-니트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9-7.34(1H,m), 7.37-7.43(1H,m), 7.63(1H,s), 7.70-7.74(2H,m), 7.81(1H,dd,J=8.4,1.7Hz), 8.16(1H,d,J=8.4Hz), 8.22(2H,d,J=8.8Hz), 8.45(2H,d,J=8.8Hz), 9.21(1H,d,J=1.7Hz), 12.40(1H,s).
4-(벤조푸란-2-일)-2-(신남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5(1H,d,J=15.4Hz), 7.29-7.34(1H,m), 7.37-7.50(4H,m), 7.60(1H,s), 7.66-7.81(6H,m), 8.12(1H,d,J=8.3Hz), 9.21(1H,d,J=1.7Hz), 11.47(1H,s).
실시예17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1
tert-부틸=2-아미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4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28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4-하이드록시페닐)-2-(4-플루오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4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92(2H,d,J=8.8Hz), 7.42-7.50(3H,m), 7.58(2H,d,J=8.8Hz), 8.00-8.10(3H,m), 8.98(1H,d,J=1.7Hz), 9.79(1H,s), 12.24(1H,s).
실시예174 ~178
실시예173과 동일하게 하여, 표22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2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7(2H,s), 6.91(2H,d,J=8.8Hz), 7.13(1H,d,J=8.4Hz), 7.42(1H,dd,J=8.4,1.8Hz), 7.45(1H,d,J=1.8Hz), 7.52-7.61(3H,m), 8.07(1H,d,J=8.3Hz), 8.99(1H,d,J=1.6Hz), 9.78(1H,s), 12.14(1H,s), 13.55-13.85(1H,broad).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3(2H,d,J=8.7Hz), 7.52(1H,dd,J=8.4,1.8Hz), 7.58-7.72(4H,m), 8.11(1H,d,J=8.4Hz), 8.17-8.23(1H,m), 8.28-8.33(1H,m), 9.03(1H,d,J=1.9Hz), 9.81(1H,s), 13.05(1H,s), 13.60-14.00(1H,broad).
4-(4-하이드록시페닐)-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0-6.96(2H,m), 7.48(1H,dd,J=8.5,1.8Hz), 7.56-7.63(2H,m), 8.01(2H,d,J=8.2Hz), 8.09(1H,d,J=8.5Hz), 8.17(2H,d,J=8.2Hz), 8.97(1H,d,J=1.8Hz), 9.70-9.90(1H,broad), 12.34(1H,s).
4-(4-하이드록시페닐)-2-(4-니트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0-6.95(2H,m), 7.49(1H,dd,J=8.3,1.9Hz), 7.56-7.62(2H,m), 8.09(1H,d,J=8.3Hz), 8.17-8.23(2H,m), 8.41-8.48(2H,m), 8.94(1H,d,J=1.9Hz), 9.80(1H,s), 12.35(1H,s).
2-(신남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8-6.95(3H,m), 7.38-7.48(4H,m), 7.53-7.59(2H,m), 7.65(1H,d,J=15.6Hz), 7.72-7.78(2H,m), 8.04(1H,d,J=8.6Hz), 8.92(1H,d,J=2.0Hz), 9.77(1H,s), 11.43(1H,s), 13.45-13.70(1H,broad).
실시예17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3
tert-부틸=2-아미노-4-(벤조[1,3]디옥솔-5-일)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5mL 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4mL 및 4-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4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벤조[1,3]디옥솔-5-일)-2-(4-플루오로벤즈아미도)안식향산 3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11(2H,s), 7.08(1H,d,J=8.0Hz), 7.23(1H,dd,J=8.0,1.9Hz), 7.29(1H,d,J=1.9Hz), 7.43-7.50(3H,m), 8.00-8.16(3H,m), 8.96(1H,d,J=1.9Hz), 12.20(1H,s).
실시예180 ~183
실시예179와 동일하게 하여, 표23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4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벤조[1,3]디옥솔-5-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1(2H,s), 6.17(2H,s), 7.07(1H,d,J=8.2Hz), 7.13(1H,d,J=8.2Hz), 7.23(1H,dd,J=8.2,1.9Hz), 7.28(1H,d,J=1.9Hz), 7.42-7.47(2H,m), 7.55(1H,dd,J=8.3,1.9Hz), 8.07(1H,d,J=8.3Hz), 8.97(1H,d,J=2.0Hz), 12.12(1H,s), 13.65-13.85(1H,broad).
4-(벤조[1,3]디옥솔-5-일)-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2(2H,s), 7.09(1H,d,J=8.0Hz), 7.22-7.28(1H,m), 7.31(1H,d,J=1.5Hz), 7.51-7.57(1H,m), 7.60-7.75(2H,m), 8.12(1H,d,J=7.8Hz), 8.16-8.24(1H,m), 8.30(1H,d,J=7.8Hz), 9.02(1H,s), 13.02(1H,s).
4-(벤조[1,3]디옥솔-5-일)-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1(2H,s), 7.08(1H,d,J=8.1Hz), 7.24(1H,dd,J=8.1,1.8Hz), 7.30(1H,d,J=1.8Hz), 7.50(1H,dd,J=8.4,1.9Hz), 8.01(2H,d,J=8.3Hz), 8.09(1H,d,J=8.4Hz), 8.17(2H,d,J=8.3Hz), 8.95(1H,d,J=1.9Hz), 12.35(1H,s).
4-(벤조[1,3]디옥솔-5-일)-2-(신남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11(2H,s), 6.92(1H,d,J=15.6Hz), 7.07(1H,d,J=8.1Hz), 7.21(1H,dd,J=8.1,1.9Hz), 7.27(1H,d,J=1.9Hz), 7.41-7.49(4H,m), 7.65(1H,d,J=15.6Hz), 7.72-7.78(2H,m), 8.04(1H,d,J=8.3Hz), 8.90(1H,d,J=2.0Hz), 11.43(1H,s).
실시예184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5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벤조푸란-2-일)벤조에이트 50mg의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벤조푸란-2-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벤조푸란-2-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벤조푸란-2-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33(3H,s), 2.35(3H,s), 7.25(1H,t,J=7.6Hz), 7.29-7.46(4H,m), 7.64(1H,s), 7.71-7.76(2H,m), 7.78(1H,dd,J=8.3,1.7Hz), 8.13(1H,d,J=8.3Hz), 9.26-9.28(1H,m), 11.65(1H,s).
실시예185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6
실시예184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4-(벤조푸란-2-일)-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39-6.41(2H,m), 7.30-7.43(2H,m), 7.59-7.63(2H,m), 7.65(1H,s), 7.71-7.76(1H,m), 7.83(1H,dd,J=8.4,1.6Hz), 8.17(1H,d,J=8.4Hz), 8.48-8.51(1H,m), 9.01(1H,d,J=1.5Hz), 9.18(1H,d,J=2.4Hz), 9.22(1H,d,J=1.4Hz), 12.33(1H,s).
실시예18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7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벤조에이트 62mg,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3-디메틸벤즈아미도)-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3-디메틸벤즈아미도)-4-(4-(tert-부톡시카르보닐)옥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2,3-디메틸벤즈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2.31(3H,s),2.33(3H,s),6.90-6.95(2H,m),7.23(1H,t,J=7.5Hz),7.34(1H,d,J=7.5Hz),7.40(1H,d,J=7.5Hz),7.44(1H,dd,J=8.3,1.7Hz),7.56-7.60(2H,m),8.05(1H,d,J=8.3Hz),8.97-8.99(1H,m),9.75-9.85(1H,broad),11.59(1H,s),13.40-13.70(1H,broad).
실시예18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8
실시예186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4-(4-하이드록시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39(2H,s), 6.93(2H,d,J=8.5Hz), 7.50(1H,dd,J=8.4,1.3Hz), 7.56-7.65(4H,m), 8.09(1H,d,J=8.0Hz), 8.47(1H,s), 8.93-8.99(2H,m), 9.17(1H,d,J=2.2Hz), 9.80(1H,s), 12.31(1H,s).
실시예18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89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벤조[1,3]디옥솔-5-일)벤조에이트 50mg,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벤조[1,3]디옥솔-5-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벤조[1,3]디옥솔-5-일)-2-(2,3-디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3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31(3H,s), 2.33(3H,s), 6.11(2H,s), 7.08(1H,d,J=8.1Hz), 7.20-7.27(2H,m), 7.29(1H,d,J=1.7Hz), 7.34(1H,d,J=7.3Hz), 7.40(1H,d,J=7.3Hz), 7.46(1H,d,J=8.4,1.8Hz), 8.05(1H,d,J=8.4Hz), 8.93-9.00(1H,broad), 11.58(1H,s), 13.55-13.75(1H,broad).
실시예18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0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2,4-디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49mg,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2,4-디플루오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2,4-디플루오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31(3H,s), 2.31(3H,s), 7.21-7.30(2H,m), 7.31-7.49(4H,m), 7.63-7.70(1H,m), 8.11(1H,d,J=8.0Hz), 8.89(1H,s), 11.58(1H,s).
실시예190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1
실시예189와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4-(2,4-디플루오로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39(2H,t,J=2.2Hz), 7.28(1H,td,J=8.7,2.2Hz), 7.42-7.48(2H,m), 7.59(2H,t,J=2.2Hz), 7.68(1H,td,J=8.7,6.6Hz), 8.16(1H,d,J=8.0Hz), 8.46(1H,t,J=2.2Hz), 8.85(1H,d,J=1.4Hz), 8.97(1H,d,J=1.7Hz), 9.17(1H,d,J=2.3Hz), 12.22(1H,s).
실시예191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2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 52mg,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3-디메틸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3-디메틸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2,3-디메틸벤즈아미도)-4-((E)-2-(3-메톡시페닐)비닐)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31(3H,s), 2.33(3H,s), 3.82(3H,s), 6.88-6.91(1H,m), 7.21-7.52(9H,m), 8.02(1H,d,J=8.3Hz), 8.89(1H,s), 11.59(1H,s), 13.60(1H,s).
실시예192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3
실시예191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4-((E)-2-(3-메톡시페닐)비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83(3H,s), 6.40(2H,t,J=2.2Hz), 6.91(1H,ddd,J=8.0,2.5,0.9Hz), 7.25-7.44(5H,m), 7.53(1H,dd,J=8.3,1.6Hz), 7.59(2H,t,J=2.2Hz), 8.07(1H,d,J=8.3Hz), 8.45-8.47(1H,m), 8.84(1H,d,J=1.7Hz), 8.99(1H,d,J=1.6Hz), 9.17(1H,d,J=2.4Hz), 12.20-12.35(1H,broad).
실시예193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4
2,3-디메틸안식향산 41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7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5mL를 차례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3-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 49mg, 염화메틸렌 2.8mL 및 트리에틸아민 0.36mL의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3-클로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3-클로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3-클로로페닐)-2-(2,3-디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3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31(3H,s), 2.33(3H,s), 7.24(1H,t,J=7.5Hz), 7.34(1H,d,J=7.5Hz), 7.41(1H,d,J=7.5Hz), 7.52-7.61(3H,m), 7.69-7.78(2H,m), 8.11(1H,d,J=8.3Hz), 9.01(1H,s), 11.58(1H,s), 13.60-13.90(1H,broad).
실시예194 , 195
실시예193과 동일하게 하여, 표24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5
4-(3-클로로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39(2H,t,J=2.2Hz), 7.52-7.64(5H,m), 7.72(1H,dt,J=7.6,1.6Hz), 7.78(1H,t,J=1.6Hz), 8.15(1H,d,J=8.3Hz), 8.46-8.48(1H,m), 8.96(1H,d,J=1.7Hz), 8.99(1H,d,J=1.7Hz), 9.17(1H,d,J=2.7Hz),
12.23(1H,s).
1H-NMR(DMSO-d6)δ값: 2.32(3H,s), 7.39(2H,d,J=8.5Hz), 7.52-7.62(3H,m), 7.68-7.74(1H,m), 7.77(1H,s), 8.03(2H,d,J=8.5Hz), 8.14(1H,d,J=8.3Hz), 9.03(1H,d,J=1.7Hz), 12.23(1H,s).
실시예196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6
2-(4-아세톡시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닐)안식향산 15mg의 메탄올 0.5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mL의 혼합액에, 탄산칼륨 7.6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4-(3-클로로페닐)-2-(4-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안식향산 1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91-6.97(2H,m), 7.47-7.60(3H,m), 7.69(1H,dt,J=7.5,1.6Hz), 7.75(1H,t,J=1.6Hz), 7.83-7.89(2H,m), 8.12(1H,d,J=8.3Hz), 9.07(1H,d,J=1.9Hz), 10.28(1H,s).
실시예197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7
tert-부틸=2-(벤즈아미도)-4-요오드벤조에이트 0.20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mL 용액에, 실온에서 시클로펜텐 0.21mL, 아세트산칼륨 0.14g,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3g, 트리페닐포스핀 3.1mg 및 아세트산팔라듐 2.7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동일한 온도에서 17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시클로펜텐 0.21mL, 아세트산칼륨 23mg, 트리페닐포스핀 3.1mg 및 아세트산팔라듐 2.7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9시간 교반한 후, 7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트그래피[용리액; 톨루엔]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2-시클로펜텐-1-일)벤조에이트 94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62(9H,s), 1.72-1.84(1H,m), 2.37-2.61(3H,m), 3.94-4.03(1H,m), 5.78-5.82(1H,m), 5.98-6.03(1H,m), 6.93(1H,dd,J=8.3,1.6Hz), 7.49-7.59(3H,m), 7.94(1H,d,J=8.3Hz), 8.04-8.09(2H,m), 8.80(1H,d,J=1.6Hz), 12.22(1H,s).
실시예198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8
tert-부틸=2-(벤즈아미도)-4-(2-시클로펜텐-1-일)벤조에이트 87m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시클로펜텐-1-일)안식향산 5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62-1.74(1H,m), 2.35-2.55(3H,m), 3.92-4.00(1H,m), 5.78-5.83(1H,m), 6.00-6.04(1H,m), 7.03(1H,dd,J=8.2,1.5Hz), 7.57-7.68(3H,m), 7.93-8.01(3H,m), 8.63(1H,d,J=1.5Hz), 12.24(1H,s).
실시예199
Figure 112007048853379-PCT00199
2-(벤즈아미도)-4-(2-시클로펜텐-1-일)안식향산 25mg의 메탄올 1.0mL 및 아세트산에틸 0.5mL의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5.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7시간 교반한 후, 40℃에서 8시간 교반하고, 45℃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시클로펜틸안식향산 1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2-1.86(6H,m), 1.98-2.12(2H,m), 3.02-3.12(1H,m), 7.10(1H,dd,J=8.0,1.6Hz), 7.57-7.68(3H,m), 7.94-8.00(3H,m), 8.70(1H,d,J=1.6Hz), 12.22(1H,s).
실시예20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0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20g의 톨루엔 4.0mL 용액에, 4-니트로페닐보론산 0.11g, 탄산수소나트륨 0.11g, 에탄올 1.2mL, 물 0.6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3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니트로페닐)벤조에이트 4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7(9H,s), 7.60-7.70(4H,m), 7.98-8.04(3H,m), 8.09(1H,d,J=8.8Hz), 8.35-8.40(3H,m), 8.90(1H,d,J=1.7Hz), 11.66(1H,s).
실시예201 ~205
실시예200과 동일하게 하여, 표25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1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7(9H,s), 7.55(1H,dd,J=8.4,1.6Hz), 7.58-7.70(5H,m), 7.73-7.78(2H,m), 7.97-8.02(2H,m), 8.04(1H,d,J=8.4Hz), 8.85(1H,d,J=1.6Hz), 11.69(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3,5-디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6(9H,s), 7.60-7.70(4H,m), 7.72-7.73(1H,m), 7.77(2H,d,J=1.7Hz), 7.98-8.04(3H,m), 8.77(1H,d,J=2.0Hz), 11.58(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5(9H,s), 2.33(6H,s), 4.78(1H,s), 7.29(1H,dd,J=8.4,1.8Hz), 7.36(2H,s), 7.51-7.60(3H,m), 8.03(1H,d,J=8.4Hz), 8.06-8.11(2H,m), 9.18(1H,d,J=1.8Hz), 12.28(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2-옥소인돌린-5-일)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5(9H,s), 3.64(2H,s), 6.96(1H,d,J=8.1Hz), 7.29(1H,dd,J=8.5,1.9Hz), 7.52-7.65(5H,m), 7.82(1H,s), 8.05-8.11(3H,m), 9.22(1H,d,J=1.9Hz), 12.30(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2-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1H-NMR(DMSO-d6)δ값: 1.57(9H,s), 7.40(1H,t,J=7.9Hz), 7.43-7.47(1H,m), 7.54-7.72(5H,m), 7.96-8.01(2H,m), 8.07(1H,d,J=8.3Hz), 8.72(1H,s), 11.66(1H,s).
실시예20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2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20g의 톨루엔 2.5mL 용액에, 실온에서 2,6-디플루오로페닐보론산 0.10g, 탄산세슘 0.52g, 아세트산팔라듐 2.4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2mg을 차례로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80℃에서 1시간 10분간 교반한 후,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팔라듐 2.4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팔라듐 2.4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톨루엔 2.0mL, 2,6-디플루오로페닐보론산 0.04g, 아세트산팔라듐 2.4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6'-디메톡시비페닐 2.2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하에서, 1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2,6-디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 3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1.57(9H,s), 7.26-7.35(3H,m), 7.53-7.67(4H,m), 7.95-8.00(2H,m), 8.07(1H,d,J=8.0Hz), 8.57-8.61(1H,m), 11.63(1H,s).
실시예20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3
tert-부틸=2-(벤즈아미도)-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조에이트 80mg의 톨루엔 1.6mL용액에, 실온에서 5-브로모벤조티오펜 48mg, 탄산수소나트륨 40mg, 에탄올 0.6mL, 물 0.3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1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5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벤조티오펜-5-일)벤조에이트 47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1.66(9H,s),7.40-7.44(2H,m),7.50(1H,d,J=5.4Hz),7.51-7.61(3H,m),7.71(1H,dd,J=8.5,1.7Hz),7.96(1H,d,J=8.3Hz),8.08-8.13(3H,m),8.19(1H,d,J=1.5Hz),9.34(1H,d,J=1.7Hz),12.31(1H,s).
실시예208 ~210
실시예207과 동일하게 하여, 표26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벤조푸란-5-일)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6(9H,s), 6.84(1H,dd,J=2.2,1.0Hz), 7.38(1H,dd,J=8.3,2.0Hz), 7.51-7.61(4H,m), 7.64-7.68(2H,m), 7.96(1H,d,J=1.5Hz), 8.07-8.12(3H,m), 9.30(1H,d,J=2.0Hz), 12.29(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인돌-4-일)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6(9H,s), 6.93-6.97(1H,m), 7.24-7.36(3H,m), 7.40-7.50(2H,m), 7.50-7.60(3H,m), 8.07-8.13(2H,m), 8.13(1H,d,J=8.3Hz), 8.31(1H,s), 9.33(1H,d,J=1.5Hz), 12.24(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4-(1H-피롤-1-일)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1.66(9H,s), 6.38(2H,t,J=2.2Hz), 7.16(2H,t,J=2.2Hz), 7.35(1H,dd,J=8.3,1.7Hz), 7.47-7.52(2H,m), 7.52-7.61(3H,m), 7.76-7.82(2H,m), 8.07-8.12(3H,m), 9.29(1H,d,J=1.7Hz), 12.29(1H,s).
실시예2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5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니트로페닐)벤조에이트 40m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mL 용액에,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니트로페닐)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60-7.70(4H,m), 7.98-8.04(4H,m), 8.20(1H,d,J=8.6Hz), 8.39(2H,d,J=8.5Hz), 9.16(1H,s), 12.26-12.32(1H,broad).
실시예212 ~221
실시예211과 동일하게 하여, 표27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6
2-(벤즈아미도)-4-(4-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3(1H,dd,J=8.3,1.8Hz), 7.59-7.70(5H,m), 7.75-7.79(2H,m), 7.97-8.01(2H,m), 8.14(1H,d,J=8.3Hz), 9.08(1H,d,J=1.8Hz), 12.28(1H,s).
2-(벤즈아미도)-4-(3,5-디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8-7.70(4H,m), 7.73(1H,t,J=1.8Hz), 7.77(2H,d,J=2.0Hz), 7.97-8.02(2H,m), 8.14(1H,d,J=8.3Hz), 9.03(1H,d,J=1.7Hz), 12.24-12.31(1H,broad).
2-(벤즈아미도)-4-(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26(6H,s), 7.32(2H,s), 7.44(1H,dd,J=8.3,1.8Hz), 7.58-7.70(3H,m), 7.96-8.02(2H,m), 8.07(1H,d,J=8.3Hz), 8.60(1H,s), 9.01(1H,d,J=1.8Hz), 12.27(1H,s), 13.60-13.80(1H,broad).
2-(벤즈아미도)-4-(2-옥소인돌린-5-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3.60(2H,s), 6.97(1H,d,J=8.1Hz), 7.47(1H,dd,J=8.5,1.8Hz), 7.56-7.70(5H,m), 7.96-8.02(2H,m), 8.10(1H,d,J=8.5Hz), 9.06(1H,d,J=1.8Hz), 10.57(1H,s), 12.28(1H,s), 13.60-13.90(1H,broad).
2-(벤즈아미도)-4-(3-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7-7.44(2H,m), 7.56-7.72(5H,m), 7.95-8.00(2H,m), 8.17(1H,d,J=8.3Hz), 8.97(1H,s), 12.22-12.26(1H,broad).
2-(벤즈아미도)-4-(2,6-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4-7.35(3H,m), 7.52-7.69(4H,m), 7.93-8.00(2H,m), 8.17(1H,d,J=8.3Hz), 8.86(1H,s), 12.24(1H,s).
2-(벤즈아미도)-4-(벤조티오펜-5-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8-7.71(5H,m), 7.74(1H,dd,J=8.5,1.7Hz), 7.87(1H,d,J=5.4Hz), 7.98-8.04(2H,m), 8.14-8.20(2H,m), 8.27(1H,d,J=1.4Hz), 9.18(1H,d,J=1.7Hz), 12.31(1H,s), 13.75-13.95(1H,broad).
2-(벤즈아미도)-4-(벤조푸란-5-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09(1H,dd,J=2.2,1.0Hz), 7.56(1H,dd,J=8.3,2.0Hz), 7.59-7.71(4H,m), 7.76(1H,d,J=8.5Hz), 7.98-8.04(2H,m), 8.03(1H,d,J=1.5Hz), 8.09(1H,d,J=2.2Hz), 8.15(1H,d,J=8.3Hz), 9.14(1H,d,J=2.0Hz), 12.30(1H,s), 13.70-13.95(1H,broad).
2-(벤즈아미도)-4-(1H-인돌-4-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75-6.79(1H,m), 7.21-7.27(2H,m), 7.47-7.54(2H,m), 7.53(1H,dd,J=8.3,1.8Hz), 7.58-7.70(3H,m), 7.98-8.03(2H,m), 8.17(1H,d,J=8.3Hz), 9.17(1H,d,J=1.8Hz), 11.37(1H,s), 12.29(1H,s).
2-(벤즈아미도)-4-(4-(1H-피롤-1-일)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32(2H,t,J=2.2Hz), 7.48(2H,t,J=2.2Hz), 7.57(1H,dd,J=8.4,1.9Hz), 7.59-7.71(3H,m), 7.74-7.80(2H,m), 7.80-7.86(2H,m), 7.98-8.03(2H,m), 8.15(1H,d,J=8.4Hz), 9.12(1H,d,J=1.9Hz), 12.30(1H,s).
실시예22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7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3-클로로페닐보론산 44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9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5.7mg을 첨가하고, 110℃에서 9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닐)안식향산 2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52-7.74(7H,m), 7.77(1H,s), 7.97-8.03(2H,m), 8.14(1H,d,J=8.3Hz), 9.06(1H,d,J=2.0Hz), 12.27(1H,s).
실시예223 ~231
실시예222와 동일하게 하여, 표28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8
2-(벤즈아미도)-4-(3-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7-7.36(1H,m), 7.53-7.70(7H,m), 7.96-8.02(2H,m), 8.14(1H,d,J=8.0Hz), 9.08(1H,d,J=1.7Hz), 12.24(1H,s).
2-(벤즈아미도)-4-(2,3-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4-7.47(3H,m), 7.50-7.70(4H,m), 7.95-8.01(2H,m), 8.17(1H,d,J=8.3Hz), 8.98(1H,s), 12.25(1H,s).
2-(벤즈아미도)-4-(3,5-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36(1H,tt,J=9.1,2.2Hz), 7.43-7.51(2H,m), 7.56-7.71(4H,m), 7.96-8.03(2H,m), 8.14(1H,d,J=8.3Hz), 9.04(1H,d,J=1.7Hz), 12.27(1H,s).
2-(벤즈아미도)-4-(2-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0-7.02(2H,m), 7.20-7.28(1H,m), 7.32(1H,dd,J=7.7,1.6Hz), 7.40(1H,dd,J=8.3,1.7Hz), 7.57-7.69(3H,m), 7.95-8.01(2H,m), 8.07(1H,d,J=8.3Hz), 8.96(1H,d,J=1.7Hz), 9.75(1H,s), 12.20-12.45(1H,broad).
