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46A -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46A
KR20070099446A KR1020070031563A KR20070031563A KR20070099446A KR 20070099446 A KR20070099446 A KR 20070099446A KR 1020070031563 A KR1020070031563 A KR 1020070031563A KR 20070031563 A KR20070031563 A KR 20070031563A KR 20070099446 A KR20070099446 A KR 2007009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group
list
album
j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미 쯔찌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6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audio data
    • G06F16/6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그룹 점프용으로 생성된 소트 리스트와 그룹 점프 조작을 미리 대응지어 둔다. 이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그 조작과 대응지어진 리스트 위로부터 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프 조작을 행하여도 그룹을 점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이 결과, 점프 조작을 행하여도 그룹을 점프할 수 있는 경우와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와 같이, 유저를 혼란시키게 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서치로 이용되는 검색용 리스트와는 별도의 리스트에 따른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그룹 점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그룹 점프, 콘텐츠 관리 정보, 속성 정보, 소트 리스트, 점프 모드, 아티스트, 트랙, 앨범

Description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REPRODUCTION DEVICE, CONTENTS SELECTION METHOD, AND PROGRAM}
도 1은 실시 형태로서의 기록 재생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에 인스톨되는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이 갖는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콘텐츠 관리 정보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데이터 구조도.
도 5는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6은 실시 형태의 재생 장치의 외관도.
도 7은 아티스트 서치를 행할 때의 조작 수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작에 따른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앨범 서치를 행할 때의 조작 수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작에 따른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점프 모드의 선택 설정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순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작에 따른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앨범 점프 모드의 경우의 순차 표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아티스트 점프 모드의 경우의 순차 표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실시 형태로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으로서, 점프 모드의 선택 설정 시에 대응하여 행해질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16은 실시 형태로서의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처리 동작으로서, 점프 동작 시에 대응하여 행해질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기록 재생 시스템
2: 기록 재생 장치
3: 퍼스널 컴퓨터
4: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
5: 네트워크
22: 메모리부
23: USB 인터페이스
24: 입력 처리부
25: 입력부
26: 표시 처리부
27: 디스플레이
28: 드라이브 제어부
29: 미디어 드라이브
30, 30a: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
30b: 콘텐츠 데이터
30c: 콘텐츠 관리 정보
31: 통신 처리부
3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3: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35: 압축 부호화·복호화부
36: 버스
100: 광 디스크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2-11693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9-233161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악곡 등의 콘텐츠를 재생하는 재생 장치와 콘텐츠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재생 장치에서 실행될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메모리 등의 기록 매체를 내장한 매우 소형의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가 보급되어 있다. 이와 같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정보 처리 장치에 저장되는 악곡 데이터를 카피하여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정보 처리 장치측에서의 악곡 데이터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에 의해 관리된다. 즉, 이와 같은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가 정보 처리 장치측에 인스톨되어 있음으로써, CD(Compact Disc) 등의 기록 매체나 인터넷 상의 악곡 배신 사이트 등으로부터의 악곡 데이터의 취입이나, 악곡 데이터의 편집(예를 들면 앨범 단위로의 구분,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등)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으로서는, 정보 처리 장치측에 저장된 악곡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측에 전송하여 카피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어, 유저는 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화면 상의 안내 등에 따른 조작을 행함으로써,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로의 악곡 데이터의 카피도 간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휴대형의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최근의 기록 매체의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악곡 데이터의 축적 용량으로서도 대용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기록 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이라도, 기억 용량은 수백MB(메가바이트) 내지 수GB(기가바이트) 정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수반하여 기록 재생 장치 중에는, 악곡 데이터를 수백곡분 내지 천곡분 정도 축적하는 것이 가능한 것도 있다.
이와 같이 대량의 악곡 데이터가 축적되는 경우, 그 중에서 원하는 곡을 찾 아내는 것은 곤란해진다. 따라서, 기록 재생 장치로서는, 각 악곡 데이터와 대응지어지도록 하여 첨부된 예를 들면 앨범명, 아티스트명, 장르 등의 속성 정보를 이용한 검색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여기서, 현상에서의 속성 정보를 이용한 곡의 검색(서치)과 선택(designate)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수순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우선, 서치를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 유저는 서치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이 화면에서는, 예를 들면 앨범, 아티스트 등 악곡에 첨부되는 상위의 계층의 속성 정보의 표시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앨범이 선택된 것으로 하면, 기록되는 모든 앨범명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이 앨범명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앨범명이 선택되면, 선택된 앨범명이 속성 정보로서 첨부되는 악곡의 악곡명의 정보의 일람이 표시된다. 여기서 원하는 악곡명을 선택하여 그 악곡명이 첨부된 악곡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치 메뉴 화면에서, 아티스트가 선택된 경우에는, 기록되는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그리고, 그 중에서 1개의 아티스트명이 선택되면, 예를 들면 그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 앨범명의 일람이 표시된다. 즉 이에 의해, 그 아티스트의 앨범의 일람이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선택한 아티스트의 앨범명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앨범명이 선택되면, 이 경우도 그 앨범명의 정보가 첨부된 악곡의 악곡명의 정보가 일람 표시되고, 이들 악곡명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악곡명을 선택하여 그 악곡명이 첨부된 악곡 데이터를 재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바와 같은 서치 기능은, 미리 각 서치 모드(이 경우에는 앨범 서치와 아티스트 서치)마다 생성한 검색용 리스트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것이 있다. 즉, 앨범 서치용의 검색용 리스트이면, 기록되는 악곡을, 동일한 앨범명의 정보가 첨부된 것마다 나누도록 하여 재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해 둔다. 또한 아티스트 서치용의 검색 리스트이면, 동일한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첨부된 것마다 나눈 후에, 다시 각 아티스트 중에서는 동일한 앨범명의 정보가 첨부된 곡마다 나누도록 하여 재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서치 모드마다의 필요한 리스트를 미리 생성해 두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앨범이나 아티스트가 선택될 때마다 필요한 리스트를 축차 생성할 필요가 없어져, 보다 고속의 서치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서치 모드에서 원하는 악곡을 선택하여 재생을 개시한 후에는, 재생 범위는 서치에 의해 좁혀진 범위로 설정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앨범 서치나 아티스트 서치에 의해 앨범 일람으로부터의 앨범의 선택→선택된 앨범의 악곡 일람으로부터의 곡의 선택을 거쳐 악곡의 재생을 개시시킨 경우에는, 재생 범위는 선택한 1개의 앨범의 범위 내로 되도록 설정된다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유저가 다른 앨범이나 아티스트의 곡을 재생하고자 했을 때에는, 소정 조작에 의해 서치 화면의 상위 계층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즉, 앨범 서치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에는, 상기 소정 조작에 의해 앨범의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가게 되어, 거기에서 앨범을 재선택하여 다른 앨범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아티스트 서치에 의해 악곡을 재생하고 있었던 경우, 상기 소정 조작 에 의해 1개 상위의 계층으로 되는 앨범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갈 수 있어, 거기에서 원하는 앨범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아티스트의 다른 앨범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 조작을 2회 행하여 더 상위 계층의 아티스트의 일람 화면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다른 아티스트를 선택할 수 있고, 그 하층의 앨범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앨범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다른 앨범, 아티스트의 악곡의 재생으로 이동하고자 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화면 상의 일람 표시로부터 앨범이나 아티스트를 재선택하는 것 이외에도, 점프 조작으로서, 앨범, 아티스트 등이라는 소요의 그룹의 절환을 다이렉트로 행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임의의 앨범의 악곡을 재생 중에 이와 같은 그룹 점프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다른 앨범의 악곡의 재생이 개시되는 것이다.
또한, 관련되는 종래 기술에 대해서는 이하의 특허 문헌을 예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그룹 점프 조작에 따른 그룹간의 점프 동작은, 재생 범위로서 지정된 범위 내에서만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것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앨범 서치에 의해 앨범→악곡으로 좁혀 와서 악곡을 재생 중에, 그룹 점프 조작이 행해졌다고 하여도, 앨범을 점프하는 동작은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었다. 즉, 앨범 서치에 의해 악곡을 재생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 범위는 그 선택된 1개의 앨범의 범위 내로 되기 때문이다.
이 그룹 점프 조작은, 복수의 앨범이 재생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 유효 한 조작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서치 모드로서는, 기록되는 모든 악곡을 앨범명이나 트랙명순으로 일람 표시하는 모드도 있다. 이 모드로부터 악곡이 재생된 경우에는, 재생 범위는 일람 표시에서 앨범명이나 트랙명순으로 배열된 모든 악곡으로 된다. 이 때에 그룹 점프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저는, 상기 일람 중에서 재생 중인 앨범과는 다른, 혹은, 재생 중인 앨범에 인접하는 다른 앨범으로 유효하게 점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 점프 조작을 제한하면, 재생 장치가 동일한 콘텐츠를 재생하고 있어도, 그 콘텐츠를 재생 지정할 때까지의 경로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경우와 행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아티스트명, 앨범명, 트랙명의 순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하여 재생 지시를 한 경우에는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할 수 없지만, 아티스트명, 그 아티스트에 관한 모든 악곡, 트랙명의 순으로 상기 원하는 콘텐츠를 재생한 경우에는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에게는, 점프할 수 있는 경우와 할 수 없는 경우를 구별하는 것이 어려워, 유저의 혼란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재생 장치로서 이하와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즉, 소요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일의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된 재생 장치로서, 상기 콘텐츠 관리 정보에서의 상기 식별 정보가 상기 속성 정보의 내용에 기초 하는 그룹마다 나누도록 하여 재배열되어 생성된 소트 리스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행하는 재생부와, 조작부와, 연산부를 구비한다. 게다가, 상기 연산부가, 상기 소트 리스트와 상기 조작부에 의한 소정 조작을 대응짓는 대응지음 처리와, 상기 소정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상기 대응지음 처리에 의해 상기 소정 조작과 대응지은 소트 리스트 상의 상기 그룹의 배열 순서에 따라서 소요의 그룹을 선택하는 그룹 선택 처리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소정 조작에 따라서 소트 리스트 상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프 조작을 행하여도 그룹을 점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소정 조작과 소트 리스트를 미리 대응지어 둘 수 있음으로써, 그룹 점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서치의 내용에 좌우되지 않고, 점프 조작에 대해서는 독립적으로, 예를 들면 다른 앨범 배열 순에 따른 그룹 점프나, 다른 종류의 그룹 단위로의 그룹 점프를 할 수 있는 등, 그룹 점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이하 실시 형태라고 함)에 대해서 설명해 간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으로 행한다.
