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약제에 대한 내성균에 대해서도 효과가 높은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이고, 병원균 생식환경에 투여하는 유효 성분량이 낮아도 고활성인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펜티오피라드와 기타 살균제 성분의 조합을 검토한 결과, 펜티오피라드와 특정의 살균제 성분을 조합시킴으로써, 각종 식물 병원균에 대해서 단독 성분으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을 정도의 상승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고, 더욱이 식물에 약해(藥害)가 생기지 않도록 함을 발견하여,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이다.
[1] 유효 성분으로서, 성분 I 및 II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성분 I이 (RS)-N-[2-(1,3-디메틸부틸)티오펜-3-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르복시아미드이고,
성분 II가 테트라코나졸, 플루트리아폴, 이미벤코나졸, 트리아디메폰, 시메코나졸,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프로티오코나졸, 부피리메이트, 스피록사민, 메티람, 도딘, 아닐라진, 클로조리네이트, 옥시카르복신, 에타복삼, 이프로발리카브, 피라조포스, 플루오로이미드, 디플루메토림, 펜헥사미드, 파목사돈, 페나미돈, 시아조파미드, 족사마이드, 사이플루펜아미드, 보스칼리드,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및 디목시스트로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
[2] 성분 I 1 중량부에 대해서, 성분 II가 0.01~50중량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을 식물 병원균의 생식환경에서 시용 (施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해 방제 방법.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 및 그 방제 방법을 방제 수단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약제내성균을 포함하는 각종 식물 병원균에 대해서, 단독 성분으로부터는 예상할 수 없을 정도의 상승적인 방제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식물 환경으로의 유효 성분 (화합물) 투여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더욱이 식물에 약해(藥害)를 발생시키는 일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골격이나 작용성이 다른 2 종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기 때문에, 약제내성균의 출현 가능성이 낮은 방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성분 I 및 II를 함유한다.
성분 I은 (RS)-N-[2-(1,3-디메틸부틸)티오펜-3-일]-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라졸-4-카르복시아미드((RS)-N-[2-(1,3-dimethylbutyl)thiophen-3-yl]-1-methyl-3-trifluoromethyl-1H-pyrazole-4-carboxamide) (일반명, 펜티오피라드 (Penthiopyrad, ISO 신청중))이다.
성분 II는 테트라코나졸, 플루트리아폴, 이미벤코나졸, 트리아디메폰, 시메코나졸,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프로티오코나졸, 부피리메이트, 스피록사민, 메티람, 도딘, 아닐라진, 클로조리네이트, 옥시카르복신, 에타복삼, 이프로발리카브, 피라조포스, 플루오로이미드, 디플루메토림, 펜헥사미드, 파목사돈, 페나미돈, 시아조파미드, 족사마이드, 사이플루펜아미드, 보스칼리드 및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피콕시스트로빈, 피라클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및 디목시스트로빈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성분 II의 화합물은 여러가지 식물 병해에 대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에 살충제 매뉴얼 (제13판) [The Pesticide Manual, 제13판,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출판, 2003년]에 기재된 성분 II의 일반명(영문명)과 기재된 쪽을 나타낸다. 기재된 쪽에는 약제의 여러가지 특징이 표시되어 있다.