2-(벤즈아미도)-4-(4-이소프로폭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1.31(6H,d,J=6.1Hz), 4.65-4.76(1H,m), 7.05-7.10(2H,m), 7.48(1H,dd,J=8.3,1.7Hz), 7.59-7.70(5H,m), 7.96-8.02(2H,m), 8.10(1H,d,J=8.3Hz), 9.05(1H,d,J=1.7Hz), 12.32(1H,s).
2-(벤즈아미도)-4-(2-페녹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91-6.97(2H,m), 7.02-7.09(2H,m), 7.29-7.50(5H,m), 7.54-7.69(4H,m), 7.93-8.00(2H,m), 8.04(1H,d,J=8.2Hz), 8.99(1H,d,J=1.6Hz), 12.22(1H,s).
2-(벤즈아미도)-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1-7.57(3H,m), 7.58-7.70(3H,m), 7.84-7.89(2H,m), 7.96-8.02(2H,m), 8.15(1H,d,J=8.3Hz), 9.08(1H,d,J=1.7Hz), 12.27(1H,s), 13.70-14.05(1H,broad).
2-(벤즈아미도)-4-(2,3-디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16(3H,s), 2.33(3H,s), 7.09(1H,d,J=7.1Hz), 7.15(1H,dd,J=8.1,1.7Hz), 7.17-7.27(2H,m), 7.57-7.69(3H,m), 7.94-7.99(2H,m), 8.11(1H,d,J=8.1Hz), 8.70(1H,d,J=1.7Hz), 12.30(1H,s).
2-(벤즈아미도)-4-(3-니트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9-7.71(4H,m), 7.82-7.88(1H,m), 7.98-8.03(2H,m), 8.19(1H,d,J=8.3Hz), 8.21(1H,ddd,J=7.8,1.7,1.0Hz), 8.29-8.34(1H,m), 8.48-8.50(1H,m), 9.14(1H,d,J=1.9Hz), 12.27(1H,s), 13.80-14.15(1H,broad).
실시예23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09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3-하이드록시메틸페닐보론산 42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90℃에서 1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9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하이드록시메틸)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하이드록시메틸)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6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하이드록시메틸)페닐)안식향산 1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4.61(2H,s), 5.26-5.40(1H,broad), 7.41(1H,d,J=7.6Hz), 7.47-7.55(2H,m), 7.58-7.73(5H,m), 7.97-8.04(2H,m), 8.15(1H,d,J=8.3Hz), 9.09(1H,d,J=1.7Hz), 12.33(1H,s).
실시예233 ~235
실시예232와 동일하게 하여, 표29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0
2-(벤즈아미도)-4-(2-이소프로폭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1.26(6H,d,J=6.1Hz), 4.59-4.72(1H,m), 7.05(1H,t,J=7.3Hz), 7.17(1H,d,J=8.1Hz), 7.32-7.41(3H,m), 7.57-7.68(3H,m), 7.95-8.01(2H,m), 8.07(1H,d,J=8.3Hz), 8.98(1H,d,J=1.7Hz).
2-(벤즈아미도)-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48(1H,d,J=8.0Hz), 7.57(1H,dd,J=8.3,1.9Hz), 7.59-7.73(5H,m), 7.79(1H,d,J=7.8Hz), 7.97-8.03(2H,m), 8.16(1H,d,J=8.3Hz), 9.08(1H,d,J=1.9Hz), 12.35(1H,s).
2-(벤즈아미도)-4-(3-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42(3H,s), 7.28(1H,d,J=7.6Hz), 7.43(1H,t,J=7.6Hz), 7.49-7.57(3H,m), 7.59-7.70(3H,m), 7.97-8.02(2H,m), 8.13(1H,d,J=8.3Hz), 9.07(1H,d,J=1.7Hz), 12.29(1H,s).
실시예23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1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4-페녹시페닐보론산 60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녹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녹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2]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페녹시페닐)안식향산 8.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08-7.23(5H,m), 7.41-7.48(2H,m), 7.51(1H,dd,J=8.3,1.9Hz), 7.58-7.70(3H,m), 7.74-7.79(2H,m), 7.96-8.02(2H,m), 8.13(1H,d,J=8.3Hz), 9.07(1H,d,J=1.9Hz), 12.30(1H,s).
실시예23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2
실시예236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4-벤조일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7-7.75(7H,m), 7.78-7.84(2H,m), 7.89-7.96(4H,m), 7.98-8.03(2H,m), 8.19(1H,d,J=8.3Hz), 9.17(1H,d,J=1.5Hz), 12.29(1H,s).
실시예23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3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4-(디메틸아미노)페닐보론산 46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5.7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디(아세테이트)디시클로헥실페닐포스핀팔라듐(II) 5.7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디메틸아미노)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디메틸아미노)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pH6.5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담황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디메틸아미노)페닐)안식향산 3.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98(6H,s), 6.83-6.89(2H,m), 7.45(1H,dd,J=8.3,1.8Hz), 7.58-7.69(5H,m), 7.97-8.02(2H,m), 8.06(1H,d,J=8.3Hz), 9.05(1H,d,J=1.8Hz), 12.32(1H,s).
실시예23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2-메틸페닐보론산 38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2-메틸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2-메틸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메틸페닐)안식향산 1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2.29(3H,s), 7.18-7.38(5H,m), 7.57-7.69(3H,m), 7.94-8.00(2H,m), 8.12(1H,d,J=8.1Hz), 8.74(1H,d,J=1.4Hz), 12.27(1H,s).
실시예240 ~242
실시예239와 동일하게 하여, 표30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5
2-(벤즈아미도)-4-(4-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38(3H,s), 7.35(2H,d,J=8.0Hz), 7.50(1H,dd,J=8.3,1.9Hz), 7.58-7.70(5H,m), 7.96-8.02(2H,m), 8.12(1H,d,J=8.3Hz), 9.07(1H,d,J=1.9Hz), 12.33(1H,s).
2-(벤즈아미도)-4-(3-시아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8-7.70(4H,m), 7.76(1H,t,J=7.8Hz), 7.92-7.97(1H,m), 7.97-8.02(2H,m), 8.05-8.11(1H,), 8.16(1H,d,J=8.3Hz), 8.19-8.23(1H,m), 9.08(1H,d,J=2.0Hz), 12.28(1H,s).
2-(벤즈아미도)-4-(4-시아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6-7.69(4H,m), 7.90-8.02(6H,m), 8.16(1H,d,J=8.3Hz), 9.10(1H,d,J=2.0Hz), 12.29(1H,s).
실시예24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6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2.5mL 용액에, 4-하이드록시페닐보론산 39mg, 탄산나트륨 49mg 및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0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폴리머 담지 비스(아세테이트)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II) 6mg을 첨가하고, 110℃에서 2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2: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55-9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9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6.88-6.96(2H,m), 7.44(1H,dd,J=8.3,1.9Hz), 7.56-7.69(5H,m), 7.96-8.02(2H,m), 8.08(1H,d,J=8.3Hz), 9.03(1H,d,J=1.9Hz), 9.79(1H,s), 12.33(1H,s).
실시예24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7
실시예243과 동일하게 하여, 이하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3-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6.86(1H,dd,J=8.1,1.9Hz), 7.11-7.19(2H,m), 7.33(1H,t,J=7.9Hz), 7.47(1H,dd,J=8.1,1.7Hz), 7.59-7.70(3H,m), 7.97-8.02(2H,m), 8.13(1H,d,J=8.1Hz), 9.06(1H,d,J=1.7Hz), 9.69(1H,s), 12.30(1H,s).
실시예24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8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5g의 톨루엔 2.1mL 용액에, 2-플루오로페닐보론산 56mg, 탄산수소나트륨 0.10g, 에탄올 0.6mL, 물 0.3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23m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플루오로페닐보론산 17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23m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톨루엔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2-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2-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9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34-7.44(3H,m), 7.47-7.55(1H,m), 7.56-7.70(4H,m), 7.94-8.01(2H,m), 8.16(1H,d,J=8.3Hz), 8.96-9.00(1H,m), 12.27(1H,s).
실시예246 ~250
실시예245와 동일하게 하여, 표31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19
2-(벤즈아미도)-4-(3-플루오로-4-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28-2.34(3H,m), 7.42-7.57(4H,m), 7.58-7.70(3H,m), 7.96-8.02(2H,m), 8.12(1H,d,J=8.3Hz), 9.06(1H,d,J=1.7Hz), 12.27(1H,s).
2-(벤즈아미도)-4-(2-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29(1H,dd,J=8.3,1.7Hz), 7.45-7.51(3H,m), 7.57-7.69(4H,m), 7.94-8.00(2H,m), 8.15(1H,d,J=8.3Hz), 8.84(1H,d,J=1.7Hz), 12.28(1H,s).
2-(벤즈아미도)-4-(3,4-디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57(1H,dd,J=8.3,1.9Hz), 7.58-7.70(3H,m), 7.73(1H,dd,J=8.3,2.2Hz), 7.81(1H,d,J=8.6Hz), 7.96-8.01(3H,m), 8.14(1H,d,J=8.3Hz), 9.05(1H,d,J=1.9Hz), 12.24(1H,s).
2-(벤즈아미도)-4-(5-클로로-2-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7.40-7.50(2H,m), 7.55-7.70(5H,m), 7.95-8.01(2H,m), 8.16(1H,d,J=8.0Hz), 8.96(1H,s), 12.27(1H,s).
2-(벤즈아미도)-4-(2,6-디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2.03(6H,s), 7.02(1H,dd,J=8.1,1.6Hz), 7.13-7.25(3H,m), 7.56-7.69(3H,m), 7.93-7.99(2H,m), 8.15(1H,d,J=8.1Hz), 8.53(1H,d,J=1.6Hz), 12.29(1H,s).
실시예25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0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5g의 톨루엔 2.1mL 용액에,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보론산 83mg, 탄산수소나트륨 0.10g, 에탄올 0.6mL, 물 0.3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23m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보론산 21mg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23m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톨루엔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2-클로로-6-플루오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7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2-클로로-6-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5.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23(1H,dd,J=8.3,1.6Hz), 7.37-7.45(1H,m), 7.49-7.70(5H,m), 7.93-7.99(2H,m), 8.17(1H,d,J=8.3Hz), 8.73-8.77(1H,m), 12.28(1H,s).
실시예25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1
tert-부틸=2-(벤즈아미도)-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조에이트 0.37g의 톨루엔 2.1mL 용액에, 실온에서 4-브로모-2-클로로페놀 0.15g, 탄산수소나트륨 0.18g, 에탄올 0.6mL, 물 0.3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O) 42mg을 첨가하고, 4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톨루엔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톨루엔을 첨가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안식향산 9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7.13(1H,d,J=8.3Hz), 7.48(1H,dd,J=8.3,1.7Hz), 7.56(1H,dd,J=8.4,2.3Hz), 7.57-7.72(4H,m), 7.96-8.01(2H,m), 8.09(1H,d,J=8.3Hz), 9.01(1H,d,J=1.7Hz), 10.50-10.66(1H,broad), 12.26(1H,s).
실시예25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2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 용액에, 실온에서 인돌린 0.031mL, 탄산세슘 0.12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O) 1.7mg, 아세트산팔라듐 0.8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4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에서, 3시간 가열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고, 황색 유상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인돌린-1-일)벤조에이트 77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1.63(9H,s), 3.17(2H,t,J=8.4Hz), 4.10(2H,t,J=8.4Hz), 6.86(1H,td,J=7.4,0.8Hz), 6.96(1H,dd,J=8.9,2.5Hz), 7.16-7.24(2H,m), 7.46-7.57(4H,m), 7.97(1H,d,J=8.9Hz), 8.06-8.10(2H,m), 8.81(1H,d,J=2.5Hz), 12.40(1H,s).
실시예25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3
tert-부틸=2-(벤즈아미도)-4-(인돌린-1-일)벤조에이트 75m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 용액에,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수용액으로 pH6.5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물 및 포화염화나트륨수용액으로 차례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황색 고체의 2-(벤즈아미도)-4-(인돌린-1-일)안식향산 5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3.17(2H,t,J=8.4Hz), 4.06(2H,t,J=8.4Hz), 6.88(1H,t,J=7.4Hz), 6.95(1H,dd,J=9.0,2.4Hz), 7.19(1H,t,J=7.6Hz), 7.27(1H,d,J=7.3Hz), 7.48(1H,d,J=8.0Hz), 7.58-7.69(3H,m), 7.96-8.02(2H,m), 8.02(1H,d,J=9.0Hz), 8.82(1H,d,J=2.4Hz), 12.50(1H,s), 13.26(1H,s).
실시예255 ~277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하여, 표32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4
4-페네틸-2-(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3(1H,dd,J=8.1,1.7Hz), 7.16-7.22(1H,m), 7.26-7.32(4H,m), 7.73-7.81(1H,m), 7.81-7.86(2H,m), 7.86-7.97(2H,m), 8.49(1H,s), 11.62(1H,s), 13.50-13.70(1H,broad).
4-페네틸-2-(2-페닐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2-2.94(4H,m), 3.75(2H,s), 6.99(1H,dd,J=8.2,1.5Hz), 7.13-7.20(1H,m), 7.20-7.32(5H,m), 7.32-7.42(4H,m), 7.84(1H,d,J=8.2Hz), 8.44(1H,d,J=1.5Hz), 11.16(1H,s).
2-(2-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5(3H,s), 2.90-3.02(4H,m), 7.09(1H,dd,J=8.3,1.6Hz), 7.16-7.23(1H,m), 7.26-7.37(6H,m), 7.40-7.50(1H,m), 7.59(1H,d,J=7.6Hz), 7.94(1H,d,J=8.3Hz), 8.62(1H,s), 11.62(1H,s), 13.45-13.65(1H,broad).
2-(3-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2(3H,s), 2.90-3.02(4H,m), 7.08(1H,dd,J=8.1,1.6Hz), 7.16-7.22(1H,m), 7.25-7.32(4H,m), 7.44-7.52(2H,m), 7.73-7.81(2H,m), 7.96(1H,d,J=8.1Hz), 8.67(1H,d,J=1.6Hz), 12.24(1H,s).
2-(4-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0(3H,s), 2.88-3.01(4H,m), 7.07(1H,dd,J=8.1,1.7Hz), 7.15-7.22(1H,m), 7.24-7.32(4H,m), 7.40(2H,d,J=8.2Hz), 7.86(2H,d,J=8.2Hz), 7.95(1H,d,J=8.1Hz), 8.67(1H,d,J=1.7Hz), 12.22(1H,s).
2-(4-니트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9-3.04(4H,m), 7.09-7.14(1H,m), 7.15-7.22(1H,m), 7.25-7.32(4H,m), 7.97(1H,d,J=8.3Hz), 8.19(2H,d,J=8.8Hz), 8.44(2H,d,J=8.8Hz), 8.58(1H,d,J=1.5Hz).
2-(3,4-디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2(3H,s), 2.32(3H,s), 2.90-3.00(4H,m), 7.06(1H,d,J=8.2Hz), 7.15-7.20(1H,m), 7.25-7.30(4H,m), 7.35(1H,d,J=7.7Hz), 7.68(1H,d,J=7.7Hz), 7.74(1H,s), 7.95(1H,d,J=8.2Hz), 8.68(1H,s), 12.16-12.20(1H,broad).
2-(2,3-디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0(6H,s), 2.90-3.00(4H,m), 7.06-7.11(1H,m), 7.16-7.38(8H,m), 7.93(1H,d,J=8.0Hz), 8.61(1H,s), 11.50-11.56(1H,broad).
2-(3-니트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5(4H,m), 7.10-7.21(2H,m), 7.26-7.30(4H,m), 7.89-7.99(2H,m), 8.36-8.42(1H,m), 8.47-8.52(1H,m), 8.58(1H,d,J=1.7Hz), 8.76(1H,t,J=2.0Hz), 12.36-12.48(1H,broad).
4-페네틸-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1(1H,d,J=8.0Hz), 7.16-7.21(1H,m), 7.25-7.31(4H,m), 7.94-8.02(3H,m), 8.15(2H,d,J=7.6Hz), 8.61(1H,s), 12.28(1H,s).
2-(벤조티오펜-2-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0(1H,dd,J=8.1,1.2Hz), 7.17-7.21(1H,m), 7.25-7.32(4H,m), 7.48-7.55(2H,m), 7.98(1H,d,J=8.1Hz), 8.06-8.11(3H,m), 8.53-8.57(1H,m), 12.34(1H,s).
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1-3.00(4H,m), 7.10(1H,d,J=8.0Hz), 7.16-7.21(1H,m), 7.25-7.31(4H,m), 7.38-7.44(2H,m), 7.64-7.69(1H,m), 7.90-7.96(2H,m), 8.66(1H,s),11.94-12.00(1H,broad), 13.54-13.60(1H,broad).
2-(3-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0(4H,m), 7.10(1H,dd,J=8.1,1.7Hz), 7.16-7.20(1H,m), 7.25-7.31(4H,m), 7.49-7.52(1H,m), 7.64-7.73(2H,m), 7.78-7.81(1H,m), 7.96(1H,d,J=8.1Hz), 8.60-8.62(1H,m), 12.16-12.22(1H,broad), 13.64-13.76(1H,broad).
2-(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2-7.21(2H,m), 7.26-7.33(6H,m), 7.61-7.69(1H,m), 7.94(1H,d,J=8.0Hz), 8.50(1H,s), 11.74-11.82(1H,broad).
4-페네틸-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3(4H,m), 7.10-7.13(1H,m), 7.16-7.21(1H,m), 7.25-7.31(4H,m), 7.87(1H,t,J=7.9Hz), 7.96(1H,d,J=8.1Hz), 8.04(1H,d,J=7.8Hz), 8.24-8.28(2H,m), 8.60(1H,s), 12.28-12.34(1H,broad).
2-(2-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2(1H,dd,J=8.3,1.5Hz), 7.16-7.22(1H,m), 7.26-7.32(4H,m), 7.48-7.63(3H,m), 7.71(1H,dd,J=7.3,1.7Hz), 7.94(1H,d,J=8.3Hz), 8.53-8.59(1H,m), 11.62-11.70(1H,broad), 13.54-13.62(1H,broad).
2-(3-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0(1H,dd,J=8.3,1.2Hz), 7.16-7.22(1H,m), 7.25-7.31(4H,m), 7.64(1H,t,J=7.8Hz), 7.72-7.75(1H,m), 7.91(1H,d,J=7.8Hz), 7.95-7.97(2H,m), 8.58-8.61(1H,m), 12.18-12.24(1H,broad).
2-(4-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1(4H,m), 7.09(1H,dd,J=8.0,1.0Hz), 7.16-7.20(1H,m), 7.26-7.32(4H,m), 7.69(2H,d,J=8.5Hz), 7.93-7.98(3H,m), 8.61-8.63(1H,m), 12.17-12.22(1H,broad).
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4-7.22(2H,m), 7.26-7.30(4H,m), 7.93(1H,d,J=8.0Hz), 8.09(1H,d,J=8.0Hz), 8.24(1H,s), 8.28(1H,d,J=8.3Hz), 8.36-8.39(1H,m), 11.60-11.64(1H,broad).
2-(2,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2(4H,m), 7.10-7.15(1H,m), 7.16-7.22(1H,m), 7.26-7.32(4H,m), 7.61(1H,dd,J=8.4,2.1Hz), 7.75(1H,d,J=8.3Hz), 7.81(1H,d,J=2.1Hz), 7.93(1H,d,J=8.3Hz), 8.50(1H,s), 11.62-11.68(1H,broad).
4-페네틸-2-((E)-3-(피리딘-4-일)아크릴아미도)안식향산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1H-NMR(DMSO-d6)δ값 : 2.88-3.00(4H,m), 7.09(1H,dd,J=8.1,1.5Hz), 7.16-7.21(1H,m), 7.23-7.29(4H,m), 7.32(1H,d,J=15.6Hz), 7.67(1H,d,J=15.6Hz), 7.93(1H,d,J=8.1Hz), 8.00(2H,d,J=6.2Hz), 8.53(1H,d,J=1.5Hz), 8.78(2H,d,J=6.2Hz), 11.48(1H,s).
4-페네틸-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1-3.03(4H,m), 6.39(2H,t,J=2.2Hz), 7.13(1H,dd,J=8.1,1.6Hz), 7.16-7.31(5H,m), 7.58(2H,t,J=2.2Hz), 7.97(1H,d,J=8.1Hz), 8.44(1H,t,J=2.3Hz), 8.57(1H,d,J=1.6Hz), 8.96(1H,d,J=2.3Hz), 9.16(1H,d,J=2.3Hz), 12.20(1H,s).
4-페네틸-2-(2-(피롤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80-1.89(4H,m), 2.88-3.01(4H,m), 3.32-3.42(4H,m), 6.72(1H,dd,J=7.4,4.8Hz), 7.08(1H,dd,J=8.2,1.7Hz), 7.15-7.22(1H,m), 7.24-7.31(4H,m), 7.78(1H,dd,J=7.4,1.9Hz), 7.92(1H,d,J=8.2Hz), 8.22(1H,dd,J=4.8,1.9Hz), 8.57(1H,s), 11.58(1H,s).
실시예27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5
2-(4-니트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7.0mg의 메탄올 1.0mL 및 아세트산에틸 2.0mL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2.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담황색고체의 2-(4-아미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4.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80-2.96(4H,m), 5.55-5.91(2H,broad), 6.61(2H,d,J=8.6Hz), 6.81(1H,dd,J=8.0,1.6Hz), 7.15-7.20(1H,m), 7.24-7.31(4H,m), 7.74(2H,d,J=8.6Hz), 7.89(1H,d,J=8.0Hz), 8.61(1H,d,J=1.6Hz).
실시예27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6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0.15g의 톨루엔 3.0mL용액에, 실온에서 피리딘 0.061mL 및 2,6-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86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8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91-3.02(4H,m), 7.15-7.22(2H,m), 7.26-7.30(4H,m), 7.53-7.57(1H,m), 7.61-7.64(2H,m), 7.64(1H,d,J=1.7Hz), 7.94(1H,d,J=8.0Hz), 8.48-8.50(1H,broad), 11.56-11.62(1H,broad).
실시예28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7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0.15g의 톨루엔 3.0mL용액에, 실온에서 피리딘 0.090mL 및 2,6-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0.12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피리딘 0.023mL 및 2,6-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4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0.10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46-7.65(7H,m), 7.73(2H,d,J=7.8Hz), 8.12(1H,d,J=8.3Hz), 8.87-8.89(1H,broad), 11.62-11.68(1H,broad), 13.76-13.88(1H,broad).
실시예28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8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0.15g의 톨루엔 3.0mL용액에, 실온에서 피리딘 0.084mL 및 2,6-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0.1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피리딘 0.021mL 및 2,6-디클로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7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6-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7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9(1H,dd,J=8.9,2.1Hz), 7.19-7.23(2H,m), 7.26-7.32(1H,m), 7.48-7.57(3H,m), 7.61-7.65(2H,m), 8.05(1H,d,J=8.9Hz), 8.24-8.28(1H,m).
실시예28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29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63mL 및 2-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4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0.51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6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39-7.50(3H,m), 7.52-7.59(3H,m), 7.65-7.76(3H,m), 7.96(1H,td,J=7.8,1.8Hz), 8.13(1H,d,J=8.3Hz), 9.07(1H,d,J=1.7Hz), 12.00-12.10(1H,broad), 13.65-13.85(1H,broad).
실시예283 ~319
실시예282와 동일하게 하여, 표33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0
2-(3-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49(1H,m), 7.51-7.58(4H,m), 7.65-7.72(1H,m), 7.72-7.77(3H,m), 7.81-7.85(1H,m), 8.14(1H,d,J=8.3Hz), 9.02(1H,d,J=1.7Hz), 12.25(1H,s).
2-(4-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3-7.59(6H,m), 7.71-7.77(2H,m), 8.02-8.09(2H,m), 8.14(1H,d,J=8.3Hz), 9.04(1H,d,J=1.7Hz), 12.24(1H,s), 13.75-13.95(1H,broad).
2-(2,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2(1H,td,J=8.4,2.4Hz), 7.44-7.58(5H,m), 7.70-7.76(2H,m), 8.04(1H,td,J=8.8,6.6Hz), 8.13(1H,d,J=8.3Hz), 9.04(1H,d,J=2.0Hz), 12.02-12.06(1H,m), 13.77(1H,s).
2-(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8-7.35(2H,m), 7.44-7.50(1H,m), 7.52-7.61(3H,m), 7.62-7.78(3H,m), 8.12(1H,d,J=8.3Hz), 8.90(1H,s), 11.86(1H,s), 13.70-13.95(1H,broad).
2-(2-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8(3H,s), 7.33-7.39(2H,m), 7.43-7.50(2H,m), 7.50-7.59(3H,m), 7.62-7.66(1H,m), 7.71-7.76(2H,m), 8.11(1H,d,J=8.3Hz), 9.03(1H,d,J=1.7Hz), 11.69(1H,s), 13.71(1H,s).
2-(3-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3(3H,s), 7.44-7.58(6H,m), 7.71-7.83(4H,m), 8.14(1H,d,J=8.0Hz), 9.09(1H,d,J=1.7Hz), 12.27(1H,s), 13.80-13.95(1H,broad).