1. 시스템의 개요
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3. 재생 장치의 구성
4. 서치 기능
5. 실시 형태로서의 그룹 점프 동작
6. 처리 동작
<1.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실시 형태로서의 기록 재생 시스템(1)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시스템(1)으로서는, 기록 재생 장치(2), 퍼스널 컴퓨터(3), 서버 장치(4), 네트워크(5), 및 광 디스크(100)를 적어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우선, 기록 재생 장치(2)는, 본 발명의 재생 장치의 일 실시 형태로서, 이 경우에는 포터블 타입의 오디오 플레이어(/레코더)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이 기록 재생 장치(2)에는 기록 매체가 내장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 등의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한 구성이 채용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는,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통해서 상기 기록 재생 장치(2)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네트워크(5)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 장치(서버 장치(4))와의 사이에서도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 디스크(100)로서는, 예를 들면 패키지 미디어로서 시판·유통하는 음악 CD(Compact Disc)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5)는 예를 들면 인터넷인 것으로 한다.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시스템(1)으로서는, 퍼스널 컴퓨터(3)에서 상기 광 디스크(100) 등으로부터 취입한 콘텐츠 데이터(이 경우에는 악곡으로서의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에 카피하고, 기록 재생 장치(2)는 이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측으로부터 카피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출력한다고 하는 사용 형태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퍼스널 컴퓨터(3)에서는,상기한 본 실시 형태로서의 기록 재생 시스템(1)의 사용 형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후술의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이 인스톨된다. 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은,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입, 취입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 및 콘텐츠 데이터의 기록 재생 장치(2)에의 카피까지를 일괄하여 관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예를 들면 유저는, 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기동시켜 그 화면 상의 지시에 따른 조작을 행함으로써, 광 디스크(100)로부터 퍼스널 컴퓨터(3)로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입, 및 취입한 콘텐츠 데이터의 편집(예를 들면 앨범 단위로의 구분이나 플레이 리스트의 작성, 콘텐츠 데이터의 삭제 등)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으로서는, 기록 재생 장치(2)가 퍼스널 컴퓨터(3)에 접속되었을 때에, 조작에 따라 퍼스널 컴퓨터(3)측에 축적되어 있는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 재생 장치(2)측에 전송(카피)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으로서는, 광 디스크(100)로부터의 콘텐츠 데이터(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면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rding) 방식이나 MP3(MPEG Audio Layer3) 방식 등의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기능도 구비하고 있고, 이에 의해 기록 재생 장 치(2)에 보다 많은 콘텐츠 데이터를 기록시킬 수 있도록 도모되어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에 따라서는, 광 디스크(100)로부터 취입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악곡명(트랙명)이나 수록 앨범명, 아티스트명 등이라고 하는,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종래부터, 광 디스크(100)로부터 추출한 정보에 기초하여, 그 수록 곡에 대한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고 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CD의 TOC(Table Of Contents) 데이터에는, CD에 수록되어 있는 트랙수(곡수), 각 트랙의 어드레스(절대 시간 정보), 총 연주 시간 등이 기록되어 있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동일 타이틀(동일 앨범)의 CD에서 동일한 데이터로 되지만, 다른 타이틀의 CD에서 모두가 일치하는 경우는, 우선 있을 수 없다. 따라서, TOC 데이터로부터 CD 타이틀에 고유 코드를 생성할 수 있고, 이 고유 코드에 대응지어 각 타이틀의 각 트랙마다의 속성 정보를 저장한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둠으로써, 대상으로 하는 CD로부터 생성한 고유 코드에 기초하여, 그 수록곡에 대한 속성 정보를 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네트워크(5)에 접속된 서버 장치(4)에서 구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도면에서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은, 장전된 광 디스크(100)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입이 지시된 것 등에 따라서, 이 장전된 광 디스크(100)의 TOC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유 코드를 생성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4)에 액세스하여, 이 고유 코드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조회함으로 써, 장전된 광 디스크(100)에 수록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광 디스크(100)로부터 취입한 콘텐츠 데이터와 취득한 속성 정보가 각각 대응지어져 관리되도록 관리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광 디스크(100)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를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취득하는 기술로서는 이미 공지의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서는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는 네트워크(5)를 통해서 접속된 서버 장치(4)에서 구축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나타내고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3)가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기록 재생 장치(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퍼스널 컴퓨터(3)측에서 축적되고, 속성 정보가 대응지어진 콘텐츠 데이터가 카피되고, 이것이 내장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이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에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함께,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트랙명이나 앨범명, 아티스트명 등이라고 하는 속성 정보의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2)측에서 재생될 콘텐츠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가 퍼스널 컴퓨터(3)인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다른 컴퓨터 기기나, 가정용 게임 기기, 정보 가전 등의 다른 정보 처리 장치로 할 수도 있다.
<2.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퍼스널 컴퓨터(3)(정보 처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우선 CPU(21)는, 기동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퍼스널 컴퓨터(3) 전체의 제어,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에 대한 입출력 동작, HDD(30)에의 데이터 파일의 저장이나 관리 정보의 작성·갱신 등을 행한다. CPU(21)는, 도시하는 버스(36)를 통해서 각 부와의 사이에서 제어 신호나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도록 된다.
메모리부(22)는, CPU(21)가 처리에 이용하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메모리부(22)에서의 ROM에는, CPU(21)의 동작 프로그램, 프로그램 로더 등이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부(22)에서의 플래시 메모리에는, 각종 연산 계수,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또한, 메모리부(22)에서의 RAM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에 있어서의 데이터 영역, 태스크 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USB(Unive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23)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된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특히, 이 경우의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해서는, 도 2에 도시한 기록 재생 장치(2)와의 사이에서 오디오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HDD(30)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CPU(21)의 제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파일의 저장이나 관리 정보의 작성·갱신 등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광 디스크(100)로부터 취입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이 HDD(30)에 저장된다. 또한,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의 콘텐츠 데이터는,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취득한 속성 정보와 대응지어져 관리되게 되지만, HDD(30)에는, 이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와 그 속성 정보를 대응지어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정보도 저장되는 것으로 된다. 여기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HDD(30)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해서는 콘텐츠 데이터(30b)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HDD(30)에 저장되는 콘텐츠 관리 정보에 대해서는, 콘텐츠 관리 정보(30c)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HDD(30)에 대해서는, 퍼스널 컴퓨터(3)가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도 저장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서는,앞의 도 1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이 저장된다. 또한, 이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각종 기능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입력부(25)는, 퍼스널 컴퓨터(3)에 구비되는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나 마우스, 혹은 리모트 커맨더, 그 밖의 입력 디바이스로서, 유저가 각종 조작 입력이나 데이터 입력을 행한다. 입력부(25)에 입력된 정보는 입력 처리부(24)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시되어, CPU(21)에 대하여 조작 또는 데이터의 입력으로서 전달된다. CPU(21)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여 필요한 연산이나 제어를 행한다.
미디어 드라이브(29)는, 예를 들면 CD, MD(Mini Disc:광 자기 디스크), CD-R(Recordable), CD-RW(ReWritable), DVD(Digital Versatile Disc), DVD-R, DVD-RW 등의 광 디스크, 또는 메모리 카드(리무버블 미디어로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 등 의 기록 미디어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기능부로서, 이들 미디어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미디어로서, 본 실시 형태의 광 디스크(100)와 같은 CD계의 디스크 미디어에 대응하는 경우, 이 미디어 드라이브(29)에는, 예를 들면 광학 헤드, 스핀들 모터, 재생 신호 처리부, 서보 회로 등이 구비되는 것으로 된다.
드라이브 제어부(28)는, 미디어 드라이브(29)에 장전된 미디어에 대한 기록 재생 동작, 액세스 동작 등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입력부(25)를 통해서 장전된 미디어에 대한 재생 조작을 행한 경우, CPU(21)는 드라이브 제어부(28)에 미디어의 재생을 지시한다. 그렇게 하면 드라이브 제어부(28)는, 미디어 드라이브(29)에 대하여 액세스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미디어 드라이브(29)에서는, 판독한 재생 데이터를 드라이브 제어부(28)를 통해서 버스(36)에 송출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는, CPU(21)의 제어에 기초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이퀄라이징 등의 음장 처리나 음량 조정, D/A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고, 이것을 스피커부(34)를 통해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미디어 드라이브(29)에 의해 판독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HDD(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콘텐츠 데이터)가 재생될 때에는, 이 오디오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부(34)를 통해서 출력된다.
또한,HDD(30) 내에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30b)로서는,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이 압축 부호화 데이 터는 후술하는 압축 부호화·복호화부(35)에서 복호화되고 나서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33)에 공급되게 된다.
디스플레이(27)는, 예를 들면 액정 패널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 되어, 유저에 대하여 각종 정보 표시를 행한다. 예를 들면, CPU(21)가 각종 동작 상태나 입력 상태, 통신 상태에 따라서 표시 정보를 표시 처리부(26)에 공급하면, 표시 처리부(26)는 공급된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7)를 구동하여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또한,상기한 미디어 드라이브(29)에 장전된 미디어로부터, 혹은 HDD(3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재생된 경우에는, 이 재생 데이터에 대한 신호 처리를 행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27)를 구동함으로써 영상 표시를 행하게 한다.
통신 처리부(31)는, CPU(21)의 제어에 기초하여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2)는, 상기 통신 처리부(31)에서 인코드된 송신 데이터를, 도 1에 도시한 네트워크(5)를 통해서 소정 기기, 예를 들면 서버 장치(4)에 송신한다. 또한 네트워크(5)를 통해서 서버 장치(4) 등의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어 온 신호를 통신 처리부(31)에 건네준다. 통신 처리부(31)는 수신한 정보를 CPU(21)에 전송한다.