1) 테트라코나졸 (Tetraconazole, 제945-946쪽)
2) 플루트리아폴 (Flutriafol, 제487-488쪽)
3) 이미벤코나졸 (Imibenconazole, 제561-562쪽)
4) 트리아디메폰 (Triadimefon, 제986-987쪽)
5) 시메코나졸 (Simeconazole, 제892-893쪽)
6)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Oxpoconazole fumarate, 제735쪽)
7) 프로티오코나졸 (Prothiconazole, 제837-838쪽)
8) 부피리메이트 (Bupirimate, 제116-117쪽)
9) 스피록사민 (Spiroxamine, 제902-903쪽)
10) 메티람 (Metiram, 제666-667쪽)
11) 도딘 (Dodine, 제356-357쪽)
12) 아닐라진 (Anilazine, 제1042쪽)
13) 클로조리네이트 (Chlozolinate, 제179-180쪽)
14) 옥시카르복신 (Oxycarboxin, 제736쪽)
15) 에타복삼 (Ethaboxam, 제374쪽)
16) 이프로발리카브 (Iprovalicarb, 제580-581쪽)
17) 피라조포스 (Pyrazophos, 제845-846쪽)
18) 플루오로이미드 (Fluoroimide, 제467쪽)
19) 디플루메토림 (Diflumetorim, 제313쪽)
20) 펜헥사미드 (Fenhexamid, 제408-409쪽)
21) 파목사돈 (Famoxadone, 제394-395쪽)
22) 페나미돈 (Fenamidone, 제397-398쪽)
23) 시아조파미드 (Cyazofamid, 제217-218쪽)
24) 족사마이드 (Zoxamide, 제1035-1036쪽)
25) 사이플루펜아미드 (Cyflufenamid, 제225쪽)
26) 보스칼리드 (Boscalid, 제104쪽)
27)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Benthiavalicarb-isopropyl, 제79쪽)
28) 피콕시스트로빈 (Picoxystrobin, 제786-787쪽)
29) 피라클로스트로빈 (Pyraclostrobin, 제842-843쪽)
30) 플루옥사스트로빈 (Fluoxastrobin, 제468-469쪽)
31) 디목시스트로빈 (Dimoxystrobin, 제329쪽)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각각의 유효 성분 (성분 I, 성분 II)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상승적인 방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따라 적절한 바람직한 범위는 다르지만, 해당 조성물 100 중량부 중에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를 0.01~80중량부의 범위에서 함유한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에서,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와 성분 II의 화합물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성분 I의 화합물 1중량부에 대하여 성분 II의 화합물은 0.01~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30중량부,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20중량부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성분 I과 성분 II를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 외에, 성분 I을 함유하는 조성물과 성분 II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거의 동시에 식물 병원균의 생식환경에서 처리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성분 I의 화합물과 성분 II의 화합물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조제할 수 있다. 이 고농도 조성물은 물로 희석하여 살포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성분 I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조성물과 성분 II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시에 혼합하여, 혼합물로서 조제할 수도 있다. 이 고농도 조성물은 물로 희석하여 살포액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탱크믹스법(tank mixing method)).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은 시용하는 병원균 생식환경에 대하여 유효 성분 원체를 그대로 사용해도 좋지만, 일반적으로는 불활성 액체 담체, 고체 담체,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통상 이용되는 제제 형태인 분제, 수화제, 액상수화제(flowable formulation), 유제, 입제 및 그외의 일반적으로 관용되는 형태의 제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제제상 필요하다면, 계면활성제 이외의 보조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말하는 담체란 처리해야 할 부위로 유효 성분의 도달을 돕고, 또한 유효 성분 화합물의 저장, 수송,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배합되는 합성 또는 천연의 무기 또는 유기물질을 의미한다. 