2-(4-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1(3H,s), 7.40-7.58(6H,m), 7.72-7.75(2H,m), 7.89(2H,d,J=8.3Hz), 8.14(1H,d,J=8.3Hz), 9.09(1H,d,J=1.7Hz), 12.24(1H,s), 13.75-13.90(1H,broad).
4-페닐-2-(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4,1.5Hz), 7.52-7.60(3H,m), 7.70-7.94(6H,m), 8.12(1H,d,J=8.3Hz), 8.88(1H,s), 11.69(1H,s), 13.65-13.85(1H,broad).
4-페닐-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3,1.5Hz), 7.52-7.58(3H,m), 7.72-7.77(2H,m), 7.86-7.91(1H,m), 8.05(1H,d,J=8.1Hz), 8.14(1H,d,J=8.3Hz), 8.27-8.32(2H,m), 9.01(1H,d,J=2.0Hz), 12.38(1H,s), 13.80-14.05(1H,broad).
4-페닐-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6,1.5Hz), 7.52-7.59(3H,m), 7.72-7.77(2H,m), 8.01(2H,d,J=8.3Hz), 8.12-8.22(3H,m), 9.02(1H,d,J=1.7Hz), 12.34(1H,s).
2-(3,4-디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2(3H,s), 2.33(3H,s), 7.37(1H,d,J=7.8Hz), 7.44-7.58(4H,m), 7.69-7.79(4H,m), 8.13(1H,d,J=8.3Hz), 9.09(1H,d,J=2.0Hz), 12.25(1H,s), 13.75-13.95(1H,broad).
2-(2,3-디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1(3H,s), 2.33(3H,s), 7.24(1H,t,J=7.6Hz), 7.34(1H,d,J=7.6Hz), 7.41(1H,d,J=7.6Hz), 7.44-7.58(4H,m), 7.71-7.75(2H,m), 8.11(1H,d,J=8.3Hz), 9.03(1H,s), 11.60(1H,s), 13.60-13.80(1H,broad).
2-(6-모르폴리노피리딘-3-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60-3.75(8H,m), 7.00(1H,d,J=9.0Hz), 7.43-7.58(4H,m), 7.70-7.75(2H,m), 8.04(1H,dd,J=9.0,2.5Hz), 8.12(1H,d,J=8.3Hz), 8.75(1H,d,J=2.5Hz), 9.06(1H,d,J=1.7Hz), 12.80(1H,s), 13.70-13.90(1H,broad).
2-(시클로헥산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14-1.52(5H,m), 1.60-1.71(1H,m), 1.72-1.81(2H,m), 1.88-1.99(2H,m), 2.30-2.39(1H,m), 7.41-7.56(4H,m), 7.65-7.71(2H,m), 8.06(1H,d,J=8.3Hz), 8.09(1H,d,J=1.7Hz), 11.28(1H,s), 13.61(1H,s).
4-페닐-2-(2-페닐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0(2H,s), 7.26-7.54(9H,m), 7.64-7.69(2H,m), 8.03(1H,d,J=8.3Hz), 8.87(1H,d,J=1.7Hz), 11.23(1H,s), 13.55-13.75(1H,broad).
2-(신남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94(1H,d,J=15.6Hz), 7.41-7.57(7H,m), 7.66(1H,d,J=15.6Hz), 7.69-7.78(4H,m), 8.10(1H,d,J=8.3Hz), 8.98(1H,d,J=1.7Hz), 11.42(1H,s), 13.55-13.75(1H,broad).
2-(2-페녹시아세트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77(2H,s), 7.03(1H,t,J=7.3Hz), 7.09-7.15(2H,m), 7.33-7.40(2H,m), 7.43-7.57(4H,m), 7.67-7.73(2H,m), 8.10(1H,d,J=8.3Hz), 9.06(1H,d,J=1.7Hz), 12.26(1H,s), 13.82(1H,s).
2-(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7(1H,dd,J=3.5,1.7Hz), 7.30(1H,dd,J=3.5,0.6Hz), 7.44-7.57(4H,m), 7.69-7.75(2H,m), 8.02(1H,dd,J=1.7,0.6Hz), 8.13(1H,d,J=8.3Hz), 9.03(1H,d,J=2.0Hz), 12.26(1H,s), 13.79(1H,s).
4-페닐-2-(티오펜-2-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0(1H,dd,J=5.0,3.8Hz), 7.44-7.50(1H,m), 7.50-7.58(3H,m), 7.70-7.76(2H,m), 7.78(1H,dd,J=3.8,1.1Hz), 7.96(1H,dd,J=5.0,1.1Hz), 8.13(1H,d,J=8.3Hz), 8.94(1H,d,J=1.7Hz), 12.23(1H,s), 13.80-14.00(1H,broad).
2-(벤조[1,3]디옥솔-5-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17(2H,s), 7.13(1H,d,J=8.1Hz), 7.43-7.59(6H,m), 7.70-7.76(2H,m), 8.13(1H,d,J=8.3Hz), 9.05(1H,d,J=2.0Hz), 12.14(1H,s), 13.70-13.95(1H,broad).
2-(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28-4.39(4H,m), 7.07(1H,d,J=8.3Hz), 7.43-7.57(6H,m), 7.70-7.75(2H,m), 8.13(1H,d,J=8.3Hz), 9.07(1H,d,J=1.7Hz), 12.16(1H,s), 13.70-13.90(1H,broad).
2-(벤조티오펜-5-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58(4H,m), 7.65(1H,d,J=5.4Hz), 7.72-7.78(2H,m), 7.92-7.97(2H,m), 8.15(1H,d,J=8.3Hz), 8.25(1H,d,J=8.5Hz), 8.53(1H,d,J=1.5Hz), 9.11(1H,d,J=1.7Hz), 12.37(1H,s).
2-(1-메틸-1H-벤조트리아졸-5-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39(3H,s), 7.45-7.51(1H,m), 7.53-7.59(3H,m), 7.73-7.78(2H,m), 8.07(1H,d,J=8.8Hz), 8.16(2H,d,J=8.1Hz), 8.66(1H,s), 9.07(1H,d,J=1.7Hz), 12.37(1H,s).
2-(3-니트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8(1H,tt,J=7.3,1.5Hz), 7.52-7.61(3H,m), 7.72-7.78(2H,m), 7.93(1H,t,J=8.0Hz), 8.15(1H,d,J=8.3Hz), 8.41(1H,ddd,J=8.0,1.5,1.0Hz), 8.51(1H,ddd,J=8.1,2.4,1.0Hz), 8.78-8.80(1H,m), 8.98-9.00(1H,m), 12.42(1H,s).
2-(벤조푸란-5-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16(1H,dd,J=2.2,1.0Hz), 7.47(1H,tt,J=7.4,1.5Hz), 7.50-7.59(3H,m), 7.72-7.78(2H,m), 7.83(1H,d,J=8.5Hz), 7.96(1H,dd,J=8.7,1.7Hz), 8.12-8.19(2H,m), 8.33(1H,d,J=1.7Hz), 9.10(1H,d,J=1.7Hz), 12.31(1H,s).
2-(벤조티아졸-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6-7.51(1H,m), 7.53-7.79(7H,m), 8.16-8.22(2H,m), 8.29-8.32(1H,m), 9.10(1H,d,J=1.7Hz), 13.04(1H,s).
2-(벤조티오펜-3-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61(6H,m), 7.73-7.80(2H,m), 8.11-8.18(2H,m), 8.51-8.55(1H,m), 8.56(1H,s), 9.04(1H,d,J=2.0Hz), 12.09(1H,s).
2-(벤조푸란-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7-7.48(1H,m), 7.48(1H,tt,J=7.4,1.5Hz), 7.52-7.59(4H,m), 7.69-7.78(4H,m), 7.86(1H,d,J=7.8Hz), 8.16(1H,d,J=8.3Hz), 9.08(1H,d,J=1.7Hz), 12.61(1H,s).
2-(벤조티오펜-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59(6H,m), 7.71-7.78(2H,m), 8.06-8.18(4H,m), 8.95(1H,d,J=1.5Hz), 12.43(1H,s).
4-페닐-2-(1-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09(1H,d,J=2.0Hz), 7.41-7.55(9H,m), 7.64-7.69(2H,m), 7.88(1H,d,J=2.0Hz), 8.12(1H,d,J=8.3Hz), 8.77(1H,d,J=1.7Hz), 12.12(1H,s).
2-(2,2-디페닐아세트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5.34(1H,s), 7.28(1H,tt,J=7.2,1.7Hz), 7.33-7.54(13H,m), 7.65-7.71(2H,m), 8.02(1H,d,J=8.3Hz), 8.92(1H,d,J=1.7Hz), 11.42(1H,s), 13.50-13.70(1H,broad).
2-(2-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65(7H,m), 7.71-7.78(3H,m), 8.12(1H,d,J=8.3Hz), 8.97(1H,s), 11.72(1H,s).
2-(3-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50(1H,m), 7.52-7.59(3H,m), 7.66(1H,t,J=7.9Hz), 7.71-7.78(3H,m), 7.92-7.96(1H,m), 7.99(1H,t,J=1.8Hz), 8.14(1H,d,J=8.0Hz), 9.00(1H,d,J=2.0Hz), 12.27(1H,s).
2-(4-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4,1.6Hz), 7.52-7.59(3H,m), 7.68-7.77(4H,m), 7.97-8.02(2H,m), 8.14(1H,d,J=8.3Hz), 9.02-9.04(1H,m), 12.25(1H,s).
2-(2,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3,1.5Hz), 7.52-7.59(3H,m), 7.63(1H,dd,J=8.3,2.0Hz), 7.70-7.76(2H,m), 7.79(1H,d,J=8.3Hz), 7.83(1H,d,J=2.0Hz), 8.11(1H,d,J=8.3Hz), 8.91(1H,s), 11.72(1H,s).
4-페닐-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4,1.6Hz), 7.53-7.57(2H,m), 7.60(1H,dd,J=8.3,1.7Hz), 7.70-7.76(2H,m), 8.10-8.15(2H,m), 8.25(1H,s), 8.28-8.33(1H,m), 8.76(1H,d,J=1.4Hz), 11.69(1H,s).
4-페닐-2-(3-페닐프로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76(2H,t,J=7.6Hz), 2.97(2H,t,J=7.6Hz), 7.16-7.22(1H,m), 7.26-7.31(4H,m), 7.42-7.48(2H,m), 7.50-7.56(2H,m), 7.65-7.71(2H,m), 8.05(1H,d,J=8.3Hz), 8.85(1H,d,J=2.0Hz), 11.23(1H,s), 13.55-13.75(1H,broad).
실시예32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1
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복실산(carboxylic acid) 6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3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3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 염화메틸렌 3.7mL 및 트리에틸아민 0.22mL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여, 감합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8: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녹시-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녹시-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6.5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녹시-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2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47-1.70(6H,m), 3.62-3.70(4H,m), 6.73(1H,dd,J=9.0,2.6Hz), 6.93(1H,d,J=9.2Hz), 7.15-7.18(2H,m), 7.25-7.30(1H,m), 7.45-7.52(2H,m), 7.91(1H,dd,J=9.2,2.6Hz), 8.05(1H,d,J=9.0Hz), 8.38(1H,d,J=2.6Hz), 8.63(1H,d,J=2.6Hz), 12.22(1H,s).
실시예32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2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9mL 및 2-플루오로벤조일클로라이드 0.037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0.48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3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9(1H,dd,J=8.9,2.5Hz), 7.16-7.21(2H,m), 7.25-7.31(1H,m), 7.35-7.53(4H,m), 7.63-7.69(1H,m), 7.88(1H,td,J=7.8,1.8Hz), 8.06(1H,d,J=8.9Hz), 8.41(1H,d,J=2.5Hz), 12.15-12.19(1H,broad), 13.50-13.70(1H,broad).
실시예322 ~344
실시예321과 동일하게 하여, 표34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3
4-페녹시-2-(2-(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7(1H,dd,J=8.8,2.4Hz), 7.19(2H,d,J=7.8Hz), 7.28(1H,t,J=7.4Hz), 7.46-7.53(2H,m), 7.74-7.87(3H,m), 7.89(1H,d,J=8.1Hz), 8.04(1H,d,J=8.8Hz), 8.27(1H,d,J=2.4Hz), 11.82(1H,s), 13.60(1H,s).
4-페녹시-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9,2.5Hz), 7.16-7.22(2H,m), 7.26-7.32(1H,m), 7.47-7.53(2H,m), 7.98(2H,d,J=8.3Hz), 8.06-8.14(3H,m), 8.37(1H,d,J=2.5Hz), 12.51(1H,s), 13.65-13.85(1H,broad).
2-(2-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2(3H,s), 6.75(1H,dd,J=8.9,2.7Hz), 7.16-7.21(2H,m), 7.25-7.36(3H,m), 7.41-7.52(3H,m), 7.56-7.60(1H,m), 8.05(1H,d,J=8.9Hz), 8.39(1H,d,J=2.7Hz), 11.82(1H,s), 13.45-13.65(1H,broad).
2-(3-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40(3H,s), 6.77(1H,dd,J=8.8,2.7Hz), 7.16-7.21(2H,m), 7.26-7.31(1H,m), 7.44-7.53(4H,m), 7.68-7.74(1H,m), 7.74(1H,s), 8.07(1H,d,J=8.8Hz), 8.41(1H,d,J=2.7Hz), 12.41(1H,s), 13.71(1H,s).
2-(4-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9(3H,s), 6.76(1H,dd,J=8.9,2.6Hz), 7.15-7.21(2H,m), 7.26-7.31(1H,m), 7.39(2H,d,J=8.2Hz), 7.46-7.52(2H,m), 7.82(2H,d,J=8.2Hz), 8.07(1H,d,J=8.9Hz), 8.41(1H,d,J=2.6Hz), 12.38(1H,s), 13.67(1H,s).
2-(4-니트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2(1H,dd,J=8.9,2.5Hz), 7.16-7.21(2H,m), 7.26-7.32(1H,m), 7.46-7.53(2H,m), 8.09(1H,d,J=8.9Hz), 8.12-8.17(2H,m), 8.35(1H,d,J=2.5Hz), 8.40-8.45(2H,m), 12.53(1H,s), 13.65-13.90(1H,broad).
2-(3,4-디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0(6H,s), 6.75(1H,dd,J=8.9,2.7Hz), 7.15-7.20(2H,m), 7.25-7.31(1H,m), 7.34(1H,d,J=7.8Hz), 7.45-7.53(2H,m), 7.64(1H,dd,J=7.8,1.9Hz), 7.71(1H,d,J=1.9Hz), 8.06(1H,d,J=8.9Hz), 8.42(1H,d,J=2.7Hz), 12.38(1H,s), 13.69(1H,s).
2-(2,3-디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7(3H,s), 2.29(3H,s), 6.75(1H,dd,J=8.8,2.6Hz), 7.16-7.38(6H,m), 7.46-7.52(2H,m), 8.04(1H,d,J=8.8Hz), 8.40(1H,d,J=2.6Hz), 11.73(1H,s), 13.53(1H,s).
2-(6-모르폴리노피리딘-3-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57-3.75(8H,m), 6.75(1H,dd,J=9.0,2.6Hz), 6.96(1H,d,J=9.0Hz), 7.13-7.22(2H,m), 7.24-7.31(1H,m), 7.45-7.53(2H,m), 7.97(1H,dd,J=9.0,2.4Hz), 8.05(1H,d,J=9.0Hz), 8.37(1H,d,J=2.6Hz), 8.67(1H,d,J=2.4Hz), 12.23(1H,s), 13.64(1H,s).
4-페녹시-2-(2-페닐아세트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73(2H,s), 6.69(1H,dd,J=8.8,2.5Hz), 7.12(2H,d,J=7.6Hz), 7.22-7.38(6H,m), 7.43-7.49(2H,m), 7.96(1H,d,J=8.8Hz), 8.21(1H,d,J=2.5Hz), 11.35(1H,s), 13.45(1H,s).
2-(3-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8,2.7Hz), 7.16-7.21(2H,m), 7.26-7.31(1H,m), 7.46-7.55(3H,m), 7.62-7.70(2H,m), 7.74-7.78(1H,m), 8.08(1H,d,J=8.8Hz), 8.35(1H,d,J=2.7Hz), 12.42(1H,s), 13.60-13.85(1H,broad).
2-(2,6-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4Hz), 7.19(2H,d,J=7.8Hz), 7.24-7.34(3H,m), 7.46-7.54(2H,m), 7.61-7.70(1H,m), 8.05(1H,d,J=8.8Hz), 8.25-8.29(1H,m), 11.99(1H,s), 13.50-13.80(1H,broad).
4-페녹시-2-(3-(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4Hz), 7.16-7.21(2H,m), 7.26-7.32(1H,m), 7.46-7.53(2H,m), 7.85(1H,t,J=8.0Hz), 8.03(1H,d,J=7.8Hz), 8.08(1H,d,J=8.8Hz), 8.18-8.24(2H,m), 8.35(1H,d,J=2.4Hz), 12.54(1H,s).
2-(3-니트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4Hz), 7.17-7.21(2H,m), 7.26-7.33(1H,m), 7.46-7.54(2H,m), 7.89(1H,t,J=7.9Hz), 8.08(1H,d,J=8.8Hz), 8.30-8.37(2H,m), 8.46-8.50(1H,m), 8.71(1H,s), 12.62(1H,s), 13.70-14.00(1H,broad).
2-(2-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9(1H,dd,J=8.9,2.4Hz), 7.16-7.22(2H,m), 7.26-7.32(1H,m), 7.46-7.63(5H,m), 7.69(1H,dd,J=7.4,1.6Hz), 8.05(1H,d,J=8.9Hz), 8.30-8.34(1H,m), 11.86(1H,s), 13.50-13.75(1H,broad).
2-(3-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9(1H,dd,J=8.8,2.4Hz), 7.16-7.21(2H,m), 7.25-7.31(1H,m), 7.45-7.53(2H,m), 7.60-7.65(1H,m), 7.69-7.76(1H,m), 7.84-7.95(2H,m), 8.07(1H,d,J=8.8Hz), 8.34(1H,d,J=2.4Hz), 12.43(1H,s).
2-(4-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8(1H,dd,J=8.9,2.6Hz), 7.16-7.21(2H,m), 7.26-7.32(1H,m), 7.46-7.52(2H,m), 7.64-7.70(2H,m), 7.88-7.95(2H,m), 8.07(1H,d,J=8.9Hz), 8.36(1H,d,J=2.6Hz), 12.42(1H,s).
2-(2,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8,2.7Hz), 7.18(2H,d,J=7.8Hz), 7.28(1H,t,J=7.4Hz), 7.45-7.53(2H,m), 7.60(1H,dd,J=8.3,2.2Hz), 7.74(1H,d,J=8.3Hz), 7.81(1H,d,J=1.9Hz), 8.05(1H,d,J=8.8Hz), 8.26-8.28(1H,m), 11.88(1H,s), 13.45-13.80(1H,broad).
2-(벤조티오펜-5-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8(1H,dd,J=8.8,2.7Hz), 7.17-7.22(2H,m), 7.27-7.32(1H,m), 7.47-7.53(2H,m), 7.62(1H,d,J=5.4Hz), 7.87(1H,dd,J=8.4,1.7Hz), 7.93(1H,d,J=5.4Hz), 8.09(1H,d,J=8.8Hz), 8.22(1H,d,J=8.4Hz), 8.44(1H,d,J=2.7Hz), 8.47(1H,d,J=1.7Hz), 12.52(1H,s).
2-(벤조티오펜-2-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8,2.6Hz), 7.17-7.22(2H,m), 7.26-7.32(1H,m), 7.46-7.56(4H,m), 8.04-8.12(4H,m), 8.28(1H,d,J=2.6Hz), 12.57(1H,s), 13.65-13.90(1H,broad).
4-페녹시-2-(1-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3(1H,dd,J=8.9,2.7Hz), 7.04(1H,d,J=2.1Hz), 7.10-7.15(2H,m), 7.20-7.25(1H,m), 7.40-7.48(7H,m), 7.86(1H,d,J=2.1Hz), 8.04(1H,d,J=8.9Hz), 8.13(1H,d,J=2.7Hz), 12.22(1H,s).
4-페녹시-2-(2,4-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9,2.3Hz), 7.19(2H,d,J=7.8Hz), 7.26-7.31(1H,m), 7.45-7.53(2H,m), 8.05(1H,d,J=8.9Hz), 8.09(1H,d,J=7.9Hz), 8.19(1H,d,J=2.3Hz), 8.23(1H,s), 8.27(1H,d,J=7.9Hz), 11.86(1H,s).
4-페녹시-2-(3-페닐프로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69(2H,t,J=7.7Hz), 2.90(2H,t,J=7.7Hz), 6.69(1H,dd,J=8.9,2.5Hz), 7.11-7.21(3H,m), 7.21-7.31(5H,m), 7.43-7.50(2H,m), 7.98(1H,d,J=8.9Hz), 8.21(1H,d,J=2.5Hz), 11.36(1H,s), 13.40-13.60(1H,broad).
실시예34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4
3,4-디메톡시계피산 6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3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3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54mg, 염화메틸렌 3.7mL 및 트리에틸아민 0.22mL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E)-tert-부틸=2-(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E)-tert-부틸=2-(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E)-2-(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81(3H,s), 3.85(3H,s), 6.84(1H,d,J=15.5Hz), 7.01(1H,d,J=8.3Hz), 7.26(1H,dd,J=8.4,1.7Hz), 7.40(1H,d,J=1.5Hz), 7.43-7.57(4H,m), 7.59(1H,d,J=15.5Hz), 7.71(2H,d,J=7.8Hz), 8.09(1H,d,J=8.4Hz), 9.00(1H,d,J=1.7Hz), 11.37(1H,s), 13.50-13.75(1H,broad).
실시예346 ~367
실시예345와 동일하게 하여, 표35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5
4-페닐-2-((E)-3-(피리딘-4-일)아크릴아미도)안식향산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1H-NMR(DMSO-d6)δ값 : 7.40(1H,d,J=15.6Hz), 7.47(1H,tt,J=7.3,1.5Hz), 7.51-7.58(3H,m), 7.68-7.75(3H,m), 8.07(2H,d,J=6.1Hz), 8.11(1H,d,J=8.3Hz), 8.82(2H,d,J=6.1Hz), 8.96(1H,d,J=1.7Hz), 11.56(1H,s).
2-(3-메틸피리딘-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71(3H,s), 7.44-7.61(5H,m), 7.72-7.77(2H,m), 7.85-7.88(1H,m), 8.12(1H,d,J=8.0Hz), 8.56-8.59(1H,m), 9.20(1H,d,J=1.7Hz), 13.09(1H,s), 13.45-13.70(1H,broad).
4-페닐-2-(3-페닐프로피올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56-6.70(1H,m), 7.21(1H,d,J=7.8Hz), 7.27-7.32(2H,m), 7.34-7.41(3H,m), 7.61-7.70(3H,m), 7.88-7.92(2H,m), 8.42(1H,d,J=7.8Hz).
4-페닐-2-(6-페닐피리미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50(1H,m), 7.54-7.66(6H,m), 7.74-7.79(2H,m), 8.17(1H,d,J=8.3Hz), 8.30-8.38(2H,m), 8.67(1H,d,J=1.2Hz), 9.24(1H,d,J=1.7Hz), 9.49(1H,d,J=1.2Hz), 13.24(1H,s).
4-페닐-2-(5-페닐-1H-피라졸-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8-7.55(8H,m), 7.67-7.75(4H,m), 8.08(1H,d,J=8.3Hz), 8.95(1H,d,J=1.4Hz), 11.65-11.80(1H,broad), 12.82-12.90(1H,broad).
4-페닐-2-(3-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5(1H,s), 7.38-7.59(7H,m), 7.71-7.77(2H,m), 7.83-7.89(2H,m), 8.13(1H,d,J=8.0Hz), 9.17(1H,s), 12.45(1H,s), 14.01(1H,s).
4-페닐-2-(3-페닐이속사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51(1H,m), 7.53-7.63(7H,m), 7.74(2H,d,J=7.8Hz), 7.98-8.05(2H,m), 8.16(1H,d,J=8.3Hz), 9.05(1H,d,J=1.7Hz), 12.56(1H,s), 13.75-14.10(1H,broad).
2-(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3(3H,s), 7.43-7.50(2H,m), 7.51-7.59(3H,m), 7.67(1H,t,J=7.9Hz), 7.70-7.77(3H,m), 7.85-7.90(1H,m), 8.14(1H,d,J=8.3Hz), 9.03(1H,d,J=1.7Hz), 12.27(1H,s), 13.75-14.05(1H,broad).
2-(4-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3(3H,s), 7.36-7.42(2H,m), 7.47(1H,tt,J=7.3,1.5Hz), 7.51-7.59(3H,m), 7.71-7.77(2H,m), 8.00-8.06(2H,m), 8.14(1H,d,J=8.3Hz), 9.06(1H,d,J=2.0Hz), 12.25(1H,s), 13.75-13.95(1H,broad).