압축 부호화·복호화부(35)는, 오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함과 함께,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압축 부호화·복호화부(35)가 하드웨어로서 구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그 동작은 CPU(21)의 소프트웨어 처 리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의 구성은 이 도 3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더욱 다양하게 생각된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이나 외부의 헤드폰의 접속에 이용되는 단자나, DVD의 기록 재생에 대응하는 비디오 입출력 단자나, 라인 접속 단자, SPDIF 단자 등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에 대해서, 다음의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도 3에서는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에 의해 실현되는 기능 중, 실시 형태로서의 동작 실현에 관련되는 기능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고, 다른 기능에 대해서는 생략하고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관리 어플리케이션(30a)에 의한 주된 기능으로서는, 콘텐츠 취입 기능, 속성 정보 취득 기능, 및 콘텐츠 전송 기능이 있다.
[콘텐츠 취입 기능]
우선, 콘텐츠 취입 기능은, 광 디스크(100)에 수록된 콘텐츠 데이터를 HDD(30)에 취입하는 기능이다. 즉, 이 콘텐츠 취입 기능으로서, CPU(21)는, 광 디스크(100)가 미디어 드라이브(29)에 장전되어, 콘텐츠 데이터의 취입 지시가 이루어지는 것에 따라서, 드라이브 제어부(28)에 콘텐츠 데이터의 판독 지시를 행한다. 이 때, CPU(21)는, 지시에 따라서는 판독한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복호화부(36)에 공급하여 압축 부호화 처리를 실시한 후에, HDD(30)에의 기록을 실행시킨다. 또한, 이 취입 기능으로서는, 광 디스크(100)에서 곡 단위(트랙 단위)로 수록되는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취입할 트랙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속성 정보 취득 기능]
속성 정보 취득 기능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네트워크(5)를 통해서 접속된 서버 장치(4) 내의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로부터,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취득하고, 이것을 기록한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지어 관리하는 기능이다. 우선, 속성 정보를 취득할 때에 CPU(21)는, 장전된 광 디스크(100)의 콘텐츠 데이터의 취입이 지시된 것 등에 따라서, 이 장전된 광 디스크(100)의 TOC 데이터(트랙수(곡수), 각 트랙의 어드레스(절대 시간 정보), 총 연주 시간)에 기초하여 앞서 설명한 고유 코드를 생성한다. 또한, 이와 함께 CPU(21)는 통신 처리부(31)에 지시를 행하여, 서버 장치(4)와의 접속을 확립한다.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에는, 각 타이틀의 고유 코드에 대응지어져 그 타이틀의 CD에 수록되는 각 트랙에 대한 속성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CPU(21)는, 접속이 확립된 서버 장치(4)에 대하여 이 고유 코드와 함께 커맨드를 송신함으로써, 이 고유 코드를 검색 조건으로 하여 악곡 정보 데이터베이스(4a)를 조회하도록 지시를 행한다. 이에 따라서, 서버 장치(4)측으로부터는, 이 고유 코드와 대응지어져 저장된 각 트랙마다의 속성 정보가 회신되고, 이에 의해 퍼스널 컴퓨터(3)에서, 장전된 광 디스크(100)에 수록된 각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속성 정보가 취득된다. 또한, CPU(21)는, 상기한 콘텐츠 취입 기능에 의해 광 디스크(100)로부터 취입한 각 콘텐츠 데이터(각 트랙)와, 이 취득한 속성 정보가 각각 대응지어져 관리되도록 콘텐츠 관리 정보(30c)를 생성(또는 갱신)하여 콘텐츠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된다.
도 4는, 이 경우에 생성되는 콘텐츠 관리 정보(30c)의 데이터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이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각 콘텐츠 데이터와 대응지어질 속성 정보로서는, 트랙명, 앨범명, 아티스트명, 장르 등이 있다. 트랙명의 정보는, 트랙 단위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 대응에 첨부될 정보로서, 악곡명의 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앨범명의 정보는, 그 트랙으로서의 악곡이 수록되어 있는 음악 앨범(싱글인 경우도 있음)의 명칭이며, 아티스트명의 정보는, 그 트랙으로서의 악곡을 가창, 연주, 작곡, 작사, 프로듀스 등 하는 아티스트의 명칭 정보이다. 또한, 장르의 정보는, 그 악곡이 속하는 음악 장르(예를 들면 팝, 락, 재즈, 엔카 등)의 명칭을 나타내는 정보로 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고 있지만, 실제의 속성 정보에는, 그 악곡이 앨범 중의 무슨 곡목인지를 나타내는 트랙 넘버의 정보 등도 포함되어 있다.
CPU(21)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이들 속성 정보에 대하여 콘텐츠 ID의 정보가 대응지어지도록 하여 콘텐츠 관리 정보(30c)를 생성한다. 이 콘텐츠 ID는, HDD(30)에서 저장되는 트랙 단위의 각 콘텐츠 데이터(30a)를 일의로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식별 정보)이다. 즉, 이와 같은 콘텐츠 ID와 속성 정보와의 대응지음에 의해, 각 트랙과 각 속성 정보와의 대응지음이 실현되는 것이다.
[콘텐츠 전송 기능]
또한, 도 3에서, 콘텐츠 전송 기능은, HDD(30)에서 콘텐츠 데이터(30b)에서 저장된 각 콘텐츠 데이터 및 콘텐츠 관리 정보(30c)를, 도 1에 도시한 기록 재생 장치(2)에 전송(카피)하기 위한 기능이다. 이 콘텐츠 전송 기능으로서 CPU(21)는, USB 케이블을 통해서 기록 재생 장치(2)측과 접속되어, 도 2에 도시한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한 기록 재생 장치(2)측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된 하에서, HDD(30)에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관리 정보(30c)를 순차적으로 판독하여, 이들을 USB 인터페이스(23)를 통해서 기록 재생 장치(2)측에 전송함과 함께, 이들 정보에 대한 기록 지시를 행한다. 이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측에도, 퍼스널 컴퓨터(3)측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데이터와 그들의 속성 정보가 대응지어진 데이터베이스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콘텐츠 전송 기능으로서는, HDD(30)에 저장되는 모든 콘텐츠 데이터 중, 선택한 콘텐츠 데이터(트랙)만을 기록 재생 장치(2)측에 전송할 수 있도록 된다. 이 경우, 콘텐츠 관리 정보(30c)에 대해서는, 그들 전송되는 콘텐츠 데이터에 관한 정보만을 기록 재생 장치(2)측에 전송한다.
<3. 재생 장치의 구성>
도 5는, 도 1에 도시한 기록 재생 장치(2)의 내부 구성에 대해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기록 재생 장치(2)로서는, 퍼스널 컴퓨터(3)로부터 카피한 콘텐츠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 도시하는 플래시 메모리(18)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플래시 메모리(18)의 기억 용량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백MB(메가바이트) 내지 수GB(기가바이트) 정도인 것으로 한다.
도 5에서, 컨트롤러(6)는, ROM, RAM, CPU를 구비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기동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기록 재생 장치(2) 전체의 제어, 연산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유저에 대한 입출력 동작, 플래시 메모리(18)에 대한 데이터의 기록/재생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이 경우, 컨트롤러(6)는, 도시하는 DAC(D/A컨버터)(6a)로서의 D/A 변환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컨트롤러(6)에 대해서는, 앰프(7), 조작부(8)가 접속된다. 앰프(7)는, 상기한 DAC(6a)로서의 컨트롤러(6)에 의한 D/A 기능 및 음량 조절 기능에 의해 D/A 변환 및 음량 조절이 행해진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고, 이것을 증폭하여 도시하는 헤드폰 단자 tHP에 공급한다. 또한, 조작부(8)에는, 해당 기록 재생 장치(2)의 케이스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여 설치된 각종 조작자가 구비된다. 컨트롤러(6)는, 이들 각종 조작자에 따른 조작 신호가 입력되면, 그 조작 신호에 따른 동작이 얻어지도록 필요한 각 부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이들 조작부(8)가 구비하는 각종 조작자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 기록 재생 장치(2)에 각종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컨트롤러(6)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제1 버스(10)를 통해서 메모리(9)가 접속된다. 이 메모리(9)는, 플래시 메모리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로 된다. 이 메모리(9)에는, 컨트롤러(6)의 각종 연산에 이용되는 계수나 프로그램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 등이 기억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 메모리(9)에는, 컨트롤러(6)가 이후의 도 15∼도 16에서 설명하는 처리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그룹 점프 처리 프로그램(9a)이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9)에는, Repeat Mode를 설정하기 위한 리피트 모드 처리 프로그램(9b)이 저장된다. 또한, 이 그룹 점프 처리 프로그램(9a)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8), 혹은 컨트롤러(6) 내부의 ROM 등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러(6)에 대해서는, 도시하는 DAC I/F와 SIO를 통해서 디코더(11)가 접속된다. 디코더(11)는, 소정의 압축 부호화 방식에 의해 압축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또한, 이 디코더(11)로서는, 상기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서라운드 처리 등의 음성 신호 처리도 행하도록 된다. 이 디코더(11)로부터의 출력 오디오 데이터는, DAC I/F를 통해서 컨트롤러(6)에 공급되고, 컨트롤러(6)에서의 앞의 DAC(6a)로서의 D/A 변환 처리, 음량 조절 처리를 거쳐 앰프(7)에 공급된 후, 헤드폰 단자 tHP에 공급된다. 또한, 컨트롤러(6)는, 도시하는 SIO를 통해서 디코더(11)에 대한 각종 제어 지시를 행하도록 된다.
또한, 컨트롤러(6)에는, 제1 버스(10)를 통해서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가 접속된다. 이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오디오 데이터나 커맨드 등의 각종 데이터의 각 부에의 전송 제어를 행하기 위한 LSI(Large Scale Integration)이다.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도시하는 C/D I/F를 통해서 디코더(11)와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제2 버스(13)를 통해서 표시 제어부(14), USB 컨트롤러(16)와 접속된다. 또한, 제3 버스(17)를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18)와도 접속된다.
표시부(15)는,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디스플레이, 혹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 디바이스로서, 유저에게 각종 정보 표시를 행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컨트롤러(6)로부터 제1 버스(10),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 제2 버스(13)를 통해서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부(15)를 구동하여 표시 동작을 실행시킨다.