담체로는, 통상 농원예용 약제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고체 또는 액체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고, 특정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체 담체로는 몬모릴로나이트, 카올리나이트 등의 점토류; 규조토, 백토, 탈크, 질석, 석고, 탄산칼슘, 실리카겔,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물질; 대두분, 톱밥, 소맥분 등의 식물성 유기물질 및 요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물성을 개량하기 위하여, 고분산 규산 또는 고분산 흡수성 폴리머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액체 담체로는, 톨루엔, 크실렌, 쿠멘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로신, 광유(鑛油) 등의 파라핀계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디옥산,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류;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사이드 등의 비양성자성 용매 및 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제제의 제형, 적용 장소 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서, 각각 단독으로 또는 조합시켜 다음과 같은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보조제로는, 통상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결합제 (예를 들면, 리그닌설폰산, 알긴산, 폴리비닐알코올, 아라비아고무, CMC 나트륨 등), 안정제 (예를 들면, 산화방지용으로서 페놀계 화합물, 티올계 화합물 또는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이용하거나, pH 조정제로서 인산염을 이용하거나, 때때로 광안정제도 이용함) 등을 필요에 따라서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방균방미 (防菌防黴)를 위해서 공업용 살균제, 방균방미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또한, 보조제로서, 유화, 분산, 확전, 습윤, 결합, 안정화 등의 목적으로는 리그닌설폰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황산 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황산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인산 에스테르염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민,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알킬아미드, 폴리옥시알킬렌알킬티오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폴리옥시에틸렌 블록 폴리머 등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스테아린산 칼슘, 왁스 등의 윤활제; 인산수소 이소프로필 등의 안정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리조레시틴 등의 세팔린 또는 레시틴계의 천연 또는 합성 인지질 (脂質), 그외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제인, 아라비아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은 이상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에서, 성분 I과 성분 II를 배합한 유효 성분의 함유량은 제제 형태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통상 분제에서는 0.01~30중량%, 수화제에서는 0.1~80중량%, 입제에서는 0.5~20중량%, 유제에서는 2~50중량%, 액상수화제제(flowable formulation)에서는 1~50중량%, 입상수화(dry flowable) 제제에서는 1~8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분제에서는 0.05~10중량%, 수화제에서는 5~60중량%, 유제에서는 5~20중량%, 액상수화제제(flowable formulation)에서는 5~50중량% 및 입상수화(dry flowable)제제에서는 5~50중량%이다. 또한, 보조제의 함유량은 0~80중량%이고, 담체의 함유량은 100중량%로부터 유효 성분화합물 및 보조제의 함유량을 뺀 양이다.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 방법으로는, 종자처리, 침지처리, 묘상처리, 경엽살포, 토양관주, 토양혼화 등의, 통상 당업자가 이용하는 것과 같은 시용 방법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어느 시용 방법에서도 충분한 식물 병해 방제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해 방제 조성물의 시용량 및 시용 농도는 대상 작물, 대상 병해, 병해의 발생정도, 화합물의 제형, 시용 방법 및 각종 환경조건 등에 따라 변동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살포하는 경우에는, 유효 성분량으로서 헥타르당 50~1,000g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헥타르당 100~500g이다. 또한, 수화제, 액상수화제(flowable formulation) 또는 유제를 물로 희석하여 살포하는 경우, 그 희석 배율은 200~20,000배가 적당하고, 바람직하게는 500~5,000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종자 소독제로서 이용하는 경우, 조성물 (성분 I과 성분 II의 혼합물)의 사용량이 종자 1kg 당 0.001~50g, 바람직하게는 0.01~10g이 되도록 이용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살균제, 살충제, 진드기구제제, 선충구제제, 제초제 및 식물성장조절제 등의 농약, 토양개량제 또는 비료물질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들과의 혼합제제로서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및 방제 방법은 하기 종류의 식물 병해에 대하여 유효하다. 이하에, 본 발명이 방제 대상으로 하는 구체적 병해 및 그 병원균을 나타낸다.
