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714A -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714A
KR20070099714A KR1020060030787A KR20060030787A KR20070099714A KR 20070099714 A KR20070099714 A KR 20070099714A KR 1020060030787 A KR1020060030787 A KR 1020060030787A KR 20060030787 A KR20060030787 A KR 20060030787A KR 20070099714 A KR20070099714 A KR 20070099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nanotube
housing
nanotube substrate
cathode
a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6907B1 (ko
Inventor
김종욱
최해영
장원석
서운학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3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6907B1/ko
Priority to US11/783,046 priority patent/US7403595B2/en
Priority to JP2007099872A priority patent/JP2007280958A/ja
Publication of KR20070099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4Details of the emitter, e.g.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6Cathodes
    • H01J35/065Field emission, photo emission or secondary emission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4Electrodes ; Mutual position thereof; Constructional adaptations therefor
    • H01J35/08Anodes; Anti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4Arrangements for concentrating, focusing, or directing the cathode 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01J2201/304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201/30446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201/30453Carbon types
    • H01J2201/30469Carbon nanotubes (C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6Cathode assembly
    • H01J2235/062Cold cathodes

Landscapes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X-Ray Technique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은,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진공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가속하여 자신에게 도달하도록 하는 양극; 양극에 대응하는 음극으로서 그 표면에는 전압인가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 기판; 탄소나노튜브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극판;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기판과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샘플 프루브;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전방에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으로부터 전자를 원활하게 추출하기 위한 그리드 전극; 그리드 전극을 통과한 전자를 집속하여 상기 양극에 마이크로 수준의 초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집속 렌즈; 상기 음극, 그리드 전극 및 전자집속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피드 스루;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교체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샘플 프루브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및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주기 위한 진공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X-ray tube system with disassembled carbon nanotube substrate for generating micro focusing level electron-be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의 방사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탄소나노튜브 기판 및 샘플 프루브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집속 렌즈의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샘플 프루브 및 피드 스루의 설치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진공도 증대를 위해 하우징의 외주면에 설치된 열선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하우징 102...양극
103...탄소나노튜브 기판(음극) 104...음극판
105...샘플 프루브 106...그리드 전극
107...전자 집속 렌즈 108...피드 스루
109...진공 펌프 110...진공 밸브
115...전자 121...베릴륨 창
122...절연층 123...오링(O-ring)
124...전선 130...열선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방사선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전자가 방출되는 양자역학적 전계방출(field emission) 원리를 이용하고, 전자방출원으로서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를 음극으로 사용하며, 탄소나노 튜브 음극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고진공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탄소나노튜브 음극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사선관(X-ray tube) 시스템에 있어서의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텅스텐 필라멘트 음극은 필라멘트 자체의 가열을 통해 발생하는 열전자에 의해 엑스선 광원을 방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텅스텐 필라멘트 음극을 사용하는 방사선관 시스템은 그 규모가 거대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제작 비용이 소요되고, 장소가 한정되어 있어서 이용자들이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필라멘트의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열전자들은 방출되는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방사선의 질을 떨어뜨리고, 낮은 열전자 밀도에 의해 타깃(target)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의 발생효율이 낮으며, 필라멘트 및 집속부에서 발생하는 가스(gas)로 인해 진공도가 현저히 떨어져 내부 방전이 발생하여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또한 열에 의한 타깃의 수명 단축이 하나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더욱이 텅스텐 필라멘트의 사용이 길어질 경우 필라멘트의 표면에서 텅스텐이 증발되어 그 외경이 줄어들면서 열전자 방출 특성이 변하게 되고, 이때 증발된 텅스텐은 유리벌브 내벽에 증착되어 고압 절연을 저하시키며, 투과 방사선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라멘트 음극을 이용한 분리형 방사선관이 제시되고 있으나, 광원이 필라멘트이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많은 문제점들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연구되고 있는 레이저 기반의 방사선 방출 광원기술 및 거대한 방사광을 이용한 광원기술은 막대한 설치비용과 공간적 부피 및 이동성 등의 제약에 의해 기계 및 반도체 산업으로의 적용이 어렵고, 많은 상업적 제약이 따르기 때문에 순수과학 분야와 같은 특정한 연구 분야에 국한하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 발생장치의 연구가 국내 및 국외의 일부 연구기관에서 진행되고는 있으나, 엑스선 튜브의 구조가 종래의 텅스텐 필라멘트를 이용한 튜브와 같은 형태의 봉입형의 구조를 갖거나 혹은 분해조립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해도 분해조립의 방법이 대단히 복잡하고, 특히 분해조립 시 고진공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항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자가 방출되는 양자역학적 전계방출 원리를 이용하고, 전자 방출원으로서 탄소나노튜브를 음극으로 사용하며, 탄소나노튜브 음극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고진공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탄소나노튜브 음극을 교체할 수 있도록 된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은,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관에 있어서,