USB 컨트롤러(16)는, 도시하는 USB 단자 tUSB에 접속된 USB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는 외부 기기(이 경우에는 특히 퍼스널 컴퓨터(3))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즉, USB 컨트롤러(16)는, USB 통신 방식에 따라서 송신 데이터의 인코드 처리, 수신 데이터의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2)로서는, USB 매스 스토리지 클래스(MSC)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기록 재생 장치(2)가 퍼스널 컴퓨터(3)측과 USB 케이블을 통해서 접속되었을 때에는, 퍼스널 컴퓨터(3)측에서 기록 재생 장치(2)가 외장의 스토리지 기기로서 인식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3)측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콘텐츠 데이터·콘텐츠 관리 정보(30c)(또는 그 일부)는, 이 USB 컨트롤러(16)를 통해서 기록 재생 장치(2)측에 입력된다. 퍼스널 컴퓨터(3)측으로부터 이들 데이터가 수신되었을 때, USB 컨트롤러(16)는 수신된 데이터를 제3 버스(17) 경유로 직접 플래시 메모리(18)에 전송하고, 그 기입 동작을 실행시킨다. 도 5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되는 콘텐츠 데이터, 콘텐츠 관리 정보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콘텐츠 데이터(18a), 콘텐츠 관리 정보(18b)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되는 각종 리스트(18c)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3)측으로부터 기록 재생 장치(2)로의 전송 시에는, 각 종 커맨드도 전송된다.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3)측으로부터의 커맨드에 대해서는, USB 컨트롤러(16)가 이것을 제2 버스(13)→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제1 버스(10) 경유로 컨트롤러(6)에 전송하고, 컨트롤러(6)가 커맨드의 내용을 해석하도록 된다. 컨트롤러(6)는 이 커맨드의 내용에 따라서 필요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18)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18a)에 대한 재생 시에서는, 컨트롤러(6)의 지시에 기초하여 플래시 메모리(18)로부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가 제3 버스(17)를 통해서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에 입력된다. 시스템 게이트 어레이(12)는, 입력된 콘텐츠 데이터로서의 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는 C/D I/F를 통해서 디코더(11)에 공급한다. 디코더(11)에서는, 이 압축 부호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처리를 행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얻음과 함께, 이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소정의 음성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DAC I/F를 통해서 컨트롤러(6)에 공급한다. 컨트롤러(6)에서는,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앞의 DAC(6a)로서의 D/A 변환 처리, 음량 조절 처리를 실시하여 이것을 앰프(7)에 공급한다. 앰프(7)에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증폭되어 헤드폰 단자 tHP에 공급된다.
계속하여,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조작부(8)가 구비하는 주된 조작자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기록 재생 장치(2)의 외관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는 기록 재생 장치(2)의 정면도를, 도 6의 (b)는 기록 재생 장치(2)의 도 6의 (a)에서의 화살표 Y 방향으로부터의 시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의 (a)에서는, 도 5에서 설명한 표시부(15)도 도시되어 있지만, 이와 같이 표시부(15) 로서는 기록 재생 장치(2)의 케이스 외부로 표출되도록 하여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 도 5에 도시한 헤드폰 단자 tHP는,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셔틀 스위치(8d)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도 6의 (a),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기록 재생 장치(2)에 대해서는, DISP/FUNC 키(8a), SEARCH/MENU 키(8b), PLAY/STOP 키(8c), 셔틀 스위치(8d), VOL+ 키(8e), VOL- 키(8f)가 구비된다. DISP/FUNC 키(8a)는, 표시부(15)로서의 디스플레이상의 표시 정보의 절환이나, 각종 기능의 절환을 위한 지시 등을 행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또한,SEARCH/MENU 키(8b)는,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된 콘텐츠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앨범 단위나 트랙 단위 등으로 서치하기 위한 서치 모드의 호출이나, 기록 재생 장치(2)에 대한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menu 화면의 호출 등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PLAY/STOP 키(8c)는, 콘텐츠 데이터의 재생의 개시/정지, 및 각종 선택 항목의 결정을 지시하기 위한 조작자로 된다.
셔틀 스위치(8d)는, 도 6의 (a)에 도시되는 P1, P2, P3의 3위치로의 슬라이드 조작(3 슬라이드 조작)과, 도면에서 곡선 화살표에 의해 각각 나타내는 2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이 가능한 조작자로 된다. 이 셔틀 스위치(8d)의 회전 조작으로서, 한쪽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FF 조작이며, 이 FF 조작에 의해 재생 중인 트랙의 순방향 이송 지시나 각종 선택 항목의 순방향 이송 지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다른쪽의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조작은 FR 조작이며, 이 FR 조작에 의해 재생 중인 트랙에 대한 첫머리 탐색 지시나 각종 선택 항목의 역방향 이송 지시 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셔틀 스위치(8d)의 상기 3 슬라이드 조작으로서, 도시하는 P1의 위치는 HOLD 지시로 되어, 셔틀 스위치(8d)가 이 P1의 위치에 슬라이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일절의 조작 입력이 접수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또한,P2의 위치는 뉴트럴 위치로, 셔틀 스위치(8d)가 이 위치에 있는 상태이며 또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 중일 때, 상기한 FF 조작은 재생 중인 트랙의 순방향 이송 지시로 되고, FR 조작은 재생 중인 트랙에 대한 첫머리 탐색(역방향 이송) 지시로 된다. 또한, 이하에서는, 이 P2의 위치에 대해서는 트랙 위치라고도 부른다.
또한,P3의 위치는 앨범 위치로 된다. 셔틀 스위치(8d)가 이 앨범 위치에 슬라이드되어 있는 상태이며 또한 콘텐츠 데이터가 재생 중일 때, FF 조작은 앨범 단위로의 순방향 이송 지시로 된다. 즉,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다음에 재생될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앨범의 선두 트랙으로의 순방향 이송 지시로 된다. 또한, 이 경우의 FR 조작으로서는, 앨범 단위로의 역방향 이송 조작으로 된다. 즉,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미리 정해진 재생 순서적으로 앞으로 되는 앨범의 선두 트랙으로의 역방향 이송 지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이들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FR 조작에 의해서는, 이와 같은 앨범 점프 지시 이외에도, 아티스트 단위로의 점프도 가능하게 되도록 되지만,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6의 (b)에서,VOL+ 키(8e), VOL- 키(8f)는 음량 조절 지시를 위한 조작자로서, VOL+ 키(8e)는 음량 up, VOL- 키(8f)는 음량 down을 지시하기 위한 조 작자로 된다.
<4. 서치 기능>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2)와 같이, 기록 매체에 대량의 악곡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포터블 오디오 플레이어(/레코더)로서는, 한정된 표시 스페이스에서 효율적으로 원하는 악곡을 검색할 수 있도록, 서치 기능이 제공된 것이 있다.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2)로서도, 이와 같은 서치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실제로 이와 같은 서치 기능에 의한 악곡의 검색을 행하기 위한 유저 조작 수순과, 그것에 따라서 행해지는 기록 재생 장치(2)측의 동작에 대해서,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 7, 도 8에서는, 조작 입력에 따른 표시부(15) 상의 표시 내용의 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의 서치 기능으로서는, 앨범 일람을 표시시켜 원하는 트랙을 검색하기 위한 앨범 서치와, 아티스트 일람→그 아티스트의 앨범 일람을 표시시켜 원하는 트랙을 검색하는 아티스트 서치가 있다. 도 7에서는 아티스트 서치시의 표시부(15) 상의 화면 천이를 도시하고, 도 8에서는 앨범 서치 시의 표시부(15) 상의 화면 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7에서, 유저는 서치를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에는, 앞의 도 6에 도시한 SEARCH/MENU 키(8b)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7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서치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치 메뉴 화면에는, 적어도 「All Track」「Artist」「Album」의 각 항목과, 그들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CR이 표시된다. 「All Track」의 항목은,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되는 모든 트랙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트랙을 검색하기 위한 항목으로 된다. 또한, 「Artist」의 항목은, 전술한 아티스트 서치를 행하기 위한 항목이며, 「Album」은 전술한 앨범 서치를 행하기 위한 항목이다.
유저는, 앞의 도 6에서 설명한 FF 조작/FR 조작을 행함으로써, 커서 CR을 이동시켜 상기 각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PLAY/STOP 키(8c)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커서 CR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하는 서치 메뉴 화면에서, 아티스트 서치에 의한 트랙의 검색을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 유저는 「Artist」의 항목을 선택·결정하도록 된다. 이에 따라서 표시부(15) 상에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All Artist」의 항목 표시와 함께, 모든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또한, 이 도 7의 (b)에서는, 아티스트명의 정보로서는 2개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표시부(15)가 3행분의 표시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사정에 의한 것으로, 다른 아티스트명의 정보의 표시는, 예를 들면 커서 CR이 최하단으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또한 커서 CR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 경우에는 FR 조작)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것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일람 표시」 「일람 화면」에 공통의 것이다. 또한, 확인을 위해 설명해 두면, 이 경우에서 「모든 아티스트」의 「모두」란,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되는 범위에서 「모두」라고 하는 의미이다.
도 7의 (b)에서, 이 경우도 유저는 FF 조작/FR 조작에 의해 커서 CR을 이동시키고,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정 지시를 행함으로써, 아티스트 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아티스트를 선택·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아티스트의 일람으로부터 임의의 아티스트가 결정된 경우,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ll Album」의 표시와 함께, 결정된 아티스트의 앨범의 일람이 표시된다. 유저는, 이와 같은 앨범의 일람 표시로부터 원하는 앨범을 선택·결정한다.
상기 앨범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앨범이 결정되었을 때는,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정된 앨범 내의 트랙명의 일람이 표시된다. 유저는, 이 도 7의 (d)에 도시되는 트랙명의 일람 표시로부터 FF 조작/FR 조작,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트랙의 선택·결정 지시를 행함으로써, 결정한 트랙의 재생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범위는, 일람 표시된 트랙, 즉 결정된 아티스트의 결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으로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재생 범위란, 재생을 행하는 대상 범위로서, 예를 들면 재생 범위의 최후의 트랙(즉 일람 중의 최후의 트랙)의 재생이 종료되면, 재생이 정지하거나/또는 일람의 선두의 트랙의 재생으로 되돌아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아티스트 서치에 의해, 아티스트 일람→선택한 아티스트의 앨범 일람→선택한 앨범의 트랙 일람의 순으로 좁혀서 원하는 트랙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한편으로 이와 같은 아티스트 서치에 의해 악곡의 재생을 개시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재생 범위는 결정한 아티스트의 결정한 앨범 내에 설 정된다. 즉, 이와 같은 서치 모드로서는, 콘텐츠의 재생 범위를, 서치에 의해 최종적으로 좁혀진 범위로 한정하여 재생을 행하기 위한 모드로서도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덧붙여 말하면, 앞의 도 7의 (a)에 도시한 서치 메뉴 화면에서 표시되는 「All Track」의 항목은, 모든 트랙의 일람으로부터 원하는 트랙을 선택하기 위한 항목으로 된다.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이 「All Track」의 항목이 선택·결정된 경우, 표시부(15) 상에는 트랙명의 정보의 일람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이 경우, 트랙명의 일람 표시는, 각각의 트랙이 동일한 앨범명이 대응지어진 것마다 나누도록 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동일 앨범명이 대응지어진 트랙명의 정보는 일람 화면 중에서 1덩어리로 배치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동일 앨범 내에서의 트랙명의 배열순은, 그 앨범 내에서의 트랙 넘버순으로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의 앨범마다의 배열순으로서는, 예를 들면 앨범명의 문자 코드순(이하, 앨범명순이라고도 함)으로 되도록 된다.