2-((E)-3-(4-아세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9(3H,s), 6.92(1H,d,J=15.7Hz), 7.21(2H,d,J=8.7Hz), 7.43-7.58(4H,m), 7.66(1H,d,J=15.7Hz), 7.68-7.75(2H,m), 7.81(2H,d,J=8.7Hz), 8.10(1H,d,J=8.3Hz), 8.98(1H,d,J=1.7Hz), 11.43(1H,s), 13.50-13.80(1H,broad).
2-((E)-3-(3-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2(3H,s), 6.96(1H,d,J=15.6Hz), 6.97-7.04(1H,m), 7.28-7.39(3H,m), 7.43-7.58(4H,m), 7.62(1H,d,J=15.6Hz), 7.71(2H,d,J=8.0Hz), 8.09(1H,d,J=8.3Hz), 8.97(1H,d,J=1.7Hz), 11.45(1H,s).
2-((E)-3-(4-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98(1H,d,J=15.7Hz), 7.46(1H,tt,J=7.3,1.5Hz), 7.48-7.57(5H,m), 7.64(1H,d,J=15.7Hz), 7.69-7.74(2H,m), 7.77-7.83(2H,m), 8.10(1H,d,J=8.3Hz), 8.98(1H,d,J=2.0Hz), 11.43(1H,s), 13.55-13.80(1H,broad).
2-((E)-3-(3-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08(1H,d,J=15.6Hz), 7.43-7.57(6H,m), 7.63(1H,d,J=15.6Hz), 7.69-7.75(3H,m), 7.92(1H,s), 8.10(1H,d,J=8.0Hz), 8.98(1H,d,J=2.0Hz), 11.42(1H,s), 13.55-13.85(1H,broad).
2-((E)-3-(3,4-디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12(1H,d,J=15.6Hz), 7.46(1H,tt,J=7.3,1.5Hz), 7.48-7.57(3H,m), 7.63(1H,d,J=15.6Hz), 7.68-7.74(3H,m), 7.77(1H,dd,J=8.5,2.0Hz), 8.10(1H,d,J=8.3Hz), 8.14(1H,d,J=2.0Hz), 8.99(1H,d,J=1.7Hz), 11.43(1H,s), 13.55-13.80(1H,broad).
2-((E)-3-(벤조[1,3]디옥솔-5-일)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10(2H,s), 6.81(1H,d,J=15.6Hz), 6.98(1H,d,J=8.1Hz), 7.21(1H,dd,J=8.1,1.7Hz), 7.43-7.51(3H,m), 7.51-7.61(3H,m), 7.68-7.74(2H,m), 8.09(1H,d,J=8.1Hz), 9.00(1H,d,J=1.9Hz), 11.37(1H,s), 13.55-13.75(1H,broad).
4-페닐-2-((E)-3-(티오펜-2-일)아크릴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0(1H,d,J=15.4Hz), 7.17(1H,dd,J=5.1,3.6Hz), 7.43-7.58(5H,m), 7.68-7.74(3H,m), 7.80(1H,d,J=15.4Hz), 8.08(1H,d,J=8.3Hz), 8.90(1H,d,J=1.7Hz), 11.30(1H,s).
2-(4-모르폴리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27-3.31(4H,m), 3.74-3.77(4H,m), 7.10(2H,d,J=9.0Hz), 7.43-7.51(2H,m), 7.51-7.58(2H,m), 7.71-7.76(2H,m), 7.86(2H,d,J=9.0Hz), 8.12(1H,d,J=8.3Hz), 9.12(1H,d,J=1.7Hz), 12.16(1H,s).
2-(2-(4-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03(2H,s), 7.42-7.54(4H,m), 7.64-7.71(4H,m), 8.04(1H,d,J=8.3Hz), 8.22-8.27(2H,m), 8.82(1H,d,J=1.7Hz), 11.18(1H,s).
2-((E)-3-(3-니트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3(1H,d,J=15.9Hz), 7.43-7.58(4H,m), 7.69-7.81(4H,m), 8.10(1H,d,J=8.3Hz), 8.20-8.28(2H,m), 8.63(1H,t,J=1.8Hz), 8.98(1H,d,J=1.7Hz), 11.52(1H,s).
2-((E)-3-(4-니트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0(1H,d,J=15.6Hz), 7.46(1H,tt,J=7.3,1.6Hz), 7.50-7.57(3H,m), 7.69-7.79(3H,m), 8.02-8.07(2H,m), 8.10(1H,d,J=8.3Hz), 8.26-8.32(2H,m), 8.97(1H,d,J=1.7Hz), 11.50(1H,s).
4-페닐-2-(4-페닐부탄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91-2.01(2H,m), 2.44(2H,t,J=7.3Hz), 2.66(2H,t,J=7.7Hz), 7.15-7.33(5H,m), 7.42-7.48(2H,m), 7.49-7.56(2H,m), 7.66-7.71(2H,m), 8.06(1H,d,J=8.3Hz), 8.86(1H,d,J=1.9Hz), 11.22(1H,s), 13.55-13.75(1H,broad).
4-페닐-2-((E)-4-페닐-3-부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40(2H,dd,J=7.3,1.2Hz), 6.45(1H,dt,J=15.9,7.3Hz), 6.68(1H,d,J=15.9Hz), 7.25(1H,tt,J=7.3,1.5Hz), 7.32-7.37(2H,m), 7.41-7.55(6H,m), 7.65-7.71(2H,m), 8.05(1H,d,J=8.3Hz), 8.89(1H,d,J=2.0Hz), 11.28(1H,s).
실시예36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6
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복실산 6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3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3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54mg, 염화메틸렌 3.7mL 및 트리에틸아민 0.22mL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닐-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닐-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6.5로 조정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닐-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5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50-1.70(6H,m), 3.65-3.72(4H,m), 6.99(1H,d,J=9.3Hz), 7.43-7.58(4H,m), 7.70-7.76(2H,m), 7.99(1H,dd,J=9.3,2.6Hz), 8.12(1H,d,J=8.3Hz), 8.70(1H,d,J=2.6Hz), 9.07(1H,d,J=1.7Hz), 12.05(1H,s).
실시예36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7
3,4-디메톡시계피산 6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3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3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 염화메틸렌 3.7mL 및 트리에틸아민 0.22mL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E)-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E)-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E)-2-(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80(3H,s), 3.83(3H,s), 6.69-6.81(2H,m), 6.99(1H,d,J=8.5Hz), 7.14-7.20(2H,m), 7.22-7.31(2H,m), 7.38(1H,s), 7.45-7.51(2H,m), 7.54(1H,d,J=15.6Hz), 8.03(1H,d,J=8.8Hz), 8.38(1H,d,J=2.4Hz), 11.50(1H,s), 13.40-13.60(1H,broad).
실시예370 -387
실시예369와 동일하게 하여, 표36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8
4-페녹시-2-((E)-3-(피리딘-4-일)아크릴아미도)안식향산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염
1H-NMR(DMSO-d6)δ값 : 6.78(1H,dd,J=8.8,2.6Hz), 7.15-7.20(2H,m), 7.23-7.32(2H,m), 7.45-7.53(2H,m), 7.65(1H,d,J=15.6Hz), 7.94(2H,d,J=6.4Hz), 8.05(1H,d,J=8.8Hz), 8.34(1H,d,J=2.6Hz), 8.75(2H,d,J=5.1Hz), 11.68(1H,s).
4-페녹시-2-(5-(티오펜-2-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3(1H,dd,J=8.8,2.6Hz), 7.17-7.23(2H,m), 7.25(1H,dd,J=5.1,3.7Hz), 7.27-7.33(1H,m), 7.47-7.54(2H,m), 7.75(1H,dd,J=5.1,1.1Hz), 7.78(1H,dd,J=3.7,1.1Hz), 8.09(1H,d,J=8.8Hz), 8.34(1H,d,J=2.6Hz), 8.43(1H,t,J=2.2Hz), 8.98(1H,d,J=2.2Hz), 9.14(1H,d,J=2.2Hz), 12.51(1H,s).
4-페녹시-2-(6-페닐피리미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5(1H,dd,J=8.8,2.4Hz), 7.19-7.25(2H,m), 7.31(1H,t,J=7.5Hz), 7.48-7.55(2H,m), 7.57-7.64(3H,m), 8.10(1H,d,J=8.8Hz), 8.33(2H,dd,J=8.0,1.7Hz), 8.52(1H,d,J=2.4Hz), 8.60(1H,d,J=1.2Hz), 9.45(1H,d,J=1.2Hz), 13.33(1H,s), 13.35-13.75(1H,broad).
4-페녹시-2-(5-페닐-1H-피라졸-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8(1H,dd,J=8.8,2.7Hz), 7.12-7.17(2H,m), 7.24(1H,t,J=7.4Hz), 7.32-7.52(6H,m), 7.64-7.70(2H,m), 8.00(1H,d,J=8.8Hz), 8.29(1H,d,J=2.7Hz), 11.65-12.00(1H,broad), 13.35-13.75(2H,broad).
4-페녹시-2-(3-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4(1H,dd,J=8.9,2.6Hz), 7.16-7.24(3H,m), 7.28(1H,t,J=7.4Hz), 7.40(1H,t,J=7.3Hz), 7.45-7.53(4H,m), 7.82(2H,d,J=7.6Hz), 8.05(1H,d,J=8.9Hz), 8.48-8.49(1H,m), 12.52(1H,s), 13.30-13.55(1H,broad), 13.98(1H,s).
4-페녹시-2-(3-페닐이속사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2(1H,dd,J=8.9,2.6Hz), 7.18-7.23(2H,m), 7.27-7.33(1H,m), 7.47-7.62(6H,m), 7.94-8.02(2H,m), 8.08(1H,d,J=8.9Hz), 8.38(1H,d,J=2.6Hz), 12.66(1H,s).
2-(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1(3H,s), 6.78(1H,dd,J=8.9,2.7Hz), 7.15-7.22(2H,m), 7.28(1H,t,J=7.6Hz), 7.40-7.45(1H,m), 7.46-7.53(2H,m), 7.61-7.68(2H,m), 7.79-7.81(1H,m), 8.07(1H,d,J=8.9Hz), 8.37(1H,d,J=2.7Hz), 12.43(1H,s), 13.65-13.85(1H,broad).
2-(2-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5(1H,ddd,J=8.8,2.5,0.9Hz), 6.92-7.02(2H,m), 7.14-7.19(2H,m), 7.23-7.29(1H,m), 7.39-7.51(3H,m), 7.80(1H,d,J=7.6Hz), 8.04(1H,dd,J=8.8,0.9Hz), 8.41(1H,dd,J=2.5,0.9Hz), 11.31(1H,s), 12.42(1H,s).
2-(4-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1(3H,s), 6.78(1H,dd,J=8.9,2.5Hz), 7.15-7.21(2H,m), 7.26-7.31(1H,m), 7.33-7.39(2H,m), 7.46-7.53(2H,m), 7.93-7.99(2H,m), 8.07(1H,d,J=8.9Hz), 8.39(1H,d,J=2.5Hz), 12.39(1H,s), 13.60-13.80(1H,broad).
2-((E)-3-(3-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1(3H,s), 6.74(1H,dd,J=8.8,2.6Hz), 6.88(1H,d,J=15.6Hz), 6.99(1H,dd,J=8.0,1.5Hz), 7.15-7.20(2H,m), 7.25-7.38(4H,m), 7.45-7.52(2H,m), 7.57(1H,d,J=15.6Hz), 8.03(1H,d,J=8.8Hz), 8.35(1H,d,J=2.6Hz), 11.56(1H,s), 13.40-13.60(1H,broad).
2-((E)-3-(4-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4(1H,dd,J=8.9,2.6Hz), 6.89(1H,d,J=15.6Hz), 7.15-7.20(2H,m), 7.28(1H,t,J=7.4Hz), 7.45-7.52(4H,m), 7.60(1H,d,J=15.6Hz), 7.76-7.79(2H,m), 8.03(1H,d,J=8.9Hz), 8.35(1H,d,J=2.6Hz), 11.57(1H,s), 13.40-13.65(1H,broad).
2-((E)-3-(3-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5(1H,dd,J=8.9,2.5Hz), 6.99(1H,d,J=15.6Hz), 7.14-7.20(2H,m), 7.28(1H,t,J=7.4Hz), 7.45-7.52(4H,m), 7.59(1H,d,J=15.6Hz), 7.66-7.73(1H,m), 7.90(1H,s), 8.04(1H,d,J=8.9Hz), 8.35(1H,d,J=2.5Hz), 11.59(1H,s).
2-((E)-3-(3,4-디클로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5(1H,dd,J=9.0,2.7Hz), 7.04(1H,d,J=15.6Hz), 7.15-7.21(2H,m), 7.28(1H,t,J=7.4Hz), 7.45-7.53(2H,m), 7.58(1H,d,J=15.6Hz), 7.69(1H,d,J=8.6Hz), 7.75(1H,dd,J=8.6,2.0Hz), 8.03(1H,d,J=9.0Hz), 8.12(1H,d,J=2.0Hz), 8.35(1H,d,J=2.7Hz), 11.60(1H,s).
2-((E)-3-(벤조[1,3]디옥솔-5-일)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08(2H,s), 6.68-6.77(2H,m), 6.96(1H,d,J=8.0Hz), 7.14-7.23(3H,m), 7.25-7.31(1H,m), 7.43-7.55(4H,m), 8.02(1H,d,J=9.0Hz), 8.36(1H,d,J=2.7Hz), 11.50(1H,s).
4-페녹시-2-((E)-3-(티오펜-2-일)아크릴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49(1H,d,J=15.4Hz), 6.73(1H,dd,J=9.0,2.5Hz), 7.13-7.19(3H,m), 7.25-7.30(1H,m), 7.44-7.54(3H,m), 7.71(1H,d,J=5.1Hz), 7.75(1H,d,J=15.4Hz), 8.02(1H,d,J=9.0Hz), 8.30(1H,d,J=2.5Hz), 11.50(1H,s).
2-(4-모르폴리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28(4H,t,J=4.9Hz), 3.74(4H,t,J=4.9Hz), 6.72(1H,dd,J=8.8,2.4Hz), 7.07(2H,d,J=9.0Hz), 7.14-7.20(2H,m), 7.24-7.32(1H,m), 7.45-7.52(2H,m), 7.79(2H,d,J=9.0Hz), 8.05(1H,d,J=8.8Hz), 8.43(1H,d,J=2.4Hz), 12.28(1H,s), 13.50-13.70(1H,broad).
2-(2-(4-니트로페닐)아세트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96(2H,s), 6.71(1H,dd,J=8.9,2.5Hz), 7.09-7.15(2H,m), 7.24(1H,t,J=7.3Hz), 7.42-7.49(2H,m), 7.59-7.67(2H,m), 7.97(1H,d,J=8.9Hz), 8.17(1H,d,J=2.5Hz), 8.18-8.24(2H,m), 11.31(1H,s), 13.40-13.55(1H,broad).
4-페녹시-2-((E)-4-페닐-3-부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35(2H,dd,J=7.3,1.0Hz), 6.41(1H,dt,J=15.9,7.3Hz), 6.64(1H,d,J=15.9Hz), 6.71(1H,dd,J=8.9,2.6Hz), 7.11-7.17(2H,m), 7.23-7.29(2H,m), 7.31-7.37(2H,m), 7.43-7.50(4H,m), 7.99(1H,d,J=8.9Hz), 8.26(1H,d,J=2.6Hz), 11.48(1H,s), 13.40-13.60(1H,broad).
실시예38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39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5.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9mL 및 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보닐클로라이드 65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29mL 및 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보닐클로라이드 22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0.58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녹시-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녹시-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여,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0으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녹시-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7.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7(2H,t,J=2.2Hz), 6.84(1H,dd,J=8.9,2.6Hz), 7.17-7.22(2H,m), 7.30(1H,t,J=7.4Hz), 7.47-7.54(2H,m), 7.58(2H,t,J=2.2Hz), 8.09(1H,d,J=8.9Hz), 8.32(1H,d,J=2.6Hz), 8.40(1H,t,J=2.2Hz), 8.92(1H,d,J=2.2Hz), 9.15(1H,d,J=2.2Hz), 12.46(1H,s).
실시예38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0
2-(3-아미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0mg에, 실온에서, 아세트산 0.25mL 및 2, 5-디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 4.3μ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90℃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 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여,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켜,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갈색고체의 4-페닐-2-(3-(1H-피롤-1-일)벤즈아미도) 안식향산 8.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4(2H,t,J=2.1Hz), 7.45-7.51(3H,m), 7.53-7.59(3H,m), 7.69(1H,t,J=7.9Hz), 7.73-7.78(2H,m), 7.82-7.90(2H,m), 8.11-8.18(2H,m), 9.08(1H,d,J=1.7Hz), 12.37(1H,s).
실시예39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1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5.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62mL 및 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보닐클로라이드 69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31mL 및 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보닐클로라이드 23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미노메틸레이티드폴리스티렌 0.62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여,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7.0으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닐-2-(5-(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23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9(2H,t,J=2.2Hz), 7.45-7.51(1H,m), 7.53-7.61(5H,m), 7.73-7.77(2H,m), 8.15(1H,d,J=8.3Hz), 8.47(1H,t,J=2.4Hz), 8.97-9.02(2H,m), 9.17(1H,d,J=2.4Hz), 12.26(1H,s).
실시예39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2
실시예390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4-페닐-2-(2-(피롤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80-1.89(4H,m), 3.35-3.44(4H,m), 6.74(1H,dd,J=7.4,4.9Hz), 7.44-7.58(4H,m), 7.69-7.74(2H,m), 7.83(1H,dd,J=7.4,1.8Hz), 8.10(1H,d,J=8.3Hz), 8.24(1H,dd,J=4.9,1.8Hz), 9.02(1H,s), 11.67(1H,s).
실시예39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3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54mg의 염화메틸렌 3.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6mL 및 ((E)-2-페닐비닐)술포닐클로라이드 45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28mL 및 ((E)-2-페닐비닐)술포닐클로라이드 8.1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고, tert-부틸=4-페닐-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닐-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여,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닐-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안식향산 2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39-7.58(8H,m), 7.61-7.66(2H,m), 7.73-7.81(4H,m), 8.05(1H,d,J=8.3Hz), 11.04(1H,s).
실시예393 , 394
실시예392와 동일하게 하여, 표37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4
2-(벤질술폰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78(2H,s), 7.23-7.33(5H,m), 7.41-7.49(2H,m), 7.50-7.56(2H,m), 7.60-7.65(2H,m), 7.67(1H,d,J=1.7Hz), 8.05(1H,d,J=8.3Hz), 10.75-10.90(1H,broad).
2-(3-브로모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50(1H,m), 7.51-7.63(4H,m), 7.70-7.77(2H,m), 7.85-7.90(1H,m), 7.95-8.00(1H,m), 8.10-8.16(2H,m), 8.99(1H,d,J=1.7Hz), 12.26(1H,s), 13.75-14.00(1H,broad).
실시예39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5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의 염화메틸렌 5.0mL용액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056mL 및 ((E)-2-페닐비닐)술포닐클로라이드 61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산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녹시-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녹시-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녹시-2-(((E)-2-페닐비닐)술폰아미도)안식향산 1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68(1H,dd,J=8.8,2.4Hz), 6.99(1H,d,J=2.4Hz), 7.04-7.09(2H,m), 7.23-7.29(1H,m), 7.32-7.51(7H,m), 7.64-7.70(2H,m), 7.98(1H,d,J=8.8Hz), 11.16(1H,s).
실시예39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6
4-아세톡시계피산 206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0mL, N, N-디메틸포름아미드 3.9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94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86mg, 염화메틸렌 3.0mL 및 트리에틸아민 0.67mL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E)-3-(4-아세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E)-3-(4-아세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逆相)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수용액 ; 60-100%아세토니트릴 / 0.1%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2-((E)-3-(4-아세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3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28(3H,s), 6.74(1H,dd,J=8.9,2.5Hz), 6.83(1H,d,J=15.6Hz), 7.14-7.23(4H,m), 7.25-7.31(1H,m), 7.45-7.52(2H,m), 7.61(1H,d,J=15.6Hz), 7.76-7.82(2H,m), 8.03(1H,d,J=8.9Hz), 8.35(1H,d,J=2.5Hz), 11.58(1H,s), 13.40-13.65(1H,broad).
실시예39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7
2-아세톡시안식향산 180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0mL, N, N-디메틸포름아미드 3.9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94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81mg, 염화메틸렌 3.0mL 및 트리에틸아민 0.67mL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 0.5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0mL 및 탄산칼륨 6.1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8.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96-7.05(2H,m), 7.42-7.49(2H,m), 7.49-7.58(3H,m), 7.71-7.76(2H,m), 7.89-7.93(1H,m), 8.10(1H,d,J=8.3Hz), 9.02(1H,d,J=1.7Hz), 11.46(1H,s), 12.32(1H,s).
실시예39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8
2-(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5mg에, 실온에서, 메탄올 0.5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0mL 및 탄산칼륨 8.3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3-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00-7.07(1H,m), 7.35-7.59(7H,m), 7.73(2H,d,J=7.6Hz), 8.14(1H,d,J=8.0Hz), 9.08(1H,d,J=1.4Hz), 9.92(1H,s), 12.22(1H,s).
실시예399 , 400
실시예398과 동일하게 하여, 표38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49
2-(4-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94(2H,d,J=8.8Hz), 7.43-7.51(2H,m), 7.54(2H,t,J=7.6Hz), 7.70-7.76(2H,m), 7.85(2H,d,J=8.8Hz), 8.13(1H,d,J=8.3Hz), 9.09(1H,d,J=1.7Hz), 10.29(1H,s), 12.16(1H,s).
2-((E)-3-(4-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7(1H,d,J=15.6Hz), 6.82(2H,d,J=8.5Hz), 7.43-7.50(2H,m), 7.50-7.62(5H,m), 7.68-7.74(2H,m), 8.09(1H,d,J=8.3Hz), 9.00(1H,d,J=2.0Hz), 9.98(1H,s), 11.37(1H,s), 13.50-13.80(1H,broad).
실시예40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0
2-(3-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8.0mg에, 실온에서, 메탄올 0.5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0mL 및 탄산칼륨 4.2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3-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4.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6(1H,dd,J=8.8,2.7Hz), 7.02(1H,ddd,J=7.6, 2.3, 1.5Hz), 7.15-7.21(2H,m), 7.25-7.40(4H,m), 7.46-7.52(2H,m), 8.07(1H,d,J=8.8Hz), 8.41(1H,d,J=2.7Hz), 9.90(1H,s), 12.34(1H,s), 13.55-13.75(1H,broad).
실시예402 , 403
실시예401과 동일하게 하여, 표39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1
2-(4-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3(1H,dd,J=8.8,2.4Hz), 6.91(2H,d,J=8.8Hz), 7.15-7.19(2H,m), 7.27(1H,t,J=7.4Hz), 7.45-7.52(2H,m), 7.78(2H,d,J=8.8Hz), 8.05(1H,d,J=8.8Hz), 8.41(1H,d,J=2.4Hz), 10.28(1H,s), 12.27(1H,s).
2-((E)-3-(4-하이드록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58(1H,d,J=15.6Hz), 6.71(1H,dd,J=8.8,2.6Hz), 6.80(2H,d,J=8.6Hz), 7.13-7.19(2H,m), 7.24-7.30(1H,m), 7.44-7.53(3H,m), 7.56(2H,d,J=8.6Hz), 8.02(1H,d,J=8.8Hz), 8.35(1H,d,J=2.6Hz), 9.97(1H,s), 11.60(1H,s).
실시예40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2
2-(4-니트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20mg에, 실온에서, 메탄올 3.0mL, 아세트산에틸 2.0mL 및 5% 팔라듐-탄소 4.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4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분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고체의 2-(4-아미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57-6.65(3H,m), 7.07-7.13(2H,m), 7.20(1H,t,J=7.4Hz), 7.41-7.46(2H,m), 7.67(2H,d,J=8.8Hz), 8.02(1H,d,J=8.6Hz), 8.39(1H,d,J=2.4Hz).
실시예40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3
2-(3-니트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5mg에, 실온에서, 메탄올 2.0mL, 아세트산에틸 2.0mL 및 5% 팔라듐-탄소 3.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4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백색고체의 2-(3-아미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5.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4-6.81(1H,m), 7.13-7.22(3H,m), 7.36(1H,dd,J=8.1,1.7Hz), 7.42(1H,t,J=7.3Hz), 7.49-7.54(2H,m), 7.66-7.72(2H,m), 8.10(1H,d,J=8.1Hz), 9.05(1H,d,J=1.7Hz).
실시예40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1H-피롤 0.019mL, 탄산세슘 0.12g,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5.1mg,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4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3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5.1mg,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4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3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球)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피롤-1-일)벤조에이트 60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5(9H,s), 6.38(2H,t,J=2.2Hz), 7.12(1H,dd,J=8.6,2.3Hz), 7.25-7.28(2H,m), 7.51-7.61(3H,m), 8.05-8.10(3H,m), 9.16(1H,d,J=2.3Hz), 12.36(1H,s).
실시예40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5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1H-인돌 33mg, 탄산세슘 0.12g,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5.1mg,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4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H-인돌 33mg, 인산3칼륨 79mg,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5.1mg,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4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무색유상물(無色油狀物)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인돌-1-일)벤조에이트 45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7(9H,s), 6.73(1H,d,J=3.4Hz), 7.18-7.22(1H,m), 7.25-7.33(2H,m), 7.48(1H,d,J=3.4Hz), 7.51-7.62(3H,m), 7.66-7.70(1H,m), 7.83(1H,d,J=8.3Hz), 8.06-8.10(2H,m), 8.17(1H,d,J=8.8Hz), 9.22(1H,d,J=2.2Hz), 12.35(1H,s).