상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진공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가속하여 자신에게 도달하도록 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대응하는 음극으로서 양극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에는 전압인가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 기판;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극판;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에 이상이 있을 때, 탄소나노튜브 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기판과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샘플 프루브(sample probe);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전방에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으로부터 전자를 원활하게 추출하기 위한 그리드(grid) 전극;
상기 그리드 전극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리드 전극을 통과한 전자를 집속하여 상기 양극에 마이크로 수준의 초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집속 렌즈;
상기 샘플 프루브의 주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음극, 그리드 전극 및 전자집속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피드 스루(feed through);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교체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상기 샘플 프루브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및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주기 위한 진공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은 방사선관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방사선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은, 하우징(101), 양극(102), 탄소나노튜브 기판(103), 음극판(104), 샘플 프루브(105), 그리드 전극(106), 전자 집속 렌즈(107), 피드 스루(108), 진공 펌프(109), 진공 밸브(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1)은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진공의 공간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하우징(101)의 재질로는 진공의 유지가 가능하고, 필요시 하우징 내부의 가스(전자가 양극의 타겟(102t)에 충돌하여 방사선이 발생할 시 방사선의 발생과 함께 발생한 가스)를 없애기 위해 전기적으로 가열할 수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파이렉스(Pyrex), 유리, 세라믹,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102)은 상기 하우징(101)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가속하여 자신에게 도달하도록 한다. 이러한 양극(102)의 재질로는 방사선 방출이 용이한 전도성 물질, 예컨대 텅스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은 상기 양극(102)에 대응하는 음극으로서 양극(10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101) 내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에는 전압인가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되어 있다.
상기 음극판(104)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을 지지 및 고정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음극판(104)의 재질로는 전압의 인가가 용이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샘플 프루브(105)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에 이상이 있을 때, 탄소나노튜브 기판(103)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기판(103)과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샘플 프루브(105)는 도 3의 (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되는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드 전극(106)은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의 전방에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으로부터 전자를 원활하게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그리드 전극(106)은 전자의 추출이 용이하도록 망의 선 굵기는 가늘고, 각 개개의 홀의 크기는 큰 것이 사용되며, 재질로는 전압 인가가 용이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텅스텐이나 스테인레스 스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집속 렌즈(107)는 상기 그리드 전극(106)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리드 전극(106)을 통과한 전자를 집속하여 상기 양극(102)에 마이크로 수준의 초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자 집속 렌즈(107)는 도 4의 (A)에서와 같이 깔때기형관(절두원추체)이나 (B)의 원형관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전자의 고밀도 집속을 위해 상기 (A)에서와 같은 깔때기형관(절두원추체) 형태로 제작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 집속 렌즈(107)의 재질로는 전압의 인가가 용이한 전도성 물질,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집속 렌즈(107)의 길이와 내경은 최적의 전자빔 고밀도 집속을 위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피드 스루(108)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샘플 프루브(105)의 주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음극(탄소나노튜브 기판)(103), 그리드 전극(106) 및 전자집속 렌즈(107)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진공 펌프(109)는 상기 하우징(101)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의 교체 시, 상기 하우징(101)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이러한 진공 펌프(109)는 이와 같이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의 교체 시, 상기 하우징(101)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지만, 그와 같은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의 교체와는 상관없이 방사선관(하우징)의 진공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로 떨어졌을 때, 그 진공도를 다시 높여주 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진공 밸브(110)는 상기 샘플 프루브(105)를 상기 하우징(101)에 삽입 및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시 하우징(101)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주기 위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번호 115는 탄소나노튜브 기판(103)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121은 방사선의 방출 시 노이즈 방사선을 줄이고 요구되는 방사선을 투과시키기 위한 베릴륨 창, 122는 전자집속 렌즈(107)와 그리드 전극(106) 사이, 그리고 그리드 전극(106)과 음극(탄소나노튜브 기판)(103) 사이의 절연을 위한 절연층, 123은 샘플 프루브(105)의 하우징(101)에의 결합 시 진공유지를 가능하게 하며, 샘플 프루브(105)의 하우징(101)에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오링(O-ring), 124는 전자집속 렌즈(107)와 그리드 전극(106) 및 음극(탄소나노튜브 기판)(103)과 피드 스루(108)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을 각각 나타낸다.
한편,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1)의 외주면에는 필요 시 하우징(101)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하우징(101)의 내벽 및 하우징(101)을 이루고 있는 재질로부터 탈기체(outgas)화 함으로써 하우징(101)(방사선관)의 진공도를 증대시켜주기 위한 열선(130)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그 열선(130)이 설치된 하우징(101)의 둘레에는 열선(13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열선(130)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외부로의 손실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더 설치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다.