도열병 (Pyricularia oryzae), 문고병 (Rhizoctonia solani), 깨씨무늬병 (Cochliobolus miyabeanus), 키다리병 (Gibberella fujikuroi); 보리류의 흰가루병 (Erysiphe graminis f.sp.hordei; f.sp.tritici), 줄녹병 (Puccinia striiformis; P. graminis; P.recondita; P.hordei), 줄무늬병 (Pyrenophora graminea), 그물무늬병 (Pyrenophora teres), 붉은곰팡이병 (Gibberella zeae), 설부병 (Typhula sp.; Micronectriella nivalis), 겉깜부기병 (Ustilago tritici; U.nuda), 비린깜부기병 (Tilletia caries), 눈무늬병 (Pseudocercosporella herpotrichoides), 잎집눈마름병 (Rhizoctonia cerealis), 구름무늬병 (Rhynchosporium secalis), 잎마름병 (Septoria tritici), 껍질마름병 (Leptosphaeria nodorum); 강낭콩, 오이, 토마토, 딸기, 포도, 감자, 대두,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포도의 노균병 (Plasmopara viticola), 줄녹병 (Phakopsora ampelopsidis), 흰가루병 (Uncinula necator), 흑두병 (Elsinoe ampelina), 만부병 (Glomerella cingulata); 사과의 흰가루병 (Podosphaera leucotricha), 검은별무늬병 (Venturia inaequalis), 점무늬낙엽병 (Alternaria mali),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yamadae), 모니리아병 (Sclerotinia mali), 부란병 (Valsa mali); 배의 검은무늬병 (Alternaria kikuchiana), 점무늬낙엽병 (Venturia nashicola), 붉은별무늬병 (Gymnosporangium haraeanum), 겹무늬병 (Physalospora piricola); 복숭아의 잿빛무늬병 (Sclerotinia cinerea), 검은별무늬병 (Cladosporium carpophilum), 줄기마름병 (Phomopsis sp.); 감의 탄저병 (Gloeosporium kaki), 낙엽병 (Cercospora kaki; Mycosphaerella nawae), 흰가루병 (Phyllactinia kakikora); 오이의 노균병(Pseudoperonospora cubensis), 박류의 벼모잘록병 (Rizoctonia solani), 흰가루병 (Sphaerotheca fuliginea), 탄저병 (Colletotrichum lagenarium), 덩굴마름병 Mycosphaerella melonis); 토마토의 겹무늬병 (Alternaria solani), 잎곰팡이병 (Cladosporium fulvam),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가지의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잎곰팡이병 (Mycovellosiella nattrassii); 십자화과 야채의 검은무늬병 (Alternaria japonica), 흰무늬병 (Cercosporella brassicae), 뿌리혹병 (Plasmodiophora brassicae), 뿌리썩음병 (Phoma lingam); 파의 줄녹병 (Puccinia allii), 검은무늬병 (Alternaria porri); 대두의 자주빛무늬병 (Cercospora kikuchii), 흑두병 (Elsinoe glycines), 검은점열매썩음병 (Diaporthe phaseolorum); 강낭콩의 탄저병 (Colletotrichum lindemuthianum); 땅콩의 검은무늬병 (흑반병) (Mycosphaerella berkeley), 갈색무늬병 (갈반병) (Cercospora arachidicola); 완두의 흰가루병 (Erysiphe pisi), 노균병 (Peronospora pisi); 감자의 하역병 (Alternaria solani), 잎집무늬마름병 (Rhizoctonia solani),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잠두의 노균병 (Peronospora viciae),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차나무의 차그물떡병 (Exobasidium reticulatum), 흰별무늬병 (백성병) (Elsinoe leucospila), 탄저병 (Colletotrichum theae-sinensis); 담배의 붉은별무늬병 (Alternaria longipes), 흰가루병 (Erysiphe cichoracearum), 탄저병 (Colletotrichum tabacum), 역병 (Phytophthora parasitica); 사탕무의 갈색무늬병 (갈반병) (Cercospora beticola); 장미의 검은별무늬병 (Diplocarpon rosae), 흰가루병 (Sphaerotheca pannosa), 역병 (Phytophthora megasperma); 국화의 갈색무늬병 (갈반병) (Septoria chrysanthemi-indici), 흰녹병 (Puccinia horiana); 딸기의 흰가루병 (Sphaerotheca humuli), 역병 (Phytophthora nicotianae); 강낭콩, 오이, 토마토, 딸기, 포도, 감자, 대두, 양배추, 가지, 양상추 등의 균핵병 (Sclerotinia sclerotiorum); 감귤의 검은점열매썩음병 (Diaporthe citri); 당근의 검은잎마름병 (Alternaria dauci)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제제예 중에 기재된 각성분의 배합부수(配合部數)는 모두 중량부수(重量部數)를 의미한다.
(실시예 A)
<제제예 a>
<제제예 a1 (성분 I 및 성분 II를 함유하는 수화제>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 5부, 성분 II (하기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과 그 첨가량 (부)),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a1에서의 성분 II와 그 첨가량 (부)은 각각 테트라코나졸: 5부, 플루트리아폴: 5부, 이미벤코나졸: 5부, 트리아디메폰: 5부, 시메코나졸: 5부,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5부, 프로티오코나졸: 5부, 부피리메이트: 10부, 스피록사민: 25부, 메티람: 25부, 도딘: 25부, 아닐라진: 25부, 클로조리네이트: 20부, 옥시카 르복신: 10부, 에타복삼: 5부, 이프로발리카브: 2.5부, 피라조포스: 10부, 플루오로이미드: 15부, 디플루메토림: 5부, 펜헥사미드: 10부, 파목사돈: 10부, 페나미돈: 5부, 시아조파미드: 5부, 족사마이드: 5부, 사이플루펜아미드: 2.5부, 보스칼리드: 10부,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2.5부였다.