또한, 이 「All Track」선택·결정 후의 트랙 일람 화면으로부터 트랙이 선택·결정되어 그 재생이 개시된 경우, 재생 범위는 일람 표시한 모든 트랙으로 된다. 즉,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이 재생의 대상으로 된다. 또한, 재생 순서는, 상기 일람에 따른 재생 순서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All Track」으로부터 트랙을 선택하여 그 재생이 행해지고 있을 때, 앞의 도 6에서 설명한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FR 조작에 따라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앨범마다 배열되는 트랙의 일람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트 랙이 속하는 앨범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을 재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All Track」의 서치로부터 트랙을 재생한 경우의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FR 조작에 따라서는, 앨범 점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앞의 도 7의 (b)의 화면에서, 「All Artist」가 선택·결정된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의 트랙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지는 아티스트명순으로 일람 표시된다(이 때, 동일 아티스트 내의 각 트랙은 앨범명순으로 표시된다). 이 트랙명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트랙이 선택·결정되었을 때는, 이 트랙의 일람에 기초한 재생순으로, 또한 재생 범위로서는 그 일람의 범위(즉 모든 트랙)에서 재생이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앨범 위치에서의 FF/FR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아티스트명순에 의한 모든 트랙의 일람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아티스트에 인접하여 배열되는 아티스트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된다. 즉, 이와 같은 「All Artist」에 의한 트랙 재생 중에서의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FR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점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도 7의 (c)의 화면에서의 「All Album」이 선택·결정된 경우, 도 7의 (b)에서 결정된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의 트랙명의 정보가 앨범명순으로 재배열되어 일람 표시된다. 이 때, 재생 범위는, 이와 같이 일람 표시된 결정 아티스트의 모든 트랙으로 된다. 또한, 재생순은, 일람 표시되는 트랙의 순과 동일 순으로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All Album」에 의해 트랙을 재생 중에서의 앨범 위치에서의 FF/FR 조작이 행해진 경우, 결정한 아티스트의 앨범이 복수 있을 때는, 그들 앨범 사이에서 앨범 점프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즉 이 경우, 재생 범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정된 아티스트에 대한 앨범명순으로 재배열된 트랙 일람에 기초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서치 모드에서 트랙을 재생 중, 유저는 SEARCH/MENU 키(8b)를 누름 조작함으로써, 서치 시에 더듬어 간 순서와는 역순으로 계층을 되돌아갈 수 있다. 예를 들면, 아티스트 서치로서, 도 7의 (a)∼도 7의 (d)에 도시한 화면 천이를 거쳐 트랙을 재생 중이었던 경우, SEARCH/MENU 키(8b)의 누름 조작마다, 도 7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트랙 일람 화면→도 7의 (c)의 앨범 일람 화면→도 7의 (b)의 아티스트 일람 화면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1개 위의 계층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으로, 앨범이나 아티스트를 다시 결정하여 트랙의 재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것은 이하의 앨범 서치 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계속하여, 도 8은, 앨범 서치 시의 화면 천이를 도시하고 있다. 앨범 서치에 의한 검색을 행하는 것으로 했을 때는, 도 8의 (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여 서치 메뉴 화면에서 커서 CR을 「Album」으로 이동시켜 PLAY/STOP 키(8c)를 누름 조작한다. 그러면, 표시부(15) 상에는,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All Album」의 표시와 함께, 모든 앨범명의 정보가 일람 표시된다.
도 8의 (b)에서, 상기 앨범의 일람으로부터 1개의 앨범이 선택·결정되었을 때는,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정된 앨범 내의 트랙명의 일람이 표시된다. 유저는, 이 도 8의 (c)에 도시되는 트랙명의 일람 표시로부터 FF 조작/FR 조작,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트랙의 선택·결정 지시를 행함으로써, 결정한 트랙의 재생 개시를 지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재생 범위는, 일람 표시된 트랙, 즉 결정된 앨범 내의 모든 트랙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앨범 서치에 의해서는, 재생할 트랙을 앨범 일람→선택·결정한 앨범 내의 트랙의 일람의 순으로 검색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하는 화면에서, 「All Album」의 항목이 결정된 경우에는, 콘텐츠 데이터(18a)로서 저장되는 모든 트랙의 트랙명이 앨범명순으로 재배열되어 일람 표시된다. 즉, 「All Album」의 선택 시에는, 앞의 도 7의 (a) (도 8의 (a))에서의 「All Track」이 결정되었을 때와 동일한 화면이 표시되게 된다. 또한, 이 때문에, 해당 「All Album」으로부터 트랙을 재생 중, 앨범 위치에서의 FF/FR 조작에 따라서는, 이 경우도 일람 중에서의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과 인접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의 재생이 개시되어, 앨범 점프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이 때, 콘텐츠의 재생순은 일람 표시와 동일 순으로 되고, 재생 범위는 일람 표시된 모든 트랙으로 된다.
<5. 실시 형태로서의 그룹 점프 동작>
여기서, 지금까지의 설명으로부터도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록 재생 장치(2)로서는, 원하는 트랙을 아티스트나 앨범의 일람으로부터 좁혀 들어가 검색하기 위한 서치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이 한편으로, 소정의 조작에 따라서, 앨범이나 아티스트라고 하는 소정의 그룹간을 다이렉트로 점프하는 그룹 점프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그룹 점프를 위한 조작에 따른 점프 동작으로서는, 재생 범위로서 지정된 범위 내에서만 행하도록 되어 있었다. 단, 이에 의하면,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예를 들면 「All Track」등과 같이 재생 범위가 모든 트랙으로 되고, 그 배열이 앨범명순 등으로 되는 경우에는,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 앨범 점프 동작이 실행되는 것으로 되지만, 전술한 앨범 서치에 의해 앨범 일람→트랙 일람으로 좁혀 와서 트랙을 재생 중이었거나, 아티스트 서치에 의해 아티스트 일람→앨범 일람→트랙 일람의 순으로 좁혀 와서 트랙을 재생 중이었던 경우에는, 재생 범위는 결정된 앨범 내로 되게 되기 때문에, 그룹 점프 조작이 이루어져도 앨범이나 아티스트라고 하는 그룹을 점프하는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유저에게 있어서는, 동일한 그룹 점프 조작을 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점프할 수 있는 경우와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면, 그들이 구별되지 않아, 이에 의해 유저를 혼란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혼란을 회피하기 위해, 아티스트 서치나 앨범 서치에 의해 트랙을 재생한 경우에도, 점프 동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생각된다. 즉, 예를 들면 앨범 서치로 말하면, 서치 시에 표시한 앨범명의 일람 상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에 인접하는 앨범으로 점프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저의 수요로서는, 앨범 서치로 좁혀는 왔지만, 점프 조작에서는 아티스트마다의 점프를 행하고자 하는 경우도 생각된다. 그와 같은 수요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히 서치 시에 이용한 일람(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 작을 행하였던 것에서는, 점프 동작에 자유도를 갖게 할 수 없는 것으로 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미리 점프 동작용의 별도의 리스트를 생성해 놓고, 이 점프용의 리스트와 점프 조작을 대응지어 두도록 한다. 그리고 점프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대응지어진 점프용 리스트를 참조하여, 그 리스트 상에서의 그룹 나눔, 및 그룹 배열순에 따른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도 9∼도 11은, 이 경우에서 생성하는 점프용 리스트의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 도 10은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 리스트, 도 11은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의 구조를 각각 개념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우선, 도 9에서의 앨범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 내의 모든 트랙명의 정보에 대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그들을 동일한 앨범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것마다 나누고, 또한 그들 동일 앨범명에 의해 나누어진 것 중에서는, 각 트랙명의 정보를 소정 순서로 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 각 앨범 하의 트랙명의 배열순은, 그 앨범에서의 트랙 넘버순으로 되도록 한다.