첫째, 기본적인 삼극 구조의 음극과 그리드 전극 및 양극으로 이루어지며, 제작이 용이하고, 개량된 전자빔 집속 렌즈에 의해 양극에 마이크로 단위의 전자빔 집속이 가능하다.
둘째, 전자집속 렌즈의 형상을 깔때기 형태(tapered-type)로 만들어 줌으로써 전자가 집속되는 면적을 상당량 좁혀줄 수 있다.
셋째,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되어 있는 기판이 프루브 형태의 샘플 홀더에 장착되어 있어 방사선관에서 진공을 유지하면서 탄소나노튜브 기판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장점 및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의 방사선관 시스템은 기존의 방사선관 시스템과의 시장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선관에 있어서,
    상기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양극에 충돌하여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하는 진공의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계를 형성하여 음극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를 가속하여 자신에게 도달하도록 하는 양극;
    상기 양극에 대응하는 음극으로서 양극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의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그 표면에는 전압인가에 의해 전자를 방출하는 탄소나노튜브가 성장되어 있는 탄소나노튜브 기판;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을 지지 및 고정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극판;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에 이상이 있을 때, 탄소나노튜브 기판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 기판과 결합되어 하나의 일체화된 세트를 이루며,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샘플 프루브(sample probe);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전방에 설치되며, 탄소나노튜브 기판으로부터 전자를 원활하게 추출하기 위한 그리드(grid) 전극;
    상기 그리드 전극의 전방에 설치되며, 그리드 전극을 통과한 전자를 집속하 여 상기 양극에 마이크로 수준의 초점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집속 렌즈;
    상기 샘플 프루브의 주변에 복수 개가 설치되며, 상기 음극, 그리드 전극 및 전자집속 렌즈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피드 스루(feed through);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탄소나노튜브 기판의 교체 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진공 펌프; 및
    상기 샘플 프루브를 상기 하우징에 삽입 및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를 차단시켜주기 위한 진공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집속 렌즈는 깔때기형관(절두원추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필요 시 하우징을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하우징의 내벽 및 하우징을 이루고 있는 재질로부터 탈기체(outgas)화 함으로써 하우징(방사선관)의 진공도를 증대시켜주기 위한 열선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이 설치된 하우징의 둘레에는 열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열선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외부로의 손실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 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KR1020060030787A 2006-04-05 2006-04-05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KR10076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787A KR100766907B1 (ko) 2006-04-05 2006-04-05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US11/783,046 US7403595B2 (en) 2006-04-05 2007-04-05 X-ray tube system with disassembled carbon nanotube substrate for generating micro focusing level electron-beam
JP2007099872A JP2007280958A (ja) 2006-04-05 2007-04-05 マイクロ集束レベルの電子ビーム発生用炭素ナノチューブ基板分離型の放射線管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787A KR100766907B1 (ko) 2006-04-05 2006-04-05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714A true KR20070099714A (ko) 2007-10-10
KR100766907B1 KR100766907B1 (ko) 2007-10-17

Family

ID=3857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787A KR100766907B1 (ko) 2006-04-05 2006-04-05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03595B2 (ko)
JP (1) JP2007280958A (ko)
KR (1) KR1007669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48B1 (ko) * 2007-10-19 2009-07-03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포커스엑스선관
KR101066143B1 (ko) * 2009-08-10 2011-09-20 주식회사 브이엠티 이온 펌프의 포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740B1 (ko) 2007-08-03 2009-08-13 한국전기연구원 전계 방출 및 전기적 특성 측정을 위한 시스템
US7801277B2 (en) * 2008-03-26 2010-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Field emitter based electron source with minimized beam emittance growth
KR101097722B1 (ko) 2009-05-18 2011-12-23 한국전기연구원 냉음극 회전형 전계 방출 소자와 이를 이용한 x선 발생 장치
KR101047499B1 (ko) 2009-06-11 2011-07-08 한국전기연구원 고분자 생성, 산업, 인체 진단을 위한 나노물질 기반 램프, 고리 형태의 중대형 엑스선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US8588372B2 (en) * 2009-12-16 2013-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modifying electron beam aspect ratio for X-ray generation
DE102011007215A1 (de) * 2011-04-12 2012-10-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Elektronenquelle zur Erzeugung eines Elektronenstrahls sowie Röntgenquelle zur Erzeugung von Röntgenstrahlung
JP5071949B1 (ja) * 2011-08-02 2012-11-14 マイクロXジャパン株式会社 ステレオx線発生装置