실시예40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6
실시예200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벤즈아미도)-4-(3,4-디메톡시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5(9H,s), 3.94(3H,s), 3.99(3H,s), 6.96(1H,d,J=8.3Hz), 7.23(1H,d,J=2.2Hz), 7.28-7.34(2H,m), 7.51-7.61(3H,m), 8.04-8.11(3H,m), 9.22(1H,d,J=2.0Hz), 12.27(1H,s).
실시예40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7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피롤-1-일)벤조에이트 58mg의 디옥산 1.0mL 및 메탄올 1.0mL 혼합액에, 2.0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24mL를 첨가하고, 50℃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고, 1.0mol/L염산으로 pH3.0으로 조정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물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1H-피롤-1-일)안식향산 4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7(2H,t,J=2.2Hz), 7.41-7.47(3H,m), 7.59-7.71(3H,m), 7.96-8.02(2H,m), 8.12(1H,d,J=8.5Hz), 8.96(1H,d,J=2.2Hz), 12.40(1H,s).
실시예41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8
실시예409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1H-인돌-1-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3.4,0.5Hz), 7.18-7.24(1H,m), 7.28-7.33(1H,m), 7.47(1H,dd,J=8.6,2.4Hz), 7.59-7.73(4H,m), 7.79(1H,d,J=3.4Hz), 7.85(1H,dd,J=8.4,0.6Hz), 7.98-8.03(2H,m), 8.24(1H,d,J=8.6Hz), 9.09(1H,d,J=2.4Hz), 12.46(1H,s).
실시예41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59
실시예211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3, 4-디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3(3H,s), 3.87(3H,s), 7.12(1H,d,J=9.0Hz), 7.27-7.32(2H,m), 7.52(1H,dd,J=8.3,1.8Hz), 7.58-7.70(3H,m), 7.97-8.02(2H,m), 8.10(1H,d,J=8.3Hz), 9.04(1H,d,J=1.8Hz), 12.26(1H,s).
실시예41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0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0g의 톨루엔 2.0mL용액에, 실온에서 2-니트로아닐린 55mg, 탄산세슘 0.17g,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2.4mg, 아세트산팔라듐 1.2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6.3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여, 황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2-니트로아닐리노)벤조에이트 94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4(9H,s), 6.90-6.96(2H,m), 7.50-7.60(4H,m), 7.66(1H,dd,J=8.5,1.2Hz), 8.02(1H,d,J=8.5Hz), 8.02-8.08(2H,m), 8.22(1H,dd,J=8.7,1.6Hz), 8.94(1H,d,J=2.2Hz),9.53(1H,s), 12.33(1H,s).
실시예41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1
tert-부틸=2-(벤즈아미도)-4-(2-니트로아닐리노)벤조에이트 50mg의 메탄올 4.0mL 및 아세트산에틸 8.0mL 혼합액에, 5% 팔라듐-탄소 1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분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담황색고체의 tert-부틸=4-(2-아미노아닐리노)-2-(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46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59(9H,s), 3.79(2H,s), 5.67(1H,s), 6.30(1H,dd,J=8.8,2.3Hz), 6.76-6.85(2H,m), 7.06-7.12(1H,m), 7.15-7.18(1H,m), 7.49-7.58(3H,m), 7.85(1H,d,J=8.8Hz), 8.03-8.08(2H,m), 8.41(1H,d,J=2.3Hz), 12.41(1H,s).
실시예41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2
tert-부틸=4-(2-아미노아닐리노)-2-(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44mg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1.0mL용액에, 실온에서 포름아미딘 아세트산염 28mg을 첨가하고, 8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1]로 정제하여, 담황색유상물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벤즈이미다졸-1-일)벤조에이트 36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8(9H,s), 7.24-7.30(1H,m), 7.34-7.44(2H,m), 7.53-7.63(3H,m), 7.78-7.82(1H,m), 7.87-7.92(1H,m), 8.06-8.10(2H,m), 8.23(1H,d,J=8.6Hz), 8.26(1H,s), 9.30(1H,d,J=2.2Hz), 12.38(1H,s).
실시예41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3
tert-부틸=2-(벤즈아미도)-4-(1H-벤즈이미다졸-1-일)벤조에이트 34m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1H-벤즈이미다졸-1-일)안식향산 24mg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1H-벤즈이미다졸-1-일)안식향산 15mg의 아세트산에틸 1.0mL현탁액에, 빙냉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5mL 및 4.0mol/L 염화수소/디옥산 0.0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1H-벤즈이미다졸-1-일)안식향산염산염 1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46-7.56(2H,m), 7.59-7.72(4H,m), 7.87-7.92(2H,m), 7.98-8.03(2H,m), 8.32(1H,d,J=8.6Hz), 9.15(1H,d,J=2.2Hz), 9.16(1H,s), 12.38(1H,s).
실시예416 ~425
실시예251과 동일하게 하여, 표40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4
2-(벤즈아미도)-4-(3-클로로-4-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52-7.70(5H,m), 7.72-7.79(1H,m), 7.93(1H,dd,J=7.1,2.4Hz), 7.96-8.02(2H,m), 8.13(1H,d,J=8.3Hz), 9.03(1H,s), 12.23(1H,s).
2-(벤즈아미도)-4-(3,4-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54(1H,dd,J=8.3,1.7Hz), 7.56-7.70(5H,m), 7.78-7.86(1H,m), 7.96-8.05(2H,m), 8.13(1H,d,J=8.3Hz), 9.04(1H,d,J=1.7Hz), 12.22(1H,s).
2-(벤즈아미도)-4-(2,5-디플루오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3-7.52(4H,m), 7.58-7.70(3H,m), 7.95-8.00(2H,m), 8.16(1H,d,J=8.3Hz), 8.96-8.99(1H,m), 12.25(1H,s).
2-(벤즈아미도)-4-(2,4-디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8(1H,dd,J=8.3,1.7Hz), 7.52(1H,d,J=8.3Hz), 7.56-7.70(4H,m), 7.80(1H,d,J=2.2Hz), 7.94-8.00(2H,m), 8.15(1H,d,J=8.3Hz), 8.82(1H,d,J=1.7Hz), 12.27(1H,s).
2-(벤즈아미도)-4-(4-플루오로-2-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0(3H,s), 7.11-7.25(3H,m), 7.32(1H,dd,J=8.5,6.1Hz), 7.57-7.69(3H,m), 7.94-7.99(2H,m), 8.12(1H,d,J=8.1Hz), 8.72(1H,d,J=1.7Hz), 12.26(1H,s).
2-(벤즈아미도)-4-(2-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2(1H,dd,J=8.1,1.6Hz), 7.52-7.69(7H,m), 7.95-8.00(2H,m), 8.16(1H,d,J=8.1Hz), 8.91(1H,d,J=1.6Hz), 12.27(1H,s)
2-(벤즈아미도)-4-(3,4-디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9(3H,s), 2.33(3H,s), 7.29(1H,d,J=7.8Hz), 7.43-7.53(3H,m), 7.58-7.70(3H,m), 7.96-8.02(2H,m), 8.11(1H,d,J=8.3Hz), 9.06(1H,d,J=1.7Hz), 12.27(1H,s).
2-(벤즈아미도)-4-(3-클로로-4-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94(3H,s), 7.32(1H,d,J=8.7Hz), 7.52(1H,dd,J=8.3,1.8Hz), 7.58-7.74(4H,m), 7.79(1H,d,J=2.2Hz), 7.96-8.02(2H,m), 8.11(1H,d,J=8.3Hz), 9.04(1H,d,J=1.8Hz), 12.26(1H,s), 13.70-13.95(1H,broad).
2-(벤즈아미도)-4-(2,3-디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9(1H,dd,J=8.1,1.7Hz), 7.45(1H,dd,J=7.8,1.7Hz), 7.51(1H,t,J=7.8Hz), 7.58-7.69(3H,m), 7.75(1H,dd,J=7.8,1.7Hz), 7.94-7.99(2H,m), 8.15(1H,d,J=8.1Hz), 8.80-8.83(1H,m), 12.27(1H,s).
2-(벤즈아미도)-4-(2,5-디클로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30(1H,dd,J=8.2,1.6Hz), 7.54-7.70(6H,m), 7.94-8.00(2H,m), 8.15(1H,d,J=8.2Hz), 8.83(1H,d,J=1.6Hz), 12.25(1H,s).
실시예42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5
tert-부틸=2-(벤즈아미도)-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조에이트 79mg의 톨루엔 1.6mL용액에, 실온에서 2-클로로-4-요오드톨루엔 0.031mL, 탄산수소나트륨 39mg, 에탄올 0.6mL, 물 0.3m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mg을 첨가하고, 8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 11mg을 첨가하고, 7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4-메틸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4-메틸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3-클로로-4-메틸페닐)안식향산 1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40(3H,s), 7.50-7.70(6H,m), 7.76(1H,d,J=1.7Hz), 7.97-8.02(2H,m), 8.13(1H,d,J=8.3Hz), 9.06(1H,d,J=1.7Hz), 12.26(1H,s).
실시예427 ~429
실시예252와 동일하게 하여, 표41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6
2-(벤즈아미도)-4-(3-클로로-2-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9(3H,s), 7.20(1H,dd,J=8.3,1.8Hz), 7.26(1H,dd,J=7.7,1.2Hz), 7.35(1H,dd,J=7.9,7.7Hz), 7.53(1H,dd,J=7.9,1.2Hz), 7.58-7.69(3H,m), 7.94-7.99(2H,m), 8.13(1H,d,J=8.3Hz), 8.70-8.72(1H,m), 12.29(1H,s).
2-(벤즈아미도)-4-(5-클로로-2-메틸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6(3H,s), 7.23(1H,dd,J=8.2,1.7Hz), 7.32(1H,d,J=1.7Hz), 7.37-7.44(2H,m), 7.58-7.70(3H,m), 7.94-8.00(2H,m), 8.13(1H,d,J=8.2Hz), 8.73(1H,d,J=1.7Hz), 12.25(1H,s).
2-(벤즈아미도)-4-(5-클로로-2-메톡시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1(3H,s), 7.21(1H,d,J=8.8Hz), 7.34(1H,dd,J=8.2,1.7Hz), 7.38(1H,d,J=2.7Hz), 7.48(1H,dd,J=8.8,2.7Hz), 7.58-7.69(3H,m), 7.95-8.00(2H,m), 8.09(1H,d,J=8.2Hz), 8.86(1H,d,J=1.7Hz), 12.21(1H,s).
실시예43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7
3,5-디클로로안식향산 0.13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0mL 및 트리에틸아민 0.45mL 혼합액에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3,5-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3,5-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3,5-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6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89-3.02(4H,m), 7.12(1H,dd,J=8.0,1.7Hz), 7.16-7.21(1H,m), 7.24-7.31(4H,m), 7.91-7.97(4H,m), 8.48-8.52(1H,m), 12.14(1H,s), 13.65-13.85(1H,broad).
실시예431 ~439
실시예430과 동일하게 하여, 표42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8
2-(3,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9-3.02(4H,m), 7.11(1H,dd,J=8.1,1.5Hz), 7.16-7.21(1H,m), 7.24-7.31(4H,m), 7.88-7.91(2H,m), 7.95(1H,d,J=8.1Hz), 8.13(1H,s), 8.54(1H,d,J=1.5Hz), 12.17(1H,s), 13.60-13.85(1H,broad).
2-(3,5-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8-3.02(4H,m), 7.12(1H,dd,J=8.1,1.6Hz), 7.15-7.21(1H,m), 7.23-7.32(4H,m), 7.56-7.66(3H,m), 7.96(1H,d,J=8.1Hz), 8.52(1H,d,J=1.6Hz), 12.12(1H,s), 13.60-13.80(1H,broad).
2-(3,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8-3.02(4H,m), 7.10(1H,dd,J=8.1,1.7Hz), 7.16-7.21(1H,m), 7.24-7.31(4H,m), 7.66-7.74(1H,m), 7.79-7.85(1H,m), 7.91-7.99(2H,m), 8.55(1H,d,J=1.7Hz), 12.12(1H,s), 13.60-13.80(1H,broad).
2-(3,5-디메틸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7(6H,s), 2.88-3.02(4H,m), 7.07(1H,dd,J=8.1,1.5Hz), 7.16-7.21(1H,m), 7.24-7.31(5H,m), 7.57(2H,s), 7.95(1H,d,J=8.1Hz), 8.66-8.68(1H,m), 12.19(1H,s), 13.65-13.80(1H,broad).
2-(4-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2(3H,s), 2.89-3.02(4H,m), 7.09(1H,dd,J=8.3,1.6Hz), 7.16-7.21(1H,m), 7.25-7.32(4H,m), 7.35-7.40(2H,m), 7.96(1H,d,J=8.3Hz), 7.96-8.03(2H,m), 8.63-8.65(1H,m), 12.17(1H,s), 13.60-13.75(1H,broad).
4-페네틸-2-(6-페닐피리미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2-3.05(4H,m), 7.12-7.22(2H,m), 7.25-7.32(4H,m), 7.58-7.67(3H,m), 7.99(1H,d,J=8.3Hz), 8.30-8.37(2H,m), 8.64(1H,d,J=1.2Hz), 8.82(1H,d,J=1.5Hz), 9.47(1H,d,J=1.2Hz), 13.16(1H,s).
4-페네틸-2-(3-페닐이속사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4(4H,m), 7.12-7.21(2H,m), 7.25-7.32(4H,m), 7.52-7.63(4H,m), 7.96-8.02(3H,m), 8.63(1H,d,J=1.4Hz), 12.49(1H,s).
4-페네틸-2-((E)-4-페닐-3-부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4-2.97(4H,m), 3.35-3.38(2H,m), 6.40-6.50(1H,m), 6.66(1H,d,J=15.8Hz), 7.01(1H,dd,J=8.0,1.6Hz), 7.14-7.20(1H,m), 7.21-7.30(5H,m), 7.31-7.38(2H,m), 7.44-7.50(2H,m), 7.87(1H,d,J=8.0Hz), 8.49(1H,d,J=1.6Hz), 11.29(1H,s).
2-((E)-2-메틸-3-페닐아크릴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9(3H,d,J=1.2Hz), 2.88-3.01(4H,m), 7.05(1H,dd,J=8.1,1.5Hz), 7.16-7.21(1H,m), 7.24-7.32(4H,m), 7.35-7.41(1H,m), 7.43-7.53(5H,m), 7.94(1H,d,J=8.1Hz), 8.65(1H,s), 11.86(1H,s).
실시예440 ~446
실시예369와 동일하게 하여, 표43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69
2-((E)-3-(4-니트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7(1H,dd,J=8.8,2.5Hz), 7.12(1H,d,J=15.6Hz), 7.14-7.21(2H,m), 7.28(1H,t,J=7.5Hz), 7.45-7.53(2H,m), 7.71(1H,d,J=15.6Hz), 8.00-8.08(3H,m), 8.26(2H,d,J=9.0Hz), 8.35(1H,d,J=2.6Hz), 11.66(1H,s), 13.40-13.65(1H,broad).
2-(3,5-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7Hz), 7.16-7.22(2H,m), 7.29(1H,t,J=7.4Hz), 7.46-7.53(2H,m), 7.88(2H,d,J=1.8Hz), 7.94(1H,t,J=1.8Hz), 8.07(1H,d,J=8.8Hz), 8.26(1H,d,J=2.7Hz), 12.43(1H,s).
2-(3,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9,2.5Hz), 7.15-7.21(2H,m), 7.26-7.32(1H,m), 7.46-7.53(2H,m), 7.84-7.92(2H,m), 8.07(1H,d,J=8.9Hz), 8.09(1H,d,J=1.7Hz), 8.30(1H,d,J=2.5Hz), 12.43(1H,s).
2-(3,5-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7Hz), 7.15-7.22(2H,m), 7.26-7.32(1H,m), 7.46-7.64(5H,m), 8.07(1H,d,J=8.8Hz), 8.28(1H,d,J=2.7Hz), 12.39(1H,s).
2-(3,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0(1H,dd,J=8.9,2.5Hz), 7.15-7.22(2H,m), 7.25-7.32(1H,m), 7.45-7.53(2H,m), 7.65-7.73(1H,m), 7.75-7.82(1H,m), 7.88-7.94(1H,m), 8.07(1H,d,J=8.9Hz), 8.30(1H,d,J=2.5Hz), 12.37(1H,s).
2-(3,5-디메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5(6H,s), 6.76(1H,dd,J=8.9,2.4Hz), 7.16-7.22(2H,m), 7.26-7.32(2H,m), 7.45-7.57(4H,m), 8.06(1H,d,J=8.9Hz), 8.41(1H,d,J=2.4Hz), 12.40(1H,s).
2-((E)-2-메틸-3-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6(3H,d,J=1.5Hz), 6.75(1H,dd,J=8.8,2.6Hz), 7.15-7.19(2H,m), 7.25-7.31(1H,m), 7.34-7.41(1H,m), 7.42-7.52(7H,m), 8.05(1H,d,J=8.8Hz), 8.38(1H,d,J=2.6Hz), 12.06(1H,s).
실시예447 ~452
실시예345와 동일하게 하여, 표44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0
2-(3,5-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3,1.6Hz), 7.51-7.59(3H,m), 7.70-7.75(2H,m), 7.94(3H,s), 8.12(1H,d,J=8.3Hz), 8.90(1H,d,J=1.7Hz), 12.21(1H,s).
2-(3,4-디클로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50(1H,m), 7.52-7.59(3H,m), 7.70-7.76(2H,m), 7.89-7.96(2H,m), 8.13(1H,d,J=8.3Hz), 8.15-8.19(1H,m), 8.95(1H,d,J=1.7Hz), 12.23(1H,s).
2-(3,5-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7(1H,tt,J=7.2,1.5Hz), 7.52-7.67(6H,m), 7.70-7.77(2H,m), 8.13(1H,d,J=8.3Hz), 8.93(1H,d,J=1.7Hz), 12.18(1H,s).
2-(3,4-디플루오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4-7.50(1H,m), 7.52-7.58(3H,m), 7.67-7.77(3H,m), 7.82-7.88(1H,m), 7.94-8.02(1H,m), 8.13(1H,d,J=8.3Hz), 8.96(1H,d,J=1.7Hz), 12.19(1H,s).
2-(3,5-디메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8(6H,s), 7.30(1H,s), 7.44-7.58(4H,m), 7.60(2H,s), 7.70-7.76(2H,m), 8.13(1H,d,J=8.3Hz), 9.08(1H,d,J=1.7Hz), 12.26(1H,s).
2-((E)-2-메틸-3-페닐아크릴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2(3H,d,J=1.2Hz), 7.36-7.41(1H,m), 7.44-7.58(9H,m), 7.70-7.74(2H,m), 8.12(1H,d,J=8.3Hz), 9.08(1H,d,J=1.7Hz), 11.93(1H,s).
실시예45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1
2-메톡시안식향산 0.11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의 염화메틸렌 4.0mL 및 트리에틸아민 0.45mL 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분간 교반하였다. 가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5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99(3H,s), 6.74(1H,dd,J=8.9,2.6Hz), 7.06-7.12(1H,m), 7.14-7.20(2H,m), 7.21-7.29(2H,m), 7.44-7.52(2H,m), 7.55-7.60(1H,m), 7.91(1H,dd,J=7.8,1.7Hz), 8.04(1H,d,J=8.9Hz), 8.55(1H,d,J=2.6Hz), 12.40(1H,s), 13.41(1H,s).
실시예45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2
실시예453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3-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4(3H,s), 6.78(1H,dd,J=8.8,2.4Hz), 7.16-7.24(3H,m), 7.29(1H,t,J=7.3Hz), 7.43-7.55(5H,m), 8.07(1H,d,J=8.8Hz), 8.40(1H,d,J=2.4Hz), 12.40(1H,s), 13.65-13.85(1H,broad).
실시예45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3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57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5.0mL, 트리에틸아민 0.056mL 및 4-메톡시벤조일클로라이드 51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여,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5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85(3H,s), 6.75(1H,dd,J=9.0,2.5Hz), 7.09-7.15(2H,m), 7.15-7.21(2H,m), 7.28(1H,t,J=7.4Hz), 7.46-7.52(2H,m), 7.86-7.93(2H,m), 8.06(1H,d,J=9.0Hz), 8.41(1H,d,J=2.5Hz), 12.33(1H,s), 13.55-13.75(1H,broad).
실시예45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4
2-메톡시안식향산 0.11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54mg의 염화메틸렌 4.0mL 및 트리에틸아민 0.45mL혼합액에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분간 교반하였다. 가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메톡시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6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4.03(3H,s), 7.10-7.17(1H,m), 7.26(1H,d,J=8.3Hz), 7.43-7.64(5H,m), 7.70-7.77(2H,m), 8.02(1H,dd,J=7.8,1.7Hz), 8.11(1H,d,J=8.3Hz), 9.19(1H,d,J=1.7Hz), 12.34(1H,s), 13.59(1H,s).
실시예45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5
실시예456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3-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86(3H,s), 7.22-7.26(1H,m), 7.44-7.59(7H,m), 7.72-7.77(2H,m), 8.14(1H,d,J=8.0Hz), 9.09(1H,d,J=1.7Hz), 12.26(1H,s), 13.80-14.00(1H,broad).
실시예458 , 459
실시예34와 동일하게 하여, 표45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6
4-페네틸-2-(3-페닐프로판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71(2H,t,J=7.7Hz), 2.84-2.96(4H,m), 2.94(2H,t,J=7.7Hz), 7.00(1H,dd,J=8.2,1.6Hz), 7.15-7.31(10H,m), 7.87(1H,d,J=8.2Hz), 8.43(1H,d,J=1.6Hz), 11.15(1H,s), 13.45(1H,s).
4-페네틸-2-(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4(4H,m), 7.14(1H,dd,J=8.1,1.7Hz), 7.15-7.21(1H,m), 7.24-7.32(4H,m), 7.96(1H,d,J=8.1Hz), 8.45(1H,s), 8.49-8.52(1H,m), 8.54(2H,s), 12.32(1H,s), 13.70-13.90(1H,broad).
실시예46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7
실시예282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4-페닐-2-(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5-7.51(1H,m), 7.52-7.61(3H,m), 7.71-7.77(2H,m), 8.13(1H,d,J=8.1Hz), 8.46(1H,s), 8.56(2H,s), 8.91(1H,d,J=1.7Hz), 12.38(1H,s).
실시예46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8
실시예321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4-페녹시-2-(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4(1H,dd,J=8.9,2.6Hz), 7.17-7.22(2H,m), 7.27-7.33(1H,m), 7.47-7.54(2H,m), 8.08(1H,d,J=8.9Hz), 8.28(1H,d,J=2.6Hz), 8.44(1H,s), 8.50(2H,s), 12.63(1H,s).
실시예46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79
실시예396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E)-3-(3-니트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6(1H,dd,J=8.9,2.7Hz), 7.12-7.22(3H,m), 7.28(1H,t,J=7.4Hz), 7.46-7.51(2H,m), 7.68-7.78(2H,m), 8.04(1H,d,J=8.9Hz), 8.18-8.29(2H,m), 8.35(1H,d,J=2.7Hz), 8.61(1H,s), 11.61(1H,s).
실시예46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0
메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40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5.0mL, 트리에틸아민 0.049mL 및 4-메톡시벤조일클로라이드 45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메틸=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메틸=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에, 2.0mol/L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mL 및 에탄올 3.0mL를 첨가하고, 40℃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0.38mol/L염산 8.0mL 및 아세트산에틸 10mL를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逆相)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리액 ; 55-100%아세토니트릴 / 0.1%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2-(4-메톡시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6.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86(3H,s), 7.15(2H,d,J=8.8Hz), 7.44-7.57(4H,m), 7.73(2H,d,J=7.4Hz), 7.95(2H,d,J=8.8Hz), 8.13(1H,d,J=8.3Hz), 9.09(1H,d,J=1.4Hz), 12.21(1H,s), 13.70-13.90(1H,broad).
실시예46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1
3-페닐-1H-피라졸-5-카복실산(carboxylic acid) 0.13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0mL 및 트리에틸아민 0.45mL 혼합액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4-페네틸-2-(3-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4-페네틸-2-(3-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 ; 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4-페네틸-2-(3-페닐-1H-피라졸-5-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2.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89-3.04(4H,m), 7.05(1H,d,J=7.7Hz), 7.15-7.33(6H,m), 7.38-7.44(1H,m), 7.47-7.53(2H,m), 7.84(2H,d,J=7.6Hz), 7.95(1H,d,J=7.7Hz), 8.74(1H,s), 12.39(1H,s), 13.96(1H,s).
실시예46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2
2-아세톡시안식향산 0.13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2.7μ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1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60mg의 염화메틸렌 3.0mL 및 트리에틸아민 0.45mL 혼합액을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2-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2-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 0.50mL, 테트라하이드로푸란 0.50mL 및 탄산칼륨 10m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10% 구연산 수용액 3.0mL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2-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88-3.02(4H,m), 6.95-7.03(2H,m), 7.07(1H,dd,J=8.1,1.4Hz), 7.15-7.21(1H,m), 7.24-7.32(4H,m), 7.41-7.47(1H,m), 7.87(1H,dd,J=7.9,1.6Hz), 7.92(1H,d,J=8.1Hz), 8.59(1H,d,J=1.4Hz), 11.46(1H,s), 12.22(1H,s).