또한, 도 10에서의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모든 트랙명의 정보에 대해서, 우선은 동일한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것마다 나누고, 그들 동일 아티스트명이 대응지어진 것 중에서는, 또한 동일 앨범명이 대응지어진 것마다 나누고, 각 앨범 하에서는, 트랙명의 정보를 이 경우도 그 앨범에서의 트랙 넘버순 등의 소정 순서로 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최상위 계층으로 되는 아티스트명의 정보의 배열순은, 아티스트명순(예를 들면 문자 코드순)으로 하 고, 각 아티스트명의 하층에서의 앨범명의 정보의 배열순은, 앨범명순으로 되도록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모든 트랙명의 정보에 대해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그들을 동일한 아티스트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것마다 나누고, 또한 그들 동일 아티스트명에 의해 나누어진 것 중에서는, 각 트랙명의 정보를 소정 순서로 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상층의 아티스트명의 정보의 배열순은 아티스트명순으로 되고, 또한 각 아티스트 하의 트랙명의 정보의 배열순은, 예를 들면 대응지어지는 앨범명의 정보의 문자 코드순이나, 혹은 간단히 트랙명순(예를 들면 문자 코드순) 등으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의 경우, 이들 도 9∼도 11에 도시한 각 리스트는, 기록 재생 장치(2)에서의 컨트롤러(6)가, 콘텐츠 관리 정보(18b)를 재배열하여(소트하여) 생성하도록 된다. 즉, 도 9에 도시하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대해서 말하면,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 각 콘텐츠 ID와 대응지어지는 앨범명의 정보, 트랙명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9에서 설명한 배열순으로 되도록 콘텐츠 ID를 재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도 10의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의 아티스트명, 앨범명, 트랙명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 10에서 설명한 배열순으로 되도록 콘텐츠 ID를 재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하고,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의 아티스트명, 트랙명의 정보(트랙명의 정보를 앨범명순으로 배열하는 경우에는 앨범명의 정보도)에 기초하여, 도 11에서 설명한 배열순으로 되도록 콘텐츠 ID를 재배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들 리스트를, 예를 들면 플래시 메모리(18) 등의, 소요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기록하도록 해 둔다. 앞의 도 5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플래시 메모리(18) 내에 저장된 리스트를, 각종 리스트(18c)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각 리스트를 미리 생성해 둠으로써,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면,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도면에서 점프 대상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스트업된 앨범명마다에 의한 그룹마다, 그들의 배열순에 따른 그룹 점프 동작(즉 앨범 점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면, 도면에서 점프 대상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아티스트명순으로 배열된 앨범명마다에 의한 그룹마다, 그들의 배열순에 따라서 앨범 점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의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면, 도면에서 점프 대상으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스트업된 아티스트명마다에 의한 그룹마다, 그들의 배열순에 따른 그룹 점프 동작(즉 아티스트 점프 동작)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들 각각의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 중,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 어떤 점프 동작을 실행할지를, 미리 유저가 선택 설정해 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 어떤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을 실행할지를 선택 설정시키기 위한 점프 모드 선택 화면을 준비해 두고, 유저는 그 선택 화면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점프 동작을 선택 설정하도록 된다.
도 12는, 이와 같이 유저가 점프 동작을 선택 설정하는 경우의 조작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조작에 따라서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천이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유저는, 이와 같은 점프 동작에 대한 선택 설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 경우, 도 6에서 도시한 SEARCH/MENU 키(8b)를 길게 누름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표시부(15) 상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설정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이 설정 메뉴 화면 상에서는, 예를 들면 「Repeat Mode」나 「Sound」, 「Jump Mode」등이라고 하는 각종 설정 항목의 일람 표시가 행해짐과 함께, 각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커서 CR도 표시된다. 이 경우도 유저는 FF 조작/FR 조작에 의해 커서 CR을 이동시키고,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에 의해 결정 지시를 행함으로써, 선택한 항목에 대해서 결정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설정 메뉴 화면에서, 점프 동작에 대한 설정을 행하는 경우, 유저는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서 CR을 「Jump Mode」로 이동시킨 후에(선택한 후에), 결정 조작을 행한다.
「Jump Mode」의 항목이 선택·결정된 경우, 점프 모드 선택 화면으로서, 다음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Album」 「Artist/Album」 「Artist」의 각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항목과 커서 CR이 표시된다. 확인을 위해 설명해 두면, 「Album」은 전술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항목이며, 「Artist/Album」은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항목이며, 「Artist」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을 나타내는 항목으로 된다. 유저는 이와 같은 선택 화면 상에서, 원하는 점프 동작을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 행해질 점프 동작으로서 선택 설정할 수 있다.
기록 재생 장치(2)측에서는, 선택된 항목이 「Album」이었던 경우에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그룹 점프 조작에 따른 점프 동작을 행할 때에 참조할 리스트로서 설정하도록 된다. 즉, 그룹 점프 조작과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도록 된다. 이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앨범 점프 모드로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룹 점프 조작이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방향 조작이라고도 부름)에 의한 것인 경우에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다음에 배열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그룹 점프 조작이 앨범 위치에서의 FR 조작(-방향 조작이라고도 부름)인 경우에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앞에 배열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방향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이 리스트 상의 최후의 앨범이었던 경우, 상기 「다음에 배열되는 앨범」이란, 리스트 상의 선두의 앨범으로 된다. 또한,-방향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이 리스트 상의 최초의 앨범이었던 경우, 상기 「앞에 배열되는 앨범」이란 리스트 상의 최후의 앨범으로 된다. 이것은, 이하의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아티스트순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에 대해서도, 「앨범」이 「아티스트」로 되는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이다.
또한, 선택된 항목이 「Artist/Album」이었던 경우에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그룹 점프 조작에 따른 점프 동작을 행할 때에 참조할 리스트로서 설정하도록 된다. 즉, 그룹 점프 조작과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는다. 이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 모드로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방향의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다음에 배열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방향의 점프 조작인 경우에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앨범의 앞에 배열되는 앨범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 선택된 항목이 「Artist」이었던 경우에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를 그룹 점프 조작에 따른 점프 동작을 행할 때에 참조할 리스트로서 설정하도록 된다. 즉, 그룹 점프 조작과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는다. 이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점프 모드로서,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에 기초하는 점프 동작이 행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도 +방향의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아티스트의 다음에 배열되는 아티스트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또한,-방향의 점프 조작인 경우에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아티스트의 앞에 배열되는 아티스트의 선두의 트랙이 재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리 생성된 그룹 점프용의 리스트와, 그룹 점프 조작을 대응지어 둘 수 있다. 즉, 이에 따르면, 서치에 의해 좁혀진 재생 범위에는 구속되지 않고,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하기 위한 별도의 리스트를 참조 함으로써, 예를 들면 서치에 의해 재생 범위가 1개의 앨범 내, 또는 1개의 아티스트 내로 좁혀진 경우에도 그룹 점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서치에 의해 재생 범위가 1개의 앨범 내, 또는 1개의 아티스트내로 좁혀진 경우에도 그룹 점프 동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 점프 동작이 실행되는 경우로 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저의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그룹 점프용의 별도의 리스트를 생성해 놓고, 그것을 그룹 점프 조작과 대응지어 두도록 하면, 예를 들면 서치로서는 앨범 서치를 행하여 트랙 재생을 개시했지만, 그룹 점프 동작으로서는 아티스트 단위로 행할 수 있는 등, 그룹 점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리스트를 생성해 놓고, 그 중에서 그룹 점프 동작에 적용하는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면, 그룹 점프의 자유도는 더욱 넓힐 수 있다.
여기서, 이 경우의 그룹 점프 동작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 바로 리스트 상의 인접 그룹 내의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하는 것 이외에도,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리스트 상의 그룹의 명칭을 순차적으로 표시하고 그 중에서 임의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 도 14는, 이와 같은 순차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3은 앨범 점프 모드의 경우에서의 순차 표시예를 도시하고, 도 14는 아티스트 점프 모드의 경우에서의 순차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 모 드의 경우의 순차 표시예는 도 13에 도시하는 앨범 점프 모드의 경우의 표시예와 마찬가지로 되므로 도시에 의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이와 같은 순차 표시에 의해 임의의 그룹을 선택하는 것으로 한 경우, 유저는, 트랙의 재생 중에서, 앨범 위치에서의 FF 길게 누름 조작을 행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셔틀 스위치(8d)를 앨범 위치로 한 상태에서, FF 조작을 계속적으로 행한다. 그렇게 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앨범 점프 모드의 경우, 표시부(15) 상의 표시로서는, FF 길게 누름 조작이 계속되고 있는 동안, 앨범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앨범명의 정보가 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 때, 유저는 원하는 앨범명의 정보가 표시된 부분에서 셔틀 스위치(8d)를 놓음으로써(즉 FF 조작을 종료시킴으로써), 그 표시된 앨범에 대한 재생 지시를 행할 수 있다. 즉 기록 재생 장치(2)로서는, FF 조작이 종료된 것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표시부(15) 상에 표시하고 있던(즉 표시할 것으로서 선택하고 있던) 앨범명의 정보에 기초하여, 리스트 상에서 그 하층에 위치하는 선두의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하게 된다.
또한, 이 경우, 재생 중인 앨범 위치에서의 FR 길게 누름 조작에 따라서는, 앨범 리스트 상의 앨범명을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이 경우도, FR 조작이 종료된 것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선택하고 있던 리스트 상의 앨범명의 하층에 위치하는 선두의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한다. 또한, 이와 같은 순차 표시를 지시하기 위한, 재생 중인 앨범 위치에서의 계속적인 FF 조작/FR 조작을, 총칭하여 길게 누름 점프 조작이라고도 한다.
또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 모드에 대해서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게 된다. 전술도 한 바와 같이 그 경우의 순차 표시예로서는 도 13과 마찬가지로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아티스트 점프 모드의 경우, FF 길게 누름 조작에 의한 길게 누름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의 내용에 기초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그들을 표시부(15) 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 경우도 FF 조작의 종료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선택하고 있던 리스트 상의 아티스트명의 하층에서의 선두의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도록 된다. 또한,FR 길게 누름 조작에 의한 길게 누름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아티스트명을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FR 조작이 종료된 것에 따라서, 그 시점에서 선택하고 있던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앨범명의 하층에 위치하는 선두의 트랙에 대한 재생을 개시한다.
이와 같은 순차 표시 동작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유저에게 점프 가능한 그룹 후보를 제시하고, 그 중에서 임의의 그룹을 선택시킬 수 있다.
<6. 처리 동작>
계속해서는, 다음의 도 15, 도 16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에 의한 실시 형태로서의 그룹 점프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해질 처리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처리 동작은, 도 5에 도시한 컨트롤러(6)가 메모리(9)에 저장되는 그룹 점프 처리 프로그램(9a)에 기초하여 실행하는 것이 다.
도 15는, 앞의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점프 모드를 선택 설정할 때에 대응하여 행해질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15에서는, 이미 표시부(15) 상에는, 앞의 도 12의 (b)에 도시한 설정 메뉴 화면에서 「Jump Mode」의 항목이 결정된 이후에 실행될 처리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우선, 스텝 S101에서는, 점프 모드명의 표시 처리를 행한다. 즉, 앞의 도 12의 (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Jump Mode」가 결정된 것에 따라서,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 점프 모드의 항목을 일람 표시한 점프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Album」 「Artsit/Album」 「Artsit」의 각 항목과 커서 CR을 적어도 배치한 화면 데이터를 표시 제어부(14)에 공급하여 그것을 표시부(15) 상에 표시시킨다.
스텝 S102에서는, 점프 모드의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 즉, 표시한 점프 모드 선택 화면에서,FF/FR 조작에 따라서 커서 CR을 이동시키기 위한 처리 등을 필요에 따라서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3에서는, 결정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이 경우의 결정 조작으로서, PLAY/STOP 키(8c)의 누름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하고,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상기 스텝 S102로 되돌아가게 되고, 이에 의해 결정 조작이 행해질 때까지 점프 모드 선택 처리를 행하도록 된다.