KR101415025B1 (ko) * 2011-11-15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발생기 및 이를 포함한 엑스선 촬영 장치
CN102427015B (zh) * 2011-11-29 2014-03-12 东南大学 一种聚焦型冷阴极x射线管
JP6316019B2 (ja) * 2013-03-06 2018-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X線発生管、該x線発生管を備えたx線発生装置及びx線撮影システム
AU2016279178A1 (en) * 2015-06-19 2018-01-18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unable electromagnetic waves using carbon nanotube-based field emitters
US10932355B2 (en) * 2017-09-26 2021-02-23 Jefferson Science Associates, Llc High-current conduction cooled superconducting radio-frequency cryomodule
EP3933881A1 (en) 2020-06-30 2022-01-05 VEC Imaging GmbH & Co. KG X-ray source with multiple grid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8100A (ja) * 1985-03-22 1986-09-27 Toshiba Corp X線管装置
JPH0794571A (ja) * 1993-09-24 1995-04-07 Fujitsu Ltd 半導体プロセス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H0982227A (ja) * 1995-09-07 1997-03-28 Toshiba Electron Eng Corp X線管の排気方法及び排気装置
JP2000082430A (ja) 1998-09-08 2000-03-21 Hamamatsu Photonics Kk X線発生用ターゲ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x線管
US6208711B1 (en) * 1999-09-21 2001-03-27 Imatr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ing ions in a scanning electron beam computed tomographic system using a single potential power source
US20030002627A1 (en) * 2000-09-28 2003-01-02 Oxford Instruments, Inc. Cold emitter x-ray tube incorporating a nanostructured carbon film electron emitter
DE10048833C2 (de) 2000-09-29 2002-08-08 Siemens Ag Vakuumgehäuse für eine Vakuumröhre mit einem Röntgenfenster
US6553096B1 (en) * 2000-10-06 2003-04-22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X-ray generating mechanism using electron field emission cathode
US7085351B2 (en) * 2000-10-06 2006-08-01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Chapel Hil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on beam current
US6980627B2 (en) * 2000-10-06 2005-12-27 Xintek,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multiple x-ray beams from multiple locations
JP4533553B2 (ja) 2001-04-13 2010-09-01 株式会社リガク X線管
KR100436087B1 (ko) * 2001-06-21 2004-06-12 한상효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방사선 광캐소드와 이를 이용한방사선 검출장치 및 방사선 이미지 측정장치
JP3810656B2 (ja) * 2001-07-23 2006-08-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微小x線源
JP4150237B2 (ja) * 2002-09-20 2008-09-17 浜松ホトニクス株式会社 X線管
JP4181447B2 (ja) * 2003-05-14 2008-11-12 日本電子株式会社 透過電子顕微鏡における試料交換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48B1 (ko) * 2007-10-19 2009-07-03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포커스엑스선관
KR101066143B1 (ko) * 2009-08-10 2011-09-20 주식회사 브이엠티 이온 펌프의 포트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온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280958A (ja) 2007-10-25
US7403595B2 (en) 2008-07-22
KR100766907B1 (ko) 2007-10-17
US20070237300A1 (en)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907B1 (ko) 마이크로 집속 수준의 전자빔 발생용 탄소나노튜브 기판분리형 방사선관 시스템
JP6415388B2 (ja) プラズマ生成装置
KR20070038849A (ko) 탄소나노튜브를 전계방출원으로 이용한 분해ㆍ조립이가능한 엑스선관
KR100886203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다중 채널 음극 구조의 마이크로포커싱 엑스-선관
US20160189909A1 (en) Target for x-ray generation and x-ray generation device
JP7073407B2 (ja) 電離放射線を生成するための小型放射源、複数の放射源を備えるアセンブリ、及び放射源を製造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0789592B1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전계방출 냉음극 연엑스선 발생관
JP2011077027A (ja) X線発生用ターゲット、x線発生装置、及びx線発生用ターゲットの製造方法
US9633813B2 (en) Ion source using heated cathode and electromagnetic confinement
JP2007538359A (ja) 高線量x線管
US20030057953A1 (en) Ionization vacuum pressure gauge
US6229876B1 (en) X-ray tube
KR100906148B1 (ko) 탄소나노튜브 전계방출원을 이용한 투과형 마이크로 포커스엑스선관
US6441550B1 (en) Carbon-based field emission electron device for high current density applications
US20060022574A1 (en) Light source apparatus using field emission cathode
US20100002842A1 (en) Cathode assembly for rapid electron source replacement in a rotating anode x-ray generator
JP4268471B2 (ja) 冷陰極の製造方法、及び冷陰極を用いた装置
KR100665881B1 (ko)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관의 전자빔 발생용 음극 모듈
US7442941B2 (en) Ion generator
US20140183349A1 (en) Ion source using spindt cathode and electromagnetic confinement
KR20090012910A (ko) 탄소 나노튜브 기반의 엑스선관
KR101245524B1 (ko) 멀티―빔 x―선관
JP2020526867A (ja) 小型電離放射線源
KR102027407B1 (ko) 탄소나노튜브 실을 이용한 필드 에미터 및 냉음극 구조
JP3156627B2 (ja) 負イオン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