실시예46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3
2-(4-아세톡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20mg의 메탄올 1.0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mL 혼합액에, 탄산칼륨 10m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10% 구연산 수용액 3.0mL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4-하이드록시벤즈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88-3.00(4H,m), 6.93(2H,d,J=8.7Hz), 7.04(1H,dd,J=8.1,1.6Hz), 7.15-7.21(1H,m), 7.24-7.32(4H,m), 7.82(2H,d,J=8.7Hz), 7.94(1H,d,J=8.1Hz), 8.68(1H,d,J=1.6Hz), 10.26(1H,s), 12.09(1H,s), 13.50-13.70(1H,broad).
실시예46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4
4-페녹시-2-((E)-4-페닐-3-부텐아미도)안식향산 10mg의 메탄올 1.0mL 및 아세트산에틸 1.0mL혼합액에, 10% 팔라듐-탄소 1.3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녹시-2-(4-페닐부탄아미도)안식향산 4.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83-1.94(2H,m), 2.28(2H,t,J=7.6Hz), 2.60(2H,t,J=7.7Hz), 6.49-6.57(1H,m), 7.02(2H,d,J=7.8Hz), 7.11-7.31(6H,m), 7.35-7.43(2H,m), 7.95(1H,d,J=8.6Hz), 8.17(1H,d,J=2.4Hz).
실시예468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5
4-페네틸-2-((E)-4-페닐-3-부텐아미도)안식향산 8.0mg의 메탄올 0.50mL 및 아세트산에틸 0.50mL혼합액에, 10% 팔라듐-탄소 1.0mg을 첨가하고, 수소분위기 하,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4-페네틸-2-(4-페닐부탄아미도)안식향산 4.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D2O처리) : 1.86-2.02(2H,m), 2.39(2H,t,J=7.3Hz), 2.64(2H,t,J=7.6Hz), 2.85-2.96(4H,m), 6.56(1H,s), 7.01(1H,d,J=8.2Hz), 7.14-7.34(9H,m), 7.87(1H,d,J=8.2Hz), 8.43(1H,s).
실시예46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6
3-시아노안식향산 0.17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5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95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0.25g의 염화메틸렌 2.0mL 및 트리에틸아민 0.35mL 혼합액에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1.0mol/L 염산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0.29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66(9H,s), 7.37-7.44(2H,m), 7.45-7.52(2H,m), 7.66-7.74(3H,m), 7.84-7.87(1H,m), 8.10(1H,d,J=8.3Hz), 8.28-8.31(1H,m), 8.37(1H,t,J=1.5Hz), 9.19(1H,d,J=1.9Hz), 12.44(1H,s).
실시예470 ~476
실시예469와 동일하게 하여, 표46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7
tert-부틸=4-페닐-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6(9H,s), 6.41(2H,t,J=2.3Hz), 7.37(1H,dd,J=8.5,2.0Hz), 7.38-7.50(4H,m), 7.61(2H,t,J=2.3Hz), 7.70-7.74(2H,m), 8.10(1H,d,J=8.5Hz), 8.43(1H,dd,J=8.8,2.4Hz), 9.15(1H,d,J=2.4Hz), 9.23(1H,d,J=2.0Hz), 12.44(1H,s).
tert-부틸=4-페닐-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8(9H,s), 6.40(2H,t,J=2.3Hz), 7.38-7.52(4H,m), 7.64(2H,t,J=2.3Hz), 7.68(1H,dd,J=5.2,1.4Hz), 7.71-7.75(2H,m), 8.00(1H,s), 8.12(1H,d,J=8.3Hz), 8.64(1H,d,J=5.2Hz), 9.22(1H,d,J=2.0Hz), 12.59(1H,s).
tert-부틸=4-페닐-2-(3-(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7(9H,s), 6.51-6.53(1H,m), 7.35-7.44(2H,m), 7.45-7.51(2H,m), 7.62-7.68(1H,m), 7.70-7.78(3H,m), 7.94-8.00(1H,m), 8.04-8.12(3H,m), 8.36-8.38(1H,m), 9.25(1H,d,J=1.7Hz), 12.42(1H,s).
tert-부틸=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7(9H,s), 7.36(1H,dd,J=8.4,1.8Hz), 7.37-7.44(2H,m), 7.45-7.53(4H,m), 7.65-7.70(2H,m), 7.72-7.80(4H,m), 8.10(1H,d,J=8.4Hz), 8.14-8.18(2H,m), 9.28(1H,d,J=1.8Hz), 12.33(1H,s).
tert-부틸=2-(3-아세틸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6(9H,s), 2.72(3H,s), 7.36-7.44(2H,m), 7.45-7.51(2H,m), 7.67(1H,t,J=7.8Hz), 7.70-7.76(2H,m), 8.11(1H,d,J=8.3Hz), 8.16-8.22(1H,m), 8.25-8.30(1H,m), 8.68-8.72(1H,m), 9.25(1H,d,J=1.9Hz), 12.49(1H,s).
tert-부틸=4-페닐-2-(3-(1H-테트라졸-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7(9H,s), 7.38-7.45(2H,m), 7.46-7.53(2H,m), 7.70-7.75(2H,m), 7.81(1H,t,J=7.9Hz), 8.03-8.07(1H,m), 8.12(1H,d,J=8.3Hz), 8.21-8.24(1H,m), 8.42(1H,t,J=1.8Hz), 9.13(1H,s), 9.22(1H,d,J=1.7Hz), 12.57(1H,s).
tert-부틸=2-(3-(3,5-디메틸-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5(9H,s), 2.32(3H,s), 2.46(3H,s), 6.05(1H,s), 7.36(1H,dd,J=8.3,1.9Hz), 7.36-7.43(1H,m), 7.44-7.50(2H,m), 7.64(1H,t,J=7.9Hz), 7.70-7.74(2H,m), 7.74-7.79(1H,m), 8.02-8.07(1H,m), 8.09(1H,d,J=8.3Hz), 8.12(1H,t,J=1.7Hz), 9.25(1H,d,J=1.7Hz), 12.40(1H,s).
실시예477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8
3-시아노안식향산 0.17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2.5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95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0.26g의 염화메틸렌 2.0mL 및 트리에틸아민 0.35mL 혼합액에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1.0mol/L 염산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0.20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3(9H,s), 6.70(1H,dd,J=8.9,2.7Hz), 7.08-7.13(2H,m), 7.18-7.24(1H,m), 7.38-7.45(2H,m), 7.62-7.68(1H,m), 7.83(1H,dt,J=7.6,1.5Hz), 8.00(1H,d,J=8.9Hz), 8.21-8.26(1H,m), 8.31(1H,t,J=1.5Hz), 8.53(1H,d,J=2.7Hz), 12.48(1H,s).
실시예478 ~484
실시예477과 동일하게 하여, 표47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89
tert-부틸=4-페녹시-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3(9H,s), 6.40(2H,t,J=2.3Hz), 6.69(1H,dd,J=8.9,2.5Hz), 7.08-7.14(2H,m), 7.18-7.24(1H,m), 7.38-7.45(3H,m), 7.59(2H,t,J=2.3Hz), 8.00(1H,d,J=8.9Hz), 8.37(1H,dd,J=8.8,2.4Hz), 8.56(1H,d,J=2.5Hz), 9.09(1H,d,J=2.4Hz), 12.48(1H,s).
tert-부틸=4-페녹시-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4(9H,s), 6.39(2H,t,J=2.2Hz), 6.72(1H,dd,J=8.9,2.5Hz), 7.08-7.14(2H,m), 7.18-7.25(1H,m), 7.38-7.46(2H,m), 7.60-7.64(3H,m), 7.93(1H,s), 8.01(1H,d,J=8.8Hz), 8.54(1H,d,J=2.5Hz), 8.60(1H,d,J=5.1Hz), 12.62(1H,s).
tert-부틸=4-페녹시-2-(2-(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49(9H,s), 6.22(2H,t,J=2.3Hz), 6.63(1H,dd,J=8.9,2.5Hz), 7.06-7.14(2H,m), 7.16-7.24(3H,m), 7.30(1H,dd,J=7.7,4.9Hz), 7.37-7.44(2H,m), 7.88(1H,d,J=8.9Hz), 8.05(1H,dd,J=7.7,1.8Hz), 8.51(1H,d,J=2.5Hz), 8.59(1H,dd,J=4.9,1.8Hz), 11.62(1H,s).
tert-부틸=4-페녹시-2-(3-(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3(9H,s), 6.51(1H,t,J=2.1Hz), 6.69(1H,dd,J=8.9,2.4Hz), 7.09-7.14(2H,m), 7.21(1H,t,J=7.3Hz), 7.38-7.44(2H,m), 7.61(1H,t,J=7.9Hz), 7.75(1H,d,J=1.5Hz), 7.88-7.92(1H,m), 8.00(1H,d,J=8.9Hz), 8.02-8.07(2H,m), 8.28-8.31(1H,m), 8.58(1H,d,J=2.4Hz), 12.45(1H,s).
tert-부틸=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3(9H,s), 6.67(1H,dd,J=8.9,2.5Hz), 7.08-7.14(2H,m), 7.16-7.23(1H,m), 7.36-7.52(5H,m), 7.63-7.68(2H,m), 7.72-7.78(2H,m), 7.99(1H,d,J=8.9Hz), 8.07-8.13(2H,m), 8.62(1H,d,J=2.5Hz), 12.37(1H,s).
tert-부틸=2-(3-아세틸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3(9H,s), 2.70(3H,s), 6.69(1H,dd,J=9.0,2.7Hz), 7.10-7.15(2H,m), 7.18-7.23(1H,m), 7.38-7.45(2H,m), 7.63(1H,t,J=7.8Hz), 8.00(1H,d,J=9.0Hz), 8.14-8.19(1H,m), 8.20-8.24(1H,m), 8.57(1H,d,J=2.7Hz), 8.62-8.64(1H,m), 12.52(1H,s).
tert-부틸=2-(3-(3,5-디메틸-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2.31(3H,s), 2.44(3H,s), 6.03(1H,s), 6.67(1H,dd,J=8.9,2.5Hz), 7.08-7.13(2H,m), 7.16-7.22(1H,m), 7.37-7.43(2H,m), 7.60(1H,t,J=7.9Hz), 7.72-7.76(1H,m), 7.96-8.01(2H,m), 8.06(1H,t,J=1.8Hz), 8.59(1H,d,J=2.5Hz), 12.43(1H,s).
실시예48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0
6-(1H-피롤-1-일)피리딘-3-카복실산 47mg의 염화메틸렌 2.0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4mL 혼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74mg 및 트리에틸아민 0.09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4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1.0mol/L 염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4-페네틸-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62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3(9H,s), 2.90-3.08(4H,m), 6.41(2H,t,J=2.3Hz), 6.90(1H,dd,J=8.1,1.7Hz), 7.17-7.32(5H,m), 7.46(1H,d,J=8.7Hz), 7.60(2H,d,J=2.3Hz), 7.93(1H,d,J=8.1Hz), 8.41(1H,dd,J=8.7,2.3Hz), 8.83(1H,d,J=1.7Hz), 9.13(1H,d,J=2.3Hz), 12.40(1H,s).
실시예486 ~488
실시예485와 동일하게 하여, 표48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1
tert-부틸=4-페네틸-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4(9H,s), 2.94-3.05(4H,m), 6.40(2H,t,J=2.3Hz), 6.94(1H,dd,J=8.2,1.7Hz), 7.18-7.33(5H,m), 7.63(2H,t,J=2.3Hz), 7.66(1H,dd,J=5.1,1.5Hz), 7.94(1H,d,J=8.2Hz), 7.97-7.99(1H,m), 8.63(1H,d,J=5.1Hz), 8.81(1H,d,J=1.7Hz), 12.55(1H,s).
tert-부틸=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4(9H,s), 2.94-3.06(4H,m), 6.89(1H,dd,J=8.2,1.6Hz), 7.16-7.34(5H,m), 7.35-7.43(1H,m), 7.45-7.52(2H,m), 7.61(1H,t,J=7.7Hz), 7.70-7.75(2H,m), 7.78-7.84(1H,m), 7.93(1H,d,J=8.2Hz), 8.80-8.05(1H,m), 8.36(1H,t,J=1.7Hz), 8.88(1H,d,J=1.6Hz), 12.38(1H,s).
tert-부틸=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4(9H,s), 2.92-3.06(4H,m), 6.89(1H,dd,J=8.1,1.6Hz), 7.16-7.34(5H,m), 7.37-7.44(1H,m), 7.45-7.53(2H,m), 7.64-7.70(2H,m), 7.74-7.80(2H,m), 7.93(1H,d,J=8.1Hz), 8.12-8.17(2H,m), 8.89(1H,d,J=1.6Hz), 12.30(1H,s).
실시예489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2
4-(1H-피롤-1-일)안식향산 47mg의 염화메틸렌 2.0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4mL 혼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67mg 및 트리에틸아민 0.09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4-페닐-2-(4-(1H-피롤-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64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6(9H,s), 6.40(2H,t,J=2.2Hz), 7.20(2H,t,J=2.2Hz), 7.35(1H,dd,J=8.3,1.8Hz), 7.37-7.43(1H,m), 7.44-7.50(2H,m),7.54-7.59(2H,m), 7.71-7.76(2H,m), 8.10(1H,d,J=8.3Hz), 8.14-8.18(2H,m), 9.26(1H,d,J=1.8Hz), 12.33(1H,s).
실시예490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3
실시예489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비페닐-2-카르복사미도)-4-페닐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52(9H,s), 7.20-7.40(5H,m), 7.40-7.58(7H,m), 7.64-7.70(2H,m), 7.74-7.78(1H,m), 7.93(1H,d,J=8.3Hz), 9.10(1H,s), 11.26(1H,s).
실시예491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4
3-(1H-피롤-1-일)안식향산 47mg의 염화메틸렌 2.0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24mL 혼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71mg 및 트리에틸아민 0.09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 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0: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4-페녹시-2-(3-(1H-피롤-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31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3(9H,s), 6.38(2H,t,J=2.2Hz), 6.68(1H,dd,J=8.9,2.5Hz), 7.09-7.14(2H,m), 7.17-7.24(3H,m), 7.37-7.44(2H,m), 7.55-7.60(2H,m), 7.84-7.88(1H,m), 8.00(1H,d,J=8.9Hz), 8.09-8.11(1H,m), 8.58(1H,d,J=2.5Hz), 12.46(1H,s).
실시예492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5
실시예491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비페닐-2-카르복사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48(9H,s), 6.54(1H,dd,J=9.0,2.6Hz), 7.02-7.08(2H,m), 7.16(1H,t,J=7.4Hz), 7.21-7.40(5H,m), 7.41-7.56(5H,m), 7.69-7.73(1H,m),7.81(1H,d,J=9.0Hz), 8.47-8.52(1H,broad), 11.23-11.27(1H,broad).
실시예493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6
3-비페닐카복실산 9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4.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5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트리에틸아민 0.16mL 및 tert-부틸=2-아미노-4-페닐벤조에이트 0.12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닐벤조에이트 0.14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7(9H,s), 7.34-7.43(3H,m), 7.45-7.51(4H,m), 7.62(1H,t,J=7.7Hz), 7.70-7.76(4H,m), 7.82(1H,ddd,J=7.7,1.8,1.0Hz), 8.04(1H,ddd,J=7.8,1.8,1.0Hz), 8.10(1H,d,J=8.3Hz), 8.37-8.40(1H,m), 9.28(1H,d,J=1.7Hz), 12.42(1H,s).
실시예494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7
3-비페닐카복실산 99m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4.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5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50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실온에서 트리에틸아민 0.16mL 및 tert-부틸=2-아미노-4-페녹시벤조에이트 0.13g을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클로로포름]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4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3(9H,s), 6.68(1H,dd,J=8.9,2.5Hz), 7.08-7.15(2H,m), 7.16-7.22(1H,m), 7.35-7.52(5H,m), 7.58(1H,t,J=7.7Hz), 7.68-7.74(2H,m), 7.77-7.82(1H,m), 7.95-8.04(2H,m), 8.30-8.32(1H,m), 8.61(1H,d,J=2.5Hz), 12.46(1H,s).
실시예495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8
2-(4-아미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0mg에, 실온에서, 아세트산 0.25mL 및 2,5-디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푸란 4.1μ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90℃에서 5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엿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아세트산에틸]로 정제하여, 갈색고체의 4-페녹시-2-(4-(1H-피롤-1-일)벤즈아미도)안식향산 3.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3(2H,t,J=2.2Hz), 6.78(1H,dd,J=8.8,2.6Hz), 7.16-7.21(2H,m), 7.28(1H,t,J=7.4Hz), 7.46-7.53(2H,m), 7.53(2H,t,J=2.2Hz), 7.80-7.85(2H,m), 7.96-8.01(2H,m), 8.08(1H,d,J=8.8Hz), 8.41(1H,d,J=2.6Hz), 12.49(1H,s).
실시예496
Figure 112007048853379-PCT00299
3,4-디메톡시계피산 0.13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0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0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4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빙냉하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0.15g의 염화메틸렌 1.5mL 및 트리에틸아민 0.14mL혼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 수용액,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E)-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네틸벤조에이트 0.12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3(9H,s), 2.94-3.01(4H,m), 3.93(3H,s), 3.97(3H,s), 6.51(1H,d,J=15.5Hz), 6.86(1H,dd,J=8.3,1.3Hz), 6.89(1H,d,J=8.3Hz), 7.13(1H,d,J=1.7Hz), 7.16-7.32(6H,m), 7.71(1H,d,J=15.5Hz), 7.89(1H,d,J=8.3Hz), 8.82(1H,d,J=1.3Hz), 11.45(1H,s).
실시예497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0
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복실산 0.13g에, 실온에서, 염화메틸렌 1.5mL, N,N-디메틸포름아미드 0.010mL 및 옥살릴클로라이드 0.062mL를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염화메틸렌 1.5mL를 첨가하고, 빙냉하에서, tert-부틸=2-아미노-4-페네틸벤조에이트 0.15g의 염화메틸렌 1.5mL 및 트리에틸아민 0.14mL 혼합액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4-페네틸-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0.17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52-1.77(6H,m), 1.61(9H,s), 2.97(4H,s), 3.66-3.73(4H,m), 6.70(1H,d,J=9.2Hz), 6.84(1H,dd,J=8.2,1.7Hz), 7.17-7.31(5H,m), 7.90(1H,d,J=8.2Hz), 8.10(1H,dd,J=9.2,2.7Hz), 8.86(1H,d,J=1.7Hz), 8.89(1H,d,J=2.7Hz), 12.11(1H,s).
실시예498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1
tert-부틸=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녹시벤조에이트 10mg의 염화메틸렌 0.5mL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5.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81(1H,dd,J=8.9,2.6Hz), 7.16-7.20(2H,m), 7.29(1H,t,J=7.2Hz), 7.47-7.52(2H,m), 7.81(1H,t,J=7.8Hz), 8.08(1H,d,J=8.9Hz), 8.12(1H,d,J=7.8Hz), 8.20(1H,d,J=8.0Hz), 8.29(1H,s), 8.31(1H,d,J=2.6Hz), 12.48(1H,s).
실시예499 ~507
실시예498과 동일하게 하여, 표49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2
4-페녹시-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37(2H,t,J=2.3Hz), 6.81(1H,dd,J=8.9,2.6Hz), 7.16-7.22(2H,m), 7.26-7.32(1H,m), 7.46-7.54(2H,m), 7.78(2H,t,J=2.3Hz), 7.92(1H,d,J=8.8Hz), 8.09(1H,d,J=9.0Hz), 8.30-8.36(2H,m), 8.92(1H,d,J=2.4Hz), 12.40(1H,s).
4-페녹시-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35(2H,t,J=2.3Hz), 6.85(1H,dd,J=8.9,2.7Hz), 7.16-7.24(2H,m), 7.26-7.34(1H,m), 7.46-7.54(2H,m), 7.61(1H,dd,J=5.1,1.2Hz), 7.74(2H,t,J=2.3Hz), 8.05(1H,s), 8.10(1H,d,J=8.9Hz), 8.32(1H,d,J=2.7Hz), 8.66(1H,d,J=5.1Hz), 12.50(1H,s).
4-페녹시-2-(2-(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21(2H,t,J=2.2Hz), 6.75(1H,dd,J=8.9,2.7Hz), 7.16-7.22(4H,m), 7.25-7.30(1H,m), 7.46-7.54(3H,m), 7.98(1H,d,J=8.9Hz), 8.15-8.22(2H,m), 8.64(1H,dd,J=4.9,1.7Hz), 11.67(1H,s).
4-페녹시-2-(3-(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0(1H,dd,J=2.6,1.8Hz), 6.80(1H,dd,J=8.9,2.6Hz), 7.16-7.23(2H,m), 7.27-7.32(1H,m), 7.46-7.55(2H,m), 7.71(1H,t,J=7.9Hz), 7.80-7.86(2H,m), 8.07-8.13(2H,m), 8.41-8.42(2H,m), 8.61(1H,d,J=2.4Hz), 12.53(1H,s).
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9(1H,dd,J=8.8,2.7Hz), 7.17-7.22(2H,m), 7.26-7.33(1H,m), 7.43(1H,tt,J=7.4,1.5Hz), 7.46-7.55(4H,m), 7.68(1H,t,J=7.8Hz), 7.72-7.77(2H,m), 7.90-7.97(2H,m), 8.08(1H,d,J=8.8Hz), 8.19(1H,t,J=1.7Hz), 8.43(1H,d,J=2.7Hz), 12.54(1H,s).
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8(1H,dd,J=8.9,2.5Hz), 7.16-7.22(2H,m), 7.26-7.32(1H,m), 7.41-7.55(5H,m), 7.75-7.80(2H,m), 7.87-7.93(2H,m), 7.98-8.04(2H,m), 8.09(1H,d,J=8.9Hz), 8.43(1H,d,J=2.5Hz), 12.48(1H,s).
2-(3-아세틸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66(3H,s), 6.80(1H,dd,J=8.9,2.6Hz), 7.16-7.22(2H,m), 7.26-7.32(1H,m), 7.46-7.54(2H,m), 7.75(1H,t,J=7.8Hz), 8.09(1H,d,J=8.9Hz), 8.15-8.19(1H,m), 8.20-8.24(1H,m), 8.40(1H,d,J=2.6Hz), 8.48-8.51(1H,m), 12.58(1H,s), 13.60-14.00(1H,broad).
2-(3-(3,5-디메틸-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0(3H,s), 2.37(3H,s), 6.13(1H,s), 6.79(1H,dd,J=8.9,2.5Hz), 7.17-7.21(2H,m), 7.26-7.32(1H,m), 7.46-7.53(2H,m), 7.70(1H,t,J=7.8Hz), 7.76-7.81(1H,m), 7.88-7.93(1H,m), 7.99(1H,t,J=2.0Hz), 8.08(1H,d,J=8.9Hz), 8.40(1H,d,J=2.5Hz), 12.46(1H,s), 13.50-14.00(1H,broad).
2-(비페닐-2-카르복사미도)-4-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6(1H,dd,J=8.8,2.4Hz), 7.11-7.16(2H,m), 7.22-7.43(6H,m), 7.44-7.55(4H,m), 7.62(1H,td,J=7.6,1.5Hz), 7.67(1H,dd,J=7.6,1.2Hz), 7.91(1H,d,J=8.8Hz), 8.22(1H,s), 11.44(1H,s), 13.30-13.60(1H,broad).
실시예508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3
tert-부틸=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닐벤조에이트 10mg의 염화메틸렌 0.5mL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5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3-시아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7.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44-7.50(1H,m), 7.52-7.60(3H,m), 7.72-7.77(2H,m), 7.84(1H,t,J=7.9Hz), 8.12-8.18(2H,m), 8.25-8.30(1H,m), 8.35-8.38(1H,m), 8.95(1H,d,J=1.7Hz), 12.24(1H,s).
실시예509 ~516
실시예508과 동일하게 하여, 표50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4
4-페닐-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38(2H,t,J=2.1Hz), 7.44-7.50(1H,m), 7.52-7.58(3H,m), 7.71-7.76(2H,m), 7.80(2H,t,J=2.1Hz), 7.96(1H,d,J=8.6Hz), 8.15(1H,d,J=8.3Hz), 8.40(1H,dd,J=8.6,2.4Hz), 8.98-9.02(2H,m), 12.25(1H,s).
4-페닐-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37(2H,t,J=2.3Hz), 7.48(1H,tt,J=7.3,1.6Hz), 7.53-7.62(3H,m), 7.69(1H,dd,J=5.1,1.4Hz), 7.74-7.78(4H,m), 8.13(1H,s), 8.16(1H,d,J=8.3Hz), 8.69(1H,dd,J=5.1,0.8Hz), 8.98(1H,d,J=1.7Hz), 12.29(1H,s).