<비교용 제제예 a1-2 (성분 I 함유 수화제 (펜티오피라드 단제))>
펜티오피라드: 10부,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용 제제예 a1-3 (성분 II 함유 수화제 (성분 II 단제))>
성분 II (하기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과 그 부수(部數)),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용 제제예 a1-3에서의 성분 II와 부수(部數)는 각각 테트라코나졸: 10부, 플루트리아폴: 10부, 이미벤코나졸: 10부, 트리아디메폰: 10부, 시메코나졸: 10부,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10부, 프로티오코나졸: 10부, 부피리메이트: 20부, 스피록사민: 50부, 메티람: 50부, 도딘: 50부, 아닐라진: 50부, 클로조리네이트: 40부, 옥시카르복신: 20부, 에타복삼: 10부, 이프로발리카브: 5부, 피라조포스: 20부, 플루오로이미드: 30부, 디플루메토림: 10부, 펜헥사미드: 20부, 파목사돈: 20부, 페나미돈: 10부, 시아조파미드: 10부, 족사마이드: 10부, 사이플루펜아미드: 5부, 보스칼리드: 20부,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5부였다.
(병해방제 시험예)
이하, 병해방제 시험예의 결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각 표중의 알파벳 P는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에 나타내는 시험예 모두에서, 유효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 비하여, 상승적인 효과가 관찰되고, 또한, 식물체에 약해(藥害)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예 1) 오이 흰가루병 방제 시험 (EBI제 내성균)
온실내에서, 직경 7.5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옮겨 심은 2 묘목의 오이 (품종: 사가미한바꾸(sagami-hanpaku))를 1.5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제된 수화제를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4포트당 50ml씩 스프레이건(spray gun)으로 살포했다. 약액이 건조된 후에, 미리 발병시켜 둔 오이의 발병엽 위의 흰가루병균 (EBI제 내성균)을 화필로 균일하게 닦아내고, 접종했다. 접종 후, 플라스틱 포트를 온실내 항온실 (20~25℃)에 넣고, 14일간 경과 후에 꺼내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오이 1엽당 차지하는 병반 면적의 비율을 하기 발병 정도의 지표에 따라서 실시했다. 또한, 각 처리구의 평균 발병 정도로부터 하기의 계산식에 의해 방제치를 산출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험했다. 결과는 제1표에 나타냈다.
발병 정도 0: 병반 없음
1: 병반 면적이 5% 이하
2: 병반 면적이 6~25%
3: 병반 면적이 26~50%
4: 병반 면적이 51% 이상
각 처리구 및 무처리구의 평균치를 발병 정도로 했다. 방제치는 이하와 같이 산출했다.
방제치 = (1-처리구의 발병정도/무처리구의 발병정도)×100
표1 오이 흰가루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테트라코나졸 P + 트리아디메폰 P + 부피리메이트 P + 사이플루펜아미드 |
5 + 5 5 + 5 5 + 10 5 + 2.5 |
89 88 90 98 |
테트라코나졸 트리아디메폰 부피리메이트 사이플루펜아미드 |
10 10 20 5 |
34 29 45 66 |
P (펜티오피라드) |
10 |
68 |
(시험예 2) 소맥 흰가루병 방제 시험 (EBI제 내성균)
온실내에서, 직경 7.5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소맥 (품종: 치호구(chihoku), 약20주/포트)을 1.5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제된 수화제를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3포트당 50ml씩 스프레이건(spray gun)으로 살포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살포했다.
약액이 건조된 후에, 소맥 흰가루병균 (EBI제 내성균)을 엽면(葉面) 위에 접종했다. 접종 후, 플라스틱 포트를 17~21℃의 인공 기상실 내에 넣고, 9일간 경과후에 꺼내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소맥 1엽당에 병반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시험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조사하고, 방제치도 동일하게 산출했다.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표2 소맥 흰가루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플루트리아폴 P + 프로티오코나졸 P + 스피록사민 P + 피라조포스 P + 디플루메토림 |
5 + 5 5 + 5 5 + 25 5 + 10 5 + 5 |
85 85 94 92 93 |
플루트리아폴 프로피오코나졸 스피록사민 피라조포스 디플루메토림 |
10 10 50 20 10 |
55 42 65 65 65 |
P (펜티오피라드) |
10 |
54 |
(시험예 3) 토마토 역병 방제 시험 (페닐아마이드계 내성균)
온실내에서, 직경 7.5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토마토(품종: 세계일 (世界一))을 5엽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제된 수화제를 소정 농도에서 물로 희석하여, 4포트당 50ml씩 스프레이건(spray gun)으로 살포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살포했다. 식물체상의 살포 약액이 건조된 후, 페닐아마이드계 내성역병균 (유주자 + 유주자 낭) 현탁액을 접종했다. 접종 후, 인공 기상실 (16~20℃)의 습실 내에 포트를 넣고, 5일간 경과 후에 꺼내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토마토 모든 소엽(小葉)당 발병 소엽 비율인 소엽 발병률을 조사했다. 각 처리구 및 무처리구의 평균치를 소엽 발병률로 했다. 방제치는 이하와 같이 산출했다. 결과를 제3표에 나타냈다.