한편, 스텝 S103에서 결정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하여, 결정된 점프 모드용의 리스트를, 점프 동작에 참조할 리스트로서 결정하도록 된다. 즉, 스텝 S102에서 선택되고, 스텝 S103에서 결정 조작이 행해진 점프 모드의 항목에 따라서, 그 점프 모드용의 리스트를 점프 동작 시에 참조할 리스트로서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Album」의 항목이 선택·결정된 경우에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결정하고, 「Artist/Album」의 항목이 선택·결정된 경우에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결정하고, 「Artist」의 항목이 선택·결정된 경우에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를 결정하도록 된다. 이에 의해 그룹 점프 조작과 선택·결정된 점프 모드용의 리스트와의 대응지음이 행해진다.
도 16은, 이와 같은 점프용 리스트의 선택 설정에 기초하여, 실제로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 행해지는 그룹 점프 동작 시에 대응하여 행해질 처리 동작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 도 16에서는, 이미 어떠한 트랙이 재생되어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6에서, 우선 스텝 S201, 스텝 S202에 따라서는, +방향 점프 조작과 -방향 점프 조작 중 어느 하나를 대기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스텝 S201에서, 상기 +방향 점프 조작으로서,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한 경우에는, 스텝 S203에서, 해당 점프 조작이 길게 누름 조작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이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해서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03에서, 상기 FF 조작이 상기 소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고 종료하고, 길게 누름 조작이 아닌 것으로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진행 하여, 점프 동작용으로서 결정한 리스트 상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그룹의 1곡째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앞의 도 15의 스텝 S104에서 결정한 리스트에 대해서, 그 리스트 상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그룹의 다음에 배열되는 그룹 하에서,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트랙이 재생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방향의 그룹 점프 동작이 실행된 것으로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서 설명해 두면, 여기서 말하는 그룹이란, 앞에 설명한 각 리스트마다 설정되는 점프 대상으로서 설정된 그룹을 말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앨범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스트 상의 앨범 단위로의 그룹으로 된다. 마찬가지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리스트 상의 앨범 단위에 의한 그룹으로 되고, 또한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스트 상의 아티스트 단위로의 그룹으로 된다.
또한,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 경우의 각 점프용 리스트는, 콘텐츠 관리 정보(18b)에서의 각 콘텐츠 ID를, 대응지어지는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소트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리스트 상의 특정한 트랙명에 의한 트랙을 재생시킬 때에는, 그 트랙명의 정보와 대응지어져 있는 콘텐츠 ID의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개시를 위한 제어를 행하도록 된다. 또한, 이것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텝 S207, S209, 및 S212의 처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스텝 S203에서,길게 누름 조작인 것으로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하여, 결정한 리스트 상의 그룹명을 +방향순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처리를 개시하도록 된다. 즉, 결정한 리스트 상에서 배열되는 그 룹명의 정보를 그 배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그룹명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부(14)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앨범 점프 모드로서 앨범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앨범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앨범명의 정보를 배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또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 모드로서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티스트순 앨범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앨범명의 정보를 배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또한 아티스트 점프 모드로서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가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 상의 아티스트명의 정보를 배열순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그들 선택한 앨범명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리스트 상에서 선택을 개시하는 그룹명의 정보는, 예를 들면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그룹의 다음에 배열되는 그룹명의 정보로 하고 있다.
계속되는 스텝 S206에서는,길게 누름 조작의 종료를 대기하도록 된다. 그리고, 길게 누름 조작의 종료로서, 계속되었던 앨범 위치에서의 FF 조작이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 S207에서, 종료 시점에서 표시하고 있던 그룹의 1곡째를 재생하도록 된다. 즉, 스텝 S205에 의해 개시한 순차 표시 처리에 수반하여, 리스트 상에서 길게 누름 조작의 종료 시점에서 선택하고 있던 그룹명의 정보의 하층에서의 트랙명 중, 선두에 배열되는 트랙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트랙에 대한 재생이 개시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순차 표시 중에서 선택한 그룹에의 점프 동작이 실현된다.
계속해서, 앞의 스텝 S202에서,-방향 점프 조작으로서의 앨범 위치에서의 FR 조작이 행해진 것으로 한 경우에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여 스텝 S208로 진행하여, 해당 점프 조작이 길게 누름 조작인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즉, 앨범 위치에서의 FR 조작이 소정 시간 이상 계속하여 행해지고 있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판별 처리를 행한다.
스텝 S208에서,길게 누름 조작인 것으로서 부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09로 진행하여, 점프 동작용으로서 결정한 리스트 상의 -방향으로 인접하는 그룹의 1곡째를 재생하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즉, 앞의 스텝 S104에서 결정한 리스트 상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그룹의 앞에 배열되는 그룹 하에서, 선두에 위치하는 트랙명의 정보가 대응지어진 트랙이 재생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방향의 그룹 점프 동작이 실행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스텝 S208에서,길게 누름 조작인 것으로서 긍정 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스텝 S210에서, 결정한 리스트 상의 그룹명을 -방향순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처리를 개시하도록 된다. 즉, 결정한 리스트 상에서 배열되는 그룹명의 정보를, 그 배열순과는 역순으로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한 그룹명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표시부(15) 상에 표시되도록, 표시 제어부(14)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이 경우, 리스트 상에서 선택을 개시하는 그룹명의 정보는, 예를 들면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그룹의 앞에 배열되는 그룹명의 정보로 하고 있다.
계속되는 스텝 S211에서는,길게 누름 조작의 종료를 대기하도록 된다. 그리고, 길게 누름 조작의 종료로서, 계속되었던 앨범 위치에서의 FR 조작이 종료된 경우에는, 스텝 S212에서, 이 경우에도 종료 시점에서 표시하고 있던 그룹의 1곡째를 재생하도록 된다. 이에 의해,-방향으로의 길게 누름 점프 조작에 따라서도, 순차적으로 표시 중에서 선택한 그룹으로의 점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으로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면,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데이터가 오디오 데이터로 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콘텐츠 데이터로서는, 영화나 텔레비전 프로그램, 비디오 프로그램, 사진, 회화, 도표 등을 구성하는 정지 화상 혹은 동화상을 콘텐츠로 하는 영상 데이터(비디오 데이터)나, 전자 도서(E-BOOK), 게임, 소프트웨어 등을 콘텐츠로 하는 임의의 데이터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프용의 리스트에서의 그룹 나눔은, 앨범명마다, 아티스트명마다 행해지는 경우만을 예시했지만, 그 밖에도 예를 들면 장르마다 등, 다른 속성 정보의 내용에 기초하는 그룹 나눔이 행해지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프용의 각종 리스트를 기록 재생 장치(2)측에서 생성하고, 그들을 소요의 기록 매체(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18))에 저장해 두는 것으로 했지만, 점프용 리스트로서는 퍼스널 컴퓨터(3)로서의 외부 장치측에서 생성하고, 기록 재생 장치(2)측에서는 전송된 리스트를 스스로가 구비하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그룹 점프 동작으로서, 리스트 상의 인접하는 그룹내의 선두의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으로 했지만, 선두의 트랙이 아니라 다른 트랙의 재생을 개시하도록도 할 수도 있다.
또한,FF 조작에 의한 -방향으로의 그룹 점프 조작에 따라서는, 리스트 상에서 재생 중인 트랙이 속하는 그룹의 선두의 트랙으로의 첫머리 탐색 동작을 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향에의 그룹 점프 조작이 1번 행해지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재차 -방향으로의 그룹 점프 조작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리스트 상에서의 재생 중인 그룹의 앞에 배열되는 그룹으로의 점프 동작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프용의 리스트에 기초해서는, 그룹 단위로의 점프 동작만을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그룹 단위뿐만 아니라 트랙 단위로의 점프(즉 통상의 FF/FR)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그 경우에는,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점프 모드의 선택·결정이 행해진 것에 따라서, 결정된 점프 모드에 대응하는 점프용의 리스트를 앨범 위치에서의 FF/FR 조작에 대응지음과 함께, 또한 뉴트럴 위치(도 6의 P2)에서의 FF/FR 조작(통상의 FF/FR 조작)에도 대응짓도록 한다. 그리고, 트랙을 재생 중, 통상의 FF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대응지어진 점프용의 리스트 상에서 다음에 인접하는(+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랙의 재생을 행하도록 한다. 이에 의해, 트랙 점프 동작에 대해서도, 서치에 의해 좁혀진 재생 범위에 구속되지 않고 점프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의 FR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재생 중인 트랙의 첫머리 탐색(선두로부터의 재재생)을 행하도록 한다. 단 이 경우, 예를 들면 소정 시간 내의 재차 FR 조작에 따라서는, 대응지어진 점프용 리스트 상에서 -방향으로 인접하는 트랙의 재생을 행한다. 이에 의해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재생 범위로서 설 정된 범위에 구속되지 않고 트랙 점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점프용의 리스트의 결정은 유저 조작에 기초하여 행하는 것으로 했지만, 장치측이 자동으로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점프 조작에 대응짓는 점프용의 리스트의 결정은, 서치 내용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서치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티스트→앨범→트랙의 순으로 행해져 재생할 트랙이 결정된 경우에는, 점프 조작에 대하여, 앨범순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는다. 또한, 서치가 아티스트→트랙의 순으로 행해져(즉, 도 7의 (b)에 도시한 화면에서 「All Artist」가 선택되어 표시된 아티스트순으로 배열된 모든 트랙의 일람으로부터 트랙이 선택되어) 재생할 트랙이 결정된 경우에는, 점프 조작에 대하여 아티스트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는다. 또한, 서치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앨범→트랙의 순으로 행해져 재생할 트랙이 결정된 경우에는, 점프 조작에 대하여 앨범 점프용 리스트를 대응짓는다라고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점프 조작과 점프용 리스트와의 대응지음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FF/FR 조작에 대해서도 점프용의 리스트를 대응짓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2)가 기록 매체로서 반도체 메모리를 내장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재생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CD, DVD, 하드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 소요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콘텐츠 데이터에 대한 재생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 널리 적용 가능한 것이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재생 장치(2)의 본체에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기록 재생 장치(2)의 표시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면 유선접속된 리모트 컨트롤러부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서, 기록 재생 장치(2) 본체측으로서는, 이와 같은 외장의 표시 디바이스에 대해서 마찬가지의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재생하는 콘텐츠 데이터를 특정할 때까지의 서치의 경로에 의해 재생 범위가 결정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도 12의 (a)에서 설명한 설정 메뉴의 「Repeat Mode」에 의해, 재생 범위를 결정하여도 된다. 이 경우, 서치에 의한 콘텐츠 데이터의 선택은, 콘텐츠 데이터를 지정한다고 하는 기능을 주로 하고, 재생 범위의 결정이라고 하는 기능은 하지 않게 된다. 「Repeat Mode」에는, 「normal」 「Folder」 「Repeat All」 「Repeat Folder」 「Repeat 1 song」 「Repeat Shuffle All」 「Repeat Shuffle Folder」 등의 모드의 종류가 있다. 각각의 모드의 설명은, 이하와 같다. 「normal」은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 이후의 콘텐츠 데이터를 모두 재생한 후 정지하는 모드이다. 「Folder」는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는 앨범 또는 폴더의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 이후의 콘텐츠 데이터를 모두 재생하고 정지하는 모드이다. 「Repeat All」은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모든 콘텐츠 데이터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Repeat Folder」는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는 앨범 또는 폴더 내의 콘텐츠 데이터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Repeat 1 song」은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를 반복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Repeat Shuffle All」은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한 후 모든 콘텐츠 데이터를 순서 없이 반복하여 재생하는 모드이다. 「Repeat Shuffle Folder」는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가 포함되는 앨범 또는 폴더 내의 콘텐츠 데이터를 반복하여 순서 없이 재생하는 모드이다.