4-페닐-2-(3-(1H-피라졸-1-일)벤즈아미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2(1H,dd,J=2.4,2.0Hz), 7.45-7.51(1H,m), 7.53-7.60(3H,m), 7.72-7.78(3H,m), 7.82-7.84(1H,m), 7.88-7.94(1H,m), 8.10-8.17(2H,m), 8.49(1H,t,J=1.8Hz), 8.63(1H,d,J=2.4Hz), 9.09(1H,d,J=1.7Hz), 12.38(1H,s).
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2-7.60(7H,m), 7.69-7.80(5H,m), 7.94-8.02(2H,m), 8.15(1H,d,J=8.3Hz), 8.26(1H,s), 9.11(1H,d,J=1.7Hz), 12.40(1H,s).
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42-7.60(7H,m), 7.74-7.82(4H,m), 7.90-7.95(2H,m), 8.06-8.11(2H,m), 8.16(1H,d,J=8.3Hz), 9.11(1H,d,J=1.7Hz), 12.34(1H,s).
2-(3-아세틸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69(3H,s), 7.45-7.50(1H,m), 7.52-7.59(3H,m), 7.72-7.82(3H,m), 8.15(1H,d,J=8.3Hz), 8.24(2H,dd,J=7.8,1.7Hz), 8.57(1H,t,J=1.7Hz), 9.07(1H,d,J=2.0Hz), 12.41(1H,s).
2-(3-(3,5-디메틸-1H-피라졸-1-일)벤즈아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1(3H,s), 2.39(3H,d,J=0.5Hz), 6.14(1H,s), 7.47(1H,tt,J=7.3,1.5Hz), 7.52-7.58(3H,m), 7.70-7.77(3H,m), 7.79-7.82(1H,m), 7.96-7.99(1H,m), 8.06-8.07(1H,m), 8.14(1H,d,J=8.3Hz), 9.05-9.07(1H,m), 12.30(1H,s).
2-(비페닐-2-카르복사미도)-4-페닐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7.29(1H,tt,J=7.2,1.7Hz), 7.34-7.48(6H,m), 7.48-7.59(4H,m), 7.61-7.70(3H,m), 7.73(1H,dd,J=7.6,1.2Hz), 7.99(1H,d,J=8.3Hz), 8.85(1H,s), 11.35(1H,s), 13.40-13.80(1H,broad).
실시예517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5
tert-부틸=4-페네틸-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20mg의 염화메틸렌 1.0mL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네틸-2-(6-(1H-피롤-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90-3.02(4H,m), 6.38(2H,t,J=2.3Hz), 7.11(1H,dd,J=8.3,1.6Hz), 7.15-7.24(1H,m), 7.25-7.32(4H,m), 7.79(2H,t,J=2.3Hz), 7.94(1H,d,J=8.7Hz), 7.97(1H,d,J=8.3Hz), 8.37(1H,dd,J=8.7,2.3Hz), 8.58-8.61(1H,m), 8.97(1H,d,J=2.3Hz), 12.15(1H,s), 13.60-13.80(1H,broad).
실시예518 ~521
실시예517과 동일하게 하여, 표51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6
4-페네틸-2-(2-(1H-피롤-1-일)피리딘-4-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4(4H,m), 6.37(2H,t,J=2.3Hz), 7.12-7.22(2H,m), 7.25-7.32(4H,m), 7.66(1H,dd,J=5.1,1.5Hz), 7.74(2H,t,J=2.3Hz), 7.97(1H,d,J=8.3Hz), 8.10(1H,s), 8.56(1H,d,J=1.5Hz), 8.67(1H,d,J=5.1Hz), 12.21(1H,s).
2-(비페닐-3-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8-3.04(4H,m), 7.10(1H,dd,J=8.3,1.5Hz), 7.15-7.24(1H,m), 7.24-7.33(4H,m), 7.41-7.46(1H,m), 7.51-7.55(2H,m), 7.70(1H,t,J=7.7Hz), 7.73-7.78(2H,m), 7.92-8.00(3H,m), 8.23(1H,s), 8.70(1H,s), 12.31(1H,s), 13.50-14.00(1H,broad).
2-(비페닐-4-카르복사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0-3.01(4H,m), 7.09(1H,dd,J=8.1,1.5Hz), 7.15-7.25(1H,m), 7.25-7.30(4H,m), 7.44(1H,tt,J=7.3,1.4Hz), 7.49-7.56(2H,m), 7.76-7.80(2H,m), 7.88-7.94(2H,m), 7.97(1H,d,J=8.1Hz), 8.03-8.08(2H,m), 8.70(1H,d,J=1.5Hz), 12.27(1H,s).
2-((E)-3-(3,4-디메톡시페닐)아크릴아미도)-4-페네틸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89-2.98(4H,m), 3.81(3H,s), 3.84(3H,s), 6.79(1H,d,J=15.5Hz), 7.00(1H,d,J=8.5Hz), 7.04(1H,dd,J=8.3,1.4Hz), 7.15-7.20(1H,m), 7.23-7.30(5H,m), 7.38(1H,d,J=1.7Hz), 7.56(1H,d,J=15.5Hz), 7.91(1H,d,J=8.3Hz), 8.58(1H,d,J=1.4Hz), 11.30(1H,s).
실시예522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7
tert-부틸=4-페닐-2-(3-(1H-테트라졸-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20mg의 염화메틸렌 1.0mL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고, 50℃로 가열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닐-2-(3-(1H-테트라졸-1-일)벤즈아미도)안식향산 5.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7.48(1H,tt,J=7.3,1.5Hz), 7.53-7.60(3H,m), 7.72-7.78(2H,m), 7.92(1H,t,J=7.9Hz), 8.15(2H,d,J=8.3Hz), 8.20-8.24(1H,m), 8.54(1H,t,J=1.8Hz), 9.04(1H,d,J=1.7Hz), 10.23(1H,s), 12.44(1H,s).
실시예523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8
tert-부틸=4-페닐-2-(4-(1H-피롤-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20mg의 디옥산 1.0mL용액에, 실온에서 메탄올 1.0mL 및 2.0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mL를 첨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닐-2-(4-(1H-피롤-1-일)벤즈아미도)안식향산 1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4(2H,t,J=2.2Hz), 7.47(1H,tt,J=7.3,1.5Hz), 7.50-7.59(5H,m), 7.72-7.78(2H,m), 7.83-7.88(2H,m), 8.03-8.09(2H,m), 8.15(1H,d,J=8.5Hz), 9.09(1H,d,J=2.0Hz), 12.33(1H,s).
실시예524
Figure 112007048853379-PCT00309
tert-부틸=4-페녹시-2-(3-(1H-피롤-1-일)벤즈아미도)벤조에이트 20mg의 디옥산 1.0mL용액에, 실온에서 메탄올 1.0mL 및 2.0mol/L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5mL를 첨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녹시-2-(3-(1H-피롤-1-일)벤즈아미도)안식향산 7.6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32(2H,t,J=2.2Hz), 6.80(1H,dd,J=8.9,2.7Hz), 7.16-7.22(2H,m), 7.26-7.32(1H,m), 7.46(2H,t,J=2.2Hz), 7.47-7.54(2H,m), 7.66(1H,t,J=7.9Hz), 7.74-7.80(1H,m), 7.84-7.88(1H,m), 8.05(1H,t,J=1.8Hz), 8.09(1H,d,J=8.9Hz), 8.39(1H,d,J=2.7Hz), 12.52(1H,s).
실시예525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0
tert-부틸=4-페네틸-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벤조에이트 0.17g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7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 및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였다. 얻어진 고형물에,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6.8로 조정하였다.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4-페네틸-2-(6-(피페리딘-1-일)피리딘-3-카르복사미도)안식향산 65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51-1.68(6H,m), 2.88-2.97(4H,m), 3.62-3.72(4H,m), 6.94(1H,d,J=9.3Hz), 7.01(1H,d,J=8.1Hz), 7.16-7.20(1H,m), 7.25-7.30(4H,m), 7.94(1H,d,J=8.0Hz), 7.94-8.00(1H,m), 8.65(1H,s), 8.69(1H,d,J=2.4Hz), 12.30-12.50(1H,broad).
실시예526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1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3,5-디플루오로페놀 29mg, 인산3칼륨 79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3시간 가열 환류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무색유상물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3,5-디플루오로페녹시)벤조에이트 71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4(9H,s), 6.56-6.63(3H,m), 6.73(1H,dd,J=8.8,2.4Hz), 7.50-7.60(3H,m), 8.01-8.07(3H,m), 8.70(1H,d,J=2.4Hz), 12.34(1H,s).
실시예527 ~533
실시예526과 동일하게 하여, 표52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2
tert-부틸=2-(벤즈아미도)-4-(2,3-디메틸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2.12(3H,s), 2.33(3H,s), 6.50(1H,dd,J=8.9,2.5Hz), 6.89(1H,d,J=7.8Hz), 7.04(1H,d,J=7.6Hz), 7.10-7.15(1H,m), 7.48-7.58(3H,m), 7.94(1H,d,J=8.9Hz), 8.00-8.05(2H,m), 8.53(1H,d,J=2.5Hz), 12.31(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플루오로-4-메틸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2(9H,s), 2.26(3H,d,J=1.7Hz), 6.67(1H,dd,J=8.9,2.5Hz), 6.75-6.83(2H,m), 7.18(1H,t,J=8.5Hz), 7.48-7.59(3H,m), 7.99(1H,d,J=8.9Hz), 7.99-8.05(2H,m), 8.61(1H,d,J=2.5Hz), 12.32(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3(9H,s), 6.69(1H,dd,J=8.9,2.7Hz), 6.94-6.98(1H,m), 7.00-7.06(2H,m), 7.39(1H,t,J=8.3Hz), 7.49-7.60(3H,m), 8.00-8.06(3H,m), 8.67(1H,d,J=2.7Hz), 12.32(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벤조[1,3]디옥솔-5-일옥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6.00(2H,s), 6.58(1H,dd,J=8.3,2.4Hz), 6.61-6.66(2H,m), 6.80(1H,d,J=8.3Hz), 7.48-7.58(3H,m), 7.97(1H,d,J=9.0Hz), 8.00-8.05(2H,m), 8.56(1H,d,J=2.7Hz), 12.31(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옥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4.27(4H,s), 6.58-6.67(3H,m), 6.87(1H,d,J=8.8Hz), 7.48-7.58(3H,m), 7.96(1H,d,J=9.0Hz), 8.00-8.05(2H,m), 8.57(1H,d,J=2.4Hz), 12.30(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벤조푸란-5-일옥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6.64(1H,dd,J=9.0,2.7Hz), 6.75(1H,dd,J=2.2,1.0Hz), 7.07(1H,dd,J=8.8,2.4Hz), 7.33(1H,d,J=2.4Hz), 7.47-7.57(4H,m), 7.66(1H,d,J=2.2Hz), 7.97(1H,d,J=9.0Hz), 7.98-8.04(2H,m), 8.58(1H,d,J=2.7Hz), 12.31(1H,s).
tert-부틸=2-(벤즈아미도)-4-(벤조티오펜-5-일옥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2(9H,s), 6.67(1H,dd,J=8.9,2.5Hz), 7.15(1H,dd,J=8.9,2.1Hz), 7.27-7.30(1H,m), 7.48-7.58(5H,m), 7.88(1H,d,J=8.5Hz), 7.98(1H,d,J=8.8Hz), 7.99-8.04(2H,m), 8.63(1H,d,J=2.5Hz), 12.32(1H,s).
실시예534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3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50g, 3-메톡시페놀 0.18mL,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17mg 및 인산3칼륨 0.57g의 톨루엔 5mL 현탁액에, 실온에서 아세트산팔라듐 6.0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5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 구연산 수용액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6: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3-메톡시페녹시)벤조에이트 0.32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2(9H,s), 3.80(3H,s), 6.64-6.76(4H,m), 7.28(1H,t,J=8.0Hz), 7.48-7.59(3H,m), 7.98(1H,d,J=8.8Hz), 8.01-8.06(2H,m), 8.63(1H,d,J=2.7Hz), 12.30(1H,s).
실시예535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4
실시예534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메톡시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1.61(9H,s), 3.82(3H,s), 6.62(1H,dd,J=9.0,2.7Hz), 6.90-6.96(2H,m), 7.02-7.08(2H,m), 7.48-7.58(3H,m), 7.96(1H,d,J=9.0Hz), 7.99-8.06(2H,m), 8.54(1H,d,J=2.7Hz), 12.31(1H,s).
실시예536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5
60% 수소화나트륨 8.9mg의 톨루엔 1.0mL 현탁액에, 실온에서 4-니트로페놀 3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5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3.8mg, 아세트산팔라듐 1.3mg 및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56mg의 톨루엔 0.5mL용액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3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3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4.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니트로페녹시)벤조에이트 18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1.65(9H,s), 6.79(1H,dd,J=8.8,2.4Hz), 7.12-7.17(2H,m), 7.50-7.61(3H,m), 8.01-8.06(2H,m), 8.09(1H,d,J=8.8Hz), 8.23-8.29(2H,m), 8.74(1H,d,J=2.4Hz), 12.36(1H,s).
실시예537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6
메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50mg의 톨루엔 1.0mL용액에, 실온에서 5-하이드록시-1-메틸-1H-인돌 26mg, 인산3칼륨 64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3.8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5.5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5:1]로 정제하여, 담황색고체의 메틸=2-(벤즈아미도)-4-(1-메틸-1H-인돌-5-일옥시)벤조에이트 53mg을 얻었다.
1H-NMR(CDCl3)δ값 : 3.83(3H,s), 3.93(3H,s), 6.47(1H,dd,J=3.1,0.9Hz), 6.63(1H,dd,J=9.0,2.6Hz), 7.02(1H,dd,J=8.8,2.2Hz), 7.10(1H,d,J=2.9Hz), 7.32-7.38(2H,m), 7.47-7.57(3H,m), 7.97-8.03(3H,m), 8.58(1H,d,J=2.6Hz), 12.14(1H,s).
실시예538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7
실시예537과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메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녹시)벤조에이트
1H-NMR(CDCl3)δ값 : 3.96(3H,s), 6.70(1H,dd,J=9.0,2.5Hz), 7.01(1H,ddd,J=8.1,2.1,0.9Hz), 7.10(1H,t,J=2.1Hz), 7.17(1H,ddd,J=8.1,2.1,0.9Hz), 7.33(1H,t,J=8.1Hz), 7.48-7.59(3H,m), 8.00-8.05(2H,m), 8.07(1H,d,J=9.0Hz), 8.65(1H,d,J=2.5Hz), 12.17(1H,s).
실시예539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8
tert-부틸=2-(벤즈아미도)-4-(3,5-디플루오로페녹시)벤조에이트 69mg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용액을,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3,5-디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41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90(1H,dd,J=8.8,2.4Hz), 6.96-7.04(2H,m), 7.17(1H,tt,J=9.4,2.3Hz), 7.56-7.69(3H,m), 7.91-7.97(2H,m), 8.12(1H,d,J=8.8Hz), 8.48(1H,d,J=2.7Hz), 12.42(1H,s).
실시예540 ~549
실시예539와 동일하게 하여, 표53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19
2-(벤즈아미도)-4-(4-니트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98(1H,dd,J=8.7,2.5Hz), 7.33-7.38(2H,m), 7.57-7.69(3H,m), 7.91-7.97(2H,m), 8.17(1H,d,J=8.7Hz), 8.30-8.36(2H,m), 8.54(1H,d,J=2.5Hz), 12.46(1H,s).
2-(벤즈아미도)-4-(2,3-디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07(3H,s), 2.31(3H,s), 6.63(1H,dd,J=8.9,2.7Hz), 6.94(1H,d,J=7.7Hz), 7.13(1H,d,J=7.5Hz), 7.17-7.22(1H,m), 7.55-7.68(3H,m), 7.90-7.94(2H,m), 8.04(1H,d,J=8.9Hz), 8.33(1H,d,J=2.7Hz), 12.41(1H,s), 13.50-13.70(1H,broad).
2-(벤즈아미도)-4-(3-플루오로-4-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6(3H,d,J=1.7Hz), 6.79(1H,dd,J=8.9,2.5Hz), 6.94(1H,dd,J=8.3,2.2Hz), 7.07(1H,dd,J=10.6,2.3Hz), 7.35-7.41(1H,m), 7.56-7.68(3H,m), 7.90-7.95(2H,m), 8.08(1H,d,J=8.9Hz), 8.42(1H,d,J=2.5Hz), 12.42(1H,s).
2-(벤즈아미도)-4-(3-메톡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78(3H,s), 6.70-6.88(4H,m), 7.38(1H,t,J=8.2Hz), 7.55-7.68(3H,m), 7.91-7.95(2H,m), 8.07(1H,d,J=8.8Hz), 8.43(1H,d,J=2.4Hz), 12.41(1H,s).
2-(벤즈아미도)-4-(4-메톡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3.79(3H,s), 6.71(1H,dd,J=8.9,2.7Hz), 7.01-7.06(2H,m), 7.11-7.17(2H,m), 7.55-7.68(3H,m), 7.89-7.95(2H,m), 8.05(1H,d,J=8.9Hz), 8.36(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3-(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5(1H,dd,J=8.8,2.6Hz), 7.20-7.31(3H,m), 7.56-7.69(4H,m), 7.90-7.96(2H,m), 8.11(1H,d,J=8.8Hz), 8.46(1H,d,J=2.6Hz), 12.43(1H,s).
2-(벤즈아미도)-4-(벤조[1,3]디옥솔-5-일옥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10(2H,s), 6.65(1H,dd,J=8.3,2.3Hz), 6.73(1H,dd,J=8.8,2.7Hz), 6.87(1H,d,J=2.3Hz), 6.99(1H,d,J=8.3Hz), 7.56-7.68(3H,m), 7.90-7.96(2H,m), 8.05(1H,d,J=8.8Hz), 8.38(1H,d,J=2.7Hz), 12.42(1H,s), 13.55-13.75(1H,broad).
2-(벤즈아미도)-4-(2,3-디하이드로벤조[1,4]디옥신-6-일옥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4.25-4.31(4H,m), 6.65(1H,dd,J=8.7,2.8Hz), 6.69-6.74(2H,m), 6.95(1H,d,J=8.5Hz), 7.56-7.68(3H,m), 7.90-7.96(2H,m), 8.05(1H,d,J=8.8Hz), 8.38(1H,d,J=2.7Hz), 12.42(1H,s).
2-(벤즈아미도)-4-(벤조푸란-5-일옥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6(1H,dd,J=8.9,2.5Hz), 7.00(1H,dd,J=2.2,1.0Hz), 7.15(1H,dd,J=8.9,2.5Hz), 7.49(1H,d,J=2.5Hz), 7.54-7.67(3H,m), 7.71(1H,d,J=8.9Hz), 7.88-7.93(2H,m), 8.06(1H,d,J=8.9Hz), 8.09(1H,d,J=2.2Hz), 8.39(1H,d,J=2.5Hz), 12.42(1H,s), 13.50-13.75(1H,broad).
2-(벤즈아미도)-4-(벤조티오펜-5-일옥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9,2.7Hz), 7.23(1H,dd,J=8.7,2.3Hz), 7.47(1H,dd,J=5.5,0.6Hz), 7.54-7.67(3H,m), 7.70(1H,d,J=2.3Hz), 7.88(1H,d,J=5.5Hz), 7.88-7.93(2H,m), 8.08(1H,d,J=8.8Hz), 8.11(1H,d,J=8.5Hz), 8.42(1H,d,J=2.7Hz), 12.42(1H,s).
실시예550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0
메틸=2-(벤즈아미도)-4-(1-메틸-1H-인돌-5-일옥시)벤조에이트 50mg의 디옥산 1.5mL 및 메탄올 1.5mL혼합액에, 실온에서 2.0mol/L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094mL를 첨가하고, 5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동일한 온도에서 2.0mol/L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031mL를 첨가하고, 50℃에서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물을 첨가하고, 1.0mol/L염산으로 pH3.5로 조정하고,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물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헥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1-메틸-1H-인돌-5-일옥시)안식향산 3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3.84(3H,s), 6.45(1H,d,J=2.9Hz), 6.71(1H,dd,J=8.8,2.3Hz), 6.98(1H,dd,J=8.8,2.2Hz), 7.35(1H,d,J=2.2Hz), 7.42(1H,d,J=2.9Hz), 7.51-7.67(4H,m), 7.87-7.92(2H,m), 8.03(1H,d,J=8.8Hz), 8.36(1H,d,J=2.3Hz), 12.43(1H,s), 13.45-13.70(1H,broad).
실시예551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1
메틸=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녹시)벤조에이트 0.10g의 메탄올 1.0mL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mL혼합액에, 빙냉하에서 2.0mol/L수산화나트륨 수용액 0.16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빙냉하에서 물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3-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9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83(1H,dd,J=8.8,2.4Hz), 7.15-7.18(1H,m), 7.29-7.32(1H,m), 7.33-7.37(1H,m), 7.51(1H,t,J=8.2Hz), 7.57-7.68(3H,m), 7.91-7.96(2H,m), 8.10(1H,d,J=8.8Hz), 8.44(1H,d,J=2.4Hz), 12.42(1H,s), 13.59-13.92(1H,broad).
실시예552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2
2-(벤즈아미도)-4-(3-메톡시페녹시)안식향산 0.10g의 톨루엔 1.0mL용액에, 실온에서 염화알루미늄 0.22g을 첨가하고, 80℃에서 8시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mol/L염산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1.0mol/L염산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아세트산=15:10:1]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3-하이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5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52(1H,t,J=2.2Hz), 6.55-6.60(1H,m), 6.64-6.70(1H,m), 6.78(1H,dd,J=8.9,2.5Hz), 7.26(1H,t,J=8.0Hz), 7.54-7.71(3H,m), 7.89-7.99(2H,m), 8.07(1H,d,J=8.9Hz), 8.42(1H,d,J=2.5Hz), 9.77(1H,s), 12.43(1H,s).
실시예553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3
실시예552와 동일하게 하여, 다음의 화합물을 얻었다.
2-(벤즈아미도)-4-(4-하이드록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69(1H,dd,J=8.8,2.7Hz), 6.82-6.88(2H,m), 6.97-7.04(2H,m), 7.54-7.68(3H,m), 7.90-7.95(2H,m), 8.03(1H,d,J=8.8Hz), 8.34(1H,d,J=2.7Hz), 9.51(1H,s), 12.44(1H,s).
실시예554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4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p-크레졸 0.023mL, 인산3칼륨 79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2.4mg 및 아세트산팔라듐 0.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아세트산팔라듐 1.7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6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메틸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4-메틸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메탄올을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4-메틸페녹시)안식향산 6.2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2.35(3H,s), 6.74(1H,dd,J=8.8,2.6Hz), 7.05-7.10(2H,m), 7.26-7.32(2H,m), 7.56-7.68(3H,m), 7.90-7.95(2H,m), 8.05(1H,d,J=8.8Hz), 8.39(1H,d,J=2.6Hz), 12.43(1H,s).
실시예555 , 556
실시예554와 동일하게 하여, 표54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5
2-(벤즈아미도)-4-(2-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3(1H,dd,J=8.8,2.5Hz), 7.33-7.42(2H,m), 7.45-7.53(1H,m), 7.54-7.72(4H,m), 7.87-7.96(2H,m), 8.08(1H,d,J=8.8Hz), 8.36(1H,d,J=2.5Hz), 12.42(1H,s), 13.59-13.84(1H,broad).
2-(벤즈아미도)-4-(4-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4Hz), 7.18-7.26(2H,m), 7.50-7.69(5H,m), 7.88-7.97(2H,m), 8.09(1H,d,J=8.8Hz), 8.42(1H,d,J=2.4Hz), 12.41(1H,s), 13.60-13.85(1H,broad).
실시예557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6
60% 수소화나트륨 10mg의 톨루엔 1mL 현탁액에, 실온에서 2,4-디플루오로페놀 0.018mL를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5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아세트산팔라듐 1.7mg 및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0.5mL용액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4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60% 수소화나트륨 4.5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아세트산팔라듐 1.7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4-디플루오로페놀 0.018mL, 60% 수소화나트륨 7.4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아세트산팔라듐 1.7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tert-부틸포스핀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6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5.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시간 30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Trikonex사, 플래시튜브2008,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4: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2,4-디플루오로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2,4-디플루오로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담황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2,4-디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3.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9(1H,dd,J=8.8,2.7Hz), 7.20-7.28(1H,m), 7.46-7.52(1H,m), 7.54-7.68(4H,m), 7.90-7.95(2H,m), 8.07(1H,d,J=8.8Hz), 8.38(1H,d,J=2.7Hz), 12.44(1H,s).
실시예558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7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tert-부틸=5-하이드록시-1H-인돌-1-카르복실레이트 52mg, 인산3칼륨 79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2시간 30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tert-부틸=5-(3-(벤즈아미도)-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녹시)-1H-인돌-1-카르복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5-(3-(벤즈아미도)-4-(tert-부톡시카르보닐)페녹시)-1H-인돌-1-카르복실레이트의 염화메틸렌 4.0mL용액에, 빙냉하에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1.0mL를 첨가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수층을 분리 채취하여, 6.0mol/L염산으로 pH6.5로 조정한 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고, 17시간 정치(靜置)하였다.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1H-인돌-5-일옥시)안식향산 1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41-6.43(1H,m), 6.54(1H,dd,J=8.6,2.7Hz), 6.87(1H,dd,J=8.6,2.3Hz), 7.25(1H,d,J=2.2Hz), 7.39-7.41(1H,m), 7.43(1H,d,J=8.5Hz), 7.46-7.59(3H,m), 7.96-8.04(3H,m), 8.30(1H,d,J=2.4Hz), 11.19(1H,s).