방제치 = (1-처리구의 소엽 발병률/무처리구의 소엽 발병률)×100
표 3 토마토 역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메티람 P + 에타복삼 P + 이프로발리카브 P + 파목사돈 P + 페나미돈 P + 시아조파미드 P + 족사마이드 P +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
5 + 25 5 + 5 5 + 2.5 5 + 10 5 + 5 5 + 5 5 + 5 5 + 2.5 |
80 88 90 80 86 90 82 95 |
메티람 에타복삼 이프로발리카브 파목사돈 페나미돈 시아조파미드 족사마이드 벤티아발리카브이소프로필 |
50 10 5 20 10 10 10 5 |
56 62 70 62 58 70 60 70 |
P (펜티오피라드) |
10 |
20 |
(시험예 4) 토마토 개화기 잿빛곰팡이병 방제 시험 (잿빛곰팡이병균: RS균)
온실내에서, 1/5000a의 와그너 포트에, 토마토 (품종: 하우스모모타로(House-Momotaro))를 개화기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정된 수화제를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4포트당 150ml씩 스프레이건(spray gun)으로, 1주간 간격으로 2회 살포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살포했다. 약제처리 1일 후에, 미리 PDA 배지 상에서 배양된 잿빛곰팡이병균 (MBC 내성·디카르복시이미드계 약제 감수성: RS균)으로부터 조제된 배양액 함유 분생포자 현탁액을, 화부(花部)를 중심으로 1회/1주간으로 총 2회 분무 접종했다. 접종 후, 와그너 포트를 15~30℃, 습도 90% 이상의 온실내 습실에 넣고, 7일간 경과 후에 꺼내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각 포트의 발병과율 (토마토유과(幼果) 총수에 차지하는 유과 발병률)을 조사하고, 각 처리구의 평균 발병과율을 구하여, 이하와 같이 방제치을 산출했다. 결과를 제4표에 나타냈다.
방제치 = (1-처리구의 발병과율/무처리구의 발병과율)×100
표4 토마토 개화기 잿빛곰팡이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아닐라진 P + 클로조리네이트 P + 펜헥사미드 P + 보스칼리드 |
5 + 25 5 + 20 5 + 10 5 + 10 |
92 83 95 90 |
아닐라진 클로조리네이트 펜헥사미드 보스칼리드 |
50 40 20 20 |
40 42 55 48 |
P (펜티오피라드) |
10 |
56 |
(시험예 5) 사과 점무늬낙엽병 방제 시험
온실내에서, 직경 7.5 cm의 플라스틱 포트에 사과 (품종: 오린(王林))을 15엽기 이상까지 생육시켰다.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제된 수화제를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3포트당 100ml씩 핸디스프레이(handy spray)로 살포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살포했다. 약액이 건조된 후에, 미리 발병시켜 둔 사과 점무늬낙엽병 나병수(罹病樹) 10그루를 풍상(바람이 불어가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공조기의 바람에 의해 풍하(바람이 불어오는 방향)로 배치한 시험포트의 사과에 풍매(風媒) 접종했다. 접종 후, 시험포트를 온실내 항온실(20~25℃)에 넣어, 20일간 경과 후에 꺼내어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는 사과 1엽당 병반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을 시험예 1과 동일한 지표에 따라서 조사하여, 각 구의 평균 발병정도로부터 시험예 1과 동일하게 방제치를 산출했다. 결과는 제5표에 나타냈다.