즉, 설정 범위의 설정이라고 하는 의미에서는, 「Repeat Mode」에 의한 재생 범위의 설정은, 재생 범위를 모든 콘텐츠 데이터로 할지, 폴더 혹은 앨범 내로 할지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메뉴의 「Repeat Mode」에 의해 재생 범위를 결정하는 경우의 수순은 이하와 같다.
우선, 도 6에서 도시한 SEARCH/MENU 키(8b)를 길게 누름 조작함으로써, 표시부(15) 상에 도 12의 (a)에 도시하는 설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킨다. 그 후, 표시부(15)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 메뉴 중에서 「Repeat Mode」를 선택하고, 전술한 복수의 모드 중에서 소정의 모드를 선택한다. 이에 의해, 재생 범위를, 모든 콘텐츠 데이터, 또는 폴더 혹은 앨범 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을 하드웨어로 구성함으로써,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서는, 검색용 리스트와는 별도로 그룹 점프용의 리스트가 존재하는 데이터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미리 검색용 리스트로서도 사용하는 그룹 점프용의 리스트를 설정해 놓고, 이것을 서치, 그룹 점프 시 어느 때라도 이용함으로써, 그룹 점프용의 리스트를 검색용 리스트로서 병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조작에 따라서, 점프 동작용으로 설치한 소트 리스트 상의 그룹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점프 조작을 행하여도 그룹을 점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이 결과, 점프 조작을 행하여도 그룹을 점프할 수 있는 경우와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던 종래와 같이, 유저를 혼란시키게 된다고 하는 사태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우수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그룹 점프의 자유도를 넓힐 수 있다.

Claims (23)

  1. 조작부와,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구비하는 콘텐츠 관리 정보와, 상기 콘텐츠 관리 정보를 소정의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마다 배열한 소트 리스트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하는 재생부와,
    상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참조하는 소트 리스트를 설정하고, 상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설정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에 인접하는 그룹을 선택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설정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각각 서로 다른 복수의 소트 리스트를 기억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트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소트 리스트를, 상 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참조하는 소트 리스트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조작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재생 범위를 그룹 내로 할지를 설정하고, 상기 재생 범위가 그룹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콘텐츠 데이터의 판독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조작부에 다른 소정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소트 리스트에 기초 하여, 상기 그룹 내의 콘텐츠 데이터의 첫머리 탐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재생 범위를 그룹 내로 할지를 설정하고, 상기 재생 범위가 그룹 내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소트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재생부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상기 조작부에 다른 소정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첫머리 탐색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조작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조작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또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소트 리스트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 중에서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 지시하고, 상기 선택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2.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구비하는 콘텐츠 관리 정보를 소정의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마다 배열한 소트 리스트를,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참조하는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설정된 소트 리스트에 기 초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에 인접하는 그룹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
    을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인접하는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스텝과,
    상기 판독된 콘텐츠 데이터를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소트 리스트는 복수 존재하고, 상기 설정 스텝에서는, 상기 복수의 소트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소트 리스트를, 상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참조하는 소트 리스트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유닛이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재생 범위를 그룹 내로 할지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재생 범위가 그룹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콘텐츠 데이터의 판독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과,
    상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다른 소정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상기 그룹 내의 콘텐츠 데이터의 첫머리 탐색을 행하는 콘텐츠 첫머리 탐색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조작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재생 범위를 그룹 내로 할지를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재생 범위가 그룹 내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소트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콘텐츠 데이터의 판독을 제한하는 제한 스텝과,
    상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재생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 다른 소정 조작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콘텐츠 데이터의 첫머리 탐색을 행하는 콘텐츠 첫머리 탐색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이동 가능함과 함께, 제1 회전 방향과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 조작이 가능한 원통 형상의 원통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다른 소정 조작은, 상기 원통 조작 유닛이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회전 조작이 입력되는 조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22. 제12항에 있어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소트 리스트의 그룹 중에서 소정의 그룹을 선택하 고, 상기 선택된 그룹 중에서 소정의 콘텐츠 데이터를 선택 지시하고, 상기 선택 지시된 콘텐츠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콘텐츠 데이터를 상기 재생부에 재생시키는 서치 재생 제어 스텝을 더 구비하는 콘텐츠 선택 방법.
  23. 콘텐츠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상기 콘텐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구비하는 콘텐츠 관리 정보를 소정의 상기 속성 정보에 기초하여 그룹마다 배열한 소트 리스트를,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참조하는 데이터로서 설정하는 설정 스텝과,
    상기 조작부에 소정 조작이 입력되었을 때에, 상기 설정된 소트 리스트에 기초하여, 재생 중인 콘텐츠 데이터의 그룹에 인접하는 그룹을 선택하는 선택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
KR1020070031563A 2006-04-03 2007-03-30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 KR200700994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1885 2006-04-03
JPJP-P-2006-00101885 2006-04-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46A true KR20070099446A (ko) 2007-10-09

Family

ID=3823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63A KR20070099446A (ko) 2006-04-03 2007-03-30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70233714A1 (ko)
EP (1) EP1843349A1 (ko)
KR (1) KR20070099446A (ko)
CN (1) CN10105150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484A (ko) * 2007-04-20 2008-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데이터 저장 장치 및 이에서의 디지털 데이터선택의 입력 방법
JP5393977B2 (ja) * 2007-12-27 2014-01-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テンツ授受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255820B2 (en) 2009-06-09 2012-08-28 Skiff, Llc Electronic paper display device event tracking
US8903525B2 (en) 2010-09-28 2014-12-02 Sony Corporation Sound processing device, sound data selecting method and sound data selecting program
JP5668512B2 (ja) * 2011-02-15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D759118S1 (en) * 2013-11-08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D761320S1 (en) * 2013-11-08 2016-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9632803B2 (en) * 2013-12-05 2017-04-25 Red Hat, Inc. Managing configuration states in an application server
JP2016015595A (ja) * 2014-07-01 2016-01-28 船井電機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コンテンツ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処理プログラム
USD791785S1 (en) * 2015-02-24 2017-07-11 Linkedin Corporation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95452C (en) * 1993-05-04 1997-03-18 Phillip J. Beaudet Dynamic hierarchical selection menu
DE4445617A1 (de) * 1994-12-21 1996-06-27 Sel Alcatel Ag Verfahren, Systemkomponente und Programm-Modul zur Auswahl eines Suchbegriffs
JP3951193B2 (ja) * 1996-02-26 2007-08-01 ソニー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
US6380947B1 (en) * 1999-07-22 2002-04-30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tree scrolling a hierarchical data structure
JP4644925B2 (ja) * 2000-10-12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0898424B1 (ko) * 2000-12-12 2009-05-2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기록/재생 장치 및 방법, 및 기억 매체
US7062338B1 (en) * 2002-02-14 2006-06-13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rack access management for large playlists in a vehicular multimedia player
JP2004021893A (ja) * 2002-06-20 2004-01-22 Sony Corp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050021470A1 (en) * 2002-06-25 2005-01-27 Bose Corporation Intelligent music track selection
US20040202335A1 (en) 2003-04-09 2004-10-14 Lee Long K. Method for alphabetizing and fast track searching MP3 compact disc file structure contents in a vehicle audio system
JP4544032B2 (ja) * 2005-05-19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処理方法、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3349A1 (en) 2007-10-10
CN101051505A (zh) 2007-10-10
US20070233714A1 (en)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9446A (ko) 재생 장치, 콘텐츠 선택 방법, 프로그램
KR100520115B1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장치 및 방법
JP4349313B2 (ja) 再生装置,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428321B2 (ja) 記録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060120431A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재생장치
JP200400586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リスト作成方法および、リスト作成処理プログラム
JP4244011B2 (ja) 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データ再生装置における再生データの管理方法
JP2007226867A (ja) マルチメディア装置
JP4679259B2 (ja) 映像再生装置
JP4661468B2 (ja) 記録再生装置、制御方法
JP2001243748A (ja) 情報記録制御装置
JP200505628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管理装置、コンテンツ再生制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99508A (ja) 再生装置、コンテンツ選択方法、記録媒体
JP4587014B2 (ja) オーディオ再生システム
JP4004932B2 (ja) 音楽再生装置およびシステム
JP5094442B2 (ja) 再生装置およびプレイリスト更新方法
JP2001243751A (ja) 情報記録制御装置
JP477666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5235365A (ja) 情報再生装置及び音声録音・再生装置
JP5570794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4836851B2 (ja) オーディオ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JP4106982B2 (ja) 記憶装置、記憶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930250B2 (ja) スキャン再生制御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1123B1 (ko) 플레이리스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1243709A (ja) 情報記録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