실시예559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8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의 톨루엔 1.4mL용액에, 실온에서 3-니트로페놀 31mg, 인산3칼륨 79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여,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3-니트로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3-니트로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담황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3-니트로페녹시)안식향산 34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91(1H,dd,J=8.8,2.6Hz), 7.56-7.71(4H,m), 7.78(1H,t,J=8.2Hz), 7.90-7.98(3H,m), 8.10-8.16(2H,m), 8.49(1H,d,J=2.6Hz), 12.41(1H,s).
실시예560 ~570
실시예559와 동일하게 하여, 표55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29
2-(벤즈아미도)-4-(4-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6(1H,dd,J=8.9,2.7Hz), 7.21-7.28(2H,m), 7.29-7.37(2H,m), 7.55-7.68(3H,m), 7.90-7.95(2H,m), 8.07(1H,d,J=8.9Hz), 8.39(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2(1H,dd,J=8.9,2.7Hz), 7.28-7.34(2H,m), 7.46-7.52(2H,m), 7.56-7.69(3H,m), 7.90-7.96(2H,m), 8.10(1H,d,J=8.9Hz), 8.44(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2-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6(3H,s), 6.67(1H,dd,J=8.9,2.7Hz), 7.08-7.13(1H,m), 7.21-7.26(1H,m), 7.29-7.34(1H,m), 7.38-7.41(1H,m), 7.55-7.68(3H,m), 7.89-7.95(2H,m), 8.05(1H,d,J=8.9Hz), 8.32(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3-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34(3H,s), 6.76(1H,dd,J=9.0,2.6Hz), 6.94-7.02(2H,m), 7.07-7.12(1H,m), 7.36(1H,dd,J=8.0,7.7Hz), 7.56-7.68(3H,m), 7.90-7.96(2H,m), 8.07(1H,d,J=9.0Hz), 8.41(1H,d,J=2.6Hz), 12.41(1H,s).
2-(벤즈아미도)-4-(2,6-디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0(6H,s), 6.58(1H,dd,J=9.0,2.5Hz), 7.14-7.25(3H,m), 7.55-7.68(3H,m), 7.89-7.95(2H,m), 8.04(1H,d,J=9.0Hz), 8.25(1H,d,J=2.5Hz), 12.43(1H,s).
2-(벤즈아미도)-4-(3-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4(1H,dd,J=8.8,2.4Hz), 7.00-7.05(1H,m), 7.08-7.16(2H,m), 7.48-7.68(4H,m), 7.90-7.96(2H,m), 8.10(1H,d,J=8.8Hz), 8.45(1H,d,J=2.4Hz), 12.41(1H,s).
2-(벤즈아미도)-4-(2-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9(1H,dd,J=8.8,2.6Hz), 7.29-7.51(4H,m), 7.55-7.69(3H,m), 7.89-7.95(2H,m), 8.08(1H,d,J=8.8Hz), 8.39(1H,d,J=2.6Hz), 12.41(1H,s).
2-(벤즈아미도)-4-(2,6-디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5(1H,dd,J=9.0,2.7Hz), 7.34-7.51(3H,m), 7.55-7.68(3H,m), 7.89-7.95(2H,m), 8.09(1H,d,J=9.0Hz), 8.42(1H,d,J=2.7Hz), 12.43(1H,s).
2-(벤즈아미도)-4-(3,4-디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24(6H,s), 6.72(1H,dd,J=8.9,2.7Hz), 6.89(1H,dd,J=8.1,2.5Hz), 6.98(1H,d,J=2.5Hz), 7.23(1H,d,J=8.1Hz), 7.56-7.68(3H,m), 7.90-7.95(2H,m), 8.05(1H,d,J=8.9Hz), 8.39(1H,d,J=2.7Hz), 12.40(1H,s).
2-(벤즈아미도)-4-(3-(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5(1H,dd,J=9.0,2.7Hz), 7.48-7.52(1H,m), 7.54-7.68(5H,m), 7.72(1H,t,J=7.9Hz), 7.90-7.95(2H,m), 8.11(1H,d,J=9.0Hz), 8.46(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90(1H,dd,J=8.8,2.6Hz), 7.33-7.39(2H,m), 7.56-7.69(3H,m), 7.81-7.88(2H,m), 7.91-7.96(2H,m), 8.13(1H,d,J=8.8Hz), 8.50(1H,d,J=2.6Hz), 12.41(1H,s), 13.70-13.95(1H,broad).
실시예571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0
60% 수소화나트륨 22mg의 톨루엔 2.1mL 현탁액에, 실온에서 2,4-디클로로페놀 91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5분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70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6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2,4-디클로로페놀 61mg, 60%수소화나트륨 15mg,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4.7mg 및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 6.8mg을 첨가하고, 질소분위기 하, 10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10% 구연산 수용액 및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고,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20:1]로 정제하여, tert-부틸=2-(벤즈아미도)-4-(2,4-디클로로페녹시)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2,4-디클로로페녹시)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얻어진 잔류물을 역상(逆相)실리카겔크로마토그라피[용리액;80-100% 아세토니트릴/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수용액]로 정제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2,4-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8.7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6.77(1H,dd,J=8.8,2.7Hz), 7.41(1H,d,J=8.8Hz), 7.53-7.68(4H,m), 7.88(1H,d,J=2.4Hz), 7.90-7.95(2H,m), 8.08(1H,d,J=8.8Hz), 8.36(1H,d,J=2.7Hz), 12.43(1H,s).
실시예572 ~583
실시예571과 동일하게 하여, 표56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1
2-(벤즈아미도)-4-(2,3-디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6(1H,dd,J=8.9,2.7Hz), 7.20-7.26(1H,m), 7.30-7.48(2H,m), 7.56-7.68(3H,m), 7.90-7.95(2H,m), 8.10(1H,d,J=8.9Hz), 8.44(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3-클로로-2-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4(1H,dd,J=8.8,2.7Hz), 7.32-7.43(2H,m), 7.53-7.69(4H,m), 7.90-7.96(2H,m), 8.10(1H,d,J=8.8Hz), 8.43(1H,d,J=2.7Hz), 12.42(1H,s).
2-(벤즈아미도)-4-(3-클로로-4-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7Hz), 7.21-7.28(1H,m), 7.52-7.69(5H,m), 7.90-7.96(2H,m), 8.09(1H,d,J=8.8Hz), 8.42(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3,5-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8(1H,dd,J=8.8,2.6Hz), 7.32(2H,d,J=1.9Hz), 7.52(1H,t,J=1.9Hz), 7.56-7.69(3H,m), 7.91-7.97(2H,m), 8.12(1H,d,J=8.8Hz), 8.46(1H,d,J=2.6Hz), 12.42(1H,s).
2-(벤즈아미도)-4-(4-플루오로-2-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5(3H,s), 6.67(1H,dd,J=8.9,2.5Hz), 7.11-7.20(2H,m), 7.27-7.31(1H,m), 7.55-7.68(3H,m), 7.89-7.95(2H,m), 8.05(1H,d,J=8.9Hz), 8.31(1H,d,J=2.5Hz), 12.43(1H,s).
2-(벤즈아미도)-4-(3,4-디플루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1(1H,dd,J=8.8,2.7Hz), 7.04-7.11(1H,m), 7.42-7.48(1H,m), 7.52-7.69(4H,m), 7.90-7.96(2H,m), 8.09(1H,d,J=8.8Hz), 8.42(1H,d,J=2.7Hz), 12.42(1H,s).
2-(벤즈아미도)-4-(2,5-디플로오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4(1H,dd,J=8.8,2.7Hz), 7.21-7.28(1H,m), 7.38-7.44(1H,m), 7.51-7.69(4H,m), 7.90-7.96(2H,m), 8.09(1H,d,J=8.8Hz), 8.43(1H,d,J=2.7Hz), 12.42(1H,s).
2-(벤즈아미도)-4-(5-클로로-2-메틸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15(3H,s), 6.72(1H,dd,J=8.9,2.7Hz), 7.22(1H,d,J=2.2Hz), 7.30(1H,dd,J=8.3,2.2Hz), 7.44(1H,d,J=8.3Hz), 7.55-7.68(3H,m), 7.90-7.95(2H,m), 8.08(1H,d,J=8.9Hz), 8.34(1H,d,J=2.7Hz), 12.42(1H,s).
2-(벤즈아미도)-4-(3,4-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86(1H,dd,J=9.0,2.5Hz), 7.22(1H,dd,J=8.9,2.7Hz), 7.54-7.69(4H,m), 7.74(1H,d,J=8.9Hz), 7.90-7.96(2H,m), 8.10(1H,d,J=9.0Hz), 8.45(1H,d,J=2.5Hz), 12.41(1H,s).
2-(벤즈아미도)-4-(2,3-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8(1H,dd,J=8.8,2.6Hz), 7.36(1H,dd,J=8.3,1.2Hz), 7.50(1H,t,J=8.2Hz), 7.56-7.69(4H,m), 7.90-7.96(2H,m), 8.09(1H,d,J=8.8Hz), 8.38(1H,d,J=2.6Hz), 12.44(1H,s).
2-(벤즈아미도)-4-(2,5-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8(1H,dd,J=8.9,2.7Hz), 7.46(1H,dd,J=8.8,2.5Hz), 7.54(1H,d,J=2.5Hz), 7.56-7.69(3H,m), 7.73(1H,d,J=8.8Hz), 7.90-7.96(2H,m), 8.09(1H,d,J=8.9Hz), 8.38(1H,d,J=2.7Hz), 12.41(1H,s).
2-(벤즈아미도)-4-(2,6-디클로로페녹시)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6.70(1H,dd,J=8.8,2.7Hz), 7.46(1H,t,J=8.3Hz), 7.55-7.68(3H,m), 7.71(2H,d,J=8.3Hz), 7.89-7.96(2H,m), 8.08(1H,d,J=8.8Hz), 8.31(1H,d,J=2.7Hz), 12.49(1H,s).
실시예584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2
tert-부틸=2-(벤즈아미도)-4-브로모벤조에이트 0.10g의 톨루엔 3.0mL용액에, 4-페닐피페리딘 86mg, 탄산세슘 0.22g,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2.4mg, 아세트산팔라듐 1.2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6.3mg을 첨가하고, 2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트리스(디벤지리덴아세톤)디팔라듐(0)2.4mg, 아세트산팔라듐 1.2mg 및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비페닐 6.3mg을 첨가하고, 6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아세트산에틸 및 10%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후지실리시아 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 PSQ100B(구형상), 용리액;헥산:아세트산에틸=10:1]로 정제하여, 담황색고체의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닐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tert-부틸=2-(벤즈아미도)-4-(4-페닐피페리딘-1-일)벤조에이트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5.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아세트산에틸 및 물을 첨가하고, 포화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pH6.5로 조정하였다. 유기층을 분리 채취하고, 물 및 포화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에 디이소프로필에테르를 첨가하고, 고형물을 여과 채취하여, 백색고체의 2-(벤즈아미도)-4-(4-페닐피페리딘-1-일)안식향산 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값 : 1.65-1.78(2H,m), 1.86-1.95(2H,m), 2.76-2.87(1H,m), 2.97-3.08(2H,m), 4.01-4.11(2H,m), 6.78(1H,dd,J=9.1,2.5Hz), 7.17-7.23(1H,m), 7.25-7.34(4H,m), 7.56-7.68(3H,m), 7.88(1H,d,J=9.1Hz), 7.94-7.99(2H,m), 8.47(1H,d,J=2.5Hz), 12.53(1H,s).
실시예585 ~588
실시예584와 동일하게 하여, 표57에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3
2-(벤즈아미도)-4-(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2-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95-3.01(2H,m), 3.64-3.70(2H,m), 4.58(2H,s), 6.77(1H,dd,J=9.0,2.6Hz), 7.18-7.32(4H,m), 7.57-7.68(3H,m), 7.90(1H,d,J=9.0Hz), 7.95-8.00(2H,m), 8.45(1H,d,J=2.6Hz), 12.53(1H,s), 12.97(1H,s).
2-(벤즈아미도)-4-(4-벤질피페리딘-1-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17-1.31(2H,m), 1.62-1.71(2H,m), 1.74-1.88(1H,m), 2.50-2.57(2H,m), 2.82-2.92(2H,m), 3.86-3.96(2H,m), 6.69(1H,dd,J=9.3,2.5Hz), 7.16-7.22(3H,m), 7.26-7.32(2H,m), 7.56-7.67(3H,m), 7.84(1H,d,J=9.3Hz), 7.92-7.98(2H,m), 8.39(1H,d,J=2.5Hz), 12.49(1H,s), 12.94(1H,s).
2-(벤즈아미도)-4-(4-벤조일피페리딘-1-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1.58-1.72(2H,m), 1.86-1.95(2H,m), 3.10-3.21(2H,m), 3.73-3.83(1H,m), 3.93-4.03(2H,m), 6.76(1H,dd,J=9.1,2.4Hz), 7.53-7.70(6H,m), 7.87(1H,d,J=9.1Hz), 7.93-7.98(2H,m), 8.01-8.06(2H,m), 8.43(1H,d,J=2.4Hz), 12.49(1H,s), 12.90-13.15(1H,broad).
2-(벤즈아미도)-4-(4-페닐-1,2,3,6-테트라하이드로피리딘-1-일)안식향산
1H-NMR(DMSO-d6)δ값 : 2.64-2.72(2H,m), 3.65-3.71(2H,m), 4.02-4.09(2H,m), 6.32-6.37(1H,m), 6.78(1H,dd,J=9.1,2.5Hz), 7.25-7.32(1H,m), 7.35-7.41(2H,m), 7.48-7.53(2H,m), 7.57-7.68(3H,m), 7.90(1H,d,J=9.1Hz), 7.95-8.00(2H,m), 8.47(1H,d,J=2.5Hz), 12.53(1H,s), 12.90-13.15(1H,broad).
본 발명의 일반식[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은, MMP-13산생 저해작용을 갖기 때문에, 예를 들면, 관절류마티즘, 변형성 관절증 및 암 등 MMP-13이 관여하는 질환의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일반식
    Figure 112007048853379-PCT00334
    「식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카르복실보호기를; R2는,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또는 복소환식기를; R3은,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페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2환식의 복소환식기를; X1은, 카르보닐기 또는 술포닐기를; X2는,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를; 단, X1이 술포닐기, 또한, X4가 결합수인 경우, X2는,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를; X3은,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결합수를; X4는, 일반식, -X5-X6- 또는 -X6-X5-(단, 각 일반식의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보호되어있어도 좋은 이미노기, 술피닐기, 술포닐기 또는 결합수를; X6은,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를 의미한다.」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2. 제 1항에 있어서,
    X1이, 카르보닐기인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R1이, 수소원자; R2가,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보호되어있어도 좋은 하이드록실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케닐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키닐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콕시기, 치환되어도있어도 좋은 아릴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환상(環狀)아미노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아랄킬기 및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복소환식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페닐 또는 복소환식기; R3이,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기 및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페닐, 단환의 복소환식 또는 2환식의 복소환식기; X2가,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 단, X1이 술포닐기, 또한, X4가 결합수인 경우, X2는, 알킬렌기, 알케닐렌기 또는 알키닐렌기; X3이,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 X4가, 일반식, -X6-X5-(단, 일반식의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는, 산 소원자, 유황원자, 보호되어있어도 좋은 이미노기, 술피닐기, 술포닐기 또는 결합수를; X6은,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 또는 결합수를 의미한다.」인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R3이, 할로겐원자, 하이드록실기,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기 및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콕시기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페닐, 상기 환을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1~3개의 질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2환식의 함질소복소환식, 상기 환을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산소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2환식의 함산소복소환식 또는 상기 환을 형성하는 이항원자로서 유황원자만을 포함하는 축합환 또는 가교환으로 나타내는 2환식의 함유황복소환식기인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5.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X4가, 일반식, -X6p-X5q-(단, 일반식의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q는, 산소원자, 유황원자 또는 결합수를; X6p는, 치환되어있어도 좋은 알킬렌, 알케닐렌 또는 알키닐렌기를 의미한다.」인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6. 제 1항 내지 제 4항에 있어서,
    X4가, 일반식, -X6r-X5s-(단, 일반식의 좌측의 결합수가, R3에 결합하는 것으로 한다.)「식중, X5s는, 산소원자 또는 결합수를; X6r은, 결합수를 의미한다.」인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7.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한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 13산생 저해제.
  8. 제 1항 내지 제 6항에 기재한,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관절류마티즘 질환 치료제.
KR1020077015347A 2004-12-07 2005-12-06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KR20070100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3725 2004-12-07
JP2004353725 2004-1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0888A true KR20070100888A (ko) 2007-10-12

Family

ID=36577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5347A KR20070100888A (ko) 2004-12-07 2005-12-06 신규의 안트라닐산 유도체 또는 그 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999132B2 (ko)
EP (1) EP1820795A4 (ko)
JP (1) JP4956194B2 (ko)
KR (1) KR20070100888A (ko)
CN (1) CN101094829B (ko)
AU (1) AU2005312721B9 (ko)
BR (1) BRPI0518467A2 (ko)
CA (1) CA2588633A1 (ko)
MX (1) MX2007006790A (ko)
NO (1) NO20072605L (ko)
NZ (1) NZ555326A (ko)
RU (1) RU2394021C2 (ko)
WO (1) WO2006062093A1 (ko)
ZA (1) ZA2007047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8627A2 (en) * 2005-07-07 2007-01-18 Abbott Laboratories Apoptosis promoters
TWI444379B (zh) 2007-06-29 2014-07-11 Sunesis Pharmaceuticals Inc 有用於作為Raf激酶抑制劑之化合物
CN101412682B (zh) * 2007-10-19 2012-06-27 上海药明康德新药开发有限公司 芳基氨茴酸及其衍生物的合成方法
BRPI0817897A2 (pt) * 2007-11-02 2019-09-24 Methylgene Inc composto, composição, e, métodos de inibição da atividade hdac, e de tratamento de uma doença responsiva a um inibidor de atividade hdac
US8536186B2 (en) 2008-08-04 2013-09-17 Chdi Foundation, Inc. Certain kynurenine-3-monooxygen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420640B2 (en) 2008-08-29 2013-04-16 Treventis Corporation Methods of treating amyloid disease using analogs of 1-(4-nitrophenyl) piperazine
EP2340243B1 (en) 2008-10-17 2014-10-08 Boehringer Ingelheim International GmbH Heteroaryl substituted indole compounds useful as mmp-13 inhibitors
US8492582B2 (en) 2009-01-30 2013-07-23 Toyama Chemical Co., Ltd. N-acyl anthranilic acid derivative or salt thereof
US8785473B2 (en) 2009-03-31 2014-07-22 Renascience Co., Lt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hibitor
WO2011056985A2 (en) * 2009-11-04 2011-05-12 Gilead Sciences, Inc. Substituted heterocyclic compounds
BR112012018500A2 (pt) 2010-01-25 2016-08-16 Chdi Foundation Inc alguns inibidores de quinurenina-3-monooxigenase,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e métodos de uso destas
JP5964809B2 (ja) * 2010-03-22 2016-08-03 レンセラール ポリテクニック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ピオイド受容体リガンドとしてのカルボキサミド基を含有するモルヒネ誘導体
CN103717757A (zh) * 2011-05-24 2014-04-09 威斯特研究所 用于调节爱泼斯坦-巴尔核抗原1的活性的组合物和方法
HUE034802T2 (en) 2011-08-30 2018-02-28 Chdi Foundation Inc Kinurenin-3-monooxygen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nd methods of use
SG2014011654A (en) 2011-08-30 2014-08-28 Chdi Foundation Inc Kynurenine-3-monooxygenase inhibitor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WO2013056079A1 (en) * 2011-10-13 2013-04-18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High affinity beta lactamase inhibitors
KR102283996B1 (ko) * 2013-03-15 2021-07-29 더 스크립스 리서치 인스티튜트 연골형성의 유도를 위한 화합물 및 방법
US10092537B2 (en) 2013-04-15 2018-10-09 Renascience Co., Ltd. Use for PAI-1 inhibitor
EP2986286A1 (en) * 2013-04-15 2016-02-24 Universita' Degli Studi di Bari Galloyl benzamide-based compounds as jnk modulators
GB201322538D0 (en) 2013-06-21 2014-02-05 Immusmol Sas Method for detecting small molecules in a sample
EP4180424A1 (en) * 2014-03-07 2023-05-17 BioCryst Pharmaceuticals, Inc. Substituted pyrazoles as human plasma kallikrein inhibitors
KR20170026633A (ko) 2014-07-17 2017-03-08 씨에이치디아이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Hiv-관련 장애의 치료 방법 및 치료용 조성물
EP3183230B1 (en) * 2014-08-20 2018-10-24 Council of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N-((3,4,5-trimethoxystyryl)aryl)cinnamamide compounds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ES2578377B1 (es) * 2014-12-22 2017-05-04 Consejo Superior De Investigaciones Científicas (Csic) Compuestos moduladores del sensor neuronal de calcio dream y sus usos terapéuticos.
JP6533997B2 (ja) * 2014-12-26 2019-06-26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Znf143阻害活性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その利用
WO2018157801A1 (zh) * 2017-02-28 2018-09-0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氰基取代的稠合双环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IT201700028127A1 (it) * 2017-03-14 2018-09-14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Composti e composizioni per il trattamento della fibrosi cistica
CN110357789B (zh) * 2018-04-11 2022-09-30 华东理工大学 作为dhodh抑制剂的n-取代丙烯酰胺衍生物及其制备和用途
EA202190024A1 (ru) 2018-06-21 2021-05-19 Селлестия Биотек Аг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мино-диариловых эфиров и гидрохлоридных солей амино-диариловых эфиров
MX2022002144A (es) * 2019-08-21 2022-05-13 Scripps Research Inst Agonistas monocíclicos de estimulador de genes interferón sting.
US20230255906A1 (en) * 2020-07-02 2023-08-17 The Brigham And Women`S Hospital, Inc. Targeting Serpin B9 in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31444A1 (de) * 1973-06-20 1975-01-23 Hoechst Ag Neue styryl-benzoxazol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optische aufhellungsmittel
CA2260860A1 (en) * 1996-07-22 1998-01-29 Monsanto Company Thiol sulfonamide metalloprotease inhibitors
CN1245380C (zh) 1998-07-24 2006-03-15 帝人株式会社 邻氨基苯甲酸衍生物
KR20030009391A (ko) * 2000-03-17 2003-01-29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 파마 컴파니 기질 금속단백분해효소 및 TNF-α의 억제제인 시클릭β-아미노산 유도체
DE10065042A1 (de) * 2000-12-23 2002-06-27 Boehringer Ingelheim Pharma Carbonsäureamide,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
DOP2002000333A (es) * 2001-02-14 2002-09-30 Warner Lambert Co Derivados de acido isoftalico como inhibidores de metaloproteinasas de la matriz
PA8539301A1 (es) 2001-02-14 2002-09-30 Warner Lambert Co Inhibidores de la metaloproteinasa de la matriz
GB0126902D0 (en) 2001-11-08 2002-01-02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WO2004011470A1 (ja) * 2002-07-26 2004-02-05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フロイソキノリン誘導体およびその用途
SE0400234D0 (sv) * 2004-02-06 2004-02-06 Active Biotech Ab New compounds,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07006790A (es) 2007-08-15
CN101094829B (zh) 2012-02-08
RU2007125726A (ru) 2009-01-20
CN101094829A (zh) 2007-12-26
BRPI0518467A2 (pt) 2008-11-18
NO20072605L (no) 2007-09-05
NZ555326A (en) 2010-01-29
RU2394021C2 (ru) 2010-07-10
CA2588633A1 (en) 2006-06-15
AU2005312721B9 (en) 2012-08-02
EP1820795A1 (en) 2007-08-22
JP4956194B2 (ja) 2012-06-20
JPWO2006062093A1 (ja) 2008-06-12
US20090240052A1 (en) 2009-09-24
WO2006062093A1 (ja) 2006-06-15
AU2005312721B2 (en) 2011-09-08
EP1820795A4 (en) 2010-10-20
US7999132B2 (en) 2011-08-16
ZA200704789B (en) 2008-11-26
AU2005312721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56194B2 (ja) 新規なアントラニル酸誘導体またはその塩
RU2529860C2 (ru) Производное n-ацилантраниловой кислоты или его соль
EP1860098B1 (en) Novel anthranilic acid derivative or salt thereof
AU2008321577B2 (en) Bis-(sulfonylamino) derivatives in therapy 066
ES2442003T3 (es) Nuevo derivado de sulfonamida de ácido malónico y uso farmacéutico del mismo
CA2384974A1 (en)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s cathepsin s inhibitors
JP5443975B2 (ja) 新規な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またはその塩
WO2005061477A1 (en) Biaryl sulfonamides as mmp inhibitors
JP6045573B2 (ja) 5−カルバモイルアダマンタン−2−イルアミド誘導体、その薬学的に許容可能な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