표5 사과 점무늬낙엽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이미벤코나졸 P +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P + 도딘 P + 플루오로이미드 |
5 + 5 5 + 5 5 + 25 5 + 15 |
92 94 80 90 |
이미벤코나졸 옥스포코나졸푸마르산염 도딘 플루오로이미드 |
10 10 50 30 |
42 46 44 45 |
P (펜티오피라드) |
10 |
50 |
(시험예 6) 잔디의 갈색잎마름병 방제 시험
온실내에서, 직경 7.5 cm의 플라스틱 포트의 하층부에 밀기울 배양된 갈색잎마름병균을 혼화한 토양을 채우고, 상층부 4 cm에 미리 생육시켜 둔 잔디 (품종: 벤트그라스(Bentgrass))를 떼어내어 토양마다 이식했다. 이식 3일 후에 <제제예 a1>에 의거하여 조제된 수화제를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여, 포트당 40ml 토양 관주했다. 그 후 (20~30℃)에 20일간 유지한 후, 포트표면 전면에 대한 갈색 병반 부분의 면적비율을 시험예 1과 동일한 지표로 조사를 실시하고, 마찬가지로 방제치도 산출했다. 또한, 비교제제예 (단제예)로서 <제제예 a1-2>, <제제예 a1-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험했다. 결과는 제6표에 나타냈다.
표6 잔디의 갈색잎마름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시메코나졸 P + 옥시카르복신 |
5 + 5 5 + 10 |
92 85 |
시메코나졸 옥시카르복신 |
10 20 |
48 42 |
P (펜티오피라드) |
10 |
53 |
실시예 A에서의 상기에 나타내는 시험예 모두에서, 유효 성분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비하여,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와 소정의 성분 II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상승적인 방제효과가 관찰되고, 또한 식물체에 약해(藥害)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B)
<제제예 b>
<제제예 b1 (성분 I 및 성분 II를 함유하는 수화제)>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 5부, 성분 II (하기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과 그 첨가량 (부)),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b1에서의 성분 II와 그 첨가량 (부)은 각각 피코옥시스트로빈 7.5부, 피라클로스트로빈: 2.5부, 플루옥사스트로빈: 5부, 디목시스트로빈: 7.5부였다.
<비교용 제제예 b1-2 (성분 I 함유 수화제 (펜티오피라드 단제))>
펜티오피라드: 10부,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용 제제예 b1-3 (성분 II 함유 수화제 (성분 II 단제))>
성분 II (하기에 기재된 어느 하나의 화합물과 그 첨가량 (부)), 리그닌설폰산나트륨: 5부, 알킬벤젠설폰산나트륨: 10부, 화이트 카본: 10부, 규조토 또는 클레이: 잔부로 하여, 합계 100부를 분쇄 혼합하여 수화제를 얻었다.
비교용 제제예 b1-3에서의 성분 II와 그 첨가량 (부)은 각각 피코옥시스트로빈 15부, 피라클로스트로빈: 5부, 플루옥사스트로빈: 10부, 디목시스트로빈: 15부였다.
(병해방제 시험예)
이하, 병해방제 시험예의 결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또한, 각 표 중 알파벳 P는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를 나타내고, 시험예는 실시예 A의 시험예 1~3과 마찬가지로 행했다. 시험예 1의 결과를 표7에, 시험예 2의 결과를 표8에, 시험예 3의 결과를 표9에 나타냈다.
표7 오이 흰가루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디목시스트로빈 |
5 + 7.5 |
98 |
디목시스트로빈 |
15 |
60 |
P (펜티오피라드) |
10 |
68 |
표8 소맥 흰가루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피콕시스트로빈 P + 플루옥사스트로빈 |
5 + 7.5 5 + 5 |
98 98 |
피콕시스트로빈 플루옥사스트로빈 |
15 10 |
66 68 |
P (펜티오피라드) |
10 |
54 |
표9 토마토 역병 방제 시험
제제중의 유효성분 |
처리 농도 (ppm) |
방제치 |
P + 피라클로스트로빈 |
5 + 2.5 |
92 |
피라클로스트로빈 |
5 |
62 |
P (펜티오피라드) |
10 |
20 |
실시예 B에서의 상기에 나타낸 시험예 모두에서, 유효 성분을 단독으로 함유하는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에 비하여, 성분 I의 펜티오피라드와 소정의 성분 II를 함유하는 식물병해 방제용 조성물은 상승적인 방제효과가 관찰되고, 또한 식물체에 약해(藥害)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